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70854A - 통합된 상호맞물림화를 갖춘 모니터 - Google Patents

통합된 상호맞물림화를 갖춘 모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0854A
KR20080070854A KR1020087013792A KR20087013792A KR20080070854A KR 20080070854 A KR20080070854 A KR 20080070854A KR 1020087013792 A KR1020087013792 A KR 1020087013792A KR 20087013792 A KR20087013792 A KR 20087013792A KR 20080070854 A KR20080070854 A KR 20080070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module
autostereoscopic
display
intermesh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3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니 립톤
조쉬 그리어
Original Assignee
리얼 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얼 디 filed Critical 리얼 디
Publication of KR20080070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0854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27Calibra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56Mixing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61Encoding,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different image signa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0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lenticular lenses, e.g. arrangements of cylindrical len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7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slanted parallax op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39Format conversion, e.g. of frame-rate or siz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67Synchronising or controlling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82Image signal generators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corresponding to three or more geometrical viewpoints, e.g. multi-view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86Image signal generato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24Colour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49Multi-view displays for displaying three or more geometrical viewpoints without viewer tr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자동입체영상 시스템이 제공된다. 자동입체영상 시스템은 비디오 콘텐츠를 비디오 소스 포맷으로 제공하는 비디오 소스와, 비디오 소스에 결합되고 비디오 소스 포맷의 비디오 콘텐츠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모니터 시스템을 포함한다. 모니터 시스템은 비디오 소스 포맷의 비디오 콘텐츠를 수신하고 비디오 소스 포맷의 비디오 콘텐츠를 자동입체 영상내로 상호맞물림화하도록 구성된 상호맞물림화 모듈, 상호맞물림화 모듈에 결합되고 상호맞물림화 모듈로부터 자동입체 영상을 수신하여 렌더링된 자동입체 영상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비디오 렌더링 모듈, 비디오 렌더링 모듈에 결합되고 렌더링된 자동입체 영상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및 디스플레이와 병치상태로 유지되는 렌티큘라 스크린을 포함한다. 온도 보정이 본 시스템내에서 이용될 수 있다.
Figure P1020087013792
자동입체, 영상, 비디오, 콘텐츠, 모니터, 상호맞물림화, 디스플레이, 병치, 렌티큘라, 스크린, 온도 보정, 팽창, 픽셀.

Description

통합된 상호맞물림화를 갖춘 모니터{MONITOR WITH INTEGRAL INTERDIGITATION}
본 출원은 "통합된 상호맞물림화를 갖춘 모니터"라는 명칭으로 2005년 11월 14일에 출원된 발명자 레니 립톤과 조쉬 그리어의 미국 가특허출원 제60/736,617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자동입체영상 모니터 기술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임의의 콘텐츠 전송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 인프라구조에 투명한 자동입체영상 모니터를 제조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파노라마그램 자동입체영상 모니터는 평면 또는 통상적인 디스플레이에 제공되는 것과 사실상 다른 정보를 요구한다. 통상적인 디스플레이는 단일 투시 화면을 제공한다. 관측자가 디스플레이를 바라보는 경우, 양쪽 안구들은 모두 스크린 평면에 대해 원근순응되고 스크린 평면에 수렴된다. 파노라마그램 유형의 자동입체영상 디스플레이를 바라보는 경우, 안구들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거리에 원근순응될 수 있는 동안, 안구들은 디스플레이의 시차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거리에서 수렴하여, 그 결과가 자동입체 영상으로서 인지된다. 선택 장치로서 굴절성 광학기구 또는 래스터 배리어를 사용하는 일반 기술이 Takanori Okoshi 의 "삼차원 영상화 기 술" 문헌(Academic Press of New York 출간, 1976년)에서 완전히 설명되고 있다.
상술한 선택 장치들에 따라 사용되는 영상 맵을 생성하기 위하여, 거의 백년된 파노라마그램 기술은 분할되거나 상호맞물림화되는 다중 투시 화면들을 포함한다. 선택 장치는 일반적으로 맵핑되거나 또는 상호맞물림화된 영상에 근접해 있다. 선택 장치의 목적은 희망하는 영상 또는 영상들의 적절한 투시 화면을 적절한 안구에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관측자가 시야계(visual field)에서 바라보는 것과 같이 영상이 쌍안 입체시(binocular stereopsis) 정보를 갖고 생성될 수 있다.
입체영상효과를 갖기 위하여 두개 이상의 영상들이 요구된다. 전통적인 파노라마그램에서, 영상들의 배열은 열 또는 스트라이프로 발생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열은 반복되고, 각각의 열들 내에는 영상 스트라이프들이 있다. 다중 투시 화면들을 제공하는 일련의 사진들을 촬영하는 것을 구상할 수 있고, 이 영상들은 적어도 개념상 가위로 분할될 수 있으며, 그런 다음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함께 배치되고, 각각의 스트라이프 시퀀스는 열을 형성하며, 래스터 배리어 또는 굴절성 렌슬릿(lenslet)의 특성은 영상 선택을 제공하는 것이다.
평면 패널 전자 디스플레이의 출현과 이 디스플레이의 고품질은 발명자로 하여금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파노라마그램의 적용에 관심을 기울이도록 해왔다. 평면 패널 디스플레이에 대한 파노라마그램의 적용은 하드 카피로부터 평면 패널로의 진보를 나타내준다. 평면 패널 디스플레이는 많은 흥미로운 특징 및 이점을 갖는다. 평면 패널 디스플레이는, 그 명칭이 시사하는 바와 같이, 평면인 반면에, CRT 디스플레이는 평면 패널의 완전 평면성이 결여되고 있으므로, 이에 따라 기술자들에게 커다란 도전과제를 제공한다. 전자 디스플레이에 대한 파노라마그램의 성공적인 적용에 있어서의 중요 구성요소는 단순히 평면성만은 아니다. 애매함없이 평면 패널 디스플레이에서의 픽셀들 및 서브 픽셀들의 위치가 알려지고 있는데, 그 이유는 이것은 전자적으로 주소지정되는 데카르트 그리드(Cartesian grid)를 형성하고, 각각의 서브 픽셀은 적절한 광학적 구성요소와 연계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기술은 통나무형의 또는 빨래판면을 닮은 굴절성 렌티큘라 스크린을 다룬다. 굴절성 광학기구로는 택일적인 래스터 배리어 기술이 선호되는데 그 이유는 굴절성 광학기구는 매우 적은 빛을 손실하기 때문이다. 래스터 배리어는 주지의 사실로서 낮은 에텐듀(etendue)를 가지며, 또한 결국 지배적인 배리어를 통해 바라보기 때문에 상당한 패턴 노이즈 인공음영물을 갖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설명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원리는 렌티큘라 스크린 또는 래스터 배리어에 적용되기 때문에, 비록 굴절성 광학기구가 눈에 띄는 이점들을 제공하지만, 본 기술은 선택 장치가 렌티큘라 스크린인지 또는 래스터 배리어인지에 관심을 두지 않는다. 실제로, 이 두가지 형태의 선택 장치들은 대부분의 파노라마그램 발명기술에 있어서 광학적으로 교체가능하다.
전자 디스플레이 파노라마그램의 성공적인 상업적 구현을 갖기 위하여 다루워질 필요가 있는 특정 과제들에는 각각의 모니터 또는 디스플레이가 렌즈 시트의 피치 및 배향과 정합되는 특정 맵핑 패턴을 가져야만 하는 사항이 포함된다. 하나 의 모니터 모델에 대하여 상호맞물림화된(interdigitated) 콘텐츠는 열 및 이 열내의 영상 스트라이프가 렌즈 시트 제형(formulation)에 특유적이기 때문에 다른 모니터상에서는 적절하게 재생될 수 없다. 사전 맵핑되거나 또는 사전 상호맞물림화된 콘텐츠의 분배는 사실상 하나의 모니터 모델을 제외한 모든 모니터 모델상에서 상기 콘텐츠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만든다.
상업적 전자 디스플레이 파노라마그램과 관련된 다른 과제 영역은 제조 영역에서이다. 렌즈 시트의 각 렌슬릿들은 전자 디스플레이의 서브 픽셀 구성요소와 약 마이크로미터 정밀도 이내로 정확하게 병치되어야한다. 또한, 렌즈 시트와 디스플레이의 상대적 팽창 계수와 관련된 문제들이 있다.
이전에 공지된 파노라마그램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다루고 이를 극복하는 것이 이로울 것이며, 상술된 부정적 특성들을 나타내는 장치들에 대해 개선된 제조품질 및 조망 특성들을 갖는 상업적 디스플레이 파노라마그램 발명기술을 제공하는 것이 이로울 것이다.
본 발명기술의 제1 실시양태에 따르면, 비디오 콘텐츠가 임의의 비디오 소스 포맷으로 비디오 디스플레이에 제공되고, 상기 비디오 디스플레이는 자신과 병치하여 배열된 렌티큘라 스크린을 갖는 자동입체영상 시스템으로서, 상기 비디오 디스플레이와 연계된 전자 모듈의 부분으로서 병합된 상호맞물림화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상호 맞물림화 모듈은 상기 비디오 소스 포맷의 상기 비디오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비디오 소스 포맷의 상기 비디오 콘텐츠를 자동입체 영상의 다중 투시 화면내로 맵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입체영상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기술의 제2 실시양태에 따르면, 자동입체영상 시스템이 제공된다. 자동입체영상 시스템은 비디오 콘텐츠를 비디오 소스 포맷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된 비디오 소스와, 상기 비디오 소스와 결합되고 상기 비디오 소스 포맷의 비디오 콘텐츠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모니터 시스템을 포함한다. 모니터 시스템은 상기 비디오 소스 포맷의 비디오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비디오 소스 포맷의 비디오 콘텐츠를 자동입체 영상내로 상호맞물림화하도록 구성된 상호맞물림화 모듈, 상기 상호맞물림화 모듈에 결합되고 상기 상호맞물림화 모듈로부터 상기 자동입체 영상을 수신하여 렌더링된 자동입체 영상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비디오 렌더링 모듈, 상기 비디오 렌더링 모듈에 결합되고 상기 렌더링된 자동입체 영상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병치상태로 유지되는 렌티큘라 스크린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관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들로부터 본 발명의 이러한 장점들 및 기타 장점들은 본 발명분야의 당업자에게 명확해질 것이다.
도 1a는 자동입체영상 모니터를 위한 통상적인 콘텐츠 전송 아키텍쳐와 인프라구조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1b는 맵핑된 적절한 파노라마그램 영상을 생성하는데에 요구되는 n개 타일 포맷 및 상호맞물림화 프로세싱의 개략적 표현이다.
도 1c는 입체 쌍으로 시작하며, 맵핑된 상호맞물림화 영상들을 생성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1d는 평면 영상과 깊이 맵(depth map)으로 시작하며, 맵핑된 상호맞물림화 영상들을 생성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2는 온 보드 또는 통합된 상호맞물림화를 제공하는 서술되는 본 발명의 아키텍쳐를 도시한다.
도 3a는 평면 패널 디스플레이와 병치된 윈넥 경사 렌즈 시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서브 픽셀 및 이와 연계된 렌티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a는 조망 구역에 대해 대칭적으로 위치된 디스플레이와 렌즈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조망 구역에 대해 비대칭적으로, 또는 축 이탈하여 위치된 디스플레이와 렌즈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4c는 조망 구역에 대한 감소된 각도 범위를 갖는 디스플레이 및 이와 연계된 렌즈 시트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기술은 상호맞물림화 프로세스가 모니터에 통합되지 않고 분리되어 있는 종래 발명기술에서의 많은 장애사항을 극복한다. 본 발명기술은 다중 투시 화면들 또는 유사 차원 정보를 프로세싱하거나 맵핑하는 상호맞물림화 하드웨어 회로를 모니터내에서 이용함으로써 모니터내에 상호맞물림화 기능을 병합시키며, 이 특징은 모니터로 하여금 적당한 변형에 적응하며 제조시에 결정된 정렬 교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추가적인 능력을 갖는다.
도 1b와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기술은 렌즈 시트(또는 실제로는 Sandor의 미국 특허 제5,519,794호에서 주어진 래스터 배리어)가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에 대해 경사져 있는 윈넥(미국 특허 제3,409,351호) 제형을 따른다. 각 렌티큘들은 교차하고, 이들이 교차하는 경계선들이 축을 형성하는 것을 가정해 볼때, 하드 카피에 사용되는 전통적인 파노라마그램에서 상기 축은 디스플레이의 수직 가장자리에 대해 변함없이 평행하다. 윈넥 제형의 경우에서, 이 축은 평행하지 않고, 경사져 있다. 평면 패널 디스플레이에 대해 윈넥 제형을 사용하는 이점은 평면 패널 디스플레이의 픽셀 밀도가 사진용 또는 사진제판용 하드 카피에서보다 훨씬 낮다라는 것이다. 적은 수의 픽셀들을 처리하고, 픽셀과 서브 픽셀들간의 간격이 상당하기 때문에, 렌즈 시트의 수평 확대 특성은 서브 픽셀들간의 간격의 범위 및 가시성을 악화시키고, 이것은 상당한 패턴 노이즈를 생성하고, 심지어는 "색 무아레(color moire)"로서 표현되는 색 패턴을 생성한다.
렌즈 시트를 경사지게함으로써, 본 발명기술은 색 무아레를 제거하는 것 뿐만이 아니라, 패턴 노이즈를 경감시킨다. 비록 본 명세서에서는 윈넥 제형을 설명하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것은, 일반성을 잃는 것 없이, 렌즈 축, 또는 렌즈 경계축이 디스플레이의 수직 가장자리에 대해 평행하게 유지되는 전통적인 파노라마그램 방식에 적용된다.
도 1a는 전자 디스플레이(101)를 뒤덮는 일련의 렌티큘들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된 렌즈 시트(113)와 함께, 자동입체영상 모니터(102)와 콘텐츠 전송 시스템(107, 106)의 윗면을 도시한다. 전자 디스플레이(101)는 통상적인 평면 패널 디 스플레이이다. 전자 디스플레이(101)는 예로서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본 발명기술의 렌즈 시트와 병치될 수 있는 픽셀들 또는 서브 픽셀들의 데카르트 좌표 기반 시스템을 디스플레이가 제공하는 한 디스플레이의 정확한 유형은 중요치가 않다.
도 1a에서, 비디오 전송 시스템 또는 비디오 소스(107)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01)을 갖는 모니터(102)에 신호(106)를 제공한다. 모니터 전자기기는 비디오 신호를 취하여 파이프라인(104)이라고 불리워지는 것을 통해 이것을 디스플레이(101)상에서 디스플레이한다. 신호 프로세싱은 수십년동안 텔레비젼 수신기와 컴퓨터 그래픽 모니터에서 이용되어 왔던 종류의 래스터 또는 비디오 그래픽 디스플레이에서 이용되는 표준 기술들에 따른다. 추가적인 신호 프로세싱은 없다. 평면 패널의 성질은 디지털이기 때문에, 디지털 접속이 신호(106)에 공급되고, 비디오 소스(107)에 의해 공급되는 신호는 디지털 성질을 갖는다. 비디오 소스(107)는 PC, DVD, 재생장치, 또는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도1b에서는 신호 특성을 어느정도 자세하게 도시한다. 구성요소(105)는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되는 상호맞물림화 모듈을 나타내는데, 이것은 비디오 소스(107)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101)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를 위한 비디오 신호를 상호맞물림화한다.
비디오 소스(107)가 PC 또는 네트워크 클라이언트인 것으로 가정한 경우, 비디오 소스(107)에 전송되는 영상 정보는 타일 화면들(10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투시 화면들의 성질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도 1b를 참조하여, 이러한 유형의 영상을 "n개 타일" 포맷이라고 부른다. 여기서는 연쇄적인 아홉개의 투시 시점을 갖는 아홉개의 타일 화면들이 도시되며, 이들 중 임의의 두개는 입체 쌍을 형성한다. 하지만, n 개 타일 화면들은 임의의 갯수의 투시 화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호맞물림화 또는 맵핑 프로세스(109)가 도 1b에서 도시된다. 하나의 특정 알고리즘은 "인터지그"라고 불리워지는 캘리포니아 베벌리 힐스의 리얼 디 회사로부터 입수가능하며, 이 인터지그는 윈넥 각도 제형의 요구를 충족시킨다. 인터지그 알고리즘은 미국 특허 공개 제2002/0011969호의 자동입체영상 픽셀 배열 기술에서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술은 단지 예시로서 주어진 특정한 인터지그 알고리즘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본 설명에서는 이 프로세스를 "상호맞물림화(interdigitation)"라는 일반명칭으로 부른다.
영상 맵(110)은 상호맞물림화 알고리즘(109)을 통해 n 개 타일 영상(108)을 맵핑한 결과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여기서 영상들의 열들을 보게 된다. 각각의 열내에는 디스플레이(101)상에 기입되어 렌즈 시트(113)를 통해 조망될 것인 서브 픽셀 제형이 있다. 그러므로, 영상 맵(110)은 n개 타일 포맷(108)의 다중 투시 화면들로부터 생성되고, 그 후 렌즈 시트(113)의 피치와 유사한 일정한 피치를 갖는 반복되는 일련의 열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호맞물림화 알고리즘(109)에 따라 상호맞물림화되는 맵이다. 각각의 열내에는, 특정 상호맞물림화 알고리즘(109)에 따라, 서브 픽셀들의 배열이 있을 것이다. 서브 픽셀들은 렌즈 시트(113)와 양립하여 배열됨으로써 관찰자는 파노라마그램을 바라볼 것이다. 상호맞물림화 기능에 더하여, 이 상호맞물림화 기능 이전에, 시스템은 영상을 크기조정하여 이 영상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고유 해상도와 정합될 수 있도록 한다. 각각의 n 개 타일들의 크기는 모 니터의 고유 해상도와 동일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크기조정 프로세스는 유익하다. 본 프로세스의 완전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서 병합되고 있는 앞서 언급했던 미국 특허 공개 제2002/0011969호에서 주어진다.
크기조정 및 그 후의 상호맞물림화는 입체영상 정보를 조금도 손상시키지 않는다. 또한, 수반된 미디어 플레이어에 따라, 매우 폭넓고 다양한 압축 알고리즘들이 사용될 수 있다. 스크린 서브 픽셀에 대한 n 개 타일 영상들의 맵핑은 효과적인 압축방법이지만 보다 정확하고 연산 강화된 방법은 각 렌티큘아래에서 맵핑되는 서브픽셀에 대한 비례적 평균화 연산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게다가, n 개의 타일 영상들의 크기조정은 비대칭적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재생 기능이 영상의 종횡비 또는 적절한 형상을 복원할 수 있는 한 임의의 종횡비를 갖는 n 개 타일의 소스 프레임은 스크린에 맵핑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파노라마그램 유형의 자동입체 영상들을 콘텐츠 전송 시스템(106, 107)과 연계하여 모니터(102)내의 렌즈 시트(113)를 갖춘 전자 디스플레이(101)상에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콘텐츠가 특정 모니터 모델에 대하여 구애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기술은 여러 선구(precursor) 포맷(이하에서 설명됨)을 제공하는데, 이중 하나가 도면부호 108로 도시된, 상호맞물림화 알고리즘(109)에서 프로세싱되는 n 개 타일 포맷이다. 상호맞물림화 알고리즘(109)에는 모니터 특유적이고 변경가능한 상수가 포함되며, 이로써 영상 맵(110)에서의 맵핑은 렌즈 시트(113)와 결합된 디스플레이(101)의 요구조건에 들어맞게 된다.
렌즈 시트(302)(도 3a에 도시)의 각 렌슬릿(304)(도 3b에 도시)이 서브 픽셀 구성요소(305)(적색에 대해서는 R, 녹색에 대해서는 G, 및 청색에 대해서는 B로 표기됨)와 정확하게 병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기술은 서브 픽셀에 대하여 렌즈 시트(302)를 기계적으로 위치시킨다. 렌즈 시트(302)를 이동 또는 회전시키고 그 결과적인 패턴을 관찰함으로써, 렌즈 시트(302)와 디스플레이 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301)은 적당하게 정렬될 수 있다. 이러한 기계적 정렬은 소규모 제조에서는 충분하지만, 대규모에서는 부적당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변경을 취함으로써, 그리고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맞물림화 보드를 모니터내에 병합시킴으로써, 하드웨어 조정보다는 편리한 소프트웨어 조정이 이루워질 수 있다. 이것은 제조 프로세스를 매우 가속화시킨다. 조망 구역이 적절하게 위치되는 것을 가능케 해주고, 또한 조망 구역의 각도 범위의 최적화가 가능토록 해준다. 영상 구성요소와 렌즈 시트의 적절한 병치를 생성하기 위하여, 렌즈 시트를 기계적으로 이동시키는 것 대신에, 근간 픽셀 맵이 동등한 방법으로 이동될 수 있다.
중요한 렌즈 시트와 픽셀의 정렬 문제는 렌즈 시트와 디스플레이의 상대적 팽창 계수와 관련하여 존재하는데, 이것은 일반적으로 모니터가 턴온되어 약 70℉의 실내온도에서 약 110℉의 안정 구동 상태까지 가열될 때에 분명하게 나타난다. 구동 온도 범위에 걸쳐 높은 정렬 정확성이 요구된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특히 구동 1 시간이내에, 모니터가 가열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픽셀은 렌즈 시트와 다르게 팽창한다. 약 한 시간 후 픽셀과 렌즈 시트는 안정 상태에 이르게 된다. 그러므로, 모니터가 냉각될 때에 사용되는 상호맞물림화 상수(예컨대, 피치)는 모니터가 가열된 때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렌즈 시트의 각 렌슬릿에 대한 픽셀의 부적절한 병치로 인하여 이것은 조망 구역의 각도 범위를 변경시킬 것이다(즉, 감소시킬 것이다). 이것은 영상 구조가 사실상 열들과 스트라이프들로 구성되고, 이 스트라이프들내에는 상호맞물림화 알고리즘에 따라 서브 픽셀 레벨로 맵핑되는 다중 투시 화면들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다시 말해준다.
도 2는 상호맞물림화 기능을 펌웨어 솔루션으로서 병합하고, 모니터 본체의 일부가 된다라는 점에서 도 1a와 구별된다. 도 2에서, 디스플레이(201)(윗면도)는 렌즈 시트(209)로 뒤덮혀 있다. 비디오 소스(207)에 의해 제공되는 포맷은 도 1b, 도 1c, 또는 도 1d에서 도시된 것일 수 있으며, 이것은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n개 타일(도 1b), 입체 쌍(도 1c), 또는 평면 영상 플러스 깊이 맵(도 1d)과 같은 포맷으로 제공된 임의의 유형의 미가공 비디오 소스(NTSC, PAL, 다양한 고화질 프로토콜 등)를 망라하는 포맷화된 비디오 소스로서 언급된다. 비디오는 케이블(209)을 통해 포맷화된 비디오 소스의 형태로 모니터(202)내로 스트리밍된다. 포맷화된 비디오 소스는 상호맞물림화 보드 또는 모듈(208)에 의해 프로세싱되고, 그 후 결과적인 비디오는 경로(210)를 통해 통상적인 비디오 전자기기(205)로 유입되고, 그런 다음 경로(204)에 의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 유입된다.
비디오 소스(207)는 도 1b에서의 도면부호 108, 도 1c에서의 도면부호 111, 또는 1d에서의 도면부호 1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각각, n개 타일 포맷, 입체 쌍, 또는 평면 영상 플러스 깊이 맵을 나타냄)의 정보를 병합하는 표준 비디오 신호 또는 포맷화된 비디오 소스를 나타낸다. 상호맞물림화 보드(208)는 상술한 파 노라마그램 디스플레이의 요구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맵핑된 화면들을 알고리즘 수단에 의해서 계산한다. 상호맞물림화 보드(208)는 추후에 프로세스(109)에 의해 상호맞물림화되는 n 개 타일 영상들(108)의 프로세싱을 최소한 제공하며, 프로세스(109)의 기능은 도면부호 1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상호맞물림화된 맵을 생성하기 위하여 보드(208)내에 병합되어 있다. 택일적으로, 비디오 소스(207)에 의해 제공된 영상 정보는 도면부호 111로 도시된 입체 쌍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면 입체 쌍은 n 타일 포맷의 다중 투시 화면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보간처리된다. n 타일 포맷은 복수의 수단 또는 장치 중 임의의 하나에 의해 투시 화면들을 저장함으로써 대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n 타일 영상들(108)에서의 다중 투시 화면들이 틱택톡(tic tac toe)과 같은 포맷으로 제공되지만, 본 발명기술은 이와 같은 투시 화면 배열방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택일적으로, 도 1c에서의 흐름에 따라, 입체 쌍이 이용가능하고, 시스템은 영상들(108)에서 도시된 다중 투시 화면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중간 화면들을 보간처리하고, 이 다중 투시 화면들은 최종적으로 맵핑된 상호맞물림화 영상(110)을 생성하는데에 이용된다. 보간은 아래 예시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평균화, 가중 평균화, 및 기타 수학방법 또는 보간방법을 포함하여 사실상 임의의 형식을 취할 수 있다. 영상 생성의 관점에서, 보간은 디스플레이를 위해 요구되는 임의의 갯수의 투시 화면들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주어진 것처럼 아홉개의 생성을 반드시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입체영상 효과를 증대하기 위한 효과적인 축간 분리를 확장하기 위하여 보외법(extrapolation)도 가능하 다.
장치가 투시 영상의 위치를 추적하고 있거나 또는 그 위치를 알고 있는 한 좌측영상(113)과 우측영상(114)의 영상쌍은 교체될 수 있다. 가장 중요한 사항으로서, 보간법 또는 보외법에 의해 파노라마그램을 생성하는데에 요구되는 시차 정보를 갖는 진정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입체쌍인 두 영상들은 입수가능하다. 다중 투시 화면들을 얻어낸 후, 시스템은 도 1b를 이용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상호맞물림화한다.
마지막 택일적 사항으로서, 평면 영상은 도면부호 115이고 깊이 맵은 도면부호 116인 깊이 맵 영상 플러스 평면 영상이 도 1d에서의 도면부호 112에서 도시된다. 깊이 맵은 일반적으로 잘 이해되고 있다. 많은 컴퓨터 그래픽 프로그램은 평면 영상과 함께 사용될 때에 다중 투시 화면을 재생할 수 있는 그레이 깊이 정보의 음영을 생성하는 깊이 맵을 출력한다. 영상은 깊이 맵(112)으로부터 다중 투시 화면들(108)을 축출하는 프로세스인 알고리즘(118)에 따라 프로세싱된다. 다중 투시 화면들이 생성된 후, 시스템은 도 1b와 관련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상호맞물림화한다.
시스템은 n 개 타일, 입체 쌍, 또는 평면 영상 플러스 깊이 맵의 선구 포맷으로 시작하고, (상기 마지막 두 개의 경우) n 개 타일 화면들을 축출하고, 그런 다음 적절한 상호맞물림화 알고리즘에 의해 n 개 타일 화면들로부터 렌즈 시트가 일정한 광학 설계를 갖는 모니터 모델에 특유적인 맵핑된 영상을 생성한다. 선구 포맷이 n 개 타일, 입체 쌍, 또는 평면 영상 플러스 깊이 맵이든지 간에, 이들 임 의의 선구 포맷들의 경우에 있어서, 영상은 입체영상 정보를 손실하는 것 없이 표준 압축 기술들을 이용하여 압축될 수 있고 정보 파이프라인을 따라 보내질 수 있다. 또한, 상호맞물림화 상수는 신호가 재생되는 모니터에 특유적이기 때문에, 각각의 렌티큘라 화소에 대하여 적절한 서브 픽셀 병치를 갖는 적절한 맵이 존재할 것이다.
도 3a는 렌즈 시트(302)와 전자 디스플레이(301)를 도시한다. 전자 디스플레이(301)는 완전 특이성을 갖는 스크린상으로 주소지정되는 서브 픽셀의 통상적 데카르트 배열을 갖는다. 전통적인 파노라마그램 기술들에서 요구되는 렌즈 시트(302)의 렌슬릿 구성요소와의 병치에 관한 모호함이 존재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에서 윈넥 각도 제형이 도시되지만, 본 발명기술은 윈넥 제형에 구체적으로 한정되지는 않고, 디스플레이의 수직 가장자리에 대해 수직한 렌즈 경계부를 갖는 전통적인 수직형 렌즈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전에 언급한 바와 같이, 굴절성 렌즈 시트를 대신하여, 래스터 배리어가 사용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도면부호 304로 지시된 각각의 렌티큘들은 서브 픽셀들(305)(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들은 적색, 녹색, 및 청색 화소를 나타내는 R, G, B로 표기됨)과 병치되고 있음을 보게 된다. 다시, 이 배열은 평면 패널 디스플레이가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또는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든지 간에 임의의 평면 패널 디스플레이와 동작할 것이다.
깊이 신호 정보는 세 개의 상이한 포맷 유형으로 도착할 것이고, 그런 다음 특정 모니터 모델의 파노라마그램 디스플레이내로 입력될 수 있다. 비디오 분배 인 프라구조에 관한 한, 비디오가 DVD 플레이어, PC,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내의 클라이언트이든지 간에, 비디오는 정규 또는 표준형이고, 분배 인프라구조에 대해서는 어떠한 변동이 없다. 비디오 신호는 설명한 세 개 형태 중 임의의 하나를 운송하는데에 사용될 수 있고, 그런 다음 모니터에서 내부적으로 프로세싱된다. 이러한 개선이 주어지는 경우, 네트워킹 문제와 비디오 포맷 문제는 자동입체영상 모니터의 배치 또는 분배에 대하여 장애를 나타내지 않는다. 콘텐츠 분배기는 표준 비디오 또는 컴퓨터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한다. 비디오 신호는 (n 개 타일 포맷, 입체 쌍 포맷, 또는 깊이 맵 포맷이든지 간에) 보통의 평면 모니터에 특유적인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분배 압축 기술에 관한 한, 이것은 정규 비디오 특성을 갖는 정규 비디오 신호이다. 영상이 예컨대, 헤더를 통해 또는 어떤 종류의 표시자에 의해 모니터에 도착하면, 모니터가 관련되는 한, 그 후 모니터는 정규 비디오 신호를 처리한다.
일반적으로 모니터 내의 온 보드 상호맞물림화 보드, 모듈 또는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모니터내에 상호맞물림화 장치를 병합하는 것에 엄격하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호맞물림화 기능이 모니터의 외부에서 또는 모니터와 분리되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모니터 변동, 온도 효과, 및 렌즈 시트의 차이로 인하여, 다중 모니터를 위한 균일한 상호맞물림화는 이상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없다.
도 2와 관련하여, 모니터 통합 프로세싱 보드(208)는 (필요하다면 도 1b, 도 1c, 및 도 1d 마다) 여러 단계들을 통해 신호를 프로세싱하고, 결국에는 상호맞물 림화된 영상을 생성한다.
임의의 비디오 프로토콜은 본 발명개시와 관련된 콘텐츠 전송을 위한 적합한 후보이다. 상기 프로토콜들에는 PAL, NTSC, ATSC, 및 컴퓨터 그래픽 또는 최첨단 전자 디스플레이상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임의의 비디오 신호가 포함된다. 또한, 영상 소스는 DVD 또는 고 해상도 DVD 플레이어, 또는 컴퓨터, 적절한 서버, 또는 비디오를 전송하는데에 통상 이용되는 임의의 장치, 방법 또는 수단일 수 있다.
비디오 신호는 헤더 또는 상호맞물림화 기능을 지시하는 어떤 기타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평면 영상이 모니터상에서 플레이되는 것을 희망하는 경우에는 상호맞물림화 기능은 턴오프되고, 반면에 자동입체 영상이 요구되면 상호맞물림화 기능은 턴온된다. 그 결과 입체 콘텐츠로부터 평면 콘텐츠로의 전이는 사용자에게 투명해질 수 있다. 상기 모니터는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서 그 전체가 병합되고 있는, "Autostereoscopic Display with Planar Pass through" 라는 명칭으로 2006년 4월 7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11/400,958호에서 주어진 발명기술 권장사항을 따를 수 있다. 기타 모니터 협약 및 기술들이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브 픽셀에 대한 렌즈 시트의 정확한 병치는 작은 문제가 아니다. 만약, 예컨대, 렌즈 시트(302)의 확대된 단면도인 도 3b에서의 렌티큘(304)이 서브 픽셀(305)에 대하여 작은 양만큼이라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도 4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요구되는 결과는 달성될 수 없다. 도 4a에서 디스플레이(401)와 렌즈 시트(402)가 제시된다. 축(403)은 디스플레이(401)와 렌즈 시트(402)의 평면 중앙에 대해 수직한 점선이다. 렌즈 시트와 디스플레이는 평행하기 때문에, 렌즈 시트와 디스플레이 중 하나에 수직한 축은 나머지 다른 하나에 수직하다. 조망 구역(405)은 각도 범위(406)를 가지며, 조망 구역(405)은 축에 대하여 양방향 대칭이다. 정의에 의해, 조망 구역(405)이 적절하게 중앙위치화된다. 도 4b는 렌즈 시트가 픽셀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적절하게 병치되지 않은 결과를 도시한다. 다시 말하면, 렌슬릿 및 서브 픽셀 정렬에 관련하여 렌티큘(304)이 서브 픽셀(305)에 대하여 약간 이동하는 경우, 조망 구역(407)이 이동되는 결과가 도 4b에 도시된다. 본 설명을 위하여, 각도 범위(408)는 좌측으로 이동되지만, 우측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이동은 바람직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관측자는 적절한 입체영상을 바라보기를 기대하면서 모니터 앞에 위치하고, 상기와 같은 이동은 이러한 조망을 가능케하지 않기 때문이다.
파노라마그램은 조망 구역의 반복 패턴을 생성한다. 본 설명에서는 예시로서, 중앙 조망 구역(406)만을 도시한다. 조망 구역은 대칭 패턴을 형성하는 제2차, 제3차 및 추가 구역들 어느쪽에서도 존재한다. 하지만 중앙 조망 구역이 관측자의 기대를 충족시켜주기 위하여 적절하게 중앙위치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전 기술들은 아래에 있는 디스플레이(301 또는 305)에 대하여 렌즈 시트(302 또는 304)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회전시킴으로써만 기계적 정렬을 이용하여 중앙위치화를 할 수 있었다. 상호맞물림화 보드(208)를 이용하여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 내부에 상호맞물림화 프로세싱을 병합시킴으로써, 본 발명기술은 소프트웨어 조정에 의해 수행되는 정렬로 모니터를 정렬시킨다.
이와 같은 하나의 정렬 기술이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서 병합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6,519,088호에서 설명된다. 정렬 기술은 광간섭과 비슷하다. 적절한 정렬은 보통의 측정 기술들을 통해서는 달성될 수 없고, 상기 미국 특허 제6,519,088호에서 설명된 일종의 광학 패턴을 관찰함으로써 달성되어야 한다. 오퍼레이터를 통해서 또는 머신에 의해, 이 패턴은 희망하는 교정 결과를 생성한다. 이전에 이와 같은 조정은 디스플레이에 대한 렌즈 시트의 이동에 의해 나타났었다. 상기 정렬은 소프트웨어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영상의 소프트웨어 이동을 통해서 영상을 증분적으로 횡방향 이동시키거나 또는 회전시킴으로써, 오퍼레이터 또는 머신은 패턴을 관찰할 수 있고, 그런 다음 메모리에 추가될 수 있고 상호맞물림화 보드(208)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상호맞물림화 상수에 대해 변경을 취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것은, 물론 언급한 바와 같이, 소위 말해서 대칭적이고 적절하게 중앙위치화된 중앙 조망 구역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만약 상호맞물림화 프로세스가 모니터의 일부라면 병치 상수는 모니터의 일부로서 통합되어 최상적으로 위치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방법은 최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렌즈 시트와 디스플레이는 구동 1 시간 동안 치수 변동을 겪게 된다. 약 한 시간 이후에, 이 구성부들은 안정 상태에 도달되고, 그런 후 서브 픽셀과 각각의 렌즈 구성요소와의 병치가 고정되고 상호맞물림화 프로세스에 의해 열과 스트라이프가 형성된다. 하지만 이 시간동안, 상호맞물림화 초기 상수가 실내 온도 설정용으로 이용된 경우, 조망 구역의 범위는 모니터가 구동 온도에 이를 때까지 감소된다. 도 4c는 각도(410)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도 4a에서의 각 도(406)에 비해 감소된 조망 구역(409)을 도시한다. 그러면 해결책은 렌즈 시트와 디스플레이 앙상블의 차동 팽창을 이해하고, 렌티큘에 대한 서브 픽셀의 상대적 병치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호맞물림화 프로세스를 조정하는 열전쌍 방법 또는 엄격한 시간 및 휴리스틱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연속적인 구동 1 시간 정도에서, 시스템은 렌즈 시트에 대한 서브 픽셀의 적절한 병치를 유지할 수 있고, 이로써 조망 구역의 각도 범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온도 변동의 보정과 관련하여, "Temperature Compensation for the Differential Expansion of an Autostereoscopic Lenticular Array and Display Screen"의 명칭으로 2006년 10월 26일에 출원되어 현재 동시계류중인 발명자 레니 립톤과 로버트 아카의 미국 특허 출원(관리번호 제REAL0122호)이 참조된다. 이 온도 보정 출원으로부터의 이론은 본 발명기술에서 이용될 수 있고, 온도 보정 출원의 전체는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서 병합된다.
픽셀에 대한 렌즈 시트의 소프트웨어 조정으로 인하여 정렬이 매우 단순화된다. 상기 경우에서는 이동시킬 필요가 있는 것은 오직 렌즈 시트에 대한 픽셀의 위치이며, 이에 따라 기계적 조정은 필요하지가 않게 된다. 모니터의 좌측 또는 우측어느 쪽에도 편중되지 않도록 중앙 조망 구역이 적절하게 위치될 수 있다. 모니터가 가열되는 동안 조망 구역의 각도 범위는 제어되고, 그 결과 조망 구역의 각도 범위는 일정해진다. 실험에 기초된 온도 측정 또는 엄격한 시간방식에 의해, 상호맞물림화 알고리즘에 의해 열로 형성되는 서브 픽셀의 피치를 사실상 조정함으로써, 시스템은 렌즈 시트와 서브 픽셀의 상대적 병치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것은 조망 구역의 각도 범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준다. 그 결과로 자동입체영상 모니터는 턴온되는 순간부터 턴오프될 때까지 잘 기능하게 된다.
제시된 발명기술 및 설명된 특정 실시모습들은 한정적 의미로서 주어진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이론 및 장점들을 여전히 포함하면서 대체 구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을 특정 실시예들과 함께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한층 더 변형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출원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내의 잘알려진 통상적인 실시의 범주내에 있게 되는 본 명세서로부터의 이탈을 포함하여,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원리를 따르는 본 발명의 임의의 변형, 사용 또는 개조에 효력이 미치도록 되어 있다.

Claims (20)

  1. 자신과 병치배열된 렌티큘라 스크린을 갖는 비디오 디스플레이에 비디오 콘텐츠가 임의의 비디오 소스 포맷(format)으로 제공되는 자동입체영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디스플레이와 연계된 전자 모듈의 일부로서 병합된 상호맞물림화(interdigitation)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상호맞물림화 모듈은 상기 비디오 소스 포맷의 상기 비디오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비디오 소스 포맷의 상기 비디오 콘텐츠를 자동입체 영상의 다중 투시 화면들내로 맵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입체영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소스 포맷은 n 개 타일 포맷; 입체 쌍; 및 평면 화면 플러스 깊이 맵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의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입체영상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콘텐츠는 NTSC, PAL, 및 고해상도 포맷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의 하나의 포맷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입체영상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소스 포맷의 상기 비디오 콘텐츠는 상기 상 호맞물림화 모듈에 의해 수신되기 전에 크기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입체영상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맞물림화 모듈은 상기 비디오 디스플레이 및 상기 비디오 디스플레이와 병치하여 위치된 렌티큘라 스크린에 대한 온도 변동을 보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입체영상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맞물림화 모듈은 선택된 픽셀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온도 변동을 보정하여, 상기 렌티큘라 스크린 앞에 있는 중앙 조망 구역이 예상되는 상기 온도 변동에 대한 양호한 조망 특성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입체영상 시스템.
  7. 자동입체영상 시스템으로서:
    비디오 콘텐츠를 비디오 소스 포맷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된 비디오 소스;와
    상기 비디오 소스에 결합되고, 상기 비디오 소스 포맷의 상기 비디오 콘텐츠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모니터 시스템
    을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 시스템은,
    상기 비디오 소스 포맷의 상기 비디오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비디오 소스 포맷의 상기 비디오 콘텐츠를 자동입체 영상내로 상호맞물림화하도록 구성 된 상호맞물림화 모듈;
    상기 상호맞물림화 모듈에 결합되고 상기 상호맞물림화 모듈로부터 상기 자동입체 영상을 수신하여 렌더링된 자동입체 영상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비디오 렌더링 모듈;
    상기 비디오 렌더링 모듈에 결합되고 상기 렌더링된 자동입체 영상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병치상태로 유지되는 렌티큘라 스크린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입체영상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소스 포맷은 n 개 타일 포맷; 입체 쌍; 및 평면 화면 플러스 깊이 맵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의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입체영상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콘텐츠는 NTSC, PAL, 및 고해상도 포맷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의 하나의 포맷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입체영상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소스 포맷의 상기 비디오 콘텐츠는 상기 상호맞물림화 모듈에 의해 수신되기 전에 크기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입체영상 시스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맞물림화 모듈은 상기 비디오 디스플레이 및 상기 비디오 디스플레이와 병치하여 위치된 상기 렌티큘라 스크린에 대한 온도 변동을 보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입체영상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맞물림화 모듈은 선택된 픽셀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온도 변동을 보정하여, 상기 렌티큘라 스크린 앞에 있는 중앙 조망 구역이 예상되는 상기 온도 변동에 대한 양호한 조망 특성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입체영상 시스템.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시스템은 상기 상호맞물림화 모듈, 상기 비디오 렌더링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모니터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입체영상 시스템.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시스템은 상기 비디오 렌더링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모니터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호맞물림화 모듈은 상기 모니터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된 분리된 상호맞물림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입체영상 시스템.
  15. 자동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서:
    비디오 소스 포맷의 비디오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비디오 소스 포맷의 상기 비디오 콘텐츠를 자동입체 영상내로 상호맞물림화하도록 구성된 상호맞물림화 모듈;
    상기 상호맞물림화 모듈에 결합되고 상기 상호맞물림화 모듈로부터 상기 자동입체 영상을 수신하여 렌더링된 자동입체 영상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비디오 렌더링 모듈;
    상기 비디오 렌더링 모듈에 결합되고 상기 렌더링된 자동입체 영상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병치상태로 유지되는 렌티큘라 스크린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소스 포맷은, n 개 타일 포맷; 입체 쌍; 및 평면 화면 플러스 깊이 맵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의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콘텐츠는 NTSC, PAL, 및 고해상도 포맷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의 하나의 포맷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소스 포맷의 상기 비디오 콘텐츠는 상기 상 호맞물림화 모듈에 의해 수신되기 전에 크기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맞물림화 모듈은 상기 비디오 디스플레이 및 상기 비디오 디스플레이와 병치하여 위치된 상기 렌티큘라 스크린에 대한 온도 변동을 보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맞물림화 모듈은 선택된 픽셀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온도 변동을 보정하여, 상기 렌티큘라 스크린 앞에 있는 중앙 조망 구역이 예상되는 상기 온도 변동에 대한 양호한 조망 특성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087013792A 2005-11-14 2006-11-13 통합된 상호맞물림화를 갖춘 모니터 Withdrawn KR200800708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3661705P 2005-11-14 2005-11-14
US60/736,617 2005-11-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0854A true KR20080070854A (ko) 2008-07-31

Family

ID=38049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3792A Withdrawn KR20080070854A (ko) 2005-11-14 2006-11-13 통합된 상호맞물림화를 갖춘 모니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109401A1 (ko)
EP (1) EP1949341A4 (ko)
JP (1) JP2009521137A (ko)
KR (1) KR20080070854A (ko)
WO (1) WO200705905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65430B2 (ja) * 2005-06-07 2014-04-09 リアルディ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オートステレオスコピック視域の角度範囲の制御
GB0522968D0 (en) 2005-11-11 2005-12-21 Popovich Milan M Holographic illumination device
GB0718706D0 (en) 2007-09-25 2007-11-07 Creative Physic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laser speckle
US20110037830A1 (en) * 2008-04-24 2011-02-17 Nokia Corporation Plug and play multiplexer for any stereoscopic viewing device
JP2010028456A (ja) * 2008-07-18 2010-02-04 Sony Corp データ構造、再生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542432B2 (en) * 2008-08-14 2013-09-24 Reald Inc. Autostereoscopic display system with efficient pixel layout
WO2010045364A1 (en) * 2008-10-14 2010-04-22 Real D Lenticular display systems with offset color filter array
USD666663S1 (en) 2008-10-20 2012-09-04 X6D Limited 3D glasses
USD603445S1 (en) 2009-03-13 2009-11-03 X6D Limited 3D glasses
USD624952S1 (en) 2008-10-20 2010-10-05 X6D Ltd. 3D glasses
USRE45394E1 (en) 2008-10-20 2015-03-03 X6D Limited 3D glasses
US8175398B2 (en) * 2008-11-10 2012-05-08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Method for encoding a plurality of video signals into a single video signal
US8542326B2 (en) 2008-11-17 2013-09-24 X6D Limited 3D shutter glasses for use with LCD displays
USD646451S1 (en) 2009-03-30 2011-10-04 X6D Limited Cart for 3D glasses
US9335604B2 (en) 2013-12-11 2016-05-10 Milan Momcilo Popovich Holographic waveguide display
US11726332B2 (en) 2009-04-27 2023-08-15 Digilens Inc. Diffractive projection apparatus
USD672804S1 (en) 2009-05-13 2012-12-18 X6D Limited 3D glasses
USD650956S1 (en) 2009-05-13 2011-12-20 X6D Limited Cart for 3D glasses
USD671590S1 (en) 2010-09-10 2012-11-27 X6D Limited 3D glasses
USD669522S1 (en) 2010-08-27 2012-10-23 X6D Limited 3D glasses
USD692941S1 (en) 2009-11-16 2013-11-05 X6D Limited 3D glasses
WO2011068210A1 (ja) * 2009-12-04 2011-06-09 Nec液晶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立体表示装置、立体表示用画像データ生成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D662965S1 (en) 2010-02-04 2012-07-03 X6D Limited 3D glasses
USD664183S1 (en) 2010-08-27 2012-07-24 X6D Limited 3D glasses
US9274349B2 (en) 2011-04-07 2016-03-01 Digilens Inc. Laser despeckler based on angular diversity
US9041771B2 (en) 2011-06-08 2015-05-26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Automatic switching of a multi-mode display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and two-dimensional images
WO2016020630A2 (en) 2014-08-08 2016-02-11 Milan Momcilo Popovich Waveguide laser illuminator incorporating a despeckler
EP2995986B1 (en) 2011-08-24 2017-04-12 Rockwell Collins, Inc. Data display
US10670876B2 (en) 2011-08-24 2020-06-02 Digilens Inc. Waveguide laser illuminator incorporating a despeckler
WO2013102759A2 (en) 2012-01-06 2013-07-11 Milan Momcilo Popovich Contact image sensor using switchable bragg gratings
US9280042B2 (en) 2012-03-16 2016-03-08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Automatic switching of a multi-mode projector display screen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and two-dimensional images
WO2013163347A1 (en) 2012-04-25 2013-10-31 Rockwell Collins, Inc. Holographic wide angle display
US20150062311A1 (en) * 2012-04-29 2015-03-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View weighting for multiview displays
WO2013167864A1 (en) 2012-05-11 2013-11-14 Milan Momcilo Popovich Apparatus for eye tracking
US9678267B2 (en) 2012-05-18 2017-06-13 Reald Spark, Llc Wide angle imaging directional backlights
US9235057B2 (en) 2012-05-18 2016-01-12 Reald Inc. Polarization recovery in a directional display device
US9188731B2 (en) 2012-05-18 2015-11-17 Reald Inc. Directional backlight
KR102099590B1 (ko) 2012-05-18 2020-04-10 리얼디 스파크, 엘엘씨 지향성 백라이트의 광원 제어
EP2850488A4 (en) 2012-05-18 2016-03-02 Reald Inc DIRECTIONAL BACK LIGHTING
USD711959S1 (en) 2012-08-10 2014-08-26 X6D Limited Glasses for amblyopia treatment
US9933684B2 (en) * 2012-11-16 2018-04-03 Rockwell Collins, Inc. Transparent waveguide display providing upper and lower fields of view having a specific light output aperture configuration
TWI622811B (zh) 2013-02-22 2018-05-01 瑞爾D斯帕克有限責任公司 具方向的背光源
WO2014188149A1 (en) 2013-05-20 2014-11-27 Milan Momcilo Popovich Holographic waveguide eye tracker
US9407868B2 (en) 2013-06-17 2016-08-02 Reald Inc. Controlling light sources of a directional backlight
US9727772B2 (en) 2013-07-31 2017-08-08 Digile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act image sensing
EP3058562A4 (en) 2013-10-14 2017-07-26 RealD Spark, LLC Control of directional display
US9739928B2 (en) 2013-10-14 2017-08-22 Reald Spark, Llc Light input for directional backlight
JP6962521B2 (ja) 2014-06-26 2021-11-05 リアルディー スパーク エルエルシー 指向性プライバシーディスプレイ
US20160035126A1 (en) * 2014-07-29 2016-02-04 Sy Sen TANG System and method for 3d content creation
US10359736B2 (en) 2014-08-08 2019-07-23 Digilens Inc. Method for holographic mastering and replication
US10241330B2 (en) 2014-09-19 2019-03-26 Digile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input images for holographic waveguide displays
US10423222B2 (en) 2014-09-26 2019-09-24 Digilens Inc. Holographic waveguide optical tracker
EP3204686B1 (en) 2014-10-08 2019-07-17 RealD Spark, LLC Connection unit for a directional backlight
US10356383B2 (en) 2014-12-24 2019-07-16 Reald Spark, Llc Adjustment of perceived roundness in stereoscopic image of a head
US20180275402A1 (en) 2015-01-12 2018-09-27 Digilens, Inc. Holographic waveguide light field displays
EP3245444B1 (en) 2015-01-12 2021-09-08 DigiLens Inc. Environmentally isolated waveguide display
CN107533137A (zh) 2015-01-20 2018-01-02 迪吉伦斯公司 全息波导激光雷达
US9632226B2 (en) 2015-02-12 2017-04-25 Digilens Inc. Waveguide grating device
WO2016146963A1 (en) 2015-03-16 2016-09-22 Popovich, Milan, Momcilo Waveguide device incorporating a light pipe
RU2596062C1 (ru) 2015-03-20 2016-08-27 Автономная Некоммерческая Образовательная Организация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колковский Институт Науки И Технологий" Способ коррекции изображения глаз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машинного обучения и способ машинного обучения
WO2016156776A1 (en) 2015-03-31 2016-10-06 Milan Momcilo Popovich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act image sensing
EP3283906B1 (en) 2015-04-13 2020-09-23 RealD Spark, LLC Wide angle imaging directional backlights
EP3304188B1 (en) 2015-05-27 2020-10-07 RealD Spark, LLC Wide angle imaging directional backlights
WO2017060665A1 (en) 2015-10-05 2017-04-13 Milan Momcilo Popovich Waveguide display
WO2017074951A1 (en) 2015-10-26 2017-05-04 Reald Inc. Intelligent privacy system,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10459321B2 (en) 2015-11-10 2019-10-29 Reald Inc. Distortion matching polarization conversion systems and methods thereof
EP4293417A3 (en) 2015-11-13 2024-01-24 RealD Spark, LLC Surface features for imaging directional backlights
CN108463667B (zh) 2015-11-13 2020-12-01 瑞尔D斯帕克有限责任公司 广角成像定向背光源
US10321123B2 (en) 2016-01-05 2019-06-11 Reald Spark, Llc Gaze correction of multi-view images
US10983340B2 (en) 2016-02-04 2021-04-20 Digilens Inc. Holographic waveguide optical tracker
WO2017162999A1 (en) 2016-03-24 2017-09-28 Popovich Milan Momcilo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polarization selective holographic waveguide device
US10890707B2 (en) 2016-04-11 2021-01-12 Digilens Inc. Holographic waveguide apparatus for structured light projection
CN109416431B (zh) 2016-05-19 2022-02-08 瑞尔D斯帕克有限责任公司 广角成像定向背光源
US10425635B2 (en) 2016-05-23 2019-09-24 Reald Spark, Llc Wide angle imaging directional backlights
EP3548939A4 (en) 2016-12-02 2020-11-25 DigiLens Inc. UNIFORM OUTPUT LIGHTING WAVEGUIDE DEVICE
WO2018129059A1 (en) 2017-01-04 2018-07-12 Reald Spark, Llc Optical stack for imaging directional backlights
US10545346B2 (en) 2017-01-05 2020-01-28 Digilens Inc. Wearable heads up displays
US10408992B2 (en) 2017-04-03 2019-09-10 Reald Spark, Llc Segmented imaging directional backlights
EP4293574A3 (en) 2017-08-08 2024-04-03 RealD Spark, LLC Adjusting a digital representation of a head region
EP3698214A4 (en) 2017-10-16 2021-10-27 Digile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LICATION OF THE IMAGE RESOLUTION OF A PIXELIZED DISPLAY
US11109014B2 (en) 2017-11-06 2021-08-31 Reald Spark, Llc Privacy display apparatus
US10732569B2 (en) 2018-01-08 2020-08-04 Digile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igh-throughput recording of holographic gratings in waveguide cells
CN116224492A (zh) 2018-01-08 2023-06-06 迪吉伦斯公司 用于制造波导单元的系统和方法
WO2019136476A1 (en) 2018-01-08 2019-07-11 Digilens, Inc. Waveguide architectures and related methods of manufacturing
JP7353007B2 (ja) 2018-01-25 2023-09-29 リアルディー スパーク エルエルシー プライバシー表示用タッチスクリーン
WO2019178614A1 (en) 2018-03-16 2019-09-19 Digilens Inc. Holographic waveguides incorporating birefringence control and methods for their fabrication
WO2020023779A1 (en) 2018-07-25 2020-01-30 Digile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abricating a multilayer optical structure
WO2020149956A1 (en) 2019-01-14 2020-07-23 Digilens Inc. Holographic waveguide display with light control layer
US20200264378A1 (en) 2019-02-15 2020-08-20 Digilens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viding a Holographic Waveguide Display Using Integrated Gratings
US20220283377A1 (en) 2019-02-15 2022-09-08 Digilens Inc. Wide Angle Waveguide Display
EP3938821A4 (en) 2019-03-12 2023-04-26 Digilens Inc. HOLOGRAPHIC WAVEGUIDE BACKLIGHT AND RELATED METHODS OF MANUFACTURE
US20200386947A1 (en) 2019-06-07 2020-12-10 Digilens Inc. Waveguides Incorporating Transmissive and Reflective Gratings and Related Methods of Manufacturing
JP2022543571A (ja) 2019-07-29 2022-10-13 ディジレ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画素化されたディスプレイの画像解像度および視野を乗算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2775783B1 (ko) 2019-08-29 2025-02-28 디지렌즈 인코포레이티드. 진공 격자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2060673A1 (en) 2020-09-16 2022-03-24 Reald Spark, Llc Vehicle external illumination device
WO2022140763A1 (en) 2020-12-21 2022-06-30 Digilens Inc. Eye glow suppression in waveguide based displays
US12158612B2 (en) 2021-03-05 2024-12-03 Digilens Inc. Evacuated periodic structur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US11966049B2 (en) 2022-08-02 2024-04-23 Reald Spark, Llc Pupil tracking near-eye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09351A (en) * 1966-02-07 1968-11-05 Douglas F. Winnek Composite stereography
US3674921A (en) * 1969-11-12 1972-07-04 Rca Corp Three-dimensional television system
US4562463A (en) * 1981-05-15 1985-12-31 Stereographics Corp. Stereoscopic television system with field storage for sequential display of right and left images
JP2614280B2 (ja) * 1988-08-17 1997-05-28 キヤノン株式会社 液晶装置
US5416510A (en) * 1991-08-28 1995-05-16 Stereographics Corporation Camera controller for stereoscopic video system
US5519794A (en) * 1994-04-01 1996-05-21 Rotaventure L.L.C. Computer-generated autostereography method and apparatus
US7190518B1 (en) * 1996-01-22 2007-03-13 3Ality, Inc. Systems for and methods of three dimensional viewing
US6366281B1 (en) * 1996-12-06 2002-04-02 Stereographics Corporation Synthetic panoramagram
US6816158B1 (en) * 1998-10-30 2004-11-09 Lemelson Jerome H Three-dimensional display system
GB9900231D0 (en) * 1999-01-07 1999-02-24 Street Graham S B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viewing zones
KR100351805B1 (ko) * 1999-09-09 2002-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US6519088B1 (en) * 2000-01-21 2003-02-11 Stereographic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ximizing the viewing zone of a lenticular stereogram
JP3692273B2 (ja) * 2000-02-03 2005-09-0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一次放射器
US20040218269A1 (en) * 2002-01-14 2004-11-04 Divelbiss Adam W. General purpose stereoscopic 3D format conversion system and method
US7154528B2 (en) * 2002-09-18 2006-12-26 Mccoy Randall E Apparatus for placing primary image in registration with lenticular lens in system for using binocular fusing to produce secondary 3D image from primary image
JP4272464B2 (ja) * 2003-05-02 2009-06-03 日本放送協会 立体映像補正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05110010A (ja) * 2003-09-30 2005-04-21 Toshiba Corp 立体画像生成方法および立体画像表示装置
US7616227B2 (en) * 2003-10-02 2009-11-10 Real D Hardware based interdigitation
KR101335172B1 (ko) * 2005-10-27 2013-12-05 리얼디 인크. 자동입체영상 렌티큘라 어레이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의차동 팽창에 대한 온도 보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521137A (ja) 2009-05-28
US20070109401A1 (en) 2007-05-17
EP1949341A4 (en) 2011-09-28
WO2007059054A2 (en) 2007-05-24
EP1949341A2 (en) 2008-07-30
WO2007059054A3 (en) 2007-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70854A (ko) 통합된 상호맞물림화를 갖춘 모니터
JP5465430B2 (ja) オートステレオスコピック視域の角度範囲の制御
US9838674B2 (en) Multi-view autostereoscopic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timal viewing distance thereof
CN100481964C (zh) 立体显示装置
US81890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ndering virtual see-through scenes on single or tiled displays
CN103562775B (zh) 影像显示装置及影像显示方法
Ezra et al. New autostereoscopic display system
JP4328311B2 (ja) 三次元画像表示用多視点画像の作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60203085A1 (en) There dimensional image signal producing circuit and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US20120176474A1 (en) Rotational adjustment for stereo viewing
JPWO2004084560A1 (ja) 立体映像撮影表示システム
JP2005331844A (ja) 立体画像表示方法、立体画像撮像方法及び立体画像表示装置
CN102789058A (zh) 立体图像生成装置和立体图像生成方法
JP2010524309A (ja) 三次元表示する方法および構成
US2001001050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s
JP2006115198A (ja) 立体画像生成プログラム、立体画像生成システムおよび立体画像生成方法
CN103686133A (zh) 一种用于裸眼立体显示器的图像补偿装置及其方法
KR102670407B1 (ko)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장치
CN208257981U (zh) 一种基于子像素的led裸眼3d显示装置
Woodgate et al. Autostereoscopic 3D display systems with observer tracking
JP2004264858A (ja) 立体映像表示装置
JP2013527932A (ja) 自動立体ディスプレイ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5376558A (zh) 多视图图像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WO2007085194A1 (fr) Dispositif d'affichage d'image stéréo faisant appel à un obturateur à cristaux liquides et procédé d'affichage de ce dernier
CN102116937B (zh) 用于显示三维图像的装置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0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