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8613A - 듀얼 모드 단말기에서 자동 호 전환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듀얼 모드 단말기에서 자동 호 전환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58613A KR20080058613A KR1020060132493A KR20060132493A KR20080058613A KR 20080058613 A KR20080058613 A KR 20080058613A KR 1020060132493 A KR1020060132493 A KR 1020060132493A KR 20060132493 A KR20060132493 A KR 20060132493A KR 20080058613 A KR20080058613 A KR 2008005861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ule
- card
- cdma
- gsm
- powe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모드 단말기에서 자동 호 전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 호 전환 기능이 설정될 시, 상기 단말에 장착된 두 개의 사용자 인증 카드를 이용하여 각각의 통신시스템을 지원하는 두 개의 전화번호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두 개의 전화번호 각각을 상대 통신시스템에 등록하는 과정과, 하나의 통신시스템의 신호 수신이 불가능할 시, 상기 상대 통신시스템에 등록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이 불가능한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하나의 시스템 서비스만 획득하는 경우에도 GSM서비스와 CDMA서비스의 호를 모두 수신할 수 있다.
듀얼모드, 호전환, CDMA, GSM
Description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드 단말기의 블록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모드 단말기에서 자동 호 전환을 등록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모드 단말기에서 자동으로 호를 전환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자동으로 호를 전환하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듀얼 모드 단말기에서 자동 호 전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 호 전환 기능을 이용하여 수신이 불가능한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호를 수 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장의 폭이 넓어지고 새로운 이동통신 단말기 서비스를 도입하는 국가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통신시스템들의 장점을 활용하기 위해 복수의 통신시스템들을 서비스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중국의 경우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시스템의 서비스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시스템의 서비스가 공존하고 있으며, 이 두 가지 서비스 모두를 하나의 사업체에서 관리하기도 한다.
상기 통신시스템 중 GSM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단말기에 자신의 정보와 전화번호를 담은 SIM(Subscriber Identify Module)카드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단말기를 자신의 단말기로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기능을 CDMA시스템에서도 적용하고자 개발된 것이 UIM(User Identify Module)카드로 상기 UIM카드 역시 단말기에 장착함으로써 상기 단말기를 자신의 단말기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단일 서비스, 즉 하나의 시스템 서비스만을 지원하는 단말기는 지원하는 시스템을 잃거나 해당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 호를 수신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두가지 시스템의 서비스를 하나의 단말기로 대응할 수 있는 듀얼 모드 단말기가 개발되고 있다. 일 예로 상기 CDMA시스템과 GSM시스템을 지원하는 듀얼모드 단말기가 개발되었다.
상기 CDMA시스템과 상기 GSM시스템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는 UIM카드와 SIM카드 모두를 장착하여 두 가지 통신 서비스를 모두 이용하거나 사용자의 조작이나 단말기 내부의 제어에 의해 지정된 하나의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두 가지 경우에는 시스템 서비스를 놓쳤을 경우나 상기 사용중인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호를 수신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듀얼 모드 단말기에서 자동 호 전환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CDMA시스템과 GSM시스템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에서 SIM카드와 UIM카드에 기록된 전화번호를 상대 시스템에 등록하여 수신이 불가능한 시스템에서 발생된 호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견지에 따르면, 듀얼 모드 단말기에서 자동 호 전환 방법은, 자동 호 전환 기능이 설정될 시, 상기 단말에 장착된 두 개의 사용자 인증 카드를 이용하여 각각의 통신시스템을 지원하는 두 개의 전화번호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두 개의 전화번호 각각을 상대 통신시스템에 등록하는 과정과, 하나의 통신시스템의 신호 수신이 불가능할 시, 상기 상대 통신시스템에 등록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이 불가능한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견지에 따르면, 듀얼 모드 단말기에서 자동 호 전환 장치는, 상기 듀얼 모드 단말기가 지원하는 각각의 통신시 스템 내에서의 사용자 정보와 사용자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두 개의 사용자 인증 카드와, 자동 호 전환 기능이 설정될 시, 상기 두 개의 사용자 인증 카드의 전화번호 각각을 상대 시스템에 등록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수신 가능한 시스템의 신호와 두개의 통신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전환되는 호를 수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CDMA시스템과 GSM시스템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에서 SIM카드와 UIM카드에 기록된 전화번호를 상대 시스템에 미리 등록하여 수신이 불가능한 시스템에서 발생된 호를 수신 가능한 시스템에 등록된 전화번호를 통해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해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드 단말기의 블록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듀얼 모드 단말기는 제어부(100), UIM카드(102), SIM카드(104), 통신모듈(106), CDMA모듈(108), GSM모듈(110), 키패드(112), 표시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듀얼 모드 단말기의 전반적 인 동작을 제어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자동 호 전환이 설정될 시, 상기 UIM카드(102)와 상기 SIM카드(104)의 장착여부를 판단하여 두 카드가 모두 장착되어 있으면 GSM시스템에 상기 UIM카드(102)의 전화번호를 등록하고 CDMA시스템에 상기 SIM카드(104)의 전화번호를 등록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한쪽 시스템의 서비스 수신이 불가능할 시, 다른 쪽 시스템 모듈의 전원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모듈의 전원이 오프(OFF)상태이면 상기 오프되어 있는 시스템의 모듈의 전원을 온(ON)시키고 상기 모듈이 서비스를 획득하게 하여 상기 서비스의 수신이 불가능한 시스템에서 발생된 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제어한다.
상기 UIM카드(102)는 상기 CDMA시스템의 가입자 식별 모듈이고, 상기 SIM카드(104)는 상기 GSM시스템의 가입자 식별 모듈로서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메모리칩이 자체적으로 장착되어 휴대용 단말기를 작동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내장하고 있다. 또한 상기 UIM카드(102)와 SIM카드(104)는 사용자 정보를 비롯하여 전화번호, 네트워크번호 등의 관련정보를 내장하고 있다.
상기 통신모듈(106)은 안테나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무선신호를 송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한 기저대역 신호를 RF(Radio Frequency)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수신인 경우, 수신된 RF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기저대역신호를 역 확산(De-spreading) 및 채널 복호(Channel de-coding)하여 데이터를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102)은 상기 CDMA모듈(108)과 상기 GSM모듈(110)을 포함함으로써, 상 기 CDMA모듈(108)을 통해 상기 CDMA시스템의 신호를 송수신하며 상기 GSM모듈(110)을 통해 상기 GSM시스템의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102)은 본 발명에 따라 획득된 서비스의 호와 다른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전환되는 호를 수신한다.
상기 키패드(108)는 숫자 또는 문자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키에 대응되는 기능들을 상기 제어부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키패드(108)는 본 발명에 따라 자동 호 전환을 설정하기 위한 키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상기 표시부(110)는 상기 듀얼 모드 단말기의 동작중에 발생되는 상태정보, 제한된 숫자와 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모드 단말기에서 자동 호 전환을 등록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듀얼 모드 단말기는 201단계에서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자동 호 전환 기능이 사용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자동 호 전환 기능이 사용될 시, 상기 듀얼 모드 단말기는 203단계로 진행하여 SIM카드(104)와 UIM카드(102)가 모두 장착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SIM카드(104)와 상기 UIM카드(102)가 모두 장착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듀얼 모드 단말기는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SIM카드(104)와 상기 UIM카드(102)가 모두 정착되어 있을 시, 상기 듀얼 모드 단말기는 205단계에서 상기 SIM카드(104)의 전화번호를 CDMA시스템에 등록하고 상기 UIM카드(102)의 전화번호를 GSM시스템에 등록한 후,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여기서 상기 자동 호 전환을 등록하는 과정은 듀얼 모드 단말기에서 시스템 유휴시간(idle time)에 자동으로 실행되며, 상기 단말기는 부팅시마다 상기 SIM카드(104)와 상기 UIM카드(102)를 확인하여 변경된 카드가 있을 시 상기 205단계를 재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모드 단말기에서 자동 호 전환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듀얼 모드 단말기는 301단계에서 자동 호 전환이 설정되어 상기 도 2의 절차가 수행되었는지 검사한다. 상기 자동 호 전환이 설정되었을 시, 상기 듀얼 모드 단말기는 303단계로 진행하여 CDMA시스템과 GSM시스템의 서비스 수신이 가능한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CDMA서비스 수신이 불가능할 시, 즉, 상기 듀얼 모드 단말기가 CDMA서비스를 잃을 시, 상기 듀얼 모드 단말기는 305 단계에서 상기 GSM모듈(110)의 전원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GSM모듈(110)의 전원이 온(ON)상태일 시, 하기 309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GSM모듈(110)의 전원이 오프(OFF)상태일 시, 3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GSM모듈(110)의 전원을 온시킨다. 이후 상기 듀얼 모드 단말기는 309단계에서 상기 UIM카드(102)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호를 자동 호 전환 기능을 통해 상기 GSM시스템에서 획득하여 수신한 후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반면, 상기 GSM서비스 수신이 불가능할 시, 즉, 상기 듀얼 모드 단말기가 GSM서비스를 잃을 시, 상기 듀얼 모드 단말기는 311단계에서 상기 CDMA모듈(108)의 전원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CDMA모듈(108)의 전원이 온(ON)일 시, 하기 315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CDMA모듈(108)의 전원이 오프(OFF)일 시, 3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CDMA모듈(108)의 전원을 온시킨다. 이후 상기 듀얼 모드 단말기는 315단계에서 상기 SIM카드(104)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호를 자동 호 전환 기능을 통해 상기 CDMA시스템에서 획득하여 수신한 후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자동으로 호를 전환하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듀얼 모드 단말기(400)는 삽입된 UIM카드(102)와 SIM카드(104)를 확인하여 상기 UIM카드(102)의 전화번호를 GSM기지국(404)에 등록하고 상기 SIM카드(104)의 전화번호를 CDMA기지국(404)에 등록한다.
상기 듀얼 모드 단말기가 두 개의 기지국(402,404)의 신호를 모두 수신하지 못하고 하나의 기지국의 신호만 획득할 시, 상기 듀얼 모드 단말기에 신호를 송신하지 못하는 기지국은 기지국 내의 시스템에 등록된 전화번호를 통해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에 송신할 호를 상대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이후 상기 호를 수신받은 상기 상대 기지국은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400)로 호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듀얼 모드 단말기(400)가 상기 CDMA기지국(402)에서 송신되는 호를 수신하지 못할 시, 상기 CDMA기지국(402)은 시스템 내에 등록된 상기 SIM카드(104) 전화번호를 통해 상기 GSM기지국(404)에 호를 송신하고 상기 GSM기지국(404)은 수신받은 호를 듀얼 모드 단말기로 송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듀얼 모드 단말기에서 수신이 불가능한 시스템 서비스의 호를 수신이 가능한 시스템 서비스에 등록된 상대 서비스의 카드 전화번호를 통해 호 전환하여 수신함으로써 하나의 시스템 서비스만 획득하는 경우에도 GSM서비스와 CDMA서비스의 호를 모두 수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7)
- 듀얼 모드 단말기에서 자동 호 전환 방법에 있어서,자동 호 전환 기능이 설정될 시, 상기 단말에 장착된 두 개의 사용자 인증 카드를 이용하여 각각의 통신시스템을 지원하는 두 개의 전화번호를 확인하는 과정과,상기 확인된 두 개의 전화번호 각각을 상대 통신시스템에 등록하는 과정과,하나의 통신시스템의 신호 수신이 불가능할 시, 상기 상대 통신시스템에 등록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이 불가능한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사용자 인증 카드는, UIM(User Identify Module)카드와 SIM(Subscriber Identify Module)카드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과정은, 상기 두 개의 사용자 인증카드 중 SIM카드의 전화번호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시스템에 등록하고 UIM카드 의 전화번호를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시스템에 등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기의 시스템 유휴시간(idle time)에 자동으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의 부팅시마다 SIM카드와 UIM카드를 확인하여 변경된 카드가 있을 시 재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하나의 통신시스템의 신호 수신이 불가능할 시, 다른 하나의 통신시스템을 지원하는 모듈의 전원 온/오프(ON/OFF)상태를 확인하는 과정과,상기 모듈의 전원이 오프(OFF)상태일 시, 상기 모듈의 전원을 온(ON)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신호 수신이 불가능한 시스템이 CDMA시스템일 시, GSM모듈의 전원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GSM모듈 전원이 오프(OFF)상태일 시, 상기 GSM모듈의 전원을 온(ON)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신호 수신이 불가능한 시스템이 GSM시스템일 시, CDMA모듈의 전원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CDMA모듈 전원이 오프(OFF)상태일 시, 상기 CDMA모듈의 전원을 온(ON)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듀얼 모드 단말기에서 자동 호 전환 장치에 있어서,상기 듀얼 모드 단말기가 지원하는 각각의 통신시스템 내에서의 사용자 정보와 사용자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두 개의 사용자 인증 카드와,자동 호 전환 기능이 설정될 시, 상기 두 개의 사용자 인증 카드의 전화번호 각각을 상대 시스템에 등록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와,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수신 가능한 시스템의 신호와 두개의 통신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전환되는 호를 수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9항에 있어서,상기 두 개의 사용자 인증 카드는,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시스템의 사용자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UIM(User Identify Module)카드와,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시스템의 사용자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SIM(Subscriber Identify Module)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9항에 있어서,상기 통신 모듈은,CDMA시스템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CDMA 모듈과,GSM시스템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GSM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9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SIM카드와 UIM카드가 모두 장착되었는지 판단하여 상기 SIM카드와 UIM카드가 모두 장착되었을 시, CDMA시스템에는 상기 SIM카드의 전화번호를 등록하고 GSM시스템에는 상기 UIM카드의 전화번호를 등록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9항에 있어서,상기 전화번호의 등록은, 상기 단말기의 시스템 유휴시간(idle time)에 자동으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9항에 있어서,상기 전화번호의 등록은, 상기 단말의 부팅시마다 SIM카드와 UIM카드를 확인하여 변경된 카드가 있을 시 재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9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하나의 통신시스템의 신호 수신이 불가능할 시, 다른 하나의 통신시스템을 지원하는 모듈의 전원을 온(ON)시키기 위한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5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상기 신호 수신이 불가능한 시스템이 CDMA시스템일 시, GSM모듈의 전원을 온(ON)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5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상기 신호 수신이 불가능한 시스템이 GSM시스템일 시, CDMA모듈의 전원을 온(ON)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32493A KR20080058613A (ko) | 2006-12-22 | 2006-12-22 | 듀얼 모드 단말기에서 자동 호 전환 방법 및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32493A KR20080058613A (ko) | 2006-12-22 | 2006-12-22 | 듀얼 모드 단말기에서 자동 호 전환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58613A true KR20080058613A (ko) | 2008-06-26 |
Family
ID=39803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32493A KR20080058613A (ko) | 2006-12-22 | 2006-12-22 | 듀얼 모드 단말기에서 자동 호 전환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58613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437528A1 (en) | 2010-10-01 | 2012-04-04 | ST-Ericsson SA | Method for dual sim dual standby terminal |
WO2012041663A1 (en) | 2010-10-01 | 2012-04-05 | St-Ericsson Sa | Method for dual sim dual standby terminal |
KR20120062349A (ko) * | 2010-12-06 | 2012-06-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단말기의 긴급 호 처리 장치 및 방법 |
-
2006
- 2006-12-22 KR KR1020060132493A patent/KR2008005861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437528A1 (en) | 2010-10-01 | 2012-04-04 | ST-Ericsson SA | Method for dual sim dual standby terminal |
WO2012041663A1 (en) | 2010-10-01 | 2012-04-05 | St-Ericsson Sa | Method for dual sim dual standby terminal |
US9008636B2 (en) | 2010-10-01 | 2015-04-14 | St-Ericsson Sa | Method for dual SIM dual standby terminal |
KR20120062349A (ko) * | 2010-12-06 | 2012-06-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단말기의 긴급 호 처리 장치 및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874168B2 (en) | Method and system for utilizing a single SIM card socket to support multiple SIM cards in a multi-SIM multi-standby communication device | |
CN102036186B (zh) | 用于在多模式便携式终端中降低功耗的设备和方法 | |
CN1759595B (zh) | 配备用户可拆卸模块的无线通信设备中的紧急回叫 | |
KR101593591B1 (ko) | 멀티 심 단말기의 프로토콜 처리 방법 및 장치 | |
KR101065341B1 (ko) |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통신 방법 | |
FI109445B (fi) | Menetelmä käyttäjän tunnistetietojen välitämiseksi langattomaan viestimeen | |
EP1908250B1 (en) | Mobile phone with rfid reader and wlan transmitter integrated on sim card | |
CN111031150B (zh) | 终端及终端的通信方法 | |
US20080161050A1 (en) | Method for configur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o operat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rough automatic SIM pairing and associat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
US20040142684A1 (en) | Radiotelephone system | |
KR101521309B1 (ko) |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의 통신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 |
KR20100098797A (ko) |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장치 및 방법 | |
RU2005124291A (ru) | Экстренный обратный вызов для мобильных терминалов в ограниченном режиме обслуживания | |
RU2010139467A (ru) | Эффективное назначение частоты для мобильных устройств в совместно существующих системах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 |
KR20110031581A (ko) | 휴대용 단말기에서 심 카드를 선택하는 장치 및 방법 | |
RU2364042C2 (ru) | Способ установления беспроводной линии связи | |
US8270971B2 (en) | Portable terminal device initializing method | |
KR20080058613A (ko) | 듀얼 모드 단말기에서 자동 호 전환 방법 및 장치 | |
JP2007281861A (ja) | 端末認証方法及び携帯端末装置 | |
US6519476B1 (en) | Radio communication system wherein insertion of an attachable external storage medium causes the mobile to interact with the system | |
EP2114098A1 (en) | Subcriber identity module transceiver | |
KR101085598B1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핸드 오프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한개선된 sim 카드 액세스 장치 및 방법 | |
US7336179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ing IC tags | |
KR101061110B1 (ko) | 듀얼 통신모드 이동통신 단말기 | |
KR101537966B1 (ko) | 휴대용 단말기에서 주변장치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2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