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41249A - 음료 분배기를 통하여 분배 라인을 안내하는 조립체 및방법 - Google Patents

음료 분배기를 통하여 분배 라인을 안내하는 조립체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1249A
KR20080041249A KR1020087005947A KR20087005947A KR20080041249A KR 20080041249 A KR20080041249 A KR 20080041249A KR 1020087005947 A KR1020087005947 A KR 1020087005947A KR 20087005947 A KR20087005947 A KR 20087005947A KR 20080041249 A KR20080041249 A KR 20080041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dispensing
pressure chamber
opening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5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잔 뇌라게르 라스무센
Original Assignee
칼스버그 브류어리스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스버그 브류어리스 에이/에스 filed Critical 칼스버그 브류어리스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080041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2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67D1/0858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 B67D1/0861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the evaporator acting through an intermediate heat transfer means
    • B67D1/0865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the evaporator acting through an intermediate heat transfer means by circulating a cooling fluid along beverage supply lines, e.g. pythons
    • B67D1/0868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the evaporator acting through an intermediate heat transfer means by circulating a cooling fluid along beverage supply lines, e.g. pythons the cooling fluid being a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67D1/0462Squeezing collapsible or flexible beverage containers, e.g. bag-in-box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9Supports
    • B67D1/0891Supports for the beverag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47Pip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 분배용 조립체(1) 내에서 분배 라인 채널(7)을 통하여 분배 라인(18)을 안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분배 라인 채널(7)은 타워(10) 내의 제1 단부(20) 및 냉각 챔버(2)와 연이어 배치된 제2 단부(8)를 구비하고, 상기 냉각 챔버(2)는 상기 분배 라인(18)을 위한 개구(19)를 구비한 덮개(5)를 갖는 압력 챔버(4)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압력 챔버(4)는 작동 중에 음료 보관용기(14)를 수용하도록 적합화된다. 상기 방법은: - 압력 챔버(4)의 덮개(5)를 개방하는 단계; - 덮개(5)의 개구(19)를 분배 라인 채널(7)의 제2 단부의 개구(8)와 정렬시키는 단계; 및 - 덮개(5)의 개구(19), 분배 라인 채널(7)의 제2 단부, 및 상기 채널(7)을 통하고 상기 채널(7)의 상기 제1 단부(20) 밖으로, 또는 그 역의 방향으로, 분배 라인(18)을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음료 분배용 조립체(1) 뿐만 아니라, 분배 라인(18)을 음료 보관용기(14)로부터 타워(10)로 또는 그 역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압력 챔버(4)의 덮개(5)의 이용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Description

음료 분배기를 통하여 분배 라인을 안내하는 조립체 및 방법{Method and assembly for guiding a dispensing line through a beverage dispenser}
본 발명은 음료 분배용 조립체 내의 분배 라인 채널(dispensing line channel)을 통하여 분배 라인을 안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분배 라인 채널을 통하여 분배 라인을 안내하기에 적합한 조립체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음료 분배용 장치의 기술분야에 있어서, 가압된 챔버들과 같은 장비를 분배 라인 채널들을 통하여 음료 분배 라인들을 거쳐서 분배용 탭(dispensing tap)에 연결시키는 방법에 관한 기술들이 수년에 걸쳐서 발전되어 왔다. 그 기술은 무겁고 체적이 큰 음료 보관용기(beverage container)를 들어올리는 것, 조작(manoeuvring)하는 것, 그리고 덮개(lid), 분배 라인, 및 빈 보관용기와 같은 부품들을 관리하는 것에 관련된다. 최근에 새로운 종류의 분배용 조립체들이 소개되었는데, 그 조립체들 중의 일부는 음료 보관용기의 교체와 함께 교체되는 교환가능한(exchangeable) 분배 라인을 포함한다. 분배 라인은 음료 보관용기를 분배용 탭과 연결시키고, 일반적으로는 분배 라인 채널과 같은 보호 차폐부(protective shielding)를 통하여 인도(引導; lead)된다.
압력 챔버(pressure chamber) 내의 음료 보관용기를 교체하는 때에, 그 과정(process)은 사용된 분배 라인의 연결해제(disconnection) 및 제거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분배 라인의 연결도 포함한다. 그 절차(procedure)는 분배 라인의 도입, 분배 라인 채널을 통한 분배 라인의 인도, 분배용 탭 및 새로운 음료 보관용기와 분배 라인의 연결에도 관련된다.
오늘날 이용되는 방법들은 설치 곤란성 뿐만 아니라, 청결 및 위생과 관련된 문제점들 때문에 문제시된다.
나아가, 그 작업은 스트레스(stress)와 서두름(hastiness)이 실수, 종종 비싼 댓가를 유발하거나 또는 고객에게 서빙(serving)되는 음료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실수를 야기하는 환경에서 수행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배 라인 채널 내로 분배 라인을 도입시키고 그 분배 라인을 분배용 탭과 음료 보관용기에 연결시키는 과정은, 수많은 단점들과 관련된다. 예를 들어, 분배 라인 채널의 개구(opening) 내에 분배 라인을 도입시키는 것은 어렵다. 분배 라인이 안내되어 통과하여야 하는 입구를 찾는 과정은 더 곤란한데, 이것은 바아(bar) 등의 환경 내에서의 조명 조건이 흔히 열악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함께 조작되어야 하는 품목들의 갯수 때문에, 압력 챔버의 벽과 덮개 사이에서 분배 라인이 쉽게 죄여(clamping)지거나 짜여(squeeze)지게 된다. 나아가, 덮개가 압력 챔버로부터 분리된 후에는, 그것이 멀리 놓여지고 시스템을 조립할 때에 쉽게 잊혀진다. 더욱이, 덮개를 분리시키면 덮개가 바닥 또는 오염에 노출되는 다른 곳에 놓여질 수 있다. 나아가, 그 과정에서 관리하여야 하는 느슨한 품목들(loose items)의 갯수도, 분배 라인 또는 다른 부품들이 오염된 영역에 놓여질 위험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오늘날 이용되는 기술들의 위에서 언급된 단점들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단점들을 극복하고, 또한 사용하기에 쉬운 유연한 분배용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료 분배용 조립체 내의 분배 라인 채널을 통하여 분배 라인을 안내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분배 라인 채널은 타워 내의 제1 단부 및 냉각 챔버와 연이어 배치된 제2 단부를 구비한다. 상기 냉각 챔버는 상기 분배 라인을 위한 개구를 구비한 덮개를 갖는 압력 챔버를 포함한다. 상기 압력 챔버는 작동 중에 음료 보관용기를 수용하도록 적합화된다. 상기 방법은:
- 압력 챔버의 덮개를 개방하는 단계;
- 덮개의 개구를 분배 라인 채널의 제2 단부의 개구와 정렬시키는 단계; 및
- 덮개의 개구, 분배 라인 채널의 제2 단부, 및 상기 채널을 통하고 상기 채널의 상기 제1 단부 밖으로, 또는 그 역의 방향으로, 분배 라인을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절차에 의하여, 분배 라인은 하나의 개구, 즉 덮개의 개구를 통하여 안내될 필요만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그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 중의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 음료 보관용기를 압력 챔버 내로 로딩시키는 단계;
- 압력 챔버로부터 조립체 내에서의 작동을 위하여 설치된 분배 라인을 따라서 분배 라인 채널의 제2 단부의 개구로 덮개를 인도하는 단계;
- 분배 라인 채널의 상기 제2 단부와 상기 덮개 상의 상보적인 연결수단 사이에 연결을 가짐에 의하여 분배 라인 채널의 제2 단부에 덮개를 부착시키는 단계;
- 덮개를 분배 라인 채널의 제2 단부와의 정렬로부터 분배 라인을 따라 압력 챔버로 인도하여, 압력 챔버를 닫는 단계; 및/또는
- 분배 라인 채널로부터 분배 라인을 제거하고, 그리고/또는 압력 챔버로부터 음료 보관용기를 제거하는 단계.
냉각 챔버 내에서 끝나는 분배 라인 채널의 단부에 덮개를 부착시키는 것은 자연스러운 중간 저장소(intermediate storage)를 제공하는 것이고, 덮개의 개구를 통하여 분배 라인을 안내할 것을 잊을 위험이 없다. 따라서 분배 라인을 안내하는 과정은 인체공학적인 작동 위치, 특히 바닥 위로 분배 라인 채널이 높게 됨으로 인하여, 편안하게 되고 혼란스럽지 않게 된다. 나아가, 이 향상된 과정에 의하여 오염의 위험이 현저히 저감된다. 함께 관리 및 조작해야하는 느슨한 부품들이 별로 없고, 또한 덮개를 위한 편리한 다목적 위치는 바 카운터(bar counter) 또는 바닥과 같은 오염된 환경으로부터 먼 안전한 거리를 두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덮개는 압력 챔버로부터 이탈가능하게 또는 그에 피봇가능하게 부착된다.
바람직하게는, 덮개의 개구와 분배 라인 채널의 제2 단부의 동축상 정렬을 위해 연결수단이 배치된다. 덮개와 분배 라인 채널에 있어서의 개구들의 대응하도록 형상화되고 정렬된 단면들과 함께, 잘 형성된(well-defined) 동축상 정렬은, 분배 라인의 통과를 위한 매끄러운 연접부(junction)를 구비한 연결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르면 음료 분배용 조립체가 제공되는데, 그 음료 분배용 조립체는 덮개를 갖는 압력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분배 라인을 위한 개구를 포함하고, 분배 라인 채널은 타워 내의 제1 단부 및 냉각 챔버에 연이어 배치된 제2 단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압력 챔버는 작동 중 음료 보관용기를 수용하도록 적합화되며, 덮개의 개구가 분배 라인을 위한 안내요소로서 이용될 수 있도록 조립체가 덮개의 개구와 분배 라인 채널의 제2 단부의 개구를 정렬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르면, 압력 챔버의 덮개의 개구가 본질적으로 중심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른 조립체는 덮개를 포함할 수 있는데, 그 덮개는 압력 챔버로부터 이탈가능하거나 또는 그에 피봇가능하게 부착(pivotally attached)된다. 압력 챔버에 연결된 덮개를 힌지 수단에 의하는 등에 의하여 그것의 개방 상태에 둠에 의해, 취급할 개별적인 요소들의 갯수가 제한되고, 그 결과로서 음료 보관용기를 교체하는 과정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른 조립체에 있는 분배 라인 채널의 제2 단부 및 덮개는 연결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연결수단은 서로에 대해 상보적이며 또한 덮개를 분배 라인 채널의 상기 제2 단부에 부착시키기에 적합화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르면, 연결수단은 분배 라인 채널의 제2 단부에 대한 덮개의 개구의 동축상 정렬을 위하여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른 분배 라인 채널의 제2 단부 및 덮개의 연결수단은 나사형성된 소켓(threaded socket), 스냅 연결부(snap connection), 캐치(catch), 베이오넷 커플링(bayonet coupling), 후크(hook), 지그(jig), 또는 이들의 임의적 조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덮개는 음료 보관용기를 상기 압력 챔버 내의 작동 중 위치 내로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개구는 안내수단 내에 배치되고, 안내수단은 떠있도록 매달린다(floating suspended). 여기에서 "떠있도록 매달린다(floating suspended)"라고 함은, 바람직하게는 덮개와의 관계에서 안내수단의 다양한 각도 방향의 움직임이 가능하게 되도록, 안내 수단이 측방향 및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되는 것으로 고려되는 것이다. 그 축방향은 압력 챔버의 길이방향 신장(longitudinal elongation)을 따른 것이고, 그 측방향은 그 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의미한다. 안내수단의 조작 자유도는 미리 결정된 거리로 더 제한될 수 있다.
안내수단(guiding means)은, 덮개가 압력 챔버에 배치 및 잠금(lock)된 때에 덮개의 개구(opening)와 분배 라인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비정렬(misalignment)이 극복되는 것을 보장하는 편리한 방식을 제공한다. 따라서, 분배 라인이 덮개와 음료 보관용기 사이에서 걸리거나 짜여지는 것도 방지된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른 조립체의 덮개는, 금속, 플라스틱, 탄소 섬유 등과 같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른 덮개는 손잡이(handl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른 덮개는, 분배 라인이 덮개의 개구 내로 들어올 때에 분배 라인을 안내하도록 배치된, 깔대기-유사 부분(funnel-like portion)과 같은,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그것의 많은 장점들은 첨부된 개략적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인데, 그 도면들은 예시를 위하여 비-한정적인(non-limiting) 일부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것이다.
도 1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의 정면도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2 에는 도 1 의 조립체의 평면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 의 a 에는 제1 의, 작동 위치(operating position)에 있는 압력 챔버가, b 에는 제2 의, 로딩 위치(loading position)에 있는 압력 챔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 에는 냉각 챔버(cooling chamber)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 에는 압력 챔버와 연결된 압력해제 밸브(pressure release valve) 및 압력계(pressure meter)가 도시되어 있고;
도 6 에는 압력 챔버의 덮개가 도시되어 있고;
도 7 에는 압력 챔버로부터 덮개를 제거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고;
도 8 에는 덮개를 분배 라인 채널과 연결시키는 것이 도시되어 있고;
도 9 에는 타워(tower)에서의 분배 라인의 해제(release)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 의 a 에는 분배 라인의 후퇴(retracting)가 도시되어 있고, b 에는 빈 음료 보관용기의 제거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 의 a 및 b 에는 음료 보관용기의 로딩이 도시되어 있고,
도 11 의 c 및 d 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 라인의 연결이 도시되어 있고;
도 12 의 a 내지 e 에는 압력 챔버에 덮개를 안정화(securing)시키는 바람직한 방식과, 압력 챔버의 로딩에 있어서의 잔여 단계들이 도시되어 있고;
도 13 에는 음료 보관용기를 담기 위한 박스가 도시되어 있고;
도 14 에는 뜯음줄(tear string)로 박스를 개방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고;
도 15 에는 그 박스의 상측 부분(top section)을 제거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고;
도 16 에는 음료 보관용기와 함께 박스의 하측 부분(bottom part)을 냉각 챔버 내로 삽입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고;
도 17 에는 압력 챔버의 덮개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모든 도면들은 매우 개략적으로 도시되었고, 반드시 축적에 맞는 것은 아니며, 거기에는 본 발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필요한 부분들만이 도시되어 있으며 다른 부분들은 생략되거나 또는 단지 설명되기만 하였다.
상세한 설명에 걸쳐서, 바람직한 실시예들 및 예들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에는 냉각 챔버(2), 냉각 시스템(cooling system; 3), 압력 챔버(4), 손잡이(6)를 구비한 압력 챔버 덮개(5), 덮개(5)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수단(connection means; 9) 및 개구(8)를 구비한 분배 라인 채널(7), 및 탭 엑츄에이터(tap actuator; 12)를 구비한 분배용 탭(11)이 배치되는 타워(10)를 포함하는 분배용 조립체(1)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압력 보관용기(pressure container)는 음료 보관용기(14)(미도시)를 보유하도록 적합화된다. 타워(10)의 배치는, 분배용 조립체(1)의 나머지 부분들과 관련하여 유연할 수 있고, 도 1 에 도시된 것과는 상당히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워(10)는, 분배용 조립체(1)의 나머지 부분들이 바아 데스크(bar desk)의 아래 또는 심지어 다른 방 안에 있는 상태로 바아 데스크의 상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 에는, 냉각 챔버(2) 내에 압력 챔버(4) 및 음료 보관용기(14)가 있는 상태의 것으로서, 도 1 에 도시된 분배용 조립체(1)의 평면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에는 분배 라인 채널(7)의 연결수단(9)과 냉각 시스템(3)도 도시되어 있다. 다른 형태의 구성이 구현될 수 있고, 그 시스템이 냉각용 구획실(cooling compartment) 내에서 사전-냉각(pre-cooling)되는 보관용기(14)를 반드시 가질 필요는 없고, 사전-냉각을 위한 부분을 전혀 갖지 않아도 된다. 나아가, 한 번에 그 시스템이 포함할 수 있는 사전-냉각되는 보관용기(14)들의 갯수에는 제한이 없다.
도 3 에는 덮개(5), 음료 보관용기(14), 및 힌지 수단(hinge means; 15)과 함께 압력 챔버(4)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힌지 수단(15)은 스프링(16)을 구비한 스프링 들어올림 메카니즘(spring lifting mechanism)을 포함한다.
도 4 내지 도 12 에는 빈 음료 보관용기(14)의 교체가 수행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 내지 도 10 에는 사용된 음료 보관용기(14)를 분배용 조립체(1)로부터 제거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단계들의 순서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 및 도 12 에는 새로운 음료 보관용기(14)의 로딩 및 설치(installing)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a 에는 압력 챔버(4)에의 접근을 허용하기 위하여 사전-냉각 위치로부터 음료 보관용기(14)를 제거시키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4 b 에는 손잡이(6)를 파지하고 느린 속도의 회전 움직임을 한정하는 외향 및 상향의 들어올림에 의하여 압력 챔버(4)를 수직의 작동 위치로부터 수평의 로딩 위치로 이끌어내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3 의 힌지 수단(15)은 안정적이고 쉬운 들어올림을 보장한다. 그 구성형태는 음료 보관용기(14)의 교체시에 있어서 압력 챔버(4)에 대한 편안하고 쉬운 접근을 보장한다.
도 5 에는 압력의 상태와 압력 시스템 내에 압력이 존재하지 않음을 보이는 압력계(pressure gauge)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에는 압력 챔버(4)의 덮개(5) 상에 있는 압력 밸브를 통한 공기의 해제도 도시되어 있다. 압력 시스템은 안전 및 감시의 이유로 자동적으로 제어되고, 여기에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보관용기와 연결된 압력계가 제공된다. 압력 시스템 내에 여전히 압력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 밸브를 개방시킴에 의하여 수동적(manual)인 해제가 수행될 수 있다.
도 6 에는 압력 챔버(4)의 덮개(5)가 도시되어 있고, 또한 덮개(5)로부터 압력 보관용기 내측에 있는 음료 보관용기(14)(미도시)를 해제시키기 위하여 덮개(5)에 약간의 압력을 적용(application)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7 에는 압력 챔버(4)의 덮개(5)가 도시되어 있고, 압력 챔버(4)로부터 덮개(5)를 잠금해제(unlocking) 및 해제(releasing)시키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덮개(5)는 반시계방향으로 360도 회전된다.
도 8 에는 냉각 챔버(2), 내측에 사용된 음료 보관용기(14)가 있는 압력 챔버(4), 분배 라인 채널(7), 덮개(5), 및 분배 라인(18)이 도시되어 있다. 덮개(5)는 압력 보관용기로부터 분리되고 분배 라인(18)을 따라서 분배 라인 채널(7)의 개구(8)로 인도되는데, 여기에서 그 덮개(5)의 개구(19)는 분배 라인 채널(7)의 개구(8)와 정렬된다. 덮개(5)에 약간의 압력이 적용되면 덮개(5)를 분배 라인 채널(7)에 부착시키는 스냅 연결(snap connection)이 이루어진다.
도 9 에는 도 1 에 도시된 타워(10)로서 탭 엑츄에이터(12) 및 분배 라인(18)을 구비한 분배용 탭(11)을 갖는 타워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분배 라인(18)은 타워(10) 상의 분배용 탭(11)으로부터 해제되어 있다.
도 10 a 에는, 덮개(5)의 개구(19)를 통하여 분배 라인(18)을 부드럽게 당김에 의하여 어떻게 분배 라인(18)이 분배 라인 채널(7)로부터 후퇴되는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 b 에는, 사용된 음료 보관용기(14)가 압력 보관용기로부터 어떻게 용이하게 제거되는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 a 에는 보관용기(14)의 운송 포장으로부터 보관용기(14)(바람직하게는 사전-냉각된 것)가 해제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그 후 보관용기(14)는 도 11 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챔버(4) 내로 삽입된다. 도 11 c 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분배 라인(18)이 덮개(5), 그리고 나아가 분배 라인 채널(7)을 통하여 안내된다. 분배 라인(18)은 분배용 탭(11)으로부터 나오고, 도 11 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 위치(dispensing position)에 잠금된다.
도 8 에 대응하여, 덮개(5)는 분배 라인 채널(7)의 단부와의 정렬로부터 분배 라인(18)을 따라서 압력 챔버(4)로 인도되어, 압력 챔버(4)를 닫는다.
도 12 a 에는, 압력 챔버(4)에 덮개(5)를 잠금시키는 단계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덮개(5)를 시계방향으로 360도 돌림에 의하여 수행된다. 덮개(5)의 적법한 잠금이 도 12 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인된 후에, 압력 보관용기는 도 12 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을 위한 위치로 이동된다. 죄여지거나 짜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배 라인(18)은 도 12 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 라인 채널(7)의 연결수단(9)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 e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전-냉각을 위하여 새로운 보관용기(14)가 냉각 챔버(2) 내에 삽입된다. 최종적으로, 냉각 챔버(2)의 도어가 닫히고, 올바른 작동 압력이 얻어진 다음 수 분 후에 분배용 조립체(1)가 사용될 준비가 된다.
도 13 내지 도 16 에는 새로운 음료 보관용기(14)를 포장해제시키는 것(unwrapping)과 그것을 냉각 챔버(2)의 사전-냉각 부분 내에 도입시키는 것(introducing)의 순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 에는 음료 보관용기(14)를 담기 위한 보호용 박스가 도시되어 있다. 그 박스는 카드보드(cardboard)와 같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4 에는 그 박스를 둘러싸는 뜯음줄을 당김에 의하여 그 박스가 편리하게 개방되는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박스의 상측 부분이 하측 부분으로부터 분리되고, 들려지며, 제거된다. 따라서, 음료 보관용기(14)의 상측 부분이 드러나고, 이로써 (상측 부분에 의한) 단열 효과를 저감시킬 뿐만 아니라, 그 음료 보관용기(14)의 후속하는 로딩이 보다 신속하고 쉽게 된다. 도 16 에는 냉각 챔버(2) 내의 사전-냉각 부분 내에 어떻게 음료 보관용기(14)가 도입되는 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7 에는 음료 보관용기(14)(미도시)를 압력 챔버(4) 내의 작동 중 위치 내로 안내하는 안내수단(21)을 도시하는, 압력 챔버(4)의 덮개(5)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덮개(5)를 분배 라인 채널(7)(미도시)의 제2 단부에 부착시키고 또한 작동 후에 덮개로부터 음료 보관용기를 해제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연결수단(17)의 떠있는 매달림(≒떠있는 부유; floating suspension)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안내수단(21)에 개구(22)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분배 라인(18)이 그 시스템으로부터 분리되고 이로써 그것의 두 단부들이 모두 자유롭게 됨에 의하여, 분배 라인(18)이 분배용 탭(11) 및 음료 보관용기(14)에 연결되고 또한 덮개(5) 및 분배 라인 채널(7)을 통하여 안내되는 순서를 자유롭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 어, 분배 라인(18)이 분배용 탭(11)으로부터, 분배 라인 채널(7)과 덮개(5)의 개구(19)를 통하여 압력챔버(4) 내에 배치된 음료 보관용기(14)로 안내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분배 라인(18)은 분배용 탭(11)에 연결된 채로 유지되고, 분배 라인(18)은 음료 보관용기(14)로부터만 이탈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덮개(5) 및 압력 챔버(4)가 힌지 수단(15)과 연결된다. 따라서 힌지 수단(15)은, 음료 보관용기(14)의 교체 중에 덮개(5)가 개방 위치에 있는 때에 냉각 챔버(2) 내에서 종료되는 분배 라인 채널(7)의 개구(8)와 덮개(5)의 개구(19)의 자동적인 정렬을 제공하도록 배치된다.
냉각 챔버(2) 내에서 끝나는 분배 라인 채널(7)의 단부와 덮개(5)의 연결요소(connecting element)는, 부슁 메카니즘(bushing mechanism), 베이오넷 커플링(bayonet coupling), 후크(hook), 지그(jig), 오-링(o-ring), 히치(hitch), 후크(hook), 또는 클러치(clutch), 또는 이들의 임의적 조합물과 같은 연결수단(9)을 포함할 수 있다. 방법들과 조립체(1) 뿐만 아니라 도면들에도 분배 라인(18)의 배출 단부에 연결된 밸브가 개시되어 있고, 또한 상기 밸브는 분배 라인(18)과 함께 교체되지만, 그 밸브가 분배 라인(18)과 동시에 교체되지 않는 별도의 밸브일 수 있다는 것 또한 본 발명의 사상 내에 포함된다. 따라서 분배 라인(18)의 배출 단부 및 그 밸브는,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상보적 연결수단(9)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분배 라인(18)의 배출 단부는 (그리고, 음료 보관용기(14) 내에 장착되지 않는다면, 그 유입단부도) 캡(cap), 후드(hood), 또는 커버(cover)를 포함 할 수 있는데, 그것은 조립체(1)를 통한 안내 후 그리고 분배 라인(18)이 밸브 및 음료 보관용기(14) 내에 각각 장착되기 직전까지,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이로써 분배 라인(18)의 내부가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되고, 음료와 접촉하게 되는 부분이 오염되는 것이 방지된다.
밸브는 (조립체(1)를 통한 안내 전에 분배 라인(18)에 배치된다면) 위에 설명돤 것과 동일한 이유로 캡, 후드, 또는 커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청구항들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많은 변형예들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명백히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음료 분배용 조립체 내의 분배 라인 채널을 통하여 분배 라인을 안내하는 방법에 이용될 수 있고, 또한 분배 라인 채널을 통하여 분배 라인을 안내하기에 적합한 조립체에 이용될 수도 있다.

Claims (14)

  1. 음료 분배용 조립체(1) 내의 분배 라인 채널(7)을 통하여 분배 라인(18)을 안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분배 라인 채널(7)은 타워(10) 내의 제1 단부(20) 및 냉각 챔버(2)와 연이어 배치된 제2 단부(8)를 구비하고, 상기 냉각 챔버(2)는 상기 분배 라인(18)을 위한 개구(19)를 구비한 덮개(5)를 갖는 압력 챔버(4)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압력 챔버(4)는 작동 중에 음료 보관용기(14)를 수용하도록 적합화되며, 상기 방법은:
    - 압력 챔버(4)의 덮개(5)를 개방하는 단계;
    - 덮개(5)의 개구(19)를 분배 라인 채널(7)의 제2 단부의 개구(8)와 정렬시키는 단계; 및
    - 덮개(5)의 개구(19), 분배 라인 채널(7)의 제2 단부, 및 상기 채널(7)을 통하고 상기 채널(7)의 상기 제1 단부(20) 밖으로, 또는 그 역의 방향으로, 분배 라인(18)을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배 라인의 안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 음료 보관용기(14)를 압력 챔버(4) 내로 로딩시키는 단계;
    - 압력 챔버(4)로부터 조립체(1) 내에서의 작동을 위하여 설치된 분배 라인(18)을 따라서 분배 라인 채널(7)의 제2 단부의 개구(8)로 덮개(5)를 인도(leading)하는 단계;
    - 분배 라인 채널(7)의 상기 제2 단부와 상기 덮개(5) 상의 상보적인 연결수단(9 및 17) 사이에 연결을 가짐에 의하여 분배 라인 채널(7)의 제2 단부에 덮개(5)를 부착시키는 단계;
    - 덮개(5)를 분배 라인 채널(7)의 제2 단부와의 정렬로부터 분배 라인(18)을 따라 압력 챔버(4)로 인도하여, 압력 챔버(4)를 닫는 단계; 및/또는
    - 분배 라인 채널(7)로부터 분배 라인(18)을 제거하고, 그리고/또는 압력 챔버(4)로부터 음료 보관용기(14)를 제거하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분배 라인의 안내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덮개(5)는 압력 챔버(4)로부터 이탈가능하게 또는 그에 피봇가능하게 부착되는, 분배 라인의 안내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덮개(5)의 개구(19)와 분배 라인 채널(7)의 제2 단부의 동축상 정렬(coaxial alignment)을 위해 연결수단(9 및 17)이 배치(arrange)되는, 분배 라인의 안내 방법.
  5. 덮개(5)를 갖는 압력 챔버(4)를 포함하는 음료 분배용 조립체(1)로서, 상기 덮개(5)는 분배 라인(18)을 위한 개구(19)를 포함하고, 분배 라인 채널(7)은 타 워(10) 내의 제1 단부(20) 및 냉각 챔버(2)에 연이어 배치된 제2 단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압력 챔버(4)는 작동 중 음료 보관용기(14)를 수용하도록 적합화되며, 덮개(5)의 개구(19)가 분배 라인(18)을 위한 안내요소로서 이용될 수 있도록 조립체(1)가 덮개(5)의 개구(19)와 분배 라인 채널(7)의 제2 단부의 개구(8)를 정렬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음료 분배용 조립체(1).
  6. 제 5 항에 있어서,
    압력 챔버(4)의 덮개(5)의 개구(19)는 본질적으로 중심배치되는(centered), 음료 분배용 조립체(1).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덮개(5)는 압력 챔버(4)로부터 이탈가능하거나 또는 그에 피봇가능하게 부착된, 음료 분배용 조립체(1).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배 라인 채널(7)의 제2 단부 및 덮개(5)는 연결수단(9 및 17)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9 및 17)은 서로에 대해 상보적이며 또한 덮개(5)를 분배 라인 채널(7)의 상기 제2 단부에 부착시키기에 적합화된, 음료 분배용 조립체(1).
  9. 제 8 항에 있어서,
    연결수단은 분배 라인 채널(7)의 제2 단부에 대한 덮개(5)의 개구(19)의 동축상 정렬(coaxial alignment)을 위하여 배치된, 음료 분배용 조립체(1).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5)의 연결수단(9 및 17) 및 분배 라인 채널(7)의 상기 제2 단부는 나사형성된 소켓(threaded socket), 스냅 연결부(snap connection), 캐치(catch), 베이오넷 커플링(bayonet coupling), 후크(hook), 지그(jig), 또는 이들의 임의적 조합을 포함하는, 음료 분배용 조립체(1).
  11. 제 5 항 내지 제 1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덮개(5)는, 음료 보관용기(14)를 상기 압력 챔버(4) 내의 작동 중 위치 내로 안내하는 안내수단(21)을 더 포함하는, 음료 분배용 조립체(1).
  12. 제 11 항에 있어서,
    개구(22)는 안내수단(21) 내에 배치되고, 안내수단(21)은 떠있도록 매달리는(floating suspended), 음료 분배용 조립체(1).
  13. 제 5 항 내지 제 12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덮개(5)는 손잡이(6)를 포함하는, 음료 분배용 조립체(1).
  14. 분배 라인(18)을 음료 보관용기(14)로부터 타워(10)로 또는 그 역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압력 챔버(4)의 덮개(5)의 이용.
KR1020087005947A 2005-08-12 2006-08-10 음료 분배기를 통하여 분배 라인을 안내하는 조립체 및방법 KR200800412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PA200501144 2005-08-12
DK200501144 2005-08-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249A true KR20080041249A (ko) 2008-05-09

Family

ID=37451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5947A KR20080041249A (ko) 2005-08-12 2006-08-10 음료 분배기를 통하여 분배 라인을 안내하는 조립체 및방법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8490836B2 (ko)
EP (2) EP1937584B1 (ko)
JP (1) JP5150491B2 (ko)
KR (1) KR20080041249A (ko)
CN (1) CN101243006B (ko)
AT (1) ATE432911T1 (ko)
AU (1) AU2006281789A1 (ko)
CA (1) CA2618194A1 (ko)
DE (1) DE602006007160D1 (ko)
DK (2) DK1937584T3 (ko)
EA (1) EA012426B1 (ko)
HR (1) HRP20090464T1 (ko)
IL (1) IL189444A (ko)
NO (1) NO20081254L (ko)
PT (2) PT2108615E (ko)
UA (1) UA94240C2 (ko)
WO (1) WO2007019851A1 (ko)
ZA (1) ZA20080224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42830A (ja) * 2019-03-06 2020-09-10 パーパス株式会社 ウォータサーバ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25075B2 (ja) 2007-08-20 2014-02-26 カールスバーグ・ブルワリーズ・エー/エス モジュール式飲料分配システム用モジュール
EP2067740A1 (en) 2007-12-04 2009-06-10 Carlsberg Breweries A/S An adapter set for use in combination with a collapsible beverage container
EP2078602A1 (en) 2008-01-09 2009-07-15 Carlsberg Breweries A/S A method of stretch-blow-moulding a beverage container
EP2082986A1 (en) 2008-01-25 2009-07-29 Carlsberg Breweries A/S A method of producing a beverage container
GB0805297D0 (en) * 2008-03-20 2008-04-30 Scottish & Newcastle Plc Beverage dispense apparatus
EP2157044A1 (en) * 2008-08-19 2010-02-24 Carlsberg Breweries A/S A method for installing a collapsible beverage container in a beverage distribution unit
EP2179961A1 (en) 2008-10-22 2010-04-28 Carlsberg Breweries A/S A valve element of a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EP2184259A1 (en) 2008-11-05 2010-05-12 Carlsberg Breweries A/S Pressure generating device for beverage dispensing system
EP2213614A1 (en) 2009-01-29 2010-08-04 Carlsberg Breweries A/S A valve element of a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EP2241531A1 (en) 2009-04-15 2010-10-20 Carlsberg Breweries A/S A method and system for pressurising and dispensing carbonated beverages
US20120058230A1 (en) 2009-04-15 2012-03-08 Jan Norager Rasmussen method and a system for pressurising and dispensing carbonated beverages
PT2504272E (pt) 2009-11-23 2014-02-17 Carlsberg Breweries As Método para a instalação de um recipiente de bebida deformável num sistema de distribuição de bebidas
EP2444365A1 (en) 2010-10-20 2012-04-25 Carlsberg Breweries A/S Method of filling a pressure generating device
WO2011157786A1 (en) 2010-06-17 2011-12-22 Carlsberg Breweries A/S Method for adsorbing propellent gas for a beer dispensing system
CN102686506B (zh) * 2010-07-15 2015-03-18 阿德Mp集团荷兰有限公司 具有接头加装件的一次性容器
PL2595914T3 (pl) 2010-07-21 2021-06-14 Carlsberg Breweries A/S Pomiar objętościowy napoju
EP2511226A1 (en) 2011-04-11 2012-10-17 Carlsberg Breweries A/S A method of preventing bacterial growth in a beverage dispensing system
EP2786960A1 (en) 2013-04-05 2014-10-08 Carlsberg Breweries A/S Constant flow rate throttle for a beer dispenser
WO2014184314A1 (en) 2013-05-17 2014-11-20 Carlsberg Breweries A/S Method of manufacturing a beverage dispensing system including a gas supply
EP3214036A1 (en) * 2016-03-02 2017-09-06 Anheuser-Busch InBev S.A. Beverage tap with removable tube and valve
EA036451B1 (ru) 2017-03-10 2020-11-12 Карлсберг Брюэрис А/С Система розлива напитков, узел розлива напитка, способ эксплуатации системы розлива напитка и герметизированный кожух
DK3601148T3 (da) 2017-03-27 2021-11-22 Carlsberg Breweries As Dispenseringssystem til drikkevarer til dispensering af en kulsyreholdig drik og fremgangsmåde til dispensering af en kulsyreholdig drik
WO2019077057A1 (en) 2017-10-19 2019-04-25 Carlsberg Breweries A/S BEVERAGE DISTRIBUTION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PRESSURE CHAMBERS
US11034569B2 (en) 2018-02-14 2021-06-15 Taphandles Llc Cooled beverage dispensing systems and associated devices
AU2020223491A1 (en) 2019-02-12 2021-07-22 Carlsberg Breweries A/S Monitoring of a beverage dispensing system
CA3194787A1 (en) 2020-10-05 2022-04-14 Peter Bach A digital beverage font lens
EP4219626A1 (en) 2022-01-27 2023-08-02 Carlsberg Breweries A/S Collapsible beverage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e
EP4234478B1 (en) 2022-02-25 2024-12-18 Carlsberg Breweries A/S Cooling arrangement for a beverage dispensing system
EP4234479A1 (en) 2022-02-25 2023-08-30 Carlsberg Breweries A/S Exchangeable applicator for inserting a flexible line and a dispensing valve in a beverage tapping head
EP4234480A1 (en) 2022-02-25 2023-08-30 Carlsberg Breweries A/S Multi-directional tap handle for beverage dispensing systems
EP4311805A1 (en) 2022-07-27 2024-01-31 Carlsberg Breweries A/S Connector for beverage dispense lin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8000106L (sv) * 1980-01-07 1981-07-08 Gosta Bostrom Anordning for utskenkning av drycker, sasom mjolk, juice etc
JPH0692394A (ja) * 1992-09-02 1994-04-05 Takuma Co Ltd 液体供給装置
US6454131B1 (en) * 1998-08-31 2002-09-24 Heineken Technical Services B.V.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NL1015359C2 (nl) * 2000-05-31 2001-12-03 Heineken Tech Services Tapinrichting en houder daarvoor, alsmede werkwijze voor vervaardiging daarvan.
NL1015368C2 (nl) * 2000-05-31 2001-12-12 Heineken Tech Services Drankafgiftesamenstel alsmede houder voor drank, in het bijzonder koolzuurhoudende drank, en drankafgifteleiding voor toepassing in een dergelijk samenstel.
NL1019054C2 (nl) * 2001-09-28 2003-03-31 Heineken Tech Services Drankafgifte-inrichting voorzien van een tweevoudige sluiting.
CN100558626C (zh) * 2003-05-06 2009-11-11 嘉士伯酿酒有限公司 一种分配饮料的方法及其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42830A (ja) * 2019-03-06 2020-09-10 パーパス株式会社 ウォータサーバ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2108615T3 (da) 2012-11-19
EP2108615A3 (en) 2010-04-07
JP5150491B2 (ja) 2013-02-20
EP2108615A2 (en) 2009-10-14
WO2007019851A1 (en) 2007-02-22
HRP20090464T1 (en) 2009-09-30
EA200800580A1 (ru) 2008-06-30
US20100206906A1 (en) 2010-08-19
UA94240C2 (ru) 2011-04-26
EA012426B1 (ru) 2009-10-30
PT2108615E (pt) 2012-11-02
JP2009504515A (ja) 2009-02-05
PT1937584E (pt) 2009-08-12
CN101243006A (zh) 2008-08-13
CA2618194A1 (en) 2007-02-22
AU2006281789A1 (en) 2007-02-22
EP2108615B1 (en) 2012-08-08
ZA200802240B (en) 2009-11-25
IL189444A (en) 2011-10-31
ATE432911T1 (de) 2009-06-15
EP1937584B1 (en) 2009-06-03
US8490836B2 (en) 2013-07-23
EP1937584A1 (en) 2008-07-02
DK1937584T3 (da) 2009-10-12
NO20081254L (no) 2008-05-06
CN101243006B (zh) 2012-01-11
DE602006007160D1 (de) 2009-07-16
IL189444A0 (en) 2008-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41249A (ko) 음료 분배기를 통하여 분배 라인을 안내하는 조립체 및방법
JPH0662195B2 (ja) 液体容器の支持体および液体の衛生的ディスペンス機構
CZ280600B6 (cs) Zařízení na přípravu kávy
US10974950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and dispensing liquids
US5814743A (en) Device for taking samples of noxious liquids, particularly liquids charged with solid particles
TR201802863T4 (tr) Bir pota ara borusunu bir toplayıcı ağızlığına çözülebilir şekilde bağlamak için bağlantı tertibatı, kendinden destekli pota ara borusu, bunun kiti ve bir pota ara borusunu bir toplayıcı ağızlığına bağlamak için yöntem.
US5738396A (en) Universal latch system for railroad car hatch covers
KR101004004B1 (ko) 잠금식 이중 맨홀덮개
KR101969466B1 (ko) 케미컬 공급 설비의 필터 교체 장치
US10954682B2 (en) Tool for cleaning a pool, particularly in a radioactive environment, comprising a tank
US20040216274A1 (en) Releasable hinge clamp
KR20230120791A (ko) 심도별 정밀채취가 가능한 수동형 지하수 시료 채취 장치
EP2934608B1 (en) Sterilisation machine for reprocessing an endoscope
ITMI20061483A1 (it) Dispositivo per connettere un'unita' mobile di mungitura con il lattodotto,il tubo del latte e l'alimentazione elettrica
KR102135636B1 (ko) 원자로 상부구조물 인양기구의 상부렌치와 하부렌치의 체결구조
KR101454741B1 (ko) 용해로의 로 뚜껑 개폐장치
CN212184596U (zh) 一种果树辅助定量授粉装置
CA2639520A1 (en) Containment device and method for use in cleaning of an oil tank
CN114130904A (zh) 一种模具切换用存放装置
AU2022285881A1 (en) A filtration system with a lifting arrangement for membranes
KR20250001712A (ko) 저압접속함의 뚜껑 개폐기구
GB2195491A (en) Apparatus for cleaning analytical equipment at radioactive work places
JPS61115889A (ja) 漏洩防止装置を備えた液体移し換え装置
ITMI20020218U1 (it) Copertura igienica per dispositivo erogatore di liquido a chiusura garantita ed apertura facilitata
JP2003327298A (ja) 液体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1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