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98860A - 건조기 - Google Patents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8860A
KR20080098860A KR1020070044225A KR20070044225A KR20080098860A KR 20080098860 A KR20080098860 A KR 20080098860A KR 1020070044225 A KR1020070044225 A KR 1020070044225A KR 20070044225 A KR20070044225 A KR 20070044225A KR 20080098860 A KR20080098860 A KR 20080098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exhaust
air
pass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4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종 섭 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온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온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온금속
Priority to KR1020070044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8860A/ko
Publication of KR20080098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88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48Control of the energy consump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3Supply-air or gas fil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6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6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uxiliary conditioning or finishing agents, e.g. filling level of perfume tanks
    • D06F2103/62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uxiliary conditioning or finishing agents, e.g. filling level of perfume tanks related to systems for water or steam used for conditioning or finish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20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내부에 피건조물이 수납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와; 내부에 흡,배기팬이 설치된 흡,배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흡기통로에는 히터가 설치되며, 상기 흡기팬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상기 히터로 가열한 후 상기 공간부 내부로 불어 넣어 상기 피건조물을 건조함과 아울러 상기 건조과정에서 발생되는 고온 다습한 공기를 상기 배기팬을 통해 외부로 연속적 배출하여 환기시키는 건조환기장치와; 상기 흡,배기통로가 교차하는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흡,배기통로를 통과하는 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현열교환기; 및 상기 흡,배기팬 및 상기 히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건조환기장치를 통해 공기를 캐비닛 내,외부로 급기 및 배기시키면서 피건조물이 건조되도록 함으로서, 피건조물을 신속하고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고, 건조과정에 따른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에너지 소비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조기{Dry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조기의 캐비닛 내부구조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조환기장치의 내부구조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가 세탁기에 적용된 예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14 : 응축수 트레이
20 : 현열교환기 200 : 캐비닛
201 : 공간부 202 : 격벽부
203 : 통기공 204 : 공기순환통로
205 : 개구부 220 : 건조환기장치
231,232 : 흡,배기관 233, 234 : 배기/흡기안내관
235 : 분기관 250 : 송풍팬
a, b : 흡기통로 c, d : 배기통로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기 내부의 피건조물을 신속하고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고,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에너지 소비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 내에서 세탁물을 건조시키게 되면 젖은 세탁물이 서로 겹쳐 건조시간이 오래 소요되었고, 건조시 의류에 많은 구김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으므로 보다 양호한 독립형 의류건조기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건조기능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는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382524호, 제10-0382505호, 제10-0418900호 등 다수 개가 있다. 이와 같은 세탁기 내에 건조기능을 갖는 건조기들은 형태와 기능의 차이만 다소 있을 뿐, 내부 내용물에 직접 열풍을 가해 건조시키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음은 모두 동일하며 따라서, 코일, 히터등 열풍수단에 전원을 인가하고 지속적인 열풍을 송풍하여 의류를 건조시키기에 수백 내지 수천W( Watt )의 비교적 많은 전력이 소비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세탁기와 별도로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는 독립적인 건조기가 사용된 바 있으며, 이러한 종래의 의류건조기는 캐비닛, 캐비닛 도어, 행거, 캐비닛 내부공기를 가열할 수 있는 히터 및 환풍기, 통기구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세탁기와 별개로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의류 건조기는 건조기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의류에 부딪혀 일부 공간에만 분산될 뿐, 건조기 내부에 전체적으로 원활히 이동되기에는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의류의 건조가 골고루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했던 문제가 있었고, 폐쇄된 건조기 공간 내부에 히터를 통해 고온(70∼80℃ 이상)의 공기를 불어넣어 세탁물을 건조하기 때문에 고온 다습한 공기의 영향으로 세탁물의 건조상태가 양호하지 못하고, 필요 이상의 에너지를 소비하여 열효율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건조물의 건조과정에서 발생되는 고온 다습한 공기를 배기팬을 통해 외부로 연속적 배출하여 환기시키는 것과 동시에 건조환기장치의 흡,배기통로가 교차하는 부분에 현열교환기를 설치하여 출입되는 공기 사이에 현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피건조물을 신속하고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고, 동시에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여 건조기의 열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건조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송풍팬을 이용하여 많은 양의 공기를 빠른 속도로 피건조물에 공급하여 건조하는 동시에 건조과정을 거친 고온 다습한 공기를 배기터보팬을 이용하여 외부로 지속적으로 배출 환기시킴으로써 공간부 내부의 습도를 낮추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조건에서 피건조물이 신속하고 빠르게 건조되도록 하고, 이로 인해 히터에 의한 열소비량을 줄여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건조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건조물의 건조과정을 거쳐 배출되는 고온의 공기중 일부를 송풍팬을 이용하여 다시 피건조물에 불어넣어 건조시키도록 함으로써 열회수율을 높여서 열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건조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내부에 피건조물이 수납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와; 내부에 흡,배기팬이 설치된 흡,배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흡기통로에는 히터가 설치되며, 상기 흡기팬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상기 히터로 가열한 후 상기 공간부 내부로 불어 넣어 상기 피건조물을 건조함과 아울러 상기 건조과정에서 발생되는 고온 다습한 공기를 상기 배기팬을 통해 외부로 연속적 배출하여 환기시키는 건조환기장치와; 상기 흡,배기통로가 교차하는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흡,배기통로를 통과하는 공기 사이에 현열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현열교환기; 및 상기 흡,배기팬 및 상기 히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는, 상기 피건조대상물이 수납되는 공간부와 상기 건조환기장치의 배기통로와 연통되는 공기순환통로를 구획하는 격벽부와; 상기 공간부와 상기 공기순환통로 사이에 공기의 출입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격벽부에 형성된 통기공과; 상기 격벽부에 설치되며, 상기 흡기통로를 따라 흡입되는 공기와 상기 공간부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공기순환통로를 따라 순환되는 공기의 일부를 상기 공간부 내부로 강제 송풍하는 송풍팬; 및 상기 배기통로와 연통되며 상기 공기순환통로 내부를 따라 순환되는 공기를 상기 배기통로측으로 안내하는 배기안내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는, 상기 피건조대상물이 수납되는 공간부와 상기 건조환기장치의 배기통로와 연통되는 공기순환통로를 구획하는 격벽부와; 상기 공간부와 상기 공기순환통로 사이에 공기의 출입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격벽부에 형성된 통기공과; 상기 흡기통로 및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며 상기 흡기통로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상기 공간부 내측으로 안내하는 흡기안내관과; 상기 배기통로와 연통되며 상기 공기순환통로 내부를 따라 순환되는 공기를 상기 배기통로측으로 안내하는 배기안내관; 및 상기 공간부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공기순환통로를 따라 순환되는 공기의 일부가 상기 공간부 내부로 다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흡기안내관으로부터 분기 설치되는 분기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배기통로상에는 상기 현열교환기에 의한 현열교환 과정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수집 및 배출하는 응축수 처리부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응축수 처리부는, 상기 현열교환 과정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수집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 내부에 수집된 응축수가 외부로 유도되어 배수되는 응축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현열교환기의 일측 모서리부는 상기 본체의 내면에 지지되고 타측 모서리부는 상기 흡,배기통로를 구획하는 격벽에 의해 지지되되, 그 내부에는 상기 흡,배기통로와 각각 연통하는 다수의 흡,배기로가 형성되고, 상기 흡,배기로의 경계부분에는 불투수성 열교환막이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외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캐비닛 내부구조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환기장치의 상세구조를 보여주는 상세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 내부의 공기 순환과정을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내부에 피건조물인 세탁된 상태의 의류가 수납되는 공간부(201)가 형성된 캐비닛(200)과, 상기 캐비닛(200)의 전면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210)와, 내부에 흡,배기터보팬(12)(11)이 설치된 흡,배기통로(a,b)(c,d)가 형성되고, 상기 흡기통로(b)에는 히터(30)가 설치되며, 상기 흡기터보팬(12)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상기 히터(30)로 가열한 후 상기 공간부(201) 내부로 불어 넣어 상기 세탁된 의류를 건조함과 아울러 상기 건조과정에서 발생되는 고온 다습한 공기를 상기 배기터보팬(11)을 통해 외부로 연속적 배출하여 환기시키도록 하는 건조환기장치(220)와, 상기 흡,배기터보팬(12)(11) 및 상기 히터(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캐비닛(200)의 내부에는 세탁된 의류가 수납되는 공간부(201) 및 상기 건조환기장치(220)의 배기통로(c,d)와 연통되는 공기순환통로(204)를 구획하는 격벽부(202)와, 상기 공간부(201)와 상기 공기순환통로(204) 사이에 공기의 출입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격벽부(202)에 형성된 통기공(203)과, 상기 격벽부(202)에 설치되며, 상기 흡기통로(a,b)를 따라 흡입되는 공기와 상기 공간부(201)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공기순환통로(204)를 따라 순환되는 공기의 일부를 상기 공간부(201) 내부로 강제 송풍하는 송풍팬(240) 및 상기 배기통로(c,d)와 연통되며 상기 공기순환통로(204) 내부를 따라 순환되는 공기를 상기 배기통로(c,d)측으로 안내하는 배기안내관(23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건조환기장치(220)는 흡기관(231) 및 배기관(232)을 통해 캐비닛(200)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배기관(232)은 상기 캐비닛(200) 내측에 배치된 배기안내관(233)과 서로 연결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 격벽부(202)는 캐비닛(200)의 내부면 일측과 소정거리 이격된 구조를 이루며 공간부(201)와 공기순환통로(204)를 구획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격벽부(202)는 상판과 하판, 그리고 상기 상,하판을 서로 연결하는 측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상판의 중앙에는 원형의 개구부(20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205)에는 건조환기장치(220)를 거쳐 캐비닛(200)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의류가 수납되는 상기 격벽부(202) 내부로 강제 송풍시키도록 하는 송풍팬(24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기안내관(233)은 배기관(232)의 단부로부터 연결되어 격벽부(202)의 상판과 수평을 유지하며 공기순환통로(204)의 수직통로 주위까지 연장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 격벽부(202) 내에는 세탁된 상태의 의류를 걸어놓을 수 있도록 행거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행거는 상,하부에 일정 이격 간격을 유지하며 2단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격벽부(202)의 하판 일측에는 원형으로 천공된 다수의 통기공(203)이 형성되어, 공간부(201) 내부의 공기가 공기순환통로(204)상으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흡기관(231)을 통해 캐비닛(200) 내부로 유입된 고온의 공기는 송풍팬(240)을 통해 공간부(201)로 송풍되어 의류의 건조과정을 거치게 되고, 상기 공간부(201) 내부에서 건조과정을 거친 공기는 상기 통기공(203)을 통해 공기순환통로(204)로 배출되는데, 상기 배출되는 공기중 일부는 송풍팬(240)을 거쳐 다시 공간부(201) 내부로 유입되는 순환과정을 거치게 되고, 나머지 일부는 배기안내관(233)으로 유입되어 건조환기장치(220)의 배기통로(c,d)를 거쳐 외부로 배기되는 것이다.
상기 건조환기장치(220) 내부의 흡,배기통로(a,b)(c,d)가 서로 교차하는 부분에는 상기 흡,배기통로(a,b)(c,d)를 통과하는 공기 사이에 현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현열교환기(20)가 설치된다.
상기 건조환기장치(220)는 내부공간에 흡기통로(a,b)와 배기통로(c,d)가 형성되고 현열교환기(20)에 의해 상기 현열교환기(20)를 통해 출입되는 공기를 열교 환시키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흡기통로(a,b)와 연통되어 외부공기가 흡입 이송되는 흡기관(71, 231) 및 배기통로(c,d)와 연통되어 캐비닛(200) 내부의 실내공기가 배기 이송되는 배기관(72, 2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의 흡기통로(a,b)상에는 외부공기를 강제로 흡입하기 위한 흡기터보팬(12)과, 상기 흡기터보팬(12)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일정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히터(30)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10)의 배기통로(c)상에는 캐비닛(200)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배기시키기 위한 배기터보팬(11)이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배기통로(d)상에는 상기 현열교환기(20)에 의한 현열교환 과정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수집 및 배출하기 위한 응축수 처리부가 더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응축수 처리부는 상기 현열교환 과정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수집되는 응축수 트레이(14)와, 상기 응축수 트레이(14) 내부에 수집된 응축수가 외부로 유도되어 배수되는 응축수관(7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는 상기 흡기 및 배기터보팬(12,11)과 상기 히터(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도시안됨)와, 상기 제어부를 원격제어할 수 있는 제어 컨트롤러(도시안됨)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건조환기장치(220)는 제어 컨트롤러를 작동하여 외부의 공기를 흡기 및 가열한 후 캐비닛(200) 내부로 송풍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킴과 동시에 상기 건조과정을 거친 고온의 공기를 건조기 외부로 배기시키도록 하는 건조기능과 공기순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본체(10)는 직사각형 케이스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그 상면부에는 외 부에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도어(도시안됨)가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상면부 도어는 좌우로 여닫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바, 상기 도어를 통해 본체(10) 내부에 장착된 흡,배기터보팬(12)(11), 히터(30) 및 필터(41,42) 등을 자유롭게 교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본체(10)의 흡기통로(a,b)와 배기통로(c,d)는 본체(10)의 내부공간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교차되게 형성되는데, 상기 교차되는 부분에 현열교환기(2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현열교환기(20)는 판형 현열교환기로서 그 전,후 모서리부는 본체(10)의 내벽면에 의해 지지되고, 그, 좌,우 모서리부는 흡기통로(a,b)와 배기통로(c,d)를 구획하는 격벽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열교환기(20) 내부에는 흡기통로(a,b)와 연통하는 다수의 흡기로(미도시)와, 배기통로(c,d)와 연통되는 다수의 배기로(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흡기로와 배기로의 경계부분에는 열전도 효율이 뛰어난 열교환막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열교환막은 수증기의 통과가 불가능한 불투수성 재질의 얇은 판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바, 상기 열교환막을 사이에 두고 출입되는 공기 사이의 열교환은 가능하게 하는 반면 수증기의 교환은 불가능하게 하는 현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습기를 머금지 않은 건조한 공기를 이용하여 피건조물을 빠르고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현열교환 과정에서 흡,배기통로(a,b)(c,d)로 출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지 않은 저온(30~50℃)임을 감안한다면, 상기 열교환막을 저온의 열에도 쉽게 변형되지 않은 합성수지 재질의 불투수성 열교환막으로 적 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되면 전체적인 장치의 중량 및 제작 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얻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건조환기장치(220)의 작동시 캐비닛(200) 내부의 실내공기와 화장실 외부의 외부공기는 현열교환기(20)를 통과하면서 서로 열교환 과정을 거치도록 되며, 이러한 현열교환의 과정에서 캐비닛(200) 외부로 배기되는 실내공기의 에너지는 회수되고, 상기 회수된 에너지는 외부에서 급기되는 실외공기에 흡수되어 다시 캐비닛(200) 내부에 급기됨으로써 열효율을 증대시켜 세탁물의 건조가 보다 신속하고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흡기통로(b)에 설치되는 히터(30)로는 PTC 히터(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heater)가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흡기관(71)과 캐비닛(200) 내부의 실내공기를 배기하는 배기관(73)은 외부와 연통된 건물 내 공동구와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하거나, 직접 건물 외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판형 현열교환기(20)는 캐비닛(200) 내,외부로 흡기 및 배기되는 공기가 현열교환되는 과정에서 배기되는 다습한 공기가 응축되면서 응축수가 생성되는데, 상기 배기통로(d)에는 상기 현열교환 과정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받아 수집하기 위한 응축수 트레이(14)가 마련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응축수 트레이(14)는 현열교환기(20)의 경사면에서 낙하하는 응축수를 모두 유입시켜 처리할 수 있도록 현열교환기(20)의 판 형태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크기로 되어 있으며, 상기 응축수 트레이(14)의 후방에는 외부의 수직배수 관(4)과 연통된 응축수관(77)이 연결되어 상기 응축수 트레이(14)에 수집된 응축수가 상기 응축수관(77)을 거쳐 상기 수직배수관(4)을 따라 흐르는 다른 폐수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본체(10)에는 흡,배기통로(a,b)(c,d)를 통해 흡입 및 배출되는 공기 속에 모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필터(41, 42)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필터(41, 42)는 판형 현열교환기(20)의 각 경사면을 완전히 덮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건조기에는 캐비닛(200)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감지센서 및 습도감지센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온도감지센서 및 습도감지센서는 건조환기장치(220)의 작동을 원격제어하는 제어 컨트롤러와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건조환기장치(220)의 흡기터보팬(12)의 작동에 의해 흡기통로(a,b)를 따라 흡입된 외부공기는 히터(30)에 의해 일정온도로 가열된 후 격벽부(202) 상부에 있는 송풍팬(240)을 통해 의류가 수납된 공간부(201) 내부로 송풍되어 고온의 열풍으로 의류를 건조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건조과정을 거친 내부의 고온 다습한 공기는 격벽부(202) 하부에 있는 통기공(203)을 통해 공기순환통로(204)로 배출된 후, 일부는 송풍팬(240)을 거쳐 다시 공간부(201) 내부로 유입되어 피건조물을 순환 건조시키게 되고, 나머지 일부는 배기터보팬(11)의 작동에 의해 배기안내관(233) 내부로 유입된 후 배기통로(c,d)를 거쳐 건조환기장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현열교환기(20)에 의한 현열교환 과정에서 배기통로(c,d)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는 고온의 공기에 포함된 에너지가 회수되고, 회수된 에너지는 흡기통로(a,b)를 거쳐 흡입되는 외부공기에 다시 흡수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고, 건조대상물의 건조작업이 보다 신속하고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때, 세탁된 의류의 건조과정을 수행할 때, 공간부(201) 내부의 온도는 바람직하게 40∼50 ℃를 유지할 수 있도록 수행된다.
그리고, 현열교환기(20)를 거쳐 외부로 배기되는 공기의 현열교환 과정에서 생성되는 응축수는 배기통로(d)의 하부에 설치된 응축수 트레이(14)에 모아져서 응축수관(7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격벽부(202) 상단에 설치된 송풍팬(240)은 공간부(201) 내부의 대류가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하고, 외부공기를 상기 공간부(201) 내부로 신속하게 급기시켜 세탁된 의류에 송풍되도록 함으로써 피건조물의 건조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 구조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건조기는 캐비닛(200)의 내부가 상기 세탁된 의류가 수납되는 공간부(201) 및 건조환기장치(220)의 배기통로(c,d)와 연통되는 공기순환통로(204)를 구획하는 격벽부(202)와, 상기 공간부(201)와 상기 공기순환통로(204) 사이에 공기의 출입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격벽부(202)에 형성된 통기공(203)과, 상기 흡기통로(a,b) 및 상기 공간부(201)와 연통 되며 상기 흡기통로(a,b)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상기 공간부(201) 내측으로 안내하는 흡기안내관(234)과, 상기 배기통로(c,d)와 연통되며 상기 공기순환통로(204) 내부를 따라 순환되는 공기를 상기 배기통로(c,d)측으로 안내하는 배기안내관(233) 및 상기 공간부(201)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공기순환통로(204)를 따라 순환되는 공기의 일부가 상기 공간부(201) 내부로 다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흡기안내관(234)으로부터 분기 설치되는 분기관(2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건조환기장치(220)에 연결된 흡기관(231)의 단부에 흡기통로(a,b) 및 공간부(201)와 연결하도록 흡기안내관(234)을 설치하여, 상기 건조환기장치(220)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흡기관(231)을 거쳐 상기 공간부(201) 내부로 직접 유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흡기안내관(234)의 일측에는 분기관(235)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흡기안내관(234)을 따라 공간부(201)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에 의해 공기순환통로(204)상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일부가 상기 분기관(235)을 통해 다시 공간부(201) 내부로 유입되어 계속되는 순환 건조과정을 거치도록 하고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흡기안내관(234)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공간부(201) 내부로 직접 유입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전술된 제1실시예의 송풍팬이 필요없는 구조이며, 따라서, 장치의 구성을 전술된 제1실시예보다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고 제작에 따른 비용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건조기가 세탁기와 조합되어 설치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건조기는 세탁기(300)의 상부에 결 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바, 세탁기(300)를 통해 세탁된 세탁물을 상부에 위치한 건조기에 바로 집어넣어 건조시킴으로써, 세탁과 건조의 일련의 작업을 한 장소에서 수행할 수 있어서 편의성이 향상되고, 종래의 세탁기 내에서 세탁과 건조작업을 동시에 하는 경우에 비해 건조가 신속하고 빠르게 진행될 수 있고 세탁물의 구겨짐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세탁기와 건조기의 조합에 따른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통상의 의류 건조에 사용되는 건조기를 일 실시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 밖에 식품이나 농수산물 또는 약품 등 다양한 형태를 갖는 피건조물의 건조작업에 동일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건조기는 건조환기장치의 흡,배기통로가 교차하는 부분에 현열교환기를 설치함으로써, 흡,배기통로를 통과하는 공기 사이에 현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배출되는 공기에 의한 열회수율을 높여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송풍팬을 이용하여 많은 양의 공기를 빠른 속도로 공간부 내부로 불어 넣음과 동시에 건조과정을 거친 고온 다습한 공기를 배기터보팬을 이용하여 외부로 지속적으로 배출 환기시킴으로써 공간부 내부의 습도를 낮추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30∼50℃)의 조건에서도 피건조물이 신속하고 빠르게 건조될 수 있고, 아울러 히터에 의한 열소비량도 줄어들어 히터에 의한 에너지 소비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피건조물의 건조과정을 거쳐 배출되는 고온의 공기중 일부를 송풍팬을 이용하여 다시 피건조물에 불어넣어 건조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열회수율을 높여서 열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격벽부 상부에 흡입되는 공기의 풍량 및 풍속을 증가시키기 위한 별도의 송풍팬을 설치함으로써, 피건조물의 건조작업이 빠르고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어서 건조효율을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조기는 저온의 공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흡,배기통로로 출입되는 공기의 현열교환 과정에서도 열교환막을 통해 전달되는 온도가 상대적으로 저온이기 때문에 얇은 판 형태, 예컨대 합성수지재질로 된 얇은 판 형태의 열교환막이 적용도 충분히 가능해져서 장치의 중량 및 제작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현열교환기 내부에 설치되는 열교환막을 얇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불투수성 열교환막으로 채용하게 되면, 열교환막에 의한 현열교환 과정에서 열(온도)의 교환은 가능해지는 반면 습기의 교환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습기를 머금지 않은 상대적으로 건조한 저온의 공기를 이용하여 피건조물을 빠르고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고, 따라서 피건조물의 건조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조기를 세탁기에 적용할 경우 상기 세탁기를 통해 세탁된 세탁물을 건조기에 바로 집어넣어 건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세탁과 건조의 일련의 작업을 한 장소에서 수행할 수 있어서 편의성이 향상되고, 종래의 세탁기 내에서 세탁과 건조작업을 동시에 하는 경우에 비해 건조가 신속하고 빠르게 진행될 수 있고 세탁물의 구겨짐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세탁기와 건조기의 조합에 따른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내부에 피건조물이 수납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와;
    내부에 흡,배기팬이 설치된 흡,배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흡기통로에는 히터가 설치되며, 상기 흡기팬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상기 히터로 가열한 후 상기 공간부 내부로 불어 넣어 상기 피건조물을 건조함과 아울러 상기 건조과정에서 발생되는 고온 다습한 공기를 상기 배기팬을 통해 외부로 연속적 배출하여 환기시키는 건조환기장치와;
    상기 흡,배기통로가 교차하는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흡,배기통로를 통과하는 공기 사이에 현열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현열교환기; 및
    상기 흡,배기팬 및 상기 히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는,
    상기 피건조물이 수납되는 공간부와 상기 건조환기장치의 배기통로와 연통되는 공기순환통로를 구획하는 격벽부와;
    상기 공간부와 상기 공기순환통로 사이에 공기의 출입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격벽부에 형성된 통기공과;
    상기 격벽부에 설치되며, 상기 흡기통로를 따라 흡입되는 공기와 상기 공간부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공기순환통로를 따라 순환되는 공기의 일부를 상기 공간부 내부로 강제 송풍하는 송풍팬; 및
    상기 배기통로와 연통되며 상기 공기순환통로 내부를 따라 순환되는 공기를 상기 배기통로측으로 안내하는 배기안내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는,
    상기 피건조물이 수납되는 공간부와 상기 건조환기장치의 배기통로와 연통되는 공기순환통로를 구획하는 격벽부와;
    상기 공간부와 상기 공기순환통로 사이에 공기의 출입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격벽부에 형성된 통기공과;
    상기 흡기통로 및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며 상기 흡기통로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상기 공간부 내측으로 안내하는 흡기안내관과;
    상기 배기통로와 연통되며 상기 공기순환통로 내부를 따라 순환되는 공기를 상기 배기통로측으로 안내하는 배기안내관; 및
    상기 공간부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공기순환통로를 따라 순환되는 공기의 일부가 상기 공간부 내부로 다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흡기안내관으로부터 분기 설치되는 분기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통로상에는 상기 현열교환기에 의한 현열교환 과정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수집 및 배출하는 응축수 처리부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처리부는,
    상기 현열교환 과정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수집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 내부에 수집된 응축수가 외부로 유도되어 배수되는 응축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현열교환기의 일측 모서리부는 상기 본체의 내면에 지지되고 타측 모서리부는 상기 흡,배기통로를 구획하는 격벽에 의해 지지되되, 그 내부에는 상기 흡,배기통로와 각각 연통하는 다수의 흡,배기로가 형성되고, 상기 흡,배기로의 경계부분에는 불투수성 열교환막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KR1020070044225A 2007-05-07 2007-05-07 건조기 KR200800988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225A KR20080098860A (ko) 2007-05-07 2007-05-07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225A KR20080098860A (ko) 2007-05-07 2007-05-07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8860A true KR20080098860A (ko) 2008-11-12

Family

ID=40286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4225A KR20080098860A (ko) 2007-05-07 2007-05-07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8860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68028A3 (en) * 2008-12-09 2010-09-23 Lg Electronics Inc. Fabric treating apparatus
WO2010074478A3 (en) * 2008-12-22 2010-09-23 Lg Electronics Inc. Fabric treating apparatus
CN103276571A (zh) * 2008-12-09 2013-09-04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设备
KR101321527B1 (ko) * 2013-03-27 2013-10-28 조철휘 열교환기를 활용한 건조기
CN103966818A (zh) * 2013-01-24 2014-08-06 海尔集团公司 一种直接加热式干衣柜
KR101445382B1 (ko) * 2013-12-05 2014-10-06 노찬주 빨래 건조장치
CN104532524A (zh) * 2014-11-28 2015-04-22 上海伯涵热能科技有限公司 一种深度除湿设备侧向安置热泵干衣柜
KR101525568B1 (ko) * 2008-12-09 2015-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CN107345360A (zh) * 2017-06-30 2017-11-14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衣物护理机及衣物护理方法
KR102249080B1 (ko) * 2020-10-15 2021-05-07 엠씨테크놀로지(주) 현열 교환형 급속건조 의류관리 장치
WO2023158232A1 (ko) * 2022-02-18 2023-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74313B2 (en) 2008-12-09 2015-07-07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102301061B (zh) * 2008-12-09 2014-06-18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设备
CN103276571B (zh) * 2008-12-09 2015-10-28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设备
US8296967B2 (en) 2008-12-09 2012-10-30 Lg Electronics Inc. Fabric treating apparatus
WO2010068028A3 (en) * 2008-12-09 2010-09-23 Lg Electronics Inc. Fabric treating apparatus
CN103276571A (zh) * 2008-12-09 2013-09-04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设备
KR101525568B1 (ko) * 2008-12-09 2015-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CN102301062B (zh) * 2008-12-09 2013-12-25 Lg电子株式会社 织物处理设备
WO2010074478A3 (en) * 2008-12-22 2010-09-23 Lg Electronics Inc. Fabric treating apparatus
CN102264974B (zh) * 2008-12-22 2013-10-23 Lg电子株式会社 织物处理设备
US8505340B2 (en) 2008-12-22 2013-08-13 Lg Electronics Inc. Fabric treating apparatus
CN102264974A (zh) * 2008-12-22 2011-11-30 Lg电子株式会社 织物处理设备
CN103966818A (zh) * 2013-01-24 2014-08-06 海尔集团公司 一种直接加热式干衣柜
KR101321527B1 (ko) * 2013-03-27 2013-10-28 조철휘 열교환기를 활용한 건조기
WO2014157953A1 (ko) * 2013-03-27 2014-10-02 Cho Chul Hui 열교환기를 활용한 건조기
KR101445382B1 (ko) * 2013-12-05 2014-10-06 노찬주 빨래 건조장치
CN104532524A (zh) * 2014-11-28 2015-04-22 上海伯涵热能科技有限公司 一种深度除湿设备侧向安置热泵干衣柜
CN107345360A (zh) * 2017-06-30 2017-11-14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衣物护理机及衣物护理方法
KR102249080B1 (ko) * 2020-10-15 2021-05-07 엠씨테크놀로지(주) 현열 교환형 급속건조 의류관리 장치
WO2023158232A1 (ko) * 2022-02-18 2023-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98860A (ko) 건조기
CN102286872B (zh) 一种带热泵烘干和除湿功能的洗衣干衣机
KR100697020B1 (ko) 건조 겸용 세탁기
CN102517861B (zh) 干衣温度检测控制方法及干衣机
KR100861831B1 (ko) 세탁 건조기
US20100154248A1 (en) Dryer with heat pump and recirculation component and also method for its operation
KR100388004B1 (ko) 의류 건조기
KR101186151B1 (ko) 에너지 절약형 건조기
CN102517857A (zh) 一种具有余热回收功能的干衣冷凝用热交换系统及干衣机
KR101436754B1 (ko) 옷 건조시스템
KR102100473B1 (ko) 폐열 회수수단을 갖는 의류처리장치
CN107558128B (zh) 衣物干燥设备及其控制方法
US20060272173A1 (en) Laundry dryer
KR101809130B1 (ko) 의류건조기
KR20140107819A (ko) 의류처리장치
CN102505439B (zh) 一种干衣方法及干衣机
CN105332252A (zh) 一种滚筒干衣机
EP2123823B1 (en) Home laundry drier
KR102082608B1 (ko) 저온 방염 의류 건조기
WO2016015377A1 (zh) 一种滚筒干衣机及干衣方法
JPH1033896A (ja) 衣類乾燥機
JP3229815U (ja) 加湿装置を備えた乾燥機
KR101663523B1 (ko) 세탁물 처리장치
JPH03289999A (ja) 衣類乾燥機
JPH03207399A (ja) 衣類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8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812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08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