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83632A - 핸드-헬드 전원 작동식 띠톱의 지지용 스탠드 - Google Patents

핸드-헬드 전원 작동식 띠톱의 지지용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3632A
KR20080083632A KR1020087013794A KR20087013794A KR20080083632A KR 20080083632 A KR20080083632 A KR 20080083632A KR 1020087013794 A KR1020087013794 A KR 1020087013794A KR 20087013794 A KR20087013794 A KR 20087013794A KR 20080083632 A KR20080083632 A KR 20080083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
band saw
saw
portable band
workpie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3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코트 에이 맥킨토시
제프리 에이 스코트
존 엘 웨이트
Original Assignee
스타우트 툴 코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타우트 툴 코프 filed Critical 스타우트 툴 코프
Publication of KR20080083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3632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3/00Machines or devices for sawing with strap saw-blades which are effectively endless in use, e.g. for contour cutting
    • B23D53/12Hand-held or hand-operated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p saw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3/00Machines or devices for sawing with strap saw-blades which are effectively endless in use, e.g. for contour cutting
    • B23D53/006Convertible saw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5/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p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55/02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p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frames; of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13/00Band or strap sawing machines; Components or equipment therefor
    • B27B13/02Frames; Pilla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947Assembling or joining by applying separate fastener
    • Y10T29/49959Nonresilient faste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04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687By tool reciprocable along elongated edge
    • Y10T83/6905With tool in-feed
    • Y10T83/699Of tool carrier on single moving pivot
    • Y10T83/6995Pivot moves in closed lo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687By tool reciprocable along elongated edge
    • Y10T83/7015Having uniplanar compound motion
    • Y10T83/7025Constantly oriented tool travelling in orb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707By endless band or chain knif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869Means to drive or to guide tool
    • Y10T83/8763Convertible from tool path to another or from implement to mach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95Machine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awing (AREA)

Abstract

휴대용 띠톱을 직립 고정식 테이블 띠톱으로 전환하기 위한 장치는 베이스, 이 베이스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으로 연장하는 측벽, 및 상단을 포함한다. 공작물 지지면은 휴대용 띠톱이 스탠드에 대하여 지지 관계로 장착될 때 휴대용 띠톱의 폐루프 톱 블레이드의 어느 하나의 런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 상에 장착된 스위치는 핸들 상의 손가락 트리거와 독립적으로 휴대용 띠톱을 작동시킨다. 온/오프 스위치는, 스탠드에 장착될 때 휴대용 띠톱에 의해 결합되는 플러그에 연결된다. 플러그는 띠톱의 소켓 내에 결합될 수 있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휴대용 띠톱의 손가락 트리거를 분기하고 온/오프 스위치를 통하여 회로를 형성한다.

Description

핸드-헬드 전원 작동식 띠톱의 지지용 스탠드{STAND FOR SUPPORTING A HAND HELD POWERED OPERATED BAND SAW}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휴대용 핸드-헬드 전원 작동식 띠톱, 특히, 휴대용 핸드-헬드 전원 작동식 띠톱을 스탠드에서 지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련된다.
휴대용 띠톱을 위한 다양한 전환 키트 및 스탠드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251,525호; 미국 특허 제4,823,666호; 미국 특허 제4,677,887호; 미국 디자인 제522,828호; 및 공개 미국 출원 제2002/0040530 A1호에 공지되었다. 이러한 장치들은 그들의 의도된 목적에 적합하게 보이지만, 이들 장치는 건설 작업 환경에서 설치하고 작동하는 데 불편하며, 여전히 제조가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든다. 그러므로, 제조하는 데 용이한 휴대용 띠톱 스탠드, 또는 전환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하는 데 비용 효율이 높은 휴대용 띠톱 스탠드, 또는 전환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설 작업 환경에서 설치하는 데 용이한 휴대용 띠톱, 또는 전환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설 환경에서 작동하는 데 용이한 휴대용 띠톱 스탠드, 또는 전환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설 환경에서 더 큰 유연성을 위하여 개별적으로 또는 서로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휴대용 띠톱 및 스탠드 키트의 조합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설 환경에서의 사용에 적합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여 손목 터널 증후군(carpel tunnel syndrome)과 같은 반복적인 움직임 작업과 관련된 상해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휴대용 띠톱을 직립 고정식 테이블 띠톱으로 전환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 장치는 베이스, 이 베이스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으로 연장하는 측벽, 측벽에 의해 지지되는 상단, 이 상단과 연결되는 공작물 지지면을 갖는 스탠드를 포함한다. 공작물 지지면은 휴대용 띠톱이 스탠드에 대하여 지지 관계로 장착될 때 휴대용 띠톱의 폐루프 톱 블레이드의 어느 하나의 런(run)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띠톱 스탠드는 중력에 대하여 휴대용 띠톱을 지탱하기 위한 스탠드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는 상대적으로 편평한 공작물 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는데, 톱 블레이드는 공작물 접촉면의 평면을 통하여 돌출한다. 공작물 접촉면은 공작물과 접촉할 수 있고 공작물이 톱 블레이드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동안 공작물 접촉면을 가로질러 이동되도록 지지해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톱 및 스탠드의 조합은 톱 블레이드의 적어도 하나의 날 상에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절단날을 갖는 폐루프 톱 블레이드로 공작물 상에 절단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공작물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도록 손으로 조작가능한 휴대용 핸드-헬드 전원 작동식 띠톱을 포함할 수 있다. 톱 블레이드는 절단 작업 중에 폐루프로 정해진 경로에서 이동가능하다. 스탠드는 중력에 대하여 휴대용 띠톱을 지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탠드는 상대적으로 편평한 공작물 접촉면을 가질 수 있는데, 톱 블레이드는 공작물 접촉면의 평면을 통하여 돌출한다. 공작물 접촉면은 공작물과 접촉할 수 있고 공작물이 톱 블레이드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동안 공작물 접촉면을 가로질러 이동되도록 지지해준다.
휴대용 띠톱을 스탠드에 장착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공작물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도록 손으로 조작가능한 휴대용 핸드-헬드 전원 작동식 띠톱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띠톱은 톱 블레이드의 적어도 하나의 날 상에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절단날을 가질 수 있다. 톱 블레이드는 절단 작업 중에 폐루프로 정해진 경로에서 이동가능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상대적으로 편평한 공작물 접촉면을 갖는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을 또한 포함할 수 있는데, 톱 블레이드는 공작물 접촉면의 평면을 통하여 돌출할 수 있다. 공작물 접촉면은 공작물과 접촉할 수 있고 공작물이 톱 블레이드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동안 공작물 접촉면을 가로질러 이동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 방법은 휴대용 띠톱이 스탠드에 형성된 상보적인 형상의 리세스 내에 위치하도록 휴대용 띠톱을 스탠드에 대하여 지지 관계로 삽입하는 것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는데, 여러 도면을 통하여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부품을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핸드-헬드 띠톱 스탠드의 사시 분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핸드-헬드 띠톱 스탠드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핸드-헬드 띠톱 스탠드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거기에 설치된 휴대용 띠톱과 결합한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띠톱 스탠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휴대용 띠톱 스탠드 및 휴대용 띠톱 조합 또는 키트의 측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휴대용 띠톱 스탠드 및 휴대용 띠톱 조합 또는 키트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4에 도시된 휴대용 띠톱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4에 도시된 휴대용 띠톱의 반대쪽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4에 도시된 휴대용 띠톱의 단부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4에 도시된 휴대용 띠톱의 반대쪽 단부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휴대용 띠톱을 직립 고정식 테이블 띠톱으로 전환하기 위한 장치(210)는 베이스(214), 베이스(214)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으로 연장하는 측벽(216), 및 측벽(216)에 의해 지지되는 상단(218)을 갖는 스탠드(212)를 포함할 수 있다. 공작물 지지면(220)은 상단(218)과 연결될 수 있다. 공작물 지지면(220)은 휴대용 띠톱이 스탠드(212)에 대하여 지지 관계로 장착될 때 휴대용 띠톱(50)의 폐루프 톱 블레이드(150)의 어느 하나의 런(run)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 또는 리세스(222)를 포함할 수 있다. 해제 가능한 클램프(224)는 스탠드(212)에 대하여 휴대용 띠톱의 삽입 및 탈거가 가능한 해제 위치, 및 스탠드(212)에 대하여 휴대용 띠톱을 제자리에 유지시키기 위한 클램핑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해제 가능한 클램프(224)는 피봇팅 운동을 위하여 적합한 브래킷(226) 및 피봇 핀(228)에 의해 스탠드(212)에 연결될 수 있다. 해제 가능한 클램프(224)는 클랩프(224)를 스탠드(212)에 대하여 클램핑된 위치로 해제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엄지나사(thumb screw) 또는 다른 적절한 구성과 같은 체결구(230)를 포함할 수 있다. 나사산이 형성된 구멍(232)은 스탠드(212)와 결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요구되면, 압축가능한 패드(236)가 클램프(224)의 내부 표면에 마련될 수 있어 휴대용 띠톱의 표면을 클램프(224)로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휴대용 띠톱을 스탠드에 대하여 제자리에 단단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스탠드(212)는, 스탠드(212)에 대하여 지지 관계로 설치될 때 띠톱을 작동하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238)를 포함한다. 온/오프 스위치(238)는 배선 덮개(242)에 의해 밀폐된 적합한 배선에 의해 플러그(240)에 연결된다. 휴대용 띠톱이 스탠드(212)에 대하여 지지 관계로 장착될 때 플러그(240)는 휴대용 띠톱(50)의 소켓(254)(도 10) 내에서 결합될 수 있다. 플러그(24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휴대용 띠톱(50)의 손가락 트리거(finger trigger)(96)(도 7 내지 8)를 바이패스(bypass)하고 스탠드(212)에 장착된 온/오프 스위치(238)를 통하여 회로를 형성한다. 대안으로서, 띠톱은 톱을 전기 콘센트(electrical outlet)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코드 및 플러그를 이용할 수 있다.
스탠드(212)는 스탠드(212)에 지지 관계로 장착된 휴대용 띠톱으로 공작물 상에 절단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스탠드(212)를 고정 위치로 유지하기 위하여 풋 리세스(foot recess)(244)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212)에 대하여 지지 관계로 장착되는 휴대용 띠톱의 하부를 실질적으로 둘러싸기 위하여 상부면 또는 상단(218)에 윤곽을 지닌(contoured) 리세스(246)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윤곽을 지닌 리세스(246)는 휴대용 띠톱의 하부에 대하여 상보적인 형상을 가져서, 휴대용 띠톱이 스탠드(212)에 대하여 지지 관계로 장착될 때 적어도 휴대용 띠톱의 하부 단부 부분을 따라 휴대용 띠톱의 외부 주위의 표면과 단단히 결합되도록 거기에 결합된다. 적당하게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클램프가 톱을 제자리에 고정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지지면(220)의 개구(222)는 핸들(92)(도 7)의 목 및 평면을 가로지르는 띠톱 블레이드 단면의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펜스(fence)(162)(도 7 내지 10)에 대하여 크기 및 형상에서 상보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휴대용 띠톱이 스탠드(212)의 상단(218)에 형성된, 상보적으로 성형되고 윤곽을 지닌 리세스(246) 내에 완전히 삽입되어 장착될 때, 펜스(162)는 공작물 지지면(220)과 일반적으로 평면의 방향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향에서, 클램프(224)는 해제된 위치에서 클램핑된 위치로 피봇될 수 있고 체결구(230)는 휴대용 띠톱을 스탠드(212)에 대하여 제자리로 고정되게 유지하기 위하여 스탠드(212)의 나사산이 형성된 구멍(232) 내에 나사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플러그(240)는, 스탠드(212)에 대하여 지지 관계로 장착될 때 휴대용 띠톱(50)의 소켓(254) 내에 형성된 상보적으로 성형 된 리세스(256)(도 10) 내에서 결합될 수 있는 다수의 프롱(prong) 또는 돌기(248)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띠톱 스탠드(212)에는 휴대용 띠톱(50) 상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풀리 위로 끼워 맞춰지도록 성형된 하우징 덮개(250)가 마련될 수 있어 띠톱의 사용자를 보호해 준다. 하우징 덮개는 연속적인 루프 띠톱 블레이드의 대응하는 부분을 따라 휴대용 띠톱 상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풀리를 밀폐하도록 휴대용 띠톱의 하나의 단부 위에 미끄러질 수 있게 결합하도록 성형될 수 있다. 하우징 덮개(250)는 하우징 덮개(250) 및 휴대용 띠톱 사이의 부가의 체결구나 부착물의 필요없이 휴대용 띠톱의 단부 위에 용이하게 끼워 맞추도록 충분히 근사한(close) 상보적인 윤곽 또는 형상으로 될 수 있다. 하우징 덮개(250)가, 스탠드(212)에 대하여 지지 관계로 장착된 휴대용 띠톱의 외부 단부 위에 조립될 때, 띠톱 블레이드가 노출된 연속적인 루프의 유일한 부분은 펜스(162)와 공작물 지지면(220)에 일반적으로 수직하게 연장하는 휴대용 띠톱의 목 부분이다.
금속판(252)은 스탠드(212)의 상단(218)에 연결될 수 있어 상대적으로 편평한 공작물 접촉면(220)을 형성한다. 금속판(252)은 건설 환경의 거친 작업 조건에 대해 뛰어난 저항력을 제공할 수 있다. 금속판(252)은 또한 고 하중 하에서의 뛰어난 안정성, 스크래치 및 딩 저항성(ding resistance), 및 작업 환경에서의 열변동(thermal fluctuation)에 대한 뛰어난 치수 변화 저항성을 제공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휴대용 띠톱 받침대(210)는 중력에 대하여 휴대용 띠톱(50)을 지탱하기 위한 스탠드(21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212)는 상대 적으로 편평한 공작물 접촉면(220)을 가질 수 있는데, 띠톱(150)은 공작물 접촉면(220)의 평면을 통하여 돌출한다. 공작물 접촉면(220)은 공작물에 접촉하고 공작물이 띠톱 블레이드(150)을 통과하여 이송되는 동안 공작물 접촉면(220)을 가로질러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해 준다.
온/오프 스위치(238)는 휴대용 띠톱(50)을 작동시키기 위해 스탠드(212)에 장착된다. 온/오프 스위치(238)는, 스탠드(212)에 대하여 지지 관계로 장착될 때 휴대용 띠톱과 결합되는 플러그(240)에 연결된다. 플러그(240)는 휴대용 띠톱(50)의 소켓(254) 내에 결합될 수 있다.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플러그(240)는 휴대용 띠톱(50)의 핸들(92)의 손가락 트리거(96)를 바이패스하여, 스탠드(212)에 장착된 온/오프 스위치(238)를 통하여 회로를 형성한다.
스탠드(212)는 스탠드(212)에 대해 지지 관계로 장착되는 휴대용 띠톱으로 공작물 상에 절단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스탠드(212)를 고정 위치로 유지하기 위해 풋 리세스(244)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212)는 스탠드(212)에 대해 지지 관계로 장착되는 휴대용 띠톱(50)의 하부를 실질적으로 밀폐하기 위하여 상부면 또는 상단(218)에 윤곽을 지닌 리세스(246)를 포함한다. 윤곽을 지닌 리세스(246)는 거기에 결합되는 휴대용 띠톱(50)의 하부에 대하여 상보적인 형상 또는 윤곽을 갖는다. 리세스(246)의 상보적인 형상 또는 윤곽은 휴대용 띠톱(50) 및 스탠드(212) 사이의 견고하고, 해제가능한, 억지 끼워맞춤을 허용한다. 휴대용 띠톱(50)이 스탠드(212)의 상단(218)의 윤곽을 지닌 리세스(246) 내에 완벽히 장착되면, 스탠드(212)에 장착된 해제 가능한 클램프(224)는 휴대용 띠톱(50)을 스탠드(212)에 대 하여 고정 위치로 유지하기 위해 해제된 위치에서 클램핑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요구되면, 금속판(252)은 스탠드(212)의 상단(218)에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어 상대적으로 편평한 공작물 접촉면(220)을 형성한다. 요구되면, 하우징 덮개(250)는 휴대용 띠톱(50) 상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풀리 위로 끼워 맞춰질 수 있어 띠톱의 사용자를 보호한다. 하우징 덮개(250)는, 상보적인 윤곽으로 성형될 수 있어 스탠드(212)와 지지 관계로 장착될 때 띠톱(50)의 외부 단부 위에 끼워 맞춘다. 하우징 덮개(250)는 띠톱 블레이드(150)의 노출되지 않은 부분을 따라 연장될 수 있어 띠톱의 구동 및 종동 풀리 상에 장착된 연속적인 루프 경로로부터 띠톱 블레이드(150)의 편위(excursion)를 방지한다.
스탠드(212) 및 휴대용 핸드-헬드 전원 작동식 띠톱은 개별적으로 판매될 수 있거나, 서로 조합하여 사용하기 위해 키트로서 함께 판매될 수 있음을 인정하여야 한다. 키트로서 판매되거나, 서로 조합하여 이용될 때, 휴대용 띠톱(50)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212)의 윤곽을 지닌 리세스(246)로 장착되거나 조립될 수 있다. 스탠드(212)로부터 분리되어 사용될 때의 휴대용 띠톱(50)의 작동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하여, 휴대용 띠톱(50)이 이하의 도 7 내지 10에 도시되고 설명된다.
작동 중에 휴대용 띠톱(50)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212)에 장착하기 위한 방법은 공작물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도록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휴대용 핸드-헬드 전원 작동식 띠톱(50)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띠톱(50)은 띠톱 블레이드(150)의 적어도 하나의 날에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절단날을 가질 수 있다. 톱 블레이드(150)는 절단 작업 중에 폐루프로 정해진 경로에서 이동가능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상대적으로 편평한 공작물 접촉면(220)을 갖는 스탠드(212)를 제공하는 것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톱 블레이드(150)는 공작물 접촉면(220)의 평면을 통하여 돌출한다. 공작물 접촉면(220)은 공작물과 접촉하고 공작물이 톱 블레이드(150)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동안 공작물 접촉면(220)을 가로질러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해준다. 이 방법은 또한 휴대용 띠톱(50)이 스탠드(212)에 형성된 상보적인 형상의 리세스(246) 내에 위치하도록 휴대용 띠톱(50)을 스탠드(212)에 대하여 지지 관계로 삽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장착용 방법은 상보적인 형상의 리세스(246) 내에 삽입 후에 휴대용 띠톱(50)을 스탠드(212)에 대하여 고정 위치로 클램핑하는 것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띠톱은, 스탠드(212)에 대하여 지지 관계로 장착될 때 띠톱(50)에 의해 결합되는 플러그(240)에 연결된 온/오프 스위치(238)로 작동될 수 있다. 플러그(240)는 휴대용 띠톱(50)의 소켓(254) 내에 결합될 수 있고 스탠드(212)에 장착된 온/오프 스위치(238)를 통하여 회로를 형성하면서 휴대용 띠톱(50)의 손가락 트리거(96)를 불능화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방법은 폐루프 띠톱(150)으로 공작물 상에 절단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는 공작물 상에 절단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스탠드(212)에 형성된 풋 리세스(244) 내에 위치한 사용자의 발로써 고정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요구되면, 이 방법은 띠톱(50) 상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풀리 위로 끼워 맞춰지도록 성형된 보호대를 갖고서 스탠드(212) 위로 연장하는 폐루프 톱 블레이드(150)의 부분을 밀폐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띠톱(50)의 사용자를 보호한다.
도 7 내지 10을 참조하면, 휴대용 핸드-헬드 전원 작동식 띠톱(50)이 도시되었다. 이러한 띠톱의 예가 2004년 2월 11일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핸드-헬드 띠톱인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10/776,838에 개시되었다. 제10/776,838호 특허 출원은 전적으로 참조로서 여기에 결합된다.
이하의 설명을 위해, 용어 "상", "하", "좌" ,"후", "전", "수직의", "수평의" 및 이러한 용어의 파생어 또는 구성요소는 각각의 개별적인 도면 내에서 향하는 방향으로서 본 발명과 관련된다. 본 발명은 명백히 대조적으로 표현된 곳을 제외하고, 다양한 대안의 방향 및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고, 이하의 본문에서 설명되는 특정의 장치 및 공정들은 단지 본 구상의 일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특정의 치수 및 다른 물리적 특성은 중대한 것으로 명확히 달리 표현된 것이 아니라면 제한하는 것으로 고려되지 않는다. 용어 "휠", "풀리", "롤러", 또는 "회전 액츄에이터"는 결합되거나 연결된 부품들에 대해 회전 운동을 선형 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미리 결정된 축에 대해 완전하게 또는 부분적으로 회전, 피봇 또는 선회할 수 있는 부품들을 언급하는 데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발명자의 의도이다.
도 7 내지 10은 어떠한 공지의 기계 가공 또는 주조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된 휴대용 띠톱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휴대용 띠톱(50)은 톱 데크(54)에 의해 형성된 샤시(52)를 포함하고 핸들 어셈블리(56)의 절반은 단일의 일체형 유닛으로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샤시(52)는 알루미늄 빌릿(billet)으로부터 기계 가공될 수 있다. 톱 데크(54) 및 핸들 어셈블리(56)의 일부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평면도의 톱 데크(54)는 제1 단부(58) 및 반대쪽의 제2 단부(60)를 형성하는 실질적으로 타원형 형상을 갖는다. 데크 어셈블리(54)는 일반적으로 C-모양의 형상을 갖는 데크(62)를 포함하는데, 타원형 데크(62)의 하나의 가장자리 또는 모서리를 따라서 틈(64)은 공작물을 수용하기 위한 목(64)을 형성한다. 데크(62)는 데크(62)의 밑면 및 목(64) 주위에 매달린 리브, 격벽 또는 플랜지(68) 뿐만 아니라 데크 주위에 매달린 일체형의 아래로 매달린 스커트(66)에 의해 강화되고 실질적으로 강하게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크(62) 및 지지 구조물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 기술을 이용하여 고분자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리브 및 격벽은 데크(62)의 일체부로서 형성될 수 있어 강한 구조를 제공한다. 상술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 데크(62)는 알루미늄 또는 다른 금속으로부터 또한 기계 가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핸들 어셈블리(92)의 절반부(92) 또는 다른 부분은 샤시(52) 또는 데크(62)와 함께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핸들 어셈블리(92)는 핸들(90)과 쌍을 이루는 짝 핸들 쉘(94)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방법에서 고려되는 동일한 사출 성형 방법을 이용하여, 적절한 장착면 및 구조물이 핸들 어셈블리(92)에 형성될 수 있어 안전 스위치 및 다양한 속도 트리거(96)를 수용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핸들 어셈블리(92)는 데크(92)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다. 데크(62)에 법선방향 또는 수직하는 평면은 핸들 어셈블리(92)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에 예각으로 배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향의 핸들로, 톱의 무게 중심은 핸들 아래에 위치하고 톱 블레이드를 핸들에 평행하게 적절히 배치한다. 이러한 방식에서, 자연스러운 사용자 손의 방향이 더 나은 절단 제어를 하는 데 매우 큰 도움을 준다.
핸들 어셈블리(92)는 또한 그 위에 배터리(99)를 수용하기 위한 슬라이드 리시버(98)를 포함한다(도 7 참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배터리 리시버(98)는 이하 설명되는 모터 어셈블리(76)의 반대쪽의 핸들 어셈블리(92)의 단부에 위치하여 가능한 무게의 분산으로 균형을 맞춘다. 이것은 핸들 어셈블리(92)에 대한 배터리 리시버(98)의 모멘트 또는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다수의 상이한 잠금 메카니즘 중 어느 하나가 리시버 상에 배터리(99)를 유지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모터 어셈블리(76)는 샤시(52)의 데크(62)에 장착된다. 모터 어셈블리(76)는 데크(62)의 아래에 위치된 구동 휠 어셈블리(100)를 구동하는 것이다. 모터 어셈블리(76)는 데크(62)의 밑면에 부착되는 브래킷을 포함하고 모터 어셈블리(76)를 샤시(52)에 고정하기 위한 장착 베이스를 제공한다. 모터 어셈블리(76)가 브래킷에 고정되면 모터 어셈블리 덮개(112)가 모터 및 변속기를 덮으며 미끄러져 데크(62)의 상부면에 결합된다.
위에서 간략히 언급한 구동 휠 어셈블리(100)는 휠 허브의 내부 주위에 형성되고 출력 축에 고정되는 기어에 결합되는 내부 기어를 갖는다.
샤시(52)의 반대쪽 단부를 향하여 장착되는 종동 휠 어셈블리(124)는 일반적 으로 직사각형의 리세스 내부에서 활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인장 어셈블리(84)의 캐리지로부터 연장하는 기둥(128)에 저널되는(journaled) 풀리 또는 휠(126)을 포함한다. 체결구(132) 및 스페이서/와셔(134)는 종동 휠(126)을 인장 어셈블리(84) 상에 자유회전 물림(free spinning engagement)으로 유지하는 데 이용된다.
종동 휠(126)은 회전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톱의 하나의 단부에 위치하는 인장 어셈블리(84)를 통하여 구동 휠(114)에 대한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병진될 수 있다. 캐리지는 하나의 단부에 구조물을 포함하는데, 이는 압축 스프링 또는 다른 편위(biasing) 메카니즘(138)의 하나의 단부의 상대적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의도되었다. 캠축, 캐리지 및 편위 멤버(138)는 데크(62)에 고정되는 덮개판(146)에 의해 리세스 내에 유지되고, 포트를 포함하는데 이를 통하여 캠축의 상부 단부가 연장되어 캠 핸들(148)에 부착된다. 캠 핸들(148)의 회전은 캠축을 회전시키고 캐리지(132)와 캠 핀을 결합하거나 결합 해제하고 캐리지(132)를 편위 멤버(138)를 향하거나 멀어지도록 병진시킨다.
이상의 본문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톱은 핸드-헬드 띠톱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연속적인 루프 블레이드(150)는 강 또는 철, 플라스틱, 또는 나무에 이르는 실질적으로 어떠한 재료에도 적합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구동 휠 및 종동 휠 사이의 거리는 편위 멤버(138)를 조종하여 줄일 수 있다. 원하는 블레이드는 구동 및 종동 휠 주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놓이고 편위 멤버(138)는 블레이드를 인장하에 두기 위해 해제된다. 목(64)을 가로지르는 것과 같이 연속적인 루프 블레이드(150)의 단면이 적합한 각도로 올바르게 향하도록 하기 위하여, 베어 링(152 및 154)이 브래킷(156)의 말단부에 장착되어 블레이드(150)의 측면에 결합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스페이서가 베어링(152 및 154)의 위치를 조종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브래킷(156)은 미리 결정된 각도로 "개의 뒷다리처럼 굽은(dog-legged)" 형상인 것이 바람직한데, 단부에서의 베어링(152, 154)은 연속적인 루프 블레이드의 대향면들과 맞물리고 핸들 어셈블리(92)의 평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는 목을 가로지르는 블레이드(150)의 단면을 편향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취약해진 블레이드의 결과로서 사용자에게 상해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닳거나 불량인 블레이드가 파쇄되도록 되었다. 이것은 구동 휠(114)의 들어올린 부분의 바로 앞의 데크(62)의 밑면에 장착되는 블레이드 파쇄부 어셈블리의 도움으로 성취된다. 닳거나 균열이 생긴 블레이드가 본 발명에 계속 이용되는 경우에, 블레이드는 블레이드 길이의 작은 변화 때문에 대부분 구동 및 종동 휠의 표면에 걸쳐 표류하려 한다. 블레이드가 이동함에 따라, 블레이드의 치형날의 상당한 부분이 스커트(66)의 높이를 초과하기 전에 블레이드는 결국 블레이드 파쇄부 어셈블리와 맞물린다. 블레이드가 파쇄부와 맞물릴 때, 닳은 부분은 어떤 다른 부분보다 파쇄부에 의해 응력을 받고 고의적인 파괴에 이르게 된다. 블레이드 파쇄부가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 있음을 생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블레이드 파쇄부는, 블레이드가 휠로부터 이동될 때 블레이드의 절단날과 맞물리도록 위치된 기둥 상에 장착된 베어링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구조물이 고의로 블레이드에 응력을 가하여 어떠한 상해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블레이드가 해제되도록 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은 톱을 안정화시키고 더 정밀한 절단을 하는 데 있어서 사용자를 돕기 위해 목(64)의 한 측면으로부터 연장하는 펜스(16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펜스가 데크(52)로부터 아래로 연장하는 각도는 목 및 핸들의 평면을 가로지르는 블레이드 단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본 명세서의 앞에서 제안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중요한 목적은 글자 그대로 사용자의 한 손으로 띠톱의 절단 능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발명으로, 사용자는 용이하게 톱을 주로 어떠한 지점으로 운반하여 어떠한 타입의 저장물을 어떤 길이로 절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래 금속 도관을 절단하도록 의도되었지만 다른 재료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원하는 대로 작동하기 위하여, 저장물이 목 부분 내에 들어맞아야 한다는 것이 유일한 제한사항이다.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는 한 손으로 톱을 움켜쥐고 다른 손으로 저장물을 위치시키거나 고정시킨다. 사용자는 안전 스위치를 누르고 트리거를 눌러서 톱을 킨다. 사용자는 절단을 시작하기 전에 블레이드를 미리 정렬시킬 수 있고, 또는 블레이드를 회전시켜 절단을 개시한 후에 블레이드를 정렬시킬 수도 있다. 저장물 또는 공작물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는 블레이드가 저장물을 절단하는 동안에 저장물을 펜스에 기대어 놓을 수 있다.
작동 중에, 본 발명은 종래의 띠톱 보다 인간 공학적으로 훨씬 더 자연스러운 방식으로 사용된다. 먼저 운전자는 핸들이 톱 본체의 극단부에 위치하는 종래의 띠톱보다 용이하게 한 손을 사용하여 톱을 잡을 수 있다. 이러한 한 손으로의 작동은 단지 스케일뿐만이 아니라, 톱의 상부 단부를 따라 있는 핸들 어셈블리의 위치 및 방향에 기인하므로 사용자의 몸으로부터 떨어진 지지대가 필요한 이전의 장치와 비교할 때 사용자는 톱을 사용자의 몸에 가깝게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배터리 팩의 질량에 의한 모터 어셈블리의 질량의 옵셋은 자연스럽게 톱을 적절하고 인간 공학적으로 편안한 위치로 향하게 하고 균형잡히게 한다. 이러한 태양은 또한 자연스럽게 톱의 목 부분(64)이 공작물에 맞물리도록 향하게 한다.
공작물을 수용하기 위해 하나의 날을 따라 있고 연속적인 루프 블레이드가 가로지르는 목을 갖는 본 발명의 톱을 사용하는 방법은 한 손으로 목 부분의 반대쪽의 톱의 상부 모서리로부터 연장하는 핸들을 파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후에 사용자는 다른 손으로 자유롭게 공작물을 방향을 향하게 하거나 고정시킨다. 사용자는 차후에 자유로운 손을 고정할 필요 없이 손 앞의 클램프 또는 이와 유사한 것들로 공작물을 또한 고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먼저 핸들 어셈블리에 배치된 안전 스위치를 눌러서 톱을 작동시키거나 전압을 주고나서, 핸들 어셈블리에 또한 위치하는 트리거를 누른다. 이것은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여 결과적으로 목 부분을 통과하는 연속적인 루프 블레이드를 회전시킨다. 사용자는 이후에 블레이드에 공작물을 물려 절단을 할 수 있다. 절단 작업을 돕기 위하여, 사용자는 공작물을 펜스에 의해 유지되도록 하여 보다 나은 절단을 할 수 있다. 무게의 중심의 위치가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손 및 팔뚝을 통과하는 선에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수직 또는 머리 위의 위치에서 쉽게 톱의 방향을 잡아 절단할 수 있다. 이러한 무게 중심의 정렬은 사용자의 팔뚝 및 손의 축에 더 가까우므로 더 인간 공학적으로 제어하도록 한다. 이것은 또한 사용자의 제2 손을 자유롭게 하여 공작물의 위치를 배향하고, 조정하거나 고정시켜 원활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절단을 완료하도록 한다.
본 발명을 사용하는 방법은 또한 연속적인 루프 블레이드를 구동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한다. 상술한 모터 어셈블리(76)는 모터의 하나의 단부에 부착되는 감속 기어를 포함한다. 유사한 명칭으로 제안되는 바와 같이, 감속 기어 또는 변속기는 모터에 의해 발생되는 rpm으로부터 출력 축의 rpm을 변경한다. 변속기의 단부에 부착되는 기어는 구동 휠(114)의 내부 상의 내부 기어와 맞물린다. 기어비는 원하는 블레이드 속도가 달성되는 값이다. 요구되면, 다양한 기어 조합이 상이한 감속 조합을 사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대안으로 그리고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서 예상되는 바와 같이, 절단 블레이드의 속도는 다른 공구에 이용되는 것과 같은 다양한 변속 트리거 어셈블리를 사용하여 변경될 수 있다.
상술한 것 이외의 변경들이 당업자들 또는 본 발명을 제조하거나 사용하는 자들에게 떠오를 수 있다. 이러한 변경은 배터리를 교류 전원에 연결하기 위한 전원 코드로 대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의 변화는 전기 부품들의 변경을 또한 요구하여 그들이 양립할 수 있다. 다른 변경은 블레이드 인장 메카니즘을 본래 이완된 것으로부터 본래 확장된 것으로 바꿀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한 부가의 변경은 연속적인 루프 블레이드의 편향 각도를 신속하게 조정하는 능력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조정 범위는 작은 크기의 조정으로부터 훨씬 더 큰 스케일의 변화까지 다양할 수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한 하나의 예는 가이드 어셈블리 상의 피보팅 아암(arm) 또는 브래킷(156)을 제공하여 베어링의 각이 조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할 수 있다. 이것은 만약 무게의 중심이 상이한 질량의 배터리의 사용에 의해 변경되거나 사용자가 톱의 고유의 절단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목 부분의 깊이를 증가시키길 원한다면 유리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본 발명이 가장 실용적이고 바람직한 실시예로 현재 고려되는 것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으며, 그와 반대로, 첨부된 청구항의 사상과 범주 내에서 포함되는 다양한 변경과 균등한 장치를 포함하도록 의도되었고, 발명의 범주는 법률 하에서 용인되는 이러한 모든 변경 및 균등한 구조물을 포함하도록 가장 확장된 해석과 일치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7)

  1. 휴대용 띠톱을 직립 고정식 테이블 띠톱으로 전환하기 위한 장치로서,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으로 연장하는 측벽, 상기 측벽에 의해 지지되는 상단, 상기 상단과 연결되는 공작물 지지면을 갖는 스탠드로서, 상기 공작물 지지면은 상기 휴대용 띠톱이 상기 스탠드에 대하여 지지 관계로 장착될 때 상기 휴대용 띠톱의 폐루프 톱 블레이드의 어느 하나의 런(run)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를 갖는 것인 스탠드; 및
    핸들 상의 손가락 트리거와 별도로 휴대용 띠톱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스탠드 상에 장착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휴대용 띠톱을 작동시키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오프 스위치는 상기 휴대용 띠톱이 상기 스탠드에 대하여 지지 관계로 장착될 때 상기 휴대용 띠톱에 의해 결합되는 플러그에 연결되고, 상기 휴대용 띠톱의 소켓 내에 결합될 수 있는 상기 플러그는 상기 휴대용 띠톱의 트리거를 불능화(disable)하고 상기 스탠드에 장착되는 온-오프 스위치를 통하여 회로를 형성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인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스탠드에 대하여 지지 관계로 장착되는 상기 휴대용 띠톱으로 공작물 상에 절단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스탠드를 고정 위치로 유지하기 위한 풋 리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인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스탠드에 대하여 지지 관계로 장착되는 상기 휴대용 띠톱의 하부를 실질적으로 밀폐하기 위해 상부면에 윤곽을 지닌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윤곽을 지닌 리세스는 상기 리세스 내에 결합되는 상기 휴대용 띠톱의 하부에 대하여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인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상에 장착되고, 상기 휴대용 띠톱을 상기 스탠드에 대하여 고정 위치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스탠드에 대하여 지지 관계로 장착되는 상기 휴대용 띠톱에 대하여 결합될 수 있는 해제가능한 클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띠톱의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용 띠톱 상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풀리 위로 끼워 맞춰지도록 성형된 하우징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편평한 공작물 접촉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스탠드의 상단에 연결되는 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장치.
  8. 중력에 대하여 상기 휴대용 띠톱을 지탱하기 위한 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상대적으로 편평한 공작물 접촉면을 갖고, 상기 톱 블레이드는, 상기 공작물과 접촉하는 공작물 접촉면의 평면을 통과하여 돌출하고, 상기 공작물 접촉면은 상기 공작물이 상기 톱 블레이드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동안 상기 공작물 접촉면을 가로질러 이동가능하도록 공작물에 대하여 지지해주는 것인 휴대용 띠톱 지지대.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띠톱을 작동하기 위해 상기 스탠드 상에 장착되는 온-오프 스위치로서, 상기 온-오프 스위치는 상기 스탠드에 대하여 지지 관계로 장착될 때 상기 휴대용 띠톱에 의해 결합되는 플러그에 연결되고, 상기 휴대용 띠톱의 소켓 내에 결합될 수 있는 상기 플러그는 상기 휴대용 띠톱의 트리거를 바이패스하고 상기 스탠드에 장착되는 온-오프 스위치를 통하여 회로를 형성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온-오프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인 휴대용 띠톱 지지대.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스탠드에 대하여 지지 관계로 장착되는 상기 휴대용 띠톱으로 공작물 상에 절단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스탠드를 고정 위치로 유지하기 위한 풋 리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인 휴대용 띠톱 지지대.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스탠드에 대하여 지지 관계로 장착되는 상기 휴대용 띠톱의 하부를 실질적으로 밀폐하기 위해 상부면에 윤곽을 지닌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윤곽을 지닌 리세스는 상기 리세스 내에 결합되는 상기 휴대 용 띠톱의 하부에 대하여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리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인 휴대용 띠톱 지지대.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상에 장착되고, 상기 휴대용 띠톱을 상기 스탠드에 대하여 고정 위치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스탠드에 대하여 지지 관계로 장착되는 상기 휴대용 띠톱에 대하여 결합될 수 있는 해제가능한 클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인 휴대용 띠톱 지지대.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공작물에 대하여 절단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목 부분의 외부에서 상기 스탠드에 대하여 노출된 상기 폐루프 톱 블레이드의 부분을 밀폐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용 띠톱에 대하여 결합될 수 있는 보호대를 더 포함하는 것인 휴대용 띠톱 지지대.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편평한 공작물 접촉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스탠드의 상단에 연결되는 금속판을 더 포함하는 것인 휴대용 띠톱 지지대.
  15. 톱 및 스탠드의 조합체로서,
    폐루프 톱 블레이드로 공작물 상에 절단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공작물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도록 손으로 조작가능한 휴대용 핸드-헬드 전원 작동식 띠톱으로서, 상기 폐루프 톱 블레이드는 톱 블레이드의 적어도 하나의 날에 실질적으로 연 속적인 절단 날을 갖고, 상기 톱 블레이드는 절단 작업 중에 폐루프로 정해진 경로에서 이동가능한 것인 휴대용 핸드-헬드 전원 작동식 띠톱; 및
    중력에 대하여 상기 휴대용 띠톱을 지탱하기 위한 스탠드로서, 상기 스탠드는 상대적으로 편평한 공작물 접촉면을 갖고, 상기 톱 블레이드는, 상기 공작물과 접촉하는 공작물 접촉면의 평면을 통하여 돌출하고, 상기 공작물 접촉면은 상기 공작물이 상기 톱 블레이드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동안 상기 공작물 접촉면을 가로질러 이동가능하도록 공작물에 대하여 지지해 주는 것인 톱 및 스탠드의 조합체.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띠톱을 작동하기 위해 상기 스탠드 상에 장착되는 온-오프 스위치로서, 상기 온-오프 스위치는 상기 스탠드에 대하여 지지 관계로 장착될 때 휴대용 띠톱에 의해 결합되는 플러그에 연결되고, 상기 휴대용 띠톱의 소켓 내에 결합될 수 있는 상기 플러그는 상기 휴대용 띠톱의 트리거를 바이패스하고 상기 스탠드에 장착되는 온-오프 스위치를 통하여 회로를 형성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온-오프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인 톱 및 스탠드의 조합체.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스탠드에 대하여 지지 관계로 장착되는 상기 휴대용 띠톱으로 공작물 상에 절단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스탠드를 고정 위치로 유지하기 위한 풋 리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인 톱 및 스탠드의 조합체.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스탠드에 대하여 지지 관계로 장착되는 상기 휴대용 띠톱의 하부를 실질적으로 밀폐하기 위해 상부면에 윤곽을 지닌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윤곽을 지닌 리세스는 상기 리세스 내에 결합되는 상기 휴대용 띠톱의 하부에 대하여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인 톱 및 스탠드의 조합체.
  19.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상에 장착되고, 상기 휴대용 띠톱을 상기 스탠드에 대하여 고정 위치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스탠드에 대하여 지지 관계로 장착되는 상기 휴대용 띠톱에 대하여 결합될 수 있는 해제가능한 클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인 톱 및 스탠드의 조합체.
  20.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위로 연장하는 상기 폐루프 톱 블레이드의 부분을 밀폐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용 띠톱의 상부에 대하여 결합될 수 있는 보호대를 더 포함하는 것인 톱 및 스탠드의 조합체.
  21.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편평한 공작물 접촉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스탠드의 상단에 연결되는 금속판을 더 포함하는 것인 톱 및 스탠드의 조합체.
  22. 휴대용 띠톱을 스탠드에 장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공작물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도록 손으로 조작가능한 휴대용 핸드-헬드 전원 작동식 띠톱의 제공 단계로서, 상기 띠톱은 상기 톱 블레이드의 적어도 하나의 날 에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절단 날을 갖고, 상기 톱 블레이드는 절단 작업 중에 폐루프로 정해진 경로에서 이동가능한 것인 띠톱의 제공 단계;
    상대적으로 편평한 공작물 접촉면을 갖는 스탠드의 제공 단계로서, 상기 톱 블레이드는, 상기 공작물과 접촉하는 공작물 접촉면의 평면을 통하여 돌출하고, 상기 공작물 접촉면은 상기 공작물이 상기 톱 블레이드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동안 상기 공작물 접촉면을 가로질러 이동가능하도록 공작물에 대하여 지지해 주는 것인 스탠드의 제공 단계;
    상기 휴대용 띠톱이 상기 스탠드에 형성된 상보적인 형상의 리세스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휴대용 띠톱을 스탠드에 대하여 지지 관계로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상보적인 형상의 리세스 내에 삽입 후에 상기 휴대용 띠톱을 상기 스탠드에 대하여 고정 위치로 클램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4.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띠톱의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띠톱 상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풀리 위로 끼워 맞춰지도록 성형된 보호대로 스탠드 위로 연장하는 상기 폐루프 띠톱의 부분을 밀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5.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에 대하여 지지 관계로 장착될 때 상기 휴 대용 띠톱에 의해 결합되는 플러그에 연결되는 온-오프 스위치로 상기 띠톱을 작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는 상기 휴대용 띠톱의 소켓 내에 결합되고 상기 스탠드에 장착되는 온-오프 스위치를 통하여 회로를 형성하면서 상기 휴대용 띠톱의 트리거를 불능화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인 방법.
  26. 청구항 22에 있어서, 폐루프 띠톱으로 상기 공작물 상에 절단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7. 청구항 22에 있어서, 공작물 상에 절단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스탠드 내에 형성된 풋 리세스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발로써 상기 스탠드를 고정 위치로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087013794A 2005-11-10 2006-11-09 핸드-헬드 전원 작동식 띠톱의 지지용 스탠드 Withdrawn KR200800836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3601005P 2005-11-10 2005-11-10
US60/736,010 2005-11-10
US11/593,209 2006-11-06
US11/593,209 US8069765B2 (en) 2005-11-10 2006-11-06 Stand for supporting a hand-held powered operated band saw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3632A true KR20080083632A (ko) 2008-09-18

Family

ID=38002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3794A Withdrawn KR20080083632A (ko) 2005-11-10 2006-11-09 핸드-헬드 전원 작동식 띠톱의 지지용 스탠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8069765B2 (ko)
EP (1) EP1948381A4 (ko)
JP (1) JP2009515712A (ko)
KR (1) KR20080083632A (ko)
AU (1) AU2006342159A1 (ko)
CA (1) CA2640803A1 (ko)
WO (1) WO200712020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19934A1 (en) * 2008-07-25 2011-05-26 Bertsch Matthew T Band saw
EP2318169B1 (en) * 2008-07-25 2015-03-04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Chainless drive system for a band saw
US8234962B2 (en) * 2008-11-14 2012-08-07 Lugmayer Clive A J Saw buddy
TWI371361B (en) * 2010-03-25 2012-09-01 Rexon Ind Corp Ltd Scroll saw having a sliding plate for easy blade changing performance
DE102013220233A1 (de) * 2013-10-08 2015-04-09 Robert Bosch Gmbh Werkzeugmaschinensystem
JP2016187855A (ja) * 2015-03-30 2016-11-04 日立工機株式会社 バンドソー
US10173277B2 (en) * 2016-06-08 2019-01-08 Jpw Industries Inc. Work table for band saw for use in vertical or horizontal saw position and method
US10195679B2 (en) * 2016-08-26 2019-02-05 Alfonso Coria Portable pipe saw assembly
US20190105721A1 (en) * 2017-07-24 2019-04-11 Jeffrey A. Hedrick Rapidly detachable horizontal work table for a combination horizontal-vertical band saw
DE102017120087B4 (de) * 2017-08-31 2019-10-10 Keuro Besitz Gmbh & Co. Edv-Dienstleistungs Kg Bandsägemaschine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80341A (en) * 1916-01-03 1918-10-01 Moores Jones J Band-saw.
US2786500A (en) * 1954-03-26 1957-03-26 Joseph G Unterfranz Combination carrying case and table for portable power tool
US2990859A (en) * 1957-12-24 1961-07-04 Zorro D Ruben Portable table saw
US3117600A (en) 1960-10-06 1964-01-14 Portable Electric Tools Inc Scroll saw attachment for sabre saw
US3060979A (en) 1961-04-19 1962-10-30 Daniel J Hanvin Machine bench employing a portable, manually-operable electric power tool
US3285303A (en) * 1964-09-25 1966-11-15 Rudolph J Kwiatkowski Miter table and saw
US3385330A (en) 1965-10-24 1968-05-28 Freddie J. Haynes Mitering type band saw
US3452629A (en) * 1966-08-22 1969-07-01 Perry J Jacobson Tilting band saw
US3815465A (en) * 1971-12-15 1974-06-11 Wilton Corp Band saw
US3803775A (en) 1972-07-24 1974-04-16 H Demeules Saber saw bracket
US3952622A (en) * 1973-01-02 1976-04-27 Joseph Majus Vice mounted multiple-use band saw with detachable work surface
US3905263A (en) 1974-08-09 1975-09-16 Roger W Smith Table mounting for portable power saw
US4209045A (en) * 1978-06-07 1980-06-24 Bassett Alvin L Combination table saw
US4252239A (en) * 1979-05-21 1981-02-24 Snyder Raymond C Carpenter's combination portable power-operated hand and table saw
US4335765A (en) 1979-11-23 1982-06-22 Murphy Rholand D Portable multi-purpose construction table
US4269098A (en) * 1980-01-08 1981-05-26 Fogle Peter H Portable band saw
US4483573A (en) 1982-07-09 1984-11-20 Keller David L Tool adapter for working table top storage cabinet
US4658689A (en) * 1984-03-19 1987-04-21 Armstrong-Blum Manufacturing Co. Vertical band saw with cantilever frame
US4653371A (en) * 1985-08-22 1987-03-31 Vancalbergh James M Work holder for vertical saws
US4677887A (en) 1985-11-04 1987-07-07 Martin Leonard G Band saw stand
US4823666A (en) 1988-05-09 1989-04-25 Galloway Ronald G Stand for portable band saw
DE4005143A1 (de) * 1990-02-17 1991-08-22 Keuro Maschinenbau Gmbh Vertikalbandsaege
US5341712A (en) * 1992-03-27 1994-08-30 Arcy John W D Band saw column assembly
US5251525A (en) * 1992-08-18 1993-10-12 Galloway Ronald G Conversion kit for portable bandsaw
US5526727A (en) * 1994-10-28 1996-06-18 Hem, Inc. Bandsaw apparatus with pivotally-mounted saw head assembly arm and method
US5878644A (en) * 1997-03-17 1999-03-09 Hyd-Mech Group Limited Pivotable carriage vertical band saw machine
DE19925749A1 (de) 1999-06-05 2000-12-07 Bosch Gmbh Robert Handgeführte Laubsägemaschine
US20020040530A1 (en) * 2000-10-10 2002-04-11 Crawley Timothy M.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portable band saw
US7159499B1 (en) * 2002-12-30 2007-01-09 Lanser Jerry L Operational support for portable band saw
US7287454B2 (en) 2003-02-19 2007-10-30 Stout Tool Corp. Hand-held band saw
US7077179B1 (en) * 2003-07-29 2006-07-18 Abc Product Development, L.L.C. Cordless power tool and multi-purpose workstation system
USD522828S1 (en) 2004-01-15 2006-06-13 Eastway Fair Company Limited Band saw
US20050183559A1 (en) 2004-02-19 2005-08-25 Rue Jerry R. Reciprocating table saw
US7588255B2 (en) * 2004-11-10 2009-09-15 Zag Industries, Ltd. Collapsible clamping work t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69765B2 (en) 2011-12-06
JP2009515712A (ja) 2009-04-16
EP1948381A4 (en) 2009-11-11
EP1948381A2 (en) 2008-07-30
WO2007120200A3 (en) 2008-10-23
US20120055299A1 (en) 2012-03-08
AU2006342159A1 (en) 2007-10-25
US20070101851A1 (en) 2007-05-10
WO2007120200A2 (en) 2007-10-25
CA2640803A1 (en) 200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83632A (ko) 핸드-헬드 전원 작동식 띠톱의 지지용 스탠드
US8770072B2 (en) Hand-held band saw
CN201841313U (zh) 一种电圆锯
KR930011857B1 (ko) 베이스 경사기구가 개선된 전기 둥근톱
US20050200087A1 (en) Rotary tool with quick connect means and attachments thereto
US4823666A (en) Stand for portable band saw
US1806528A (en) Portable power-driven saw
TW200603926A (en) Miter saw having holder fixing mechanism
US4566511A (en) Sander attachment for rotary power saw
US5016510A (en) Power saw arrangement
TW201742692A (zh) 用於帶鋸的垂直或水平位置的雙位置鋸條導引器
US9656380B2 (en) Power tool with accessory change tool storage
CN201603913U (zh) 电圆锯
US20050178010A1 (en) Chainsaw tool
KR102151865B1 (ko) 판재절단용 전동식 원형톱장치
US10500656B2 (en) Power tool system
JP2013208805A (ja) チェンソー
CA2475378C (en) Hand-held band saw
KR0132109Y1 (ko) 전동톱의 활주이송폭 조절고리
WO1997049517A3 (de) Elektrische handsägemaschine
CN111054976B (zh) 多功能斜切锯
KR100431730B1 (ko) 설치 및 위치조정이 가능한 톱날의 안전덮개
CN105437164B (zh) 摆动工具支架以及摆动工具
US20250091143A1 (en) Hand-Held Circular Saw comprising a Hanging Device
CN101374621A (zh) 用于支撑手持电动带锯的台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0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