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7268A - Tray for optical junction box - Google Patents
Tray for optical junction box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47268A KR20080047268A KR1020070113426A KR20070113426A KR20080047268A KR 20080047268 A KR20080047268 A KR 20080047268A KR 1020070113426 A KR1020070113426 A KR 1020070113426A KR 20070113426 A KR20070113426 A KR 20070113426A KR 20080047268 A KR20080047268 A KR 200800472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y
- optical
- optical fibers
- tray body
- cov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87—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 G02B6/3888—Protection from over-extension or over-compression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광섬유들이 트레이몸체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트레이커버를 체결하여도 광섬유들이 인입구의 단부와 트레이커버의 단부에 물려서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며, 서로 접속될 두 광섬유들이 트레이몸체의 하나의 인입구로 인입되어도 서로 마주하도록 위치시켜서 접속시키는 작업이 용이하며, 광섬유들을 접속시키는 어뎁터를 트레이몸체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서로 연결될 두 광케이블 각각의 광섬유들을 접속시킬시 광섬유들을 트레이몸체 내부에서 접속하여 여장 및 고정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해지는 광접속함체용 트레이를 제공한다.Even when the tray cover is fastened while the optical fibers are inserted into the tray body, the optical fibers ar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being bitten at the end of the inlet and the end of the tray cover, and even if two optical fiber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re introduced into one inlet of the tray body, It is easy to connect and connect the optical fibers, and the adapter for connecting the optical fibers can be stably fixed in the tray body. Therefore, when the optical fibers of each of the two optical cable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re connected, the optical fibers are connected inside the tray body. And it provides a tray for an optical junction box that is very easy to fix.
본 발명 광접속함체용 트레이는, 양측의 두 인입구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될 두 광섬유가 동시에 인입될시 어느 하나의 광섬유를 다른 하나의 광섬유와 마주하여 접속되는 위치로의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내측의 두 여장부 사이에 방향전환수단을 가지는 트레이몸체와; 상기 트레이몸체의 중앙부에 구비되며 접속될 두 광섬유를 접속시키는 어뎁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슬롯이 형성된 바닥면에 상기 어뎁터의 좌우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을 가지는 어뎁터고정부재와; 상기 트레이몸체의 내부를 덮도록 체결되며 양측에 상기 인입구의 일부를 덮도록 양측의 단부에 더 연장된 날개부를 가지는 트레이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tray for the optical splice en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ner side such that when two optical fibers to be connected to either of the two inlets on both sides are simultaneously introduced, one of the optical fibers can be switched in a direction to a position to be connected to face the other optical fiber. A tray body having a turning means between two female parts of the body; An adapter fixing member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tray body and having a separation preventing jaw to prevent left and right separation of the adapter on a bottom surface of which a plurality of slots are inserted and fixed to connect two optical fibers to be connected; It is fastened to cover the inside of the tray body is configured to include a tray cover having wings on both sides further extended to the ends of both sides to cover a portion of the inlet.
Description
본 발명은 광접속함체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접속함체 내에서 광케이블의 연결시 두 광케이블의 광섬유들을 안정적으로 트레이내에 접속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광접속함체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y for an optical splice enclos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ptical splice tray for stably connecting and fixing optical fibers of two optical cables in a tray when the optical cables are connected in the optical splice enclosure.
도 8은 일반적인 광케이블의 시공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통신회사(3)로부터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사용자까지 연결되는 광케이블(2)(6)은, 지하를 통해 해당지역의 지하 광접속함체(1)로 연결되고, 상기 광접속함체(1)로부터 해당지역의 인접한 전신주(4)에 구비된 지상 광접속함체(1)로 연결하며, 상기 지상 접속함체(1)에서 각 가정이나 사무실로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시공되는 광케이블(2)(6)은, 최근 들어 대용량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 직경이 점점 가늘어지는 추세에 있으며, 다양한 직경을 갖는 광케이블(2)이 사용된다.8 is for explaining the construction of a typical optical cable, the optical cable (2) (6) connected from the telecommunications company (3) to the user, such as home or office, the underground optical connection enclosure (1) of the local area through the basement And connect to the terrestrial optical junction box (1) provided in the adjacent telegraph pole (4) of the region, and to the home connection or office from the ground junction box (1) It is. The
최근에 사용되는 광케이블(2)(6)은 옥외용 광케이블(2)과 옥내용 광케이블(6)로 대분된다. 옥외용 광케이블(2)은 도 9와 같이 중앙에 직경이 대략 250㎛~900㎛ 정도인 광섬유(2a)가 구비되고, 이 광섬유(2a)의 바깥둘레에 외피(2b)를 덮어 보호하도록 되어 있으며, 외피(2b)와 광섬유(2b) 사이에 케블라(Kevlar)(2c)가 구비되어 외부의 기계적 충격 및 변화에 대하여 광케이블(2)을 보호시킴으로써 광케이블(2)의 시공시 강한 인장력이나 기계적 충격이 작용하여도 광케이블(2)이 쉽게 끊어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Recently used optical cables (2) (6) are largely divided into outdoor optical cables (2) and indoor optical cables (6). The outdoor
옥내용 광케이블(6)은 도 10과 같이 외피(6b)내에 다수의 광섬유(6a)가 구비되고, 중심에는 인장선(6c)이 구비되어 외부의 기계적 충격 및 변화에 대하여 광케이블(6)을 보호시킴으로써 광케이블(6)의 시공시 강한 인장력이나 기계적 충격이 작용하여도 광케이블(6)이 쉽게 끊어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The indoor
이러한 광케이블(2)(6)을 광접속함체(1)의 인입구로 삽입하여 상기 광케이블(2)(6)을 연결시킬시 광접속함체(1)내의 트레이(미도시)에 상기 광케이블(2)(6)의 광섬유(2a)(6a)들을 상호 접속하여 고정하게 된다.When the optical cable (2) (6) is inserted into the inlet of the optical connection enclosure (1) to connect the optical cable (2) (6), the optical cable (2) in the tray (not shown) in the optical connection enclosure (1) The
상기 트레이는 양측에 인입구를 가지는 트레이몸체와, 상기 광섬유(2a)(6a)들을 접속시키는 어뎁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슬롯을 가지는 어뎁터고정부재와, 상기 트레이몸체에 체결되는 트레이커버로 이루어진다.The tray includes a tray body having inlets on both sides, an adapter fixing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slots into which an adapter for connecting the
이러한 트레이에는 트레이몸체의 인입구측으로 서로 연결될 두 광섬유(2a)(6a)들을 인입하여 서로 마주하는 위치로 위치시킨 후 각각의 단부를 어뎁터로 접속시키며, 상기 어뎁터는 상기 어뎁터고정부재의 슬롯에 삽입되어 고정된다.Into this tray, the two optical fibers (2a) and (6a)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the inlet side of the tray body is introduced into positions facing each other, and then each end is connected to the adapter, and the adapter is inserted into a slot of the adapter fixing member. It is fixed.
상술한 종래의 트레이는, 상기 인입구로 광섬유(2a)(6a)들을 인입한 후 트레이몸체에 트레이커버를 체결하면 상기 트레이커버의 양측 단부가 상기 인입구의 단부에 대응되게 체결되며, 이때 상기 광섬유(2a)(6a)들이 상기 인입구의 단부와 상기 트레이커버 양측의 단부 사이에서 물리는 현상이 발생되어 광섬유(2a)(6a)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In the conventional tray described above, when the
그리고, 상기 광섬유(2a)(6a)를 접속시키는 어뎁터를 상기 슬롯에 삽입하여 고정시 상기 어뎁터가 상기 슬롯 내에서 좌우 또는 상측으로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되었다.In addition, when the adapter connecting the
또한, 상기 트레이몸체 양측의 두 인입구들 중 어느 하나에 서로 접속될 광섬유들이 동시에 인입될시 상기 광섬유(2a)(6a)들을 서로 마주하도록 위치시키는 작업이 매우 번거러웠다.In addition, when the optical fibers to be connected to one of the two inlets on both sides of the tray body are drawn at the same time, it is very cumbersome to place the
본 발명은, 양측의 두 인입구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될 두 광섬유가 동시에 인입될시 어느 하나의 광섬유를 다른 하나의 광섬유와 마주하여 접속되는 위치로의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내측의 두 여장부 사이에 방향전환수단을 가지는 트레이몸체와; 상기 트레이몸체의 중앙부에 구비되며 접속될 두 광섬유를 접속시키는 어뎁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슬롯이 형성된 바닥면에 상기 어뎁터의 좌우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을 가지는 어뎁터고정부재와; 상기 트레이몸체의 내부 를 덮도록 체결되며 양측에 상기 인입구의 일부를 덮도록 양측의 단부에 더 연장된 날개부를 가지는 트레이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체용 트레이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wo optical fibers to be connected to either of the two inlets on both sides are simultaneously introduced, it is possible to switch one of the optical fibers between the two inner portions so as to be able to switch in the direction to the connected position facing the other optical fiber. A tray body having a turning means; An adapter fixing member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tray body and having a separation preventing jaw to prevent left and right separation of the adapter on a bottom surface of which a plurality of slots are inserted and fixed to connect two optical fibers to be connected; It is fastened to cover the inside of the tray body and provides a tray for an optical connection enclosure comprising a tray cover having a wing portion further extended at both ends to cover a portion of the inlet on both sides.
또한, 본 발명 광접속함체용 트레이에서 상기 방향전환수단이, 상기 트레이몸체의 내측 두 여장부 사이의 중앙에 위치되며 ㄱ자 형상으로 절곡형성되는 방향전환가이드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in the tray for the optical connection en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direction means is made of a redirection guide which is located at the center between two inner side portions of the tray body and is bent into an L shape.
또한, 본 발명 광접속함체용 트레이에서 상기 이탈방지턱은 상기 어뎁터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높이 및 넓이를 갖도록 계단식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in the tray for the optical connection en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on prevention step is formed stepwise to have different heights and width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adapter.
또한, 본 발명 광접속함체용 트레이에서 상기 트레이덮개는 상기 날개부가 상기 트레이몸체의 양측 인입구의 절반 이상을 덮도록 체결된다.In addition, the tray cover in the tray for the optical connection en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so that the wing portion covers at least half of the inlet on both sides of the tray body.
본 발명에 따른 광접속함체용 트레이에 의하면, 광섬유들이 트레이몸체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트레이커버를 체결하여도 광섬유들이 인입구의 단부와 트레이커버의 단부에 물려서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며, 서로 접속될 두 광섬유들이 트레이몸체의 하나의 인입구로 인입되어도 서로 마주하도록 위치시켜서 접속시키는 작업이 용이하며, 광섬유들을 접속시키는 어뎁터를 트레이몸체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서로 연결될 두 광케이블 각각의 광섬유들을 접속시킬시 광섬유들을 트레이몸체 내부에서 접속하여 여장 및 고정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tray for an optical junction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optical fiber is fastened to the tray cover in the state inserted into the tray body, the optical fibers ar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being bitten at the end of the inlet and the end of the tray cover, Even if the optical fibers are introduced into one inlet of the tray body, it is easy to position and connect them to face each other, and the adapter for connecting the optical fibers can be stably fixed in the tray body. When connecting the optical fiber to the inside of the tray body to connect and fix the work is very easy.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Specific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 광접속함체용 트레이의 구성을 보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로써, 도1 및 도2와 같이 본 발명 광접속함체용 트레이는 트레이몸체(20), 어뎁터고정부재(30), 트레이커버(40)로 대분된다.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ray for the optical splice en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ation of Figure 1, the tray for the optical splice en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and 2
트레이몸체(20)는, 광접속함체(60)의 내부에 설치되어 광접속함체(60) 내부로 삽입된 두 광케이블의 광섬유(71)(71')를 접속시키기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양측에 광섬유(71)(71')가 인입되는 인입구(21)가 형성되며, 상기 인입구(21)과 근접한 내부에는 상기 광섬유(71)(71')를 여장할 수 있는 여장부(22)가 형성되고, 도1 내지 도3과 같이 일측에는 광접속함체(60)의 내부에 힌지연결하여 상하회동되게 구비할 수 있도록 제1힌지부(23)가 형성되며, 상기 제1힌지부(23)의 상측에는 트레이(10)의 적층이가능하도록 제2힌지부(24)가 형성된다.The
특히, 상기 여장부(22)의 사이에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방향전환수단을 가지는바, 상기 방향전환수단은 상기 두 인입구(21)들 중 어느 하나에 서로 접속될 두 광섬유(71)(71')가 동시에 인입될시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와 마주하게 위치시켜서 접속할 수 있도록 상기 두 여장부(22)의 사이의 중앙에 형성되는 방향전환가이드(25)로 구성된다.In particular, between the
상기 방향전환가이드(25)는 광섬유(71)(71')의 방향전환시 상기 광섬유(71)(71')가 상측으로 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The
이러한 트레이몸체(20)의 내부에는 광섬유(71)(71')를 접속시키는 어뎁터(50)를 고정시키기 위한 어뎁터고정부재(30)가 구비되는바, 상기 어뎁터고정부재(30)는 광섬유(71)(71')를 접속시키는 어뎁터(5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슬롯(33)을 가지며, 상기 슬롯(33)은 도 4와 같이 중앙에 위치된 다수의 제1슬롯(31)과, 상기 제1슬롯(31)의 외측에 평행하게 위치된 다수의 제2슬롯(32)들로 이루어진다.The inside of the
여기서, 상기 제1슬롯(31)은 중앙부에 위치되어 제1슬롯(31)에만 삽입되어 고정되는 어뎁터(50)들이 좌우로 이탈되는 현상이 종종 발생되는바, 이를 방지하기위해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제1슬롯(31)의 바닥면에 어뎁터(50)의 좌우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34)이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턱(34)은 상기 제1슬롯(31)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어뎁터(50)의 종류에 따라 각각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높이 및 넓이를 달리하게 계단식의 다단으로 형성된다.Here, the
트레이몸체(20)에 체결되는 트레이커버(40)는, 상기 트레이몸체(20)의 내부를 덮도록 체결되며 양측에는 상기 트레이몸체(20)의 양측 인입구(21)에 대응되어 상기 인입구(21)의 일부를 덮도록 양측 단부에서 더 연장되는 날개부(41)가 형성되며, 상기 날개부(41)는 트레이커버(40)를 트레이몸체(20)에 체결시 도 2와 같이 상기 인입구(21)의 절반 또는 그 이상을 덮게 된다.The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 광접속함체용 트레이는, 광접속함체(60)의 내부에 구비되어 광접속함체(60)의 내부로 삽입된 광케이블(70)의 광섬유(71)(71')를 접속시켜서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그 과정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tray for the optical connection en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provided inside the optical connection enclosure 60 to connect
먼저, 광접속함체(60)로 서로 연결될 두 광케이블(70)이 인입되면 상기 광케이블(70)들을 고정한 후 외피를 절단하여 제거하며, 외부로 노출된 광섬유(71)(71')들에 별도의 보호튜브(72)(72')를 체결한다.First, when two optical cables 70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optical connection enclosure 60 is introduced, the optical cables 70 are fixed and the outer skin is cut and removed, and the
그리고 인장선(미도시)을 광접속함체(60) 내부에서 접지 및 고정하여 광케이블(70)을 광접속함체(60)에 견고히 고정한 후, 상기 두 광케이블(70) 각각의 광섬유(71)(71')들을 트레이(10)의 양측 인입구(21)에 각각 삽입한다.After the tension line (not shown) is grounded and fixed in the optical connection enclosure 60 to fix the optical cable 70 to the optical connection enclosure 60, the
이때, 상기 광섬유(71)(71')들을 보호하는 보호튜브(72)는 인입구(21)까지만 삽입되며 보호튜브(72)를 벗어난 상기 광섬유(71)(71')들을 트레이(10)내의 여장부(22)에 감으면서 상기 광섬유(71)(71')들을 서로 마주하여 접속되는 위치로 위치키며, 마주하는 광섬유(71)(71')들의 단부를 어뎁터(50)로 서로 접속시킨 후 어뎁터고정부재(30)의 슬롯(33)에 삽입하여 고정시킨다.At this time, the
여기서, 상기 광섬유(71)(71')들을 접속시키는 어뎁터(50)는 종류에 따라 그 길이를 달리하는바, 예컨대 스플리터, 기계식 접속자, 열수축 슬리브들이 대표적이며 일반적으로 상기 스플리터, 기계식 접속자는 상기 어뎁터고정부재(30)의 제1슬롯(3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규격을 가지며, 상기 열수축 슬리브는 상기 제1슬롯(31) 및 이에 평행한 제2슬롯(32)에 동시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규격을 가진다.Here, the
그리고 상기 스플리터 및 기계식 접속자는 그 길이를 달리하는바, 이들 중 작은 길이를 가지는 어뎁터(50)는 도 5와 같이 상기 제1슬롯(31)이 형성된 바닥면의 계단식 이탈방지턱(34) 중 최저면의 단턱에 양단이 대응될 것이며, 더 긴 길이 를 가지는 어뎁터(50)는 도 6과 같이 상기 이탈방지턱(34) 중 최저면 다음의 단턱에 양단이 대응될 것이다.In addition, the splitter and the mechanical connector have different lengths, and the
이에 따라, 상기 제1슬롯(31)에 어뎁터(50)가 고정될시 어뎁터(50)의 길이에 대응되는 이탈방지턱(34)의 단턱에 양단이 대응되어 상기 어뎁터(50)가 제1슬롯(31)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좌우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이와 같은 상태에서 트레이몸체(20)에 트레이커버(40)를 체결하여 트레이몸체(20)의 내부를 닫게되는데, 이때 트레이커버(40)의 양측 날개부(41)는 트레이몸체(20)의 양측 인입구(21)에 대응되어 인입구(21)의 절반 또는 그 이상을 덮개된다.In such a state, the
즉, 상기 트레이커버(40)를 상기 트레이몸체(20)에 체결하면 상기 날개부(41)는 상기 인입구(21)의 내측 단부에 대응되지 않고 상기 인입구(21)의 절반 또는 그 이상을 덮개되어 상기 트레이커버(40)의 양측의 단부가 상기 인입구(21)의 단부사이에서 상기 광섬유(71)(71')를 물게되는 문제없이 상기 광섬유(71)(71')가 인입구(21)로 인입되어 안전하게 트레이몸체(20)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한편, 두 광케이블(70)의 연결시 서로 접속되어질 두 광케이블(70)의 광섬유(71)(71')들이 트레이몸체(20)의 양측 인입구(21)들 중 어느 하나에 동시에 인입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바, 하나의 인입구(21)에 두 광케이블(70) 각각의 광섬유(71)(71')들이 동시에 인입되면 어느 하나의 광섬유(71)는 반대측의 인입구(21)와 근접한 여장부(22)에 감아서 위치시키고, 다른 하나의 광섬유(71')는 상기 반대측의 인입구(21)와 근접한 여장부(22)를 지나서 인입된 인입구(21)측으로 방향 전 환시킨다. 이때, 도 7과 같이 두 여장부(22)의 사이의 중앙에 형성된 방향전환가이드(25)의 내측으로 가이드되면서 반대측의 인입구(21)와 근접한 여장부(22)에 감기면서 접속될 광섬유(71)의 반대측에 위치시킬 수 있다.Meanwhile, when two optical cables 70 are connected,
따라서, 상기 방향전환가이드(25)를 통해 상기 트레이몸체(20)의 일측 인입구(21)로 인입된 두 광섬유(71)(71')를 서로 마주하도록 어느 하나의 광섬유(71')를 반대측에 위치시키는 작업이 용이해진다.Accordingly, any one of the optical fibers 71 'is opposite to the two
이러한 본 발명 광접속함체용 트레이는 광접속함체(60)내에서 연결되는 두 광케이블(70) 각각의 광섬유(71)(71')를 연결시 두 광섬유(71)(71')를 접속하는 어뎁터(50)를 트레이몸체(20)내에 이탈없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The tray for the optical splice en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dapter for connecting two
또한, 광섬유(71)(71')들이 인입구(21)로 인입된 후 트레이커버(40)를 트레이몸체(20)에 체결시 광섬유(71)(71')들이 인입구(21)의 단부와 트레이커버(40)의 양측 단부에 물려서 광섬유가 꺽이는 등의 문제없이 광섬유(71)(71')들을 안전하게 트레이몸체(20) 내에 삽입하여 접속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그리고, 서로 연결될 광섬유(71)(71')들이 하나의 인입구(21)로 인입될시 서로 마주하게 위치시키는 작업이 매우 용이하다.In addition, when the
따라서, 광케이블(70)의 연결시 접속되는 광섬유(71)(71')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서로 접속된 광섬유(71)(71')들을 안정적으로 트레이몸체(20) 내부에 여장 및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도 1은 본 발명 광접속함체용 트레이의 구성을 보이는 일부 분리 사시도.Figure 1 is a partially separat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ray for the optical splice en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ation of FIG.
도 3은 본 발명 광접속함체용 트레이의 측면도.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tray for the optical splice en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뎁터고정부재를 보이는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dapter fix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어뎁터고정부재에 어뎁터가 지지되는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들.5 and 6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dapter is supported on the adapter fix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 광접속함체용 트레이의 사용상태를 보이는 평면도.7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tray for the optical connection en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광케이블의 시공 상태를 보이는 개략적 구성도.8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onstruction state of an optical cable.
도 9 및 도 10은 광케이블의 종류 및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및 단면도.9 and 10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type and configuration of an optical cable.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트레이 20 ; 트레이몸체10;
21 ; 인입구 22 ; 여장부21;
23 ; 제1힌지부 24 ; 제2힌지부23; 1st hinge
25 ; 방향전환가이드 30 ; 어뎁터고정부재25;
31 ; 제1슬롯 32 ; 제2슬롯31;
33 ; 슬롯 40 ; 트레이커버33;
41 ; 날개부 50 ; 어뎁터41;
60 ; 함체 70 ; 광케이블60; Enclosure 70; Optical cable
71 ; 광섬유 72 ; 보호튜브71;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13426A KR100942229B1 (en) | 2007-11-07 | 2007-11-07 | Tray for optical junction box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13426A KR100942229B1 (en) | 2007-11-07 | 2007-11-07 | Tray for optical junction box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47268A true KR20080047268A (en) | 2008-05-28 |
KR100942229B1 KR100942229B1 (en) | 2010-02-16 |
Family
ID=39663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13426A Active KR100942229B1 (en) | 2007-11-07 | 2007-11-07 | Tray for optical junction box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42229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50186A1 (en) * | 2017-09-07 | 2019-03-14 | 임채현 | Stack-type storage compartment for optical fiber |
KR20190029329A (en) * | 2017-09-12 | 2019-03-20 | 주식회사 제이티텔레콤 | Remainder board for optical cable connecting box |
KR102248304B1 (en) * | 2020-12-01 | 2021-05-03 | 김영길 | Support for fixing connection table for optical junction box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361436A (en) * | 2003-05-30 | 2004-12-24 | Maspro Denkoh Corp | Optical receiver |
JP4117227B2 (en) * | 2003-07-01 | 2008-07-16 | マスプロ電工株式会社 | Optical receiver |
KR200332528Y1 (en) | 2003-07-26 | 2003-11-07 | 주식회사 선일 | tray of optical cable terminal box |
-
2007
- 2007-11-07 KR KR1020070113426A patent/KR100942229B1/en active Active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50186A1 (en) * | 2017-09-07 | 2019-03-14 | 임채현 | Stack-type storage compartment for optical fiber |
KR20190029329A (en) * | 2017-09-12 | 2019-03-20 | 주식회사 제이티텔레콤 | Remainder board for optical cable connecting box |
KR102248304B1 (en) * | 2020-12-01 | 2021-05-03 | 김영길 | Support for fixing connection table for optical junction box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42229B1 (en) | 2010-02-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594729B1 (en) | Fiber optic cabinet and cabinet lift | |
US7869681B2 (en) | Optical connection closure having at least one connector port for optically connecting a drop cable to a distribution cable | |
US9766414B2 (en) | Indexing terminals for supporting a bidirectional indexing architecture | |
CN101517446B (en) | Fiber circuit management system with splice tray | |
US7729583B2 (en) | Flexible optical closure and other flexible optical assemblies | |
EP2684087B1 (en) | Cable strain relief clamping devices | |
JP5121448B2 (en) | Wiring cable with composite molded intermediate branch point with preferential bending | |
KR100964278B1 (en) | Optical Splice Enclosure | |
US20070025668A1 (en) | Fiber optic cables and assemblies for fiber to the subscriber applications | |
US20240302619A1 (en) | Terminal system assemblies with breakout/adapter modules | |
BRPI0924232A2 (en) | a cable junction box that uses different ways of waterproofing the main cable | |
US20230324641A1 (en) | Fiber splice closure | |
KR100942229B1 (en) | Tray for optical junction box | |
US20120256526A1 (en) | Fiber optic cabinet | |
KR101229845B1 (en) | Tray for fiber optic splice closure | |
CN102089694A (en) | Optical component organiser | |
CN101872044A (en) | Optical distribution cable and its structure | |
KR101777272B1 (en) | Fiber optic splice closure | |
KR101471960B1 (en) | Optical cable clip for fiber distribution | |
ES2655511T3 (en) | Optical Cable Transition Box Assembly | |
KR100295460B1 (en) | Stacked Ribbon Fiber Optic Split Cord | |
KR101228447B1 (en) | Optical drop cable connecting box | |
JP2005128326A (en) | Fiber optic cable | |
JP4455414B2 (en) | Optical cable connection closure | |
KR20110009064U (en) | Ribbon-shaped multicore fiber branch with protective tub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5R |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506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6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1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2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1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1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2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31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0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03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