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1795A - Rechargeable High Pass Terminal - Google Patents
Rechargeable High Pass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81795A KR20080081795A KR1020070086216A KR20070086216A KR20080081795A KR 20080081795 A KR20080081795 A KR 20080081795A KR 1020070086216 A KR1020070086216 A KR 1020070086216A KR 20070086216 A KR20070086216 A KR 20070086216A KR 20080081795 A KR20080081795 A KR 2008008179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ss terminal
- smart card
- toll
- charge
- rechargeab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19506 ciga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07B15/063—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using wireless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vehicle and a fixed s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충전식 하이패스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식 하이패스 단말기는, 차량에 탑재되며 고속도로 톨게이트 상에 설치된 통행료 자동 징수 시스템과 무선 통신하여 차량의 정차 없이 통행료를 자동 납부하도록 구성된 하이패스 단말기에 있어서, 고속도로 통행요금 결제를 위한 스마트카드가 장치 내로 삽입될 때 이를 판독하기 위한 카드 판독부, 사용자로부터 키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키입력부, 통행료 자동 징수 시스템과 무선 통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 요금 징수 성공 여부를 음향 또는 시각 정보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장치 일측에 구비되며 전원케이블의 일단이 접속되는 커넥터 및 커넥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이를 충전하며 표시부와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지를 포함한다.A rechargeable high pass terminal is provided. Rechargeable high-pa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pass terminal mounted on the vehicle and configured to automatically pay the toll without stopping the vehicle b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toll automatic collection system installed on the highway toll gate, highway toll A card reader for reading the smart card for payment when it is inserted into the device, a key input for receiving a key signal from the user, a wireless transceiver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automatic toll collection system, a sound or Display unit for displaying visual information,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each of the components, the device is provided on one side, the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connector and connector to which one end of the power cable is connected to charge it and supply power to the display unit and the control unit It includes a rechargeable battery for.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식 하이패스 단말기는, 스마트카드 상의 잔여 충전 금액이 일정 금액 미만일 경우 사용자의 확인 과정을 거쳐 스마트카드의 비용 충전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한 비용 충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chargeable high-pa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remaining charge amount on the smart card is less than a certain amount may further include a cost charging unit for automatically performing the charge of the smart card through the user confirmation process. have.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 등에 장착되는 충전식 하이패스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구비된 시거잭 전원 또는 가정용 전원을 이용하여 전원 공급용 배터리를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잔여 충전 금액이 일정 액수 미만인 경우 사용자의 확인 과정 등을 통해 자동으로 비용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충전식 하이패스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hargeable high pass terminal mounted in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he battery for power supply can be easily charged using a cigar jack power or a household power provided in the vehicle, and the remaining charge amount is increased. If less than a certain amount relates to a rechargeable high-pass terminal configured to automatically charge the cost through a user confirmation process.
최근 들어 차량의 보급이 증가되고 있고, 특히 주말이나 명절 등에 고속도로 이용이 급증하면서, 고속도로에서의 교통 정체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고속도로 교통 정체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로서, 톨게이트에서 요금 징수시 걸리는 시간 지연에 의한 병목 현상을 예로 들 수 있다. In recent years, the spread of vehicles has been increasing, and in particular, traffic congestion on the highway has emerged as a serious problem due to the rapid increase in the use of expressways on weekends and holidays. One of the biggest causes of traffic congestion on the highway is the bottleneck caused by the time delay of toll collection.
이러한 톨게이트에서의 정체 현상은 비단 차량 이용자의 불만에 그치지 않고, 물류비 증가 등과 같은 국가경쟁력 저하의 한 원인이 되고 있기도 하다.The congestion at toll gates is not only a complaint of vehicle users, but also a cause of deterioration of national competitiveness such as increased logistics costs.
이를 해결하고자, 국내의 경우 하이패스(Hi-pass) 시스템이라고 불리는 통행료 자동 징수 시스템(이하 ‘하이패스 시스템’이라 한다)이 개발되어, 톨게이트의 일부 요금 징수 구역에서 운영되고 있다. To solve this problem, in Korea, a toll automatic collection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high-pass system'), called a hi-pass system, has been developed and operated in some toll gates of the toll gate.
이와 같은 하이패스 시스템은 차량에 사용자 단말기인 하이패스 단말기를 탑재한 상태에서 하이패스 시스템이 설치된 게이트를 차량이 통과하면, RF(Radio Frequency) 또는 적외선(Infrared) 통신 등의 방식을 통해 하이패스 단말기에 삽입된 스마트카드의 충전요금이 자동으로 납부되어 결제되는 시스템이다. Such a high pass system is a high pass terminal through a method such as RF (Radio Frequency) or infrared (Infrared) communication when the vehicle passes through the gate in which the high pass system is installed while the high pass terminal is mounted on the vehicle. The charging fee of the smart card inserted in the system is automatically paid and settled.
따라서, 톨게이트를 통과하는 차량이 정차 없이 달리면서 고속도로 통행요금을 지불할 수 있어, 톨게이트에서 발생되는 교통 정체 등의 문제 발생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vehicle passing through the toll gate can pay the toll highway fee while running without stopping,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occurrence of problems such as traffic congestion occurring at the toll gate.
상기 하이패스 시스템은 차량용 하이패스 단말기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 차로제어장치, 차종 분류장치, 및 위반차량 촬영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The high pass system includes a device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to a vehicle high pass terminal, a lane control device, a vehicle type classification device, and a violation vehicle photographing device.
이에 대응하여, 차량 내에 탑재되는 하이패스 단말기는 통상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스마트카드(112)를 인식할 수 있는 카드 판독부(114)와, 사용자가 키신호를 입력하는 키입력부(116), 상기 하이패스 시스템(130)과의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를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부(118), 하이패스 시스템(130)과의 무선 통신에 의해 요금 징수가 성공되었는지 여부를 음향 또는 시각 정보로 표시하는 표시부(120) 및 전체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마이컴과 같은 제어부(122) 등으로 구성된다.Correspondingly, the high pass terminal mounted in the vehicle generally includes a card reader 114 capable of recognizing the above-described smart card 112, and a key input unit for inputting a key signal by the user. 116), whether the toll collection is successful b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high-pass system 130, the wireless transceiver 118 including an antenna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high-pass system 130, or acoustic or visual information It is composed of a display unit 120 and a control unit 122 such as a microcomputer to control the entire component.
이러한 하이패스 단말기(110)는 일반적으로 별도의 거치수단에 의해 차량 내 대시보드 또는 전면 유리창 등에 장착되었으며, 내부에 수용된 건전지(124)를 이용한 DC 전원에 의해 작동되었다. The high pass terminal 110 is generally mounted in a vehicle dashboard or a front windshield by a separate mounting means, and operated by a DC power source using a battery 124 housed therein.
그러나 하이패스 단말기(110)의 전원으로 건전지(124)를 사용함에 따라, 건전지(124)가 방전된 상태에서 하이패스 시스템(130)을 통과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었으며, 이 경우 해당 차량은 통행료 납부 위반 차량으로 인식되어 벌금을 부과 받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될 여지가 있었다. However, as the battery 124 is used as a power source of the high pass terminal 110, a case where the battery 124 is discharged may pass through the high pass system 130. In this case, the vehicle There was a possibility that problems such as being charged with a toll payment violation would result in fines.
아울러, 사용자의 부주의 등에 의해 적시에 금액 충전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 하이패스 단말기(110) 내에 구비되는 스마트카드(112)의 잔여 충전 금액이 톨게이트 통과 요금에 미치지 못할 수 있으며, 이때에도 역시 해당 차량은 통행료 납부 위반 차량으로 인식되어 벌금을 부과 받게 된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it is impossible to timely charge the amount of money due to carelessness of the user, the remaining amount of charge of the smart card 112 provided in the high-pass terminal 110 may not reach the toll pass rate, even in this case There were problems such as being recognized as a toll payment violation vehicle and being fined.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새로운 하이패스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하이패스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 development of a new high pass terminal and a high pass system using the sam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the above problems are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하이패스 단말기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써, 차량에 구비된 시거잭 전원 또는 가정용 전원을 이용하여 전원 공급용 배터리를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잔여 충전 금액이 일정 액수 미만인 경우 사용자의 확인 과정 등을 통해 자동으로 비용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충전식 하이패스 단말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ith the conventional vehicle high-pass terminal, it is possible to easily charge the power supply battery using the cigar jack power or home power provided in the vehicl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chargeable high-pass terminal configured to automatically charge the cost through a user confirmation process when the remaining charge amount is less than a certain amount.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which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충전식 하이패스 단말기는, 차량에 탑재되며 고속도로 톨게이트 상에 설치된 통행료 자동 징수 시스템과 무선 통신하여 차량의 정차 없이 통행료를 자동 납부하도록 구성된 하이패스 단말기에 있어서, 고속도로 통행요금 결제를 위한 스마트카드가 장치 내로 삽입될 때 이를 판독하기 위한 카드 판독부, 사용자로부터 키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키입력부, 통행료 자동 징수 시스템과 무선 통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 요금 징수 성공 여부를 음향 또는 시각 정보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장치 일측에 구비되며 전원케이블의 일단이 접속되는 커넥터 및 커넥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이를 충전하며 표시부와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지를 포함한다.In the high-pass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high-pass terminal mounted on the vehicle and configured to wirelessly communicate with the toll automatic collection system installed on the highway toll gate to automatically pay the toll without stopping the vehicle, Card reader for reading smart card for expressway toll payment when inserted into device, Key input for receiving key signal from user, Wireless transceiver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utomatic toll collection system, Toll succes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sound or visual information,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espective components, and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apparatus and is supplied with power through a connector and a connector to which one end of the power cable is connected and charged to the display unit and the control unit. Includes rechargeable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he.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식 하이패스 단말기는, 스마트카드 상의 잔여 충전 금액이 일정 금액 미만일 경우 사용자의 확인 과정을 거쳐 스마트카드의 비용 충전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한 비용 충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비용 충전부를 통한 스마트카드에 대한 자동 비용 충전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또는 무선 LAN 등의 통신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the rechargeable high-pa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remaining charge amount on the smart card is less than a certain amount may further include a cost charging unit for automatically performing the charge of the smart card through the user confirmation process. have. In this case, automatic cost charging of the smart card through the cost charging unit may be performed by a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Bluetooth, Zigbee, or wireless LAN.
여기서 상기 비용 충전부는, 스마트카드에 대한 자동 비용 충전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경우, 해당 비용 충전 내역을 사용자의 휴대폰 단문 메시지(SMS) 등을 통해 자동 전송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Here, the cost charg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transmit the cost charging details through a user's mobile phone short message (SMS) when the automatic cost charging for the smart card is successfully perform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식 하이패스 단말기는, 커넥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이를 승압시켜 상기 충전지로 공급하기 위한 승압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rechargeable high-pass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oosting circuit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rechargeable battery by receiving power through a connector.
이때 상기 커넥터는, 차량용 시거잭 또는 가정용 전원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을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nector may be configured to supply power applied from a vehicle cigar jack or a home power sourc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전식 하이패스 단말기는, 단말기 내에 충전지를 설치하고 단말기의 일측에 충전용 커넥터를 구비함으로써, 통상 휴대 단말기의 충전 등을 위해 이용되는 시거잭 또는 가정용 전원케이블 등을 이용한 단말기의 상시 충전이 가능할 수 있게 되었다.As described above, the rechargeable high-pa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hargeable battery in the terminal and a connector for charging on one side of the terminal, so that a cigar jack or a home power cable, which is usually used for charging the portable terminal, is used. It is possible to always charge the terminal used.
아울러, 하이패스 단말기 내에 구비되는 스마트카드의 잔여 충전 금액이 일정 금액 미만인 경우, 사용자의 확인 과정을 통해 비용의 자동 충전 등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었다.In addition, when the remaining charge amount of the smart card provided in the high-pass terminal is less than a certain amount,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charge the cost through the user confirmation process.
이에 따라, 배터리 부족이나 방전, 또는 잔여 충전 금액 부족 등에 의해 하이패스 단말기가 적시에 작동하지 못함으로써 발생되던 통행료 납부 위반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됨으로써, 획기적으로 향상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는 등의 다양한 장점이 있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olve problems such as toll payment violations caused by the high pass terminal failing to operate in a timely manner due to lack of battery, discharge, or remaining charge, thereby providing a significantly improved user convenience. There are various advantage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충전식 하이패스 단말기는, 차량에 탑재되며 고속도로 톨게이트 상에 설치된 하이패스 시스템과 무선 통신하여 차량의 정차 없이 통행료를 자동 납부하도록 구성된 하이패스 단말기에 있어서, 고속도로 통행요금 결제를 위한 스마트카드가 장치 내로 삽입될 때 이를 판독하기 위한 카드 판독부, 사용자로부터 키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키입력부, 통행료 자동 징수 시스템과 무선 통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 요금 징수 성공 여부를 음향 또는 시각 정보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장치 일측에 구비되며 전원케이블의 일단이 접속되는 커넥터 및 커넥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이를 충전하며 표시부와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지를 포함한다.The rechargeable high-pass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high-pass terminal mounted on a vehicle and configured to automatically pay a toll without stopping the vehicle by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 high-pass system installed on a highway toll gate. A card reader for reading the smart card for toll payment when inserted into the device, a key input for receiving a key signal from the user, a wireless transceiver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automatic toll collection system, and whether toll collection is successful.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sound or visual information,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espective components, and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evice, and is supplied with power through a connector and a connector to which one end of the power cable is connected, and charges the power to the display unit and the control unit. It includes a rechargeable battery for supplying.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식 하이패스 단말기는, 스마트카드 상의 잔여 충전 금액이 일정 금액 미만일 경우 사용자의 확인 과정을 거쳐 스마트카드의 비용 충전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한 비용 충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비용 충전부를 통한 스마트카드에 대한 자동 비용 충전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또는 무선 LAN 등의 통신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the rechargeable high-pa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remaining charge amount on the smart card is less than a certain amount may further include a cost charging unit for automatically performing the charge of the smart card through the user confirmation process. have. In this case, automatic cost charging of the smart card through the cost charging unit may be performed by a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Bluetooth, Zigbee, or wireless LAN.
여기서 상기 비용 충전부는, 스마트카드에 대한 자동 비용 충전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경우, 해당 비용 충전 내역을 사용자의 휴대폰 단문 메시지(SMS) 등을 통해 자동 전송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Here, the cost charg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transmit the cost charging details through a user's mobile phone short message (SMS) when the automatic cost charging for the smart card is successfully perform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식 하이패스 단말기는, 커넥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이를 승압시켜 상기 충전지로 공급하기 위한 승압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rechargeable high-pass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oosting circuit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rechargeable battery by receiving power through a connector.
이때 상기 커넥터는, 차량용 시거잭 또는 가정용 전원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을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nector may be configured to supply power applied from a vehicle cigar jack or a home power source.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 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and the present embodiments are merely provided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충전식 하이패스 단말기는 고속도로 톨게이트 상에 설치된 하이패스 시스템(280)과 무선 통신하여 동작하는 단말기로써, 하이패스 시스템(280)은 통상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단말기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For reference, the rechargeable high-pa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rminal operating b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high-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패스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high pa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식 하이패스 단말기는, 스마트카드(252)가 삽입되는 삽입부(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고, 이 삽입부 상에는 스마트카드(252)를 판독하기 위한 카드 판독부(254)가 설치됨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rechargeable high-pass terminal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sertion unit (not shown) into which the
이러한 스마트카드(252)는 고속도로 통행요금이 충전된 충전 카드 혹은 고속도로 통행요금을 후불 결제하는 신용 카드 등과 같이 통상의 어떠한 형태의 스마트가드이더라도 무방하며, 이 경우 카드 판독부(254)는 스마트카드(252)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적절하게 구성될 수 있다. The
다시 말해, 카드 판독부(254)는 스마트카드(252)의 접촉부를 통해 카드를 판독하거나, 스마트카드(252) 상에 인쇄된 RF 태그 등과 같은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태그리더일 수 있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카 드 판독부(254)는 스마트카드(252)의 형태에 따라 이와 대응되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In other words, the
하이패스 단말기(250)의 외부 일측에는 사용자가 하이패스 단말기(250)의 사용을 선택 및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키입력부(256)가 구비될 수 있다. An external side of the
키입력부(256)는 단순한 기능을 수행하는 몇 가지 기능키(function key)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가령, 하이패스 단말기(250)를 On/Off 하기 위한 전원키, 하이패스 단말기(250)의 이용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키, 스마트카드(252) 상에 충전된 요금의 잔액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키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은 당업자에 있어 자명할 것이다.The
제어부(262)는 마이컴 등과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카드 판독부(254)로부터 스마트카드(252)의 정보를 수신하고 무선 송수신부(258)를 통해 데이터를 하이패스 시스템(280)측으로 전송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The
무선 송수신부(258)는 하이패스 시스템(280)에 설치된 안테나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이패스 단말기(250)와 하이패스 시스템(280)은 적외선(IR) 또는 무선(RF)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 정보, 통행요금 등과 같은 데이터를 상호 통신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무선 송수신부(258)는 각각의 통신 방식에 적합한 안테나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무선 송수신부(258)로부터 정상적인 요금 결제가 수행되었음이 확인되면, 제어부(262)는 부저 또는 LED 등으로 이루어진 표시부(260)를 작동시켜 요금이 정상 결제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normal billing is performed by the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패스 단말기(250) 내에는 충전지(270)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하이패스 단말기(250)의 일측에는 차량용 시거잭 또는 가정용 전원케이블(274)이 접속되는 커넥터(272)가 구비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여기서 상기 커넥터(272)는, 핸드폰 등의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하는 전원 커넥터 또는 일반적인 전원단자와 동일한 커넥터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따라서, 휴대폰 등을 충전하기 위한 시거잭 또는 가정용 전원케이블(274)을 그대로 채용하여 본 발명의 하이패스 단말기(250)에 적용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Herein, the
이 경우, 상기 충전지(270)는 통상의 휴대 단말기에서 이용되는 리튬-이온 또는 리튬-폴리머 전지인 것이 좋으며, 휴대 단말기의 이용 전원과 하이패스 단말기(250)의 이용전원이 다를 수 있으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지(270)의 전원을 승압하기 위한 승압회로부(276) 등을 더 구비함으로써 이로 인한 문제 발생 등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식 하이패스 단말기(250)는, 스마트카드 상의 잔여 충전 금액이 일정 금액 미만일 경우, 사용자의 확인 과정 등을 거쳐 스마트카드(252)의 비용 충전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한 비용 충전부(29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chargeable high-
즉, 톨게이트를 통과하는 차량에 탑재된 하이패스 단말기(250)의 잔여 충전 금액이 사용자 입력 등에 의해 설정된 기준 금액 미만일 경우, 하이패스 단말기(250)는 비용의 추가 충전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충전 을 확인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금액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액수 만큼의 금액에 대한 충전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 대한 비용의 추가 충전 여부 확인은 하이패스 단말기(25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사용자의 설정 등에 따라 핸드폰 등의 개인 휴대 단말기를 통해 이와 같은 확인이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That is, when the remaining charge amount of the high-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용 충전부(290)를 통한 스마트카드에 대한 자동 비용 충전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또는 무선 LAN 방식 등의 다양한 무선 데이터 통신 방식을 통해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automatic cost charging of the smart card through the
또한 비용 충전부(290)는, 스마트카드(252)에 대한 자동 비용 충전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경우, 해당 비용 충전 내역을 사용자의 휴대폰 단문 메시지(SMS: short message service) 등을 통해 자동 전송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식 하이패스 단말기에 따르면, 통상의 차량에 구비된 휴대 단말기 충전용 시거잭 또는 가정용 전원케이블(274) 등을 이용하여 하이패스 단말기(250)의 전원을 충전하거나, 사용자의 확인에 대응되도록 스마트카드(252)의 비용 충전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According to the rechargeable high-pass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ower of the high-
이에 따라, 종래 전원의 방전이나 충전 금액의 부족 등에 의해 발생되던 요금 납부 위반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향상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는 등의 효과가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charge payment violations caused by the discharge of the power source or the lack of the charge amount, etc., thereby providing an improved user convenienc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I can understand that.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전지를 이용하는 차량용 하이패스 단말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ehicle high-pass terminal using a battery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식 하이패스 단말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echargeable high pa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50 : 하이패스 단말기 252 : 스마트 카드250: high pass terminal 252: smart card
254 : 카드 판독부 256 : 키입력부254: card reader 256: key input
258 : 무선 송수신부 260 : 표시부258: wireless transceiver 260: display unit
262 : 제어부 270 : 충전지262: control unit 270: rechargeable battery
272 : 커넥터 274 : 충전용 전원케이블272 connector 274: charging power cable
276 : 승압회로부 280 : 하이패스 시스템276: boost circuit 280: high pass system
290 : 비용 충전부290: cost charging unit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08100034430A CN101261747B (en) | 2007-03-06 | 2008-01-15 | Charging type vehicle-mounted unit |
TW097101580A TW200839653A (en) | 2007-03-06 | 2008-01-16 | Rechargeable on-board un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70022133 | 2007-03-06 | ||
KR1020070022133 | 2007-03-06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81795A true KR20080081795A (en) | 2008-09-10 |
Family
ID=39962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86216A Ceased KR20080081795A (en) | 2007-03-06 | 2007-08-27 | Rechargeable High Pass Terminal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81795A (en) |
CN (1) | CN101261747B (en) |
TW (1) | TW200839653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30807A (en) | 2015-09-10 | 2017-03-20 | (주)에스디시스템 | Hi-pass terminal using removable solar cell plate |
KR20200121138A (en) | 2019-04-15 | 2020-10-23 | 유한회사 아라콤 | Automatic toll payment System for toll reduction vehicles |
KR200495799Y1 (en) | 2021-07-02 | 2022-08-22 | 권홍 | Apparstus for paying automatically toll money of vehicl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194260A (en) * | 2011-06-09 | 2011-09-21 | 北京握奇数据系统有限公司 | On-vehicle unit, and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business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84981A (en) * | 1997-12-19 | 1999-07-09 | Toshiba Corp | Charge receiving system, ic card, on-board unit, roadside equipment, method for charge collection and vehicle side equipment confirming method |
KR20010034333A (en) * | 1998-01-23 | 2001-04-25 | 와다 아끼히로 | Accounting apparatus, accounting system, and accounting card |
DE19837488A1 (en) * | 1998-08-12 | 2000-02-17 | Mannesmann Ag | Road toll payment device for motor vehicle has GPS receiver in mobile toll device placed in holder module |
CN100568292C (en) * | 2004-03-09 | 2009-12-09 | 上海华虹集成电路有限责任公司 | On-board units for highway toll systems |
CN100463467C (en) * | 2004-12-01 | 2009-02-18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Mobile phone capable of paying fare and its payment method |
-
2007
- 2007-08-27 KR KR1020070086216A patent/KR20080081795A/en not_active Ceased
-
2008
- 2008-01-15 CN CN2008100034430A patent/CN101261747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01-16 TW TW097101580A patent/TW200839653A/en unknow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30807A (en) | 2015-09-10 | 2017-03-20 | (주)에스디시스템 | Hi-pass terminal using removable solar cell plate |
KR20200121138A (en) | 2019-04-15 | 2020-10-23 | 유한회사 아라콤 | Automatic toll payment System for toll reduction vehicles |
KR200495799Y1 (en) | 2021-07-02 | 2022-08-22 | 권홍 | Apparstus for paying automatically toll money of vehi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0839653A (en) | 2008-10-01 |
CN101261747B (en) | 2010-06-02 |
CN101261747A (en) | 2008-09-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0517361A (en) | A kind of ETC system and vehicle carried electronic label are used interchangeably method | |
CN115424362B (en) | Expressway offline and online charg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digital RMB | |
KR20080020157A (en) | Automatic payment system and method of prepaid electronic card installed in toll settlement terminal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80081795A (en) | Rechargeable High Pass Terminal | |
KR101208853B1 (en) | Method and system of collecting automatically tol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unit, and mobile communication unit and on-board unit appliable for the method | |
CN201936361U (en) | Vehicle-mounted unit | |
KR20080016262A (en) | Unpaid road toll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1629791B1 (en) |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installed HI-PASS Application | |
KR20080016703A (en) | Charge system for high pass card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80016261A (en) | Recharge system and method for high pass card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CN113706733B (en) | Bluetooth-based OBU device control using method and system | |
EP1126418A1 (en) | Automatic fee-charging and verification system, particularly for paid parking spaces for motor vehicles | |
KR100921621B1 (en) | Payment processing system and payment processing method using vehicle toll settlement terminal | |
KR101738944B1 (en) | Highpass terminal ann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1263445B1 (en) | electronic settlement of accounts system and method using terminal for vehicles | |
KR20190060323A (en) | Hi-Pass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 |
KR100794838B1 (en) | Vehicle on board using multi-function connection device | |
KR20160113827A (en) | Smart key ecu and method for processing tollgate charges payment using the same | |
KR101200774B1 (en) |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using by terminal inserted Subscriber Identify Module Card capable of Dedication Short Range Communications, and method thereof | |
KR101028768B1 (en) | Automatic charging system of smart card chip embedded in toll settlement terminal and method | |
KR20050118982A (en) | Device for mounting a cellular with ic card on vehicle | |
KR20100004459A (en) | Method for reporting state conversion information of on board unit and mobile communiaction terminal having function therefore | |
KR100788192B1 (en) | On-board unit for automatic toll collection system with card charging function | |
KR100549672B1 (en) | Mobile terminal device with smart card for toll road payment | |
KR20120023862A (en) | Hi-pass system set up within room mirror of vehicle and method for informing fare in a toll road using the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902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12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