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9911A - Device for identifying location of fire transmitter - Google Patents
Device for identifying location of fire transmit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79911A KR20080079911A KR1020070020539A KR20070020539A KR20080079911A KR 20080079911 A KR20080079911 A KR 20080079911A KR 1020070020539 A KR1020070020539 A KR 1020070020539A KR 20070020539 A KR20070020539 A KR 20070020539A KR 20080079911 A KR20080079911 A KR 2008007991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nsmitter
- fire
- signal
- constant current
- receiv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6—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power transmission lin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 G08C19/025—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using fixed values of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발신기의 발신위치 식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화재감지센서 또는 스위치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발신기에서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따른 특정 정전류 값을 수신기로 인가하며, 인가된 정전류 값을 통해 수신기에서 화재가 발생된 발신기의 위치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건물 내의 각 층에 설치되어 있는 발신기 또는 층에 따른 구역 또는 층의 구분이 없이 구역별로 설치된 발신기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각각의 정전류 값을 통해 어느 발신기에서 인가되는 것인지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화재가 발생한 장소에 따른 위기 대처를 적정하게 행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identifying a transmission position of a fire transmitter, and receives a signal applied from a fire sensor or a switch from a transmitter, applies a specific constant current value according to the received signal to the receiver, and receives the receiver through an applied constant current valu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fire occurred in the transmitter, and the signal is applied from the transmitter installed in each zone without distinction between the transmitter or the floor according to the transmitter or floor installed in each floor in the building,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find out which transmitter is being applied through the constant current value of, so that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deal with the crisis according to the place where the fire occurred.
또한, 화재에 의한 재산 및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inimize the damage and property caused by fire.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재 발신기와 수신기와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fir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발신기에 설치된 정전류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nstant current circuit installed in the transmitter of FIG. 1.
도 3은 도 2의 정전류 회로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3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nstant current circuit of FIG. 2 is applied.
도 4는 본 발명의 화재 발신기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회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ircuit for identifying the position of the fire transmi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종래의 화재 발신기와 스위치가 연결된 상태는 나타낸 블록도이다.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nventional fire transmitter and a switch are connected.
도 6은 종래의 화재 수신기에서 발신기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판단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6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for determining a signal applied from a transmitter in a conventional fire receiver.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발신기 110: 스위치 100: transmitter 110: switch
120: 정전류원부 121: 저항R2120: constant current source 121: resistor R2
122: 트랜지스터Q1 123: 저항R1122: transistor Q1 123: resistor R1
124: 다이오드D1 125: 다이오드D2124: diode D1 125: diode D2
126: SW1~SWn 200: 수신기 126: SW1 to SWn 200: receiver
210: 전류측정센서 220: 오피앰프(OP_AMP) 210: current measuring sensor 220: op amp
230: A/D변환기 240: 마이콤230: A / D converter 240: micom
본 발명은 화재 발신기의 발신위치 식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내에 설치되어 있는 화재 발신기에서 인가되는 값을 파악하여 어느 층 몇 번째 발신기에서 인가되는 전류루프 신호를 판단해 화재 발생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화재 발신기의 발신위치 식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identifying a transmission position of a fire transmitter, and more particularly, to grasp the value applied from a fire transmitter installed in a building, and to determine whether a current loop signal is applied from which transmitter on which floor, and whether or not there is a fire. It relates to a device for identifying the originating position of a fire transmitter that can be confirmed.
일반적으로 건물 내부에는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화재 감지센서가 설치되고, 화재 감지센서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관리실 등에 신호를 인가할 수 있도록 층별 또는 층별에 따른 구역에서 화재신호를 수신기로 인가한다. In general, a fire detection sensor is installed in a building to detect a fire, and a fire signal is applied to a receiver in each floor or zone according to each floor so as to receive a signal from the fire detection sensor and apply a signal to a management office.
상기와 같이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건물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As described above, when a fire occurs in a multi-storey building,
화재감지센서에서 화재를 감지하여 발신기로 신호를 인가하고, 발신기는 다시 수신기로 신호를 인가하여 관리자 또는 건물 내부에 있는 사람들에게 알려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The fire sensor detects a fire and applies a signal to the transmitter, and the transmitter sends a signal to the receiver to notify the manager or people inside the building to evacuate.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신기로부터 공급되는 24볼트 회선에 연결된 복수개의 발신기 스위치S1~Sn(10) 중에서 어느 하나에서 신호가 인가된다.At this time, since it is composed of a simple switch as shown in Figure 5, the signal is applied from any one of the plurality of transmitter switches S1 ~ Sn (10) connected to the 24 volt line supplied from the receiver.
발신기에서 인가되는 신호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기 스위치(S1~Sn)(10) 중에서 어느 하나가 눌려지면, 수신기(20)의 릴레이RL1(11) 이 작동하여 해당 회선의 화재 상황을 인지하기 위해 리셋접점Sr(12)이 작동되기까지 계속해서 신호가 인가된다.As shown in FIG. 6, when one of the transmitter switches S1 to
즉, 발신기 스위치S1~Sn(10) 중 어느 한 신호가 인가될 시에 각각의 발신기 스위치S1~Sn(10)의 값이 다르게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어느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는 알 수 있으나, 그 층의 어느 구역인지는 정확하게 판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when one of the transmitter switches S1 to Sn (10) is applied, the value of each transmitter switch S1 to Sn (10) is not set differently, so it is possible to know in which floor a fire occurred. There is a problem in which area of the floor is not accurately determined.
상기와 같이 다수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건물에서는 층 수는 구별할 수 있으나, 층이 없는 구역으로 설정된 경우 즉, 대형 매장과 같이 단층으로 이루어져 각각 구역별로 설치된 스위치S1~Sn(10)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어느 구역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상황파악을 할 수 없어 초기에 발생되는 화재를 진화 또는 인명을 대피시키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the building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floors as described above, the number of floors can be distinguished, but if the floor is set to no area, that is, a single floor, such as a large store is applied in each switch S1 ~ Sn (10) installed for each zone It is very difficult to extinguish or save lives due to early fires because it is not possible to grasp the situation in which zone the fire occurred by the signal.
또한, 해당회선 전체에 화재신호가 인가되므로 수신기(20)에서는 화재가 발생한 층에 따른 구역을 정확하게 알 수 없어 인명의 대피 및 초동 진화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ire signal is applied to the entire line, the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층 또는 다수의 구역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를 통해 발신기를 거쳐 수신기로 입력되는 정전류신호를 분석하여 어느 발신기에서 인가된 신호인지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발신기의 발신위치 식별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analyze the constant current signal input to the receiver through the transmitter through a sensor installed in a plurality of floors or a plurality of zones to accurately determine which signal is applied from which transmitt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for identifying the origin of a fire transmitter.
또한, 각각의 발신기에서 수신기로 인가되는 신호의 값을 변화시켜 각각 다른 값의 신호가 인가되도록 해 발신되는 신호에 따른 화재발생 구역을 정확하게 판단해 화재의 초동진화 및 인명 대피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발신기의 발신위치 식별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by changing the value of the signal applied to the receiver from each transmitter to a different value of the signal is applied to accurately determine the fire occurrence area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signal to facilitate the initial fire of the fire and evacuation of lif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for identifying the origin of a fire transmitt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재 감지센서 또는 스위치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발신기를 거쳐 수신기에 인가되어 어느 층 또는 구역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화재감지장치에 있어서, 화재감지센서 또는 스위치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발신기에서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따른 특정 정전류 값을 수신기로 인가하며, 인가된 정전류 값을 통해 수신기에서 화재가 발생된 발신기의 위치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발신기의 발신위치 식별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fire detection device or switch in the fire detection device for determining whether a fire occurs in which floor or area is applied to the receiver via a transmitter through a signal applied through a fire detection sensor or switch Receiving a signal from the transmitter, applying a specific constant current value according to the received signal to the receiver, and through the applied constant current value to accuratel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fire originator in the receiver Provides a device for identifying the location of a fire transmitter.
또한, 발신기는 각 층별, 각 층에 따른 구역 또는 구역별에 따른 신호가 달리 인가될 수 있도록 정전류원부가 구성되고, 정전류원부가 구동될 수 있도록 저항R2가 연결되며, 화재신호를 인가시킬 수 있도록 스위치가 정전류원부에 연결되되, 정전류원부는 트랜지스터Q1과, 저항R1 및 다이오드 D1, D2로 구성되고, 트랜지스터는 스위치가 작동되면, 저항R2를 거쳐 인가되는 전기신호를 증폭시키며 증폭된 전기신호는 저항R1을 통해 고유의 정전류를 송출하여 수신기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발신기의 발신위치 식별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transmitter is configured with a constant current source so that a signal according to each floor, a zone according to each floor or a zone can be applied differently, a resistor R2 is connected so that the constant current source can be driven, and a fire signal can be applied. The switch is connected to the constant current source, the constant current source consisting of transistor Q1 and resistors R1 and diodes D1 and D2. When the switch is operated, the transistor amplifies the electrical signal applied through the resistor R2. It provides an originating position identification device of a fire transmitter, characterized in that to transmit the unique constant current through the R1 to the receiver.
또한, 수신기는 공급전원 24볼트로부터 발신기 연결회선에 직렬로 연결되어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연결센서가 설치되고, 입력측에 가해진 신호의 전압, 또는 전력 등을 확대하여 출력측에 설정한 증폭도에 따라 증폭하는 오피엠프(OP_Amp)가 저항센서와 연결되며, 오피엠프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A/D변환기가 연결되고, A/D변환기에서 인가되는 디지털 값을 판단하여 어느 층 또는 어느 구역에 설치된 발신기에서 신호가 인가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마이콤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발신기의 발신위치 식별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receiver is connected to the transmitter connection line in series from the supply 24 volts, and a voltage connection sensor for measuring the voltage is installed, and the receiver amplifies according to the amplification degree set on the output side by enlarging the voltage or power of the signal applied to the input side OP_Amp is connected to resistance sensor, and A / D converter which converts analog value output from OMP to digital value is connected, and it determines which layer or area by determining digital value applied from A / D converter. Provides an apparatus for identifying the origin of a fire transmitt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microcomputer for determining whether a signal is applied from the transmitter installed in the.
또한, 각 층 또는 구역에 설치된 발신기는 저항R1이 설치되어 각기 다른 정전류 값이 수신기에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발신기의 발신위치 식별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transmitter installed in each floor or zone provides a device for identifying the origin of the fire transmit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istor R1 is installed so that different constant current values are applied to the receiver.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화재 발신기의 발신위치 식별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apparatus for identifying a position of a fire transmi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재 발신기와 수신기와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발신기에 설치된 정전류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정전류 회로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회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재 발신기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화재 발신기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회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a fire transmitter and a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stant current circuit installed in the transmitter of Figure 1, Figure 3 is applied to the constant current circuit of Figure 2 4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state, and FIG. 4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for measuring a signal applied from a fire transmi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ircuit for identifying the position of a fire transmi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되면, 화재감지센서 (미도시)에 의해 감지한 신호를 인가받는 발신기가 구성되고, 발신기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어느 층 또는 구역에서 발생하였는지 파악하는 수신기(200)가 구성된다. As shown in Figures 1 to 5 when the fire is generated, the transmitter is configured to receive a signal detected by the fire sensor (not shown), and receives a signal from the transmitter at any floor or area The
발신기(100)는 각 층별, 각 층에 따른 구역 또는 층의 구분이 없는 구역별에 따른 신호가 달리 인가될 수 있도록 정전류원부(120)가 구성되고, 정전류원부(120)가 구동될 수 있도록 저항R2(121)가 연결되며, 화재신호를 인가시킬 수 있도록 스위치(110)가 정전류원부(120)에 연결된다.The
정전류원부(120)는 트랜지스터Q1(122)과, 저항R1(123) 및 다이오드 D1, D2(124, 125)로 구성되고, 트랜지스터Q1(122)는 스위치(110)가 작동되면, 저항R2(121)를 거쳐 인가되는 전기신호를 증폭시키며, 증폭된 전기신호는 저항R1(123)을 통해 고유의 정전류를 송출한다.The constant
저항R1(123)은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여기에 각각의 저항, 즉, R1 내지 Rn에 따라 각기 다른 정전류 값이 수신기(200)로 인가되도록 구성된다.The
수신기(200)에서는 각 층, 구역에 설치된 SW1~SWn(126)이 작동되면, 저마다 다른 저항에 의해 정전류 값을 송출하고, 송출되는 정전류 값을 분석하여 어느 층 또는 구역에서 송출된 것인지 판단한다.In the
정전류 값을 판단하기 위한 수신기(200)는 공급 전원 24볼트로부터 발신기(110) 연결회선에 직렬로 연결되어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측정센서(210)가 설치되고, 입력측에 가해진 신호의 전압, 또는 전력 등을 확대하여 출력측에 설정된 증폭 도에 따라 증폭하는 오피엠프(OP_Amp)(220)가 전류측정센서(210)와 연결된다.The
오피엠프(22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A/D변환기(230)가 연결되고, A/D변환기(230)에서 인가되는 디지털 값을 판단하여 어느 층 또는 어느 구역에 설치된 발신기(100)에서 신호가 인가되었는지 판단한다.An A /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발신기(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SW1~SWn(126) 신호가 인가되면, 인가된 SW1~SWn(126) 신호는 트랜지스터Q1(122)을 통해 증폭되고, 증폭된 신호는 다시 다이오드D1, D2(124, 125)를 거치면서 정류된 전류가 수신기회선으로 흐른다. As illustrated in FIG. 3, when the
수신기회선으로 인가되는 정전류 값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Q1(122), 다이오드D1, D2(124, 125)를 통해 특정 전류 값이 인가되면, 각 발신기(200)별로 달리 설정된 저항R2(121) 중 어느 하나에서 정전류가 달라지므로 수신기(200)에서는 어느 층, 어느 구역에서 인가된 신호인지 파악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when a specific current value is applied through the
상기와 같은 신호 흐름에 대하여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가정하여 수신기(200)에서 어느 층 또는 구역에서 발생하였는지 파악하는 과정을 설명한다.It is assumed that a fire has occurred with respect to the signal flow as described above, and a process of determining which floor or area occurred in the
소정 층 또는 구역에 설치된 화재감지센서를 통해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감지한다.Detects whether a fire has occurred through a fire sensor installed on a certain floor or area.
화재감시센서를 통해 발신기(100)로 신호가 인가되고, 발신기(100)로 인가된 신호는 전정류원부(120)를 통해 수신기(200)로 신호를 인가하여 어느 층 또는 구역의 발신기(100)에서 인가된 신호인지 파악한다.A signal is applied to the
본원 발명의 도면에는 스위치(110)로 표현되어 있으나, 스위치(110)는 사람 들이 직접 조작하는 것 또는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이며, 이는 초기에 화재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작동되는 센서와 사람이 직접 누르는 스위치를 모두 포함한다.Although the
스위치(110)가 작동되면, 스위치(110) 신호는 발신기(200)의 정전류원부(120)에 인가되고, 정전류원부(120)에 인가된 신호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R2(121)에 의해 소정 저항값이 출력되고, 출력된 저항값은 다시 트랜지스터Q1(122)으로 인가된다.When the
트랜지스터Q1(122)으로 인가된 신호는 저항R2(121)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증폭시키고, 증폭된 상태의 값을 저항R1(123)으로 인가된다. The signal applied to the
저항R1(123)에 인가된 값은 각기 다르게 설정된 각각의 저항R1 ~ Rn에 인가되어 각각의 특정 값을 갖으며 출력된 신호가 수신기(200)로 인가된다.The value applied to the
수신기(200)로 인가된 신호는 공급 전원 24볼트로부터 발신기(100) 연결회로에 직렬로 연결된 전류측정센서(210)로부터 발신기(100)에서 공급된 정전류를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오피엠프(220)에 인가한다.The signal applied to the
오프엠프(220)에서는 입력측에 가해진 신호의 전압, 또는 전류 등을 확대하여 출력측에 설정한 증폭도에 따라 증폭 및 출력되고, 출력되는 신호는 A/D변환기(230)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한다.In the off-
A/D변환기(230)에서 변환된 아날로그신호를 마이콤(240)에서 인가받고, 인가받은 신호를 통해 정전류를 판독하여 어느 층 또는 구역의 발신기(100)에서 인가된 것인지 판단하여, 이를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한다.The analog signal converted by the A /
화재 발신기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는 통상의 램프방식을 통해 깜빡거리도록 하거나 또는 모니터를 통해 발신기의 위치를 파악하도록 하는 것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이는 통상의 화재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방식을 통해 관리자에게 알린다. In order to locate the fire transmitter, the display can be flickered by a conventional lamp or by a monitor to locate the transmitter, which is used in a typical fire system. Notify the administrator via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층 또는 다수의 구역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를 통해 발신기를 거쳐 수신기로 입력되는 정전류신호를 분석하여 어느 발신기에서 인가된 신호인지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accurately determining which transmitter is the signal applied by analyzing a constant current signal input to the receiver through the transmitter through a sensor installed in a plurality of floors or a plurality of zones.
또한, 각각의 발신기에서 수신기로 인가되는 신호의 값을 변화시켜 각각 다른 값의 신호가 인가되도록 해 발신되는 신호에 따른 화재발생 구역을 정확하게 판단해 화재의 초동진화 및 인명 대피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changing the value of the signal applied to the receiver from each transmitter to the different signal is applied to accurately determine the fire occurrence area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signal, it is easy to make the initial fire of the fire and evacuation of life easily have.
또한, 건물 내의 각 층에 설치되어 있는 발신기 또는 층에 따른 구역 또는 층의 구분이 없이 구역별로 설치된 발신기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각각의 정전류 값을 통해 어느 발신기에서 인가되는 것인지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화재가 발생한 장소에 따른 위기 대처를 적정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화재에 의한 재산 및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ich transmitter is applied to the signal applied from the transmitter installed in each zone through each constant current value without distinguishing the transmitter or the floor according to the transmitter installed on each floor in the building or the floor. Since the crisis can be appropriately dealt with according to the place, there is an effect of minimizing the damage of property and lives caused by fire.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20539A KR20080079911A (en) | 2007-02-28 | 2007-02-28 | Device for identifying location of fire transmit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20539A KR20080079911A (en) | 2007-02-28 | 2007-02-28 | Device for identifying location of fire transmitt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79911A true KR20080079911A (en) | 2008-09-02 |
Family
ID=40020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20539A Abandoned KR20080079911A (en) | 2007-02-28 | 2007-02-28 | Device for identifying location of fire transmit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79911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4139B1 (en) * | 2010-01-29 | 2010-09-28 | (주) 이오엠 | Switching device having identification address |
KR101527371B1 (en) * | 2014-01-21 | 2015-06-09 | (주)탑이엔씨건축사사무소 | A fire detection system of analog electric current pursuit types |
WO2018097405A1 (en) * | 2016-11-28 | 2018-05-31 |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Address type fire detection device using voltage-controlled current source controlled by digital-to-analog conversion unit, and fire detection system comprising same |
KR101865001B1 (en) * | 2017-10-12 | 2018-06-07 | 주식회사 선진기술산업 | Fire detecting system for P-type receiver |
-
2007
- 2007-02-28 KR KR1020070020539A patent/KR20080079911A/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4139B1 (en) * | 2010-01-29 | 2010-09-28 | (주) 이오엠 | Switching device having identification address |
WO2011093658A3 (en) * | 2010-01-29 | 2011-12-01 | (주)이오엠 | Switching unit having a unique address |
KR101527371B1 (en) * | 2014-01-21 | 2015-06-09 | (주)탑이엔씨건축사사무소 | A fire detection system of analog electric current pursuit types |
WO2018097405A1 (en) * | 2016-11-28 | 2018-05-31 |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Address type fire detection device using voltage-controlled current source controlled by digital-to-analog conversion unit, and fire detection system comprising same |
KR101865001B1 (en) * | 2017-10-12 | 2018-06-07 | 주식회사 선진기술산업 | Fire detecting system for P-type receiv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692750A (en) | Fire alarm system | |
US10360789B2 (en) | Fire notification system and test method using test jig therefor | |
KR20190057877A (en) | A monitoring system for fire outbreak | |
US6353395B1 (en) | Interconnectable detector with local alarm indicator | |
US11615699B2 (en) | Smoke detector availability test | |
KR101818066B1 (en) | LED lamp system having disaster warning and training function | |
KR20080079911A (en) | Device for identifying location of fire transmitter | |
KR20180001953A (en) | Fire Detection System having Preventing Malfunction | |
EP2791926A1 (en) | End-of line capacitor for measuring wiring impedance of emergency notification circuits | |
KR101865552B1 (en) | Led lamp system equipped with a function of fire warning | |
KR100862538B1 (en) |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of fire receiver | |
KR101145414B1 (en) | Fire alarm system linked power monitoring unit | |
KR102112691B1 (en) | System for detecting fire | |
US6518879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line disconnection and a fire, and a fire alarm system having the same | |
KR20240035963A (en) | Fire receiver capable of preventing non-fire alarm | |
KR20220093697A (en) | Disaster monitoring response System based on IoT Wireless Network | |
EP2774128A1 (en) | Contact monitoring system | |
JP3957600B2 (en) | Fire receiver | |
KR101017076B1 (en) | Elderly elderly monitoring system using PSNT | |
CN210442912U (en) | Fire alarm system | |
KR20210154386A (en) | Non-Fire Alarm Rate Reduction P-type Receiver | |
US20050068164A1 (en) | Alarm arrangement | |
KR19980068601A (en) | Fire detection sensor and fire detection device using same | |
KR200256311Y1 (en) | Fire detector with condition indicator | |
JPH09223284A (en) | Sensor, analog type monitoring system and abnormality monitoring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3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2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