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39332A - 기록/재생 장치 및 관련 콘텐츠 표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기록/재생 장치 및 관련 콘텐츠 표시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9332A
KR20080039332A KR1020077010338A KR20077010338A KR20080039332A KR 20080039332 A KR20080039332 A KR 20080039332A KR 1020077010338 A KR1020077010338 A KR 1020077010338A KR 20077010338 A KR20077010338 A KR 20077010338A KR 20080039332 A KR20080039332 A KR 20080039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layback
track
function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0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다유키 사노
도모미 쓰치야
히로시 이토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9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93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생 모드가 셔플 재생 모드인 경우, 복수 개의 선택 후보 정보 중 소정 수의 선택 후보 정보가 소정 시간 동안 표시부 상에 차례로 바뀌면서 표시되도록 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록/재생 장치를 제공한다. 셔플 재생 모드에서, 표시부 상에 선택 후보 정보가 차례로 바뀌도록 표시되면, 사용자는 이와 같은 순차 표시를 보는 것으로 현재의 재생 모드가 셔플 재생 모드인 것을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순차 표시에 의하면, 랜덤 선택을 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셔플 재생 모드 동안 이러한 순차 표시가 수행됨으로써, 셔플 재생이 가지는 오락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기록/재생 장치 및 관련 콘텐츠 표시 제어 방법{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ASSOCIATED CONTENT DISPLAY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기록/재생 장치와 그 표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배경기술"의 설명은, 본 발명의 내용을 일반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출원시에 종래기술로서 달리 한정되지 않은 본 명세서의 특징들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에 개시된 현재의 발명자의 성과는, 본 발명에 대한 종래 기술로서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된다.
종래부터, 반도체 메모리 등의 소형의 기록 매체를 내장한 소형의 휴대형 기록/재생 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형의 기록/재생 장치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 처리 장치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여, 정보 처리 장치에 저장된 악곡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서 내부에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때, 정보 처리 장치에 있는 악곡 데이터는 전용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의해 관리된다. 즉, 이와 같은 전용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정보 처리 장치에 설치되어 있으면, CD(Compact Disc) 등으로부터 악곡 데이터를 읽어들여서, 편집하는 것(예를 들면, 악곡 데이터를 앨범 단위로 구분하거나, 플레이 리스트를 작성하는 것 등)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으로서는, 정보 처리 장치에 저장된 악곡 데이터를 기록/재생 장치 측에 다운로드하는 기능을 구비한 것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화면상에 표시된 안내에 따른 조작을 행함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기록/재생 장치로의 악곡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이와 같은 휴대형의 기록/재생 장치에서, 최근의 기록 매체의 대용량화에 따라, 악곡 데이터의 저장 용량에 대해서도 대용량화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기록매체로서 반도체 메모리를 구비하는 휴대형의 기록/재생 장치라도, 기억 용량은 수백 MB(메가바이트)부터 수 GB 정도까지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악곡 데이터는 몇백 곡에서 천곡 정도까지 축적 가능한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대량의 악곡 데이터가 축적되는 경우, 모든 악곡 데이터를 재생의 대상으로 하고 항상 같은 순서로 악곡을 재생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좋아하는 곡을 검색하는데 시간이 걸리거나, 또 같은 순서로 재생되는 것에 대해 싫증을 느낄 가능성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적어도 콘텐츠 데이터와 그 부가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구성된 재생부를 포함하는 기록/재생 장치를 제공한다.
셔플 재생 모드가 선택될 때, 복수 개의 선택 후보 대상 정보를, 콘텐츠 데이터에 따라, 소정의 시간 동안 표시부에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서는, 기록/재생 장치용의 표시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셔플(shuffle) 재생 모드가 선택된다. 복수 개의 선택 후보 대상 정보는, 소정의 시간 동안, 재생 장치에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표시된다.
본 발명의 앞서 설명한 일반적인 내용과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보다 완전한 이해와 이에 따른 장점에 대해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재생 시스템의 상위 레벨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 구조도이다.
도 5는 재생 횟수 순서 리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아티스트 링크 리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발매 연도 리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재생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재생 장치의 외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재생 장치의 재생(수신)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기록/재생 장치의 각종 재생(수신) 기능을 선택할 때의 조작 단계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의 (a)~(d)는 아티스트 재생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의 (a)~(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앨범 재생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의 (A)~(f)는 내가 즐겨듣는 셔플 재생시의 화면 전환에 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의 (a)~(g)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아티스트 링크 셔플 재생시의 화면 전환에 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의 (a)~(f)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타임머신 셔플 재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의 (a)~(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스포츠 셔플 재생에 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가 즐겨듣는 셔플 재생시에 대응하여 행해지는 처리 동작에 대하여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티스트 링크 셔플 재생시에 대응하여 행해지는 처리 동작에 대하여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임머신 셔플 재생시에 대응하여 행해지는 처리 동작에 대하여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순차 표시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록/재생 장치 측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에 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의 (a)~(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부의 재생 기능의 실행을 불가능하게 하는 경우의 표시예에 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종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기능의 실현을 위해 행해지는 처리 동작에 대하여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몇몇 도면에서 동일한 요소를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재생 시스템(1)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본 실시예의 기록/재생 시스템(1)은, 적어도, 기록/재생 장치(2), 퍼스널 컴퓨터(3), 서버 장치(4), 네트워크(5), 및 광디스크(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록/재생 장치(2)는, 예컨대 휴대형의 기기이다. 또한, 기록매체로서,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를 내장한 구성이 사용된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3)는, 본 발명에서의 정보 처리 장치이며,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케이블 등을 통하여 기록/재생 장치(2)와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3)는, 네트워크(5)를 통하여 접속된 외부 장치[서버 장치(4)]와의 사이에서도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많은 무선 및 유선 기술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동작에 있어서, 본 발명은, 본 실시예의 기록/재생 시스템(1)에서, 퍼스널 컴퓨터(3) 내의 광디스크(100)로부터 인출(fetch)된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재생 장치(2)에 다운로드하고, 이것을 재생하는 사용 형태를 상정하고 있다.
이 경우, 광디스크(100)는 음악 CD(Compact Disc)로 하며, 콘텐츠 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로 상정한다.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퍼스널 컴퓨터(3)에는, 본 실시예의 기록/재생 시스템(1)의 사용 형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가 설치된다.
이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은, 광디스크(100)로부터 콘텐츠 데이터의 인출, 인출된 콘텐츠 데이터의 편집, 및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재생 장치(2)에 다운로드하는 것을 일괄하여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이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작동시켜 그 지시에 따른 조작을 행함으로써, 광디스크(100)로부터 퍼스널 컴퓨터(3)에의 콘텐츠 데이터의 인출 및 인출된 콘텐츠 데이터의 편집(예를 들면, 콘텐츠 데이터를 앨범 단위로 구분하는 것, 플레이 리스트를 작성하는 것, 콘텐츠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 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은, 기록/재생 장치(2)가 퍼스널 컴퓨터(3)에 접속되었을 때에, 조작에 따라 퍼스널 컴퓨터(3) 측에 축적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재생 장치(2) 측에 다운로드하는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은, 광디스크(100)로부터 인출한 콘텐츠 데이터를, 예를 들면 ATRAC(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ding) 방식이나 MP3(MPEG Audio Layer 3) 방식 등과 같은 소정의 압축 부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압축 및 부호화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기록/재생 장치(2)에 많은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에 의해, 광디스크(100)로부터 인출된, 악곡명(트랙 이름), 수록 앨범명, 아티스트명 등의 콘텐츠 부가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종래부터, 광디스크(100)로부터 추출한 정보에 기초하여, 그 수록 곡에 대한 부가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CD의 TOC(Table 0f Contents) 데이터에는, CD에 수록되어 있는 트랙 수(곡의 수), 각 트랙의 어드레스(절대 시간 정보), 총 연주 시간 등이 기록되어 있다. 이것은 통상, 동일 타이틀의 CD는 동일한 데이터를 갖지만, 상이한 타이틀의 CD에서는 모든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는 거의 생기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TOC 데이터로부터, CD 타이틀에 고유한 코드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고유 코드에 대응하여 각 타이틀의 각 트랙에 대한 부가 정보를 저장한 악곡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대상이 되는 CD로부터 생성한 고유 코드에 기초하여, 그 수록 곡에 대한 부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악곡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5)에 접속된 서버 장치(4) 내에 구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도면 중 악곡 정보 데이터베이스(4a)].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은, 설치된 광디스크(100)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를 인출하기 위한 지시에 따라, 이 설치된 광디스크(10O) 내의 TOC 데이터에 기초하여 고유 코드를 생성한다. 그리고, 서버 장치(4)에 액세스하여, 고유 코드를 검색 조건으로 하여 악곡 정보 데이터베이스(4a)를 조회함으로써, 설치된 광디스크(100)에 수록되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를 취득한다.
이후, 광디스크(100)로부터 인출된 콘텐츠 데이터와 취득한 부가 정보가 서로 대응되어 관리되도록, 관리 정보가 생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광디스크(100)에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를 악곡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술은 이미 공지된 것이기 때문에, 그 구체적인 동작에 대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는 생략한다.
또한, 여기서는 악곡 정보 데이터베이스(4a)가 네트워크(5)를 통하여 퍼스널 컴퓨터(3)에 접속된 서버 장치(4)에 구축되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있지만, 퍼스널 컴퓨터(3)가 악곡 정보 데이터베이스(4a)의 전부 또는 일부를 구비하도록, 악곡 정보 데이터베이스(4a)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하여 퍼스널 컴퓨터(3)에 축적되며 부가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는, 기록/재생 장치(2)에 다운로드되고, 기록/재생 장치(2)에 내장된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이에 의하여, 기록/재생 장치(2)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재생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트랙 이름, 앨범명, 또는 아티스트명 등의 부가 정보의 표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퍼스널 컴퓨터(3)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상위 레벨의 블록도이다. 도 2에서, 먼저, CPU(21)는, 작동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퍼스널 컴퓨터(3)의 전체적인 제어 및 연산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CPU(21)는, 사용자에게 대한 입출력 동작, HDD(30)에의 데이터 파일의 저장, 관리 정보의 작성 및 갱신 등을 행한다.
CPU(21)는, 도 2에 도시된 버스(36)를 통하여 각 구성요소 사이에서 제어 신호나 데이터의 교환을 수행한다.
메모리부(22)는, CPU(21)의 연산 및 제어 처리에 사용하는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괄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메모리부(22)의 ROM에는, CPU(21)의 동작 프로그램, 프로그램 로더 등이 기억된다. 또한, 메모리부(22)의 플래시 메모리에는, 각종 산술 연산 계수,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파라미터 등이 기억된다.
또한, 메모리부(22)의 RAM에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 영역 및 태스크 영역이 일시적으로 확보된다.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23)는, 퍼스널 컴퓨터(3)가 USB 케이블을 통하여 접속된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행하도록 한다. 특히, 이 경우, USB 인터페이스(23)를 통하여, 도 2에 나타낸 기록/재생 장치(2)와의 사이에서 오디오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HDD(30)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CPU(21)의 제어에 기초하여 데이터 파일의 저장이나 관리 정보의 작성 및 갱신 등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광디스크(100)로부터 인출된 콘텐츠 데이터가 HDD(30)에 저장된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경우의 콘텐츠 데이터는, 악곡 정보 데이터베이스(4a)로부터 취득한 부가 정보에 대응되어 관리된다. 이와 같이, 콘텐츠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콘텐츠 관리 정보도 HDD(30)에 기록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HDD(30)에 기록되는 콘텐츠 데이터와 콘텐츠 관리 정보를, 콘텐츠 데이터베이스(30b)의 형태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HDD(30)에는, 퍼스널 컴퓨터(3)가 각종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도 저장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에,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콘텐츠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이 HDD(30)에 저장된다. 그리고, 이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에 의해 실현되는 각종 기능 동작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입력부(25)는, 퍼스널 컴퓨터(3)에 구비되는 키보드, 마우스, 또는 리모트 커맨더, 그 외의 적절한 입력 기기(도시하지 않음)이다. 사용자는 이러한 입력부(25)를 사용하여 각종 조작 입력이나 데이터 입력을 행한다. 입력부(25)를 통해 입력된 정보는, 입력 처리부(24)에서 소정의 처리가 행해지고, 조작 또는 데이터의 입력으로서 CPU(21)에 전달된다. CPU(21)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여 필요한 연산이나 제어를 행한다.
매체 드라이브(29)는, 예를 들면 CD, MD(Mini Disc: 광자기 디스크), CD-R(Recordable), CD-RW(ReWritable), DVD(Digital Versatile Disc), DVD-R, DVD-RW 등의 광디스크, 또는 메모리 카드(이동식 매체로서의 반도체 메모리 기기) 등의 기록 매체에 대응하는 드라이브 기능부이며, 이들 매체에 대한 기록/재생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매체 드라이브(29)가 본 실시예의 광디스크(100)와 같은 CD 계통의 디스크 매체에 대응하는 경우, 이 매체 드라이브(29)에는, 예를 들면 광학 헤드, 스핀들 모터, 재생 신호 처리부, 서보 회로 등이 포함된다.
드라이브 제어부(28)는, 매체 드라이브(29)에 로딩된 미디어에 대한 기록/재생 동작, 액세스 동작 등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입력부(25)를 통하여 매체 드라이브(29)에 로딩된 매체에 대한 재생 조작을 행하는 경우, CPU(21)는 드라이브 제어부(28)에 매체의 재생을 지시한다. 그러면, 드라이브 제어부(28)는, 매체 드라이브(29)에 대해서 액세스 동작이나 재생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매체 드라이브(29)에서는, 판독한 재생 데이터를 드라이브 제어부(28)를 통하여 버스(36)에 전달한다.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33)는, CPU(21)의 제어에 따라,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하여, 이퀄라이징 등의 음장(sound field) 처리나 음량(sound volume) 조정과, D/A 변환, 증폭 등의 처리를 행하고, 그 결과 데이터를 스피커부(34)를 통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면, 매체 드라이브(29)에 의해 판독된 오디오 데이터, 또는 HDD(3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콘텐츠 데이터)가 재생될 때는, 이 오디오 데이터가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33)에서 처리된 후, 스피커부(34)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된다.
그리고, HDD(30) 내의 콘텐츠 데이터베이스(30b)에 저장되는 콘텐츠 데이터는, 소정의 압축 부호화 방식에 의해 압축 부호화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이 압축 부호화 데이터는 후술하는 압축 부호화 복호부(35)에서 복호되고, 그 결과 데이터가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33)에 공급된다.
디스플레이 기기(27)는, 예를 들면 액정 패널 등의 표시 기기이며,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CPU(21)가 각종 동작 상태, 입력 상태, 통신 상태에 따라, 표시 정보를 표시 처리부(26)에 제공하면, 표시 처리부(26)는 제공된 표시 데이터에 따 라 디스플레이 기기(27)를 구동시켜 표시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한다.
또한, 매체 드라이브(29)에 로딩된 매체로부터 또는 HDD(30)로부터 영상 데이터가 재생된 경우에는, 표시 처리부(26)는, 이 재생 데이터에 대한 신호 처리를 행하고, 이에 의하여 얻어진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기기(27)를 구동시킴으로써 영상 표시를 실행시킨다.
통신 처리부(31)는, CPU(21)의 제어에 따라, 송신 데이터의 부호화 처리, 수신 데이터의 복호 처리를 행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는, 통신 처리부(31)에서 부호화된 송신 데이터를, 도 1에 나타낸 네트워크(5)를 통하여 소정의 기기, 예를 들면 서버 장치(4)에 송신한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는, 네트워크(5)를 통하여 서버 장치(4) 등의 외부 기기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통신 처리부(31)에 전달한다.
통신 처리부(31)는 수신한 정보를 CPU(21)에 전송한다.
압축 부호화 복호부(35)는, 제공받은 오디오 데이터를 소정의 압축 부호화 방식에 의해 압축 부호화하고, 소정의 압축 부호화 방식에 의해 압축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복호 처리를 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압축 부호화 복호부(35)가 하드웨어로서 구성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압축 부호화 복호부(35)의 동작은 CPU(21)의 소프트웨어 처리에 의해 실현할 수도 있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3)의 구성은 도 3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더욱 다양한 구성을 채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폰이나 외부의 헤드폰의 접속에 사용되는 단자, DVD의 기록/재생에 대응하는 비디오 입출력 단자, 라인 접속 단자(소니/필립스 디지털 인터페이스), 또는 SPDIF 단자 등을 포함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기능)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이 도면에서는, 콘텐츠 데이터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 중에서, 본 실시예에 의한 동작 실현에 관한 기능에 대해서만 나타내고, 다른 기능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텐츠 데이터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에 의한 주요 기능으로서는, 콘텐츠 인출 기능, 부가 정보 취득 기능, 재생 횟수 카운트 기능, 각종 리스트의 생성 기능, 및 콘텐츠 다운로드 기능이 있다.
콘텐츠 인출 기능은, 광디스크(100)에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를 HDD(30)에 가져오는 기능이다.
즉, 이 콘텐츠 인출 기능으로서, CPU(21)는, 드라이브 제어부(28)에 대하여, 광디스크(100)가 매체 드라이브(29)에 로딩되는 것에 따라 광디스크(100)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를 인출할 것을 지시하고, 드라이브 제어부(28)는 광디스크(100)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를 판독한다. 이와 관련하여, CPU(21)는, 지시에 따라 광디스크(100)로부터 판독한 데이터를 압축 부호화 복호부(36)에 공급하여 압축 부호화 처리를 행한 후에, 그 결과 데이터를 HDD(30)에 기록할 것을 지시한다.
또한, 이 인출 기능으로서, 광디스크(100)에 곡 단위(트랙 단위)로 기록되는 콘텐츠 데이터 중에서, 인출할 트랙을 선택할 수 있다.
부가 정보 취득 기능은,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네트워크(5)를 통하여 퍼스널 컴퓨터(3)에 접속된 서버 장치(4) 내의 악곡 정보 데이터베이스(4a)로부터, 콘텐츠 데이터의 부가 정보를 취득하고, 이것을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시켜 관리하는 기능이다.
부가 정보를 취득하는데 있어서, CPU(21)는, 로딩된 광디스크(100)의 콘텐츠 데이터의 인출 지시 등에 따라, 이 로딩된 광디스크(10O)의 TOC 데이터[트랙 수(곡 수), 각 트랙의 어드레스(절대 시간 정보), 총연주 시간]에 기초하여 앞서 설명한 고유 코드를 생성한다.
또한, 이와 동시에, CPU(21)는, 통신 처리부(31)에 지시를 행하여, 서버 장치(4)와의 접속을 확립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악곡 정보 데이터베이스(4a)에는, 각 타이틀의 고유 코드에 대응하여 그 타이틀의 CD에 기록된 각 트랙에 대한 부가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CPU(21)는, 접속이 확립된 서버 장치(4)에 대해서 이 고유 코드와 함께 커맨드를 송신하여, 이 고유 코드를 검색 조건으로 하여 악곡 정보 데이터베이스(4a)를 조회하도록 지시한다. 이에 따라, 서버 장치(4)로부터, 이 고유 코드에 대응하여 저장된 각 트랙마다의 부가 정보가 회신된다. 이에 의하여, 퍼스널 컴퓨터(3)는, 로딩된 광디스크(100)에 기록된 각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를 취득한다.
이후, CPU(21)는, 콘텐츠 인출 기능에 의해 광디스크(100)로부터 인출된 콘 텐츠 데이터(각 트랙)와, 취득한 부가 정보가 서로 대응되어 관리되도록, 콘텐츠 관리 정보를 생성(또는 갱신)하여 콘텐츠 데이터를 관리하게 된다.
도 4는, 이 경우에 생성되는 콘텐츠 관리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각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도록 된 부가 정보에는, 트랙 이름, 트랙 이름의 일본식 발음, 아티스트명, 아티스트명의 일본식 발음, 앨범명, 앨범명의 일본식 발음, 장르, 재생 횟수, 발매 연도, 관련 아티스트에 대한 다수의 정보가 있다.
이들 중에서, "재생 횟수" 이외의 각각의 정보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악곡 정보 데이터베이스(4a)로부터 취득한 부가 정보로 된다. 그리고, "재생 횟수"의 정보는, 후술하는 재생 횟수 카운트 기능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3)에서 생성되는 정보이다. 이 "재생 횟수"의 정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4에서, "트랙 이름"은, 하나의 트랙을 형성하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도록 된 정보이며, 그 콘텐츠 데이터가 재생되어 연주되는 악곡의 타이틀에 대한 정보이다.
또 "트랙 이름의 일본식 발음"은, 트랙 이름의 정보를 일본 음절표의 순서로 정렬시킬 때 등에 사용하는 정보이며, 트랙 이름의 읽기를 히라가나 또는 가타카나 등으로 표기한 정보이다. 그리고, 이하의 항목에 있어서도 "일본식 발음"은, 각 항목의 읽기를 히라가나 또는 가타카나로 표기한 것이다.
또한, "아티스트명"은, 그 트랙으로서의 악곡을 가창, 연주, 작곡, 작사, 제 작 등을 하는 아티스트의 성명 정보이다. "앨범명"은 그 악곡이 수록되어 있는 음악 앨범(싱글의 경우도 있음) 명칭이다.
또한, "장르"는, 그 악곡이 속하는 음악 장르(예를 들면 팝, 락, 재즈, 엔카 등)의 명칭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발매 연도"는 그 악곡이 발매(시장에 판매)된 연도의 정보이다.
또한, "관련 아티스트"는, 그 아티스트와 관련되는 것으로 정해진 아티스트의 성명 정보이다.
예를 들면, "A"라는 아티스트명이 밴드의 이름이며, 또한 그 "A"라는 밴드의 각각의 멤버가 솔로로 CD를 발매한 경우에는, 이들 멤버의 이름이 그 "A"라는 밴드의 관련 아티스트의 정보로 될 수 있다.
또한, "C"라는 아티스트가 "D"라는 아티스트가 제작한 CD를 발매한 적이 있고, 또한 그 제작한 "D"라는 아티스트 자신도 CD를 발매한 경우에는, 이 아티스트 "D"가 아티스트 "C"의 관련 아티스트의 정보로 될 수 있다.
CPU(21)는,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부가 정보에 대해서 콘텐츠 ID의 정보를 대응시켜 콘텐츠 관리 정보를 생성한다.
이 콘텐츠 ID는, HDD(30a)에 저장되는 각 트랙으로서의 콘텐츠 데이터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즉, 이와 같은 대응 관계에 의해, 각 트랙과 각 부가 정보의 대응 관계가 실현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일본식 발음"의 정보는, 악곡 정보 데이터베이스(4a)로부터 취득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들 "일본식 발음"의 정보는 트랙 이름, 아티스트명, 앨범명의 각 정보에 기초하여, 퍼스널 컴퓨터(3)에서 생성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예를 들면, 트랙 이름, 아티스트명, 앨범명에 대하여, 그 일본식 발음의 정보를 미리 저장한 사전 데이터를 사용하면, 이들 항목에 대한 일본식 발음의 정보를 퍼스널 컴퓨터(3)가 스스로 취득할 수 있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재생 횟수 카운트 기능은, 각 콘텐츠 데이터가 재생되는 횟수를 카운트하고, 그 재생 횟수 정보를 각 콘텐츠 데이터의 부가 정보로서 대응시키는 기능이다.
이 재생 횟수 카운트 기능으로서, CPU(21)는, HDD(30)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이 행해질 때마다, 도 4에 나타낸 콘텐츠 관리 정보에서, 그 콘텐츠 데이터의 콘텐츠 ID에 대응시킬 수 있는 재생 횟수의 값을 증가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이에 의하여, 각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횟수가 관리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재생 횟수의 정보는, 사용자가 어느 곡을 선호하여 듣는지를 추측하기 위한 지표로서 사용되지만, 이 경우, 재생을 정의하는 방법에 따라, 사용자의 기호를 포함하지 못하는 결과를 얻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재생"에, 콘텐츠 데이터가 일시적으로만 재생된 경우도 포함하게 되면, 사용자가 실제로 들어보고 선호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스킵한 곡도 "재생"된 것으로서 취급되어, 이 점에서 실제로 사용자의 기호를 반영한 정보가 되지 못하게 될 경우가 있다. 이것을 고려하여, 재생 횟수 카운트 기능에서의 "재생"은, 소정 시간 이상 스킵되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하는 등, 실제로 사용자의 기호를 반영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또한, 재생 횟수 카운트 기능으로서, 재생 횟수는 증가할 뿐만 아니라, 감소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소정 시간 이내에 스킵된 곡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곡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그 곡의 재생 횟수의 값을 소정 값만큼 감소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3에서, 각종 리스트의 생성 기능은, 후술하는 기록/재생 장치(2)에서의 각종 재생 기능의 실현에 필요한 각종 리스트를 생성하는 기능이다.
이 경우, 각종 리스트로서, 재생 횟수 순서 리스트, 아티스트 링크 리스트, 발매 연도 리스트, 및 플레이 리스트를 생성하도록 된다.
이 중에서, 플레이 리스트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선택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트랙을 단위로 하는 리스트이다. 즉, 이 플레이 리스트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그 생성을 지시하는 리스트이다.
한편, 플레이 리스트 이외의 각 리스트는, 후술하는 기록/재생 장치(2)에서의 각종 재생 기능의 실현에 제공될 수 있도록,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하는 리스트이다.
먼저, 재생 횟수 순서 리스트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트랙을 재생 횟수의 순서로 정렬시킨 리스트이다. 즉, 이 리스트에 의해, 각 트랙을 그 재생 횟수가 감소하는 순서로 관리할 수 있다.
이 재생 횟수 순서 리스트의 생성에 있어서, CPU(21)는, 도 4에 나타낸 콘텐츠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트랙 이름과 이에 대응하는 콘텐츠 ID의 정보를, 재생 횟수가 감소하는 순서로 정렬시킨 리스트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되는 재생 횟수 순서 리스트는, 예를 들면 HDD(30)에 저장된다.
또한, 아티스트 링크 리스트는, 어떤 아티스트와, 그 아티스트와 관련되는 것으로서 미리 정해진 관련 아티스트의 모든 트랙(곡)을 하나의 재생 대상 범위로서 재생을 할 때에 사용되는 리스트이다. 예를 들면, 앞에 설명한 예를 참조하여 말하면, 밴드로서의 아티스트 "A"의 모든 트랙과 그 밴드의 개개의 멤버의 모든 트랙을 재생 대상 범위로 하여 재생하는 것이다.
이 아티스트 링크 리스트는, 각 아티스트명마다, 상기와 같은 "아티스트 + 관련 아티스트"로 된 편성 단위인 유닛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생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리스트를 생성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어떤 아티스트를 선택함으로써, 그 아티스트와 그 아티스트의 관련 아티스트로 이루어진 유닛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이와 같은 아티스트 링크 리스트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서, 키(Key) Art1, 키 Art2 등으로 나타낸 각각의 "키 Art"(여기서, 'Art'는 아티스트의 약자이다)는, 도 4의 콘텐츠 관리 정보에서의 각 "아티스트명"의 정보가 된다. 즉, 이 아티스트 링크 리스트의 제1 계층에는, 도 4의 콘텐츠 관리 정보 내에 존재하는 모든 아티스트명의 정보가 정렬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이 아티스트 링크 리스트는, 어떤 아티스트를 선택함으로써, 그 아티스트 및 그 아티스트의 관련 아티스트로 이루어진 유닛을 선택할 수 있게 생성된다. 그 의미로서, 제1 계층에 있는 아티스트명의 정보를, 여기서는 "키 Art"로서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키 Art로서의 개개의 아티스트명의 정보가 정렬된 제1 계층에 후속하는 제2 계층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계층의 각각의 키 Art마다, 그 키 Art의 정보와, 그 키 Art의 관련 아티스트(관련 Art) 정보가 정렬된다. 즉, 제2 계층에는, 제1 계층의 키 Art로서의 아티스트명의 정보와, 도 4의 콘텐츠 관리 정보 내의 그 아티스트명의 정보에 대응되어 "관련 아티스트"로서 저장되어 있는 관련 아티스트의 정보가 정렬된다.
또한, 제3 계층에는, 제2 계층에서의 각 아티스트마다, 그 아티스트명이 대응하는 트랙 이름의 정보가 정렬된다. 즉, 이 제3 계층에는, 제2 계층에서의 키 Art 또는 관련 Art로서의 아티스트명마다, 그 아티스트명의 정보가 도 4의 콘텐츠 관리 정보에서 "아티스트명"으로서 저장된 트랙 이름의 정보가 정렬된다.
이 아티스트 링크 리스트의 생성 기능으로서, CUP(21)는, 도 4에 나타낸 콘텐츠 관리 정보에 존재하는 모든 아티스트명의 정보를, 앞서 설명한 키 Art의 정보로서 취득한다. 또한, CPU(21)는, 이들 키 Art로서의 아티스트명마다, 그 관련 아티스트의 정보를 관리 정보로부터 취득하고, 제1 계층의 키 Art로서의 아티스트명의 정보마다, 그 아티스트명의 정보와 취득한 관련 아티스트의 정보를 서로 대응시킨다(제2 계층). 이후, CPU(21)는, 이와 같이 제1 계층의 키 Art와 대응시킨 아티스트명, 관련 아티스트의 정보마다, 그 명칭 정보가 "아티스트명"의 정보로서 대응되는 "트랙 이름"의 정보를 취득하여, 이것을 각각에 대응시킨다(제3 계층).
그리고, 아티스트에 따라, 관련 아티스트의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상 정할 수 있으나, 그 경우에는, 제2 계층이 키 Art의 아티스트명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생성하면 된다.
또한, 발매 연도 리스트는, 다음의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트랙을 발매 연도별로 정렬시킨 리스트이다.
이 발매 연도 리스트의 생성 기능으로서, CPU(21)는, 도 4에 나타낸 콘텐츠 관리 정보 내에 존재하는 각 발매 연도의 정보마다, 그 발매 연도의 정보를 부가 정보로서 가지는 트랙 이름의 정보를 취득하고, 각 발매 연도의 정보마다 이 취득한 트랙 이름의 정보를 대응시킨 리스트를 생성한다.
이와 같은 발매 연도 리스트에 기초하여, 각 트랙을 발매 연도별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콘텐츠 다운로드 기능은, HDD(30)에 콘텐츠 데이터베이스(30b)로서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 및 콘텐츠 관리 정보와, 도 5~도 7에서 설명한 각종 리스트(재생 횟수 순서 리스트, 아티스트 링크 리스트, 발매 연도 리스트)를, 도 1에 나타낸 기록/재생 장치(2)에 다운로드하기 위한 기능이다.
이 콘텐츠 다운로드 기능으로서, CPU(21)는, USB 케이블을 통하여 기록/재생 장치(2)에 접속되고, 도 2에 나타낸 USB 인터페이스(23)를 통한 기록/재생 장치(2)와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상태에서, HDD(30)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 콘텐츠 관리 정보, 및 각종 리스트의 정보를 차례로 판독하며, 이들을 USB 인터페이스(23)를 통하여 기록/재생 장치(2) 측에 전송하는 동시에, 이들 정보에 대한 기록 지시를 행한다.
이에 의하여, 기록/재생 장치(2) 측에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에 필요한 정보가 다운로드된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3) 측으로부터 기록/재생 장치(2)에의 다운로드가 이미 행해진 경우 등에는, 퍼스널 컴퓨터(3)에서 이전의 다운로드시부터 HDD(30)에 추가된 콘텐츠 데이터와 그 부가 정보에 대해서만 기록/재생 장치(2)에 다운로드를 하도록 하면 된다. 이 경우, 각종 리스트의 정보로서, 이 추가분의 콘텐츠 데이터의 부가 정보에 따라 갱신된 정보가 기록/재생 장치(2) 측에 다운로드된다.
또한, 콘텐츠 다운로드 기능으로서, HDD(30)에 저장되는 모든 트랙 중에서, 선택된 트랙만이 기록/재생 장치(2) 측에 다운로드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4에 나타낸 콘텐츠 관리 정보로서, 선택된 트랙에 대한 관리 정보만을 기록/재생 장치(2) 측에 다운로드한다. 또한, 이 선택된 트랙을 대상으로 하는 각종 리스트가 기록/재생 장치(2) 측에 다운로드된다.
또한, 이 경우, 콘텐츠 다운로드 기능으로서, 기록/재생 장치(2)에 다운로드 된 모든 콘텐츠 데이터가, 소정의 압축 부호화 방식에 의해 압축된 상태에서 다운로드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낸 기록/재생 장치(2)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 기록/재생 장치(2)는, 퍼스널 컴퓨터(3)로부터 기록/재생 장치(2)로 다운로드한 콘텐츠 데이터 등을 저장하기 위한 기록매체로서, 도 8에 도시된 플래시 메모리(18)를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플래시 메모리(18)의 기억 용량은, 예를 들면 수백 MB(메가바이트)부터 수 GB(기가바이트) 정도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 기록/재생 장치(2)는, 플래시 메모리(18)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재생 기능과 함께, 도시된 튜너(T19)와 안테나(A19)를 구비하고 있으며, FM(Frequency Modulation: 주파수 변조) 방송의 수신 및 선국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8에서, 컨트롤러(6)는, ROM, RAM, CPU를 구비한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되며, 작동된 프로그램에 따라 기록/재생 장치(2) 전체의 제어 및 연산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컨트롤러(6)는, 사용자에 대한 입출력 동작, 플래시 메모리(18)에서의 콘텐츠 데이터 등의 기록/재생의 제어 등을 행한다.
또한, 이 경우, 컨트롤러(6)는, 도 8에 도시된 DAC(D/A 컨버터)(6a)의 D/A 변환 기능 및 음량 조절 기능을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컨트롤러(6)에는, 증폭부(7), 조작부(8), 및 튜너(T19)가 접속된다.
증폭부(7)에는, DAC(6a)의 컨트롤러(6)에 의한 D/A 기능 및 음량 조절 기능에 의해 D/A 변환 및 음량 조절을 수행한 오디오 데이터가 입력되고, 증폭부(7)는 이것을 증폭하여 헤드폰 단자(tHP)에 제공한다.
또한, 조작부(8)에는, 기록/재생 장치(2)의 하우징 외부에 표출되도록 설치된 각종 조작자가 포함된다. 컨트롤러(6)는, 이들 각종 조작자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 그 조작 신호에 따른 동작을 행하기 위해 필요한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이들 조작부(8)에 포함되는 각종 조작자에 대 한 조작을 행하여, 기록/재생 장치(2)로 하여금 각종 동작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튜너(T19)는, 안테나(A19)를 통하여 입력되는 FM 방송 신호에 대하여 수신 및 선국 처리를 행하고, 그 결과 얻어진 음성 신호를 컨트롤러(6)에 제공한다. 컨트롤러(6)는, 이와 같이, 튜너(T19)로부터 제공된 음성 신호에 대하여 음량 조절을 행하고, 그 결과 신호를 증폭부(7)에 제공한다.
또한, 컨트롤러(6)에는, 제1 버스(10)를 통하여 메모리(9)가 접속된다. 이 메모리(9)는,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이다. 이 메모리(9)에는, 컨트롤러(6)의 각종 연산에 사용되는 계수 또는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파라미터 등이 기억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메모리(9)에는, 컨트롤러(6)가, 도 18~도 20에서 설명하는 처리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재생 및 표시 프로그램(9a)이 저장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메모리(9)에는, 컨트롤러(6)가, 도 24에서 설명하는 처리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갱신용 프로그램(9b)도 저장된다.
그리고, 이들 재생 및 표시 프로그램(9a)과 갱신용 프로그램(9b)은, 플래시 메모리(18) 또는 컨트롤러(6) 내부의 ROM 등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6)에는, DAC I/F와 SIO를 통해 디코더(11)가 접속된다.
디코더(11)는, 소정의 압축 부호화 방식에 의해 압축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복호화 처리를 행한다. 또한, 디코더(11)는, 복호화 처리에 의해 얻어진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서라운드 처리(surrounding processing) 등의 음성 신호 처리도 수행하게 된다.
디코더(11)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는, DAC I/F를 통해 컨트롤러(6)에 제공되고, 이 컨트롤러(6)에서 DAC(6a)에서의 D/A 변환 처리 및 음량 조절 처리를 거쳐, 증폭부(7)에 공급된 후, 헤드폰 단자(tHP)에 공급된다.
그리고, 컨트롤러(6)는, SIO를 통해 디코더(11)에 대한 각종 제어 지시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컨트롤러(6)에는, 제1 버스(10)를 통해 시스템 게이트 어레이(system gate array)(12)가 접속된다. 이 시스템 게이트 어레이(12)는, 오디오 데이터나 커맨드 등의 각종 데이터의 각 구성 요소에의 전송 제어를 행하기 위한 LSI(Large Scale Integration: 대규모 집적 회로)이다.
시스템 게이트 어레이(12)는, C/D I/F를 통해 디코더(11)에 접속된다. 또한, 시스템 게이트 어레이(12)는, 제2 버스(13)를 통해 표시 제어부(14) 및 USB 컨트롤러(16)에 접속된다. 또한, 시스템 게이트 어레이(12)는, 제3 버스(17)를 통해, 플래시 메모리(18)에도 접속된다.
표시부(15)는,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디바이스이며,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의 표시를 행한다.
표시 제어부(14)는, 컨트롤러(6)로부터, 제1 버스(10), 시스템 게이트 어레이(12), 및 제2 버스(13)를 통해 공급되는 표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부(15)를 구동하여 표시 동작을 실행시킨다.
USB 컨트롤러(16)는, USB 단자(tUSB)에 접속된 USB 케이블을 통해 기록/재생 장치(2)에 접속되는 외부 기기[이 경우는 퍼스널 컴퓨터(3)]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즉, USB 컨트롤러(16)는, USB 통신 방식에 따라, 송신 데이터의 부호화 처리와 수신 데이터의 복호 처리를 행하여, 외부 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기록/재생 장치(2)는, USB 대용량 기억장치 클래스(mass storage class: MSC)에 대응하는 것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기록/재생 장치(2)가 퍼스널 컴퓨터(3) 측에 USB 케이블을 통하여 접속되었을 때에, 퍼스널 컴퓨터(3) 측에서 기록/재생 장치(2)가 외부 기억 장치로서 인식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지금까지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3) 측으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콘텐츠 데이터는, USB 컨트롤러(16)를 통하여 기록/재생 장치(2) 측에 입력된다.
퍼스널 컴퓨터(3) 측으로부터 콘텐츠 데이터가 수신되었을 때, USB 컨트롤러(16)는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를 제3 버스(17)를 통해 직접 플래시 메모리(18)에 전송하고, 플래시 메모리(18)로 하여금 그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기록 동작을 실행시킨다. 즉, 퍼스널 컴퓨터(3) 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콘텐츠 데이터는, USB 컨트롤러(16)의 제어에 따라, 플래시 메모리(18)에 기록된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3) 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콘텐츠 관리 정보, 및 각종 리스트(재생 횟수 순서 리스트, 아티스트 링크 리스트, 발매 연도 리스트, 플레이 리스트)의 각 정보가 또한, USB 컨트롤러(16)에 의해, 콘텐츠 데이터의 경로와 마찬가지의 경로에 의해, 플래시 메모리(18)에 기록된다.
도 8에서는, 이와 같이 하여 플래시 메모리(18)에 저장되는 콘텐츠 데이터, 콘텐츠 관리 정보, 및 각종 리스트의 정보가, 도시한 바와 같이, 콘텐츠 데이터(18a), 콘텐츠 관리 정보(18b), 및 각종 리스트(18c)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기록/재생 장치(2)에 콘텐츠 데이터가 다운로드되면, 퍼스널 컴퓨터(3)로부터 커맨드가 또한 전송된다. 이와 같은 퍼스널 컴퓨터(3) 측으로부터의 커맨드에 대해서는, USB 컨트롤러(16)가 이것을 제2 버스(13), 시스템 게이트 어레이(12), 및 제1 버스(10)를 경유하여, 컨트롤러(6)에 전송하고, 컨트롤러(6)는, 이 커맨드의 내용을 해석하게 된다. 컨트롤러(6)는, 이 커맨드의 해석된 내용에 따라 필요한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플래시 메모리(18)에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18a)를 재생하는 동안, 컨트롤러(6)의 지시에 기초하여, 플래시 메모리(18)로부터 판독된 콘텐츠 데이터(압축 부호화 오디오 데이터)가 제3 버스(17)를 통해 시스템 게이트 어레이(12)에 입력된다. 시스템 게이트 어레이(12)는, 입력된 콘텐츠 데이터로서의 압축 부호화 오디오 데이터를 C/D I/F를 통하여 디코더(11)에 공급한다. 디코더(11)에서는, 이 압축 부호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하여 복호화 처리를 행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얻음과 동시에, 이 오디오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음성 신호 처리를 실시하고, 그 결과로서의 오디오 데이터를 DAC I/F를 통하여 컨트롤러(6)에 공급한다.
컨트롤러(6)는, 공급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하여, DAC(6a)에서의 D/A 변환 처리 및 음량 조절 처리를 행하고, 그 결과로서의 오디오 데이터를 증폭부(7)에 공급한다. 증폭부(7)에 공급된 오디오 데이터는 증폭되어, 헤드폰 단자(tHP)에 공급된 다.
또한, 도 9의 (a) 및 (b)는, 도 8에 나타낸 조작부(8)에 포함되는 주요 조작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기록/재생 장치(2)의 외관을 나타낸다.
도 9의 (a) 및 (b)에서, 도 9의 (a)는 기록/재생 장치(2)의 정면도를 나타내며, 도 9의 (b)는, 기록/재생 장치(2)의, 도 9의 (a)에서의 화살표 Y 방향에서 본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9의 (a)에는, 도 8에서 설명한 표시부(15)도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표시부(15)는 기록/재생 장치(2)의 하우징 외부에 표출되도록 설치된다. 이 경우, 도 8에 나타낸 헤드폰 단자(tHP)는,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셔틀 스위치(shuttle switch)(8d)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다.
도 9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재생 장치(2)에는, DlSP/FUNC 키(8a), SEARCH/MENU 키(8b), PLAY/ST0P 키(8c), 셔틀 스위치(8d), VOL+ 키(8e), 및 VOL- 키(8f)가 포함되어 있다.
DISP/FUNC 키(8a)는, 표시부(15)로서의 디스플레이 상의 표시 정보의 전환, 및 후술하는 기록/재생 장치(2)의 각종 재생 기능의 전환을 위한 지시 등을 행하기 위한 조작자이다.
또한, SEARCH/MENU 키(8b)는, 플래시 메모리(18)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앨범 단위나 트랙 단위 등으로 검색하기 위한 검색 모드의 호출이나, 각종 설정을 위한 메뉴 화면의 호출 등을 지시하기 위한 조작자이다.
PLAY/STOP 키(8c)는,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을 개시/정지시키는 지시 및 각종 선택 항목의 결정을 지시하기 위한 조작자이다.
셔틀 스위치(8d)는, 도 9의 (a)에 나타내는 3개의 위치 P1, P2, P3에 대한 슬라이드 조작(3-슬라이드 조작)과, 도면 중 곡선 화살표에 의해 각각 나타낸 2개 방향으로의 회전 조작이 가능한 조작자이다.
이 셔틀 스위치(8d)의 회전 조작으로서, 한쪽의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조작은 FF 조작이며, 이 FF 조작에 의해, 재생 중의 트랙의 스킵 지시나 각종 선택 항목을 차례대로 제공하는 지시 등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다른 쪽의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조작은 FR 조작이며, 이 FR 조작에 의해, 재생 중의 트랙에 대한 진행 지시나 각종 선택 항목의 역방향 제공 지시 등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셔틀 스위치(8d)의 3-슬라이드 조작으로서, P1의 위치는 홀드(HOLD) 지시에 대응한다. 셔틀 스위치(8d)가 P1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기록/재생 장치(2)가 일체의 조작 입력을 받아들일 수 없는 상태로 된다.
또한, P2의 위치는 중립인 위치이며, 셔틀 스위치(8d)가 P2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또한 재생 중일 때, FF 조작은 재생 중의 트랙의 스킵 지시로 되고, FR 조작은 재생 중의 트랙에 대한 진행 지시로 된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P2의 위치를 트랙 위치라고도 한다.
또한, P3의 위치는 앨범 위치이다. 셔틀 스위치(8d)가 앨범 위치 P3에 있는 상태에서 또한 재생 중일 때, FF 조작은 앨범 단위(또는 플레이 리스트 단위)에서의 트랙의 스킵 지시로 된다. 즉, 재생 중인 트랙이 속하는 앨범의 다음에 재생되 는 것으로 미리 결정된 앨범의 선두 트랙으로의 순방향 이송 지시이다. 또한, 이 경우의 FR 조작은, 앨범 단위(플레이 리스트 단위)에서의 역방향 이송 조작이다. 즉, 재생 중의 트랙이 속하는 앨범의, 재생 순서에서 앞 부분이 되는 앨범의 선두 트랙으로의 역방향 이송 지시이다.
또한, 도 9의 (b)에서, VOL+ 키(8e), VOL- 키(8f)는 음량 조절 지시를 위한 조작자이며, VOL+ 키(8e)는 음량을 높이는 지시를 제공하는 조작자이며, VOL- 키(8f)는 음량을 낮추는 지시를 제공하는 조작자이다.
(기록/재생 장치의 재생 기능)
도 10은, 본 실시예의 기록/재생 장치(2)가 가지는 각종 재생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기록/재생 장치(2)가 가지는 재생 기능은, 크게 인텔리전트 셔플(Intelligent Shuffle) 재생 기능, 뮤직 라이브러리(Music Library) 재생 기능, 및 FM 재생(수신) 기능으로 나누어진다.
그리고, 도면에서, "기능(FUNCTION)"의 항목 아래의 계층에, 각각 인텔리전트 셔플 재생 기능, 뮤직 라이브러리 재생 기능, 및 FM 재생(수신) 기능이 정렬되도록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기록/재생 장치(2)의 사용에 해당하며, 사용자가 이들 3개의 재생 기능으로부터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도록 사용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도 9의 (a)에 나타낸 DISP/FUNC 키(8a)를 길게 누르는 조작에 의해, 이들 인텔리전트 셔플 재생 기능, 뮤직 라이브러리 재생 기 능, 및 FM 재생(수신) 기능의 선택을 행하기 위한 선택 화면을 표시시키고, 이 선택 화면으로부터 어느 하나의 재생(수신) 기능을 결정하게 된다.
도 10에서, 인텔리전트 셔플 재생 기능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내가 즐겨듣는 셔플(My Favorite Shuffle) 재생 기능, 아티스트 링크 셔플(Artist Link Shuffle) 재생 기능, 타임머신 셔플(Time Machine Shuffle) 재생 기능, 스포츠 셔플(Sports Shuffle) 재생 기능의 4개의 셔플 재생 기능이 준비된다.
내가 즐겨듣는 셔플(My Favorite Shuffle) 재생 기능은, 재생 횟수가 많은 상위의 소정 수의 트랙을 재생 대상으로 하여 셔플 재생을 행하는 재생 기능이다.
내가 즐겨듣는 셔플 재생 기능에서는, 먼저 설명한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3) 측으로부터 기록/재생 장치(2) 측에 다운로드되는 재생 횟수 순서 리스트를 사용하게 된다.
또한, 아티스트 링크 셔플(Artist Link Shuffle) 재생 기능은, 지정된 아티스트와 그 관련 아티스트의 모든 트랙을 재생 대상으로 하여 셔플 재생을 행하는 재생 기능이다. 이 아티스트 링크 셔플 재생 기능은, 마찬가지로 퍼스널 컴퓨터(3) 측으로부터 기록/재생 장치(2)에 다운로드 되는 아티스트 링크 리스트를 사용하게 된다.
또한, 타임머신 셔플(Time Machine Shuffle) 재생 기능은, 지정된 발매 연도의 모든 트랙을 재생 대상으로 하여 셔플 재생을 행하는 재생 기능이다. 이 타임머신 셔플 재생 기능으로서는, 발매 연도 리스트를 사용한다.
또한, 스포츠 셔플(Sports Shuffle) 재생 기능은, 모든 트랙을 재생 대상으 로 하여 셔플 재생을 행하는데 있어서, 설정된 시간의 경과 후에 셔플 재생을 자동으로 정지하는 기능이다. 즉, 자동 오프(off) 타이머 기능을 갖춘 셔플 재생 기능이다.
여기서, 휴대형 기록/재생 장치(2)는, 예를 들면 조깅 중에 휴대하여 음악을 즐기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상정할 수 있으나, 이 스포츠 셔플 재생 기능으로서의 자동 오프 타이머 기능이 있으면, 설정한 시간 동안 조깅 등을 행한 것을 재생음의 정지에 의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그리고, 확인을 위한 설명으로서, "셔플 재생"이란, 난수 등을 사용하여 악곡(트랙)의 재생 순서나 소정의 후보 정보의 선택에 불규칙성을 갖도록 해서 재생을 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인텔리전트 셔플 재생을 "I.S. 재생"으로 약칭하는 경우도 있다.
이어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뮤직 라이브러리 재생 기능으로서는, 모든 트랙(All Track) 재생 기능, 아티스트(Artist) 재생 기능, 앨범(Album) 재생 기능, 내가 즐겨듣는(My Favorite) 재생 기능, 발매 연도(Relese Year) 재생 기능, 장르별(Genre) 재생 기능, 및 플레이 리스트(Play List) 재생 기능이 있다.
이들 뮤직 라이브러리 재생 기능에서는, 셔플 재생은 행하지 않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이 뮤직 라이브러리 재생에 대해서는, 이하 "M.L. 재생"이라고도 한다.
먼저, 모든 트랙(All Track) 재생 기능은, 모든 트랙을 재생 대상으로 하여 재생을 행하는 재생 기능이다.
또한, 아티스트(Artist) 재생 기능은, 지정된 아티스트의 모든 트랙, 또는 지정된 아티스트의 앨범이 복수 개 있는 경우에는 이들로부터 지정된 앨범 내의 모든 트랙을 재생 대상으로 하여 재생을 행하는 기능이다.
또한, 앨범(Album) 재생 기능은, 지정한 앨범 내의 모든 트랙을 재생 대상으로 하여 재생을 행하는 기능이다.
내가 즐겨듣는(My Favorite) 재생 기능은, 재생 횟수가 많은 상위 소정 수의 트랙을 재생 대상으로 하여 재생을 행하는 재생 기능이다. 내가 즐겨듣는 재생 기능도, 내가 즐겨듣는 셔플 재생 기능과 마찬가지로 재생 횟수 순서 리스트를 사용한다.
또한, 발매 연도(Released year) 재생 기능은, 지정된 발매 연도의 모든 트랙을 재생 대상으로 하여 재생을 행하는 재생 기능이다. 이 발매 연도 재생 기능에서는, 타임머신 셔플 재생 기능과 마찬가지로, 발매 연도 리스트를 사용한다.
또한, 장르별(Genre) 재생 기능은, 동일 장르의 모든 트랙 또는 동일 장르의 앨범이 복수 개 있는 경우에는 그 중에서 지정된 앨범 내의 모든 트랙을 재생 대상으로 하여 재생을 행하는 기능이다.
또한, 플레이 리스트 재생(Playlist reproducing) 기능은, 지정된 플레이 리스트 내의 모든 트랙을 재생 대상으로 하여 재생을 행하는 기능이다.
FM 수신 기능은, FM 방송을 수신 및 선국해서 그 사운드를 출력하기 위한 기 능이다.
여기서, 이들 각종 재생(수신) 기능 중에서, 도면 중 음영으로 표시된 부분에 의해 나타낸 인텔리전트 셔플(I.S.) 재생 기능과 뮤직 라이브러리(M.L.) 재생 기능의 일부(내가 즐겨듣는 재생 기능, 발매 연도 재생 기능)는, 기록/재생 장치(2)에서 확장된 기능이다. 다시 말해서, 음영으로 표시된 부분 이외의 M.L. 재생 기능(모든 트랙, 아티스트, 앨범, 장르, 플레이 리스트의 각 재생 기능), 및 FM 수신 기능은, 종래의 기능과 같은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방식으로, 기능이 확장되기 때문에, 퍼스널 컴퓨터(3) 측의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도, 종래 기기에 대응하는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기능이 확장된 것으로 되어 있다.
즉, 구체적으로 말하면,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은, 도 5~도 7에 나타낸 각종 리스트의 생성 기능이 추가된 것으로 되어 있다. 이들 리스트가 생성되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록/재생 장치(2) 측에 다운로드 됨으로써, 기록/재생 장치(2)에서, 확장된 I.S. 재생 기능 및 M.L. 재생 기능의 일부를 실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반대로 말하면, 종래의 기록/재생 시스템에서,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종래 기능(M.L. 재생 기능 중 내가 즐겨듣는 재생 기능, 발매 연도 재생 기능을 제외한 것)을 실현하기 위한 기능만을 구비하도록 되어 있으며,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이들 리스트 작성 기능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종래의 재생 기능인, 모든 트랙, 아티스트, 앨범, 장르, 플레이 리 스트의 각 재생 기능에서는, 예를 들면 어떤 아티스트의 트랙이나, 어떤 장르의 트랙을 재생 대상으로 하므로, 대응하는 리스트를 퍼스널 컴퓨터(3) 측에서 생성하여 이것을 기록/재생 장치(2) 측에 다운로드 하여 재생시에 사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은 리스트의 재생 기능(플레이 리스트는 제외함)은 가지고 있지 않고, 이에 따라 종래의 기록/재생 장치(2)에서는, 필요한 리스트를, 콘텐츠 데이터와 함께 다운로드 되는 콘텐츠 관리 정보(18b)에 기초하여 생성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것이지만, 아티스트 재생 기능이 선택되면,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아티스트를 선택하도록 하기 위해 아티스트의 일람을 표시하는 것이 행해진다. 이와 같은 아티스트의 일람 정보는, 플래시 메모리(18) 내의 콘텐츠 관리 정보(18b)에 존재하는 아티스트명의 정보를 발취한 리스트를 생성하고 이것에 기초하여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 어떤 아티스트가 지정되면, 그 아티스트의 트랙(또는 앨범) 일람을 표시하게 되지만, 이 트랙(앨범) 일람도, 콘텐츠 관리 정보(18b)에서 지정된 아티스트명이 대응하는 트랙 이름의 정보(앨범명의 정보)를 발취한 리스트를 생성하여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 기기에 있어서는, 미리 생성된 리스트가 없기 때문에, 필요한 일람 정보의 작성을 위한 리스트를, 그때마다 콘텐츠 관리 정보(18b)에 기초하여 기록/재생 장치(2) 측에서 생성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은, 종래의 재생 기능을 위 한 리스트는 생성하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다. 즉,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기록/재생 장치(2)도, 이들 종래의 재생 기능에 대해서, 필요한 일람 정보 생성을 위한 리스트는, 콘텐츠 관리 정보(18b)의 내용에 따라 그때마다 생성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조작 단계와 기록/재생 장치 측의 동작)
계속해서, 도 11~도 17을 참조하여, 도 10에 나타낸 각 재생 기능 동작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조작 단계와, 이러한 조작에 따라 행해지는 기록/재생 장치(2) 측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들 도면에서는 조작 입력에 따른 표시부(15) 상의 표시 내용의 변경을 나타낸다.
먼저, 도 11을 참조하여, 인텔리전트 셔플 재생 기능, 뮤직 라이브러리 재생 기능, FM 수신 기능의 각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단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들 각 기능의 선택을 행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도 9의 (a)에 나타낸 DISP/FUNC 키(8a)를 길게 누르는 조작을 한다. 길게 누르는 조작으로서는, 예를 들면 0.5초 이상 계속해서 누르는 조작인 것으로 한다. DISP/FUNC 키(8a)를 길게 누르는 조작에 의해, 표시부(15) 상에는, 도면 중 G1로 나타낸 기능 선택 화면이 표시된다.
이 기능 선택 화면에는, 인텔리전트 셔플 재생 기능, 뮤직 라이브러리 재생 기능, FM 수신 기능의 각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과, 이들 아이콘을 택일적으로 선택하기 위한 커서(CR)와, 이 커서(CR)에 의해 선택된 아이콘이 나타내는 기능의 명 칭 정보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도 9의 (a) 및 (b)에서 설명한 셔틀 스위치(8d)의 회전 조작으로서 FF 조작 또는 FR 조작을 행함으로써, 커서(CR)를 이동시켜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PLAY/STOP 키(8c)를 누름으로써, 선택한 항목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 선택 화면에서, 인텔리전트 셔플 재생 기능이 선택 및 결정된 경우, 표시부(15) 상에는, G2로 나타낸 I.S. 선택 화면이 표시된다. 이 I.S. 선택 화면에는, 내가 즐겨듣는 셔플, 아티스트 링크 셔플, 타임머신 셔플, 스포츠 셔플의 각각의 I.S. 재생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 이들 아이콘을 택일적으로 선택하기 위한 커서(CR), 또한 이 커서(CR)에 의해 선택된 마크의 기능 명칭의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기능 선택 화면에서, 뮤직 라이브러리 재생 기능이 선택 및 결정된 경우, 표시부(15) 상에는, G3으로 나타낸 M.L. 선택 화면이 표시된다. 이 M.L. 선택 화면에는, 도 1O에 나타낸 M.L. 재생 기능으로서의 각 재생 기능(모든 트랙, 아티스트, 앨범, 내가 즐겨듣는, 발매 연도, 장르별, 플레이 리스트)의 명칭 정보가 표시되는 동시에, 이들 명칭 정보를 택일적으로 선택하여 이들 재생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커서(CR)가 표시된다.
도 11에서는, M.L. 선택 화면상의 명칭 정보로서 모든 트랙, 아티스트, 앨범의 3개만 표시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이 경우의 표시부(15)는 3개 라인까지만 표시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른 명칭 정보의 표시는, 예를 들면 커서(CR)를 아래쪽이나 위쪽으로 이동시켜 감으로써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M.L. 선택 화면은, DISP/FUNC 키(8a)를 길게 누르는 것과, 기능 선택 화면에서의 M.L. 재생 기능의 선택 및 결정에 의한 조작 단계를 거치는 것 외에도, 도 9의 (a)에 나타낸 SEARCH/MENU 키(8b)의 누름 조작에 의해서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기능 선택 화면에 있어서, FM 수신 기능이 선택 및 결정된 경우, G4에 의해 나타낸 FM 화면이 표시된다. 이 FM 화면에는, 예를 들면 "FM" 등의 현재 기능의 내용을 나타내는 표시, 미리 정해진 번호의 표시, 및 수신 주파수의 정보 등의 표시를 행한다.
또한, 이와 같이 FM 수신 기능이 선택 및 결정된 경우에는, 도 8에 나타낸 튜너(T19)에 의한 수신 및 선국 동작에 의해 얻어진 음성 신호가 헤드폰 단자(tHP)를 통하여 출력된다.
그리고, DISP/FUNC 키(8a)를 길게 누름으로써, 기능 선택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는, 음성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트랙이 재생 중인 경우, 또는 FM 방송의 수신 중인 때에, DISP/FUNC 키(8a)를 길게 누르기 위한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 기능 선택 화면의 표시와 함께, 재생(수신) 중이던 음성의 출력이 정지된다.
이에 의하면, 본 실시예의 기록/재생 장치(2)에서는, FM 방송의 수신 중에 DISP/FUNC 키(8a)가 길게 눌렀을 때, 현재의 모드가 FM 모드임에도, 무음(silent) 상태로 된다. 이때, FM의 사운드 송출을 재차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PLAY/STOP 키(8c)를 조작한다.
또한, FM 방송의 수신 중에, 소정 시간 이상 조작이 없는 경우에는, 슬립(sleep) 모드로 이행된다. 즉, 이 경우의 슬립 모드로서는, FM의 수신 및 사운드 송출을 정지하고, 표시부(15)를 오프(OFF)로 하여 소비 전력을 절감하는 모드로 이행한다.
이 슬립 모드로부터 다시 FM 수신 및 사운드 송출을 행하는 경우에는, PLAY/STOP 키(8c)를 누른다. 반대로 말하면, 다른 조작에 의해서는, FM 출력은 개시되지 않는다. 다만, 슬립 모드시에, 다른 조작 입력에 의해, 필요에 따라 화면 표시만은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I.S. 재생 기능이 선택 및 결정된 이후, 다른 재생(수신) 기능이 선택 및 결정되기까지의 상태를, I.S. 재생 모드(인텔리전트 셔플 재생 모드) 또는 단순히 "셔플 재생 모드"라고 한다.
또한, M.L. 재생 기능이 선택 및 결정된 이후, 다른 재생(수신) 기능이 선택 및 결정되기까지의 상태를, M.L.모드(뮤직 라이브러리 모드)라고 한다.
또한, FM 수신 기능이 선택 및 결정된 이후 다른 재생 기능이 선택 및 결정되기까지의 상태를 "FM 모드"라고 한다.
도 12의 (a)~(d) 및 도 13의 (a)~(c)는 M.L. 재생 기능이 결정된 이후의 화면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M.L. 재생 기능 중 아티스트 재생 기능과 앨범 재생 기능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아티스트 재생 기능을 선택 및 결정하는 경우는, 도 1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1의 G3으로 나타낸 M.L. 선택 화면에서, 커서(CR)를 아티스트의 명칭 정보로 이동시키고, PLAY/STOP 키(8c)를 누른다.
그러면, 표시부(15)에는, 도 1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아티스트(All Artist)"의 표시와 함께, 모든 아티스트명이 표시된다.
그리고, 도 12의 (b)에서, 아티스트명의 정보로서 2개의 아티스트명이 표시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것은 표시부(15)가 3개 행까지만 표시 가능하기 때문이며, 다른 아티스트명의 정보 표시는, 예를 들면 커서(CR)를 아래쪽이나 위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것은 이하에 설명하는 모든 "일람 표시"에 공통이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모든 아티스트"의 "모든"은, 플래시 메모리(18) 내에 저장되는 범위에서의 "모든"이라는 의미이다.
또한, 도 12의 (b)에 도시된 화면에서, "모든 아티스트"가 선택 및 결정된 경우, 콘텐츠 데이터(18a)로서 저장되는 모든 트랙 이름의 정보가 아티스트명 순으로 정렬되어 일람 표시된다(이때, 동일 아티스트의 트랙에 대해서는 앨범명 순으로 정렬되어 표시된다).
이 트랙 이름의 일람으로부터 하나의 트랙이 선택 및 결정되면, 이 정렬된 트랙의 일람에 기초하여 재생 순서로 재생이 행해진다.
사용자는 FF 조작/FR 조작에 의해 커서(CR)를 이동시켜, PLAY/STOP 키(8c)의 누름 조작에 의해 결정 지시를 내림으로써, 아티스트의 일람으로부터 원하는 아티스트를 선택 및 결정할 수 있다.
도 12의 (b)에 나타낸 아티스트의 일람으로부터 어떤 아티스트가 결정된 경우, 도 1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앨범(All Album)"의 표시와 함께, 결정된 아티스트의 앨범의 일람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앨범 단위로 재생시킬 때는, FF 조작/FR 조작에 의해 커서(CR)를 이동시켜, PLAY/STOP 키(8c)의 누름 조작에 의해 결정 지시를 내림으로써, 앨범의 일람 표시로부터 원하는 앨범을 선택 및 결정한다.
그리고, "모든 앨범"이 선택 및 결정된 경우, 도 12의 (b)에서 결정된 아티스트의 모든 트랙이 앨범명 순으로 정렬 및 일람 표시된다. 이때, 재생 대상 범위는, 이와 같이 일람의 형태로 표시되는 결정된 아티스트의 모든 트랙으로 된다. 또한, 재생 순서는, 일람 표시된 트랙의 순서와 동일한 순서로 된다.
도 12의 (c)에서, 앨범의 일람으로부터 하나의 앨범이 결정되었을 때, 도 12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정된 앨범 내의 트랙 이름의 일람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도 12의 (d)에 나타내는 트랙 이름의 일람 표시로부터 FF 조작/FR 조작, PLAY/STOP 키(8c)의 누름 조작에 의해 트랙의 선택 및 결정 지시를 내림으로써, 결정한 트랙의 재생 개시를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재생 대상 범위는, 일람 표시된 트랙, 즉 결정된 아티스트의 결정된 앨범 내의 모든 트랙이 된다.
도 13의 (a)~(c)는 앨범 재생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화면 전환 도면이다.
앨범 재생 기능을 선택 및 결정하고자 하는 경우, 도 13의 (a)에 나타낸 바 와 같이, M.L. 선택 화면에서 커서(CR)를 앨범의 명칭 정보로 이동시켜 PLAY/ST0P 키(8c)를 누르는 조작을 행한다.
그러면, 도 1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앨범"(All Album)의 표시와 함께, 모든 앨범이 일람 표시된다.
사용자는, FF 조작/FR 조작에 의해 커서(CR)를 이동시켜, PLAY/STOP 키(8c)의 누름 조작에 의해 결정 지시를 내림으로써, 앨범의 일람 표시로부터 원하는 앨범을 선택 및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모든 앨범"이 결정된 경우, 콘텐츠 데이터(18a)로서 저장되는 모든 트랙의 트랙 이름이 앨범명의 순서로 정렬되어 일람 표시된다. 이때, 콘텐츠의 재생 순서는 이 일람 표시와 동일한 순서로 된다. 또한, 재생 대상 범위는, 이와 같이 일람 표시된 모든 트랙이 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모든 앨범"의 "모든"은, 플래시 메모리(18) 내에 저장되는 범위에서의 "모든"이라는 의미이다.
도 13의 (b)에서, 앨범의 일람으로부터 하나의 앨범이 결정되었을 때는, 도 13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정된 앨범 내의 트랙 이름의 일람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도 13의 (c)에 나타내는 트랙 이름의 일람 표시로부터 FF 조작/FR 조작, PLAY/STOP 키(8c)의 누름 조작에 의해 트랙의 선택 및 결정 지시를 내림으로써, 결정한 트랙의 재생 개시를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재생 대상 범위는, 일람 표시된 트랙, 즉 결정된 앨범 내의 모든 트랙이 된다.
도 12의 (a)~(d) 및 도 13의 (a)~(c)와 관련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경우에 있어서, M.L. 재생을 행함으로써, M.L. 선택 화면으로부터 차례대로 아티스트 및 앨범 등의 항목을 결정하여 각 계층을 추종하는 것에 의해, 각 계층의 항목에 따른 재생 대상 범위를 정하고, 콘텐츠 재생을 행하는 재생 기능이 실현되는 동시에, 아티스트 및 앨범 등과 같이 각 계층을 추종하여 원하는 콘텐츠를 검색하는 검색 기능도 동시에 실현된다.
이러한 점에서, M.L. 선택 화면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SEARCH/MENU 키(8b)의 누름 조작에 의해서도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M.L. 재생 기능 중, 아티스트 재생 기능과 앨범 재생 기능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모든 트랙 재생 기능에 대해서, 그 결정에 따라 모든 트랙 이름을 일람 표시하고, 일람으로부터 하나의 트랙이 선택 및 결정된 경우는 그 트랙의 재생을 개시한다. 이 경우, 재생 대상 범위는 모든 트랙이 된다.
또한, 장르 재생 기능에 대하여, 그 결정에 따라 장르의 일람 표시를 행한다. 이 장르 일람 표시로부터 하나의 장르가 선택 및 결정되었을 때는 그 장르에 속하는 앨범의 일람 표시를 행한다. 그 이후의 동작으로서는, 도 12의 (b)~(d)를 참조하여 설명한 아티스트 재생 기능에 대하여, "아티스트"의 구분을 "장르"의 구분으로 하는 것으로, 동작에 있어서는 동일하게 된다.
또한, 플레이 리스트 재생 기능은, 그 결정에 따라 모든 플레이 리스트를 일람 표시하고, 이 일람으로부터 하나의 플레이 리스트가 선택 및 결정되었을 때는, 그 플레이 리스트 내의 모든 트랙의 일람을 표시한다. 또한 이 트랙의 일람으로부 터 하나의 트랙이 선택 및 결정된 경우, 그 트랙의 재생을 개시한다. 이 경우, 재생 대상 범위는 결정된 플레이 리스트 내의 모든 트랙이 된다.
또한, 내가 즐겨듣는(My Favorite) 재생 기능은, 그 결정에 따라 플래시 메모리(18) 내에 저장되는 재생 횟수 순서 리스트로부터 재생 횟수가 많은 상위의 소정 수의 트랙을 추출하여 일람 표시한다. 그리고, 이 일람으로부터 하나의 트랙이 선택 및 결정되었을 때는, 그 트랙의 재생을 개시한다. 이 경우, 재생 대상 범위는, 일람 표시한 모든 트랙(상위의 소정 수의 트랙)이 된다.
또한, 발매 연도 재생 기능은, 그 결정에 따라 발매 연도 리스트에 존재하는 모든 발매 연도의 정보를 일람 표시하고, 그 일람으로부터 하나의 발매 연도가 선택 및 결정된 경우는, 발매 연도 리스트에서 그 발매 연도에 대응하는 모든 트랙을 일람 표시한다. 이후, 트랙의 일람으로부터 하나의 트랙이 선택 및 결정되는 것에 따라 그 트랙의 재생을 개시한다. 이 경우, 재생 대상 범위는, 일람 표시된 모든 트랙(즉, 결정된 발매 연도에 대응하는 모든 트랙)이 된다.
이어서, 도 14의 (a)~도 17의 (e)를 참조하여, 인텔리전트 셔플 재생 기능에서의 각 재생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4의 (a)~(f)를 참조하여, 내가 즐겨듣는 셔플 재생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가 즐겨듣는(My Favorite) 셔플 재생 기능은, 재생 횟수가 많은 상위의 소정 수의 트랙을 재생 대상 범위로 하여 셔플 재생을 행하는 재생 기능이다.
내가 즐겨듣는 셔플 재생은, 도 11의 G2로 나타낸 I.S. 선택 화면에서, 내가 즐겨듣는 셔플 재생 기능이 선택 및 결정되는 것에 따라 개시된다.
이와 같이 I.S. 선택 화면에서 내가 즐겨듣는 셔플 재생 기능이 결정되면, 먼저 도 1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15)에, 재생 대상 범위로서 결정된 트랙 이름의 정보를 대상으로 하여, 트랙 이름의 정보가 차례로 바뀌도록 표시된다. 즉, 재생 횟수 순서 리스트로부터 재생 횟수가 많은 상위 소정 수의 트랙으로 결정된 트랙 이름의 정보를 대상으로 하여, 트랙 이름의 정보가 차례로 바뀌도록 표시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정보가 하나씩 차례로 바뀌도록 표시되는 표시 형태를, "순차 표시"라고 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이 경우의 순차 표시로서는, 하나의 정보(이 경우는 하나의 트랙 이름)가 순차적으로 바뀌면서 표시되도록 하고 있다.
도 14의 (a)에서, 이 순차 표시는,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에 걸쳐 수행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순차 표시는, 예를 들면 3초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14의 (a)에는, 복수 개의 트랙 이름이 겹쳐서 표시되도록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육안으로 본 경우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것이며, 실제로는 상기와 같이, 트랙 이름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바뀌도록 표시를 하는 것이다. 이것은, 나중에 설명하는 도 15의 (a) 및 도 16의 (a)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이 경우, 순차 표시를 행하는 후보 정보(이 경우에는, 각각의 트랙 이름 정보)의 수에 따라, 미리 정해진 순차 표시 시간 내에 모든 선택 후보 정보를 순차 표시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설정된 순차 표시 시간 내에서 표시할 수 있는 수의 선택 후보 정보에 대해서만, 순차 표시를 수행하도록 하면 된다.
또는, 선택 후보 정보의 모든 대상을 순차적으로 표시함에 있어서, 선택 후보 정보의 모든 대상이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순차 표시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내가 즐겨듣는 셔플 재생 기능에서는, 표시부(15)에, 내가 즐겨듣는 셔플 재생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도 표시된다. 이에 의하여, 현재의 재생 기능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은 이하에 설명하는 모든 I.S. 재생 기능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트랙 이름에 대한 순차 표시를 소정 시간 동안 행한 후에는, 도 1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셔플 재생에 의해 난수에 따라 결정된 트랙의 트랙 이름을 표시하게 된다.
여기서, 이 경우의 "셔플"에 있어서, 복수 개의 선택 후보 정보로부터 하나 후보 정보를 결정하는 동작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먼저 난수를 생성하고, 복수 개의 선택 후보 정보 중 이 난수에 대응하는 후보 정보를 선택 및 결정하게 해서 행해진다. 즉, 이 경우에는, 재생 대상 범위로서 결정된 복수 개의 트랙 이름의 정보 중, 발생한 난수에 대응하는 트랙 이름의 정보를 선택 및 결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결정된 트랙 이름의 정보는,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에 걸쳐 표시된다. 본 예에서는, 이와 같이 순차 표시 이후에 결정된 항목의 표시 시간은, 예를 들면 300ms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결정된 트랙 이름의 정보를 소정 시간 동안 표시하면, 그 트랙 이름의 트랙에 대한 재생을 개시한다.
이와 같이 하여 트랙의 재생이 개시된 후, 표시부(15)에는, 도 14의 (c) 또는 도 14의 (d)에 나타내는 정보가 표시된다.
도 14의 (c)는, 도 9의 (a)에 나타낸 셔틀 스위치(8d)가 트랙 위치(P2의 위치)에 있을 때의 표시 내용이며, 도 14의 (d)는 셔틀 스위치(8d)가 앨범 위치(P3의 위치)에 있을 때의 표시 내용을 나타낸다.
셔틀 스위치(8d)가 트랙 위치에 있고, 내가 즐겨듣는 셔플 재생 기능으로서 트랙이 재생 중일 때는, 도 14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15) 상의 재생 중인 트랙에 관한 정보로서, 적어도 재생 중인 트랙의 트랙 이름 정보와 그 트랙의 아티스트명의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내가 즐겨듣는 셔플 재생 기능에 따라 트랙이 재생 중인 경우, 또한 셔틀 스위치(8d)가 앨범 위치에 있을 때는, 도 14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15)의 재생 중인 트랙에 관한 정보로서, 이 경우의 셔플에 따라 선택 및 결정된 트랙 이름만이 표시된다.
그리고, 내가 즐겨듣는 셔플 재생 기능에 기초하여 트랙을 재생하는 중에, PLAY/STOP 키(8c)가 누름 조작된(즉, 정지 조작된) 경우에는, 트랙의 재생은 정지되지만, 표시부(15)에서는 정지 조작을 한 시점에서의 표시 내용이 유지된다.
도 14의 (e) 및 (f)는, 이와 같이 정지 조작이 행해진 표시부(15)의 표시 내 용을 나타내고 있다. 즉, 도 14의 (e)에서는, 셔틀 스위치(8d)가 트랙 위치에서 정지 조작을 한 경우의 표시 내용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4의 (f)에서는, 셔틀 스위치(8d)가 앨범 위치에서 정지 조작을 한 경우의 표시 내용을 나타내고 있다.
이 정지 상태가 소정 시간 이상 계속되는 경우에는, 슬립 모드로 이행한다. 여기서의 슬립 모드는, 소비 전력의 절감을 위해 표시부(15)를 오프(OFF)로 하는 등, 소정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정지 또는 제한하게 된다.
이어서, 도 15의 (a)~(g)는 아티스트 링크 셔플 재생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아티스트 링크(Artist Link) 셔플 재생은, 도 11의 G2로 나타낸 I.S. 선택 화면에서, 아티스트 링크 셔플 재생 기능이 선택 및 결정되는 것에 따라 개시된다.
I.S. 선택 화면에서의 아티스트 링크 셔플 재생 기능이 결정된 것에 따라, 먼저, 도 1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15)에, 아티스트 링크 리스트에 존재하는 키 Art(도 6 참조)로서의 모든 아티스트명의 정보를 선택 후보로서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이 경우도, 순차 표시에서는, 하나의 정보(이 경우는 하나의 아티스트명)가 차례로 바뀌면서 표시되도록 하고 있다.
도 15의 (a)에서의 순차 표시는,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예를 들면, 3초)에 걸쳐서 수행된다.
이와 같은 아티스트명에 대한 순차 표시를 소정 시간 동안 행한 후에는, 도 1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셔플 재생에 의해 난수에 따라 결정된 아티스트명의 정보를 소정 시간 동안(예를 들면, 300ms)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결정된 아티스트명의 정보를 소정 시간 동안 표시하면, 아티스트 링크 리스트에, 결정된 키 Art로서의 아티스트명에 대응하는 관련 Art의 수의 정보를 소정 시간에 걸쳐서 표시하게 된다. 이 표시는, 예를 들면 도 1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8명의 관련 아티스트가 있다"는 형태로 행해진다. 이 표시도, 예를 들면 300ms 등과 같이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 동안 행해진다.
이와 같은 관련 Art의 수에 대한 표시를 한 후에는, 아티스트 링크 리스트에서, 결정된 키 Art에 대응하도록 된 키 Art 및 관련 Art의 유닛에 대응하는 모든 트랙 이름 중에서, 소정의 트랙 이름의 정보를 선택 및 결정한다. 예를 들면, "키 Art 및 관련 Art"의 유닛에 대응하는 트랙 이름 중에서, 리스트의 선두에 위치하는 트랙 이름의 정보를 선택 및 결정한다.
또는, 키 Art 및 관련 Art의 유닛에 대응하는 모든 트랙 이름의 정보를 대상으로 하여, 난수의 발생, 및 난수에 대응하는 트랙 이름의 선택 및 결정을 행하여 트랙 이름의 정보를 결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트랙 이름의 정보가 결정되는 것에 따라, 이 결정된 트랙 이름에 의한 트랙의 재생을 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결정된 트랙의 재생이 개시된 후, 즉 아티스트 링크 셔플 재생 기능으로서 트랙의 재생 중에는, 표시부(15)에, 도 15의 (d) 또는 도 15의 (e)에 나타내는 표시를 행한다.
이 경우도, 도 15의 (d)는 셔틀 스위치(8d)가 트랙 위치에 있는 때의 표시 내용이며, 이 경우, 도 15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15)에 표시되는 재생 중인 트랙에 관한 정보로서, 재생 중인 트랙의 트랙 이름 정보와 그 트랙의 아티스트명의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도 15의 (e)는 셔틀 스위치(8d)가 앨범 위치에 있는 때의 표시 내용이며, 이때, 표시부(15)의 재생 중인 트랙에 관한 정보로서, 이 경우의 셔플 동작에 의해 선택 및 결정된 아티스트명(키 Art의 아티스트명)이 표시된다.
또한, 아티스트 링크 셔플 재생 기능으로서 트랙의 재생 중에 정지 조작을 한 경우에도, 내가 즐겨듣는 셔플 재생 기능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재생은 정지되지만, 표시부(15)에는 정지 조작을 한 시점에서의 표시 내용이 유지된다.
도 15의 (f)는, 셔틀 스위치(8d)가 트랙 위치에서 정지 조작을 한 경우의 표시 내용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5의 (g)는 셔틀 스위치(8d)가 앨범 위치에서 정지 조작을 한 경우의 표시 내용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도, 정지 상태가 소정 시간 계속 됐을 때는 슬립 모드로 이행한다.
도 16의 (a)~(f)는, 타임머신 셔플 재생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타임머신(Time Machine) 셔플 재생 기능은, I.S. 선택 화면에서 타임머신 셔플 재생 기능이 선택 및 결정되는 것에 따라 개시된다.
타임머신 셔플 재생 기능의 결정에 따라, 먼저, 도 1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15)에, 발매 연도 리스트에 존재하는 모든 발매 연도의 정보를 선택 후보로 하여, 그들의 순차 표시를 행한다.
이 경우도 또한, 순차 표시로서는, 정보(이 경우는 발매 연도의 정보)가 하나씩 차례로 바뀌면서 표시되도록 하고 있다.
도 16의 (a)에서의 순차 표시는 또한,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예를 들면, 3초)에 걸쳐서 수행된다.
이와 같은 발매 연도에 대한 순차 표시를 소정 시간 행한 후에는, 다음의 도 1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셔플 재생으로서 난수에 따라 결정된 발매 연도의 정보가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 동안(예컨대, 300ms) 표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결정된 각 발매 연도의 정보를 소정 시간 동안 표시한 후에, 발매 연도 리스트에서, 결정된 발매 연도의 정보에 대응하는 모든 트랙 이름 중에서, 소정의 트랙 이름의 정보를 선택 및 결정한다. 예를 들면, 이 발매 연도의 정보에 대응되는 트랙 이름 중, 리스트의 선두에 위치하는 트랙 이름의 정보를 선택 및 결정한다.
또는, 결정한 발매 연도의 정보에 대응하는 모든 트랙 이름의 정보를 대상으로 하여, 난수의 발생, 및 난수에 대응하는 트랙 이름의 선택 및 결정을 행하여 트랙 이름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트랙 이름의 정보가 결정되는 것에 따라, 이 결정된 트랙 이름에 의한 트랙의 재생을 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결정된 트랙의 재생이 개시된 후, 즉 타임머신 셔플 재생 기능에 기초하여 트랙이 재생 중일 때, 표시부(15) 상에는, 도 16의 (c) 또는 도 16의 (d) 에 나타낸 정보가 표시된다.
이 경우도, 도 16의 (c)는 셔틀 스위치(8d)가 트랙 위치에 있는 때의 표시 내용이며, 이 경우,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15) 상에 표시되는 재생 중인 트랙에 관한 정보로서는, 재생 중인 트랙의 트랙 이름의 정보와 그 트랙의 아티스트명의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도 16의 (d)는 셔틀 스위치(8d)가 앨범 위치에 있는 때의 표시 내용이며, 이 경우, 표시부(15) 상의 재생 중의 트랙에 관한 정보로서는, 이 경우의 셔플 동작에 의해 선택 및 결정된 발매 연도의 정보만 표시된다.
또한, 이 타임머신 셔플 재생 기능에 기초하여 트랙이 재생 중일 때 정지 조작을 한 경우에도, 앞의 각 재생 기능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재생은 정지되지만, 표시부(15) 상에서는 정지 조작을 한 시점에서의 표시 내용이 유지된다.
도 16의 (e)은 셔틀 스위치(8d)가 트랙 위치에서 정지 조작을 한 경우의 표시 내용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6의 (f)에서는 셔틀 스위치(8d)가 앨범 위치에서 정지 조작을 한 경우의 표시 내용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도, 정지 상태가 소정 시간 계속 됐을 때는, 동작 모드는 슬립 모드로 이행하게 된다.
도 17의 (a)~(e)는 스포츠 셔플 재생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스포츠 셔플 재생 기능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동 오프(off) 타이머 기능을 가진 셔플 재생 기능이다. 이 스포츠 셔플 재생 기능은, I.S. 선택 화 면에서 스포츠 셔플 재생 기능이 선택 및 결정되는 것에 따라 개시된다.
스포츠 셔플 재생 기능이 결정된 것에 따라, 도 17의 (a)에 나타내는 타이머 시간 설정 화면이 표시부(15) 상에 표시된다. 이 타이머 시간 설정 화면에서는, 타이머 설정 시간(이 경우는 분 단위)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이 타이머 시간 설정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FF 조작/FR 조작을 행함으로써, 타이머 설정 시간 조정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PLAY/STOP 키(8c)를 누르는 조작에 의해, 타이머 설정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타이머 설정 시간의 결정 조작에 따라, 도 17의 (b)에 나타내는 레디고(Ready-Go) 표시가 행해진다. 이 Ready-Go 표시는, 예를 들면 "3, 2, 1, Go !" 등의 일련의 화면 표시에 따라, 스타트 카운트를 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Ready-Go 표시를 행하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해당 스포츠 셔플 재생 기능이 조깅시에 사용되는 것을 상정한 것에 기초한다. 이때, Ready-Go 표시로 "3, 2, 1" 등의 스타트 이전의 화면에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사람이 준비하고 있는 일러스트 등을 표시하여 스타트 이전의 감각(긴장감 등)을 연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레디고(Ready-Go) 표시에 의한 스타트 카운트를 행하면, 콘텐츠 데이터(18a)로서 저장되는 모든 트랙을 대상으로 한 셔플 재생이 개시된다. 즉, 모든 트랙을 대상으로 하여 난수의 발생, 및 난수에 대응하는 트랙의 선택 및 결정을 함과 동시에, 이와 같이 결정된 트랙에 대한 재생이 개시된다.
그리고, 재생의 개시에 따라, 자동 오프(off) 타이머의 동작이 개시된다. 이 자동 오프(off) 타이머 동작의 개시에 따라, 표시부(15) 상에, 도 17의 (c)에 나타낸 것과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즉, 타이머의 남은 시간 및/또는 스타트로부터의 경과 시간 등이 표시된다. 이때, 예를 들면 도시한 바와 같이 사람이 달리고 있는 일러스트 등에 맞춰서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스포츠 감각을 연출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스포츠 셔플 재생 기능으로 재생을 하는 중에, 정지 조작을 한 경우에도, 지금까지의 각 재생 기능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재생은 정지되지만, 표시부(15) 상에서는 정지 조작을 한 시점에서의 표시 내용은 유지된다[도 17의 (d) 참조]. 이 경우도, 정지 상태가 소정 시간 계속 됐을 때는 슬립 모드로 이행하게 된다.
또한, 다음의 도 17의 (e)는, 타이머 설정 시간이 경과된 후, 자동 오프(off) 동작이 완료했을 때의 표시 내용을 나타내고 있지만, 자동 오프(off)로 재생이 정지되었을 경우에는, 도 17의 (d)에 나타낸 정지 화면과 달리, 타이머의 남은 시간 표시는 "0"으로 되고, 스타트로부터의 경과 시간 표시는 설정한 타이머 시간으로 된다. 이때, 예를 들면 도시한 바와 같이 만세를 하는 사람의 일러스트 등과 같이 목적지에 도달한 사람의 일러스트를 표시하여, 달성감을 연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 스포츠 셔플 재생 기능에서는, 셔틀 스위치(8d)의 트랙 위치 및 앨범 위치에 관계없이, 재생 중 및 정지시의 화면 표시는 도 17의 (c) 및 (d)에 나타내는 것과 마찬가지로 된다.
여기서,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기록/재생 장치(2)로서는, 셔플 재생으로서 복수 개의 선택 후보군으로부터 1개의 후보를 선택 및 결정할 때 에, 복수 개의 선택 후보 정보 중 소정 수의 선택 후보 정보가 차례로 바뀌도록 표시하는 순차 표시를 행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예를 들면 룰렛(roulette) 등의 추첨과 같이, 셔플에 따라 어느 후보 정보가 선택 및 결정될지에 대한 기대감을 높인다. 즉, 이로써, 셔플 재생이 가지는 오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이와 같은 순차 표시는, 셔플 재생이 가지는 불규칙한 추첨성을 표현 및 연출하기 위해, 인텔리전트 셔플 재생 모드시에만 행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본 실시예에서는 스포츠 셔플 재생시는 제외함).
이와 같이 순차 표시가 인텔리전트 셔플 재생 모드시에만 행해지는 것에 따라, 사용자는 이 순차 표시가 행해지는 것에 의해 현재의 재생 모드가 인텔리전트 셔플 재생 모드인 것을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알 수 있다. 즉, 이로써 현재의 재생 모드를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이해시키는 것이다.
이상, 본 실시예에 의하면, 셔플 재생이 가지는 오락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직감적이고 이해시키기 쉬운 우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실현할 수 있다.
(처리 동작)
이어서, 도 18~도 20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한 실시예로서의 인텔리전트 셔플 재생 동작과, 그에 따라 행해지는 순차 표시 동작을 실현시킬 때의 기록/재생 장치(2)에서 행해지는 처리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들 도 18~도 20에서 나타낸 처리 동작은, 컨트롤러(6)에 의해 메 모리(9)에 저장되는 재생 및 표시 프로그램(9a)에 기초하여 실행된다.
플로차트에서의 모든 처리 과정에 대한 설명 또는 단계는, 처리 과정에서의 특정의 논리적 기능 또는 단계를 구현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코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 내에 변경 구현이 포함되며, 여기서의 기능은, 당업자라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포함되는 기능성에 따라, 순차적인 진행 또는 반대 방향의 진행을 포함하며, 도시되거나 설명된 순서를 벗어나서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이들 도 18~도 20에서는, 플래시 메모리(18) 내의 콘텐츠 데이터(18a)로서 복수 개의 트랙이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기록되는 트랙이 1개인 경우에는, 도 11에 나타낸 기능 선택 화면(Gl)에서 인텔리전트 셔플 재생 기능을 선택 불가능하게 하고, 또는 각 재생 기능에서 그 트랙을 반복적으로 재생하는 등의 대응 처리가 행해지게 된다.
도 18은, 내가 즐겨듣는 셔플 재생 기능이 선택 및 결정된 후에 실행되는 처리 동작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8에서, 도 11에 나타낸 I.S. 선택 화면상에서 내가 즐겨듣는 셔플 재생 기능의 선택 및 결정에 따라, 단계 S101에서, 이 경우는 플래시 메모리(18) 내의 각종 리스트(18c)로서 저장되는 재생 횟수 순서 리스트를 참조한다.
그리고, 단계 S102에서, 이 재생 횟수 순서 리스트에서 재생 횟수가 많은 상위 소정 수의 트랙 이름의 정보를 선택 후보로 지정한다.
다음으로, 단계 S103에서, 선택 후보로 지정한 트랙 이름에 대한 순차 표시 처리를 실행한다. 즉, 순차 표시 시간으로서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에 걸쳐서, 이와 같이 선택 후보로서 지정된 트랙 이름의 정보를 대상으로 하여, 트랙 이름의 정보가 하나씩 표시부(15) 상에서 차례로 바뀌면서 표시되도록, 표시 제어부(14)에 대한 제어를 행한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순차 표시를 행하는 선택 후보 정보의 수에 따라, 순차 표시 시간 내(이 경우에는 3초간)에서 모든 선택 후보 정보를 순차 표시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설정된 순차 표시 시간 내에서 표시할 수 있는 수의 선택 후보 정보에 대해서만 표시 제어부(14)에 공급하고, 그들의 선택 후보 정보에 대하여 하나씩 표시부(15) 상에서 바뀌어서 표시되도록 지시를 행하면 된다.
그리고, 이것은 나중에 설명하는 단계 S204(도 19) 및 단계 S304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 순차 표시 처리를 행하면, 다음의 단계 S104에서 난수를 발생한다. 그리고, 단계 S105에서, 선택 후보로 지정한 트랙 이름 중에서 발생한 난수에 대응하는 트랙 이름을 선택 및 결정한다. 이 경우, 컨트롤러(6)는, 선택 후보로 지정한 각 트랙 이름의 정보를, 예를 들면 1부터 n까지의 번호 정보에 의해 관리하며, 발생한 난수에 대응하는 번호의 트랙 이름의 정보를 선택 및 결정하게 된다.
또한, 단계 S106에서, 이와 같이 하여 결정한 트랙 이름의 정보를 소정 시간 동안 표시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즉, 이 결정된 트랙 이름의 정보를 표시 제어부(14)에 공급하여 표시부(15) 상에 소정 시간 동안 표시하도록 지시를 행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경우는 결정한 트랙 이름의 정보를, 예컨대 300ms 동안표시하게 한다.
이후, 단계 S107에서, 이 결정된 트랙에 대한 재생을 개시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즉, 콘텐츠 관리 정보(18b)에 의해, 결정된 트랙 이름의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ID의 정보를 취득하고, 콘텐츠 데이터(18a)로서 저장되는 각 트랙 중 이 콘텐츠 ID에 의해 특정되는 트랙에 대한 재생 개시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계속해서, 단계 S108에서, FF 조작을 했는지 여부에 대한 판별 처리를 행한다. 도 9의 (a) 및 (b)에 나타낸 셔틀 스위치(8d)의 회전 조작으로서 FF 조작이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부정 결과를 얻었을 경우에는, 단계 S109로 진행되어 트랙의 재생이 종료되었는지 아닌지에 대한 판별 처리를 행한다. 즉, 재생 중인 트랙이 끝까지 재생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판별을 행한다. 트랙의 재생이 종료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부정 결과를 얻었을 경우에는, 단계 S108로 돌아와 다시 FF 조작에 대한 판별 처리를 실행한다.
이와 같은 단계 S108, 단계 S109 및 S108의 처리에 의해, FF 조작과 트랙의 재생 종료 중 어느 하나를 대기하는 루프 처리가 형성된다.
단계 S109에서, 트랙의 재생이 종료되었다는 긍정 결과를 얻었을 경우에는, 단계 S110에서 난수를 발생한다. 그리고, 단계 S111로 진행하여, 앞의 단계 S102에서 선택 후보로 지정한 트랙 중에서, 이 발생한 난수에 대응하는 트랙을 선택 및 결정한다. 그리고, 단계 S112에서, 이 결정된 트랙에 대한 재생 개시 처리를 실행한다. 이와 같이 새로운 트랙에 대하여 재생을 개시한 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 계 S108로 되돌아오게 된다.
여기서, 난수에 근거하는 추첨에서는, 연속하여 같은 선택 후보가 선택되지 않도록 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비교적 높은 빈도로 동일 후보가 선택되는 경우도 있어, 셔플을 행하는 효과가 약해질 우려가 있다. 그래서, 이 경우의 셔플 재생으로서는, 적어도 선택 후보로서 지정된 트랙이 1회 순환(즉, 모든 트랙이 1회 재생되기)하기까지는, 동일 트랙이 선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은, 예를 들면 재생이 끝난 트랙을 체크하고, 난수에 기초하여 추첨된 트랙이 체크가 끝난 상태였던 경우에 다시 난수를 발생하여 추첨을 다시 행하는 처리를 추가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앞의 단계 S108에서, FF 조작을 수행한 것으로 판정된 긍정 결과를 얻었을 경우에는, 단계 S113으로 진행되어 재생을 정지한 후에, 단계 S103으로 되돌아와서, 선택 후보로서 지정된 트랙 이름에 대한 순차 표시 처리를 다시 실행하도록 된다.
즉, 이와 같은 처리 동작에 의해, 내가 즐겨듣는 셔플 재생시에, 트랙 재생 중인 FF 조작에 따라, 추첨에 의한 셔플에 기초하여 트랙의 재추첨이 행해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선택 후보 정보로 지정한 정보에 대하여 재차 셔플에 의한 추첨을 행하는 것을, "리셔플(Reshuffle)"이라고 한다.
여기서, 이와 같은 리셔플을 행하는 동안에 있어서도, 난수에 기초하여 추첨을 행하면, 경우에 따라서는 비교적 높은 빈도로 동일 트랙이 선택되어 버릴 가능 성도 있어, 셔플 재생의 이유가 희미해져 버릴 우려가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리셔플시에 있어서도, 앞의 트랙 재생 종료 후의 재추첨시와 마찬가지로 선택 후보로서 지정된 트랙이 1회 순환할 때까지는, 동일 트랙이 선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에 의한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본 도면에 나타낸 처리 동작으로서, 실제로는 FR 조작을 대기하고, 이 FR 조작에 따라 재생 중인 트랙의 선두화(heading)를 행하는 처리가 추가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이것도 도시에 의한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컨트롤러(6)는, 본 도면에 나타낸 처리와 병행하여, PLAY/STOP 키(8c)에 의한 정지 조작을 감시하는 처리를 행하고 있다. 이 정지 조작에 따라, 본 도면에 나타내는 처리 동작이 종료하고 재생 정지 처리가 실행된다.
그리고, 이들 FR 조작, PLAY/STOP 키(8c)의 정지 조작에 따른 처리는, 이하에 설명하는 도 19 및 도 20의 처리 동작과 병행하여도 마찬가지로 행해진다.
이어서, 도 19는, 아티스트 링크 셔플 재생 기능이 선택 및 결정된 후에 실행되는 처리 동작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9에서, I.S. 선택 화면상에서 아티스트 링크 셔플 재생 기능이 선택 및 결정된 것에 따라, 먼저 단계 S201에서 아티스트 링크 리스트를 참조한다.
그리고, 단계 S202에서, 이 아티스트 링크 리스트에서 키 Art가 복수 개 있는지 여부에 대한 판별 처리를 실행한다. 즉, 앞의 도 6에서 설명한 아티스트 링크 리스트에서, 제1 계층에 정렬된 키 Art로서의 아티스트명의 정보가 복수 개 존 재하는지 아닌지에 대하여 판별을 행한다.
단계 S202에서 키 Art가 아티스트 링크 리스트에 1개만 있는 부정 결과를 얻었을 경우에는, 단계 S219으로 진행하여, 해당하는 키 Art의 리스트 내의 트랙을 대상으로 하여 셔플 재생을 수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아티스트 링크 리스트에서 이 1개의 키 Art에 대응하는 유닛(키 Art 및 관련 Art)에 대해서 또한 대응하는 모든 트랙을 대상(선택 후보)으로 하여 도면 중의 단계 S211~S216와 S218의 처리가 행해진다. 그리고 이 경우, 최초에 재생하는 트랙은, 리스트에서 선두 위치로 되는 트랙 등의 미리 정해진 위치의 트랙이면 된다. 또는, 처음 재생되는 트랙은 난수를 사용하여 추첨할 수도 있다.
한편, 단계 S202에서, 키 Art가 복수 개 있다는 긍정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다음의 단계 S203에서, 모든 키 Art를 선택 후보로서 지정한다. 즉, 아티스트 링크 리스트의 제1 계층에 정렬된 키 Art로서의 모든 아티스트명의 정보를 선택 후보로서 지정한다.
그리고, 단계 S204에서는, 선택 후보로 지정한 키 Art에 대한 순차 표시 처리를 실행한다. 즉, 순차 표시 시간으로서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 동안, 이와 같이 선택 후보로서 지정된 키 Art로서의 아티스트명의 정보를 대상으로 하여, 아티스트명의 정보가 하나씩 표시부(15) 상에서 차례로 바뀌면서 표시되도록 표시 제어부(14)에 대한 지시를 행한다.
이 순차 표시 처리를 행한 후에, 다음의 단계 S205에서 난수를 발생하고, 계속되는 단계 S206에서, 선택 후보로 지정한 키 Art(아티스트명의 정보) 중에서 발 생한 난수에 대응하는 키 Art를 선택 및 결정한다. 이 경우도, 컨트롤러(6)는, 선택 후보로 지정한 각 아티스트명의 정보를, 예를 들면 1부터 n까지의 번호에 의해 관리하며, 발생한 난수에 대응하는 번호의 아티스트명의 정보를 선택 및 결정하게 된다.
그리고, 단계 S207에서, 결정한 키 Art의 리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관련 Art의 수에 대한 정보를 취득한다. 즉, 아티스트 링크 리스트에서, 이 결정된 키 Art와 제2 계층에서 대응하는 관련 Art의 수를 카운트하고, 그 값을 관련 Art의 수에 대한 정보로서 얻는다.
또한, 다음의 단계 S208에서는, 결정한 키 Art로서의 아티스트명의 정보를 소정 시간 동안 표시하는 처리를 행한다. 또한, 다음의 단계 S209에서, 취득한 관련 Art의 수에 대한 정보를 소정 시간 동안 표시하는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들 결정된 아티스트명의 정보와 관련 Art의 수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면 300ms 동안 표시한다.
이후, 단계 S210에서는, 결정한 키 Art의 리스트 내의 소정 트랙으로부터 재생을 개시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즉, 아티스트 링크 리스트 내에서, 결정한 키 Art에 대응하고 있는 유닛(키 Art 및 관련 Art)에 또한 대응하는 트랙 이름에 대하여, 예를 들면 리스트에서 선두에 위치하는 트랙 이름 등 소정의 트랙 이름을 선택 및 결정한다.
그리고, 콘텐츠 관리 정보(18b)에서, 이 결정된 트랙 이름의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ID의 정보를 취득하고, 콘텐츠 데이터(18a)로서 저장되는 각 트랙 중 이 콘텐츠 ID에 의해 특정되는 트랙에 대한 재생 개시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스트에서 선두에 위치하는 트랙을 재생 개시 트랙으로서 선택 및 결정하는 것 외에도, 결정된 키 Art 및 관련 Art의 유닛에 대응하는 모든 트랙을 대상으로 하여, 난수의 발생, 및 난수에 대응하는 트랙의 선택 및 결정을 행하여 재생 개시 트랙을 결정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단계 S211에서는, 리셔플(Reshuffle) 조작을 했는지 아닌지에 대한 판별 처리를 행한다.
이 리셔플 조작이란, 셔틀 스위치(8d)를 앨범 위치로 한 상태에서의 FF 조작이다.
여기서, 아티스트 링크 셔플 재생에서, 셔플 대상은 아티스트이며, 내가 즐겨듣는 셔플 재생과 같은 트랙은 아니다. 단, 이 아티스트 링크 셔플 재생에서도, 트랙에 대한 스킵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통상의 FF 조작도 가능하게 해 둘 필요가 있다. 그래서, 이 경우의 리셔플 지시에 대해서는, 통상의 FF 조작[셔틀 스위치(8d)의 트랙 위치에서의 FF 조작]이 아니고, 이와 같은 앨범 위치에서의 FF 조작을 할당하는 것으로서, 트랙에 대한 스킵 지시 양쪽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단계 S211에서, 셔틀 스위치(8d)의 앨범 위치에서의 FF 조작로서의 리셔플 조작이 검출되지 않은 부정 결과를 얻었을 경우에는, 단계 S212로 진행되어 FF 조작[통상의 FF 조작, 즉 셔틀 스위치(8d)의 트랙 위치에서의 FF 조작]을 했는지 아닌지에 대하여 판별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단계 S212에서, FF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부정 결과를 얻었을 경우는, 단계 S213으로 진행되어 트랙의 재생이 종료됐는지 아닌지에 대하여 판별 처리를 행한다. 단계 S213에서, 트랙의 재생이 종료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부정 결과를 얻었을 경우에는, 단계 S211로 되돌아와 다시 리셔플 조작에 대한 판별 처리를 실행한다.
이와 같은 단계 S211, 단계 S212, 단계 S213, 및 단계 S211의 처리에 의해, 이 경우는 리셔플 조작, FF 조작, 트랙의 재생 종료 중 어느 하나를 대기하는 루프 처리가 형성된다.
한편, 단계 S213에서, 트랙의 재생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된 긍정 결과를 얻었을 경우에는, 이 경우도 내가 즐겨듣는 셔플 재생시와 마찬가지로, 선택 후보로서 지정된 트랙의 범위 내에서의 셔플 재생이 실행된다.
즉, 먼저, 단계 S214에서 난수를 발생한다. 또한 단계 S215로 진행하고, 단계 S206에서 결정한 키 Art의 리스트 내의 트랙(즉, 키 Art에 따른 유닛에 대응되는 트랙) 중에서, 발생한 난수에 대응하는 트랙을 선택 및 결정한다. 그 후, 단계 S216에서, 이 결정된 트랙에 대한 재생 개시 처리를 실행한다. 이와 같이 새로운 트랙에 대하여 재생을 개시한 후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 S211로 되돌아오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적어도 선택 대상으로서 지정된 트랙이 1회 순환할 때까지는 동일 트랙이 선택되지 않게 함으로써, 재생이 끝난 트랙을 체크하고, 난수에 기초하여 추첨된 트랙이 체크가 끝난 상태인 경우에는 재차 난수를 발생하여 추첨을 다시 행하는 처리를 추가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단계 S211에서, 리셔플 조작을 행한 것으로 판단된 긍정 결과를 얻었을 경우에는, 단계 S217로 진행되어, 재생을 정지한 후에, 단계 S204로 되돌아와서, 선택 후보에 지정된 키 Art에 대한 순차 표시 처리를 재차 실행하게 된다.
즉, 이와 같은 처리 동작에 의해, 아티스트 링크 셔플 재생시에는, 트랙 재생 중인 리셔플 조작에 따라, 키 Art에 대한 리셔플을 행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이 키 Art의 리셔플로서, 적어도 키 Art가 1회 순환할 때까지는 동일한 키 Art가 선택되지 않게 함으로써, 선출된 키 Art를 체크하고, 난수에 기초하여 추첨된 키 Art의 체크가 끝난 상태인 경우, 재차 난수를 발생하여 추첨을 다시 행하는 처리를 추가할 수도 있다.
한편, 단계 S212에서, FF 조작을 행한 것으로 판단된 긍정 결과를 얻었을 경우에는, 단계 S218로 진행되어, 재생을 정지한 후에, 앞서 설명한 S214로 진행하도록 된다. 이에 의하여, FF 조작에 의한 재생 트랙의 스킵 지시에 따라, 다음의 트랙이 셔플에 따라 추첨되어 재생이 개시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도 20은, 타임머신 셔플 재생 기능이 선택 및 결정된 후에 실행되는 처리 동작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20에서, I.S. 선택 화면상에서 이 타임머신 셔플 재생 기능이 선택 및 결정된 것에 따라, 먼저 단계 S301에서 발매 연도 리스트를 참조한다.
그리고, 단계 S302에서, 이 발매 연도 리스트에서 발매 연도가 복수 개 있는지 여부에 대한 판별 처리를 실행한다. 즉, 도 7과 관련하여 설명한 발매 연도 리스트에서, 제1 계층에 정렬된 발매 연도의 정보가 복수 개 존재하는지 아닌지에 대하여 판별을 행한다.
발매 연도의 정보 중 1개에서만 부정 결과를 얻었을 경우에는, 단계 S317로 진행하고, 해당하는 발매 연도의 리스트 내의 트랙을 대상으로 하여 셔플 재생을 수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발매 연도 리스트에서 1개의 발매 연도에 대응하는 모든 트랙을 대상(선택 후보)으로 하여, 도면 중의 단계 S310~S314와 S316의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최초에 재생하는 트랙은, 리스트에서 선두 위치로 되는 트랙 등의 미리 정해진 위치의 트랙으로 하고, 또는 난수를 사용하여 선택 및 결정한 것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302에서, 키 Art가 복수 개 있는 것으로 판단된 긍정 결과를 얻었을 경우에는, 단계 S303에서, 발매 연도 리스트의 모든 발매 연도를 선택 후보로서 지정한다.
그리고, 단계 S304에서는, 선택 후보로 지정한 발매 연도에 대한 순차 표시 처리를 실행한다. 즉, 순차 표시 시간으로서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 동안, 이와 같이 선택 후보로서 지정된 발매 연도의 정보를 대상으로 하여, 발매 연도의 정보를 하나씩 표시부(15) 상에서 차례로 바뀌어 표시되도록, 표시 제어부(14)에 대한 지시를 행한다.
이 순차 표시 처리를 행한 후에, 단계 S305에서 난수를 발생하고, 계속되는 단계 S306에서, 선택 후보로 지정한 발매 연도 중에서 발생한 난수에 대응하는 발매 연도를 선택 및 결정한다. 이 경우에도, 컨트롤러(6)는, 선택 후보로 지정한 각 발매 연도의 정보를, 예를 들면 1부터 n까지의 번호에 의해 관리하며, 발생한 난수에 대응하는 번호의 발매 연도의 정보를 선택 및 결정하게 된다.
그리고, 단계 S307에서는, 결정한 발매 연도의 정보를 소정 시간 동안 표시하는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발매 연도의 정보를, 예를 들면 300ms 동안 표시하게 된다.
그 후, 단계 S308에서는, 결정한 발매 연도의 소정 트랙으로부터 재생을 개시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즉, 발매 연도 리스트 내에서, 결정한 발매 연도에 대응하는 트랙 이름에 대하여, 예를 들면 리스트에서 선두에 위치하는 트랙 이름 등 소정의 트랙 이름을 선택 및 결정한다. 그리고, 콘텐츠 관리 정보(18b)에 의해, 결정된 트랙 이름의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ID의 정보를 취득하고, 콘텐츠 데이터(18a)로서 저장되는 각 트랙 중 이 콘텐츠 ID에 의해 특정되는 트랙에 대한 재생 개시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재생을 개시하는 트랙은, 발매 연도에 대응하는 모든 트랙을 대상으로 하여 난수의 발생, 및 난수에 대응하는 트랙의 선택 및 결정을 행함으로써 결정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단계 S309에서는, 리셔플(Reshuffle) 조작을 했는지 아닌지에 대하여 판별 처리를 행한다. 즉, 이 경우에도 셔플 대상은 트랙이 아니라 발매 연도이므로, 통상의 트랙에 대한 스킵 지시를 위한 FF 조작과 발매 연도를 리셔플하기 위한 리셔플 조작을 구분하여 수행한다. 그리고, 이 경우의 리셔플 조작에, 셔틀 스위치(8d)가 앨범 위치에 있는 때의 FF 조작이 할당되어 있다.
단계 S309에서, 이와 같은 셔틀 스위치(8d)가 앨범 위치에서의 FF 조작으로서의 리셔플 조작이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부정 결과를 얻었을 경우에는, 단계 S310으로 진행되어, FF 조작[셔틀 스위치(8d)가 트랙 위치에 있는 때의 FF 조작인 통상의 FF 조작]을 했는지 아닌지에 대한 판별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FF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부정 결과를 얻었을 경우에는, 단계 S311로 진행되어, 트랙의 재생이 종료됐는지 아닌지에 대한 판별 처리를 행한다. 트랙의 재생이 종료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부정 결과를 얻었을 경우에는, 단계 S309로 되돌아와 다시 리셔플 조작에 대한 판별 처리를 실행한다.
이와 같은 단계 S309, 단계 S310, 단계 S311, 및 단계 S309의 처리에 의해, 이 경우도 리셔플 조작, FF 조작, 트랙의 재생 종료 중의 어느 것인가를 대기하는 루프 처리가 형성된다.
한편, 단계 S311에서, 트랙의 재생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된 긍정 결과를 얻었을 경우에는, 이 경우도 앞서 설명한 각 셔플 재생시와 마찬가지로, 선택 후보로서 지정된 트랙의 범위 내에서의 셔플 재생이 실행된다.
즉, 단계 S312에서 난수를 발생한다. 그리고, 단계 S313으로 진행하여, 단계 S306에서 결정한 발매 연도의 트랙 중에서, 이 발생한 난수에 대응하는 트랙을 선택 및 결정한다. 그후, 단계 S314에서, 이 결정된 트랙에 대한 재생 개시 처리를 실행한다. 이와 같이 새로운 트랙에 대하여 재생을 개시한 후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 S309로 되돌아오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적어도 선택 대상으로 하여 지정된 트랙이 1회 순환할 때까지는 동일 트랙이 선택되지 않게 함으로써, 재생 끝난 트랙을 체크하고, 난수에 기초하여 추첨된 트랙이 체크가 끝난 상태였던 경우에는 재차 난수를 발생하여 추첨을 다시 행하는 처리를 추가할 수도 있다.
이어서, 단계 S309에서, 리셔플 조작을 수행한 것으로 판단된 긍정 결과를 얻었을 경우에는, 단계 S315로 진행되어 재생을 정지한 후에, 단계 S304로 되돌아와서, 선택 후보로서 지정된 발매 연도에 대한 순차 표시 처리를 재차 실행하도록 된다.
즉, 이와 같은 처리 동작에 의해, 타임머신 셔플 재생시에는, 트랙 재생 중인 리셔플 조작에 따라, 발매 연도에 대한 리셔플을 수행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이 발매 연도의 리셔플의 경우에도, 적어도 발매 연도가 1회 순환할 때까지는 동일 발매 연도가 선택되지 않게 함으로써, 선택된 발매 연도를 체크하고, 난수에 기초하여 추첨된 발매 연도가 체크가 끝난 상태였던 경우에는 재차 난수를 발생하여 추첨을 다시 행하는 처리를 추가할 수도 있다.
한편, 단계 S310에서, FF 조작을 수행한 것으로 판단된 긍정 결과를 얻었을 경우에는, 단계 S316으로 진행되어 재생을 정지하게 된다. 이후, 앞서 설명한 S312로 진행하게 된다. 이로써, FF 조작에 의한 재생 트랙의 스킵 지시에 따라, 다음 트랙이 셔플에 의해 추첨되어 재생이 개시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도 18~도 20에서, 각 셔플 재생이 개시된 후에는, 정지 조작이 있을 때까지 재생 대상 범위의 트랙을 반복적으로 재생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재생 대상 범위의 트랙에 대하여 1회 순환하면 자동으로 재생을 정지하는 경우도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내가 즐겨듣는 셔플 재생에서는, 재생 대상 범위로 된 상위 소정 수의 트랙이 1회 순환하면 재생을 정지한다. 또한, 아티스트 링크 셔플 재생의 경 우에는, 결정 키 Art에 대응하도록 된 유닛에 대응하는 모든 트랙이 1회 순환하면 재생을 정지한다. 또한, 타임머신 셔플 재생의 경우에는, 결정한 발매 연도에 대응한 모든 트랙이 1회 순환하면 재생을 정지한다.
이와 같은 동작의 실현에 있어서, 도 18~도 20의 각각의 처리에 대해, 재생 대상 범위로서 지정된 모든 트랙이 1회 순환했는지 아닌지를 체크하고, 모든 트랙이 차례로 1회 선택되면 재생을 정지하는 처리를 추가하면 된다.
여기서, 지금까지의 설명으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18~도 20에 나타낸 처리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도 14~도 16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셔플 재생 기능 및 순차 표시 기능이 실현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처리 동작은, 기록/재생 장치(2)에 대해서 기억된 재생 및 표시 프로그램(9a)에 의해 실현되는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재생 및 표시 프로그램(9a)에 의해 본 실시예로서의 셔플 재생 기능 및 순차 표시 기능을 실현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지금까지의 설명에서는, "순차 표시"는, 선택 후보 정보가 표시부(15) 상에 하나씩 차례로 바뀌도록 표시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 순차 표시로서, 선택 후보 정보를 하나씩이 아니라 복수 개씩 차례로 교체하도록 표시하는 경우도 있다.
도 21은, 이와 같이 선택 후보 정보를 복수 개씩 차례로 전환하여 표시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이 도면에서는 선택 후보 정보가 발매 연도의 정보로 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다른 정보로 된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표시 형태를 채택할 수 있다.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경우의 순차 표시는, 표시부(15) 상에 복수 개의 선택 후보 정보를 동시에 표시되도록 할 때(도면의 예에서는 3개의 선택 후보 정보), 소정 방향으로 스크롤시킨 선택 후보 정보의 일람 중 복수 개씩 보이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한번에 선택 후보 정보를 복수 개씩 표시하는 순차 표시는, 도 21에에 나타낸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21의 예에서 스크롤시키지 않고, 선택 후보 정보를 복수 개씩 차례로 교체하여 표시하는 등, 그 밖에도 다양하게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순차 표시로서, 각 선택 후보 정보가 크로스페이드(cross-fade) 형태로 바뀌도록 할 수 있다. 즉, 표시 중의 선택 후보 정보가 서서히 페이드아웃되고, 다음에 표시되는 선택 후보 정보가 이 페이드아웃 표시에 중첩하여 서서히 페이드인하는 표시를 반복하여 행하는 것이다.
또한, 셔플의 구성으로서 순차 표시되는 선택 후보 정보가, 또한 화면상에서 상하 좌우 방향 등과 같이, 복수 개의 방향으로 흔들리도록 표시할 수도 있다.
<종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기능>
(전제와 문제점)
여기서, 도 10의 설명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기록/재생 장치(2)가 가지는 각종 재생 기능 중에서, 인텔리전트 셔플(I.S.) 재생 기능과 뮤직 라이브러리(M.L) 재생 기능의 일부(내가 즐겨듣는 재생 기능, 발매 연도 재생 기능)는, 본 기록/재생 장치(2)에서 확장된 기능이다. 또한, 이것들 이외의 M.L. 재 생 기능(모든 트랙, 아티스트, 앨범, 장르, 플레이 리스트의 각 재생 기능)은 종래부터 가지고 있는 기능으로 해도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기능 확장에 따라, 퍼스널 컴퓨터(3) 측의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을, 종래 기기에 대응하는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기능이 확장된 것으로 되어 있다.
도 22는,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에 의해 생성되고 기록/재생 장치(2) 측에 다운로드 되는 데이터 파일의 구조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먼저, 전제로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록/재생 장치(2)는, USB 대용량 기억장치 클래스에 대응하는 기기이며, 퍼스널 컴퓨터(3)와 기록/재생 장치(2)가 접속되면, 퍼스널 컴퓨터(3)에서는, 기록/재생 장치(2)를 외부의 기억장치로 인식한다. 도 22에서는, 이와 같이 하여 퍼스널 컴퓨터(3) 측에서 기록/재생 장치(2)가 외부 기억장치로서 인식되었을 때의, 기록/재생 장치(2) 측의 플래시 메모리(18) 내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18a), 콘텐츠 관리 정보(18b), 각종 리스트(18c)를 포함하는 퍼스널 컴퓨터(3) 측으로부터의 다운로드 데이터의 실제의 구조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3) 측으로부터 다운로드되어 플래시 메모리(18)에 저장되는 데이터로서는, 종래 기능의 실현을 위해 필요한 각종 파일이 저장되는 영역(도면 중 A1로 표시된 영역)과, 확장 기능의 실현을 위해 추가한 파일이 저장되는 영역(도면 중 A2로 표시된 영역)의 2개 영역으로 나눌 수 있 다.
영역 A1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OMG AUDIO"라고 하는 디렉토리 아래에, 그룹 트리 리스트 파일, 그룹 트리 프린지(group tree fringe) 파일, 기본 그룹 트리 관리 파일, 확장 그룹 트리 관리 파일, 그룹 프린지 파일, 콘텐츠 프린지 파일, 콘텐츠 저장 디렉토리 내의 각 콘텐츠 파일, 및 콘텐츠 ID 리스트 파일 등이 저장된다.
그룹 트리 리스트(group tree list) 파일은, 재생 리스트의 일람 파일이다. 재생 리스트는, 소정 단위로 구분되어 관리되는 트랙의 재생 순서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생성되는 플레이 리스트와 함께, 앨범 단위나 아티스트 단위라는 콘텐츠의 부가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생성되는 리스트도 포함된다.
앨범 단위로 분류되는 플레이 리스트 등으로서의 각 재생 리스트는, 실제로는 그룹 트리라는 트리 구조로 관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그룹 트리 프린지 파일은, 각 그룹 트리에 대한 타이틀 등의 부가 정보로 이루어지는 프린지 데이터(fringe data)를 저장하기 위한 파일이다.
기본 그룹 트리 관리(basic group tree management) 파일은, 디폴트의 재생 리스트이며, 콘텐츠 관리 순서를 정의한, 이른바 TOC 파일이다. 그리고, 기본 그룹 트리 관리 파일 내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일의 갱신 시간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이 확보된다.
또한, 확장 그룹 트리 관리(extension group tree management) 파일은, 디폴트의 재생 리스트와는 별도로 트랙의 재생 순서를 정의한 파일이며, 이 경우는 상 기 플레이 리스트나 앨범 단위로 관리되는 재생 리스트 등과 같은 의미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룹 프린지(group fringe) 파일은, 각 그룹 트리에서 정의되는 그룹에 대한 프린지 데이터(부가 정보)를 저장하는 파일이다.
또한, 콘텐츠 프린지(contents fringe) 파일은, 콘텐츠로서의 각 트랙(콘텐츠 파일)의 프린지 데이터(부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파일이다.
이 경우, 각 콘텐츠 파일은, 콘텐츠 파일 저장 디렉토리 내에 저장된다. 그리고, 이들 콘텐츠 파일을 고유하게 정의하기 위한 콘텐츠 ID의 일람 정보는, 도시하는 콘텐츠 ID 리스트 파일로서 저장된다.
또한, 도 22에서, A2 영역에는, "C2"라고 하는 디렉토리와, "AURA"라고 하는 디렉토리가 존재한다. 이 중에서, "AURA"의 디렉토리 아래에, C2 디텍션 파일이라는 확장 기능의 실현을 위한 파일이 저장된다. 즉, 이 C2 디텍션 파일 내에, 재생 횟수 순서 리스트, 아티스트 링크 리스트, 발매 연도 리스트의 각 리스트 정보가 저장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C2 디텍션 파일 내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일의 갱신 시간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종래의 기능은, 종래의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과 기록/재생 장치에서 실현되어 있던 기능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제로부터, 기능 확장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종래 기능을 위한 A1 영역에 대해, 확장 기능 실현에 필요한 A2 영역을 추가한 데이터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데이터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도 22에 나타낸 A1 영역은, 종래의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에 의해서도 유지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종래 기능과 함께 확장 기능을 실현하는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으로서는, A1 영역과 함께 A2 영역을 유지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와 같이 하여, 기록/재생 장치(2)에 대해서는, A1 영역을 종래의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유지 관리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과 기록/재생 장치(2)의 조합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3) 측에서 종래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관리되는 콘텐츠를 기록/재생 장치(2) 측에 다운로드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콘텐츠 데이터를 다운로드해도, 종래의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에서는 확장 기능(I.S. 재생 기능 및 M.L. 재생 중 내가 즐겨듣는 재생 기능 및 발매 연도 재생 기능)의 실현을 위해 필요한 각종 리스트의 생성 기능이 없고, 이들 리스트 정보까지는 다운로드 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종래의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만이 기록/재생 장치(2) 측에 다운로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종래의 재생 기능은 실현되지만, 각 확장 기능의 실행이 지시된 경우에는, 필요한 정보가 없는 상태에서의 재생 동작으로 되어 버리고, 이에 따라 기록/재생 장치(2)에 문제가 생기게 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기록/재생 장치(2) 측에 종래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한 경우 이외에도, 예를 들면 과거에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과 콘텐츠 데이터가 다운로드된 후에, 종래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예를 들면 몇 곡 분량의 트랙이 추가적으로 다운로드 된 경우에도, 문제 발생의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추가 트랙에 대해서는 종래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관리되며, 이들이 기록/재생 장치(2)에 다운로드 되었다고 해도 그 부가 정보(트랙 이름, 아티스트명, 발매 연도의 정보)가 확장 기능 실현을 위한 각 리스트에는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이 경우에 있어서 각 재생 확장 기능에서는, 추가 트랙을 재생 대상으로 한 재생을 행할 수 없게 된다.
사용자로서는, 트랙을 추가할 생각이 있으므로, 당연히 이들 트랙에 대해서도 확장 기능을 갖는 재생 대상으로 취급되는 것으로 상정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럼에도, 추가한 트랙이 재생 대상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사용자의 혼란을 초래하지 않는다.
(기록/재생 시스템의 동작)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종래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유지 관리를 한 경우의 문제나 사용자의 혼란의 방지를 도모하기 위하여, 플래시 메모리(18)의 데이터 갱신 상태에 따라 확장 기능의 실행을 제한하는 동작을 행한다.
여기서, 지금까지의 설명에 의하면,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Oa)에 의해 콘텐츠 데이터의 다운로드가 한번이라도 행해졌으면, 재생 횟수 순서 리스트, 아티스트 링크 리스트, 발매 연도 리스트의 필요한 리스트가 존재하므로, 확장 기능으로서의 재생 동작의 실행 지시에 수반하는 문제는 생기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로부터, 한번이라도 애플리케이션(30a)에 의해 다운로드가 행해졌 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에 의해 다운로드가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기록/재생 장치(2) 측에서 확장 재생 기능의 실행을 불가능하게 한다. 이로써, 필요한 리스트가 없는 상태에서의 확장 기능으로서의 재생 동작의 실행을 피하게 되어, 기록/재생 장치(2)에서 문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한번이라도 애플리케이션(30a)에 의한 다운로드가 행해졌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직전의 갱신이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에 의해 수행되었는지 여부가 문제로 된다.
이것은,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직전의 갱신이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면, 기록/재생 장치(2) 측이 항상 확장 기능으로서 각 재생 동작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 관리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편의상, 지금까지는 설명을 생략하였으나,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에는, 기록/재생 장치(2) 측과의 접속 후, 기록/재생 장치(2) 측에 종래의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다운로드된 트랙이 있었을 경우에, 이들 트랙에 대응시킬 수 있는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재생 횟수 순서 리스트, 아티스트 링크 리스트, 발매 연도 리스트의 각 리스트를, 이들 트랙의 정보도 반영한 것으로 갱신하는 기능도 구비되어 있다.
이 경우,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은, 기록/재생 장치(2) 측에 종래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추가된 트랙을, 예를 들면 도 22에 나타낸 A1 영역과 A2 영역의 정합성(coherency)을 확인함으로써 특정할 수 있다. 즉, 도 5~도 7의 설명으로 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A2 영역 내에 저장되는 재생 횟수 순서 리스트, 아티스트 링크 리스트, 발매 연도 리스트는, A1 영역에 저장되는 모든 콘텐츠 파일(트랙)을 대상으로 하는 리스트로 되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 중 어느 하나의 리스트를 대상으로 해서 그 리스트 내에 존재하는 모든 트랙과 A1 영역에 저장되는 모든 트랙을 비교하여, A1 영역에서 그 리스트 상에 존재하지 않는 트랙이 있을 경우, 그 트랙이 종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추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추가된 트랙을 특정하는 방법은, 여기서 설명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밖에도 다양하게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추가된 트랙을 특정하면, 이것과 대응시킬 수 있는 재생 횟수의 정보, 아티스트명과 그 관련 아티스트의 정보, 및 발매 연도의 정보를 취득하고, 이들 정보에 따라, 기록/재생 장치(2) 측에 다운로드하는 재생 횟수 순서 리스트, 아티스트 링크 리스트, 발매 연도 리스트의 각 리스트 정보를 갱신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갱신된 각 리스트 정보가 기록/재생 장치(2) 측에 다운로드 됨으로써, 기록/재생 장치(2) 측에서는 종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추가된 트랙에 대해서도, 확장 기능으로서의 재생 동작을 정상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이 각종 리스트의 갱신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소정의 동작 직전의 갱신(다운로드)이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면, 기록/재생 장치(2) 측에서 확장 기능으로서의 재생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소정의 동작 직전의 갱신이 종래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것이면, 부가 정보가 각종 리스트에 반영되어 있지 않은 트랙이 추가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어, 기록/재생 장치(2) 측에서는 확장 기능 재생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에 의해 사전에 갱신이 수행된 경우, 소정의 동작 직전의 갱신이,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에 의해 수행되지 않은 경우, 즉 종래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추가 트랙이 있어 그 트랙의 부가 정보가 확장 기능 실현을 위한 각종 리스트에 반영되어 있지 않을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기록/재생 장치(2) 측에서, 확장 기능인 I.S. 재생과 M.L. 재생의 일부(내가 즐겨듣는 재생 기능 및 발매 연도 재생 기능)가 수행되지 않는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은 추가 트랙에 대한 확장 기능 재생이 불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에 의한 사용자의 혼란을 피하기 위해서, 이 경우에는 이들의 재생 기능을 실행할 수 없도록 제한하는 것이다.
한편, 소정의 동작 직전의 갱신이,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에 의해 수행된 것이면, 기록/재생 장치(2)에서 정상적으로 동작을 수행한다. 즉, 기록/재생 장치(2)가 확장 재생 기능의 실행을 허가한다.
그런데, 상기 설명에 의한 동작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기록/재생 장치(2) 측에서,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에 의한 갱신이 사전에 수행되었는지 아닌지, 및 직전의 갱신이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에 의해 수행된 것인지 여부에 대하여 판단할 필요가 있다.
전자의 경우, 즉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에 의해 사전에 갱신이 수행되었는지 아닌지의 판단은, 도 22에 나타낸 플래시 메모리(18) 내의 데이터 구조로부터, A2 영역에 파일이 하나라도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즉, A2 영역은,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에 의해서만 유지 및 관리 가능한 영역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이러한 경우에, 플래시 메모리(18) 내의 A2 영역 내의 C2 디텍션 파일이 존재하는지 아닌지에 의해, 과거에 있어서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에 의해 갱신이 사전에 수행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도록 된다.
또한, 소정 동작 직전의 갱신이,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에 의해 수행된 것인지 여부에 대한 판단은, 도 22에 나타내는 각 갱신 시간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에 대하여 판별함으로써 행해진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은 A1 영역과 A2 영역의 양쪽을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다. 이때, A1 영역에서의 기본 그룹 트리 관리 파일에는, 파일의 갱신 시간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에 의해, 기본 그룹 트리 관리 파일 내의 갱신 시간 정보를 기록하도록 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A2 영역의 C2 디텍션 파일 내에도, 마찬가지의 파일 갱신 시간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A1 영역 및 A2 영역을 모두 유지 관리하는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은, 데이터 갱신 후 이들 양쪽의 갱신 시간 정보에 대하여 기록하도록 되어 있다. 즉, 이에 의하여,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에 의해 갱신이 수행되었을 경우에는, 이들 양 영역에서 갱신 시간 정보가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종래의 애플리케이션은 A1 영역만 유지 및 관리할 수 있으므로, 갱신 시간 정보의 기록은 A1 영역에서만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러한 경우의 기록/재생 장치(2)에서는, A1 영역(기본 그룹 트리 관리 파일) 내의 갱신 시간 정보와 A2 영역(C2 디텍션 파일) 내의 갱신 시간 정보의 양쪽이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일치하는 경우에는, 소정 동작 직전의 갱신이,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에 의해 수행된 것으로 판단하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소정 동작 직전의 갱신이 종래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된 것이라고 판단한다.
또한, 이러한 판별의 결과, 사전에 한 번도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에 의한 갱신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와,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에 의해 한 번만 갱신이 수행되었지만, 소정 동작 직전의 갱신이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에 의해 수행된 것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의 양쪽에 대응하여 행해지는, 확장 기능 재생에 대한 제한 동작은, 구체적으로 다음의 도 23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행해진다.
도 23의 (a) 및 (b)는, 확장 기능 재생에 대한 제한을 하는 경우의, 표시부(15) 상에서의 화면 표시의 예를 나타낸다. 도 23의 (a)는 I.S. 재생 기능의 제한을 위한 기능 선택 화면(도 11 참조)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3의 (b)는 확장 기능으로서의 M.L. 재생 기능의 일부 기능의 제한을 위한 M.L. 선택 화면(도 11의 G3)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2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I.S. 재생 기능에 대한 제한을 행하는 경우에는, 기능 선택 화면에 있어서, I.S. 재생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이른바 그레이 아웃(gray-out) 표시(다른 재생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보다 표시 명도를 어둡게 함)를 행한다. 또한, I.S. 재생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의 선택을 행할 수 없도록 제어를 행한다. 즉, 이 경우의 기능 선택 화면에서는, M.L. 재생 기능과 FM 재생 기능을 갖는 종래의 기능이 선택 및 결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I.S. 재생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지시를 받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확장 기능으로서의 M.L. 재생 기능의 일부 기능(내가 즐겨듣는 재생 기능 및 발매 연도 재생 기능)을 제한하는데 있어서, 도 2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M.L. 선택 화면상에서의 내가 즐겨듣는 재생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과 발매 연도 재생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그레이 아웃으로 표시하고, 이들 재생 기능을 선택할 수 없도록 제어를 행한다. 즉, 이로써 확장 기능으로서의 M.L. 재생 기능의 일부를 실행시키기 위한 지시를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동작에 의해, 종래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다운로드 데이터만이 기록/재생 장치(2) 측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및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에 의한 갱신이 행해졌지만, 소정 동작 직전의 갱신이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에 의해 수행된 것이 아닌 경우(즉, 종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트랙이 추가된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대응하여, 확장 재생 기능이 실행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는 확장 기능의 실행 지시를 불가능하게 하기 위해, 해당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그레이 아웃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했지만, 예를 들면 해당하는 아이콘을 표시하지 않는 등에 의해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는, 해당하는 아이콘을 정상적으로 표시는 하지만 그 아이콘의 결정 조작을 받아들이지 않게 해서, 확장 재생 기능이 실행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런데,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기능 제한 동작이 사용자에게 예고 없이 행해지게 되면, 제한된 원인을 파악할 수 없어 사용자가 혼란에 빠질 가능이 있다.
그래서, 이러한 제한 동작 실행에 대한 조건 성립에 따라, 퍼스널 컴퓨터(3) 측으로부터 기록/재생 장치(2) 측으로의 데이터 갱신(다운로드)이 종료된 타이밍(예를 들면, USB 접속의 해제시)에서, 표시부(15) 상에, 도 23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경고문이 표시된다. 경고문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부 기능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모든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주세요" 등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일부 기능이 사용할 수 없다는 취지를 예고하는 메시지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혼란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예와 같이,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경우에는,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의 사용을 촉구하는 메시지도 병행해서 표시하면,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에 의한 각종 리스트의 갱신 기능에 의해 기록/재생 장치(2)를 정상적으로 재생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즉, 기록/재생 장치(2)를 정상적으로 모든 재생 기능이 사용가능한 상태로 하기 위한 해결책을 제 시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퍼스널 컴퓨터(3)와 기록/재생 장치(2) 사이에서 행해지는 콘텐츠의 다운로드가 정상적으로 종료하는 것만을 전제로 하여 설명을 행하였으나, 예를 들면 데이터 갱신 중에 USB 케이블이 뽑히는 등과 같이 접속이 중단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의 갱신 중에 접속이 중단된 경우에는, 기록/재생 장치(2) 측에서는 완전한 데이터의 갱신을 행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접속이 중단된 경우에도, 기록/재생 장치(2) 측에서 콘텐츠의 재생을 행하게 되면, 필요한 데이터가 없는 상태에서 재생이 행해진다는 점에서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기록/재생 장치(2)에서는, 이와 같은 중단을 검출하는 것도 아울러 수행하도록 되어, 중단이 검출되었을 때는 모든 재생 기능을 금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이와 같은 중단 검출에 대해서는, 퍼스널 컴퓨터(3)와 기록/재생 장치(2)의 접속 확립에 따라 생성되고, 데이터 갱신의 종료에 따라 소거되는 확인 파일의 유무에 기초하여 행해지는 것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에는, 콘텐츠 다운로드 기능으로서, 퍼스널 컴퓨터(3)와 기록/재생 장치(2)의 접속 확립에 따라 상기와 같은 확인 파일(도중 단절 확인 파일이라고도 함)을 생성하여, 이것을 플래시 메모리(18) 측에 기록시켜, 데이터 갱신의 종료에 따라, 이 확인 파일을 소거시키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확인 파일의 기록 및 소거 기능은, 종래의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에도 구비되어 있는 기능이다.
기록/재생 장치(2) 측에서는, 이와 같은 확인 파일의 기록 및 소거 기능에 따라, 접속이 단절될 때에, 이 확인 파일이 플래시 메모리(18) 내에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그리고, 확인 파일이 플래시 메모리(18) 내에 있을 경우에는, 갱신이 도중에 중단된 것으로 판단하여, 재생을 금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재생의 금지는, 구체적으로 조작부(8)로부터의 모든 키 조작 입력을 받아들이지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재생 금지 동작에 의해, 필요한 데이터가 없는 상태에서 재생이 행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문제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메시지 문장 등의 형태로 예고를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혼란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이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하여 접속의 단절시, 확인 파일이 플래시 메모리(18) 내에 있는 것에 의해, 표시부(15) 상에, 도 23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경고문 표시를 수행하도록 한다.
이 경고문으로는, 예를 들면 "데이터베이스가 없습니다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에 접속하여 주세요" 등을 표시한다. 이 "데이터베이스가 없습니다" 등의 데이터 갱신이 불완전한 취지를 통지하는 메시지를 표시함으로써, 재생을 금지하는 것에 따른 사용자의 혼란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예와 같이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에의 접속을 촉구하는 메시지도 병행하여 표시하면, 제한 동작시의 경고문 표시와 마찬가지로, 재차 접속을 촉구하여, 기록/재생 장치(2)를 정상적인 재생이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필 요하다.
(처리 동작)
도 24는 상기 설명한 파일 갱신시에 대응하여 행해지는 동작의 실현을 위해 실행되는 처리 동작에 대하여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그리고, 도 24에 나타낸 처리 동작은, 기록/재생 장치(2)에서의 컨트롤러(6)가 수행하는 것이다. 즉, 도 8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6)는 메모리(9) 내에 저장된 갱신용 처리 프로그램(9b)에 기초하여, 도 24에 나타낸 처리 동작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도 24에서, 먼저 단계 S401에서는, 퍼스널 컴퓨터(3) 측과의 접속의 단절(접속의 해제)을 대기한다. 퍼스널 컴퓨터(3) 측과의 접속의 단절의 유무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USB 컨트롤러(16)로부터, 퍼스널 컴퓨터(3)과의 사이의 접속이 해제되는 것에 따라 행해지는 접속 해제 통지의 유무에 따라 판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단절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다음의 단계 S402에서, 도중 단절 확인 파일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판별 처리를 행한다. 즉, 플래시 메모리(18) 내에 도중 단절 확인 파일이 남아 있는지 여부에 대하여 판별한다. 도중 단절 확인 파일이 있다고 판단된 긍정 결과를 얻었을 경우는, 단계 S406로 처리가 진행되어, 재생 금지 모드로 이행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즉, 컨트롤러(6)는, 재생 금지 모드로서 이후의 조작부(8)로부터의 모든 키 입력을 받아들이지 않는 상태로 되도록 스스로 모드를 설정한다.
이로써, 상기 재생 금지 동작이 실현되고, 필요한 데이터가 없는 상태에서 재생이 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문제가 생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계속되는 단계 S407에서는, 컨트롤러(6)가 경고문 표시 처리를 실행한다. 즉, 컨트롤러(6)는, 미리 설정된 "데이터베이스가 없습니다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주세요" 등의 경고문 메시지 데이터(표시 데이터)를 표시 제어부(14)에 공급하여, 이것이 소정 시간 동안 표시부(15) 상에 표시되도록 지시를 행한다.
그리고, 경고문의 표시 시간으로서,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3초 정도를 설정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한편, 단계 S402에서, 도중 단절 확인 파일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 부정 결과를 얻었을 경우에는, 단계 S403에서, 컨트롤러(6)는 A2 영역의 파일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판별 처리를 행한다. 즉, 이 경우에, 컨트롤러(6)는 A2 영역의 파일로서 C2 디텍션 파일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판별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단계 S403에서 C2 디텍션 파일이 없는 것으로 판정된 부정 결과를 얻었을 경우에는, 단계 S408로 진행되어, 컨트롤러(6)가 종래의 기능 모드로 이행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여기서, 이와 같이 C2 디텍션 파일이 플래시 메모리(18) 내에 없는 경우에는, 기록/재생 장치(2)가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에 의해 한 번도 갱신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동작 설명에 따르면, 이 경우에, 기능 선택 화면에서, I.S. 재생 기능 아이콘을 그레이 아웃으로 표시하여 그 아이콘의 선택을 불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M.L. 선택 화면에서 내가 즐겨듣는 재생 기능 아이콘과 발매 연도 재생 기능 아이콘을 그레이 아웃으로 표시하여 이들 아이콘의 선택도 불가능하게 된다.
단계 S408의 종래 기능 모드로의 이행 처리는, 이와 같이 기능 선택 화면과 M.L. 선택 화면의 표시시에, 컨트롤러(6)가 각각 해당하는 아이콘의 표시를 그레이 아웃시킴으로써, 선택 불가능하게 하도록, 스스로 모드를 설정한다.
이와 같이, 기록/재생 장치(2)가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에 의해 한 번도 갱신되지 않은 것에 의해, 확장 기능으로서의 각 재생 기능의 실행이 불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함으로써, 필요한 데이터가 없는 상태에서 재생이 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문제가 생길 소지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단계 S409에서는, 컨트롤러(6)가 경고문 표시 처리를 실행한다. 즉, 컨트롤러(6)는, 미리 설정된 "일부 기능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모든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주세요" 등의 메시지 데이터를 표시 제어부(14)에 공급하여, 이것이 표시부(15) 상에 소정 시간 동안 표시되도록 하는 지시를 행한다.
이와 같은 경고문의 표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혼란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기록/재생 장치(2)를 정상적으로 재생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 경고문의 표시 시간으로는, 예를 들면 3초 정도를 설정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한편, 단계 S403에서, A2 영역에 파일이 있다고 판단된 긍정 결과를 얻었을 경우에는, 단계 S404에서, 컨트롤러(6)가 A1 영역 및 A2 영역의 갱신 시간 정보가 일치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판별 처리를 행한다. 즉, 컨트롤러(6)는 A1 영역으로서의 "OMG AUDIO" 디렉토리에 속하는 기본 그룹 트리 관리 파일 내의 갱신 시간 정보와, A2 영역에서의 "AURA" 디렉토리에 속하는 C2 디텍션 파일 내의 갱신 시간 정보가 일치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판별 처리를 행한다.
단계 S404에서 갱신 시간 정보가 서로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부정 결과를 얻었을 경우에는, 단계 S408로 진행한다. 단계 S408에서 종래의 기능 모드로의 이행 처리를 행한 후, 컨트롤러(6)가, 단계 S409에서의 경고문 표시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단계 S404에서 부정 결과를 얻게 되는 경우로서는, 단계 S403의 판별 처리에서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에 의한 갱신이 한 번 수행되었다고 판별되었으나, 갱신 시간 정보의 불일치에 의해 소정 동작 직전의 갱신이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에 의해 수행되지 않은 것이라고 판별된 경우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단계 S404에서 부정 결과를 얻게 되는 경우의 처리 동작에 의하면,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에 의한 갱신이 한 번 있었다고 판별되었으나, 소정 동작 직전의 갱신이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에 의한 것이 아니라고 판별된 경우에 대응하여, 종래 기능 모드에 따른 이행(S408)으로 경고문의 표시(S409)를 행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트랙이 추가된 채로 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는 상태에 대응하여, 확장 기능으로서의 재생 동작의 실행을 제한하는 동시에, 그 취지의 예고를 행하는 메시지 문장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404에서, A1 영역과 A2 영역의 갱신 시간 정보가 일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긍정 결과를 얻었을 경우에는, 단계 S405에 진행하여 통상의 동작 모드로 이행한다. 즉, 기록/재생 장치(2)로서의 모든 재생 기능의 실행이 가능한 통상 동작을 하도록 한다.
그리고,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단계 S405에서의 처리 동작이, 동작 모드를 정상 동작 모드로 이행시키는 능동적인 이행 처리로서 나타내고 있으나, 통상적인 동작이 실제로 수행되기 위한, 컨트롤러(6)의 특별한 처리는 불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의미로서, 단계 S405는 불필요하고, 도 24에 나타낸 처리 동작은, 단계 S404에서 긍정 결과를 얻는 것에 따라 그대로 종료하도록 하면 된다.
여기서, 도 24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종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기능으로서는, 데이터 갱신시의 도중 단절 검출(S401), 및 그 대응 처리(S406 및 S407)를 병행하여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도중 단절 검출 및 그 대응 처리를 병행하지 않고, 갱신 시간 정보의 체크(S404)만으로 소정 동작 직전의 갱신이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컨트롤러(6)에 의해 판별하면, 예를 들면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에서의 갱신시, A1 영역 또는 A2 영역 중 어느 한쪽 영역의 갱신 시간 정보만이 갱신된 타이밍에서 접속이 중단되었을 때에도, 종래 애플리케이션에서의 갱신으로서 기능 제한(S408)과 경고문 표시(409)가 행해질 뿐이므로, 종래 기능에 의한 재생이 가능하게 되어 버린다. 즉, 완전하게 데이터 갱신이 행해지지 않은 것에 관계없이, 기록/재생 장치(2) 측에서의 콘텐츠의 재생이 가능하게 되어, 이것에 따른 문제가 생길 염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도중 단절 검출과 그 대응 처리를 병행하면, 상기와 같은 경우에도 정상적인 재접속을 촉진할 수 있고, 이로써 갱신 미완료의 상태에서 재생이 가능하게 되는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명에서는, 기록/재생 장치(2)가,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에 의해 한 번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행한 것으로 판단하였지만, 소정 동작 직전의 갱신이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에 의한 것이 아니라고 판별한 경우에, 확장 기능의 실행이 불가능하게 되도록 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과정에 따르면, 추가했음이 분명한 콘텐츠가 재생 대상이 되지 않는 것에 의한 사용자의 혼란을 피할 수 있다.
다만, 경고문을 표시하고 있으므로, 이 혼란은 피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또한, 오히려 사용자로서는, 종래의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추가 트랙이 재생 대상으로부터 제외되어도, 사용자가 확장 기능의 실행을 원하지 않는다고는 할 수 없다.
그래서, 이와 같이, 한 번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에 의해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하였지만, 소정 동작 직전의 갱신이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에 의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경고문의 표시만을 행하고, 확장 기능에 대한 실행을 허가할 수도 있다.
이상, 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는 콘텐츠 데이터가 오디오 데이터로서 사용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콘텐츠 데이터로는, 영화, 텔레비전 프로그램, 비디오 프로그램, 사진, 그림, 도표 등을 구성하는 정지 화상 또는 동영상을 콘텐츠로 하는 영상 데이터, 전자 도서(E-Book), 게임, 소프트웨어 등을 콘텐츠로 하는 임의의 데이터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가 퍼스널 컴퓨터인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에서의 정보 처리 장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다른 적절한 컴퓨터 기기, 가정용무 기기, 정보 가전 등으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재생 장치(2)가 기록매체로서 반도체 메모리를 내장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기록/재생 장치(2)가, 예를 들면 CD, DVD, 하드 디스크,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이 필요한 기록 매체에 대응하여, 콘텐츠 데이터의 기록/재생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에 널리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대응하는 기록 매체가 디스크형 기록 매체인 경우, 기록 매체로부터의 판독 데이터 및 기록 데이터를 버퍼링하기 위한 버퍼 메모리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메모리를 내장하는 실시예에서는, 트랙의 재생 종료, 또는 스킵 지시에 따른 재생의 정지 이후에, 난수에 따른 다음 재생곡의 추첨을 행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경우에는, 기록 매체로부터의 판독에 시간이 걸려 그만큼 트랙의 재생까지 사용자가 대기하는 시간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이에 대한 대책으로서, 트랙의 재생 중에, 난수에 따라 다음의 재생 트랙을 추첨하고, 재생의 종료/정지에 따라 그 트랙의 재생을 개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재생 장치가 휴대형의 오디오 플레이어(/레코더)로서 구성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록/재생 장치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필요한 기록 매체에의 기록 및 재생 기능이 있으면 되고,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 PDA 등의 다른 전자 기기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재생 장치(2)의 본체에 표시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구성이지만, 기록/재생 장치(2)의 표시 디바이스는, 예를 들면 유선 접속된 리모트 컨트롤러부에 구비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 기록/재생 장치(2)의 본체에서는, 이와 같은 외부 표시 디바이스에 대해서 마찬가지의 표시 제어를 수행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재생 장치(2) 측이 구비하는 재생 횟수 순서 재생(내가 즐겨듣는 셔플 및 내가 즐겨듣는 재생 기능), 아티스트 링크 셔플 재생, 발매 연도 재생(타임머신 셔플 및 발매 연도 재생 기능)과 같은 각 확장 기능 실현에 대응하여,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30a)이 생성하는 각종 리스트로서 재생 횟수 순서 리스트, 아티스트 링크 리스트, 발매 연도 리스트를 생성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이와 같은 기록/재생 장치(2) 측의 확장 기능의 종류, 및 이에 따라 생성하는 리스트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용이하게 구분가능한 변경 및 변형은 상기 설명으로부터 가능하다 는 것이 명백하다. 따라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본 명세서에 특정적으로 개시된 것 외의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서로 작용시키는 것으로 개시하고 있지만,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시스템은 소프트웨어만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는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무선 주파수, 오디오 주파수 반송파 등과 같은 반송 매개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2005년 9월 7일에 일본특허청에 제출된 일본특허출원 JP2005-259765호에 대한 발명의 대상을 포함하며,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Claims (15)

  1. 적어도 콘텐츠 데이터와 그 부가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구성된 재생부; 및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선택 후보 대상 정보를, 셔플 재생(shuffle reproduction) 모드가 선택되면, 표시부 상에 소정의 시간 동안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된 제어부
    를 포함하는 기록/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선택 후보 대상 정보는,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부가 데이터인, 기록/재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재생할 콘텐츠 데이터를 결정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선택 후보 대상 정보를 순차적으로 표시한 후에, 상기 선택 후보 대상 정보에서 상기 결정한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하나의 대상을 선택하는, 기록/재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후보 대상 정보는 아티스트의 성명 정보인, 기록/재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선택한 상기 성명 정보를 표시한 후에, 상기 아티스트의 상기 결정한 성명 정보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기록/재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후보 대상 정보는 상기 기록 매체 내의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타이틀 정보인, 기록/재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후보 대상 정보는 발매 연도 정보인, 기록/재생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선택 후보 대상 정보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가 재생되는 동안, 셔플 재생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표시부 상에 소정의 시간 동안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기록/재생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에 후속해서 다음 재생할 다른 콘텐츠 데이터를 선택하는, 기록/재생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을 스킵하도록 하는 지시에 후속해서 다음 재생할 다른 콘텐츠 데이터를 선택하는, 기록/재생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후보 대상 정보가, 상기 표시부의 동일한 표시 영역에, 하나씩 차례로 바뀌면서 표시되도록 하는, 기록/재생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후보 대상 정보가 상기 표시부 상에 스크롤 형태로 표시되도록 하는, 기록/재생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재생 장치는 복수 개의 셔플 재생 모드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셔플 재생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선택 후보 대상 정보에서 상기 선택된 셔플 재생 모드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대상들을 선택하는, 기록/재생 장치.
  14. 기록/재생 장치의 표시 제어 방법으로서,
    셔플 재생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기록/재생 장치에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해서 복수 개의 선택 후보 대상 정보를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 제어 방법.
  15. 적어도 콘텐츠 데이터와 그 부가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선택 후보 대상 정보가, 셔플 재생(shuffle reproduction) 모드가 선택되면, 소정의 시간 동안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를 포함하는 기록/재생 장치.
KR1020077010338A 2005-09-07 2006-07-31 기록/재생 장치 및 관련 콘텐츠 표시 제어 방법 KR200800393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59765 2005-09-07
JP2005259765A JP4428321B2 (ja) 2005-09-07 2005-09-07 記録再生装置、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9332A true KR20080039332A (ko) 2008-05-07

Family

ID=36997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0338A KR20080039332A (ko) 2005-09-07 2006-07-31 기록/재생 장치 및 관련 콘텐츠 표시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70053246A1 (ko)
EP (1) EP1800309A1 (ko)
JP (1) JP4428321B2 (ko)
KR (1) KR20080039332A (ko)
CN (1) CN101053035B (ko)
BR (1) BRPI0606128A2 (ko)
CA (1) CA2588096A1 (ko)
RU (1) RU2347285C1 (ko)
TW (1) TW200727270A (ko)
WO (1) WO20070294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69121A1 (en) * 1997-07-09 2005-08-04 Keller Peter J. Optical storage device
KR100508350B1 (ko) 1997-07-09 2005-08-17 어드밴스드 오디오 디바이스즈, 엘엘씨 광 저장 장치
KR100667813B1 (ko) * 2005-09-12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 파일의 연속 기록/재생시 연속 타임코드 제공 방법및 장치
JP5055901B2 (ja) * 2005-10-26 2012-10-24 ソニー株式会社 携帯型再生装置、関連情報通知方法および関連情報通知プログラム
KR100835210B1 (ko) * 2007-03-12 2008-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일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US8453051B1 (en) 2008-03-31 2013-05-28 Amazon Technologies, Inc. Dynamic display dependent markup language interface
US10089306B1 (en) * 2008-03-31 2018-10-02 Amazon Technologies, Inc. Dynamically populating electronic item
JP5220470B2 (ja) * 2008-04-24 2013-06-26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オーディオ装置
US9501582B2 (en) 2010-05-10 2016-11-22 Amazon Technologies, Inc. Providing text content embedded with protected multimedia content
WO2014065165A1 (ja) * 2012-10-26 2014-05-0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処理システム
GB201306937D0 (en) 2013-04-17 2013-05-29 Tomtom Int Bv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software for facilitating searching and display of locations relevant to a digital map
GB201306944D0 (en) * 2013-04-17 2013-05-29 Tomtom Int Bv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software for facilitating searching and display of locations relevant to a digital map
US20170019199A1 (en) * 2015-07-17 2017-01-19 Neil Robert-John Matsch Audio Broadcast Recording Device
JP6146445B2 (ja) * 2015-09-01 2017-06-14 オンキヨー株式会社 音楽再生装置
US10462449B2 (en) * 2017-02-23 2019-10-29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Method and system for 360-degree video playback
US11448866B2 (en) 2019-03-19 2022-09-20 Omek Optics Ltd. Unit magnification microscope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24080C (en) * 1991-11-22 2002-01-22 Irving Tsai Tape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US5798921A (en) * 1995-05-05 1998-08-25 Johnson; Todd M. Audio storage/reproduction system with automated inventory control
KR100302480B1 (ko) * 1995-08-21 2001-11-22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영상내용의신선함을오래유지할수있는멀티미디어광디스크및그재생장치와재생방법
US6453281B1 (en) * 1996-07-30 2002-09-17 Vxi Corporation Portable audio database device with icon-based graphical user-interface
US5986979A (en) * 1997-10-16 1999-11-16 Delco Electronics Corporation Play list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JP4221803B2 (ja) * 1999-03-02 2009-02-12 ソニー株式会社 記憶再生装置及び記憶再生方法
JP4003348B2 (ja) * 1999-05-28 2007-11-07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
JP2001157154A (ja) * 1999-11-26 2001-06-08 Sony Corp 記録又は再生装置、及び再生装置
JP2001155471A (ja) * 1999-11-29 2001-06-08 Pioneer Electronic Corp 記録再生装置
EP1107255A3 (en) * 1999-12-06 2005-11-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cording medium, data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and system for collecting reproduction control information
JP2001209586A (ja) * 2000-01-26 2001-08-03 Toshiba Corp コンピュータにおけるコンテンツ管理装置及びコンテンツ管理方法
JP4135287B2 (ja) * 2000-02-01 2008-08-20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携帯装置、データ転送システム、データ転送方法、データ再生方法、データ転送及び再生方法
US6917373B2 (en) * 2000-12-28 2005-07-12 Microsoft Corporation Context sensitive labels for an electronic device
US6529804B1 (en) * 2000-11-07 2003-03-04 Motorola, In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enabling the selection of content on a multi-media device
US6731312B2 (en) * 2001-01-08 2004-05-04 Apple Computer, Inc. Media player interface
JP3847098B2 (ja) * 2001-03-29 2006-11-15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オーディオ情報表示装置
US7345671B2 (en) * 2001-10-22 2008-03-18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of rotational user inputs
US9715500B2 (en) * 2004-04-27 2017-07-25 Apple Inc.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playlists
US20030236582A1 (en) * 2002-06-25 2003-12-25 Lee Zamir Selection of items based on user reactions
US20050014536A1 (en) * 2003-07-08 2005-01-20 Jeff Grady Modular adaptor assembly for personal digital appliance
US7228054B2 (en) * 2002-07-29 2007-06-05 Sigmatel, Inc. Automated playlist generation
US7166791B2 (en) * 2002-07-30 2007-01-23 Apple Computer,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methods of use thereof in a multimedia player
US6993615B2 (en) * 2002-11-15 2006-01-31 Microsoft Corporation Portable computing device-integrated appliance
JP3654287B2 (ja) * 2002-12-26 2005-06-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記録再生装置、記録再生方法
TW555125U (en) * 2002-12-31 2003-09-21 Wistron Corp Portable data storage device
US8732086B2 (en) * 2003-01-02 2014-05-20 Catch Media,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rights for digital music
CN100397882C (zh) * 2003-02-28 2008-06-25 Lg电子株式会社 具有用于管理记录其上的视频数据的随机/洗牌重现的数据结构的记录媒体以及记录和重现的方法和装置
US20050114374A1 (en) * 2003-04-04 2005-05-26 Juszkiewicz Henry E. User interface for a combination compact disc recorder and player system
US7020048B2 (en) * 2003-04-09 2006-03-28 Delphi Technologies, Inc. User selectable display modes for a vehicle MP3 compact disc player
KR100999768B1 (ko) * 2003-09-17 2010-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의 부가정보 저장 및이용방법
US20050107075A1 (en) * 2003-11-18 2005-05-19 Snyder Thomas D. Shuffle-play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7698654B2 (en) * 2004-01-05 2010-04-13 Microsof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o-axial navigation of a user interface
JP2005198203A (ja) * 2004-01-09 2005-07-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
JP4615262B2 (ja) * 2004-06-30 2011-01-19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20060039263A1 (en) * 2004-08-20 2006-02-23 Remy Trotabas Audio system with removable digital media player
US7668576B2 (en) * 2004-12-16 2010-02-23 Dashjack, Inc. Incorporating a portable digital music player into a vehicle audio system
US7958441B2 (en) * 2005-01-07 2011-06-07 Apple Inc. Media management for groups of media i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606128A2 (pt) 2009-06-13
JP4428321B2 (ja) 2010-03-10
CN101053035B (zh) 2012-06-13
RU2007116966A (ru) 2008-11-10
RU2347285C1 (ru) 2009-02-20
CA2588096A1 (en) 2007-03-15
CN101053035A (zh) 2007-10-10
EP1800309A1 (en) 2007-06-27
WO2007029436A1 (en) 2007-03-15
TW200727270A (en) 2007-07-16
JP2007073140A (ja) 2007-03-22
US20070053246A1 (en) 200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39332A (ko) 기록/재생 장치 및 관련 콘텐츠 표시 제어 방법
EP2011120B1 (en) Smart random media object playback
EP2428958B1 (en) Electronic equipment with shuffle operation
US10423381B2 (en) Playback apparatus, playback method, and playback program
CN1301506C (zh) 播放表管理设备和方法
US9247295B2 (en) Automated playlist generation
EP1843349A1 (en) Reproducing apparatus, content selection method, and program
US869413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JP4023233B2 (ja) 情報出力装置、情報出力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4661468B2 (ja) 記録再生装置、制御方法
JP4930250B2 (ja) スキャン再生制御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235365A (ja) 情報再生装置及び音声録音・再生装置
JP4978239B2 (ja) コンテンツ編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621123B1 (ko) 플레이리스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7299508A (ja) 再生装置、コンテンツ選択方法、記録媒体
KR20060074526A (ko) 휴대용 오디오기기의 폴더생성방법
KR20060072802A (ko) 엠피쓰리 플레이어의 키사용방법
KR20070036421A (ko) 음원별 우선순위 자동 목록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0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