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2158A - Versatile case without a lid - Google Patents
Versatile case without a li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62158A KR20080062158A KR1020060137594A KR20060137594A KR20080062158A KR 20080062158 A KR20080062158 A KR 20080062158A KR 1020060137594 A KR1020060137594 A KR 1020060137594A KR 20060137594 A KR20060137594 A KR 20060137594A KR 20080062158 A KR20080062158 A KR 2008006215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cap
- core member
- lower cap
- rota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95—Brushes with a feature for storage after use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2—Devices for holding brushes in us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40/205—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 A45D2040/208—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the relative movement being made by a rotating action, e.g. effected by a screw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케이스 내부에 개폐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뚜껑 없이 심부재의 인출 및 수납을 비롯한 심부재의 보호가 가능한 케이스에 있어서, 특정된 형태만이 아니라 다양한 크기와 종류의 심부재에 대한 사용을 가능케 하여 케이스의 활용도를 높이며, 부품수를 줄여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고 특히, 전체적인 길이를 줄일 수 있는 구조로 하여 휴대용으로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뚜껑이 필요없는 다용도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케이스는 수용부를 구비한 상부캡과, 상기 상부캡 하부를 수용하는 형태로 전방에 개구가 형성된 하부캡으로 외장이 이루어져, 상기 상부캡은 외곽 단면이 원형(圓形)에 한정되지 않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n the case capable of protecting the core member, including the removal and storage of the core member without a separate lid by providing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inside the case, enabling the use of a core member of various sizes and types as well as a specific shape Multi-purpos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case which does not need a lid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device, and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thereby lower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in particular, to reduce the overall length, thereby increasing the utility of the portable device. The outer cap is formed with an upper cap having a receiving portion and a lower cap having an opening formed in the front in the form of accommoda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cap, and the upper cap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cross section is not limited to a circular shape. do.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심부재의 인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작동 사시도.2 is an operation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awn out state of the core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심부재의 수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작동 사시도.3 is an opera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receiving the core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와 도 5는 회동부재와 하부캡의 다른 구현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4 and 5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rotating member and the lower cap.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캡의 다른 구현예를 도시한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upper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상부캡 20: 개폐부재 30: 회동부재 10: upper cap 20: opening and closing member 30: rotating member
40: 하부캡 50: 심부재 40: lower cap 50: core member
11: 안내홈 13: 환형홈 15: 수용부11: guide groove 13: annular groove 15: receiving portion
32: 회동홈 33: 환형돌기 34: 나선홈 30a: 걸림턱32: rotation groove 33: annular projection 34:
42: 회동돌기 45: 턱42: spinneret 45: jaw
51: 안내돌기 54: 나선돌기51: guide protrusion 54: spiral protrusion
본 발명은 볼터치 브러시, 립 브러시 등 화장에 사용되는 화장용구 또는 필기구 등의 문방용구에 적용하여 사용되는 다용도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case used by applying to a stationery tool, such as a cosmetic or writing instruments used in makeup, such as a ball touch brush, a lip brush,
좀 더 구체적으로는 케이스 내부에 개폐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뚜껑 없이 심부재의 인출 및 수납을 비롯한 심부재의 보호가 가능한 케이스에 있어서, 특정된 형태만이 아니라 다양한 크기와 종류의 심부재에 대한 사용을 가능케 하여 케이스의 활용도를 높이며, 부품수를 줄여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고 특히, 전체적인 길이를 줄일 수 있는 구조로 하여 휴대용으로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뚜껑이 필요없는 다용도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capable of protecting the core member, including the withdrawal and storage of the core member without a separate lid by providing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inside the case, for the core member of various sizes and types as well as a specific shap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case that does not need a lid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portable device by increasing the utilization of the case and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and in particular, by reducing the overall length.
오늘날 볼터치 브러시, 립 브러시, 아이 브러시 등의 화장용구는 여성의 미를 가꾸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으로 화장을 하는 여성에게는 항상 가지고 다녀야 하는 소위 필수품이라 할 것인데,Today, cosmetics such as ball touch brush, lip brush, eye brush, etc. are used to cultivate women's beauty and are the so-called essentials that women always need to carry.
이러한 화장 용구는 단순하게 브러시가 노출되어 있는 형태에서, 휴대의 편리성과 브러시의 오염 방지를 위하여 브러시에 뚜껑을 덮는 형태를 거쳐, Such cosmetic utensils are simply exposed in the form of a brush, through the form to cover the brush for convenience of portability and contamination of the brush,
최근에는 별도 부품으로 케이스에 결합되는 것으로 사용이 불편하고 분실우 려가 있는 뚜껑 자체를 없애고,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어 브러시를 감싸는 개폐부재에 의해서 뚜껑의 역할을 하도록 하는 형태로까지 개량 변화되어 오고 있다.In recent years, it has been changed to form a cover that is combined with the case as a separate part to remove the lid itself, which is inconvenient to use and is lost, and acts as a lid by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that is accommodated inside the case to surround the brush. .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로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실용신안등록 제0175523호(2000.01.07)『뚜껑이 필요없는 화장용품 케이스』, 특허등록 제0393302호(2003.07.21) 『다용도 케이스』, 그리고 특허등록 제0494640호(2005.06.01)『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를 들 수 있다.As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175523 (2000.01.07), which is filed and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 Cosmetic article case without a lid '', Patent Registration No. 0393302 (2003.07.21) `` Multipurpose Case '', And Patent Registration No. 0494640 (2005.06.01), which is a multi-purpose container capable of withdrawal and storage.
실용신안등록 제0175523호에 개시된 화장용품 케이스는, 『하부에는 나선홈(111)이 있는 나선회전운동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내면에 나선홈(121)이 있는 접시부(12)와 결합홈(131)이 있는 결합부(13)가 형성되어 있는 심받침대(1)와, 원통관의 구조로서 그 외면 양측에 수평의 일직선 끼움홈(211)이 형성되어 있는 패킹본체(21)와 상기 심받침대(1)의 결합부(13)의 결합홈(131)과 끼워지는 결합돌기(22)가 하부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패킹(2)과, 상기 접시부(12)의 상부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심몸체(31)가 중간에 형성되고 상기 심몸체(31)의 하부에는 상기 접시부(12)의 나선홈(121)과 나선조립되도록 나선돌기(321)가 있는 심상하운동나선부(32)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심꼭지(33)가 부착결합되어 있는 심(3)과, 상기 심받침대(1) 하부의 나선회전운동부(11)의 나선홈(111)과 나선조립되도록 내면에 연결돌기(41)가 형성되고 외면 상부에는 직각하여 내부로 끼움홈(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면 하부에는 받침돌기(43)가 형성되어 있는 조작부(4)와, 상부는 원 뿔형으로 테이퍼지되 그 일단에는 화장용품의 인출시 그 상부 일단이 서로 분리되며 화장용품의 수납시엔 상기 분리된 일단이 서로 접촉하도록 반원형의 절곡부(51,61)가 형성되고 중간부는 상기 고정패킹(2)의 일직선 끼움홈(211)에 끼워지도록 일직선으로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조작부(4)의 끼움홈(42)과 끼워져서 회전을 방지하도록 회전방지돌기(52,62)가 직각하여 내부로 형성되어 있는 상·하 심덮개(5,6)와, 상부는 일단이 천공된 원뿔형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고 중간부 및 하부는 상기 상·하 심덮개(5,6)의 상부 및 중간부를 내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부 외장케이스(7)와, 상부 외면은 상기 상부 외장케이스(7) 하부 내면에 부착결합되어 있고 내면은 상기 상·하 심덮개(5,6)의 중간부와 밀착되어 그 내부에 상기 고정패킹(2) 및 심받침대(1) 상부 및 중간부를 내장하도록 전체적으로 원통관으로 형성되어 있는 중간부 외장케이스(8)와, 내면 상부는 상기 중간부 외장케이스(8) 중간부 또는 하부의 외면과 밀착되고 내면 하부는 상기 조작부(4)의 받침돌기(43) 상부와 부착결합되어 상기 조작부(4)와 일체로 행동하는 하부 외장케이스부(9)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smetic article case disclosed i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175523, “The lower portion is formed with a spiral rotating motion portion 11 having a spiral groove 111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dish portion 12 having a spiral groove 121 on the inner surface; A core support 1 having a
그러나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175523호에 개시된 화장용품 케이스는 이를 이루는 내부 구성의 부품수만이 아니라 케이스가 상부 외장케이스(7), 중간부 외장케이스(8), 그리고 하부 외장케이스(9)로 나뉘어진 3단으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부품수가 많고, 분해 및 조립과정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smetic article case disclosed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175523 is divided into an upper outer case 7, an intermediate outer case 8, and a lower outer case 9 as well as the number of parts hav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Composed of three stages, the overall number of parts,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disassembly and assembly process is complicated.
나아가, 실용신안등록 제175523호에 개시된 화장용품 케이스는 나선회전운동부(11)의 구성으로 인하여 그 수나사 형성 부분의 길이만큼 케이스 전체의 길이가 더 길어지게 되고 휴대용으로 가지고 다니는 경우 수납에 있어서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Furthermore, the cosmetic article case disclosed i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175523 has a longer length of the entire case by the length of the male screw forming portion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piral rotating motion portion 11, and has a limitation in storage when carrying it portable. There was a problem.
이후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특허등록 제0393302호에 개시된 다용도 케이스 및 특허등록 제0494640호에 개시된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 또한 실용신안등록 제175523호에 개시된 화장용품 케이스의 구성을 보완한 것이지만,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 있었다.Thereafter, the multi-purpose case disclosed in Patent Registration No. 0393302 and the multi-purpose container disclosed in Patent Registration No. 0494640 also supple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cosmetic case disclosed i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175523. The above problem still remained.
또한 상기 종래기술들은 케이스 내부 단면이 원형에만 한정되는 것이어서 타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의 단면을 구현하지 못하였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케이스의 다양한 단면 형상에 대한 구현이 어렵기에 다양한 종류와 크기를 가진 브러시를 수용하고 이 브러시를 케이스에서 인출 및 수납시키는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prior art had a problem that the internal cross section of the case is limited to a circular shape, so that the cross section of various shapes such as elliptical shape cannot be realized, and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various cross-sectional shapes of the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a limit in accommodating and withdrawing and storing the brush from the case.
또한 사용자는 화장품 사용시 화장성분으로 인하여 손이 미끄러운 상태가 흔하다 할 것인데, 상부와 하부 케이스가 동일한 형상이고, 뿐만 아니라 굴곡이 없는 원기둥 형상으로만 구현된 케이스에 있어서는, 사용시 손이 미끄러져 브러시 인출 및 수납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user will often have a slippery hand due to the makeup component when using cosmetics. In the case where the upper and lower cases have the same shape, as well as a cylindrical shape with no bends, the hand slips during use and the brush is drawn out. There is a problem that can be difficult to stor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케이스 내부에 개폐부재를 구비하여 자동적으로 브러시의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하도록 하여 별도의 뚜껑이 필요 없는 사용이 편리한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더 나아가,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inside the case to enable automatic withdrawal and storage of the brush to provide a convenient case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lid Furthermore,
케이스 외형을 원형에만 한정시키지 않고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의 구현이 가능한 구조로 하여, 다양한 종류와 크기를 가지는 심부재를 구비할 수 있는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se that can be provided with a core member having various types and sizes by not only limiting the outer shape of the case to a circular shape but also by implementing the structure in various shapes such as an oval shape.
또한 중간부 외장케이스를 없애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인 2단으로 구성하고, 전체적인 부품수를 줄이고 조립이 간편하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se that is easy to use and lowers the manufacturing cost by eliminating the middle outer case and configuring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in two stages, and reducing the overall number of parts and simplifying the assembly.
또한 별도의 뚜껑이 필요하지 않은 종래 케이스에서 문제되어왔던 길이 축소의 한계를 해결하여 휴대가 간편한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se that is easy to carry by solving the limitation of length reduction, which has been a problem in the conventional case that does not need a separate lid.
나아가 본 발명은 부품 수를 줄일 뿐만 아니라 각 부품의 구성요소끼리의 긴밀한 연결을 보장하여 반복 사용시에도 고장이 나지 않는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Furtherm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se which not only reduces the number of parts but also ensures a close connection between the components of each part and does not fail even when repeated use.
아울러, 본 발명은 브러시 등의 화장용구만이 아니라 필기구 등의 문방용구로도 쉽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purpose case that can be easily applied to use as a stationery, such as writing instruments, as well as cosmetic instruments such as brushe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케이스는, 수용부를 구비한 상부캡과, 상기 상부캡 하부를 수용하는 형태로 전방에 개구가 형성된 하부캡으로 외장이 이루어져, 상기 상부캡은 외곽 단면이 원형(圓形)에 한정되지 않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ulti-purpos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upper cap having a receiving portion and a lower cap having an opening formed in the front in the form of accommodating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cap. The technical feature is that the cross section is not limited to a circular shape.
또한 본 발명의 하부캡 내부에는 상기 상부캡의 안치를 위한 일정 높이를 가진 턱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캡 턱의 내측에는 회동돌기가 형성되고, 회동부재 외주면에는 상기 회동돌기가 타고 이동할 수 있는 회동홈이 형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wer ca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jaw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for the settling of the upper cap, the inner side of the lower cap jaw is formed with a rotational projection, the rotation member can be rotated to move the rotational projec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t is technical feature that the groove is form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를 설명함에 있어 방향 기준을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특정하며, 심부재(50)가 배열된 쪽을 전방 또는 상부, 그 반대쪽을 후방 또는 하부로 정한다.In describing th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reference is specifi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and the side in which the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케이스의 외피가 복잡한 다단 구성이 아닌 상부캡(10)과 하부캡(40)인 2단으로 구성되고, First, as shown in Figure 1,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wo stages of the
그 케이스의 외형이 종래기술에서 개시된 케이스처럼 원기둥에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하부캡(40)은 외형을 원기둥 형상으로 하더라도 그 상부캡(10)은 단면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삼각형, 타원형 여러 다양한 단면 형상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The outer shape of the case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f the cylinder as the case disclosed in the prior art, even if the
상기와 같은 케이스의 외장이 다양한 형태로 쉽게 구현 가능한 이유는, 케이스 외장을 3단 이상의 다단으로 구성하는 것이 아니고 간단한 2단으로 구성하여 상부캡과 하부캡이 서로 다른 단면으로 구현된다 하더라도 하부캡이 상부캡의 일부를 감싸면서 후진할 때의 접촉되는 부분에서의 문제만을 해결하면 쉽게 다양한 단면 형태의 구현이 가능하게 되었기 때문이다.The reason why the exterior of the case can be easily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s that the casing is not composed of three or more stages, but is composed of two simple stages, so that the lower cap is formed even if the upper cap and the lower cap are implemented in different cross sections.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easily implement a variety of cross-sectional shape by solving only the problem in the contact portion when the reverse portion while wrapping the upper cap.
이와 같은 이유로 본 발명에서 케이스의 외장을 단면이 원형인 원기둥 형상에 한정할 필요가 없게 된 것이다.For this reas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necessary to limit the exterior of the case to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또한 상기와 같은 다양한 외장 형상에 의해서,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케이스는 다양한 종류의 심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데. 좀 더 구체적으로 심부재를 브러 시로 한정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In addition, by the various exterior shapes as described above, the multi-purpos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ccommodate various kinds of core members. More specifically, the core memb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브러시는 사용자의 신체에 터치되는 부분에 따라서 그 형상이 다양하다 할 것인데, 솔(520a)이 많고 솔받침대(520b)가 두꺼운 볼터치용 브러시를 비롯하여 상기 볼터치용 브러시보다 솔받침대(520b)의 두께가 얇으나 솔받침대(520b)의 단면이 원형이 아닌 찌그러진 타원형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아이쉐도용 브러시, 또는 솔(520a)이 적고 솔받침대(520b)의 두께 또한 얇은 립브러시 등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브러시가 이용되고 있다. 특히 볼터치용 또는 아이쉐도용 브러시는 솔도 많고, 그 솔받침대의 단면 형상이 원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어서 종래 일반적인 원기둥형 케이스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The brush may have a variety of shapes depending on the part touched by the user's body, including the brush for brushing 520a and the brush for brushing 520b that are thicker than the brush for brushing 520b. Although the thickness is thin, but the cross section of the brush stand (520b) is not a circular, crushed oval, or a brush for eye shadows commonly used, or a variety of sizes and shapes, such as a lip brush with a small brush (520a) and a thin brush stand (520b) The brush which has is used. In particular, the brush for the ball touch or eye shadow has a lot of brushes,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ole support is not limited to the circular, there was a limit to apply to a conventional cylindrical case.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 외장 중 특히 심부재가 수용되는 부분의 상쿠캡의 단면을 원형에 한정하지 않고 심부재의 종류에 따라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함으로써 종래 케이스가 가지고 있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게 되었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case by implementing various shapes such as ellipse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ore member rather than limiting the cross section of the upper ku cap of the case housing, in particular, the core member is accommodated.
뿐만 아니라, 케이스 외장을 단면이 원형인 원기둥으로 하지 않고 타원형, 삼각형, 또는 사각형 등 각이 있는 형상으로 함으로서 사용자는 케이스 사용시 손에 잡기 쉽고, 또한 케이스를 바닥에 떨어뜨리더라도 쉽게 굴러가지 않는 등 사용상 편리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case exterior is not a circular cylinder with a circular cross section, but has an angle such as oval, triangle, or square, so that it is easy for the user to grasp it when using the case and does not roll easily even if the case is dropped on the floor.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외장을 다단이 아닌 상부캡과 하부캡으로 구성되는 2단으로 구성하고 상기 상부캡(10)에 바로 심부재(50)가 인출 및 수납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도록 하여 종국적으로 구성 부품수를 줄여 제조 단가를 낮추고자 하였다.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ior is composed of two stages consisting of an upper cap and a lower cap instead of multiple stages, and the
다음으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내부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Next,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본 발명은 크게 상부캡(10), 개폐부재(20), 회동부재(30), 하부캡(40), 그리고 심부재(50)로 이루어지는데,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he
상기 하부캡(40)은 상부캡(10)과의 일부 결합을 위하여 전방이 개구(開口)된 형태이고 그 내부 하부로 치우친 부분에는 일정 높이를 가지는 턱(45)을 형성하고, 상부캡(10) 또한 하부캡(40)와의 결합을 위하여 후방이 개구(開口)된 형태이고, 전방 또한 심부재(50)의 인출을 위하여 개구(開口)된 형태를 가진다.The
바람직하게는 상부캡(10)의 전방은 내외경이 차츰 축소되어 심부재가 인출되는 출입구(18)는 절두(切頭)된 원뿔형을 이루는데, 결국 상부캡(10)과 하부캡(40)은 파이프 형상을 취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캡(10)은 그 단면이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심부재의 종류에 따라 사각형, 타원형 등의 다양한 단면을 가진 파이프 형상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Preferably, the front of the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구조를 설명하면, In more detail,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수용부(15)를 구비한 상부캡(10)과,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상기 상부캡(10)의 하부 일부분과 겹쳐지고 이를 감싸는 형태로 상부캡과 결합되고 상기 상부캡 안치를 위한 턱(45)을 구비한 하부캡(40)과, A
상기 하부캡(40)의 턱(45) 내측(45a)에 형성된 회동돌기(42)을 타고 상기 하부캡(40)의 후진시 회전하면서 전진하게되는 회동홈(32)이 형성된 회동부재(30)와,Rotating
상기 상부캡(10)의 수용부(15)에 수용되어 회동부재(30)의 회전에 의해 인출되는 심부재(50)와, A
개폐헤드(220), 상기 개폐헤드와 이어지는 연결판(240), 그리고 상기 연결판을 상기 하부캡 턱(45)에 고정시키기 위한 끼움부(260)로 이루어져, 상기 하부캡(40)의 후진 시 이와 일체되어 승하강되는 개폐부재(20)로 구성된다.Opening and
회동부재(30)의 구성을 살펴보면,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rotating
회동부재 내주면에는 나선홈(34)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심부재(50)의 나선돌기(54)는 나선홈(34)을 타고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The spiral member 34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member so that the spiral protrusion 54 of the
회동부재 외주면에는 회동홈(32)이 형성되어 하부캡(40)의 턱(45) 내측면(45a)에 형성된 회동돌기(42)가 상기 회동홈(32)을 타고 하부캡이 상하로 이동되게 되는데, 상기 회동부재의 원활한 회전 운동을 위하여 하부캡의 턱 내측면(45a)에 형성된 회동돌기(42)는 턱 내측면 전체에 형성될 필요가 없으며 내측면 상부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otating
즉 본 발명에서는 상부캡(10)을 손으로 잡고 다른 한 손으로 하부캡(40)을 아래로 끌어당기는 경우, 회동부재(30)에 형성된 회동홈(32)이 하부캡 턱 내측(45a)에 형성된 회동돌기(42)를 타면서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이동으로 인하여 회동부재 내부에 수용된 심부재(50)의 인출이 이루어지기에,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회동부재(30)의 상부에 형성된 회동홈(32)에 상기 하부캡(40)의 회동돌기(42)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스 전체 길이가 가장 짧은 상태가 되고, When the pivoting
심부재 인출을 위하여 회동홈(32)이 회동돌기(42)를 타면서 회동부재가 회전하면서 상승하는 경우에는 케이스 전체 길이가 길어지게 된다.When the pivoting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취하게 되면 종래 기술과 같이 별도의 회동을 위한 수나사형태인 나선회전운동부가 필요하지 않기에 결국 심부재가 수납된 상태에서는 종래 기술이 구비한 수나사 길이만큼 케이스 전체 길이가 줄어든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Therefore, if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does not require a spiral rotational motion part that is a separate screw type for a separate rotation as in the prior art, the total length of the case is reduced by the length of the male screw provided in the prior art when the core member is stored. You will get the effect.
물론, 상기 회동부재(30)와 이를 수용하는 하부캡(40)의 구성을 구현 형태에 따라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재 외주면에 회동돌기(32a)를 형성하고 하부캡 턱의 내측면(45a)에는 이에 대응하는 회동홈(42a)을 형성하여 하부캡(40)이 아래로 당겨지는 경우 회동부재(30)가 회전하면서 상승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원활한 회동부재의 회전을 위하여 회동돌기(32a)는 회동부재 외주면 하단에 1단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f cour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rotating
또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재의 본체(320)로부터 이격된 별도의 회동판(340)을 구성하여 상기 회동판 외주면에 회동돌기(32a)를 구비하여 회동부재의 회전 승하강 운동을 가능케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s illustrated in FIG. 5, a separate pivot plate 340 spaced apart from th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상부캡(10)의 수용부(15) 내주면에는 환형홈(13)이 형성되는데, 상기 환형홈(13)에는 회동부재(30)의 외주면에 형성된 환형돌기(33)가 끼워져서 상부캡(10)이 고정된 상태에서 회동부재(30)만 공회전 가능한 구조가 되도록 한다. 물론 구성에 따라서는 상기 회동부재의 외주면에는 환형홈을 형성하고 상부캡의 수용부에 환형돌기를 형성하여 이들을 결합시킬 수 있으나, 조립의 용이성을 위해서는 회동부재의 외주면에 환형돌기를 형성하고, 수용부 내주면에 환형홈을 형성하여 이들을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an
다음으로 심부재(50)는 심(520)과 심을 이동을 유도하는 밀대(540)로 구성되는데, 상기 심(520)에는 최종 사용 용도에 따라 브러시 또는 펜심 등이 결합되게 된다. 상기 밀대(540)의 상단에는 안내돌기(51)가 양 측으로 형성되어 상부캡(10)의 수용부(15) 내주면에 형성된 안내홈(11)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밀대(540)의 하단에 형성된 나선돌기(54)는 상기 회동부재(30)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홈(34)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Next, the
심부재에 있어서, 심부재의 안내돌기(51)가 상부캡에 형성된 안내홈(11)을 따라 이동하지 않고 하단에 형성된 나선돌기(54)만이 회동부재(30)의 나선홈(34)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면 심부재(50)는 이와 연결된 회동부재(30)의 회전운동에 의해서 함께 회전하게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회동부재(30)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심부재(50)에 형성된 안내돌기(51)가 상부캡에 형성된 안내홈(11을 따라 인위적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서 결국 회동부재에 의한 회전운동이 심부재에서는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도록 한다.In the core member, the
또한 상기 심부재의 안내돌기(51)와 나선돌기(54)는 상하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어긋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심부재를 회동부재와 상부캡에 쉽게 결합시킬 수 있으면서도 최종적으로는 나선돌기(54)가 상기 회동부재에 최상단에 형성된 걸림턱(30a)에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심부재(50)가 출입구(18) 외부로 인출되더라도 회동부재(30)의 최상단에는 걸림턱(360)을 형성하여 상기 심부재의 나선돌기(54)가 최종적으로 상기 걸림턱(360)에 걸려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고, In addition, even if the
상기 회동부재(30)의 나선홈(34) 상단에는 심부재의 나선돌기(54)가 체류할 수 있는 홈 형태의 체류공간(미도시)을 더 마련하여 상기 상부캡 출입구(18)를 거쳐 전방에 노출된 심부재(50)가 일정 압력 이상일 경우에만 다시 상부캡 내부로 수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upper end of the spiral groove 34 of the rotating
다음으로 종래 케이스의 뚜껑 역할을 하는 개폐부재(20)를 살펴보면, Next, look at the opening and closing
본 발명의 개폐부재(20)는 상기 상부캡 출입구(18) 내경에 대응되는 크기의 단면을 갖는 개폐헤드(220)와, 상기 개폐헤드에 연결되는 연결판(240)과, 그리고 상기 연결판 하단에 결합되는 끼움부(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Opening and closing
상기 끼움부(260)는 하부캡(40)의 턱 상부면(45b)에 고정결합되어 하부캡이 당겨지는 경우 상기 개폐부재(20)가 함께 아래로 이동하여 상부캡(10)의 출입구(18)를 개방하게 된다.The
또한 상기 개폐헤드가 상부캡의 출입구(18)를 효율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상부캡(10)은 전방으로 내외경이 차츰 축소되어 절두(切頭)된 원뿔형을 이루어 출입구(18)를 형성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order for the opening and closing head to open and close the
상기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을 화장용 브러시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케이스는 필기구의 케이스로도 활용가능한데, 이 경우 인출된 상태에서의 안정된 심부재 고정을 위하여 심부재(50)의 외주면에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hough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osmetic brush, th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used as a case of writing instruments, in which cas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즉, 화장용 브러시보다는 필기구로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의 보다 큰 압력이 케이스 또는 심부재에 전달되어 안정된 필기구를 제공하는데 제한이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심부재 외주면, 좀 더 구체적으로는 나선돌기(54) 상부인 밀대(540) 외주면에 2번 정도 감긴 스프링을 구비하여 심부재(50)의 나선돌기(54)가 체류홈(미도시)에 걸려 심부재가 인출된 상태에 있는 경우 나선돌기 상부와 회동부재의 걸림턱(30a) 하부에 위치한 스프링으로 인하여 보다 탄력적으로 심부재가 고정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In other words, when used as a writing instrument rather than a cosmetic brush, a greater pressure from the user may be transferred to the case or the core member to provide a stable writing instrument.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member may be limited. More specifically, a spiral wound 54 of the
이하,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케이스의 작용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multipurpos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도 2는 심부재(50)가 외부로 인출된 상태로써, 2 is a state in which the
사용자는 한 손으로 상부캡(10)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하부캡(40)를 잡고서 하부캡(40)을 아래 방향으로 당긴다. 하부캡(40)을 아래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하부캡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개폐부재(20)가 함께 아래 방향으로 후진하게 되고, 개폐부재의 개폐헤드(220)는 아래로 당겨지면서 폐쇄하고 있던 상부캡의 출입구(18)를 개방하게 된다.The user pulls the
하부캡(40)가 아래로 후진함에 따라 하부캡에 수용되어 있던 회동부재(30)의 회동홈(32)은 하부캡 턱 내측면(45a)에 형성된 회동돌기(42)를 타면서 위로 전진하게 되고, 또한 회동부재(30)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심부재(50)의 나선돌기(54)는 회동부재(30)의 나선홈(34)을 타면서 상승하게 되어 심부재(50)가 외부로 인출되고 심부재(50)는 회동부재 나선홈(34) 상단에 형성된 체류홈(미도시)에 걸려 일정 압 력 이상이 전해지지 않는 이상 아래로 내려가지 않는다.As the
반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캡(10)을 고정한 상태에서 하부캡(40)를 위로 올리게 되면 하부캡에 고정되어 있는 개폐부재(20) 또한 위로 상승하게 되고, 개폐부재의 개폐헤드(220)는 출입구(18)를 폐쇄하게 된다.On the contrary, as shown in FIG. 3, when the
하부캡(40)의 상승으로, 하부캡 턱 상단에 위치하여 있던 회동부재(30)는 회동부재의 회동홈(32)이 턱 내측면(45a)에 형성된 회동돌기(42)를 타면서 아래로 내려오게 되고 이와 연결된 심부재의 나선돌기(54) 또한 회동부재의 나섬홈(34)을 타면서 아래로 내려와 최종적으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부재(50), 회동부재(30)가 모두 아래에 하부캡(40)에 수용되게 되어 케이스는 최단 길이를 형성하게 된다.As the
상기와 같은 작동을 고려할 때, 다양한 심부재를 수용하고자 하고 사용시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부캡의 단면을 원형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회전이 이루어지는 부분은 원형으로 구성하여야 할 것이다.In consideration of th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shape of the upper cap is removed from the circular shape in order to accommodate a variety of core members and to increase the ease of use in a variety of shapes will have to be formed in a circular portion.
즉, 각 부품이 결합하여 회전이 일어나는 부분으로 상부캡(10)의 회동부재와 결합되는 부분, 회동부재(30),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30)의 회동홈에 대응하는 하부캡의 턱 내측면(45a)은 원활한 회전을 위해서는 그 단면이 원형(圓形)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외 다른 부분들은 심부재의 다양한 크기 및 형상, 그리고 사용시의 외관 및 편리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단면 구현이 가능한 것이다.In other words, each part is combined to rotate the portion of the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케이스는 외형을 원형에만 한정시키지 않고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의 구현이 가능한 구조로 하여, 다양한 종류와 크기를 가지는 심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The multi-purpos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ircular shape as a structure that can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shapes, such as oval,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ovided with a core member having a variety of types and sizes,
중간케이스를 없애 상부캡과 하부캡인 2단으로 구성하고. 나아가 별도의 상부 외장 케이스 없이 상부캡에는 심부재와 회동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구조를 구비하여, Eliminate the middle case and consist of two stages, the upper cap and the lower cap. Furthermore, the upper cap has an internal structure for accommodating the core member and the rotating member without a separate upper outer case,
결국 전체적인 부품수를 줄이고 조립이 간편하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고,As a result, it is easy to use and lowers the manufacturing cost by reducing the overall number of parts and simplifying assembly.
각 부품의 구성요소끼리의 긴밀한 연결을 보장하여 반복 사용시에도 고장이 나지 않는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By ensuring the tight connection between the components of each part has the effect that can provide a case that does not fail even in repeated use.
또한 종래 뚜껑이 없는 케이스의 길이를 축소하고자 하는 한계를 해결하여 휴대성을 높였으며, In addition, to solve the limitation of reducing the length of the case without a conventional lid, the portability is increased,
아울러, 본 발명은 브러시 등의 화장용구만이 아니라 필기구 등의 문방용구로도 응용할 수 있는 다용도 케이스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obtaining a multi-purpose case that can be applied not only to cosmetic instruments such as brushes, but also stationery such as writing instruments.
Claims (1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37594A KR20080062158A (en) | 2006-12-29 | 2006-12-29 | Versatile case without a li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37594A KR20080062158A (en) | 2006-12-29 | 2006-12-29 | Versatile case without a li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62158A true KR20080062158A (en) | 2008-07-03 |
Family
ID=39814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37594A Withdrawn KR20080062158A (en) | 2006-12-29 | 2006-12-29 | Versatile case without a li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62158A (en) |
-
2006
- 2006-12-29 KR KR1020060137594A patent/KR20080062158A/en not_active Withdra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175523Y1 (en) | a cosmetics case which needs not cap | |
KR20080062157A (en) | Multipurpose case which can open and close operation by rotary movement | |
KR20150118528A (en) | Brushes the cosmetic container | |
KR20080062158A (en) | Versatile case without a lid | |
KR100494640B1 (en) | Hand-held multipurpose case with structure for reversibly extending functional tipped device | |
CN110155490A (en) | A kind of L-type ball valve All-in-One switching pressing imbibition bottle with sucker | |
CN108433326A (en) | A kind of drawing type lipstick packing tube | |
WO2007027047A1 (en) | Makeup brush case equipped with open and shut member for in and out hole | |
KR200473460Y1 (en) | Makeup cosmetics conainers having s combimed structure of the storage vessel | |
JP7618101B2 (en) | Cosmetic tools | |
KR20200127363A (en) | Lipstick container with sliding buttons | |
JP2011523367A (en) | Multi-use case | |
KR200197519Y1 (en) | A cosmetics case | |
CN203986623U (en) | multifunctional applicator | |
KR102009375B1 (en) | Stick type cosmetic container | |
KR102076650B1 (en) | Solid contents lifting device of stick type cosmetic container | |
KR102067015B1 (en) | Pencil type make-up tool | |
KR101579747B1 (en) | cosmtic brush | |
KR200165240Y1 (en) | A cosmetics case | |
JPH01115421U (en) | ||
CN2355601Y (en) | A new type of lipstick box for two-way filling | |
CN222129599U (en) | Folding powder box | |
CN214485133U (en) | Pen with multiple sterilized pen points and paper roll | |
CN219206161U (en) | multifunctional lipstick pen | |
JPH0238666Y2 (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2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