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3621A - User-generated content service method using digital rights management - Google Patents
User-generated content service method using digital rights manage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103621A KR20080103621A KR1020070024653A KR20070024653A KR20080103621A KR 20080103621 A KR20080103621 A KR 20080103621A KR 1020070024653 A KR1020070024653 A KR 1020070024653A KR 20070024653 A KR20070024653 A KR 20070024653A KR 20080103621 A KR20080103621 A KR 200801036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ent
- user
- drm
- generated content
- websi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1—Rights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저작권 관리를 이용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제작 컨텐츠 서비스 방법은 DRM을 적용하여 웹사이트에 접속한 클라이언트로부터 업로딩된 컨텐츠를 암호화하는 (a) 단계와,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를 저장하는 (b) 단계와, 상기 저장된 암호화된 컨텐츠를 다운로딩하는 (c) 단계 및 상기 다운로딩된 컨텐츠가 편집되고, 편집된 컨텐츠에 상기 DRM이 적용되어 상기 웹사이트에 등록되는 (d)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generated content service using digital rights management. The method of user-generated content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encrypting uploaded content from a client accessing a website by applying DRM; (B) storing encrypted content, downloading (c) downloading the stored encrypted content, and editing the downloaded content, and applying the DRM to the edited content and registering it on the website. (d) step.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제작 컨텐츠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a user generated conten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eb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li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업로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uploading user-generated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다운로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ownloading user-generated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실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executing user-generated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편집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editing user-generated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Main Parts of Drawings>
110, 130: 웹서버110, 130: web server
150, 180: 클라이언트150, 180: Client
190: 네트워크190: network
195: DRM 서버195: DRM server
본 발명은 디지털 저작권 관리를 이용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를 이용하여 하나의 웹사이트에서만 사용자 제작 컨텐츠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사용자 제작 컨텐츠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generated content service using digital rights manage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user-generated content service method for allowing a user-generated content service to be performed only on one website using digital rights management.
최근, 인터넷의 진화와 디지털 저작툴의 개발에 따라 사용자 제작 컨텐츠(User Created Content; UCC)의 생산과 유통이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사용자 제작 컨텐츠와 관련한 저작권 문제가 새로운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Recently, with the evolution of the Internet and the development of digital authoring tools,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User Created Contents (UCC) is rapidly spreading, and the copyright issue related to user generated contents is emerging as a new issue.
그런데, 이러한 저작권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서 단순히 사용자 제작 컨텐츠에 디지털 저작권 관리(Digital Rights Management, 이하 'DRM'이라 칭하기로 한다)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컨텐츠 저작자의 권리를 보호하고자 한다면 사용자 제작 컨텐츠의 활성화가 위축될 수 있다.However, as a way to solve the copyright problem, if the user wants to protect the rights of the contents author by simply apply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DRM') to user-generated content, activation of user-generated content is required. It can be shrunk.
따라서, 다른 사람에 의하여 생성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에 대한 편집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사용자 제작 컨텐츠의 보급을 활성화시킴과 동시에 사용자 제작 컨텐츠에 대한 저작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for facilitating the dissemination of user-generated content generated by others and activating the dissemination of user-generated content and at the same time protecting the rights of authors for the user-generated content.
본 발명은 DRM을 이용하여 하나의 웹사이트에서 자유롭게 사용자 제작 컨텐츠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user-generated content service freely from a single website using DRM.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 and other obj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제작 컨텐츠 서비스 방법은 DRM을 적용하여 웹사이트에 접속한 클라이언트로부터 업로딩된 컨텐츠를 암호화하는 (a) 단계와,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를 저장하는 (b) 단계와, 상기 저장된 암호화된 컨텐츠를 다운로딩하는 (c) 단계 및 상기 다운로딩된 컨텐츠가 편집되고, 편집된 컨텐츠에 상기 DRM이 적용되어 상기 웹사이트에 등록되는 (d)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user-created content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 encrypting the uploaded content from the client accessing the website by applying the DRM, and storing the encrypted content (b) downloading the stored encrypted content; and (d) registering the downloaded content with the DRM applied to the edited content. do.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제작 컨텐츠 서비스 방법은 웹사이트로부터 DRM이 적용된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a) 단계와, DRM 기능이 구비된 편집기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편집하는 (b) 단계와, 상기 DRM을 적용하여 상기 편집한 컨텐츠를 저장하는 (c) 단계 및 상기 저장한 컨텐츠를 상기 웹사이트로 업로딩하는 (d)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user-created content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 download the content to which the DRM is applied from a website, and using the DRM function editor with the content (B) editing, (c) storing the edited content by applying the DRM, and (d) uploading the stored content to the websit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제작 컨텐츠 서비스 방법은 웹사이트로부터 DRM이 적용된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a) 단계와, 상기 컨텐츠에서 상기 DRM을 해제하는 (b) 단계와, 상기 DRM이 해제된 컨텐츠를 편집하는 (c) 단계 및 상기 편집한 컨텐츠에 상기 DRM을 적용하여 상기 웹사이트로 업로딩하는 (d)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user-created content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downloading the DRM applied content from a website, (b) releasing the DRM from the content, (C) editing the content of which the DRM has been released, and uploading to the website by applying the DRM to the edited content.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제작 컨텐츠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a user generated conten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은 동영상, 정지 영상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저장하거나 이미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제공하는 웹서버들(110, 130)과, 웹서버들(110, 130)에 저장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실행 또는 편집하는 클라이언트들(150, 180) 그리고 웹서버들(110, 130)과 클라이언트들(150, 180)을 유선 또는 무선 매체를 통하여 연결하는 네트워크(19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100)은 DRM 서버(1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네트워크(190)는 일반적인 이동 통신망 또는 인터넷 통신망을 포함하여 데이터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The network 190 may include any type of communication network capable of transmitting data information, including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n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DRM 서버(195)는 네트워크(190)를 통하여 웹서버들(110, 130) 또는 클라이언트들(150, 180)과 접속이 가능하고, 웹서버들(110, 130) 또는 클라이언트들(150, 180)의 요청에 의하여 업로딩되거나 다운로딩되는 사용자 제작 컨텐츠에 대한 DRM 정보를 제공한다.The DRM server 195 may be connected to the web servers 110 and 130 or the clients 150 and 180 through the network 190, and the web servers 110 and 130 or the clients 150 and 180 may be connected. Provides DRM information about user-generated content uploaded or downloaded at the request of.
이 때, 클라이언트들(150, 180)은 사용자들(140, 160)에 의해 제작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웹서버들(110, 130)로 업로딩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웹서버들(110, 130)은 업로딩된 컨텐츠에 DRM을 적용하여 저장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clients 150 and 180 may provide a function of uploading user-generated content produced by the users 140 and 160 to the web servers 110 and 130. 130 stores the uploaded content by applying DRM.
DRM은 무단 복제 및 배포가 용이한 디지털 컨텐츠를 보호하기 위한 기술 개념으로서, 일정한 대가를 지불한 사용자에게만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접근(access)을 허용하거나 암호화된 디지털 컨텐츠를 사용하기 위해서 권리 객체(Right Object; RO)라는 라이센스를 요구하도록 함으로써 디지털 컨텐츠의 불법적인 유통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와 같은 DRM에 관한 종래 기술로는 OMA DRM(Open Mobile Alliance DRM) 기술과 미국 마이크로소프트 사의 DRM 시스템이 있다.DRM is a technology concept for protecting digital content that is easy to copy and distribute. It is a right object to allow access to digital content only to users who pay a certain price or to use encrypted digital content. It is a technology that prevents illegal distribution of digital content by requiring a license called RO). Conventional technologies related to such DRM include OMA DRM (Open Mobile Alliance DRM) technology and US DRM system.
예를 들어, 웹서버A(110)에 DRM이 적용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가 저장된 경우, 사용자A(140)는 웹서버A(110)로부터 상기 저장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다운로딩하여 편집하거나 실행할 수 있다. 이 때, 다운로딩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는 DRM이 적용되었으므로 클라이언트A(150)에도 웹서버A(110)에 탑재된 DRM 시스템과 동일한 DRM 시스템이 탑재되어 있어야 한다.For example, when the user-generated content to which the DRM is applied is stored in the web server A 110, the user A 140 may download and edit or execute the stored user-generated content from the web server A 110. In this case, since the downloaded user-created content has been applied with DRM, the client A 150 should also be equipped with the same DRM system as the DRM system mounted on the web server A 110.
또한, 사용자A(140)가 상기 다운로딩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에 대한 편집을 완료하고, 편집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원래 저장되어 있었던 웹서버A(110)가 아닌 다른 웹서버B(130)로 업로딩하려는 경우 정상적으로 업로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는, 편집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가 업로딩될 때에는 DRM이 적용되기 때문에, 웹서버B(130)에 DRM 시스템이 탑재되지 않거나 탑재되더라도 웹서버A(110)에 탑재된 DRM 시스템과는 다른 DRM 시스템이 탑재된 경우에는 웹서버B(130)로의 업로딩 자체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업로딩되더라도 정상적으로 서비스되기 어렵게 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user A 140 completes the editing of the downloaded user-created content, and uploads the edited user-created content to a web server B 130 other than the web server A 110 that was originally stored. In this case, uploading is not normally performed. Since the DRM is applied when the edited user-created content is uploaded, even if the DRM system is not mounted or mounted on the web server B 130, a DRM system different from the DRM system mounted on the web server A 110 is mounted. In this case, the uploading itself to the web server B 130 may not be performed or may be difficult to be normally serviced even when uploaded.
대신, 사용자A(140)는 편집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웹서버A(110)로 업로딩할 수 있으며, 편집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는 원래의 사용자 제작 컨텐츠와 함께 웹서버A(110)에 저장될 수 있다.Instead, user A 140 may upload the edited user-generated content to web server A 110, and the edited user-generated content may be stored in web server A 110 along with the original user-generated content. .
이와 같은 방식에 따라 임의의 웹서버, 즉 임의의 웹사이트에 등록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는 상기 웹서버에 탑재된 동일한 형태의 DRM 시스템을 구비한 다수의 클라이언트들에 의해 편집 또는 실행이 가능하지만, 편집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 또는 실행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는 다른 웹사이트로는 게시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일정한 요건하에 사용자 제작 컨텐츠의 활용을 가능하게 하면서 동시에 사용자 제작 컨텐츠의 불법적인 유통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is manner, user-generated content registered on any web server, i.e., any web site, can be edited or executed by multiple clients equipped with the same type of DRM system mounted on the web server. The user-produced content or executed user-produced content may not be posted to other websites, thereby enabling the utilization of the user-produced content under certain requirements and at the same time preventing illegal distribution of the user-produced conten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도 1에 도시된 웹서버A(110) 또는 웹서버B(130)에 대응한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eb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rresponds to the web server A 110 or the web server B 130 shown in FIG.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웹서버는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 모 듈(210), 디코딩 모듈(220), 인코딩 모듈(230), DRM 인터페이스 모듈(240), DRM 패키징 모듈(250), 저장 모듈(260) 그리고 다운로딩 처리 모듈(270)을 포함한다.2, the web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 모듈(210)은 네트워크(190)를 통하여 다수의 클라이언트들(150, 180)과의 통신을 수행하면서 업로딩되는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수신하거나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다운로딩한다.The
디코딩 모듈(220)은 업로딩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디코딩하고, 인코딩 모듈(230)은 디코딩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다시 인코딩한다.The
DRM 인터페이스 모듈(240)은 DRM 서버(195)와 연결되어 웹서버가 사용자 제작 컨텐츠에 DRM을 적용하기 위해 필요한 인증키, 암호화키, 권리 객체 등과 같은 DRM 정보들을 DRM 서버(195)로부터 수신한다. 이 때, DRM을 적용한다는 것은 위와 같은 DRM 정보들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암호화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DRM 패키징 모듈(250)은 상기 DRM 정보를 이용하여 인코딩 모듈(130)에 의해 인코딩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암호화한다.The
저장 모듈(260)은 DRM 패키징 모듈(250)에 의해 암호화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저장한다.The
다운로딩 처리 모듈(270)은 클라이언트로부터 다운로딩에 관한 요청이 있는 경우, 저장 모듈(260)에 의해 저장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추출하여 DRM 정보와 사용자 제작 컨텐츠에 대한 속성 정보를 부가한 후, 다운로딩을 위하여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 모듈(210)로 전달한다.If there is a request for downloading from the client, the
이 때, 다운로딩 처리 모듈(270)에 의해 부가되는 DRM 정보에는 웹서버에 의 해 운영되는 웹사이트 정보, 다운로딩하는 클라이언트 정보, 다운로딩을 요청한 사용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속성 정보는 사용자 제작 컨텐츠에 대한 실행 가능 여부 또는 편집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나타낸다.In this case, the DRM information added by the
또한, 다운로딩 처리 모듈(270)은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업로딩한 사용자와 다운로딩한 사용자가 동일한 경우에는 DRM을 해제하여 다운로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도 1에 도시된 클라이언트A(150) 또는 클라이언트B(180)에 대응한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li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rresponds to Client A 150 or Client B 180 shown in FIG.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언트는 서버 인터페이스 모듈(310), 제어 모듈(320), 편집 모듈(330), 컨텐츠 실행 모듈(340) 그리고 사용자 제작 컨텐츠 생성 모듈(35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cli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서버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네트워크(190)를 통하여 웹서버와의 통신을 수행하면서 다운로딩되는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수신하거나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업로딩한다.The
편집 모듈(330)은 다운로딩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편집하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고, 컨텐츠 실행 모듈(340)은 다운로딩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실행하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한다.The
사용자 제작 컨텐츠 생성 모듈(350)은 클라이언트에 연결된 웹 카메라 또는 데이터를 캡쳐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생성한다. 또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생성 모듈(350)은 클라이언트에 연결된 다른 저장 매체와 접속하여 접속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컨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The user-generated
제어 모듈(320)은 서버 인터페이스 모듈(310), 편집 모듈(330), 컨텐츠 실행 모듈(340) 그리고 사용자 제작 컨텐츠 생성 모듈(350)간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편집 모듈(330)과 컨텐츠 실행 모듈(340)은 웹서버에 탑재된 DRM과 동일한 형태의 DRM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만일 DRM 기능이 구비되지 않은 범용 편집 프로그램 또는 범용 컨텐츠 재생기인 경우에는 클라이언트가 DRM 서버(195) 또는 웹서버로부터 DRM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받아 설치할 수 있다. DRM 기능이 구비된 편집 모듈 또는 컨텐츠 실행 모듈은 웹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The
클라이언트는 사용자 제작 컨텐츠에 DRM을 적용하기 위해 필요한 인증키, 암호화키, 권리 객체 등과 같은 DRM 정보들을 웹서버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으나 DRM 서버(195)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으며, 이를 위해 DRM 서버(195)와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client may receive DRM information such as an authentication key, encryption key, rights object, etc. necessary for applying DRM to user-generated content from the web server, but may also receive it from the DRM server 195, and for this purpose, the DRM server 195 It may further comprise an interface means for communication with.
이하,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제작 컨텐츠 서비스가 제공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providing a user-generated content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illustrated in FIGS. 2 and 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이 때, 본 명세서에서의 '사용자 제작 컨텐츠 서비스'는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웹서버에 업로딩하거나, 웹서버에 저장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클라이언트가 다운로딩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제작 컨텐츠 서비스'는 클라이언트가 웹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다운로딩하여 실행하거나 편집하는 것을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user-generated content servic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uploading the user-generated content to the web server or downloading the user-generated content stored in the web server by the client. In addition, the 'user-generated content service' includes a client downloading and executing or editing user-generated content stored in a web server.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업로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로서 최초로 사용자 제작 컨텐츠가 등록되는 과정으로 이 해될 수 있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uploading user-generated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be understood as a process of registering user-generated content for the first time.
우선 클라이언트의 사용자 제작 컨텐츠 생성 모듈(350)에 의해 사용자 제작 컨텐츠가 생성된다(S410). 이 때, 생성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는 편집 모듈(330)에 의한 편집이 가능하다.First, user-generated content is generated by the user-generated
제어 모듈(320)은 웹서버가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하고 서버 인터페이스 모듈(310)을 통하여 상기 생성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업로딩하는데(S420), 이 경우 효율적인 업로딩을 위해 제어 모듈(320)은 생성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인코딩하여 업로딩하며, 클라이언트를 식별하는 정보 또는 컨텐츠를 업로딩하는 사용자의 정보도 함께 업로딩될 수 있다.The
웹서버의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 모듈(210)은 클라이언트로부터 업로딩되는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코딩 모듈(220)로 전달하면, 디코딩 모듈(220)은 전달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디코딩한 후, 웹서버의 운용에 적합하도록 인코딩 모듈(230)은 디코딩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다시 인코딩한다(S430).When the
그리고 나서, DRM 패키징 모듈(250)은 인코딩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에 DRM을 적용하여 패키지화한다(S440). 이 때, DRM 적용 시 필요한 DRM 정보는 사용자 제작 컨텐츠가 업로딩될 때 함께 수신되거나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DRM 인터페이스 모듈(240)을 통하여 제공받을 수도 있다. 상기 DRM 정보의 예로서 인증키, 암호화키, 권리 객체, 사용자 정보, 클라이언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n, the
저장 모듈이 DRM 패키징 모듈(250)에 의해 DRM 패키징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저장함으로써 사용자 제작 컨텐츠의 업로딩과정이 종료하게 된다(S450).The storage module stores the DRM packaged user-generated content by 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다운로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ownloading user-generated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웹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다운로딩하는 경우 다운로딩 처리 모듈(270)은 저장 모듈(260)에 의해 저장된 DRM 컨텐츠 중에서 해당하는 DRM 컨텐츠를 추출한다(S510). 이 때, DRM 컨텐츠는 DRM 패키징 모듈(250)에 의해 패키징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의미한다.When the user downloads the user-generated content stored in the web server, the downloading
다운로딩 처리 모듈(270)은 다운로딩을 요청한 사용자가 추출한 DRM 컨텐츠를 업로딩한 사용자, 즉 컨텐츠 게시자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별한다(S520). 이러한 판별은 사용자가 클라이언트를 통하여 웹서버에 접속시 이용되는 사용자 정보(예: 사용자 식별 정보 또는 비밀 번호)를 기초로 수행될 수 있다.The downloading
만일, 컨텐츠 게시자와 다운로딩하는 사용자가 동일한 경우에는 사용자 제작 컨텐츠에 적용된 DRM을 해제하고(S530),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DRM 정보를 부가한다(S540). 부가되는 DRM 정보에는 클라이언트 정보, 웹서버의 웹사이트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If the content publisher and the downloading user are the same, the DRM applied to the user-generated content is released (S530). Otherwise, the DRM information is added (S540). The added DRM information may include client information and website information of a web server.
그리고 나서, 다운로딩 처리 모듈(270)은 사용자 제작 컨텐츠에 대한 실행 가능 여부 또는 편집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나타내는 속성 정보를 부가한 후(S550), 요청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 모듈(210)을 통하여 클라이언트로 다운로딩한다(S560).Then, the downloading
상기 속성 정보에 따라 다운로딩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는 편집은 허용되지 않고 실행만 되거나, 편집과 실행이 모두 허용될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속성 정 보의 내용은 해당하는 사용자 제작 컨텐츠가 업로딩될 때 업로딩하는 사용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The user-generated content downloaded according to the attribute information is not allowed to be edited but can be executed only, or both editing and execution can be allowed, and the content of the attribute information is uploaded when the corresponding user-generated content is uploaded. Can be determined by the user.
한편, 컨텐츠 게시자와 다운로딩하는 사용자가 동일한 경우 다운로딩 처리 모듈(270)은 사용자 제작 컨텐츠에 적용된 DRM을 해제한 후 별도의 속성 정보를 부가하지 않은 채 그대로 클라이언트로 다운로딩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ent publisher and the downloading user are the same, the downloading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실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executing user-generated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5에 도시된 방식에 따라 클라이언트의 서버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웹서버에서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DRM이 적용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는다(S610).First, according to the method illustrated in FIG. 5, the
그리고 나서, 제어 모듈(320)은 클라이언트에 DRM 기능이 구비된 플레이어가 존재하고 있는지, 즉 컨텐츠 실행 모듈(340)이 DRM 기능을 제공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620).Then, the
만일, 클라이언트에 탑재된 컨텐츠 실행 모듈(340)이 단순히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실행하는 기능만을 제공한다면, 제어 모듈(320)은 별도의 DRM 소프트웨어가 클라이언트에 탑재되어 있는지를 검사한다(S630). 이 때, 상기 DRM 소프트웨어는 상기 웹서버에 탑재된 DRM 시스템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상기 웹서버에 의해 제공되어 클라이언트에 설치될 수 있다.If the
만일, 상기 DRM 소프트웨어 조차도 클라이언트에 탑재되지 않은 경우에, 제어 모듈(320)은 다운로딩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의 실행이 불가능하다는 메시지를 클라이언트의 화면을 통하여 디스플레이한다(S640).If even the DRM software is not mounted on the client, the
한편, 컨텐츠 실행 모듈(340)이 DRM 기능을 제공하거나, 별도의 DRM 소프트웨어가 클라이언트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컨텐츠 실행 모듈(340) 또는 DRM 소프트웨어는 DRM 정보를 확인하여 컨텐츠를 실행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검사한다(S650).On the other hand, if the
만일 컨텐츠를 실행하려는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임이 확인된 경우, 컨텐츠 실행 모듈(340)은 다운로딩한 컨텐츠가 실행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별한다(S660). If it is confirmed that the user who wants to execute the content is a legitimate user, the
컨텐츠의 실행 가능 여부는 컨텐츠를 다운로딩할 때 함께 첨부된 속성 정보에 의해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속성 정보가 실행 불가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정당한 사용자임이 인정되더라도 실행되지 않는다. 이 때, 조건부 속성 정보에 따라 실행 가능 여부가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나이, 성별) 또는 클라이언트 정보(IP 주소)에 따라 해당하는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만 실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Whether the content can be executed or not can be determined by attribute information attached when the content is downloaded. For example, if the attribute information is set to not executable, it is not executed even if it is recognized as a legitimate user. In this case, whether or not it may be executed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nditional attribute information. For example, it may be executed only when a corresponding condition is satisfied according to user information (age, gender) or client information (IP address).
DRM 정보 확인에 의해 정당한 사용자임이 인정되면, 다운로딩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에 대한 DRM을 해제하여 암호화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복호하게 된다. If it is recognized that the user is a legitimate user by confirming the DRM information, the DRM of the downloaded user-generated content is released to decrypt the encrypted user-generated content.
S660 단계가 수행된 후, 다운로딩한 컨텐츠에 대한 실행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제어 모듈(320) 또는 컨텐츠 실행 모듈(340)은 다운로딩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의 실행이 불가능하다는 메시지를 클라이언트의 화면을 통하여 디스플레이한다(S640).After the operation S660 is performed, if it is determined that execution of the downloaded content is not possible, the
한편, 다운로딩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에 대한 실행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컨텐츠 실행 모듈(670)은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디코딩하여 실행하게 된다(S670).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execution of the downloaded user-generated content is possible, the content execution module 670 decodes and executes the user-generated content (S670).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편집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editing user-generated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5에 도시된 방식에 따라 클라이언트의 서버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웹서버에서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DRM이 적용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는다(S710).First, according to the method illustrated in FIG. 5, the
그리고 나서, 제어 모듈(320)은 클라이언트에 DRM 기능이 구비된 편지기가 존재하는지, 즉 편집 모듈(330)이 DRM 기능을 제공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720).Then, the
만일, 클라이언트에 탑재된 편집 모듈(330)이 단순히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편집하는 기능만을 제공한다면, 제어 모듈(320)은 별도의 DRM 소프트웨어가 클라이언트에 탑재되어 있는지를 검사한다(S730). 이 때, 상기 DRM 소프트웨어는 상기 웹서버에 탑재된 DRM 시스템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상기 웹서버에 의해 제공되어 클라이언트에 설치될 수 있다.If the
만일, 상기 DRM 소프트웨어 조차도 클라이언트에 탑재되지 않은 경우에, 제어 모듈(320)은 다운로딩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의 편집이 불가능하다는 메시지를 클라이언트의 화면을 통하여 디스플레이한다(S740).If even the DRM software is not mounted on the client, the
한편, 편집 모듈(330)이 DRM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편집 모듈(330)은 DRM 정보를 확인하여 컨텐츠를 편집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검사한다(S750). 이 때 이용될 수 있는 DRM 정보는 웹사이트 정보, 사용자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만일 컨텐츠를 편집하려는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임이 확인된 경우, 편집 모듈(330)은 다운로딩한 컨텐츠의 편집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별한다(S760).If it is confirmed that the user who wants to edit the content is a legitimate user, the
컨텐츠의 편집 가능 여부는 컨텐츠를 다운로딩할 때 함께 첨부된 속성 정보에 의해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속성 정보가 편집 불가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정당한 사용자임이 인정되더라도 편집 모듈(330)에 의해 편집이 수행되지 않는다. 이 때, 조건부 속성 정보에 따라 편집 가능 여부가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나이, 성별) 또는 클라이언트 정보(IP 주소)에 따라 해당하는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만 편집되도록 할 수도 있다.Whether the content can be edited can be determined by attribute information attached when the content is downloaded. For example, when the attribute information is set to not editable, editing is not performed by the
DRM 정보 확인에 의해 정당한 사용자임이 인정되면, 다운로딩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에 대한 DRM을 해제하여 암호화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복호하게 된다. If it is recognized that the user is a legitimate user by confirming the DRM information, the DRM of the downloaded user-generated content is released to decrypt the encrypted user-generated content.
S760 단계가 수행된 후, 다운로딩한 컨텐츠에 대한 편집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제어 모듈(320) 또는 편집 모듈(330)은 다운로딩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의 편집이 불가능하다는 메시지를 클라이언트의 화면을 통하여 디스플레이한다(S740).After the operation S760 is performed, if it is determined that editing of the downloaded content is not possible, the
한편, 다운로딩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에 대한 편집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사용자는 편집 모듈(330)에 의해 제공되는 편집 수단을 이용하여 다운로딩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편집하게 된다(S770). 사용자가 편집을 마친 후, 편집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저장하는 경우 편집 모듈(330)은 편집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에 DRM을 적용하고, 제어 모듈(320)은 편집 이전의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다운로딩하였던 웹사이트에 편집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업로딩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 편집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파일 형태로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editing of the downloaded user-generated content is possible, the user edits the downloaded user-generated content using the editing means provided by the editing module 330 (S770). After the user finishes editing, if the user saves the edited user-generated content, the
한편, S730 단계에서 별도의 DRM 소프트웨어가 클라이언트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DRM 소프트웨어는 범용 편집기를 제어한다. 이 때, 상기 범용 편집기는 자체적으로는 DRM 기능을 제공하지 않으며 상기 DRM 소프트웨어의 통제하에 편집을 수행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범용 편집기를 이용하여 편집을 수행하려고 하면 상기 DRM 소프트웨어는 다운로드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에 적용된 DRM을 해제한다(S780). 여기에서 DRM을 해제한다고 하는 것은 DRM 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컨텐츠를 복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DRM 소프트웨어는 상기 범용 편집기로 하여금 사용자 제작 컨텐츠의 편집을 수행하도록 한 후(S782), 편집이 종료되어 저장되는 경우에 다시 DRM을 적용하게 된다(S784). 이 때, 편집한 사용자의 정보가 부가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separate DRM software exists in the client in step S730, the DRM software controls the general-purpose editor. At this time, the general-purpose editor does not provide a DRM function by itself and performs editing under the control of the DRM software. That is, when the user attempts to edit using the general-purpose editor, the DRM software releases the DRM applied to the downloaded user-generated content (S780). Herein, releasing the DRM may be understood as decrypting the encrypted content using the DRM information. Thereafter, the DRM software causes the general-purpose editor to edit user-generated content (S782), and then applies DRM again when the editing is finished and stored (S784). At this time, the edited user's information may be added.
위와 같은 방식에 의해 편집이 끝난 후 원래의 웹사이트에 등록을 하면 다른 사용자들이 다운로딩하거나 실행할 수 있지만, 다른 웹사이트에 등록을 하면 적용되는 DRM이 상이하므로 위와 같은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게 된다.If you register on the original website after editing as above, other users can download or execute it, but if you register on another website, DRM is different so the above service is not provided.
만일 편집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가 원래의 웹사이트로 업로딩되지 않고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된 경우, 다른 사용자가 원래의 웹사이트에 가입하고 DRM 기능을 제공하는 플레이어 또는 편집기를 갖고 있거나 앞서 언급한 DRM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받아 설치한 경우라면 다른 사용자에 의한 실행 또는 편집이 가능하다. If the edited user-generated content is delivered to another user rather than uploaded to the original website, the other user has a player or editor that subscribes to the original website and provides DRM functionality or downloads the aforementioned DRM software. If it is installed, it can be executed or edited by other users.
한편,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term 'module'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refers to software or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an FPGA or an ASIC, and the module plays a role. However, modules are not meant to be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The module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play one or more processors. Thus, as an example, a module may include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and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procedures, subroutines. ,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s,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ality provided within the components and module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module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modules. In addition, the components and modules may be implemented to play one or more CPUs in a device or secure multimedia car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I can understand that.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본 발명을 따르게 되면, 하나의 웹사이트에서만 사용자 제작 컨텐츠가 서비스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제작 컨텐츠의 불법적인 유통을 방지할 수 있고, 웹서버를 이용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 서비스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user-generated content can be serviced only in one website, it is possible to prevent illegal distribution of user-generated content and to activate user-generated content service using a web server. .
Claims (1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24653A KR20080103621A (en) | 2007-03-13 | 2007-03-13 | User-generated content service method using digital rights manage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24653A KR20080103621A (en) | 2007-03-13 | 2007-03-13 | User-generated content service method using digital rights managem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103621A true KR20080103621A (en) | 2008-11-28 |
Family
ID=40288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24653A KR20080103621A (en) | 2007-03-13 | 2007-03-13 | User-generated content service method using digital rights manage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103621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62802B1 (en) * | 2011-06-09 | 2014-02-13 | 송영승 | Video editing market place service method |
KR20180043676A (en) * | 2016-10-20 | 2018-04-30 | 주식회사 파수닷컴 | A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right management function in gateway server communicated with user terminal |
KR20180043679A (en) * | 2016-10-20 | 2018-04-30 | 주식회사 파수닷컴 | A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right management function in cloud storage server communicated with gateway server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30586A (en) * | 2001-10-11 | 2003-04-18 | 박연일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Digital Contents |
JP2004139184A (en) * | 2002-10-15 | 2004-05-13 | Toshiba Corp | Contents management processing system and contents management processing method |
KR20060028240A (en) * | 2004-09-24 | 2006-03-29 | (주)잉카엔트웍스 | Sound source editing method and device |
KR20060046663A (en) * | 2004-04-09 | 2006-05-17 |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 License Creation Device, License Cre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
KR20060072461A (en) * | 2004-12-23 | 2006-06-28 |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 Copyright and Content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Materials Modifiable in P2P Environment |
-
2007
- 2007-03-13 KR KR1020070024653A patent/KR20080103621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30586A (en) * | 2001-10-11 | 2003-04-18 | 박연일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Digital Contents |
JP2004139184A (en) * | 2002-10-15 | 2004-05-13 | Toshiba Corp | Contents management processing system and contents management processing method |
KR20060046663A (en) * | 2004-04-09 | 2006-05-17 |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 License Creation Device, License Cre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
KR20060028240A (en) * | 2004-09-24 | 2006-03-29 | (주)잉카엔트웍스 | Sound source editing method and device |
KR20060072461A (en) * | 2004-12-23 | 2006-06-28 |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 Copyright and Content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Materials Modifiable in P2P Environment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62802B1 (en) * | 2011-06-09 | 2014-02-13 | 송영승 | Video editing market place service method |
KR20180043676A (en) * | 2016-10-20 | 2018-04-30 | 주식회사 파수닷컴 | A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right management function in gateway server communicated with user terminal |
KR20180043679A (en) * | 2016-10-20 | 2018-04-30 | 주식회사 파수닷컴 | A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right management function in cloud storage server communicated with gateway serv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90080098A1 (en) | System and method to protect user privacy in multimedia uploaded to internet sites | |
US8935532B2 (en) | Content distribution and aggregation | |
US8671452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rights object from one device to another device via server | |
CN104581214B (en) | Multimedia content guard method based on ARM TrustZone systems and device | |
US8793492B2 (en) | Methods and systems for scalable distribution of protected content | |
CN101243434B (en) | Remotely accessing protected files via streaming | |
KR100467929B1 (en) | System for protecting and managing digital contents | |
US20040054920A1 (en) | Live digital rights management | |
KR20080035940A (en) | DDR provis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 |
KR20020083851A (en) | Method of protecting and managing digital contents and system for using thereof | |
CN103649962A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digital contents with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
CN103620609A (en) | Method for playing digital contents protected with a DRM (digital right management) scheme and corresponding system | |
US20090228450A1 (en) | Digital right management cli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as well as digital right management system | |
US10095848B2 (en) |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ly distributing content | |
CN102075790A (en) | Method for distributing and encrypting streaming media | |
US20120109784A1 (en) |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ng protection of media files for download | |
Wang et al. | CS-DRM: a cloud-based SIM DRM scheme for mobile internet | |
CN103617378A (en) | DRM content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mobile intelligent terminal | |
US20070112679A1 (en) | Digital rights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 |
CN111083530B (en) | DRM integration method, system,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Internet broadcast control platform | |
US9455961B2 (en) |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ly distributing content | |
KR20080103621A (en) | User-generated content service method using digital rights management | |
CN103442020B (en) | The method sharing digital license authorization certificate between terminal unit | |
KR100885722B1 (en) | User-generated content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 |
CN100530211C (en) | Personalized digital copyright protection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5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811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05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