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1278A - Sound motion inverter and toy having same - Google Patents
Sound motion inverter and toy having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51278A KR20080051278A KR1020060122058A KR20060122058A KR20080051278A KR 20080051278 A KR20080051278 A KR 20080051278A KR 1020060122058 A KR1020060122058 A KR 1020060122058A KR 20060122058 A KR20060122058 A KR 20060122058A KR 20080051278 A KR20080051278 A KR 2008005127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und
- motion
- voice signal
- amplifier
- microphon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2—Electric driv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03—Doll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function not connected with doll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리를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소리 운동 변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리의 발생과 운동의 구현 사이의 시간적 간격을 최소화하여 소리와 동작의 일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소리 운동 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완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motion converting apparatus for converting sounds into motion, and in particular, a sound motion converting apparatus for minimizing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generation of sound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motion so as to feel a sense of unity of motion and motion, and having the same. It's about toys.
본 발명에 따른 소리 운동 변환장치는 소리를 감지하는 마이크, 상기 마이크로부터 감지된 음성신호에서 특정 대역의 주파수를 통과시키는 밴드패스필터, 상기 밴드패스필터를 통과한 음성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된 음성신호를 전자기력으로 변환시켜 동작을 구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ound motion conver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icrophone for detecting the sound, a band pass filter for passing a frequency of a specific band in the voice signal detected from the microphone, 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voice signal passed through the band pass filter, the amplifi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riving means for converting the voice signal amplified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to implement the operation.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소리 운동 변환장치의 일 실시예에 도시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sound motion conver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리 운동 변화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ound motion chan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리 운동 변환장치를 구비하는 완구가 도시된 구성도이다.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toy having a sound motion conver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마이크 20 : 밴드패스필터10: microphone 20: bandpass filter
30 : 증폭기 50 : 구동장치30: amplifier 50: drive device
52 : 케이스 54 : 자성체52: case 54: magnetic material
56 : 코일 58 : 탄성부재56
60 : 링크 62 : 지렛대60: Link 62: Crowbar
본 발명은 소리를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소리 운동 변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리의 발생과 운동의 구현 사이의 시간적 간격을 최소화하여 소리와 동작의 일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소리 운동 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완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motion converting apparatus for converting sounds into motion, and in particular, a sound motion converting apparatus for minimizing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generation of sound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motion so as to feel a sense of unity of motion and motion, and having the same. It's about toy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소리 운동 변환장치의 일 실시예에 도시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sound motion conver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변환장치는 마이크(1)와, 상기 마이크(1)를 통해 입력되는 소리를 증폭하는 증폭기회로(2)와, 상기 증폭기회로(2)를 통해 입력되는 소리의 주파수를 검출하는 판정회로(3)와, 완구의 동작을 수동 조작하는 스위치(5)와, 증폭회로와 스피커(미도시) 등으로 이루어져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소리출력부(6)와,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모터(미도시)를 구동하는 구동부(7)와; 다수개의 LED로 이루어져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부(8)와, 상기 증폭기회로(2)와, 판정회로(3)와, 스위치(5)와, 소리출력부(6)와, 구동부(7)와 발광부(8)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마이크(1)를 통해 기 설정된 주파수의 신호가 입력되었을 시 상기 소리출력부(6)와, 구동부(7)와 발광부(8)의 동작을 제어하여, 멜로디를 출력시키고, 규정된 움직임을 하며, LED를 발광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로 구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convert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 microphone 1, an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완구는, 마이크(1)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지속적으로 검출하다가 일정 주파수(예: 휘파람소리, 박수소리 등)의 소리가 입력되면 멜로 디를 출력하고, 움직이며, 발광을 하게 된다.The conventional toy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ontinuously detects a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1 and outputs a melody when a sound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for example, a whistle, claps, etc.) is input, moves, and emits light. do.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변환장치는 감지되는 소리를 운동으로 변환함에 있어서, 모터와 같은 구동장치가 사용되기 때문에 모터 구동에 의해 운동이 이루어지기 까지 소정의 시간이 소요되므로 소리 발생과 동작의 발생 사이에 시간적 차이가 발생되어 제품의 완성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r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converts the detected sound into motion, since a driving device such as a motor is used, it takes a predetermined time until the motion is performed by driving the motor, so that the sound is generated between the sound and the mo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ime difference occurs and the completeness of the product falls.
예를 들어 드럼 소리에 맞춰 드럼을 치는 동작이 구현되는 완구에 적용될 때에 소리는 이미 발생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동작이 구현되므로 실제로 드럼을 치는 것과 같은 효과는 나타나지 않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drum-beating drum is applied to a toy having a drum sound, the sound is already generated and the motion is implement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소리의 발생과 동작의 구현 사이의 시간 간격을 최소화하여 동작 구현에 의해 발생되는 소리로 인지될 수 있도록 하는 소리 운동 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완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 sound motion conversion apparatus for minimizing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generation of the sound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motion so that it can be recognized as the sound generated by the motion implementation and the same The object is to provide a toy provided.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소리 운동 변환장치는 소리를 감지하는 마이크, 상기 마이크로부터 감지된 음성신호에서 특정 대역의 주파수를 통과시키는 밴드패스필터, 상기 밴드패스필터를 통과한 음성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된 음성신호를 전자기력으로 변환시켜 동작을 구현시키 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ound motion conver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microphone for detecting the sound, a band pass filter for passing a frequency of a specific band in the voice signal detected from the microphone, the voice signal passed through the band pass filter 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riving means for converting the voice signal amplified by the amplifier into an electromagnetic force to implement the opera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소리 운동 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완구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of a sound motion converter and a toy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설명의 편의를 위해 소리 운동 변환장치를 구비하는 완구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toy having a sound motion converte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onvention of a user or an operator.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리 운동 변화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리 운동 변환장치를 구비하는 완구가 도시된 구성도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ound motion chan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toy having a sound motion conve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리 운동 변환장치는 소리를 감지하는 마이크(10)와, 마이크(10)로부터 감지된 음성신호에서 특정 대역의 주파수를 통과시키는 밴드패스필터(Band Pass Filter : 20)와, 밴드패스필터(20)를 통과한 음성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기(30)와, 증폭기(30)에서 증폭된 음성신호를 전자기력으로 변환시켜 동작을 구현시키는 구동수단(50)을 포함한다.2 and 3, the sound motion conver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이로써, 소리가 발생되면 마이크(10)에서 이를 감지하여 음성신호를 생성하 고, 마이크(10)에 의해 생성되는 음성신호는 밴드패스필터(20)를 통과하면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만이 밴드패스필터(20)를 통과하게 된다.As a result, when a sound is generated, the
이렇게 걸러진 특정 주파수 대역의 음성신호는 증폭기(30)는 지나면서 음성 신호의 진폭이 증가되도록 함으로써, 구동수단(50)에서 전자기력으로의 전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The filtered voice signal of the specific frequency band is passed through the
여기서, 구동수단(50)은 케이스(52)와, 케이스(52)에 설치되고 증폭기(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코일(56)과, 케이스(52)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자성체(54)와, 자성체(54)와 케이스(52)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58)를 포함한다.Here, the driving means 50 is a
상기한 구성에 의해 코일(56)에 음성 신호가 전달되면 코일(56)을 따라 케이스(52)의 둘레면을 따라 전기적 신호가 순환하게 되는데, 이러한 전기적 신호의 유동에 의해 케이스(52) 주변에 자기장이 발생된다.When the voic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이러한 자기장은 케이스(52) 내부에 설치되는 자성체(54)와 간섭되어 자성체(54)의 유동을 발생시키게 된다.This magnetic field interferes with the
이렇게 케이스(52) 주변에 자기장이 형성되면 자성체(54)와의 간섭에 의해 자성체(54)가 일측 방향으로 유동되는데, 자성체(54)의 운동 방향은 코일(56)이 감긴 방향에 따라 결정된다.When the magnetic field is formed around the
아울러, 소리의 발생이 중지되어 코일(56)로의 신호 공급이 중단되면 케이스(52)에 형성되었던 자기장이 해제되고, 탄성부재(58)의 복원력에 의해 자성체(54)가 다시 케이스(52) 내부로 삽입된다.In addition, when the generation of the sound is stopped and the signal supply to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소리 운동 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완구의 일 실시예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sound motion conve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an embodiment of the toy having the same as follows.
먼저, 음악과 같은 소리가 발생되면 마이크(10)에서 이를 감지하여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마이크(10)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가 밴드패스필터(20)를 지나면서 특정 대역의 주파수만이 통과되고, 기타 대역의 주파수는 걸러지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대역의 주파수를 얻을 수 있게 된다.First, when a sound such as music is generated, the
예를 들어 다수 개의 악기가 동시에 연주되는 음악이 발생될 때에 이 음악 중에 드럼이 차지하는 특정 대역의 주파수만을 밴드패스필터(20)에 의해 추출해낼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when music in which a plurality of musical instruments are played simultaneously is generated, only the frequencies of a specific band occupied by the drum can be extracted by the
이렇게 추출되는 음성신호는 증폭기(30)를 통과하면서 주파수의 진폭이 증가되므로 코일(56)을 통과할 때에 보다 많은 양의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Since the extracted voice signal increases in amplitude while passing through the
이렇게 코일(56)을 통과하는 음성신호에 의해 케이스(52) 주변에 자기장이 형성되므로 코일(56)이 감긴 케이스(52)는 전자석의 특성과 같이 전극이 형성되고, 케이스(52)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자성체(54)와 자기적으로 간섭되어 자성체(54)가 일측 방향으로 유동되게 된다.As a magnetic field is formed around the
이후에 소리의 발생이 중단되면 코일(56)로 전달되는 음성신호가 중단되므로 케이스(52) 주변에 생성되었던 자기장이 소멸되면서 자성체(54)의 유동 또한 정지되며, 자성체(54)는 탄성부재(58)의 복원력에 의해 케이스(52) 내부로 삽입된다.After the generation of the sound is stopped, the voice signal transmitted to the
아울러, 소리의 발생이 규칙적으로 일어나면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이 지속적으로 반복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완구에 적용하면 드럼을 연속적으로 치는 작동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generation of the sound occurs regularly, th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is continuously repeated, and when applied to the toy as shown in Figure 3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operation to continuously beat the drum.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구동수단(50)은 모터나 펌프 등과 같은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 전기력 및 자기력에 의해서만 운동의 변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음성신호의 전달에 걸리는 시간 외에는 동력 전달에 소요되는 시간이 없으므로 소리의 발생과 동작의 구현이 거의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driving means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the motion only by electric and magnetic forces without a separate driving device such as a motor or a pump, there is no time required for power transmission except for the time required to transmit a voice signal. The generation of sound and the realization of the motion are almost simultaneously.
이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을 치는 인형에 본 발명의 소리 운동 변환장치가 적용되면 실내에 발생되는 음악소리 중에서 드럼 소리에 해당하는 대역의 주파수만이 추출되므로 드럼 소리에 해당하는 음성신호가 발생될 때마다 구동장치에 의해 인형이 드럼을 두들기는 동작이 구현된다.As a result, when the sound motion conver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doll hitting the drum as shown in FIG. 3, only the frequency of the band corresponding to the drum sound is extracted from the music sound generated indoors. Every time is generated an operation of tapping the drum by the doll is implemented.
이때, 음성신호의 발생과 동작의 구현 사이에 시간적 차이가 거의 발생되지 않으므로 마치 인형이 드럼을 두들겨서 소리가 발생되는 것 같이 인지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tion of the voice signal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operation is hardly generated, it can be perceived as if a doll is generated by hitting a drum.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또한, 소리 운동 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완구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완구에 사용되는 소리 운동 변환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소리 운동 변환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sound motion converter and the toy having the same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this is merely exemplary, the sound motion conver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other products than the sound motion converter used in the toy.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소리 운동 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완구는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 음성신호의 유동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 내부에 자성체가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음성신호의 공급과 동시에 전자기력이 발생되고, 이러한 전자기력에 의해 자성체의 신속한 유동이 유발되어 소리의 발생과 거의 동시에 동작의 구현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볼 때에 동작의 구현에 의해 소리가 발생되는 거처럼 보일 수 있어 제품의 완성도가 향상되고, 이에 따른 사용자의 만족도 또한 상승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sound motion conversion device and the toy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rranged so that the magnetic material is disposed inside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flow of the voice signal without a separate driving device, thereby generating an electromagnetic force simultaneously with the supply of the voice signal. The magnetic force is induced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and the movement is realized at the same time as the generation of the sound.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sound is generated by the implementation of the motion when the user sees it.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s satisfaction can also be increased.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22058A KR20080051278A (en) | 2006-12-05 | 2006-12-05 | Sound motion inverter and toy hav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22058A KR20080051278A (en) | 2006-12-05 | 2006-12-05 | Sound motion inverter and toy having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51278A true KR20080051278A (en) | 2008-06-11 |
Family
ID=39806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22058A Ceased KR20080051278A (en) | 2006-12-05 | 2006-12-05 | Sound motion inverter and toy having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51278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9947B1 (en) * | 2013-05-31 | 2014-06-27 | 주식회사 하이소닉 | Toy for portable device |
WO2014106993A1 (en) * | 2013-01-04 | 2014-07-10 | (주)하이소닉 | Toy for portable terminal |
US8958411B2 (en) | 2008-03-17 | 2015-02-17 | Lg Electronics Inc. | Method of transmitting RLC data |
-
2006
- 2006-12-05 KR KR1020060122058A patent/KR20080051278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958411B2 (en) | 2008-03-17 | 2015-02-17 | Lg Electronics Inc. | Method of transmitting RLC data |
WO2014106993A1 (en) * | 2013-01-04 | 2014-07-10 | (주)하이소닉 | Toy for portable terminal |
KR101399947B1 (en) * | 2013-05-31 | 2014-06-27 | 주식회사 하이소닉 | Toy for portable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55227B2 (en) | Vibration generator | |
CA2430229A1 (en) | Massaging apparatus | |
KR20080051278A (en) | Sound motion inverter and toy having same | |
US6236339B1 (en) | Key, input unit using such key, and control system comprising such input unit and electronic apparatus acoustically connected to such input unit | |
JP4033578B2 (en) | Sound generator driving circuit and operating sound generator | |
JP5745628B2 (en) | Fluid transfer device | |
CN105812998B (en) | A kind of balanced armature loud speaker | |
WO2001060530A8 (en) | Apparatus having an electroacoustic transducer forming a sound reproducing means and a part of vibration generating means | |
US12080155B2 (en) | Haptic providing device and method for converting sound signal to haptic signal | |
US2791972A (en) | Vibrator excited loud speaker for toys | |
JP2008276429A (en) | Push button structure in electronic equipment | |
KR100646041B1 (en) | Speaker that realizes field sound | |
ATE476690T1 (en) | WATERPROOF PORTABLE DEVICE INCLUDING A SOUND GENERATOR | |
JP2015176059A (en) | Percussion instrument | |
KR101438481B1 (en) | Drum toy for portable device | |
JP3144836U (en) | Pressure-regulating capsule structure | |
KR20200102784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actile sense converting sound signal into tactile signal | |
SU1758668A1 (en) | Vocal slat for reed electric musical instrument | |
SU1703157A1 (en) | Dancing toy | |
US2905102A (en) | Current rectified signalling system | |
US717407A (en) | Ear-massage apparatus. | |
US1081635A (en) | Electrical means for producing sound. | |
CN208707877U (en) | A kind of earphone | |
KR20060090126A (en) | Structure of speaker system | |
TW202023289A (en) | Speaker device enables consumer to synchronously feel light change having different brightness variation corresponding to sound effect while enjoying sound at the same ti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0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3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811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03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0710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