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6265A - Piezoelectric element and piezoelectric actuator using the piezoelectric element - Google Patents
Piezoelectric element and piezoelectric actuator using the piezoelectric ele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96265A KR20080096265A KR1020070041502A KR20070041502A KR20080096265A KR 20080096265 A KR20080096265 A KR 20080096265A KR 1020070041502 A KR1020070041502 A KR 1020070041502A KR 20070041502 A KR20070041502 A KR 20070041502A KR 20080096265 A KR20080096265 A KR 2008009626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ezoelectric element
- expanding mechanism
- piezoelectric
- displacement expanding
- vibr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005—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non-specific motion; Details common to machines covered by H02N2/02 - H02N2/16
- H02N2/001—Driving devices, e.g. vibrators
- H02N2/003—Driving devices, e.g. vibrators using longitudinal or radial modes combined with bending modes
- H02N2/004—Rectangular vibrato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005—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non-specific motion; Details common to machines covered by H02N2/02 - H02N2/16
- H02N2/005—Mechanical details, e.g. housings
- H02N2/0055—Supports for driving or driven bodies; Means for pressing driving body against driven body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005—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non-specific motion; Details common to machines covered by H02N2/02 - H02N2/16
- H02N2/0075—Electrical details, e.g. drive or control circuits or methods
- H02N2/008—Means for controlling vibration frequency or phase, e.g. for resonance track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 H02N2/06—Drive 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or method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5—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active materials
- H10N30/853—Ceramic composi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8—Mounts; Supports; Enclosures; Cas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진동 모드가 동일한 주파수의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압전 소자 및 상기 압전 소자를 이용한 압전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는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면 굽힘방향 및 종방향으로 독립적으로 진동하는 선형 외팔보 형태의 압전소자, 상기 압전 소자의 각 면에 고정 배치되는 변위확대기구, 제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압전소자는 굽힘방향 진동의 공진모드와 종방향 진동의 공진모드가 동일한 주파수의 전류에 의해 발생되도록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ezoelectric element in which two vibration modes are generated by currents of the same frequency and a piezoelectric actuator using the piezoelectric element. The piezoelectric actuator includes a linear cantilever-shaped piezoelectric element that vibrates independently in a bending direction and a longitudinal direction when an electrical signal is input, a displacement expanding mechanism fixedly disposed on each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and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 The piezoelectric ele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resonance mode of the bending vibration and the resonance mode of the longitudinal vibration are generated by the current of the same frequency.
본 발명에 의하여, 압전 액추에이터는 압전소자가 동일한 주파수의 전류에 의해 종방향의 진동의 공진모드 및 굴곡방향의 진동의 공진모드가 동시에 발생되도록 설계함으로써, 압전 액추에이터의 변위를 더 확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로 인하여 더욱 빠르고 정확한 위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iezoelectric actuator is designed such that the resonance mode of the longitudinal vibration and the resonance mode of the vibration in the bending direction are simultaneously generated by the current of the same frequency, thereby further expanding the displacement of the piezoelectric actuator. . In addition, this allows for faster and more accurate position control.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압전 액추에이터의 압전 소자를 도시한 평면도.1 is a plan view showing a piezoelectric element of a conventional piezoelectric actuator.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의 압전소자의 굽힘방향 진동의 2차 굽힘 모드 및 1차 종진동모드를 각각 나타낸 도면.2 (a) and 2 (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econdary bending mode and a primary longitudinal vibration mode of vibration in a bending direction of a piezoelectric element of a piezoelectric actu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의 압전 소자로의 전류 인가에 따른 이동방향들을 도시한 도면들.3 and 4 are diagrams showing moving directions of application of current to a piezoelectric element of a piezoelectric actu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iezoelectric actu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whole;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및 동작을 설명하는 구성도.6 (a) and 6 (b)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a perspective view and an operation of the piezoelectric actua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40 : 압전 액추에이터20, 40: piezo actuator
23, 43 : 압전소자23, 43: piezoelectric element
25, 45 : 제1 세라믹팁25, 45: first ceramic tip
27, 47 : 제2 세라믹팁27, 47: second ceramic tip
48 : 제3 세라믹팁48: third ceramic tip
31 : 제1고정플레이트31: first fixing plate
33 : 제2고정플레이트33: second fixing plate
41 : 이동 플레이트41: moving plate
49 : 고정 플레이트49: fixed plate
본 발명은 압전 소자 및 상기 압전 소자를 이용한 압전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2개의 공진 모드가 동일한 주파수의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압전 소자 및 상기 압전 소자를 이용하여 진동 변위를 더욱 확대시킨 압전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ezoelectric element and a piezoelectric actuator using the piezoelectric element, and more particularly, a piezoelectric element in which two resonance modes are generated by a current of the same frequency and a piezoelectric element further expanding vibration displacement by using the piezoelectric element. It relates to an actuator.
도 1은 종래의 압전 액추에이터의 압전 소자를 도시한 평면도이다.1 is a plan view showing a piezoelectric element of a conventional piezoelectric actuator.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압전소자(13)는 선형 외팔보 형태의 직육면체 형태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conventional
상기 압전소자(13)는 4개의 분극 영역, 즉 제1분극영역(13a), 제2분극영역(13b), 제3분극영역(13c), 제4분극영역(13d)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4개의 분극영역은 두께 방향으로 동일한 분극 방향을 갖는다. 4개의 분극영역(13a,13b,13c,13d)은 동일한 크기를 가지고 두 개의 열을 이루며 배열된다. 그리고 4개의 분극 영역 (13a,13b,13c,13d)상에는 각각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The
상기 제1분극영역(13a) 및 제4분극영역(13d)은 동일한 분극방향을 갖고, 상 기 제2분극영역(13b) 및 제3분극영역(13c)은 제1분극영역(13a) 과 반대 방향의 분극 방향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1분극영역(13a) 및 제4분극영역(13d) 그리고, 상기 제2분극영역(13b) 및 제3분극영역(13c)은 각각 리드와이어(미도시)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The
상기 제1분극영역(13a) 및 제4분극영역(13d)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제1분극영역(13a) 및 제4분극영역(13d)에서 압전효과가 발생하게 되고, 반대로 상기 제2분극영역(13b) 및 제3분극영역(13c)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제2분극영역(13b) 및 제3분극영역(13c)에서 압전효과가 발생하게 되어 상기 압전소자(13)가 수축 팽창하게 된다.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종래 기술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는 일반적으로 단일의 공진 모드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으며, 혹은 구조 진동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는 발생되는 변위가 작고, 압전 액추에이터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Piezoelectric actuators according to the prior art generally rely on a single resonant mode in many cases, or may not use structural vibration. The piezoelectric actu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the displacement generated is small and the piezoelectric actuator cannot be accurately controlled.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굽힘방향의 진동과 종방향의 진동의 공진 모드가 동일한 주파수의 전류에 의해 발생되도록 한 압전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is to provide a piezoelectric element in which the resonance mode of the vibration in the bending direction and the vibr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generated by the current of the same frequenc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압전 소자를 이용하여 진동 변위를 더욱 확대시키고, 이로 인해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위치 제어가 가능한 압전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urther expand the vibration displacement by using the above-described piezoelectric element, thereby providing a piezoelectric actuator capable of quicker and more accurate position control.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는,Piezoelectric actuator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면 굽힘방향과 종방향으로 독립적으로 진동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선형 외팔보 형태의 압전소자,Piezoelectric element of linear cantilever shape of rectangular parallelepiped that vibrates independently in the bending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an electrical signal is input,
상기 압전소자의 제1 면의 진동 위상이 같아지는 2차 굽힘모드의 좌/우 절점들에 각각 고정 장착되는 제1 변위 확대기구,A first displacement expanding mechanism fixedly mounted to left and right nodes of the secondary bending mode in which the vibration phases of the first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are the same;
상기 압전 소자의 제1면과 반대되는 제2면에 고정 장착되는 제2 변위 확대 기구,A second displacement expanding mechanism fixedly mounted to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상기 제1 변위 확대기구와 연결되어 전응력을 제공하는 제1 고정 플레이트,A first fixing plate connected to the first displacement expanding mechanism to provide a total stress;
상기 제2 변위 확대기구와 연결되어 전응력을 제공하는 제2 고정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A second fixing plate connected to the second displacement expanding mechanism to provide a total stress;
상기 압전소자는 2개의 공진 모드가 동일한 주파수의 전류에 의하여 발생하며, 상기 2개의 공진 모드는 굽힘방향 진동의 공진모드와 종방향 진동의 공진모드이며, 상기 굽힘방향 진동의 공진모드가 2차 굽힘모드이고, 상기 종방향 진동의 공진모드가 1차 종진동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iezoelectric element, two resonance modes are generated by a current having the same frequency, and the two resonance modes are a resonance mode of bending direction vibration and a resonance mode of longitudinal vibration, and the resonance mode of bending direction vibration is secondary bending. Mode, the resonance mode of the longitudinal vibration is the primary longitudinal vibration mode.
전술한 특징을 갖는 압전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 및 제2 변위 확대기구는 세라믹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iezoelectric actuator having the above-mentioned characteristic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displacement expanding mechanisms are ceramic tips.
전술한 특징을 갖는 압전 액추에이터는, 만약 상기 압전 소자에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압전소자가 선형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iezoelectric actuator having the above-mentioned characteristic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iezoelectric element is linearly moved if an electrical signal is input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는, On the other hand, the piezoelectric actuator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면 굽힘방향과 종방향으로 독립적으로 진동하는 선형 외팔보 형태의 압전소자,Piezoelectric element of linear cantilever shape that vibrates independently in the bending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an electrical signal is input,
상기 압전소자의 제1면에 고정 배치되되, 진동 모드의 위상(phase)이 같아지는 좌/우 절점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변위 확대기구,A first displacement expanding mechanism fixedly dispos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the first displacement expanding mechanism being disposed at left and right nodes in which the phases of the vibration modes are the same;
상기 압전소자의 제1면의 반대되는 제2면에 고정 배치되는 제2 변위 확대 기구,A second displacement expanding mechanism fixedly disposed on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상기 제1 변위 확대기구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 변위 확대기구로 전응력을 제공하는 이동 플레이트,A moving plate movably connected to the first displacement expanding mechanism to provide total stress to the first displacement expanding mechanism;
상기 제2 변위 확대기구 및 압전 소자에 고정 연결되어 상기 제2 변위 확대기구로 전응력을 제공하는 고정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A fixed plate fixedly connected to the second displacement expanding mechanism and the piezoelectric element to provide total stress to the second displacement expanding mechanism;
상기 압전 소자는 2개의 진동 모드가 동일한 주파수의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The piezoelectric ele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vibration modes are generated by the current of the same frequency,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는, 만약 상기 압전 소자에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1 변위 확대 기구에 타원형 궤적 운동이 발생하며, 상기 제1 변위 확대기구의 타원형 궤적 운동에 의하여 상기 이동 플레이트가 선형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iezoelectric actuator, if an electrical signal is appli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an elliptic locus motion occurs in the first displacement expanding mechanism, and the moving plate moves linearly by an elliptical locus motion of the first displacement expanding mechanism.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압전 소자는 소정의 길이, 두께, 높이를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부로부터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면 굽힘 방향과 종방향으로 독립적으로 진동하는 선형 외팔보 형태로 이루어지며, The piezoelectric element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hickness, and height, and is formed in a linear cantilever shape that vibrates independently in a bending direction and a longitudinal direction when an electrical signal is input from the outside.
상기 길이를 조절하거나 상기 높이와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2개의 공진 모드 가 동일한 주파수의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By adjusting the length or adjusting the height and thickness, the two resonance modes are generated by the current of the same frequency,
상기 2개의 공진 모드는 굽힘 방향 진동의 공진모드와 종방향 진동의 공진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two resonance modes are the resonance mode of the bending vibration and the resonance mode of the longitudinal vibra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의 압전소자의 굽힘방향 진동의 2차 굽힘모드 및 1차 종진동모드를 각각 나타낸 도면들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의 압전 소자로의 전류 인가에 따른 이동방향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들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2 (a) and 2 (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econdary bending mode and a primary longitudinal vibration mode of vibration in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of the piezoelectric actu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4 is a view illustrating the moving directions of the piezoelectric actu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Figure 5 is a view showing the piezoelectric actu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whole One perspective view.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소자(23)와, 상기 압전소자(23)의 상부 면에 좌우로 대칭되도록 각각 고정 배치되는 제1 세라믹팁들(25)과, 상기 압전소자(23)의 하부면의 중앙에 고정 배치되는 제2세라믹팁(27)과, 상기 제1 세라믹팁들(25)과 연결되는 제1 고정플레이트(31)와, 상기 제2세라믹팁(27)과 연결되는 제2 고정플레이트(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5, the
상기 압전소자(23)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분극 영역, 즉 제1분극영역(23a), 제2분극영역(23b), 제3분극영역(23c), 제4분극영역(23d)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4개의 분극영역은 두께 방향으로 동일한 분극 방향을 갖는다. 4개의 분극영역(23a,23b,23c,23d)은 동일한 크기를 가지고 두 개의 열을 이루며 배열된다. 그리고 4개의 분극 영역 (23a,23b,23c,23d)상에는 각각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상기 제1분극영역(23a) 및 제4분극영역(23d)은 동일한 분극방향을 갖고, 상기 제2분극영역(23b) 및 제3분극영역(23c)은 제1분극영역(23a)과 반대 방향의 분극 방향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1분극영역(23a) 및 제4분극영역(23d) 그리고, 상기 제2분극영역(23b) 및 제3분극영역(23c)은 각각 리드와이어(미도시)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The
상기 압전 소자(23)는, 소정의 길이, 두께, 높이를 가지는 선형 외팔보 형태의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부로부터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면 굽힘 방향과 종방향으로 독립적으로 진동한다. 상기 압전 소자(23)는 길이를 조절하거나 상기 높이와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2개의 공진 모드가 동일한 주파수의 전류에 의해 발생되도록 설계되며, 상기 2개의 공진 모드는 굽힘 방향 진동의 공진모드와 종방향 진동의 공진모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압전 소자는 굽힘 방향 진동의 공진 모드가 2차 굽힘 모드이고, 종방향 진동의 공진 모드가 1차 종진동 모드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The
상기 외팔보 형태의 압전소자(23)는 길이방향, 높이방향, 두께방향의 x, y, z의 길이를 튜닝하면 모든 진동 모드가 변하게 되는데, 여기서 적절한 x, y, z의 길이를 설정하면서, 앞서 설명한 1차 종진동 모드와 2차 굽힘모드의 주파수가 동일한 영역이 되도록 사전에 시뮬레이션한다. 이는 FEM해석에 의한 방법으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으며 실험을 통해서도 도출할 수 있다.When the cantilever-shaped
이와 같은 설계로 인하여,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20)는 입력 전류의 주파수를 그 구조체가 가진 공진 주파수 중 하나와 일치시키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주파수에 해당하는 모드 형상(앞에서 지칭한 2차 굽힘모드, 1차 종진동 모드 등이 이에 해당)을 보이며 보다 큰 변위를 증폭하게 된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이러한 공진 모드들은 서로 독립적이지만 중첩효과를 내기 때문에 두 가지 공진 모드를 동시에 발생시키게 되면 그 변위의 증폭 효과는 더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한다.Due to this design, when the
나아가, 이러한 굽힘방향 및 종진동방향의 진동의 공진 모드가 동시에 발생하게 될 때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세라믹팁(25)의 위치가 결정된다. Furthermore, when the resonance modes of the vibrations in the bending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vibration direction occur at the same time, as shown in FIG. 5, the position of the first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압전소자(23)에 부착된 제1세라믹팁(25) 및 제2세라믹팁(27)에서 타원형 궤적 운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2차 굽힘모드에서의 타원형 궤적 운동의 진동 위상이 같아지는 절점에 각각 제1세라믹팁(25)이 각각 배치되도록 설계된다.3 and 4, an elliptic locus motion occurs in the first
한편,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31)의 제1면은 상기 제1 세라믹팁(25)에 고정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의 제1면과 반대되는 제2면은 스프링등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는 상기 스프링 등의 압축력에 의해 상기 제1세라믹팁(25)으로 전응력(Pre-Load)을 가하게 된다. Meanwhile, a first surface of the
상기 제2고정플레이트(33)의 제1면은 상기 제2 세라믹팁(27)에 연결되어 있 으며 상기 제2 고정플레이트의 제1면과 반대되는 제2면은 스프링등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고정플레이트는 스프링등으로부터 제공되는 압축력에 의해 상기 제2 세라믹팁(25)으로 전응력을 가하게 된다. The first surface of the
여기서 상기 전응력은 상기 제1고정플레이트(31) 및 제2고정플레이트(33)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미도시)의 압축력을 이용하여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total stress is preferably generated using a compressive force of a spring (not shown)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2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상기 압전 소자(23)의 상기 제1분극영역(23a) 및 제4분극영역(23d), 또는 제2분극영역(23b) 및 제3 분극영역(23c)에 설정된 주파수의 전류를 인가하면,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전소자(23)가 수축 팽창하여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20)의 압전 소자가 좌/우측으로 선형 이동한다.When a current having a frequency set to the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분극영역(23a) 및 제4분극영역(23d)로의 전류 입력에 의하여 상기 압전소자(23)가 진동하게 되면, 상기 제1세라믹팁(25) 및 제2세라믹팁(27)이 각각 제1 및 제2 고정플레이트(31,33)의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압축되어 있으므로, 상기 압전소자(23)가 직접 우측으로 직선운동하게 된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3, when the
이 때에, 상기 스프링에 의한 전응력, 즉 압축력이 너무 강하여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20)의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힘보다 크면, 상기 압전소자(23)의 구동이 불가능하다. 또한 압축력이 너무 약하면 운동의 전달이 효과적으로 이뤄지지 않아 서, 연속적인 운동이 되지 못하고 비선형적인 구동이 되는 경우가 발생된다.At this time, if the total stress by the spring, that is, the compressive force is too strong and greater than the force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따라서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스프링의 압축력을 사전에 조절하여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20)의 전응력을 조절한다는 단계가 필요하다.Therefore, in order to design the piezoelectric actuator,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prestress of the
반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분극영역(23b) 및 제3분극영역(23c)에 전류를 인가하면,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20)의 압전 소자(23)가 동일한 원리로 좌측으로 선형 이동하게 된다.On the contrary, as shown in FIG. 4,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의 (b)는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한다. FIG. 6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iezoelectric actu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B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driving of the piezoelectric actuator. 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a piezoelectric actu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40)는 압전소자(43), 상기 압전소자(43)의 상부 면에 좌우로 대칭되도록 각각 고정 배치되는 제1 세라믹팁들(45), 상기 제1 세라믹팁들(45)과 연결되는 이동 플레이트(41), 상기 압전 소자(43)의 하부중앙에 고정 배치되는 제2세라믹팁(47), 상기 압전소자(43)의 좌우 측면에 각각 고정 배치되는 제3세라믹팁들(48), 상기 제2 및 제3 세라믹팁들과 연결되어 상기 압전 소자를 고정시키는 고정플레이트(49)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6, the
상기 압전소자(43)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압전소 자(23)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상기 압전 소자(43)는 고정 플레이트(49)에 의하여 고정된다. The
상기 이동 플레이트(41)는 상기 제1세라믹팁(45)으로 전응력을 가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49)는 상기 제2세라믹팁(47) 및 제3 세라믹팁(48)에 의하여 상기 압전소자(43)를 고정하면서 상기 압전 소자로 전응력을 가하고 있다.The moving
여기서 상기 전응력은 상기 이동 플레이트(41) 및 고정플레이트(49)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미도시)의 압축력을 이용하여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total stress is preferably generated using a compressive force of a spring (not shown)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4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40)에 설정된 주파수의 전류를 인가하면 상기 압전소자(43)가 수축 팽창하고, 상기 설정된 주파수에서 두 가지 진동, 즉 종진동방향과 굴곡방향의 진동이 동시에 일어난다. 이 때에, 상기 압전소자(43)의 각각의 진동모드가 1차 종진동모드와 2차 굽힘모드가 되도록 상기 압전소자(43)의 구조를 설계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When the current of the set frequency is applied to the
도 6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압전소자(43)가 진동하게 되면, 상기 제2세라믹팁(47)이 고정플레이트(49)의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압축되어 있으므로, 상기 압전소자(43)에 고정된 제1세라믹팁(41)이 진동하게 된다. 그러면 자유단인 상기 이동 플레이트(41)가, 위에서 아래로 압축하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좌우로 직선운동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6B, when the
이 때에도 상기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에 있어서도, 상기 스프링의 압축력을 조절하여 상기 압전 액추에이터에서(40)의 전응력을 조절하는 단계가 필요하다.In this case, also in the piezoelectric actua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total stress of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압전 액추에이터는, 종방향의 진동 및 굴곡방향의 진동의 공진모드들이 동일한 주파수의 전류에 의해 발생되도록 하여, 압전 액추에이터의 변위를 더 확대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더욱 빠르고 정확한 위치 제어가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The piezoelectric actu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llows the resonance modes of the longitudinal vibration and the vibration in the bending direction to be generated by the current of the same frequency, thereby further expanding the displacement of the piezoelectric actuator, thereby making it faster and faster. The advantage is that accurate position control is possible.
또한, 본 발명의 압전 액추에이터는, 타원형 운동의 위상이 같아지는 절점에 변위확대기구인 세라믹팁을 배치함으로서, 선형 위치제어 모터에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iezoelectric actu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applied to a linear position control motor by disposing a ceramic tip, which is a displacement expanding mechanism, at a node where the phase of the elliptical motion is the same.
또한, 본 발명의 압전 액추에이터 및 그 설계방법은, 2차 굽힘모드의 각 절점에서에 세라믹팁을 배치시킴으로써, 압전 액추에이터를 더욱 빠르고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원자현미경이나 반도체 공정의 노광 등에 적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iezoelectric actu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design method can be controlled more quickly and precisely by disposing a ceramic tip at each node of the secondary bending mode, so that the piezoelectric actuator can be applied to exposure of an atomic force microscope or a semiconductor process. There is an advantage to this.
또한, 본 발명의 압전 액추에이터 및 그 설계방법은, 압전 액추에이터의 공진 모드 중, 2차 굽힘모드 및 1차 공진모드를 일치시킴으로서, 더욱 빠르고 정확한 압전 액추에이터를 구성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iezoelectric actu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sign method thereof have an advantage of constituting a faster and more accurate piezoelectric actuator by matching the secondary bending mode and the primary resonance mode among the resonance modes of the piezoelectric actuator.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41502A KR20080096265A (en) | 2007-04-27 | 2007-04-27 | Piezoelectric element and piezoelectric actuator using the piezoelectric ele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41502A KR20080096265A (en) | 2007-04-27 | 2007-04-27 | Piezoelectric element and piezoelectric actuator using the piezoelectric elem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96265A true KR20080096265A (en) | 2008-10-30 |
Family
ID=40155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41502A Ceased KR20080096265A (en) | 2007-04-27 | 2007-04-27 | Piezoelectric element and piezoelectric actuator using the piezoelectric ele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96265A (en)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814857A (en) * | 2010-04-23 | 2010-08-25 | 温州大学 | Piezoelectric ceramic driver control device and method |
KR101044130B1 (en) * | 2010-01-04 | 2011-06-24 | 삼성전기주식회사 | Piezoelectric Actuator Module |
KR101044216B1 (en) * | 2010-01-04 | 2011-06-29 | 삼성전기주식회사 | Piezoelectric Actuator Module |
KR101109357B1 (en) * | 2009-12-31 | 2012-02-24 | 삼성전기주식회사 | Actuator module |
KR101153553B1 (en) * | 2010-07-28 | 2012-06-11 | 삼성전기주식회사 | Vibrator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reof |
WO2013019073A3 (en) * | 2011-08-04 | 2013-06-13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Energy harvesting system |
KR101319652B1 (en) * | 2011-08-04 | 2013-10-23 | (주)시드에너텍 | Energy Harvesting System |
KR101331727B1 (en) * | 2010-12-24 | 2013-11-20 | 삼성전기주식회사 | Piezo Actuator and Touch Screen using the same |
KR101447962B1 (en) * | 2014-05-13 | 2014-10-13 | (주)태원이엔지 | Apparatus and method for plumber supporting |
CN109347361A (en) * | 2018-12-12 | 2019-02-15 | 南京工程学院 | Standing wave type linear ultrasonic motor based on piezoelectric ceramic torsional vibration mode with co-directional double mover |
CN109728745A (en) * | 2019-01-09 | 2019-05-07 | 桂林电子科技大学 | A piezoelectric ceramic-driven micro-displacement amplifying mechanism and using method thereof |
KR102741128B1 (en) * | 2023-09-25 | 2024-12-10 | 주식회사 인세라솔루션 | Piezoelectric driving device for generating dieplacement in two-dimensional directions, and oeperation method of the same |
-
2007
- 2007-04-27 KR KR1020070041502A patent/KR20080096265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9357B1 (en) * | 2009-12-31 | 2012-02-24 | 삼성전기주식회사 | Actuator module |
KR101044130B1 (en) * | 2010-01-04 | 2011-06-24 | 삼성전기주식회사 | Piezoelectric Actuator Module |
KR101044216B1 (en) * | 2010-01-04 | 2011-06-29 | 삼성전기주식회사 | Piezoelectric Actuator Module |
CN101814857A (en) * | 2010-04-23 | 2010-08-25 | 温州大学 | Piezoelectric ceramic driver control device and method |
KR101153553B1 (en) * | 2010-07-28 | 2012-06-11 | 삼성전기주식회사 | Vibrator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reof |
KR101331727B1 (en) * | 2010-12-24 | 2013-11-20 | 삼성전기주식회사 | Piezo Actuator and Touch Screen using the same |
KR101319652B1 (en) * | 2011-08-04 | 2013-10-23 | (주)시드에너텍 | Energy Harvesting System |
WO2013019073A3 (en) * | 2011-08-04 | 2013-06-13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Energy harvesting system |
KR101447962B1 (en) * | 2014-05-13 | 2014-10-13 | (주)태원이엔지 | Apparatus and method for plumber supporting |
CN109347361A (en) * | 2018-12-12 | 2019-02-15 | 南京工程学院 | Standing wave type linear ultrasonic motor based on piezoelectric ceramic torsional vibration mode with co-directional double mover |
CN109728745A (en) * | 2019-01-09 | 2019-05-07 | 桂林电子科技大学 | A piezoelectric ceramic-driven micro-displacement amplifying mechanism and using method thereof |
CN109728745B (en) * | 2019-01-09 | 2023-08-29 | 桂林电子科技大学 | Piezoelectric ceramic driven micro-displacement amplifying mechanism and use method thereof |
KR102741128B1 (en) * | 2023-09-25 | 2024-12-10 | 주식회사 인세라솔루션 | Piezoelectric driving device for generating dieplacement in two-dimensional directions, and oeperation method of the same |
WO2025070910A1 (en) * | 2023-09-25 | 2025-04-03 | 주식회사 인세라솔루션 | Piezoelectric driving device for generating displacement in two-dimensional direc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80096265A (en) | Piezoelectric element and piezoelectric actuator using the piezoelectric element | |
US10033305B2 (en) | Energy harvesting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 |
JP4011617B2 (en) | Tunable micromechanical resonator based on capacitance | |
US7157830B2 (en) | Near-resonance wide-range operating electromechanical motor | |
US7876026B2 (en) | Large force and displacement piezoelectric MEMS lateral actuation | |
US7830577B2 (en) | Micromechanical device with adjustable resonant frequency by geometry altera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 |
JP4209465B2 (en) | Drive device | |
KR101100484B1 (en) | Flat resonance electromechanical drive | |
EP3089348B1 (en) | Piezoelectric motor | |
JP4977431B2 (en) | Micromechanical resonator | |
JP2003219663A (en) | Electrostatic actuator | |
JP5245009B2 (en) | Micromechanical elements that amplify vibrational motion | |
WO2007006154A1 (en) | Optimized bi-directional electrostatic actuators | |
JP2008103777A (en) | Micromechanical resonator | |
US8575821B2 (en) | Piezoelectric actuator and piezoelectric actuator array | |
JP4965962B2 (en) | Micromechanical resonator | |
CN109309459B (en) | Piezoelectric drive device, driving method of piezoelectric drive device, and robot | |
JP6861978B2 (en) | Piezoelectric actuator | |
JP2009296794A (en) | Inertia-driven actuator | |
JP2008236820A (en) | Driving device | |
JP5733966B2 (en) | Vibration type driving device | |
JPH08182351A (en) | Ultrasonic actuator | |
US11569430B2 (en) | Method for operating an ultrasonic motor | |
JPH0965668A (en) | Vibration actuator and its adjustment | |
WO2022153696A1 (en) | Mems switch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9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904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09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