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79485A - 입력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입력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9485A
KR20080079485A KR1020070019735A KR20070019735A KR20080079485A KR 20080079485 A KR20080079485 A KR 20080079485A KR 1020070019735 A KR1020070019735 A KR 1020070019735A KR 20070019735 A KR20070019735 A KR 20070019735A KR 20080079485 A KR20080079485 A KR 20080079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put
navigation key
pole
operation pan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9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9942B1 (ko
Inventor
천지영
이경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9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9942B1/ko
Priority to US11/770,545 priority patent/US7737374B2/en
Priority to EP07014597.4A priority patent/EP1965292B1/en
Priority to RU2007130236/07A priority patent/RU2444147C2/ru
Priority to CN2007101423431A priority patent/CN101257530B/zh
Priority to MX2007009950A priority patent/MX2007009950A/es
Publication of KR20080079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9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9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994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8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depositing loads in desired attitudes or pos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025/048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separate central push, slide or tumbler button which is not integral with the operating part that surrounds 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08Actuators other then push button
    • H01H2221/012Joy stick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2Telephone hand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이스틱부와 네비게이션 키입력부로 구성되는 2개의 독립적인 입력수단 포함함으로써,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가 구현되는 동시에 조작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이동통신단말기, 입력장치, 조이스틱, 네비게이션 키, 터치휠

Description

입력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Input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입력장치의 단면도,
도 4는 인터넷 모드에서 도 2에 도시된 입력장치가 적용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입력장치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입력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 입력장치 110 : 조이스틱부
112 : 폴 112a : 방향돌기
114 : 방향감지부 116 : 돔 스위치
118 : 프레임부 120 : 네비게이션 키입력부
122 : 조작패널 124 : 접촉감지부
226 : 센서부 130 : 인쇄회로기판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라 함은 휴대폰이나 PDA 또는 휴대용 PC 등을 통칭하는 것으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무선통신은 물론 네트워크 접속을 통한 각종 컴퓨터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첨단 통신기기를 말한다.
최근, 이동통신단말기는 음성을 전달하는 통화기능 이외에 인터넷 검색, 게임, 이메일 수신 등 다양한 부가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부가 기능들을 사용자가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방향키로 사용되는 네비게이션 키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가 일반화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버튼 방식의 네비게이션 키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커서 등을 이동시키려면 많은 반복 동작을 필요로 하며, 특히 신속하고 세밀한 방향 제어가 필요한 인터넷 모드, 게임 모드 등에서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가 구현되는 동시에 조작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방향으로 조작 가능한 폴과, 상기 폴의 조작 방향을 인지하는 방향감지부를 포함하는 조이스틱부와, 상기 조이스틱부의 외측 둘레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네비게이션 키입력부와, 상기 조이스틱부와 상기 네비게이션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전달받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입력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키입력부는, 누름 방식으로 적어도 2가지 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네비게이션 키입력부는, 상기 폴을 에워싸도록 배치되며 상하좌우 측이 압입되도록 구성된 조작패널과, 상기 조작패널의 조작을 감지하도록 상기 조작패널의 상하좌우 측에 대응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위치에 배치되는 접촉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키입력부는, 터치 방식으로 입력 가능하다.
또한, 상기 네비게이션 키입력부는, 상기 폴을 에워싸도록 배치된 조작패널과, 상기 조작패널에 접촉함에 따라 변화되는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키입력부는, 누름 방식으로 적어도 2가 지 입력과 아울러 터치 방식으로 입력 가능하다.
또한, 상기 네비게이션 키입력부는, 상기 폴을 에워싸도록 배치되며 상하좌우 측이 압입되도록 구성된 조작패널과, 상기 조작패널의 조작을 감지하도록 상기 조작패널의 상하좌우 측에 대응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위치에 배치되는 접촉감지부와, 상기 조작패널에 접촉함에 따라 변화되는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이스틱부는, 상기 네비게이션 키입력부에서 누름 방식의 입력만 가능한 제1모드와, 상기 네비게이션 키입력부에서 터치 방식의 입력만 가능한 제2모드를 전환하는 모드 전환키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이스틱부는, 상기 폴의 눌림 입력시, 확인키, 선택키 및 모드 전환키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웹 컨텐츠(Web Contents) 이용시, 상기 조이스틱부는 상기 웹 컨텐츠 상에 표시되는 커서의 방향을 제어하며, 상기 네비게이션 키입력부는 상기 웹 컨텐츠 상의 상하 스크롤 및 좌우 스크롤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는 폴더형 휴대폰으로서 본체부(10)와 폴더부(20)를 포함한다. 본체부(10)의 전면 케이스(11)에는 제어부(도시생략)에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100, 200, 300)와 복수개의 버튼 키(13) 등이 구비되며, 폴더부(20)에는 각종 시각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21)가 구비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입력장치(100)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입력장치(100)는 상하좌우 및 대각선 방향을 포함한 다양한 방향의 입력이 가능한 조이스틱부(110)와, 조이스틱부(110)의 외측 둘레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누름 방식으로 적어도 2가지 입력이 가능한 네비게이션 키입력부(120)와, 조이스틱부(110)와 네비게이션 키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전달받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130)을 포함한다.
조이스틱부(110)는 상하좌우 및 대각선 방향을 포함한 다양한 방향으로, 즉 360도 방향으로 조작 가능한 폴(112)과, 폴(112)이 조작되는 방향을 인지하는 방향감지부(114)를 포함한다.
조이스틱부(110)는 인쇄회로기판(130)의 중앙에 배치되는 원통형의 프레임부(118)를 더 포함한다. 프레임부(118)는 폴(112)이 삽입되어 조작되는 공간을 한정하며, 그 내측에는 폴(112)이 조작되는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방향감지부(114)가 설치되어 있다. 방향감지부(114)는 사용자에 의한 폴(112)의 조작 방향을 인쇄회로기판(130)에 전달할 수 있도록 그 하단이 인쇄회로기판(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폴(112)은 프레임부(118)의 내부에 360도 방향 조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폴(112)의 상단이 네비게이션 키입력부(120)의 상부로 노출될 수 있는 높이를 갖는다. 폴(112)의 조작 방향이 방향감지부(114)에 의해 감지될 수 있도록, 폴(112)의 측부에는 방향돌기(112a)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때, 방향돌기(112a)는 복수개로 분할된 세그먼트(segment)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방향감지부(114)는 상하좌우 및 대각선의 8개 방향을 감지하도록 프레임부(118) 내측에 8개로 분할되어 배치되는 마그네틱 센서로 이루어지며, 이에 대응하는 방향돌기(112a)는 마그네틱 센서에 감지되는 자성체로 이루어진다. 사용자에 의해 폴(112)이 특정 방향으로 젖혀지면 자성체로 이루어진 방향돌기(112a)가 8개로 분할된 마그네틱 센서로 이루어진 방향감지부(114)에 근접하게 되며, 방향감지부(114)는 폴(112)의 조작 방향을 감지함과 동시에 인쇄회로기판(130)에 해당 신호를 전달한다.
본 실시예의 조이스틱부(110)는 8개의 방향 입력이 가능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더 많은 갯수로 분할된 마그네틱 센서를 사용하거나 다른 방식의 센싱 시스템을 채용함으로써, 보다 세분화된 방향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실시예와 달리 조이스틱부(110)의 방향감지부(114)는 마그네틱 센서 등의 센싱 시스템 대신에 간단한 구조를 갖는 복수 개의 돔 스위치(Dome Switch)를 사용하여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돔 스위치는 폴(112)의 방향돌기(112a)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다.
조이스틱부(110)는 폴(112)의 눌림 입력시, 확인키, 선택키 및 모드 전환키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돔 스위치(Dome Switch, 116)를 더 포함한다. 돔 스위치는 폴(112)과 대응하는 위치의 인쇄회로기판(130)에 배치되어 있다. 즉, 돔 스위치(116)는 프레임부(118)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에 설치된다.
네비게이션 키입력부(120)는 폴(112)을 에워싸도록 배치되는 조작패널(122)과, 조작패널(122)의 조작을 감지하도록 인쇄회로기판(130)에 배치되는 접촉감지부(124)를 포함한다.
조작패널(122)은 원판형 부재로서 프레임부(118)의 상단에 의해 지지되며, 상하좌우 측이 압입되도록 구성된다. 조작패널(122)의 중앙 부분에는 폴(112)이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중앙홀(122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작패널(122)의 상면은 폴(112)에 의해 조작패널(122)의 상하좌우 측의 방향 조작이 방해받지 않도록 중앙부분이 오목한 형상을 가지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좌우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가 그려져 있다. 도면부호 11은 본체부(10)의 전면 케이스(11)를 나타낸다.
접촉감지부(124)는 조작패널(122)의 상하좌우 측에 대응하는 인쇄회로기판(130)의 위치에 4개가 배치되어 있다. 즉, 인쇄회로기판(130)에는 90도 간격으로 4개의 접촉감지부(124)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접촉감지부(124)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패널(122)의 상하좌우 측이 압입되면, 해당 신호를 인쇄회로기판(13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접촉감지부(124)로는 일반적인 터치 스위치(Touch Switch)가 사용될 수 있으며, 터치 스위치 이외에 조작패널(122)의 유동을 감지하여 방향 신호를 인 쇄회로기판(130)에 전달할 수 있는 어떠한 스위치도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접촉감지부(124)로 돔 스위치(Dome Switch)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4에는 인터넷 모드에서 본 발명의 입력장치(100)가 적용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입력장치(100)의 내부에 배치된 조이스틱부(110)는 웹 컨텐츠 상에 표시되는 커서의 방향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입력장치(100)의 외부에 배치된 네비게이션 키입력부(120)는 웹 컨텐츠 상의 상하 스크롤 및 좌우 스크롤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조이스틱부(110)는 웹 컨텐츠 상에서 원하는 항목을 클릭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입력장치(100)는 조이스틱부(110)와 네비게이션 키입력부(120)의 2개의 독립적인 입력수단으로 구분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커서 등의 방향 제어를 상하좌우 및 대각선 방향을 포함한 다양한 방향의 입력이 가능한 조이스틱부(110)에 개별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입력장치(100)는 인터넷 모드, 게임 모드 등에서 신속하고 편리한 방향 제어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는 컴퓨터에 연결된 모니터에 비해 그 크기 매우 작으므로 인터넷 검색시 스크롤 기능이 빈번하게 이용된다는 점에서, 상하 스크롤 및 좌우 스크롤 기능을 네비게이션 키입력부(120)에 개별적으로 할당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입력장치(100)는 뛰어나 조작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입력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일 예 이외에도 인터넷 모 드, 게임 모드, 카메라 모드 등에서 다양한 조합의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2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입력장치(200)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200)는 네비게이션 키입력부(220)가 터치 방식으로 입력된다는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2에 도시된 입력장치(10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에 대한 설명은 간략히 하기로 한다.
입력장치는, 상하좌우 및 대각선 방향을 포함한 다양한 방향의 입력이 가능한 조이스틱부(210)와, 조이스틱부(210)의 외측 둘레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터치 방식으로 입력이 가능한 네비게이션 키입력부(220)와, 조이스틱부(210)과 네비게이션 키입력부(220)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전달받는 인쇄회로기판(230)을 포함한다.
조이스틱부(210)는 상하좌우 및 대각선 방향을 포함한 다양한 방향으로, 즉 360도 방향으로 조작 가능한 폴(212)과, 폴(212)이 조작되는 방향을 인지하는 방향감지부(214)를 포함한다. 또한, 조이스틱부(210)는 폴(212)의 눌림 입력시, 확인키, 선택키 및 모드 전환키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돔 스위치(Dome Switch, 216)를 더 포함한다. 돔 스위치(216)는 폴(212)과 대응하는 위치의 인쇄회로기판(230)에 배치되어 있다.
네비게이션 키입력부(220)는, 사용자의 폴(212)을 에워싸도록 배치된 조작패널(222)과, 조작패널(222)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함에 따라 변화되는 신호를 감지하도록 인쇄회로기판(230)에 배치된 센서부(226)를 포함한다. 즉, 네비게이션 키입력부(220)는 터치 방식으로 입력되는데, 여기서 '터치 방식'이란 최근 각종 단말기 제품에서 널리 적용되고 있는 '터치 스크린 방식'과 애플사의 "아이팟" 제품에 채용되어 유명해진 '터치휠 방식'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벼운 손가락의 터치만으로 메뉴 등을 선택하는 방식을 말한다.
센서부(226)는 프레임부(218)의 둘레를 에워싸도록 원통형으로 구성되는데, 사용자의 손가락이 조작패널(222)의 상면에 접촉함에 따라 발생하는 압력의 변화차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방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를 사용하거나, 사용자의 손가락이 조작패널(222)의 상면에 접촉시 발생하는 정전기의 변화차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방향을 감지하는 정전기감지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터치 방식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방식의 센서도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터치 방식을 채용한 네비게이션 키입력부(220)는 인터넷 모드에서 스크롤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당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조작패널(222)의 상면에 손가락을 접촉하여 좌우 회전함으로써, 인터넷 모드에서 상하 스크롤 또는 좌우 스크롤 기능을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3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입력장치(300)의 단 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300)는 네비게이션 키입력부(320)가 누름 방식과 터치 방식의 입력이 모두 가능하다는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2에 도시된 입력장치(10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에 대한 설명은 간략히 하기로 한다.
입력장치(300)는, 상하좌우 및 대각선 방향을 포함한 다양한 방향의 입력이 가능한 조이스틱부(310)와, 조이스틱부(310)의 외측 둘레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누름 방식으로 적어도 2가지 입력과 아울러 터치 방식으로 입력이 가능한 네비게이션 키입력부(320)와, 조이스틱부(310)과 네비게이션 키입력부(320)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전달받는 인쇄회로기판(330)을 포함한다.
조이스틱부(310)는 상하좌우 및 대각선 방향을 포함한 다양한 방향으로, 즉 360도 방향으로 조작 가능한 폴(312)과, 폴(312)이 조작되는 방향을 인지하는 방향감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조이스틱부(310)는 폴(312)의 눌림 입력시, 확인키, 선택키 및 모드 전환키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돔 스위치(Dome Switch, 316)를 더 포함한다. 돔 스위치는 폴(312)과 대응하는 위치의 인쇄회로기판(330)에 배치되어 있다.
네비게이션 키입력부(320)는, 폴(312)을 에워싸도록 배치되며 상하좌우 측이 압입되도록 구성된 조작패널(322)과, 조작패널(322)의 조작을 감지하도록 조작패널(322)의 상하좌우 측에 대응하는 인쇄회로기판(330)의 위치에 배치된 4개의 접촉 감지부(324)와, 조작패널(322)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함에 따라 변화되는 신호를 감지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330)에 배치된 센서부(326)를 포함한다. 이때, 센서부(326)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318)와 4개의 접촉감지부(324)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네비게이션 키입력부(3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누름 방식의 입력과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의 입력이 모두 가능하도록 구성되므로, 더욱 다양한 조합의 인터페이스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조이스틱부(310)는,네비게이션 키입력부(320)에서 누름 방식의 입력만 가능한 제1모드(방향키 모드)와, 네비게이션 키입력부(320)에서 터치 방식의 입력만 가능한 제2모드(터치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 전환키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특정 모드에서 누름 방식과 터치 방식을 혼용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의 혼동을 방지한다. 특히, 터치 방식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에게 네비게이션 키입력부(320)를 누름 방식으로만 사용하는 환경을 마련해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입력장치는 조이스틱부와 네비게이션 키입력부로 구성되는 2개의 독립적인 입력수단 포함함으로써,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가 구현되는 동시에 조작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 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적어도 2개의 방향으로 조작 가능한 폴과, 상기 폴의 조작 방향을 인지하는 방향감지부를 포함하는 조이스틱부;
    상기 조이스틱부의 외측 둘레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네비게이션 키입력부; 및
    상기 조이스틱부와 상기 네비게이션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전달받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입력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키입력부는, 누름 방식으로 적어도 2가지 입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키입력부는, 상기 폴을 에워싸도록 배치되며 상하좌우 측이 압입되도록 구성된 조작패널; 및
    상기 조작패널의 조작을 감지하도록 상기 조작패널의 상하좌우 측에 대응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위치에 배치되는 접촉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키입력부는, 터치 방식으로 입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키입력부는, 상기 폴을 에워싸도록 배치된 조작패널; 및
    상기 조작패널에 접촉함에 따라 변화되는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키입력부는, 누름 방식으로 적어도 2가지 입력과 아울러 터치 방식으로 입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키입력부는, 상기 폴을 에워싸도록 배치되며 상하좌우 측이 압입되도록 구성된 조작패널;
    상기 조작패널의 조작을 감지하도록 상기 조작패널의 상하좌우 측에 대응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위치에 배치되는 접촉감지부; 및
    상기 조작패널에 접촉함에 따라 변화되는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이스틱부는, 상기 네비게이션 키입력부에서 누름 방식의 입력만 가능한 제1모드와, 상기 네비게이션 키입력부에서 터치 방식의 입력만 가능한 제2모드를 전환하는 모드 전환키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이스틱부는, 상기 폴의 눌림 입력시, 확인키, 선택키 및 모드 전환키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KR1020070019735A 2007-02-27 2007-02-27 입력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339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9735A KR101339942B1 (ko) 2007-02-27 2007-02-27 입력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US11/770,545 US7737374B2 (en) 2007-02-27 2007-06-28 Input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ame
EP07014597.4A EP1965292B1 (en) 2007-02-27 2007-07-25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2 dimentional input device
RU2007130236/07A RU2444147C2 (ru) 2007-02-27 2007-08-07 Терминал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имеющий устройство ввода
CN2007101423431A CN101257530B (zh) 2007-02-27 2007-08-15 具有输入装置的移动通信终端
MX2007009950A MX2007009950A (es) 2007-02-27 2007-08-16 Terminal de comunicacion movil que tiene dispositivo de entrad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9735A KR101339942B1 (ko) 2007-02-27 2007-02-27 입력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9485A true KR20080079485A (ko) 2008-09-01
KR101339942B1 KR101339942B1 (ko) 2013-12-10

Family

ID=39714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9735A Expired - Fee Related KR101339942B1 (ko) 2007-02-27 2007-02-27 입력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737374B2 (ko)
KR (1) KR101339942B1 (ko)
CN (1) CN10125753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3090A (ko) * 2010-02-11 2011-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12551365A (zh) * 2020-11-12 2021-03-26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一种40000吨自卸船c-loop桅屋翻身工装及翻身工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08098B2 (en) * 2007-09-12 2012-01-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rol appropriateness illumination for corrective response
US8279183B2 (en) * 2008-10-30 2012-10-02 Research In Motion Limite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display
CN102692968A (zh) * 2012-05-14 2012-09-26 江苏中科梦兰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手持设备
KR102010957B1 (ko) 2012-12-24 2019-08-14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장치 제어 방법 및 그 휴대 장치
CN105679589B (zh) * 2014-11-20 2019-07-30 施耐德电气(澳大利亚)有限公司 开关装置
US20170300133A1 (en) * 2014-12-18 2017-10-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Wearable computing device
JP2018129208A (ja) * 2017-02-09 2018-08-16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キースイッチ及びキーボード
CN108693989A (zh) * 2017-04-12 2018-10-23 宏碁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以及使用者接口控制方法
DE102017211525B4 (de) * 2017-07-06 2023-12-07 Audi Ag Bedien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Kraftfahrzeugs mithilfe der Bedienvorrichtung, Steuereinrichtung, und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5607B2 (ja) * 1987-04-07 1997-06-04 ソニー株式会社 入力操作装置
US4866221A (en) * 1988-06-06 1989-09-12 Eaton Corporation Remote power mirror switch assembly
US5412165A (en) * 1993-11-19 1995-05-02 Eaton Corporation Multiple switch assembly with detented rocker actuator
DE19832677A1 (de) * 1998-07-21 2000-02-03 Mannesmann Vdo Ag Bedienvorrichtung
US6340800B1 (en) * 2000-05-27 2002-01-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plex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electronic systems
JP2002347538A (ja) * 2001-03-19 2002-12-04 Alps Electric Co Ltd 車載機器制御装置
JP4108401B2 (ja) * 2002-07-26 2008-06-25 日本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及び移動端末
US7429978B2 (en) * 2003-03-06 2008-09-30 Fujitsu Limite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JP4391193B2 (ja) * 2003-03-27 2009-12-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操作装置
KR200356002Y1 (ko) * 2004-04-07 2004-07-1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단말기의 회전식 방향키
US7373229B2 (en) * 2004-07-29 2008-05-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Multifunction control system
KR20060095120A (ko) * 2005-02-28 2006-08-3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네비게이션 키 구조 및 동작 방법
KR20070002480A (ko) * 2005-06-30 2007-01-05 주식회사 팬택 네비게이션 키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US7518745B2 (en) * 2005-09-28 2009-04-14 Xerox Corporation Imaging system with haptic interfa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3090A (ko) * 2010-02-11 2011-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12551365A (zh) * 2020-11-12 2021-03-26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一种40000吨自卸船c-loop桅屋翻身工装及翻身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37374B2 (en) 2010-06-15
KR101339942B1 (ko) 2013-12-10
CN101257530A (zh) 2008-09-03
US20080202898A1 (en) 2008-08-28
CN101257530B (zh) 201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9942B1 (ko) 입력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EP1081922B1 (en) Electronic apparatus
US7312790B2 (en) Input apparatus for performing input operation corresponding to indication marks and coordinate input operation on the same operational plane
US7339577B2 (en) Input device capable of button input and coordinate input on the same operating surface
TW523703B (en) Input device
JP5137150B1 (ja) 手書き情報入力装置及び手書き情報入力装置を備えた携帯電子機器
US20070152975A1 (en) Touch screen-type input device
US20080158024A1 (en) Compact user interface for electronic devices
US20150084885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modes for one-handed operation
US20100273534A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 User Interface Thereof
KR20080021442A (ko) 작동 모드 전환장치와 작동 모드 전환장치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및 작동 모드 전환방법
WO2007084078A1 (en) A keyboard for a mobile phone or othe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KR20090103185A (ko) 이동 키패드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US20070040812A1 (en) Internet phone integrated with touchpad functions
US20100052950A1 (en) Multi-input multi-directional device for computer or electronic device input (keyboard-type device)
KR101344463B1 (ko) 입력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KR20110009478A (ko) 터치패드모듈
KR101332708B1 (ko) 배면 터치 보조 입력 장치를 갖는 모바일 단말기 및 배면 터치 보조 입력 장치를 탑재한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US20110095988A1 (en) Integrated control mechanism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KR101725253B1 (ko) 마우스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110034137A (ko)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장치의 입력 제어 방법
KR101229357B1 (ko) 방향입력용 터치패드와 터치패널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JP3926590B2 (ja) 座標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CN105824556B (zh) 一种输入组件及移动终端
KR10103355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1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2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6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