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29055A - 피부에 도포되어 향균 작용 및 5 알파 - 리덕테이즈의활성억제 작용에 의해 여드름성 피부 개선에 도움을 주는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에 도포되어 향균 작용 및 5 알파 - 리덕테이즈의활성억제 작용에 의해 여드름성 피부 개선에 도움을 주는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9055A
KR20080029055A KR1020060094544A KR20060094544A KR20080029055A KR 20080029055 A KR20080029055 A KR 20080029055A KR 1020060094544 A KR1020060094544 A KR 1020060094544A KR 20060094544 A KR20060094544 A KR 20060094544A KR 20080029055 A KR20080029055 A KR 20080029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acne
reductase
alpha
extra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4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미영
한철희
배근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리스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리스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리스떼
Priority to KR1020060094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29055A/ko
Publication of KR20080029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9055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2Anacardiaceae (Sumac family), e.g. smoketree, sumac or poison oa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rd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Zo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표면에 도포 됨으로써 피부 병변 중의 미생물에 의한 세균 성장 억제 및 항균 작용 및 5 알파 - 리덕테이즈 (5α- Reductase)의 활성 억제 작용에 의해 과잉 피지 분비를 억제해 주어 여드름성 피부, 지루성 피부 등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엔 아세틸 파이토스핑고신 (N-Acetyl Phydosphingosine) , 대두 추출물, 목단피 추출물, 오배자 추출물이 5 알파 - 리덕테이즈 (5α- Reductase) 활성 저해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여드름 원인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Propionibacterium acnes)균에 대해 우수한 항균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로써 인체에 매우 안전한 조성물로 제품의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농도에서 피부에 도포 되어 항균작용 및 5 알파 - 리덕테이즈 (5α- Reductase)활성 억제 작용에 의해 여드름성 피부 개선에 도움을 주는 화장료 조성물이다.
엔 아세틸 파이토스핑고신 (N-Acetyl Phydosphingosine) , 대두 추출물, 목단피 추출물, 오배자 추출물, 5 알파 - 리덕테이즈 (5α- Reductase), 여드름성 피부,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Propionibacterium acnes)

Description

피부에 도포되어 향균 작용 및 5 알파 - 리덕테이즈의 활성억제 작용에 의해 여드름성 피부 개선에 도움을 주는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Products improve acnegenic skin through anti-microbial action and inhibiting the activity of 5 α-reductase }
본 발명은 피부 표면에 도포 됨으로써 피부 병변 중의 미생물에 의한 세균 성장 억제 및 항균 작용 및 5 알파 - 리덕테이즈(5α- Reductase)의 활성억제 작용에 의해 과잉 피지 분비를 억제해 주어 여드름성 피부, 지루성 피부 등의 개선에 도움을 주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입니다.
본 발명을 통해 피부 여드름 원인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Propionibacterium acnes)의 생장을 억제함은 물론이며 각종 피부 병면 중의 미생물에 대한 항균 작용을 가지며, 5 알파- 리덕테이즈(5α- Reductase)의 활성으로 인한 과잉 피지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여드름성 피부, 지루성 피부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여드름은 사람의 얼굴, 특히 볼과 이마에 많이 발생하는 모 피지선의 염증성 질환으로 주로 사춘기에 발생하여 20대 중반에 쇠퇴하며 남자에게서 심한 형태로 나타난다. 여드름은 다양한 인자가 관여하며 여러 인자의 상호 작용에 의해 증상이 나타난다. 여드름 발생에 관여하는 인자로는 피지 분비의 증가,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모낭 입구의 과각화와 모공 폐쇄, 여드름 균의 증식, 염증 반응 등이 여러가지 메카니즘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등 중요한 역활을 한다.
사춘기 시기에는 혈액중에 많은 양의 남성 호르몬이 존재하며,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은 5알파- 리덕테이즈(5α- Reductase)에 의해 다이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Dihydrotestosterone) 으로 전환되며 다이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Dihydrotestosterone)에 의해 피지선의 세포내에서 피지를 생성하는 주 원인 물질로 작용하여 피지 생성을 촉진하게 된다.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의 과다한 생성과 5 알파 - 리덕테이즈(5α- Reductase)의 이상 작용으로 인한 피지의 과잉 분비, 각질의 과각질화에 의한 모공의 막힘으로 인한 미생물의 번식으로 인하여 여드름이 발생이 된다. ( 참조: Cations inhibit specifically type 1 5α- Reductase Found in Human Skin, J.invest.Dermatol, 104,775-778, 1995)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을 활성형 남성 호르몬인 다이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Dihydrotestosterone)으로 전환시켜 주는 인체의 효소인 5 알파 - 리덕테이즈(5α- Reductase)를 억제시켜 주면 모낭세포의 피지 생성 및 각질 세포의 과각질화 등을 근본적으로 억제해주어 여드름성 피부, 지루성 피부 등을 개선 시켜 주는 효과를 나타낸다.
현재 여러가지 요인들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발생하는 여드름에 대하여 다양 한 치료법이 있는데 대표적으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 (Propionibacterium acnes) 미생물이 지방산을 분해하여 형성되는 불포화지방산이 굳어져 일어나는 염증 반응으로 이 여드름을 치료를 위해서 항남성 호르몬제를 사용한 피지 생성의 억제, 강산성을 띠는 물질을 이용하여 각질을 녹이는 방식의 각질 제거제에 의한 방법, 여드름이 난 부위에 직접 발라 지방 유리산을 제거해 주는 방법, 항생물질 (Erythromycin, Clindamycin)의 도포에 의한 방법, 여드름균에 항균작용을 가지는 Benzoyl peroxide, 면포 형성을 억제하여 이미 나와있는 면포 수를 줄여주는 비타민A 레티놀 유도체 등을 피부에 도포하거나 경구용 항생제를 복용, 스테로이드계 약물을 복용, 레이져를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여드름을 치료하는 등의 방법이 있다.
위의 방법들은 여드름 치료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으나 장시간 사용시 여러가지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 소지가 있다. 항 남성호르몬제의 사용은 여드름 발생에 영향을 주는 남성 호르몬인 안드로겐의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으나 항 남성 호르몬 사용은 여성에만 국한이 되며, 스테로이드 제제인 코르티코스테로이드는 피부에 상재하는 유용한 미생물도 동시에 제거하며, 체내에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갖게하여 원인균 퇴치를 더욱 어렵게 한다. 약물에 의한 각질 제거나 레이져에 의한 물리적 각질 제거의 경우 자주 시술하거나 오랜 시간 사용시 실핏줄이 터지거나 표피층이 약해지는 등의 여러 가지 부작용이 있다. 한 번의 시술이 아니라 여러 번 반복적으로 시술을 받아야함으로 심리적, 경제적인 측면에서 소비자나 환자에게 부담이 가중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인체에 보다 안전하며 효과적으로 여드름, 지루성 피부에 개선에 도움을 주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여드름 치료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남성호르몬 관련 질환의 근본적인 원인인 활성 남성호르몬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그 생성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효소인 5알파- 리덕테이즈(5α- Reductase)의 활성을 강력하게 억제해 주어 과잉 피지 분비를 막아주며 여드름 악화의 원인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균 (Propionibacterium acnes)등 피부 유해 미생물의 작용을 억제하는 등 우수한 항균 효과가 가지는 것으로 보고된 성분들과 여드름에 의한 피부 염증을 억제해 주어 여드름으로 발생된 피부 상처를 빠르게 회복시켜 피부 상처가 남지 않고 깨끗한 피부로 가꾸어 주는 우수한 성분을 조합한 결과 이미 알려진 다른 치료법에 비해 탁월한 효과가 있다는 결과를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일반 화장료 조성물로 여드름 및 지루성 피부에 효과적인 성분들의 시너지 효과에 의해 피부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연령대에 제한이 없이 범용으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며 여드름 및 지루성 피부로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여드름성 및 지루성 피부에 효과적인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 성물에 있어서 여드름 원인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 (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해 특이적인 항체와 피부 보호막의 주요 성분으로 피부 염증의 억제 및 손상된 피부막의 재생에 효과적인 스핑고리피드인 엔 아세틸 파이토스핑고신 (N-Acetyl Phydosphingosine)과 대두 추출물 , 피지 분비, 여드름 생성을 유발한다고 알려진 다이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을 촉매하는 효소인 5알파- 리덕테이즈(5α- Reductase)의 활성을 억제해주는 목단피 추출물과 오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엔 아세틸 파이토스핑고신 (N-Acetyl Phydosphingosine) 각질층 지질의 대부분으로 피부보호막을 이루는 세라마이드성분의 중간체중 하나로 보습 항균효과가 우수하며 피부면역성 향상에 도움을 준다.
피부장벽인 각질층은 인체의 여러조직 가운데에서 sphingolipid가 가장 많이 존재하는 조직이다. ceramide는 피부각질층 지질성분의 최대 50%까지 차지하고 있는다. Elias그룹은 ceramide 2와 5의 경우 sphingomyelin으로부터 유래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Epidermal sphingomyelins are precursors for selected stratum corneum ceramides . J Lipid Res 2000;41:2071-82, Uchida Y, Hara M, Nishio H et al.) 베타-glucocerebrosidase가 결핍되어 생기는 고셔병의 피부각질층에서도 여전히 ceramide 2와5가 발견되고 있는 것이 위의 결과를 뒷받침하고 있다.
ceramide 1,2,4그리고 5는 sphingosine을 골격으로 하고 ceramide 3과6은 Phytospingosine을 포함하고 있다.
피부장벽의 주 구성성분은 중성의 ceramide 나 스핑고신등 스핑고이드 베이스도 상당량이 존재한다. 엔 아세틸 스핑고신은 강력한 PKC저해능이 있으며 세포의 성장과 분화를 조절하고 apoptosis를 유발하는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고 있다.
대두 추출물 즉 레시틴은 학술용어로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 PC)라고 하며 가장 대표적인 글리세롤 지방산으로 글리세린에 지방산과 인산, 콜린이 결합한 구조를 가지며 뇌와 신경조직의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레시틴(일명 인지질)은 생체막의 주요 구성성분으로서 최근에는 생체기능을 발휘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는데, 레시틴은 음식물에서 발견되는 가장 흔한 인지질로서 계란, 대두 등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인지질은 세포구성성분으로서 세포막을 구성하고 있는 주성분이며, 각종 효소들의 작용환경을 제공해 줌으로써 효소반응의 조절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각종 자극에 의한 세포 내 2차 전달물질로서도 작용하는 등 생체 항상성 유지에 매우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있다.
세포는 재생되는 것이든 되지 않는 것이든 어느 것이나 세포막이 있고, 이 세포막을 거쳐 영양분을 흡수하거나 노폐물을 배설시키고 있다. 이러한 세포대사는 생명의 기초가 되는 것으로서 세포막의 역할 없이는 이루어질 수 없는데, 소위 신체 내 필터가 되는 세포막은 레시틴이 중심이 되어 구성되고 있다. 레시틴이 이중 이 되어 만들어져 있고 그 사이사이에 단백질이나 당지질, 콜레스테롤, 비타민E등이 끼어있는 구조를 하고 있는 것이다.
레시틴의 PC는 리소좀막의 기능을 항진시켜 막에 부착된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가수분해효소를 활성화시켜 콜레스테롤 에스테르의 가수분해를 촉진시킨다.
목단피 추출물은 모란 ( 학명: Paeonia Suffruticosa Andrews/ INCI Name:Paeonia Suffruticosa Root Extract )의 뿌리 껍질로 한의학에서 약제로 사용되고 있는 인체에 무해한 식물 추출물이다. 중국 서 북부가 원산지로 국내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약용 및 관상용으로 재배를 하였다. 모란의 뿌리 껍질을 목단피라 하여 약용으로 쓰며 목단피에는 패오놀 (Paeonol), 패오노사이드(Paeonoside), 패오노라이드(Paeonolide), 탄닌(Tannin)등의 성분이 들어 있다.
오배자 추출물은 붉나무 (Rhus javanica L.)에 생기는 혹 같은 주머니로 우리나라의 각지 산기슭이나 골짜기에 분포하며 높이 5 ~7m 가량의 낙엽성 소교목이다. 붉나무에 기생하는 오배자 진딧물이 알을 낳기 위하여 잎에 상처를 내면 그 부근에 세포가 이상 분열을 하여 혹 같은 주머니가 생기고 오배자 진딧물의 유충은 그 속에서 자라게 되는 데 이를 오배자라 한다 이 벌레집을 이른 가을 벌레가 나기 전에 따서 증기를 쪄 벌레를 죽이고 말린 것을 약재로 사용한다.
상기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엔 아세틸 파이토스핑고신 (N-Acetyl Phydosphingosine) 0.01 ~ 20%, 대두 추출물 0.01 ~ 10%, 목단피 추출물 0.001~ 40 %, 오배자 추출물 0.01 ~ 30%를 함유한 여드름 피부용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여드름 피부용 조성물은 피부 외형제로의 통상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화장수, 로션, 크림, 에센스, 스킨로션, 파운데이션 뿐만 아니라 액상 비누, 고형 비누, 세안 폼과 같은 인체 세정제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이들 각 제형의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이하 실험예 및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여드름 피부용 조성물의 효과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 실시예는 여드름 피부용 조성물의 효능 효과 실험을 위하여 기본적임 화장수 처방을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실시예)
성분 (중량%) 실 시 예
1 2 3 4 5 6 7 8
정제수 최종100 최종100 최종100 최종100 최종100 최종100 최종100 최종100
보습제 5 5 5 5 5 5 5 5
Ethyl Alcohol 5 5 5 5 5 5 5 5
엔 아세틸 파이토스핑고신 (N-Acetyl Phydosphingosine) 0.01 0.01 3 3 5 5 10 20
대두추출물(Lecithin) 0.01 5 5 10 10 3 3 3
목단피추출물(Paeonia Suffruticosa Root Extract ) 0.01 5 10 5 5 20 40 10
오배자 추출물(Rhus javanica L.) 0.01 10 10 20 30 5 5 5
( 비교예1 )
성분 (중량%) 비 교 예
1 2 3 4
정제수 최종100 최종100 최종100 최종100
보습제 5 5 5 5
Ethyl Alcohol 5 5 5 5
에리스로마이신 - 2 2 -
클린다마이신 - 2 - 2
실시예의 경우와 비교하기 위하여 부형제와 항생제가 함유되는 조성물을 각각 제조 하였다.
< 시험예 1 > 여드름 균(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항균력 시험
1) 평원반 평판(Disc Plate)법
실시예 1 ~ 8 및 비교예 1 ~ 4의 조성으로 제조된 각각의 화장료 조성물을 여드름 원인 균주인 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하여 항균력 시험하여 그 결과를 아래 표 3 에 나타내었다. 조사법으로 평원반 평판 (Disc Plate)법을 사용하였다. 이 방법은 한천 평판 배지에 Propionibacterium acnes를 도말한 후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을 처리한 평원판 (Paper Disc)를 올려 놓고 배양하여 생성된 생장 저해 부위(Inhibition Zone)의 크기를 조사함으로써 조성물에 대한 항균력을 조사하였다.
여드름 균(P.acnes)에 대한 평원반 평판(Disc Plate)법 이용 항균력 시험
실시예 비교예
2 4 6 8 1 2 3 4
Propionibacterium acnes ATCC6919 6mm 10.25mm 12mm 15mm 0mm 17mm 7mm 7.25mm
Propionibacterium acnes ATCC11827 6mm 9mm 12mm 13.5mm 0mm 18.5mm 9mm 8.5mm
2) 최저성장저해농도 실험 (MIC: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여드름 균(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항균력 시험은 액체 배지 희석법을 사용하였다.
액체 배지 BHI 배지 2ml에 각 시료를 0에서 1000ppm 까지 100ppm 간격으로 희석한 후 106 /ml의 균액 20㎕를 접종하여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혼탁도를 기존으로 성장이 저해된 최소 농도를 최저성장저해농도 (MIC :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라고 정의 하였고 그 결과는 표 4와 같다.
여드름 균(P.acnes)에 대한 최저성장저해농도법 이용 항균력 시험
최저성장저해농도(ppm) 실시예 비교예
2 4 6 8 1 2 3 4
Propionibacterium acnes ATCC6919 1000 650 700 550 TNTC 500 1000 800
Propionibacterium acnes ATCC11827 1000 650 720 550 TNTC 500 1000 800
< 시험예 2 >
5알파- 리덕테이즈(5α- Reductase)의 활성 저해 효과 시험
실시예 1 ~ 8의 5알파- 리덕테이즈(5α- Reductase)의 활성을 저해하는 억제제인 실험을 수행하였다.
1) 성숙한 스프레그-다올리쥐(Sprogue-Dawley rat) 수컷(생후 7-8주)을 디에칠이서로 치사시키고 나서, 복부 전립선을 떼내어 결합조직을 제거한 것에 0.32M 수크로스(sucrose), 0.1mM 다이티오트레이톨(dithiothreitol), 20mM 초산나트륨(sodium acetate)을 함유하는 완충액을 첨가하여 잘게 자른 후 분쇄기로 현탁화하였다. 상기 현탁액을 원심 분리한 후, 상층액을 취하였다. 이러한 상층액에는 5α-리덕테이즈가 부분정제되어 있다.
5알파- 리덕테이즈(5α- Reductase)의 반응 기질로 방사선 표시된 테스토스테론(3H 테스토스테론)을 사용하였다. 효소 반응 용액 : 5알파- 리덕테이즈(5α- Reductase): 실시예 3, 7을 70: 70:10의 비율로 2분간 항온조에서 반응 시킨 후 용매를 제거하고 남은 물질을 전개 용매에 녹여 박층 크로마토그래피9TLC)에 전개하고 테스토스테론의 양과 다이하드로테스토스테론의 양을 텐시토미터를 이용하여 정량 분석을 하여 5알파- 리덕테이즈(5α- Reductase)의 억제율을 평가 하였다.
대조군으로 효소 반응 용액: 5알파- 리덕테이즈(5α- Reductase) : 비교예 1을 70: 70:10dml 비율로 동일하게 실험하였다.
테스토스테론과 다이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동위원소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바스시스템을 사용하여 필름에 남아 있는 동위 원소 양을 측정하였다.
5알파- 리덕테이즈(5α- Reductase)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기질 테스토스테론(3H)로 부터 다이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3H)의 생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5알파- 리덕테이즈(5α- Reductase)활성 저해 결과
T (dpm) DHT (dpm) 전환율 (%)
실시예 3 12671 1230.0 7.4
실시예 7 11820.0 1737.7 11.3
비교예 1 9708.0 3839.2 26.7
* T : 테스토스테론 영역에서 나타난 3H 방사능(radio activity) DHT : 다이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 영역에서 나타난 3H 방사능* 전환율 : DHT 영역의 방사능/전체 방사능 저해율(%): 100 ×(대조군의 전환율-시료의 전환율)/대조군의 전환율 이상의 결과에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3, 7에 함유된 엔 아세틸 파이토스핑고신 (N-Acetyl Phydosphingosine), 대두 추출물, 목단피 추출물, 오배자 추출물들은 5α-리덕테이즈의 활성을 억제하여, 5α-리덕테이즈와 관련된 남성 호르몬인 다이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생성량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7 의 추출물이 5α-리덕테이즈와 관련된 남성 호르몬인 다이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생성량을 가장 많이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시험예 3 > 임상 실험
1) 여드름 환자 대상 임상 실험 결과
여드름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여드름이 발생한 병변 국소 부위를 중심으로 실시예 3과 비교예 1을 Blind Test 방식을 적용하여 얼굴의 피지 분비가 많은 곳에 하루 두번 매일 바르게 하였다. 효과 판정은 시험에 참가한 본인이 느끼는 정도에 다라 점수화 하였다.도포한 결과를 아래 표 6 에 나타내었다.
시험전 피부 상태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
임상시험자 1 실시예 3 1 - +
비교예 1 - -
임상시험자 2 실시예 3 2 + ++
비교예 1 - -
임상시험자 3 실시예 3 1 ++ +++
비교예 1 + -
임상시험자 4 실시예 3 1 + ++
비교예 1 - -
임상시험자 5 실시예 3 1 - +
비교예 1 - +
임상시험자 6 실시예 3 3 + +
비교예 1 + -
임상시험자 7 실시예 3 2 + ++
비교예 1 - +
임상시험자 8 실시예 3 2 - ++
비교예 1 + -
임상시험자 9 실시예 3 3 + +
비교예 1 - -
임상시험자 10 실시예 3 2 - +
비교예 1 - -
임상시험자 11 실시예 3 3 - +
비교예 1 - -
임상시험자 12 실시예 3 2 ++ ++
비교예 1 - -
임상시험자 13 실시예 3 3 + ++
비교예 1 + +
임상시험자 14 실시예 3 1 + +
비교예 1 - -
임상시험자 15 실시예 3 3 - +
비교예 1 - -
시험 전 상태: 1 = 여드름 조금 있음, 2 = 약간 있음, 3 = 여드름 심함
효과 판정: - : 효과 거의 없음 + : 약간의 효과 있음 ++ : 많이 완화 +++: 완전히 치유됨
표 6 에 나타난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엔 아세틸 파이토스핑고신 (N-Acetyl Phydosphingosine), 대두 추출물, 목단피 추출물, 오배자 추출물을 함유한 유연화장수는 여드름이 악화되는 것을 감소시킴과 함께 피지분비로 고민하는 사람들에서도 얼굴 각 부위에서의 피지 분비를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2) 피부 자극 실험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해서 피부 자극 시험을 실시하였다 피부 자극 시험은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접촉성 피부염 유발 잠재성을 평가 진단하여 화장료 조성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피부 부작용을 극소화하는 시험이다
증류수, 바세린,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를 대조군으로 두고 본 발명 여드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과 각 유효 성분들을 비교군으로 두어 시험 하였다.
Finn chamber위에 증류수와 바세린, 실시예 3, 7은 피부에 그대로 적용하였다. 엔 아세틸 파이토스핑고신 (N-Acetyl Phydosphingosine), 대두 추출물, 목단피 추출물, 오배자 추출물은 원료 자체 그대로 피부에 적용하였다.
여자 10명, 남성 5명 총 15명을 시험 검사자로 선정, 적용부위는 양쪽 팔의 상박부 내측면에 30 시간 동안 부착하였다.
의양성 반응 (±) 약양성 반응(+) 접촉성 피부염 유발 확률 (%)
증류수 0 0
바세린 0 0 0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 0 3 20
실시예 3 0 0 0
실시예 7 0 0 0
엔 아세틸 파이토스핑고신 (N-Acetyl Phydosphingosine), 0 0 0
대두 추출물 0 0 0
목단피 추출물 0 0 0
오배자 추출물 0 0 0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실험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엔 아세틸 파이토스핑고신 (N-Acetyl Phydosphingosine), 대두 추출물, 목단피 추출물, 오배자 추출물은, 5α-리덕테이즈 저해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여드름 원인균인 P.acnes균에 대해 우수한 향균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로서 사람에게 사용했을 때 여드름 완화 효과가 우수하며 인체 독성, 피부 자극을 일으키지 않는 매우 안전한 조성물로써 제품의 안전성 영향을 미치지 않는 농도에서 피부에 도포되어 향균 작용 및 5 알파 - 리덕데이즈의 활성억제 작용에 의해 여드름성 피부 개선에 도움을 주는 화장료 조성물이다.

Claims (2)

  1. 여드름성 피부 개선에 도움을 주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에 있어 엔 아세틸 파이토스핑고신 (N-Acetyl Phydosphingosine) 0.01 ~ 20%, 대두 추출물 0.01 ~ 10%, 목단피 추출물 0.001~ 40 %, 오배자 추출물 0.01 ~ 30%가 함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여드름성 피부 개선에 도움을 주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에 있어 엔 아세틸 파이토스핑고신 (N-Acetyl Phydosphingosine) 0.01 ~ 20%, 대두 추출물 0.01 ~ 10%, 목단피 추출물 0.001~ 40 %, 오배자 추출물 0.01 ~ 30%의 조합 가운데 2가지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60094544A 2006-09-28 2006-09-28 피부에 도포되어 향균 작용 및 5 알파 - 리덕테이즈의활성억제 작용에 의해 여드름성 피부 개선에 도움을 주는화장료 조성물. Withdrawn KR200800290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4544A KR20080029055A (ko) 2006-09-28 2006-09-28 피부에 도포되어 향균 작용 및 5 알파 - 리덕테이즈의활성억제 작용에 의해 여드름성 피부 개선에 도움을 주는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4544A KR20080029055A (ko) 2006-09-28 2006-09-28 피부에 도포되어 향균 작용 및 5 알파 - 리덕테이즈의활성억제 작용에 의해 여드름성 피부 개선에 도움을 주는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9055A true KR20080029055A (ko) 2008-04-03

Family

ID=39531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4544A Withdrawn KR20080029055A (ko) 2006-09-28 2006-09-28 피부에 도포되어 향균 작용 및 5 알파 - 리덕테이즈의활성억제 작용에 의해 여드름성 피부 개선에 도움을 주는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290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37959A (zh) * 2019-05-15 2019-07-23 燕超 一种祛痘补水霜及其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37959A (zh) * 2019-05-15 2019-07-23 燕超 一种祛痘补水霜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6742B1 (ko) 피부 건전화제
US9381146B2 (en) Skin conditioner
US9433572B2 (en) Pomegranate based skin protectant and topical application
US6964952B2 (en) Therapeutic composition for broad spectrum dermal disease
KR100876753B1 (ko) 피부 건전화제
JPWO2009084200A1 (ja) ニキビ肌用皮膚外用剤
KR102115668B1 (ko) 프로바이오틱스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여드름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128733A (ko) 편백다당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11743830A (zh) 一种祛痘组合物及其应用
CN103494737B (zh) 一种以姜花作为抗衰老护肤因子的化妆品制剂及制备方法
KR100861186B1 (ko) 크립토탄시논을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화장료
CN111743826A (zh) 一种祛斑抗皱保湿乳液
KR20020044851A (ko)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스핑고리피드 조성물
EP2004235B1 (en) Composition for cosmetic or pharmaceutical-dermatological use
JP2008184439A (ja) 活性酸素種細胞障害改善用皮膚外用剤
CN115429738B (zh) 一种祛痘修护焕活精华液及其制备方法
KR20080029055A (ko) 피부에 도포되어 향균 작용 및 5 알파 - 리덕테이즈의활성억제 작용에 의해 여드름성 피부 개선에 도움을 주는화장료 조성물.
KR20050048287A (ko) 아토피성 피부염을 개선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
JP5155543B2 (ja) エンドセリン−1産生抑制剤、ヘキソサミニダーゼ遊離抑制剤、抗炎症用/美白用皮膚外用剤、エンドセリン−1の産生抑制方法及びヘキソサミニダーゼの遊離抑制方法
KR20160020038A (ko) 프랜지패니 오일 또는 프랜지패니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38855B1 (ko) 송화가루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치료용 경구제
KR102780319B1 (ko) 동백나무 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개선용 조성물
KR20250101229A (ko) 아시니박테리움 속 균주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50053235A (ko) 푸른 연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개선용 조성물
KR20250103819A (ko) 고소리술 술지게미 추출물 또는 페룰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