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9202A - Exposure device - Google Patents
Exposure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39202A KR20080039202A KR1020070082802A KR20070082802A KR20080039202A KR 20080039202 A KR20080039202 A KR 20080039202A KR 1020070082802 A KR1020070082802 A KR 1020070082802A KR 20070082802 A KR20070082802 A KR 20070082802A KR 20080039202 A KR20080039202 A KR 2008003920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sk
- substrate
- film mask
- film
- pressu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6837 de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120 photoresistant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216—Mask projection systems
- G03F7/7035—Proximity or contact prin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 Exposure Of Semiconductors, Excluding Electron Or Ion Beam Exposur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프린트 배선기판용의 노광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posure apparatus for a printed wiring board.
프린트 배선기판(print circuit board)은 최근에 노광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되어 지며, 포토 레지스트((photo resist) 등의 감광재료를 도포한 기판의 표면에 소정의 패턴을 감광장치에 의해 감광·인화시키고, 그런 다음에 에칭공정에 의해 기판 위에 패턴을 형성하는 포토리소그래피법(photolithographic method)이 사용되어 지고 있다.Printed circuit boards are recently manufactured using an exposure apparatus, and a predetermined pattern is photosensitive and printed on a surface of a substrate coated with a photosensitive material such as a photo resist. Then, a photolithographic method for forming a pattern on a substrate by an etching process has been used.
이러한 노광장치에 있어서, 패턴 원화가 그려진 원판으로는 수지 필름 마스크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 필름 마스크를 글라스(glass) 재질의 마스크 홀더(holder)에 지지되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이 필름 마스크와 기판과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하여 양자의 사이를 진공으로 하여 밀착시키는 소위 진공밀착 방법을 채용하는 경우가 많다.In such an exposure apparatus, a resin film mask is mainly used as an original plate on which pattern originalization is drawn, and it is common to use the film mask supported by a glass mask holder. Moreover, in order to improve the adhesiveness of this film mask and a board | substrate, what is called a vacuum adhesion method which makes a contact between vacuum and the both is employ | adopted in many cases.
이 진공밀착 방법에서는 기판 표면이 평평한 경우에는 유효하게 되지만, 기판 표면에 요철(凹凸)이 있는 경우는 기판에 대하여 마스크가 추종하지 않아 장착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In this vacuum-adhesion method, it becomes effective whe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is flat. However, when there are irregularities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mask does not follow the substrate and mounting failure occurs.
그러므로, 진공밀착 후에 필름 마스크와 마스크 홀더와의 사이를 대기 중으로 개방하여 기판에 대하여 필름 마스크를 추종시키는 시험(특허 문헌 1)과 진공밀착 전에 미리 필름 마스크의 배면 측에 공기를 도입하여 가압하는 방법(특허 문헌 2) 등이 제안되고 있다.Therefore, a test (patent document 1) which opens the space between the film mask and the mask holder in the atmosphere after vacuum adhesion to the substrate (patent document 1) and a method of introducing air to the back side of the film mask in advance and pressurizing before vacuum adhesion (Patent Document 2) and the like have been proposed.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5-333555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Pyeongseong 5-333555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8-50357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8-50357
그러나, 특허문헌 1의 필름 마스크와 마스크 홀더와의 사이를 대기에 개방하는 방법의 경우는 압력의 부족 때문에 충분한 필름 마스크의 밀착이 얻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대기압이 일정한 압력으로 사용되어야 하나 압력이 변함으로 인하여 각종의 조건에 대응하여 가장 우수한 밀착성을 얻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method of opening between the film mask and the mask holder of
한편 특허문헌 2의 진공밀착 전에 미리 필름 마스크의 배면 측을 가압하게 되는 구성의 경우에는 가압에 시간이 걸리고, 필름을 밀착시키는 공정의 장시간화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필름 마스크의 연신과 같은 변형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structure which presses the back side of a film mask before vacuum adhesion of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노광장치는 노광되는 기판을 재치하는 노광 테이블과, 노광되는 기판에 노광하고자 하는 패턴이 그려진 필름 마스크와 이 필름 마스크를 상기 노광 테이블 측의 면에 있어서, 필름 마스크의 주변을 밀착시켜 필름 마스크와의 사이에 유체를 도입가능하게 지지하는 마스크 홀더와, 상기 노광 테이블과 마스크 홀더를 근접시키는 동력장치와, 상기 근접에 의해 상기 노광 테이블과 마스크 홀더와의 사이를 밀봉하여 상기 기판과 필름 마스크를 수납하는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실(seal) 장치와, 상기 밀폐공간을 감압하여 상기 필름 마스크와 기판을 1차적으로 밀착시키는 1차 밀착수단과, 상기 감압수단에 의해 1차 밀착 후에 상기 필름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 홀더의 사이에 소정의 압력으로 유체를 도입시켜 상기 필름 마스크와 기판을 다시 한번 밀착시키는 2차 밀착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exposur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exposure table on which an exposed substrate is placed, a film mask on which a pattern to be exposed is exposed on the exposed substrate, and a film mask on the surface of the exposure table side; A mask holder for tightly adhering the periphery of the mask to allow fluid to be introduced between the film mask, a power unit for bringing the exposure table and the mask holder into close proximity, and the proximity between the exposure table and the mask holder. A seal device for sealing to form a sealed space for accommodating the substrate and the film mask, a primary close means for firstly adhering the film mask to the substrate by depressurizing the sealed space, and by the decompression means. After the first close contact, the film is introduced at a predetermined pressure between the film mask and the mask holder.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contact means to once again contact the disk and the substrate.
상기 구성에 있어서, 1차 밀착수단에 의해 필름 마스크와 기판이 밀착된 상태에서 2차 밀착수단에 의해 유체의 도입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유체의 도입량이 적게 되고, 도입시간이 대폭 단축된다. 또한, 밀착된 상태에서 필름 마스크를 가압하므로 필름 마스크가 늘어나거나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fluid is made by the secondary adhesion means while the film mask and the substrate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primary adhesion means, the amount of introduction of the fluid is reduced, and the introduction time is greatly shortened. In addition, since the film mask is pressed in the adhered state, the film mask does not stretch or deformation occurs.
또한, 도입되는 유체의 소정의 압력을 변화시킴으로서, 여러 가지의 조건에 대응하여 가장 양호한 밀착성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by changing the predetermined pressure of the fluid to be introduced,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best adhesion in response to various conditions.
상기 소정의 압력으로서는 1kpa 이상 20kpa 이하가 바람직하다. 1kpa 이하로 되면 충분한 밀착 효과를 얻을 수 없고, 한편 20kpa 이상으로 되면 글라스의 파손과 같은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As said predetermined pressure, 1 kpa or more and 20 kpa or less are preferable. If it is 1 kpa or less, a sufficient adhesion effect may not be obtained, while if it is 20 kpa or more, it may cause a risk such as glass breakage.
또한,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2kpa 이상 10kpa 이하의 범위 내에서 선택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유체의 압력은 여러 가지의 조건에 응하여 선택되어 지지만, 2kpa 이상 10kpa 이하의 범위 내에서 가장 양호한 밀착성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Moreover, More preferably, it is selected in the range of 2 kpa or more and 10 kpa or less. As described above, the pressure of the fluid is selected according to various conditions, but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best adhesion within the range of 2 kpa to 10 kpa.
더욱이, 1kpa 이상 20kpa 이하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조압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o further provide a pressure regulating device for maintaining a constant pressure of 1 kpa or more and 20 kpa or less.
본 발명의 노광장치에 따르면, 도입되는 유체의 압력을 변경시킴에 의해 조건에 대응하는 필름 마스크와 기판의 밀착성을 가장 양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정밀도가 높은 노광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유체의 도입에 의해 밀착을 단시간에 행함으로 노광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필름 마스크가 늘어나거나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등의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xposur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hanging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introduced, it is possible to make the best adhesion between the film mask and the substrate corresponding to the conditions, and the exposure with high accuracy can be obtained. In addition, the exposure time can be shortened by performing the adhesion in a short time by the introduction of the fluid, there is an effect such that the film mask is not extended or deformation occurs.
이하, 본 발명의 프린트 배선기판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하는 노광장치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e exposure apparatus used for manufacturing the printed wiring board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drawing.
도 1에 있어서, 포토 레지스트를 실시하는 프린트 배선용의 기판(90)은 노광 테이블(1) 상에 재치된다. 노광 테이블(1)은 XY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또 상하 방향의 승강이 가능하다. 더욱이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되어있다. 이러한 이동, 승강 및 회동기구에 대하여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In FIG. 1, the board |
회로패턴이 그려진 필름 마스크(2)는 기판(90)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지고, 이 필름 마스크(2)와 기판(90)을 밀착시켜, 광원(9)으로부터 노광에 의해 회로패턴을 기판(90)에 인화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The
또한, 도 1에서는 노광 테이블(1)과 기판(90)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반대로 하여도 좋고, 또는 노광 테이블(1)과 기판(90)을 수직하게 세워서 배치하는 구조도 가능하다.In addition, although the exposure table 1 and the board |
한편, 기판(90)을 이동시키지 않고 노광 테이블(1)을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더욱이 양자를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exposure table 1 can be moved without moving the board |
필름 마스크(2)는 마스크 홀더(3)의 기판(90) 측에 지지되어 있다. 마스크 홀더(3)는 중앙부에 글라스(30)을 가지며, 광원(9)으로부터의 광을 글라스(30)에 투과시켜 필름 마스크(2)에 그려진 패턴을 기판(90) 상에 인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필름 마스크(2)는 그 주위의 밀착부(20)에서 마스크 홀더(3)에 밀착되어 있고, 필름 마스크(2)와 마스크 홀더(3) (글라스(30)) 사이에 유체가 도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필름 마스크(2)와 마스크 홀더(3)의 사이에는 가압장치(5)에 의해 소정의 압력의 공기를 도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밀착부(20)의 내측에는 도입 공(52)이 개구(開口)되어 있고, 이 도입 공(52)은 조압장치(51)를 매개로 하여 에어(air)원(50)과 접속되어 있다. 조압장치(51)에 의해 소정의 압력의 공기가 도입 공(52)으로부터 글라스(30)와 필름 마스크(2)의 사이에 도입된다. 필름 마스크(2)는 밀착부(20)에서 마스크 홀더(3)에 밀착되어 중앙부 측은 밀폐공간으로 되어 있고, 여기에 도입된 공기에 의해 기판(90) 방향으로 팽창되어 가압공간(25)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Between the
가압장치(5)는 제어장치(8)에 의해 제어되고, 소정 압력의 공기를 글라스(30)와 필름 마스크(2)의 사이로 도입하여, 이 압력을 소정 시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도입되는 공기의 압력은 상기한 바와 같이 1kpa 이상 20kpa 이하,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2kpa 이상 10kpa 이하의 범위 내에서 선택된다.The pressure of the air to be introduced is selected within the range of 1 kpa or more and 20 kpa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2 kpa or more and 10 kpa or less, as described above.
이 압력은 가압장치(5)에 의해 노광이 종료될 때까지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is pressure is comprised so that the
노광 테이블(1)의 주변에는 실(seal) 부재(4)가 설치되어져 노광 테이블(1)과 마스크 홀더(3)의 사이의 공간을 밀폐공간(40)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노광 테이블(1)을 마스크 홀더(3) 방향으로 상승시키면, 실 부재(4)가 마스크 홀더(3)에 접촉하고, 노광 테이블(1)과 마스크 홀더(3)의 사이를 밀봉하여 밀폐공간(40)을 형성하게 된다.A
노광 테이블(1)에는 감압장치(6)가 접속되고, 감압 공(61)이 밀폐공간(40) 내로 개구되어 있다. 감압 공(61)은 감압 펌프(60)에 접속되어 있고, 감압 펌프(60)의 구동에 의해 밀폐공간(40)이 감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감압장치(6)도 제어장치(8)에 의해 제어되어 진다.The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노광 테이블(1) 상에 기판(90)을 재치하면, 노광 테이블(1)을 XY 및 θ방향으로 이동되어 기판(90)과 필름 마스크(2)의 위치를 일치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에 노광 테이블(1)을 상승시켜 실 부재(4)와 마스크 홀더(3)을 접촉시켜서 밀폐공간(40)을 형성하고, 동시에 필름 마스크(2)와 기판(90)을 접촉시키고, 여기에 감압장치(6)를 제어하여 감압 펌프(60)를 구동시켜서 밀폐공간(40)을 감압한다. 이 감압에 의해 필름 마스크(2)와 기판(90)의 1차 밀착이 행하여 진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도 3은 1차 밀착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기판(90)에 요부(91)가 형성되어 있게 되면, 밀폐공간(40)의 감압만으로는 요부(91)에 필름 마스크(2)가 밀착하지 않는다.3 schematically shows a state of primary adhesion. When the recessed
다음으로, 가압장치(5)를 가동하여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입 공(52)으로부터 소정 압력의 공기를 도입하여 필름 마스크(2)와 글라스(30)의 사이에 가압공간(25)을 형성하고, 필름 마스크(2)와 기판(90)을 다시 밀착시킨다. 이것을 2차 밀착이라 한다. 도 4는 2차 밀착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요부(91)에 필름 마스크(2)가 근접하여 밀착한다.Next, as the pressurizing
1차 밀착에서 필름 마스크(2)와 기판(90)이 이미 밀착된 상태로 되므로 도입 공(52)으로부터 공기의 도입량은 극히 미소하여서 바람직하고, 짧은 시간에 도입이 완료된다. 또한, 필름 마스크(2)가 밀착된 상태이므로 가압에 의해 팽창량도 아주 미소하고, 가압공간(25)의 부피도 극히 미소하다. 이에 따라 필름 마스크(2)의 팽창에 의한 변형 등의 피해는 없게 된다.Since the
제어장치(8)는 조압장치(51)를 제어하여 가압공간(25)의 압력을 유지함으로 필름 마스크(2)의 밀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
특히, 기판(90)의 표면의 상태에 따른 여러 종류의 조건에 대응하여서 조압장치(51)를 제어하여 도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조건에 대응하는 최적의 2차 밀착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pressure of the air introduced by controlling the
도 2의 상태에서 광원(9)으로부터의 광에 의해 노광이 이루어지고, 가압장치(5)와 감압장치(6)의 구동을 정지시켜 노광 테이블(1)을 하강시켜서 기판(90)을 끄집어 내어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게 되고 노광을 종료시키게 된다.In the state of FIG. 2, exposure is performed by the light from the
도 5에는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였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가압 필름(7)을 사용하여 가압 필름(7)을 마스크 홀더(3)에 밀착부(20)에서 점착시키고 필름 마스크(2)를 가압 필름(7) 위에서 장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5 shows another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the
이 구성의 경우는 필름 마스크(2)의 주위를 마스크 홀더(3)에 밀착시킬 필요가 없어지므로, 필름 마스크(2)의 장착 및 제거가 용이하게 되어 교환이 간단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In the case of this structure, since the circumference | surroundings of th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2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3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4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노광 테이블 2 : 필름 마스크1: exposure table 2: film mask
3 : 마스크 홀더 4 : 실 부재3: mask holder 4: seal member
5 : 가압장치 6 : 감압장치5
7 : 가압 필름 8 : 제어 장치7: pressure film 8: control device
9 : 광원 20 : 밀착부9: light source 20: close contact
25 : 가압공간 30 : 글라스25: pressurized space 30: glass
40 : 밀폐공간 50 : 에어(air) 원(源)40: enclosed space 50: air source
51 : 조압장치(調壓裝置) 52 : 도입공(導入孔)51: pressure regulating device 52: introduction hole
60 : 감압 펌프 61 : 감압공(減壓孔) 60: decompression pump 61: decompression hole
90 : 기판 91 : 요부(凹部)90
Claims (4)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6-00294405 | 2006-10-30 | ||
JP2006294405A JP2008111969A (en) | 2006-10-30 | 2006-10-30 | Exposure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39202A true KR20080039202A (en) | 2008-05-07 |
Family
ID=39422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82802A Withdrawn KR20080039202A (en) | 2006-10-30 | 2007-08-17 | Exposure device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2008111969A (en) |
KR (1) | KR20080039202A (en) |
CN (1) | CN101174102A (en) |
TW (1) | TW200819921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29367A (en) | 2014-05-12 | 2015-11-20 | 주식회사 옵티레이 | Roll to roll exposure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190034B2 (en) * | 2009-07-03 | 2013-04-24 |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 Exposure equipment |
JP5429796B2 (en) * | 2009-08-25 | 2014-02-26 | キヤノンアネルバ株式会社 | Mask alignment mechanism, mask alignment method, and vacuum processing apparatus |
JP6494360B2 (en) * | 2015-03-25 | 2019-04-03 | 株式会社ディスコ | Expansion unit |
DE102019130021A1 (en) * | 2019-11-07 | 2021-05-12 |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 Method for producing a hologram on a curved substrate wafer, resulting substrate wafer with hologram and a wafer composite containing this, in particular a vehicle window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226925A (en) * | 1987-03-16 | 1988-09-21 | Nec Corp | Mask contact printer |
JP3099841B2 (en) * | 1991-11-21 | 2000-10-16 | 株式会社アドテックエンジニアリング | Exposure equipment using film mask |
JPH05333555A (en) * | 1992-05-29 | 1993-12-17 | Iwasaki Electric Co Ltd | Printed circuit board exposure method |
JPH0850357A (en) * | 1994-08-05 | 1996-02-20 | Adtec Eng:Kk | Exposing device |
-
2006
- 2006-10-30 JP JP2006294405A patent/JP2008111969A/en active Pending
-
2007
- 2007-08-14 TW TW096129930A patent/TW200819921A/en unknown
- 2007-08-17 KR KR1020070082802A patent/KR20080039202A/en not_active Withdrawn
- 2007-09-13 CN CNA2007101540717A patent/CN101174102A/en active Pend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29367A (en) | 2014-05-12 | 2015-11-20 | 주식회사 옵티레이 | Roll to roll exposure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174102A (en) | 2008-05-07 |
TW200819921A (en) | 2008-05-01 |
JP2008111969A (en) | 2008-05-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12099790A (en) | Imprin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rticle | |
TW477005B (en) | Contact exposure device provided with a mask and workpiece interval setting means | |
JP3917651B2 (en) | Adhesive chuck device | |
KR20080039202A (en) | Exposure device | |
JPH11312635A (en) | Contact exposure method | |
CN109143791B (en) | Vacuum attaching device for contact type photoetching of flexible film substrate | |
JP4449923B2 (en) | Substrate assembly method and apparatus | |
JP2017112230A (en) | Imprint device and article manufacturing method | |
JP5822597B2 (en) | Imprint apparatus and article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 |
JP2008221706A (en) | Transfer apparatus and transfer method | |
JP2012099789A (en) | Imprin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rticle | |
KR100829398B1 (en) | Fine pattern forming apparatus and fine pattern forming method using the same | |
JP2003283185A (en) | Substrate assembling method and apparatus | |
KR101027467B1 (en) | Fine pattern forming apparatus and fine pattern form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20030023450A (en) | Aligner | |
JP2006066585A (en) | Light irradiation device | |
JP3848942B2 (en) | Substrate assembly method and apparatus | |
JP2013030639A (en) | Die, imprint device using the same, imprint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rticle | |
JP2509134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xposing printed wiring board | |
KR100205199B1 (en) | Exposure Method and Device Using Film Mask | |
KR20100022818A (en) | Apparatus for forming a nano-pattern and method for forming a nano-pattern | |
JP2011085831A (en) | Pellicle sticking device, method for sticking pellicle, and mask with pellicle | |
KR20040049785A (en) | Exposure Device | |
JP4937859B2 (en) | Light irradiation device | |
JPH0627674A (en) | Exposure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1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