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34220A - 콤팩트한 체결구조의 전지모듈 - Google Patents

콤팩트한 체결구조의 전지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4220A
KR20080034220A KR1020060100098A KR20060100098A KR20080034220A KR 20080034220 A KR20080034220 A KR 20080034220A KR 1020060100098 A KR1020060100098 A KR 1020060100098A KR 20060100098 A KR20060100098 A KR 20060100098A KR 20080034220 A KR20080034220 A KR 20080034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dule
module
battery
fastening
module ca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0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3314B1 (ko
Inventor
양재훈
양희국
윤종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60100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3314B1/ko
Priority to JP2009533235A priority patent/JP5208951B2/ja
Priority to US12/445,670 priority patent/US8501344B2/en
Priority to PCT/KR2007/004917 priority patent/WO2008048013A1/en
Publication of KR20080034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4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3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331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6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erminals of battery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42Grouping of primary cells into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지모듈로서,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 셀 또는 이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모듈 단위체 다수 개로 이루어진 충방전 적층체가 상부 모듈 케이스와 하부 모듈 케이스에 의해 내장되어 있는 전지모듈로서, 하부 모듈 케이스에는 상하 양방향으로 결합을 이룰 수 있는 결합부들(상부 결합부 및 하부 결합부)을 포함하는 체결구조가 설치되어 있고, 상부 모듈 케이스에는 상기 체결구조의 상부 결합부와 연통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전지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은 전지셀의 낮은 강성을 보완하면서 중량 및 크기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고, 기계적 체결을 위해 다수의 부재들을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한 체결구조에 의해 차량의 내부 프레임 또는 차량 내부에 고정되어 있는 별도의 프레임에 장착됨으로써 전반적인 제조비용을 낮추고, 차량 주행시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 전지모듈을 안전하게 보호할 뿐만 아니라, 전지모듈을 단위체로 사용하여 소망하는 출력과 용량의 중대형 전지시스템을 콤팩트하며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콤팩트한 체결구조의 전지모듈 {Battery Module of Compact Joint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4는 도 1의 평면도, 정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도면에서 체결구조를 확대한 A-A' 부분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전지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 셀 또는 이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모듈 단위체 다수 개로 이루어진 충방전 적층체가 상부 모듈 케이스와 하부 모듈 케이스에 의해 내장되어 있는 전지모듈로서, 하부 모듈 케이스에는 상하 양방향으로 결합을 이룰 수 있는 결합부들(상부 결합부 및 하부 결합부)을 포함하는 체결구조가 설치되어 있고, 상부 모듈 케이스에는 상기 체결구조의 상부 결합부와 연통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전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와이어리스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등의 동력원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소형 모바일 기기들에는 디바이스 1 대당 하나 또는 두서너 개의 전지셀들이 사용됨에 반하여, 자동차 등과 같은 중대형 디바이스에는 고출력 대용량의 필요성으로 인해, 다수의 전지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중대형 전지모듈이 사용된다.
중대형 전지모듈은 가능하면 작은 크기와 중량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높은 집적도로 충적될 수 있고 용량 대비 중량이 작은 각형 전지, 파우치형 전지 등이 중대형 전지모듈의 전지셀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 등을 외장부재로 사용하는 파우치형 전지는 중량이 작고 제조비용이 낮다는 등의 잇점으로 인해 최근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그러나, 다수의 전지셀들을 사용하여 중대형 전지모듈을 구성하거나 또는 소정 단위의 전지셀들로 이루어진 단위모듈 다수를 사용하여 중대형 전지모듈을 구성하는 경우, 이들을 중대형 전지모듈 케이스에 적재하고 이를 차량의 차체 프레임과 같은 탑재부재와 기계적 체결을 위해 일반적으로 많은 부재들이 필요하므로, 이러한 부재들을 조립하는 과정은 매우 복잡하다. 더욱이, 기계적 체결을 위한 다수의 부재들의 결합을 위한 공간이 요구되며, 그로 인해 시스템 전체의 크기는 커지게 된다. 이러한 크기 증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며, 보다 콤팩트하고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한 체결구조를 가지는 중대형 전지모듈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따라서, 단위모듈들을 내장하면서 차량의 소정부위에 장착하기 위한 중대형 전지모듈 탑재 프레임의 체결 구조에 관한 기술이 일부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등록특허 제3324182호는 복수의 배터리가 수납되는 격자타입으로 형성된 배터리 프레임을 차량의 플로어 판넬의 하면에 설치하기 위하여, 하면으로부터 삽입되는 볼트가 가이드 튜브 및 너트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배터리 탑재 프레임의 체결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배터리 프레임의 일측면에만 체결구조가 형성되고, 배터리 프레임과 배터리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있어서 차량의 진동과 같은 충격이 인가될 때 구조적으로 안정적이지 못하고, 체결구조가 다수의 체결부재들로 구성되어 있어서 제조비용이 많이 들고 차량의 플로어 판넬에 장착하기 위한 조립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지모듈을 차량의 소정부위에 결합하여 고정함에 있어서, 체결부위의 구조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고,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되며 차량 장착작업이 용이한 체결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전지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계적 체결을 위해 다수의 부재들을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한 조립방법에 의해 전지모듈을 제조함으로써 전반적인 제조비용을 낮추 고, 작업시 또는 작동시 전지모듈 파손 등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는 전지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은,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 셀 또는 이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모듈 단위체 다수 개로 이루어진 충방전 적층체가 상부 모듈 케이스와 하부 모듈 케이스에 의해 내장되어 있는 전지모듈로서, 하부 모듈 케이스에는 상하 양방향으로 결합을 이룰 수 있는 결합부들(상부 결합부 및 하부 결합부)을 포함하는 체결구조가 설치되어 있고, 상부 모듈 케이스에는 상기 체결구조의 상부 결합부와 연통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지모듈은 전지셀 또는 단위모듈들을 하부 모듈 케이스에 적재한 후 상부 모듈케이스를 덮어 씌우는 구조로서, 상부 모듈 케이스와 하부 모듈 케이스의 체결과 특정 부위에 대한 체결이 한 곳의 체결 구조에서 동시에 달성된다. 따라서, 기존의 체결구조가 전지모듈 케이스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에 비해 전지모듈의 전체 크기가 감소하고 또 다른 전지모듈을 인접하여 위치시키기가 용이하여 보다 콤팩트하고 안정적인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지모듈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결합부들은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 바, 상하부 결합부들 각각이 암나사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상부 모듈 케이스의 체결홈을 통해 수나사 구조의 체결부재를 삽입하여 체결구조의 상부 결합 부에 체결함으로써, 상하부 모듈 케이스들을 상호 결합시키는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체결방식에 의해 상부 모듈 케이스와 하부 모듈 케이스의 결합을 더욱 공고히 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구조의 구체적인 예로는 상하부 결합부들이 각각 암나사 구조로 이루어진 인서트 너트를 들 수 있으며, 상부 모듈 케이스의 체결구를 관통한 수나사 구조의 체결부재가 상부로부터 삽입되어 인서트 너트의 상부 결합부와 체결됨으로써 상하부 모듈케이스를 상호 결합시키고, 탑재부재를 관통한 수나사 구조의 체결부재가 인서트 너트의 하부 결합부와 체결됨으로써 전지모듈을 소정의 부위(예를 들어, 탑재부재) 상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인서트 너트는 다양한 방식으로 해당 부위에 설치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하부 모듈 케이스의 성형시 함께 성형하거나, 하부 모듈 케이스에 장착용 관통구를 천공한 후 삽입하여 설치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인서트 너트의 상단이 하단보다 큰 외경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차량의 진동과 같은 외력이 전지모듈에 인가되는 경우에도 인서트 너트가 하부 모듈 케이스의 하부로 탈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인서트 너트의 상단은 하부 모듈 케이스의 상단면으로부터 만입되어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부 모듈 케이스의 상기 만입형 구조에 대응하여 상부 모듈 케이스의 대응 부위가 돌출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부 모듈 케이스와 하부 모듈 케이스 상호간의 결합력을 더욱 공고히 할 수 있고, 전지모듈의 측면 방향으로 인가되는 외력에 대해 결합의 안 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만입-돌출형 구조는 조립 과정에서 상하부 모듈 케이스들의 결합 위치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도와 준다.
상기 인서트 너트는 소정의 강도를 가지는 소재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금속 소재, 고강도 플라스틱 수지 또는 플라스틱 복합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소재로 이루어진 인서트 너트는 그 자체로서 높은 강도를 발휘하므로, 외부로부터 충격이 전지모듈에 인가되었을 때에도 파열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 모듈 케이스와 하부 모듈 케이스를 상호 체결하는 상기 체결구조는 모듈 케이스의 설계 구조 등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지만, 모듈 케이스의 외주면 모서리 부근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구조가 구조적 안정성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전지모듈이 대략 직육면체 형상인 경우, 상기 체결구조는 모듈 케이스의 외주면 4 모서리 부근에 설치되어 있어서, 모듈 케이스 내부에 적재되어 있는 단위모듈 적층체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탑재부재와의 체결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상부 모듈 케이스와 하부 모듈 케이스의 접촉 경계면이 서로 맞물리는 단차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전지모듈의 측면방향으로 외력이 인가될 때 상부 모듈 케이스가 하부 모듈 케이스로부터 이탈되는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하부 모듈 케이스 상호간의 결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차 구조는 앞서 설명한 만입-돌출형 구조와 유사한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모듈을 다수 개 연결하여 소정의 부재('탑재부재') 상에 설치되는 고출력 대용량의 중대형 전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전지모듈의 체결구조의 하부 결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탑재부재에는 체결용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의 하부를 통해 삽입된 체결부재에 의해 탑재부재에 대한 전지모듈의 결합이 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지모듈을 소정의 장착 위치에 체결하기 위하여 탑재부재에 수나사와 같은 체결부재를 삽입하기 위하여 하부 모듈 케이스의 하부 결합부에 대면하는 위치에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부재는 탑재부재의 관통구를 통과하여 상기 하부 결합부의 암나사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인서트 너트 하단부에 삽입됨으로써 전지모듈과 탑재부재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탑재부재는 전지모듈 장착을 필요로 하는 디바이스이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내부 프레임 또는 상기 차량 내부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별도의 프레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대형 전지시스템은 소망하는 출력 및 용량에 따라 전지모듈들을 조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장착 효율성, 구조적 안정성 등을 고려할 때, 한정된 장착공간을 가지며 잦은 진동과 강한 충격 등에 노출되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전기오토바이, 전기자전거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의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2 내지 도 4에는 상기 전지모듈의 평면도, 정면도 및 저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전지모듈(100)은, 다수의 전지셀 또는 단위모듈들(200), 이들이 탑재되는 상부 모듈 케이스(140)와 하부 모듈 케이스(150), 및 상하부 모듈 케이스를 체결하기 위한 상부 체결용 관통구(120)와 하부 체결용 관통구(122)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모듈 케이스(140)의 일 측면에는 전극단자들(130)이 돌출되어 있고, 내부에 장착되는 단위모듈들(200)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슬릿들(110)이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슬릿들(110)은 하부 모듈 케이스(150)의 저면에도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바, 충방전시 발생한 열은 슬릿들(110)을 통해 유입된 냉매에 의해 적절하게 제거된다.
전지모듈(100)의 조립과정은, 우선, 단위모듈들(200)을 하부 모듈 케이스(150)에 탑재한 후 상부 모듈 케이스(140)와 하부 모듈 케이스(150)를 상호 결합시킨 다음, 도 5에서와 같이, 수나사 구조 체결부재(160)를 전지모듈(100)의 상부로부터 체결용 관통구(120)에 삽입하여 하부 모듈 케이스(150)의 상부 결합부와 체결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전지모듈의 부피는 전지모듈의 가로길이(L), 세로길이(W) 및 높이(H)를 곱한 크기로서 도 5의 차량에 전지모듈(100)을 장착시 콤팩트하면서도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게 된다.
도 5에는 도 1의 A-A'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의 체결구조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단위모듈들이 위에서 설명한 장착과정에 의해 전지모듈 케이스(140, 150)에 탑재되고 인서트 너트(170)가 하부 모듈 케이스(150)의 외주면 모서리 부근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나사 구조의 체결부재(160)는 전지모듈 케이스의 상부로부터 체결용 관통구(120)를 통과하여 암나사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인서트 너트(170)의 상부 결합부(172)와 결합됨으로써 도 1에서와 같은 전지모듈(100)이 만들어진다.
상기 과정에서, 도 1의 전지모듈(100)이 만들어진 후, 수나사 구조의 체결부재(162)는 차량의 내부 프레임과 같은 탑재부재(180)를 관통하여 암나사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인서트 너트(170)의 하부 결합부(174)에 체결됨으로써, 전지모듈(100)을 탑재부재(180)에 장착하기 위하여 전지모듈의 하면 넓이(W X L) 이외의 공간은 별도로 필요하지 않게 되며, 진동, 충격 등이 전지모듈 시스템에 가해지더라도 안정적인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구조적으로는, 인서트 너트(170)의 상부 결합부(172)는 그것의 상단이 하단보다 큰 외경으로 이루어져 있고, 하부 모듈 케이스(150)의 상단면으로부터 만입되어 있으며, 상기 만입형 구조에 대응하여 상부 모듈 케이스(140)의 대응 부위가 돌출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부 모듈 케이스(140)와 하부 모듈 케이스(150)의 접촉 경계면은 서 로 맞물리는 단차구조(180)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전지모듈의 측면 방향으로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상하부 모듈 케이스(140, 150)가 상호간에 이격되어 탈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은 전지셀의 낮은 강성을 보완하면서 중량 및 크기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고, 기계적 체결을 위해 다수의 부재들을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한 체결구조에 의해 차량의 내부 프레임 또는 차량 내부에 고정되어 있는 별도의 프레임에 장착됨으로써 전반적인 제조비용을 낮추고, 차량 주행시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 전지모듈을 안전하게 보호할 뿐만 아니라, 전지모듈을 단위체로 사용하여 소망하는 출력과 용량의 중대형 전지시스템을 콤팩트하며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Claims (14)

  1.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 셀 또는 이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모듈 단위체 다수 개로 이루어진 충방전 적층체가 상부 모듈 케이스와 하부 모듈 케이스에 의해 내장되어 있는 전지모듈로서, 하부 모듈 케이스에는 상하 양방향으로 결합을 이룰 수 있는 결합부들(상부 결합부 및 하부 결합부)을 포함하는 체결구조가 설치되어 있고, 상부 모듈 케이스에는 상기 체결구조의 상부 결합부와 연통되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결합부들은 각각 암나사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상부 모듈 케이스의 체결홈을 통해 수나사 구조의 체결부재를 삽입하여 상기 체결구조의 상부 결합부에 체결함으로써, 상하부 모듈 케이스들을 상호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조는 상하부 결합부들이 각각 암나사 구조로 이루어진 인서트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너트는 하부 모듈 케이스의 성형시 함께 성형하거나, 하부 모듈 케이스에 장착용 관통구를 천공한 후 삽입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너트의 상단은 상대적으로 큰 외경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너트의 상단은 하부 모듈 케이스의 상단면으로부터 만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7. 제 6 항에 있어서, 하부 모듈 케이스의 상기 만입형 구조에 대응하여 상부 모듈 케이스의 대응 부위는 돌출형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너트는 금속 소재, 고강도 플라스틱 수지 또는 플라스틱 복합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조는 모듈 케이스의 외주면 모서리 부근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모듈 케이스와 하부 모듈 케이스의 접촉 경계면은 서로 맞물리는 단차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지모듈이 소정의 부재('탑재부재') 상에 설치되어 있는 구조의 중대형 전지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모듈의 체결구조의 하부 결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탑재부재에는 체결용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의 하부를 통해 삽입된 체결부재에 의해 탑재부재에 대한 전지모듈의 결합이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부재는 차량의 내부 프레임 또는 상기 차량 내부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별도의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 시스템.
  14. 제 11 항에 따른 중대형 전지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는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KR1020060100098A 2006-10-16 2006-10-16 콤팩트한 체결구조의 전지모듈 Active KR101143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098A KR101143314B1 (ko) 2006-10-16 2006-10-16 콤팩트한 체결구조의 전지모듈
JP2009533235A JP5208951B2 (ja) 2006-10-16 2007-10-09 電池システム、並びにそれを備えた電気車両又はハイブリッド電気車両
US12/445,670 US8501344B2 (en) 2006-10-16 2007-10-09 Battery module of compact joint structure
PCT/KR2007/004917 WO2008048013A1 (en) 2006-10-16 2007-10-09 Battery module of compact joint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098A KR101143314B1 (ko) 2006-10-16 2006-10-16 콤팩트한 체결구조의 전지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4220A true KR20080034220A (ko) 2008-04-21
KR101143314B1 KR101143314B1 (ko) 2012-05-09

Family

ID=39314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0098A Active KR101143314B1 (ko) 2006-10-16 2006-10-16 콤팩트한 체결구조의 전지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501344B2 (ko)
JP (1) JP5208951B2 (ko)
KR (1) KR101143314B1 (ko)
WO (1) WO200804801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949B1 (ko) * 2011-05-02 2013-04-15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배터리 모듈
US9379366B2 (en) 2013-01-31 2016-06-28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11264670B2 (en) 2017-04-07 2022-03-01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pack having expandable battery module 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176B1 (ko) * 2010-06-03 2013-08-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전지모듈
JP5575035B2 (ja) * 2011-03-29 2014-08-2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自動車のバッテリーフレーム構造
EP2698839A4 (en) * 2011-04-12 2014-09-10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BLOCK OF CELLS
RU2572951C2 (ru) * 2014-05-27 2016-01-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азанский национ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 А.Н. Туполева-КАИ" (КНИТУ-КАИ) Способ заряда химического источника тока с водным электролитом
WO2016067487A1 (ja) * 2014-10-30 2016-05-06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
WO2017158763A1 (ja) 2016-03-16 2017-09-21 株式会社東芝 組電池
WO2018033880A2 (en) 2016-08-17 2018-02-22 Shape Corp. Battery support and protection structure for a vehicle
CN110383526A (zh) 2017-01-04 2019-10-25 形状集团 节点模块化的车辆电池托盘结构
WO2018213383A1 (en) 2017-05-16 2018-11-22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with integrated battery retention and support features
US10886513B2 (en) 2017-05-16 2021-01-05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having tub-based integration
WO2018213475A1 (en) 2017-05-16 2018-11-22 Shape Corp. Polarized battery tray for a vehicle
US11088412B2 (en) 2017-09-13 2021-08-10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with tubular peripheral wall
US12347879B2 (en) 2017-09-13 2025-07-01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with tubular peripheral wall
WO2019071013A1 (en) 2017-10-04 2019-04-11 Shape Corp. BATTERY SUPPORT BOTTOM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S
WO2019169080A1 (en) 2018-03-01 2019-09-06 Shape Corp. Cooling system integrated with vehicle battery tray
US11688910B2 (en) 2018-03-15 2023-06-27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having tub-based component
JP7224249B2 (ja) * 2019-07-03 2023-02-17 大豊工業株式会社 電池ケースおよび電池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2858B2 (ja) * 1988-04-11 1998-09-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池固定装置
JP3324182B2 (ja) 1993-03-12 2002-09-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搭載フレームの締結構造
JPH0963554A (ja) * 1995-08-25 1997-03-07 Toyo Commun Equip Co Ltd 携帯用電子機器の筐体構造
JP3998736B2 (ja) * 1996-02-13 2007-10-3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平角型電池モジュール
KR100422175B1 (ko) * 1997-01-13 2004-03-10 오보닉 배터리 컴퍼니, 아이엔씨. 유체 냉각 배터리 팩 시스템
JPH1167176A (ja) * 1997-08-14 1999-03-09 Nissan Motor Co Ltd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固定構造及び固定方法
JP2000085375A (ja) 1998-09-11 2000-03-28 Nissan Motor Co Ltd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搭載フロア構造
JP2001088564A (ja) * 1999-09-28 2001-04-03 Fuji Heavy Ind Ltd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ボックス取付構造
JP2002127761A (ja) * 2000-10-24 2002-05-08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電池モジュール
JP3802457B2 (ja) 2002-06-28 2006-07-26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
JP2005238941A (ja) * 2004-02-25 2005-09-08 Toyota Motor Corp 蓄電機構の筐体構造
KR100932227B1 (ko) * 2005-09-02 2009-12-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JP4506675B2 (ja) * 2006-01-04 2010-07-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バッテリの搭載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949B1 (ko) * 2011-05-02 2013-04-15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배터리 모듈
US9419262B2 (en) 2011-05-02 2016-08-16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9379366B2 (en) 2013-01-31 2016-06-28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11264670B2 (en) 2017-04-07 2022-03-01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pack having expandable battery module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507214A (ja) 2010-03-04
US20100190048A1 (en) 2010-07-29
US8501344B2 (en) 2013-08-06
WO2008048013A1 (en) 2008-04-24
KR101143314B1 (ko) 2012-05-09
JP5208951B2 (ja) 201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3314B1 (ko) 콤팩트한 체결구조의 전지모듈
KR101909215B1 (ko) 전지 서브 모듈 캐리어, 전지 서브 모듈, 전지 시스템 및 자동차
KR101400090B1 (ko) 버스 바 어셈블리가 전면에 장착된 전지모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CN101450605B (zh) 电动车辆
US9859532B2 (en) Battery module and method incorporating exterior casing and liner
EP3416209B1 (en) Integrated cartridg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JP5528772B2 (ja) 電源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並びに防水ケース
KR20180071800A (ko) 에너지 밀도 향상 및 조립 공정이 간소화된 배터리 모듈
KR101281811B1 (ko)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 전지팩
KR20140060633A (ko) 버스 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CN101573809A (zh) 蓄电装置单元
KR20180050086A (ko) 배터리 팩
JP7062174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それを含む自動車
KR101883386B1 (ko) 전지 압축 저지체와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KR101359306B1 (ko) 전지모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160087077A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팩
KR20090000297A (ko) 플레이트형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
KR20210149483A (ko) 배터리 팩, 전자 디바이스 및 자동차
KR101667519B1 (ko) 외부 입출력 단자를 형성하는 버스 바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CN109728219B (zh) 车辆的电池包
KR101084986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중대형 전지팩
KR101134403B1 (ko)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전원장치
CN111710806A (zh) 电池组模块和机动车
KR101477548B1 (ko) 콤팩트한 구조의 전지팩
KR101859684B1 (ko) 버스 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16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10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10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0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04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10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00531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4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20217

Appeal identifier: 2010101004014

Request date: 20100531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00531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531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91113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B0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Report of Result of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00802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100802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00531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91113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531

Effective date: 20120217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20217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00531

Decision date: 20120217

Appeal identifier: 2010101004014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02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20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4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4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1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