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32182A - 궤도의 구조 재설정이 가능한 순응성 반사판(들)을구비하는 네트워크 안테나 - Google Patents

궤도의 구조 재설정이 가능한 순응성 반사판(들)을구비하는 네트워크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2182A
KR20080032182A KR1020087003531A KR20087003531A KR20080032182A KR 20080032182 A KR20080032182 A KR 20080032182A KR 1020087003531 A KR1020087003531 A KR 1020087003531A KR 20087003531 A KR20087003531 A KR 20087003531A KR 20080032182 A KR20080032182 A KR 20080032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reflector
feeds
array
antenn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3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셸 레베끄
에릭 부르슈
자끄 마우렐
Original Assignee
탈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탈레스 filed Critical 탈레스
Publication of KR20080032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2182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 H01Q15/14Reflecting surfaces; Equivalent structures
    • H01Q15/16Reflecting surfaces; Equivalent structures curved in two dimensions, e.g. paraboloid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9/0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 H01Q19/1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lecting surfaces
    • H01Q19/12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lecting surfaces wherein the surfaces are concave
    • H01Q19/17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lecting surfaces wherein the surfaces are concave the primary radiating source comprising two or more radia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반사판(들)을 구비하는 어레이 안테나 (AR) 는 i) 중앙 피드 (S1) 를 구비하고 선택된 방향으로 빔 (F1-F5) 을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배열되고 위치된 적어도 2 개의 피드 (S1-S5) 의 어레이 (RS), ii) 각각의 피드 (S1-S5) 로 하여금 선택된 구역 (Z1-Z5) 을 커버하도록 의도된 (빔을 형성하고, 메인 로브를 포함하는) 선택된 복사 패턴을 송신하도록 하기 위해, 그 포트들에 적용된 진폭/위상 원리에 의해 각각의 피드들의 진폭 및 위상을 제어하여 적절한 증폭 레벨을 제공하는 빔-형성 수단, 및 iii) 피드에 의해 전달되고 및/또는 후자에 대해 의도되는 빔을 특정적으로 반사하기 위한 표면 (SU) 이 제공되고, 그 에너지를 확산시킴으로써 각각의 피드 (S1-S5) 에 의해 전달된 빔을 반사하도록 표면이 3-차원적으로 형상화되어, 선택된 관련 구역을 커버하고, 중앙 피드 (S1) 와 관련된 복사 패턴의 메인 로브는 선택된 형태 및 치수의, 안테나 (AR) 의 각각의 능동 커버리지 구역 (ZC1, ZC2) 을 완전히 포함하는 주요의 커버리지 (CP) 를 정의하고, 각각의 비-중앙 피드 (S2-S5) 와 관련된 복사 패턴의 메인 로브가 주요 커버리지 (CP) 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래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판 (RC) 을 포함한다.
피드의 어레이, 빔-형성 수단, 반사판

Description

궤도의 구조 재설정이 가능한 순응성 반사판(들)을 구비하는 네트워크 안테나{NETWORK ANTENNA WITH CONFORMABLE REFLECTOR(S) HIGHLY RECONFIGURABLE IN ORBIT}
본 발명은 보드 위성 (board satellite) 상에 반사판(들)을 구비하고, 전자파의 빔을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확산된 어레이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용어 "반사판(들)을 구비하는 어레이 안테나" 는 본 명세서에서 어레이를 정의하는 한 세트의 피드 (feed) (또는 복사 엘리먼트), 및 하나 이상의 반사판으로 구성되는 안테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전술한 반사판(들)을 구비하는 어레이 안테나는, 하나 이상의 소정의 커버리지를 향해서 복사하는 하나 이상의 빔을 형성 및 위치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특히 흥미롭다. 이러한 빔 형성은 피드에서의 진폭 및/또는 위상을 제어함으로써 수행된다.
궤도에서 커버리지의 위치 및 형상을 수정하기 위한 성능 (이중 구조 재설정; double reconfigurability) 은, 특히, 트래픽의 변화를 고려하여, 실패한 위성으로부터 인계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고, 또는 소정의 구역에 걸친 링크 버짓 (link budget) 의 유지력을 가지는 궤도의 호 (orbital arc) 에서의 위치의 변화에 대해서도 매우 중요하다. 이중 구조 재설정을 허용하기 위해, 후술되는 3 가지의 해결책이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첫 번째 해결책은 직접 복사선 (즉 DRA; direct radiation) 에 의한 능동 어레이 안테나, 즉, 어떠한 반사판도 가지지 않는 안테나를 이용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 유형의 어레이 안테나는 매우 우수한 이중 구조 재설정 성능을 제안하지만, 종종 그 비용과 중량을 억제하기 위한 많은 제어를 요구한다. 또한, 송신시에, DRA 제어장치 각각에 관련된 증폭기의 낮은 효율은 종종 엄청난 손실을 초래한다.
두 번째 해결책은 초점 평면에서 또는 형체가 없는 (non-shaped) 포물면 반사판 (또는 FAFR) 의 초점 평면 부근에서 피드의 어레이를 이용하는 것을 수반한다. 특히, 이 해결책은 미국 특허 문헌 제4,965,587호에 개시된다. 소정의 구역을 커버하기 위해, 피드 어레이는 각각의 그 피드가 전체 커버리지의 일부에 기여하는 방식으로 치수가 정해진다. 피드의 위치는 커버될 구역에 직접 연관된다. 이는, 반사판에 반사 원리를 적용함으로써 기하학적으로 결정된다. 상이한 제어장치의 진폭/위상 원리는 피드에 의해 전달된 빔에 대해 최적화되어 커버될 각각의 구역에 적합한 복사 패턴을 조합 및 제공해야만 한다. 초기에 제공된 오직 하나의 구역만이 커버되는 경우, 대응하는 어레이의 일부만 이용된다. 송신시에, 증폭기들 (MPA 로 지칭) 사이의 전력 균형 디바이스를 이용하기 위해 종종 필요한, 복사 엘리먼트에 적용된 진폭 범위는 크다.
한편, 각각의 피드가 커버리지의 일부에 직접적으로 연관된다는 사실은 부분적인 손실의 발생시에 이 구역의 손실을 회피하기 위해 증폭기상에 리던던시 (redundancy) 를 부과하고, 다른 한편, 커버리지의 사이즈에 직접적으로 링크된 (종종 제어장치를 위한) 수많은 피드를 유발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빔-형성 아키텍쳐는 특히 복잡하고, MPA 의 존재 (presence) 에 연관된 추가적인 손실을 유발하여, 상당히 큰 체적 및 중량이 얻어진다.
두 번째 해결책과는 상이한 세 번째 해결책은 미국 특허 문헌 제2004/0222932호에 제안되어 있다. 반사판의 초점 평면에 피드 어레이를 위치시키도록 구성되고, 그 반사 표면은 각각의 피드에 의해 송신된 메인 로브에서 "평평한" 복사 패턴을 가지는 각각의 빔에 의해 커버된 영역에 확산하도록 형상화된다. 그 원리는 각각의 피드가 커버리지의 일부에만 기여하는 전술한 원리와 동일하다. 반사판의 형상화에 의해 유도된 각각의 빔의 확산로 인해, 커버리지를 샘플링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피드의 수는 감소될 수 있고, 이는, 안테나 제어장치의 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공지된 해결책 중 어느 해결책도 궤도 내에서 구조 재설정을 위한 성능 및/또는 제어장치의 단순화 및/또는 중량 및/또는 비용의 관점에서의 완전한 만족을 제공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는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i) 소위 중앙 피드를 포함하고, 선택된 방향으로 전자파의 빔을 송신 (또는 수신) 하도록 배열되고 위치되는 적어도 2 개 피드의 어레이, ii) 각각의 피드로 하여금 선택된 구역을 커버하도록 확산된 (빔을 형성하고 메인 로브를 포함하는) 선택된 복사 패턴을 송신하도록 하기 위해, 그 포트들에게 적용된 진폭/위상 원리에 의해 피드 각각의 진폭 및 위상을 제어하고 적절한 증폭 레벨을 제공하기 위한 빔-형성 수단, 및 iii) 피드에 의해 (또는 이들 피드를 향 해) 송신된 빔을 반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반사판을 포함하는 반사판을 구비한 어레이 안테나를 제안한다.
반사판(들)을 구비한 어레이 안테나는:
- 반사판 중 적어도 하나의 반사판의 표면은 각각의 피드에 의해 송신된 빔을 반사하고 그 에너지를 확산시키도록 3-차원 (3D) 적으로 형상화되어, 선택된 관련 구역을 커버하고, 중앙 피드와 관련된 복사 패턴의 메인 로브는 선택된 형태 및 치수의, 안테나의 각각의 능동 커버리지 구역을 완전하게 포함하는 소위 주요 커버리지를 정의하고, 각각의 비-중앙 피드와 관련된 복사 패턴의 메인 로브는 주요 커버리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래핑하며, 및
- 빔-형성 수단은 선택된 진폭 및/또는 위상 원리를 피드 어레이의 포트들에게 적용하기 위한 것이어서, 어레이의 피드에 의해 송신된 빔의 조합은 안테나의 각각의 능동 커버리지 구역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이 안테나는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취해질 수 있는 다른 특징을 포함할 수 있고, 특히:
- 피드들은 반사판의 정면에서 반사판의 초점 평면 내부에, 또는 그 외부에 위치될 수도 있고,
- 피드들은 송신 및/또는 수신 모드 및 임의의 편광시에 동작하는 임의의 유형 (예를 들어, 원형 또는 직사각형의 뿔, 프린트된 엘리먼트 (또는, "패치"), 슬롯 또는 나선형) 의 복사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고,
- 반사판들 중 하나의 반사판의 표면은 3-차원적으로 형상화된 일반적으로 포물면 형상을 가지며;
- 반사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반사판은 어레이의 중앙 피드와 관련된 메인 로브의 위치를 수정하기 위한 포인팅 메커니즘 (pointing mechanism)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을 검토하여 명백해질 수 있으며,
-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반사판(들)을 구비한 어레이 안테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매우 개략적이고 기능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판(들)을 구비한 어레이 안테나에 의해 능동 커버리지 구역을 형성하는 원리를 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보완하기 위해서만 이용되지 않고, 그 정의에 기여하기 위해서도 이용될 수 있다.
먼저, 도 1 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사판(들) 을 구비한 어레이 안테나 (AR) 가 기술된다.
이하, 반사판(들)을 구비하는 어레이 안테나 (AR) 는 전자파 빔의 송신에만 전용되고, 단일의 반사판 (RC) 만을 포함하고, 그 어레이 (RS) 는 5 개의 피드 (SI) (i=1 내지 5) 만을 포함하고, 2 개의 능동 커버리지 구역 (ZC1 및 ZC2) 만을 제안하는 것으로 예시되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출원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사실상, 본 발명에 따른 반사판(들)을 구비한 어레이 안테나는 송신 또는 수신 모드에서, 또는 송신 및 수신 모드에서도 동작하 할 수 있으며, 및/또는 몇몇 반사판들을 포함할 수 있고, 및/또는 임의의 수의 피드들로 구성된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및/또는 2 개 초과의 능동 커버리지 구역을 제안할 수 있다. 이러한 안테나의 주요 목적은 보드 상의 텔레커뮤니케이션 위성에 탑재되기 위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AR) (반사판(들)을 구비하는 어레이 안테나) 는 선택된 방향으로 (신호를 포함하는) 전자파의 빔 (Fi) 을 송신하도록 배열되고 위치된 적어도 2 개의 피드 (Si) 로 이루어진 어레이 (RS) 를 포함한다. 어레이 (RS) 의 피드 (Si) 의 수 (N), 서로에 관련된 피드 (Si) 의 위치, 피드 (Si) 의 유형 및 피드 (Si) 의 각각의 배향은 안테나 (AR) 에 할당된 임무 (mission) 에 따라서 선택된다. 이후, 한정적이지 않은 예시에서, 피드 (Si) 의 수 (N) 는 5 (i=1 내지 5) 와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이 수 (N) 는 2 이상의 임의의 수일 수 있다.
이들 피드들 (Si) 중에서, 예를 들어, 하나의 피드는 어레이 (RS) 의 가운데에 대략 위치되기 때문에, 하나의 피드는 (여기서는, S1) 중앙으로 지칭된다.
어레이 (RS) 의 각각의 피드 (Si) 는 송신 및/또는 수신 모드 및 임의의 편광시에 동작할 수 있는 임의의 유형, 예를 들어, 원형 또는 직사각형 뿔, "패치" (프린트된 엘리먼트), "슬롯", 또는 나선형의 복사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AR) 는 각각의 피드 (Si) 로 하여금 선택된 구역 (Zi) 을 커버하도록 확산된 (빔 (Fi) 을 형성하고 메인 로브를 포함하는) 선택된 복사 패턴을 송신하도록 하기 위해, 진폭 및/또는 위상 원리를 적용하고 어레이 (RS) 의 N 개의 피드 (Si) 각각으로부터 신호를 적절하게 증폭하기 위한 빔-형성 모듈 (MFF) 을 포함한다. 진폭/위상 및 증폭 원리를 적용하기 위한 임의의 공지된 기술이 이를 달성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AR) 는 3-차원적으로 (3D) 형상화된 표면 (SU) 이 제공된 반사판 (RC) 을 포함한다. 표면 (SU) 상의 선택된 위치에 배치된 요철부 (hollows and bumps) 형상을 취하는 이 3D 형상은 각각의 피드 (Si) 에 의해 송신된 빔 (Fi) 을 반사하고 그 에너지를 확산시키도록 의도되어, 선택된 관련 구역 (Zi) 을 첫 번째로 커버하고, 두 번째로 중앙 피드 (S1) 와 관련된 복사 패턴의 메인 로브가 선택된 형상 및 치수의, 안테나 (AR) 의 각각의 능동 커버리지 구역 (ZCj) 을 완전하게 포함하는 소위 주요 커버리지 (CP) 를 정의하고, 세 번째로 각각의 비-중앙 피드 (Si) (i≠1) 와 관련된 복사 패턴의 메인 로브, 따라서 각각의 구역 (Zi) (i≠1) 은 인터섹션 구역 (ZICi) 에서 주요 커버리지 (CP) 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래핑한다.
여기서, 용어 "능동 커버리지 구역" 은 안테나 (AR) 에 의해 송신된 전자파가 적절한 수신기에 의해 수신가능할 필요가 있는 구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어레이 (RS) 의 중앙 피드 (S1) 로부터 복사 패턴의 메인 로브에 의해 정의된) 구역 (Z1) 은 소위 주요 커버리지 (CP) 를 정의한다. 그러므로, 이 주요 커버리지 (CP) 의 각각의 포인트는 적어도 하나의 인터섹션 구역 (ZICi) 내부에, 바람직하게는 몇몇 인터섹션 구역 (ZICi) 내부에 위치된다. 즉, 주요 커버리지 (CP) 의 각각의 포인트는 중앙 피드 (S1) 로부터의 빔 (F1) 의 메인 로브 및 어레이 (RS) 의 다른 피드 (Si) (i≠1) 와 관련된 빔 (Fi) (i≠1) 의 하나 이상의 메인 로브에 의해 커버된다.
주요 커버리지 (CP) 내의 안테나의 거동은 직접적인 복사선 어레이 (DRA; direct radiation array) 의 거동과 강한 유사성을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안테나 (AR) 의 능동 커버리지 구역 (ZCj) 은 빔-형성 모듈 (MFF) 에 의해 적용된 원리 및 증폭에 의해 정의될 수 있는 주요 커버리지 (CP) 내에 있다. 도 2 에 도시된 비-한정적인 예시에서, 안테나 (AR) 는 2 개의 능동 커버리지 구역 (ZC1 및 ZC2) (j=1 또는 2) 을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안테나 (AR) 는 2 개 초과의 능동 커버리지 구역 (ZCj), 또는 단지 하나의 능동 커버리지 구역을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빔 (Fi) 을 확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반사판 (RC) 의 형상은 임무에 따라 결정되고, 이는, 나중에 안테나 (AR) 의 다양한 능동 커버리지 구역 (ZCj) 을 포함해야만 하는 주요 커버리지 (CP) 의 포락면 (envelope) 을 정의할 것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적절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POS4 유형) 초기에 포물면 반사 표면에 적용되는 다항식 함수 (예를 들어, Spline 또는 Zernike 유형) 에 의해 3D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임무에 따라서, 피드 (Si) 는 반사판 (RC) 의 초점 평면 내부에, 또는 이 초점 평면 외부에 위치된다.
반사판 (RC) 은 어레이 (RS) 의 중앙 피드 (S1) 와 관련된 메인 로브의 위치를 수정하도록 의도된 포인팅 메커니즘 (미도시)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AR) 는:
- 예를 들어, 궤도의 위치에 따라서 구조 재설정이 가능한 위성의 경우에, 구조 재설정을 위한 강한 요구 조건을 가지는 단일-스폿 모드 커버리지, 및
- 예를 들어, 0.4°직경의 능동 커버리지 구역 (또는 스폿) 에 의한 CONUS 유형 샘플링의 경우에, 와이드 커버리지 멀티-스폿 임무에 대해 우호적으로 특히 적합하며,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피드 어레이의 배열은, 임의의 수의 임의의 형상 스폿 (또는 능동 커버리지 구역 (ZCj)) 이 정의될 수 있는 주요 커버리지 (CP) 를 정의하는 반사판의 표면의 3D 형상이기 때문에, 피드 어레이의 배열은 안테나의 커버리지로부터 맹렬하게 상관 이탈되어 있다. 이는, 어레이의 크기 및 피드의 수를 상당히 제한할 수 있게 하고, 그 결과, 포물면형 반사판을 통한 종래의 해결책과 비교하여 또는 DRA-유형의 해결책과 비교하여 제어장치의 중량 및 복잡도 면에서 특히 감소될 수 있게 한다.
또한, 피드가 더 이상 능동 커버리지 구역의 작은 부분을 생성하기 위해 결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포물면형 반사판을 통한 종래의 해결책에서와 같이, 피드 어레이를 통해서 자연적인 리던던시가 획득될 수 있어서, 부분적인 실패의 결과를 제한시킬 수 있다.
또한, 피드 어레이의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초점이탈 이상이 감소되고, 포물면형 반사판을 통한 종래의 해결책으로 획득되는 레벨과 비교하여 낮은 사이드 로브 레벨 (따라서, 더욱 양호한 C/I 비율) 이 자연적인 결과가 된다. 따라서, 반사판 시스템의 초점 거리와 메인 반사판의 직경 사이에서 낮은 비율을 이용하는 것이 (위성에서의 수행에 관련하여)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들 2 개 유형 안테나의 결함, 즉, 중량과 비용에 크게 기여하는 매우 많은 수의 제어장치, DRA 안테나의 경우에 있어서 어레이 로브와 관련된 효율성 손실, 실패할 경우 커버리지의 손실 및 FAFR 안테나의 경우에 계획된 커버리지에 따른 피드 어레이의 크기의 손실을 피하면서, DRA 안테나의 이점, 즉, 높은 구조 재설정성 및 자연적인 리던던시와, FAFR 안테나의 이점, 즉, 반사판의 형상화된 표면에 따라서 획득된 강한 방향성을 조합시킨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반사판(들)을 구비한 어레이 안테나의 실시형태에 한정하지 않으며, 이는, 단순히 예시이며, 이하의 청구범위의 테두리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구상할 수 있는 모든 변형물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의 송신에 전용되는 반사판(들)을 구비하는 예시적인 어레이 안테나를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사실상, 이는 수신 모드 또는 송신 및 수신 모드에서 동작하는 반사판(들)을 구비하는 어레이 안테나에 적용한다.

Claims (8)

  1. i) 소위 중앙 피드 (S1) 를 구비하고, 선택된 방향으로 전자파의 빔 (Fi) 을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배열되고 위치되는 적어도 2 개의 피드들 (Si) 의 어레이 (RS),
    ii) 각각의 피드 (Si) 로 하여금 선택된 구역 (Zi) 을 커버하도록 의도된, 빔 (Fi) 을 형성하고 메인 로브를 포함하는, 선택된 복사 패턴을 송신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피드들 (Si) 의 포트들에 적용된 진폭/위상 원리에 의해 상기 피드들 (Si) 각각의 진폭 및 위상을 제어하고 적절한 증폭 레벨을 제공하도록 배열된 빔-형성 수단 (MFF), 및
    iii) 상기 피드 (Si) 에 의해 전달된 빔 (Fi) 을 반사하는 특정 용도의 표면 (SU) 이 제공되고 및/또는 상기 피드 (Si) 에 대해 의도된 적어도 하나의 반사판 (RC) 을 포함하는, 반사판(들)을 구비하는 어레이 안테나 (AR) 로서,
    - 상기 표면 (SU) 은 3-차원적으로 형상화되고, 각각의 피드 (Si) 에 의해 전달된 빔 (Fi) 을 반사하고 빔의 에너지를 확산시키도록 상기 표면 (SU) 상의 선택된 위치에 배치된 요철부 (hollows and bumps) 형태를 취하여, 상기 선택된 관련 구역 (Zi) 을 커버하고,
    상기 중앙 피드 (S1) 와 관련된 상기 복사 패턴의 메인 로브는 선택된 형태 및 치수의, 상기 안테나 (AR) 의 각각의 능동 커버리지 구역 (ZCj) 을 완전하게 포함하는 소위 주요 커버리지 (CP) 를 정의하고,
    각각의 비-중앙 피드와 관련된 상기 복사 패턴의 메인 로브는 상기 주요 커버리지 (CP) 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래핑하고,
    - 상기 빔-형성 수단은 선택된 진폭 및/또는 위상 원리를 피드들 (Si) 의 어레이의 상기 포트들에 적용하도록 배열되어, 상기 피드들 (Si) 에 의해 전달된 상기 빔 (Fi) 의 조합은 각각의 상기 능동 커버리지 구역 (ZCj) 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판(들)을 구비하는 어레이 안테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커버리지 (CP) 는 적어도 하나의 능동 커버리지 구역 (ZCj) 을 완전히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판(들) 을 구비하는 어레이 안테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커버리지 (CP) 는 적어도 2 개의 능동 커버리지 구역 (ZCj) 을 완전히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판(들)을 구비하는 어레이 안테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들 (Si) 은 상기 반사판들 (RC) 중 하나의 반사판의 초점 평면 내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판(들)을 구비하는 어레이 안테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들 (Si) 은 상기 반사판들 (RC) 중 하나의 반사판의 초점 평면 외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판(들)을 구비하는 어레이 안테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 (RC) 의 상기 표면 (SU) 은 3-차원적으로 형상화된 일반적인 포물면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판(들)을 구비하는 어레이 안테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반사판은 상기 어레이 (RS) 의 상기 중앙 피드 (S1) 와 관련된 상기 메인 로브의 위치를 수정하도록 배열된 포인팅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판(들)을 구비하는 어레이 안테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들 (Si)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원형 또는 직사각형 뿔, 프린트된 엘리먼트, 슬롯, 또는 나선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복사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판(들)을 구비하는 어레이 안테나.
KR1020087003531A 2005-07-13 2006-07-11 궤도의 구조 재설정이 가능한 순응성 반사판(들)을구비하는 네트워크 안테나 Ceased KR200800321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552175A FR2888674B1 (fr) 2005-07-13 2005-07-13 Antenne reseau a reflecteur(s) conforme(s), a forte reconfigurabilite en orbite
FR0552175 2005-07-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2182A true KR20080032182A (ko) 2008-04-14

Family

ID=36097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3531A Ceased KR20080032182A (ko) 2005-07-13 2006-07-11 궤도의 구조 재설정이 가능한 순응성 반사판(들)을구비하는 네트워크 안테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7714792B2 (ko)
EP (1) EP1902492B1 (ko)
JP (1) JP2009501469A (ko)
KR (1) KR20080032182A (ko)
CN (1) CN101288204B (ko)
BR (1) BRPI0613013A2 (ko)
CA (1) CA2619403C (ko)
ES (1) ES2533262T3 (ko)
FR (1) FR2888674B1 (ko)
PT (1) PT1902492E (ko)
RU (1) RU2406192C2 (ko)
WO (1) WO200700701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35839B2 (en) * 2009-09-03 2015-05-19 Troll Systems Corporation Multi-feed diversity receive system and method
FR2952758B1 (fr) * 2009-11-16 2012-02-24 Centre Nat Detudes Spatiales Cnes Antenne a reflecteur(s) et reseau d'alimentation
RU2533058C2 (ru) * 2012-05-15 2014-11-20 Евгений Вячеславович Комраков Универс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дачи излучения от источника объекту
FR3026896B1 (fr) * 2014-10-03 2018-07-06 Thales Antenne a reflecteur(s) conforme(s) reconfigurable en orbite
EP3182619B1 (en) * 2015-12-16 2020-12-23 RanLOS AB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wireless communication to vehicles
US10516216B2 (en) 2018-01-12 2019-12-24 Eagle Technology, Llc Deployable reflector antenna system
GB201811459D0 (en) 2018-07-12 2018-08-29 Airbus Defence & Space Ltd Reconfigurable active array-fed reflector antenna
US10707552B2 (en) 2018-08-21 2020-07-07 Eagle Technology, Llc Folded rib truss structure for reflector antenna with zero over stretch
CN110233359B (zh) * 2019-06-21 2020-05-05 四川大学 一种基于3d打印技术的反射面天线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6161A (en) * 1978-09-18 1980-11-25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Array feed for offset satellite antenna
US4338608A (en) * 1980-09-30 1982-07-0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Commerce Triple-beam offset paraboloidal antenna
JPS603211A (ja) * 1983-06-20 1985-01-09 Nec Corp 多周波数帯域共用アンテナ
US4792813A (en) * 1986-08-14 1988-12-20 Hughes Aircraft Company Antenna system for hybrid communications satellite
FR2628896B1 (fr) * 1988-03-18 1990-11-16 Alcatel Espace Antenne a reconfiguration electronique en emission
IT1284301B1 (it) * 1996-03-13 1998-05-18 Space Engineering Spa Antenna a singolo o a doppio riflettore, a fasci sagomati, a polarizzazione lineare.
US5945960A (en) * 1996-12-02 1999-08-31 Space Systems/Lor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nfiguring antenna radiation patterns
US5949370A (en) * 1997-11-07 1999-09-07 Space Systems/Loral, Inc. Positionable satellite antenna with reconfigurable beam
US6219003B1 (en) * 1999-07-01 2001-04-17 Trw Inc. Resistive taper for dense packed feeds for cellular spot beam satellite coverage
DE19945062A1 (de) * 1999-09-20 2001-04-12 Daimler Chrysler Ag Reflektor mit geformter Oberfläche und räumlich getrennten Foki zur Ausleuchtung identischer Gebiete, Antennensystem und Verfahren zur Oberflächenermittlung
JP2001244867A (ja) * 2000-02-25 2001-09-07 Nippon Hoso Kyokai <Nhk> 可変ビームパターン放送衛星
US6882323B2 (en) 2003-05-09 2005-04-19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Multi-beam antenna system with shaped reflector for generating flat beams
US7161549B1 (en) * 2003-09-30 2007-01-09 Lockheed Martin Corporation Single-aperture antenna system for producing multiple beams
KR100561630B1 (ko) * 2003-12-27 2006-03-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성형 반사판을 이용한 삼중 대역 하이브리드 안테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19403A1 (en) 2007-01-18
JP2009501469A (ja) 2009-01-15
WO2007007011A3 (fr) 2007-07-19
RU2008105418A (ru) 2009-08-20
WO2007007011A2 (fr) 2007-01-18
PT1902492E (pt) 2015-04-07
RU2406192C2 (ru) 2010-12-10
CN101288204A (zh) 2008-10-15
ES2533262T3 (es) 2015-04-08
CA2619403C (en) 2014-11-18
CN101288204B (zh) 2012-05-23
EP1902492A2 (fr) 2008-03-26
US7714792B2 (en) 2010-05-11
FR2888674A1 (fr) 2007-01-19
US20080303736A1 (en) 2008-12-11
BRPI0613013A2 (pt) 2010-12-14
EP1902492B1 (fr) 2014-12-31
FR2888674B1 (fr) 2009-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32182A (ko) 궤도의 구조 재설정이 가능한 순응성 반사판(들)을구비하는 네트워크 안테나
US6456251B1 (en) Reconfigurable antenna system
EP2724418B1 (en) Beam shaping of rf feed energy for reflector-based antennas
US6236375B1 (en) Compact offset gregorian antenna system for providing adjacent, high gain, antenna beams
US6366256B1 (en) Multi-beam reflector antenna system with a simple beamforming network
US5872547A (en) Conical omni-directional coverage multibeam antenna with parasitic elements
US20120242539A1 (en) Antenna system for low-earth-orbit satellites
US6215452B1 (en) Compact front-fed dual reflector antenna system for providing adjacent, high gain antenna beams
EP1119072B1 (en) Antenna cluster configuration for wide-angle coverage
US6211835B1 (en) Compact side-fed dual reflector antenna system for providing adjacent, high gain antenna beams
US3276022A (en) Dual frequency gregorian-newtonian antenna system with newtonian feed located at common focus of parabolic main dish and ellipsoidal sub-dish
US20070268192A1 (en) Reflector Array Antenna with Reconfigurable Shape Coverage with or Without Loader
US7705796B2 (en) Dual offset reflector system utilizing at least one gimbal mechanism
US6424310B1 (en) Compact folded optics antenna system for providing adjacent, high gain antenna beams
US20040222932A1 (en) Multi-beam antenna system with shaped reflector for generating flat beams
Vilenko et al. Millimeter wave reflector antenna with wide angle mechanical beam scanning
US4471359A (en) Dual band, low sidelobe, high efficiency mirror antenna
Ruggerini et al. An active discrete lens antenna for Ka-band multibeam applications
JP2994419B2 (ja) 可変指向性アンテナ
JP3043768B2 (ja) 鏡面修整アンテナ
Rao et al. Common aperture satellite antenna system for multiple contoured beams and multiple spot beams
JP2007329717A (ja) アレー給電反射鏡アンテナ
JPH04250705A (ja) マルチビームアンテナ
Cappellin et al. Reconfigurable dual reflector for a realistic mission scenario in Ku b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1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804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7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02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10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