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29988A - 병뚜껑 끼움부가 형성된 용기 - Google Patents

병뚜껑 끼움부가 형성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9988A
KR20080029988A KR1020080016190A KR20080016190A KR20080029988A KR 20080029988 A KR20080029988 A KR 20080029988A KR 1020080016190 A KR1020080016190 A KR 1020080016190A KR 20080016190 A KR20080016190 A KR 20080016190A KR 20080029988 A KR20080029988 A KR 20080029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cap
container
bottle
fitting portion
cap fit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6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준
Original Assignee
이승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준 filed Critical 이승준
Priority to KR1020080016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29988A/ko
Publication of KR20080029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9988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16Devices preventing loss of removable closur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인 병뚜껑 끼움부가 형성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용기의 표면에 병뚜껑을 끼워 보관할 수 있는 병뚜껑 끼움부가 더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용기의 상부로부터 분리되는 병뚜껑의 하부를 누른 상태에서 병뚜껑 끼움부의 인입부측으로 병뚜껑의 하부를 끼운 후, 병뚜껑 하부를 가압하는 힘을 해제하면 병뚜껑이 자연스럽게 병뚜껑 끼움부에 끼워지기 때문에, 병뚜껑의 분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병뚜껑을 분실함으로써 야기되는 문제점이 간단하게 해결될 수 있는 병뚜껑 끼움부가 형성된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부에 병뚜껑(10)이 구비되고 음용수나 기름과 같은 액상물을 담는 용기(20)에 있어서, 상기 용기(20)의 표면에는 용기(20)의 상부로부터 분리되는 병뚜껑(10)을 끼워 보관하도록 상기 병뚜껑(10)의 외경에 비례하여 적은 내경으로 형성되고 둘레부에 서로 대응되는 인입부(31)가 형성된 병뚜껑 끼움부(30)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병뚜껑 끼움부(30)의 둘레부에 형성된 인입부(31)는,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2개 이상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병뚜껑 끼움부(30)의 둘레부에 형성된 인입부(31)는, 호형상으로 형성된다.
용기, 병뚜껑, 병뚜껑 분실

Description

병뚜껑 끼움부가 형성된 용기{omitted}
본 발명은 음용수와 같은 액상물을 담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의 표면에 요입된 병뚜껑 끼움부를 더 형성하여 용기의 상부측으로부터 분리된 뚜껑을 임시보관하여 두도록 함으로써 병뚜껑의 분실을 방지하도록 한 병뚜껑 끼움부가 형성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유나 음료수, 맥주, 막걸리 등과 같이 액상의 음용수가 내부에 담겨진 병이나 팩의 상부에는 상기 병 또는 팩의 내부에 들어있는 음용수를 밖으로 배출하거나 또는 음용수가 임의적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 또는 팩으로 구성되고 상단부에 나사체결돌기(1)가 입설된 수용체(2)와 상기 수용체(2)의 나사체결돌기(1)에 나사체결되는 병뚜껑(3)으로 구성되어 있는 바, 대개의 뚜껑이 병이나 팩으로 구성되는 수용체(2)의 상단부로부터 완전하게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병 또는 팩으로 구성되는 수용체의 상단으로부터 완전하게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뚜껑은, 사용자가 수용체 내부의 음용수를 컵에 따르거나 할 경우, 상기 뚜껑을 수용체의 상단으로부터 분리하여 개방된 수용체 상단을 통해 내부의 음용수를 컵에 따라 음용하고 있는 바, 이 때, 수용체의 상단으로부터 분리된 뚜껑 을 놓는 장소가 일정하지 않음에 따라, 뚜껑의 분실이 발생되거나 또는 뚜껑의 둘레에 이물질이 묻게 되는 비위생적인 문제가 발생된다.
특히, 야외일 경우에는, 뚜껑을 대개 바닥에 놓게 되기 때문에 야외의 먼지나 흙과 같은 이물질이 상기 뚜껑에 묻게 되어 뚜껑이 오염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고, 오염된 뚜껑을 깨끗한 물로 세척하거나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음료수나 맥주, 막걸리 이외에 가정에서 사용하는 식용유병에 장착된 뚜껑 역시 식용유병과 완전하게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바쁜 가사일을 하는 주부들이 병으로부터 분리된 뚜껑을 종종 분실하게 되어 낭패를 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병뚜껑이 병의 상단으로부터 완전하게 분리되어 이탈됨으로써 전술한 문제점인 뚜껑의 분실이나 뚜껑의 오염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실용신안출원 제1998-26291호인 병뚜껑 이탈방지구조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병주둥이에 지지환테를 결합하고 지지환테의 일단에는 수직연결간을 일체로 형성하는 한편, 수직연결간의 말단은 곡설하여 병뚜껑의 상면 중앙에 연결하여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병뚜껑이 병의 주둥이로부터 완전하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병주둥이와 병뚜껑을 연결하는 수직연결간이 상기 병뚜껑의 상면 중앙에 고정되어 있음에 따라, 크라운 병뚜껑 즉, 병따개를 이용하여 병뚜껑을 따도록 구성되는 병뚜껑에만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근자들어서 주로 사용되는 패트(pet)병 즉, 병뚜껑을 회전시켜 개폐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병뚜껑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패트병의 상부를 개폐하는 병뚜껑은 일측방향으로 회전시켜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병주둥이와 병뚜껑을 연결하는 수직연결간이 고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수직연결간에 의해 병뚜껑의 회전이 간섭됨으로써, 패트병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예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24211호인, 병뚜껑의 고정설치구조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그 등록공고된 공보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음료병의 병구외주에 나사결합되는 뚜껑에 있어서, 뚜껑 하단 일측부에 연결편을 형성하여 음료병의 병목에 형성된 단턱에 의해 고정되어 회전가능케 끼워진 패킹과 상호연결하여 절첩부를 구성하되, 상기 연결편은 그 중앙부양측을 일정길이 절개시켜 중앙에 탄력편을 절첩구성하고 탄력편의 일측면으로는 걸림돌기를 돌출구성하며 상기 병목에 결합된 패킹 하측에 외주로 다수개의 돌조가 형성된 걸고리를 형성하여 뚜껑의 개폐시 탄력편의 걸림돌기가 끼워져 고정될수 있게 하고 있는 것으로, 병뚜껑이 음료병의 병목으로부터 완전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병뚜껑의 고정설치구조는, 그 구성요소가 복잡하여 병뚜껑의 생산단가를 증대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병뚜껑과 병목을 연결하는 절첩부의 탄력편이 쉽게 부러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예를 들어, 병뚜껑을 개방하여 바 로 먹는 맥주나 막걸리와 같은 병에는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하더라도, 장기간 보관하여 사용하는 식용유나 또는 콜라나 사이다와 같은 음료수가 들어있는 패트병에는 사용성이 적합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용기의 상부로부터 분리되는 병뚜껑을 분실함에 따라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 용기의 표면에 요입된 병뚜껑 끼움부를 더 형성하여 용기로부터 병뚜껑을 보관하도록 하여 병뚜껑의 분실을 방지하도록 한 병뚜껑 끼움부가 형성된 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병뚜껑 끼움부가 형성된 용기는, 상부에 병뚜껑이 구비되고 음용수나 기름과 같은 액상물을 담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표면에는 용기의 상부로부터 분리되는 병뚜껑을 끼워 보관하도록 상기 병뚜껑의 외경에 비례하여 적은 내경으로 형성되고 둘레부에 서로 대응되는 인입부가 형성된 병뚜껑 끼움부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병뚜껑 끼움부의 둘레부에 형성된 인입부는,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병뚜껑 끼움부의 둘레부에 형성된 인입부는, 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인 병뚜껑 끼움부가 형성된 용기는, 용기의 표면에 병뚜껑을 끼워 보 관할 수 있는 병뚜껑 끼움부가 더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용기의 상부로부터 분리되는 병뚜껑의 하부를 누른 상태에서 병뚜껑 끼움부의 인입부측으로 병뚜껑의 하부를 끼운 후, 병뚜껑 하부를 가압하는 힘을 해제하면 병뚜껑이 자연스럽게 병뚜껑 끼움부에 끼워지기 때문에, 병뚜껑의 분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병뚜껑을 분실함으로써 야기되는 문제점이 간단하게 해결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인 병뚜껑 끼움부가 형성된 용기의 일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병뚜껑 끼움부가 형성된 용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병뚜껑 끼움부가 형성된 용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인 병뚜껑 끼움부가 형성된 용기의 끼움부에 병뚜껑이 끼워지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병뚜껑 끼움부가 형성된 용기는, 상부에 병뚜껑(10)이 구비되고 음용수나 기름과 같은 액상물을 담는 용기(20)로서, 상기 용기(20)의 표면에 용기(20)의 상부로부터 분리되는 병뚜껑(10)을 끼워 보관하도록 상기 병뚜껑(10)의 외경에 비례하여 적은 내경으로 형성되고 둘레부에 서로 대응되는 인입부(31)가 형성된 병뚜껑 끼움부(30)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병뚜껑 끼움부(30)의 둘레부에 형성된 인입부(31)는, 병뚜껑(10)의 하부를 사용자가 양측에서 눌렀을 때 인입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병뚜껑 끼움부(30)의 둘레부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병뚜껑(10)의 하부를 양측에서 눌렀을 때, 눌러진 병뚜껑(10)의 하부측에 인입될 수 있으면, 상기 인입부(31)의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병뚜껑 끼움부(30)의 둘레부에 형성된 인입부(31)는,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호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사각, 호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병뚜껑 끼움부가 형성된 용기는, 용기(20)의 상부에 구비되는 병뚜껑(10)을 용기(20)의 상부측으로부터 분리한 후, 잠시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병뚜껑(10)의 분실을 방지하도록 한 것으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20)의 상부측으로부터 분리된 병뚜껑(10)의 하부를 사용자가 약간의 힘을 가한 상태에서 병뚜껑(10)의 내측으로 눌러 병뚜껑(10)의 찌그러진 타원형으로 형성되도록 한 다음, 병뚜껑(10)의 가압되지 않는 양측 다시 말해, 타원형으로 찌그러진 병뚜껑(10)의 눌러지지 않는 양측부를 상기 병뚜껑 끼움부(30)의 둘레부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 인입부(31)에 인입시킨 후, 병뚜껑(10)의 하부를 누르고 있는 힘을 해제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뚜껑(10)이 원래의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상기 병뚜껑 끼움부(30)의 내측에 병뚜껑(10)의 외부가 밀착되면서 병뚜껑(10)이 병뚜껑 끼움부(30)에 견고하게 끼워진다.
이와 같이 간단한 구조에 의해 용기(20)의 상부측으로부터 분리되는 병뚜껑(10)을 병뚜껑 끼움부(30)에 끼워 잠시 보관할 수 있음으로써, 병뚜껑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고, 병뚜껑이 용기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어 야기되는 문제점이 해결된다.
본 발명인 병뚜껑 끼움부가 형성된 용기는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병뚜껑이 구비된 용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병뚜껑 끼움부가 형성된 용기의 일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병뚜껑 끼움부가 형성된 용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병뚜껑 끼움부가 형성된 용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인 병뚜껑 끼움부가 형성된 용기의 끼움부에 병뚜껑이 끼워지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병뚜껑 20 : 용기
30 : 병뚜껑 끼움부 31 : 인입부

Claims (3)

  1. 상부에 병뚜껑(10)이 구비되고 음용수나 기름과 같은 액상물을 담는 용기(20)에 있어서,
    상기 용기(20)의 표면에는 용기(20)의 상부로부터 분리되는 병뚜껑(10)을 끼워 보관하도록 상기 병뚜껑(10)의 외경에 비례하여 적은 내경으로 형성되고 둘레부에 서로 대응되는 인입부(31)가 형성된 병뚜껑 끼움부(30)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뚜껑 끼움부가 형성된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병뚜껑 끼움부(30)의 둘레부에 형성된 인입부(31)는,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뚜껑 끼움부가 형성된 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병뚜껑 끼움부(30)의 둘레부에 형성된 인입부(31)는,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호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뚜껑 끼움부가 형성된 용기.
KR1020080016190A 2008-02-22 2008-02-22 병뚜껑 끼움부가 형성된 용기 Ceased KR200800299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190A KR20080029988A (ko) 2008-02-22 2008-02-22 병뚜껑 끼움부가 형성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190A KR20080029988A (ko) 2008-02-22 2008-02-22 병뚜껑 끼움부가 형성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9988A true KR20080029988A (ko) 2008-04-03

Family

ID=39532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6190A Ceased KR20080029988A (ko) 2008-02-22 2008-02-22 병뚜껑 끼움부가 형성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2998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409B1 (ko) * 2012-12-26 2015-01-21 오지윤 수납함을 갖는 의약품통
KR101504758B1 (ko) * 2012-12-26 2015-03-26 오지윤 약품병캡거취홈을 갖는 약품통
WO2019207119A3 (en) * 2018-04-26 2020-02-13 Obrist Closures Switzerland Gmbh Closur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409B1 (ko) * 2012-12-26 2015-01-21 오지윤 수납함을 갖는 의약품통
KR101504758B1 (ko) * 2012-12-26 2015-03-26 오지윤 약품병캡거취홈을 갖는 약품통
WO2019207119A3 (en) * 2018-04-26 2020-02-13 Obrist Closures Switzerland Gmbh Closure
US12077345B2 (en) 2018-04-26 2024-09-03 Obrist Closures Switzerland Gmbh Clos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54929B2 (en) Reusable food container with re-sealable cap
JP5356216B2 (ja) 貯蔵及び飲用の容器
WO2006083606A2 (en) Easy open container closure
KR20080029988A (ko) 병뚜껑 끼움부가 형성된 용기
KR20060090211A (ko) 병뚜껑의 이탈방지구조
KR20080009250A (ko) 병뚜껑 분실방지구조가 구비된 용기
KR200435196Y1 (ko) 병뚜껑 분실방지구조가 구비된 용기
KR200435197Y1 (ko) 병뚜껑 분실방지구조가 구비된 용기
WO2018033702A1 (en) Collar and cap
US20110042342A1 (en) Reusable container closure
KR101229152B1 (ko) 밀폐수단을 구비한 음료용기 뚜껑
KR200430763Y1 (ko)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병뚜껑
JP4367751B2 (ja) ボトル容器用オーバーキャップ
JP6146972B2 (ja) 飲料容器の飲みかけキャップ
RU32755U1 (ru) Банка для напитков
CN202897118U (zh) 一种茶包瓶盖
JP7060346B2 (ja) 複合キャップ
JP7190302B2 (ja) 容器用栓体
CN210654409U (zh) 一种酒具瓶口
KR20120001097U (ko) 병뚜껑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음용수 병
JP4318172B2 (ja) 移行中栓付きキャップ
KR20100137828A (ko) 빨대 고정용 하우징
KR200298010Y1 (ko) 1회용 병따개
KR200236489Y1 (ko) 플라스틱병용 고리손잡이
WO2022084704A1 (en) Removable lid to close the opening of a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04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1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