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68491A - 터치 방식 정보 입력 단말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방식 정보 입력 단말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8491A
KR20080068491A KR1020070006333A KR20070006333A KR20080068491A KR 20080068491 A KR20080068491 A KR 20080068491A KR 1020070006333 A KR1020070006333 A KR 1020070006333A KR 20070006333 A KR20070006333 A KR 20070006333A KR 20080068491 A KR20080068491 A KR 20080068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input
information
touch
contro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6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6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8491A/ko
Priority to US11/746,124 priority patent/US9001046B2/en
Priority to EP20070009695 priority patent/EP1947555A3/en
Priority to CN 200710105096 priority patent/CN101227669B/zh
Priority to EP08000852.7A priority patent/EP1947561B1/en
Priority to US12/015,943 priority patent/US8448082B2/en
Priority to TW097102102A priority patent/TWI454962B/zh
Priority to CN200810004690.2A priority patent/CN101226539B/zh
Priority to BRPI0800031-0A priority patent/BRPI0800031A/pt
Publication of KR20080068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8491A/ko
Priority to US13/777,809 priority patent/US8516388B2/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방식 정보 입력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터치 방식으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 영역과, 상기 입력받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 및 특정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영역을 제공하는 터치 입력 디바이스; 및 상기 입력 영역을 통해 상기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하며, 상기 제어 영역의 제어 입력에 따라 상기 정보의 입력과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영역은 상기 표시 영역 또는 상기 제어 영역에 겹쳐지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경량화와 소형화를 지향하는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 터치 스크린 이외에 별도의 키버튼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보다 큰 터치 스크린 영역을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터치 스크린, 입력 영역, 표시 영역, 제어 영역, 인디케이터, 문자, 이미지

Description

터치 방식 정보 입력 단말기 및 그 방법{Touch type information inputting terminal,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 정보 입력 단말기의 외관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 정보 입력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정보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단말기의 초기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정보 입력 창을 통해 알림 표지를 표시하는 정보 입력 모드의 초기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사용자의 필기에 의해 문자를 입력받아 정보 입력 창에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7a는 사용자의 필기에 의한 그림을 입력받아 정보 입력 창에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7b는 키패드를 통해 정보를 입력받아 정보 입력 창에 표시하는 화면을 나 타낸 도면,
도 8은 메시지 전송시 사용자의 필기에 의해 수신자 번호를 입력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메시지 전송시 사용자의 필기에 의해 메시지 내용을 입력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0a 내지 도 10d는 메시지 전송시 메시지 작성을 위한 가이드 화면을 나나타낸 도면,
도 11은 메시지 입력시 메시지가 표시 영역을 벗어나 스크롤바 영역으로 넘어가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메시지 입력시 메시지가 표시 영역을 벗어나 상단 영역에 작성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메시지 입력시 메시지가 표시 영역을 벗어나 하단 영역에 작성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14는 메시지 입력시 메시지가 표시 영역을 벗어나 제어 영역에 작성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정보 입력 단말기 110 : 터치 스크린
112 : 인디케이터 영역 114 : 표시 영역
116 : 입력 영역 118 : 제어 영역
120 : 본체 130 : 전원버튼
210 : 통신부 220 : 제어부
230 : 저장부 240 : 프로그램부
410 :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510 : 정보 입력 창
610 : 작성된 문자 710 : 작성된 그림
810 : 수신번호 입력 창 910 : 메시지 입력 창
920 : 제어 영역 1010 : 텍스트 안내문
1020 : 블링크 1030 : 팝업
1040 : 수신번호 입력창 1110 : 스크롤바 영역
1210 : 상단 영역 1310 : 하단 영역
1410 : 제어 영역
본 발명은 터치 방식 정보 입력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는 개인 휴대 통신기기로서의 역할과 개인 정보 관리기기와 같은 정보 처리 기기로서의 역할이 보다 더 증대되었다.
이러한 역할을 만족하는 예로 전화번호부 기능, 스케줄 관리 기능, 개인 정보 관리 기능 등을 포함하는 부가 기능이 있다. 이러한 부가 기능들은 모두 다 정 보 처리에 있어 다양한 종류 및 형태의 문자 입력을 필요로 하였다.
따라서,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문자 입력을 비롯하여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을 뿐만 아니라 입력받은 정보를 표시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표시하는 정보의 크기나 종류, 색상 등을 설정하거나 다른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 버튼들을 별도로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경량화와 소형화를 지향하는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들은 보다 큰 터치 스크린 영역을 구비하길 원하지만 단말기가 터치 스크린 이외에 별도의 키버튼을 구비해야 됨에 따라 터치 스크린의 크기가 작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내에 입력 영역과 표시 영역 뿐만 아니라 제어 영역을 구비함으로써, 보다 큰 터치 스크린 영역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 방식 정보 입력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방식 정보 입력 단말기는, 터치 방식으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 영역과, 상기 입력받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 및 특정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영역을 제공하는 터치 입력 디바이스; 및 상기 입력 영역을 통해 상기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하며, 상기 제어 영역의 제어 입력에 따라 상기 정보의 입력과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영역은 상기 표시 영역 또는 상기 제어 영역에 겹쳐지게 제공된다.
또한, 상기 입력 영역은 상기 표시 영역과 전부 겹쳐지게 제공된다.
또한, 상기 표시 영역이 상기 입력 영역의 일부에 겹쳐지거나, 상기 입력 영역이 상기 표시 영역의 일부에 겹쳐지게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어 영역은 상기 입력 영역이 전부 겹쳐지게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어 영역이 상기 입력 영역의 일부에 겹쳐지거나, 상기 입력 영역이 상기 제어 영역의 일부에 겹쳐지게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어 영역은 사용자로부터 제어를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 영역으로 활성화되며, 정보/데이터 입력을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 영역이 비활성화되고 상기 입력 영역으로 전환된다.
또한, 상기 제어 영역은 상기 입력 영역과 별개의 위치에 제공된다.
또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안테나의 수신 강도와 배터리의 남은 양,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 영역(Indicator Area)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역의 어느 터치 지점에 대한 터치 시간이 기준치 이하이면, 정보 입력 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커서(Cursor)를 상기 터치 지점 에 위치시켜 표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영역의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터치 스크린 상으로 표시되는 상기 정보의 크기, 종류, 색상을 지정하기 위한 메뉴를 상기 터치 스크린 상으로 표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초기에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어느 영역을 터치해야 정보 입력 모드가 활성화되는지를 안내(Guide)하는 알림 표지(Information Sign)를 표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알림 표지는 팝업(Pop-up) 화면으로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초기에 상기 입력 영역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입력 창(Information Input Window)을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일정 위치에 표시하고, 정보 입력 모드의 활성화를 안내하는 알림 표지를 상기 정보 입력 창에 표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 표지를 블링크(Blink), 색상, 텍스트(Text), 아이콘(Icon) 중 하나의 형태로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 입력 창 이외의 영역이 터치되면, 상기 정보 입력 모드의 활성화가 불가함을 안내하는 에러 표지를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러 표지를 블링크(Blink), 색상, 텍스트(Text), 아이콘(Icon) 중 하나의 형태로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 정보 입력 단말기의 외관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입력 단말기(100)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110), 본체(Body)(120), 전원버튼(Power Button)(130), 특정 버튼(132) 및 기능 버튼(134)을 포함한다.
여기서, 터치 스크린(110)은 인디케이터 영역(Indicator Area)(112), 표시 영역(Display Area)(114), 입력 영역(Input Area)(116) 및 제어 영역(Control Area)(118)을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110)은 터치 방식으로 정보를 입력받거나, 입력받은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터치 스크린(110)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실행 결과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정보는 문자와 숫자, 기호, 그림, 이미지, 오디오, 동영 상 등을 포함한다.
또한, 터치 스크린(110)은 사용자에 의해 터치 입력된 정보를 본체(120)로 전달한다.
본체(120)는 터치 스크린(110)으로부터 전달받은 정보, 즉 터치된 지점들이 이루는 형상을 인식하여 터치 스크린(110)의 표시 영역(114)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전원버튼(130)은 단말기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킨다. 여기서, 전원버튼(130)은 단말기의 전면부에 위치하고 있으나, 단말기의 전면부가 아닌 측면부나 다른 곳에 위치시킬 수 있다.
예비 버튼(132, 134)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거나, 여러 가지 기능을 선택하여 입력할 때 이용한다. 예비 버튼(132, 134)은 일반적인 키버튼으로 구현할 수 있고, 터치 스크린(110)을 연장한 키버튼으로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입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 영역(112)은 안테나의 수신 강도와 배터리 전원의 남은 양, 메시지의 수신 여부 등을 표시한다.
터치 스크린(110)은 입력 영역(116)을 표시 영역(114) 또는 제어 영역(118)에 겹쳐지게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입력 영역(116)은 표시 영역(114)에 전부 겹쳐지게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입력 영역(116)은 표시 영역(114)에 겹쳐진 상태로 표시 영역(114)과 동일한 크기의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입력 영역(116)은 표시 영역(114)의 일부에 겹쳐지게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입력 영역(116)은 표시 영역(114)과 일부 겹쳐진 상태로 표시 영역(114)과 동일한 크기를 갖거나 표시 영역(114) 보다 더 작은 크기의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입력 영역(116)은 제어 영역(118)과 전부 겹쳐지게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어 영역(118)은 입력 영역(116)과 겹쳐진 상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어 영역(118)은 입력 영역(116)의 일부에 겹쳐지게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어 영역(118)은 입력 영역(116)과 일부 겹쳐진 상태로 입력 영역(116)과 동일한 크기의 영역을 갖거나 입력 영역(116) 보다 더 작은 크기의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입력 영역(116)은 제어 영역(118)의 일부에 겹쳐지게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입력 영역(116)은 제어 영역(118)과 일부 겹쳐진 상태로 제어 영역(118)과 동일한 크기의 영역을 갖거나 제어 영역(118)보다 더 작은 크기의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입력 영역(116)은 사용자의 필기에 따라 터치된 지점들을 정보로 입력받고, 표시 영역(114)은 입력 영역(116)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표시하거나 단말기의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한다.
또한, 제어 영역(118)은 표시 영역(114)으로 출력되는 정보의 크기와 종류, 색상 등을 지정하는 메뉴를 제공하거나, 입력 영역(116)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의 크기, 종류, 색상 등을 지정하는 메뉴를 제공한다. 또한, 제어 영역(118)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어 영역(118)은 통화 메뉴(
Figure 112007005932538-PAT00001
), 이메일/문자 메뉴(
Figure 112007005932538-PAT00002
), 검색 메뉴(
Figure 112007005932538-PAT00003
), 기타 메뉴(
Figure 112007005932538-PAT00004
)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영역(118)은 입력 영역(116)의 일부 영역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제어 영역(118)이 입력 영역(116) 내에 포함됨에 따라 입력 영역(116)은 제어 영역(118)을 포함한 터치 스크린(110) 상의 모든 영역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영역(118)은 입력 영역(116)과 별개의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즉, 제어 영역(118)이 입력 영역(116)에서 제외됨에 따라 입력 영역(116)은 제어 영역(118)을 제외한 터치 스크린(110) 상의 모든 영역이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식 정보 입력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입력 단말기(100)는 터치 스크린(110), 통신부(210), 제어부(220), 저장부(230) 및 프로그램부(240)를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110)은 입력 영역(116)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정보 또는 조작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220)로 전달한다. 또한, 터치 스크린(110)은 표시 영역(114)을 통해 정보를 표시하거나, 제어부(220)의 명령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를 표시한다.
통신부(210)는 단말기가 이동 단말기인 경우에 이동 통신망을 통해 다른 이동 단말기와 전화 통화에 관한 음성 신호 및 멀티미디어에 관한 데이터 등을 송수 신한다.
제어부(2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영역(116)을 통해 정보를 입력받아 표시 영역(114)으로 표시하거나, 정보의 입력과 표시에 관한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정보의 입력과 표시에 관한 제어 동작은 표시 영역(114)으로 출력되는 정보의 크기와 종류, 색상 등을 설정하거나, 입력 영역(116)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의 크기, 종류, 색상 등을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저장부(230)는 다양한 형태를 갖는 다수의 이미지 또는 아이콘을 저장하고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터치 스크린(110)으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저장한다.
프로그램부(240)는 터치 스크린(110)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기호 및 문자로 인식하기 위한 기호/문자 인식 알고리즘에 관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또한, 프로그램부(240)는 일반적인 OS(Operating System)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터치 스크린(110)이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는 시간에 대한 기준치를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제어부(220)는 입력 영역(116)의 어느 터치 지점에 대한 터치 시간이 기준치 이하이면, 정보 입력 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커서(Cursor)를 터치 지점에 위치시킨다. 그러나, 입력 영역(116)의 어느 터치 지점에 대한 터치 시간이 기준치 이상이면, 제어부(220)는 입력 영역(116)으로부터 사용자의 터치에 따른 정보를 입력받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정보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사용자가 정보 입력 단말기(100)에 구비된 전원버튼(130)을 누름에 따라 단말기의 전원이 온(ON) 된다.
이에 따라, 정보 입력 단말기(100)는 일반적인 OS 프로그램을 구동하게 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영역(114)을 통해 단말기의 초기 화면을 제공한다. 도 4는 단말기의 초기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서, 단말기의 초기 화면은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각 아이콘을 바탕 화면에 제공한다. 여기서, 바탕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들 중에는 사용자의 필기를 입력받을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예컨대, 문자(SMS) 전송, 일정(Schedule) 관리, 메모(Memo) 작성 등에 관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41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아이콘(410)을 터치함에 따라 정보 입력 단말기(100)가 정보 입력 모드로 진입한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정보 입력 모드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정보를 입력받거나, 표시 영역(114)으로 키패드를 제공하여 키패드를 통해 정보를 입력받는 동작 모드를 포함한다.
정보 입력 단말기(100)에서, 터치 스크린(110)의 표시 영역(114)을 통해 제공된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중에 정보 입력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410)이 터치되면, 제어부(220)는 정보 입력 모드를 시작한다(S302).
이때, 제어부(220)는 정보 입력 모드를 시작하는 초기 화면에 대하여, 터치 스크린(110) 상의 어느 영역을 터치해야 정보 입력 모드가 활성화되는지를 안내(Guide)하는 알림 표지(Inform Sign)를 표시 영역(114)으로 표시한다(S304).
여기서, 알림 표지는 팝업(Pop-up)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영역(116)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표시해 주는 정보 입력 창(Information Input Window)(510)을 터치 스크린(110) 상의 일정 위치(예컨대, 상측)에 표시하고, 정보 입력 모드의 활성화를 안내하는 알림 표지를 정보 입력 창에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정보 입력 창을 통해 알림 표지를 표시하는 정보 입력 모드의 초기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20)는 정보 입력 모드의 활성화를 안내하는 예컨대, "필기 입력시 여기를 클릭하세요!"라는 문구를 알림 표지로 표시 영역(114)에 표시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표시 영역(114)은 입력 영역(116)과 동일한 크기의 영역을 갖는다.
이때, 제어부(220)는 알림 표지를 블링크(Blink), 색상(Color), 텍스트(Text), 아이콘(Icon) 중 하나의 형태로 터치 스크린(11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표시 영역(114)에 제공된 정보 입력 창(510)이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면, 입력 영역(116)으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정보 입력 모드를 활성화시킨다(S306).
그러나, 제어부(220)는 정보 입력 창(510)이 터치되지 않고 정보 입력 창(510) 이외의 영역이 터치되면, 정보 입력 모드의 활성화가 불가함을 안내하는 에러 표지(Error Sign)를 터치 스크린(110) 상의 표시 영역(114)으로 표시한다(S308).
이때, 제어부(220)는 에러 표지를 블링크, 색상, 텍스트, 아이콘 중 하나의 형태로 터치 스크린 상의 표시 영역(114)으로 표시할 수 있다. 물론, 제어부(220)는 에러 표지를 팝업 화면으로 표시 영역(114)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에러 표지를 표시한 이후에 정보 입력 모드의 활성화를 위해 정보 입력 창(510)이 터치되어야 함을 안내하는 알림 표지를 표시 영역(114)에 표시하고, 터치 대상이 되는 정보 입력 창(510)을 블링크 또는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220)는 터치 스크린(110) 상의 입력 영역(116)으로부터 사용자 터치에 따른 정보를 입력받는다(S310).
이때, 제어부(220)는 터치 스크린(110) 상의 제어 영역(118)에 있는 다수의 메뉴 중에 키입력에 관한 메뉴가 터치되면, 예컨대, QWERTY형 키패드를 표시 영역(114)으로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키패드를 통해 정보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입력 영역(116)의 어느 터치 지점에 대한 터치 시간이 기준치 이하이면, 정보 입력 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커서(Cursor)를 터치 스크린(110) 상의 터치 지점에 위치시켜 표시해 준다.
그러나, 제어부(220)는 입력 영역(116)의 어느 터치 지점에 대한 터치 시간이 기준치 이상이면, 필기 입력으로 인식하여 입력 영역(116)의 터치에 따른 정보를 입력받는다.
사용자는 손가락 또는 가이드 스틱(Guide Stick)을 입력 영역(116)에 터치한 상태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하고자 하는 정보, 예컨대, "로얄특허"라고 쓰게(Write) 된다. 도 6은 사용자의 필기에 의해 문자를 입력받아 정보 입력 창에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입력 영역(116)으로부터 정보가 입력되면(S312), 제어부(220)는 기호/문자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입력된 정보가 문자인지를 인식한다(S314).
즉, 제어부(220)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 스크린(110) 상의 입력 영역(116)에 터치된 터치 지점들이 이루는 형상이 기호나 문자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입력 영역(116)을 통해 입력된 정보가 문자에 해당하는 경우(S316), 제어부(220)는 입력된 문자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입력 창(510)에 표시한다(S318). 따라서, 사용자는 정보 입력 창(510)에 표시되는 내용을 통해 자신이 필기하여 입력한 정보가 정확하게 입력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어부(220)는 사용자에 의한 제어 영역(118)의 터치 입력에 따라 정보 입력을 위한 정보의 크기, 종류, 색상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터치 스크린(110) 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어 영역(118)의 메뉴를 통해 입력하고자 하는 기호나 문자의 크기와 글씨체, 색상 등을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터치 스크린(110) 상으로 표시되는 정보의 크기, 종류, 색상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제어 영역(118)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어 영역(118)의 메뉴를 통해 표시 영역(114)으로 표시되는 기호나 문자의 크기와 글씨체 및 색상 등을 지정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10)의 입력 영역(116)을 통해 그림(710)을 그려 입력시킬 수 있다. 도 7a는 사용자의 필기에 의한 그림을 입력받아 정보 입력 창에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입력 영역(116)으로부터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220)는 기호/문자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입력된 정보가 문자인지를 인식한다.
제어부(220)는 기호/문자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터치 스크린(110) 상의 입력 영역(116)에 터치된 터치 지점들이 이루는 형상이 기호나 문자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에, 그림(Picture) 또는 이미지(Image)로 인식하고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정보를 그림 또는 이미지로 입력받아 정보 입력 창(510)에 표시한다(S320).
이때, 제어부(22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입력 영역(116)을 통해 입력된 정보가 저장부(230)에 저장되어 있는 그림 또는 이미지 중의 하나에 해당되는 경우에, 저장부(230)로부터 해당 그림 또는 이미지를 읽어와 정보 입력 창(510)에 기 입력된 문자와 함께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문자와 함께 이미지를 입력할 수 있으며, 단말기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이미지 이외에 사용자가 작성한 이미지를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터치 스크린(110)의 입력 영역(116)을 통해 입력된 정보가 이미지에 해당하는 경우에, 해당 이미지를 저장부(230)에 저장해 둘 수 있다. 이때, 이미지는 그 크기를 줄여도 원래의 형상이 깨지지 않는 벡터 방식의 이미지를 포함한다.
제어부(220)는 입력 영역(116)을 통해 입력된 이미지를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입력 창(510)에 문자와 함께 표시할 때, 문자가 갖는 크기와 동일한 크 기로 표시하거나, 제어 영역(118)에 있는 메뉴의 선택에 따라 다른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제어 영역(118)에 있는 메뉴의 선택에 따라 정보 입력 창(510)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색상을 설정할 수 있다.
도 7b는 키패드를 통해 정보를 입력받아 정보 입력 창에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를 참조하면, 제어부(220)는 터치 스크린(110) 상의 제어 영역(118)에 있는 다수의 메뉴 중에 키입력에 관한 메뉴가 터치되면, 키패드를(720) 표시 영역(114)으로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키패드(720)를 통해 정보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키패드(720)를 통해 예컨대, "로얄특허"라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도 8은 메시지 전송시 사용자의 필기에 의해 수신자 번호를 입력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정보 입력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이메일(E-mail)에 관한 메시지를 전송할 때, 수신번호 입력창(810)에 수신번호를 필기로 입력할 수 있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신번호 입력창(810)을 통해 필기로 "010-1234-5678"을 입력한 경우에, 제어부(220)는 수신번호 입력창(810)에 터치되어 입력된 "010-1234-5678" 정보를 기호/문자 인식 알고리즘을 통하여 숫자로 인식한다.
따라서, 제어부(220)는 기호/문자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인식된 "010-1234-5678" 정보를 정보 입력 창(510)에 해당 숫자로 입력한다.
도 9는 메시지 전송시 사용자의 필기에 의해 메시지 내용을 입력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정보 입력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이메일(E-mail)에 관한 메시지를 전송할 때, 메시지 입력 창(910)에 메시지 내용을 필기로 입력할 수 있다.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메시지 입력 창(910)을 통해 필기로 "로얄특허"를 입력한 경우에, 제어부(220)는 메시지 입력 창(910)에 터치되어 입력된 "로얄특허" 정보를 기호/문자 인식 알고리즘을 통하여 문자로 인식한다.
이때, 사용자의 필기에 의해 그림이 그려지는 경우에, 제어부(220)는 기호/문자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해당 그림이 문자로 인식되지 않음에 따라 해당 그림을 이미지로 입력한다.
한편, 사용자는 제어 영역(920)에 표시된 다수의 제어 버튼을 통하여 입력하는 메시지의 크기나 종류, 색상 등을 지정할 수 있으며, 특수 문자 등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20)는 사용자의 필기에 따른 메시지의 입력시, 제어 영역(920)에 표시된 제어 버튼의 선택에 따라 메시지 입력 창(910)을 통해 입력된 메시지를 변환하여 입력하게 된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메시지 전송시 메시지 작성을 위한 가이드 화면을 나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제어부(22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신자 지정 모드로 진입할 경우에, 터치 입력 가능 영역을 안내하는 예컨대, "여기를 터치하세요"라는 텍스트 안내문(1010)을 표시한다.
이후, 사용자에 의해 텍스트 안내문(1010)이 터치되면, 제어부(220)는 도 10d에 도시된 화면과 같이 수신번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수신번호 입력창(1040)을 활성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신번호 입력창(1040)을 통해 필기로 수신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입력 가능 영역을 안내(Guide)하는 블링크(1020)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수신번호를 입력하는 화면에서 블링크(1020)를 터치하게 되고, 제어부(220)는 사용자에 의해 블링크(1020)가 터치되면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번호 입력창(1040)을 활성화시키게 된다.
또한, 제어부(220)는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입력 가능 영역을 안내하는 팝업(Pop-up)(1030)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터치하세요"라는 내용으로 팝업(1030)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수신번호를 입력하는 화면에서 팝업(1030)을 터치하게 되고, 제어부(220)는 사용자에 의해 팝업(1030)이 터치되면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번호 입력창(1040)을 활성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신번호 입력창(1040)을 통해 필기로 수신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도 11은 메시지 입력시 메시지가 표시 영역을 벗어나 스크롤바 영역으로 넘 어가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SMS, MMS, 이메일에 관한 메시지를 필기로 작성하는 중에, 작성되는 정보가 화면의 표시 영역을 벗어나 스크롤바(Scroll Bar) 영역(1110)으로 넘어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영역을 포함한 터치 스크린(110)의 모든 영역이 입력 영역인 경우에, 제어부(220)는 스크롤바 영역(1110)으로 넘어가 작성되는 예컨대 "가"인 정보도 문자로 인식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20)는 스크롤바 영역(1110)으로 넘어가 작성된 "가"라는 정보를 입력받아 표시 영역에 표시한다.
도 12는 메시지 입력시 메시지가 표시 영역을 벗어나 상단 영역에 작성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단말기의 화면에 나타난 영역 내에서 메시지의 내용을 작성하려고 하지만, 때에 따라 화면에 나타난 영역을 벗어나 상단 영역(1210)에 작성할 수 있다. 이때, 상단 영역(1210)을 포함한 터치 스크린(110)의 모든 영역이 입력 영역인 경우에, 제어부(220)는 상단 영역(1210)에 작성되는 예컨대, "나"라는 정보를 문자로 인식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20)는 상단 영역(1210)에 작성된 "나"라는 정보를 입력받아 표시 영역에 표시한다.
도 13은 메시지 입력시 메시지가 표시 영역을 벗어나 하단 영역에 작성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메시지 작성시 단말기의 표시 영역을 벗어나 하단 영역(1310)에 작성하는 경우에, 제어부(220)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작성된 예 컨대, "다"라는 정보를 문자로 인식하여 표시 영역에 표시한다. 이때, 입력 영역은 표시 영역보다 더 큰 영역을 가지거나, 표시 영역을 포함해 터치 스크린(110)의 모든 영역일 수 있다.
도 14는 메시지 입력시 메시지가 표시 영역을 벗어나 제어 영역에 작성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메시지를 작성하는 중에 표시 영역을 벗어나 제어 영역(1410)에 예컨대, "라"라는 정보를 작성하는 경우, 제어부(220)는 제어 영역(1410)에 작성된 "라"라는 정보를 문자로 인식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제어 영역(1410)은 입력된 정보의 크기, 종류, 색상을 지정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하지만, 입력 영역 내에 포함되어 입력 영역의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전술한 도 11 내지 도 14를 통해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입력 단말기(100)는 터치 입력 인식 가능 영역이 표시 영역 이외에 스크롤바 영역(1110), 인디케이터 영역(1210), 하단 영역(1310), 제어 영역(1410)까지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터치 스크린에 정보를 입력받는 영역과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 및 정보를 제어하는 영역을 구비하여, 보다 큰 터치 스크린 영역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 방식 정보 입력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 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경량화와 소형화를 지향하는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 터치 스크린 이외에 별도의 키버튼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보다 큰 터치 스크린 영역을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6)

  1. 터치 방식으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 영역과, 상기 입력받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 및 특정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영역을 제공하는 터치 입력 디바이스; 및
    상기 입력 영역을 통해 상기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하며, 상기 제어 영역의 제어 입력에 따라 상기 정보의 입력과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영역은 상기 표시 영역 또는 상기 제어 영역에 겹쳐지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방식 정보 입력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역은 상기 표시 영역과 전부 겹쳐지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방식 정보 입력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이 상기 입력 영역의 일부에 겹쳐지거나, 상기 입력 영역이 상기 표시 영역의 일부에 겹쳐지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방식 정보 입력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영역은 상기 입력 영역이 전부 겹쳐지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방식 정보 입력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영역이 상기 입력 영역의 일부에 겹쳐지거나, 상기 입력 영역이 상기 제어 영역의 일부에 겹쳐지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방식 정보 입력 단말기.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영역은 사용자로부터 제어를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 영역으로 활성화되며, 정보/데이터 입력을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 영역이 비활성화되고 상기 입력 영역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방식 정보 입력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영역은 상기 입력 영역과 별개의 위치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방식 정보 입력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안테나의 수신 강도와 배터리의 남은 양, 메시지의 수 신 여부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 영역(Indicator Are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방식 정보 입력 단말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역의 어느 터치 지점에 대한 터치 시간이 기준치 이하이면, 정보 입력 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커서(Cursor)를 상기 터치 지점에 위치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방식 정보 입력 단말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영역의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터치 스크린 상으로 표시되는 상기 정보의 크기, 종류, 색상을 지정하기 위한 메뉴를 상기 터치 스크린 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방식 정보 입력 단말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초기에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어느 영역을 터치해야 정보 입력 모드가 활성화되는지를 안내(Guide)하는 알림 표지(Information Sign)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방식 정보 입력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표지는 팝업(Pop-up) 화면으로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방식 정보 입력 단말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초기에 상기 입력 영역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입력 창(Information Input Window)을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일정 위치에 표시하고, 정보 입력 모드의 활성화를 안내하는 알림 표지를 상기 정보 입력 창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방식 정보 입력 단말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 표지를 블링크(Blink), 색상, 텍스트(Text), 아이콘(Icon) 중 하나의 형태로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방식 정보 입력 단말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 입력 창 이외의 영역이 터치되면, 상기 정보 입력 모드의 활성화가 불가함을 안내하는 에러 표지를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방식 정보 입력 단말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러 표지를 블링크(Blink), 색상, 텍스트(Text), 아이 콘(Icon) 중 하나의 형태로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방식 정보 입력 단말기.
KR1020070006333A 2007-01-19 2007-01-19 터치 방식 정보 입력 단말기 및 그 방법 Ceased KR200800684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333A KR20080068491A (ko) 2007-01-19 2007-01-19 터치 방식 정보 입력 단말기 및 그 방법
US11/746,124 US9001046B2 (en) 2007-01-19 2007-05-09 Mobile terminal with touch screen
EP20070009695 EP1947555A3 (en) 2007-01-19 2007-05-15 Mobile terminal with touch screen
CN 200710105096 CN101227669B (zh) 2007-01-19 2007-05-22 具有触摸屏的移动终端
US12/015,943 US8448082B2 (en) 2007-01-19 2008-01-17 Method of displaying browser and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EP08000852.7A EP1947561B1 (en) 2007-01-19 2008-01-17 Method of displaying browser and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TW097102102A TWI454962B (zh) 2007-01-19 2008-01-18 顯示瀏覽器之方法與執行此方法之終端機
CN200810004690.2A CN101226539B (zh) 2007-01-19 2008-01-21 显示浏览器的方法以及实现该方法的终端
BRPI0800031-0A BRPI0800031A (pt) 2007-01-19 2008-01-21 método de exibição de navegador e terminal que implementa o mesmo
US13/777,809 US8516388B2 (en) 2007-01-19 2013-02-26 Method of displaying browser and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333A KR20080068491A (ko) 2007-01-19 2007-01-19 터치 방식 정보 입력 단말기 및 그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2392A Division KR101218820B1 (ko) 2008-09-19 2008-09-19 터치 방식 정보 입력 단말기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8491A true KR20080068491A (ko) 2008-07-23

Family

ID=38099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6333A Ceased KR20080068491A (ko) 2007-01-19 2007-01-19 터치 방식 정보 입력 단말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01046B2 (ko)
EP (1) EP1947555A3 (ko)
KR (1) KR20080068491A (ko)
CN (2) CN101227669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919B1 (ko) * 2008-08-21 2015-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6681620A (zh) * 2016-11-30 2017-05-1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终端控制的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55786B2 (ja) * 2008-09-09 2013-03-0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609162B1 (ko) * 2008-11-13 2016-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639074B1 (ko) 2009-07-31 2016-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인식 및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US8531412B1 (en) 2010-01-06 2013-09-10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touch input
WO2011096702A2 (ko) * 2010-02-03 2011-08-1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CN102147696B (zh) * 2010-02-10 2014-08-20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手持式装置之数据管理方法及系统
CN101834941A (zh) * 2010-04-01 2010-09-15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浏览器页面链接的生成方法、系统及移动终端
US20110252302A1 (en) * 2010-04-12 2011-10-13 Microsoft Corporation Fitting network content onto a reduced-size screen
CN102262465B (zh) * 2010-05-26 2016-10-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触摸输入单元的电子装置及其触摸输入方法
KR101785323B1 (ko) * 2011-01-05 2017-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2156616B (zh) * 2011-04-19 2013-01-23 唐光智 触摸屏写键输入方法
JP5811603B2 (ja) 2011-06-07 2015-11-1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端末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2013047945A (ja) * 2011-07-27 2013-03-07 Kyocera Corp 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5758277B2 (ja) * 2011-11-25 2015-08-05 京セラ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
CN103177021B (zh) * 2011-12-23 2017-02-1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移动终端浏览器、浏览器页面显示方法及装置
CN103309553B (zh) * 2012-05-31 2019-02-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数据放大输入的方法及终端
CN103869946B (zh) * 2012-12-14 2018-01-2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和电子设备
KR101437572B1 (ko) * 2013-05-09 2014-09-04 (주)오픈벡스 휴대단말기의 보이스 토크 제어방법
CN103226445A (zh) * 2013-05-10 2013-07-31 广东国笔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手写输入的方法、系统和终端
JP2014235543A (ja) * 2013-05-31 2014-12-15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2884470A1 (en) * 2013-12-11 2015-06-1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Mobile payment terminal device
CN103869982A (zh) * 2014-03-13 2014-06-18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操作项选择方法及装置
US9524428B2 (en) 2014-04-28 2016-12-20 Lenovo (Singapore) Pte. Ltd. Automated handwriting input for entry fields
US20150347364A1 (en) * 2014-06-03 2015-12-03 Lenovo (Singapore) Pte. Ltd. Highlighting input area based on user input
JP6081409B2 (ja) * 2014-06-16 2017-02-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プリント注文受付機とその作動方法および作動プログラム
US10048862B2 (en) * 2014-09-08 2018-08-14 Lenovo (Singapore) Pte. Ltd. Managing an on-screen keyboard
KR20160043767A (ko) * 2014-10-14 2016-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449442B2 (en) * 2014-10-23 2016-09-20 Vivint, Inc. Interface of an automation system
KR20160101605A (ko) * 2015-02-17 2016-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스처 입력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60139320A (ko) * 2015-05-27 2016-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6518141B2 (ja) * 2015-06-16 2019-05-22 株式会社ディスコ タッチパネル装置
DE102015011650B4 (de) * 2015-09-11 2017-04-06 Audi Ag Kraftfahrzeug-Bedienvorrichtung mit Touchscreen-Bedienung
CN106055248A (zh) * 2016-05-27 2016-10-26 深圳铂睿智恒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107015721A (zh) 2016-10-20 2017-08-04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应用界面的管理方法和装置
US11201906B2 (en) * 2017-08-29 2021-12-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viding instructions during remote viewing of a user interface
KR102257719B1 (ko) * 2018-11-21 2021-05-28 오세호 작성프로그램 및 이를 탑재한 문자 입력 장치
JP7598286B2 (ja) * 2021-04-28 2024-12-11 フォルシアクラリオン・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車載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15104874B (zh) * 2022-07-26 2023-01-03 深圳市西昊智能家具有限公司 智能椅的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9796A (en) 1990-10-22 1995-10-17 The Watt Stopper System for entering handwritten data into computer generated forms
US5563996A (en) * 1992-04-13 1996-10-08 Apple Computer, Inc. Computer note pad including gesture based note division tools and method
US6009336A (en) 1996-07-10 1999-12-28 Motorola, Inc. Hand-held radiotelephone having a detachable display
US20060033724A1 (en) 2004-07-30 2006-02-16 Apple Computer, Inc. Virtual input device placement on a touch screen user interface
KR100318924B1 (ko) 1999-03-19 2001-12-29 윤종용 터치스크린패널을 문자 입력수단으로 구비하는 디지털 휴대용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싱 방법
US6909439B1 (en) 1999-08-26 2005-06-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ximizing efficiency of small display in a data processing system
KR100346203B1 (ko) * 1999-08-26 2002-07-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패드를 구비하는 통신 단말기에서 심벌을 이용한 단축다이얼 방법
US6714220B2 (en) 2000-01-19 2004-03-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Interactive input with limit-value monitoring and on-line help for a palmtop device
US20020075317A1 (en) 2000-05-26 2002-06-20 Dardick Technologies System and method for an on-demand script-activated virtual keyboard
US6501464B1 (en) 2000-10-31 2002-12-31 Intel Corporation On-screen transparent keyboard interface
US6646633B1 (en) 2001-01-24 2003-11-11 Palm Source, Inc. Method and system for a full screen user interface and data entry using sensors to implement handwritten glyphs
US6692170B2 (en) * 2001-02-21 2004-02-17 Eli Abir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input
EP1393148B1 (en) 2001-05-02 2010-03-03 Bitstream Inc. Methods, systems, and programming for producing and displaying subpixel-optimized font bitmaps using non-linear color balancing
US7158678B2 (en) 2001-07-19 2007-01-02 Motorola, Inc. Text input method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nd the like
US20030074647A1 (en) 2001-10-12 2003-04-17 Andrew Felix G.T.I. Automatic software input panel selection based on application program state
US20030071850A1 (en) 2001-10-12 2003-04-17 Microsoft Corporation In-place adaptive handwriting input method and system
US7096432B2 (en) 2002-05-14 2006-08-22 Microsoft Corporation Write anywhere tool
JP3630153B2 (ja) 2002-07-19 2005-03-1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表示入力装置及び情報表示入力方法、並びに情報処理装置
US20040165009A1 (en) 2003-02-20 2004-08-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xpansion of interactive user interface components
US20040210853A1 (en) 2003-04-15 2004-10-21 Detter Craig J. Method for dynamically distinguishing a character string
EP1639441A1 (en) * 2003-07-01 2006-03-29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 user-input area on an electronic display device
WO2005008444A2 (en) 2003-07-14 2005-01-27 Matt Pallakoff System and method for a portbale multimedia client
US7533351B2 (en) 2003-08-13 2009-05-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dynamic expansion and overlay of controls
CN100444154C (zh) 2003-08-21 2008-12-17 微软公司 使用空中点的聚焦管理
US20050091577A1 (en) 2003-10-23 2005-04-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formation integration system
KR100593982B1 (ko) 2003-11-06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 그래피티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과 그에 따른기록매체
US7441207B2 (en) 2004-03-18 2008-10-21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ed viewing and navigation of content
US7580029B2 (en) * 2004-04-02 2009-08-25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writing recognition
KR20050100478A (ko) * 2004-04-14 2005-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슬라이딩 팝-업 타입 표시 장치를 구비한 휴대 통신장치
KR20050107237A (ko) 2004-05-08 2005-11-11 하현명 인터넷 네트워크에서 차일드 윈도우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7519223B2 (en) * 2004-06-28 2009-04-14 Microsoft Corporation Recognizing gestures and using gestures for interacting with software applications
KR20060008089A (ko) 2004-07-23 2006-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전기기기
KR100703771B1 (ko) 2005-05-17 2007-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문자 입력판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60133389A (ko) * 2005-06-20 2006-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0704153B1 (ko) * 2005-07-06 2007-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의 문자크기 변경 방법
KR100763042B1 (ko) 2005-12-30 2007-10-04 노키아 코포레이션 전자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사용자-입력 영역을 운용하기위한 방법 및 장치
US20080104537A1 (en) 2006-10-30 2008-05-01 Sherryl Lee Lorraine Scott Method of improved viewing of visual objects on a display,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919B1 (ko) * 2008-08-21 2015-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6681620A (zh) * 2016-11-30 2017-05-1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终端控制的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27669A (zh) 2008-07-23
EP1947555A2 (en) 2008-07-23
EP1947555A3 (en) 2012-01-04
US9001046B2 (en) 2015-04-07
CN101226539A (zh) 2008-07-23
CN101227669B (zh) 2012-06-13
CN101226539B (zh) 2014-03-26
US20080174561A1 (en) 2008-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68491A (ko) 터치 방식 정보 입력 단말기 및 그 방법
US20220221985A1 (en) Portable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Using Emoji Characters
US10430078B2 (en) Touch screen device,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inserting a character from an alternate keyboard
KR102245289B1 (ko)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과 휴대 단말의 커버
US8224392B2 (en) Mobile terminal capable of recognizing fingernail touch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thereof
US9804763B2 (en) Mobile terminal and user interface of mobile terminal
US9191470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same
US9619139B2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US20180165003A1 (en) Text input method in touch screen terminal and apparatus therefor
KR10198459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EP2565770A2 (en) A portable apparatus and an input method of a portable apparatus
US10185481B2 (en) Electronic device, computer readable memory, and process execution method
JP2013515984A (ja) テキスト編集を円滑化する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関連す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KR101218820B1 (ko) 터치 방식 정보 입력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13000874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1165903B1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message and method thereof
KR20150007800A (ko)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70183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248161B2 (en) Control of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keyboard moveable relative to the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19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1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1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807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02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80820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7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90123

Appeal identifier: 2008101008270

Request date: 20080820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80919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919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820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41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114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081006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919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416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114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B0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820

Effective date: 20090123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090123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80820

Decision date: 20090123

Appeal identifier: 20081010082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