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8591A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38591A KR20080038591A KR1020060105657A KR20060105657A KR20080038591A KR 20080038591 A KR20080038591 A KR 20080038591A KR 1020060105657 A KR1020060105657 A KR 1020060105657A KR 20060105657 A KR20060105657 A KR 20060105657A KR 20080038591 A KR20080038591 A KR 2008003859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quid crystal
- crystal panel
- shield case
- bottom chassis
- control boar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5—Grounding of printed circuits by connection to external grounding mean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4—Electromagnetic shiel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트롤 보드에 유기되는 전자기파 간섭을 방지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 액정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 액정패널과 백라이트 유닛을 수납하는 바텀 샤시, 바텀 샤시의 배면에 결합되는 쉴드 케이스 및 액정패널을 구동하기 위해 액정패널에 연결된 데이터 인쇄회로기판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넥터가 형성되고 쉴드 케이스와 접촉되기 위해 커넥터들의 사이에 접지 패드가 형성된 컨트롤 보드를 포함하는 구동회로부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의 컨트롤 보드를 자세히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의 쉴드 케이스의 제1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의 쉴드 케이스의 제2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바텀 샤시에 결합된 쉴드 케이스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액정패널 110: 컬러필터 기판
120: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200: 백라이트 유닛
210: 램프 220: 반사 시트
230: 확산 시트 240: 프리즘 시트
250: 보호 시트 300: 몰드프레임
310: 패널 안착부 320: 데이터 PCB 수납부
350: 바텀 샤시 351,455,521: 관통홀
400: 구동회로부 410: 데이터 PCB
420: 데이터 TCP 430: 데이터 구동회로
440: 제1 신호 전송 필름 450: 컨트롤 보드
451,452,453: 제1 내지 제3 커넥터 454: 제2 신호 전송 필름
457: 접지 패드 460: 타이밍 컨트롤러
470: 메모리 480: 전원부
500: 쉴드 케이스 505: 개구부
510: 접지바 513: 접촉부
515: 홀 522: 결합 부재
600: 금속 플레이트 700: 탑샤시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컨트롤 보드에 유기되는 전자기파 간섭을 방지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전계 생성 전극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두 기판을 두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면이 마주 대하도록 배치하고 두 기판 사이에 액정을 주입한 다음, 두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생성되는 전기장에 의해 액정분자를 움직이게 함으로써, 이에 따라 달라지는 빛의 투과량에 의해 화상을 표현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하여 액정표시장치는 액정 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액정패널과, 액정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패널이 화상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각종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동회로부를 포함한다.
구동회로부는 액정패널에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이하 'TCP'라 함)로 연결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이하 'PCB'라 함)과,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이하 'FPCB'라 함)으로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는 컨트롤 보드(Control Board)를 구비한다. 그리고, TCP와 PCB에 형성된 게이트 구동부 및 데이터 구동부와, 컨트롤 보드에 형성되어 게이트 및 데이터 구동부를 제어하는 타이밍 콘트롤러와, 타이밍 컨트롤러의 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전원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타이밍 컨트롤러와 메모리는 다수의 신호배선을 통해 상시 신호가 전송된다. 또한, 게이트 및 데이터 구동부와 컨트롤 보드를 연결하는 커넥터에서도 상시 신호가 전송된다. 이때, 다수의 신호배선들 사이에서 전자기파가 유기되며, 이는 액정패널에서 공급되는 신호를 간섭하여 신호를 왜곡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접지 패드를 사용하여 쉴드 케이스와 바텀 샤시 및 컨트롤 보드 간의 접지를 강화하고, 컨트롤 보드에 유기되는 전자기파의 간섭을 방지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액정패널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수납하는 바텀 샤시, 상기 바텀 샤시의 배면에 결합되는 쉴드 케이스 및 상기 액정패널을 구동하기 위해 상기 액정패널에 연결된 데이터 인쇄회로기판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넥터가 형성되고 상기 쉴드 케이스와 접촉되기 위해 상기 커넥터들의 사이에 접지 패드가 형성된 컨트롤 보드를 포함하는 구동회로부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쉴드 케이스는 상기 접지 패드에 접촉되는 접지바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접지바는 일측으로 돌출된 접촉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접지바는 일측에 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텀 샤시와 상기 쉴드 케이스 사이에 도전성 플레이트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는 상기 쉴드 케이스와 접촉되는 도전성 가스킷을 더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액정패널과 상기 백라이트 유 닛을 수납하는 바텀 샤시, 상기 바텀 샤시의 배면에 결합되며, 일측으로 돌출된 접촉부 또는 홀이 형성된 접지바를 포함하는 쉴드 케이스, 상기 바텀 샤시와 상기 쉴드 케이스 사이에 형성되어 도전성 가스킷으로 상기 쉴드 케이스에 접촉되는 도전성 플레이트 및 상기 액정패널을 구동하기 위해 상기 액정패널에 연결된 데이터 인쇄회로기판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넥터가 형성되고 상기 접지바와 접촉되기 위해 상기 커넥터들의 사이에 접지 패드가 형성된 컨트롤 보드를 포함하는 구동회로부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의 컨트롤 보드를 자세히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100)과, 액정패널(10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부(400)와, 액정패널(100)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200)과, 액정패널(100)과 백라이트 유닛(200)을 수납하는 바텀 샤시(350) 및 바텀 샤시(350)의 배면에 결합되는 쉴드 케이스(500)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액정패널(100)은 컬러필터 기판(110)과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120)이 액정을 사이에 두고 접합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액정패널(100)은 게이트 라인들(GL)과 데이터 라인들(DL)의 교차로 정의되는 영역마다 박막 트랜지스터(TFT)에 의해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액정셀(Clc)들이 마련된다.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게이트 라인(GL)으로부터의 스캔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DL)으로부터의 화소 신호를 액정셀(Clc)에 공급한다.
구동회로부(400)는 액정패널(100)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20)에 형성된 게이트 라인(GL) 및 데이터 라인(DL)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부 및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게이트 구동부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20) 상에 아몰퍼스 실리콘(a-Si)형 박막 트랜지스터 또는 폴리 실리콘 (p-Si)형 박막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게이트 구동부는 게이트 온 전압의 스캔 신호를 게이트 라인들(GL)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또한, 게이트 구동부는 게이트 온 전압이 공급되는 기간을 제외한 나머지 기간에 게이트 오프 전압을 게이트 라인들(GL)에 공급한다.
데이터 구동부는 데이터 구동회로(430)가 실장된 데이터 TCP(420)를 통해 데이터 PCB(4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데이터 구동회로(430)는 화소 데이터를 아날로그 화소 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 라인들(DL)에 공급한다. 데이터 PCB(410)는 타이밍 컨트롤러(460) 및 전원부(480) 등으로부터의 제어 신호, 전원 신호 및 화소 데이터 등을 해당 구동회로에 공급할 수 있다. 대형 액정표시장치의 경우 타이밍 컨트롤러(460) 및 전원부(480)를 별도의 보드 즉, 컨트롤 보드(450)에 실장하고, 데이터 PCB(410)와 연결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PCB(410)는 데이터 TCP(420)와 접속됨과 아울러 제1 신호 전송 필름(440)을 통해 컨트롤 보드(450)와 접속된다. 이에 따라, 데이터 PCB(410)는 후술될 컨트롤 보드(450)에 실장된 타이밍 컨트롤러(460) 및 전원부(480) 등으로부터의 제어 신호, 전원 신호 및 화소 데이터 등을 해당 구동회로에 공급한다.
백라이트 유닛(200)은 액정패널(100)에 광을 공급한다. 백라이트 유닛(200)은 광을 공급하는 광원과, 다수의 광원 하부로 공급되는 광을 상부의 액정패널(100)로 반사시키는 반사 시트(220)와, 광원에서 공급된 광의 휘도를 균일하도록 하는 확산 시트(230)와, 확산 시트(230)로부터 확산되어 공급된 광의 효율을 증가하기 위한 프리즘 시트(240) 등의 광학 필름들을 더 구비한다.
광원은 다수의 램프(210), 발광다이오드 또는 면광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광원은 다수의 램프(210)가 평행하게 형성되며, 다수의 램프(210) 양측에는 램프(210)에 전원을 공급하고, 램프(210)를 지지 고정하는 램프 홀더가 더 형성된다. 램프(210)가 다수개가 형성되면 램프(210)들 사이에 휘선과 암선이 형성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확산 시트(230)가 램프(210)의 상부에 형성된다.
확산 시트(230)는 휘선과 암선을 제거하도록 다수의 램프에서 공급되는 광을 확산시킨다. 이때, 확산된 광은 효율이 낮으므로 액정패널(100)로 공급되는 광의 휘도가 떨어진다. 따라서, 휘도를 높이기 위해 프리즘 시트(240)를 확산 시트(230)의 상부에 형성한다. 그리고, 프리즘 시트(240) 등의 광학 시트들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시트(250)를 더 형성한다.
백라이트 유닛(200)은 본 발명과 같이 액정패널(100)의 하부 전면에서 직접 광을 공급하는 직하형 타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액정패널(100)의 측면에서 광을 공급하는 에지형 타입이 적용될 수 있다.
바텀 샤시(350)는 백라이트 유닛(200)이 수납되어 고정되는 백라이트 수납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바텀 샤시(350)는 백라이트 유닛(200) 및 백라이트 유닛(200)의 상부에 안착되는 액정패널(100)을 보호하기 위하여 금속 등의 물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200)은 바텀 샤시에 수납되어 고정된다.
바텀 샤시(350)의 수납부에 반사 시트(220), 광원 및 광학 시트들이 차례로 수납되면 바텀 샤시(350)의 외측벽을 따라 몰드프레임(300)이 고정된다. 몰드프레임(300)은 액정패널(100)이 안착 고정되는 패널 안착부(310)가 형성되며, 그 일측면에는 데이터 PCB(410)를 고정시키기 위한 데이터 PCB 수납부(320)가 더 형성된다. 몰드프레임(300)의 패널 안착부(310)에 액정패널(100)이 안착 고정되면, 액정패널(100)의 일측과 데이터 TCP(420)로 접속된 데이터 PCB(410)는 데이터 PCB 수납부(320)에 수납된다. 그리고, 데이터 PCB(410)와 제1 신호 전송 필름(440)으로 연결된 컨트롤 보드(450)는 관통홀(351,455)과 결합 부재(522)를 통해 바텀 샤시(350)의 배면에 결합된다.
컨트롤 보드(450)는 베이스 상에 금속 박막이 패터닝되어 신호 라인이 형성된 신호 전송층과, 신호 전송층을 보호하는 보호필름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며, 이러한 구조로 형성된 PCB 다수가 적층되어 형성되기도 한다. 그리고, 컨트롤 보드(4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에 타이밍 컨트롤러(460), 메모리(470) 및 전원부(480) 등이 실장된다.
여기서, 컨트롤 보드(450)에 실장된 전원부(480)는 게이트 구동회로에 공급되는 게이트 온 전압, 게이트 오프 전압 및 데이터 구동회로(430)에 공급되는 아날로그 구동전압(AVDD) 등의 전압 신호를 생성하여 게이트 구동회로 및 데이터 구동회로(430) 각각에 공급한다. 타이밍 컨트롤러(460)는 스타트 펄스, 쉬프트 클럭 및 출력제어신호 등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게이트 구동회로 및 데이터 구동회로(430) 각각에 공급함과 아울러 외부에서 공급되는 화상 신호를 데이터 구동회로(430)에 공급한다. 메모리(470)는 타이밍 컨트롤러(460)에서 공급되는 이전 프레임 데이터 신호가 저장되어 현재 프레임 데이터가 타이밍 컨트롤러(460)에 공급될 때, 이와 동기하여 타이밍 컨트롤러(460)에 공급한다. 그리고 컨트롤 보드(450)는 컨트롤 보드(450)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 전원 신호 및 화소 데이터 등을 데이터 PCB(410)로 공급하는 제1 신호 전송 필름과 체결되는 제1 커넥터(451) 및 제2 커넥터(452)와, 외부로부터의 화상 신호를 공급하는 제2 신호 전송 필름(454)과 체결되는 제3 커넥터(453)를 구비한다.
컨트롤 보드(450)는 제3 커넥터(453)와 접속된 제2 신호 전송 필름(454)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된 화소 데이터와 전원신호를 공급한다. 공급된 화소 데이터와 전원신호를 통해 컨트롤 보드(450)에 실장된 타이밍 컨트롤러(460), 전원부(480)에서 구동 IC들에 공급되는 전원신호 및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구동신호, 제어신호 및 화소 데이터를 제1 신호 전송 필름(440)을 통해 데이터 PCB(410)에 공급한다. 이때, 제1 신호 전송 필름(440)은 데이터 PCB(410)의 배면 상에 부착되어 컨트롤 보드(450)에 설치된 제1 및 제2 커넥터(451,452)에 삽입된다. 그리 고, 제2 신호 전송 필름(454)은 외부의 전원장치 및 그래픽 컨트롤러 등과 연결되며 컨트롤 보드(450)에 설치된 제3 커넥터에 삽입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신호 전송 필름(440,454)은 베이스 필름 상에 서로 연결된 금속 박막으로 형성된 신호 전송 라인 및 접속 패드와, 보호 필름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된 FPCB 등을 사용한다.
여기서, 타이밍 컨트롤러(460)와 메모리(470) 간, 제1 커넥터(451)와 제2 커넥터(452) 사이에는 전자기파로 인한 간섭이 많이 발생된다. 이러한 전자기파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보드(450)는 접지 패드(457)를 구비한다.
접지 패드(457)는 보드 상에 도전성 재질로 형성된다. 접지 패드(457)는 제1 및 제2 커넥터(451,452)를 통해 액정패널(100)에 공급되는 신호 및 타이밍 컨트롤러(460)와 메모리(470) 간에 전송되는 신호들에 의해 유기되는 전자기파를 효과적으로 접지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커넥터(451,452)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접지 패드(457)는 감마 전압 발생부 등에서 유기되는 전자기파도 접지시킨다. 이러한 접지 패드(457)는 나아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된 바텀 샤시(350)와 쉴드 케이스(500) 등에 접촉되어 접지 효과가 향상된다.
이때, 접지 패드(457)는 패드의 중앙에 보드를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기도 한다. 그리고, 접지 패드(457)는 홀에 도전성 결합 부재를 사용하여 바텀 샤시(35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 보드(450)를 보호하기 위하여 컨트롤 보드(450)의 상부면에 쉴드 케이스(500)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쉴드 케이스(500)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쉴드 케이스(500)의 구조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쉴드 케이스(500)의 구조를 다른 형태로도 변형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의 쉴드 케이스의 제1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쉴드 케이스(500)는 컨트롤 보드(450)에 형성된 타이밍 컨트롤러(460), 메모리(470) 및 전원부(480) 등의 전자 소자들을 물리적/전기적으로 보호한다. 이를 위하여, 쉴드 케이스(50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쉴드 케이스(500)는 양측에 형성된 관통홀(521)과 결합 부재(522)를 사용하여 바텀 샤시(350)에 결합된다.
쉴드 케이스(500)의 일측면에는 개구부(505)가 형성된다. 개구부(505)를 통하여 제1 신호 전송 필름(440)과 컨트롤 보드(450)를 연결하기 위한 제1 및 제2 커넥터(451,452)가 노출된다. 이러한 쉴드 케이스(500)에 의해 컨트롤 보드(450)에 제1 신호 전송 필름(440)이 쉽게 체결된다. 그리고, 정확하게 얼라인(align)하면서 제1 신호 전송 필름(440)을 컨트롤 보드(450)에 체결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개구부(505)는 제1 신호 전송 필름(440)의 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쉴드 케이스(500)의 타측면에도 제2 신호 전송 필름(454)과 제3 커넥터(453)를 체결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된다.
쉴드 케이스(500)는 컨트롤 보드(450)에 형성된 접지 패드(457)에 접촉되는 접지바(510)를 구비한다. 접지바(510)는 쉴드 케이스(500)의 일측면에 형성된 개구부(505) 사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특히 접지바(510)는 두 개구부(505) 사이의 돌출영역의 표면을 따라 형성된다.
여기서, 접지바(510)는 접촉부(513)를 통해 컨트롤 보드(450)에 형성된 접지 패드(457)에 접촉된다. 그리고, 접지바(510)는 접지 패드(457)를 통해 컨트롤 보드(450)에 유기된 전자기파를 접지시킨다. 특히, 접지바(510)는 쉴드 케이스(5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접지 패드(457)와 쉴드 케이스(500)를 연결하며, 쉴드 케이스(500)를 통해 전자기파를 접지시킴으로써 접지 효과를 향상시킨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의 쉴드 케이스의 제2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쉴드 케이스와 대비하여, 접지바(510)에 형성된 홀(515)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구비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쉴드 케이스(500)는 접지 패드(457)와 접촉하기 위해 홀(515)이 형성된 접지바(510)를 구비한다.
접지바(510)는 두 개구부(505) 사이의 돌출영역의 표면을 따라 형성되고, 일측에 소정 크기의 홀(515)이 형성된다. 접지바(510)는 홀(515)에 도전성 접촉 부재를 사용하여 컨트롤 보드(450)의 접지 패드(457)에 접촉된다. 또한, 접지바(510)는 홀이 형성된 접지 패드(457)에 도전성 결합 부재를 사용하여 결합된다. 예를 들어, 접지바(510)는 금속 핀을 홀(515)에 삽입하여 접지 패드(457)에 접촉되거나, 금속 나사를 사용하여 접지 패드(457)와 결합된다. 이러한 접지바(510)는 결합 부재를 통해 접지 패드(457)와 결합된 뒤 관통홀이 형성된 바텀 샤시(350)까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접지바(510)는 쉴드 케이스(500) 및 바텀 샤시(350)에 연결됨으로써 접지 효과를 크게 향상시킨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바텀 샤시에 결합된 쉴드 케이스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바텀 샤시(350)는 배면에 제1 및 제2 커넥터(451,452)가 형성된 컨트롤 보드(450)와, 컨트롤 보드(450)를 보호하기 위한 쉴드 케이스(500)가 결합된다. 이때, 바텀 샤시(350)는 쉴드 케이스(500)와의 사이에 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바텀 샤시(350)와 쉴드 케이스(500)는 접지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금속 플레이트(600)를 사용하여 접촉된다.
금속 플레이트(600)는 바텀 샤시(350)에 형성된 홈의 높이 및 쉴드 케이스의 폭에 맞게 형성된다. 그리고 금속 플레이트(600)는 바텀 샤시(350)에 결합되는 쉴드 케이스(500)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서, 쉴드 케이스(500)는 관통홀(515)에 결합 부재를 사용하여 바텀 샤시(350)에 결합된다.
또한, 금속 플레이트(600)는 쉴드 케이스(500)와의 접촉이 불량할 때 도전성 가스킷을 사용하여 쉴드 케이스(500)에 접촉될 수 있다. 금속 플레이트(600)는 상부면에 다수의 도전성 가스킷을 배치하여 쉴드 케이스(500)와 접촉된다.
이러한 금속 플레이트(600)는 컨트롤 보드(450)에서 유기되는 전자기파를 접 지시키는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바텀 샤시(350)와 쉴드 케이스(500)의 전기적 연결을 보강한다.
여기서, 액정표시장치는 바텀 샤시(350)와 결합되는 탑샤시(700)를 더 구비한다. 탑샤시(70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바텀 샤시(3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지 효과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컨트롤 보드에 접지 패드 형성하고, 쉴드 케이스에 접지바를 형성하여 접지시킴으로써 컨트롤 보드에서 유기되는 전자기파의 간섭을 방지한다. 그리고, 액정표시장치는 쉴드 케이스의 형상을 변경하여 접지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전자기파의 간섭으로 인한 패널구동신호의 왜곡을 방지하여 표시 품질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상기 액정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상기 액정패널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수납하는 바텀 샤시;상기 바텀 샤시의 배면에 결합되는 쉴드 케이스 및;상기 액정패널을 구동하기 위해 상기 액정패널에 연결된 데이터 인쇄회로기판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넥터가 형성되고 상기 쉴드 케이스와 접촉되기 위해 상기 커넥터들의 사이에 접지 패드가 형성된 컨트롤 보드를 포함하는 구동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 제1 항에 있어서,상기 쉴드 케이스는 상기 접지 패드에 접촉되는 접지바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 제2 항에 있어서,상기 접지바는 일측으로 돌출된 접촉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 제2 항에 있어서,상기 접지바는 일측에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 제1 항에 있어서,상기 바텀 샤시와 상기 쉴드 케이스 사이에 도전성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 제5 항에 있어서,상기 도전성 플레이트는 상기 쉴드 케이스와 접촉되는 도전성 가스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상기 액정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상기 액정패널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수납하는 바텀 샤시;상기 바텀 샤시의 배면에 결합되며, 일측으로 돌출된 접촉부 또는 홀이 형성된 접지바를 포함하는 쉴드 케이스;상기 바텀 샤시와 상기 쉴드 케이스 사이에 형성되어 도전성 가스킷으로 상기 쉴드 케이스에 접촉되는 도전성 플레이트 및;상기 액정패널을 구동하기 위해 상기 액정패널에 연결된 데이터 인쇄회로기판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넥터가 형성되고 상기 접지바와 접촉되기 위해 상기 커넥터들의 사이에 접지 패드가 형성된 컨트롤 보드를 포함하는 구동회로부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05657A KR20080038591A (ko) | 2006-10-30 | 2006-10-30 | 액정표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05657A KR20080038591A (ko) | 2006-10-30 | 2006-10-30 | 액정표시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38591A true KR20080038591A (ko) | 2008-05-07 |
Family
ID=39647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05657A KR20080038591A (ko) | 2006-10-30 | 2006-10-30 | 액정표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38591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3456B1 (ko) * | 2009-12-11 | 2013-10-2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액정표시장치 |
-
2006
- 2006-10-30 KR KR1020060105657A patent/KR2008003859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3456B1 (ko) * | 2009-12-11 | 2013-10-2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액정표시장치 |
US8810747B2 (en) | 2009-12-11 | 2014-08-19 | Lg Display Co., Ltd.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CN104360517A (zh) * | 2009-12-11 | 2015-02-18 | 乐金显示有限公司 | 液晶显示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80004003A (ko) | 액정표시장치 | |
KR20090070328A (ko) | 액정표시장치 | |
KR20090046509A (ko) | 액정 표시 장치 | |
KR20070057301A (ko) | 연성 인쇄 회로용 커넥터와, 그에 삽입되는 연성 인쇄 회로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 |
KR20080038591A (ko) | 액정표시장치 | |
KR20080002007A (ko) | 액정표시장치 | |
KR20080068164A (ko) | 액정 표시 장치 | |
KR20060017105A (ko) | 인쇄회로기판의 고정 구조를 개선한 평판표시장치 | |
KR20080021305A (ko) | 액정표시장치 | |
KR101137881B1 (ko) | 액정표시장치 | |
KR100975811B1 (ko) | 액정표시장치 | |
KR20080006102A (ko) | 표시장치 | |
KR20070080996A (ko) | 액정 표시 장치 | |
KR20070024919A (ko) |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 |
KR20060078870A (ko) | Emi 차폐를 위한 평판표시장치 | |
KR101002931B1 (ko) | 액정표시장치 | |
KR101182297B1 (ko) | 평판 표시장치 | |
KR20080012507A (ko) | 액정표시모듈 | |
KR101051011B1 (ko) | 표시 장치 | |
KR100784043B1 (ko) | 평판표시장치 | |
KR101301767B1 (ko) | 액정표시장치 및 그 조립방법 | |
KR20060015909A (ko) | 바텀 섀시를 변형한 액정표시장치 | |
KR20060117027A (ko) | 액정표시장치 | |
KR101671521B1 (ko) | 액정표시장치 | |
KR20080054503A (ko) | 액정 표시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