KR20080114499A - Cooker - Google Patents
Cook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114499A KR20080114499A KR1020080038645A KR20080038645A KR20080114499A KR 20080114499 A KR20080114499 A KR 20080114499A KR 1020080038645 A KR1020080038645 A KR 1020080038645A KR 20080038645 A KR20080038645 A KR 20080038645A KR 20080114499 A KR20080114499 A KR 2008011449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mperature
- cooking
- water
- cooking chamber
- hea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2—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 F24C15/105—Constructive details concerning the regulation of the temperatur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3/00—Stoves or range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heating wat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C15/327—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with air moisturis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f electric circuits regulating h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열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증기에 의한 가열 조리 기능을 갖는 가열조리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coo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t cooker having a heating cooking function by steam.
종래, 전기 히터(electric fire) 또는 마그네트론에 의한 가열 조리에 추가하여, 수증기에 의한 가열 조리를 가능하게 하는 가열조리기가 제공되어 있다. 가열 조리에 제공되는 수증기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308315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조리실 또는 그 근방에 물을 저장하는 저수부를 설치하고, 상기 저수부에 저류되어 있는 물을 가열하여 비등시킴으로써 발생한다. 또한, 상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308315호에는 설정 조리 온도와 조리실 내의 실제 온도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기초하여 수증기의 발생량을 변경하는 구성 내지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Conventionally, in addition to heating cooking by an electric fire or magnetron, a heating cooker which enables heating cooking by steam is provided. As disclosed in, for example,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5-308315, the steam provided for the heating cooking is provided with a reservoir for storing water in the cooking chamber or its vicinity, and the water stored in the reservoir is It occurs by heating and boiling. Further,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5-308315 discloses a configuration or method for comparing the set cooking temperature with the actual temperature in the cooking chamber and changing the amount of steam generation based on the result.
그런데, 조리 메뉴(cooking menu)에 따라서는, 조리실의 온도를 100℃ 이하로 유지하여 조리를 진행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빵 생지(bread dough)를 발효시키는 경우, 조리 온도는 30℃ 내지 50℃의 범위로 유지된다. 또한, 예를 들어 액상의 푸딩 소재(pudding raw material) 등을 푸딩으로 쪄서 만드는 경우, 조 리 온도는 80℃ 정도로 유지된다. 또한, 최근에는 조리 온도를 40℃ 내지 50℃의 범위로 유지함으로써, 식품 중의 비타민 C를 증가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By the way, depending on a cooking menu, cooking may be performed by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a cooking chamber at 100 degrees C or less. For example, when fermenting bread dough, the cooking temperature is maintained in the range of 30 ° C to 50 ° C. In addition, for example, when a liquid pudding raw material (pudding raw material) or the like is made by steaming, the cooking temperature is maintained at about 80 ℃. In recent years, it has been known to increase the vitamin C in foods by maintaining the cooking temperature in the range of 40 ° C to 50 ° C.
상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308315호에 개시되어 있는 가열조리기에서는 조리실의 실제 온도가 엄밀하게 소망하는 설정 온도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이는 저수부에 저류하고 있는 물의 온도를 신속하게 변화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저수부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의 양은 저수부에 저류하고 있는 물의 온도에 의존한다. 그 때문에, 저수부에 저류하고 있는 물의 온도 변화가 신속하지 않으면, 발생하는 수증기의 양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없다. 즉, 저수부에 저류하고 있는 물을 단순하게 비등(沸騰)시키는 경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308315호에 개시되어 있는 가열조리기에서는 저수부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의 양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없고, 그 결과 조리 온도를 정밀하게 제어하기 매우 곤란하다.In the heating cooker disclosed in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5-308315, it is very difficult to control such that the actual temperature of the cooking chamber is strictly maintained at a desired set temperature. This is because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tored in the reservoir cannot be changed quickly. The amount of water vapor generated from the reservoir depends on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tored in the reservoir. Therefore, if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part is not rapid, the amount of water vapor generated cannot be precisely controlled. That is, when the water stored in the reservoir simply boils, the heating cooker disclosed in JP-A-2005-308315 cannot precisely control the amount of water vapor generated from the reservoir. As a result, it is very difficult to precisely control the cooking temperature.
예를 들어, 수증기의 발생량을 증대시켜 조리 온도를 상승시키는 경우, 저수부에 저류되어 있는 물의 온도를 상승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수온의 상승 속도는 물의 비열과 가열에 사용하는 에너지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물의 비열은 크고 또한 가열조리기 등의 가정용 전기 제품에서는 소비 가능한 전력에 한도가 있으므로, 수온의 상승 온도를 그다지 빠르게 할 수 없다. 한편, 수증기의 발생량을 감소시키는 경우, 저수부에 저류하고 있는 물의 수온을 신속하게 저하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물의 비열은 크므로, 수온의 저하는 완만하고 역시 이 경우에도 수온의 저하 속도를 별로 빠르게 할 수는 없다.For example, when increasing the amount of water vapor generated to raise the cooking temperatu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tored in the reservoir. In addition, the rate of increase of the water temperature is determined by the specific heat of water and the energy used for heating. However, since the specific heat of water is large and there is a limit to the power that can be consumed in household appliances such as heating cookers, the temperature rise of the water temperature cannot be made very fast. On the other hand, when reducing the amount of water vapor generated, it is necessary to quickly lower the water temperature of the water stored in the reservoir. However, since the specific heat of water is large, the fall of the water temperature is slow, and in this case, too, the rate of decrease of the water temperature cannot be accelerated much.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장치에서는 저수부의 물을 가열하여 비등시킴으로써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경우, 수증기의 발생량을 조작하는 제어의 응답이 나빴다. 그 때문에, 수증기의 발생량을 제어함으로써 조리 온도를 소망하는 설정값에 맞추도록 해도, 발생하는 수증기량이 신속하게 변하지 않고, 그 결과 조리 온도가 설정값의 상하로 크게 변동되는 문제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apparatus, when steam is generated by heating and boiling the water in the reservoir, the response of the control for manipulating the amount of steam generated is poor. Therefore, even if the cooking temperature is adjusted to the desired set value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steam generated, the amount of generated steam does not change quickly, and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oking temperature fluctuates significantly above and below the set value.
본 발명은 종래 장치에 있던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발생하는 수증기의 양을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조리 온도가 소망하는 설정 온도로 정밀하게 제어되는 가열조리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in the conventional apparatu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heating cooker in which the cooking temperature is precisely controlled to a desired set temperature by precisely controlling the amount of steam generat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가열조리기는 조리물을 수용하여 조리하는 조리실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조리물을 가열 조리하는 조리 온도를 설정하는 조리 온도 설정 수단과, 상기 조리실 내의 실제 온도를 검출하는 실온 검출 수단과, 물을 저장하는 저수부, 상기 저수부로 물을 보급하는 보급부 및 상기 저수부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부에서 상기 저수부를 가열함으로써 수증기를 생성하고, 생성된 수증기를 상기 조리실로 공급하는 수증기 공급 수단과, 상기 실온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실제 온도를 상기 설정 온도와 대비하여, 그 차에 따라서 상기 실제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가 되도록 상기 저수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heat cook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for forming a cooking compartment for accommodating food, cooking temperature setting means for setting a cooking temperature for heating and cooking the food, and an actual temperature in the cooking chamber. Room temperature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reservoir for storing water, a replenishment for replenishing water to the reservoir, and a heater for heating the reservoir, wherein the heater is used to generate steam by heating the reservoir. And the water storage unit so as to compare the actual temperature detected by the steam supply means for supplying the generated steam to the cooking chamber and the actual temperature detected by the room temperature detection means with the set temperature, and the actual temperature becomes the set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상기 제어부는 저수부의 온도를 제어한다. 저수부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의 양은 저수부의 온도에 따라서 변화된다. 그 때문에, 저수부의 온도를 제어함으로 써, 조리실로의 공급되는 수증기의 양은 신속하게 제어된다. 따라서, 발생하는 수증기의 양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고, 조리 온도를 소망하는 설정 온도로 신속하고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controls the temperature of the reservoir. The amount of water vapor generated in the reservoir varies with the temperature of the reservoir. Therefore, 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reservoir, the amount of water vapor supplied to the cooking chamber is quickly controlled. Therefore, the amount of steam generated can be precisely controlled, and the cooking temperature can be controlled quickly and precisely to a desired set temperature.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가열조리기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heating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drawings.
본 발명에 의한 가열조리기의 일실시예를 도 1에 도시한다. 도 1은 가열조리기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또한,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1에서는 전면(前面)에 설치되어 있는 문 및 조작 버튼 등의 주지의 외장 부재는 생략하고 있다.One embodiment of a heat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principal part of a heating cooker. In addition, in order to make description easy, well-known exterior members, such as a door and an operation button provided in the front surface, are abbreviate | omitted in FIG.
가열조리기(10)는 상자 형상의 하우징(11)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1)은 내부에 조리실(12)을 형성하고 있다. 조리 대상이 되는 식품은 조리실(12)에 수용된다. 가열조리기(10)는 조리실(12)에 수용된 식품을 가열 조리하기 위한 가열 수단으로서의 히터(13)를 구비하고 있다. 히터(13)는 조리실(12)을 형성하는 하우징(11)의 후벽에 설치되어 있다. 히터(13)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 또는 원형상 등 임의의 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틀 형상의 히터(13)의 내측에 순환팬(14)이 배치되어 있다. 순환팬(14)은 조리실(12)에 기류를 형성하고, 조리실(12) 내의 온도 즉 조리 온도를 거의 안정된 상태로 유지한다.The
순환팬(14)이 구동되면, 조리실(12)의 공기는 히터(13)의 근방을 통과하면서 조리실(12)을 순환한다. 이에 의해, 히터(13)에 통전되고 있을 때, 조리실(12)의 공기는 히터(13)에 의해 가열되고, 조리실(12)도 가열된다. 한편, 히터(13)에 통 전되어 있지 않을 때, 조리실(12)의 공기는 히터(13)에 의해 가열되지 않고 조리실(12)을 순환한다.When the
가열조리기(10)는 수증기 공급 수단으로서 스팀 공급 장치(20)를 구비하고 있다. 스팀 공급 장치(20)는 저수부(21), 보급부(22), 가열부(23), 저수부 온도 검출 수단으로서의 서미스터(24) 및 예열부(25)를 구비하고 있다. 저수부(21)는 하우징(11)의 저벽에 설치되어 있다. 저수부(21)는 보급부(22)로부터 공급된 물을 저장하는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급부(22)는 급수 탱크(26), 급수 펌프(27) 및 급수 파이프(28) 등을 갖고 있다. 급수 탱크(26)는 하우징(11)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저수부(21)에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어 있다. 급수 펌프(27)는 급수 탱크(26)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저수부로 공급한다. 급수 펌프(27)에 의해 급수 탱크(26)로부터 흡입된 물은 급수 파이프(28)를 경유하여 저수부(21)로 공급된다. 서미스터(24)는 저수부(21)에 설치되어 있고, 저수부(21)의 물의 온도를 검출한다. 도 2에 도시하는 제어부(30)는 서미스터(24)에서 검출한 저수부(21)의 온도에 기초하여, 가열부(23)로의 통전을 제어한다. 예열부(25)는 급수 탱크(26)로부터 저수부(21)에 공급되는 물을 가열한다. 이에 의해, 급수 탱크(26)로부터 저수부(21)에 공급되는 물은, 저수부(21)에 유입되기 전에 소정의 온도까지 예열된다.The
가열부(23)는 저수부(21)에 설치되어 있다. 저수부(21)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트 등에 의해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열부(23)를 구성하는 히터가 부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가열부(23)에 통전함으로써, 저수부(21)에 저류되어 있는 물은 가열된다. 이에 의해, 저수부(21)에서는 수증기가 생성된다. 생성된 수증기는 하우징(11)의 저벽측으로부터 조리실(12)로 공급된다.The
또한, 가열조리기(10)는 상술한 가열 수단에 추가로, 예를 들어 마그네트론이나 그릴용의 면(面) 형상 히터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마그네트론은 조리실(12)을 형성하는 하우징(11)의 외측에 설치되고 고주파를 발생한다. 마그네트론에서 발생한 고주파는 예를 들어 도파관을 통하여 하우징(11)의 저벽측으로부터 조리실(12)로 조사된다. 또한, 면 형상의 히터는 조리실(12)을 형성하는 하우징(11)의 천정벽측에 설치되고, 적외선 등의 전자파를 발생한다. 히터에서 발생한 전자파는 예를 들어 하우징(11)의 천정벽측으로부터 조리실(12)로 조사된다.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heating means, the
가열조리기(10)는 도시하지 않은 환기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환기 수단은 도시하지 않은 흡기구, 배기구 및 환기용 팬 등을 구비하고 있다. 환기 수단은 환기용 팬을 구동함으로써 조리실(12)에 외부 공기를 도입하고 또한 조리실(12)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조리실(12)에는 조리실 온도 검출 수단으로서의 온도 센서(15)가 설치되어 있다. 온도 센서(15)는 예를 들어 서미스터 등을 갖고, 조리실(12)의 실제 온도, 즉 실온을 검출한다.The
다음에, 도 2에 기초하여 가열 조리기(10)의 전기적인 구성의 주요부를 설명한다. 또한, 도 2는 특히 스팀 공급 장치(20)에 관련된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고, 예를 들어 마그네트론이나 그릴용 히터 등의 다른 가열 수단의 구성은 생략하고 있다. 가열조리기(10)의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30)는 CPU, RAM 및 ROM 등을 갖는 마이크로컴퓨터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30)는 ROM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가열조리기(10)의 각 부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0)는 예를 들어 키(key)나 스위치(switch) 등의 하우징(1)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조작부(31)로부터 선택적으로 실시되는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조리 메뉴에 따라서 가열조리기(10) 전체를 제어한다. 그 때문에, 제어부(30)에는 조작부(31)의 키나 스위치 등의 조작에 의한 각종 입력신호, 온도 센서(15)로부터의 온도 검출 신호, 및 서미스터(24)로부터의 온도 검출 신호 등이 입력된다. 또한, 제어부(30)는 조작부(31)의 조작에 의해 조리실(12)의 설정 온도가 입력된다. 즉, 사용자는 조리 온도 설정 수단으로서의 조작부(31)를 조작함으로써, 조리 메뉴를 입력한다. 제어부(30)는 조작부(31)를 경유하여 입력된 조리 메뉴에 기초하여, 그 조리 메뉴에 적합한 조리 온도를 설정한다.Next, the main part of the electrical structure of the
한편, 제어부(30)의 출력측에는 순환팬(14), 보급부(22)의 급수 펌프(27), 가열부(23), 예열부(25) 및 히터(13) 등이 접속되어 있다. 이들 순환팬(14), 급수펌프(27), 가열부(23), 예열부(25) 및 히터(13)는 각각 도시하지 않은 구동 회로 등을 경유하여 제어부(30)에 의해 제어된다.On the other hand, the
다음에, 상기 구성의 가열조리기(10)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operation | movement of the
상기 가열조리기(10)에서는 일반적인 사용 방법으로서, 조작부(31)의 조리 메뉴 등의 설정 조작에 기초하여, 제어부(30)는 도시하지 않은 마그네트론에 의한 고주파 가열 조리 또는 천정벽측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그릴용 히터에 의한 복사열을 이용한 가열 조리, 또한 순환하는 열풍을 생성하는 히터(13) 및 순환팬(14)에 의한 열풍 오븐 가열 조리 등을 선택적으로 실행 가능하다. 그 때, 온도 센서(15) 가 검출한 조리실(12)의 실제 온도에 기초하여, 제어부(30)는 조리실(12)을 미리 프로그램된 설정 온도로 제어한다. 이에 의해, 조리실(12)에 수용된 식품의 가열 조리가 실시된다.In the
본 실시예의 가열조리기(10)는 스팀 공급 장치(20)를 가열 수단으로서 사용함으로써 상기 스팀 공급 장치(20) 단독 또는 다른 가열 수단을 병용하여 여러가지의 조리 메뉴의 조리를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열조리기(10)의 스팀 공급 장치(20)를 단독 또는 다른 가열 수단과 병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치킨 양념구이(teriyaki chicken)」, 「햄버거」, 「계란찜(pot-steamed hotchpotch)」 및 「밥(boiled rice)이나 고기 만두(steamed meat bun) 등의 데우기」 등의 조리를 비롯하여, 「푸딩」 및 「야채 등의 비타민 C의 증가가 예상되는 조리(이하, 「비타민 C 증가 조리」라고 부름)」 등 메뉴에 어울리는 스팀 조리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The
그래서, 제어부(30)는 설정 내지 선택된 조리 메뉴에 따라서, 예를 들어 조리실(12)의 온도(조리 온도에 상당)를 물의 비점인 100℃ 보다 높게 설정하는 고온 모드에서의 조리 메뉴와, 동일하게 비점 이하로 설정하는 저온 모드에서의 조리 메뉴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리 메뉴 중, 「치킨 양념구이」 및 「햄버거」 등의 스팀 조리 메뉴는 조리 온도가 물의 비점보다 높은 고온의 스팀 조리 모드에서 실행된다. 한편, 「계란찜」, 「밥이나 고기 만두 등의 데우기」, 「푸딩」 및 「비타민 C 증가 조리」 등의 스팀 조리 메뉴는 조리 온도가 물의 비점 이하의 저온의 스팀 조리 모드에서 실행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setting or the selected cooking menu, the
조리를 실행하는 경우, 조리 개시에 앞서, 조리실(12)에 소망하는 식품이 수용되고, 조작부(31)에서 스팀에 의한 가열 조리의 조건 등이 설정 내지 선택된다. 제어부(30)는 입력된 조작부(31)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가열 조리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가열 조리가 개시되면, 설정 내지 선택된 조리 메뉴나 식품의 중량 등의 조건 설정 입력에 기초하여, 제어부(30)는 설정 내지 선택된 조리 메뉴에 사용하는 설정 온도가 물의 비점 보다 높은 고온 조리인지 물의 비점 이하의 저온 조리인지 판정한다.In the case of performing cooking, desired food is accommodated in the
예를 들어, 「치킨 양념구이」의 조리 메뉴가 설정 내지 선택되어 있는 경우, 상기 조리 메뉴는 고온 조리로 분류된다. 그 때문에, 제어부(30)는 순환팬(14)을 정상 회전 구동하고, 조리실(12)에 히터(13)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한다. 이에 의해, 조리실(12)에서는 열풍의 순환이 이루어진다. 또한, 「치킨 양념구이」의 조리 메뉴가 설정 내지 선택되어 있을 때, 스팀 공급 장치(20)로부터는 포화 온도 이상의 소위 과열 수증기가 조리실(12)로 공급되고, 소위 스팀 조리가 실행된다.For example, when the cooking menu of "grilled chicken seasoning" is set or selected, the cooking menu is classified as high temperature cooking. Therefore, the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0)는 가열부(23)에 통전함으로써, 가열부(23)에 의해 저수부(21)를 예를 들어 120℃ 정도까지 가열한다. 제어부(30)는 서미스터(24)에 의해 저수부(21)의 온도가 120℃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면, 보급부(22)의 급수 펌프(27)를 구동한다. 이에 의해, 급수 탱크(26)로부터 소량의 물이 급수 파이프(28)를 경유하여 간헐적으로 저수부(21)로 공급된다. 고온으로 가열된 저수부(21)에 공급된 물은 가열되어 증발하고, 100℃ 이상의 수증기가 조리실(12)로 공 급된다. 조리실(1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열풍의 순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열풍과 함께 수증기도 순환하고 히터(13)에 의해 반복 가열된다. 그 결과, 조리실(12)의 수증기는 포화 온도 이상으로 가열된 과열 수증기로서 생성된다. 제어부(30)는 온도센서(15)에서 검출한 조리실(12)의 실제 온도에 기초하여 조리실(12)을 설정 온도로 유지한다. 이에 의해, 과열 수증기에 의한 가열 조리가 실행된다.Specifically, the
한편, 예를 들어, 「푸딩」이나 「비타민 C 증가 조리」 메뉴 등이 설정 내지 선택되어 있는 경우, 이들의 조리 메뉴는 저온 조리로 분류된다. 그 때문에, 제어부(30)는 순환팬(14)을 정상 회전보다도 저속도로 회전 구동하고, 히터(13)로의 통전을 오프한다(turn-off). 그리고, 제어부(30)는 스팀 공급 장치(20)에 의해 저온의 수증기를 생성하여 조리실(12)로 공급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udding", the "vitamin C increase cooking" menu, etc. are set or selected, for example, these cooking menus are classified as low temperature cooking. Therefore, the
이와 같이 제어부(30)는 조리실(12)로 수증기를 도입하고, 이 수증기의 열량과, 조리실(12)에 새어 들어가는 외부 공기나 외부로의 방열에 의한 열량이 균형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조리실(12)을 100℃ 이하로 제어한다. 수증기는 열용량이 크므로, 수증기의 온도 안정성은 높다. 그 때문에, 조리실(12)로 수증기를 도입함으로써, 조리실(12) 온도의 제어는 용이해진다. 예를 들어, 조리 메뉴로서 「푸딩」이 선택된 경우, 조리실(12)은 80℃로 제어된다. 또한, 조리 메뉴로서 「비타민 C 증가 조리」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조리실(12)은 40℃ 내지 50℃로 제어된다.Thus, the
조리실(12)을 설정 온도로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수증기의 발생량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리실(21)의 안정 상태에 있는 온도에 의존하고 있다. 예를 들 어, 조리실(12)의 설정 온도가 높아질수록, 가열조리기(10)의 외부 기온과의 차이가 커지고, 조리실(12)은 냉각되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조리실(12)을 설정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수증기의 열량이 필요해진다. 따라서, 설정 온도에 의해 필요로 되는 수증기의 발생량이 결정되고, 설정 온도에 따라서 수증기의 발생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조리실(12)은 해당 설정 온도로 제어된다.The amount of steam generation required to control the
여기에서, 수증기의 발생량은 저수부(21)의 온도에 의해 제어된다. 저수부(21)에 저류되어 있는 물의 표면적이 동일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수부(21)의 온도가 높아질수록 수증기의 발생량은 증가한다. 여기에서, 저수부(21)의 온도라는 것은 저수부(21)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의미하고, 서미스터(24)에서 검출한 저수부(21)에 수용되어 있는 조리 용기의 온도이어도 좋다. 또한, 저수부(21)에 저장된 물의 온도이어도 좋다. 저수부(21)의 물이 비등 상태에 있을 때, 100℃의 수증기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저수부(21)의 온도를 소정 온도로 제어함으로써, 저수부(21)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80℃로부터 40℃를 향하여, 설정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서, 저수부(21)의 온도도 예를 들어 95℃로부터 85℃를 향하여 낮아지도록 제어한다. 이에 의해, 각각의 설정 온도에 적합한 양의 수증기가 공급되고, 조리실(12)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쉬워진다. 저수부(21)의 온도를 100℃로 유지하고 있을 때 수증기의 발생량은 최대가 되고, 저수부(21)의 온도가 95℃, 90℃, …로, 점점 내려감으로써, 수증기의 발생량은 저하된다. 또한, 저수부(21)의 온도를 100℃ 미만으로 하면, 비등시에 비교하여 수증기의 발생량이 점점 저하된다. 그래서, 필요한 수증기량을 확보하기 위해, 예를 들어 저수부(21)의 온도가 100℃에서의 비등을 2초 계속한 후, 100℃ 미만에서의 비(非)비등을 5초 계속하도록, 비등 상태와 비비등 상태를 시간적으로 분할하여 반복함으로써, 수증기의 발생량을 제어해도 좋다.Here, the amount of steam generated is controlled by the temperature of the
제어부(30)는 설정 온도에 따라서 저수부(21)의 온도를 제어한다. 제어부(3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수부(21)에 저류하고 있는 물이 단위 시간 당 비등 상태에 있는 시간 비율(이하, 상기 시간 비율을 비등률이라고 함)을 변경함으로써 저수부(21)의 온도를 제어한다. 저수부(21)의 물이 단위 시간 당 항상 비등 상태에 있으면, 비등률은 100%가 되고 발생하는 수증기량은 최대가 된다. 한편, 단위 시간 당의 비등률이 감소됨에 따라서, 저수부(21)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량은 저하된다. 따라서, 설정 온도보다도 조리실(12)의 실제 온도가 높아지면, 설정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필요해지는 수증기량이 감소하고, 비등률도 저하된다. 또한, 설정 온도 보다도 실제 온도가 낮아지면, 설정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필요로 되는 수증기량이 증가하고 비등률도 상승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30)는 설정 온도에 따라서 저수부(21)의 단위 시간당 비등률을 변경함으로써, 저수부(21)의 온도와 함께 조리실(12)의 온도를 제어하고 있다.The
그런데, 예를 들어 가열조리기(10)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의 기온이나 조리 대상이 되는 식품의 열흡수량이 다르면, 설정 온도가 동일해도 필요로 되는 열량이 변화된다. 그 때문에, 설정 온도에 따른 수증기량을 발생시키기 위해 필요한 저수부(21)의 최적 온도는 변동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제어부(30)는 온도 센서(15)에서 검출한 조리실(12)의 실제 온도와 설정 온도의 차이에 기초하여, 저수 부(21)의 온도를 조정한다. 저수부(21)의 온도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수부(21)에서의 단위 시간당의 비등률을 변화시킴으로써 제어된다. 예를 들어, 설정 온도에 따라서 설정되어 있는 저수부(21)의 온도제어의 최적 설정값이 비등 2초 계속과 비비등 4초 계속의 조합일 때, 조리실(12)의 실제 온도가 설정 온도 보다도 낮아지면, 비등 시간을 2초 이상으로 연장 또는 비비등 시간을 4초 이하로 단축함으로써 수증기의 발생량을 증가시킨다. 한편, 상기 조건에서 조리실(12)의 실제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도 높아지면, 비등 시간을 2초 이하로 단축 또는 비비등 시간을 4초 이상으로 연장함으로써 수증기의 발생량을 감소시킨다. 이와 같이, 제어부(30)는 저수부(21)에서의 비등률을 변화시킴으로써, 실제 온도에 따라서 조리실(12)을 설정 온도로 정밀하게 제어한다.By the way, if the temperature of the place where the
또한, 조리실(12)의 온도를 실온으로부터 원하는 설정 온도까지 상승시키는 경우, 조리실(12)의 온도 제어는 실온으로부터 설정온도까지 상승하는 온도 상승시와, 설정온도로 유지되는 온도 안정 유지시로 구분된다. 제어부(3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도 상승시일 때, 저수부(21)에서의 비등률을 높게 하여 조리실(12)로 공급하는 수증기량을 증대시키고, 조리실(12)의 온도의 상승을 촉진한다. 그리고, 조리실(12)의 실제 온도가 설정 온도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그 실제 온도가 설정 온도에서 안정되도록 저수부(21)의 온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저수부(21)에서의 비등률을 서서히 저하시켜 수증기의 발생량을 감소시킨다. 또한, 제어부(30)는 조리실(12)의 실제 온도가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상술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리실(12)을 소정의 설정 온도로 유지한다. 또한, 수증기의 발생량은 조리 실(12)의 실제 온도가 설정 온도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그 변화율이 보다 완만해지도록 하여 감소시켜도 좋고, 일정한 변화율로 연속적으로 감소시켜도 좋다. 또한, 온도 상승시에서는 스팀 공급 장치(20)로부터의 수증기의 공급에 의해 조리실(12)을 가열할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보조적으로 히터(13)로 통전하여 조리실(12)의 가열을 촉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In addition, when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발생하는 수증기의 양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저수부(21)에서의 비등률을 변화시킬 뿐만 아니라, 저수부(21)에 저류하는 물의 양을 변화시킴으로써 제어해도 좋다. 저수부(21)의 가열부(23)에 공급하는 에너지가 동일하면, 저수부(21)에 저류하고 있는 물의 양에 의해 물의 온도 변화에 필요한 시간은 변화된다. 예를 들어, 저수부(21)에 저류하고 있는 물의 양이 적으면, 물의 온도의 상승 또는 저하에 필요한 시간은 짧고, 즉 온도의 변화 속도는 커진다. 한편, 저수부(21)에 저류하고 있는 물의 양이 많으면, 물의 온도의 상승 또는 저하에 필요한 시간은 길고, 즉 온도의 변화 속도는 작아진다. 따라서, 저수부(21)에 저류하고 있는 물의 양이 적을 때 단시간에 발생하는 수증기량이 증대되는 것에 비해, 저수부(21)에 저류하고 있는 물의 양이 많으면 발생하는 수증기량의 증대에는 시간을 필요로 한다.The amount of water vapor generated may be controlled by not only changing the boiling rate in the
또한,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수부(21)의 저부 및 가열부(23)를 수평 방향에 대해서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저수부(21)에 저류하고 있는 물의 표면적, 즉 증발면의 면적은 변화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류하고 있는 물의 양이 적을 때, 저류하고 있는 물의 표면적은 작아지고,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류하고 있는 물의 양이 많을 때, 저류하고 있는 물 의 표면적은 커진다. 그 때문에, 저수부(21)에 저류하고 있는 물의 양이 적고 표면적이 작을 때, 증발하는 수증기의 양은 많아지고, 저수부(21)에 저류하고 있는 물의 양이 많고 표면적이 클 때, 증발하는 수증기의 양은 적어진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the bottom part of the
이상과 같이 저수부(21)에 저류하는 물의 양을 제어함으로써, 수증기의 발생량 및 발생량의 변화 속도는 제어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30)는 설정 온도에 따라서 저수부(21)에 저류하는 물의 양을 제어한다. 또한, 설정 온도와 저수부(21)에 저류하는 물의 양의 관계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적으로 설정해도 좋고, 연속적으로 변화되도록 설정해도 좋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저수부(21)의 형상은 일례이고, 예를 들어 저수부(21)의 형상을 임의로 설정함으로써, 저수부(21)의 액면 위치에 따라 증발면의 면적이 변화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By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또한, 제어부(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온도 상승시와 온도 안정 유지시에서 저수부(21)에 저류하는 물의 양을 변경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도 상승시일 때, 저수부(21)에 저류하는 물의 양 및 조리실(12)로 공급하는 수증기량을 많게 하고, 조리실(12)의 온도의 상승을 촉진한다. 그리고, 설정 온도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그 실제 온도가 설정 온도에서 안정되도록 저수부(21)에 저류하는 물의 양, 즉 수증기의 발생량을 단계적으로 감소시킨다. 또한, 저수부(21)에 저류하는 물의 양은 설정 온도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서서히 감소시켜도 좋고, 일정한 변화율로 연속적으로 감소시켜도 좋다. 설정 온도에 가까운 온도에서는 저수부(21)에 저류하는 물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수증기의 발생량 및 수 증기의 발생 속도는 보다 정밀하게 제어된다. 이에 의해, 본 실시예의 경우, 설정 온도 부근에서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리실(12)의 실제 온도의 변화, 소위 리플(ripple)이 종래예와 비교하여 감소된다.As described above, the
저수부(21)로부터 수증기를 발생시킴으로써 저수부(21)에 저류되어 있는 물의 양은 감소된다. 그 때문에, 제어부(30)는 저수부(21)로부터 조리실(12)로 공급하는 소정의 수증기량을 유지하도록, 저수부(21)로 공급하는 물의 양을 제어한다. 제어부(30)는 급수 펌프(27)의 가동 시간, 즉 급수 파이프(27)로의 통전 시간에 기초하여 급수 탱크(26)로부터 저수부(21)로 공급된 물의 양을 검출한다. 또한, 저수부(21)에 수량 센서를 설치하고, 제어부(30)는 수량 센서의 출력 신호로부터 저수부(21)의 물의 양을 검출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By generating steam from the
이와 같이 급수 탱크(26)로부터 저수부(21)로 공급되는 물은 통상 예열부(25)에 의해 예열된다. 예열부(25)는 실온에 가까운 온도에서 급수 탱크(26)에 저류되어 있는 물을, 저수부(21)의 온도까지 가열한다. 급수 탱크(26)에 저류되어 있는 물은 거의 실온이고, 저수부(21)에 비교하여 온도가 낮다. 그 때문에, 급수 탱크(26)의 물을 그대로 저수부(21)에 공급하면, 저수부(21)의 온도는 저하되어 저수부(21)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량의 정밀한 제어에 방해가 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예열부(25)는 저수부(21)에 공급되는 물을, 저수부(21)에 가까운 온도까지 가열한다. 이에 의해, 급수 탱크(26)로부터 저수부(21)에 물을 공급해도, 저수부(21)의 온도 변화는 감소된다. 또한, 제어부(30)는 조리실(12)의 설정 온도, 또는 설정 온도와 실제 온도의 차에 기초하여 예열부(25)에서 가열하는 물의 온도를 제어해도 좋다. 이와 같이, 예열부(25)에서 가열하는 물의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설정 온도 및 실제 온도에 기초하여 조리실(12)의 온도가 보다 정밀하게 제어된다.Thus, the water supplied from the
한편, 도 7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리실(12)의 온도 상태를 온도 상승시와 온도 안정시로 구분하여 제어하는 경우, 도 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도 상승시에서는 가열 시간에 따라서 조리실(12)의 실제 온도는 설정 온도까지 상승하는 것에 비해, 온도 안정 유지시에서는 가열 시간에 관계없이, 조리실(12)의 실제 온도는 설정 온도에서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 때문에,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도 상승시에서 필요로 되는 수증기량에 대해서, 온도 안정 유지시에서 필요로 되는 수증기량은 적어진다. 이와 같이, 조리실(12)의 실제 온도가 설정 온도에 도달하여, 온도 상승시로부터 온도 안정 유지시로 이행할 때, 요구되는 수증기량은 크게 변화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7 and 10, when the temperature state of the
상술한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수부(21)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량은 저수부(21)의 온도에 따라 변화된다. 그 때문에, 온도 상승시부터 온도 안정 유지시로 이행함으로써 요구되는 수증기량이 감소되었을 때, 저수부(21)의 온도는 온도 안정 유지시에서 필요로 되는 수증기량에 따라서 저하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물의 비열은 크고, 온도 상승시에서는 비교적 다량의 물이 저수부(21)에 저류하고 있으므로, 가열부(23)로의 통전을 정지하는 것만으로는 저수부(21)의 온도의 저하는 완만해진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4, the amount of water vapor generated in the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온도 상승시부터 온도 안정 유지시로 이행할 때, 제어부(30)는 예열부(25)로의 통전을 정지시키면서, 급수 탱크(26)로부터 저수 부(21)로 물을 공급한다. 이에 의해, 급수 탱크(26)로부터 저수부(21)로 공급되는 물은 예열부(25)에 의해 가열되지 않고 저수부(21)의 온도에 비교하여 저온의 실온 부근의 온도가 된다. 이 때, 제어부(30)는 급수 펌프(27)에 의해 저수부(21)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통상 보다도 증가시키고, 저수부(21)의 온도 저하를 보다 촉진해도 좋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이와 같이, 온도 상승시와 온도 안정 유지시 사이에 예열부(25)에 의한 가열을 정지시키면서, 또한 급수 펌프(27)에 의한 급수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저수부(21)에는 실온 부근의 물이 통상보다도 많이 공급된다. 그 결과, 저수부(21)의 온도는 신속하게 저하된다. 이에 의해, 온도 상승시부터 온도 안정 유지시로 이행할 때, 저수부(21)의 온도는 신속하게 저하되고, 저수부(21)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량은 신속하게 감소된다. 따라서, 조리실(12)의 온도는 설정 온도로 정밀하게 유지된다.Thus, while the heating by the preheating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1)을 냉각하는 냉각 수단으로서의 냉각팬(16)을 설치해도 좋다. 냉각팬(16)은 조리실(12)을 형성하는 하우징(11)의 외벽에 송풍하여 하우징(11)을 냉각한다. 이에 의해, 하우징(11)이 형성하는 조리실(12)은 냉각되고, 온도가 저하된다. 냉각팬(16)은 도 2에 도시한 제어부(30)에 도시하지 않은 냉각팬 구동 회로를 경유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어부(30)는 예를 들어 설정 온도에 기초하여 냉각팬(16)의 구동을 온 또는 오프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3, a cooling
예를 들어, 「비타민 C 증가 조리」 메뉴 등과 같이 조리실(12)의 온도를 100℃ 이하, 특히 실온에 가까운 온도로 제어하는 경우, 조리실(12)의 온도와 실온 의 차가 작아진다. 그 때문에, 스팀 공급 장치(20)로부터 조리실(12)로 소량의 수증기를 공급하는 것만으로 조리실(12)의 온도가 설정 온도에 도달한다. 그 결과, 조리실(12)로 다량의 수증기를 공급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비열이 큰 수증기를 사용한 온도 안정화 제어가 저해될 우려가 있다. 한편, 조리실(12)의 온도의 저하를 목적으로 하여 실온의 외부 공기를 도입하면, 조리실(12)의 외기 도입부에 가까운 장소와 먼 장소에서 온도에 차이가 발생하거나, 조리실(12)에서의 수증기의 양이 저하된다. 그 결과, 상술한 바와 같이 비열이 큰 수증기를 사용한 온도 안정화 제어가 저해될 우려가 있다.For example, when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냉각팬(16)에 의해 조리실(12)을 형성하는 하우징(11)을 냉각하고 있다. 이에 의해, 조리실(12)을 형성하는 하우징(11)은 외측이 냉각팬(16)으로부터 송풍되는 외부 공기에 의해 냉각된다. 그 때문에, 하우징(11)으로부터의 방열이 촉진되고, 조리실(12)의 온도가 저하되기 쉬워진다. 조리실(12)의 온도가 저하됨으로써, 스팀 공급 장치(20)로부터 조리실(12)로 공급 가능한 수증기량이 증가한다. 그 결과, 수증기의 밀도가 상승하고, 조리실(12)의 안정된 온도 제어가 가능해진다. 또한, 냉각 수단은 냉각팬(16)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페르체 소자나 냉매 등을 사용해도 좋다.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상술한 바와 같이 특히 「비타민 C 증가 조리」 메뉴와 같이, 조리실(12)의 온도를 40℃ 정도로 유지하는 경우, 냉각팬(16)에 의한 냉각 효과가 커진다. 여기에서, 조리실(12)의 온도를 40℃ 정도의 저온으로 유지하는 스팀 조리 모드를 이용한 「비타민 C 증가 조리」 메뉴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especially when the temperature of the
상기 「비타민 C 증가 조리」인 메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부(30)에 의해 조리실(12)의 온도가 저온으로 제어된 스팀 조리 모드이고, 식품에 포함되는 비타민 C를 증가시키면서 조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메뉴이다. 이 비타민 C를 증가시키는 식품으로서, 녹황색 야채인 시금치 40g을 사용하여, 상기 저온 스팀 조리 모드의 유효성, 및 비타민 C 증가의 근거 등에 대해서 설명한다.The menu of "vitamin C increase cooking" is a steam cooking mode in which the temperature of the
비타민 C를 증가시키는 조리 수단은 미리 실험에 의해 판명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프로그램되고, 기본적인 제어 동작에 기초하여 조리가 실행된다. 도 14는 시금치 40g을 포화 수증기 하에서, 각종 조리 온도를 변화시켜 실험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에서는 조리전의 비타민 C의 함유량을 「1」로 하고, 각 조리 온도에 도달한 후의 가열 조리의 개시에 의해, 조리전의 비타민 C가 어느 정도 증가 또는 감소되었는지 나타내고 있다. 도 14에서는 세로축이 비타민 C의 증가율을 나타내고 있고, 가로축이 조리 시간(각각 설정 온도에 도달한 시점을 0으로 하고 있다)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여기에서의 비타민 C는 환원형의 비타민 C이다.The cooking means for increasing the vitamin C is programmed based on the data previously found by the experiment, and cooking is performed based on the basic control operation. 14 is a graph showing data obtained by experimenting with varying cooking temperatures of 40 g of spinach under saturated steam. In FIG. 14, content of the vitamin C before cooking is set to "1", and it shows how much vitamin C before cooking has increased or decreased by the start of the heating cooking after reaching each cooking temperature. In FIG. 14, the vertical axis | shaft shows the increase rate of vitamin C, and the horizontal axis | shaft shows cooking time (each time point which reached preset temperature is 0). In addition, vitamin C here is vitamin C of a reduced form.
도 14에 도시한 실험 데이터로부터도 밝혀진 바와 같이, 조리실(12) 내의 온도와 동일한 조리 온도가 20℃, 30℃, 35℃인 그래프 곡선 A, B, C는 모두 비타민 C의 함유량이 「1」을 초과하는 경우는 없고, 시간의 경과와 함께 비타민 C의 함유량이 감소되는 경향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조리 온도가 50℃, 60℃, 70℃, 100℃인 그래프 곡선 F, G, H, I도 비타민 C의 함유량이 모두 조리전에 비하여 감소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중, 예를 들어 조리 온도가 50℃인 그래프 곡 선 F의 경우, 조리 시간이 약 15분을 경과했을 때, 비타민 C의 함유량이 극대치에 도달하지만, 조리전의 비타민 C의 함유량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는 없다.As is also clear from the experimental data shown in FIG. 14, in the graph curves A, B, and C having the same cooking temperature as the temperature in the
이에 대해서, 조리 온도가 40℃, 45℃인 그래프 곡선 D, E는 모두 설정 온도에 도달한 후 바로 비타민 C의 함유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비타민 C의 함유량은 서서히 증가하여 조리 개시후 10분을 경과했을 때, 조리 온도가 40℃의 곡선 D에서는 「1.25」까지 증가하고, 조리 온도 45℃의 곡선 E에서는 「1.3」까지 증가하여 극대치에 도달하고 있다. 이들 곡선 D 및 곡선 E에서는 비타민 C의 함유량이 극대치에 도달한 후, 급격하게 감소되어 가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도 14에 도시한 실험 결과에 의하면, 조리전에서의 시금치의 비타민 C의 함유량에 비하여, 약 1.25배 내지 약 1.3배의 비타민 C를 함유하는 시금치로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turns out that the graph curves D and E which are cooking temperature 40 degreeC and 45 degreeC show the tendency for content of vitamin C to increase immediately after reaching a preset temperature. When the content of vitamin C gradually increased and 10 minutes after the start of cooking, the cooking temperature increased to "1.25" in the curve D of 40 ° C, and increased to "1.3" in the curve E of the cooking temperature of 45 ° C. The maximum is reached. These curves D and E show a tendency to decrease rapidly after the content of vitamin C reaches the maximum value. Thus, according to the experiment result shown in FIG. 14, it can be set as the spinach containing about 1.25 times-about 1.3 times the vitamin C compared with content of the vitamin C of spinach before cooking.
즉, 상기 도 14에 도시한 실험 데이터에 의하면, 시금치의 경우 어느 소정의 온도 분위기, 즉 40℃ 내지 45℃ 사이의 바람직한 온도 분위기에서 저온 수증기에 의해 가열 조리를 실행함으로써, 비타민 C가 증가하는 현상이 일어난다. 한편, 그 바람직한 온도 분위기를 유지한 상태에서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함유되는 비타민 C가 급격하게 감소되는 현상이 일어난다.That is,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data shown in FIG. 14, in the case of spinach, vitamin C is increased by performing heating cooking by low temperature steam i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tmosphere, that is, a preferable temperature atmosphere between 40 ° C and 45 ° C. This happens. On the other hand,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while maintaining the preferable temperature atmosphere, the phenomenon that the vitamin C contained rapidly decreases occurs.
그 때문에, 상기 실험 데이터에 기초하여 「비타민 C 증가 조리」 메뉴의 프로그램을 설정함으로써, 공급된 수증기에 의해 조리 대상의 식품이 소정의 분위기 온도에서 응축 전열 가열되고, 비타민 C가 극대가 될 때 조리가 정지하고, 즉 수증기의 공급이 정지된다. 이에 의해, 비타민 C의 함유량이 최대가 되었을 때, 조리 의 대상인 시금치를 꺼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이 상태의 시금치를 사용자가 먹음으로써, 용이하게 조리전에 비하여 비타민 C가 증가한 시금치로 할 수 있다.Therefore, by setting the program of the "vitamin C increase cooking" menu based on the above experimental data, the food to be cooked is condensed and electrothermally heated at a predetermined ambient temperature by the supplied steam, and cooked when the vitamin C becomes maximum. Stops, that is, the supply of water vapor is stopped. Thereby, when the content of vitamin C becomes maximum, it becomes possible to take out the spinach which is object of cooking. Therefore, when the user eats the spinach in this state, it can be made into the spinach with which vitamin C increased compared with before cooking easily.
또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시금치의 중량에 따라서 조리 조건을 약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30g 및 40g의 시금치를 40℃의 조리 온도에서 조리한 경우, 비타민 C가 극대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은, 40g에서는 30g의 시금치 보다도 긴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경향이 있는 것이 실험에서 분명해졌다. 따라서, 도 14에 도시한 데이터에 대해서 또한 중량에 따른 데이터를 가미함으로써 가장 좋은 조리 시간이 설정된다.In addition, although detail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it is preferable to change cooking conditions slightly according to the weight of spinach. For example, when 30 g and 40 g of spinach were cooked at a cooking temperature of 40 ° C., the time until the vitamin C reached the maximum was 40 g, which tended to require a longer time than 30 g of spinach. It became clear from Therefore, the best cooking time is set by adding the data according to the weights with respect to the data shown in FIG.
이와 같이, 시금치 등 녹황색 야채의 조리물을, 소정 온도의 저온의 수증기 분위기 중에서 조리하여 스트레스를 가함으로써, 비타민 C가 증가한다는 실험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열조리기(10)에서 저온 수증기에 의한 조리를 설정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식품에 포함되는 비타민 C를 조리전에 비해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사용자에게 있어 비타민 C의 섭취를 손쉽고 간단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식품이 녹황색 야채의 경우, 조리실(12)의 온도가 40℃ 내지 50℃ 미만의 범위가 되도록 수증기로 가열함으로써, 녹황색 야채의 비타민 C를 증가시킬 수 있다.In this way, cooking of greenish yellow vegetables, such as spinach, in a low temperature steam atmosphere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o apply stress to the cooking, the cooking by low temperature steam in the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갖는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제어부(30)는 조리실(12)의 설정 온도가 저온일 때, 가열부(23)에 의해 저수부(21)의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조리실(12)로 공급하는 수증기 양을 제어하고 있 다. 이에 의해, 저수부(21)의 온도는 조리실(12)의 설정 온도에 따라서 신속하고 정밀하게 제어되고, 발생하는 수증기의 양도 정밀하게 제어된다. 수증기의 열용량은 크므로, 수증기의 발생량을 제어하여 조리실(12)의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조리실(12)의 온도는 안정된 상태로 제어된다. 또한, 열용량이 큰 수증기의 양으로 조리실(12)의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설정 온도 부근에서의 온도의 변화가 작아진다. 즉, 조리실(12)의 온도는 설정 온도 부근에서의 미소한 온도 변화, 소위 리플이 감소된다. 따라서, 조리실(12)의 온도를 정밀하게 설정 온도로 제어할 수 있다.The
제어부(30)는 조리실(12)의 설정 온도와 온도 센서(15)에서 검출된 조리실(12)의 실제 온도를 비교하고 그 차에 기초하여 저수부(21)의 온도를 제어하고 있다. 저수부(21)의 온도는 예를 들어 저수부(21)의 물을 비등 상태와 비비등 상태로 하는 시간의 비율, 즉 비등률에 의해 제어된다. 저수부(21)의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조리실(12)로 공급되는 수증기의 양, 더 나아가서는 조리실(12)의 온도가 제어된다. 이에 의해, 조리실(12)의 온도는 조리하는 대상의 열부하의 영향, 또는 조리실(12)과 외부 공기의 온도차의 영향 등을 포함하여 제어된다. 따라서, 수증기의 발생량 및 조리실(12)의 온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The
제어부(30)는 조리실(12)을 설정 온도까지 가열하는 온도 상승시와, 조리실(12)의 온도를 설정 온도에서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온도 안정 유지시에서, 저수부(21)의 제어 온도를 변경하고 있다. 조리실(12)을 설정 온도까지 가열하는 온도 상승시는 설정 온도와 실제 온도의 차이가 크다. 그 때문에, 상기 온도 상승시의 경우, 온도 안정 유지시에 비하여 저수부(21)의 온도를 높게 설정함으로써, 수증기 의 발생이 촉진된다. 한편, 조리실(12)의 온도를 설정 온도에서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온도 안정 유지시의 경우, 설정 온도와 실제 온도의 차이에 기초하여 저수부(21)의 온도를 제어한다. 따라서, 온도 상승시에는 조리실(12)의 온도를 신속하게 설정 온도까지 올릴 수 있고 또한 온도 안정 유지시에는 온도를 엄밀하게 설정 온도로 제어할 수 있다.The
또한, 제어부(30)는 설정 온도에 따라서 저수부(21)에 저류하는 물의 양을 제어하고, 저수부(21)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의 양을 제어해도 좋다. 이 경우, 설정 온도가 높을 때, 또는 설정 온도와 실제 온도의 차가 클 때, 저수부(21)에 저류하는 물의 양 및 그 증발면의 면적을 증대시킨다. 이에 의해, 다량의 수증기가 발생한다. 그 결과, 온도 상승시와 같이 설정 온도와 실제 온도의 차가 클 때, 다량의 수증기에 의해 조리실(12)의 온도는 신속하게 상승한다. 한편, 설정 온도가 낮을 때, 또는 설정 온도와 실제 온도의 차가 작을 때, 저수부(21)에 저류하는 물의 양 및 그 증발면의 면적을 감소시킨다. 이에 의해, 소량의 수증기가 발생하고 또한 저수부(21)의 온도 변화가 신속해진다. 그 결과, 온도 안정 유지시와 같이 설정 온도와 실제 온도의 차가 작을 때, 저수부(21)의 온도 변화에 수반되는 수증기의 발생량의 변화가 신속해지고, 조리실(12)의 온도 제어의 응답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조리실(12) 온도의 신속한 상승과, 설정 온도 부근에서의 리플이 감소된 정밀한 온도 제어를 양립하여 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급수 탱크(26)로부터 저수부(21)에 공급되는 물은 예열부(25)에 의해 미리 가열된다. 제어부(30)는 조리실(12)의 설정 온도, 또는 설정 온도와 실제 온도의 차에 기초하여, 예열부(25)에 의해 가열되는 물의 온도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저수부(21)에 공급되는 물은 저수부(21)와 거의 동일한 온도까지 가열된다. 그 때문에, 저수부(21)에 공급되어도 저수부(21)의 온도의 변화는 감소되고, 저수부(21)는 물의 보급에 관계없이 안정적인 온도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저수부(21)의 온도, 발생하는 수증기의 양, 및 조리실(12)의 온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The water supplied from the
또한, 제어부(30)는 온도 상승시부터 온도 안정 유지시까지의 동안, 저수부(21)로 상온의 물을 공급한다. 온도 상승시로부터 온도 안정 유지시로 이행할 때, 저수부(21)의 온도의 변화는 커진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온도 상승시에는 저수부(21)에서는 다량의 물이 고온으로 유지되는 것에 비해, 온도 안정 유지시에는 저수부(21)에서는 소량의 물이 비교적 저온으로 유지된다. 그 때문에, 온도 상승시로부터 온도 안정 유지시로 이행할 때, 저수부(21)로 상온의 물을 공급함으로써,저수부(21)의 온도는 신속하게 온도 안정 유지에 필요한 온도로 저하된다. 이 때, 제어부(30)는 예열부(25)에 의한 물의 가열을 정지한다. 따라서 온도 상승시로부터 온도 안정 유지시로 이행할 때, 저수부(21)의 온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조리실(12)을 형성하는 하우징(11)을 냉각팬(16)에 의해 외부로부터 냉각해도 좋다. 이에 의해, 조리실(12)의 온도가 저하되기 쉬워지고, 조리실(12)에는 보다 많은 수증기를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예를 들어 비타민 C 증가 조리 메뉴를 실행하는 경우와 같이, 조리실(12)의 온도를 40℃ 정도의 실온 부근으로 유지하는 경우, 약간의 수증기를 공급하는 것만으로 조리실(12)의 온도는 설정 온도에 도달한다. 그 때문에, 하우징(11)을 냉각하고, 조리실(12)의 온도를 저하시킴으로써, 조리실(12)에는 보다 많은 수증기를 공급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변형예)(Variation)
상술한 실시예에서 수증기를 생성하는 스팀 공급 장치는 이하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변형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team supply device for generating steam may be modified a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structure part as the said Example.
도 15에 도시한 변형예의 경우, 수증기를 생성하는 스팀 공급 장치(20)는 하우징(11)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다. 스팀 공급 장치(20)는 저수부(21)에서 발생한 수증기를 도입 파이프(41)에 설치된 도입팬(42)에 의해 조리실(12)로 공급하고 있다. 이에 의해, 도 15에 도시한 변형예의 경우, 저수부(21)에서 발생한 수증기는 조리실(12)을 형성하는 하우징(11)의 측벽으로부터 조리실(12)로 도입된다.In the modification shown in FIG. 15, the
또한, 도 16에 도시한 변형예와 같이, 수증기를 생성하는 스팀 공급 장치(20)는 조리실(12)을 형성하는 하우징(11)의 측벽에 설치해도 좋다. 저수부(21)는 예를 들어 알루미다이캐스트 등에 의해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가열부(23)의 히터가 매설되어 있다. 저수부(21)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는 조리실(12)을 형성하는 하우징(11)의 측벽에 설치된 분출구(51)로부터 조리실(12)로 도입된다.In addition, as in the modification shown in FIG. 16, the
이상과 같이, 스팀 공급 장치(20)의 위치는 조리실(12)의 저벽측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위치에 설정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position of th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열조리기를 도시한 모식도,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heating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열조리기의 전기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electrical configuration of the heating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증기 발생량과 조리 온도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 steam generation amount and a cooking temperature;
도 4는 저수부의 온도와 수증기 발생량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4 is a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reservoir and the amount of steam generation;
도 5는 단위 시간당 비등률과 수증기 발생량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5 is a view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boiling rate per unit time and the amount of steam generated;
도 6은 설정 온도 부근에서의 온도 제어를 설명하는 도면,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emperature control in the vicinity of a set temperature;
도 7은 온도 상승시와 온도 안정 유지시의 온도 제어를 단위 시간당 비등률의 변화에 기초하여 설명하는 도면,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emperature control at the time of temperature rise and temperature stable maintenance based on the change in boiling rate per unit time;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열조리기에서 스팀 공급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모식도,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steam supply device in a heating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설정 온도와 저수부에 저류하고 있는 물의 양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9 is a view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set temperature and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reservoir;
도 10은 온도 상승시와 온도 안정유지시의 온도 제어를 저수부에 저류하는 물의 양의 변화에 기초하여 설명하는 도면,FIG.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emperature control at the time of temperature rise and temperature stabilization based on a change in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reservoir;
도 11은 가열을 개시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과 실제 온도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11 is a diagram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elapsed time and actual temperature after starting heating;
도 12의 (A)는 가열을 개시하고 나서의 경과시간과 실제 온도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B)는 가열을 개시하고부터의 경과시간과 수증기 공급량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FIG. 12A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apsed time since the start of heating and the actual temperature, (B)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apsed time since the start of heating and the amount of water vapor supplied;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열조리기에 의한 냉각팬을 설치한 모식도,13 is a schematic view of installing a cooling fan by a heating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시금치의 비타민 C 함유량과 각종 조리 온도의 관계를 도시한 실험 데이터에 기초하는 그래프,14 is a graph based on experimental data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vitamin C content of spinach and various cooking temperatures;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열조리기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및15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heating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열조리기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6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heating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가열조리기 11: 하우징10: cooker 11: housing
12: 조리실 15: 온도 센서(조리실 온도 검출 수단)12: cooking chamber 15: temperature sensor (cooking chamber temperature detection means)
16: 냉각팬(냉각 수단) 20: 스팀 공급 장치(수증기 공급 수단)16: cooling fan (cooling means) 20: steam supply device (steam supply means)
21: 저수부 22: 보급부21: reservoir 22: supply
23: 가열부 25: 예열부23: heating part 25: preheating part
26: 급수 탱크(보급부) 27: 급수 펌프(보급부)26: water supply tank (supply part) 27: water supply pump (supply part)
28: 급수 파이프(보급부) 30: 제어부28: water supply pipe (supply) 30: control unit
31: 조작부31: control panel
Claims (8)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7166124A JP4444312B2 (en) | 2007-06-25 | 2007-06-25 | Cooker |
JPJP-P-2007-00166124 | 2007-06-2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114499A true KR20080114499A (en) | 2008-12-31 |
KR101002541B1 KR101002541B1 (en) | 2010-12-21 |
Family
ID=40196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38645A KR101002541B1 (en) | 2007-06-25 | 2008-04-25 | Cooker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4444312B2 (en) |
KR (1) | KR101002541B1 (en) |
CN (1) | CN101334178A (en) |
TW (1) | TW200911180A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203645A (en) * | 2009-03-02 | 2010-09-16 | Sharp Corp | Heating cooker |
CN103767526B (en) * | 2012-12-17 | 2015-11-11 | 苟仲武 | Pseudo-boiling energy-saving kitchen range and utilize it to carry out the method heated |
JP6528125B2 (en) * | 2015-06-12 | 2019-06-12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Cooker |
CN104957966B (en) * | 2015-07-24 | 2017-11-07 |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 A kind of cooking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
JP2017003261A (en) * | 2016-08-05 | 2017-01-05 |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 Heating cooker |
TWI715791B (en) * | 2017-01-11 | 2021-01-11 | 日商巴慕达股份有限公司 | Rice cooker |
KR20220004356A (en) * | 2020-07-03 | 2022-01-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controling cooking appliance |
EP3971481A1 (en) * | 2020-09-21 | 2022-03-23 | Koninklijke Philips N.V. | Slow cooking of a food product |
US20220330556A1 (en) * | 2021-04-19 | 2022-10-20 |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 Steam cooking system |
CN113208448B (en) * | 2021-05-10 | 2022-07-29 | 华帝股份有限公司 | Control method for toasting and cooking equipment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73025A (en) | 1986-09-12 | 1988-04-02 | Hitachi Heating Appliance Co Ltd | steam heating cooker |
JP4413682B2 (en) * | 2004-04-22 | 2010-02-10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Cooker |
-
2007
- 2007-06-25 JP JP2007166124A patent/JP4444312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
- 2008-04-18 TW TW097114303A patent/TW200911180A/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8-04-25 KR KR1020080038645A patent/KR101002541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8-06-24 CN CNA2008100996708A patent/CN101334178A/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9002628A (en) | 2009-01-08 |
KR101002541B1 (en) | 2010-12-21 |
TW200911180A (en) | 2009-03-16 |
JP4444312B2 (en) | 2010-03-31 |
CN101334178A (en) | 2008-12-31 |
TWI359647B (en) | 2012-03-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02541B1 (en) | Cooker | |
AU2014204815B2 (en) | Steam cooking method and steam cooking oven | |
JP4472412B2 (en) | Cooker | |
JP5530676B2 (en) | Cooker | |
EP1767860B1 (en) | Method of operating an oven having heating system, microwave system and steam system | |
JP2005226872A (en) | Heating cooker and heating cooking method | |
JP4589825B2 (en) | Cooking equipment | |
KR101014072B1 (en) | Cooker | |
EP1335633B1 (en) | Microwave oven with rice cooking function | |
WO2018155008A1 (en) | Heating cooking device and steam cooking method | |
US6878912B2 (en) | Method of controlling microwave oven | |
EP2881669B1 (en) | Heating cooker | |
KR20220112118A (en) | Ove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JP2008275269A (en) | Heating system with steam generating function | |
JP2010101572A (en) | Cooker | |
JP4703589B2 (en) | Cooker | |
JP2006300486A (en) | Cooker and cooking method | |
JP7287878B2 (en) | heating cooker | |
JP4987570B2 (en) | Cooker | |
JP2009085517A (en) | Heating cooking apparatus | |
JP2005233493A (en) | High frequency heating cooker | |
JP2008175497A (en) | Heating cooker | |
JP2007032926A (en) | Cooker | |
JP2008111647A (en) | Heating cooker and cooking method for increasing vitamin c | |
JP2009198070A (en) | Heating cook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4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2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12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1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1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1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1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1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