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4428A - 휴대 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통신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44428A KR20080044428A KR1020060113281A KR20060113281A KR20080044428A KR 20080044428 A KR20080044428 A KR 20080044428A KR 1020060113281 A KR1020060113281 A KR 1020060113281A KR 20060113281 A KR20060113281 A KR 20060113281A KR 20080044428 A KR20080044428 A KR 2008004442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 main body
- sliding
- communication terminal
- sliding hin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3—Including a rotatable display body par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는 휴대 통신 단말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휴대 통신 단말기는 휴대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본체; 커버; 및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커버에 슬라이딩 결합되게 구성되어서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하고,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슬라이딩 힌지부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슬라이딩 힌지부에서 슬라이딩 이동으로 상기 본체 상면 소정 영역을 개폐하고, 상기 슬라이딩 이동 및 회전 이동으로 상기 본체를 경사지게 거치시킨다.
휴대 통신 단말기, 디엠비, 커버, 회전, 슬라이딩.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기의 커버가 슬라이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기가 경사지게 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 경사지게 거치된 상태로 동작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각각 나타내는 측면도.
본 발명은 디엠비 폰, 게임 폰, 채팅 폰, 카메라 폰, MP3 폰, 셀룰러 폰(cellular phone), PCS,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HHP(Hand Held Phone) 등을 포함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무선 통신의 일례로, 음성 통화, 메시지 전송, 파일 전송, 영상 통화, 카메라 기능 등이 있다. 아울러, 휴대 통신 단말기는 전화번호 관리, 게인 스케줄 관리 등의 개인 비서 역할을 수행하기로 한다.
또한, 휴대 통신 단말기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그립화 및 경량화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보다 다양한 서비스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화 방향, 예를 들어 게임이나 오락 등을 포함하는 엔터테이먼트 콘텐츠를 중요시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미래에는 휴대 통신 단말기는 단순한 음성 통화 뿐만 아니라, 영상 통화, 게임, 인터넷, 카메라 등을 포함하는 다기능 복합화 추세로 변할 것으로 예상된다..
종래의 휴대 통신 단말기는 휴대성이나 사용 편리성 등을 고려하여 외형에 따라서 바-형(bar-type) 또는 폴더-형(folder-type) 통신 장치로 분류된다. 바-형 통신 장치는 단일 하우징이 바-형으로 구성되어 데이터 입출력 장치, 안테나 장치, 송수신 장치 등이 장착된 구성을 의미하고, 폴더-형 통신 장치는 단일의 바-형 하우징에 폴더가 힌지 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접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폴더형 휴대 통신 단말기는 힌지부에 의해 본체에 폴더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본체쪽에 키들이 배치되고, 폴더쪽에 표시부가 배치되는 구조여서, 소형화 및 휴대성에 유리한 이점이 있다. 폴더형 휴대 통신 단말기는 미국 특허등록번호 제6,865,406호에 개시되었다. 미국 특허등록번호 제6,865,406에는 폴더형 휴대 통신 단말기의 힌지부에 카메라 렌즈 하우징이 장착되어 사용되는 구조이다.
또한, 휴대 통신 단말기는 개폐 방식에 따라서 스윙-형(swing-type) 또는 슬 라이딩-형(sliding-type) 통신 장치로 분류되기도 한다. 스윙-형 통신 장치는 두 개의 하우징이 마주보면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 유지한 채 하나의 하우징이 스윙되어 나머지 하우징을 개폐하는 것을 의미하고, 슬라이딩-형 통신 장치는 두 개의 하우징이 대면하게 결합되어 하나의 하우징이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나머지 하우징을 개폐되는 것을 의미한다. 스윙 타입 휴대 통신 단말기는 미국 출원번호 제10/822,380호에 상세히 개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폴더형이나 스윙 타입 휴대용 통신 단말기는 음성 통화나 문자 메시지 전송과 같은 폰 모드에서는 데이터 입력 동작이나 디스플레이된 데이터 확인이 불편한 문제가 없지만, 점점 멀티미디어화되어가는 환경하에서, 예를 들어, 디엠비 모드에서는 불편한 문제가 있고, 특히 별도의 거치대를 구입해야 함으로서, 사용자의 입장에서 비 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실질적으로 각종 동영상을 시청해야 하는 디엠비 모드에서는, 가로 보기 상태의 광폭의 화면과, 입체적인 스테레오 사운드 시스템과, 표시 장치가 경사진 상태가 갖추어져야 시청이 편리하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에 커버가 슬라이딩 힌지부에 의해 회전가능하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닫힌 상태에서는 데이터 입력 기능에 충실하고, 회전된 상태에서는 거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여 사용하기에 편리한 휴대 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거치대 구입 비용이 삭제되어서 경제적인 휴대 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종 동영상 시청과 관련된 모드들, 예를 들어 디엠비 모드에서 광폭의 가로 보기 표시 장치와, 스테레오 사운드 시스템과, 디엠비 전용 키패드를 제공하여서 디엠비 모드에서 사용하기에 편리한 휴대 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본체;
커버; 및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커버에 슬라이딩 결합되게 구성되어서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하고,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슬라이딩 힌지부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슬라이딩 힌지부에서 슬라이딩 이동으로 상기 본체 상면 소정 영역을 개폐하고, 상기 슬라이딩 이동 및 회전 이동으로 상기 본체를 경사지게 거치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본체;
항시 노출되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상에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 적으로 유지하면서 스윙하여 상기 본체 상면 제1,2영역을 개폐하는 스윙 하우징;
커버; 및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커버에 슬라이딩 결합되게 구성되어서 상기 커버가 본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하고,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슬라이딩 힌지부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는 슬라이딩 또는 회전 이동으로 상기 제1영역 또는 상기 표시 장치의 일부 영역을 개폐하고, 상기 슬라이딩 이동 및 회전 이동으로 상기 본체를 경사지게 거치시킨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기(10)는 커버(300)가 슬라이딩 힌지부(도 3에 도시됨)에 의해 슬라이딩가능하고,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본체(100)에 닫힌 상태에서는 데이터 입력 기능을 수행하고, 슬라이딩 및 회전된 상태에서는 본체(100)를 경사지게 거치시키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기(10)는 폰 모드 뿐만 아니라 디엠비 모드에서 사용하기에 편리한 단말기이다. 상기 폰 모드에서 편리하다는 의미는 커버(300)가 데이터 입력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도 1과 같은 상태)이고, 상기 디엠비 모드에서 편리하다는 의미는 상기 커버(300)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본체(100)를 경사지게 거치시키며, 가로 보기 상태의 광폭 표시 장치(210)와 스테레오 사운드 시스템(112)을 제공하여서 시청이 편리하기 때문(도 3과 같은 상태)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기(10)는 본체(100)와, 커버(300)와, 상기 본체(100)와 커버(300)를 연결시키는 슬라이딩 힌지부(400)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힌지부(400)는 상기 본체(1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커버(300)에 슬라이딩 결합되게 구성되어서 상기 커버(300)가 상기 본체(100)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하고, 상기 커버(300)가 상기 본체(1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힌지축(A)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커버(300)의 슬라이딩 이동은 상기 슬라이딩 힌지부(400)와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면서 선형으로 이동한다.
상기 커버(300)는 상기 슬라이딩 힌지부(400)에서 슬라이딩 이동으로 상기 본체(100) 상면 소정 영역을 개폐하고, 상기 슬라이딩 이동 및 회전 이동으로 상기 본체(100)를 경사지게 거치시킨다.
상기 본체(100)는 항시 노출되는 표시 장치(21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00) 상에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면서 스윙하여 상기 본체(100) 상면 소정 영역을 개폐하는 스윙 하우징(20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 소정 영역은 제1,2영역(120,122)으로 구분되는 바, 상기 제1영역(120)은 상기 본체(100) 하부쪽, 즉 상기 슬라이딩 힌지부(400)와 근접한 영역을 의미하고, 상기 제2영역(122)은 상기 제1영역(120)과 대치하는 상기 본체(100) 상면 상부쪽을 의미한다. 상기 스윙 하우징(200)의 스윙 유무에 따라서 상기 제1,2영역(120,122)은 동시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커버(300)는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1키패드(310)를 포함하는 일면(301)과, 상기 슬라이딩 힌지부(400)가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 힌지부(400)가 슬라이딩하는 가이드 수단(320)을 구비한 타면(302)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수단(320)은 한 쌍의 개구 형상의 가이드 레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 상면은 제1,2영역(120,122)으로 구분된다고 이미 설명한 바, 상기 제1영역(120)은 디엠비 모드와 관련된 다수 개의 제2키들로 구성된 제2키패드(110)와, 상기 제2키패드(110)와 이웃하는 스테레오 스피커 시스템(112)을 포함한다. 상기 제2영역(122)은 회전성 카메라 렌즈 모듈(114)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스윙 하우징(200)의 스윙 동작에 따라서 상기 회전성 카메라 렌즈 모듈(114)과, 스테레오 스피커 시스템(112)과, 제2키패드(110)는 개방된다. 상기 제3영역(220)은 상기 표시 장치(210)의 일부, 즉 하부 영역과, 상기 표시 장치(210)와 이웃하는 다수 개의 제3키들로 구성된 제3키패드(214)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3영역(220)과 상기 제3키패드(214)는 상기 커버(300)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개방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제1영역(120)에는 제1곡률 반경을 구비한 단차부(116)가 구비되고, 상기 제1곡률 반경과 동일한 제2곡률부(204)가 상기 스윙 하우징(200)의 일단에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스윙 하우징(200)은 상기 본체(100)에 원할하게 스윙 동작이 구현된다.
도 1은 폰 모드로 사용되는 휴대 통신 단말기(10)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커버(300)가 데이터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 도 3은 디엠비 모드로 사용되는 휴대 통신 단말기(10)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커버(300)가 본체(100)의 거치대로 사용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기(10)는 표시 장치(210)가 가로 보기 상태의 광폭으로 제공되었고, 스테레오 사운드 시스템(112)이 제공되었으며, 디엠비와 관련된 제2키패드(110)가 제공되었고, 표시 장치(210)가 경사진 상태로 거치되어서 종합적으로 판단하면, 동영상 시청의 최적의 상태이다. 또한, 상기 회전성 카메라 렌즈 모듈(114)을 이용하여 상대방과 마주보면서 화상 통화 모드에도 편리하다.
도 5a 내지 도 5c에 본 발명에 따른 커버(300)의 슬라이딩 이동과 회전 이동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힌지부(400)는 상기 커버(300) 저면에 직립된 상태로 연결되어서 상기 커버(300)는 상기 슬라이딩 힌지부(400)의 저면에서 슬라이딩 한 후에 회전한 경우에 상기 본체(100)를 경사진 상태로 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300)의 회전량은 90도 이상이 되어야 상기 본체(100)를 직립 또는 경사지게 거치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힌지부(400)는 한 쌍의 사이드 힌지 아암(410)과,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힌지 아암(410) 사이에 결합되는 센터 힌지 아암(130)을 포함한다. 상기 센터 힌지 아암(140)은 상기 본체(100) 하단에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센터 힌지 아암(140) 내부에는 미도시된 힌지 모듈이 구성된다. 미도시된 힌지 모듈은 상기 커버(300)의 반자동 회전힘을 제공한다. 언 급된 반자동 회전힘은 소정 각도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강제적으로 회전시키는 힘을 제공하고, 소정 각도 이상 내지 최종 위치까지는 힌지 모듈이 힘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커버가 데이터 입력 기능과 거치대 기능을 겸하여서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편리하고, 특히 폰 모드 뿐만 아니라 디엠비 모드에서 편리하고, 경제적인 이점을 달성하였다. 특히, 본 발명은 커버가 힌지부에서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커버의 슬라이딩 동작 이후의 회전동작으로 거치 동작이 편리하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Claims (10)
- 휴대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본체;커버; 및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커버에 슬라이딩 결합되게 구성되어서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하고,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슬라이딩 힌지부로 구성되고,상기 커버는 상기 슬라이딩 힌지부에서 슬라이딩 이동으로 상기 본체 상면 소정 영역을 개폐하고, 상기 슬라이딩 이동 및 회전 이동으로 상기 본체를 경사지게 거치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1키패드를 구비한 상면; 및상기 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 힌지부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가이드 수단을 구비한 저면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슬라이딩 힌지부에 의해 간접적으로 상기 커버에 연결되어서 상기 슬라이딩 힌지부와 함께 상기 커버 일면을 슬라이딩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
- 휴대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본체;항시 노출되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상에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면서 스윙하여 상기 본체 상면 제1,2영역을 개폐하는 스윙 하우징;커버; 및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커버에 슬라이딩 결합되게 구성되어서 상기 커버가 본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하고,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슬라이딩 힌지부로 구성되고,상기 커버는 슬라이딩 또는 회전 이동으로 상기 제1영역 또는 상기 표시 장치의 일부 영역을 개폐하고, 상기 슬라이딩 이동 및 회전 이동으로 상기 본체를 경사지게 거치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1키패드를 구비한 상면; 및상기 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 힌지부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가이드 수단을 구비한 저면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은디엠비 모드와 관련된 다수 개의 제2키들로 구성된 제2키패드; 및상기 제2키패드와 이웃하는 스피커 장치를 포함함을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은 회전성 카메라 렌즈 모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영역은상기 표시 장치의 일부; 및상기 표시 장치와 이웃하는 다수 개의 제3키들로 구성된 제3키패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슬라이딩 힌지부와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채로 선형으로 슬라이딩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힌지부는 상기 커버 일면에 직립된 상태로 연결되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슬라이딩 힌지부의 저면에서 슬라이딩 한 후에만 상기 본체를 경사진 상태로 거치할 수 있는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13281A KR20080044428A (ko) | 2006-11-16 | 2006-11-16 | 휴대 통신 단말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13281A KR20080044428A (ko) | 2006-11-16 | 2006-11-16 | 휴대 통신 단말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44428A true KR20080044428A (ko) | 2008-05-21 |
Family
ID=39662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13281A Withdrawn KR20080044428A (ko) | 2006-11-16 | 2006-11-16 | 휴대 통신 단말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44428A (ko) |
-
2006
- 2006-11-16 KR KR1020060113281A patent/KR20080044428A/ko not_active Withdra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03418B1 (ko) | 슬라이딩 겸용 폴딩 타입 휴대 장치 | |
KR100703351B1 (ko) | 스윙 타입 휴대 장치 | |
KR100678189B1 (ko) | 삼각 거치가 가능한 와이드 타입 휴대 통신 장치 | |
EP1928158A1 (en) | Mobile phone for multimedia with self-cradling function | |
KR100810353B1 (ko) | 게임 겸용 휴대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싱장치 | |
US20070146977A1 (en) | Sliding and folding type portable terminal | |
KR100663422B1 (ko) | 휴대 통신 장치 | |
US20070004477A1 (en) | Portable terminal having slidable and foldable housings | |
US7702096B2 (en) | Self-cradling type portable terminal | |
KR100810354B1 (ko) | 게임 겸용 휴대 단말기 | |
KR100754605B1 (ko) | 폴딩형 키패드를 구비한 게임 겸용 휴대 통신 단말기 | |
KR20060105307A (ko) | 슬라이딩 표시 장치를 구비한 폴딩형 휴대 통신 장치 | |
KR100689468B1 (ko) | 슬라이딩 겸용 스윙 타입 휴대 장치 | |
KR20080048661A (ko) | 멀티미디어 휴대 통신 장치 | |
KR100790187B1 (ko) | 게임 겸용 휴대 통신 단말기의 힌지 장치 | |
EP1594291B1 (en) | Sliding/folding-type portable apparatus | |
KR20080044428A (ko) | 휴대 통신 단말기 | |
KR100640495B1 (ko) | 디엠비 시청이 편리한 휴대 장치 | |
KR100689535B1 (ko) | 멀티미디어용 휴대 통신 장치 | |
KR100842528B1 (ko) | 스윙 타입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스윙 장치 | |
KR100703449B1 (ko) | 멀티미디어용 슬라이딩 겸용 폴딩 타입 휴대 단말기 | |
KR100819241B1 (ko) |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 |
KR101058737B1 (ko) | 슬라이딩/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 |
KR100713353B1 (ko) | 휴대 장치 | |
KR100895187B1 (ko) | 게임 겸용 휴대용 전자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1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