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84103A -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4103A
KR20080084103A KR1020070025286A KR20070025286A KR20080084103A KR 20080084103 A KR20080084103 A KR 20080084103A KR 1020070025286 A KR1020070025286 A KR 1020070025286A KR 20070025286 A KR20070025286 A KR 20070025286A KR 20080084103 A KR20080084103 A KR 20080084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cover
heat dissipation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5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5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4103A/ko
Priority to EP08101737.8A priority patent/EP1970768B1/en
Priority to CN2008100823164A priority patent/CN101266444B/zh
Priority to US12/041,794 priority patent/US7890023B2/en
Publication of KR20080084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410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53Structural details of heat elements, e.g. structure of roller or belt, eddy current, induction hea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19Frame structur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8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fixing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20Details of the fixing device or porc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정착열에 의한 타부품의 손상이나 오작동 및 사용자 화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장치는, 인쇄매체에 전사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닛; 상기 정착유닛을 커버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방열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방열리브는 사용자의 손이 상기 커버에 직접 접촉됨을 차단하는 높이와 이격 간격을 가진다.
정착, 열, 가열, 고온, 방열, 리브, 손, 사용자, 커버, 접촉, 간격.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장치{A image fixing device of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Ⅲ-Ⅲ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A영역 확대도, 그리고,
도 5a 및 도 5b는 방열리브의 높이에 따른 방열온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래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정착유닛 11: 제 1 정착롤러
12: 제 2 정착롤러 13: 정착 프레임
20: 커버 30: 방열리브
본 발명은 인쇄매체에 전사된 화상을 가열 및 가압하여 정착시키는 화상형성 장치의 정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복사기, 프린터, 팩스밀리 및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기기로 구현하는 복합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화상신호를 인쇄매체에 인쇄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를 급지시키는 급지장치, 급지된 인쇄매체에 소정 화상을 형성시키는 현상장치, 인쇄매체에 형성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장치 및 인쇄매체를 외부로 배지시키는 배지유닛 등을 포함한다.
또한, 팩스밀리나 복합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원고의 화상을 스캔하는 스캔유닛을 더 포함한다. 이 스캔유닛은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접근성을 고려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상부에 적층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정착장치는 상기 인쇄매체의 이송경로를 고려하여 일반적으로 상기 배지유닛의 인근인 화상형성장치의 상부에 설치되어, 인쇄매체에 형성된 화상을 가열 및 가압하여 정착시킨다. 이때, 상기 정착장치는 대략 200˚C의 정착열이 발생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정착장치의 정착열이 화상형성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상면 커버에 전달되어, 상기 상면커버의 색이 바래거나 형태가 변형되는 등의 열변형이 야기된다. 또한, 고온으로 가열된 상면커버로 인해 사용자의 접근성이 저해된다.
또한, 상기 화상형성장치 내부의 잼된 인쇄매체의 제거와 같은 유지, 보수를 위해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 내부로 진입할 경우, 고온으로 가열된 정착장치와 그 인근의 부품들에 접촉되어 화상의 우려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상부에 적층되는 스캔유닛과 같은 인근 부품들에도 정착장치의 정착열이 전달됨으로써, 열에 의해 오작동 또는 동작 불능과 같은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정착열에 의한 타부품의 오작동이나 손상 및 사용자 화상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장치는, 인쇄매체에 전사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닛; 상기 정착유닛을 커버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방열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방열리브는 사용자의 손이 상기 커버에 직접 접촉됨을 차단하는 높이와 이격 간격을 가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방열리브의 높이와 이격 간격은 각각 1.0mm 이상과 10mm이내인 것이 좋다.
상기 정착유닛은, 정착열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포함하는 한 쌍의 정착롤러; 및 상기 한 쌍의 정착롤러를 지지하는 정착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는 상기 한 쌍의 정착롤러 중 상기 정착열을 발생시키는 상기 롤러의 인근을 커버하도록 상기 정착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정착 프레임과 상기 커버 사이에는 방열을 위해 상호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장치는, 정착유닛(10), 커버(20) 및 방열리브(30)를 포함한다.
상기 정착유닛(10)은 인쇄매체의 이송경로에 설치되어, 상기 인쇄매체에 전사된 화상을 열과 압력에 의해 정착시킨다. 이러한 정착유닛(10)은 한 쌍의 정착롤러(11)(12)와 정착 프레임(1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정착롤러(11)(12)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및 제 2 정착롤러(11)(12)로 명시한다.
상기 제 1 정착롤러(11)는 상기 인쇄매체를 가열하기 위해 열원(11a)이 내장된다. 상기 열원(11a)은 일반적인 할로겐램프와 같은 발열 수단 중 어느 하나가 채용된다. 이때, 상기 열원(11a)은 대략 200˚C의 정착열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 2 정착롤러(12)는 상기 제 1 정착롤러(11)와 마주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제 1 정착롤러(11)와의 사이로 이송되는 인쇄매체를 가압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 2 정착롤러(12)의 양단은 가압 스프링(12a)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정착롤러(11)가 열원(11a)이 내장되는 가열롤러이고 제 2 정착롤러(12)가 가압 스프링(12a)에 지지되는 가압롤러인 것으로 예시하였느나, 꼭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제 1 및 제 2 정착롤러(11)(12)가 모두 열원(11a)이 내장되거나 가 압 스프링(12a)에 의해 지지되어, 가열 또는 가압의 기능을 모두 구비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변형 실시예가 가능함은 당연하다.
상기 정착 프레임(13)은 상기 제 1 및 제 2 정착롤러(11)(1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러한 정착 프레임(13)은 열 전도율이 낮은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20)는 상기 정착유닛(10)을 커버한다. 이때, 상기 커버(20)는 정착열을 발생시키는 제 1 정착롤러(11)를 커버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커버(20)는 상기 제 1 정착롤러(11)로부터 발생된 정착열을 외부와 차단시켜, 1차 방열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정착 프레임(13)과 커버(20) 사이에는 제 1 정착롤러(11)의 정착열을 1차 방열하기 위한 상호 이격된 공간(S)이 형성된다.
상기 방열리브(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20)의 외면에 소정 높이(H)를 가지고 서로 소정 간격(G) 이격되어 복수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방열리브(30)의 높이(H)와 이격 간격(G)은 사용자의 손이 상기 커버에 직접 접촉됨을 차단하는 높이(H)와 간격(G)이다.
상기 방열리브(30)의 높이(H)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을수록 방열효율이 향상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열리브(30)가 설치되지 않았을 때보다 상기 방열리브(30)가 설치된 경우, 온도가 더 낮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방열리브(30)의 높이(H)가 높을수록 방열 효율은 향상된다.
한편, 상기 커버(20)와 방열리브(30) 사이의 온도 차이가 대략 10˚C 이상이 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방열리브(30)는 도 5a 및 도 5b의 그래프를 참 고하여, 대략 1.0mm 이상의 높이(H)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방열리브(30)의 높이(H)는 인근 부품들을 간섭하지 않는 범위이어야 한다.
또한, 상기 방열리브(30)의 이격 간격(G)은 사용자의 손가락의 평균적인 최소폭을 고려하여 대략 10mm 이내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장치의 동작 관계를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정착롤러(11)는 내부의 열원(11a)에 의해 가열되고, 제 2 정착롤러(12)는 가압 스프링(12a)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어 제 1 정착롤러(11) 측으로 가압된다. 이 제 1 및 제 2 정착롤러(11)(12) 사이로 인쇄매체가 이송되어 화상이 정착된다.
이때, 상기 제 1 정착롤러(11)의 열은 정착 프레임(13)과 커버(20) 사이의 공간(S)을 통해 1차 방열된 후, 다수의 방열리브(30)들에 의해 2차 방열된다. 이로써, 상기 커버(20)의 표면온도와 방열리브(30) 사이에서 대략 10˚C 이상의 온도 차이가 발생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잼된 인쇄매체의 제거와 같은 유지, 보수를 위해 상기 화상형성장치 내부로 진입하여도 상기 방열리브(30) 들의 간격(G)이 사용자의 손가락보다 작으므로, 사용자가 가열된 커버(20)의 표면에 직접 접촉됨이 차단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고온의 정착열을 발산하는 정착유닛을 커버하는 커버의 외면에 다수의 방열리브들을 형성함으로써, 정착열로 인 한 타부품들의 간섭이 방지된다. 이로 인해, 타부품들의 열변형, 오작동 또는 손상 등과 같은 기존의 문제점이 개선된다.
또한, 상기 다수의 방열리브들이 사용자가 직접 접촉됨을 차단할 수 있는 높이와 이격 간격을 가지고 커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화상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접근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신뢰성이 향상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인쇄매체에 전사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닛;
    상기 정착유닛을 커버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방열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방열리브는 사용자의 손이 상기 커버에 직접 접촉됨을 차단하는 높이와 이격 간격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리브의 높이와 이격 간격은 각각 1.0mm 이상과 10mm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유닛은,
    정착열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포함하는 한 쌍의 정착롤러; 및
    상기 한 쌍의 정착롤러를 지지하는 정착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한 쌍의 정착롤러 중 상기 정착열을 발생시키는 상기 롤러의 인근을 커버하도록 상기 정착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 장치의 정착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 프레임과 상기 커버 사이에는 방열을 위해 상호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장치.
KR1020070025286A 2007-03-15 2007-03-15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장치 Ceased KR2008008410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286A KR20080084103A (ko) 2007-03-15 2007-03-15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장치
EP08101737.8A EP1970768B1 (en) 2007-03-15 2008-02-19 Image forming apparatus
CN2008100823164A CN101266444B (zh) 2007-03-15 2008-02-29 成像装置
US12/041,794 US7890023B2 (en) 2007-03-15 2008-03-04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286A KR20080084103A (ko) 2007-03-15 2007-03-15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4103A true KR20080084103A (ko) 2008-09-19

Family

ID=39988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5286A Ceased KR20080084103A (ko) 2007-03-15 2007-03-15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80084103A (ko)
CN (1) CN1012664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61098B2 (ja) * 2010-10-25 2014-07-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筐体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US9367024B2 (en) 2012-11-30 2016-06-14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fix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53975A (en) * 1979-05-17 1980-12-01 Canon Inc Picture image forming device
CN100507730C (zh) * 2004-07-12 2009-07-01 兄弟工业株式会社 电照相图像形成设备和定影单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66444B (zh) 2012-12-26
CN101266444A (zh) 2008-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61481B (zh) 加热在可记录材料上的图像的设备和方法
KR20080084103A (ko)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장치
EP1970768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EP2472339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Guide Member to Guide Air
JP4328979B2 (ja) 画像読取用キャリッジ、画像読取装置、および複合機
JP6032004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9157238A (ja) 画像形成装置
JP5497672B2 (ja) 画像形成装置
JP4943906B2 (ja) 画像形成装置
US8503041B2 (en) Scanner capable of detecting the orientation of arranged document and image read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6544301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5257853A (ja) 画像形成装置
JP7210346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シート給送装置
KR20050075884A (ko) 복합기
JP2008295021A (ja) 事務文書とともに使用するための自動文書送り装置
US20220128937A1 (en) Sheet hea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04950653A (zh) 排热隔热组件及其图像形成装置
KR100552508B1 (ko) 소음방지용 캡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6884521B2 (ja) プリンタ
JP531610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5027783A5 (ko)
JP4141755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0224268A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145948A (ja) 画像形成装置
JP2010030178A (ja) 放熱板および熱転写プリン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1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3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3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09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7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