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7124A - Fuel supply device for construction equipment - Google Patents
Fuel supply device for construction equip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107124A KR20080107124A KR1020070055045A KR20070055045A KR20080107124A KR 20080107124 A KR20080107124 A KR 20080107124A KR 1020070055045 A KR1020070055045 A KR 1020070055045A KR 20070055045 A KR20070055045 A KR 20070055045A KR 20080107124 A KR20080107124 A KR 200801071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uel
- tank
- fuel supply
- return line
- temperatu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9000002828 fuel tank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10763 heavy fuel 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00497 Amalga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1993 wa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2188 paraffin wa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83 diese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47—Layout or arrangement of systems for feeding fue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 F02M37/0023—Valves in the fuel supply and return system
- F02M37/0035—Thermo sensitive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mperature-Responsive Valves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차체의 상부 선회체 일측에 설치되며, 연료를 토출하는 탱크 연료공급라인과 엔진에서 연소 후 잔여 연료가 귀환하는 리턴라인을 구비하는 연료탱크; 상기 연료탱크의 하류 측에 설치되어 내부에 흡입된 연료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며, 상기 탱크 연료공급라인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세퍼레이터 연료공급라인과 수분이 제거된 연료가 배출되는 연료공급라인을 구비하는 수분분리기; 상기 수분분리기의 하류 측에 설치되며, 연료공급펌프를 통해 메인연료필터를 거쳐 불순물이 걸러진 연료를 인젝터에 의해 엔진의 연소실로 분사하도록 부압을 형성하는 인젝션 펌프; 상기 메인연료필터 및 상기 인젝션 펌프에 연결되며, 상기 인젝터에 공급되는 연료의 부압을 제어하는 연료제어유니트; 상기 인젝션 펌프 및 상기 연료탱크 하류에 설치하며, 상기 엔진 측에서 연소하고 남은 잔여 연료가 상기 연료탱크에 압송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리턴라인; 상기 리턴라인과 상기 세퍼레이터 연료공급라인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리턴라인을 통하여 순환하는 연료의 온도에 따라 스로틀을 개방 및 폐쇄시키는 서모스탯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하면, 추운 한냉 지역에서 엔진 시동시 연료의 저온 상태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왁스 성분이 제거되는 상온에 도달할 때까지 서모스탯 밸브를 통하여 저온연료 순환싸이클을 유지함으로써 엔진의 시동불량 및 시동 꺼짐을 방지할 수 있는 등 그 효과가 매우 뛰어난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supply device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and specifically, installed on one side of an upper swing structure of a vehicle body, and having a tank fuel supply line for discharging fuel and a return line for returning residual fuel after combustion in an engine Tank; It is provid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fuel tank to remove the water contained in the fuel sucked inside, and a separator fuel supply lin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tank fuel supply line and a fuel supply line for discharging the fuel is removed water A water separator; An injection pump installed at a downstream side of the water separator and configured to generate a negative pressure so as to inject a fuel filtered with impurities into a combustion chamber of the engine by an injector through a main fuel filter through a fuel supply pump; A fuel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main fuel filter and the injection pump, the fuel control unit controlling a negative pressure of the fuel supplied to the injector; A return line installed downstream of the injection pump and the fuel tank, the return line forming a flow path such that the remaining fuel burned by the engine is pumped into the fuel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thermostat valve installed between the return line and the separator fuel supply line, the thermostat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hrottl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fuel circulating through the return line, It automatically detects the low temperature condition of fuel at startup and maintains the low temperature fuel cycle through the thermostat valve until it reaches the room temperature where wax is removed. It has a very good advantage.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건설중장비용 굴삭기를 도시한 개략도,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excavator for construction equipment,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설중장비의 연료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면,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fuel supply device of the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shown in FIG.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면,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fuel supply device for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연료가 상온 상태일 때 서모스탯 밸브를 경유하는 연료순환흐름을 나타낸 개략도,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fuel circulation flow via the thermostat valve when the fuel is at room temperatur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연료가 저온 상태일 때 서모스탯 밸브를 경유하는 연료순환흐름을 나타낸 개략도이다.Figure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fuel circulation flow via the thermostat valve when the fuel is low temperatur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used in the main part of the drawing
1: 연료탱크 3: 수분분리기1: fuel tank 3: water separator
8: 연료공급펌프 6: 연료필터8: fuel supply pump 6: fuel filter
30: 서모스탯밸브 36: 피스톤30: thermostat valve 36: piston
40: 연료온도 감응부재40: fuel temperature sensitive member
본 발명은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한냉기 엔진 가동시 경유내 왁스 생성을 억제하고 시동꺼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서모스탯 밸브를 이용한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supply device for construction equip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el supply device for construction equipment using a thermostat valve that can suppress the generation of wax in the gas oil and prevent starting off when the cold engine is running. will be.
일반적으로 디젤 엔진에서 주로 사용되는 연료인 경유는 연료 특성상 동절기에 외기온이 약 -15℃ 이하의 온도로 내려갈 경우 연료 내에서 결빙현상으로 인하여 파라핀(paraffin)계의 왁스(wax)성분이 석출되며, 그에 따라 연료의 유동성이 상온 시에 대비하여 크게 저하된다. 또한, 경유에서 파라핀 왁스성분이 석출된 상태에서 디젤 엔진에 시동을 건 후 주행을 시작하면, 연료 중에 석출된 왁스성분이 엔진으로 흡입되는 과정에서 연료필터를 지나면서 연료필터 내의 필터여지를 막게 되고, 이에 따라 차량의 엔진 시동 불량, 시동 꺼짐, 백색연기 발생 등의 특성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In general, diesel fuel, which is mainly used in diesel engines, causes paraffin wax to precipitate due to freezing in the fuel when the outside air temperature falls below about -15 ° C in wint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el. As a result, the fluidity of the fuel is significantly lowered compared with the normal temperature. In addition, if the diesel engine starts running after the paraffin wax component is precipitated in diesel, the wax component precipitated in the fuel passes through the fuel filter in the process of being sucked into the engine, thereby preventing the filter filter in the fuel filter. Therefore, it is known that the characteristics such as engine start-up of the vehicle, starting off, white smoke occurs.
건설중장비용 엔진계통에 있어서, 주요 연료로써 경유를 사용하는 바, 연료필터를 거쳐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는 인젝터를 통하여 대략 10% 내지 20% 정도만 분사되어 연소되고, 나머지 80% 이상의 연료는 연료탱크에 리턴 된다. 추운 한냉 지역에서 엔진을 가동시에는 외기와 연료탱크 내부의 온도차에 연료탱크 내부에 수 분이 생성되어 고이거나 연료에 함유된 파라핀계 왁스 성분이 결빙되는 현상이 나타나 연료공급계통에 여러가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In the engine system for heavy equipment, light oil is used as the main fuel. Fuel supplied to the engine via the fuel filter is injected by injecting about 10% to 20% through an injector, and the remaining 80% or more of the fuel tank is fuel tank. Is returned to. When the engine is operated in a cold and cold region, moisture is generated inside the fuel tank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outside air and the fuel tank, and the paraffin wax contained in the fuel freezes, causing various problems in the fuel supply system. have.
도 1은 종래 건설중장비용 굴삭기의 개략도이며, 도 2는 종래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의 개략도이다. 통상적으로, 상부선회체(14)의 전방에는 운전실(15)이 배치되고, 운전실(15)의 후방에 엔진룸(16)이 설치되며, 운전실(15) 및 엔진룸(16)은 하부주행(17) 상부에 배치된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ventional excavator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ventional fuel supply device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Typically, the
종래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는 엔진룸(16) 일측에 설치된 연료펌프(1)로부터 탱크 연료공급라인(2)을 통하여 수분분리기(3)에 1차적으로 충전되며, 수분분리기에서는 연료 내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한다.The conventional fuel supply device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is primarily filled in the water separator (3) through the tank fuel supply line (2) from the fuel pump (1)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이어서, 연료는 비교적 저압인 제1 연료펌프(4)에 의해 펌핑되어 보조 연료필터(5) 및 공급라인(6)을 통과하여 엔진 측에 공급된다.The fuel is then pumped by a relatively low pressure
공급라인(6)을 통하여 엔진(7) 측에 도입된 연료는 메인 연료공급펌프(8)에 의해 펌핑되어 다시 메인연료필터(9)를 거치고, 이어서 연료제어유니트(Fuel Control Unit, 10)에 의해 제어되는 인젝션펌프(11)에 의해 고압으로 인젝터(12)를 통하여 분사되어 엔진 내부에서 연소 된다.The fuel introduced to the
통상적으로 인젝터(12) 상에 도입된 연료는 모두 분사되어 연소 되지 않으며, 공급량의 대략 10% 내지 20% 정도만 연소되고 나머지 80% 이상은 리턴라인(13)을 거쳐 연료탱크(1) 내부로 귀환 되는 일련의 연료공급 순환사이클을 이루고 있다.Typically, all the fuel introduced on the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에서는 추운 지 역에서 운전시 연료에 왁스 성분이 잔류한 상태로 엔진(7) 측에 공급되고, 연료공급을 위하여 연료탱크(1)에 리턴되는 연료에는 장시간 왁스가 해결되지 않은 상태로 지속되며, 이 연료가 다시 펌핑되어 공급라인(6)과 각각의 연료필터(5, 9) 및 연료공급펌프(8) 등을 통하여 다시 순환됨에 따라서 왁스 성분이 연료필터 상에 흡착되거나 클로깅(clogging) 현상을 발생하여 연료공급에 이상을 일으키고, 심한 경우 엔진 시동 불량 및 시동 꺼짐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By the way, in the conventional fuel supply device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as described above is supplied to the engine (7) side with the wax component remaining in the fuel during operation in a cold region, and returned to the fuel tank (1) for fuel supply The wax is unresolved for a long time, and the wax is pumped again and circulated through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추운 한냉 지역에서 엔진 시동시 연료가 저온 상태일 경우 상온에 도달할 때까지 엔진 측에서 리턴되는 연료를 연료탱크에 바로 귀환시키지 않고 서모스탯 밸브를 경유하여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엔진의 시동불량 및 시동 꺼짐을 방지할 수 있는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When the engine is cold in cold cold regions, the engine can be started and shut down by circulating through the thermostat valve without returning the fuel returned from the engine to the fuel tank until it reaches room temperatur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fuel supply device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that can be prevented.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차체의 상부 선회체 일측에 설치되며, 연료를 토출하는 탱크 연료공급라인과 엔진에서 연소 후 잔여 연료가 귀환하는 리턴라인을 구비하는 연료탱크;A fuel tank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upper swing structure of the vehicle body and having a tank fuel supply line for discharging fuel and a return line for returning residual fuel after combustion in the engine;
상기 연료탱크의 하류 측에 설치되어 내부에 흡입된 연료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며, 상기 탱크 연료공급라인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세퍼레이터 연료공급라 인과 수분이 제거된 연료가 배출되는 연료공급라인을 구비하는 수분분리기;It is provid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fuel tank to remove moisture contained in the fuel sucked therein, and a separator fuel supply lin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tank fuel supply line and a fuel supply line for discharging the fuel from which water is removed. A water separator;
상기 수분분리기의 하류 측에 설치되며, 연료공급펌프를 통해 메인연료필터를 거쳐 불순물이 걸러진 연료를 인젝터에 의해 엔진의 연소실로 분사하도록 부압을 형성하는 인젝션 펌프;An injection pump installed at a downstream side of the water separator and configured to generate a negative pressure so as to inject a fuel filtered with impurities into a combustion chamber of the engine by an injector through a main fuel filter through a fuel supply pump;
상기 메인연료필터 및 상기 인젝션 펌프에 연결되며, 상기 인젝터에 공급되는 연료의 부압을 제어하는 연료제어유니트;A fuel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main fuel filter and the injection pump, the fuel control unit controlling a negative pressure of the fuel supplied to the injector;
상기 인젝션 펌프 및 상기 연료탱크 하류에 설치하며, 상기 엔진 측에서 연소하고 남은 잔여 연료가 상기 연료탱크에 압송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리턴라인;A return line installed downstream of the injection pump and the fuel tank, the return line forming a flow path such that the remaining fuel burned by the engine is pumped into the fuel tank;
상기 리턴라인과 상기 세퍼레이터 연료공급라인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리턴라인을 통하여 순환하는 연료의 온도에 따라 스로틀을 개방 및 폐쇄시키는 서모스탯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를 특징으로 한다.And a thermostat valve installed between the return line and the separator fuel supply line, the thermostat valve opening and closing the throttl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fuel circulating through the return line. .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리턴라인은 상기 서모스탯 밸브로 부터 상기 인젝션 펌프의 하류측에 형성된 인젝션 라인에 연통되는 제1 리턴라인과 상기 연료탱크로 연통되는 제2 리턴라인으로 구성된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를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turn line is a fuel supply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consisting of a first return line communicating with the injection line form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injection pump from the thermostat valve and a second return line communicating with the fuel tank. It features a device.
또한, 상기 서모스탯 밸브는 상기 제1 리턴라인에 연결되는 회류측 입구포트;In addition, the thermostat valve may include a flow side inlet port connected to the first return line;
상기 제2 리턴라인에 연결되는 회류측 출구포트;A return side outlet port connected to the second return line;
상기 탱크 연료공급라인에 연결되는 공급측 입구포트;A supply side inlet port connected to the tank fuel supply line;
상기 세퍼레이터 연료공급라인에 연결되는 공급측 출구포트;A supply side outlet port connected to the separator fuel supply line;
밸브 몸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엔진 측에서 리턴되는 연료가 상기 연료탱 크 및 상기 수분분리기에 연통되는 챔버;A chamber formed inside the valve body and communicating with the fuel tank and the water separator, the fuel returned from the engine side;
상기 챔버 내부에서 연료와 접촉하여 연료의 온도에 따라 선형으로 수축 또는 팽창하는 신축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연료온도 감응부재;A fuel temperature sensitive member installed in the chamber in such a manner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uel to expand and contract in a linear manner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fuel;
길이방향의 양측 선단에 시트부를 구비한 제1 피스톤 헤드 및 제2 피스톤 헤드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연료온도 감응부재의 수축 및 팽창 구간에 상응하는 스트로크 이동이 발생하도록 상기 제2 피스톤 헤드가 상기 연료온도 감응부재에 고정되는 피스톤; 및A first piston head and a second piston head having seat portion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and the second piston head is configured to generate the stroke movement corresponding to the contraction and expansion sections of the fuel temperature sensitive member. A piston fixed to the temperature sensitive member; And
상기 챔버에 형성되며, 상기 연료온도 감응부재가 수축시에는 부분 폐쇄되며 팽창시에는 개방되는 제1 스로틀 밸브와, 상기 연료온도 감응부재가 수축시에는 개방되며 팽창시에는 폐쇄되는 제2 스로틀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를 특징으로 한다.A first throttle valve formed in the chamber, wherein the fuel temperature sensitive member is partially closed when contracted and opened when inflated, and a second throttle valve which is opened when the fuel temperature sensitive member is contracted and closed when inflated; Characterized in that the fuel supply device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made.
또한, 상기 연료온도 감응부재는 연료온도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수축 또는 팽창 가능한 아말감 용입봉으로 구성하여 이루어진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를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uel temperature sensitive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uel supply device for construction equipment made of amalgam penetration rods that can be contracted or expa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fuel temperature.
또한, 상기 연료온도 감응부재는 연료의 온도가 5℃ 이하로 될 때 최대 수축위치를 형성하고 연료의 온도가 30℃ 이상으로 될 때 최대 팽창위치를 형성하는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를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uel temperature sensitive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uel supply device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to form a maximum contraction position when the temperature of the fuel is 5 ° C or less, and a maximum expansion position when the temperature of the fuel is 30 ° C or more. .
또한, 상기 서모스탯 밸브가 연료의 온도가 5℃ 이하로 될 때 제1 스로틀 밸브는 제1 피스톤 헤드에 의해 부분 폐쇄되며, 제2 스로틀 밸브는 제2 피스톤 헤드의 시트부로 부터 개방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챔버 내부에 도입되는 연료의 90%가 상기 수분분리기에 연통되도록 구성한 건설중장비 연료공급장치를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throttle valve is partially closed by the first piston head when the thermostat valve becomes 5 ° C. or lower, and the second throttle valve is formed in an open position from the seat of the second piston head. The heavy equipment fuel supply device is configured so that 90% of the fuel introduced into the chamber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water separato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건설중장비용 연료탱크 누유방지구조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fuel tank leakage prevention structure for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연료의 온도가 상온 상태일 때 서모스탯 밸브를 경유하는 연료순환흐름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연료의 온도가 저온 상태일 때 서모스탯 밸브를 경유하는 연료순환흐름을 나타낸 개략도이다.Figure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fuel supply device for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fuel circulation flow via the thermostat valv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fuel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fuel circulation flow via the thermostat valv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fuel is low temperatur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는 종래의 굴삭기나 로더, 유압 쇼벨 등에 적용하는 바, 연료공급계통에 구성되는 연료탱크(1), 수분분리기(3), 프라이머리 펌프(4), 엔진(7) 측에 포함된 연료공급펌프(8) 및 메인 연료필터(9) 등은 상호 호환적으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Fuel supply device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onventional excavator, loader, hydraulic shovel, etc., the fuel tank (1), the water separator (3), the primary pump (4), the engine which is configured in the fuel supply system The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명에 의한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는,As shown in Figure 3 and 5, the fuel supply device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차체의 상부 선회체(14) 일측에 설치되며, 연료를 토출하는 탱크 연료공급라인(21)과 엔진(7) 측에서 연소 후 잔여 연료가 귀환하는 리턴라인(22)을 구비하는 연료탱크(1);A
상기 연료탱크(1)의 하류 측에 설치되어 내부에 흡입된 연료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며, 상기 탱크 연료공급라인(21)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세퍼레이터 연료공급라인(23)과 수분이 제거된 연료가 배출되는 연료공급라인(6)을 구비하는 수분분리기(3);It is install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fuel tank (1) to remove the water contained in the fuel sucked therein, and the separator fuel supply line (23) and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tank
상기 수분분리기(3)의 하류 측에 설치되며, 연료공급펌프(8)를 통해 메인연료필터(9)를 거쳐 불순물이 걸러진 연료를 인젝터(12)에 의해 엔진(7) 내부의 연소실로 분사하도록 부압을 형성하는 인젝션 펌프(11);It is install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water separator (3), the fuel supply pump (8) through the main fuel filter (9) to filter the impurities filtered to the combustion chamber inside the engine (7) by the injector (12) An injection pump 11 forming a negative pressure;
상기 메인연료필터(8) 및 상기 인젝션 펌프(11)에 연결되며, 상기 인젝터(12)에 공급되는 연료의 부압을 제어하는 연료제어유니트(10);A fuel control unit (10) connected to the main fuel filter (8) and the injection pump (11) and controlling a negative pressure of the fuel supplied to the injector (12);
상기 인젝션 펌프(11) 및 상기 연료탱크(1) 하류에 설치하며, 상기 엔진(7) 측에서 연소하고 남은 잔여 연료가 상기 연료탱크(1)에 압송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리턴라인(22);A return line (22) installed downstream of the injection pump (11) and the fuel tank (1) and forming a flow path such that the remaining fuel burned by the engine (7) is pumped into the fuel tank (1);
상기 리턴라인(22)과 상기 세퍼레이터 연료공급라인(23)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리턴라인(22)을 통하여 순환하는 연료의 온도에 따라 스로틀을 개방 및 폐쇄시키는 서모스탯 밸브(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t is installed between the
상기 리턴라인(22)은 상기 서모스탯 밸브(30)로부터 상기 인젝션 펌프(11)의 하류측에 형성된 인젝션 라인(24)에 연통되는 제1 리턴라인(22a)과 상기 연료탱크(1)로 연통되는 제2 리턴라인(22b)으로 구성된다.The
또한, 상기 서모스탯 밸브(30)는 상기 제1 리턴라인(22a)에 연결되는 회류측 입구포트(31)와; 상기 제2 리턴라인(22b)에 연결되는 회류측 출구포트(32)와; 상기 탱크 연료공급라인(21)에 연결되는 공급측 입구포트(33)와; 상기 세퍼레이터 연료공급라인(23)에 연결되는 공급측 출구포트(34)와; 밸브몸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엔진(7) 측에서 리턴되는 연료가 상기 연료탱크(1) 및 상기 수분분리기(3)에 연통되는 챔버(35)와; 상기 챔버(35) 내부에서 연료와 접촉하여 연료의 온도에 따라 선 형으로 수축 또는 팽창하는 신축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연료온도 감응부재(40)와; 길이방향의 양측 선단에 시트부를 구비한 제1 피스톤 헤드(36a) 및 제2 피스톤 헤드(36b)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연료온도 감응부재(40)의 수축 및 팽창 구간에 상응하는 스트로크 이동이 발생하도록 상기 제2 피스톤 헤드(36b)가 상기 연료온도 감응부재(40) 일측에 고정되는 피스톤; 및 상기 챔버(35)에 형성되며, 상기 연료온도 감응부재(40)가 수축시에는 부분 폐쇄되며 팽창시에는 개방되는 제1 스로틀 밸브(37)와, 상기 연료온도 감응부재(40)가 수축시에는 개방되며 팽창시에는 폐쇄되는 제2 스로틀 밸브(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It demonstrates with reference to FIG. 4 and FIG.
상기 연료온도 감응부재(40)가 팽창할 때는 상기 피스톤(36)이 좌측 방향의 스트로크 이동을 하게 되며, 상기 제1 스로틀 밸브(37)는 상기 제1 피스톤 헤드(36a)에 의해 개방됨과 동시에 상기 제2 스로틀 밸브(38)는 상기 제2 피스톤 헤드(36b)에 의해 폐쇄된다(도 4 참조). 반면에, 상기 연료온도 감응부재(40)가 수축할 때는 상기 피스톤(36)은 우측 방향의 스트로크 이동을 하게 되며, 상기 제1 스로틀 밸브(37)는 상기 제1 피스톤 헤드(36a)에 의해 부분 폐쇄됨과 동시에 상기 제2 스로틀 밸브(38)은 상기 제2 피스톤 헤드(36b)에 의해 개방된다(도5 참조).When the fuel temperatur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료온도 감응부재(40)는 일측을 상기 제2 피스톤 헤드(36b)에 고정하되, 연료의 온도가 5℃ 이하로 될 때 최대 수축 위치가 형성되고, 연료의 온도가 30℃ 이상으로 될 때 최대 팽창 위치가 형성된다. 전술한 5℃ 이하의 연료의 온도는 연료의 저온 상태를 판단하는 기준이며, 30℃ 이상의 연료의 온도는 연료의 상온 상태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uel temperature
본 발명에 있어서, 연료의 저온 상태에서 최대 수축 위치로 상기 연료온도 감응부재(40)가 수축됨에 따라 스트로크 이동하는 제1 피스톤 헤드(36a)는 서모스탯 밸브(30)에 도입되는 연료의 대략 10%를 제2 리턴라인(22b) 측으로 드레인하도록 부분 폐쇄 상태를 유지하며, 연료탱크(1)에 리턴되는 연료는 공급측 입구포트(33) 및 출구포트(34)를 통하여 엔진(7) 측으로 순환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모스탯 밸브(30)는 연료의 온도가 5℃ 이하로 될 때 제1 스로틀 밸브(37)는 제1 피스톤 헤드(36a)에 의해 부분 폐쇄되며, 제2 스로틀 밸브(38)는 제2 피스톤 헤드(36b)의 시트부로 부터 개방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챔버(35) 내부에 도입되는 연료의 90%가 상기 수분분리기(3)에 연통되도록 구성한다,Preferably, the
또한, 상기 연료온도 감응부재(40)는 연료온도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수축 또는 팽창 가능한 아말감 용입봉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uel temperature
한편, 상기 연료온도 감응부재(40)는 상기 서모스탯 밸브(30)의 외측으로 돌출된 손잡이(42)를 구비하며, 상기 손잡이는 매뉴얼 셧-오프 밸브(shut-off valve)로 제조함으로써 외부에서 작업자가 연료온도 감응을 위한 작업자의 의한 수동 조작을 고려하여 구성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fuel temperature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 연료공급라인(23) 상에는 체크밸브(43)를 구성하며, 상기 체크밸브(43)는 상기 연료탱크(1)에서 상기 수분분리기(3) 측으로 흡입된 연료의 역류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or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fuel supply device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는, 추운 한냉 기역에서 엔진 시동시 연료의 온도가 상온에 있을 경우 연료온도 감응부재(40)가 팽창하여 피스톤(30)을 좌측으로 스트로크 이동시킨다.In the fuel supply device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emperature of the fuel is at room temperature when the engine is started in a cold cold air region, the fuel temperature
이때, 제1 리턴라인(22a)을 통하여 서모스탯 밸브(30)에 도입되는 연료는 모두 완전히 개방된 제1 스로틀 밸브(37)를 통과한 다음 제2 리턴라인(22b)을 경유하여 연료탱크(1)에 리턴되고, 이어서 상기 공급측 입구포트(33)와 공급측 출구포트(34)를 경유하여 수분분리기(3) 측으로 순환되게 하는 일련의 상온연료 순환싸이클을 형성한다(도4 참조).At this time, all the fuel introduced into the
반면에, 연료의 온도가 왁스성분이 생성될 수 있는 저온인 경우에는 상기 제1 리턴라인(22a)을 통하여 서모스탯 밸브(30) 내의 챔버(35)에 도입되는 대부분의 연료가 왁스성분이 녹아들 수 있는 상온에 도달할 때까지 완전히 개방된 상기 제2 스로틀 밸브(38) 공급측 출구포트(34)를 경유하여 수분분리기(3) 측으로 순환되게 하는 일련의 저온연료 순환싸이클을 형성한다(도5 참조).On the other han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fuel is a low temperature at which the wax component can be generated, most of the fuel introduced into the
즉, 연료의 온도가 5℃ 이하의 저온 상태일 때에는 상기 연료온도 감응부재(40)가 수축된다. 이때, 상기 연료온도 감응부재(40)의 일측에 제2 피스톤 헤드(36b)가 고정된 상기 피스톤(36)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방향의 스트로크 이동을 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temperature of the fuel is at a low temperature of 5 ° C. or lower, the fuel temperature
이때, 상기 제1 스로틀 밸브(37)는 제1 피스톤 헤드(36a)의 시트부의 이격에 의해 부분 폐쇄됨과 동시에 상기 제2 스로틀 밸브(38)는 상기 제2 피스톤 헤드 (36b)의 시트부로 부터 완전히 이격되어 개방되며, 이로 인하여 서모스탯 밸브(30)의 챔버(35)에 도입되는 대부분의 연료(대략 90%)가 연료온도 감응부재(40)에서 연료의 온도를 30℃ 이상으로 감지할 때까지 수분분리기(3), 프라이머리 펌프(5), 연료공급라인(6) 및 엔진(7) 측에 설치된 메인 연료공급펌프(8) 연료필터(9) 및 고압의 인젝션 펌프(11)를 순환한다.At this time, the
이와 같은, 연료의 온도가 5℃ 이하로 되는 저온연료 순환싸이클 상에서 상기 서모스탯 밸브(30)는 제1 피스톤 헤드(36a)에 의해 부분 폐쇄된 제1 스로틀 밸브(37)를 통하여 챔버(35)에 도입되는 연료의 10%를 연료탱크(1)에 리턴시킨다.As such, the
한편, 연료가 상온 상태에 도달하면 연료온도 감응부재(40)가 다시 팽창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을 좌측 방향으로 스트로크 시킨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uel reaches the room temperature state, the fuel temperature
상기 제1 스로틀 밸브(37)는 제1 피스톤 헤드(36a)의 시트부로 부터 이격되어 완전히 개방되는 반면에 제2 스로틀 밸브(38)는 제2 피스톤 헤드(36b)의 시트부에 의해 완전히 폐쇄되며, 서모스탯 밸브(30)에 도입되는 연료는 모두 제1 리턴라인(22a), 챔버(35), 제1 스로틀 밸브(37), 상기 제2 리턴라인(22b)을 경유하여 연료탱크(1)에 리턴되고, 이어서 상기 공급측 입구포트(33)와 공급측 출구포트(34)를 경유하여 수분분리기(3) 측으로 순환된다.The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는 추운 한냉 지역에서 엔진 시동시에는 연료의 온도 상태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저온 상태일 경우에는 저온연료 순환싸이클을 반복하도록 서모스탯 밸브(30)가 작동한다.Therefore, the fuel supply device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the
전술한 본 발명의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 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explain in detail enough that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carry out the invention, and thus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limited. It does not mean that.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는 추운 한냉 지역에서 엔진 시동시 연료의 저온 상태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왁스 성분이 제거되는 상온에 도달할 때까지 서모스탯 밸브를 통하여 저온연료 순환싸이클을 유지함으로써 엔진의 시동불량 및 시동 꺼짐을 방지할 수 있는 등 그 효과가 매우 뛰어난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uel supply device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detects the low temperature state of the fuel when the engine is started in a cold cold region to reach a low temperature fuel through the thermostat valve until the wax component is removed to room temperature Maintaining the circulation cycle has the advantage that the effect is very excellent, such as preventing the engine from starting poorly and starting off.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55045A KR100919435B1 (en) | 2007-06-05 | 2007-06-05 | fuel supplying apparatus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55045A KR100919435B1 (en) | 2007-06-05 | 2007-06-05 | fuel supplying apparatus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107124A true KR20080107124A (en) | 2008-12-10 |
KR100919435B1 KR100919435B1 (en) | 2009-09-29 |
Family
ID=40367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55045A Expired - Fee Related KR100919435B1 (en) | 2007-06-05 | 2007-06-05 | fuel supplying apparatus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19435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2996B1 (en) | 2015-09-18 | 2016-11-04 | 주식회사 탱크로드 | Oil storage system with the oil purification and tank cleaning function |
KR20170029745A (en) | 2015-09-08 | 2017-03-16 | 주식회사 탱크로드 | Oil storage and supply system with the oil purification function |
KR20170117747A (en) * | 2016-04-14 | 2017-10-2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Fuel supply device for diesel vehicle |
CN114508433A (en) * | 2022-02-16 | 2022-05-17 |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 Control method of fuel supply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21948A (en) * | 1998-09-30 | 2000-04-25 | 토니헬샴 | Controlling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 of fuel supply in diesel engine of heavy equipment vehicle |
KR20020037465A (en) * | 2000-11-14 | 2002-05-22 | 류정열 | Fuel Heating Equipment of Diesel Engine |
KR100427943B1 (en) * | 2001-09-28 | 2004-04-2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Fuel supplying apparatus |
KR200343989Y1 (en) * | 2003-12-03 | 2004-03-11 | 김종숙 | The fuel recursion filtration device of a diesel car fuel supply device |
-
2007
- 2007-06-05 KR KR1020070055045A patent/KR10091943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29745A (en) | 2015-09-08 | 2017-03-16 | 주식회사 탱크로드 | Oil storage and supply system with the oil purification function |
KR101672996B1 (en) | 2015-09-18 | 2016-11-04 | 주식회사 탱크로드 | Oil storage system with the oil purification and tank cleaning function |
KR20170117747A (en) * | 2016-04-14 | 2017-10-2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Fuel supply device for diesel vehicle |
CN114508433A (en) * | 2022-02-16 | 2022-05-17 |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 Control method of fuel supply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19435B1 (en) | 2009-09-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704499B2 (en) | Method for operating a device for injecting water in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NL2006992C2 (en) | Method of switching from a liquefied gas fuel to a liquid fuel being provided to a direct injection combustion engine, and direct injection bi-fuel system for such an engine. | |
JP4542135B2 (en) | Dual fuel injec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JP5634601B2 (en) | Double fuel injection valves for diesel and gas engines | |
JP5363369B2 (en) | Hydraulic drive unit for construction machinery | |
KR101602970B1 (en) | Fuel injection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mprising a hydrocarbon injector | |
KR100919435B1 (en) | fuel supplying apparatus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 |
US9388777B2 (en) | Kidney loop filtration system for fuel delivery system | |
RU2442903C2 (en) | Internal combustion engine operation method | |
SE1000743A1 (en) | Fuel injection systems | |
KR101978012B1 (en) | Fuel injection system | |
NL2008202C2 (en) | Arrangement and method for bi-fuel combustion engines. | |
CN111287853A (en) | Method for operating a fuel injection system, control unit and fuel injection system | |
JP3796146B2 (en) | DME engine fuel supply system | |
JP4305304B2 (en) | Engine fuel supply system | |
US9388779B2 (en) | Fuel system for an excavator | |
WO2016147948A1 (en) | Internal-combustion engine and method of forcibly regenerating collecting device | |
US20150377199A1 (en) | Method for venting a fuel supply line,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JP2007162696A (en) | Fuel injecti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KR102406158B1 (en) | Fuel supply device for diesel vehicle | |
KR100534690B1 (en) | Fuel leak control device of lpi engine | |
KR101371871B1 (en) | Over flow valve structure for diesel engine | |
KR20120059750A (en) | Structure for preventing fuel freezing of diesel vehicle using collecting fuel | |
KR20160049706A (en) | Diesel engine system for vehicle | |
JP6288226B2 (en) | Fuel injection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3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9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09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7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6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7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