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1825A -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and finishing materials using charcoal - Google Patents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and finishing materials using charco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71825A KR20080071825A KR1020070010184A KR20070010184A KR20080071825A KR 20080071825 A KR20080071825 A KR 20080071825A KR 1020070010184 A KR1020070010184 A KR 1020070010184A KR 20070010184 A KR20070010184 A KR 20070010184A KR 20080071825 A KR20080071825 A KR 2008007182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rcoal
- weight
- functional member
- panel
- finish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9000003610 charco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6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00077 insect repell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1120 plywoo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9408 floor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5556 hormon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29940088597 hormone Drug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11505 plast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08000008842 sick building syndrome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0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6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3570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287 bat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 wallpa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820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53 texti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55925 Dipt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57303 Hymenopt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17020 Ipomoea batata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678 Ipomoea batata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721662 Junipe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331 Pinus X rigitae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018646 Pinus brut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613 Pinus brut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31 Pulp (pap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597 Sick building syndrome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44000061456 Solanum tuberos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595 Solanum tuberos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7 air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80 ambient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467 autonomic pathwa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0411 cell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15 cell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5 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72 electromagnet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JEIPFZHSYJVQDO-UHFFFAOYSA-N iron(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 JEIPFZHSYJVQD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77 ja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8 kn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199 lung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40 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45 natur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22 pa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95 porrid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3504 respiratory system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070 rip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25 ste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44 surfac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11580 syndrom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10—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3/00—Elements other than metals
- B32B2313/04—Carb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nishing Wal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내장용 미장재인 벽지, 패널 또는 싱크대 외면에 접착하는 합성수지 필름에 숯을 주재료로 한 기능성부재를 도포시킨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서, 숯 분말 75∼85중량%와 전분 15∼25중량%로 이루어진 기본 혼합재와, 기본 혼합재 총중량대비 펄프 파우더 5∼10중량%, 방충 및 발향 목분 5∼10 중량%에서 1종 내지 2종으로 혼합되는 부가 혼합재와 기본 혼합재 총중량대비 황토 10∼20중량%, 소금5∼15중량%에서 1종 내지 2종으로 혼합되는 선택 혼합재로 기능성부재를 조성하여 부직포(12), 벽지(14), 합성수지 필름(15)중 어느 하나로 된 마감부재 일면에 숯을 주재료로 한 기능성부재(11)를 도포하고, 상기 기능성부재(11) 상부에 마감부재를 적층시켜 시트형 마감재(10a)를 형성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실내의 공기를 정화는 동시에 바닥재, 목재 미장 패널, 싱크대 등에서 발생되는 환경호르몬에 의한 새집증후군을 방지하고, 숯을 이용한 원적외선 사우나 및 삼림욕효과를 가지므로 혈액순환촉진과 신진대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피로회복 및 스트레스를 해소시켜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숯을 이용한 건축내장용 마감재 및 마감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ish material coated with a functional material composed of charcoal as a main material on a synthetic resin film adhered to the exterior of a wallpaper, a panel or a sink, which is a plaster for building interior, comprising 75 to 85% by weight of charcoal powder and 15 to 25% by weight of starch. Basic mixture consisting of 5-10% by weight of pulp powder, 5-10% by weight of insect repellent and fragrance wood powder, and 1-10 kinds of additional mixtures and yellow soil 10-20% by weight of basic mixture, salt The functional member is made of a selective mixture mixed from 5 to 15% by weight in one or two kinds, and charcoal is used as the main material on one surface of the finishing member made of any one of the nonwoven fabric 12, the wallpaper 14, and the synthetic film 15. By applying the functional member 11 and stacking the finishing member on top of the functional member 11 to form a sheet-like finish (10a), the present invention purifies the indoor air at the same time flooring, wood plastering panel It prevents sick house syndrome caused by environmental hormones generated from sinks and sinks, and has a far-infrared sauna and forest bath effect using charcoal to promote blood circulation and metabolism so that fatigue can be recovered and stress can be maintained. It relates to a interior finishing material and finish composition using a charcoal.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내장용 마감재로서 숯층 양면에 부직포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non-woven fabric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harcoal layer as a finishing material for building interi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건축 내장용 마감재로서 부직포 양면에 숯층이 형 성 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harcoal layer formed on both sides of the nonwoven fabric as a finishing material for building interi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건축 내장용 마감재로서 숯층 일면에 부직포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provided with a non-woven fabric on one side of the charcoal layer as a building interior finish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건축 내장용 마감재로서 숯층 일면에 부직포를 구비하고 다른 일면에는 패널이 접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non-woven fabric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harcoal layer as a finishing material for building interio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anel is bonded to the other side.
도 5는 본 발명의 건축 내장용 마감재로서 패널 일면에 다수의 숯 층이 형성된 상태의 확대 단면도.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layers of charcoal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panel as a finishing material for building interi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건축 내장용 마감재로서 숯층 양면에 합성수지 필름이 전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ynthetic film is electrodeposited on both sides of the charcoal layer as a building interior finish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건축 내장용 마감재로서, 숯층 일면에 합성수지 필름이 접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ynthetic resin film is bonded to one surface of the charcoal layer as a building interior finish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건축 내장용 마감재로서 패널 일측에 황토층이 접착되고 다른 일면에는 숯층이 접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cher layer is bonded to one side of the panel as the interior finish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harcoal layer is bonded to the other side.
도 9는 본 발명의 건축 내장용 마감재로서 숯층 일면에 벽지가 접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llpaper is bonded to one surface of the charcoal layer as a building interior finish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Signs of Major Parts of Drawings>
10:마감재 10a:시트형 마감재10: Finishing
10b:패널형 마감재 11:기능성부재10b: Panel finish 11: Functional member
12:부직포 13:패널12: Nonwoven fabric 13: Panel
14:벽지 15:합성수지 필름14: Wallpaper 15: synthetic resin film
16:코팅층 17:점착제층16: coating layer 17: adhesive layer
18:이형지 19:황토18: Release paper 19: Ocher
본 발명은 건축 내장용 미장재인 벽지, 패널 또는 싱크대 외면에 접착하는 합성수지 필름에 숯을 주재료로 한 기능성부재를 도포시킨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 내장재로 사용되는 미장패널, 벽지, 합성수지 필름 등의 마감재 일면 또는 양면에 분말로 이루어진 숯을 도포한 시트형 마감재 또는 패널형 마감재 내부를 형성하여 방의 벽지 및 미장패널로 사용함으로써, 실내의 공기를 정화는 동시에 바닥재, 목재 미장 패널, 싱크대 등에서 발생되는 환경호르몬에 의한 새집증후군을 방지하고, 숯을 이용한 원적외선 사우나 및 삼림욕효과를 가지므로 혈액순환촉진과 신진대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피로회복 및 스트레스를 해소시켜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숯을 이용한 건축내장용 마감재 및 마감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ishing material coated with a functional member made of charcoal as a main material on a synthetic resin film bonded to a wallpaper, a panel or a sink outside surface of a building interior, and more specifically, a plastering panel, a wallpaper and a synthetic resin used as a building interior material. By forming the inside of sheet-like finish or panel finish coated with powdered charcoal on one or both sides of film, etc., and using it as wallpaper and plastering panel in the room, the indoor air is purified and generated from flooring, wood plastering panel and sink. Prevents sick house syndrome caused by environmental hormones, and has a far-infrared sauna and forest bath effect using charcoal to promote blood circulation and metabolism smoothly, relieving fatigue and stress, using charcoal to maintain health Of building finishing materials and finishing materials composition The.
종래에도 숯을 이용한 건축 내장용 마감재가 있었으나, 실제 숯의 효과를 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there was a finishing material for building interior using charcoal, but there was a problem in not seeing the effect of the actual charcoal.
즉, 종래의 숯을 이용한 벽지는 제조시 펄프에 소량의 숯을 혼합하여 숯 벽지를 형성하였으나, 소량의 숯은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정도로 복사열과 원적외선이 방사되지 못하여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없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소량의 숯을 혼합한 후 숯이 가지고 있는 효과를 홍보하는 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에 불과하였다.In other words, the wallpaper using the conventional charcoal was formed by mixing a small amount of charcoal in the pulp at the time of manufacture, but a small amount of charcoal can help health by not radiating heat and far infrared rays to the extent that it can help health Although it was not present, it was only used as a means of promoting the effect of charcoal after mixing a small amount of charcoal.
다시 말해서 숯의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다량의 숯이 있어야 하는데 종이 벽지를 제조시 펄프함량보다 숯의 양을 많이 혼합하게 되면 벽지의 인장력이 떨러져 벽지로서의 기능을 갖지 못하게 됨으로써 어쩔 수 없이 펄프에 숯의 혼합 양을 극히 소량으로 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렇게 소량의 숯이 혼합된 벽지는 숯의 효과를 발생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In other words, in order to generate the effect of charcoal, a large amount of charcoal is required, but if the amount of charcoal is mixed more than the amount of pulp when paper paper is manufactured, the tensile force of the wallpaper drops, which makes the charcoal in the pulp unavoidable. There is a problem that can only be made in a very small amount of the mixed amount, so that a small amount of coal mixed wallpaper has a problem that does not cause the effect of the charcoal.
또한, 종래에도 숯을 이용한 건축 내장재 및 마감재는 벽지뿐만 아니라 패널, 시트 등에도 모두 동일한 이유에 의하여 소량으로밖에 숯을 혼합하지 못하며, 특히 많은 양의 숯을 사용할 경우 숯에서 묻어나는 숯 물을 방지하는 기술이 없어 기능성부재를 숯으로만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past, building interior materials and finishing materials using charcoal can not only mix charcoal in a small amount for the same reason not only for wallpaper but also for panels and sheets, and especially when a large amount of charcoal is used, it prevents charcoal water from the charcoal.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use only the functional member as a charcoal technology.
통상적으로 알려진 숯의 효능을 살펴보면,Looking at the efficacy of commonly known charcoal,
가전제품 근처에 숯을 용기에 담아 놓아두면 전자파를 차폐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숯을 침실에 보관하면 몸과 머리의 전자장을 조절하여 혈류를 원활하게 해주는 작용이 있으며, 숯은 탄소 덩어리이므로 탄소가 발생하는 음이온이 무한정 발생되며 음이온은 숲속의 공기처럼 상쾌하고 신선하여 자연히 몸에 안락감을 가지며, 혈액정화, 정신안정, 자율신경조절, 면역강화, 폐기능강화, 세포활성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실내의 오염된 공기가 놀랄 만큼 정화시키는 작용을 하며, Placing charcoal in a container near home appliances is said to have the effect of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s. Storing charcoal in the bedroom helps to regulate the body and head's electromagnetic fields to smooth blood flow. Negative ions that generate carbon are generated indefinitely.Negative ions are refreshing and fresh like the air in the forest, and naturally have comfort in the body, and have the effects of blood purification, mental stability, autonomic nerve regulation, immune strengthening, lung function enhancement, and cell activation. It is known. In addition, the polluted air in the room acts as a surprising purification,
또한 숯은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인체 깊숙이 흡수되어 신체를 따뜻하고 편안하게 해 줌으로 혈액순환촉진, 신진대사촉진, 세포기능 활성화, 숙성효과가 있으며, 특히, 베개에 숯을 넣어 두면 원적외선과 음이온 효과, 숯의 온열효과로 인하여 숙면을 취할 수 있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Charcoal also emits far-infrared rays, absorbed deep into the human body, making the body warm and comfortable, promoting blood circulation, promoting metabolism, activating cellular functions, and ripening effects. Due to the warming effect of the is known to be able to take a good night's sleep.
따라서 상기와 같은 숯의 효능을 갖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숯이 있어야 숯이 가지고 있는 효능을 얻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건축내장재, 미장패널, 바닥재, 벽지, 직물지 등에는 극히 소량만 혼합됨으로 숯의 효과를 발생시킬 수 없으며, 특히 많은 양의 숯을 적용하여 건축용 미장재, 바닥재 등의 마감재를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이 전무하여 사람의 건강에 좋은 숯의 효능을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in order to have the efficacy of the charcoal as described above, although a large amount of charcoal is required to obtain the efficacy of the charcoal, the effect of the charcoal is mixed with only a very small amount of existing interior materials, plaster panels, flooring, wallpaper, textile paper, etc. There is no problem in that it can not produce a special amount of charcoal, such as building plastering, flooring materials by applying a large amount of charcoal in particular does not utilize the efficacy of charcoal good for human health.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축 내장재로 사용되는 미장패널, 벽지, 합성수지 필름 등의 마감재 일면 또는 양면에 분말로 이루어 진 숯을 1∼5㎜로 도포시킨 시트형 마감재 또는 패널형 마감재를 형성하여 실내의 벽지 및 미장패널로 사용함으로써, 실내의 공기를 정화는 동시에 바닥재, 목재 미장 패널, 싱크대 등에서 발생되는 환경호르몬에 의한 새집 증후군을 방지하는 목적과, 숯을 이용한 원적외선 사우나 및 삼림욕효과를 가지므로 혈액순환촉진과 신진대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피로회복 및 스트레스를 해소시켜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a sheet-like finish or panel-like finishing material coated with a charcoal made of powder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finishing material, such as plaster panels, wallpaper, synthetic film used as building interior materials in 1 to 5mm By using it as a wallpaper and plastering panel in the room, it purifies the indoor air and at the same time prevents sick house syndrome caused by environmental hormones generated from flooring, wood plastering panel and sink, and far infrared sauna and forest bath effect using charcoal. It aims to maintain the health by relieving fatigue and stress by smoothly promoting blood circulation and metabolism.
이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숯 분말 75∼85중량%와 전분 15∼25중량%로 이루어진 기본 혼합재로만 이루어진 기능성부재를 제조하거나 또는 기본 혼합재 총중량대비 펄프 파우더 5∼10중량%, 방충 및 발향 목분 5∼10 중량%에서 1종 내지 2종으로 혼합되는 부가 혼합재로 이루어진 기능성부재를 제조하며, 또는 기본 혼합재 총중량대비 황토 10∼20중량%, 소금5∼15중량%에서 1종 내지 2종으로 혼합되는 선택 혼합재로 기능성부재을 제조하며, 또는 상기 기본 혼합재와 부가 혼합제, 선택 혼합재를 혼합한 기능성부재를 제조하여 합판, MDF, 벽지, 부직포, 합성수지 필름 등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포시켜 윌빙 미장 마감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숯을 이용한 건축내장용 마감재 및 마감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n object manufactures a functional member consisting only of a basic mixture consisting of 75 to 85% by weight of charcoal powder and 15 to 25% by weight of starch, or 5 to 10% by weight of pulp powder, insect repellent and fragrance wood powder,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basic mixture. To prepare a functional member consisting of an additive mixture of 5 to 10% by weight in one or two species, or 10 to 20% by weight of yellow soil, 5 to 15% by weight of salt in one or two species to the total weight of the basic mixture A functional member is manufactured by using a selective mixing material, or a functional member is prepared by mixing the basic mixture with an additional mixture and a selective mixing material, and then applied to one or both surfaces of plywood, MDF, wallpaper, nonwoven fabric, and synthetic film to provide a Willing plaster finish. It relates to a building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and finishing materials using charcoal to make.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숯 분말 75∼85중량%와 전분 15∼25중량%로 이루어진 기본 혼합재와, 기본 혼합재 총중량대비 펄프 파우더 5∼10중량%, 방충 및 발향 목분 5∼10 중량%에서 1종 내지 2종으로 혼합되는 부가 혼합재와 기본 혼합재 총중량대비 황토 10∼20중량%, 소금5∼15중량%에서 1종 내지 2종으로 혼합되는 선택 혼합재로 기능성부재가 조성된다.It is mixed in one or two kinds from the basic mixture consisting of 75 to 85% by weight of charcoal powder and 15 to 25% by weight of starch, 5 to 10% by weight of pulp powder, 5 to 10% by weight of insect repellent and fragrant wood powder,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basic mixture. The functional member is composed of a selective mixture mixed with 10 to 20% by weight of ocher and 5 to 15% by weight of sal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additive mixture and the basic mixture.
상기와 같이 조성된 기본 혼합재로 이루어진 기능성부재(11)를 물과 혼합하여 패널, 부직포, 벽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양면 또는 일면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조성된 기본 혼합재와 부가혼합재 1종 또는 2종을 물과 함게 혼합하여 이루어진 기능성부재(11)를 패널(13), 부직포(12), 벽지(14), 합성수지필름(15)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양면 또는 일면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기본 혼합재에 부가혼합재 1종 또는 2종과 선택 혼합재 1종 또는 2종을 물과 함께 혼합하여 이루어진 기능성부재(11)를 패널(13), 부직포(12), 벽지(14), 합성수지 필름(15)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양면 또는 일면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숯을 주재료로 한 건축 내장용 마감재 조성물과 마감재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inishing material composition and finishing materials for building interiors based on the charcoal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먼저, 건축 내장용 마감재를 설명하기에 앞서 마감재(10)를 구성하는 기능성부재(11)를 살펴보기로 한다.First, the
기능성부재(11)는 기본 혼합재, 부가 혼합재, 선택 혼합재로 이루어지며,The
기본 혼합재는 숯과 전분으로 이루어지며, 혼합 비율은 숯 분말 75∼85중량% 와 전분 15∼25중량%로 혼합된다. 상기 숯 분말과 전분은 물과 함께 혼합하여 반죽하게 되는데 물의 혼합은 목재패널, 종이, 직물지, 부직포, 벽지, 합성수지 필름 등으로 된 마감부재의 종류에 따라서 차등화되는 것으로 어느 하나의 정해진 양으로 규정할 수 없다. The basic mixture is composed of charcoal and starch, and the mixing ratio is 75 to 85% by weight of charcoal powder and 15 to 25% by weight of starch. The charcoal powder and starch are mixed together with water and kneaded. The mixing of water i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kind of finishing member made of wood panel, paper, textile paper, nonwoven fabric, wallpaper, synthetic resin film, etc. Can't.
부가 혼합재의 비율은 기본 혼합재 총중량 대비 펄프 파우더 5∼10중량%, 방충 및 발향 목분 5∼10 중량%에서 1종 내지 2종을 혼합한 기능성부재(11)를 마감부재 일면 또는 양면에 도포할 수 있다. The ratio of the additive mixture is 5 to 10% by weight of the pulp powder, 5 to 10% by weight of the insect repellent and fragrance wood powder, the
상기 부가 혼합재는 기본 혼합재인 숯 분말 75∼85중량%와 전분 15∼25중량%를 혼합하여 100중량%로 하고, 이에 펄프 파우더 5∼10중량%를 혼합하여 기능성부재를 형성한 후 마감부재인 패널 또는 벽지, 합성수지 필름 일면 또는 양면에 도포할 수 있다.The additive mixture is 100 to 100% by mixing 75 to 85% by weight of the charcoal powder and 15 to 25% by weight of the starch mixture, and 5 to 10% by weight of the pulp powder to form a functional member after finishing the member It can be applied to one or both sides of a panel or wallpaper, a synthetic film.
또한, 부가 혼합재는 기본 혼합재인 숯 분말 75∼85중량%와 전분 15∼25중량%를 혼합하여 100중량%로 하고 이에 펄프 파우더 5∼10중량%와 방충 및 발향 목분 5∼10 중량%을 혼합한 기능성부재를 마감부재인 패널 또는 벽지, 합성수지 필름 일면 또는 양면에 도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ditive mixture is 100% by weight of 75 to 85% by weight of the charcoal powder and 15 to 25% by weight of the starch mixture, and 5 to 10% by weight of pulp powder and 5 to 10% by weight of insect repellent and fragrance wood powder One functional member may be applied to one or both surfaces of a panel or wallpaper, a synthetic resin film as a finishing member.
선택 혼합재는 기본 혼합재인 숯 분말 75∼85중량%와 전분 15∼25중량%를 혼합하여 100중량%로 하고, 이의 기본 혼합재 총중량대비 황토 10∼20중량%, 소금 5∼15중량%에서 1종 내지 2종으로 혼합되는 선택 혼합재로 기능성부재를 형성하여 마감부재인 패널 또는 벽지, 합성수지 필름 일면 또는 양면에 도포할 수 있다.The optional mixture is 100% by weight of 75 to 85% by weight of the charcoal powder and 15 to 25% by weight of the starch mixture, 10 to 20% by weight of yellow soil and 5 to 15% by weight of sal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base material. The functional member may be formed of a selective mixture mixed in two kinds or two, and may be applied to one or both surfaces of a panel or wallpaper, a synthetic resin film as a finishing member.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as follows.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내장용 마감재로서 숯층 양면에 부직포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부직포(12) 상면에 숯 분말 75∼85중량%와 전분 15∼25중량%를 혼합한 기본 혼합재 총중량에 펄프 파우더 5∼10중량%와 방충 및 발향 목분 5∼10 중량%로 이루어진 부가혼합재 1종 또는 2종을 혼합한 후 적당량의 물을 혼합하여 조청과 같은 상태로 반죽하여 기능성부재(11)를 형성한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non-woven fabric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harcoal layer as a building interior finish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otal weight of the basic mixture material 75 to 85% by weight of the charcoal powder and 15 to 25% by weight of starch mix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12) After mixing one or two of the additive mixture consisting of 5 to 10% by weight of pulp powder and 5 to 10% by weight of insect repellent and fragrant wood powder, a suitable amount of water is mixed and kneaded in the same state as the texture to form the
상기 물의 함량을 적당량이라 한 것은 숯의 상태 또는 펄프파우더의 수분함량에 따라서 물의 혼합이 달라질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에서는 물을 일정한 양을 정확하게 계량해서 혼합하는 것은 아니므로 적당량의 물을 조금씩 부으면서 반죽하여 붓칠 또는 롤러를 사용하기 적합한 정도이면 족하므로 적당 양이라 표현한 것이다.The appropriate amount of water may vary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charcoal or the moisture content of the pulp powder,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mount of water is not accurately measured and mixed, it is kneaded while pouring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little by little. If it is enough to use a brush or roller, it is expressed as an appropriate amount.
상기와 같이 기본 혼합재와 부가 혼합재가 물과 혼합하여 조청과 같은 점도를 갖는 기능성부재(11)가 형성되면 붓 또는 롤러를 이용하여 부직포(12) 일면에 수회 반복하여 도포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basic member and the additive mixture are mixed with water to form the
이때 마감부재인 부직포(12)에 균일하게 기능성부재(11)를 도포하기 위해서는 붓 또는 롤러로 균일하게 도포한 후 열 건조실 또는 프레스 열판 등으로 건조시킨 후 다시 기능성부재(11)를 덧칠한 후 그 상면에 다른 부직포(12)를 적층시켜 건조하면 숯 내장 패널로 이루어진 시트형 마감재(10a)가 완성된다.In this case, to uniformly apply the
상기 부직포(12) 사이에 적층되는 숯의 도포 두께는 1∼5㎜로 이루어지면 건물의 내벽에 부착시에는 통상의 타카 등으로 설치하게 된다. When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charcoal laminated between the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부재(11)에 혼합되는 목재펄프는 종이와 목분을 지칭하는 것이며 혼합시 숯과의 점성을 높이고 열을 축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wood pulp mixed in the
방충목 및 발향목 분말을 혼 합하는 것은 자체가 목분이기 때문에 보열효과를 갖는 동시 향을 발생시 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Mixing the insect repellent and fragrant wood powders is a wood powder that allows the simultaneous fragrance with a thermal effect.
방충목분은 여름철이 모기와 바퀴벌래가 싫어하는 목분을 선택하여 혼합할 수 있으며, 발향목분은 향나무, 소나무 등 나무 특유의 향이 발생되는 재료를 사용한다. Insect screen powder can be mixed with wood powder that mosquitoes and wheel worms do not like during the summer season, and the fragrance wood powder uses materials that generate the unique scent of wood such as juniper and pine.
또한, 황토는 숯과 혼합하는 것이 아니라 기능성부재가 도포된 반대 면에 도포시켜 숯과 함께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동시에 화재시 방염되도록 하여 화염이 번지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ocher is not mixed with charcoal, but applied to the opposite side to which the functional member is applied to radiate far infrared rays together with charcoal to prevent flame spreading by fire.
숯분말 역시 화재시 불은 붙을 수 있으나 나무와 종이처럼 확산하는 성질은 없다.Charcoal powder can also catch fire in case of fire, but it does not spread like wood and paper.
또한, 소금은 숯과 함께 혼합하여 소금 찜질효과를 갖는 동시에 숯으로 이루어진 기능성부재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방충, 방청 및 곰팡이가 발생하는 것을 반지하며, 특히 개미가 침입하는 것을 막아준다. In addition, the salt is mixed with the charcoal to have a salt poultice effect and at the same time to prevent cracks in the functional member made of charcoal,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insect repellent, rust preventive and mold, in particular to prevent ants invading.
본 발명에서 기능성부재(11)라 함은 숯, 목분, 펄프파우더가 1종 또는 1종이사 혼합되어 패널 또는 부직포, 벽지, 합성수지 필름 일면 또는 양면에 도포되는 것을 말하며, 마감부재는 기능성부재가 도포되기 전인 부직포(12), 패널(13), 벽지(14), 합성수지 필름(15)의 객체를 말하는 것이며, 마감재(10)는 마감부재 일면 또는 양면에 기능성부재가 도포된 상태를 말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2는 본 발명의 건축 내장용 마감재로서 부직포 양면에 숯층이 형 성 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2는 부직포 일면에 숯으로 이루어진 기능성부재(11)를 1∼2㎜로 도포한 후 열 건조기 또는 열 프레스로 가압하여 건조한 후 부직포(12) 다른 면에 다시 숯으로 이루어진 기능성부재(11)를 1∼2㎜로 도포하여 건조시키면 부직포(12) 양면에 숯으로 이루어진 기능성부재(11)층을 형성하게 된다.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harcoal layer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nonwoven fabric as a finishing material for building interi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thermal dryer after applying the
상기와 같이 부직포(12) 양면에 숯으로 이루어진 기능성부재(11) 층을 형성할 경우에는 숯이 묻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능성부재(11) 표면에 천연 전분 또는 다공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를 얇게 도포하여 코팅층(16)을 형성하여 시트형 마감재(10a)를 형성한다. When forming the
도 3은 본 발명의 건축 내장용 마감재로서 숯층 일면에 부직포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부직포(12) 일면에 숯으로 이루어진 기능성부재(11)를 1∼2㎜로 도포한 후 열건조 시킨 다음 기능성부재(11) 표면층에 공기가 투과되도록 다공으로 이루어진 투명수지를 코팅하여 코팅층(16)을 형성한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non-woven fabric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harcoal layer as a building interior finish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n heat-dried after applying the
도 4는 본 발명의 건축 내장용 마감재로서 숯층 일면에 부직포(12)를 구비하고 다른 일면에는 패널(13)이 접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건축내장재로 사용되는 합판 또는 MDF로 이루어진 패널(13) 일면에 숯으로 이루어진 기능성부재(11)를 1∼5㎜의 두께로 도포한 후 그 상면에 부직포(12)를 적층시킨 다음 열 프레스로 가압하여 건조하면 기능성부재(11) 상면에 부직포(12)가 부착된 상태의 패널형 마감재(10b)를 제공할 수 있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도 5는 본 발명의 건축 내장용 마감재로서 패널 일면에 다수의 숯 층이 형성 된 상태의 확대 단면도로서, 마감부재인 합판 또는 MDF 일면에 밀가루와 같이 고운분말로 이루어진 숯에 물을 혼합하여 죽과 같이 반죽한 다음 붓 또는 롤러로 1∼2㎜의 두께로 도포한 후 건조시킨 다음 그 상면에 상기 기능성부재(11)를 1∼2㎜로 도포하여 숯층을 갖는 패널형 마감재(10b)를 형성한다.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charcoal layers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panel as a building interior finish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porridge by mixing water with charcoal made of fine powder such as flour on one side of the plywood or MDF as a finishing member. After kneading together, it is applied with a brush or roller to a thickness of 1 to 2 mm and dried, and then the
상기와 같이 패널형 마감재(10b)인 합판 또는 MDF 일면에 고운 숯가루로 반죽을 1차 도포하는 것은 숯의 기능성 효율을 높이고 동시에 외면에 도포되는 기능성부재의 접착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ating of the dough with fine charcoal on one surface of the panel-
상기 패널형 마감재(10b)는 다수의 방 중 하나의 방을 선택하여 사면 또는 하면에서 상부로 벽지의 띠를 형성하는 높이(바닥으로부터 1.2m)까지 패널형 마감재(10b)를 설치하여 방을 기능성 방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panel finish (10b) is a functional room by installing a panel-like finish (10b) up to a height (1.2m from the bottom) to form a band of wallpaper from the slope or the lower surface to select one of a plurality of rooms to the top It can be formed into a room.
즉, 숯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적외선이 다량으로 방출되어 신진대사를 원활히 할 뿐만 아니라 숲속에 있는 것과 같이 음이온이 발생되어 삼림욕을 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charcoal may emit a large amount of far-infrared rays, thereby facilitating metabolism as well as negative ions generated in the forest, thereby having a forest bathing effect.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부재(11)를 갖는 패널형 마감재(10b)는 거실, 방, 서재 등에 벽체의 내장재로 설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anel-like finishing material (10b) having a
도 6은 본 발명의 건축 내장용 마감재로서 숯층 양면에 합성수지 필름이 접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싱크대, 목재 패널, 가구 등의 외면에 접착시킬 수 있도록 된 합성수지 필름(15) 일면에 숯으로 이루어진 기능성부재(11)를 1∼2㎜로 도포하고 기능성부재(11) 상면에 합성수지 필름(15)을 적층시켜 시트형 마감재(10a)를 형성하고 합성 수지 필름(15)에 무늬가 형성된 반대측에 점착제층(17)을 형성하고 그 일면에 이형지(18)를 부착시킨다.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ynthetic resin film is bonded to both sides of the charcoal layer as a building interior finish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charcoal on one surface of the
상기와 같이 합성수지 필름(15)과 합성수지 필름(15) 사이에 숯으로 된 기능성부재(11)를 적층시켜 합성수지 시트형 마감재(10a)를 형성함으로서 싱크대, 가구, 내장패널에 부착시켜 여러 가지 무늬를 표출시키는 동시에 숯의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Charcoal
상기 합성수지 시트형 마감재(10a)를 피접착물에 접착시에는 일면에 형성된 이형지(18)를 벗겨낸 다음 점착제층(17)이 피접착물에 접착되도록 한다. When the synthetic resin sheet-
도 7은 본 발명의 건축 내장용 마감재로서, 숯층 일면에 합성수지 필름이 접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합성수지 필름 일면에 숯으로 이루어진 기능성부재를 1∼2㎜로 도포하여 건조시키고 합성수지 필름(15) 다른 면에는 점착제층(17)을 형성하여 이형지(18)를 대응시켜 시트형 마감재(10a)를 형성한 것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ynthetic resin film is bonded to one surface of the charcoal layer as a building interior finish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ated with a functional member made of charcoal on one surface of the synthetic resin film at 1 to 2 mm to dry the synthetic resin film (15). On the other side, the pressure-
상기 도7과 같은 시트형 마감재(10a) 역시 싱크대, 가구, 목재패널 등에 접착시켜 숯에 의하여 집안의 공기정화와 새집증후군 제거 및 삼림욕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e sheet-like finishing material (10a) as shown in Figure 7 is also bonded to the sink, furniture, wood panels, such as to have an effect such as air purification and birdhouse syndrome removal and forest bath in the house by the charcoal.
도 8은 본 발명의 건축 내장용 마감재로서 패널 일측에 황토층이 접착되고 다른 일면에는 숯층이 접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패널(13) 일면에 황토층(19)을 형성하고 다른 일면에는 기능성부재(11)층을 형성하여 패널형 마감재(10)가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패널형 마감재(10b)는 실내의 내장패널로 사용시 선택적으로 숯으로 된 기능성부재(11)가 외면으로 표출될 수 있도록 설치하거나 또는 황토층(19)이 외면으로 표출될 수 있도록 설치할 수 있다.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cher layer is adhered to one side of the panel and a charcoal layer is adhered to the other side of the panel as the interior finish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
도 9는 본 발명의 건축 내장용 마감재로서 숯층 일면에 벽지가 접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통상의 직물 또는 종이 벽지(14) 일면에 숯으로 된 기능성부재(11)를 1∼2㎜로 도포한 후 열 프레스 등으로 건조시켜 벽지 마감재(10)를 형성한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llpaper is adhered to one side of the charcoal layer as a building interior finish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a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기능성부재(11)는 상기에서 설명하였듯이 숯 분말 75∼85중량%와 전분 15∼25중량%로 이루어진 기본 혼합재와, 기본 혼합재 총중량대비 펄프 파우더 5∼10중량%, 방충 및 발향 목분 5∼10 중량%에서 1종 내지 2종으로 혼합되는 부가 혼합재를 혼합하거나 또는 기본 혼합재 총중량대비 황토 10∼20중량%, 소금5∼15중량%에서 1종 내지 2종으로 혼합되는 선택 혼합재로 이루어진 기능성부재(11)를 말하는 것이다.The
즉, 기능성부재(11)는 기본 혼합재 단독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또는 기본 혼합재와 부가 혼합재를 혼합할 수 있으며, 기본 혼합재, 부가 혼합재, 선택 혼합재를 혼합하여 기능성부재(11)를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기본 혼합재와 선택혼합재를 혼합하여 기능성부재(11)를 형성할 수 있다. That is, the
또한, 본 발명의 시트형 마감재(10a) 또는 패널형 마감재(10b)에 있어서 숯으로 된 기능성부재(11)가 외면에 위치할 경우에는 기능성부재 표면에 다수의 기공을 갖는 합성수지 코팅하거나 또는 감자, 고구마로 된 천연전분을 얇게 코팅하여 숯이 묻어나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In addition, in the sheet-like finish (10a) or panel-like finish (10b)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상기 기능성부재(11) 표면에 코팅되는 합성수지는 통상의 수지가 아니라 도 포하였을 경우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어 숨을 쉴 수 있도록 된 수지(시중에 유통되는 수지코팅제를 사용함)코팅제를 사용하여 숯의 기능과 효능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전분은 천연소재의 전분을 사용하기 때문에 도포시 숯 표면에 스며들면서 극히 얇은 막층을 형성함으로 숯이 숨쉬는 데에는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는다. Synthetic resin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시트형 마감재와 패널형 마감재는 기능성부재가 도포되는 두께가 서로 상이하게 이루어진다. 즉, 시트형 마감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포되는 기능성부재의 도포두께는 1∼2㎜로하고 패널형 마감재는 1∼5㎜ 범위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heet-like finish and panel-like finish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different thickness to which the functional member is applied.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application thickness of the functional member appli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sheet-like finish is 1 to 2 mm, and the panel finish is applied in the range of 1 to 5 mm.
숯은 적층두께가 1㎜이상이면 주변에서 발생하는 열을 복사시키는 작용을 함으로서 가열판 위에 숯 패널을 올려 놓고 가열하면 숯 패널이 뜨거워지더라도 사람이 자유롭게 접촉할 수 있는 반면, 주변의 공기온도는 상승되어 사우나와 같은 효과를 갖도록 복사열이 발생된다.Charcoal acts to radiate heat generated from the surroundings when the thickness is over 1mm, so that if the charcoal panel gets hot when heated and placed on the heating plate, the ambient air temperature rises. Thus, radiant heat is generated to have a sauna-like effect.
본 발명의 시트형 마감재(10a)는 1㎜이상의 숯층을 가지므로 얇게 형성되며, 패널형 마감재(10b)는 시트형 마감재(10a) 보다 더 두껍게 형성된다.Sheet-like finish (10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harcoal layer of 1mm or more is formed thin, the panel-like finish (10b) is formed thicker than the sheet-like finish (10a).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마감재인 시트형 마감재와 패널형 마감재는 사용처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사용될 있는 것으로 시트형 마감재(10a)의 실시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Sheet-like finishes and panel-like finish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that will be used selectively depending on the use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sheet-like finish (10a).
부직포, 또는 벽지의 일면에 기능성부재(11)가 형성된 시트형 마감재(10a) 중 벽지 일측에 숯으로된 기능성부재를 1∼2㎜로 도포 시킨 시트형 마감재(10a)는 50㎝, 80㎝, 100㎝, 120㎝.150㎝, 180㎝ 등의 규격으로 제작하여 포장할 수 있으며, 또한 10㎝ 이상의 직경을 갖는 롤에 권취시켜 시중에 유통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발명의 기능성부재(11)가 도포된 벽지는 가위, 칼 등으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Among sheet-
또한, 시트형 마감재(10a) 일면에 도포된 기능성부재(11)의 표면에는 전분 또는 공기가 투과되는 합성수지 코팅하여 숯이 묻어나는 것으로 방지토록 하였다.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이렇게 된 본 발명의 시트형 마감재(10a)를 방에 설치시 통상의 벽와 같은 방법으로 설치하되 다수의 방중 하나를 선택하여 천장과 벽 모두 시트형 마감재(10a) 를 부착하거나, 또는 사방 벽 전체를 시트형 마감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는 방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120㎝는 기능성부재(11)가 도포된 시트형 마감재(10a)를 부착하고 상부에는 기존의 벽지를 부착하여 방을 꾸밀 수 있다. When the sheet-like finish (10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room in the same manner as the normal wall, but by selecting one of a number of rooms to attach the sheet-like finish (10a) to both the ceiling and the wall, or the entire wall-like sheet-like finish In another method, 120 cm from the bottom of the room to the top can be attached to the sheet-like finish (10a) coated with the
이와 같이 숯을 주재료로한 기능성부재가 도포된 시트형 마감재(10a)를 벽지로 하여 방에 부착한 경우 난방을 하면 방바닥의 열기가 벽에 설치된 벽지의 기능성부재에 의해 복사열이 발생하면서 방안의 공기가 통상의 난방때 보다 더 방안의 공기를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이의 공기는 숯에서 발생되는 공기로 삼림욕을 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다량의 원적외선이 방사되어 찜질방 효과를 갖게 됨으로써 피부의 모세공을 확장시켜 체내의 노폐물을 땀으로 배출시킬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 방사에 의한 세포를 활성화시켜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여 건강을 유지하고, 피로와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장점이 있다.Thus, when the sheet-like finishing material (10a) coated with a functional material made of charcoal as a wallpaper is attached to the room, when heated, the heat of the room is radiated by the functional member of the wallpaper installed on the wall, and the air in the room It has the effect of raising the air in the room more than normal heating, its air not only has the effect of bathing with the air generated from the charcoal, but also a large amount of far-infrared rays are radiated to have a jjimjilbang effect, thereby expanding the capillary pores of the skin. By releasing the wastes in the body by sweat as well as activating the cells by far-infrared radiation, it promotes blood circulation, smoothes metabolism, maintains health, and relieves fatigue and stress.
또한 본 발명에서 방의 벽에 숯을 주재료로 한 기능성부재(11)가 도포된 벽 지를 시공하고 바닥을 숯 바닥으로 형성하면 더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struction of the wall paper coated with the
따라서, 발명은 다수의 방중 하나의 방을 선택하여 숯 벽지로 도배하여 찜질방과 같은 기능성 방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패널형 마감재(10b) 역시 일측 또는 양면에 기능성부재(11)를 1∼5㎜로 도포하여 건물 내장 패널로 사용할 수 있다. 건물 내장패널은 통상의 미장용 내장 패널로 사용되는 것을 본 발명의 내장패널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with a functional room such as a jjimjilbang by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rooms and painting with a charcoal wallpaper. In addition, the panel-like finish (10b)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used as a building interior panel by applying the
본 발명의 패널형 마감재(10b)의 사용처를 살펴보면, 싱크대를 제작시 일면 또는 양면에 기능성부재(11)가 도포된 패널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아파트의 현관에서 거실까지 설치되는 내벽 미장패널, 거실 내벽 미장 패널, 서재의 미장패널 및 책꽂이, 다용도실 도어 등 미장 마감패널로 사용되는 것은 모두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Looking at the use of the panel-like finish (10b)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manufacturing the sink can be produced using a panel coated with the
또한, 기존의 싱크대 및 수납장, 붙박이장, 벽에 설치된 미장재 등에는 그 외면에, 본 발명의 합성수지 필름 일면 또는 양면에 기능성부재가 도포된 시트형 마감재(10a)의 일면에 형성된 이형지(18)를 벗겨 낸후 점착제층(17)을 이용하여 기존의 미장재 외면에 접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이와 같이된 본 발명은 숯으로 이루어진 기능성부재(11)가 도포된 마감재(10)를 사용함으로서 새로 입주하는 아파트의 경우 새집 증후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며, 기존의 아파트 가옥의 경우 공기를 정화시켜 집안의 분위기를 상쾌하게 조성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ble to solve the problem of the new house syndrome in the case of a newly occupied apartment by using the finishing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부재(11)가 도포된 시트형 마감재(10a), 패널형 마감 재(10b)는 주택뿐만 아니라 학교, 회사, 공공건물, 휴게소, 공공화장실 등 다양한 장소의 내장재로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heet-like finish (10a), the panel-like finish (10b) coated with the
본 발명에서 숯의 작용으로 원적외선이 방사되어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신진대사를 원활히 하는 효과와 숯이 삼림욕효과가 있는 내용으로 기재한 것은 별도의 실험과 데이터가 없더라도 일반적으로 널리 입증되고 있으며, 또한 숯, 황토, 옥 등의 소재를 이용한 윌빙 업이 실시되고 현실에서 원적외선 효과가 사람의 신체밀 피부에 이롭다는 것은 별도의 입증 없이 확인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ar infrared rays are radiated by the action of charcoal to promote blood circulation and smooth metabolism, and the description of charcoal having a forest bathing effect is generally widely demonstrated even without separate experiments and data, and also charcoal. Willing up using materials such as, ocher, jade, etc. is carried out, and the fact that the far-infrared effect is beneficial to human's body skin in reality will be confirmed without further proof.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부직포, 합성수지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숯을 주재료로한 기능성부재를 도포시켜 시트형 마감재를 형성하고, 또한 합판, MDF등의 패널 일면이나 양면에 숯을 주재료로 한 기능성부재를 도포시켜 패널형 마감재를 형성하여 실내의 벽지, 싱크대 제작 패널 및 패널 표면 미장시트, 실내 내장패널 등으로 사용함으로써, 첫째, 집안에서 숯을 이용한 사우나 찜질 효과를 가지며, 둘째, 새로 입주한 아파트에서 발생되는 환경호르몬에 의한 피해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셋째, 집안의 공기를 정화하고 습도를 조절하는 효과를 가지며, 넷째, 집안의 거주자가 자연스럽게 생활하면서 원적외선과 접촉함으로써 혈액순환 촉진과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여 건강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다섯째, 고층 아파트라 하더라도 화초가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동시에 숯에 의한 삼림욕하는 효과를 가지므로 호흡기 질환에 대한 질병을 예방하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forms a sheet-like finish by coating a functional member of the non-woven fabric, synthetic resin film on the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main material, and also on the one or both sides of the panel such as plywood, MDF, charcoal as the main material It is applied to form a panel-like finish and used as indoor wallpaper, sink panel and panel surface plastering sheet, interior interior panel, etc. First, it has a sauna steaming effect using charcoal in the house, and second, occurs in newly occupied apartment It is effective in preventing damage caused by environmental hormones. Third, it has the effect of purifying the air in the house and controlling the humidity. Fourth, it facilitates blood circulation and metabolism by contacting with far infrared rays while living in the house naturally. It is effective to maintain your health. Fifth, it is called a high-rise apartment. Fig.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disease for respiratory diseases because it has an effect of forest bathing by the charcoal at the same time to create an environment that can grow well.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10184A KR20080071825A (en) | 2007-01-31 | 2007-01-31 |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and finishing materials using charco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10184A KR20080071825A (en) | 2007-01-31 | 2007-01-31 |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and finishing materials using charco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71825A true KR20080071825A (en) | 2008-08-05 |
Family
ID=39882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10184A Ceased KR20080071825A (en) | 2007-01-31 | 2007-01-31 |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and finishing materials using charco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71825A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2670B1 (en) * | 2010-04-26 | 2010-09-16 | 주식회사 월자인 | Panel for interior or building using catalyst coated carbon having big ho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KR101054094B1 (en) * | 2008-12-18 | 2011-08-09 | 대한민국 | Manufacturing method of laminated functional charcoal board using lamination method |
KR200465880Y1 (en) * | 2012-09-28 | 2013-03-18 | 신용식 | Interior decoration finishing panel made using charcoal |
KR101614502B1 (en) * | 2015-10-12 | 2016-04-29 | 주식회사 대영디자인 | Hazardous materials of wood panels using a closed-shell oysters reduction methods and wood panel manufacturing method |
KR101979121B1 (en) * | 2017-11-30 | 2019-05-15 | 박용호 | Wood building materials to prevent mosquito acces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
-
2007
- 2007-01-31 KR KR1020070010184A patent/KR20080071825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54094B1 (en) * | 2008-12-18 | 2011-08-09 | 대한민국 | Manufacturing method of laminated functional charcoal board using lamination method |
KR100982670B1 (en) * | 2010-04-26 | 2010-09-16 | 주식회사 월자인 | Panel for interior or building using catalyst coated carbon having big ho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KR200465880Y1 (en) * | 2012-09-28 | 2013-03-18 | 신용식 | Interior decoration finishing panel made using charcoal |
KR101614502B1 (en) * | 2015-10-12 | 2016-04-29 | 주식회사 대영디자인 | Hazardous materials of wood panels using a closed-shell oysters reduction methods and wood panel manufacturing method |
KR101979121B1 (en) * | 2017-11-30 | 2019-05-15 | 박용호 | Wood building materials to prevent mosquito acces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281960A1 (en) | Indoor environment regulation system | |
KR20080028904A (en) | Floor, wall or ceiling panel | |
KR20080071825A (en) |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and finishing materials using charcoal | |
KR100755242B1 (en) | Prefabricated Ocher Tiles | |
KR101173290B1 (en) | A personal sauna with a laundry drying room | |
KR100725819B1 (en) | Far Infrared Radiation Cypress Warm Bed | |
KR200280502Y1 (en) | native rock mat | |
KR101043794B1 (en) | Functional ocher dust provided as ocher plate | |
KR100951322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floor, wall and ceiling surface of building without volatile organic compound using loess powder | |
KR101443127B1 (en) | Anti-bacterial perfume korean wall-paper | |
KR20090115985A (en) | Warm bed with cypress wood | |
JP2002321303A (en) | Deodorizing humidity conditioning sheet material | |
KR200418067Y1 (en) | Functional feeder | |
JP3085453U (en) | Carbon sheet panel | |
KR101061929B1 (en) | Earthen be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JP7403759B2 (en) | Interior material with anti-mosquito properti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0711731B1 (en) | Wallpap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KR101441517B1 (en) | Interior Material using Natural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200419826Y1 (en) | Functional breathable wallpaper | |
JP3183289U (en) | Furniture with composite functional paulownia wood | |
KR20140019133A (en) | A red clay panel | |
KR200405715Y1 (en) | Heating panel with anion emitting layer | |
KR200380254Y1 (en) | Functional sheet | |
JP3096907U (en) | Deodorant controlled humidity tatami mat | |
KR200351528Y1 (en) | Building for boar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807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12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