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93575A -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3575A
KR20080093575A KR1020070037452A KR20070037452A KR20080093575A KR 20080093575 A KR20080093575 A KR 20080093575A KR 1020070037452 A KR1020070037452 A KR 1020070037452A KR 20070037452 A KR20070037452 A KR 20070037452A KR 20080093575 A KR20080093575 A KR 20080093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select
power
power switch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7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중
이석우
박운택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7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3575A/ko
Publication of KR20080093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3575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05F15/695Control circu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복수 개의 차량 윈도우 중 하나 이상의 대상 윈도우를 선택하는 셀렉트 스위치부와, 대상 윈도우의 개폐를 제어하는 파워 스위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부에 배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을 구비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 .

Description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POWER WINDOW SWITCH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선 Ⅰ-Ⅰ을 따라 취한 록킹 스위치부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선 Ⅱ-Ⅱ을 따라 취한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의 파워 스위치부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의 록킹 스위치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 상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의 파워 스위치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의 셀렉트 스위치 노브의 개략적인 부분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의 기판 브라켓 상에서의 개략적인 부분 평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의 셀렉트 스위치 절도 부재 및 셀렉트 로테이터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평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선 Ⅲ-Ⅲ을 따라 취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의 변형예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선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100...하우징부
200...인쇄회로기판 300..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400...록킹 스위치부 500...파워 스위치부
600...셀렉트 스위치부 700...차량 윈도우 제어부
800...파워 윈도우 액츄에이터
본 발명은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조립 공정을 용이하게 하고 조작 편이성을 증대시키며 컴팩트한 구조로 인한 설계 공간을 최소화를 이룰 수 있는 구조의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된다.
통상적으로 대향되는 방향으로의 작동이 요구되는 경우, 예를 들어 차량의 윈도우 개폐와 같이 윈도우의 상하 방향 이동이 전단부 및 후단부의 작동에 대응하도록 하는 시소 스위치 장치 또는 슬라이딩 스위치 장치가 사용된다. 특히, 운전자의 좌석 주위에 다양한 스위치 장치 및 편의 시설이 설치되므로, 이러한 스위치 장치들은 사용자로 하여금 스위치 작동의 조작감 및 편의성을 제공하여야 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스위치 장치 중, 예를 들어 윈도우 스위치 장치는 운전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하여, 운전석의 아암 레스트 위치에 차량 윈도우를 통합 제어할 수 있는 윈도우 스위치 장치가 구비된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윈도우 스위치 장치는 개개의 차량 윈도우를 제어하기 위하여 개개의 차량 윈도우에 대응하는 파워 스위치를 구비하여, 부품 수 증대, 이에 따른 조립 공정 증대 및 설계 공간 증대와 같은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본 발명은 부품 수를 절감시키고, 조립 공정을 개선하며 사용자에게 조작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복수 개의 차량 윈도우 중 하나 이상의 대상 윈도우를 선택하는 셀렉트 스위치부와, 대상 윈도우의 개폐를 제어하는 파워 스위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부에 배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을 구비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셀렉트 스위치부는 로터리 타입일 수도 있고, 상기 셀렉트 스위치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상단에 관통 배치되는 셀렉트 스위치 노브와, 상기 셀렉트 스위치 노브와 함께 회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부에 배치되는 로터리 셀렉트 로테이터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셀렉트 스위치 광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셀렉트 로테이터의 단부에는 상기 셀렉트 스위치 광센서의 감지 신호를 단속시키기 위한 셀렉트 로테이터 광차단부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셀렉트 스위치 광센서 및 상기 셀렉트 로테이터 광차단부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파워 스위치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파워 스위치 노브 연장부를 구비하는 파워 스위치 노브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어 상기 파워 스위치 노브 연장부가 회동하는 경우 감지 신호가 단속되는 파워 스위치 센서를 구비할 수도 있고, 상기 파워 스위치부는 상기 파워 스위치 노브의 회동을 절도시키기 위한 파워 스위치 절도부를 구비하되, 상기 파워 스위치 절도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배치되는 파워 스위치 노브 탄성 부재와, 상기 파워 스위치 노브 탄성 부재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단부에 파워 스위치 절도산을 구비하는 파워 스위치 절도 부 재와, 상기 파워 스위치 노브 탄성 부재 및 상기 파워 스위치 절도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파워 스위치 절도 볼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상기 파워 스위치 절도산은 복수 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은 차량 윈도우의 작동을 제한하는 록킹 스위치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록킹 스위치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록킹 스위치 노브 연장부를 구비하는 록킹 스위치 노브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어 상기 록킹 스위치 노브 연장부가 회동하는 경우 감지 신호가 단속되는 록킹 스위치 센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고 복수 개의 차량 윈도우 중 하나 이상의 대상 윈도우를 가동시키는 파워 윈도우 액츄에이터에 전기적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파워 윈도우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고, 상기 셀렉트 스위치부에 의하여 선택되는 셀렉트 모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하우징부는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 브라켓을 더 구비하고, 상기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은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되, 상기 기판 브라켓은 상기 센서의 관통을 허용하고 상기 센서의 과도한 위치 변동을 제한하는 광센서 관통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1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10)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10)는 하우징부(100)와, 인쇄회로기판(200)과,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300)을 포함하는데, 인쇄회로기판(200)은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300)은 셀렉트 스위치부(600)와 파워 스위치부(500)를 포함하는데,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300)은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인쇄회로기판(200)과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여기서, 본 실시예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300)은 파워 스위치부(500)에 의한 차량 윈도우의 개폐를 제한하거나 이를 해제시킬 수 있는 록킹 스위치부(400)를 더 구비하는 것으로 기술된다.
하우징부(100)는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바디(120)와, 베이스 플레이트(130)와, 그리고 기판 브라켓(140)을 구비하는데, 하우징 바디(120)는 하우징 커버(110)와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사이에 배치되고 기판 브라켓(140)은 하우징 바디(120)와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사이에 배치되며, 기판 브라켓(140)과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사이에는 인쇄회로기판(200)이 배치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기판 브라켓(140)이 구비되고 또한 별도의 구성요소로서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예일뿐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 커버(110)의 외주에는 커버 장착부(114)가 구비되는데, 커버 장착부(114)는 하기되는 하우징 바디(120)에 형성된 바디 장착부(121)와 맞물리어 서로 체결되는 구조를 취한다.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바디(120)의 사이 공간에는 록킹 스위치부(400)의 록킹 스위치 노브(410), 파워 스위치부(500)의 파워 스위치 노브(510), 그리고 셀렉트 스위치부(600)의 셀렉트 스위치 노브(610)가 배치되는데, 하우징 커버(110)의 상단에는 록킹 스위치 관통구(111), 파워 스위치 관통구(112) 및 셀렉트 스위치 관통구(113)가 구비되고 각각의 관통구(111,112,113)을 통하여 록킹 스위치 노브(410), 파워 스위치 노브(510) 및 셀렉트 스위치 노브(610)가 외부로 노출된다.
하우징 바디(120)의 하단 외주에 구비되는 베이스 장착 대응부(122)와,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외주에 구비되는 베이스 장착부(131)가 서로 맞물리어 체결됨으로써, 하우징 바디(120)와 베이스 플레이트(130) 간의 체결을 이루게 되는데, 하우징 바디(120)와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체결에 의하여 형성된 사이 내부 공간에 인쇄회로기판(200)이 배치되고, 하우징 바디(120)와 인쇄회로기판(200) 사이에는 하기되는 셀렉트 스위치부(600)의 셀렉트 로테이터(620) 및 셀렉트 스위치 센서(650)를 안내 및/또는 장착하기 위한 기판 브라켓(140)이 배치된다. 기판 브라켓(140)은 본 실시예에서 별도의 구성요소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와 같은 구성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 플레이트(130)는 하단에 하우징 커넥터(132)를 구비하는데, 하우징 커넥터(132)에는 하우징 바디(120)와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사이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200)에 형성된 회로 배선(미도시)을 통하여 각종 센서들을 포함하는 전기 소자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커넥터 터미널(미도시)이 관통 배치된다. 커넥터 터미널(미도시)은 하우징 커넥터(132)에 대응하는 대응 커넥터(미도 시)를 통하여 차량 통합 제어부(미도시) 및/또는 차량 윈도우 액츄에이터(미도시) 등과 같은 외부 전기 장치와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300)은 파워 스위치부(500)와 셀렉트 스위치부(600)를 포함하는데, 본 실시예에서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300)은 록킹 스위치부(400)를 더 구비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셀렉트 스위치부(600)는 차량의 복수 개의 차량 윈도우(미도시) 중 하나 이상의 대상 윈도우를 선택하고, 파워 윈도우 스위치부(500)는 셀렉트 스위치부(600)에 의하여 선택된 대상 윈도우를 개폐를 제어하는데, 셀렉트 스위치부(600)는 본 실시예에서 로터리 타입으로 구현되는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파워 스위치부(500)는 파워 스위치 노브(500)와 파워 스위치 센서(550)을 포함한다. 도 2에는 파워 스위치부(500)가 분해되어 도시되고, 도 6에는 파워 스위치 노브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가 도시된다. 파워 스위치 노브(500)는 하우징부(10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파워 스위치 노브(110)의 상단은 하우징 커버(110)의 파워 스위치 관통구(112)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하우징 바디(110)에는 파워 스위치 노브 장착부(160)가 형성되고 파워 스위치 노브(510)의 외주면에는 파워 스위치 노브 회동부(511)가 구비되는데, 파워 스위치 노브 장착부(16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파워 스위치 노브 장착 돌기(161)는 파워 스위치 노브 회동부(511)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서, 파워 스위치 노브 장착 돌기가 파워 스위치 노브 장착부에 형성되고 이와 맞물리는 파워 스위치 노브 회동부(511)가 관통구 타입으로 구성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예일뿐 서로 반대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파워 스위치 노브(510)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30), 보다 구체적으로 인쇄회로기판(200)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파워 스위치 노브 연장부(512)가 구비되고, 파워 스위치 장착부(160)의 중앙에는 파워 스위치 노브 연장부(512)의 관통을 허용하는 파워 스위치 노브 연장부 관통구(162)가 구비된다. 인쇄회로기판(200)의 일면으로 파워 스위치 노브 연장부(512)의 회동 영역에 대응한 위치에는 파워 스위치 센서(550)가 구비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파워 스위치 센서(550)는 파워 스위치 센서 발광부와 파워 스위치 센서 수광부가 서로 마주하며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서로 분리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음은 명백하다. 파워 스위치 센서(550)는 복수 개가 구비되는데, 복수 개의 파워 스위치 센서(551,552, 도 6 및 도 7 참조)는 파워 스위치 노브 연장부(512)의 인쇄회로기판(200) 상의 동일 궤적 상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파워 스위치 센서 발광부와 파워 스위치 센서 수광부의 사이 공간으로 파워 스위치 노브 연장부(512)과 가동된다. 파워 스위치 노브 연장부(512)의 단부에는 파워 스위치 노브 연장 돌기(513)와 파워 스위치 노브 연장 요홈(514)이 구비된다. 따라서, 파워 스위치 노브(510)가 하우징 바디(120)에 장착되어 회동하는 경우, 파워 스위치 노브(510)에 돌출 형성된 파워 스위치 노브 연장부(512)는 파워 스위치 센서(550;551,552)의 파워 스위치 센서 발광부와 파워 스위치 센서 수광부 사이를 가동하게 되는데, 교번적으로 형성된 파워 스위치 노브 연장 돌기(513)와 파워 스위치 노브 연장 요홈(514)이 파워 스위치 센서(550;551,552)의 발광부로부터 수광부로의 빛의 전달을 차단 혹은 허용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파워 스위치부(500)는 파워 스위치 절도부(515,520,530)를 구비하는데, 파워 스위치 절도부(515,520,530)는 파워 스위치 노브(510)의 회동을 절도시킨다. 파워 스위치 절도부(515,520,530)는 파워 스위치 절도 부재(515), 파워 스위치 노브 탄성 부재(520) 및 파워 스위치 절도 볼(530)을 포함하는데, 파워 스위치 노브 탄성 부재(520)는 하우징부(100)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배치되고, 파워 스위치 절도 부재(515)는 파워 스위치 노브 탄성 부재(520)를 향하여 파워 스위치 노브(510)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단부에 파워 스위치 절도산(516;517,518,519)을 구비하며, 파워 스위치 절도 볼(530)은 파워 스위치 절도 부재(515)와 파워 스위치 노브 탄성 부재(520)의 사이에 배치된다. 파워 스위치 노브 탄성 부재(520)의 일단은 하우징 바디(120)에 형성되는 파워 스위치 탄성 부재 수용부(540)에 안착 수용되고 타단은 파워 스위치 절도 볼(530)과 접촉하는데, 파워 스위치 노브 탄성 부재(520)에는 압축된 상태로 장착되어 초기 탄성력을 파워 스위치 절도 볼(530)에 제공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파워 스위치 절도 부재(515)에 형성되는 파워 스위치 절도산(516)은 복수 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파워 스위치 절도 부재(515)에 파워 스위치 노브(510)가 정상 상태에 있는 경우의 파워 스위치 절도 부재(515)의 중심으로부터 일 회동 방향으로 두 개의 파워 스위치 절도산(516)이 형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기술하는데, 설계 사양에 따라 단일의 파워 스위치 절도산을 구비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복수 개의 파워 스위치 절도산을 구비하는 파워 스위치부(500)의 작동 과정을 도 4,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즉, 파워 스위치 노브(510)에 아무런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파워 스위치 노브 탄성 부재(520)의 초기 탄성력이 가해진 파워 스위치 절도 볼(530)은 파워 스위치 노브 절도 부재(515)의 "V"자 단면 형상을 구비하는 파워 스위치 제 1 절도산 홈(517)에 상호 지지되며 배치된다. 그런 후, 운전자에 의하여 소정의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파워 스위치 절도 볼(530)은 파워 스위치 절도산(516)의 면을 따라 파워 스위치 제 2 절도산 홈(518)까지 접촉을 이룸으로써 파워 스위치 노브(510)는 θA만큼의 각회전을 이룬다. 이때, 파워 스위치 노브 연장부(512)의 파워 스위치 노브 돌기(513)가 파워 스위치 제 2 센서(552)의 발광부/수광부 사이 공간에 배치되고 파워 스위치 노브 연장부(512)의 파워 스위치 노브 요홈(512)이 파워 스위치 제 1 센서(551)의 발광부/수광부 사이 공간에 배치됨으로써, 파워 스위치 제 1 센서(551) 및 파워 스위치 제 2 센서(552)에 상이한 신호를 생성하는데, 이와 같은 상태를 차량 윈도우를 상승/하강을 위한 자동 작동 단계로 구성할 수 있다.
그런 후, 파워 스위치 제 2 절도산 홈(518) 및 파워 스위치 제 3 절도산 홈(519) 사이의 파워 스위치 절도산 돌기를 넘을 외력이 제공되는 경우, 파워 스위치 노브(5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θB만큼의 각회전을 이룬다. 이때, 파워 스위치 노브 연장부(512)의 파워 스위치 노브 돌기(513)가 파워 스위치 제 1 센서(551) 및 파워 스위치 제 2 센서(552)의 발광부/수광부 사이 공간에 배치됨으로써 서로 동일한 신호를 생성하는데, 이와 같은 상태를 차량 윈도우를 파워 스위치 노브(510)의 원터치 동작을 통한 차량 윈도우의 완전 개방 내지 완전 폐쇄를 이루는 오토 작동 단계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파워 스위치부(500)는 파워 스위치 램프(560)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파워 스위치 램프(560)는 LED 등과 같은 발광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파워 스위치 램프(560)의 단자는 인쇄회로기판(200) 상에 장착되어, 상기한 바와 같은 파워 스위치 노브(510)의 회동에 따라 차량 윈도우의 상승/하강에 따른 개폐 작동이 선택된 경우 해당 작동에 상응하는 신호를 전달받음으로써 온/오프 동작을 이룬다. 이와 같은 온/오프 신호 전달은 인쇄회로기판(200) 상의 전기 회로를 통하여 파워 스위치 센서(550)의 온/오프 작동에 따라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할 수도 있고, 별도의 하기되는 차량 윈도우 제어부(700, 도 13 참조)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통하여 이루어 질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온 신호를 입력받은 파워 스위치 램프(560)는 점등되어 빛을 방출하는데, 방출된 빛은 파워 스위치 노브(510)의 상단에 형성된 파워 스위치 노브 광표시구(501)을 통하여 방출된다. 파워 스위치 노브 광표시구(501)는 파워 스위치 노브(510)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어 레이저 에칭을 통한 반투명 영역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투명/반투명 재료로 파워 스위치 노브와 별개의 구성요소로 형성되어 파워 스위치 노브에 장착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셀렉트 스위치부(600)는 셀렉트 스위치 노브(610), 셀렉트 로테이터(620) 및 셀렉트 광센서(650)를 구비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렉트 스위치 노브(610)는 하우징부(100)의 상단에 관통 배치된다. 즉, 하우징 커버(110)에는 셀렉트 스위치 관통구(113)가 형성되고 하우징 바디(120)에는 셀렉트 스위치 노 브 관통부(170)가 형성되는데, 셀렉트 스위치 노브(610)의 상단은 셀렉트 스위치 관통구(113)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셀렉트 스위치 노브(610)의 하단은 셀렉트 스위치 노브 관통부(170)를 통하여 인쇄회로기판(200)을 향하여 배치된다. 셀렉트 스위치 노브 관통부(170)는 하우징 바디(120)의 일면 상에 돌출 형성되어 셀렉트 스위치 노브(610)의 장착을 안내하는 셀렉트 스위치 노브 관통부 돌기(171)와 셀렉트 스위치 노브 관통부 돌기(171)에 의하여 구획되고 하우징 바디(120)를 관통하는 셀렉트 스위치 노브 관통구(172)가 구비되고, 셀렉트 스위치 노브(610)는 셀렉트 스위치 노브 관통구(172)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렉트 스위치 노브(610)의 상단에는 셀렉트 스위치 노브(610)의 회전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셀렉트 스위치 노브 돌기(612)가 형성된다. 셀렉트 스위치 노브(610)의 하단에는 셀렉트 스위치 노브 체결부(611)가 구비되는데, 이는 하기되는 셀렉트 로테이터(620)에 형성되는 셀렉트 로테이터 체결부(622)와 맞물리어 체결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셀렉트 로테이터(620)는 셀렉트 스위치 노브(610)와 함께 축방향 회동 가능하다.
셀렉트 로테이터(620)는 하우징 바디(120)와 인쇄회로기판(200) 사이,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바디(120)와 기판 브라켓(140)의 사이에 배치되는데, 셀렉트 로테이터(6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셀렉트 로테이터 체결부(622)를 통하여 셀렉트 스위치 노브(610)와 함께 축방향 회동한다. 셀렉트 로테이터(620)의 단부에는 셀렉트 로테이터 광차단부(623)가 구비되는데, 셀렉트 로테이터 광차단부(623)는 하기되는 셀렉트 스위치 광센서(650)의 발광부/수신부 사이 빛의 전송을 차단 내지 허 용하여 셀렉트 스위치 광센서(650)에 의하여 감지되는 감지 신호를 단속한다.
셀렉트 스위치 광센서(650)는 인쇄회로기판(200) 상에 배치되는데, 셀렉트 스위치 광센서(650)의 단자는 인쇄회로기판(200)을 통하여 인쇄회로기판(200) 상에 배치된 각종 전기 소자 내지는 외부 전기 장치와의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한편, 하우징 바디(120)와 인쇄회로기판(200) 사이에는 기판 브라켓(140)이 배치되는데, 셀렉트 스위치 광센서(650)는 기판 브라켓(140)을 관통하여 셀렉트 로테이터(620)를 향하여 배치된다. 도 9에는 기판 브라켓(140)이 배치된 상태에서의 개략적인 부분 평면도가 도시되고 도 10에는 도 9의 기판 브라켓(140)의 셀렉트 로테이터 부분에 대한 부분 확대 평면도가 도시되는데, 기판 브라켓(140)에는 브라켓 셀렉트 스위치 장착부(180)가 배치된다. 브라켓 셀렉트 스위치 장착부(180)는 브라켓 셀렉트 스위치 센서 장착부(181), 브라켓 셀렉트 스위치 노브 장착 돌기(182), 브라켓 셀렉트 스위치 노브 장착 홈(183), 브라켓 셀렉트 스위치 노브 장착 돌기 연결부(184)를 구비한다. 브라켓 셀렉트 스위치 노브 장착 돌기(182)는 적어도 일부가 반경을 서로 달리하되 동심을 이루는 돌출부로 형성되어 기판 브라켓(14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구조를 취하여, 브라켓 셀렉트 스위치 노브 장착 돌기(182)에 의하여 브라켓 셀렉트 스위치 노브 장착 홈(183)과 브라켓 셀렉트 스위치 센서 장착부(181)가 구획된다. 브라켓 셀렉트 스위치 노브 장착 홈(183)의 하면과 브라켓 셀렉트 스위치 센서 장착부(181)의 하면은 관통되는 구조를 취하여, 브라켓 셀렉트 스위치 센서 관통구(181a)가 구비된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200) 상의 셀렉트 스위치 센서(650)가 기판 브라켓(140)의 브라켓 셀렉트 스위치 노브 장착 돌기(182)에 의하여 구획되는 브라켓 셀렉트 스위치 센서 장착부(181)의 브라켓 셀렉트 스위치 센서 관통구(181a)를 관통하고 셀렉트 스위치 센서과 과도하게 위치 변동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셀렉트 스위치 센서(650)가 설계 사양에 따라 정해진 위치를 확보하여 장착 위치 오차로 인한 오작동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다.
기판 브라켓(140)의 내부와 외부에 형성된 브라켓 셀렉트 스위치 노브 장착 돌기(182)는 브라켓 셀렉트 스위치 노브 연결부(184)를 통하여 연결된다. 셀렉트 로테이터 광차단부(623)는 브라켓 셀렉트 스위치 노브 장착 홈(183)의 내부에서 가동되는데, 브라켓 셀렉트 스위치 노브 연결부(184)는 셀렉트 로테이터 광차단부(623)의 회전 가동을 간섭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셀렉트 로테이터 광차단부(623) 및 셀렉트 스위치 광센서(650)는 복수 개가 구비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렉트 로테이터 광차단부(623)는 셀렉트 로테이터(620)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되 복수 개가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데, 각각의 셀렉트 로테이터 광차단부(623)의 사이에는 셀렉트 로테이터 광투과 홈(624)이 배치된다. 셀렉트 스위치 광센서(650; 650-1,650-2,650-3,650-4)는 셀렉트 로테이터 광차단부(623)의 회전 궤적의 원주 상에 배치되는데, 여기서 셀렉트 스위치 광센서는 4개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셀렉트 스위치 광센서(650; 650-1,650-2,650-3,650-4)는 각각 셀렉트 스위치 광센서 발신부(650a)와 셀렉트 스위치 광센서 수신부(650b)를 구비하되, 각각의 셀렉트 스위치 광센서 발신부(650a)와 셀렉트 스위치 광센서 수신부(650b)는 셀렉트 로테이터 광차단부(623)가 회동하는 브라켓 셀렉트 스위치 노브 장착 홈(183)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각각의 셀렉트 스위치 센서 장착부(181)에 배치되는데, 셀렉트 스위치 광센서 발신부(650a)와 셀렉트 스위치 광센서 수신부(650b)의 사이에 배치되는 브라켓 셀렉트 노브 장착 돌기(182)에는 셀렉트 스위치 광센서 발신부(650a)로부터의 빛을 셀렉 스위치 광센서 수신부(650b)로 전달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관통되는 측면 개구를 형성하는 구조를 취한다. 셀렉트 스위치 광센서 발신부(650a)와 셀렉트 스위치 광센서 수신부(650b)는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 별개의 구성요소로 분리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셀렉트 스위치 센서(650)는 4개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는데, 이는 본 발명의 일예로서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셀렉트 스위치부(600)는 셀렉트 스위치 노브(610)의 회동을 절도시키기 위한 셀렉트 스위치 절도부(175,621,630,6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셀렉트 스위치 절도부는 셀렉트 스위치 절도 부재(175), 셀렉트 스위치 절도 탄성 부재(630), 셀렉트 스위치 절도 핀(640) 및 셀렉트 스위치 절도 탄성 부재 수용홈(621)을 포함하는데, 셀렉트 스위치 절도 부재(175)는 하우징 바디(120)에 형성되고, 셀렉트 스위치 절도 탄성 부재(630)는 셀렉트 로테이터(620)에 반경 방향으로 형성된 셀렉트 스위치 절도 탄성 부재 수용홈(621)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수용되고, 셀렉트 스위치 절도 핀(640)은 일단이 셀렉트 스위치 절도 탄성 부재(630)에 의하여 초기 탄성력을 제공받고 타단은 셀렉트 스위치 절도 부재(175)에 접한다. 도 11에는 셀렉트 로테이터(620)에 장착된 셀렉트 스위치 절도 탄성 부 재(630)/셀렉트 스위치 절도 핀(640) 및 이와 접촉 상태를 형성하는 셀렉트 스위치 절도 부재(175)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평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12에는 도 11의 선 Ⅲ-Ⅲ을 따라 취한 셀렉트 스위치 절도 부재(175)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는데, 셀렉트 스위치 절도 부재(175)는 하우징 바디(120)의 셀렉트 스위치 노브 관통부(170)의 셀렉트 스위치 노브 관통구(172)의 내면에 형성된다. 셀렉트 스위치 절도 부재(175)는 복수 개의 셀렉트 스위치 절도면(173)과 복수 개의 셀렉트 스위치 절도홈(174)을 구비하는데, 셀렉트 스위치 절도홈(174)은 셀렉트 스위치 노브(610)의 회전축 방향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서로 교차되는 선분 상에 배치되는 셀렉트 스위치 절도면(173)의 사이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렉트 스위치 절도면(173)/셀렉트 스위치 절도홈(174)을 구비하는 셀렉트 스위치 절도 부재(175)와 셀렉트 스위치 절도 탄성 부재(630)의 초기 탄성력을 가진 맞닿음 접촉에 의하여 셀렉트 스위치 노브(610)와 연결된 셀렉트 로테이터(620)는 복수 개의 절도 위치를 형성한다.
또한, 셀렉트 스위치부(600)는 셀렉트 스위치 램프(660)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셀렉트 스위치 램프(660)는 LED 등과 같은 발광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셀렉트 스위치 램프(660)의 단자는 인쇄회로기판(200) 상에 장착되는데, 기판 브라켓(140)에는 브라켓 셀렉트 스위치 램프 장착부(185)가 구비되고 브라켓 셀렉트 스위치 램프 장착부(185)의 인근에는 브라켓 셀렉트 스위치 램프 단자 관통구(186)가 구비되어 셀렉트 스위치 램프(660)의 단자가 인쇄회로기판(200) 상에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셀렉트 스위치 노브(610)의 축방향 회동에 따 라 차량 윈도우 중 상승/하강에 따른 개폐 작동을 이루기 위한 대상 윈도우를 선택하여 상기한 파워 스위치부의 작동에 의하여 대상 윈도우의 상승/하강 작동을 이루는 경우, 온 신호를 입력받은 셀렉트 스위치 램프(660, 도 8 점선 표시)는 점등되어 빛을 방출하고, 방출된 빛은 하우징 바디(120)를 관통하여 셀렉트 스위치 노브(610) 상단 외주인 하우징 커버(110)의 커버 셀렉트 장착부(115)에 형성된 셀렉트 스위치 노브 광표시구(603, 도 8 참조)를 통하여 방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셀렉트 스위치부(600)는 4개의 셀렉트 스위치 센서(650)를 포함하는데, 각각의 셀렉트 스위치 센서(660)는 복수 개의 셀렉트 로테이터 광차단부(623)와 이들 사이에 형성되는 셀렉트 로테이터 광투과 홈(624)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8개의 셀렉트 모드(P1 내지 P8)를 구비하는데, 각각의 셀렉트 모드(P1 내지 P8)에 대한 셀렉트 스위치 센서(650)의 온/오프 작동 상태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센서 650-1 센서 650-2 센서 650-3 센서 650-4
P1 오프
P2 오프 오프
P3 오프 오프
P4 오프
P5 오프 오프
P6 오프 오프
P7 오프 오프
P8 오프 오프 오프 오프
여기서, P1은 운전석과 보조석을 포함하는 앞행의 두 개의 차량 윈도우를 대상 윈도우로 설정하는 앞행 모드, P2는 운전석의 차량 윈도우를 대상 윈도우로 설정하는 운전석 모드, P3는 운전석과 운전석 뒷좌석을 포함하는 운전석열의 두 개의 차량 윈도우를 대상 윈도우로 설정하는 운전석열 모드, P4는 운전석 뒷좌석의 차량 윈도우를 대상 윈도우로 설정하는 운전석 뒷좌석 모드, P5는 운전석 및 보조석의 각각의 뒷좌석을 포함하는 뒷열의 두 개의 차량 윈도우를 대상 윈도우로 설정하는 뒷열 모드, P6는 보조석 뒷좌석의 차량 윈도우를 대상 윈도우로 설정하는 보조석 뒷좌석 모드, P7은 보조석 및 보조석 뒷좌석을 포함하는 보조석 열의 두 개의 차량 윈도우를 대상 윈도우로 설정하는 보조석 열 모드, P8은 보조석의 차량 윈도우를 대상 윈도우로 설정하는 보조석 모드로 설정된다.
즉, 운전자에 의하여 상기 설정된 각각의 셀렉트 모드(P1 내지 P8)에 따른 소정의 차량 윈도우를 상승/하강에 따른 개폐 동작을 이루기 위하여 해당 셀렉트 모드의 위치로 축방향 회전시키는 경우, 셀렉트 스위치 절도 홈(174)에 대응하는 셀렉트 모드의 위치로 절도 동작을 이루며 위치 형성된다. 이때, 셀렉트 로테이터(620)의 하단에 배치된 셀렉트 로테이터 광차단부(623) 및 셀렉트 로테이터 광 투과 홈(624)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상기한 표와 같이 해당 셀렉트 모드에 대하여 셀렉트 스위치 광센서(650;650-1,650-2,650-3,650-4)의 수신부에서의 온/오프 감지 신호가 변화된다.
또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300)은 차량 윈도우의 작동을 제한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대상 윈도우의 상승/하강에 따른 개폐 동작을 제어하도록 파워 스위치(500)의 작동을 제한 내지 허용하기 위한 록킹 스위치부(40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록킹 스위치부(400)는 록킹 스위치 노브(410)와 록킹 스위치 센서(450)를 구비하는데, 록킹 스위치 노브(410)의 외주면에는 록킹 스위치 노브 회동부(411)가 구비되고 이에 대응하는 위치로 하우징 바디(120)의 일 면 상에는 록킹 스위치 노브 장착부(150)가 구비된다. 록킹 스위치 노브 장착부(150)는 록킹 스위치 노브 장착 돌기(151)를 구비하는데, 록킹 스위치 노브 장착 돌기(151)는 록킹 스위치 노브 회동부(411)와 맞물리어 록킹 스위치 노브(410)를 하우징 바디(120)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장착되도록 한다. 록킹 스위치 노브(410)의 하단에는 록킹 스위치 노브 연장부(412)가 연장 형성되는데, 록킹 스위치 노브 연장부(412)는 록킹 스위치 노브 장착부(150)의 록킹 스위치 노브 연장부 관통구(152)를 통하여 인쇄회로기판(200)을 향하여 하우징 바디(120)를 관통한다. 도 2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200)의 일면으로 록킹 스위치 노브 연장부(412)가 회동하는 회동 궤적 상에는 록킹 스위치 노브(410)의 회동을 감지하기 위한 록킹 스위치 센서(450)가 배치되는데, 록킹 스위치 센서(450)는 단자가 인쇄회로기판(200) 상에 장착되되 기판 브라켓(140)에 형성된 관통구를 관통하여 록킹 스위치 노브(410)를 향하여 배치된다. 록킹 스위치 센서(450;451,452)는 록킹 스위치 노브 연장부(412)의 인쇄회로기판(200) 상의 회동 궤적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록킹 스위치부(400)는 록킹 스위치 노브(410)의 회동시 절도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록킹 스위치 절도부(420,430,44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스위치 절도부(420,430,440)는 록킹 스위치 탄성 부재(420), 록킹 스위치 절도 볼(430) 및 록킹 스위치 절도 부재(440)을 포함하는데, 록킹 스위치 탄성 부재(420)는 록킹 스위치 노브(410)의 하면에 형성된 록킹 스위치 탄성 부재 수용홈(413)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수용된다. 록킹 스위치 절도 부재(440)는 하우징 바디(120)에 형성되는데, 록킹 스위치 절도 부재(440)의 상단에는 V자 단면 형상을 구비하는 록킹 스위치 절도홈(441)이 구비된다. 록킹 스위치 절도 부재(440)의 록킹 스위치 절도홈(441)과 록킹 스위치 탄성 부재(420) 사이에는 록킹 스위치 절도 볼(430)이 배치된다. 따라서, 록킹 스위치 노브(410)에 외력이 인가되어 록킹 스위치 노브(410)가 회동하는 경우, 록킹 스위치 절도 볼(430)은 록킹 스위치 절도홈(441)의 V자형 면 중 어느 일측면과 주로 접촉을 이루어 록킹 스위치 절도 볼(430)은 언스테이블(unstable) 상태를 형성한다. 록킹 스위치 노브(410)에 제공되는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록킹 스위치 탄성 부재(420)에 의하여 탄성 복원력을 제공받는 록킹 스위치 절도 볼(430)은 V자형 단면의 록킹 스위치 절도홈(441)의 중심을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스테이블(stable) 상태를 형성하여 원위치 복귀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록킹 스위치부(400)의 작동 상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되는데 여기서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하우징 바디(120)에 대한 도시는 생략되었다. 록킹 스위치부 노브(410)가 록킹 스위치 노브 회동부(413)를 중심으로 각각의 SA,SB 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 록킹 스위치 노브 연장부(412)의 단부는 점선으로 표시된 PA,PB의 위치를 점유하게 되고, 이는 각각의 록킹 스위치 센서(451,452)의 발광부/수광부 간의 빛의 전달을 차단 내지 허용하게 됨으로써 운전자에 의한 록킹 스위치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게 되는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200) 상에 장착된 록킹 스위치 센서(451,452)는 기판 브라켓(140)에 형성된 브라켓 록킹 스위치 센서 장착 돌기(191)에 의하여 구획되는 공간 내 브라켓 록킹 스 위치 센서 관통구(191a)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록킹 스위치 센서(451,452)는 설계 사양에 따라 정해진 위치를 확보하여 장착 위치 오차로 인한 오작동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다.
록킹 스위치 노브(410)가 SA 방향으로 회동하여 복수 개의 록킹 스위치 노브 연장부(412) 중 어느 하나의 단부가 PA의 위치를 점유하여 록킹 스위치 센서(451)의 감지 신호를 오프 상태로 형성하는 경우를 록킹 모드로, 그리고 록킹 스위치 노브(410)가 SB 방향으로 회동하여 다른 록킹 스위치 센서(452)의 감지 신호를 오프 상태로 형성하는 경우를 언록킹 모드라고 설정하고, 록킹 모드의 신호에 의하여 파워 스위치부(500)로부터의 작동 신호는 차단되어 대상 윈도우를 상승/하강시키기 위하여 대상 윈도우를 작동시키는 파워 윈도우 액츄에이터(800, 도 13 참조)로 인가되는 제어 신호가 모두 차단되고, 언록킹 모드의 신호에 의하여 파워 스위치부(500)로부터의 작동 신호 전달이 재개됨으로써 파워 스위치부(50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파워 윈도우 액츄에이터(800)가 작동되어 대상 윈도우를 상승/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록킹 스위치부(400)는 록킹 모드/언록킹 모드의 작동 상태를 운전자로 하여금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록킹 스위치 램프(46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록킹 스위치 램프(460)는 LED 등과 같은 발광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록킹 스위치 램프(460)의 단자는 인쇄회로기판(200) 상에 장착되되 기판 브라켓(140)에 형성된 록킹 스위치 램프 관통구를 관통하여 록킹 스위치 노브(410)를 향하여 배치된다. 여기서 명확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기판 브라 켓(140)에는 록킹 스위치 램프(460)의 관통을 허용하되 이를 지지하는 구성요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록킹 스위치 노브(410)의 회동에 파워 스위치부(500)의 제어 신호 차단/허용이 선택된 경우 록킹 스위치 램프(460)는 해당 작동에 상응하는 신호를 전달받음으로써 온/오프 동작을 이룬다. 따라서, 온 신호를 입력받은 록킹 스위치 램프(460)는 점등되어 빛을 방출하는데, 방출된 빛은 록킹 스위치 노브(410)의 상단에 형성된 록킹 스위치 노브 광표시구(401)을 통하여 방출된다. 록킹 스위치 노브 광표시구(401)는 록킹 스위치 노브(410)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어 레이저 에칭을 통한 반투명 영역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투명/반투명 재료로 록킹 스위치 노브와 별개의 구성요소로 형성되어 록킹 스위치 노브에 장착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1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10)의 작동 과정을 나타내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선도가 도시된다.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록킹 스위치부(400), 파워 스위치부(500), 셀렉트 스위치부(600)를 갖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100)을 구비하고, 파워 윈도우 제어부(700)를 더 포함하는데,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100)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파워 윈도우 제어부(700)로 전달된다. 파워 윈도우 제어부(700)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100), 파워 윈도우 상태 저장부(900) 및 파워 윈도우 액츄에이터(800)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데, 파워 윈도우 제어부(700)는 인쇄회로기판(200) 상에 배치될 수도 있고 외부에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파워 윈도우 제어부(700)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10)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따 라, 셀렉트 스위치부(600)를 통하여 선택된 대상 윈도우를 제어하기 위한 셀렉트 모드와, 록킹 스위치부(400)를 통하여 대상 윈도우의 상승/하강에 따른 개폐 동작의 차단 내지 허용을 나타내는 록킹 모드 및 언록킹 모드 여부, 파워 스위치부(500)를 통한 대상 윈도우의 개폐 동작 여부를 판단한다. 파워 윈도우 제어부(700)는 운전자에 의한 셀렉트 모드를 판단하여 파워 윈도우 액츄에이터(800)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 내지 차단하여 대상 윈도우의 상승/하강에 따른 개폐 동작 내지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파워 윈도우 제어부(700)는 파워 윈도우 상태 저장부(900)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어 기저장된 파워 윈도우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현재 상태를 저장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록킹 스위치부(400)를 통하여 선택된 록킹/언록킹 모드의 상태를 저장하여 파워 스위치부(500)로의 생성된 전기적 신호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파워 윈도우 액츄에이터(800)로 전달/차단하는 신호 변화를 줄 것인지를 파워 윈도우 제어부(700)가 판단할 수 있는 상태 정보를 파워 윈도우 제어부(700)로 전달하고, 파워 윈도우 제어부(700)는 상태 정보 및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파워 윈도우 액츄에이터(800)로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경우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10)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100)의 셀렉트 스위치부(600)로부터의 신호를 표시할 수 있는 출력 장치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10)는 출력 장치로서의 디스플레이부(1000)를 더 구비하여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100)의 셀렉트 스위치부(600)에 의하여 선택된 작동 모드는 디스플레이 부(1000)로 표시되어 운전자로 하여금 운전 주의력을 분산시키지 않고 현재 선택된 윈도우 작동 모드가 어느 것인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000)는 파워 윈도우 제어부(70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전달받는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되었으나, 디스플레이부(1000)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100)로부터 직접 신호를 전달받고 이를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부가 처리하여 화상 표시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들로,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실시예에서 셀렉트 로테이터의 회동시 절도 동작을 위하여 코일 타입의 셀렉트 스위치 절도 탄성 부재와 셀렉트 스위치 절도핀을 구비하는 구성을 취하였으나, 별도의 절도부를 구비하지 않고 셀렉트 로테이터의 외주 상에 반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돌기를 구비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또한, 운전자의 주의력을 분산시키지 않고 촉각을 통한 셀렉트 스위치부의 셀렉트 스위치 노브의 지시 방향 인지를 이룰 수 있도록 셀렉트 스위치 노브의 표면에 촉각 돌기 내지 촉각 홈이 더 구비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으며, 상기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각각의 셀렉트 모드가 개개의 차량 윈도우를 지정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 기판 브라켓이 파워 윈도우 스위치 센서에 대하여도 구획된 관통구를 통하여 관통되도록 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셀렉트 스위치부를 구비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통합된 차량 윈도우 개폐 제어 동작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 형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는, 셀렉트 스위치부를 구비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통합된 차량 윈도우 제어를 이루어 조작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는, 셀렉트 스위치부를 구비하여 각각의 윈도우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 개의 파워 스위치부를 구비하는 것을 제거함으로써, 원가 절감 내지 장치의 컴팩트한 구성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셋재,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는, 간단한 로테이터 타입의 셀렉트 스위치부를 구비함으로써 조립 공정을 간단하게 하여 제조 원가를 현저하게 절감시켜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복수 개의 차량 윈도우 중 하나 이상의 대상 윈도우를 선택하는 셀렉트 스위치부와, 대상 윈도우의 개폐를 제어하는 파워 스위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부에 배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을 구비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셀렉트 스위치부는 로터리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셀렉트 스위치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상단에 관통 배치되는 셀렉트 스위치 노브와,
    상기 셀렉트 스위치 노브와 함께 회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부에 배치되는 로터리 셀렉트 로테이터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셀렉트 스위치 광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셀렉트 로테이터의 단부에는 상기 셀렉트 스위치 광센서의 감지 신호를 단속시키기 위한 셀렉트 로테이터 광차단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셀렉트 스위치 광센서 및 상기 셀렉트 로테이터 광차단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스위치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파워 스위치 노브 연장부를 구비하는 파워 스위치 노브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어 상기 파워 스위치 노브 연장부가 회동하는 경우 감지 신호가 단속되는 파워 스위치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스위치부는 상기 파워 스위치 노브의 회동을 절도시키기 위한 파워 스위치 절도부를 구비하되,
    상기 파워 스위치 절도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배치되는 파워 스위치 노브 탄성 부재 와, 상기 파워 스위치 노브 탄성 부재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단부에 파워 스위치 절도산을 구비하는 파워 스위치 절도 부재와, 상기 파워 스위치 노브 탄성 부재 및 상기 파워 스위치 절도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파워 스위치 절도 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스위치 절도산은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은 차량 윈도우의 작동을 제한하는 록킹 스위치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록킹 스위치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록킹 스위치 노브 연장부를 구비하는 록킹 스위치 노브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어 상기 록킹 스위치 노브 연장부가 회동하는 경우 감지 신호가 단속되는 록킹 스위치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고 복수 개의 차량 윈도우 중 하나 이상의 대상 윈도우를 가동시키는 파워 윈도우 액츄에이터에 전기적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파워 윈도우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셀렉트 스위치부에 의하여 선택되는 셀렉트 모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 브라켓을 더 구비하고,
    상기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은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되,
    상기 기판 브라켓은 상기 광센서의 관통을 허용하고 상기 센서의 과도한 위치 변동을 제한하는 센서 관통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KR1020070037452A 2007-04-17 2007-04-17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Ceased KR200800935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452A KR20080093575A (ko) 2007-04-17 2007-04-17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452A KR20080093575A (ko) 2007-04-17 2007-04-17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3575A true KR20080093575A (ko) 2008-10-22

Family

ID=40154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7452A Ceased KR20080093575A (ko) 2007-04-17 2007-04-17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357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089B1 (ko) * 2008-04-30 2011-01-25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KR200471127Y1 (ko) * 2009-03-27 2014-02-05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조수석 도어락 스위치 장치
KR102001555B1 (ko) * 2018-05-28 2019-07-18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2단 작동 스위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089B1 (ko) * 2008-04-30 2011-01-25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KR200471127Y1 (ko) * 2009-03-27 2014-02-05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조수석 도어락 스위치 장치
KR102001555B1 (ko) * 2018-05-28 2019-07-18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2단 작동 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2621B2 (en) Shift device
US7310084B2 (en) Multi-way operation switch, input device and input unit
JP5438748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ハプティック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ハプティックシステム
US8921719B2 (en) Multi-directional switch device
JP6345035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US11801752B2 (en) Motor vehicle control device
US7321101B2 (en) Switch device and input device using the same
US11186176B2 (en) Multifunctional switch device
JP5617389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US20050064808A1 (en) Operating device for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080586B1 (ko) 차량용 키리스 버튼 스위치 유니트
KR20210156820A (ko) 리모트 쉬프트 레버 스위칭 유니트
US20130223042A1 (en) Illuminated switch assembly
KR20080093575A (ko)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US9734967B2 (en) Operating panel device
KR200471132Y1 (ko)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
KR100872742B1 (ko)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KR101097020B1 (ko)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장치
KR200468483Y1 (ko)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CN116072451A (zh) 车辆用操作装置
KR100862001B1 (ko) 와이퍼 스위치
KR101206218B1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KR102506453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KR100717571B1 (ko) 차량용 로터리 광 스위치
KR200456700Y1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0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9070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10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0802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