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29038A - 플라스틱 사출용 금형장치의 이젝터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사출용 금형장치의 이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9038A
KR20080029038A KR1020060094502A KR20060094502A KR20080029038A KR 20080029038 A KR20080029038 A KR 20080029038A KR 1020060094502 A KR1020060094502 A KR 1020060094502A KR 20060094502 A KR20060094502 A KR 20060094502A KR 20080029038 A KR20080029038 A KR 20080029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jector
air
mounting plate
mold
movab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4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병흔
Original Assignee
윤병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병흔 filed Critical 윤병흔
Priority to KR1020060094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29038A/ko
Publication of KR20080029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9038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005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 B29C45/401Ejector pin constructions or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3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using fluid under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 사출금형장치에 사용되는 압축공기 분사방식의 이젝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이젝터는 고정측 설치판,고정측 설치판에 설치되는 고정측 형판,고정측 형판에 삽입되는 상부몰드,상부 몰드까지 삽입되는 탕구부시 그리고 탕구부시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인젝션 노즐이 결합되는 부분을 제공하기 위한 로케이트 링을 포함하는 고정다이와;가동측 설치판,가동측 설치판에 설치되는 가동측 형판,가동측 형판에 삽입되는 하부몰드,그리고 가동다이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핀을 포함하는 가동다이로 구성되는 플라스틱 사출용 금형장치에 적용된다.이때 이젝터는 다공성 재료로 된 공기 취입부 및 공기 취입부로 고압의 공기를 전달하는 파이프로 구성되어서 이젝터로 고압의 공기가 취입되며,이젝터는 상기 공기 취입부가 하부몰드의 캐비티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젝터를 사용하면 플라스틱 사출용 금형장치의 구조가 매우 간단해져서 제품의 개발,생산이 저렴해 진다.또한 성형품의 표면에 백화현상이나 수지피복이 벗겨지는 품질저하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사출,금형장치,이젝터,이젝터 핀,공기압

Description

플라스틱 사출용 금형장치의 이젝터{Ejector for plastic injection molding apparatus}
도1은 종래의 플라스틱 사출금형장치의 단면도.
도2는 도1의 금형장치에서 가동다이가 후퇴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3은 2에 도시된 상태에서 이젝터 핀이 사출품을 취출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젝터를 사용하는 사출금형장치의 단면도.
도5는 도4의 금형장치에서 가동다이가 후퇴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6은 도5에 도시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이젝터가 사출품을 취출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젝터의 단면도.
도8과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이젝터가 사용되는 금형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로 하부금형부분만을 도시한 부분단면도.
본 발명은 플라스틱 사출금형장치에 사용되는 이젝터,특히 압축공기 분사방 식의 이젝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플라스틱 사출금형장치는 통상적으로 이젝터 핀(들)이 작동하여 냉각고화된 플라스틱 사출품을 튕기듯이 밀어내는 이젝터를 사용한다(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17224 또는 실용신안등록 제0157548호 참조).
도1 내지 도3은 하부다이가 유동하는 종래의 후방사출 금형장치의 단면도로서,하나의 이젝터 핀을 사용하여 사출품을 몰드로부터 취출하는 상태를 보여준다.
후방사출 금형장치는 고정다이(100)와 가동다이(200)로 구성된다.고정다이(100)는 고정측 설치판(110), 이 설치판(110)에 설치되는 고정측 형판(120),이 형판(120)에 삽입되는 상부몰드(20),이 상부 몰드(20)까지 삽입되는 탕구부시(140) 그리고 탕구부시(140)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인젝션 노즐이 결합되는 부분을 제공하기 위한 로케이트 링(150)을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가동다이(200)는 가동측 설치판(210),가동측 형판(220),이 형판(220)에 삽입되는 하부몰드(30),가동다이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핀(240)을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용융플라스틱이 탕구부시(140)를 통해 상기 상부몰드(20)와 하부몰드(30) 사이의 캐비티로 공급되어 성형되며 이 몰드 캐비티에서 성형된 성형품(50)을 취출하기 위해 구성으로 가동측 설치판(210)과 가동측 형판(220) 사이에 스페이서 블록(250)이 설치되고,이 스페이서 블록(250) 내측에 상측 이젝터 플레이트(260)와 하측 이젝터 플레이트(262) 및 이젝터 핀(264)(도면에는 하나의 이젝터 핀을 도시하였으나 다수의 이젝터 핀들을 사용할 수도 있음)이 설치되고,상기 상,하측 이젝터 플레이트(260,262)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266)와 상,하측 이젝터 플레이트(260,262) 의 복귀를 위한 스프링(268)을 갖는 리턴핀(270)이 구비되어 있다.
금형장치의 작동은 우선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 캐비티 내로 용융 플라스틱을 주입하여 냉각,고화시키고, 성형품(50)의 취출을 위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다이(200) 전체가 고정다이(100)로부터 후퇴된다.이때 성형품(50)은 상부몰드(20)로부터 분리되어 나온다.이 상태에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측 이젝터 플레이트(260,262)가 가이드(266)의 안내를 받으면서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전진하고,그에 따라 이젝터 핀(264)이 전진하여 성형품(50)을 밀어냄으로써 하부몰드(30)로부터 성형품(50)을 취출한다.취출된 성형품(50)은 인출장치(미도시)에 의해 금형장치로부터 인출된다.성형품(50)의 추출 및 인출이 종료되면,상,하측 이젝터 플레이트(260,262)는 리턴핀(270)에 구비된 스프링(268)의 복원력에 의해 최초의 위치로 복귀한다.
위와 같은 이젝터 핀(들)을 사용하는 종래의 사출금형장치는 이젝터 핀(264)외에 스페이서 블록(250),상,하측 이젝터 플레이트(260,262),스프링(268)이 구비된 리턴핀(270),그리고 상,하측 이젝터 플레이트(260,262)를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 또는 공압장치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더욱이 성형품(50)이 단순한 형태의 경우에도 동일한 구조를 취하는 경우에는 금형 및 제품의 개발시간이 지연되고 개발비용이 증가한다는 폐단이 있다.또한 이젝터 핀(264)은 성형품(50)의 일정부위에만 힘을 가하여 성형품(50)을 취출하므로 종종 그 충격으로 성형품 표면에 하얗게 자국이 생기는 백화현상이 생기거나 수지피복이 벗겨지는 품질의 저하문제가 발생한다.또한 이젝터 핀(264)은 일반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강철봉으로 만 들어지므로 일정크기 이상의 취출력을 낼 수 없으며,취출중 휘어지거나 부러지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사출금형장치의 구조를 매우 간단하게 할 수 있으며,사출품 전체에 고른 취출력을 가하여서 사출품의 품질저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이젝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젝터는 고정측 설치판,고정측 설치판에 설치되는 고정측 형판,고정측 형판에 삽입되는 상부몰드,상부 몰드까지 삽입되는 탕구부시 그리고 탕구부시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인젝션 노즐이 결합되는 부분을 제공하기 위한 로케이트 링을 포함하는 고정다이와;가동측 설치판,가동측 설치판에 설치되는 가동측 형판,가동측 형판에 삽입되는 하부몰드,그리고 가동다이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핀을 포함하는 가동다이로 구성되는 플라스틱 사출용 금형장치에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젝터는 다공성 재료로 된 공기 취입부 및 공기 취입부로 고압의 공기를 전달하는 파이프로 구성되어서 이젝터로 고압의 공기가 취입되며,이젝터는 상기 공기 취입부가 하부몰드의 캐비티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이때,복수의 이젝터가 설치되어 이 복수의 이젝터로 고압의 공기가 취입되되,하나의 이젝터는 다른 이젝터에 비해 보다 더 고압의 공기가 취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젝터들 간의 공기압 차이가 1기압 이상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한편,이젝터의 공기 취입부가 다공성 내화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에 예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젝터(300)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젝터 핀을 사용하는 대신 고압공기 분사방식을 채용한다.이를 위해 이젝터(300)는 공기 취입부(310)와 이 공기 취입부(310)로 고압의 공기를 전달하는 파이프(330)로 구성된다.파이프(330)의 일측 단부에는 파이프(330)로 고압공기를 유입할 수 있는 공기 유입구(35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유입구(350)를 통해 압축펌프로 압축된 고압공기가 유입된다.
이젝터(300)는 상기 공기 취입부(310)가 몰드의 캐비티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도4 내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젝터(300)가 부착된 후방사출 금형장치의 단면도로서 이때 이젝터(300)의 공기 취입부(3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몰드(30)의 캐비티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후방사출 금형장치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이젝터(300)를 사용하므로 종래와 같은 이젝터 핀(264)과 이 이젝터 핀을 구동하기 위한 스페이서 블록(250),상,하측 이젝터 플레이트(260,262),스프링(268)이 구비된 리턴핀(270),그리고 상,하측 이젝터 플레이트(260,262)를 구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유압 또는 공압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 장치의 구성이 매우 단순화 됨을 알 수 있다.이때 도4 내지 도6에 사용된 참조번호중 도1 내지 도3에 사용된 참조번호와 동일한 것은 동일한 부분을 나타낸다.
공기 취입부(310)는 파이프(330)로 유입된 고압공기가 공기 취입부(310)를 통해 공기가 유동해 나갈 수 있도록 다공성 재료로 구성된다.공기 취입부(310)는 하부몰드(30)의 캐비티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므로 몰드 캐비티로 주입된 용융 플라스틱과 접하게 된다.따라서 공기 취입부(310)는 캐비티로 노출되는 면이 매끈하게 가공될 수 있어야 하며 또한 용융 플라스틱이 침투되지 않는 재료로 구성되어야 한다.
공기 취입부(310)를 구성하는 다공성 재료로는 위와 같은 목적에 적합한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관계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재료의 하나로 다공성 내화물이 있다.다공성 내화물은 주로 제강분야에서 용강의 버블링(bubbling)을 위해 노즐을 통해 알곤,질소,산소 또는 이들의 혼합가스를 용강으로 취입할 때 사용되고 있다.이러한 다공성 내화물은 여러 종류가 사용되고 있으며,그 대표적인 것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40918호에는 알루미나 88~90%(중량%),실리카 4.5~5.0%, 지르코니아 3~3.5% 및 크로마이트 1.5~1.8%로 구성되며 기공률이 25~27%, 평균 기공크기는 16~20 ㎛인 알루미나질 다공성 내화물이 있다.다공성 내화물은 이를 통해 가스를 취입할 수 있고 또한 용강과 접촉해도 용강이 침투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이젝터(300)의 공기 취입부(310)로 사용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고압공기 분사방식의 이젝터(300)를 사용하는 금형장치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먼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 캐비티 내로 용융 플라스틱을 주입하여 냉각,고화시키고, 성형품(50)의 취출을 위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 동다이(200) 전체가 고정다이(100)로부터 후퇴되고,이때 성형품(50)은 상부몰드(20)로부터 분리되어 나오고,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펌프(미도시)로 압축된 고압공기가 이젝터(300)-유입구(350),파이프(330),그리고 공기 취입부(310)(도7 참조)-를 통해 유입되어 성형품(50)을 하부몰드(30)로부터 분리시키고,마지막으로 분리된 성형품(50)은 인출장치(미도시)에 의해 금형장치로부터 인출되어서 1사이클이 완료되며,다음에는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때,본 발명에 따른 고압공기 분사식 이젝터(300)를 사용하는 경우 공기 취입부(310)를 통해 유입된 고압공기가 파스칼의 원리에 따라 성형품(50)과 하부몰드(30)의 바닥면 사이에 균일하게 작용한다.따라서 종래의 이젝터 핀을 사용하는 경우와 달리 성형품 표면에 하얗게 자국이 생기는 백화현상이 생기거나 수지피복이 벗겨지는 품질의 저하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또한 성형품의 형상과 크기에 따라 취입되는 공기압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고 다양한 제품에 적용할 수 있다.
한편,종래의 이젝터 핀을 사용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여러 개의 이젝터 핀을 사용하는 경우와 동일하게 본 발명에 따른 고압공기 분사식 이젝터의 경우도 필요에 따라 복수의 이젝터를 사용할 수 있다.도8과 도9는 복수의 이젝터(300,300')를 사용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편의상 하부금형부분만을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8과 도9에 도시된 이젝터(300,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 다공성 재료로 된 공기 취입부(310) 및 공기 취입부(310)로 고압의 공기를 전달하는 파이 프(330)로 구성되며 하부몰드(30)의 캐비티로 공기 취입부(310)가 노출되도록 설치된다.또한 이들 이젝터(300,300')로 고압의 공기가 취입되되,하나의 이젝터(300)는 다른 이젝터(300')에 비해 보다 더 고압의 공기가 취입된다.즉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이젝터(300,300')로 고압의 공기가 취입되되 이젝터(300)로 취입되는 공기압이 이젝터(300')로 취입되는 공기압보다 크다.이와 같이 복수의 이젝터(300,300')를 사용하면서 이젝터(300)로 취입되는 공기압이 이젝터(300')로 취입되는 공기압보다 큰 경우,이젝터(300,300')들을 통해 유입된 고압공기가 성형품(50)을 하부몰드(30)로부터 분리시키는 마지막 단계에서 성형품(50)은 비교적 저압의 공기가 취입되는 방향,즉 이젝터(300')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부몰드(30)로부터 분리된다.이때 이젝터(300') 방향으로 인출장치(400)가 인입되어 대기하고 있다가 분리된 성형품(50)을 안전하게 인출하게 된다.이같이 복수의 이젝터를 사용하고 이젝터 간의 공기압에 차이를 두면 원하는 방향으로 성형품을 인출할 수 있게 되어 매우 편리하다.도8과 도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젝터(300)와 이젝터(300')간의 공기압 차이는 1기압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앞에서는 이젝터(300,300')를 통해 동시에 서로 다른 압력의 공기가 주입되었으나,처음에는 하나의 이젝터(300')만을 통해 공기가 주입되고 일정시간,예를들면 1초 ,이젝터(300)를 통해 보다 고압의 공기가 취입될 수도 있다.또한 하나의 이젝터(300) 만을 사용하되 이 이젝터(300)가 하부몰드(30)의 중심으로부터 한쪽으로 편향되게 위치함으로써 복수의 이젝터(300,300')를 사용하는 경우와 동일한 효과(성형품이 인출장치 방향으로 벗겨지는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하부취출방식의 성형장치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어떠한 방식의 성형장치에도 본 발명이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누구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또한 당업자라면 고압공기를 분사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이젝터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젝터를 사용하면 플라스틱 사출용 금형장치의 구조가 매우 간단해져서 제품의 개발,생산이 저렴해 진다.또한 성형품의 표면에 백화현상이나 수지피복이 벗겨지는 품질저하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Claims (4)

  1. 고정측 설치판(110),고정측 설치판(110)에 설치되는 고정측 형판(120),고정측 형판(120)에 삽입되는 상부몰드(20),상부 몰드(20)까지 삽입되는 탕구부시(140) 그리고 탕구부시(140)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인젝션 노즐이 결합되는 부분을 제공하기 위한 로케이트 링(150)을 포함하는 고정다이(100)와;가동측 설치판(210),가동측 설치판(210)에 설치되는 가동측 형판(220),가동측 형판(220)에 삽입되는 하부몰드(30),그리고 가동다이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핀(240)을 포함하는 가동다이(200)로 구성되는 플라스틱 사출용 금형장치에 사용되는 이젝터에 있어서,
    이젝터(300)가 다공성 재료로 된 공기 취입부(310) 및 공기 취입부(310)로 고압의 공기를 전달하는 파이프(330)로 구성되어서 이젝터(300)로 고압의 공기가 취입되며,이젝터(300)는 상기 공기 취입부(310)가 하부몰드(30)의 캐비티로 노출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사출용 금형장치의 이젝터.
  2. 제1항에 있어서,다공성 재료로 된 공기 취입부(310) 및 공기 취입부(310)로 고압의 공기를 전달하는 파이프(330)로 각각 구성되는 복수의 이젝터(300,300')가 하부몰드(30)의 캐비티로 공기 취입부(310)가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이 이젝터(300,300')로 고압의 공기가 취입되되,하나의 이젝터(300)는 다른 이젝터(300')에 비해 보다 더 고압의 공기가 취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사출용 금형장치의 이젝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이젝터(300)의 공기 취입부(310)가 다공성 내화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사출용 금형장치의 이젝터.
  4. 제2항에 있어서,이젝터(300)와 이젝터(300')간의 공기압 차이가 1기압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사출용 금형장치의 이젝터.
KR1020060094502A 2006-09-28 2006-09-28 플라스틱 사출용 금형장치의 이젝터 Withdrawn KR200800290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4502A KR20080029038A (ko) 2006-09-28 2006-09-28 플라스틱 사출용 금형장치의 이젝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4502A KR20080029038A (ko) 2006-09-28 2006-09-28 플라스틱 사출용 금형장치의 이젝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9038A true KR20080029038A (ko) 2008-04-03

Family

ID=39531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4502A Withdrawn KR20080029038A (ko) 2006-09-28 2006-09-28 플라스틱 사출용 금형장치의 이젝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2903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7453B1 (ko) 2020-10-21 2022-02-25 아진산업(주) 금형으로부터 가공물을 분리하기 위한 구조
CN119116296A (zh) * 2024-11-12 2024-12-13 常熟市新达模塑成型有限公司 一种用于高落差面板类产品的注塑模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7453B1 (ko) 2020-10-21 2022-02-25 아진산업(주) 금형으로부터 가공물을 분리하기 위한 구조
CN119116296A (zh) * 2024-11-12 2024-12-13 常熟市新达模塑成型有限公司 一种用于高落差面板类产品的注塑模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14578B1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and injection molding method
US7261853B2 (en) Decelerated ejector pi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070148278A1 (en) Gas extraction structure for mold
JPS61121915A (ja) 金型装置
CN213166671U (zh) 一种气动脱模的注塑模具
KR20080029038A (ko) 플라스틱 사출용 금형장치의 이젝터
US5252287A (en) Method of injection molding hollow articles
CN202491380U (zh) 注塑三板模料头自动顶出结构及具该结构的三板模具
KR20080029039A (ko) 성형품 표면에 마크나 글자를 형성할 수 있는 이젝터 및마크나 글자의 형성방법
CN214395016U (zh) 用于成形模具的脱模装置
JP3682145B2 (ja) 射出成形品の成形方法及び射出成形用の金型
JP2007125789A (ja) キャビティの真空を解除する金型装置とその金型装置を含む成形装置
JP2002347085A (ja) 射出成形金型
CN210820732U (zh) 一种注塑模具复合式脱模机构
JPH04251724A (ja) 金型装置
US5716582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ejection of molded product from mold parts
CN218171218U (zh) 一种深型腔产品成型模具
CN219522921U (zh) 一种无痕顶出结构和模具
CN221315043U (zh) 一种注塑模具延长顶出行程装置
CA2375903A1 (en) Spring-loaded ejectors for wood strand molding
JPH0426290B2 (ko)
CN218700995U (zh) 一种注塑产品脱模的装置
CN222473272U (zh) 直顶装置及模具
JP2010143165A (ja) 射出成形装置用金型。
CN214562703U (zh) 一种带小型倒扣脱模机构的注塑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