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61844A - 영상촬영장치 - Google Patents

영상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1844A
KR20080061844A KR1020060136988A KR20060136988A KR20080061844A KR 20080061844 A KR20080061844 A KR 20080061844A KR 1020060136988 A KR1020060136988 A KR 1020060136988A KR 20060136988 A KR20060136988 A KR 20060136988A KR 20080061844 A KR20080061844 A KR 20080061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utton
image
video
zoo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6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수
정연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6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1844A/ko
Priority to EP07116125A priority patent/EP1939683B1/en
Priority to US11/865,917 priority patent/US20080159731A1/en
Priority to CNA2007101823133A priority patent/CN101212567A/zh
Publication of KR20080061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184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3Camera grips, handl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06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video camera or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영상촬영장치는, 영상촬영장치 본체;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하이 앵글(High angle) 촬영시 이용되는 제 1 조작버튼부;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로우 앵글(Low angle) 촬영시 이용되는 제 2 조작버튼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하이 앵글 및 로우 앵글 촬영각도 변화에 따른 버튼 조작이 용이하며, 자신이 원하는 촬영앵글에 따라 그립을 유지한 상태로 손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환시켜 촬영할 수 있다.
캠코더, 카메라, 줌, 그립, 앵글, 하이, 로우

Description

영상촬영장치{IMAGE PHOTOGRAPHY APPARATUS}
도 1은 일반적인 영상촬영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촬영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영상촬영장치의 사시도, 그리고,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촬영장치의 촬영각도 변화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영상촬영장치 본체 110 : 제 1 조작버튼부
111 : 제 1 줌버튼 113 : 제 1 정지영상버튼
115 : 제 1 동영상버튼 120 : 제 2 조작버튼부
121 : 제 2 줌버튼 122 : 정지/동영상버튼
123 : 제 2 정지영상버튼 125 : 제 2 동영상버튼
200 : 그립부 210 : 회전판
220 : 그립밴드 221 : 보조부재
본 발명은 캠코더, 동영상 카메라 또는 스틸 카메라 등과 같은 영상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영상촬영장치는 영상촬영장치의 본체(10)와, 촬영시 영상촬영장치를 파지하기 용하도록 본체(10)의 일측면에 손등을 감싸주는 형태로 설치된 핸드그립(20)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10)는 상면에 T/W 줌기능을 가지는 줌버튼(11)과, 정지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정지영상버튼(13)이 마련되며, 후면에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동영상버튼(15)과, 파워스위치(17) 등이 마련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영상촬영장치는 하이 앵글(High angle) 촬영시(도 4a 참조) 핸드그립(20)에 손을 넣어 손등을 감싸는 형태로 그립하여 본체(10)를 파지한다. 이 상태는 손가락이 줌버튼(11), 정지영상버튼(13) 및 동영상버튼(15) 등에 위치하므로 버튼 조작이 용이하다. 그러나, 하이 앵글 촬영에서 로우 앵글(Low angle) 촬영시(도 4b 참조) 편안한 자세를 취하기 위해서는 핸드그립(20)에서 손을 뺀 후 다시 그립을 잡아야한다. 반대로 로우 앵글 촬영에서 하이 앵글 촬영으로 자세 변환시에도 핸드그립(20)에서 손을 뺀 후 다시 그립을 잡아야 한다. 따라서, 촬영앵글 변화에 따른 연속적인 촬영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하이 앵글 촬영에서 로우 앵글(Low angle) 촬영 자세로 전환시에는 손가락, 특히 검지, 중지 등이 본체(10)의 전면에 위치하게 되므로 본체(10)의 상면 및 후면에 마련된 줌버튼(11), 정지영상버튼(13) 및 동영상버튼(15) 등의 버튼 조작이 불가능하며, 엄지를 이용하여 버튼을 조작할 경우 본체(10)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없는 문제 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하이 앵글 및 로우 앵글 촬영각도 변화에 따른 버튼 조작이 용이하며, 자신이 원하는 촬영앵글에 따라 그립을 유지한 상태로 손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환시켜 촬영할 수 있는 영상촬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촬영장치는, 영상촬영장치 본체;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하이 앵글(High angle) 촬영시 이용되는 제 1 조작버튼부;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로우 앵글(Low angle) 촬영시 이용되는 제 2 조작버튼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조작버튼부는 상기 본체의 상면 또는/및 후면에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조작버튼부는, 줌기능을 가지는 제 1 줌버튼; 정지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제 1 정지영상버튼; 및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제 1 동영상버튼;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줌버튼 및 상기 제 1 정지영상버튼은 상기 본체의 상면에 서로 이웃하게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동영상버튼은 상기 본체의 후면에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조작버튼부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2 조작버튼부는, 줌기능을 가지는 제 2 줌버튼; 및 정지영상 및 동영상을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촬영하기 위한 정지/동영상버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2 조작버튼부는, 줌기능을 가지는 제 2 줌버튼; 정지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제 2 정지영상버튼; 및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제 2 동영상버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영상촬영장치는 상기 본체에 설치된 그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립부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립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에 결속된 그립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영상촬영장치는, 정지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영상촬영장치에 있어서, 영상촬영장치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그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정지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정지영상버튼; 상기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동영상버튼; 및 상기 피사체를 줌 인/아웃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줌버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영상촬영장치는, 영상촬영장치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영상버튼; 및 상기 피사체를 줌 인/아웃하 기 위한 제 1 및 제 2 줌버튼;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영상버튼은 상기 본체의 후면에 마련되며, 상기 제 2 영상버튼은 상기 본체의 전면에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및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촬영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촬영장치는 영상촬영장치 본체(100)와, 본체에 설치된 그립부(200) 등을 구비한다.
상기 영상촬영장치 본체(100)는 통상의 캠코더, 동영상 카메라 또는 스틸 카메라 등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에는 하이 앵글(High angle) 촬영시 이용되는 제 1 조작버튼부(110)와, 로우 앵글(Low angle) 촬영시 이용되는 제 2 조작버튼부(120)와, 파워스위치(117) 등이 마련된다.
상기 제 1 조작버튼부(110)는 본체(100)의 상면(100a) 또는/및 후면(100c)에 마련된다. 제 1 조작버튼부(110)는 T/W 줌(ZOOM)기능을 가지는 제 1 줌버튼(111)과, 정지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제1 정지영상버튼(113)과,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제 1 동영상버튼(115) 등을 구비한다. 제 1 줌버튼(111)과 제 1 정지영상버튼(113)은 본체(100)의 상면(100a) 후방에 서로 이웃하게 마련되고, 제 1 동영상버튼(115)은 본체(100)의 후면(100c)에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조작버튼부(120)는 본체(100)의 전면(100b)에 마련된다. 제 2 조작버튼부(120)는 T/W 줌기능을 가지는 제 2 줌버튼(121)과, 정지영상 및 동영상을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촬영하기 위한 정지/동영상버튼(122) 등을 구비한다. 상기 정지/동영상버튼(122)은 영상촬영장치의 촬영모드에 따라 정지영상버튼 또는 동영상버튼으로 사용된다. 즉, 영상촬영장치가 정지영상 촬영모드일 경우, 정지/동영상버튼(122)은 정지영상버튼으로 동작하고, 영상촬영장치가 동영상 촬영모드일 경우, 동영상버튼으로 동작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 2 조작버튼부(120)는 T/W 줌기능을 가지는 제 2 줌버튼(121)과, 정지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제 2 정지영상버튼(123)과, 동영상촬영버튼을 위한 제 2 동영상버튼(125)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그립부(200)는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립부(200)는 회전판(210) 및 그립밴드(220) 등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판(210)은 본체(100)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회전판(210)에는 본체(100)와 축결합되는 회전축(미도시)이 마련된다. 회전판(210)이 본체(100)에 대해 소정 각도의 간격으로 스텝 회전하도록 회전축에 기어구조(미도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판(210)은 두께가 얇은 원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다각 형상의 판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꼭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그립밴드(220)는 회전판(210)에 결속된다. 그립밴드(220)는 손(1)이 본체(100)에 견고하게 안착되도록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손등을 감싸주도록 보조부 재(221)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영상촬영장치는, 정지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영상촬영장치에 있어서, 영상촬영장치 본체(100)와, 본체(100)에 설치되며,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101)와, 본체(1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그립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는, 상기 정지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정지영상버튼(113)(123)과,상기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동영상버튼(115)(125)과, 상기 피사체를 줌 인/아웃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줌버튼(111)(121)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영상촬영장치는, 영상촬영장치 본체(100)와, 본체(100)에 설치되며,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101)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영상버튼과, 상기 피사체를 줌 인/아웃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줌버튼(111)(121)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영상버튼은 본체(100)의 후면(100c)에 마련되며, 상기 제 2 영상버튼은 상기 본체(100)의 전면(100b)에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영상촬영장치는 하이 앵글 촬영시 이용되는 제 1 조작버튼부(110)와, 로우 앵글 촬영시 이용되는 제 2 조작버튼부(120)를 본체(100)의 적소에 각각 마련하여, 하이 앵글 및 로우 앵글 촬영각도 변화에 따른 버튼 조작이 용이하다.
구체적으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 앵글(High angle) 촬영시 그립밴드(220)에 손(1)을 끼운 후 손(1)의 사이즈에 맞게 길이를 조절하여 본체(100)를 파지한다. 이 상태는 손가락이 제 1 조작버튼부(110)에 위치하게 되어, 검지(1b)를 이용하여 본체(100) 상면의 제 1 줌버튼(111) 또는 제 1 정지영상버튼(113)을 조작하며, 엄지(1a)를 이용하여 본체(100) 후면(100c)의 제 1 동영상버튼(117)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 앵글 촬영에서 로우 앵글(Low angle) 촬영으로 자세 변환시 그립밴드(221)에 손(1)을 끼운 상태로 그립부(200)를 회전시킨다. 반대로 로우 앵글 촬영에서 하이 앵글 촬영으로 자세 변환시 그립밴드(221)에 손(1)을 끼운 상태로 그립부(200)를 회전시킨다. 즉, 자신이 원하는 촬영앵글에 따라 그립을 유지한 상태로 손(1)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환시켜 촬영할 수 있다. 로우 앵글 촬영으로 자세 변화하면, 손가락이 제 2 조작버튼부(120)에 위치하게 되어, 검지(1b)를 이용하여 제 2 줌버튼(121) 또는 정지/동영상버튼(122)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여기서, 정지/동영상버튼(122)은 버튼을 반복적으로 누름으로써 정지영상 및 동영상을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촬영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이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하이 앵글 촬영시 이용되는 제 1 조작버튼부와, 로우 앵글 촬영시 이용되는 제 2 조작버튼부를 본체의 적소에 각각 마련하여, 하이 앵글 및 로우 앵글 촬영각도 변화에 따른 버튼 조작이 용이하다.
또한, 자신이 원하는 촬영앵글에 따라 그립을 유지한 상태로 손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환시켜 촬영할 수 있다.

Claims (14)

  1. 영상촬영장치 본체;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하이 앵글(High angle) 촬영시 이용되는 제 1 조작버튼부;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로우 앵글(Low angle) 촬영시 이용되는 제 2 조작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작버튼부는 상기 본체의 상면 또는/및 후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작버튼부는,
    줌기능을 가지는 제 1 줌버튼;
    정지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제 1 정지영상버튼; 및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제 1 동영상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줌버튼 및 상기 제 1 정지영상버튼은 상기 본체의 상면에 서로 이 웃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동영상버튼은 상기 본체의 후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작버튼부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작버튼부는,
    줌기능을 가지는 제 2 줌버튼;
    정지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제 2 정지영상버튼; 및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제2 동영상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작버튼부는,
    줌기능을 가지는 제 2 줌버튼; 및
    정지영상 및 동영상을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촬영하기 위한 정지/동영상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설치된 그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에 결속된 그립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12. 정지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영상촬영장치에 있어서,
    영상촬영장치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그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정지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정지영상버튼;
    상기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동영상버튼; 및
    상기 피사체를 줌 인/아웃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줌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13. 영상촬영장치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영상버튼; 및
    상기 피사체를 줌 인/아웃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줌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상버튼은 상기 본체의 후면에 마련되며, 상기 제 2 영상버튼은 상기 본체의 전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KR1020060136988A 2006-12-28 2006-12-28 영상촬영장치 Ceased KR2008006184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988A KR20080061844A (ko) 2006-12-28 2006-12-28 영상촬영장치
EP07116125A EP1939683B1 (en) 2006-12-28 2007-09-11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US11/865,917 US20080159731A1 (en) 2006-12-28 2007-10-02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CNA2007101823133A CN101212567A (zh) 2006-12-28 2007-10-17 图像拍摄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988A KR20080061844A (ko) 2006-12-28 2006-12-28 영상촬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1844A true KR20080061844A (ko) 2008-07-03

Family

ID=39232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6988A Ceased KR20080061844A (ko) 2006-12-28 2006-12-28 영상촬영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159731A1 (ko)
EP (1) EP1939683B1 (ko)
KR (1) KR20080061844A (ko)
CN (1) CN10121256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01548B1 (en) * 2006-09-12 2013-07-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hotography apparatus
JP6289190B2 (ja) * 2014-03-19 2018-03-0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CN115174770B (zh) * 2022-06-23 2024-04-30 南京北明软件有限公司 一种便携式案件卷宗归目辅助器及其操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6512A (en) * 1998-03-11 1999-08-31 Eastman Kodak Company Compact camera with variable position handgrip
JP2002040534A (ja) * 2000-07-27 2002-02-06 Nikon Corp カメラ
JP3914705B2 (ja) * 2000-11-29 2007-05-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ィジタル・カメラおよびその動作制御方法
JP2003008961A (ja) * 2001-06-25 2003-01-10 Canon Inc 安定保持機構を有する撮像装置
JP3799602B2 (ja) * 2002-02-13 2006-07-19 ソニー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US20040016995A1 (en) * 2002-07-25 2004-01-29 Kuo Shun Meen MEMS control chip integration
JP4151003B2 (ja) * 2002-09-13 2008-09-17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カメラ一体型記録再生装置
CA2571907A1 (en) * 2003-06-27 2005-01-27 Berglin Corporation Of Washington Machine for precision low stress coring and slicing of apples and other soft-cored or pitted fruits
JP2005192011A (ja) * 2003-12-26 2005-07-14 Sony Corp カメラ
CN1642323A (zh) * 2004-01-17 2005-07-20 上海迪比特实业有限公司 具摄像装置的移动终端快速调节摄像控制参数的方法
EP1699230B1 (en) * 2004-01-23 2009-03-18 Sony Corporation Turning hinge mechanism and image pick up device
JP2006005579A (ja) * 2004-06-16 2006-01-05 Sony Corp 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39683A1 (en) 2008-07-02
CN101212567A (zh) 2008-07-02
US20080159731A1 (en) 2008-07-03
EP1939683B1 (en) 2009-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77363B2 (ja) 表示装置
JP2007312297A (ja) カメラ
JP2007306433A (ja) レンズ交換式カメラ
KR20080061844A (ko) 영상촬영장치
JP2015169829A (ja) 撮像装置
JP2011049750A (ja) 撮像装置
JP2002051239A (ja) 電子カメラ
JP2004242192A (ja) 撮像装置
JP5040771B2 (ja) 撮像装置
JP4547338B2 (ja) デジタルカメラ
US20090091651A1 (en) Dual camera apparatus
JP2019015765A (ja) 撮像装置
JP2010051037A (ja) 電子カメラ
JP2008244930A (ja) 撮像装置
JP2005202305A (ja) コンバージョンレンズ装置
JP4738946B2 (ja) 撮像装置
JP2004350047A (ja) デジタルカメラ
TWM536370U (zh) 自拍桿
JP2007173977A (ja) カメラ
JP5500433B2 (ja) カメラ
JP2006345419A (ja) 撮影装置
JP2006251217A (ja) デジタルカメラ
JPH02308211A (ja) コンバータレンズ内蔵型ビデオカメラ
JP2006030751A (ja) カメラ
JPH11223859A (ja) カメラ操作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12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12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2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07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2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