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65540A - 양이온 화합물, 색소 화합물 및 그 사용 방법, 그리고광정보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양이온 화합물, 색소 화합물 및 그 사용 방법, 그리고광정보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5540A
KR20080065540A KR1020077017283A KR20077017283A KR20080065540A KR 20080065540 A KR20080065540 A KR 20080065540A KR 1020077017283 A KR1020077017283 A KR 1020077017283A KR 20077017283 A KR20077017283 A KR 20077017283A KR 20080065540 A KR20080065540 A KR 20080065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dye
general formula
independently represent
c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7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미 니이
타츠오 미카미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65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5540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9/00Dyes not provided for by a single group of this subclass
    • C09B69/02Dyestuff salts, e.g. salts of acid dyes with basic dyes
    • C09B69/04Dyestuff salts, e.g. salts of acid dyes with basic dyes of anionic dyes with 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23/00Methine or polymethine dyes, e.g. cyanine dy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 G11B7/24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 G11B7/246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dy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 G11B7/24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 G11B7/246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dyes
    • G11B7/247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dyes methine or polymethine dyes
    • G11B7/2478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dyes methine or polymethine dyes oxono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 G11B7/24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 G11B7/249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organometallic compounds
    • G11B7/2498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organometallic compounds as 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5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 G11B7/257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layers having properties involved in recording or reproduction, e.g. optical interference layers or sensitising layers or dielectric layers, which are protecting the recording layers
    • G11B2007/25705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layers having properties involved in recording or reproduction, e.g. optical interference layers or sensitising layers or dielectric layers, which are protecting the recording layers consisting essentially of inorganic materials
    • G11B2007/25706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layers having properties involved in recording or reproduction, e.g. optical interference layers or sensitising layers or dielectric layers, which are protecting the recording layers consisting essentially of inorganic materials containing transition metal elements (Zn, Fe, Co, Ni, P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5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 G11B7/257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layers having properties involved in recording or reproduction, e.g. optical interference layers or sensitising layers or dielectric layers, which are protecting the recording layers
    • G11B2007/25705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layers having properties involved in recording or reproduction, e.g. optical interference layers or sensitising layers or dielectric layers, which are protecting the recording layers consisting essentially of inorganic materials
    • G11B2007/257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layers having properties involved in recording or reproduction, e.g. optical interference layers or sensitising layers or dielectric layers, which are protecting the recording layers consisting essentially of inorganic materials containing group 14 elements except carbon (Si, Ge, Sn, Pb)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5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 G11B7/257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layers having properties involved in recording or reproduction, e.g. optical interference layers or sensitising layers or dielectric layers, which are protecting the recording layers
    • G11B2007/25705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layers having properties involved in recording or reproduction, e.g. optical interference layers or sensitising layers or dielectric layers, which are protecting the recording layers consisting essentially of inorganic materials
    • G11B2007/25713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layers having properties involved in recording or reproduction, e.g. optical interference layers or sensitising layers or dielectric layers, which are protecting the recording layers consisting essentially of inorganic materials containing nitroge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5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 G11B7/257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layers having properties involved in recording or reproduction, e.g. optical interference layers or sensitising layers or dielectric layers, which are protecting the recording layers
    • G11B2007/25705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layers having properties involved in recording or reproduction, e.g. optical interference layers or sensitising layers or dielectric layers, which are protecting the recording layers consisting essentially of inorganic materials
    • G11B2007/25715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layers having properties involved in recording or reproduction, e.g. optical interference layers or sensitising layers or dielectric layers, which are protecting the recording layers consisting essentially of inorganic materials containing oxyge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5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 G11B7/257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layers having properties involved in recording or reproduction, e.g. optical interference layers or sensitising layers or dielectric layers, which are protecting the recording layers
    • G11B2007/25705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layers having properties involved in recording or reproduction, e.g. optical interference layers or sensitising layers or dielectric layers, which are protecting the recording layers consisting essentially of inorganic materials
    • G11B2007/25718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layers having properties involved in recording or reproduction, e.g. optical interference layers or sensitising layers or dielectric layers, which are protecting the recording layers consisting essentially of inorganic materials containing halides (F, Cl, Br, 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 G11B7/24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 G11B7/245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a polymeric compon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 G11B7/24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 G11B7/246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dyes
    • G11B7/2467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dyes azo-dy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 G11B7/24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 G11B7/246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dyes
    • G11B7/247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dyes methine or polymethine dyes
    • G11B7/247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dyes methine or polymethine dyes cyanin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 G11B7/24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 G11B7/246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dyes
    • G11B7/248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dyes porphines; azaporphines, e.g. phthalocyanin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 G11B7/24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 G11B7/249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organometallic compounds
    • G11B7/2495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organometallic compounds as an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5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 G11B7/253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substrates
    • G11B7/253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substrates comprising glas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5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 G11B7/253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substrates
    • G11B7/2533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substrates comprising resi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5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 G11B7/253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substrates
    • G11B7/2533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substrates comprising resins
    • G11B7/253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substrates comprising resins polycarbonates [P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5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 G11B7/253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substrates
    • G11B7/2533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substrates comprising resins
    • G11B7/2535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substrates comprising resins polyesters, e.g. PET, PETG or PE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5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 G11B7/256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layers improving adhesion between lay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5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 G11B7/257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layers having properties involved in recording or reproduction, e.g. optical interference layers or sensitising layers or dielectric layers, which are protecting the recording layers
    • G11B7/257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layers having properties involved in recording or reproduction, e.g. optical interference layers or sensitising layers or dielectric layers, which are protecting the recording layers consisting essentially of organic materials
    • G11B7/2575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layers having properties involved in recording or reproduction, e.g. optical interference layers or sensitising layers or dielectric layers, which are protecting the recording layers consisting essentially of organic materials resi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5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 G11B7/257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layers having properties involved in recording or reproduction, e.g. optical interference layers or sensitising layers or dielectric layers, which are protecting the recording layers
    • G11B7/2578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layers having properties involved in recording or reproduction, e.g. optical interference layers or sensitising layers or dielectric layers, which are protecting the recording layers consisting essentially of inorganic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 Carriers And Manufacture Thereof (AREA)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양이온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식(I)중, Ar1 및 A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아릴기 또는 방향족 헤테로환기를 나타내고, L1은 단결합 또는 2가의 연결기를 나타내고, Ar1, Ar2 및 L1 중 적어도 하나는 1개이상의 오늄 양이온을 갖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나타내고, 치환되어 있는 벤젠환과 환을 형성해도 좋고; m3 및 m4는 각각 독립적으로 0∼4의 범위의 정수를 나타내고, m3, m4가 2∼4의 범위의 정수일 때, 복수 존재하는 R3, R4는 각각 같아도 달라도 좋다.
Figure 112007054547062-PCT00068
양이온 화합물

Description

양이온 화합물, 색소 화합물 및 그 사용 방법, 그리고 광정보 기록 매체{CATION COMPOUND, DYE COMPOUND AND USE THEREOF, AN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광정보 기록 매체의 기록층용 색소로서 바람직한 색소 화합물을 제공할 수 있는 신규 양이온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양이온 화합물을 함유하는 색소 화합물, 그 사용 방법, 및 상기 색소 화합물을 기록층용 색소로서 함유하는 광정보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색소 화합물은, 가시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정보를 기록하는 추기형의 디지털 버서타일 디스크(DVD-R) 등의 히트 모드형의 정보 기록 매체의 기록층용 색소로서 바람직하다.
레이저광에 의해 1회한의 정보의 기록이 가능한 정보 기록 매체(광디스크)로서 추기형 CD(소위 CD-R)가 알려져 있다. 이것은, 종래의 CD의 제작에 비해서 소량의 CD를 적당한 가격으로 또한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갖고 있어, pc의 보급에 따라 그 수요도 증대해 왔다. CD-R형의 정보 기록 매체의 대표적인 구조는 투명한 원반형상 기판 상에 유기 색소로 이루어지는 기록층, 금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반사층, 또한 수지제의 보호층을 이 순서로 적층한 것이며, 광디스크에의 정보의 기록은 근적외역의 레이저광(통상 780nm부근의 파장의 레이저광)을 조사해 서 기록층을 국소적으로 열변형시킴으로써 행해진다. 한편, 정보의 판독(재생)은 통상 기록용의 레이저광과 같은 파장의 레이저광을 조사해서, 기록층이 열변형된 부위(기록 부분)와 변형되지 않은 부위(미기록 부분)의 반사율의 차이를 검출함으로써 행해지고 있다.
최근, pc의 고성능화나 인터넷의 고속화에 따라, 화상정보(특히 동영상 등)가 취급되게 되어, 보다, 대용량의 정보 기록 매체가 필요하게 되었다. 기록밀도가 보다 높은 정보 기록 매체로서는, 기록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파장이 짧은 레이저광으로 보다 작게 좁혀진 추기형 디지털 버서타일 디스크(소위 DVD-R)라는 광디스크가 시판되고 있다. 이 광디스크는, 트랙 피치가 CD-R의 1.6㎛보다 좁은 0.8㎛의 프리그루브가 형성된 지름 120mm 또는 지름이 80mm인 투명한 원반형상 기판 상에 색소를 함유하는 기록층, 그리고 통상은 상기 기록층 상에 반사층 및 보호층을 더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디스크를 2장, 또는 상기 디스크와 대략 동일한 치수의 원반상 보호 기판을 상기 기록층을 내측으로 해서 접착제로 접합한 구조가 되도록 제조되고 있다. 그리고 DVD-R은 가시 레이저광(통상 600nm∼700nm의 범위의 파장의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기록 및 재생이 행해지고, CD-R형의 광디스크보다 고밀도의 기록이 가능하다. 또한 DVD+R이라고 불리는 DVD-R과 유사한 규격의 광디스크도 시판되고 있다.
추기형 DVD의 정보 기록 매체는, 종래의 CD-R형에 비해서 몇배의 정보량을 기록할 수 있으므로, 높은 기록 감도를 갖고 있는 것은 물론, 특히 대량의 정보를 빠르게 처리할 필요에서 고속기록에 대해서도 에러의 발생율이 적은 것이 요구된 다. 또 색소를 함유하는 기록층은 일반적으로 열, 또는 광에 대한 경시에서의 안정성이 낮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 열, 또는 광에 대해서도 안정된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기록층의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추기형 DVD도, CD-R과 마찬가지로 기록 시간의 단축, 즉 기록 속도의 고속도화가 요구되며, 추기형 DVD 기록 매체의 더나은 감도 업이나, 기록 레이저의 고파워화에 따른 기록 정밀도의 저하(지터의 악화)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 소63-209995호 공보[특허문헌1]에는, 옥소놀 색소로 이루어지는 기록층이 기판 상에 형성된 CD-R형의 정보 기록 매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 색소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장기간에 걸쳐 안정된 기록 재생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고 되어 있으며, 분자내에 염의 형태로 암모늄이 도입된 옥소놀 색소 화합물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평10-109475호 공보[특허문헌2]에는, 염의 형태로 도입된 암모늄으로서 비피리디늄이 내광성 향상에 유효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색소는 옥소놀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색소가 유효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평10-297103호 공보[특허문헌3]에서는, 비오로겐 짝염을 갖는 옥소놀 색소가 유효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2000-52658호 공보[특허문헌4], 일본 특허공개 2002-249674호 공보[특허문헌5]에는, 높은 내광성과 내구성을 나타내고, 양호한 기록 특성의 광정보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옥소놀 색소 화합물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2002-59652호[특허문헌6]에는, 감도가 다른 색소 2종을 혼합하는 기술에 관해서 기재되어 있으며, 그 중에 옥소놀 색소에 대한 기재가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4-188968호[특허문헌7]에 특정 구조의 비스형 옥소놀 색소가 개시되어 있다.
최근, 1층 미디어(4.7GB)의 약 1.8배가 되는 편면 8.5GB의 용량을 이용할 수 있는 2층의 기록면을 갖는 DVD-R DL(Double Layer) 미디어가 개발되어, 단층형 DVD-R과 마찬가지로 기록 시간의 단축이 검토되고 있다. DVD-R DL 미디어는 색소층이 2층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감도, 반사율, 지터 등의 점에서 각 층을 구성하는 색소에 대한 요구 물성이 1층형 미디어에 이용되는 색소에 비해 한층 엄격하고, 보다 고성능의 색소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광정보 기록 매체의 기록층용 색소에는, 상기 물성에 추가해서, 색소 도포액 조제시의 용해성이나, 도포액의 용해 경시 안정성, 고농도 도포 용액을 사용한 경우의 도포성(도포막 평활성) 등의 제조 적성이 우수한 것도 요구된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본 발명은 우수한 감도, 지터 및 반사율을 나타내는 광정보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우수한 제조 적성을 갖는 특히 DVD-R 미디어용 색소로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는 신규색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1분자중에 3개이상의 양이온부를 갖는 신규 양이온 화합물과 음이온으로 형성되는 색소 화합물에 의하면, 우수한 감도, 지터, 반사율을 갖는 광정보 기록 매체가 얻어지는 것과, 또한 상기 색소 화합물은 색소 도포액 조제시의 용해성, 도포액의 용해 경시 안정성이 우수함과 아울러, 고농도 도포 용액의 도포시의 양호한 도포면형상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수단인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양이온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7054547062-PCT00001
[일반식(I)중, Ar1 및 A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아릴기 또는 방향족 헤테로환기를 나타내고, L1은 단결합 또는 2가의 연결기를 나타내고, Ar1, Ar2 및 L1 중 적어도 하나는 1개이상의 오늄 양이온을 갖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나타내고, 치환되어 있는 벤젠환과 환을 형성해도 좋고; m3 및 m4는 각각 독립적으로 0∼4의 범위의 정수를 나타내고, m3, m4가 2∼4의 범위의 정수일 때, 복수 존재하는 R3, R4는 각각 같아도 달라도 좋다.]
상기 일반식(I)중,
Ar1은,
Figure 112007054547062-PCT00002
로 나타내어지고,
Ar2
Figure 112007054547062-PCT00003
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나타내고, 치환되어 있는 벤젠환과 환을 형성해도 좋고; m1 및 m2는 한쪽이 0∼5의 범위의 정수를 나타내고, 다른쪽은 1∼5의 범위의 정수를 나타내고, m1, m2가 2∼5의 범위의 정수일 때, 복수 존재하는 R1, R2는 각각 같아도 달라도 좋다.]
또한, 상기 일반식(I)중, R1 및 R2 중 적어도 한쪽은 질소 양이온을 갖는 치환기를 나타낼 수 있고, L1은 단결합일 수 있다. 상기 질소 양이온은 테트라 치환 질소원자 양이온 또는 질소원자 함유 방향족 헤테로환 양이온일 수 있고, 상기 질소원자 함유 방향족 헤테로 양이온은 피리디늄 양이온, 이미다졸륨 양이온, 티아졸륨 양이온, 옥사졸륨 양이온 또는 이미늄 양이온일 수 있다.
또한, 일반식(I)중, L1
Figure 112007054547062-PCT00004
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나타내고; m5 및 m6은 각각 독립적으로 0∼4의 범위의 정수를 나타내고, m5, m6이 2∼4의 범위의 정수일 때, 복수 존재하는 R5, R6은 각각 같아도 달라도 좋고; La는 2가의 연결기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IV)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일 수 있다.
Figure 112007054547062-PCT00005
[일반식(VI)중, R51 및 R5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R53, R54, R55, R56, R57 및 R5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알킬기, 아릴기, 또는 방향족 헤테로환기를 나타내고, R55와 R56, R57과 R58이 연결되어 5 또는 6원환을 형성해도 좋고, R51, R52, R53, R54, R55, R56, R57 및 R58은 각각 치환기를 더 가져도 좋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상기 본 발명의 양이온 화합물과, 상기 양이온 화합물의 전하를 중화할 수 있는 양의 음이온을 함유하는 색소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이 색소 화합물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은 음이온성 색소일 수 있고, 상기 음이온성 색소는 옥소놀 색소일 수 있고, 상기 옥소놀 색소는 하기 일반식(V)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Figure 112007054547062-PCT00006
[일반식(V)중, Za25 및 Za26은 각각 독립적으로 산성핵을 형성하는 원자군을 나타내고; Ma27, Ma28 및 Ma29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무치환의 메틴기를 나타내고; Ka23은 0∼3의 범위의 정수를 나타내고, Ka23이 2 또는 3일 때, 복수 존재하는 Ma27, Ma28은 각각 같아도 달라도 좋다.]
또한, 상기 옥소놀 색소는 하기 일반식(VI)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Figure 112007054547062-PCT00007
[일반식(VI)중, Za21, Za22, Za23 및 Za24는 각각 독립적으로 산성핵을 형성하는 원자군을 나타내고; Ma21, Ma22, Ma23, Ma24, Ma25 및 Ma26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무치환의 메틴기를 나타내고; L은 2개의 결합과 함께 π공역계를 형성하지 않는 2가의 연결기를 나타내고; Ka21 및 Ka22는 각각 독립적으로 0∼3의 범위의 정수를 나타내고, Ka21, Ka22가 2 또는 3일 때, 복수 존재하는 Ma21, Ma22, Ma25, Ma26은 각각 같아도 달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기판 상에 기록층을 갖는 광정보 기록 매체로서, 상기 기록층은 상기 본 발명의 색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광정보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이 광정보 기록 매체는 추기형 광정보 기록 매체일 수 있고, 또는 DVD-R형 광정보 기록 매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색소 화합물을 광정보 기록 매체의 기록층용 색소로서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정보 기록 매체는, 추기형 광정보 기록 매체일 수 있고, 또는 DVD-R형 광정보 기록 매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우수한 감도, 지터 및 반사율을 나타내는 광정보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색소 화합물은 색소 도포액 조제시의 용해성이나, 도포액의 용해 경시 안정성이 우수하고, 고농도 도포 용액을 도포해서 기록층을 형성하는 경우라도 양호한 도포면형상을 갖는 기록층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단층 기록층을 갖는 추기형 DVD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2층의 기록층을 갖는 추기형 DVD의 개략 단면도이다.
[양이온 화합물]
본 발명의 양이온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양이온 화합물이다.
Figure 112007054547062-PCT00008
본 발명의 양이온 화합물은, 1분자중에 3개이상의 양이온부를 갖고, 음이온 부위와 함께, 광정보 기록 매체의 기록층용 색소로서 유용한 색소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양이온 화합물의 상세를 설명한다.
일반식(I)
일반식(I)중, Ar1 및 A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아릴기 또는 방향족 헤테로환기를 나타내고, Ar1 및 Ar2 중 적어도 한쪽은 1개이상의 오늄 양이온을 갖는다. Ar1, Ar2가 나타내는 아릴기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3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20,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12이며, 예를 들면 페닐기, p-메틸페닐기, 나프틸기, 엔트라닐기 등을 들 수 있다.
Ar1, Ar2가 나타내는 방향족 헤테로환기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3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0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2이며, 상기 방향족 헤테로환기에 포함되는 헤테로원자로서는, 예를 들면 질소원자, 산소원자, 유황원자를 들 수 있다. 상기 방향족 헤테로환기의 구체예로서는, 피롤기, 피라졸기, 이미다졸기, 피리딘기, 푸란기, 티오펜기, 옥사졸기, 티아졸기나 이들의 벤조 축환체나 헤테로환 축환체 등을 들 수 있다. Ar1, Ar2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페닐기이다.
Ar1, Ar2 중 적어도 한쪽이 오늄 양이온을 갖는 경우, 그 오늄 양이온은 Ar1, Ar2의 치환기에 함유되어 있어도 좋다. 또는, 상기 오늄 양이온은 Ar1, Ar2가 나타내는 방향족 헤테로환기의 헤테로 원자가 더 치환되어 생긴 오늄 양이온이어도 좋다. 오늄 양이온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암모늄 양이온, 옥소늄 양이온, 포스포늄 이온, 술포늄 양이온, 셀레노늄 이온, 요오드늄 양이온을 나타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암모늄 양이온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암모늄 양이온은 질소원자 상에 양전하를 갖는 양이온기를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테트라 치환 질소원자 양이온(치환기로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알킬기, 아릴기, 방향족 헤테로환기를 나타냄), 피리디늄 양이온, 이미다졸륨 양이온, 티아졸륨 양이온, 옥사졸륨 양이온, 이미늄 양이온 등을 나타낸다.
Ar1, Ar2는 치환기를 더 가져도 좋다. 상기 치환기로서는, 예를 들면 알킬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3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0,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0이며,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iso-프로필기, tert-부틸기, n-옥틸기, n-데실기, n-헥사데실기,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알케닐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3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20,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10이며, 예를 들면 비닐기, 알릴기, 2-부테닐 기, 3-펜테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알키닐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3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20,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10이며, 예를 들면 프로파르길기, 3-펜티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아릴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3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20,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12이며, 예를 들면 페닐기, p-메틸페닐기, 나프틸기, 엔트라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0∼3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0∼20,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0∼10이며, 예를 들면 아미노기, 메틸아미노기, 디메틸아미노기, 디에틸아미노기, 디벤질아미노기, 디페닐아미노기, 디톨릴아미노기 등을 들 수 있다.), 알콕시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3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0,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0이며, 예를 들면 메톡시기, 에톡시기, 부톡시기, 2-에틸헥실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아릴옥시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3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20,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12이며, 예를 들면 페닐옥시기, 1-나프틸옥시기, 2-나프틸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 방향족 헤테로환 옥시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3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0,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2이며, 예를 들면 피리딜옥시기, 피라질옥시기, 피리미딜옥시기, 퀴놀릴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아실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3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0,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2이며, 예를 들면 아세틸기, 벤조일기, 포르밀기, 피발로일기 등을 들 수 있다.), 알콕시카르보닐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3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20,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12이며, 예를 들면 메톡시카르보닐기, 에톡시카르보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아릴옥시카르보닐기(바람 직하게는 탄소수 7∼3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7∼20,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7∼12이며, 예를 들면 페닐옥시카르보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아실옥시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3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20,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10이며, 예를 들면 아세톡시기, 벤조일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아실아미노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3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20,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10이며, 예를 들면 아세틸아미노기, 벤조일아미노기 등을 들 수 있다.),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3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20,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12이며, 예를 들면 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기 등을 들 수 있다.), 아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7∼3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7∼20,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7∼12이며, 예를 들면 페닐옥시카르보닐아미노기 등을 들 수 있다.), 술포닐아미노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3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0,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2이며, 예를 들면 메탄술포닐아미노기, 벤젠술포닐아미노기 등을 들 수 있다.), 술파모일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0∼3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0∼20,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0∼12이며, 예를 들면 술파모일기, 메틸술파모일기, 디메틸술파모일기, 페닐술파모일기 등을 들 수 있다.), 카르바모일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3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0,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2이며, 예를 들면 카르바모일기, 메틸카르바모일기, 디에틸카르바모일기, 페닐카르바모일기 등을 들 수 있다.), 알킬티오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3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0,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2이며, 예를 들면 메틸티오기, 에틸티오기 등을 들 수 있다.), 아릴티오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3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20,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12이며, 예를 들면 페닐티오기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헤테로환 티오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3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0,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2이며, 예를 들면 피리딜티오기, 2-벤즈이미졸릴티오기, 2-벤즈옥사졸릴티오기, 2-벤즈티아졸릴티오기 등을 들 수 있다.), 술포닐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3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0,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2이며, 예를 들면 메실기, 토실기 등을 들 수 있다.), 술피닐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3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0,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2이며, 예를 들면 메탄술피닐기, 벤젠술피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우레이도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3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0,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2이며, 예를 들면 우레이도기, 메틸우레이도기, 페닐우레이도기 등을 들 수 있다.), 인산 아미드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3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0,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2이며, 예를 들면 디에틸인산 아미드기, 페닐인산 아미드기 등을 들 수 있다.), 히드록시기, 메르캅토기, 할로겐원자(예를 들면 불소원자, 염소원자, 브롬원자, 요오드원자), 시아노기, 술포기, 카르복실기, 니트로기, 히드록사민산기, 술피노기, 히드라지노기, 이미노기, 방향족 헤테로환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3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2이며, 헤테로원자로서는, 예를 들면 질소원자, 산소원자, 유황원자,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이미다졸릴기, 피리딜기, 퀴놀릴기, 프릴기, 티에닐기, 피페리딜기, 모르폴리노기, 벤즈옥사졸릴기, 벤즈이미다졸릴기, 벤즈티아졸릴기, 카르바졸릴기, 아 제피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실릴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3∼4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3∼30,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3∼24이며, 예를 들면 트리메틸실릴기, 트리페닐실릴기 등을 들 수 있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치환기는 더 치환되어도 좋다.
R3,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나타낸다. R3, R4가 나타내는 치환기의 예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상술의 Ar1, Ar2의 치환기의 예를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알킬기, 아릴기, 헤테로환기, 아미노기, 알콕시기, 아실기, 아실옥시기, 아실아미노기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알킬기, 아릴기, 알콕시기, 아실기이다. 또 R3, R4가 나타내는 치환기끼리가 결합되어 있어도 좋다. 즉 좌우의 피리딘환이 R3과 R4가 결합된 연결기로 결합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R3, R4는 각각이 치환되어 있는 벤젠환과 환을 형성해도 좋다.
m3, m4는 각각 독립적으로 0∼4의 범위의 정수를 나타낸다. m3, m4는 각각 바람직하게는 0∼2,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이다. m3, m4가 2∼4의 범위의 정수일 때에 복수 존재하는 R3, R4는 각각 같아도 달라도 좋다.
L1은 단결합 또는 2가의 연결기를 나타낸다. 2가의 연결기로서는, 피리디늄기를 양 말단에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L1이 나타내는 2가의 연결기에 대해서는, 일반식(III)중의 연결기에 대해서 후술하는 바와 같다.
일반식(I)중의 양이온부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3개이상 1000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개이상 10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개이상 6개이하이다.
본 발명의 양이온 화합물의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일반식(I)중, Ar1이,
Figure 112007054547062-PCT00009
로 나타내어지며,
Ar2
Figure 112007054547062-PCT00010
로 나타내어지는 양이온 화합물, 즉 하기 일반식(II):
Figure 112007054547062-PCT00011
로 나타내어지는 양이온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일반식(II)에 있어서, L1이 단결합이며, R1 및 R2 중 적어도 한쪽이 질소 양이온을 갖는 치환기를 나타내는 양이온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이온 화합물의 보다 바람직한 별도의 형태로서는, 일반 식(II)에 있어서 L1이,
Figure 112007054547062-PCT00012
이며, R1 및 R2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나타내며, 그 치환기가 치환되어 있는 벤젠환과 환을 형성해도 좋다, 화합물, 즉 하기 일반식(III):
Figure 112007054547062-PCT00013
으로 나타내어지는 양이온 화합물을 들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양이온 화합물의 보다 바람직한 별도의 형태로서는, 하기 일반식(IV):
Figure 112007054547062-PCT00014
로 나타내어지는 양이온 화합물을 들 수도 있다.
이하에, 일반식(II), (III), (IV)의 상세를 순차 설명한다.
일반식(II)
일반식(II)중,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나타낸다. 상기 치환기 의 예로서는, 상술의 R3, R4의 치환기의 설명에 기재한 것에 추가해서, 질소 양이온을 갖는 치환기를 들 수 있다. 여기에서, 「질소 양이온」이란 질소원자를 1개이상 함유하고, 또한 함유되는 질소원자 중 적어도 1개가 양전하를 갖는 양이온을 의미한다.
상기 질소 양이온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테트라 치환 질소원자 양이온(치환기로서는 Ar1, Ar2의 치환기의 예로서 설명한 알킬기, 아릴기, 방향족 헤테로환기를 나타냄), 질소원자 함유 방향족 헤테로환 양이온을 들 수 있다.
테트라 치환 질소원자 양이온의 보다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Figure 112007054547062-PCT00015
를 들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Ra, Rb, Rc, Rd 및 Re는 각각 독립적으로 Ar1, Ar2의 치환기의 예로서 설명한 알킬기, 아릴기 또는 방향족 헤테로환기를 나타낸다.
질소원자 함유 방향족 헤테로환 양이온으로서는, 피리디늄 양이온, 이미다졸륨 양이온, 티아졸륨 양이온, 옥사졸륨 양이온 또는 이미늄 양이온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Figure 112007054547062-PCT00016
를 들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X1은, O, N, S 또는 CR(R은 수소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냄)을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N이다. Rf, Rg 및 Rh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Rg 및 Rh는 각각 헤테로환에 함유되는 N과 함께 환을 형성해도 좋고, X1이 CR을 나타낼 때, X1과 Rf 또는 Rh는 연결해서 환을 형성해도 좋다. X2, X3 및 X4는 각각 독립적으로 N 또는 CR'(R'은 수소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냄)을 나타내고, Ri 및 Ri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Ri 및 Ri는 각각 헤테로환에 함유되는 N과 함께 환을 형성해도 좋고, X2가 CR'을 나타낼 때, X2와 Ri는 연결해서 환을 형성해도 좋고, X4가 CR'을 나타낼 때, X4와 Rj는 연결해서 환을 형성해도 좋다. 상기 치환기는, 먼저 Ar1, Ar2의 치환기의 예로서 설명한 알킬기, 아릴기 또는 방향족 헤테로환기이다.
상기 질소원자 함유 방향족 헤테로환 양이온의 구체예로서는, 하기의 질소원자 함유 방향족 헤테로환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질소가 치환된 것을 들 수 있고,
Figure 112007054547062-PCT00017
상기 구체예 중에서 바람직한 것으로서는, 피리딘, 1,3-옥사졸, 1,3-티아졸, 이미다졸 또는 벤즈이미다졸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질소가 치환된 것을 들 수 있다.
L1이 단결합인 경우, R1, R2 중 적어도 한쪽은, 상술의 질소 양이온을 갖는 치환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양쪽이 질소 양이온을 갖는 치환기를 나타내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R1, R2는 각각이 치환되어 있는 벤젠환과 환을 형성해도 좋다.
m1 및 m2는 한쪽이 0∼5, 바람직하게는 0∼2의 범위의 정수를 나타내고, 다른쪽은 1∼5, 바람직하게는 1∼2의 범위의 정수를 나타낸다. m1, m2가 2∼5의 범위의 정수일 때에 복수 존재하는 R1, R2는 같아도 달라도 좋다.
일반식(II)중, R3, R4, L1, m3, m4는 각각 일반식(I)에 있어서의 정의와 동의 이며, 그 상세는 상술한 바와 같다. 일반식(II)중의 양이온부의 수는 일반식(I)과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는 3개이상 1000개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개이상 10개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개이상 6개이하이다.
일반식(III)
일반식(III)중, R1, R2, R3, R4는 일반식(I) 및 (II)에 있어서의 정의와 동의이며,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나타낸다. R5, R6으로 나타내어지는 치환기의 바람직한 예 등의 상세는 상술의 R3, R4의 치환기의 설명에 기재한 바와 같다. 일반식(III)중, R1, R2, R3, R4, R5, R6으로 나타내어지는 치환기의 특히 바람직한 예로서는, 알킬기, 아릴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아실기, 알콕시카르보닐기, 아미드기, 술파모일기, 우레이도기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식(III)중, m5 및 m6은, 각각 독립적으로 0∼4의 범위의 정수를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0∼2의 범위의 정수를 나타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이다. m5, m6이 2∼4의 범위의 정수일 때, 복수 존재하는 R5, R6은 각각 같아도 달라도 좋다.
일반식(III)중, m1, m2, m3, m4는 일반식(I) 및 (II)에 있어서의 정의와 동의이다. 일반식(III)중, m1 및 m2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0∼2의 범위의 정수를 나타내고, m3, m4는 바람직하게는 0∼4의 범위의 정수를 나타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의 범위의 정수를 나타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이다.
일반식(III)중, La는 2가의 연결기를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단결합, 산소원자, 유황원자, 질소원자, 메틸렌기, 페닐렌기, 카르보닐기, 술파닐기, 아미드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기를 나타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하기 연결기이다.
Figure 112007054547062-PCT00018
일반식(III)중의 양이온부의 수는, 일반식(I), 일반식(II)과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는 3개이상 1000개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개이상 10개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개이상 6개이하이다.
일반식(IV)
일반식(IV)중, R51 및 R5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 고, R53, R54, R55, R56, R57 및 R5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알킬기, 아릴기, 또는 방향족 헤테로환기를 나타내고, R55와 R56, R57과 R58이 연결되어 5 또는 6원환을 형성해도 좋다. 형성되는 환으로서는, 지방족환, 벤젠환, 방향족 헤테로환 등을 들 수 있다. R51, R52, R53, R54, R55, R56, R57, R58로 나타내어지는 알킬기, 아릴기, 방향족 헤테로환기는 상술의 치환기의 예에서 나타낸 것을 들 수 있고, 또한 치환기를 가져도 좋다.
R51, R52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예를 들면 메틸기, 벤질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양쪽이 같은 알킬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R53, R54, R55, R56, R57, R58은 모두 수소원자인 경우이거나, 또는 R53, R54가 수소원자이며, 또한 R55와 R56, R57과 R58이 연결되어 벤젠환을 형성하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이하에, 본 발명의 양이온 화합물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들지만, 본 발명은 하기 구체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07054547062-PCT00019
Figure 112007054547062-PCT00020
Figure 112007054547062-PCT00021
Figure 112007054547062-PCT00022
Figure 112007054547062-PCT00023
Figure 112007054547062-PCT00024
Figure 112007054547062-PCT00025
Figure 112007054547062-PCT00026
Figure 112007054547062-PCT00027
Figure 112007054547062-PCT00028
Figure 112007054547062-PCT00029
본 발명의 양이온 화합물은 일본 특허공개 2003-128654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피리디늄 화합물의 질소 상에 디니트로벤젠이나 헤테로아릴이 치환된 것을 아닐린이나 헤테로아릴아민으로 치환함으로써 합성할 수 있다. 또한 3개이상의 양이온기를 갖는 본 발명의 양이온 화합물은 상기 아닐린이나 헤테로아릴아민으로서 이미 양이온기를 갖는 것을 이용하여 합성할 수 있거나, 또는 비피리디늄 화합 물의 질소 상의 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기의 치환기를 오늄화함으로써 합성할 수 있다.
또한 얻어진 화합물은 공지의 방법으로 정제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양이온 화합물이 얻어진 것은 NMR 등의 공지의 분석 방법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색소 화합물]
본 발명의 색소 화합물은 본 발명의 양이온 화합물과, 상기 양이온 화합물의 전하를 중화할 수 있는 양의 음이온을 함유한다. 상기 색소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이온 화합물이 상기 음이온과 염을 형성한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색소 화합물은 색소막에서의 흡수 극대파장이 500nm이상 720nm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550nm이상 600nm미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565nm이상 590nm미만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음이온은 본 발명의 양이온 화합물의 전하를 중화해서 염을 형성할 수 있는 음이온이면, 무기 음이온 또는 유기 음이온 중 어느 것이어도 좋고, 예를 들면 할라이드 이온(Cl-, Br-, I-등), 술포네이트 이온(CH3SO3 -, CF3SO3 -, CF3(CF2)7SO3 -, p-톨루엔술포네이트 이온, 나프탈렌-1,5-디술포네이트 이온 등), 황산 이온(CH3SO4 - 등), ClO4 -, BF4 -, SbF6 -, 및 인산 이온(PF6 -,
Figure 112007054547062-PCT00030
등), 금속착체 이온(예를 들면
Figure 112007054547062-PCT00031
등), 음이온 색소(예를 들면 옥소놀 색소, 음이온성 해리성기(OH기, NH기, COOH기, SO3H기 등)가 해리된 음이온성 색소부위(바람직하게는 아조기, 아조메틴 색소, 스틸벤 색소))를 들 수 있다. 상기 음이온은 바람직하게는 음이온성 색소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옥소놀 색소이다. 옥소놀 색소란, 하기 일반식(A)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이며, 흡수 극대파장이 350nm이상, 720nm미만이면,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메틴수가 5 내지 7이며, 쇄상 산성핵 또는 환상 산성핵을 갖는 색소이다.
Figure 112007054547062-PCT00032
일반식(A)중, n은 1∼4의 범위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R이 나타내는 치환기의 예로서는, Ar1, Ar2의 치환기의 예로서 설명한 것을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0의 알킬기(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이소프로필기), 할로겐원자(예를 들면 염소, 브롬, 요오드, 불소), 탄소수 1∼20의 알콕시기(예를 들면 메톡시기, 에톡시기, 이소프로필기), 탄소수 6∼26의 아릴기(예를 들면 페닐기, 2-나프틸기), 탄소수 0∼20의 헤테로환기(예를 들면 2-피리딜기, 3-피리딜기), 탄소수 6∼20의 아릴옥시기(예를 들면 페녹시기, 1-나프톡시기, 2-나프톡시기), 탄소수 1∼20의 아실아미노기(예를 들면 아세틸아미노기, 벤조일아미노기), 탄소수 1∼20의 카르바모일기(예를 들면 N,N-디메틸카르바모일기), 술포기, 히드록시기, 카르복시기, 탄소수 1∼20의 알킬티오기(예를 들면 메틸티오기), 시아노기 등을 들 수 있고, 복수의 R끼리가 연결되어 환을 형성해도 좋다. 상기 음이온은,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하기 일반식(V):
Figure 112007054547062-PCT00033
로 나타내어지는 환상 산성핵을 갖는 옥소놀 색소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하기 일반식(VI):
Figure 112007054547062-PCT00034
으로 나타내어지는 옥소놀 색소이다.
이하에, 일반식(V), (VI)의 상세를 순차 설명한다.
일반식(V)
일반식(V)중, Za25 및 Za26은 각각 독립적으로 산성핵을 형성하는 원자군을 나타내고, 그 예는, James편, The Theory of the Photographic Process, 제4판, 맥밀란사, 1977년, 제 198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각,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피라졸-5-온, 피라졸리딘-3,5-디온, 이미다졸린-5-온, 히단토인, 2 또는 4-티오히단토인, 2-이미노옥사졸리딘-4-온, 2-옥사졸린-5-온, 2-티오옥사졸린-2,4-디온, 이소로다닌, 로다닌, 티오펜-3-온, 티오펜-3-온-1,1-디옥시드, 3,3-디옥소[1,3]옥사티오란-5-온, 인도린-2-온, 인도린-3-온, 2-옥소인다졸륨, 5,7-디옥소-6,7-디히드로티아졸로〔3,2-a〕피리미딘, 3,4-디히드로이소퀴놀린-4-온, 1,3-디옥산-4,6-디온(예를 들면 멜드럼산 등), 바르비투르산, 2-티오바르비투르산, 쿠마린-2,4-디온, 인다졸린-2-온, 피리드[1,2-a]피리미딘-1,3-디온, 피라졸로〔15-b〕퀴나졸론, 피라졸로피리돈, 5 또는 6원의 탄소환(예를 들면 헥산-1,3-디온, 펜탄-1,3-디온, 인단-1,3-디온) 등의 핵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피라졸-5-온, 피라졸리딘-3,5-디온, 바르비투르산, 2-티오바르비투르산, 1,3-디옥산-4,6-디온, 또는 3,3-디옥소[1,3]옥사티오란-5-온, 인단디온, 파라졸론, 피라졸린디온, 벤조티오펜 온디옥시드이다. Za25, Za26은 각각,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1,3-디옥산-4,6-디온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산성핵을 치환하는 치환기는 할로겐원자, 알킬기(시클로알킬기, 비시클로알킬기를 포함함), 알케닐기(시클로알케닐기, 비시클로알케닐기를 포함함), 알키닐기, 아릴기, 헤테로환기, 시아노기, 히드록실기, 니트로기, 카르복실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실릴옥시기, 헤테로환 옥시기, 아실옥시기, 카르바모일옥시기, 알콕시카르보닐옥시기, 아릴옥시카르보닐옥시기, 아미노기(알킬아미노기, 아릴아미노기를 포함함), 아실아미노기, 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기,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 아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기, 술파모일아미노기, 알킬 및 아릴술포닐아미노기, 메르캅토기, 알킬티오기, 아릴티오기, 헤테로환 티오기, 술파모일기, 술포기, 알킬 및 아릴술피닐기, 알킬 및 아릴술포닐기, 아실기, 아릴옥시카르보닐기, 알콕시카르보닐기, 카르바모일기, 아릴 및 헤테로환 아조기, 이미드기, 포스피노기, 포스피닐기, 포스피닐옥시기, 포스피닐아미노기, 또는 실릴기를 예로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탄소수 1∼20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20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기가 바람직하다.
산성핵은 무치환 또는, 탄소수 1∼20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로 치환된 것, 탄소수 6∼20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기로 치환된 것이 바람직하다.
Ma27, Ma28 및 Ma29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무치환의 메틴기이다. 치환기로서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0의 알킬기(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이소프로 필기), 할로겐원자(예를 들면 염소, 브롬, 요오드, 불소), 탄소수 1∼20의 알콕시기(예를 들면 메톡시기, 에톡시기, 이소프로필기), 탄소수 6∼26의 아릴기(예를 들면 페닐기, 2-나프틸기), 탄소수 0∼20의 헤테로환기(예를 들면 2-피리딜기, 3-피리딜기), 탄소수 6∼20의 아릴옥시기(예를 들면 페녹시기, 1-나프톡시기, 2-나프톡시기), 탄소수 1∼20의 아실아미노기(예를 들면 아세틸아미노기, 벤조일아미노기), 탄소수 1∼20의 카르바모일기(예를 들면 N,N-디메틸카르바모일기), 술포기, 히드록시기, 카르복시기, 탄소수 1∼20의 알킬티오기(예를 들면 메틸티오기), 시아노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다른 메틴기와 결합해서 환구조를 형성해도 좋고, Za27∼Za29로 나타내어지는 원자단과 결합해서 환구조를 형성해도 좋다.
Ma27, Ma28 및 Ma29는 각각 독립적으로 바람직하게는 무치환 메틴기, 또는 에틸기, 메틸기, 또는 페닐기로 치환된 메틴기 중 어느 하나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무치환의 메틴기이다.
일반식(V)에 있어서, Ka23은 0∼3의 범위의 정수를 나타낸다. Ka23이 2 또는 3일 때, 복수 존재하는 Ma27, Ma28은 같아도 달라도 좋다. Ka23은 2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양이온 화합물과 일반식(V)으로 나타내어지는 음이온성 색소부위가 염형성된 색소는 중성이며, 색소 화합물중의 양이온수와 음이온수는 동수이며, 양이온수 및 음이온수는 각각 바람직하게는 3∼10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4∼6이 다.
일반식(V)는 바람직하게는, Za25 및 Za26이 각각 독립적으로 무치환 또는 탄소수 1∼20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로 치환된 또는 탄소수 6∼20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기로 치환된 피라졸-5-온, 피라졸리딘-3,5-디온, 바르비투르산, 2-티오바르비투르산, 1,3-디옥산-4,6-디온, 3,3-디옥소[1,3]옥사티오란-5-온이며, Ma27, Ma28 및 Ma29는 각각 독립적으로 무치환 메틴기, 또는, 에틸기, 메틸기, 또는 페닐기로 치환된 메틴기 중 어느 하나이며, Ka23은 2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Za25 및 Za26이 각각 독립적으로 무치환 또는 탄소수 1∼20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로 치환된 또는 탄소수 6∼20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기로 치환된 1,3-디옥산-4,6-디온이며, Ma27, Ma28, Ma29는 무치환 메틴기이며, Ka23은 2이다.
일반식(VI)
일반식(VI)중, Za21, Za22, Za23 및 Za24는 각각 독립적으로 산성핵을 형성하는 원자군을 나타낸다. 산성핵은 일반식(V)의 Za25, Za26이 형성하는 것과 동의이며, 그 구체예도 같다. Za21, Za22, Za23 및 Za24가 형성하는 산성핵은, 바람직하게는, 피라졸-5-온, 피라졸리딘-3,5-디온, 바르비투르산, 2-티오바르비투르산, 1,3-디옥산-4,6-디온, 또는 3,3-디옥소[1,3]옥사티오란-5-온, 인단디온, 파라졸론, 피라졸린디온, 벤조티오펜온디옥시드이다. 그 중에서도, 1,3-디옥산-4,6-디온이 가장 바람직 하다.
Ma21, Ma22, Ma23, Ma24, Ma25 및 Ma26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무치환의 메틴기이며, 일반식(V)의 Ma27, Ma28, Ma29와 동의이며, 구체예도, 바람직한 예도 같다. Ma21, Ma22, Ma23, Ma24, Ma25, Ma26은 무치환의 메틴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Ka21 및 Ka22는 각각 독립적으로 0∼3의 범위의 정수를 나타내고, 일반식(V) Ka23과 동의이다. Ka23이 2 또는 3일 때, 복수 존재하는 Ma21, Ma22, Ma25, Ma26은 각각 같아도 달라도 좋다.
L은, 2개의 결합과 함께 π공역계를 형성하지 않는 2가의 연결기이다. 2가의 연결기에 대해서는, 이들이 결합된 크로모포어 사이에서 π공역계를 형성하지 않는 이외에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알킬렌기(탄소수 1∼20, 예를 들면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부틸렌기, 펜틸렌기), 아릴렌기(탄소수 6∼26, 예를 들면 페닐렌기, 나프틸렌기), 알케닐렌기(탄소수 2∼20, 예를 들면 에테닐렌기, 프로페닐렌기), 알키닐렌기(탄소수 2∼20, 예를 들면 에티닐렌기, 프로피닐렌기), -CO-N(R101)-, -CO-O-, -SO2-N(R102)-, -SO2-O-, -N(R103)-CO-N(R104)-, -SO2-, -SO-, -S-, -O-, -CO-, -N(R105)-, 헤테릴렌기(탄소수 1∼26, 예를 들면 6-클로로-1,3,5-트리아질-2,4-디일기, 피리미딘-2,4-디일기)를 1개 또는 그 이상 조합해서 구성되 는 탄소수 0∼100, 바람직하게는 1∼20의 연결기를 나타낸다. 상기, R101, R102, R103, R104, R10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알킬기, 및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릴기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또한 L로 나타내어지는 연결기는 이들이 연결하는 2개의 크로모포어 사이에서 1개이상 복수개 존재하고 있어도 좋고, 복수개(바람직하게는 2개)가 결합해서 환을 형성해도 좋다.
L로서, 각각 바람직하게는 2개의 알킬렌기(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기)가 결합해서 환을 형성한 것이다. 그 중에서도, 5 또는 6원환(바람직하게는 시클로헥실)을 형성한 경우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에, 상기 옥소놀 색소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들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07054547062-PCT00035
Figure 112007054547062-PCT00036
Figure 112007054547062-PCT00037
Figure 112007054547062-PCT00038
Figure 112007054547062-PCT00039
Figure 112007054547062-PCT00040
Figure 112007054547062-PCT00041
Figure 112007054547062-PCT00042
Figure 112007054547062-PCT00043
Figure 112007054547062-PCT00044
Figure 112007054547062-PCT00045
Figure 112007054547062-PCT00046
Figure 112007054547062-PCT00047
Figure 112007054547062-PCT00048
일반적인 옥소놀 색소는 해당되는 활성 메틸렌 화합물과 메틴원(메틴염료에 메틴기를 도입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화합물)의 축합반응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화합물에 대한 상세는 일본 특허공고 소39-22069호, 동43-3504호, 동52-38056호, 동54-38129호, 동55-10059호, 동58-35544호, 일본 특허공개 소49-99620호, 동52-92716호, 동59-16834호, 동63-316853호, 동64-40827호 각 공보, 및 영국특허 제 1133986호, 미국특허 제3247127호, 동4042397호, 동4181225호, 동5213956호, 동5260179호 각 명세서를 참조할 수 있다.
비스형 옥소놀 색소의 합성법은, 유럽 특허 EP1424691A2에 개시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양이온 화합물과 음이온성 색소가 염형성된 색소 화합물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들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1)
Figure 112007054547062-PCT00049
(표2)
Figure 112007054547062-PCT00050
상기 음이온성 색소로서는, 상기 옥소놀 색소 이외에도, 발색단으로서 해리성 기(수산기, 아미노기 등)를 갖는 해리성의 아조 색소, 아조메틴 색소, 또는 메틴 색소나 발색단 이외에 해리성 기가 치환된 아조 색소, 아조메틴 색소, 메틴 색소, 퀴논계 색소, 디아릴 및 트리아릴메탄계 색소, 프탈로시아닌계 색소, 인디고 색소, 축합환계 색소, 스티릴계 색소, 스피로피란, 스피로옥사진 유도체, 디아릴에 텐 유도체, 스쿠알륨, 크로코늄 유도체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 구조의 예 로서는, 오카와라 신·마츠오카 켄·히라시마 히사시료·키타오 야스시지로 저(고단샤)「기능성 색소」기재의 색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색소 화합물은 본 발명의 양이온 화합물의 염(염산염 등)을 음이온 교환함으로써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얻어진 색소 화합물은 공지의 방법으로 정제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색소 화합물이 얻어진 것은 NMR 등의 공지의 분석 방법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색소 화합물은 색소 도포액 조제시의 용해성이나, 도포액의 용해 경시 안정성, 고농도 도포 용액을 사용한 경우의 도포성(도포막 평활성)이 우수하므로, 본 발명의 색소 화합물을 광정보 기록 매체의 기록층용 색소로서 사용함으로써 제조 적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색소 화합물은 기록 특성이 우수하므로, 광정보 기록 매체의 기록층용 색소로서 사용함으로써, 기록 감도 및 기록 정밀도가 우수한 광정보 기록 매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색소 화합물의 기록층용 색소로서의 사용 방법의 상세는 본 발명의 광정보 기록 매체에 대해서 후술하는 바와 같다.
[광정보 기록 매체]
본 발명의 광정보 기록 매체는, 기판 상에 기록층을 갖고, 상기 기록층에 본 발명의 색소 화합물을 함유한다.
상기 기록층은 본 발명의 색소 화합물을 1종만 함유해도 좋고, 2종이상을 조합해서 함유해도 좋다. 그 함유율은, 바람직하게는 1∼1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 는 5∼100%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0∼100%이다.
상기 기록층중의 본 발명의 색소 화합물 이외의 성분은 유기물, 무기물 중 어느 것이어도 좋고, 그 구체예로서는, 본 발명의 색소 화합물 이외의 색소를 들 수 있다. 병용하는 색소로서 바람직하게는 유기 색소이며, 구체적으로는 아조 색소, 시아닌 색소, 옥소놀 색소, 피로메텐 색소, 프탈로시아닌 색소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색소 화합물 이외의 옥소놀 색소이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일본 특허공개 평10-297103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0-108520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2-59652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2-249674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3-39831호 공보, 및 일본 특허공개 2004-188968호 공보에 기재된 옥소놀 색소이다. 기록재료로서 본 발명의 색소 화합물과 다른 색소를 병용하는 경우에는, 기록 특성 및 제조 적성 향상의 관점에서는, 기록층중의 전체 색소성분중의 본 발명의 색소 화합물의 비율이 60∼100질량%, 다른 색소의 비율이 0∼40질량%가 되도록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정보 기록 매체는 본 발명의 색소 화합물을 기록층에 함유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추기형 광기록매체이다. 본 발명의 광정보 기록 매체를 CD-R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트랙 피치 1.4∼1.8㎛의 프리그루브가 형성된 두께 1.2±0.2mm의 투명한 원반형상 기판 상에 본 발명의 색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기록층, 광반사층 및 보호층을 이 순서로 갖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광정보 기록 매체는 추기형 DVD일 수도 있다. 추기형 DVD로서는, 단층 기록층을 갖는 것과 2층 기록층을 갖는 것이 있지만, 본 발명은 어느 형태이어도 좋다. 또한 추기형 DVD로서는 DVD-R 및 DVD+R이 있지만, 본 발명은 어느 형태에나 적용가능하다.
단층 기록층을 갖는 추기형 DVD는 한쌍의 기판 사이에 기록층을 갖는 층구성(예를 들면 기판, 기록층 및 보호 기판(더미 기판)을 이 순서로 가짐)을 취할 수 있다. 그 밖에 반사층, 보호층 등이 적당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층구성을 갖는 추기형 DVD의 일례를 도 1에 나타낸다.
또한 단층 기록층을 갖는 DVD-R형 광정보 기록 매체의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이하의 광정보 기록 매체를 들 수 있다.
트랙 피치 0.6∼0.9㎛의 프리그루브가 형성된 두께 0.6±0.1mm의 투명한 원반형상 기판 상에 본 발명의 색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기록층 및 광반사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적층체와, 상기 적층체의 원반형상 기판과 같은 형상의 투명한 원반형상 보호 기판을 기록층이 내측이 되도록 접합되고, 두께 1.2±0.2mm가 되도록 구성된 광정보 기록 매체. 또, 상기 DVD-R형 광정보 기록 매체에 있어서는, 광반사층 상에 보호층을 더 형성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단층 기록층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색소 화합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일반식(III) 내지 (IV)로 나타내어지는 양이온부에 일반식(VI)으로 나타내어지는 옥소놀 색소를 조합한 것이다.
한편, 기록층을 2층 갖는 추기형 DVD는 대향하는 한쌍의 기판 사이에 2층이상의 기록층을 갖는 층구성(예를 들면 제 1 기판, 제 1 기록층, 제 2 기록층, 제 2 기판을 이 순서로 가짐)을 취할 수 있다. 2층의 기록층을 갖는 추기형 DVD의 일례 를 도 2에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내는 추기형 DVD는 제 1 기록층(22)을 갖는 제 1 기판(14)과 제 2 기록층(28)을 갖는 제 2 기판(18)이 중간층(20)을 개재시켜 접합된 구성을 갖는다. 또한 제 1 기록층(22) 상에는 반사층(24)이, 중간층(20)과 제 2 기록층(28) 사이에는 배리어층(30)이, 제 2 기록층(28)과 제 2 기판(18) 사이에는 반사층(26)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기판측으로부터 레이저광을 조사하므로 제 1 기록층(22) 상에 형성되는 반사층(24)은 반투명으로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추기형 DVD에 있어서, 제 1 기록층(22)에 대해서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제 1 기판(14)의 끝면(14a)으로부터 제 1 기록층(22)을 향하는 방향으로 기록용의 레이저광(32)을 조사하고, 레이저광(32)을 제 1 기록층(22)에 결상시켜서 정보(피트)를 형성한다. 이 때, 제 1 프리그루브(12)의 그루브(34)에 대응된 부분에 정보가 기록된다.
한편, 제 2 기록층(28)에 대하여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제 1 기판(14)의 끝면(14a)으로부터 제 2 기록층(28)을 향하는 방향으로 기록용의 레이저광을 조사하고, 레이저광(32)을 제 2 기록층(28)에 결상시켜서 정보(피트)를 기록한다. 이 때, 제 2 기록층(28) 중, 제 2 프리그루브(16)의 랜드(36)에 대응된 부분에 정보가 기록된다.
또, 중간층(20)은 제 1 기록층(22)에 기록된 정보와 제 2 기록층(28)에 기록된 정보의 간섭을 막는 기능을 하는 층이며, 중간층(20)을 개재시킴으로써 제 1 기록층(22) 및 제 2 기록층(28)에서 양호한 기록재생신호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편면 2층 기록이 가능한 추기형 DVD에서는, 제 1 기록층과 제 2 기록층은 입사광원으로부터의 거리, 필요로 되는 열분해특성 등이 다르기 때문에, 각 층에 사용하는 기록재료는 응답특성 등을 고려해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저광원에 가까운 기록층(도 2중의 제 1 기록층(22))에 사용하는 색소 화합물로서 바람직한 색소, 상기 단층 기록층을 갖는 추기형 DVD의 바람직한 예로 든 화합물이다.
한편, 레이저광원으로부터 떨어진 기록층(도 2중의 제 2 기록층(28))에 사용하는 색소 화합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일반식(III)으로 나타내어지는 양이온부에 일반식(VI)으로 나타내어지는 옥소놀 색소를 조합한 것이다.
또한 기록층을 2층 갖는 DVD-R형 광정보 기록 매체의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이하의 광정보 기록 매체를 들 수 있다.
트랙 피치 0.6∼0.9㎛의 프리그루브가 형성된 두께 0.6±0.1mm의 투명한 원반형상 기판 상에 본 발명의 색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기록층 및 광반사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2장의 적층체가 각각 기록층이 내측이 되도록 접합되어, 두께 1.2±0.2mm가 되도록 구성된 광정보 기록 매체.
본 발명의 광정보 기록 매체는 예를 들면 이하에 서술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기판(보호 기판도 포함함)은 종래의 정보 기록 매체의 기판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각종의 재료로부터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기판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유리;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수지;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 공중합체 등의 염화비닐계 수지; 에폭시수지; 아모퍼스 폴리올레핀 및 폴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고, 원하는 바에 따라 이들을 병용해도 좋다. 또, 이들 재료는 필름형상으로서 또는 강성이 있는 기판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재료 중에서는, 내습성, 치수안정성 및 가격 등의 점에서 폴리카보네이트가 바람직하다.
기록층이 형성되는 측의 기판 표면에는, 평면성의 개선 및 접착력의 향상 및 기록층의 변질 방지 등의 목적으로 프라이머층이 형성되어도 좋다. 프라이머층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스티렌·무수 말레인산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콜, N-메티롤아크릴아미드, 스티렌·비닐톨루엔 공중합체,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 니트로셀룰로오스, 폴리염화비닐, 염소화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이미드, 초산 비닐·염화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초산 비닐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고분자물질; 및 실란 커플링제 등의 표면 개질제를 들 수 있다. 프라이머층은 상기 물질을 적당한 용제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서 도포액을 조제한 후, 이 도포액을 스핀 코트, 딥 코트, 익스트루젼 코트 등의 도포법에 의해 기판표면에 도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기판(또는 프라이머층) 상에는 트래킹용 홈 또는 어드레스 신호 등의 정보를 나타내는 요철(프리그루브)이 형성되어 있다. 이 프리그루브는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수지재료를 사출성형 또는 압출성형할 때에 직접 기판 상에 상기 트랙 피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리그루브의 형성을 프리그루브층을 형성함으로써 행해도 좋다. 프리그루브층의 재료로서는, 아크릴산의 모노에스테르, 디 에스테르, 트리에스테르 및 테트라에스테르 중 적어도 1종의 모노머(또는 올리고머)와 광중합 개시제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프리그루브층의 형성은 예를 들면 우선 정밀하게 만들어진 모형(스탬퍼) 상에 상기의 아크릴산 에스테르 및 중합 개시제로 이루어지는 혼합액을 도포하고, 또함 이 도포액층 상에 기판을 올려놓은 후, 기판 또는 모형을 통해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도포층을 경화시켜서 기판과 도포층을 고정시킨다. 이어서, 기판을 모형으로부터 박리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기판(또는 프라이머층) 상의 프리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는 그 표면 상에는, 본 발명의 색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기록층이 형성된다. 기록층에는 내광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여러가지 퇴색 방지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퇴색 방지제의 대표예로서는, 일본 특허공개 평3-224793호 공보에 기재된 일반식(III), (IV) 또는 (V)로 나타내어지는 금속착체, 디암모늄염, 아미늄염이나 일본 특허공개 평2-300287호 공보나 일본 특허공개 평2-300288호 공보에 나타내어져 있는 니트로소 화합물, 일본 특허공개 평10-151861호 공보에 나타내어져 있는 TCNQ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기록층의 형성은 본 발명의 색소 화합물, 또한 원바는 바에 따라 켄처(quencher), 결합제 등을 용제에 용해해서 도포액을 조제하고, 이어서 이 도포액을 기판 표면에 도포해서 도막을 형성한 후 건조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색소 기록층 형성용의 도포액의 용제로서는, 초산 부틸, 유산 에틸, 셀로솔브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테르;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클로로포름 등의 염소화 탄화수소;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아미드; 시클로헥산 등의 탄화수소; 테트라히드로푸란, 에틸에테르, 디옥산 등의 에테르;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디아세톤알코올 등의 알코올; 2,2,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올 등의 불소계 용제;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글리콜에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용제는 사용하는 화합물의 용해성을 고려해서 단독 또는 2종이상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도포액중에는 산화 방지제, UV 흡수제, 가소제, 윤활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목적에 따라서 더 첨가해도 좋다.
결합제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젤라틴, 셀룰로오스 유도체, 덱스트란, 로진, 고무 등의 천연 유기 고분자물질; 및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이소부틸렌 등의 탄화수소계 수지;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염화비닐·폴리초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비닐계 수지; 폴리아크릴산메틸,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등의 아크릴수지; 폴리비닐알콜, 염소화 폴리에틸렌, 에폭시수지, 부티랄 수지, 고무 유도체,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의 초기 축합물 등의 합성 유기 고분자를 들 수 있다. 기록층의 재료로서 결합제를 병용하는 경우에, 결합제의 사용량은 색소의 합계량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0.01∼50배량(질량비)의 범위에 있고, 바람직하게는 0.1∼5배량(질량비)의 범위에 있다. 이렇게 해서 조제되는 도포액의 색소농도는 일반적으로 0.01∼10질량%의 범위에 있고, 바람직하게는 0.1∼5질량%의 범위에 있다.
도포방법으로서는, 스프레이법, 스핀 코트법, 딥법, 롤 코트법, 브레이드 코트법, 닥터롤법, 스크린 인쇄법 등을 들 수 있다. 기록층은 단층이어도 중층이어도 좋다. 기록층의 층두께는 일반적으로 20∼500nm의 범위에 있고, 바람직하게는 50∼ 300nm의 범위에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기록층 상에, 정보의 재생시에 있어서의 반사율의 향상의 목적으로 반사층이 형성된다. 반사층의 재료인 광반사성 물질은 레이저광에 대한 반사율이 높은 물질이며, 그 예로서는, Mg, Se, Y, Ti, Zr, Hf, V, Nb, Ta, Cr, Mo, W, Mn, Re, Fe, Co, Ni, Ru, Rh, Pd, Ir, Pt, Cu, Ag, Au, Zn, Cd, Al, Ga, In, Si, Ge, Te, Pb, Po, Sn, Bi 등의 금속 및 반금속 또는 스테인레스강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바람직한 것은, Cr, Ni, Pt, Cu, Ag, Au, Al 및 스테인레스강이며, 특히 바람직한 것은 Ag이다. 이들 물질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또는 2종이상의 조합으로, 또는 합금으로서 이용해도 좋다. 반사층은 예를 들면 상기 반사성 물질을 증착, 스퍼터링 또는 이온 플레이팅함으로써 기록층 상에 형성할 수 있다. 반사층의 층두께는 일반적으로는 10∼300nm의 범위에 있고, 바람직하게는 50∼200nm의 범위이다.
반사층 상에는, 기록층 등을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보호하는 목적으로 보호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보호층은 기반의 기록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에도 내상처성, 내습성을 높이는 목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보호층에 이용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SiO, SiO2, MgF2, SnO2, Si3N4 등의 무기물질,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UV 경화성 수지 등의 유기물질을 들 수 있다. 보호층은 예를 들면 플라스틱의 압출가공으로 얻어진 필름을 접착층을 반사층 상 및/또는 기판 상에 라미네이트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진공증착, 스퍼터링, 도포 등의 방법에 의 해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의 경우에는, 이들의 적당한 용제에 용해해서 도포액을 조제한 후, 이 도포액을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써도 형성할 수 있다. UV 경화성 수지의 경우에는, 그대로 또는 적당한 용제에 용해해서 도포액을 조제한 후 이 도포액을 도포하고, UV광을 조사해서 경화시킴으로써도 형성할 수 있다. 이들 도포액중에는, 대전 방지제, 산화 방지제, UV 흡수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목적에 따라서 더 첨가해도 좋다. 보호층의 층두께는 일반적으로는 0.1∼100㎛의 범위에 있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기판 상에 기록층, 및 반사층, 그리고 원하는 바에 따라 보호층을 형성한 적층체를 제작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해서 2장의 적층체를 제작하고, 이들을 각각의 기록층이 내측이 되도록 접착제로 접합함으로써, 2개의 기록층을 갖는 광정보 기록 매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 얻어진 적층체와, 그 적층체의 기판과 대략 동일한 치수의 원반형상 보호 기판을 그 기록층이 내측이 되도록 접착제로 접합함으로써, 단층 기록층을 갖는 광정보 기록 매체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의 재료로서는,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전자선 경화성 수지, 자외선 경화성 수지, 감압식 양면 테이프 등이나, SiO2 등의 무기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재료를 단독 또는 혼합해도 좋고, 1층 뿐만 아니라 다층막으로 해서 이용해도 좋다. 이러한 접착층은 스핀 코트법이나 캐스트법, 스퍼터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접착층의 두께는 5∼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70㎛이다.
본 발명의 광정보 기록 매체에의 정보 기록 방법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우선, 정보 기록 매체를 정선속도 또는 정각속도로 회전시키면서, 기판측으로부터 반도체 레이저광 등의 기록용 레이저광을 조사한다. 이 광의 조사에 의해, 기록층과 반사층의 계면에 공동이 형성(공동의 형성은, 기록층 또는 반사층의 변형, 또는 양층의 변형을 수반해서 형성됨)되거나, 기판이 패딩 변형되거나, 또는 기록층에 변색, 회합상태의 변화 등에 의해 굴절율이 변화됨으로써 정보가 기록된다고 생각된다. 기록광으로서는, CD-R형으로서 770∼790nm, DVD-R형으로서 600nm∼700nm(바람직하게는 620∼680nm, 보다 바람직하게는, 630∼660nm)의 범위의 발진 파장을 갖는 반도체 레이저빔이 이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록된 정보의 재생은 정보 기록 매체를 상기와 동일한 정선속도로 회전시키면서 기록시와 같은 파장을 갖는 반도체 레이저광을 기판측으로부터 조사하고, 그 반사광을 검출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실시예에 나타내는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색소 화합물 D-1의 합성
(1)화합물예 V-1의 p-톨루엔술폰산염의 합성
다음의 반응 스킴에 따라 이소프로판올 300㎖에 염화암모늄 3g과 환원철 30g을 첨가하고, 가열 환류를 30분 행했다. 다음에 가열 환류 후, 4-니트로페닐-1-이 미다졸 25.8g을 서서히 첨가했다. 다시 가열 환류를 2시간 행한 후, 열시 여과로 불용분을 제거했다. 얻어진 이소프로판올 용액을 농축 건조시킨 것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중간체A 16.0g을 얻었다. 다음에 디메틸포름아미드 20㎖에 중간체A 2.07g과 DNPV(1,1'-비스(2,4-디니트로페닐)[4,4']비피리디늄디클로라이드) 3.36g을 첨가하고, 90℃에서 2시간 가열교반했다.
반응 종료후, 방냉해서 하룻밤 방치시켰다. 석출된 결정을 여과채취하고, 디메틸포름아미드로 세정후, 감압 건조시켜 중간체B 3.0g을 얻었다. 다음에 중간체B 2.0g에 p-톨루엔술폰산 메틸에스테르 20㎖를 첨가하고, 120℃에서 6시간 가열교반했다. 방냉후, 초산 에틸 30㎖를 첨가하고, 30분 교반했다. 석출 결정을 여과채취하고, 건조시켜 V-1의 p-톨루엔술폰산염 2.75g을 얻었다.
1H-NMR 데이터(d6-DMSO): 9.99(s,2H), 9.74(d,4H), 9.10(d,4H), 8.46(s,2H), 8.28(dd,8H), 8.05(s,2H), 7.48(d,8H), 7.12(d,8H), 4.03(s,6H), 2.30(s,12H)
(2)색소 화합물의 합성(염형성)
상기에서 얻어진 V-1의 p-톨루엔술폰산염 0.58g을 메탄올 30㎖에 가열 용융한 것에 하기 색소원료 1.24g을 첨가하고, 60℃에서 30분 교반했다.
다음에 방냉후,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고, 석출 결정을 여과채취하고, 메탄올로 세정했다. 건조후, 색소 화합물 D-1을 얻었다(흡수 λmax=561.6nm, ε=6.13×105/2,2,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올(TFP)).
1H-NMR 데이터(d6-DMSO): 9.94(s,2H), 9.78(s,4H), 9.15(d,4H), 8.44(s,2H), 8.25(dd,8H), 8.05(s,2H), 7.70∼7.47(m,12H), 7.20∼7.08(m,8H), 4.00(s,6H), 1.98(s,16H), 1.80∼1.75(m,8H), 1.52(s,12H), 1.47∼1.32(m,8H), 0.88(t,12H)
Figure 112007054547062-PCT00051
[실시예2]
색소 화합물 D-2의 합성
(1)화합물예 V-2의 Br-, Cl-의 혼합염의 합성
다음의 반응 스킴에 따라 중간체B와 벤질브로마이드를 반응시킴으로써 화합물예 V-2의 Br-, Cl-의 혼합염을 합성했다.
1H-NMR 데이터(d6-DMSO): 10.32(s,2H), 9.80(d,4H), 9.17(d,4H), 8.53(s,2H), 8.32(dd,8H), 8.15(s,2H), 7.60(d,4H), 7.50∼7.42(m,6H), 5.60(s,4H)
(2)색소 화합물의 합성(염형성)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해서 하기 색소원료와 반응시킴으로써 색소 화합물 D-2를 얻었다(흡수 λmax=561.7nm, ε=6.08×105/TFP).
1H-NMR 데이터(d6-DMSO): 10.16(s,2H), 9.78(d,4H), 9.13(d,4H), 8.50(s,2H), 8.27(dd,8H), 8.12(s,2H), 7.70∼7.41(m,22H), 7.20∼7.09(m,8H), 5.55(s,4H), 1.98(s,16H), 1.80∼1.75(m,8H), 1.52(s,12H), 1.47∼1.32(m,8H), 0.88(t,12H)
Figure 112007054547062-PCT00052
[실시예3]
색소 화합물 D-3의 합성
(1)화합물예 V-3의 p-톨루엔술폰산염의 합성
다음의 반응스킴에 따라 합성했다. 우선, 메시틸렌 50㎖에 벤즈이미다졸 3.23g과 탄산 루비듐 17.3g, 초산 바나듐 56mg, 트리t-부틸포스핀을 첨가하고, 100℃에서 교반한 것에, 1-요오드-4-니트로벤젠 6.23g을 서서히 첨가했다. 8시간 가열 환류후, 방치하여 냉각하고, 초산 에틸, 물을 첨가하고, 초산 에틸로 추출했다. 추출액을 농축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해서 중간체C 2.4g을 얻었다. 다음에 실시예1과 동일한 조작을 행해 중간체D, 중간체E를 합성하고, p-톨루엔술폰산 메틸에스테르와 반응시킴으로써 화합물예 V-3의 p-톨루엔술폰산염을 합성했다.
1H-NMR 데이터(d6-DMSO): 10.30(s,2H), 9.81(d,4H), 9.17(d,4H), 8.39(d,4H), 8.29(d,4H), 8.22(d,2H), 7.92∼7.78(m,8H), 7.49(d,2H), 7.45(d,8H), 7.10(d,8H), 4.25(s,6H), 2.28(s,12H)
(2)색소 화합물의 합성(염형성)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해서 하기 색소원료와 반응시킴으로써 색소 화합물 D-3을 얻었다(흡수 λmax=562.0nm, ε=5.76×105/TFP).
1H-NMR 데이터(d6-DMSO): 10.30(s,2H), 9.83(d,4H), 9.19(d,4H), 8.38(d,4H), 8.28(d,4H), 8.21(d,2H), 7.91∼7.80(m,6H), 7.70∼7.45(m,12H), 7.20∼7.08(m,8H), 4.25(s,6H), 1.98(s,16H), 1.80∼1.75(m,8H), 1.52(s,12H), 1.47∼1.32(m,8H), 0.88(t,12H)
Figure 112007054547062-PCT00053
[실시예4]
색소 화합물 D-4의 합성
(1)화합물예 V-4의 Br-, Cl-의 혼합염의 합성
다음의 반응 스킴에 따라, 중간체E와 벤질브로마이드를 반응시킴으로써 화합물예 V-4의 Br-, Cl-의 혼합염을 합성했다.
1H-NMR 데이터(d6-DMSO): 10.68(s,2H), 9.88(d,4H), 9.23(d,4H), 8.40(dd,4H), 8.13∼8.10(m,2H), 7.95∼7.91(m,2H), 7.83∼7.77(m,4H), 7.71(d,4H), 7.50∼7.40(m,6H), 5.96(s,4H)
(2)색소 화합물의 합성(염형성)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해서 하기 색소원료와 반응시킴으로써 색소 화합물 D-4를 얻었다(흡수 λmax=562.0nm, ε=6.05×105/TFP).
1H-NMR 데이터(d6-DMSO): 10.53(s,2H), 9.84(d,4H), 9.19(d,4H), 8.38(dd,4H), 8.12∼8.09(m,2H), 7.93∼7.90(m,2H), 7.80∼7.77(m,4H), 7.70∼7.40(m,22H), 7.20∼7.08(m,8H), 5.93(s,4H), 1.98(s,16H), 1.80∼1.75(m,8H), 1.52(s,12H), 1.47∼1.32(m,8H), 0.88(t,12H)
Figure 112007054547062-PCT00054
[실시예5]
색소 화합물 D-53의 합성
(1)화합물예 V-31의 염산염의 합성
다음의 스킴에 따라 합성했다.
(i)중간체F의 합성
4,4'-비피리딜 15g을 아세톤 100㎖에 용해한 것에, 1-클로로-2,4-디니트로벤젠 13.2g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5분 교반하고, 다시 15시간 가열 환류했다. 반응 종료후, 실온까지 방냉하고, 석출 결정을 감압 여과로 여과채취했다. 마지막에 얻어진 결정을 아세톤으로 세정후, 건조시켜 중간체F 18.8g을 얻었다.
(ii)중간체G의 합성
중간체F 14.4g을 아세토니트릴 100㎖에 현탁한 것에, 아닐린 4.6g을 첨가하고, 7시간 가열 환류했다. 반응 종료후, 실온까지 방냉하고, 석출 결정을 여과채취하고, 아세토니트릴로 세정하고 건조시켰다. 얻어진 거친 결정에 메탄올 20㎖를 첨가해서 가열 용융시킨 것에 초산 에틸 200㎖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했다. 얻어진 결정을 여과채취해서 중간체G 10.4g을 얻었다.
(iii)중간체H의 합성
중간체G 3g과 1-클로로-2,4-디니트로벤젠 7g에 N-메틸피롤리돈 5㎖를 첨가하고, 외온 110℃의 오일 배쓰에서 9시간 가열했다. 반응 종료후, 실온까지 방냉하고, 석출 결정을 여과채취하고, N-메틸피롤리돈으로 세정하고, 다시 초산 에틸로 세정하고 건조시켜서 중간체H 3.7g을 얻었다.
(iv)화합물예 V-31 염산염의 합성
중간체H 2.4g을 디메틸포름아미드 30㎖에 현탁한 것에, 4,4'-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 0.4g을 첨가하고, 100℃에서 6시간 가열교반했다. 반응 종료후, 실온까지 방냉하고, 석출 결정을 여과채취하고, 디메틸포름아미드로 세정하고, 다시 초산 에틸로 세정하고 건조시켜서 화합물예 V-31 염산염 1.16g을 얻었다.
Figure 112007054547062-PCT00055
화합물예 V-31 염산염의 1H-NMR 데이터(CD3OD): 9.62∼9.56(m,8H), 8.97∼8.83(m,8H), 8.10∼8.06(m,4H), 7.97∼7.94(m,4H), 7.83∼7.80(m,6H), 7.57∼7.53(m,4H)
(2)색소 화합물 D-53의 합성(염형성)
상기에서 얻어진 V-31의 염산염 1.0g을 메탄올 30㎖에 가열 용해한 것에 실시예1에 기재된 색소원료 3.1g을 첨가하고, 60℃에서 30분 교반했다. 다음에 방냉후,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고, 석출 결정을 여과채취하고, 메탄올로 세정, 건조시켜서 화합물 D-53을 1.8g 얻었다(흡수 λmax=561.8nm, ε=6.07×105/2,2,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올(TFP)).
화합물예 D-53의 1H-NMR 데이터(d6-DMSO): 9.70(s(br),8H), 9.08(s(br),8H), 8.08(s(br),4H), 7.98(s(br),4H), 7.81(s(br),6H), 7.70∼7.46(m,16H), 7.20∼7.08(m,8H), 1.99(s,16H), 1.80∼1.75(m,8H), 1.52(s,12H), 1.47∼1.32(m,8H), 0.88(t,12H)
[실시예6]
색소 화합물의 합성
화합물예 V-27부터 V-30, V-32부터 V-72의 염산염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합성하고, 얻어진 염산염의 염소 음이온을 음이온 교환함으로써 여러가지 음이온을 갖는 화합물을 합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기재한 바와 같이, 색소원료와 반응시켜, 옥소놀 색소를 짝 음이온으로서 갖는 화합물을 합성했다. 이하에, 몇개의 화합물에 대해서 동정 NMR 데이터를 기재한다.
화합물예 V-41 염산염의 1H-NMR 데이터(CD3OD): 9.58∼9.55(m,8H), 8.94∼8.91(m,8H), 7.96∼7.94(m,4H), 7.83∼7.78(m,8H), 7.73∼7.70(m,4H), 7.52(t,1H), 7.47(d,2H), 7.06∼7.02(m,3H)
색소 화합물 D-63의 1H-NMR 데이터(d6-DMSO): 9.70(s(br),8H), 9.07(s(br),8H), 7.95(s(br),4H), 7.80(s(br),8H), 7.70∼7.45(m,19H), 7.20∼7.07(m,8H), 7.02∼6.98(m,3H), 1.98(s,16H), 1.81∼1.75(m,8H), 1.5(s,12H), 1.47∼1.33(m,8H), 0.88(t,12H)
화합물예 V-51 염산염의 1H-NMR 데이터(CD3OD):9.64(dd,8H), 8.98(dd,8H), 8.53(d,2H), 8.38(d,2H), 8.18(d,2H), 8.07(d,4H), 7.97(t,2H), 7.77(d,4H), 7.57(d,4H), 7.40(t,4H), 7.20(t,2H)
색소 화합물 D-73의 1H-NMR 데이터(d6-DMSO): 10.53(s,2H), 9.77(d(br),8H), 9.12(s(br),8H), 8.51(s(br),2H), 8.39(s(br),2H), 8.09(m(br),6H), 7.80(d,4H), 7.70∼7.47(m,18H), 7.42(t,4H), 7.20∼7.09(m,8H), 1.98(s,16H), 1.80∼1.76(m,8H), 1.52(s,12H), 1.43∼1.35(m,8H), 0.89(t,12H)
화합물 V-54 염산염의 1H-NMR 데이터(CD3OD): 9.68∼9.55(m,8H), 9.00∼8.92(m,8H), 8.42(d,2H), 8.28(d,2H), 8.17(d,2H), 8.00(d,2H), 7.71(t,2H), 7.54(s,2H), 7.48(d,2H), 7.38(d,2H), 3.97(s,6H)
색소 화합물 D-76의 1H-NMR 데이터(d6-DMSO): 10.98(s,1H), 9.73(s(br),8H), 9.09(s(br),8H), 8.41(s(br),2H), 8.20(s(br),4H), 8.02(s(br),2H), 7.71∼7.47(m,18H), 7.39(s(br),2H), 7.20∼7.09(m,8H), 3.93(s,6H), 1.99(s,16H), 1.82∼1.77(m,8H), 1.53(s,12H), 1.47∼1.35(m,8H), 0.89(t,12H)
화합물예 V-57 염산염의 1H-NMR 데이터(CD3OD): 9.68∼9.57(m,8H), 9.00∼8.92(m,8H), 8.42(d,2H), 8.29(d,2H), 8.17(d,2H), 8.02∼7.93(m,6H), 7.83∼7.80(m,6H)
색소 화합물 D-79의 1H-NMR 데이터(d6-DMSO): 10.98(s,1H), 9.72(s(br),8H), 9.10(s(br),8H), 8.41(s(br),2H), 8.20(s(br),4H), 7.99(s(br),6H), 7.82(s(br), 6H), 7.71∼7.47(m,12H), 7.21∼7.08(m,8H), 1.99(s,16H), 1.82∼1.77(m,8H), 1.53(s,12H), 1.47∼1.35(m,8H), 0.89(t,12H)
평가 방법
(1)스핀 코트 도포적성의 평가
표3에 기재된 색소(0.3g)를 10㎖의 2,2,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올(TFP)에 용해한 것을 폴리카보네이트 기판에 스핀 코트하고, 도포 라인을 육안으로 관찰했다. 결과를 표3에 나타낸다.
(2)용해 경시 안정성 시험
표3에 기재된 색소를 5.0질량%의 2,2,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올 용액으로 해서 20℃에서 1주간 방치했다. 결정 석출의 모양을 육안으로 확인했다. 결과를 표3에 나타낸다.
◎:결정의 석출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
○:결정의 석출이 보이지 않는다.
△:결정의 석출이 약간 보여진다.
×:결정의 석출이 많다.
(3)색소막 굴절율 측정
색소 용액(표3에 나타내는 각 색소 10mg/1ml TFP)을 유리기판에 도포한 것의 굴절율을 엘립소메트리(ellipsometry)로 측정했다. 결과를 표3에 나타낸다.
(표3)
Figure 112007054547062-PCT00056
Figure 112007054547062-PCT00057
표3의 결과로부터 분명하듯이, 본 발명의 색소 화합물은 도포 라인이 생기기 어렵고, 용해 경시 안정성이 우수하다. 또한 높은 굴절율을 갖는다. 이 경향은 본 발명의 다른 색소 화합물을 이용해도 마찬가지로 관찰되었다.
광정보 기록 매체의 제작
사출성형으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스파이럴형상의 그루브(깊이 130nm, 폭 310nm, 트랙 피치 0.74㎛)를 갖는 두께 0.6mm, 지름 120mm의 기판으로 성형했다. 비교 화합물A 1.25g을 2,2,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올 100㎖에 용해한 도포액을 조제하고, 이 도포액을 스핀 코트법에 의해 상기 기판의 그루브 형성면 상에 도포하여 색소층을 형성했다.
다음에 색소 도포면 상에 은을 스퍼터해서 막두께 약 150nm의 반사층을 형성한 후, 자외선 경화 수지(다이큐어 클리어 SD640 다이니폰잉크 카가쿠고교제)를 접착제로서 사용해서 0.6mm 두께의 더미 기판과 접합해서 DVD-R 디스크를 제작했다.
광정보 기록 매체의 평가
DDU1000 및 멀티 시그널 제너레이터(펄스테크사제, 레이저 파장=660nm, 개구율=0.60)를 이용하여, 전송 레이트 1배속(11.08Mbps), 8배속(88.64M), 10배속(110.8Mbps)으로 8-16 변조 신호를 기록했다.
사용한 기록 스트래티지(strategy)는 표4에 나타냈다. 1배속 기록, 10배속 기록은 1종류, 8배속 기록은 펄스폭이 크게 다른 2종류로 기록을 행했다.
기록 파워는 각각의 매체에서 지터가 가장 작아지는 기록 파워로 설정했다. 그 후에 기록 레이저 파장과 동파장의 레이저를 이용하여 재생해서 감도 및 지터를 측정했다. 결과를 표5에 나타낸다. 양호한 기록 스트래티지를 설정할 수 있었다.
(표4)
기록 스트래티지
Figure 112007054547062-PCT00058
(표5)
Figure 112007054547062-PCT00059
다음에 표4, 표5와 동일하게 해서 비교 화합물A로 12x의 기록 스트래티지를 설정하고, 이어서 비교 화합물A 대신에 표6에 나타내는 각 색소를 사용한 이외는 상기와 동일하게 해서 DVD-R 디스크를 제작했다. 이들 디스크를 이용하여 12X로 기록재생시험을 행했다. 결과를 표6에 나타낸다.
(표6)
Figure 112007054547062-PCT00060
표6에 나타내듯이, 실시예에서 합성한 색소 화합물을 기록층용 색소로서 사용한 DVD-R 디스크는 감도 및 지터에 있어서 우수했다. 또한 표3에 나타내듯이, 높은 반사율도 나타냈다. 이 반사율은 DL 미디어에 있어서 충분한 기록 특성을 달성할 수 있는 레벨이다. 또한 표3에 나타내듯이, 실시예에서 합성한 색소 화합물은 우수한 제조 적성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의 광정보 기록 매체는 DVD-R형 광정보 기록 매체로서 바람직하다.

Claims (19)

  1. 하기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이온 화합물.
    Figure 112007054547062-PCT00061
    [일반식(I)중, Ar1 및 A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아릴기 또는 방향족 헤테로환기를 나타내고, L1은 단결합 또는 2가의 연결기를 나타내고, Ar1, Ar2 및 L1 중 적어도 하나는 1개이상의 오늄 양이온을 갖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나타내고, 치환되어 있는 벤젠환과 환을 형성해도 좋고; m3 및 m4는 각각 독립적으로 0∼4의 범위의 정수를 나타내고, m3, m4가 2∼4의 범위의 정수일 때, 복수 존재하는 R3, R4는 각각 같아도 달라도 좋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I)중,
    Ar1은,
    Figure 112007054547062-PCT00062
    으로 나타내어지고,
    Ar2
    Figure 112007054547062-PCT00063
    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이온 화합물.
    [상기에 있어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나타내고, 치환되어 있는 벤젠환과 환을 형성해도 좋고; m1 및 m2는 한쪽이 0∼5의 범위의 정수를 나타내고, 다른쪽은 1∼5의 범위의 정수를 나타내고, m1, m2가 2∼5의 범위의 정수일 때, 복수 존재하는 R1, R2는 각각 같아도 달라도 좋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I)중 R1 및 R2 중 적어도 한쪽은 질소 양이온을 갖는 치환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이온 화합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I)중 L1은 단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이온 화합물.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 양이온은 테트라 치환 질소원자 양이온 또는 질소원자 함유 방향족 헤테로환 양이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이온 화합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원자 함유 방향족 헤테로 양이온은 피리디늄 양이온, 이미다졸륨 양이온, 티아졸륨 양이온, 옥사졸륨 양이온 또는 이미늄 양이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이온 화합물.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일반식(I)중, L1
    Figure 112007054547062-PCT00064
    로 나타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이온 화합물.
    [상기에 있어서,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나타내고; m5 및 m6은 각각 독립적으로 0∼4의 범위의 정수를 나타내고, m5, m6이 2∼4의 범위의 정수일 때, 복수 존재하는 R5, R6은 각각 같아도 달라도 좋고; La는 2가의 연결기를 나타낸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IV)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이온 화합물.
    Figure 112007054547062-PCT00065
    [일반식(VI)중, R51 및 R5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R53, R54, R55, R56, R57 및 R5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알킬기, 아릴기, 또는 방향족 헤테로환기를 나타내고, R55와 R56, R57과 R58이 연결되어 5 또는 6원환을 형성해도 좋고, R51, R52, R53, R54, R55, R56, R57 및 R58은 각각 치환기를 더 가져도 좋다.]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양이온 화합물과, 상기 양이온 화합물의 전하를 중화할 수 있는 양의 음이온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 화합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은 음이온성 색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 화합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색소는 옥소놀 색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 화합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옥소놀 색소는 하기 일반식(V)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 화합물.
    Figure 112007054547062-PCT00066
    [일반식(V)중, Za25 및 Za26은 각각 독립적으로 산성핵을 형성하는 원자군을 나타내고; Ma27, Ma28 및 Ma29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무치환의 메틴기를 나타내고; Ka23은 0∼3의 범위의 정수를 나타내고, Ka23이 2 또는 3일 때, 복수 존재하는 Ma27, Ma28은 각각 같아도 달라도 좋다.]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옥소놀 색소는 하기 일반식(VI)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 화합물.
    Figure 112007054547062-PCT00067
    [일반식(VI)중, Za21, Za22, Za23 및 Za24는 각각 독립적으로 산성핵을 형성하는 원자군을 나타내고; Ma21, Ma22, Ma23, Ma24, Ma25 및 Ma26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무치환의 메틴기를 나타내고; L은 2개의 결합과 아울러 π공역계를 형성하지 않는 2가의 연결기를 나타내고; Ka21 및 Ka22는 각각 독립적으로 0∼3의 범위의 정수를 나타내고, Ka21, Ka22가 2 또는 3일 때, 복수 존재하는 Ma21, Ma22, Ma25, Ma26은 각각 같아도 달라도 좋다.]
  14. 기판 상에 기록층을 갖는 광정보 기록 매체로서:
    상기 기록층은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색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 매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추기형 광정보 기록 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 매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DVD-R형 광정보 기록 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 매체.
  17.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색소 화합물을 광정보 기록 매체의 기록층용 색소로서 사용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광정보 기록 매체가 추기형 광정보 기록 매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광정보 기록 매체가 DVD-R형 광정보 기록 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77017283A 2005-11-11 2006-11-09 양이온 화합물, 색소 화합물 및 그 사용 방법, 그리고광정보 기록 매체 Withdrawn KR200800655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27009 2005-11-11
JPJP-P-2005-00327009 2005-11-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540A true KR20080065540A (ko) 2008-07-14

Family

ID=38023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7283A Withdrawn KR20080065540A (ko) 2005-11-11 2006-11-09 양이온 화합물, 색소 화합물 및 그 사용 방법, 그리고광정보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39630B2 (ko)
EP (1) EP1950255A4 (ko)
KR (1) KR20080065540A (ko)
CN (1) CN101166794A (ko)
TW (1) TWI402258B (ko)
WO (1) WO200705527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2750A (ko) * 2009-07-02 2011-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 변색 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변색 소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3122A (ja) * 2007-05-02 2008-11-13 Fujifilm Corp 光情報記録媒体および情報記録方法
CN114133380B (zh) * 2021-11-08 2022-12-16 华南理工大学 紫精衍生物电致变色和电致荧光变色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8129B2 (ko) 1971-12-06 1979-11-19
US3247127A (en) 1960-04-14 1966-04-19 Eastman Kodak Co Light-absorbing water-permeable colloid layer containing an oxonol dye
GB1133986A (en) 1965-04-20 1968-11-20 Laurent Aloys Van Der Auwera Improvements in dyes and their use in photography
US4181225A (en) 1972-02-22 1980-01-01 Salva S.A. Wet-tissue pack
JPS5238056B2 (ko) 1972-05-02 1977-09-27
JPS4999620A (ko) 1973-01-29 1974-09-20
JPS5510059B2 (ko) 1973-02-28 1980-03-13
GB1534711A (en) 1975-04-30 1978-12-06 Agfa Gevaert Barbituric acid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intermediates in the preparation of light-absorbing dyes
GB1563809A (en) 1976-01-16 1980-04-02 Agfa Gevaert Light-absorbing dyes for silver halide material
JPS5835544B2 (ja) 1976-05-10 1983-08-03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メチン染料
JPS5757779A (en) * 1980-09-22 1982-04-07 Mitsubishi Electric Corp Electrochromic display composition
JPS5916834A (ja) 1982-07-16 1984-01-28 Chisso Corp 2,4↓−ジメチル↓−1↓−〔トランス↓−4′↓−(トランス↓−4″↓−アルキルシクロヘキシル)シクロヘキシル〕ベンゼン
US4855221A (en) 1987-07-13 1989-08-08 Eastman Kodak Company Photographic elements having oxonol dyes
JPS63209995A (ja) 1987-02-27 1988-08-31 Fuji Photo Film Co Ltd 光学的情報記録媒体
US4968593A (en) 1987-02-27 1990-11-06 Fuji Photo Film Co., Lt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JPH0690445B2 (ja) 1987-06-19 1994-11-14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
JPH07782B2 (ja) 1989-05-16 1995-01-11 太陽誘電株式会社 ニトロソアニリン誘導体からなる光安定化剤及びその利用物
JPH07783B2 (ja) 1989-05-16 1995-01-11 太陽誘電株式会社 ニトロソジフェニルアミン誘導体からなる光安定化剤及びその利用物
JP2699120B2 (ja) 1989-12-22 1998-01-19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および光情報記録方法
US5213956A (en) 1991-07-22 1993-05-25 Eastman Kodak Company Solid particle dispersions of filter dyes for photographic elements
US5260179A (en) 1992-09-16 1993-11-09 Eastman Kodak Company Photographic elements containing imine dyes
JP3840301B2 (ja) 1996-07-18 2006-11-01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
ATE231645T1 (de) 1996-09-30 2003-02-15 Fuji Photo Film Co Ltd Medium für informationsaufzeichnung
JP3707759B2 (ja) 1996-09-30 2005-10-19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及びオキソノール化合物
JP3666702B2 (ja) 1996-10-08 2005-06-29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
JPH10279103A (ja) 1997-04-09 1998-10-20 Ricoh Co Ltd 自動原稿給紙装置
JP3807872B2 (ja) 1998-06-04 2006-08-09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及び新規オキソノール化合物
US6225024B1 (en) 1998-06-04 2001-05-01 Fuji Photo Film Co., Lt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JP2000108520A (ja) 1998-09-30 2000-04-18 Fuji Photo Film Co Ltd オキソノール化合物を含有する情報記録媒体
JP2002059652A (ja) 2000-08-18 2002-02-26 Fuji Photo Film Co Ltd 光情報記録媒体
JP2002249674A (ja) 2001-02-27 2002-09-06 Fuji Photo Film Co Ltd オキソノール色素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た光情報記録媒体、光情報記録方法
JP2003039831A (ja) 2001-08-01 2003-02-13 Fuji Photo Film Co Ltd 光情報記録媒体および新規イモニウム化合物
JP2003128654A (ja) 2001-10-26 2003-05-08 Fuji Photo Film Co Ltd 4,4’−ビピリジニウム誘導体の製造方法
JP3922069B2 (ja) 2002-03-29 2007-05-30 東レ株式会社 シートの製造方法
JP4137771B2 (ja) 2002-11-29 2008-08-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情報記録媒体および新規オキソノール化合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2750A (ko) * 2009-07-02 2011-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 변색 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변색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28287A (en) 2007-08-01
EP1950255A1 (en) 2008-07-30
EP1950255A4 (en) 2011-01-05
CN101166794A (zh) 2008-04-23
WO2007055273A1 (ja) 2007-05-18
US20090130367A1 (en) 2009-05-21
US8039630B2 (en) 2011-10-18
TWI402258B (zh) 2013-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20562A1 (en) Optical information-recording medium, novel oxonol compound and method of recording information
US6794005B2 (en) Optical recording medium, optical recording method and optical recording device
EP0962923A1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novel oxonol compound
JP3636857B2 (ja) 光情報記録媒体
JP4082872B2 (ja) 光情報記録媒体及び光情報記録方法
KR20020021786A (ko) 시아닌색소
JP2002249674A (ja) オキソノール色素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た光情報記録媒体、光情報記録方法
KR20080065540A (ko) 양이온 화합물, 색소 화합물 및 그 사용 방법, 그리고광정보 기록 매체
JP3807872B2 (ja) 情報記録媒体及び新規オキソノール化合物
JP3707759B2 (ja) 情報記録媒体及びオキソノール化合物
JPH1158961A (ja) 光情報記録媒体
JP2007153878A (ja) カチオン化合物、色素化合物およびその使用方法、ならびに光情報記録媒体
TW589366B (en) Optical data recording medium and novel immonium compound
JPH11102537A (ja) 光学記録素子
US20040043326A1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oxonol compound
JP2007326783A (ja) オキソノール化合物および光情報記録媒体
JP3636877B2 (ja) 情報記録媒体及びオキソノール化合物
JP3573600B2 (ja) 光情報記録媒体
EP1035540B1 (en) Optical information-recording medium and method for recording information
US20080274423A1 (e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method of recording information
KR20080003790A (ko) 광정보 기록매체
KR20040047648A (ko) 광정보기록매체 및 신규 옥소놀화합물
JP4234822B2 (ja) シアニン色素化合物を含有する情報記録媒体
JPH1053710A (ja) メチン系化合物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光記録媒体
JPH11165466A (ja) 光情報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2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