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1534A - 차량 후드 스테이 로드의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 후드 스테이 로드의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51534A KR20080051534A KR1020060122849A KR20060122849A KR20080051534A KR 20080051534 A KR20080051534 A KR 20080051534A KR 1020060122849 A KR1020060122849 A KR 1020060122849A KR 20060122849 A KR20060122849 A KR 20060122849A KR 20080051534 A KR20080051534 A KR 2008005153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d
- link
- fixing pin
- hood
- hin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1/38—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means for lifting bonn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후드 스테이 로드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후드 후방에 설치되는 힌지 측에 별도의 로드 링크를 설치함에 따라 스테이 로드 기능을 대체하여 수행할 수 있는 차량 후드 스테이 로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계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하는 토션 스프링(12)과 제 1 고정핀(11)을 구비하는 전단부로부터 하방으로 굴곡되어 형성되는 힌지 암(13); 하단부에 제 2 고정핀(14)을 구비하며, 상기 힌지 암(13)의 제 1 고정핀(11)에 의해 수직으로 상단부가 연결되는 제 1 로드 링크(15); 하단부에 제 3 고정핀(16)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로드 링크(15)의 회전력에 의해 교차될 수 있도록 제 2 고정핀(14)에 의해 하단부가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 2 로드 링크(17); 및 상기 제 2 로드 링크(17)의 하단부가 제 3 고정핀(16)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힌지 암(13)의 후단부가 힌지핀(18)에 의해 연결되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힌지 브라켓트(19);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 후드 스테이 로드의 구조를 제시한다.
후드, 스테이 로드, 로드 링크, 힌지 암, 스토퍼
Description
도 1은 종래 차량의 후드를 지지하는 스테이 로드의 구조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후드 스테이 로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차량 후드가 닫힌 상태에서의 스테이 로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후드 스테이 로드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제 1 고정핀 12: 토션 스프링
13: 힌지 암 14: 제 2 고정핀
15: 제 1 로드 링크 16: 제 3 고정핀
17: 제 2 로드 링크 18: 힌지핀
19: 힌지 브라켓트 20: 케이블 고정핀
21: 케이블 롤러 22: 케이블
본 발명은 차량 후드 스테이 로드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후드 후방에 설치되는 힌지 측에 별도의 로드 링크를 설치함에 따라 스테이 로드 기능을 대체하여 수행할 수 있는 차량 후드 스테이 로드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는 차량의 점검 또는 차량의 사고시 전방으로 설치되는 후드(hood)를 열고 스테이 로드를 후드에 고정한 후 엔진룸을 점검하거나 파손된 부품을 교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차량의 후드를 열고 운전자(또는 작업자)가 엔진룸에 대한 점검 및 부품 교환을 시행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후드를 지지하는 스테이 로드는 강한 지지력을 갖으며 스테이 로드 자체는 탄성 변형력이 없어야만 차량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후드를 장기간 지지하여도 변형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차량의 후드를 지지하는 스테이 로드의 구조를 살펴보면, 차량은 길이방향의 전방에 엔진 룸(12)을 설치하고 상기 엔진 룸에는 후드(12)를 개폐할 수 있는 타입으로 설치한다.
후드(14)를 여는 경우 라디에이션 서포트 패널(18)의 상부에 설치된 스테이 로드(16)로 지지하며, 이때 후드(14)에는 결합 홈(20)이 형성되어 있어 스테이 로드(16)를 이용하여 후드(14)를 지지하게 된다.
또한, 후드(14)가 닫혀있는 경우 라디에이션 서포트 패널(18)에는 스테이 로드(16)를 고정시키는 고정구(22)와 스테이 로드(16)를 결합하는 고정 클립(24)을 형성하고 있는 관계로 차량(10)의 주행 중 또는 정차 중에는 스테이 로드(16)를 고정 클립(24)에 움직임이 없도록 결합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테이 로드는 차량 후드를 오픈 상태에서 일정한 오픈 각도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어 왔다. 특히 홀더 볼트를 이용하거나 클립 등을 이용하여 후드 스테이 로드를 고정시켰으나, 이는 일정한 운동 괘적을 갖는 특성으로 인해 후드 스테이 로드의 이송 각도가 제한적으로 설정되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후드 힌지 측에 별도의 로드 링크를 통해 스테이 로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링크와 연계되는 릴리즈 핸들을 설치함으로써 스테이 로드의 이송 각도에 제한을 받지 않으며, 릴리즈 핸들의 간단한 조작으로 스테이 로드를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차량 후드 스테이 로드의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시계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하는 토션 스프링(12)과 제 1 고정핀(11)을 구 비하는 전단부로부터 하방으로 굴곡되어 형성되는 힌지 암(13); 하단부에 제 2 고정핀(14)을 구비하며, 상기 힌지 암(13)의 제 1 고정핀(11)에 의해 수직으로 상단부가 연결되는 제 1 로드 링크(15); 하단부에 제 3 고정핀(16)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로드 링크(15)의 회전력에 의해 교차될 수 있도록 제 2 고정핀(14)에 의해 하단부가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 2 로드 링크(17); 및 상기 제 2 로드 링크(17)의 하단부가 제 3 고정핀(16)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힌지 암(13)의 후단부가 힌지핀(18)에 의해 연결되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힌지 브라켓트(19);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 후드 스테이 로드의 구조를 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구성 및 그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은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후드 스테이 로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차량 후드가 닫힌 상태에서의 스테이 로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후드 스테이 로드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암(13)에는 시계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하는 토션 스프링(12)과 제 1 고정핀(11)이 구비되어 전단부로부터 하방으로 굴곡 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1 로드 링크(15)의 하단부에는 제 2 고정핀(14)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 암(13)의 제 1 고정핀(11)에 의해 수직으로 상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2 로드 링크(17)의 하단부에는 제 3 고정핀(16)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로드 링크(15)의 회전력에 의해 교차될 수 있도록 제 2 고정핀(14)에 의해 하단부가 수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 1 링크 로드(15)의 일 측면에 형성된 케이블 고정핀(20)과 대응되는 힌지 암(13) 일측 면의 케이블 롤러(21) 간에는 케이블(22)이 연결되어 힌지 암(13)의 케이블(22)이 당김에 따라 제 1 링크 로드(15)와 제 2 링크 로드(17)가 교차되어 접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링크 로드(15) 하단의 후면에는 로드 링크 스토퍼(23)가 형성되어 후방으로 일정 각도 이상으로 넘어가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상기 힌지 브라켓트(19)에는 제 2 로드 링크(17)의 하단부가 제 3 고정핀(16)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힌지 암(13)의 후단부가 힌지핀(18)에 의해 연결되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에서는 힌지 암(13)과 힌지 브라켓트(19)의 전단부 길이를 동일하게 하거나 유사하게 설치하고, 각 전단부에 제 1,2,3 고정 핀(11)(14)(16)을 설치할 홀(hole)이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힌지 암(13)과 힌지 브라켓트(19)의 후드 오픈 상태에서 총 길이보다 조금 더 긴 길이의 제 1,2 로드 링크(15)(17)를 설치하여 서로 교차가 되도록 하며, 제 2 고정핀(14)과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힌지 암(13)의 전단부에 제 1 로드 링크(15)를 고정하는 제 1 고정핀(11)과 함께 토션 스프링(12)이 설치되는데, 토션 스프링(12)은 도 2에서와 같은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설치한다.
상기 제 1 로드 링크(15) 및 제 2 로드 링크(17)는 중간지점에서 교차가 되며, 제 2 고정핀(14)이 설치된 지점의 양측 제 1 및 제 2 로드 링크(15)(17)에는 로드링크 스토퍼(23)가 설치되어 기능을 할 수 있는 각도 이상으로 링크가 넘어가지 않도록 설치된다. 이는 토션 스프링(12) 또는 후드 지지 상태를 고정하기 위함이다.
또한, 차량 후드의 오픈 상태를 지지한 후 차량 후드를 닫을 시 제 1 로드 링크(15)에 설치가 되어 있는 케이블(22)을 당기게 되면, 도 3과 같이 제 1 로드 링크(15)가 후드의 힌지 핀(18) 방향으로 회전이 되면서 제 1 로드 링크(15) 및 제 2 로드 링크(17)의 직선보다 예각이 되면서 후드의 자중에 의해서 후드가 닫히게 된다.
상기 힌지 브라켓트(19)의 전방에 설치된 제 2 로드 링크(17)는 제 3 고정핀(16)으로 고정이 되고, 제 1 로드 링크(15)와 교차 설치가 되는데 제 2 로드 링크(17)는 제 1 로드 링크(15)의 링크 회전력으로 구동된다.
그리고, 제 1 로드 링크(15)는 제 1 고정핀(11)에 설치된 토션 스프링(12)에 의해 상시 후드 전방으로 회전하는 힘이 있어 후드 오픈시 제 1 로드 링크(15) 및 제 2 로드 링크(17)가 직선까지는 힌지 핀(18)의 회전과 같이 움직이고 사점 이후는 토션 스프링(12)의 힘에 의해서 회전이 되어 링크로드 스토퍼(23)의 지점까지 회전하게 된다.
또한, 케이블(22)은 제 1 로드 링크(15)의 중간지점에 있는 케이블 고정핀(20)의 중공부에 설치되고 케이블 롤러(21)를 지나 힌지 암(13) 측의 중공부 후드 판넬의 중공부를 지나 후드 판넬 전단부에 설치되는 릴리즈 핸들(도시 안됨)까지 설치되어 제 1 로드 링크(15)가 작동하게 된다.
도 3을 살펴보면, 차량 후드가 닫혔을 때 힌지 암(13)과 제 1,2 로드 링크(15)(17)의 상태도로서 힌지 브라켓트(19)은 차체에 고정이 되어 있어 위치 변동이 없으나, 힌지 암(13)은 후드의 회전 방향으로 이동되어 지면서 제 1,2 로드 링크(15)(17)가 회전되어 접혀진 상태로 되어 서로 간섭이 받지 않게 된다.
한편, 도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은 후드 힌지 측에 별도의 로드 링크를 통해 스테이 로드 역할을 할 수 있는 구조로써 로드 링크 (A) 부분과 연결된 케이블(22)이 (B)부분까지 연결되어 지며, (B)부분에는 릴리즈 핸들이 설치됨으로써 최종 단계의 스테이 로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힌지측 전단에 설치된 로드 링크는 힌지 암(13)과 연결되어지는 부분에 토오션 스프링(12)이 설치되어 차량의 전방방향으로 상시 힘이 가해지도록 설치되며, 차량 후드의 오픈시 제 1 및 제 2 로드 링크(15)(17)가 직선보다 조금더 기울어지게 된다. 이때, 로드링크 스토퍼(23)가 지지 각이 유지되어 후드의 오픈 상태를 유지되도록 한다.
만약, 차량 후드가 닫혀질 때에는 후드 전단에 케이블(22)로 연결 설치된 릴리즈 핸들의 작동으로 토션 스프링(12)의 힘을 와해시켜 링크를 후방 이동시키며, 그 후 후드의 자중에 의해서 제 1,2 로드 링크(15)(17)가 접혀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기술적 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후드 스테이 로드의 인위적인 작동으로 후드 오픈 상태를 유지하였다가 후드를 닫을시 다시 인위적으로 작동을 하여 차체에 견고히 고정 후 차량 후드가 자유로 낙하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후드 스테이 로드를 인위적으로 작동하지 않고 후드 오픈시 힌지 암의 회전과 동시에 두 로드 링크가 작동이 되어 스토퍼에 의해 고정되며, 후드를 닫을시 스테이 로드를 직접 손으로 작동하지 않고 릴리즈 핸들의 간단한 조작으로 스테이 로드를 작동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Claims (3)
- 시계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하는 토션 스프링(12)과 제 1 고정핀(11)을 구비하는 전단부로부터 하방으로 굴곡되어 형성되는 힌지 암(13);하단부에 제 2 고정핀(14)을 구비하며, 상기 힌지 암(13)의 제 1 고정핀(11)에 의해 수직으로 상단부가 연결되는 제 1 로드 링크(15);하단부에 제 3 고정핀(16)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로드 링크(15)의 회전력에 의해 교차될 수 있도록 제 2 고정핀(14)에 의해 하단부가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 2 로드 링크(17); 및상기 제 2 로드 링크(17)의 하단부가 제 3 고정핀(16)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힌지 암(13)의 후단부가 힌지핀(18)에 의해 연결되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힌지 브라켓트(19);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 후드 스테이 로드의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 로드(15)의 일 측면에 형성된 케이블 고정핀(20)과 대응되는 힌지 암(13) 일측 면의 케이블 롤러(21) 간에는 케이블(22)이 연결되어 힌지 암(13)의 케이블(22)이 당김에 따라 제 1 링크 로드(15)와 제 2 링크 로드(17)가 교차되어 접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후드 스테이 로드의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 로드(15) 하단의 후면에는 로드링크 스토퍼(23)가 형성되어 후방으로 일정 각도 이상으로 넘어가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후드 스테이 로드의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22849A KR20080051534A (ko) | 2006-12-06 | 2006-12-06 | 차량 후드 스테이 로드의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22849A KR20080051534A (ko) | 2006-12-06 | 2006-12-06 | 차량 후드 스테이 로드의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51534A true KR20080051534A (ko) | 2008-06-11 |
Family
ID=39806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22849A Withdrawn KR20080051534A (ko) | 2006-12-06 | 2006-12-06 | 차량 후드 스테이 로드의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51534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3919B1 (ko) * | 2012-12-12 | 2014-05-1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후드 힌지 일체형 후드 스테이 |
KR20160042696A (ko) * | 2014-10-10 | 2016-04-20 | 평화정공 주식회사 | 차량용 후드힌지 장치 |
-
2006
- 2006-12-06 KR KR1020060122849A patent/KR20080051534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3919B1 (ko) * | 2012-12-12 | 2014-05-1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후드 힌지 일체형 후드 스테이 |
KR20160042696A (ko) * | 2014-10-10 | 2016-04-20 | 평화정공 주식회사 | 차량용 후드힌지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99155B1 (ko) | 차량용 엔진후드 힌지기구 | |
JP3631780B2 (ja) | 車輛のボンネット | |
JP5265011B2 (ja) | フラップまたはドアを移動させる機構を有する自動車 | |
US8651556B2 (en) | Vehicle door check link mechanism | |
JP3372533B2 (ja) | トラック等のウイング開閉装置 | |
US20120144646A1 (en) | Method for the installation of an apparatus for spring-assisted swinging of a liftgate or door in a vehicle | |
EP2030821A1 (fr) | Ouvrant pour véhicule automobile. | |
WO2006127625A3 (en) | Integrated torsion bar liftgate | |
KR20080051534A (ko) | 차량 후드 스테이 로드의 구조 | |
RU2428323C2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ксации откидной крыши и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оснащенное соответствующей системой | |
JP2007267467A (ja) | 配電盤の扉ストッパー構造 | |
KR102087100B1 (ko) | 사이드 선바이저 | |
KR101416463B1 (ko) | 트렁크 리드의 토션바 토크 조절장치 | |
CA1058361A (en) | Linkage assembly for a window | |
KR100380370B1 (ko) | 자동차 엔진후드의 다단계 개방구조 | |
JP5314564B2 (ja) | 車両用幌装置 | |
US9561710B2 (en) | Articulation device between arms of a rod assembly of a folding roof | |
KR100820107B1 (ko) | 체크링크 결합구조 | |
JP6992566B2 (ja) | 乗物用テーブル | |
KR100844718B1 (ko) | 자동차용 후드힌지장치 | |
JP3940611B2 (ja) | ウイング式屋根の開閉補助装置 | |
GB2341420A (en) | Over-centre hinge | |
KR0130615Y1 (ko) | 버스에 장착된 사이드 도어의 개폐구조 | |
EP2072302A1 (en) | Vehicle back door arrangement | |
JP2008247253A (ja) | 車両バックドアの開閉機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0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