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2838A - Door lock device for preventing forced opening - Google Patents
Door lock device for preventing forced open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82838A KR20080082838A KR1020070023658A KR20070023658A KR20080082838A KR 20080082838 A KR20080082838 A KR 20080082838A KR 1020070023658 A KR1020070023658 A KR 1020070023658A KR 20070023658 A KR20070023658 A KR 20070023658A KR 20080082838 A KR20080082838 A KR 200800828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k device
- door lock
- door
- dead bolt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E05B45/06—Electric alarm lo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Landscapes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둑과 같은 침입자가 지렛대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잠겨진 문을 강제로 개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일면에 폭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홈을 갖는 데드 볼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 device for preventing an intruder such as a thief from forcibly opening a locked door by using a tool such as a lever, and having at least one dead bolt having a groove formed along a width direction on at least one surface thereof. It features.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는 데드 볼트와 스트라이크(문틀 홈)의 결속력이 우수하므로 침입자가 잠겨진 문을 개방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 또는 지연시킬 수 있다.The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excellent in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dead bolt and the strike (door frame groove) can effectively prevent or delay the intruder opening the locked door.
Description
도 1은 종래 도어록 장치에 의한 문 잠금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1 is a plan view showing a door locking state by a conventional door lock device,
도 2는 도 1의 상태에서 침입자가 지렛대를 이용하여 문을 강제로 개방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FIG. 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intruder forcibly opens a door using a lever in the state of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강제 개방방지용 도어록 장치의 정면도이고,3 is a front view of the forced opening preventing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도어록 장치에 의한 문 잠금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 door lock state by the door lock device shown in Figure 3,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침입자가 지렛대를 이용하여 문을 강제로 개방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intruder forcibly opens the door by using a lever in the state of FIG. 4,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6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of FIG. 5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도어록 장치의 주요 구성도이다.FIG. 7 is a main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door lock device shown in FIG. 3.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100: 도어록 장치 10: 본체100: door lock device 10: main body
12: 수동 손잡이 14: 자동 스위치12: manual handle 14: automatic switch
20: 데드볼트 22: 홈20: Dead Bolt 22: Home
30: 문 여닫힘 감지센서 40: 연기 감지센서30: Door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sensor 40: Smoke detection sensor
50: 데드볼트 위치 감지센서 60: 데드볼트 구동모터50: dead bolt position sensor 60: dead bolt drive motor
70: 제어장치 200: 문70: controller 200: door
210: 문틀 220: 스트라이크210: door frame 220: strike
본 발명은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침입자가 지렛대 등을 이용하여 출입문을 강제로 개방하려고 할 때 이를 효과적으로 방지 또는 지연시킬 수 있는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or lock device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or delay when an intruder tries to forcibly open a door using a lever or the like.
도어록 장치(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200)에 장착되는 본체(410)와 본체(410)에 설치되는 막대 형태의 데드볼트(420)로 구성된다. 데드볼트(420)는 작동레버 또는 작동신호에 따라 일 방향(대부분 수평방향임)으로 왕복 이동하며, 문틀(210)에 설치된 스트라이크(220)의 내부로 출입한다. 따라서, 데드볼트(420)의 이동 위치에 따라 문(200)의 잠금 또는 열림 상태가 결정된다.As shown in FIG. 1, the
위와 같이 구성된 종래 도어록 장치(400)는 막대 형태의 데드볼트(420)가 단순히 스트라이크(220)의 내부를 미끄러지듯이 출몰하며 문(200)을 잠그는 방식이므로, 데드볼트(420)와 스트라이크(220) 간의 물리적 결합이 전혀 없다.The conventional
때문에, 침입자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렛대 등의 도구를 문(200)과 문틀(210) 사이에 끼워넣고 잡아당기면, 스트라이크(220)의 내부로 돌출된 데드볼트(420)가 큰 어려움 없이 스트라이크(220)의 밖으로 미끄러지듯이 빠져나와, 문(20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when the intruder inserts and pulls a tool such as a lever between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침입자가 잠겨진 출입문을 강제로 개방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 또는 지연시킬 수 있는 도어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door lock device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or delay an intruder from forcibly opening a locked door.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일면에 폭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홈을 갖는 데드 볼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 개방방지용 도어록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oor lock device for preventing forced open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dead bolt having a groove formed in at least one surface along the width direc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은 상기 데드 볼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열로 배열 형성된 것이 좋다.Preferably, the grooves are formed in a row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ead bolt.
또한, 상기 홈의 단면은 다각형태인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groove is preferably polygonal shape.
또한, 연기 감지수단과, 상기 연기 감지수단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데드 볼트의 잠금 상태를 자동으로 해제하는 제어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smoke detection means and a control mean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the lock state of the dead bolt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moke detection means.
또한,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경고등 점등하는 경고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warning means for outputting a warning sound or lighting a warning ligh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mean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강제 개방방지용 도어록 장치의 정면도 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도어록 장치에 의한 문 잠금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침입자가 지렛대를 이용하여 문을 강제로 개방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Figure 3 is a front view of the forced lock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 door lock state by the door lock device shown in Figure 3, Figure 5 is an intruder in the state of Figure 4 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oor is forcibly opened using a lever, and FIG. 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FIG. 5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록 장치(100)는 본체(10), 데드볼트(20), 문 여닫힌 감지센서(30), 연기 감지센서(40), 경고등(42, 스피커(44) 등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본체(10)는 대체로 직 육면체 형태로서, 내부에 디지털 또는 수동 도어록 장치에 필요한 각종 부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다. 본체(10)의 정면에는 데드볼트(20)를 각각 수동 또는 자동으로 동작시키는 수동 손잡이(12) 및 자동 스위치(14)가 설치되고, 실내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 감지센서(40)가 설치된다.The
데드볼트(20)는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며, 구동모터에 의해 본체(10)의 바깥쪽으로 왕복 이동한다. 데드볼트(20)는 충격에 의해 쉽게 휘어지거나 부러지지 않도록 충분한 인성과 강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제작된다. 데드볼트(20)의 적어도 일 측면에는 높이방향(도 3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직선형태로 뻗은 홈(22)이 형성된다. 홈(22)은 삼각 또는 사각과 같은 다각형 형태의 단면을 갖는 것이 좋다.The
문 여닫힘 감지센서(30)는 본체(10)에 설치되며, 데드볼트(20)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문 여닫힘 감지센서(30)는 문(200)이 닫혔을 때 문틀(210)과 접촉하여 문(200)의 여닫힘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도어록 장 치(100)의 제어장치(70, 도 7 참조)에 송출한다.The door opening and
연기 감지센서(4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정면에 설치된다. 연기 감지센서(40)는 화재시 발생하는 연기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장치(70)에 송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기 감지센서(40)가 도어록 장치(100)의 본체(10)에 일체로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사용자가 임의의 장소(예들 들어 화재발생이 빈번한 부엌 등)에 설치할 수 있도록 본체(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본체(10)에서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경고등(42)은 제어장치(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장치(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점멸한다.The
스피커(44)는 제어장치(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장치(70)의 제어신호에 따라 경고음을 발생시킨다.The
이와 같이 구성된 도어록 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형태로 문(200)에 장착된다. 본체(10)는 문(200)의 안쪽에 설치되고, 스트라이크(220)는 문틀(210)에 설치된다. 스트라이크(220)는 문(200)이 닫혔을 때 도어록 장치(100)의 데드볼트(2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데드볼트(20)와 일직선상에 위치한다. 따라서, 문 여닫힘 감지센서(30)를 통해 문(200)이 닫힌 상태가 감지되면, 데드볼트(20)는 스트라이크(220)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문(200)을 잠근다. 이 경우 데드볼트(20)에 형성된 홈(22)은 스트라이크(220)와 접촉하지 않는다.The
한편, 도 4와 같은 문 잠금 상태에서, 침입자가 지렛대(300)를 문(200)과 문 틀(210) 사이에 끼워넣고 문(200)을 강제로 열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200)은 비틀리고, 도어록 장치(100)의 데드볼트(20)는 기울어지면서 스트라이크(220)로부터 빠져나가는 방향으로 움직인다.On the other hand, in the door lock state as shown in FIG. 4, if the intruder inserts the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데드볼트(20)의 양 측면에 홈(2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데드볼트(20)가 기울어지면서 스트라이크(220)를 빠져나갈 때 데드볼트(20)의 홈(22)과 스트라이크(220)의 모서리부분(정확하게는 안쪽 모서리)이 도 5의 확대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침입자가 지렛대(300)를 매우 큰 힘으로 당기지 않는 한, 문(200)이 열리지 않는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한편, 위와 같이 문(200)을 강제로 개방하는 경우(즉 외부로부터 문 잠금 해제 명령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문 여닫힘 감지센서(30)와 문틀(210)의 접촉이 해지되는 경우), 일반적인 디지털 도어록 장치는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종래 도어록 장치(100)는 침입자의 침입행위를 충분히 주변에 경고하기 전에 침입자가 실내로 침입하여 도어록 장치를 파괴하거나 도어록 장치의 전원(일반적으로는 배터리)을 차단하므로, 이러한 경고 효과가 미미하였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반면, 본 발명은 데드볼트(20)의 홈(22)에 의해 데드볼트(20)와 스트라이크(220)가 맞물려 침입자의 강제 침입을 방해하거나 최소한 지연시킬 수 있으므로, 도어록 장치(100)의 경고시스템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침입자의 침입의지를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the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드볼트(20)의 양 측면에 다수의 홈(22)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데드볼트(20)의 양 측면에 다수의 홈(22)을 형성시키 면 데드볼트(20)와 스트라이크(220) 간의 맞물림 빈도와 강도가 높아지므로, 스트라이크(220)로부터 데드볼트(20)가 이탈되는 것을 더욱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스트라이크(220)와 데드볼트(20)의 맞물림 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데드볼트(20)의 홈(22)의 단면을 사각 또는 그 이외의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6, a plurality of
다음에서는 화재 발생시의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100)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겠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도어록 장치의 주요 구성도이다.Next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of the
일반적으로 디지털 도어록 장치는 전자부품과 합성수지재질의 기어부품으로 구성되므로 열에 약하다. 때문에, 디지털 도어록 장치는 화재발생시 작동하지 않거나 오작동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은 실내에 사람이 머물고 있는 상황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상당한 위험을 초래한다(예를 들어, 종래 디지털 도어록 장치는 화재발생시 잠겨진 상태로 부품이 변형되어 잠금 해지 기능이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In general,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is weak against heat because it is composed of an electronic part and a gear part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erefore,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does not operate or malfunction in the event of a fire. This drawback poses a significant risk in the event of a fire in the presence of a person in the room (for example, a conventional digital door lock device may be deformed in a locked state in the event of a fire and the unlocking function may not be performed). .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화재발생이 예상되면(즉 실내에서 연기가 발생하면), 도어록 장치가 이를 감지하여 경고음을 방생하거나 경고등을 점등하고 문의 잠금 상태를 자동으로 해제하도록 하였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ire is expected (that is, when smoke occurs indoors)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the door lock device detects this to generate a warning sound or to turn on a warning light and automatically release the door lock state.
위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 여닫힘 감지센서(30), 연기 감지센서(40), 데드볼트 위치 감지센서(50), 데드볼트 구동모터(60), 및 제어장치(70)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performing the above function, the door opening and
문 여닫힘 감지센서(3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어록 장치(100)의 바 깥쪽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문틀(210)과의 접촉을 통해 문(200)의 여닫힘을 판단하고, 판단 값을 제어장치(70)에 송출한다. 연기 감지센서(40)는 도어록 장치(100)의 겉면에 설치되어, 실내에서 발생하는 연기의 양을 감지하고, 감지된 값을 제어장치(70)에 송출한다. 데드볼트 위치 감지센서(50)는 도어록 장치(100)의 내부에서 설치되어, 데드볼트(20)가 도어록 장치(100)의 외측으로 돌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값을 제어장치(70)에 송출한다. 그리고, 데드볼트 구동모터(60)는 제어장치(70)의 신호에 따라 데드볼트(20)를 문틀(210) 또는 도어록 장치(100)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The door opening and
이와 같이 구성된 도어록 장치(100)는 연기 감지센서(40)에서 측정되는 연기의 양에 따라 제어장치(70)가 화재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문 여닫힘 감지센서(30)와 데드볼트 위치 감지센서(50)를 통해 문(200)이 잠겨진 상태인지를 판단한 뒤, 이들 판단결과에 따라 데드볼트 구동모터(60)를 통해 데드볼트(20)를 강제로 작동시킨다.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발생시와 같은 위급상황에서 실내 거주자가 도어록 장치(100)의 해제동작 없이 바로 문(200)을 열 수 있으므로, 실내 거주자의 신속한 탈출을 유도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oor occupant can immediately open the
본 발명은 데드 볼트와 문틀 홈의 결속력이 우수하므로 침입자가 잠겨진 문을 개방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 또는 지연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dead bolt and the door frame groove can effectively prevent or delay the intruder opening the locked door.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휴가철이나 명절과 같이 장시간 집을 비울 때 발 생하기 쉬운 도난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ft accidents that occur easily when leaving the house for a long time, such as during the holidays or holidays.
아울러, 본 발명은 실내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통해 화재발생의 유무를 판단하여 잠겨진 문을 신속하게 개방시킴으로써, 화재에 의해 도어록 장치가 파손되기 전에 거주자가 화재로부터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determining whether a fire occurs through the smoke generated in the room to quickly open the locked door, it helps the occupants to evacuate from the fire quickly before the door lock device is damaged by the fir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should have the following claims. Various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23658A KR20080082838A (en) | 2007-03-09 | 2007-03-09 | Door lock device for preventing forced open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23658A KR20080082838A (en) | 2007-03-09 | 2007-03-09 | Door lock device for preventing forced openi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82838A true KR20080082838A (en) | 2008-09-12 |
Family
ID=40021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23658A KR20080082838A (en) | 2007-03-09 | 2007-03-09 | Door lock device for preventing forced open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82838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443267B2 (en) | 2015-05-04 | 2019-10-15 | Spectrum Brands, Inc. | Lockset with cylinder integrity sensor |
-
2007
- 2007-03-09 KR KR1020070023658A patent/KR20080082838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443267B2 (en) | 2015-05-04 | 2019-10-15 | Spectrum Brands, Inc. | Lockset with cylinder integrity sens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365250A (en) | Garage do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 |
US7339473B2 (en) | Enclosure security device | |
WO2004031517A1 (en) | Delayed egress exit device | |
KR200453544Y1 (en) | Fire Detector Interlocking Top Down Refuge | |
JP4216613B2 (en) | Crime prevention system | |
EP1825083B1 (en) | A security system comprising a keyholder | |
JP3100285U (en) | Alarm entry / exit device | |
JP2001336326A (en) | Automatic-unlocking-function-equipped device and system for opening door | |
KR20080082838A (en) | Door lock device for preventing forced opening | |
JP2005248452A (en) | Locking system | |
KR200478761Y1 (en) | crime prevention window | |
KR20110020367A (en) | Emergency door with disengagement means | |
KR200372729Y1 (en) | Incendiary door using partition of balcony between household | |
JP2016113868A (en) | Locking/unlocking device | |
JP4257585B2 (en) | Electric lock device | |
KR100696273B1 (en) | Building front door with door closure detection. | |
JPH0546634Y2 (en) | ||
EP1531218A1 (en) | Device for locking a door, and a door and a door assembly | |
KR101024221B1 (en) | Emergency door with release means | |
JP4293881B2 (en) | Tamper detection system for opening / closing body operating device | |
JP5935112B1 (en) | Crime prevention system | |
JP4010290B2 (en) | Shutter device with security function | |
JPH063985Y2 (en) | Area lattice | |
JP2013144907A (en) | Lock system | |
JP2005163376A (en) | Sliding door latch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4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810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04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