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7129A - 대역폭 확장 기법 및 스테레오 부호화 기법을 이용한오디오 신호의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대역폭 확장 기법 및 스테레오 부호화 기법을 이용한오디오 신호의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27129A KR20080027129A KR1020070086337A KR20070086337A KR20080027129A KR 20080027129 A KR20080027129 A KR 20080027129A KR 1020070086337 A KR1020070086337 A KR 1020070086337A KR 20070086337 A KR20070086337 A KR 20070086337A KR 20080027129 A KR20080027129 A KR 2008002712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frequency band
- encoding
- band signal
- domai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2—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spectral analysis, e.g. transform vocoders or subband vocoders
- G10L19/02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spectral analysis, e.g. transform vocoders or subband vocoders using subband decomposition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8—Multichannel audio signal coding or decoding using interchannel correlation to reduce redundancy, e.g. joint-stereo, intensity-coding or matrixing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2—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spectral analysis, e.g. transform vocoders or subband vocoders
- G10L19/032—Quantisation or dequantisation of spectral component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G10L19/06—Determination or coding of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e.g. of the short-term prediction coefficient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38—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using band spreading techniques
- G10L21/0388—Details of processing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40)
- (a) 입력 신호에서 스테레오 파라미터를 추출하여 부호화하고, 상기 입력 신호를 다운믹싱하는 단계;(b)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를 고주파수 밴드 신호 및 저주파수 밴드 신호로 분할하는 단계;(c) 상기 고주파수 밴드 신호 및 상기 저주파수 밴드 신호를 각각 시간 도메인에서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는 단계;(d) 상기 변환된 저주파수 밴드 신호에 대하여 양자화하여 문맥을 기반으로 비트플레인으로 부호화하는 단계;(e) 상기 변환된 저주파수 밴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변환된 고주파수 밴드 신호의 특성을 나타내는 대역폭 확장 정보를 생성하여 부호화하는 단계; 및(f) 상기 부호화된 스테레오 파라미터, 상기 부호화된 비트플레인 및 상기 부호화된 대역폭 확장 정보를 상기 입력 신호에 대한 부호화 결과로써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c) 단계는상기 고주파수 밴드 신호 및 상기 저주파수 밴드 신호에 대하여 MDCT(Modified Discrete Cosine Transform)를 수행하여 각각 시간 도메인에서 주파 수 도메인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g) 상기 변환된 저주파수 밴드 신호에 대하여 주파수 선형 예측를 수행하여 필터링하는 단계; 및(h) 상기 변환된 저주파수 밴드 신호를 멀티-레졸루션(multi-resolution)으로 분석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상기 (d) 단계는상기 필터링된 신호 또는 멀티-레졸루션으로 분석된 신호를 양자화하여 문맥을 기반으로 비트플레인으로 부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방법.
- 제3항에 있어서,상기 (g) 단계는상기 변환된 저주파수 밴드 신호에 대하여 주파수 선형 예측을 수행하여 선형 예측 필터의 계수를 계산하고, 상기 계수에 대응되는 값을 벡터 인덱스로 표현하며,상기 (f) 단계는상기 부호화된 스테레오 파라미터, 상기 부호화된 비트플레인, 상기 부호화된 대역폭 확장 정보 및 상기 벡터 인덱스를 상기 입력 신호에 대한 부호화 결과로 써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방법.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 (a) 입력 신호에서 스테레오 파라미터를 추출하여 부호화하고, 상기 입력 신호를 다운믹싱하는 단계;(b)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를 고주파수 밴드 신호 및 저주파수 밴드 신호로 분할하는 단계;(c) 상기 저주파수 밴드 신호를 제1 변환 방식에 의해 시간 도메인에서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는 단계;(d) 상기 제1 변환 방식에 의해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된 신호를 양자화하여 문맥을 기반으로 비트플레인으로 부호화하는 단계;(e) 상기 고주파수 밴드 신호 및 상기 저주파수 밴드 신호를 제2 변환 방식에 의해 각각 시간 도메인에서 주파수 도메인 또는 시간/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는 단계;(f) 상기 제2 변환 방식에 의해 변환된 저주파수 밴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변환 방식에 의해 변환된 고주파수 밴드 신호의 특성을 나타내는 대역폭 확장 정보를 생성하여 부호화하는 단계; 및(g) 상기 부호화된 스테레오 파라미터, 상기 부호화된 비트플레인 및 상기 부호화된 대역폭 확장 정보를 상기 입력 신호에 대한 부호화 결과로써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방법.
- 제6항의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 (a) 입력 신호에서 스테레오 파라미터를 추출하여 부호화하고, 상기 입력 신호를 다운믹싱하는 단계;(b)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를 고주파수 밴드 신호 및 저주파수 밴드 신호로 분할하는 단계;(c) 상기 저주파수 밴드 신호를 시간 도메인에서 부호화할지 주파수 도메인에서 부호화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d) 상기 저주파수 밴드 신호를 시간 도메인에서 부호화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저주파수 밴드 신호를 시간 도메인에서 부호화하는 단계;(e) 상기 저주파수 밴드 신호를 주파수 도메인에서 부호화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저주파수 밴드 신호를 제1 변환 방식에 의해 시간 도메인에서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1 변환 방식에 의해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된 저주파수 밴드 신호를 양자화하여 문맥을 기반으로 비트플레인으로 부호화하는 단계;(f) 상기 저주파수 밴드 신호 및 상기 고주파수 밴드 신호를 제2 변환 방식에 의해 각각 시간 도메인에서 주파수 도메인 또는 시간/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 는 단계;(g) 상기 변환된 저주파수 밴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변환된 고주파수 밴드 신호의 특성을 나타내는 대역폭 확장 정보를 생성하여 부호화하는 단계; 및(h) 상기 부호화된 스테레오 파라미터, 상기 시간 도메인에서 부호화된 결과, 상기 부호화된 비트플레인 및 상기 부호화된 대역폭 확장 정보를 상기 입력 신호에 대한 부호화 결과로써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방법.
- 제8항에 있어서,상기 (f) 단계는상기 저주파수 밴드 신호 및 상기 고주파수 밴드 신호에 대하여 각각 상기 제1 변환 방식에 의해 시간 도메인에서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고,상기 저주파수 밴드 신호를 주파수 도메인에서 부호화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저주파수 밴드 신호에 대한 출력을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제1 변환 방식에 의해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된 저주파수 밴드 신호로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방법.
- 제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 (a) 입력 신호를 시간 도메인에서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는 단계;(b) 상기 변환된 신호에서 스테레오 파라미터를 추출하여 부호화하고, 상기 변환된 신호를 다운믹싱하는 단계;(c)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에서 대역폭 확장 정보를 추출하여 부호화하는 단계;(d)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를 시간 도메인으로 역변환하는 단계;(e) 상기 역변환된 신호를 시간 도메인에서 부호화할지 주파수 도메인에서 부호화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역변환된 신호를 서브 밴드 별로 시간 도메인 또는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는 단계;(f) 상기 역변환된 신호를 시간 도메인에서 부호화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시간 도메인으로 변환된 신호를 시간 도메인에서 부호화하는 단계;(g) 상기 역변환된 신호를 주파수 도메인으로 부호화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된 신호를 양자화하여 문맥을 기반으로 비트플레인으로 부호화하는 단계; 및(h) 상기 부호화된 스테레오 파라미터, 상기 부호화된 대역폭 확장 정보, 상기 시간 도메인에서 부호화된 결과 및 상기 부호화된 비트플레인을 상기 입력 신호에 대한 부호화 결과로써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상기 (e) 단계는상기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역변환된 신호에 대하여 FV-MLT(Frequency Varying-Modulated Lapped Transform)를 수행하여 서브 밴드 별로 시간 도메인 또는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방법.
- 제11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 (a) 입력 신호를 시간 도메인에서 부호화할지 주파수 도메인에서 부호화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 신호를 서브 밴드 별로 시간 도메인 또는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는 단계;(b) 상기 변환된 신호에서 스테레오 파라미터를 추출하여 부호화하고, 상기 변환된 신호를 다운믹싱하는 단계;(c)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에서 대역폭 확장 정보를 추출하여 부호화하는 단계;(d)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가 시간 도메인에서 부호화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를 시간 도메인에서 부호화하는 단계;(e)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가 주파수 도메인에서 부호화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를 양자화하여 문맥을 기반으로 비트플레인으로 부호화하는 단계; 및(f) 상기 부호화된 스테레오 파라미터, 상기 부호화된 대역폭 확장 정보, 상기 시간 도메인에서 부호화된 결과 및 상기 부호화된 비트플레인을 상기 입력 신호에 대한 부호화 결과로써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a) 단계는상기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 신호에 대하여 FV-MLT를 수행하여 서브 밴드 별로 시간 도메인 또는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방법.
- 제14항 및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 (a)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결과를 입력받는 단계;(b) 상기 부호화 결과에 포함된 부호화된 비트플레인을 문맥을 기반으로 복호화하고 역양자화하여 저주파수 밴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c) 상기 부호화 결과에 포함된 부호화된 대역폭 확장 정보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대역폭 확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저주파수 밴드 신호로부터 고주파수 밴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d) 상기 저주파수 밴드 신호 및 상기 고주파수 밴드 신호 각각을 제1 역변환 방식에 의해 주파수 도메인에서 시간 도메인으로 변환하는 단계;(e) 상기 역변환된 저주파수 밴드 신호 및 상기 역변환된 고주파수 밴드 신호를 합성하는 단계; 및(f) 상기 부호화 결과에 포함된 부호화된 스테레오 파라미터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스테레오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합성된 신호를 업믹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복호화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상기 (b) 단계는상기 역양자화된 신호를 멀티-레졸루션으로 합성하는 단계; 및상기 부호화 결과에 포함된 벡터 인덱스를 이용하여 부호화단에서 주파수 선형 예측이 수행된 결과를 상기 역양자화된 신호 또는 상기 멀티-레졸루션으로 합성된 신호에 합성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복호화 방법.
- 제17항 및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오디오 신호의 복호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 (a)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결과를 입력받는 단계;(b) 상기 부호화 결과에 포함된 부호화된 비트플레인을 문맥을 기반으로 복호화하고 역양자화하여 저주파수 밴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c) 상기 저주파수 밴드 신호를 제1 역변환 방식에 의해 주파수 도메인에서 시간 도메인으로 변환하는 단계;(d) 상기 제1 역변환 방식에 의해 역변환된 저주파수 밴드 신호를 제1 변환 방식에 의해 주파수 도메인 또는 시간/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는 단계;(e) 상기 부호화 결과에 포함된 부호화된 대역폭 확장 정보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대역폭 확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변환 방식에 의해 주파수 도메인 또는 시간/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된 저주파수 밴드 신호로부터 고주파수 밴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f) 상기 고주파수 밴드 신호를 제2 역변환 방식에 의해 시간 도메인으로 역변환하는 단계;(g) 상기 역변환된 고주파수 밴드 신호 및 상기 변환된 저주파수 밴드 신호를 합성하는 단계; 및(h) 상기 부호화 결과에 포함된 부호화된 스테레오 파라미터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스테레오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합성된 신호를 업믹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복호화 방법.
- 제20항의 오디오 신호의 복호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 (a) 오디오 신호의 시간 도메인 또는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부호화 결과를 입력받는 단계;(b)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부호화 결과에 포함된 부호화된 비트플레인을 문맥을 기반으로 복호화하고 역양자화하여 저주파수 밴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c) 상기 저주파수 밴드 신호를 제1 역변환 방식에 의해 시간 도메인으로 역변환하는 단계;(d) 상기 제1 역변환 방식에 의해 시간 도메인으로 역변환된 신호를 제1 변환 방식에 의해 주파수 도메인 또는 시간/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는 단계;(e)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부호화 결과에 포함된 부호화된 대역폭 확장 정보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대역폭 확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변환 방식에 의해 주파수 도메인 또는 시간/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된 저주파수 밴드 신호로부터 고주파수 밴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f) 상기 고주파수 밴드 신호를 제2 역변환 방식에 의해 시간 도메인으로 역변환하는 단계;(g) 상기 시간 도메인에서의 부호화 결과를 시간 도메인에서 복호화하여 상기 저주파수 밴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h) 상기 제1 역변환 방식에 의해 시간 도메인으로 역변환된 신호, 상기 제2 역변환 방식에 의해 시간 도메인으로 역변환된 고주파수 밴드 신호, 및 상기 시간 도메인에서 복호화된 저주파수 밴드 신호를 합성하는 단계; 및(i) 상기 부호화 결과에 포함된 부호화된 스테레오 파라미터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스테레오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합성된 신호를 업믹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복호화 방법.
- 제22항에 있어서,상기 (b) 단계는(b1) 상기 역양자화된 신호를 멀티-레졸루션으로 합성하는 단계; 및(b2) 상기 부호화 결과에 포함된 벡터 인덱스를 이용하여 부호화단에서 주파수 선형 예측이 수행된 결과를 상기 역양자화된 신호 또는 상기 멀티-레졸루션으로 합성된 신호에 합성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상기 (e) 단계는상기 복호화된 대역폭 확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b1) 또는 (b2) 단계에서 합성된 신호로부터 상기 고주파수 밴드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복호화 방법.
- 제22항 및 제23항 중 어느 한 항의 오디오 신호의 복호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 (a)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도메인 또는 시간 도메인에서의 부호화 결과를 입력받는 단계;(b)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부호화 결과에 포함된 부호화된 비트플레인을 문맥을 기반으로 복호화하고 역양자화하는 단계;(c) 상기 시간 도메인에서의 부호화 결과를 시간 도메인에서 복호화하는 단계;(d) 상기 (b) 단계에서 역양자화된 신호 또는 상기 (c) 단계에서 복호화된 신호에 대하여 역 FV-MLT를 수행하여 시간 도메인으로 변환하는 단계;(e) 상기 변환된 신호를 주파수 도메인 또는 시간/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는 단계;(f) 상기 부호화 결과에 포함된 부호화된 대역폭 확장 정보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대역폭 확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주파수 도메인 또는 시간/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된 신호로부터 전 대역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g) 상기 부호화 결과에 포함된 부호화된 스테레오 파라미터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스테레오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복호화된 신호를 업믹싱하는 단계; 및(h) 상기 업믹싱된 신호를 시간 도메인으로 역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복호화 방법.
- 제25항의 오디오 신호의 복호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 (a)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도메인 또는 시간 도메인에서의 부호화 결과를 입력받는 단계;(b)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부호화 결과에 포함된 부호화된 비트플레인을 문맥을 기반으로 복호화하고 역양자화하는 단계;(c) 상기 시간 도메인에서의 부호화 결과를 시간 도메인에서 복호화하는 단계;(d) 상기 (c) 단계에서 복호화된 신호에 대하여 MDCT를 수행하여 시간 도메인에서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는 단계;(e)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부호화 결과에 포함된 부호화된 대역폭 확장 정보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대역폭 확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복호화된 신호 또는 상기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된 신호로부터 전 대역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f) 상기 부호화 결과에 포함된 부호화된 스테레오 파라미터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스테레오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복호화된 신호를 업믹싱하는 단계; 및(g) 상기 업믹싱된 신호에 대하여 역 FV-MLT를 적용하여 시간 도메인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복호화 방법.
- 제27항의 오디오 신호의 복호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 입력 신호에서 스테레오 파라미터를 추출하여 부호화하고, 상기 입력 신호를 다운믹싱하는 스테레오 부호화부;상기 다운믹싱된 신호를 고주파수 밴드 신호 및 저주파수 밴드 신호로 분할하는 밴드 분할부;상기 고주파수 밴드 신호 및 상기 저주파수 밴드 신호를 각각 시간 도메인에서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는 변환부;상기 변환된 저주파수 밴드 신호를 양자화하여 문맥을 기반으로 비트플레인으로 부호화하는 저주파수 밴드 부호화부; 및상기 변환된 저주파수 밴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변환된 고주파수 밴드 신호의 특성을 나타내는 대역폭 확장 정보를 생성하여 부호화하는 대역폭 확장 부호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장치.
- 입력 신호에서 스테레오 파라미터를 추출하여 부호화하고, 상기 입력 신호를 다운믹싱하는 스테레오 부호화부;상기 다운믹싱된 신호를 고주파수 밴드 신호 및 저주파수 밴드 신호로 분할하는 밴드 분할부;상기 저주파수 밴드 신호에 대하여 MDCT를 수행하여 시간 도메인에서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는 MDCT 적용부;상기 MDCT가 수행된 신호를 양자화하여 문맥을 기반으로 비트플레인으로 부 호화하는 저주파수 밴드 부호화부;상기 고주파수 밴드 신호 및 상기 저주파수 밴드 신호를 각각 시간 도메인에서 주파수 도메인 또는 시간/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상기 변환된 저주파수 밴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변환된 고주파수 밴드 신호의 특성을 나타내는 대역폭 확장 정보를 생성하여 부호화하는 대역폭 확장 부호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장치.
- 입력 신호에서 스테레오 파라미터를 추출하여 부호화하고, 상기 입력 신호를 다운믹싱하는 스테레오 부호화부;상기 다운믹싱된 신호를 고주파수 밴드 신호 및 저주파수 밴드 신호로 분할하는 밴드 분할부;상기 저주파수 밴드 신호를 시간 도메인에서 부호화할지 주파수 도메인에서 부호화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모드 결정부;상기 저주파수 밴드 신호를 시간 도메인에서 부호화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저주파수 밴드 신호를 CELP 방식에 따라 부호화하는 CELP 부호화부;상기 저주파수 밴드 신호를 주파수 도메인에서 부호화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저주파수 밴드 신호에 대하여 MDCT를 수행하여 상기 저주파수 밴드 신호를 시간 도메인에서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는 MDCT 적용부;상기 MDCT가 수행된 저주파수 밴드 신호를 양자화하여 문맥을 기반으로 비트플레인으로 부호화하는 저주파수 밴드 부호화부;상기 저주파수 밴드 신호 및 상기 고주파수 밴드 신호를 각각 시간 도메인에서 주파수 도메인 또는 시간/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상기 변환된 저주파수 밴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변환된 고주파수 밴드 신호의 특성을 나타내는 대역폭 확장 정보를 생성하여 부호화하는 대역폭 확장 부호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장치.
- 제31항에 있어서,상기 변환부는상기 저주파수 밴드 신호 및 상기 고주파수 밴드 신호에 대하여 각각 MDCT를 수행하여 시간 도메인에서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고,상기 저주파수 밴드 신호를 주파수 도메인에서 부호화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저주파수 밴드 신호에 대한 출력을 상기 MDCT 적용부에서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된 신호로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장치.
- 입력 신호를 시간 도메인에서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는 변환부;상기 변환된 신호에서 스테레오 파라미터를 추출하여 부호화하고, 상기 변환된 신호를 다운믹싱하는 스테레오 부호화부;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에서 대역폭 확장 정보를 추출하여 부호화하는 대역폭 확장 부호화부;상기 다운믹싱된 신호를 시간 도메인으로 역변환하는 역변환부;상기 역변환된 신호를 시간 도메인에서 부호화할지 주파수 도메인에서 부호화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모드 결정부;상기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역변환된 신호에 대하여 FV-MLT를 적용하여 서브 밴드 별로 시간 도메인 또는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는 FV-MLT 적용부;상기 역변환된 신호를 시간 도메인에서 부호화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시간 도메인으로 변환된 신호를 CELP 방식에 따라 부호화하는 CELP 부호화부; 및상기 역변환된 신호를 주파수 도메인으로 부호화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된 신호를 양자화하여 문맥을 기반으로 비트플레인으로 부호화하는 주파수 도메인 부호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장치.
- 입력 신호를 시간 도메인에서 부호화할지 주파수 도메인에서 부호화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모드 결정부;상기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 신호에 대하여 FV-MLT를 적용하여 서브 밴드 별로 시간 도메인 또는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는 FV-MLT 적용부;상기 변환된 신호에서 스테레오 파라미터를 추출하여 부호화하고, 상기 변환된 신호를 다운믹싱하는 스테레오 부호화부;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에서 대역폭 확장 정보를 추출하여 부호화하는 대역폭 확장 부호화부;상기 다운믹싱된 신호가 시간 도메인에서 부호화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 기 다운믹싱된 신호를 CELP 방식에 따라 부호화하는 CELP 부호화부; 및상기 다운믹싱된 신호가 주파수 도메인에서 부호화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를 양자화하여 문맥을 기반으로 비트플레인으로 부호화하는 주파수 도메인 부호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장치.
- 부호화된 비트플레인을 문맥을 기반으로 복호화하고 역양자화하여 저주파수 밴드 신호를 생성하는 저주파수 밴드 복호화부;부호화된 대역폭 확장 정보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대역폭 확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저주파수 밴드 신호로부터 고주파수 밴드 신호를 생성하는 대역폭 확장 복호화부;상기 저주파수 밴드 신호 및 상기 고주파수 밴드 신호 각각에 대하여 역 MDCT를 수행하여 주파수 도메인에서 시간 도메인으로 변환하는 역 MDCT 적용부;상기 변환된 저주파수 밴드 신호 및 상기 변환된 고주파수 밴드 신호를 합성하는 밴드 합성부; 및부호화된 스테레오 파라미터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스테레오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합성된 신호를 업믹싱하는 스테레오 복호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복호화 장치.
- 제35항에 있어서,상기 저주파수 밴드 복호화부는상기 역양자화된 신호를 멀티-레졸루션으로 합성하는 멀티-레졸루션 합성부; 및벡터 인덱스를 이용하여 부호화단에서 주파수 선형 예측이 수행된 결과를 상기 역양자화된 신호 또는 상기 멀티-레졸루션으로 합성된 신호에 합성하는 역 주파수 선형 예측 수행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복호화 장치.
- 부호화된 비트플레인을 문맥을 기반으로 복호화하고 역양자화하여 저주파수 밴드 신호를 생성하는 저주파수 밴드 복호화부;상기 저주파수 밴드 신호에 대하여 역 MDCT를 수행하여 주파수 도메인에서 시간 도메인으로 변환하는 역 MDCT 적용부;상기 역 MDCT가 수행된 저주파수 밴드 신호를 주파수 도메인 또는 시간/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는 변환부;부호화된 대역폭 확장 정보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대역폭 확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주파수 도메인 또는 시간/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된 저주파수 밴드 신호로부터 고주파수 밴드 신호를 생성하는 대역폭 확장 복호화부;상기 생성된 고주파수 밴드 신호를 시간 도메인으로 역변환하는 역변환부;상기 역변환된 고주파수 밴드 신호 및 상기 변환된 저주파수 밴드 신호를 합성하는 밴드 합성부; 및부호화된 스테레오 파라미터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스테레오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합성된 신호를 업믹싱하는 스테레오 복호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복호화 장치.
- 주파수 도메인에서 부호화된 비트플레인을 문맥을 기반으로 복호화하고 역양자화하여 저주파수 밴드 신호를 생성하는 저주파수 밴드 복호화부;상기 저주파수 밴드 신호에 대하여 역 MDCT를 수행하여 시간 도메인으로 역변환하는 역 MDCT 적용부;상기 역 MDCT가 수행된 신호를 주파수 도메인 또는 시간/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는 변환부;주파수 도메인에서 부호화된 대역폭 확장 정보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대역폭 확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주파수 도메인 또는 시간/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된 신호로부터 고주파수 밴드 신호를 생성하는 대역폭 확장 복호화부;상기 생성된 고주파수 밴드 신호를 시간 도메인으로 역변환하는 역변환부;시간 도메인에서 부호화된 CELP 부호화 정보를 복호화하여 상기 저주파수 밴드 신호를 생성하는 CELP 복호화부;상기 역 MDCT가 수행된 신호, 상기 역변환된 고주파수 밴드 신호 및 상기 CELP 방식으로 생성된 저주파수 밴드 신호를 합성하는 밴드 합성부; 및부호화된 스테레오 파라미터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스테레오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합성된 신호를 업믹싱하는 스테레오 복호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복호화 장치.
- 주파수 도메인에서 부호화된 비트플레인을 문맥을 기반으로 복호화하고 역양자화하는 주파수 도메인 복호화부;시간 도메인에서 부호화된 CELP 부호화 정보를 복호화하는 CELP 복호화부;상기 주파수 도메인 복호화부 또는 상기 CELP 복호화부에서 복호화된 신호에 대하여 역 FV-MLT를 수행하여 시간 도메인으로 변환하는 역 FV-MLT 적용부;상기 변환된 신호를 주파수 도메인 또는 시간/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는 변환부;부호화된 대역폭 확장 정보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대역폭 확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주파수 도메인 또는 시간/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된 신호로부터 전 대역의 신호를 생성하는 대역폭 확장 복호화부;부호화된 스테레오 파라미터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스테레오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신호를 업믹싱하는 스테레오 복호화부; 및상기 업믹싱된 신호를 시간 도메인으로 역변환하는 역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복호화 장치.
- 주파수 도메인에서 부호화된 비트플레인을 문맥을 기반으로 복호화하고 역양자화하는 주파수 도메인 복호화부;시간 도메인에서 부호화된 CELP 부호화 정보를 복호화하는 CELP 복호화부;상기 CELP 복호화부에서 출력된 신호에 대하여 MDCT를 수행하여 시간 도메인에서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는 MDCT 적용부;부호화된 대역폭 확장 정보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대역폭 확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주파수 도메인 복호화부에서 출력된 신호 또는 상기 MDCT 적용부에서 출력된 신호로부터 전 대역의 신호를 생성하는 대역폭 확장 복호화부;부호화된 스테레오 파라미터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스테레오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신호를 업믹싱하는 스테레오 복호화부; 및상기 업믹싱된 신호에 대하여 역 FV-MLT를 적용하여 시간 도메인으로 변환하는 역 FV-MLT 적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복호화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07/004653 WO2008035949A1 (en) | 2006-09-22 | 2007-09-21 | Method, medium, and system encoding and/or decoding audio signals by using bandwidth extension and stereo coding |
CN200780035230XA CN101518083B (zh) | 2006-09-22 | 2007-09-21 | 通过使用带宽扩展和立体声编码对音频信号编码和/或解码的方法和系统 |
US11/902,650 US20080077412A1 (en) | 2006-09-22 | 2007-09-24 | Method, medium, and system encoding and/or decoding audio signals by using bandwidth extension and stereo cod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92459 | 2006-09-22 | ||
KR20060092459 | 2006-09-2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27129A true KR20080027129A (ko) | 2008-03-26 |
KR101435893B1 KR101435893B1 (ko) | 2014-09-02 |
Family
ID=39414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86337A Expired - Fee Related KR101435893B1 (ko) | 2006-09-22 | 2007-08-28 | 대역폭 확장 기법 및 스테레오 부호화 기법을 이용한오디오 신호의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435893B1 (ko) |
CN (1) | CN101518083B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06723A (ko) * | 2009-01-16 | 2013-01-17 | 돌비 인터네셔널 에이비 | 외적 향상 고조파 전치 |
US8976970B2 (en) | 2010-09-16 | 2015-03-1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bandwidth extension for multi-channel audio |
KR20160060021A (ko) * | 2009-01-28 | 2016-05-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
US10276174B2 (en) | 2010-04-09 | 2019-04-30 | Dolby International Ab | MDCT-based complex prediction stereo coding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284955B2 (en) | 2006-02-07 | 2012-10-09 | Bongiovi Acoustics Llc |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signal processing |
US10158337B2 (en) | 2004-08-10 | 2018-12-18 | Bongiovi Acoustics Llc |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signal processing |
US10848118B2 (en) | 2004-08-10 | 2020-11-24 | Bongiovi Acoustics Llc |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signal processing |
US11431312B2 (en) | 2004-08-10 | 2022-08-30 | Bongiovi Acoustics Llc |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signal processing |
US10701505B2 (en) | 2006-02-07 | 2020-06-30 | Bongiovi Acoustics Llc. |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digitally processing a head related audio transfer function |
US10848867B2 (en) | 2006-02-07 | 2020-11-24 | Bongiovi Acoustics Llc |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signal processing |
EP2981960B1 (en) * | 2013-04-05 | 2019-03-13 | Dolby International AB | Stereo audio encoder and decoder |
TWI546799B (zh) | 2013-04-05 | 2016-08-21 | 杜比國際公司 | 音頻編碼器及解碼器 |
US9883318B2 (en) | 2013-06-12 | 2018-01-30 | Bongiovi Acoustics Llc | System and method for stereo field enhancement in two-channel audio systems |
EP2830051A3 (en) * | 2013-07-22 | 2015-03-04 |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 Audio encoder, audio decoder,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using jointly encoded residual signals |
CN105556597B (zh) * | 2013-09-12 | 2019-10-29 | 杜比国际公司 | 多声道音频内容的编码和解码 |
US9906858B2 (en) | 2013-10-22 | 2018-02-27 | Bongiovi Acoustics Llc |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signal processing |
US10820883B2 (en) | 2014-04-16 | 2020-11-03 | Bongiovi Acoustics Llc | Noise reduction assembly for auscultation of a body |
CN106960672B (zh) * | 2017-03-30 | 2020-08-21 | 国家计算机网络与信息安全管理中心 | 一种立体声音频的带宽扩展方法与装置 |
CN109599123B (zh) * | 2017-09-29 | 2021-02-09 | 中国科学院声学研究所 | 基于遗传算法优化模型参数的音频带宽扩展方法及系统 |
WO2019200119A1 (en) | 2018-04-11 | 2019-10-17 | Bongiovi Acoustics Llc | Audio enhanced hearing protection system |
CN110728986B (zh) | 2018-06-29 | 2022-10-18 | 华为技术有限公司 | 立体声信号的编码方法、解码方法、编码装置和解码装置 |
US10959035B2 (en) | 2018-08-02 | 2021-03-23 | Bongiovi Acoustics Llc |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digitally processing a head related audio transfer function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68319B1 (ko) * | 2004-12-07 | 2007-01-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오디오 신호의 변환방법 및 장치와 오디오 신호에적응적인 부호화방법 및 장치, 오디오 신호의 역변환 방법및 장치와 오디오 신호에 적응적인 복호화 방법 및 장치 |
-
2007
- 2007-08-28 KR KR1020070086337A patent/KR101435893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09-21 CN CN200780035230XA patent/CN101518083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06723A (ko) * | 2009-01-16 | 2013-01-17 | 돌비 인터네셔널 에이비 | 외적 향상 고조파 전치 |
US12165666B2 (en) | 2009-01-16 | 2024-12-10 | Dolby International Ab | Cross product enhanced harmonic transposition |
US9799346B2 (en) | 2009-01-16 | 2017-10-24 | Dolby International Ab | Cross product enhanced harmonic transposition |
US10192565B2 (en) | 2009-01-16 | 2019-01-29 | Dolby International Ab | Cross product enhanced harmonic transposition |
US12119011B2 (en) | 2009-01-16 | 2024-10-15 | Dolby International Ab | Cross product enhanced harmonic transposition |
US11935551B2 (en) | 2009-01-16 | 2024-03-19 | Dolby International Ab | Cross product enhanced harmonic transposition |
US11682410B2 (en) | 2009-01-16 | 2023-06-20 | Dolby International Ab | Cross product enhanced harmonic transposition |
US11031025B2 (en) | 2009-01-16 | 2021-06-08 | Dolby International Ab | Cross product enhanced harmonic transposition |
US10586550B2 (en) | 2009-01-16 | 2020-03-10 | Dolby International Ab | Cross product enhanced harmonic transposition |
KR20160060021A (ko) * | 2009-01-28 | 2016-05-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
US9466308B2 (en) | 2009-01-28 | 2016-10-1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an audio signal and apparatus for same |
US10475460B2 (en) | 2010-04-09 | 2019-11-12 | Dolby International Ab | Audio downmixer operable in prediction or non-prediction mode |
US11217259B2 (en) | 2010-04-09 | 2022-01-04 | Dolby International Ab | Audio upmixer operable in prediction or non-prediction mode |
US10553226B2 (en) | 2010-04-09 | 2020-02-04 | Dolby International Ab | Audio encoder operable in prediction or non-prediction mode |
US10586545B2 (en) | 2010-04-09 | 2020-03-10 | Dolby International Ab | MDCT-based complex prediction stereo coding |
US10360920B2 (en) | 2010-04-09 | 2019-07-23 | Dolby International Ab | Audio upmixer operable in prediction or non-prediction mode |
US10734002B2 (en) | 2010-04-09 | 2020-08-04 | Dolby International Ab | Audio upmixer operable in prediction or non-prediction mode |
US10347260B2 (en) | 2010-04-09 | 2019-07-09 | Dolby International Ab | MDCT-based complex prediction stereo coding |
US10475459B2 (en) | 2010-04-09 | 2019-11-12 | Dolby International Ab | Audio upmixer operable in prediction or non-prediction mode |
US11264038B2 (en) | 2010-04-09 | 2022-03-01 | Dolby International Ab | MDCT-based complex prediction stereo coding |
US10283127B2 (en) | 2010-04-09 | 2019-05-07 | Dolby International Ab | MDCT-based complex prediction stereo coding |
US11810582B2 (en) | 2010-04-09 | 2023-11-07 | Dolby International Ab | MDCT-based complex prediction stereo coding |
US10283126B2 (en) | 2010-04-09 | 2019-05-07 | Dolby International Ab | MDCT-based complex prediction stereo coding |
US10276174B2 (en) | 2010-04-09 | 2019-04-30 | Dolby International Ab | MDCT-based complex prediction stereo coding |
US12322399B2 (en) | 2010-04-09 | 2025-06-03 | Dolby International Ab | MDCT-based complex prediction stereo coding |
US8976970B2 (en) | 2010-09-16 | 2015-03-1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bandwidth extension for multi-channel audio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518083B (zh) | 2012-11-14 |
CN101518083A (zh) | 2009-08-26 |
KR101435893B1 (ko) | 2014-09-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35893B1 (ko) | 대역폭 확장 기법 및 스테레오 부호화 기법을 이용한오디오 신호의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 |
JP6208725B2 (ja) | 帯域幅拡張復号化装置 | |
JP6170520B2 (ja) | オーディオ及び/またはスピーチ信号符号化及び/または復号化方法及び装置 | |
KR101346358B1 (ko) | 대역폭 확장 기법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복호화방법 및 장치 | |
KR101373004B1 (ko) | 고주파수 신호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및 방법 | |
JP6321797B2 (ja) | 符号化装置、符号化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
KR101393298B1 (ko) | 적응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 |
KR101411901B1 (ko) |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 |
WO2013168414A1 (ja) | 音信号ハイブリッドエンコーダ、音信号ハイブリッドデコーダ、音信号符号化方法、及び音信号復号方法 | |
KR20080053739A (ko) | 적응적으로 윈도우 크기를 적용하는 부호화 장치 및 방법 | |
JP5629319B2 (ja) | スペクトル係数コーディングの量子化パラメータを効率的に符号化する装置及び方法 | |
KR20090013571A (ko) | 변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 |
KR101457897B1 (ko) | 대역폭 확장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장치 | |
KR101434206B1 (ko) | 신호 복호화 장치 | |
KR101434209B1 (ko) | 오디오/스피치 신호 부호화장치 | |
KR101434207B1 (ko) | 오디오/스피치 신호 부호화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2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8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8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3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8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8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