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107746A - 드럼통용 봉인마개 - Google Patents

드럼통용 봉인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7746A
KR20080107746A KR1020070055937A KR20070055937A KR20080107746A KR 20080107746 A KR20080107746 A KR 20080107746A KR 1020070055937 A KR1020070055937 A KR 1020070055937A KR 20070055937 A KR20070055937 A KR 20070055937A KR 20080107746 A KR20080107746 A KR 20080107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packaging container
sealing
integrally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5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권
Original Assignee
백승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승권 filed Critical 백승권
Priority to KR1020070055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07746A/ko
Publication of KR20080107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77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8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the tamper element being rolled or pressed to conform to the shape of the container, e.g. metallic closures
    • B65D41/3485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the tamper element being rolled or pressed to conform to the shape of the container, e.g. metallic closures having tear-off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95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the tamper element being bon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46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 B65D41/48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non-metallic, e.g. made of paper or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2Grip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포장용기의 주입구 둘레부에 봉인마개를 구비하여 유통과정에서 정품 및 정량을 속여서 판매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도 및 상품성을 향상시키면서 유통질서가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포장용기용 봉인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하측으로 개방된 공간부(120)가 형성되도록 캡형상으로 합성수지재서 성형되며 내벽면에는 내향 돌출되게 걸림돌기(140)가 형성된 캡부(100)과, 상기 캡부(100)의 하단 둘레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캡부(100)과 인접된측에는 둘레부를 따라 절취할 수 있도록 취약부가 마련되고 일부 구간에는 캡부(100)가 일체로 유지할 수 있도록 연결부(400)가 형성된 링형상의 절취띠(2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용 봉인마개를 제공한다.
드럼통, 입구, 마개, 봉인, 걸림홈, 걸림턱, 절취, 취약

Description

포장용기용 봉인마개{sealing cap for packing contain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용 봉인마개 사용상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용 봉인마개의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용 봉인마개의 절취띠를 뜯어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용 봉인마개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용 봉인마개의 절취띠를 뜯어낸 상태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용 봉인마개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용 봉인마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용 봉인마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용 봉인마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용 봉인마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용 봉인마개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용 봉인마개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용 봉인마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드럼통 4. 주입구
6. 걸림홈 8. 인출마개
10. 봉인마개 100. 캡부
102. 둘레벽 120. 공간부
140. 걸림돌기 200. 절취띠
310,330. 취약부 400. 연결부
500. 손잡이부 550. 관통공
본 발명은 포장용기용 봉인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드럼통이나 캔용기 등의 각종 포장용기에 내용물을 정량/정품 담아서 포장한 후 유통과정에서 정량이 정품을 속여서 판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포장용기용 봉인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화공약품이나 유류 등을 다량 판매할때에는 용량이 큰 드 럼통이나 캔용기 등(이하 ‘포장용기’라함)에 내용물을 담아서 판매하게 되며, 이러한 포장용기의 주입구 둘레부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인출마개를 나사식으로 체결하여 주입구를 개폐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포장용기는 주입구를 단순히 나사식으로 체결되는 인출마개에 의해 밀봉하게 되므로, 유통과정에서 인출마개를 임의로 개봉한 후 정품의 내용물을 배출하여 판매하는 정량을 속이거나 정품을 배출한 다음 유사물질을 혼합 희석시켜 유통 판매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제품에 대한 신뢰도 및 상품성 등이 실추되고 제조 및 유통 공급자와 최종 소비자간의 불신이 깊게 형성되는 유통질서를 저해하는 요인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 포장용기의 주입구 둘레부에 봉인마개를 구비하여 유통과정에서 정품 및 정량을 속여서 판매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도 및 상품성을 향상시키면서 유통질서가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포장용기용 봉인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하측으로 개방된 공간부(120)가 형성되도록 캡형상으로 합성수지재서 성형되며 내벽면에는 내향 돌출되 게 걸림돌기(140)가 형성된 캡부(100)과, 상기 캡부(100)의 하단 둘레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캡부(100)과 인접된측에는 둘레부를 따라 절취할 수 있도록 취약부가 마련되고 일부 구간에는 캡부(100)가 일체로 유지할 수 있도록 연결부(400)가 형성된 링형상의 절취띠(2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취약부는 상기 캡부(100)의 둘레벽과 절취띠(200) 사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방사방향상 선형태로 다수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취약부는 절취띠(200)의 일면에 캡부(100)의 중심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진 홈(335)을 형성하여 캡부(100)과 절취띠(200)의 연결부위에 원주방향을 따라 두께가 얇은 원호형태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절취띠(200)의 일측 둘레부에는 외향 돌출되는 손잡이부(50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500)는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중앙에는 관통공(55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내부에 하측으로 개방된 공간부(120)가 형성되도록 캡형상으로 합성수지재서 성형되며 내벽면에는 내향 돌출되게 걸림돌기(140)가 형성된 캡부(100)과, 상기 캡부(100)의 외벽면 일측에 외향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는 손잡이부(500)와, 상기 캡부(100)의 하측에 절취띠(200)가 마련되도록 상기 걸림돌기(140) 상측에 둘레부를 따라 취약부(33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용 봉인마개 사용상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용 봉인마개의 저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용 봉인마개의 절취띠를 뜯어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용 봉인마개의 결합상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용 봉인마개의 절취띠를 뜯어낸 상태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용 봉인마개(10)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포장용기(2)의 상면에 내부와 연통되도록 포장용기(2)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는 인출마개(8)가 나사 결합되고 외주면 둘레부에 걸림홈(6)이 둘레부를 따라 형성된 주입구(4)를 감싸도록 결합되어 포장용기(2)의 주입구(4)를 봉인하는 것으로, 상기 주입구(4)를 감싸는 통형상의 캡부(100)과, 상기 캡부(100)의 일체로 형성되는 절취띠(200)로 구성된다.
상기 캡부(100)은 연질 또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하여 제작되는 것으로, 내부에 하측으로 개구되는 공간부(120)가 형성되도록 원형 캡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캡부(100)의 둘레벽(102) 내벽면에는 상기 포장용기(2) 주입구(4)의 걸림홈(6)에 걸려지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내향 돌출된 걸림돌기(140)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캡부(100)의 공간부(120)에 포장용기(2)의 주입구(4)가 삽입되 도록 캡부(100)을 포장용기(2) 주입구(4)에 결합시키면 상기 캡부(100)의 걸림돌기(140)가 상기 주입구(4) 둘레부에 형성된 걸림홈(6)에 삽입 걸려져 캡부(100)가 포장용기(2) 주입구(4)에 결합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게 되며, 캡부(100)가 주입구(4)에 결합 되었을 때에는 캡부(100)의 하단부가 즉, 캡부(100) 둘레벽(102) 하단부가 포장용기(2)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절취띠(200)는 캡부(100)의 하측 둘레부에 링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이 절취띠(200)를 캡부(100)에서 절취해야만 캡부(100)가 주입구(4)에서 분리되도록 하는 것으로, 저면이 캡부(100)의 저면과 동일평면상에 위치되도록 즉, 저면이 캡부(100)의 둘레벽(102) 하단부면과 동일평면상에 배치되도록 캡부(100)의 하단 둘레부에 취약부(310)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다.
즉, 상기 취약부(310)는 상기 캡부(100)의 둘레벽(102)과 절취띠(200) 사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방사방향으로 선형태로 다수 연결되어, 캡부(100)가 주입구(4)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절취띠(200)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취약부(310)가 쉽게 끊어질 수 있도록 된다.
이때, 상기 캡부(100)와 절취띠(200)의 일부 구간에는 절취띠(200)가 캡부(100)에서 쉽게 끊어지지 않도록 캡부(100)과 절취띠(200)를 서로 일체로 연결하며 상기 선형태 취약부(310)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한 쌍의 연결부(40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절취띠(200)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상기 선형태의 취약부(310)만 끊어지고 상기 연결부(400)에 의해 취약부(200)와 캡부(100)가 일체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취약부(310)가 끊어진 후 절취띠(200)를 상측으로 더 들어올 리면 캡부(100)가 포장용기(2) 주입구(4)에서 분리되도록 된다.
이때, 상기 절취띠(200)의 일측 둘레부에는 외향 돌출되는 손잡이부(500)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절취띠(200) 일측에 외향 돌출되는 손잡이부(50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손잡이부(500)를 사용자가 잡고 절취띠(200)를 용이하게 뜯어낼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손잡이부(500)의 일면에는 즉, 저면에는 미끄럼방지돌기(지시하지 않음)가 하향 돌출되게 다수 형성되어, 손잡이부(500) 파지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포장용기(2)에 내용물을 정품 및 정량 담고 주입구(4)에 나사식으로 인출마개(8)를 결합한 후, 상기 주입구(4)의 둘레부에 봉인마개(10)의 캡부(100)가 감싸도록 봉인 결합시키게 되며, 상기 주입구(4)에 나사결합된 인출마개(8)를 개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소비자)가 상기 손잡이부(500)를 잡고 상측으로 잡아 당기면 선형태의 취약부(310)가 끊어지면서 절취띠(200)의 손잡이부측이 캡부(100)에서 뜯어지되 손잡이부 타측은 연결부(400)에 의해 견고하게 일체로 연결되어 있어 뜯어지지 않게 되며, 손잡이부(500)를 더 상측으로 잡아당기면 연질 또는 경질의 캡부(100)가 주입구(4)에서 분리된다. 즉,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캡부(100)의 걸림돌기(140)가 주입구(4)의 걸림홈(6)에서 이탈되면서 주입구(4)에서 분리된다.
따라서, 제조업체에서 포장용기(2)에 내용물을 정품/정량 담고 인출마개(8)로 닫은 후, 상기 포장용기(2)의 주입구(4) 둘레부에 본 발명에 따른 봉인마개(10)를 주입구(4)를 감싸도록 결합시켜 놓으면, 임의로 포장용기(2)에 저장된 내용물을 변경할 수 없으므로, 제품의 신뢰도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유통질서가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2,3>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용 봉인마개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용 봉인마개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용 봉인마개의 단면도로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첩되는 작동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인마개(10)는 취약부(330)가 둘레부를 따라 형성된다. 즉, 전술한 실시예서의 취약부(310)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방사방향상으로 선형태로 다수 형성하였으나,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취띠(200)의 상면 또는 저면에 캡부(100)의 중심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진 홈(335)을 형성하여 캡부(100)과 절취띠(200)의 연결부위에 원주방향을 따라 두께가 얇은 원호형 취약부(330)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원호형 취약부(330)는 둘레부 전체에 걸쳐 형성되지 않고 일부구간에는 즉, 손잡이부(500)의 반대쪽은 홈(335)이 형성되지 않고 캡부(100)과 절취띠(200)가 분리되지 않도록 두께가 두꺼운 연결부(330)를 형성되도록 취약부(330)를 형성하게 된다.
<실시예 4,5,6>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용 봉인마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용 봉인마개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용 봉인마개의 단면도로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첩되는 작동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취띠(200)에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부(500) 중앙에 관통공(550)을 형성하여 상기 관통공(550)을 통해 손잡이부(550)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인마개(10)를 주입구(4)에 결합했을때 손잡이부(500)의 단부가 포장용기(2)의 상면에 밀착되지 않도록 단면 ‘┌’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손잡이부(500)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500)를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이 또한 손잡이부(500)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 7>
도 12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용 봉인마개의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용 봉인마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이 또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첩되는 작동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500)를 캡부(100)의 둘레벽(102) 외벽면에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부(500)를 제외한 걸림돌기(140) 상측의 캡부(100)의 외벽면 둘레부를 따라 취약부(330)를 형성하여 캡부(100)의 하측에 절취띠(200)가 마련되도록 하되 절취띠(200)의 일단부에 캡부(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파지부(250)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파지부(250)를 잡고 절취띠(200)를 캡부(100)에서 완전히 뜯어내게 되며, 절취띠(200)가 캡부(100)에서 분리되면 상기 손잡이부(500)를 잡고 캡부(100)를 주입구(4)에서 분리시키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드럼통에 내용물을 정품 및 정량 담고 마개를 결합한 다음 드럼통 주입구의 둘레부에 주입구를 감싸도록 봉인마개를 결합시켜 놓으면, 상기 봉인마개의 절취띠를 손잡이부를 잡고 뜯어내야만 주입구에 결합된 마개를 개방할 수 있으므로, 유통과정에서 드럼통에 저장된 내용물을 임의로 변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도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유통질서를 저해시키는 요인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Claims (7)

  1. 내부에 하측으로 개방된 공간부(120)가 형성되도록 캡형상으로 합성수지재서 성형되며 내벽면에는 내향 돌출되게 걸림돌기(140)가 형성된 캡부(100)과,
    상기 캡부(100)의 하단 둘레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캡부(100)과 인접된측에는 둘레부를 따라 절취할 수 있도록 취약부가 마련되고 일부 구간에는 캡부(100)가 일체로 유지할 수 있도록 연결부(400)가 형성된 링형상의 절취띠(2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용 봉인마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부는 상기 캡부(100)의 둘레벽과 절취띠(200) 사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방사방향상 선형태로 다수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용 봉인마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부는 절취띠(200)의 일면에 캡부(100)의 중심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진 홈(335)을 형성하여 캡부(100)과 절취띠(200)의 연결부위에 원주방향을 따라 두께가 얇은 원호형태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용 봉인마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띠(200)의 일측 둘레부에는 외향 돌출되는 손잡이부(500)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용 봉인마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500)는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용 봉인마개.
  6. 제 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500) 중앙에는 관통공(55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용 봉인마개.
  7. 내부에 하측으로 개방된 공간부(120)가 형성되도록 캡형상으로 합성수지재서 성형되며 내벽면에는 내향 돌출되게 걸림돌기(140)가 형성된 캡부(100)과,
    상기 캡부(100)의 외벽면 일측에 외향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는 손잡이부(500)와,
    상기 캡부(100)의 하측에 절취띠(200)가 마련되도록 상기 걸림돌기(140) 상측에 둘레부를 따라 취약부(330)가 형성되고,
    상기 절취띠(200)의 일단부에는 외향 돌출되는 파지부(250)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용 봉인마개.
KR1020070055937A 2007-06-08 2007-06-08 드럼통용 봉인마개 KR200801077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5937A KR20080107746A (ko) 2007-06-08 2007-06-08 드럼통용 봉인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5937A KR20080107746A (ko) 2007-06-08 2007-06-08 드럼통용 봉인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7746A true KR20080107746A (ko) 2008-12-11

Family

ID=40367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5937A KR20080107746A (ko) 2007-06-08 2007-06-08 드럼통용 봉인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077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795B1 (ko) * 2018-01-26 2019-07-01 오제이씨(주) 저장용기용 마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795B1 (ko) * 2018-01-26 2019-07-01 오제이씨(주) 저장용기용 마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87589C2 (ru) Упаковочное изделие
CN102958814B (zh) 可再关闭容器
EP2915585B1 (en) Tamper-evident closure assembly having two tamper-evidencing members, and related methods
EP1971530B1 (en) Tamper evident closure
US6039198A (en) Pierce and cut closure
US20070039915A1 (en) Dispensing closure
US20160167840A1 (en) Tamper evident security closure to access opening of a container, in particular a bottle
JP2009529464A (ja) 容器用閉鎖装置
KR20160022880A (ko) 커팅 부재를 갖는 뚜껑
JP2006528585A (ja) 不正開封防止機能部分を有する缶のプラスチック蓋
JP2019523185A (ja) 不正開封防止バンドを備えたクロージャ
RU2235049C2 (ru) Формованное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варианты)
FI72477B (fi) Ett burklock.
JP4157986B2 (ja) ブロー成形容器
KR200425505Y1 (ko) 포장용기용 안전 뚜껑
JP3762470B2 (ja) 樹脂製キャップ
KR20080107746A (ko) 드럼통용 봉인마개
EP3692826A1 (en) Package with tamper evident seal
JP4803661B2 (ja) 不正開封防止ヒンジキャップ
US20070272647A1 (en) Closure with vertical tear bands
JP4925401B2 (ja) 流通時の開封防止機能を備えた注出具
JP7505876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5046486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H0738164Y2 (ja) 密閉キャップ
US20090277861A1 (en) Closure with tamper evident str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4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810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04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81125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10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90626

Appeal identifier: 2008101012442

Request date: 2008112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1125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125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623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B0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Report of Result of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090120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090120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1125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623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1125

Effective date: 20090626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090626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81125

Decision date: 20090626

Appeal identifier: 20081010124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