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88265A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8265A
KR20080088265A KR1020070031037A KR20070031037A KR20080088265A KR 20080088265 A KR20080088265 A KR 20080088265A KR 1020070031037 A KR1020070031037 A KR 1020070031037A KR 20070031037 A KR20070031037 A KR 20070031037A KR 20080088265 A KR20080088265 A KR 20080088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leration
deceleration
step motor
frequency
reso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1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1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8265A/ko
Priority to US12/046,706 priority patent/US8072178B2/en
Priority to CN2008100963028A priority patent/CN101276178B/zh
Publication of KR20080088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82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8/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ynamo-electric motors rotating step by step
    • H02P8/1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peed or speed and torque
    • H02P8/18Shaping of pulses, e.g. to reduce torque ripp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29Transport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19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or contouring control systems, e.g. to control position from one programmed point to another or to control movement along a programmed continuous path
    • G05B19/40Open loop systems, e.g. using stepping m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8/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ynamo-electric motors rotating step by step
    • H02P8/1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peed or speed and torqu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56Control of copy medium feeding
    • G03G2215/00599Timing, synchron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Stepping Motor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스텝모터의 구동시 스텝모터가 장착된 부품의 공진주파수를 고려하여 공진 현상이 예상되는 가감속테이블 대신에 공진 회피 가능한 가감속테이블을 이용하여 공진주파수와 일치하지 않는 구동주파수로 스텝모터를 가감속 제어함으로써 스텝모터와 부품간의 공진을 회피할 수 있어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고, 부품의 오동작 및 수명단축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스텝모터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스텝모터가 장착된 부품의 공진주파수가 저장된 제1저장부와, 가감속 속도구간별 구동주파수가 서로 다르게 설정된 복수의 가감속테이블을 저장하는 제2저장부와, 스텝모터의 구동시 공진주파수에 대하여 공진 회피 가능한 구동주파수를 갖는 가감속테이블을 이용하여 스텝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의 스텝모터의 구동제어장치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스텝모터의 각속도 및 구동주파수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제2저장부에 저장된 각 가감속테이블의 속도구간별 구동주파수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공진회피를 위한 가감속테이블의 변경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공진회피를 위한 가감속테이블의 다른 변경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의 스텝모터의 구동제어방법에 대한 제어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기능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속도명령부 20 : 클럭발생부
30 : 제1저장부 40 : 제2저장부
50 : 제어부 60 : 모터구동부
70 : 스텝모터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린터, 복합기 등의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스텝모터의 진동을 줄일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텝모터는 외부의 DC전압 또는 전류를 모터의 각 상단자에 스위칭방식으로 입력시켜 줌에 따라 일정한 각도의 회전을 하는 모터이다.
이러한 스텝모터는 정밀 제어가 가능하여 프린터, 복합기 등의 화상형성장치의 주요 부품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스텝모터는 정밀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구동주파수가 세트 내부의 주요 부품의 공진주파수와 일치할 경우 공진 현상이 쉽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즉, 모터자체의 기계적 특성과 전기적 특성이 어느 구동주파수영역에 이르게 되면 급격히 진동을 일으키거나 출력토크를 저하시키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공진이라 한다. 공진 현상으로 인해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진동 소음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주요 부품의 성능과 수명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텝모터가 장착된 부품의 공진주파수를 고려하여 스텝모터와 부품간의 공진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스텝모터를 구비하 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텝모터가 장착된 부품의 공진주파수가 저장된 제1저장부와, 가감속 속도구간별 구동주파수가 서로 다르게 설정된 복수의 가감속테이블을 저장하는 제2저장부와, 상기 스텝모터의 구동시 상기 공진주파수에 대하여 공진 회피 가능한 구동주파수를 갖는 가감속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스텝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품은 레이저스캐닝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품은 스캔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가감속테이블은 풀 스텝방식에 의한 펄스수 및 펄스간격을 갖는 구동주파수가 저장된 가감속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가감속테이블은 하프 스텝방식에 의한 펄스수 및 펄스간격을 갖는 구동주파수가 저장된 가감속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가감속테이블은 마이크로 스텝방식에 의한 펄스수 및 펄스간격을 갖는 구동주파수가 저장된 가감속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가감속테이블에는 상기 스텝모터의 공진주파수가 제외된 구동주파수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의 스텝모터의 구동제어장치에 대한 제어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속도명령부(10), 클럭발생부(20), 제1저장부(30), 제2저장부(40), 제어부(50), 모터구동 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면부호 70은 스텝모터(70)로서 예를 들면, 화상형성장치의 스캔유닛을 구동하는 스텝모터(70)이다. 이 스텝모터(70)의 구동구간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방향(ClockWise, CW)으로 스캔유닛을 라인단위로 구동하는 경우, 한 라인을 감지하기 위하여 속도가 가속되는 가속구간, 가속된 속도를 유지하는 등속구간, 정지를 위해 감속하는 감속구간을 구분할 수 있다.
속도명령부(10)는 스캔유닛의 이동을 위한 구동 또는 정위로의 복귀를 위한 구동 등의 스텝모터(70)의 동작조건을 명령한다.
제1저장부(30)에는 스텝모터(70)가 장착된 부품 일예로, 레이저스캐닝유닛과 스캔유닛 등의 공진주파수가 저장되어 있다.
제2저장부(40)에는 가속구간, 등속구간, 감속구간의 속도구간별 구동주파수가 서로 다르게 설정된 다수의 가감속테이블이 저장되어 있다. 각 가감속테이블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속구간, 정속구간, 감속구간에 대한 각 속도구간별 서로 다른 구동주파수가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구동주파수는 풀 스텝(Full step), 하프 스텝(Half step), 마이크로 스텝(Micro step)에 의해 서로 다른 주파수로 만들어진다. 풀 스텝은 기준클럭신호인 펄스를 1개다 이용한다는 의미이고, 펄스 1개에 대하여 스텝모터(70)의 한 스텝 회전한다. 하프 스텝은 펄스를 반만 이용한다는 의미이고, 두 개의 펄스가 입력되어야 스텝모터(70)가 한 스텝 회전한다. 마이크로 스텝은 1/4 마이크로 스텝, 1/8 마이크로 스텝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1/4 마이크로 스텝은 펄스의 1/4만 이용한다는 의미이고, 4개의 펄스가 입력되어야 스텝모 터(70)가 한 스텝 회전한다. 1/8 마이크로 스텝은 펄스의 1/8만 이용한다는 의미이고, 8개의 펄스가 입력되어야 스텝모터(70)가 한 스텝 회전한다. 이때, 각 구동주파수는 스텝모터(70)의 공진주파수를 제외한 주파수이다.
클럭발생부(20)는 각 속도구간별 구동주파수에 대응하는 펄스 간격의 기준이 되는 기준클럭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50)는 속도명령부(10)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제2저장부(40)에 저장된 가감속테이블을 이용하여 가속구간, 등속구간, 감속구간에 대하여 각 구간별 구동주파수를 출력하여 모터구동부(60)를 통해 스텝모터(70)를 구동시킨다. 이때, 제어부(50)는 클럭발생부(20)로부터 출력된 기준클럭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속도구간별 구동주파수에 맞게 펄스수 및 펄스간격이 조절된다. 펄스간격이 좁아지는 것은 스텝모터(70)의 각속도가 빨라지는 것을 의미하고, 펄스간격이 넓어지는 것은 스텝모터(70)의 각속도가 느리지는 것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텝모터(70)는 정밀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구동주파수가 세트 내부의 주요 부품의 공진주파수와 일치할 경우 급격히 진동을 일으키거나 출력토크를 저하시키는 공진 현상이 쉽게 발생하여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할 뿐만 스텝모터(70)가 장착된 부품의 성능과 수명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제1저장부(30)에 저장된 공진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로 스텝모터(70)를 구동할 경우, 공진이 발생한다.
상기한 제어부(50)는 이러한 공진을 회피하기 위해서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감속테이블의 구동주파수가 공진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인 경우에는 가감속테이블을 변경시켜 구동주파수가 공진주파수와 동일하지 않도록 스텝모터(70)를 가감속 제어함으로써 스텝모터(70)와 부품간의 공진을 회피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진주파수가 f2 -1인 경우, 기준 가감속테이블로 사용된 제1가감속테이블에 따라 1차가속구간에서는 f1 -1의 구동주파수를 이용하여 1차가속시킨다. 하지만, 2차가속구간에서 구동주파수 f2-1이 공진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이므로, f2-1 대신에 공진 회피 가능한 가감속테이블(일예로, 제2가감속테이블)로 변경하여 구동주파수를 변경시킴으로써 공진을 회피시킨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진주파수가 f4 -1인 경우, 기준 가감속테이블로 사용된 제1가감속테이블에 따라 가속구간 및 등속구간에서는 제1가감속테이블의 가속구간 및 등속구간별 구동주파수를 이용하여 가속 및 등속시킨다. 하지만, 1차 감속구간에서 구동주파수 f4-1이 공진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이므로, f4-1 대신에 공진 회피 가능한 가감속테이블(일예로, 제n가감속테이블)로 변경하여 구동주파수를 변경시킴으로써 공진을 회피시킨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제어부(50)의 작동을 도 6을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50)는 단계 S100에서 스텝모터(70)를 기준가감속테이블(일예로, 제1가감속테이블)을 적용하여 구동시킨다.
그리고, 단계 S101에서 제1저장부(30)에 저장된 공진주파수를 읽어들인다.
그런 후 단계 S102 내지 S111에서 1차가속구간, 2차가속구간, 등속구간, 1차감속구간, 2차감속구간에서 각각 해당 구동주파수가 공진주파수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해당 구동주파수가 공진주파수가 아니면, 해당 구동주파수를 이용하여 각 속도구간에 맞게 가속, 등속 또는 감속시킨다.
한편, 해당 구동주파수가 공진주파수이면, 공진 회피를 위해 공진회피 가능한 가감속테이블로 변경하여 변경된 가감속테이블의 속도구간별 구동주파수를 이용하여 각 속도구간에 맞게 가속, 등속 또는 감속시킨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텝모터의 구동시 스텝모터가 장착된 부품의 공진주파수를 고려하여 공진 현상이 예상되는 가감속테이블 대신에 공진 회피 가능한 가감속테이블을 이용하여 공진주파수와 일치하지 않는 구동주파수로 스텝모터를 가감속 제어함으로써 스텝모터와 부품간의 공진을 회피할 수 있어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고, 부품의 오동작 및 수명단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스텝모터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텝모터가 장착된 부품의 공진주파수가 저장된 제1저장부와,
    가감속 속도구간별 구동주파수가 서로 다르게 설정된 복수의 가감속테이블을 저장하는 제2저장부와,
    상기 스텝모터의 구동시 상기 공진주파수에 대하여 공진 회피 가능한 구동주파수를 갖는 가감속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스텝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은 레이저스캐닝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은 스캔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감속테이블은 풀 스텝방식에 의한 펄스수 및 펄스간격을 갖는 구동주파수가 저장된 가감속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감속테이블은 하프 스텝방식에 의한 펄스수 및 펄스간격을 갖는 구동주파수가 저장된 가감속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감속테이블은 마이크로 스텝방식에 의한 펄스수 및 펄스간격을 갖는 구동주파수가 저장된 가감속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감속테이블에는 상기 스텝모터의 공진주파수가 제외된 구동주파수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70031037A 2007-03-29 2007-03-29 화상형성장치 KR2008008826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1037A KR20080088265A (ko) 2007-03-29 2007-03-29 화상형성장치
US12/046,706 US8072178B2 (en) 2007-03-29 2008-03-12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CN2008100963028A CN101276178B (zh) 2007-03-29 2008-03-25 成像装置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1037A KR20080088265A (ko) 2007-03-29 2007-03-29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8265A true KR20080088265A (ko) 2008-10-02

Family

ID=39793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1037A KR20080088265A (ko) 2007-03-29 2007-03-29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072178B2 (ko)
KR (1) KR20080088265A (ko)
CN (1) CN10127617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29181B2 (ja) * 2011-12-28 2016-06-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CN106849786A (zh) * 2016-12-28 2017-06-13 江苏博权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医用步进电机加减速行程控制装置
CN108702121A (zh) * 2017-09-29 2018-10-23 深圳市大疆灵眸科技有限公司 云台电机控制方法及相应的云台
CN108134555A (zh) * 2017-12-12 2018-06-08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电机运行频率的调节方法与装置
CN108134556A (zh) * 2017-12-12 2018-06-08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电机运行频率的调节方法与装置
CN108134554A (zh) * 2017-12-12 2018-06-08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电机运行频率的调节方法与装置
KR102608614B1 (ko) * 2018-09-21 2023-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9508050B (zh) * 2018-11-28 2022-03-01 浙江工业大学 一种自动点钻机速度控制方法
CN109862243B (zh) * 2019-01-31 2020-10-0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设备及终端设备的控制方法
CN110879513B (zh) * 2019-12-17 2024-07-23 珠海奔图电子有限公司 纸张搬送控制方法、装置,图像形成装置、系统和电子设备
CN110932622A (zh) * 2019-12-17 2020-03-27 广州星迪智能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克服电机抖动的方法
CN112491313B (zh) * 2020-12-08 2023-07-07 深圳开立生物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机控制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88196A (ja) * 1989-01-13 1990-07-24 Copal Co Ltd ステッピングモータの駆動制御方法
US6016044A (en) * 1995-09-11 2000-01-18 Alaris Medical Systems, Inc. Open-loop step motor control system
US5927398A (en) * 1996-06-22 1999-07-27 Carrier Corporation Device identification system for HVAC communication network
JPH1098898A (ja) 1996-09-20 1998-04-14 Ricoh Co Ltd ステッピングモータの駆動制御装置
JP3435363B2 (ja) 1998-11-27 2003-08-1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被駆動体の駆動方法および駆動装置とそれを用いたプリン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38353A1 (en) 2008-10-02
CN101276178B (zh) 2010-07-07
CN101276178A (zh) 2008-10-01
US8072178B2 (en) 2011-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88265A (ko) 화상형성장치
JP4165915B2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制御装置
JPH11215894A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の制御装置
US6459229B1 (en) Motor control apparatus
JP4833617B2 (ja) 印字媒体搬送装置及び印字媒体搬送方法
JP6287950B2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ー制御装置
KR100761689B1 (ko) 토크 제한 속도 프로파일 모터 구동 방법 및 장치
JP2010273533A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の駆動制御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979973B2 (en) Apparatus to and method of controlling step motor
CN105977777B (zh) 一种更换sesam工作点方法及相关设备
JP2008067449A (ja) モータ制御装置及びモータ制御方法と電子写真式画像形成装置
JP5431115B2 (ja) モータ駆動装置
JP5459994B2 (ja) モータ駆動装置、駆動装置
JP2008011655A (ja) パルスモータ制御装置
JP2006180632A (ja) 駆動源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JP2007083670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のキャリッジ用モータ駆動回路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2000177194A (ja) 画像形成装置
JP6962044B2 (ja) モータ制御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4246294A (ja) カメラ移動装置
JPH0593966A (ja) 光学系駆動装置
JP2008079395A (ja) 振動アクチュエータの駆動制御装置、レンズ鏡筒及びカメラ
US9780708B2 (en)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stepper motor that ensure improved performance of stepper motor during activation period
JP2021085987A (ja) レンズ装置、撮像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H0984392A (ja) マイクロステップ駆動用ステッパモータ
JP2019075989A (ja) 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3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3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8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4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