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3782A - Image form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image density and image density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Image form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image density and image density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103782A KR20080103782A KR1020070050958A KR20070050958A KR20080103782A KR 20080103782 A KR20080103782 A KR 20080103782A KR 1020070050958 A KR1020070050958 A KR 1020070050958A KR 20070050958 A KR20070050958 A KR 20070050958A KR 20080103782 A KR20080103782 A KR 2008010378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concentration
- criterion
- image concentration
- ton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54—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characteristics of an intermediate image carrying member or the characteristics of an image on an intermediate image carrying member, e.g. intermediate transfer belt or drum, conveyor belt
- G03G15/5058—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characteristics of an intermediate image carrying member or the characteristics of an image on an intermediate image carrying member, e.g. intermediate transfer belt or drum, conveyor belt using a test pa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화상농도 제어를 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화상농도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센서는 테스트 패턴이 형성되는 화상영역 및 테스트 패턴이 미형성되는 비화상영역으로부터 각각 제1화상농도 및 제2화상농도를 검출하며, 제어부는 검출된 제1화상농도와 제1화상농도의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한 제1기준을 비교하고, 검출된 제2화상농도와 제2화상농도의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한 제2기준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기초로 제1화상농도 및 제2화상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증감한다.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density thereof are disclosed. The sensor detects the first image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image concentration from the image region in which the test pattern is formed and the non-image region in which the test pattern is not formed, respectively, and the controller detects the suitability of the detected first image concentration and the first image concentration. Compare the first criterion for judging, compare the detected second image density with the second criterion for judging suitability of the second image concentration, and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at least one of the first image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image concentration Increase or decrease one.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농도 제어를 위한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image densi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내지 도 2c는 화상농도에 따라 감광체에 형성되는 노광전위 및 표면전위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2A to 2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changes in exposure potential and surface potential formed on the photoconductor according to image density;
도 3은 도 1에 의한 화상농도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3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image density control method according to FIG. 1, and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화상형성장치 105 : 대전롤러100: image forming apparatus 105: charging roller
110 : 감광체 115 : 노광부110: photosensitive member 115: exposed portion
120 : 현상기 125 : 중간 전사벨트120: developer 125: intermediate transfer belt
135 : 제1전사롤러 140 : 제2전사롤러135: first transfer roller 140: second transfer roller
145 : 센서 150 : 전압 공급부145
155 : 저장부 160 : 제어부155
본 발명은 화상농도 제어를 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화상농도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상영역과 비화상영역으로부터 각각 검출되는 화상농도를 기초로 화상농도를 조절하는 화상농도 제어를 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화상농도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image density and an image density control method thereof.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ensity control for adjusting an image density based on an image density detected from an image area and a non-image area, respectively.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n image density control method thereof.
자성 캐리어와 비자성 토너로 구성된 2성분 현상제를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대전된 토너를 이용하여 현상한다. 따라서, 2성분 현상제를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는 소모된 토너 양에 따라 토너농도, 즉, 캐리어 대비 토너량을 조절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a two-component developer composed of a magnetic carrier and a nonmagnetic toner develops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formed on a photosensitive member using charged toner. Therefore,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a two-component developer needs to adjust the toner concentration, that is, the amount of toner relative to the carrier,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toner consumed.
이를 위하여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 또는 중간 전사체 위에 기준화상패턴을 형성한 후, 형성된 기준 화상패턴의 화상농도를 검출하여 토너 공급 여부를 결정하여 토너농도를 제어하는 화상농도 방식을 이용한다. To this end, a conventional image forming apparatus uses an image density method of controlling a toner concentration by forming a reference image pattern on a photosensitive member or an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detecting an image density of the formed reference image pattern, and determining whether toner is supplied.
그러나, 이러한 화상농도 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Coverage가 낮은 화상을 연속 출력할 경우, 토너의 소모량이 적어 토너의 대전량(Q/M, Q는 실제 대전되는 정도, M은 토너의 질량)이 상승하게 되며, 이것에 의해서 화상의 농도가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 때, 화상 농도를 맞추기 위하여 토너를 더 공급하게 되는데, 이 미 충분한 양의 토너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토너를 추가로 더 공급하면 미대전되는 토너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토너는 비화상 부위 의 오염이나 비산 등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coverage는 토너를 가지고 A4 용지를 얼마만큼 채우면서 인쇄하느냐의 정도를 의미한다.However, this image density method has the following problems. When continuously outputting images with low coverage, the toner consumption is low and the charge amount of the toner (Q / M, Q is the actual charge amount, M is the mass of the toner) is increased, thereby decreasing the density of the image. Phenomenon occurs. At this time, more toner is supplied to match the density of the image. Even though there is a sufficient amount of toner, additional toner is added to generate an uncharged toner. It causes problems such as scattering. Here, coverage means the degree to which the A4 paper is filled with toner and printed.
이는 토너농도와 토너의 대전량은 반비례 관계에 있고, 토너의 대전량과 화상농도는 반비례 관계에 있으며, 토너농도와 화상농도는 비례관계에 있으므로, 화상농도는 토너농도 뿐만 아니라 대전량의 영향도 받기 때문이다. 토너 비산은 충분히 대전되지 않은 토너가 감광체에 현상되지 않고 인쇄엔진 내를 오염시키는 것이며, 백그라운드 오염은 화상이 형성되지 않아야 하는 영역에 토너가 현상되어 용지에 불필요한 화상이 형성되는 것이다.This is because the toner concentration and the charge amount of the toner are inversely related, the charge amount of the toner is inversely related to the image density, and the toner concentration and the image concentration are in proportional relationship, so the image density is influenced by the charge amount as well as the toner concentration Because I receive. Toner scattering is contaminating the print engine without developing toner sufficiently charged on the photoconductor. Background contamination is toner developing in an area where an image should not be formed, thereby forming unnecessary images on the paper.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노광전위 또는 표면전위를 조절하거나 토너를 추가적으로 공급하여야 하는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여 화상농도를 제어함으로써 이미지 품질을 최상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화상농도 제어를 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화상농도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rol the image density by accurately adjusting the exposure potential or the surface potential or to identify the situation in which toner is additionally supplied.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image density thereof for maintaining the image density at the highest level are provid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농도 제어를 위한 화상형성장치는, 테스트 패턴이 형성되는 화상영역 및 상기 테스트 패턴이 미형성되는 비화상영역으로부터 각각 제1화상농도 및 제2화상농도를 검출하는 센서; 및 상기 검출된 제1화상농도와 상기 제1화상농도의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한 제1기준을 비교하고, 상기 검출된 제2화상농도와 상기 제2화상농도의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한 제2기준을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화상농도 및 상기 제2화상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증감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image form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image dens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irst image density and the first image density from the image region in which the test pattern is formed and the non-image region in which the test pattern is not formed, respectively. A sensor for detecting the image density; And comparing the detected first image density with a first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suitability of the first image concentration, and comparing the detected second image density with the second standard for determining the suitability of the second image concentration.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increase or decrease at least one of the first image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image concentration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상세하게는, 상기 제1화상농도가 상기 제1기준보다 작고, 상기 제2화상농도가 상기 제2기준보다 크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영역의 전위를 조절하여 상기 제1화상농도가 상기 제1기준에 도달하도록 하며, 상기 비화상영역의 전위를 조절하여 상기 제2화상농도가 상기 제2기준 이하가 되도록한다.In detail, when the first image concentration is smaller than the first criterion and the second image concentration is larger than the second criterion,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potential of the image region so that the first image concentration is the first image concentration. The first image is reached, and the potential of the non-image area is adjusted so that the second image concentration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cond standard.
또한, 상기 제1화상농도가 상기 제1기준보다 작고, 상기 제2화상농도가 상기 제2기준보다 작으면, 상기 제어부는 현상제가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현상제의 공급이 필요함을 외부로 알린다.If the first image concentration is less than the first criterion and the second image concentration is less than the second criterio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developer is insufficient and notifies the outside that the developer needs to be supplied.
상기 제1화상농도가 상기 제1기준보다 크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영역의 전위의 절대값이 증가하도록 조절하거나 또는 감광체로 현상제가 현상되는 양이 감소하도록 조절하여 상기 제1화상농도를 감소시킨다.If the first image concentration is greater than the first criterion, the controller adjusts the absolute value of the potential of the image area to increase or decreases the amount of developing of the developer with the photosensitive member to reduce the first image concentration. .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영역 및 상기 비화상영역을 감광체 및 중간 전사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한다.The control unit forms the image region and the non-image region in at least one of a photosensitive member and an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농도 제어방법은, 테스트 패턴이 형성되는 화상영역 및 상기 테스트 패턴이 미형성되는 비화상영역으로부터 각각 제1화상농도 및 제2화상농도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제1화상농도와 상기 제1화상농도의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한 제1기준을 비교하고, 상기 검출된 제2화상농도와 상기 제2화상농도의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한 제2기준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화상농도 및 상기 제2화상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증감하 는 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image density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detecting the first image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image concentration from the image region in which the test pattern is formed and the non-image region in which the test pattern is not formed; Compare the detected first image concentration with a first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suitability of the first image concentration, and compare the detected second image density with a second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suitability of the second image concentration. Doing; And increasing or decreas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image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image concentration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상기 비교하는 단계에서, 제1화상농도가 상기 제1기준보다 작고, 상기 제2화상농도가 상기 제2기준보다 크면, 상기 증감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영역의 전위를 조절하여 상기 제1화상농도가 상기 제1기준에 도달하도록 하며, 상기 비화상영역의 전위를 조절하여 상기 제2화상농도가 상기 제2기준 이하가 되도록 한다.In the comparing step, if the first image concentration is smaller than the first reference and the second image concentration is larger than the second reference, the step of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first image concentration by adjusting the potential of the image area. To reach the first criterion and adjust the potential of the non-image area so that the second image concentration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cond criterion.
상기 비교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화상농도가 상기 제1기준보다 작고, 상기 제2화상농도가 상기 제2기준보다 작으면, 상기 증감하는 단계는 현상제가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고, 외부로부터 상기 현상제를 공급받아 상기 제1화상농도를 증가시킨다.In the comparing step, if the first image concentration is less than the first criterion and the second image concentration is less than the second criterion, the step of increasing or decreasing determines that the developer is insufficient, and the developer is determined from the outside. Increasing the first image concentration is supplied.
상기 비교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화상농도가 상기 제1기준보다 크면, 상기 증감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영역의 전위의 절대값이 증가하도록 조절하거나 또는 감광체로 현상제가 현상되는 양이 감소하도록 조절하여 상기 제1화상농도를 감소시킨다.In the comparing step, if the first image concentration is greater than the first criterion, the increasing or decreasing step may be adjusted to increase the absolute value of the potential of the image area or to reduce the amount of the developer developed by the photosensitive member. Thereby reducing the first image concentra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농도 제어를 위한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image densi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대전롤러(105), 감광 체(110), 노광부(115), 현상기(120), 중간 전사벨트(125), 지지롤러(130), 제1전사롤러(135), 제2전사롤러(140), 센서(145), 전압 공급부(150), 저장부(155)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대전롤러(105)는 감광체(110)의 표면과 접촉 또는 비접촉 상태로 회전하면서 고압의 음전압(예를 들어, -700V)으로 감광체(110)의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킨다.The
대전롤러(105)에 의해 표면이 대전되면, 감광체(110)는 노광부(115)에 의해 광이 주사된 부분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와 같은 현상제가 부착되도록 한다. When the surface is charged by the
노광부(115)는 균일한 전위를 가지도록 대전된 감광체(110)에 화상정보에 대응하는 광을 주사하여 소정 패턴의 정전잠상이 형성되도록 한다. 노광부(115)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광주사장치(LSU : Laser Scanning Unit)을 사용한다. The
현상기(120)는 감광체(110)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한다. 현상기(120)는 음전하(-)로 대전되며 비자성을 가지는 현상제, 예를 들어 토너와 양전하(+)로 대전되며 자성을 가지는 캐리어가 혼합된 현상액을 수용하는 수용부(120a)와, 감광체(110)와 대면하도록 설치되어 감광체(110)에 토너를 공급하여 정전잠상을 토너화상으로 형성시키는 현상롤러(120b)와, 현상롤러(120b)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력을 이용하여 현상롤러(120b) 표면에 현상액을 부착시킴으로써 현상제층, 즉, 토너층을 형성시키는 공급롤러(120c), 현상롤러(120b) 표면에 형성된 현상 제층을 균일화하는 트리머(trimmer)(미도시)를 포함한다. 현상롤러(120b)의 내부에는 자성을 가지는 롤러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토너가 부착된 캐리어, 즉, 현상액은 현상롤러(120b)에 부착되어 현상제층을 형성한다. The developing
화상형성장치(100)가 모노 인쇄만을 수행하는 경우, 현상기(120)는 블랙 토너(K)만을 구비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00)가 컬러 인쇄를 수행하는 경우, YCMK 컬러 각각의 토너를 수용하는 4개의 현상기(미도시)가 하나의 감광체(110) 주변에 구비된다. When the
중간 전사벨트(125)는 양단에 형성된 지지롤러(130)에 의해 일방향을 따라 구동하며, 감광체(110) 상에 형성된 토너화상은 제1전사롤러(135)에 인가되는 바이어스에 의해 중간 전사벨트(125)로 전이된다. YCMK 토너 각각에 대한 현상기가 구비된 경우, 각 YCMK 컬러의 토너화상이 중간 전사벨트(125)로 전이되어 멀티 칼라의 토너화상이 형성될 수 있다. The
중간 전사벨트(125)에 형성된 토너화상은 제2전사롤러(140)에 인가된 바이어스에 의해 인쇄용지(P)로 전사되며, 히팅 롤러(미도시) 및 가압롤러(미도시)와 같은 정착기에 의해 인쇄용지(P)에 정착된다.The toner image formed on the
센서(145)는 화상농도 검출을 위한 테스트 패턴이 형성되는 화상영역 및 테스트 패턴이 미형성되는 비화상영역으로부터 각각 제1화상농도 및 제2화상농도를 검출한다. 이를 위하여 센서(145)는 포터 다이오드와 같은 발광부(145a) 및 수광부(145b)를 포함한다.The
먼저, 테스트 패턴은 설정된 매수만큼 인쇄물이 출력된 경우 또는 제어 부(160)가 화상농도의 검출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감광체(110)의 표면에 정전잠상으로 형성된 후, 중간 전사벨트(125)로 전이된다. 테스트 패턴은 중간 전사벨트(125)에 기지정된 화상영역에 형성된다. 화상영역은 사용자가 실제로 인쇄하는 경우 화상이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설정된 영역이며, 비화상영역은 실제로 인쇄하는 경우 화상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 즉, 토너가 부착되지 않아야 하는 부분으로서 설정된 영역이다. First, the test pattern is formed as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on the surface of the
발광부(145a)는 화상영역 및 비화상영역에 광을 조사하며, 수광부(145b)는 화상영역 및 비화상영역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여 제어부(160)로 출력한다. 이러한 테스트 패턴은 감광체(110)에 형성된 화상토너가 중간 전사벨트(125)에 전이되어 형성된 패턴이다. The
한편, 센서(145)는 중간 전사벨트(125) 뿐만 아니라 감광체(110) 부근에 구비되어, 감광체(110)에 형성된 테스트 패턴으로부터 제1화상농도 및 제2화상농도를 검출할 수도 있다. The
전압 공급부(15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대전롤러(105), 노광부(115), 현상롤러(120b) 및 공급롤러(120c)에 고압의 전압을 각각 공급한다. 정전잠상이 형성된 부분은 테스트 패턴이 형성된 화상영역 또는 비화상영역이 될 수 있다. The
전압 공급부(150)로부터 공급되는 각각의 전압은 검출되는 제1화상농도 및 제2화상농도에 따라 적응적으로 증감한다. Each voltage supplied from the
저장부(155)는 센서(145)로부터 검출된 제1화상농도의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 한 제1기준을 저장하며, 검출된 제2화상농도의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한 제2기준을 저장한다. 제1기준 및 제2기준은 현상기(120)에 수용된 토너가 인쇄물을 출력할만큼 적정한 농도로 구비되어 있는지 판단하기 위한 기준 또는 화상형성에 적합한 농도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다. 제1기준 및 제2기준은 화상형성장치(100)를 설계하는 단계에서 산출된 하나의 고정값 또는 특정 범위를 가질 수 있다.The
제어부(160)는 상술한 각 블럭의 전반적인 동작을 ROM(미도시)과 같은 비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 펌웨어 등을 이용하여 제어한다. 일 예로, 제어부(16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작업 수행시 전압 공급부(150)를 제어하여 노광부(115)가 -60V와 같은 노광전위로 광을 주사하도록 하며, 대전롤러(105)에 -700V와 같은 음전압을 공급함으로써 감광체(110)가 -700V의 표면전위로 대전되도록 한다. 이로써, 음전하를 가지는 토너는 감광체(110) 중 -60V의 노광전위를 갖는 화상영역에 부착되어 화상 또는 테스트 패턴에 대응하는 정전잠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화상이 미형성되는 비화상영역 부분은 -700V의 표면전위를 갖게 된다. The
또한, 제어부(160)는 전압 공급부(150)를 제어하여 공급롤러(120c)에 -500V와 같은 음전압을 공급하고 현상롤러(120b)에 -300V와 같은 음전압을 공급하도록 한다. 이로써, 현상롤러(120b)는 공급롤러(120c)와 현상롤러(120b)의 전위차에 의해 공급롤러(120c)에 부착된 현상액을 인가받고, 인가받은 현상액 중 토너가 감광체(110)의 정전잠상이 형성된 부분에 부착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또한, 제어부(160)는 정해진 매수만큼 인쇄가 수행되면 기설정된 테스트 패턴을 감광체(110) 상에 또는 중간 전사벨트(125)에 형성하고, 센서(145)를 제어하 여 테스트 패턴으로부터 제1화상농도 및 제2화상농도에 상응하는 광을 검출하도록 처리한다. In addition, the
즉, 제어부(160)는 테스트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정보에 대응하는 광을 감광체(110)의 지정된 화상영역에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도록 노광부(115)를 제어하며,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롤러(120b)로부터 토너가 부착되도록 하며, 토너가 부착되어 형성된 토너화상이 중간 전사벨트(125)에 전이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발광부(145a)를 제어하여 중간 전사벨트(125)에 전이되어 형성된 테스트 패턴 및 비화상영역에 광을 주사하도록 하며, 수광부(145b)로부터 수광된 광을 입력받는다.That is, the
제어부(160)는 수광부(145b)로부터 입력되는 광 중 화상영역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제1화상농도를 검출하며, 비화상영역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제2화상농도를 검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검출된 제1화상농도와 저장된 제1기준을 비교하여 비교결과를 기초로 제1화상농도의 증감 또는 토너의 공급여부를 제어하며, 검출된 제2화상농도와 제2기준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기초로 제2화상농도의 증감 또는 토너의 공급여부를 제어한다. The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60)는, 제1화상농도가 제1기준보다 작고, 제2화상농도가 제2기준보다 크면, 토너가 부착되는 화상영역의 전위를 조절하여 제1화상농도가 제1기준에 도달하도록 하며, 비화상영역의 전위를 조절하여 제2화상농도가 제2기준 이하가 되도록 한다. In more detail, if the first image concentration is less than the first criterion and the second image concentration is greater than the second criterion, the
즉, 제어부(160)는 제1화상농도가 제1기준보다 작고, 제2화상농도가 제2기준 보다 크면, 현상기(120)의 토너 공급량이 부족하여 화상농도가 작은 것이 아니며, 토너농도는 적정수준인 것으로 판단하고, 충분히 대전되지 않은 토너가 감광체(110)에 존재함으로써 화상이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 비화상영역에 토너가 부착된 것을 의미한다. 이는, 제2화상농도가 제2기준보다 크다는 것은 토너가 인쇄하기에 적합할 만큼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충분히 대전되지 못한 토너가 감광체(110)의 비화상영역에도 부착되어 중간 전사벨트(125)로 전이된 것을 의미한다.That is, if the first image concentration is less than the first criterion and the second image concentration is greater than the second criterion, the
따라서, 제어부(160)는 제1화상농도는 증가시키고 제2화상농도는 유지하거나 감소시키는 잠상 조건을 수행한다. 제2화상농도를 유지하면서 제1화상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제어부(16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체(110)의 노광전위를 감소하고, 제2화상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제어부(160)는 감광체(110)의 표면전위를 높이도록 전압 공급부(150)를 제어한다. Therefore, the
즉, 제어부(160)는 노광전위를 감소하기 위하여 노광부(115)의 파워를 감소하도록 전압 공급부(150)를 제어하며, 표면전위를 증가하기 위하여 대전롤러(105)로 공급되는 전압을 높이도록 전압 공급부(150)를 제어한다. 노광전위는 파워의 조절 뿐만 아니라 전압이 공급되는 on-time을 조절함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That is, the
여기서, 노광전위를 감소한다는 것은 노광전위의 절대값이 작은 쪽으로 조절하고, 표면전위를 증가한다는 것은 표면전위의 절대값이 큰 쪽으로 조절하는 것이다. 이는, 노광전위의 절대값을 작게 조절하면 토너를 현상롤러(120b)로부터 감광체(110)의 위로 보내는 힘이 커지므로 제1화상농도 또한 증가시킬 수 있으며, 표면전위의 절대값을 크게 조절하면 토너가 현상롤러(120b)로부터 감광체(110)로 가는 힘을 축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Here, decreasing the exposure potential means adjusting the absolute value of the exposure potential to the smaller side, and increasing the surface potential means adjusting the absolute value of the surface potential to the larger side. This means that if the absolute value of the exposure potential is adjusted small, the force to send the toner from the developing
한편, 제어부(160)는 제1화상농도가 제1기준보다 작고, 제2화상농도가 제2기준보다 작으면, 현상기(120)의 토너 공급량이 부족하여 화상농도가 작은 것으로 판단하고, 토너의 공급이 필요함을 외부에게 알람 또는 경고 메시지 등을 통해 알린다. 사용자가 현상기(120) 내에 토너를 공급하면, 제어부(160)는 선택적으로 테스트 패턴을 재형성할 수 있다. 이는, 토너농도가 적절하게 조절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또는 설계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first image concentration is less than the first criterion and the second image concentration is less than the second criterion, the
한편, 제어부(160)는 제1화상농도가 제1기준보다 크면, 제2화상농도의 크기와는 상관없이 제1화상농도를 감소시키는 잠상 조건 또는 현상 조건을 실행한다. 잠상 조건은 노광전위 또는 표면전위를 조절하여 비화상영역에 토너가 부착되지 않도록 하거나 화상영역에 토너가 덜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160)는 제1화상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체(110) 상의 노광전위를 증가시키도록 전압 공급부(150)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160)는 노광전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노광부(115)의 파워를 증가하도록 전압 공급부(150)를 제어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first image concentration is greater than the first criterion, the
제1화상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현상조건을 수행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현상 전계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현상롤러(120b)로부터 감광체(110)로 현상되는 현상량이 감소하도록 처리한다. 또는, 제어부(160)는 토너가 현상되는 on-duty를 줄이고, 감광체(110)로부터 현상롤러(120b)로 토너가 회수되는 off-duty를 증가하여 현상량이 감소하도록 처리한다. 또는 제어부(160)는 현상 주파수를 증가하여 현상 량이 감소하도록 처리할 수도 있다. When the developing condition is performed to reduce the first image concentration, the
도 3은 도 1에 의한 화상농도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 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image density control method according to FIG. 1.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테스트 패턴을 형성하여 제1화상농도 및 제2화상농도를 검출하여야 할 조건에 도달하면, 제어부(160)는 테스트 패턴을 감광체(110) 또는 중간 전사벨트(125)에 형성하도록 대전롤러(105), 감광체(110), 노광부(115), 현상기(120), 중간 전사벨트(125), 지지롤러(130), 제1전사롤러(135), 제2전사롤러(140) 및 전압 공급부(150)를 제어한다(S305). 1 to 3, when a test pattern is formed to reach a condition for detecting the first image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image concentration, the
테스트 패턴이 형성되면, 제어부(160)는 발광부(145a)를 제어하여 광을 테스트 패턴이 형성된 화상영역과 비화상영역에 조사하고, 수광부(145b)로부터 입력되는 광 중 화상영역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제1화상농도를 검출하며, 비화상영역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제2화상농도를 검출한다(S310).When the test pattern is formed, the
S310단계 후, 제어부(160)는 검출된 제1화상농도와 저장된 제1기준을 비교하여 제1화상농도가 제1기준 내에 포함하는지 판단한다(S315). After the step S310, the
제1화상농도가 제1기준 내에 포함되지 않고, 제1기준보다 작으면(S320), 제어부(160)는 제2화상농도와 제2기준을 비교한다(S325). If the first image concentration is not included in the first criterion and is smaller than the first criterion (S320), the
S325단계에서 제2화상농도가 제2기준보다 크면, 제어부(160)는 토너농도는 인쇄하기에 적정한 수준인 것으로 판단한다(S330). 즉, 제어부(160)는 토너 공급량이 부족하여 제1화상농도가 제1기준보다 작은 것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충분히 대전되지 않은 토너가 감광체(110)의 비화상영역에 부착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센 서(145)에 의해 제2화상농도가 센싱된 것으로 판단한다.If the second image concentration is greater than the second criterion in step S325, the
따라서, 제어부(160)는 감광체(110) 상의 노광전위를 조절하여 제1화상농도를 증가시키고(S335), 감광체(110) 상의 표면전위를 조절하여 제2화상농도를 감소시키도록 전압 공급부(150)를 제어한다(S340). S335단계 및 S340단계에서 제어부(16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체(110)의 노광전위를 감소하여 제1화상농도를 증가시키고, 감광체(110)의 표면전위를 증가하여 제2화상농도를 감소시키도록 전압 공급부(150)를 제어한다. Therefore, the
한편, S325단계에서 제2화상농도가 제2기준보다 같거나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60)는 현상기(120)의 토너 공급량이 부족하여 화상농도가 작은 것으로 판단하고, 토너의 공급이 필요함을 사용자에게 알람 또는 경고 메시지 등을 통해 통지한다(S345).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25 that the second image concentration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cond criterion, the
사용자 또는 설계자에 의해 토너가 현상기(120) 내로 공급되면(S350), 제어부(160)는 테스트 패턴을 재형성하도록 각 블록을 제어한다(S355).When the toner is supplied into the
그리고, 제어부(160)는 센서(145)를 이용하여 테스트 패턴이 형성된 화상영역과 비화상영역으로부터 제1화상농도 및 제2화상농도를 재검출한다(S360). The
제1화상농도가 제1기준 내에 존재하면(S365), 제어부(160)는 S350단계에서 화상형성에 적합한 양의 토너가 공급된 것으로 판단한다. 반면, S365단계에서 제1화상농도가 제1기준을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60)는 제2화상농도와 제2기준을 비교한다(S370).If the first image concentration is within the first criterion (S365), the
S370단계에서 제2화상농도가 제2기준보다 크면, 제어부(160)는 S330단계로 진입하여 S330단계 내지 S340단계를 수행하도록 처리한다. 또한, S370단계에서 제2기준이 제2화상농도보다 크면, 제어부(160)는 S345단계로 진입한다.If the second image concentration is greater than the second criterion in step S370, the
한편, S320단계에서 제1화상농도가 제1기준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60)는 토너가 충분히 공급되어 있으며, 토너농도가 화상형성에 적합한 수준인 것으로 판단한다(S375).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20 that the first image concentration is greater than the first criterion, the
다만, 제1화상농도가 제1기준보다 크므로 제어부(160)는 현상롤러(120b)로부터 감광체(110) 상으로 현상되는 현상량이 감소되어 결과적으로 제1화상농도가 감소되는 잠상 조건 또는 현상 조건을 실행한다(S380). 즉, S370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제1화상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체(110) 상의 노광전위를 증가시키도록 전압 공급부(150)를 제어한다. 또는, S370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현상 전계의 크기를 줄이거나 토너가 현상되는 on-duty를 줄이거나 또는 현상 주파수를 증가하여 현상량이 감소하도록 처리한다.However, since the first image concentration is greater than the first criterion, the
도 3에서 S355단계 내지 S370단계는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설계자 또는 사용자가 옵션사항으로 설정함으로써 S355단계 내지 S370단계를 선택적으로 수행 또는 취소할 수 있다. In FIG. 3, steps S355 to S370 may be selectively performed. That is, the designer or the user can selectively perform or cancel the steps S355 to S370 by setting as an option.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100)가 모노 인쇄만을 수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화상형성장치(100)가 컬러 인쇄를 수행하는 경우, YCMK 컬러 각각의 토너를 수용하는 4개의 YCMK 현상기(미도시)는 하나의 감광체(110) 주변에 구비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YMCK 현상기(120Y, 120C, 120M, 120K)가 각각의 감광체(110) 주변에 구비될 수 있다. 각 현상기(120)에 구비된 토 너의 색상만 상이할 뿐 그 외의 동작은 거의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 및 도면부호의 표시는 생략한다. 다만, 도 3의 S305단계 및 S355단계에서, 제어부(160)는 Y 컬러의 테스트 패턴, M 컬러의 테스트 패턴, C 컬러의 테스트 패턴 및 K 컬러의 테스트 패턴을 각각 감광체(110) 또는 중간 전사벨트(125)에 형성하여 화상농도를 검출 및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aking the case where th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농도 제어를 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화상농도 제어방법에 의하면, 토너가 충분히 구비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토너가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오판단하여 토너를 추가공급함으로써 발생하는 토너 비산, 또는 백그라운드 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he image density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the image dens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though the toner is sufficiently provided, it is determined that the toner is not enough and is caused by additional supply of the toner. Toner scattering or background contamination can be prevented.
특히, 본 발명은, 화상영역으로부터 검출된 제1화상농도와 비화상영역으로부터 검출된 제2화상농도를 이용하여 토너농도의 부족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토너가 과공급되는 것을 보다 정확히 방지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can more accurately prevent toner from being supplied by judging whether the toner concentration is insufficient by using the first image concentration detected from the image region and the second image concentration detected from the non-image region.
이와 함께, 본 발명은 제1화상농도가 기저장된 기준보다 작으면서 제2화상농도가 기저장된 기준보다 큰 경우, 백그라운드 오염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토너를 더 공급할 필요없이 감광체에 부착되는 토너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이미지 품질이 개선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at background contamination occurs when the first image concentration is smaller than the previously stored reference and the second image concentration is larger than the previously stored reference, and determines the amount of toner adhered to the photoconductor without further supply of toner. By increasing the image quality can be improv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above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is usually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50958A KR20080103782A (en) | 2007-05-25 | 2007-05-25 | Image form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image density and image density control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50958A KR20080103782A (en) | 2007-05-25 | 2007-05-25 | Image form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image density and image density control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103782A true KR20080103782A (en) | 2008-11-28 |
Family
ID=40288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50958A Withdrawn KR20080103782A (en) | 2007-05-25 | 2007-05-25 | Image form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image density and image density control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103782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94049A1 (en) * | 2015-11-30 | 2017-06-08 | キヤノン株式会社 | Image formation device |
-
2007
- 2007-05-25 KR KR1020070050958A patent/KR20080103782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94049A1 (en) * | 2015-11-30 | 2017-06-08 | キヤノン株式会社 | Image formation device |
JPWO2017094049A1 (en) * | 2015-11-30 | 2018-09-13 | キヤノン株式会社 | Image forming apparatus |
US10146162B2 (en) | 2015-11-30 | 2018-12-04 | Canon Kabushiki Kaisha | Image forming apparatu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09143B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cartridges, and storage devices attached to the cartridges | |
JP4480066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US9977361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 |
US20070134012A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US9696654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image density detector and toner concentration detector | |
US8774649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US8805213B2 (en) | Toner calculation in an image forming device | |
US7149437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system, cartridge and memory medium for the same apparatus | |
JP2008020818A (en)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stabilization method | |
US20120002985A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 |
US9268281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JP2000267366A (en) | Image forming device | |
KR20080103782A (en) | Image form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image density and image density control method thereof | |
US12001152B2 (en) | Toner charging state determination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US8036553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calibration function | |
JP4260085B2 (en) | Development density adjusting device, image forming device | |
JP2011027939A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JP2015087407A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JP4909022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US11874611B2 (en) | Image forming device and fogging margin determination method | |
JP2005227317A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JP5140394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arameter setting method of image forming apparatus | |
JP2011191510A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JP2007086332A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JP2005148355A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2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