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9883A - 생체 인식을 이용한 단말의 시스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생체 인식을 이용한 단말의 시스템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89883A KR20080089883A KR1020070032624A KR20070032624A KR20080089883A KR 20080089883 A KR20080089883 A KR 20080089883A KR 1020070032624 A KR1020070032624 A KR 1020070032624A KR 20070032624 A KR20070032624 A KR 20070032624A KR 20080089883 A KR20080089883 A KR 2008008988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information
- doorway
- password
- biometric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 인식을 이용한 단말의 시스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말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해 요청되는 비밀 번호를 시스템에 전송하는 과정과, 전송된 비밀 번호가 저장된 비밀 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시스템이 단말로 1 차 인증 신호를 전송하고 단말은 생체 촬영 정보를 시스템에 전송하는 과정과, 전송된 촬영 정보와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시스템이 단말로 2 차 인증 신호를 전송하고 단말이 시스템의 기능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통해 1 차 보안을 하고, 생체 인식 기술을 통해 2 차 보안을 하여 단말의 시스템 제어 시, 보안성이 향상되고,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지역에 들어서면서부터 단말을 이용하여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생체 인식, 동영상, 실시간, 근거리 무선 통신, 출입문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인식을 이용한 시스템 제어를 위한 단말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인식을 이용한 시스템 제어를 위한 단말과 시스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인식을 이용한 시스템 제어를 위한 단말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은 단말을 이용한 시스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생체 인식을 이용한 단말의 시스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출입문 시스템은 비밀번호 입력, 지문 인식, 메모리 카드와 같은 전자식 열쇠의 접촉 등에 의해 출입문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비밀번호의 입력에 의해 출입문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되어 있는 출입문 시스템은 사용자가 키 패드 상의 숫자키를 눌러 비밀번호를 입력하므로 보안성이 저하된다. 즉, 주위에 다른 사람이 있는 경우에 비밀번호의 입력이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지문 인식에 의해 출입문의 잠금을 해제하는 출입문 시스템은 고정 설치된 지문 입력부에 맞춰 사용자가 손가락을 접촉시켜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전자식 열쇠의 접촉에 의해 출입문의 잠금을 해제하는 출입문 시스템은 사용자가 전자식 열쇠를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을 이용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키면서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생체 인식을 이용한 단말의 시스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을 이용하여 생체를 촬영하고 촬영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실시간 전송함으로써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생체 인식을 이용한 단말의 시스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생체 인식을 이용한 단말의 시스템 제어 방법으로서, 단말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해 요청되는 비밀 번호를 상기 시스템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된 비밀 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시스 템이 상기 단말로 1 차 인증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은 생체 촬영 정보를 상기 시스템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된 촬영 정보와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상기 시스템이 상기 단말로 2 차 인증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시스템의 기능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생체 인식"이라는 용어는 개인의 독특한 생체정보를 추출하여 정보화시키는 인증방식을 의미한다. 생체 인식은 지문, 목소리, 눈동자 등 사람마다 다른 생체 특징을 인식시켜 비밀번호로 활용하는 것으로, 지문, 얼굴, 홍채, 정맥 등 신체 특징과 목소리, 서명 등 행동 특징을 활용하는 분야로 나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상 및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단말을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은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로서, 바람직하게는 이동 단말, 이동 전화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MP3 플레이어, 노트북(Notebook) 등과 같은 모든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 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인식을 이용한 시스템 제어를 위한 단말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100)은 블루투스 모듈(101), 표시부(103), 메모리부(105), 제어부(107), 키입력부(109), 카메라(111) 및 영상 처리부(113)의 통상적인 구성을 갖는다.
블루투스 모듈(101)은 출입구 시스템(150)과의 블루투스 통신 을 위한 것으로서, 2.4G㎐ 대역의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밴드를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ISM 밴드는 별도의 라이센스 없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블루투스 모듈(101)은 ISM 밴드 아래로 2M㎐ 대역과 ISM 밴드 위로 3.5M㎐ 대역의 가드 밴드(Guard Band)를 두어, 다른 장치와의 간섭을 방지한다. 블루투스 통신 방식은 기본적으로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 방식을 사용하며, 초당 1600번 호핑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100)과 출입구 시스템(150)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블루투스 모듈(101)을 이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개인 무선 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을 위하여 무선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인프라레드(Infrared), 지그비(Zigbee) 등의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고, 기타 근거리에서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무선 통신 모듈의 적용이 가능하다.
표시부(103)는 단말(100)의 상태 및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표시부(103)는 본 실시예에 따라 출입구 시스템(150)과의 블루투스 통신 을 위한 비밀 번호 입력 창, 비밀번호 입력에 따른 블루투수 인증과 생체 인식에 따른 보안 인증 여부 알림 창, 카메라(111)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 출입구 시스템(150)의 제어 등을 표시한다.
메모리부(105)는 단말(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부(105)는 본 실시예에 따라 블루투스 통신 가능 지역에 단말(100)이 위치하면 자동으로 출입구 시스템(150)에 블루투스 통신을 요청하도록 자동 블루투스 통신 모드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07)는 단말(100)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07)는 본 실시예에 따라 생체 인식을 이용하여 출입구 시스템(150)을 제어한다. 생체 인식은 개인의 독특한 생체 정보를 추출하여 정보화시키는 인증방식을 의미한다. 생체 인식은 지문, 목소리, 눈동자 등 사람마다 다른 생체 특징을 인식시켜 비밀번호로 활용하는 것으로, 지문, 얼굴, 홍채, 정맥 등 신체 특징과 목소리, 서명 등 행동 특징을 활용하는 분야로 나뉜다.
여기서, 얼굴 인식 방법은 기계에 접촉할 필요 없이 카메라(111)로 쉽게 판별할 수 있는 보안기술이다. 사람마다 다른 얼굴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어 놓고, 입력된 얼굴영상을 데이터베이스의 얼굴들과 비교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지문 인식 방법은 피부의 표피 밑층인 진피에서 만들어진 지문의 진피 부분이 손상되지 않는 한 평생 변하지 않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개개인을 인식하는 방법으로 오래 전부터 보편적으로 사용되었다. 지문 인식의 원리는 지문의 골이나 곡점 등 지문 이미지의 특징점을 파악하여 저장된 원본 데이터와 일치하는지 를 비교하는 것이다.
또한, 홍채 인식 방법은 사람마다 고유한 특성을 가진 안구의 홍채 패턴을 이용한 것으로 데이터의 정확성, 안정성, 사용 편리성, 처리 속도면에서 지문 또는 망막 인식에 비해 가장 발전한 보안 시스템이다. 홍채는 생후 1~2 년 내에 고유한 패턴이 형성되어 평생 변하지 않으며, 8~25 ㎝ 정도 떨어진 상태에서 자동초점조절 카메라(111)로 홍채 패턴을 인식하는 비접촉 방식이기 때문에 사용 시 거부감이 없고, 2 초내 신분 판별이 가능한 최첨단 생체 인식 방법이다.
그리고 정맥 인식 방법은 손등이나 손목 혈관의 형태를 인식하는 기법으로, 적외선을 사용하여 혈관을 투시한 후 잔영을 이용하여 신분확인을 한다. 이는 복제가 거의 불가능하여 높은 보안성을 갖는다.
또한, 음성 인식 방법은 사람의 억양과 말하는 습관에 따른 음의 높낮이 정보가 모두 고유한 특징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출발한 방법이다. 마이크 등을 통해 전달된 음성의 특징을 분석한 뒤 가장 근접한 결과를 찾아내는 방법으로, 다른 생체 인식 분야와 달리 원격지에서도 단말(100)을 이용하여 신분을 확인할 수 있고, 사용하기 위한 별도의 교육이 필요하지 않은 장점이 있다
한편, 제어부(107)는 출입구 시스템(150)과의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페어링 요청 시, 요구되는 비밀 번호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107)는 1 차 인증 신호를 수신하여 블루투스 통신이 이루어지면, 생체 정보를 동영상 촬영하여 출입구 시스템(150)으로 실시간 전송한다. 여기서, 생체 정보의 동영상 정보를 전송할 때, 시간 정보도 함께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107)는 2 차 인증 신호를 수신하여 출입구 시스템(150)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07)는 출입구 시스템(150)의 개폐를 제어한다.
키입력부(109)는 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다. 키입력부(109)는 본 실시예에 따라 블루투스 통신 모드 선택, 비밀 번호 입력, 카메라(111) 조작,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1 차 인증 신호 수신 및 생체 인식에 따른 보안을 위한 2 차 인증 신호 수신 시, 출입구 시스템(150)의 제어를 위한 조작 등 수행한다.
카메라(111)는 영상 신호를 촬영한다. 카메라(111)는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부를 구비한다. 카메라(111)는 본 실시예에 따라 단말(100)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동영상으로 촬영한다.
영상 처리부(113)는 카메라(111)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영상 처리부(113)는 영상 코덱을 구비하고, 표시부(103)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원래의 영상 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전술한 단말(100)은 무선 통신 기능 수행을 위해 RF 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F 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출입구 시스템(150)은 블루투스 모 듈(151), 메모리부(155) 및 제어부(107)의 통상적인 구성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출입구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생체 인식을 이용하는 단말로 제어할 수 있는 어떤 시스템, 예컨대 차고, 자동차 등도 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블루투스 모듈(151)은 전술한 단말(100)의 블루투스 모듈(101)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부(155)는 출입구 시스템(15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부(155)는 본 실시예에 따라 단말(100)과의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비밀 번호를 저장한다. 그리고 메모리부(155)는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생체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저장되는 생체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100)에서 전송되는 생체 동영상 정보와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즉, 단말(100)에서 전송되는 정보와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제어부(157)가 보안을 위한 2 차 인증 여부를 결정하므로, 이를 위해 저장한다.
그리고 메모리부(155)는 시간 정보, 예컨대 시계를 저장한다. 메모리부(155)에 저장된 시계를 통해 단말(100)로부터 생체 동영상 정보가 전송될 때 함께 전송되는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실시간으로 전송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57)는 출입구 시스템(150)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57)는 본 실시예에 따라 단말(100)로부터 페어링 요청이 있으면, 비밀 번호를 요청한다.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비밀 번호가 메모리부(155)에 저장된 비밀 번호와 일치하면, 제어부(157)는 단말(100)에 대한 1 차 인증을 수행 한다.
그리고 제어부(157)는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생체 촬영 정보를 수신하고, 그 정보가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동영상 정보인지 확인한다. 즉, 제어부(157)는 메모리부(155)에 저장된 시계를 통해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동영상 정보와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정보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동영상 정보인 경우, 제어부(157)는 메모리부(155)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한다. 일치하는 경우, 제어부(157)는 단말(100)에 대한 2 차 인증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57)는 단말(100)로부터 출입구 개폐 정보가 전송되면, 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157)는 출입구를 열거나 닫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인식을 이용한 단말과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인식을 이용한 시스템 제어를 위한 단말과 시스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인식을 이용한 단말의 출입구 시스템 제어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00)의 제어부(107)가 블루투스 통신 모드의 선택 여부를 확인한다(S201). 여기서, 블루투스 통신 모드의 선택은 사용자가 키입력부(109)를 통해 직접 선택하여 진행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부(105)에 자동으로 블루투스 통신 모드가 요청되도록 설정되고, 제어부(107)가 출입구 시스템(150)과의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지역에 위치됨을 확인하면, 자동으로 블루투스 통신 모드를 요청할 수도 있다.
이어서, 제어부(107)는 출입구 시스템(150)에 페어링을 요청한다(S203). 페 어링 요청 시, 출입구 시스템(150)의 제어부(157)는 단말(100)에 비밀 번호를 요청한다(S205). 여기서, 비밀 번호는 블루투스 기기들 간의 연결을 위한 페어링 과정에서 요구되는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코드이다.
출입구 시스템(150)으로부터 비밀 번호 요청 시, 단말(100)의 제어부(107)는 사용자로부터 비밀 번호를 입력받는다(S207). 여기서, 비밀 번호를 요청하는 창은 표시부(103)에 팝업(pop-up)창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7)는 입력된 비밀 번호를 출입구 시스템(150)에 전송한다(S209). 단말(100)로부터 비밀 번호를 수신한 출입구 시스템(150)의 제어부(157)는 메모리부(155)에 저장된 비밀 번호와의 일치여부를 확인하여(S211), 일치하지 않는 경우, 단말(100)로 불일치를 알린다(S239).
한편, 수신된 비밀 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출입구 시스템(150)의 제어부(157)는 단말(100)에 대해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1 차 인증을 수행한다(S213). 그리고 제어부(157)는 인증 신호를 단말(100)에 전송한다(S215). 여기서, 1 차 인증 신호는 표시부(103)에 팝업창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1 차 인증 수행으로 단말(100)과 출입구 시스템(150) 간에 블루투스 통신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단말(100)의 제어부(107)는 카메라(111)를 이용하여 생체 촬영을 진행한다(S219). 여기서, 생체는 단말(100) 사용자의 얼굴, 홍채, 지문, 정맥, 음성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특정 생체, 예컨대 얼굴을 카메라(111)로 동영상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정보를 출입구 시스템(150)으로 전송한다(S221). 단말(100)의 제어부(107)는 영상 정보를 전송 시, 전송되는 시점의 시간 정보도 함께 전송한다. 여기서, 생체 촬영은 사용자의 여러 부분 중에서 어느 하나의 부분을 촬영한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생체의 어느 부분이든지 촬영이 가능하다. 그리고 각 부분을 순차적으로 촬영하여 전송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는 보안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단말(100)로부터 영상 정보 수신 시, 출입구 시스템(150)의 제어부(157)는 수신된 영상 정보가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동영상 정보인지 확인한다(S223). 전술한 S221 과정에서 단말(100)로부터 동영상 생체 정보 수신 시, 시간 정보도 함께 수신한다. 그리고 출입구 시스템(150)은 시계를 포함하다. 따라서, 출입구 시스템(150)의 제어부(157)는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시간 정보를 시계에서 제공하는 시간 정보와 비교하여,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동영상 생체 정보가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정보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정보가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정보가 아닌 경우, 제어부(157)는 단말(100)에 인증 불가 신호를 전송한다(S241). 그 이유는 제3 자가 단말(100)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저장하고, 그 정보를 출입구 시스템(150)에 전송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 원치 않게 출입구 시스템(150)이 인증을 수행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진행된다.
한편, 전술한 S223 과정으로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정보가 실시간 동영상 정보이면, 출입구 시스템(150)의 제어부(157)는 저장된 영상 정보와 비교한다(S225). 출입구 시스템(150)의 메모리부(155)는 단말(100)에서 전송되는 생체 촬 영 영상 정보와의 일치 여부를 비교할 수 있는 영상 정보를 저장한다. 이 정보는 단말(100) 사용자에 의해 저장된다.
이어서, 출입구 시스템(150)의 제어부(157)는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영상 정보와 메모리부(155)에 저장된 영상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27). 일치하지 않으면, 출입구 시스템(150)의 제어부(157)는 단말(100)로 불일치를 알린다(S243).
한편, 일치하는 경우, 출입구 시스템(150)의 제어부(157)는 단말(100)이 접근할 수 있도록 보안에 대한 2 차 인증을 수행한다(S229). 그리고 제어부(157)는 인증 신호를 단말(100)에 전송한다(S231). 여기서, 2 차 인증 신호는 표시부(103)에 팝업창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전술한 S213 과정으로 1 차로 인증이 진행되고, 전술한 S229 과정으로 2 차로 인증이 진행되면, 단말(100)의 제어부(107)는 출입구 개폐를 선택한다(S233). 즉, 제어부(107)는 사용자로부터 출입구 시스템(150)의 제어 신호를 선택받는다. 예를 들어, 출입구를 잠글 것인지, 잠금을 해제할 것인 지의 신호를 선택받는다.
다음으로, 제어부(107)는 선택된 출입구 개폐 정보를 출입구 시스템(150)에 전송하고(S235), 출입구 시스템(150)의 제어부(157)는 그에 따른 출입구 개폐 동작을 수행한다(S237).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인식을 이용한 단말의 시스템 제어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인식을 이용한 시스템 제어를 위한 단말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인식을 이용한 단말의 출입구 시스템 제어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7)가 자동 블루투스 통신 모드인지 확인한다(S301). 즉, 제어부(107)는 사용자에 의해 메모리부(105)에 미리 설정되어, 출입구 시스템(150)과의 블루투스 통신 지역 내에 위치함으로써, 자동으로 블루투스 통신 모드가 요청되었는지 확인한다. 그렇지 않으면, 제어부(107)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블루투스 통신 모드가 선택되었는지 확인한다(S319).
전술한 S301 과정으로 또는 S319 과정으로 블루투스 통신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07)는 출입구 시스템(150)에 페어링 요청 여부를 확인한다(S303). 사용자로부터 출입구 시스템(150)에 페어링이 요청되면, 제어부(107)는 비밀 번호를 입력하고, 그 정보를 출입구 시스템(150)에 전송한다.
다음으로, 출입구 시스템(150)으로부터 인증 신호 수신 여부를 확인하고(S307), 인증 신호 수신 시, 제어부(107)는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1 차 인증이 이루어졌음을 인지한다(S309).
이어서, 제어부(107)는 카메라(111)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를 동영상 촬영하고, 동영상 정보를 출입구 시스템(150)에 실시간으로 전송한다(S311). 여기서, 생체 동영상 정보를 출입구 시스템(150)에 전송 시, 제어부(107)는 전송되는 시점의 시간 정보를 함께 전송한다. 그리고 출입구 시스템(150)으로부터 인증 신호 수신 여부를 확인하고(S313), 인증 신호 수신 시, 제어부(107)는 출입구 시스템(150)에 접근을 위한 보안으로서 2 차 인증이 이루어졌음을 인지한다.
그 후에, 제어부(107)는 출입구 시스템(150)의 출입구 개폐를 선택하고, 그 정보를 전송한다(S317).
한편, 전술한 S313 과정에서 인증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제어부(107)는 동영상 정보를 다시 전송할 것인지 확인한다(S321). 다시 전송하기가 요청되면, 제어부(107)는 전술한 S311 과정으로 복귀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인식을 이용한 단말의 시스템 제어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중심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는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통해 1 차 보안을 하고, 생체 인식 기술을 통해 2 차 보안을 하여 단말의 시스템 제어 시, 보안성이 향상되고,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지역에 들어서면서부터 단말을 이용하여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Claims (6)
- 생체 인식을 이용한 단말의 시스템 제어 방법에 있어서,상기 단말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해 요청되는 비밀 번호를 상기 시스템에 전송하는 과정과,상기 전송된 비밀 번호가 저장된 비밀 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시스템이 상기 단말로 1 차 인증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은 생체 촬영 정보를 상기 시스템에 전송하는 과정과,상기 전송된 촬영 정보와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상기 시스템이 상기 단말로 2 차 인증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시스템의 기능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시스템 제어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촬영 정보 전송 과정은,상기 단말이 생체를 동영상 촬영하여 상기 시스템에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시스템 제어 방법.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는,상기 단말 사용자의 얼굴, 홍채, 지문, 정맥, 음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단말의 시스템 제어 방법.
- 제3 항에 있어서,상기 시스템은 상기 단말에서 전송하는 생체 촬영 영상 정보와의 일치 여부를 비교할 수 있는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시스템 제어 방법.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출입구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시스템 제어 방법.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과정은,상기 단말이 상기 출입구의 개폐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시스템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32624A KR20080089883A (ko) | 2007-04-03 | 2007-04-03 | 생체 인식을 이용한 단말의 시스템 제어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32624A KR20080089883A (ko) | 2007-04-03 | 2007-04-03 | 생체 인식을 이용한 단말의 시스템 제어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89883A true KR20080089883A (ko) | 2008-10-08 |
Family
ID=40151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32624A Withdrawn KR20080089883A (ko) | 2007-04-03 | 2007-04-03 | 생체 인식을 이용한 단말의 시스템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89883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26645B1 (ko) * | 2011-01-14 | 2013-02-13 | 주식회사 케이엘넷 | 생체정보를 이용한 디지털 잠금장치 관리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및 관리 장치 |
KR101345018B1 (ko) * | 2012-06-21 | 2014-01-22 | 주식회사 에스원 |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보안 인증 시스템 |
KR20140026312A (ko) * | 2012-08-24 | 2014-03-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그 단말기 |
KR20180079855A (ko) * | 2017-01-03 | 2018-07-11 |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관리시스템 |
KR102637490B1 (ko) * | 2023-07-26 | 2024-02-19 | 주식회사 라코스시스템 | 블루투스 자동문 컨트롤러 및 그 동작 방법 |
-
2007
- 2007-04-03 KR KR1020070032624A patent/KR20080089883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26645B1 (ko) * | 2011-01-14 | 2013-02-13 | 주식회사 케이엘넷 | 생체정보를 이용한 디지털 잠금장치 관리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및 관리 장치 |
KR101345018B1 (ko) * | 2012-06-21 | 2014-01-22 | 주식회사 에스원 |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보안 인증 시스템 |
KR20140026312A (ko) * | 2012-08-24 | 2014-03-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그 단말기 |
KR20180079855A (ko) * | 2017-01-03 | 2018-07-11 |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관리시스템 |
KR102637490B1 (ko) * | 2023-07-26 | 2024-02-19 | 주식회사 라코스시스템 | 블루투스 자동문 컨트롤러 및 그 동작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461446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pplication software start-up system, and application software start-up method | |
US11244315B2 (en) | Authentication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and use based on heartbeat shape | |
EP3116138B1 (en) | Method for implementing short-distance unlocking according to electrocardiogram, and system thereof | |
US10262123B2 (en) | Multimodal biometric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with photoplethysmography (PPG) bulk absorption biometric | |
WO2021000814A1 (zh) | 一种语音控制方法及相关装置 | |
US9224015B2 (en) | Smart wallet | |
KR100760102B1 (ko) | 피사체 인증 장치, 휴대 전화, 피사체 인증 방법, 및 피사체 인증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 |
KR101939696B1 (ko) | 사용자 무의식형 멀티모달 출입통제시스템 | |
KR20160006587A (ko) | 홍채 인식을 이용한 도어록과 그 시스템 및 그에 사용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및 사용자 인증 방법 | |
US9892247B2 (en) | Multimodal biometric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with photoplethysmography (PPG) bulk absorption biometric | |
KR20180087088A (ko) | 얼굴인식 및 생체인증 보안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 |
US11194896B2 (en) | Wearable device and portable system having higher security | |
KR101916250B1 (ko) | 홍채 인식을 이용한 도어록 시스템 | |
KR20080089883A (ko) | 생체 인식을 이용한 단말의 시스템 제어 방법 | |
KR20160005863A (ko) | 태그 리더와 개인 인증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인증 장치를 사용한 보안 장치 | |
WO2021220423A1 (ja) | 認証装置、認証システム、認証方法および認証プログラム | |
KR100674441B1 (ko) |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지문인식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및 방법 | |
US10263989B2 (en) | Method for matching multiple devices, and device and server system for enabling matching | |
CN107169429A (zh) | 活体识别方法和装置 | |
US11734981B2 (en) | Enhanced entry authorization | |
JP2006235718A (ja) | 顔認証装置、その顔認証方法、その顔認証装置を組み込んだ電子機器およびその顔認証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 |
CN114066458A (zh) | 生物识别方法、生物识别装置及存储介质 | |
KR102111697B1 (ko) | 초음파센서를 포함하는 생체인증모듈을 이용한 전자출결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
RU2817264C2 (ru) | Способ защиты электронного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моби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от несанкционированного доступа | |
RU2817264C9 (ru) | Способ защиты электронного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моби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от несанкционированного доступ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0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