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2001A -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112001A KR20080112001A KR1020070060667A KR20070060667A KR20080112001A KR 20080112001 A KR20080112001 A KR 20080112001A KR 1020070060667 A KR1020070060667 A KR 1020070060667A KR 20070060667 A KR20070060667 A KR 20070060667A KR 20080112001 A KR20080112001 A KR 2008011200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bag
- vent hole
- gas
- passenger seat
- mai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08000028373 Neck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021/0206—Self-supporting restraint systems, e.g. restraining arms, plates or the like
- B60R2021/024—Self-supporting restraint systems, e.g. restraining arms, plates or the like mounted on dash-boar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B60R2021/239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comprising means to control the ve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결합된 에어백 하우징, 에어백 하우징에 설치되어 충돌사고 발생시 가스를 분출시키는 인플레이터, 에어백 하우징에 수납되어 가스가 유입되면 조수석을 향해 전개되는 에어백 및 에어백에 형성되어, 에어백 전개시 가스분사의 반동으로 인한 에어백의 쏠림을 방지하기 위해 가스가 분출되도록 하는 벤트홀을 포함하며, 벤트홀은 에어백의 메인패널의 하부에 형성되는 메인 벤트홀 및 사이드패널의 양측에 형성되는 사이드 벤트홀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는 사이드패널뿐 아니라, 메인패널의 하부에도 벤트홀을 형성함으로써 에어백 전개 시 가스 분출량을 늘려 어린이 등의 LRD 상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에어백 전개 후반단계에서는 메인패널의 하부에 형성된 메인 벤트홀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다이나믹 충돌에 따른 에어백의 충격 흡수 기능이 유지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조수석, 에어백, 메인패널, 메인 벤트홀, LRD
Descrip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에 대한 구성이 도시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 그리고,
도 3 및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에 대한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동작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에어백 12a: 메인패널
12b: 사이드 패널 14a: 메인 벤트홀
14b: 사이드 벤트홀 20: 인스트루먼트 패널
30: 에어백 하우징 40: 인플레이터
50: 벤트홀 커버 55: 접착부
본 발명은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에어백 전개 시 다이나믹 충돌 성능을 유지하면서, LRD(Low Risk Deployment) 상해를 만족하도록 하는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에어백은 핸들에 장착되어 운전석의 운전자를 보호하는 운전자용 에어백(Driver Air Bag)과, 조수석 전면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어 조수석의 승객을 보호하는 조수석 에어백(Passenger Air Bag)으로 구분된다. 운전자용 에어백은 필수사양이고 조수석 에어백은 선택사양이지만, 최근 동승자의 보호를 위하여 조수석 에어백을 필수 사양으로 하는 차량이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는 차량 충돌 시, 정면으로 최대한 빨리 팽창됨에 따라 탑승자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긴 하나, 이는 유아, 어린이, 키가 작은 승객, 노약자 등과 같이 비정상적인 위치에 있는 탑승자에게 심각한 상해를 입히게 된다.
따라서, LRD 테스트 시 에어백 내부의 압력을 유아 및 어린이의 상해치를 만족하는 정도만큼 줄여야 하나, 이는 심각한 충돌 시 정상위치에 있는 승객을 보호할 만큼 충분히 신뢰성이 있다고는 검증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백 전개 시 다이나믹 충돌 성능을 유지하면서, LRD 상해를 만족하도록 하는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결합된 에어백 하우징,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 설치되어 충돌사고 발생시 가스를 분출시키는 인플레이터,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 수납되어 가스가 유입되면 조수석을 향해 전개되는 에어백 및 상기 에어백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백 전개시 가스분사의 반동으로 인한 상기 에어백의 쏠림을 방지하기 위해 가스가 분출되도록 하는 벤트홀을 포함하며, 상기 벤트홀은 상기 에어백의 메인패널의 하부에 형성되는 메인 벤트홀 및 사이드패널의 양측에 형성되는 사이드 벤트홀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에 대한 구성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스트루먼트 패널(20), 인스트루먼트 패널(20) 내부에 결합된 에어백 하우징(30), 에어백 하우징(30)에 설치되어 충돌사고 발생시 고압의 가스를 분출시키는 인플레이터(40), 에어백 하우징(30)에 고정되어 일정 형상으로 접힌 상태로 수납되며, 인플레이터(40)로부터 가스가 유입되면 조수석을 향해 전개되는 에어백(10), 에어백(10)에 형성되어, 에어백(10) 전개시 가스분사의 반동으로 인한 쏠림을 방지하기 위해 가스가 분출되도록 하는 벤트홀(14a. 14b)을 포함한다.
여기서, 에어백(10)은 에어백(10)의 상부 및 하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메인패널(12a)과, 메인패널(12a)의 양측 사이드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사이드패널(12b)을 포함한다. 또한, 벤트홀(14a. 14b)은 에어백(10)의 메인패널(12a)의 하부에 형성되는 메인 벤트홀(14a) 및 사이드패널(12b)의 양측에 형성되는 사이드 벤트 홀(14b)을 포함한다.
이때, 에어백(10) 전개 초반부터 중반까지는 메인 벤트홀(14a) 및 사이드 벤트홀(14b)을 통해 에어백(10)의 내부 가스가 분출되나, 에어백(10) 전개 후반에는 에어백(10) 쿠션의 메인패널(12a)의 하단부와 인스트루먼트 패널(20)이 접촉하게 됨에 따라 메인 벤트홀(14a)이 차단되어 사이드 벤트홀(14b)을 통해서만 에어백(10) 쿠션 내부의 가스가 분출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메일 벤트홀의 주변부에는 메인 벤트홀(14a)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벤트홀 커버(50)가 구비된다.
여기서, 벤트홀 커버(50)는 에어백(10) 쿠션이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20)에 접촉 시 메인 벤트홀(14a)을 통해 가스가 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벤트홀 커버(50)의 양측에는 에어백(10) 쿠션에 접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접착부(55)가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에 대한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동작 예시도로서, 특히 LRD(Low Risk Deployment) 상해를 만족시키는 동작에 대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먼저, 도 3의 (a)를 참조하면, 6세 정도의 어린이가 조수석에 착석 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충돌사고가 발생되면, 인플레이터(40)로부터 고압의 가스가 분출되어 에어백(10)에 충진되고, 에어백(10)이 고압의 가스가 충진됨에 따라 조수석을 향해 전개되어 조수석 탑승자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도 3의 (b)는, 에어백 쿠션의 전개 초기단계를 도시한 도면으로, 에어백(10) 쿠션의 메인 판넬에 형성된 메인 벤트홀(14a) 및 사이드 판넬이 형성된 사이트 벤트홀을 통해 가스가 분출되어, 에어백(10) 쿠션 내부의 압력이 감소됨에 따라 어린이의 목 상해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의 (c)는 에어백 전개 중반단계를 도시한 도면으로, 이때도 도 3의 (b)와 마찬가지로, 에어백(10) 쿠션의 메인판넬에 형성된 메인 벤트홀(14a) 및 사이드 판넬이 형성된 사이트 벤트홀을 통해 가스가 분출되어, 에어백(10) 쿠션 내부의 압력이 감소됨에 따라 어린이의 목 상해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에 대한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으로, 특히 다이나믹 충돌 성능을 유지시키는 동작에 대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먼저, 도 4의 (a)는 충돌사고 발생 시, 에어백 전개 초기단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에어백 전개 중반단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c)는 에어백 전개 후반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때, 도 4의 (a) 및 (b)는 도 3의 (b) 및 (c)와 마찬가지로, 에어백(10) 전개 시 에어백(10) 쿠션의 메인 판넬에 형성된 메인 벤트홀(14a) 및 사이드 판넬이 형성된 사이트 벤트홀을 통해 가스가 분출되도록 한다.
단. 도 4의 (c)와 같이 에어백(10) 전개 후반단계에서는 메인 판넬이 인스트루먼트 패널(20)에 접촉됨에 따라 메인 벤트홀(14a)이 차단됨으로써, 사이드패널(12b)의 사이드 벤트홀(14b)을 통해서만 가스가 분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에어백(10) 전개 후반단계에서는 에어백(10) 내부의 압력이 어느 정도 유지되도록 하 여, 다이나믹 충돌 시 그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안전성이 증대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는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는 사이드패널뿐 아니라, 메인패널의 하부에도 벤트홀을 형성함으로써 에어백 전개 시 가스 분출량을 늘려 어린이 등의 LRD 상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에어백 전개 후반단계에서는 메인패널의 하부에 형성된 메인 벤트홀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다이나믹 충돌에 따른 에어백의 충격 흡수 기능이 유지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결합된 에어백 하우징;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 설치되어 충돌사고 발생시 가스를 분출시키는 인플레이터;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 수납되어 가스가 유입되면 조수석을 향해 전개되는 에어백; 및 상기 에어백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백 전개시 가스분사의 반동으로 인한 상기 에어백의 쏠림을 방지하기 위해 가스가 분출되도록 하는 벤트홀;을 포함하며,상기 벤트홀은 상기 에어백의 메인패널의 하부에 형성되는 메인 벤트홀 및 사이드패널의 양측에 형성되는 사이드 벤트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메인 벤트홀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에어백이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접촉 시 상기 메인 벤트홀을 통해 가스가 분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벤트홀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벤트홀 커버의 양측에는 상기 에어백에 접착되도록 하는 접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60667A KR20080112001A (ko) | 2007-06-20 | 2007-06-20 |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60667A KR20080112001A (ko) | 2007-06-20 | 2007-06-20 |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112001A true KR20080112001A (ko) | 2008-12-24 |
Family
ID=40370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60667A Withdrawn KR20080112001A (ko) | 2007-06-20 | 2007-06-20 |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112001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215668B2 (en) | 2009-09-07 | 2012-07-10 | Hyundai Mobis Co., Ltd. | Vehicle |
KR20160025369A (ko) * | 2014-08-27 | 2016-03-08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차량의 동승석 에어백 |
-
2007
- 2007-06-20 KR KR1020070060667A patent/KR20080112001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215668B2 (en) | 2009-09-07 | 2012-07-10 | Hyundai Mobis Co., Ltd. | Vehicle |
KR20160025369A (ko) * | 2014-08-27 | 2016-03-08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차량의 동승석 에어백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498512B2 (en) | Airbag assembly for a vehicle seat of a motor vehicle | |
KR101241157B1 (ko) | 내장 에어백 장치 | |
KR101509780B1 (ko) | 차량용 사이드에어백 유닛 | |
KR101708217B1 (ko) | 차량용 에어백 장치 | |
US7735858B2 (en) | Airbag device | |
KR20160035344A (ko) | 차량의 에어백 | |
US20060197324A1 (en) | Advanced protection driver area bag | |
KR20110026326A (ko) | 자동차 | |
JP4931512B2 (ja) |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 |
KR101708203B1 (ko) | 가변형 벤트 기능을 갖는 에어백 | |
KR102263721B1 (ko) | 동승석 에어백 장치 | |
KR20080112001A (ko) |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 |
KR20160002102A (ko) | 차량의 에어백 | |
KR20150022257A (ko) | 차량용 에어백 장치 | |
KR100980929B1 (ko) | 하우징리스 타입 조수석 에어백 장치 | |
KR100806592B1 (ko) | 탑승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 | |
KR100862504B1 (ko) | 사이드 에어백 쿠션 | |
KR100802691B1 (ko) | 자동차의 무릎 보호용 에어백 구조 | |
KR20110100062A (ko) | 조수석 에어백장치 | |
KR101965838B1 (ko) | 에어백 쿠션 | |
KR20220146020A (ko) | 차량용 외장 에어백 | |
JP6803910B2 (ja) |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及びエアバッグ装置のエアバッグクッション | |
KR100693609B1 (ko) | 차량의 무릎 보호용 에어백 | |
KR102192258B1 (ko) | 동승석 에어백 장치 | |
KR101169570B1 (ko) | 무릎 에어백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2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