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5454A -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55454A KR20080055454A KR1020060128827A KR20060128827A KR20080055454A KR 20080055454 A KR20080055454 A KR 20080055454A KR 1020060128827 A KR1020060128827 A KR 1020060128827A KR 20060128827 A KR20060128827 A KR 20060128827A KR 20080055454 A KR20080055454 A KR 2008005545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guide
- upper panel
- vane
- air condition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143 condition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9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8—Failure diagnosi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조부와 베인 사이에 구비된 에어 가이드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공조부에서 공조된 공기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에어 가이드를 따라 상기 베인측으로 안내되어 상기 베인에 부딪힌 후, 상기 공기조화기의 전방 측으로 토출될 수 있기 때문에, 측면 토출뿐만 아니라 전방 토출이 가능하여, 보다 효율적인 입체 냉/난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guide provided between the air conditioner and the vane,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air air-conditioned in the air conditioner is guided to the vane side along the air guide to hit the vane, and then the air Since it can be discharged to the front side of the conditioner, not only the side discharge but also the forward discharge is possible, and thus there is an effect capable of more efficient three-dimensional cooling / heat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가 개방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가 개방된 정면도,FIG. 2 is a front view of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of the air conditioner of FIG. 1 opened; FIG.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전면 패널을 전방으로 열었을 때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when the front panel of the air conditioner shown in FIG. 1 is opened forward;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개략 분해 사시도,4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ir conditioner shown in FIG. 1;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종단면도,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shown in FIG. 1;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상부 패널과 에어 가이드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panel and an air guid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1의 A방향에서 본 상부 패널의 배면도,FIG. 7 is a rear view of the upper panel seen in the direction A of FIG. 1;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상부 패널의 단면도,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panel shown in FIG.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부 패널의 단면도,9 is a sectional view of an upper panel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부 패널의 단면도,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panel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공기조화기 10: 본체1: air conditioner 10: main body
20: 전면 패널 50: 상부 패널20: front panel 50: top panel
51: 좌측면부 52: 우측면부51: left side portion 52: right side portion
53: 전면부 54: 상면부53: front part 54: top part
55,56: 측면 공기 토출구 57: 좌측면 토출 베인55, 56: Side air discharge port 57: Left side discharge vane
58: 우측면 토출 베인 170: 좌측면 베인 커버58: right side discharge vane 170: left side vane cover
171: 우측면 베인 커버 180,200,300: 에어 가이드171: right
181: 좌측 에어 가이드 182: 우측 에어 가이드181: left air guide 182: right air guide
184: 가이드 돌기 185: 스위치 커버부184: guide protrusion 185: switch cover
190: 도어 스위치190: door switch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조부에서 공조된 공기가 에어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어 좌,우측면 토출 베인에 부딪힌 후 상기 공기조화기의 전방 중앙측을 향해 토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입체 냉/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in particular, air conditioned in an air conditioner is guided by an air guide and is configured to be discharged toward the front center side of the air conditioner after hitting the left and right side discharge vanes, thereby providing more effective three-dimensional cooling. To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heating.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매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난방시키거나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으로, 크게 분리형과 일체형으로 구분된다.In general, an air conditioner is used to cool or heat a room or purify the air by using a refrigeration cycle of a refrigerant consisting of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mechanism, and an evaporator to create a mor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for a user. .
상기한 분리형과 일체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분리형은 실내기에 냉각/방열 장치를 설치하고 실외기에 방열/냉각 및 압축 장치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실내기와 실외기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고, 일체형은 냉각 방열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건물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한 것이다. The separate type and the integrated type are functionally the same, but the separate type connects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separated by the refrigerant pipes by installing the cooling / heating unit in the indoor unit and the heat radiating / cooling and compression unit in the outdoor unit, and the integrated type by cooling heat dissipation. Integrate the function of the hole in the wall of the building or by hanging the device on the window is installed directly.
도 1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5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501)와, 상기 베이스(501)의 후방부 상측에 배치되고 전면이 개방된 캐비닛(502)과, 상기 캐비닛(502)의 전면 상부에 배치된 전면 상부 패널(504)과, 상기 캐비닛(502)의 전면 하부에 배치된 전면 하부 패널(505)과, 상기 전면 상부 패널(504)의 좌,우 양측면부와 상기 베이스(501)의 사이에 배치된 흡입 그릴(506)과, 상기 캐비닛(502)의 내측에 배치되어 공기를 흡,토출시키는 송풍기(미도시)와, 상기 송풍기(미도시)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냉각시키는 열교환기(미도시)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1, the air conditioner 500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
상기 전면 상부 패널(504)에는 전면 상부에 전면 공기 토출구(504a)가 형성되고, 경사진 양측면부에는 측면 공기 토출구(504b)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 상부 패널(504)에는 상기 전면 공기 토출구(504a)를 개폐하는 상하 구동 패널(510)이 승 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측면 공기 토출구(504b)에는 상기 측면 공기 토출구(504b)를 개폐하는 베인(512)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The front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송풍기(미도시)의 구동시 상기 흡입그릴(506)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미도시)에 의해 가열/냉각된 후, 상기 전면 공기 토출구(504a)와 상기 측면 공기 토출구(504b)를 통해 토출된다. 상기 측면 공기 토출구(504b)를 통과하는 공기는 상기 베인(512)에 의해 안내되어 공기조화기의 좌,우측 방향으로 토출된다.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air sucked through the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흡입 그릴(506)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전면 공기 토출구(504a)와 측면 공기 토출구(504b)를 통해 상기 공기조화기의 전면과 측면으로만 토출되기 때문에, 효율적인 입체 냉/난방에 제한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because the air sucked through the
본 발명은 열교환된 공기를 베인측으로 유도하여, 공기조화기의 전면과 측면으로만 토출되도록 하여 보다 효율적인 입체 냉/난방이 가능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more efficient three-dimensional cooling / heating by guiding the heat-exchanged air to the vane side to be discharged only to the front and side of th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조부가 구비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전면 상부에 설치되고, 공기 출입구가 형성된 상부 패널과, 상기 공기 출입구를 개폐하고, 출입되는 공기의 유로를 안내하는 베인과, 상기 공조부와 베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공조부에서 공조된 공기를 상기 베인측으로 안내하도록 형성된 에어 가이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binet having an air conditioning unit, an upper panel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an air inlet and outlet formed therein, a van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ir inlet and guiding the flow path of the air, and the air conditioning unit and the vane. It is provided between, and provides an air conditioner including an air guide formed to guide the air air-conditioned in the air conditioning unit to the vane side.
상기 에어 가이드는 상기 상부 패널의 측면부와 배면부 사이가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The air guide includes a bent portion formed between the side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of the upper panel.
상기 에어 가이드는 상기 상부 패널의 배면부 중 일부가 상기 공기 출입구가 형성된 상기 상부 패널의 측면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The air guide may include a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panel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side portion of the upper panel in which the air entrance and exit are formed.
상기 공기 출입구는 상기 상부 패널의 좌,우측면부에 형성된 측면 공기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 가이드는 상기 상부 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측면 공기 토출구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The air inlet may include side air outlets formed at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upper panel, and the air guide may be installed at the top panel and inclined toward the side air outlets.
상기 에어 가이드는 상기 공조부에서 공조된 공기를 개방된 상기 베인을 향하도록 안내하는 베인 안내부와, 상기 베인 안내부에서 연장되되 상기 베인에 부딪힌 공기가 상기 측면 공기 토출구를 향하도록 안내하는 토출구 안내부를 포함한다.The air guide includes a vane guide for guiding the air conditioned in the air conditioning unit toward the opened vane, and a discharge port guide for extending the vane guide to guide the air hit by the vanes toward the side air outlet. Contains wealth.
상기 베인 안내부는 상기 상부 패널의 배면부에서 상기 상부 패널의 좌,우측면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 안내부는 상기 베인 안내부에서 상기 측면 공기 토출구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The vane guide portion may be inclined toward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upper panel at the rear portion of the upper panel, and the discharge port guide portion may be inclined toward the side air discharge port at the vane guide portion.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상부 패널의 전방에 설치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패널에는 상기 전면 패널의 개폐를 감지하는 스위치가 설치된다.The air conditioner further includes a front panel installed in front of the upper panel to form an appearance, and the upper panel is provided with a switch for detect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front panel.
상기 에어 가이드는 상기 스위치로 냉기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스위치 커버부를 포함한다.The air guide includes a switch cover part formed to prevent cold air from penetrating into the switch.
상기 상부 패널에는 상기 스위치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The upper panel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switch,
상기 스위치 커버부는 상기 수용부와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형성된다.The switch cover portion is formed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between the accommodation portion.
상기 에어 가이드에는 상기 공기 출입구로 사용자의 손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안전망이 결합된 것을 포함한다. The air guide includes a safety net coupled to prevent the user's hand from entering the air entrance and exit.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가 개방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가 개방된 정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of the air conditioner shown in FIG. 1.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실내기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시키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전방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전면 패널(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10) for sucking and air conditioning indoor air, and a front panel (20) rotat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상기 본체(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출입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 출입구를 통해 출입되는 공기를 공조시키는 공조부를 포함한다. The
상기 케이스는 베이스(30)와,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캐비닛(40)과, 상기 캐비닛(40)의 전면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패널(50)과, 상기 상부 패널(50)의 양측 하 부와 상기 베이스(30)사이에 설치되는 좌,우측 흡입 패널(60)(70)을 포함한다. The case includes a
상기 베이스(30)는 상기 전면 패널(20)을 닫았을 때 상기 전면 패널(20)의 하단과 실내의 바닥면 사이에 틈이 크지 않도록 상기 전면 패널(20)의 하부로 단턱부(32)가 돌출 형성된다.The
한편, 상기 전면 패널(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의 전면부 전체를 덮거나 개방하는 일종의 도어로서, 상기 베이스(30)의 하단에서부터 상기 상부패널(50)의 상단사이의 높이와 같거나 비슷한 높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측 흡입 패널(60)과 우측 흡입패널(70)사이의 폭과 같거나 비슷한 폭으로 이루어진다. Meanwhile,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20)에는 상기 공기조화기(1)의 운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90)가 착탈가능토록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90)는 상기 전면 패널(20)을 닫았을 때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전면 패널(20)의 배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면 패널(20)에 형성된 투명부(21)를 통해 공기조화기의 운전정보를 표시한다. In addition, the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전면 패널을 전방으로 열었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일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when the front panel of the air conditioner illustrated in FIG. 1 is opened forward, FIG. 4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ir conditioner illustrated in FIG. 1, and FIG. 5 is an air conditioner illustrated in FIG. 1. This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n indoor unit of an embodiment.
상기 캐비닛(4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과 하면과 전면이 개방된다. 상기 캐비닛(40)의 배면부(41)는 상기 베이스(30)의 상측에 상하로 길게 배치되고, 좌,우 측면부(42)(43)가 상기 배면부(41)와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캐비닛(40)의 상측에는 상면 패널(44)이 설치된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상기 상부 패널(50)은 좌,우 측면부(51)(52)가 전면부(53)와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면부(54)가 상기 전면부(53)와 직교하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 패널(50)은 좌,우 측면부(51)(52)의 각각에 공기가 토출되는 측면 공기 토출구(55)(56)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측면 공기 토출구(55)(56)를 각각 개폐하는 좌,우측면 토출베인(57)(58)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좌,우측면 토출베인(57)(58)은 상기 상부 패널(50)에 장착된 베인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The
또한, 상기 상부 패널(50)은 전면 상부 또는 상면부(54)에 공기가 토출되는 상면 공기 토출구(80)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상면 공기 토출구(80)를 개폐하는 상면 토출베인(81)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상면 공기 토출구(80)는 상기 상부 패널(50)의 상면부(54)에 형성되고, 상기 상면 토출베인(81)은 상기 상부 패널(50)의 상면부(54)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상면 공기 토출구(80)에는 내측으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안전망(82)이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상기 상부 패널(50)의 하측과 상기 베이스(30)사이에는 상기 공조부의 전방을 가리도록 서비스 커버(130)가 설치된다. The
그리고, 상기 좌측 흡입 패널(60)은 상기 상부 패널(50)의 좌측면부(51)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우측 흡입 패널(70)은 상기 상부 패널(50)의 우측면부(52)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좌,우측 흡입패널(60)(70)에는 각각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 입구(61)(71)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공기 흡입구(61)(71)를 개폐하는 좌,우측면 흡입베인(62)(72)이 설치된다. The
한편, 상기 전면 패널(2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의 좌,우측 중 어느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힌지결합된다. 즉, 상기 전면 패널(20)의 좌측 상단은 상기 상부 패널(50)의 상면에 설치된 상측 힌지 브래킷(15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면 패널(20)의 좌측 하단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된 하측 힌지 브래킷(15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패널(50)에는 상기 상측 힌지 브래킷(151)의 일부를 덮는 브래킷 커버(153)가 구비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20)은 회전 속도 및 각도가 제한되도록 회동제한수단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상부 패널(50)에 결합된다. 상기 회동제한수단(160)은 일단이 상기 전면 패널(20)에 슬라이딩 가능토록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 패널(50)에 회동가능토록 결합된 슬라이더(161)이다. 상기 전면 패널(20)에는 상기 슬라이더(161)의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162)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 패널(50)에는 상기 슬라이더(161)가 힌지 결합되는 힌지 브래킷(163)이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전면 패널(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배치되는 글래스(22)와, 상기 글래스(22)의 후방에 배치되는 글래스 패널(23)과, 상기 글래스(22)와 글래스 패널(23)을 조립하는 커버(24)를 포함한다. 상기 글래스(22)의 배면에는 소정 색상이나 문양을 갖는 불투명 시트(25)가 부착되거나 인쇄물이 형성되는 바, 이하 불투명 시트(25)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the
한편, 상기 공조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를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냉각시키는 열교환기(100)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외부의 공기를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내부로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100)를 통하도록 한 후 다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외부로 송풍시키는 송풍기(110)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4, the air conditioner, the
상기 열교환기(100)는 상기 캐비닛(40)과 상기 상부 패널(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되어, 상기 캐비닛(40)과 상기 상부 패널(50)의 사이에 경사지게 배치된다.The
상기 송풍기(110)는 상기 열교환기(10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캐비닛(40)에 장착된다. 상기 송풍기(110)는 전면이 개방되고 상면에 토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캐비닛(40)에 장착된 팬 하우징(111)과, 상기 팬 하우징(111)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위치된 팬(112)과, 상기 팬(112)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팬(112)에 샤프트가 연결된 송풍 모터(113)와, 상기 팬 하우징(111)의 전면에 장착된 오리피스(114)로 구성된다. The
또한, 상기 공조부는 상기 송풍기(110)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기(110)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기구(120)를 포함한다. 상기 정화기구(120)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중앙 필터(121)와, 상기 중앙 필터(121)가 착탈되도록 상기 송풍기(110)에 장착된 필터 홀더(122)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air conditioning unit includes a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공기 흡입구(61)(71)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좌,우측 흡입 필터(63)(73)가 장착되고, 상기 좌,우측 흡입 필터(63)(73)를 청소하는 필터 청소 유닛(140)이 장착된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4, the
상기 필터 청소 유닛(140)은 상기 좌,우측 흡입 필터(63)(73)상에 이동 가능토록 설치된 필터 키트(141)와, 상기 필터 키트(141)와 더스트 호스(142)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좌,우측 흡입 필터(63)(73)상 먼지 등 오염물이 상기 필터 키트(141)를 통해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력을 부여하는 키트 송풍기(143)과, 상기 흡입된 이물질과 공기를 분리하는 사이클론(144)과, 상기 사이클론(144)에서 분리된 필터 이물질을 집진하는 더스트 박스(145)와, 상기 필터 청소 유닛(140)을 제어하는 키트 컨트롤 박스(14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상부 패널과 에어 가이드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A방향에서 본 상부 패널의 배면도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상부 패널의 단면도이다.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panel and an air guid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rear view of the upper panel viewed from the direction A of FIG. 6, and FIG. 8 is shown in FIG. 6. Section of the top panel.
상기 상부 패널(50)에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가이드(180)가 설치되는 바, 상기 에어 가이드(180)는 상기 공조부의 열교환기(100)와 상기 좌,우측면 토출 베인(57)(58)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열교환기(100)에서 가열/냉각된 공기를 상기 좌,우측면 토출 베인(57)(58)측으로 안내하도록 형성된다. 6 to 8, the
상기 에어 가이드(180)는 상기 열교환기(100)의 전방에 대응되는 상기 상부 패널(50)의 배면부(50a)에 설치되는 바, 상기 상부 패널(50)의 배면부(50a) 좌측에 설치되는 좌측 에어 가이드(181)와 상기 상부 패널(50)의 배면부(50a) 우측에 설치되는 우측 에어 가이드(182)로 구성된다. 상기 좌,우측 에어 가이드(181)(182)는 후크나 볼트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상부 패널(50)의 배면부(50a)에 체결 고 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는 볼트(183)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좌,우측 에어 가이드(181)(182)에서 상기 상부 패널(50)의 배면부(50a)을 향한 면에는 조립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돌기(184)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부 패널(50)의 배면부(50a)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184)에 대응되는 가이드 홈(미도시)이 형성된다.The
그리고, 상기 측면 공기 토출구(55)(56)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안전망(59)이 설치되는 바, 상기 안전망(59)은 상기 좌,우측 에어가이드(181)(182)에 볼트(59a)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 고정된다. And, as shown in Figure 7, the side
그리고, 상기 좌,우측면 토출 베인(57)(58)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측면 토출 베인(57)(58)의 외측을 감싸도록 측면 베인 커버(170)가 결합된다. 상기 좌,우측면 토출 베인(57)(58)은 상기 측면 공기 토출구(55)(56)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부(57a)와, 상기 결합부(57a)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측면 공기 토출구를 개폐시킴과 아울러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외측 안내부(57b)와, 상기 결합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공기의 흐름을 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외측 안내부(57b)와의 사이에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내측 안내부(57c)로 이루어진다. 상기 측면 베인 커버(170)는 상기 외측 안내부(57b)의 상,하,좌,우측 모서리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As shown in FIGS. 8 and 9, the left and right
상기 좌,우측면 토출 베인(57)(58)은 출입되는 공기의 유로를 전환하도록 형성된 유로 전환 가이드부(57e)를 포함한다. 상기 유로 전환 가이드부(57e)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전방을 향해 공기가 토출되도록 토출공기의 유로를 전환하기 위해 형성되는 바, 상기 좌,우측면 토출 베인(57)(58)의 외측 안내부(57b)가 돌출 형성되되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The left and right
한편,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측 에어 가이드(181)(182)는 각각 상기 열교환기(100)에서 가열/냉각된 공기를 개방된 상기 좌,우측면 토출 베인(57)(58)을 향하도록 안내하는 베인 안내부(181a)와, 상기 베인 안내부(181a)에서 연장되되 상기 좌,우측면 토출 베인(57)(58)에 부딪힌 공기가 상기 측면 공기 토출구(55)(56)를 향하도록 안내하는 토출구 안내부(181b)로 이루어진다. Meanwhile, as shown in FIGS. 8 and 9, the left and right air guides 181 and 182 respectively have the left and right
상기 베인 안내부(181a)는 상기 상부 패널(50)의 배면부(50a)에서 상기 상부 패널(50)의 좌,우측면부(51)(52)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 안내부(181b)는 상기 베인 안내부(181a)에서 상기 측면 공기 토출구(55)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토출구 안내부(181b)는 상기 베인 안내부(181a)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면 토출 베인(57)(58)의 개방시 상기 좌,우측면 토출 베인(57)(58)의 외측 안내부(57a)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그리고, 상기 좌,우측 에어 가이드(181)(18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 공기 토출구(55)(56)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바, 상기 측면 공기 토출구(55)(56)의 길이보다 길거나 같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7, the left and right air guides 181 and 182 are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패널(50)에는 상기 전면 패 널(20)의 개폐를 감지하는 스위치(190)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 패널(50)의 하부에는 상기 스위치(190)가 수용되는 수용부(191)가 형성된다. 상기 스위치(190)는 상기 수용부(191)에 관통되게 설치되고, 상기 전면 패널(20)과 접촉되도록 전방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6, the
그리고, 상기 좌,우측 에어 가이드(181)(182)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기에서 냉각된 공기에 의해 상기 스위치(190)로 냉기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스위치 커버부(185)가 형성된다. 상기 스위치 커버부(18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191)와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좌,우측 에어 가이드(181)(182)의 전면 하부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The left and right air guides 181 and 182 are switches formed to prevent cold air from penetrating into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사용자가 공기조화기(1)의 운전을 요청하면, 상기 좌,우측 흡입베인(62)(72)이 상기 공기 흡입구(61)(71)를 개방시킴과 아울러, 상기 상면 토출베인(81)과 좌,우측면 토출베인(57)(58)이 상기 상면 공기 토출구(80)와 측면 공기 토출구(55)(56)를 각각 개방시킨다. First, when the user requests the operation of the
그리고, 상기 송풍기(110)가 구동되면, 상기 송풍기(110)의 송풍력에 의해 외부공기가 상기 공기 흡입구(61)(71)를 통해 상기 공기조화기(1)의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공기조화기(1)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좌,우측 흡입 필터(63)(73) 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후, 상기 송풍기(110)의 전방으로 이동된다. When the
상기 송풍기(110)의 전방으로 이동된 공기는 상기 중앙 필터(121)를 차례로 통과하면서, 단계적으로 정화된다. 상기 중앙 필터(121)를 모두 통과한 공기는 상기 송풍기(110)를 통과한 후, 상기 송풍기(110)의 상측으로 송풍되어 상기 열교환기(100)에 의해 열교환된다. The air moved to the front of the
상기 열교환기(100)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상면 공기 토출구(80)와 측면 공기 토출구(55)(56)를 통해 상기 공기조화기(1)의 외부로 토출된다.The air heat-exchanged by the
이 때, 상기 열교환기(100)의 전방에 대응되는 상기 상부 패널(50)의 배면부(50a)에는 상기 좌,우측 에어 가이드(181)(182)가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열교환기(100)에서 열교환되어 상기 상부 패널(50)의 배면부(50a)를 향해 나온 공기는 상기 좌,우측 에어 가이드(181)(182)를 따라 상기 측면 공기 토출구(55)(56)로 나가게 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left and right air guides 181 and 182 are installed at the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기(100)에서 열교환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좌측 에어 가이드(181)의 베인 안내부(181a)를 따라 안내되어, 상기 좌측면 토출 베인(57)에 부딪히게 된다. 상기 좌측면 베인(57)에 부딪힌 공기는 유로가 전환되어 상기 공기조화기(1)의 전면 중앙을 향해 토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100)에서 열교환된 공기 중 나머지는 상기 좌측면 토출 베인(57)과 상기 좌측 에어 가이드(181)의 토출구 안내부(181b)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공기조화기(1)의 측면 방향으로 토출된다. 상기 우측 에어 가이드(182)의 역할도 동일하다. That is, as shown in FIG. 8, some of the heat exchanged air in the
따라서, 가열/냉각되어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공기조화기(1)의 측면 방향뿐 만 아니라, 전면 중앙측으로도 토출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입체적인 냉/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refore, since the air discharged by heating / cooling can be discharged not only in the side direction of the
또한, 상기 좌,우측 에어 가이드(181)(182)에는 상기 스위치 커버부(184)가 형성되어, 냉기가 상기 스위치(190)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스위치(19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부 패널의 단면도이다.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panel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열교환기(100)에서 공조된 공기를 상기 좌,우측면 토출 베인(57)(58)측으로 안내하도록 형성된 에어 가이드(200)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 가이드(200)는 상기 상부 패널(50)에 일체로 형성된 점을 제외하고는 기타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제 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기 제 1실시예와의 중복 설명을 생략함과 아울러 상기 제 1실시예와 동일 구성에 대하여 동일 부호를 병기한다.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즉, 제 2실시예에 따른 상기 에어 가이드(2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패널(50)의 배면부(50a)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는 바, 상기 상부 패널(50)의 측면부(51)(52)와 배면부(50a)사이가 절곡 형성되어, 상기 상부 패널(50)의 제작시 상기 에어 가이드(200)가 함께 성형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9, the
따라서, 상기 열교환기(100)에서 가열/냉각된 공기가 상기 에어 가이드(200)를 따라 상기 좌,우측면 토출 베인(57)(58)측으로 안내되어, 상기 좌,우측면 토출 베인(58)에 부딪힌 후 유로가 상기 공기조화기(1)의 전방측으로 전환될 수 있다. Therefore, the air heated / cooled in the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에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부 패널의 단면도이다.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panel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열교환기(100)에서 가열/냉각된 공기를 상기 좌,우측 토출 베인(57)(58)측으로 안내하도록 형성된 에어 가이드(210)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 가이드(210)는 상기 상부 패널(50)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상부 패널(50)의 배면부(50a) 중 일부가 상기 상부 패널(50)의 측면부(51)(52)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점을 제외하고는 기타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제 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기 제 1실시예와의 중복 설명을 생략함과 아울러 상기 제 1실시예와 동일 구성에 대하여 동일 부호를 병기한다.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guide 210 formed to guide the air heated / cooled in the
즉, 제 3실시예에 따른 상기 에어 가이드(21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패널(50)의 배면부(50a)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는 바, 상기 상부 패널(50)의 배면부(50a) 좌,우측이 상기 측면 공기 토출구(55)(56)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열교환기(100)에서 가열/냉각된 공기를 상기 에어 가이드(210)를 따라 상기 좌,우측면 토출 베인측(57)(58)으로 안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 가이드(210)에 의해 안내된 토출 공기는 상기 좌,우측면 토출 베인(57)(58)에 부딪힌 후 유로가 상기 공기조화기(1)의 전방측으로 전환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10, the air guide 21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form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조부와 베인 사이에 구비된 에어 가이드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공조부에서 공조된 공기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에어 가이드를 따라 상기 베인측으로 안내되어 상기 베인에 부딪힌 후, 상기 공기조화기의 전방 측으로 토출될 수 있기 때문에, 측면 토출뿐만 아니라 전방 토출이 가능하여, 보다 효율적인 입체 냉/난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guide provided between the air conditioner and the vane,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air air-conditioned in the air conditioner is guided to the vane side along the air guide to hit the vane, and then the air Since it can be discharged to the front side of the conditioner, not only the side discharge but also the forward discharge is possible, and thus there is an effect capable of more efficient three-dimensional cooling / heating.
또한, 상기 에어 가이드는 상부 패널에 설치되어 전면패널의 개폐를 감지하도록 스위치를 감싸는 스위치 커버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공조부에서 냉각된 공기에 의해 상기 스위치로 냉기가 침투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스위치의 오작동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air guide is installed on the upper panel to include a switch cover surrounding the switch to detec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ront panel, thereby preventing cold air from penetrating the switch by the air cooled in the air conditioning uni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malfunction and failure.
또한, 상기 에어 가이드는 공기 출입구의 내측을 덮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상부 패널의 내측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air guide is installed to cover the inside of the air inlet and outle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side of the upper panel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에어 가이드에는 상기 공기 출입구에 설치되는 안전망이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안전망의 조립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afety net installed in the air entrance and exit can be coupled to the air guid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ssembly of the safety net is easy.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28827A KR20080055454A (en) | 2006-12-15 | 2006-12-15 | Air conditio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28827A KR20080055454A (en) | 2006-12-15 | 2006-12-15 | Air condition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55454A true KR20080055454A (en) | 2008-06-19 |
Family
ID=39802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28827A KR20080055454A (en) | 2006-12-15 | 2006-12-15 | Air conditio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55454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212609A1 (en) * | 2017-05-18 | 2018-11-2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ir conditioner |
WO2019022333A1 (en) * | 2017-07-28 | 2019-01-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WO2019078565A1 (en) * | 2017-10-16 | 2019-04-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EP3610201A4 (en) * | 2017-05-18 | 2020-04-0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IR CONDITIONER |
-
2006
- 2006-12-15 KR KR1020060128827A patent/KR20080055454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212609A1 (en) * | 2017-05-18 | 2018-11-2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ir conditioner |
EP3610201A4 (en) * | 2017-05-18 | 2020-04-0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IR CONDITIONER |
US10823433B2 (en) | 2017-05-18 | 2020-11-0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ir conditioner |
WO2019022333A1 (en) * | 2017-07-28 | 2019-01-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WO2019078565A1 (en) * | 2017-10-16 | 2019-04-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CN111630323A (en) * | 2017-10-16 | 2020-09-04 | 三星电子株式会社 | Air conditioner |
US11448419B2 (en) | 2017-10-16 | 2022-09-2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ir condition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90017289A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1392315B1 (en) |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 |
KR100727461B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20080055454A (en) | Air conditioner | |
KR20050014293A (en) | An indoor unit of spilt air-conditioner | |
KR20080055457A (en) | Air conditioner | |
KR101362307B1 (en) | Air conditioner | |
KR20090010451A (en) | Air conditioner | |
KR100758951B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20080096957A (en) | Air conditioner | |
KR20060128765A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EP1950503A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with air inlet via movable front panel and air outlet via bottom/top towards rearside | |
KR20080055464A (en) | Air conditioner | |
KR20080055459A (en) | Air conditioner | |
KR101270610B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 |
KR100873649B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0811140B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1404694B1 (en) |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 |
KR20080055456A (en) | Air conditioner | |
KR100732040B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20080055452A (en) | Air conditioner | |
KR20080056509A (en) | Air conditioner | |
KR20070078250A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1396407B1 (en) | Air conditioner | |
KR101086612B1 (en) | Ventilation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1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