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0544A - buckle - Google Patents
buck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70544A KR20080070544A KR1020080007299A KR20080007299A KR20080070544A KR 20080070544 A KR20080070544 A KR 20080070544A KR 1020080007299 A KR1020080007299 A KR 1020080007299A KR 20080007299 A KR20080007299 A KR 20080007299A KR 20080070544 A KR20080070544 A KR 2008007054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le member
- leg
- female member
- protruding
- buck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A44B11/26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with at least one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and perpendicularly to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action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471—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 Y10T24/45524—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 Y10T24/45529—Requiring manual force applied against bias to interlock or disengag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471—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 Y10T24/45524—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 Y10T24/45529—Requiring manual force applied against bias to interlock or disengage
- Y10T24/45534—Requiring manual force applied against bias to interlock or disengage having connected leading edge and separated trailing arm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471—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 Y10T24/45524—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 Y10T24/45545—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forming total external surface of projection
- Y10T24/45581—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forming total external surface of projection having inserted end formed by oppositely biased surface segments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형 부재(A)와 암형 부재(B)를 구비한다. 수형 부재는 기초부(10)와, 이 기초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다리부(20)와, 이 각 다리부에 설치되어 암형 부재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25)를 구비한다. 기초부는 다리부의 돌출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된 돌출부(14)를 갖고, 돌출부의 표리면에는 오목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5)는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 전단부(15A)와 삽입 방향 후단부(15B)를 갖고, 전단부는 실질적으로 기초부의 표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를 갖고, 후단부는 실질적으로 전단부와 후단부를 접속하는 면 중에서 가장 낮게 형성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le member (A) and a female member (B). The male member includes a base portion 10, a pair of leg portions 20 protruding from the base portion, and a coupling portion 25 provided at each leg portion to be coupled to the female member. The base portion has a protrusion 14 protruding in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leg portion, and a recess 15 is formed on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protrusion. The recess 15 has an insertion direction front end 15A and an insertion direction rear end 15B of the male member A, the front end portion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as the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substantially the front end portion. It is formed lowest in the surface which connects and a rear end part.
버클, 수형 부재, 암형 부재, 다리부, 돌출부 Buckle, male member, female member, leg, protrus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형 부재와 암형 부재를 구비한 버클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1개의 끈 형상 부재의 양단부, 혹은 2개의 끈 형상 부재끼리를 연결, 분리하기 위해 이용되는 버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ckle having a male member and a female member.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ckle used for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both ends of one string-like member or two string-shaped members.
1개의 끈 형상 부재의 양단부, 혹은 2개의 끈 형상 부재끼리를 연결, 분리하는 수단으로서, 버클이 이용되고 있다.A buckle is used as a means for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both ends of one string member or two string members.
종래의 버클은 플러그와 소켓으로 구성되고, 소켓의 플러그 삽입구와 플러그의 기초부를 직선 형상으로 형성하고, 소켓과 플러그의 맞댐면을 직선 형상으로 한 버클이 일반적이다. 이에 대해, 플러그의 삽입 안내 기능이나 플러그 삽입 후의 덜걱거림을 억제하기 위해, 소켓과 플러그의 맞댐면에 있어서, 서로 끼워 맞추는 볼록부 및 오목부를 형성한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The conventional buckle consists of a plug and a socket, and the plug insertion hole of a socket and the base part of a plug are formed in a straight line shape, and the buckle which made the socket and plug abutment surface into a straight line form is common.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uppress the insertion guide function of a plug and the rattling after a plug insertion, the structure which provided the convex part and the recessed part which fit together in the butt | matching surface of a socket and a plug is proposed.
예를 들어, 문헌 1(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305112호 공보)에는 소켓과 플러그의 맞댐면에 있어서, 플러그측에 삽입 방향을 향해 돌출된 중앙 다리가 형성되고, 소켓측에 플러그측의 중앙 다리를 수납하는 V 형상 컷아웃이 형성된 버클이 개시되어 있다. 중앙 다리는 폭 방향 치수가 삽입 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좁 아진 삼각 형상이고, 외주연을 따라서 베이스(플러그의 기초부)의 두께와 대략 동등한 두께의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들 내저면에는 메쉬 형상의 스크린이 형성되어 있다.For example, in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5-305112), a center leg that protrudes toward the insertion direction is formed on the plug side at the mating surface of the socket and the plug, and the center of the plug side on the socket side. A buckle with a V-shaped cutout for receiving a leg is disclosed. The center leg is a triangular shape that is gradually narrowed as the width direction is directed to the insertion direction, and ribs having a thickness approximately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base (base of the plug) ar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and at the inner bottom thereof, a mesh shape is formed. The screen of is formed.
문헌 2(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101915호 공보)에는 소켓과 플러그의 맞댐면에 있어서, 플러그측에 삽입 방향을 향해 돌출된 볼록부가 형성되고, 소켓측에 플러그측의 볼록부를 수납하는 오목부가 형성된 버클이 개시되어 있다. 볼록부는 폭 방향 치수가 삽입 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이고, 표리면이 플러그의 기초부(다리부의 기초부)의 표리면과 대략 동일한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다.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2-101915) has a convex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insertion direction on the plug side on the mating surface of the socket and the plug, and a concave portion accommodating the convex portion on the plug side on the socket side. A buckle formed is disclosed. The convex portion has a trapezoidal shape that gradually narrows as the widthwise dimension thereof faces the insertion direction, and the front and back surfaces are formed in a flat surfac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base portion (base portion of the foot) of the plug.
종래의 버클은, 플러그를 소켓에 삽입하여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통상, 한쪽 손의 손가락(엄지 손가락, 집게 손가락, 가운데 손가락)으로 플러그의 측면을 집고, 다른 쪽 손의 손가락(엄지 손가락, 집게 손가락, 가운데 손가락)으로 소켓의 측면을 집어 플러그를 소켓에 삽입하는 경우가 많다.Conventional buckles generally use the fingers of one hand (thumbs, forefingers, middle fingers) to pin the sides of the plug in order to insert the plug into the socket and engage the fingers of the other hand (thumbs, forefingers, The middle finger is often used to pin the sides of the socket and insert the plug into the socket.
그런데, 상기 문헌 1이나 문헌 2와 같은 형상을 가진 버클의 경우, 소켓과 플러그의 맞댐면에 있어서, 플러그의 기초부측에 폭이 넓고, 또한 삽입 방향을 향해 돌출된 중앙 다리나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부분(즉, 플러그의 표리면)을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으로 집어서 삽입하는 조작을 행하는 경우도 있다.By the way, in the case of the buckle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above-mentioned
그러나, 상술한 문헌 1이나 문헌 2와 같은 형상에서는 플러그의 표리면을 집기 어렵다.However, it is difficult to pick up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plug in the same shape as in
예를 들어, 상기 문헌 1에서는 중앙 다리가, 삼각 형상의 외주연을 따라서 베이스의 두께와 대략 동등한 두께의 리브가 형성된 구성이므로, 집는 손가락이 맞게 되기 어렵고, 특히 강하게 집으면, 리브에 의해 손가락에 압박감이 부여된다.For example, in the
또한, 상기 문헌 2에서는 볼록부의 표리면이 플러그의 기초부(다리부의 기초부)의 표리면과 대략 동일한 평탄면이므로, 손가락이 기초부로부터 어긋나기 쉬워 정확한 위치에서 집기 어려운 동시에, 플러그의 삽입 시에 미끄러지기 쉽다는 과제가 있다.Further, in the
본 발명의 주목적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여, 수형 부재의 표리면을 집어서 조작하는 경우라도 집기 쉬운 버클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and provide a buckle that is easy to pick up even when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male member are picked up and operated.
본 발명의 버클은 수형 부재와, 이 수형 부재가 삽입 결합되는 암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수형 부재는 끈 형상 부재를 설치 가능한 기초부와, 이 기초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다리부와, 이 각 다리부에 설치되어 상기 암형 부재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초부는 상기 다리부가 돌출 형성된 측으로부터 상기 다리부의 돌출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갖고, 상기 돌출부의 표리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수형 부재의 삽입 방향 전단부와 삽입 방향 후단부를 갖고, 상기 전단부는 실질적으로 상기 기초부의 표리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를 갖고, 상기 후단부는 실질적으로 상기 전단부와 후단부를 접속하는 면 중에서 가장 낮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uck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le member, a female member into which the male member is inserted and coupled, and the male member includes a foundation portion on which a string member can be installed, a pair of legs protruding from the foundation portion, A coupling portion provided at each leg portion and coupled to the female member, the base portion having a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protrusion direction of the leg portion from a side where the leg portion protrudes, and a concave portion is formed on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protrusion portion; At least one of the concave portions has an insertion direction front end portion and an insertion direction rear end portion of the male member, the front end portion has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as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base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is substantially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lowest in the surface which connects a part.
여기서, 「상기 전단부는 실질적으로 상기 기초부의 표리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를 갖고,」라 함은, 전단부가 기초부의 표리면을 실질적으로 구성하는 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것을 말한다. 즉, 「실질적으로 상기 기초부의 표리면」이라 함은, 기초부의 표리면에 미끄럼 방지 등의 요철을 형성한 경우나, 두께 감소 구멍(홈) 등을 형성한 경우 등에 있어서, 요철면이나 두께 감소 구멍(홈)의 저면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front end part has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as the front and back surface of the said base part," means that the front end part has the substantially same height as the surface which comprises the front and back surface of a base part substantially. That is, "substantially the front and back surface of the said base part" means the uneven surface and thickness reduction in the case where the unevenness | corrugation of anti-slip etc. are formed in the front and back surface of the base part, the case of forming a thickness reducing hole (groove), etc. It does not include the bottom of the hole (groove).
마찬가지로, 「상기 후단부는 실질적으로 상기 전단부와 후단부를 접속하는 면 중에서 가장 낮게 형성되고」라 함은, 후단부가 전단부와 후단부를 접속하는 면을 실질적으로 구성하는 면 중에서 가장 낮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즉, 「실질적으로 상기 전단부와 후단부를 접속하는 면」이라 함은, 전단부와 후단부를 접속하는 면에 미끄럼 방지 등의 요철을 형성한 경우나, 두께 감소 구멍(홈) 등을 형성한 경우 등에 있어서, 요철면이나 두께 감소 구멍(홈)의 저면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Similarly, "the rear end is formed the lowest among the surfaces connecting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substantially" means that the rear end is formed the lowest among the surfaces substantially forming the surface connecting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Say. In other words, the "substantially connecting the front end part and the rear end part" means the case where irregularities such as anti-slip or the like are formed on the surface connecting the front end part and the rear end part, or when a thickness reducing hole (groove) is formed. Etc., it does not include the uneven surface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thickness reducing hole (groove).
이 구성에 따르면, 수형 부재의 기초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다리부를 암형 부재에 삽입하면, 각 다리부에 설치된 결합부가 암형 부재에 결합됨으로써, 수형 부재가 암형 부재에 결합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a pair of leg portions protruding from the base portion of the male member is inserted into the female member, the coupling portion provided in each leg portion is coupled to the female member, whereby the male member is coupled to the female member.
이 삽입 조작 시에 있어서, 수형 부재의 기초부에는 다리부의 돌출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의 표리면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오목부에 손가락을 대면, 수형 부재의 표리면을 집어서 조작하는 경우 라도 집기 쉽다.At the time of this insertion operation, since the protrusion part which protruded toward the protrusion direction of the leg part is formed in the base part of the male member, and the recess part is formed in the front and back surface of this protrusion part, when a finger is placed on this recess part, It is easy to pick up even if you pick and operate the handle.
특히, 오목부 중 적어도 한쪽은 수형 부재의 삽입 방향 전단부와 삽입 방향 후단부를 갖고, 전단부는 실질적으로 기초부의 표리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를 갖고, 후단부는 실질적으로 전단부와 후단부를 접속하는 면 중에서 가장 낮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즉 전단부보다 후단부가 낮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형 부재의 삽입 방향 후단부로부터 손가락을 대면, 오목부의 형상이 손가락의 배의 불룩한 곳에 합치하는 동시에, 그 손가락으로 수형 부재에 삽입 방향으로의 압입력을 부여해도, 손가락이 오목부로부터 어긋나기 어려워, 확실하게 삽입 조작할 수 있다.In particular, at least one of the concave portions has an insertion direction front end portion and an insertion direction rear end portion of the male member, the front end portion has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as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base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is substantially among the surfaces connecting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Since it is formed lowest, that is, the rear end portion is formed lower than the front end portion, when a finger is touched from the rear end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male member, the shape of the concave portion coincides with the bulge of the abdomen of the finger and is inserted into the male member with the finger. Even if the pushing force is applied in the direction, the finger is hardly displaced from the recess, and the insertion operation can be performed reliably.
본 발명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암형 부재는 상기 수형 부재가 삽입되는 삽입구에 상기 돌출부를 수납하는 확대 개방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buckl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emale member has an enlarged opening for accommodating the protrusion in the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male member is inserted.
본 구성에 따르면, 수형 부재를 암형 부재에 삽입하면, 수형 부재의 돌출부가 암형 부재의 확대 개방부에 수납되므로, 의장적으로도 깔끔한 인상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플러그 삽입 방향의 버클의 길이 치수를 짧게 할 수 있어, 소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male member is inserted into the female member, the protrusion of the male member is accommodated in the enlarged opening of the female member, so that a neat impression can be obtained, and the length dimension of the buckle in the plug insertion direction can be obtained. It can be shortened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miniaturized.
본 발명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에는 상기 돌출부에 인접하여 상기 끈 형상 부재가 삽입되는 끈 설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끈 설치 구멍이 상기 돌출부의 오목부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 공간에 연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buck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portion is formed with a string installation hole through which the string-shaped member is inserted adjacent to the protrusion, and the string installation hole communicates with a recess space formed by the recess of the protrusion. It is desirable to have.
본 구성에 따르면, 기초부에는 돌출부에 인접하여 끈 형상 부재가 삽입되는 끈 설치 구멍이 형성되고, 이 끈 설치 구멍이 돌출부의 오목부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 공간에 연통되어 있으므로, 손가락을 오목부 공간에 넣기 쉽다. 즉, 수형 부 재의 삽입 방향 후단부로부터 손가락을 대면, 손가락의 배가 끈 설치 구멍으로부터 오목부 공간에 적합하므로, 손가락을 오목부 공간에 넣기 쉽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since a string installation hole into which the string member is inserted adjacent to the protrusion part is formed, and this string installation hole communicates with the recess space formed by the recess of the protrusion part, the finger is recessed. Easy to put in space That is, when a finger is touched from the rear end of the male member in the insertion direction, the finger is suitable for the recess space from the mounting hole of the tummy, so that the finger is easily placed in the recess space.
본 발명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확대 개방부는 상기 수형 부재 및 암형 부재의 각각의 표리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buck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enlarged opening portion are preferably formed on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male member and the female member.
본 구성에 따르면, 수형 부재 및 암형 부재의 표리면에 돌출부와 확대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손의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으로 수형 부재 및 암형 부재의 표리면을 확실하게 집을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since the protrusion part and the enlarged opening part are formed in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male member and the female member,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male member and the female member can be reliably picked up by the thumb and the index finger of each hand.
본 발명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오목부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buckl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cave portion of the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in a curved shape.
본 구성에 따르면, 돌출부의 오목부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손가락이 오목부의 곡면 형상에 맞게 되기 쉽고, 또한 수형 부재의 삽입 시에도 어긋나기 어렵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since the recessed part of the protrusion part is formed in the curved shape, a finger becomes easy to match the curved shape of a recessed part, and it is hard to shift | deviate also at the time of insertion of a male member.
본 발명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오목부는 상기 수형 부재의 폭 방향 대략 중앙 위치이고, 또한 후단부측이 가장 낮고, 이 가장 낮은 위치로부터 전단부를 향해 점차 높아지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buckl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cave portion of the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urved surface which is approximately the center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le member, the rear end side is the lowest, and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lowest position toward the front end portion. .
본 구성에 따르면, 돌출부의 오목부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즉 돌출부의 오목부 형상이 손가락의 배의 형상에 합치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손가락이 오목부에 맞게 되기 쉽고, 또한 수형 부재의 삽입 시에도 어긋나기 어렵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concave portion of the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in a curved shape, that is, the concave portion of the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in a curved shape conforming to the shape of the belly of the finger, the finger is likely to fit into the concave portion, and also the male member. It is hard to slip off when inserting.
본 발명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암형 부재의 표리면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 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buckle of this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ecessed part is formed in the edge part on the opposite side to the said insertion opening in the front and back surface of the said female member.
본 구성에 따르면,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으로 암형 부재의 표리면을 집는 경우라도, 암형 부재의 표리면에 있어서, 개구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집기 쉽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even when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a female member are picked up by a thumb and an index finger, since the recessed part is formed in the front and back of the female member on the opposite side to an opening part, it is easy to pick up.
본 발명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전단부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buckl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end of the concave portion is formed in an arc shape.
본 구성에 따르면, 오목부의 전단부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즉 손가락의 선단부 형상에 합치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손가락을 오목부에 맞게 하기 쉽고, 또한 손가락이 오목부로부터 비어져 나오기 어렵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since the front end of the concave portion is formed in an arc shape, that is, it is formed in a shape conforming to the shape of the tip of the finger, the finger is easy to fit into the concave portion, and the finger is hard to protrude from the concave portion.
본 발명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수형 부재의 각 다리부에 설치된 결합부를 상기 암형 부재의 피결합부로 안내하는 가이드 홈이, 상기 암형 부재의 피결합부로부터 확대 개방부의 대향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buck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engaging portions provided on the respective leg portions of the male member to the engaged portion of the female member is formed from the engaged portion of the female member over the opposing face of the enlarged opening portion. desirable.
본 구성에 따르면, 수형 부재를 암형 부재에 삽입하면, 수형 부재의 각 다리부에 설치된 결합부는 암형 부재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의해 피결합부로 안내되어 피결합부에 결합된다. 이때, 가이드 홈은 암형 부재의 피결합부로부터 확대 개방부의 대향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형 부재가 암형 부재에 삽입된 초기 위치로부터 결합되는 최종 위치까지 수형 부재의 삽입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male member is inserted into the female member, the engaging portions provided in the respective leg portions of the male member are guided to the engaged portion by the guide grooves formed in the female member and are coupled to the engaged portion. At this time, since the guide groove is formed from the engaged portion of the female member to the opposite surface of the enlarged opening,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male member can be guided from the initial position where the male member is inserted into the female member to the final position where it is engaged.
본 발명의 버클은 수형 부재와, 이 수형 부재가 삽입 결합되는 암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수형 부재는 끈 형상 부재를 설치 가능한 기초부와, 이 기초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다리부와, 이 각 다리부에 설치되어 상기 암형 부재에 결 합 가능한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초부는 상기 다리부가 돌출 형성된 측으로부터 상기 다리부의 돌출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갖고, 상기 암형 부재는 상기 수형 부재가 삽입되는 삽입구에 상기 돌출부를 수납하는 확대 개방부를 갖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확대 개방부의 대향면 중 적어도 돌출부의 대향면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돌출부는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uck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le member, a female member into which the male member is inserted and coupled, and the male member includes a foundation portion on which a string member can be installed, a pair of legs protruding from the foundation portion, A coupling portion provided on each leg portion and coupled to the female member, and the base portion has a protrusion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protrusion direction of the leg portion from a side where the leg portion protrudes, wherein the male member is inserted into the male member. It has an enlarged opening part which accommodates the said protrusion part in the insertion opening to be formed, At least the opposing surface of the protrusion part among the opposing surfaces of the said protrusion part and the said enlarged opening part is formed in circular arc shape, The protrusion part is formed in concave shape,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본 구성에 따르면, 상술한 버클과 동등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effect equivalent to the buckle mentioned above can be expected.
본 발명에 따르면, 수형 부재의 표리면을 집어서 조작하는 경우라도 집기 쉬운 버클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uckle that is easy to pick up even when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male member are picked up and operated.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실시 형태의 설명><Description of Embodiment>
도1은 본 실시 형태의 버클의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실시 형태의 버클의 분리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3은 도2의 III-III선 단면도, 도4는 도2의 IV-IV선 단면도, 도5는 암형 부재의 후단부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uck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etached state of the buck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FIG. 2, and FIG. 4 is a line IV-IV of FIG. 5 is a view showing the rear end face of the female member.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버클(1)은 끈 형상 부재의 단부(2, 3)를 연결,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된 수형 부재(A)와, 마찬가지로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수형 부재(A)가 삽입 결합되는 암형 부재(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수형 부재(A) 및 암형 부재(B)의 재료에 대해서는, 합성 수지로 한정되지 않고, 금속 등의 다른 재료라도 좋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수형 부재(A)는 기초부(10)와, 이 기초부(10)의 폭 방향[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양측으로부터 서로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고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구체적으로는,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한 쌍의 다리부(20)와, 이 다리부(20) 사이에 이들과 평행하게 돌출 설치된 1개의 지지 부재(30)를 구비하고 있다.The male member A protrudes in parallel to each other from both sides of the
기초부(10)에는 내부 중앙부에 끈 형상 부재의 단부(2)가 삽입 걸림되는 끈 설치부로서의 끈 설치 구멍(11)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 끈이 삽입 관통되는 끈 설치 구멍(11)의 외주 프레임 중, 다리부(20)가 돌출 형성된 측의 프레임에 돌출부(14)가 형성되어 있다. 끈 설치 구멍(11)의 중간이며 기초부(10)의 폭 방향으로 연결 레버(12)가 외주 프레임에 가교되고, 이 연결 레버(12)에 의해 끈 설치 구멍(11)이, 다리부(20)가 설치된 삽입 방향 전단부측과 그것과는 반대측의 삽입 방향 후단부측의 2개의 끈 설치 구멍(11A, 11B)으로 분할되어 있다. 이에 의해, 끈 형상 부재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The
돌출부(14)는 한 쌍의 다리부(20) 사이에 있어서, 기초부(10)의 다리부(20)가 돌출 형성된 측으로부터 다리부(20)의 돌출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형 부재(A)를 암형 부재(B)에 삽입하는 삽입 방향 전단부 모서리가 손가락의 선단부 윤곽 형상에 대략 합치하도록, 기초부(10)의 폭 방향 양단부로부터 중앙을 향함에 따라서 돌출량이 점차 커지는 원호 형상(보다 상세하게는, 포물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protruding
돌출부(14)의 표면에는 오목부(1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표면이라 함은,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 및 폭 방향에 대해 평행한 면 중 한쪽 측면(구체적으로는 도3의 좌측면)을 가리킨다. 또한, 이면이라 함은, 표면과는 반대측면(구체적으로는 도3의 우측면)을 가리킨다. 오목부(15)는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 전단부(15A)와 삽입 방향 후단부(15B)를 갖는다. 전단부(15A)는 수형 부재(A)의 표면에서 볼 때, 돌출부(14)의 전단부 윤곽 형상과 동일한 원호 형상의 부분을 나타내고, 보다 정확하게는 돌출부(14)의 양측 부분이 후단부(15B)까지 도달하는 포물선 형상이고, 수형 부재(A)의 표면측의 높이가 실질적으로 기초부(10)의 표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후단부(15B)는 수형 부재(A)의 표면에서 볼 때, 삽입 방향에 대해 대략 직교 방향[기초부(10)의 폭 방향]으로 신장하는 직선부를 갖고, 그 중앙 부분이 삽입 방향을 향해 완만하게 원호 형상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형상[돌출부(14)의 후단부 중앙 부분이 우묵하게 들어간 형상]이고, 수형 부재(A)의 표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수형 부재(A)의 폭 방향 대략 중앙 위치가 가장 낮고, 양단부를 향함에 따라서 기초부(10)의 표면에 근접하는 원호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The recessed
전단부(15A)와 후단부(15B)를 접속하는 면[오목부(15)의 표면]은 후단부(15B)의 폭 방향 중앙 위치가 가장 낮고, 이 가장 낮은 위치로부터 전단부(15A)를 향해 점차 높아지는 곡면 형상(포물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손가락의 배 형상에 합치하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surface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15) connecting the
오목부(15)의 후단부(15B)는 돌출부(14)에 인접하는 끈 설치 구멍(11)의 전단부벽을 구성하고 있다. 그로 인해, 끈 설치 구멍(11)이 오목부(15)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 공간에 연통되어 있다.The
돌출부(14)의 이면에도 오목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7)도 오목부(15)의 형상과 동일하다. 단, 오목부(17)의 전단부(17A)의 내측 윤곽선을 따라서, 가는 폭 형상의 두께 감소 홈(16)이 형성되어 있는 점이 오목부(15)와는 다르다.The recessed
다리부(20)는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에 대해 내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외측 다리 부재(21) 및 내측 다리 부재(22)와, 이 외측 다리 부재(21) 및 내측 다리 부재(22)의 선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선단부 연결자(24)를 갖는다. 내측 다리 부재(22)는 외측 다리 부재(21)보다 중앙측에 형성되고, 내외 탄성 변형 방향의 두께가 외측 다리 부재(21)의 내외 탄성 변형 방향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다.The
외측 다리 부재(21)는 기초부(10)의 양측으로부터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고, 중간 위치로부터 선단부를 향해 내측으로 완만한 원호로 만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내측 다리 부재(22)는 기단부가 돌출부(14)의 대략 중간 부근에 위치되고, 기단부로부터 선단부를 향함에 따라서 외측 다리 부재(21)에 접근하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고, 외측 다리 부재(21)에 근접한 후 외측 다리 부재(2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만곡되고, 다시 삽입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선단부 연결자(24)는 외측 다리 부재(21) 및 내측 다리 부재(22)의 선단부 연결부로부터 더 선단부를 향함에 따라서 점차 좁은 폭으로 형성되고, 그 선단부 표리면측에 선단부 연결자(24)의 표리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결합부(25)를 갖고 있다. 선단부 연결자(24)의 외측 윤곽 모서리로부터 이것과 연속하는 외측 다리 부 재(21)의 외측 윤곽 모서리의 중간 위치에 걸쳐서 조작부(27)가 형성되어 있다.The
지지 부재(30)는 돌출부(14)의 선단부로부터 한 쌍의 다리부(20)와 평행하게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표리면 중앙에 지지 홈(32)이 지지 부재(30)의 돌출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The
암형 부재(B)는 표리면을 구성하는 표측벽(40B), 이측벽(40C) 및 이들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벽(40A)을 갖는 편평 통 형상의 암형 부재 본체(40)를 구비한다.The female member B includes a flat cylindrical
암형 부재 본체(40) 중, 수형 부재(A)의 삽입측과는 반대측에는 끈 형상 부재의 단부(3)가 삽입 걸림되는 끈 설치부로서의 끈 설치 구멍(41) 및 연결 레버(41A)가 형성되고, 수형 부재(A)의 삽입측에는 수형 부재(A)의 다리부(20) 및 지지 부재(30)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43)이 형성되어 있다.On the side opposite to the insertion side of the male member A of the female member
삽입 구멍(43)의 개구부, 즉 암형 부재(B)의 삽입구(43A)를 형성하는 표리벽(40B, 40C)에는 중앙 부분이 내부를 향해 우묵하게 들어간 원호 형상(포물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수형 부재(A)의 돌출부(14)가 들어가는 확대 개방부(42A)가 형성되어 있다.The front and
암형 부재 본체(40)의 확대 개방부(42A)와는 반대측의 단부 표리면에는 끈 설치 구멍(41)에 인접하여 오목부(51, 52)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오목부(51, 52)도 수형 부재(A)의 오목부(15, 17)와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 암형 부재(B)에 대해서는 오목부(51)의 후단부(51B)의 높이 위치보다 연결 레버(41A)의 표면이 낮아지도록, 반대로, 오목부(52)의 후단부(52B)의 높이 위치보다 연결 레버(41A)의 이면이 높아지도록 연결 레버(41A)의 두께가 조정되어 있다. 끈 설치 구멍(41)을 사이에 두고, 오목부(51)와 연결 레버(41A)의 표면이 대략 연속되는 면을 구성하도록 형성되고, 또한 오목부(52)와 연결 레버(41A)의 이면이 대략 연속되는 면을 구성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끈 형상 부재의 단부(3)를 통과한 상태라도, 암형 부재(B)의 표리면을 집는 손가락을 오목부(51, 52)로부터 연결 레버(41A)의 표리면으로 맞게 할 수 있다.
삽입 구멍(43)의 안측부 양 측벽에는, 도2나 도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형 부재(A)의 조작부(27)를 외표면으로 노출시키는 다리부용 개구부(45)가 형성되어 있다. 다리부용 개구부(45)는 삽입 구멍(43)이 형성된 암형 부재 본체(40)의 주위벽 중, 측벽(40A)으로부터 표리벽(40B, 40C) 내부를 향해 오목 곡면 형상으로 절결되어 있다.On both side walls of the inner side of the
다리부용 개구부(45)보다 삽입 구멍(43)의 안측부이며 표리벽(40B, 40C)의 내측에는 오목 형상의 피결합부(46)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각 다리부(20)에 설치된 결합부(25)를 피결합부(46)로 안내하는 가이드 홈(47)이, 확대 개방부(42A)의 양단부를 포함하는 측면으로부터 피결합부(46)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홈(47)은 확대 개방부(42A)로부터 피결합부(46)를 향해 폭 방향 치수가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다리부(20)는 암형 부재(B)에 삽입됨에 따라서, 삽입 방향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방향(내측)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삽입된 후, 피결합부(46)에 결합된다.A concave engaging
또한, 표리벽(40B, 40C)의 내면에는 지지 부재(30)의 지지 홈(32)에 끼워 맞추는 돌기(48)가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버클의 결합 상태에 있어서, 버클 본체에 외력이 가해져도 수형 부재를 암형 부재 내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Moreover, the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수형 부재(A)를 암형 부재(B)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한쪽 손의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으로 수형 부재(A)의 표리면을 집고, 다른 쪽 손의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으로 암형 부재(B)의 표리면을 집는다.In such a configuration, in order to couple the male member A to the female member B, first,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male member A are picked up with the thumb and the index finger of one hand, The index finger picks up the front and back of the female member B.
이때, 수형 부재(A)의 표리면에는 기초부(10)로부터 돌출 형성된 돌출부(14)의 표리면에 오목부(15, 17)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들 오목부(15, 17)에 엄지 손가락 및 집게 손가락을 대면, 수형 부재(A)의 표리면을 집어서 조작하는 경우라도 집기 쉽다. 또한, 암형 부재(B)의 표리면에도 오목부(51, 5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다른 쪽 손의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을 댈 수 있으므로, 마찬가지로 암형 부재(B)의 표리면을 집기 쉽다.At this time, since the
특히, 오목부(15, 17)는 곡면 형상, 소위 원형 오목부(circular recess)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 전단부(15A, 17A)와 삽입 방향 후단부(15B, 17B)를 갖고, 전단부(15A, 17A)는 기초부(10)의 표리면, 또는 암형 부재(B)의 표리벽(40B, 40C)의 표리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를 갖고, 후단부(15B, 17B)는 폭 방향 대략 중앙 위치가 가장 낮고, 이 위치로부터 전단부(15A, 17A)를 향해 방사 형상으로 점차 높아지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전단부(15A, 17A)보다 후단부(15B, 17B)가 낮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 후단부로부터 손가락을 대면, 오목부 표면 형상이 손가락의 배의 불룩한 곳에 합치하는 동시에, 그 손가락으로 수형 부재(A)에 삽입 방향으로의 압입력을 부여해도 손가락이 오목부(15, 17)로부터 어긋나기 어렵다. 따라서, 이들 오목부(15, 17)를 손가락으로 집으면서 확실하게 삽입 조작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게다가, 기초부(10)에는 돌출부(14)에 인접하여 끈 설치 구멍(11)이 형성되고, 이 끈 설치 구멍(11)이 돌출부(14)의 오목부(15, 17)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 공간에 연통되어 있으므로, 손가락을 오목부(15, 17)의 공간에 넣기 쉽다. 즉,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 후단부로부터 손가락을 대면, 손가락의 배가 끈 설치 구멍(11)으로부터 오목부 공간에 적합하므로, 손가락을 오목부 공간에 넣기 쉽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하여, 수형 부재(A)와 암형 부재(B)를 집은 후, 수형 부재(A)를 암형 부재(B)에 삽입한다. 그러면, 다리부(20)의 선단부에 형성된 결합부(25)가 가이드 홈(47)의 내측으로 안내되면서 삽입된다. 가이드 홈(47)은 암형 부재(B)의 안측을 향해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다리부(20)가 삽입 방향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방향(내측)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삽입되어 간다.In this manner, after the male member A and the female member B are picked up, the male member A is inserted into the female member B. FIG. Then, the
이때, 외측 다리 부재(21)는 기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지만, 내측 다리 부재(22)는 근본 부분의 굴곡부가 더 굴곡되면서 내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내측 다리 부재(22)는 외측 다리 부재(21)보다도 두께가 얇고, 내측으로 변형되기 쉬운 구성이므로, 큰 힘을 필요로 하지 않고 다리부(20)가 변형된다. 즉, 가벼운 힘으로 조작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곧, 다리부(20)의 결합부(25)가 암형 부재(B)의 피결합부(46)를 넘는 위치까지 수형 부재(A)가 삽입되면,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어 있던 다리부(20)가 원래의 상태로 탄성 복귀되므로(외측으로 복귀되므로), 다리부(20)의 결합부(25)가 암형 부재(B)의 피결합부(46)에 결합된다.In other words, when the male member A is inserted to the position where the engaging
이에 의해,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형 부재(A)를 암형 부재(B)에 결합할 수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암형 부재(B)의 확대 개방부(42A)에 수형 부재(A)의 돌출부(14)가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거의 간극 없이 끼워 맞춘 상태가 되므로, 덜걱거림도 적은 동시에, 의장적으로도 깔끔한 인상을 얻을 수 있다. 덧붙여서 말하면, 암형 부재(B)에 확대 개방부(42A)가 없는 경우, 버클의 플러그 삽입 방향 치수가 길어지는 결점이 있다.Thereby, the male member A can be coupled to the female member B as shown in FIG. In this state, since the
수형 부재(A)를 암형 부재(B)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는, 암형 부재(B)의 다리부용 개구부(45)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다리부(20)의 조작부(27)를 내측으로 압박한다. 그러면, 수형 부재(A)의 다리부(20)가 내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이때에도, 다리부(20)는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므로, 가벼운 힘으로 조작할 수 있다.In order to remove the male member A from the female member B, the
그러면, 결합부(25)가 피결합부(46)로부터 제거되므로, 이 상태에 있어서, 수형 부재(A)를 암형 부재(B)로부터 인발하면, 수형 부재(A)를 암형 부재(B)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Then, since the engaging
<변형예의 설명><Description of Modifica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조의 버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과 같은 변형예도 포함한다.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buckle of the structure demonstrated by said embodiment, The following modified example is also included.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돌출부(14)의 전단부 형상 및 오목부(15, 17, 51, 52)의 전단부 형상을 원호 형상으로 하였지만, 손가락의 선단부 부분이 넣어지는 형상 이면, 다른 형상이라도 좋다. 예를 들어,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14)의 형상 및 오목부(15)의 형상을, 후단부(15B)가 저변, 전단부(15A)가 상변이 되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오목부(15, 17)의 내저면 형상은 곡면 형상이 아닌,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높이가 동일한 평탄한 홈부로 되어 있다.In the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front end shape of the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오목부(15, 17, 51, 52)의 표리면에 미끄럼 방지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하도록 해도 좋다.In the said embodiment, you may make surface treatment, such as anti-skid, on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recessed
예를 들어,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15, 17)의 곡면 상에, 단면 반원 형상이고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18A)를 후단부로부터 선단부를 향하는 일정 간격 위치에 설치해도 좋다. 혹은,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15, 17)의 곡면 상에 단면 반원 형상이고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18B)을, 후단부로부터 선단부를 향하는 일정한 간격 위치에 형성해도 좋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on the curved surfaces of the
이와 같이 하면, 수형 부재(A)를 암형 부재(B)에 삽입 결합시킬 때에, 손가락이 오목부(15, 17)로부터 미끄러지기 어려워지므로, 확실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male member A is inserted into the female member B, the finger is less likely to slide from the
또한,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15, 17)의 곡면 상에 단면 반원 형상이고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18B)을 형성한 경우, 홈(18B)의 저부가, 오목부(15, 17)의 후단부와 전단부를 접속하는 면 중에서 가장 낮아지는 경우가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when the
본 발명의 오목부의 설명에 관하여, 「후단부는 실질적으로 상기 전단부와 후단부를 접속하는 면 중에서 가장 낮게 형성되고,」의 「면」이라 함은, 이와 같은 표면 처리 형상에서 생기는 요철면을 포함하는 것이 아닌, 전단부와 후단부를 접속하는 면을 실질적으로 구성하고 있는 면을 말한다.Regarding the description of the concave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end portion is formed substantially the lowest among the surfaces connecting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and the term "surface" includes an uneven surface generated in such a surface treatment shape. Instead, it refers to a surface that substantially constitutes a surface connecting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마찬가지로, 오목부(17)에는 두께 감소 홈(16)이 형성되어 있지만, 이 두께 감소 홈(16)의 저면에 대해서는, 「실질적으로 상기 전단부와 후단부를 접속하는 면」은 아니다.Similarly, although the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부(15, 17, 51, 52)를 곡면 형상으로 하였지만, 곡면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단부(15B, 17B)로부터 전단부(15A, 17A)를 향해 점차 높아지는 경사면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도 미끄럼 방지 등의 요철 처리나 두께 감소 홈 등의 처리를 실시해도 좋다.In the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recessed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부(15, 17)를 모두 동일 형상으로 하였지만, 이들 오목부(15, 17)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해, 전단부가 실질적으로 기초부(10)의 표면 또는 이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이고, 후단부가 실질적으로 전단부와 후단부를 접속하는 면 중에서 가장 낮게 형성된 형상이라도, 상기 실시 형태와 거의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all of the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부(15, 17)의 후단부(15B, 17B)를, 실질적으로 전단부(15A, 17A)와 후단부(15B, 17B)를 접속하는 면 중에서 가장 낮게 형성하였지만, 예를 들어,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14)의 표리면측이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중간 위치가 전단부(15A, 17A)와 후단부(15B, 17B)를 접속하는 면 중에서 가장 낮은 오목 형상이라도 좋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rear ends 15B and 17B of the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암형 부재(B)의 표리면에 확대 개방부(42A)를 형성하였지만, 확대 개방부(42A)에 대해서는 반드시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In the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expanded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형 부재(A)의 결합부(25)가 암형 부재(B)의 삽입 구멍(43)의 안측부에 설치한 피결합부(46)에 결합하는 구조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성이라도 좋다. 예를 들어, 암형 부재(B)의 다리부용 개구부(45)에 결합하도록 수형 부재(A)의 다리부(20)의 외측에 결합부를 설치하고, 수형 부재(A)가 암형 부재(B)에 결합되는 구조라도 좋다.In the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engaging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형 부재(A) 및 암형 부재(B)에 각각 끈 설치부로서의 끈 설치 구멍(11, 41)을 형성하였지만, 암형 부재(B)에 대해서는 끈 설치 구멍(41)이 없어도 좋다. 즉, 암형 부재(B)의 암형 부재 본체(40)를 직접 다른 부재에 고정하도록 해도 좋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또한, 끈 형상 부재로서는, 띠 형상의 벨트로 한정되지 않고, 폭이 가는 끈이라도 좋다.In addition, as a string member, it is not limited to a belt | belt-shaped belt, A width | variety string may be sufficient.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형 부재(A) 및 암형 부재(B)를 합성 수지에 의해 성형(사출 성형, 혹은 사출 압축 성형)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금속 등으로 형성해도 좋다.In the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male member A and the female member B were shape | molded (injection molding or injection compression molding) with the synthetic resin, you may form with a metal etc. without being limited to this.
이상, 본 발명에 관하여, 적합한 실시 형태 및 각종 변형예를 예로 들었지만, 이들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구성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ed examples were mentioned about this invention, of course, you may comprise combining these suitably.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버클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ckl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상기 실시 형태의 버클의 분리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Fig. 2 is a parti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detached state of the buckle of the above embodiment.
도3은 도2의 III-III선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FIG. 2;
도4는 도2의 IV-IV선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2;
도5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암형 부재의 후단부면을 도시하는 도면.Fig. 5 is a diagram showing a rear end face of the female member in the above embodiment.
도6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버클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Fig. 6 is a parti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engaged state of the buckle in the above embodiment.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버클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n engaged state of a buckl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은 도7의 VIII-VIII선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I-VIII in FIG. 7;
도9는 본 발명에 있어서, 오목부에 돌기를 형성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in which protrusions are formed in recesses in the present invention.
도10은 본 발명에 있어서, 오목부에 홈을 형성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Fig. 10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in which a groove is formed in the recess in the present invention.
도11은 본 발명에 있어서, 오목부를 경사면으로 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in which the recess is an inclined surface in the present invention.
도12는 본 발명에 있어서, 오목부를 오목 형상으로 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in which the concave portion is concave in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버클1: buckle
10 : 기초부10: foundation
12 : 연결 레버12: connecting lever
14 : 돌출부14: protrusion
15, 17, 51, 52 : 오목부15, 17, 51, 52: recess
20 : 다리부20: leg
25 : 결합부25: coupling part
27 : 조작부27: control panel
30 : 가이드 부재30: guide member
32 : 가이드 홈32: guide groove
Claims (10)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7-00014705 | 2007-01-25 | ||
JP2007014705A JP2008178570A (en) | 2007-01-25 | 2007-01-25 | buck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70544A true KR20080070544A (en) | 2008-07-30 |
Family
ID=39628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07299A Ceased KR20080070544A (en) | 2007-01-25 | 2008-01-24 | buckle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080178438A1 (en) |
JP (1) | JP2008178570A (en) |
KR (1) | KR20080070544A (en) |
CN (1) | CN101228980B (en) |
DE (1) | DE102008006058A1 (en) |
TW (1) | TW200913921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0438B1 (en) * | 2009-05-23 | 2012-04-30 | 백지숙 | buckle |
KR101241560B1 (en) * | 2010-06-07 | 2013-03-11 |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buckle |
KR101253442B1 (en) * | 2010-06-07 | 2013-04-11 |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Buckl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763217B2 (en) | 2008-10-03 | 2014-07-01 | Ykk Corporation | Buckle |
WO2010113247A1 (en) * | 2009-03-31 | 2010-10-07 | Ykk株式会社 | Side release buckle |
CN103211355B (en) * | 2009-03-31 | 2015-09-30 | Ykk株式会社 | Button is opened on side |
WO2011039857A1 (en) * | 2009-09-30 | 2011-04-07 | Ykk株式会社 | Side release buckle |
WO2011115267A1 (en) * | 2010-03-19 | 2011-09-22 | モリト株式会社 | Buckle |
JP2011254928A (en) * | 2010-06-07 | 2011-12-22 | Nifco Inc | Buckle |
ES2440065B1 (en) * | 2012-04-27 | 2015-03-10 | Illinois Tool Works | Quick fixation device in panels |
DE112012006425B4 (en) * | 2012-05-25 | 2018-03-01 | Ykk Corporation | clasp |
US8863362B2 (en) * | 2012-08-27 | 2014-10-21 | Bison Designs, Llc | Side squeeze buckle with integrated LED light |
US9833720B2 (en) * | 2015-06-22 | 2017-12-05 | Kma Concepts Limited | Clip launcher system with interconnecting projectile |
USD799370S1 (en) * | 2016-01-12 | 2017-10-10 | Woojin Plastic Co., Ltd | Female receptacle of buckle |
JP6634346B2 (en) * | 2016-06-02 | 2020-01-22 | Ykk株式会社 | buckle |
EP3672441B1 (en) * | 2017-09-27 | 2021-07-28 | Globe (Jiangsu) Co., Ltd. | Chest buckle for a harness |
US10617180B1 (en) * | 2018-10-25 | 2020-04-14 | Ying-Chuan Yen | Metal body buckle |
JP7376283B2 (en) * | 2019-08-27 | 2023-11-08 | Ykk株式会社 | Buckles and buckle male parts |
US11044970B1 (en) * | 2020-03-30 | 2021-06-29 | Duraflex Hong Kong Limited | Attachment system with quick release |
US11219281B1 (en) * | 2020-12-09 | 2022-01-11 | Duraflex Hong Kong Limited | Buckle assembly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983734B1 (en) | 1988-07-15 | 2001-10-24 | Anatomic Research, Inc. | Shoe sole structures with tapering thickness in a horizontal plane |
JP3701187B2 (en) | 2000-09-27 | 2005-09-28 | Ykk株式会社 | buckle |
US7020939B2 (en) | 2004-04-23 | 2006-04-04 | Joseph Anscher | Separable buckle |
US7100252B2 (en) * | 2005-01-31 | 2006-09-05 | Joseph Anscher | Dual locking buckle |
-
2007
- 2007-01-25 JP JP2007014705A patent/JP2008178570A/en not_active Withdrawn
-
2008
- 2008-01-24 US US12/019,055 patent/US20080178438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8-01-24 KR KR1020080007299A patent/KR20080070544A/en not_active Ceased
- 2008-01-24 TW TW097102676A patent/TW200913921A/en unknown
- 2008-01-25 DE DE102008006058A patent/DE102008006058A1/en not_active Withdrawn
- 2008-01-25 CN CN2008100090144A patent/CN101228980B/en active Active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0438B1 (en) * | 2009-05-23 | 2012-04-30 | 백지숙 | buckle |
KR101241560B1 (en) * | 2010-06-07 | 2013-03-11 |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buckle |
KR101253442B1 (en) * | 2010-06-07 | 2013-04-11 |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Buck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0913921A (en) | 2009-04-01 |
US20080178438A1 (en) | 2008-07-31 |
CN101228980B (en) | 2010-06-16 |
JP2008178570A (en) | 2008-08-07 |
DE102008006058A1 (en) | 2008-08-21 |
CN101228980A (en) | 2008-07-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80070544A (en) | buckle | |
KR100992297B1 (en) | buckle | |
KR101421912B1 (en) | Buckle | |
JP4769597B2 (en) | buckle | |
KR970007149B1 (en) | buckle | |
JP4148836B2 (en) | buckle | |
WO2010038308A1 (en) | Buckle | |
KR19980087244A (en) | Side release buckle with retention strap | |
TWI511680B (en) | Buckle | |
KR101140438B1 (en) | buckle | |
CN113163904B (en) | Plug for buckle and buckle | |
US10588383B2 (en) | Buckle | |
JP3892363B2 (en) | buckle | |
JP3780497B2 (en) | Synthetic resin buckle | |
TWI543718B (en) | Buckle | |
CN110973780A (en) | Quick release mechanism of wrist-worn device and wrist-worn device | |
KR100290646B1 (en) | Male Closure | |
KR960014736B1 (en) | Buckle | |
HK1126631B (en) | Buck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1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003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11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