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7040A - Method for generating content for sharing content and apparatus therefor - Google Patents
Method for generating content for sharing content and apparatus theref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27040A KR20080027040A KR1020060092450A KR20060092450A KR20080027040A KR 20080027040 A KR20080027040 A KR 20080027040A KR 1020060092450 A KR1020060092450 A KR 1020060092450A KR 20060092450 A KR20060092450 A KR 20060092450A KR 20080027040 A KR20080027040 A KR 2008002704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ent
- advertisement
- sharing
- information
- receiv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e (AREA)
- Multimedia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저작권 관리에 관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컨텐츠 공유를 위한 컨텐츠 생성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받은 컨텐츠를 이용하여 공유를 위한 컨텐츠를 생성할 것인지 여부가 결정되면, 소정의 광고데이터를 상기 컨텐츠에 삽입하고, 그 광고데이터가 삽입된 컨텐츠에 대하여, 광고를 시청하지 않으면 컨텐츠를 사용할 수 없도록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는 정당하게 제3자와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고, 컨텐츠 제공자는 새로운 광고주를 유치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ontent for content sh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o generate content for sharing using the received content and to use the received content, the present invention inserts predetermined advertisement data into the content, and provides an advertisement for the content into which the advertisement data is inserted. By performing the processing so that the content cannot be used without viewing, the user can legitimately share the content with the third party, and the content provider can attract new advertisers.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공유를 위한 컨텐츠 생성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ontent generating device for sharing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보호부의 동작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operation of a content prote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보호부의 동작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operation of the content prote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공유를 위한 컨텐츠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generation method for content sh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공유를 위한 컨텐츠 생성 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ontent generation method for content sh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디지털 저작권 관리에 관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컨텐츠 공유를 위한 컨텐츠 생성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ontent for content sharing.
온라인 커뮤니티, 전자 상거래 등을 중심으로 인터넷 비즈니스가 활기를 띠고 있는 가운데, 대부분의 온라인 컨텐츠(content) 제공자들은 사용자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다양한 컨텐츠들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컨텐츠들은 텍스트 뿐만 아니라, 음악, 이미지,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인터넷 방송, 교육, 뉴스, 스포츠, 여행정보, 전문가의 컨설팅 등 셀 수 없을 만큼의 다양한 분야로 적용되어 가상 공간에서 새로운 서비스들을 창출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컨텐츠는 기존의 아날로그 컨텐츠와 비교할 때 생성, 가공, 유통, 분배 등의 측면에서 많은 장점을 갖고 있으며 원본과 동일한 복사본을 쉽게 만들어낼 수 있는 특징으로 인해 디지털 창작물에 대한 저작권 보호 문제가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게 되었다.As the Internet business is booming around the online community and electronic commerce, most online content providers provide various contents that can induce interest and interest of users. These contents are mainly composed of not only text but also multimedia such as music, images and videos, and various multimedia data are applied to countless fields such as internet broadcasting, education, news, sports, travel information, and consulting of experts. It is creating new services in the virtual space. These digital contents have many advantages in terms of creation, processing, distribution, distribution, etc. compared to the existing analog contents, and the copyright protection for digital creations is a serious problem due to the ability to easily make the same copy as the original. It came to mind.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시스템은 디지털 자산에 대한 권리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메커니즘으로서, 컨텐츠 무단 복제를 막는 것은 물론이고 컨텐츠가 생성되어 출판, 유통되고 사용되기까지의 과정에 대한 일련의 보호 및 관리 체계를 제공한다. DRM 시스템은, 디지털 컨텐츠가 항상 암호화된 상태로 존재하여 인증된 사용자만이 순간적으로 복호화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컨텐츠가 복제되더라도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는 사용할 수 없도록 제어함으로써 불법 복제를 방지할 수 있다.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systems are mechanisms for the safeguarding and systematic management of rights to digital assets, preventing the unauthorized copying of content, as well as the process of creating, publishing, distributing and using content. Provide protection and management systems. The DRM system can prevent illegal copying by allowing digital contents to always be encrypted so that only authenticated users can decrypt and use them instantaneously. .
이러한 DRM 시스템은,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지속적인 보호가 가능하고 다양한 사용 규칙을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DRM 기술이 적용된 컨텐츠 일지라도 기존의 디지털 정보가 유통되던 배포 및 이용 방식을 그대로 수용할 수 있어야 하며 DRM의 기술적 보호 조치는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어서는 안된다. 한편, 사용자는 점점 보다 다양하고 많은 컨텐츠를 제공받기를 원하며 저비용 또는 요금 부담없이 DRM 컨텐츠를 제공받기를 원한다. Such a DRM system should be able to continuously protect digital content and apply various usage rules. Even if the content is applied with DRM technology, it must be able to accept the distribution and use method of the existing digital information as it is, and the technical protection measures of DRM should not inconvenience users. On the other hand, users want to be provided with more and more diverse and more content, and want to be provided with DRM content without low cost or charge.
따라서 일반적인 DRM 시스템은 요금 부담없이 DRM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었는바, 종래 기술은 컨텐츠 제공자가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면서 광고를 함께 삽입하여 제공하여, 사용자가 그 광고를 시청하면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조건을 부과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요금 부담 없는 컨텐츠의 사용을 보장하였다.Therefore, a general DRM system required a method for providing DRM contents to a user at no cost. The conventional technology provides content providers by inserting advertisements together while providing digital contents. By imposing a condition that allows the use of the user, the use of content that does not pay a fee is guaranteed.
하지만, 종래의 기술은 컨텐츠를 제공받은 사용자가 그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는 권리는 인정되었지만, 이를 제3자에게 배포할 권리는 인정되지 않아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컨텐츠를 공유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related art has a problem in that a user who has provided a content has a right to use the content, but a right to distribute the content to a third party is not recognized, and thus the user cannot share the content.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받은 컨텐츠에 광고를 삽입하여 배포함으로써 사용자는 정당하게 제3자와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고, 컨텐츠 제공자는 새로운 광고주를 유치할 수 있는 컨텐츠 공유를 위한 컨텐츠 생성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serting and distributing an advertisement in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content provider, the user can legitimately share the content with a third party, the content provider can create a content for content sharing to attract new advertisers And a device thereof.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공유를 위한 컨텐츠 생성 방법은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받은 컨텐츠를 이용하여 공유를 위한 컨텐츠를 생성할 것인지 여부가 결정되는 단계; 상기 공유를 위한 컨텐츠를 생성하기 로 결정되면, 소정의 광고데이터를 상기 컨텐츠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광고데이터가 삽입된 컨텐츠에 대하여, 상기 광고를 시청하지 않으면 상기 컨텐츠를 사용할 수 없도록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Content generation method for content sh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content; Determining whether to generate content for sharing using the received content; If it is determined to generate the content for sharing, inserting predetermined advertisement data into the content; And processing the content into which the advertisement data is inserted so that the content cannot be used unless the advertisement is view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암호화 또는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기술을 이용하여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tep of performing the processin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ing is performed using encryption or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technology.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수신한 제3자가 상기 컨텐츠를 사용하게 되면 상기 사용 사실을 광고주에게 통지하기 위한 정보, 상기 컨텐츠에 광고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 광고주에 관한 정보, 광고가 삽입될 위치 및 형태에 관한 정보 , 광고의 길이 및 유효기간에 관한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Preferably, the content includes information for notifying an advertiser of the use of the content when a third party receiving the content from the user uses the content, information about whether an advertisement is included in the content, and an advertiser. At least one or more of information, information about a location and form in which an advertisement is to be inserted, and information about a length and an expiration date of the advertisement.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공유를 위한 컨텐츠 생성 장치는 컨텐츠를 수신하는 수신부; 공유를 위한 컨텐츠를 생성하기로 결정되면, 소정의 광고데이터를 상기 컨텐츠에 삽입하는 광고 삽입부; 및 상기 광고데이터가 삽입된 컨텐츠에 대하여, 상기 광고를 시청하지 않으면 상기 컨텐츠를 사용할 수 없도록 처리를 수행하는 컨텐츠 보호부를 포함한다.Content generating apparatus for content sh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content; An advertisement insertion unit for inserting predetermined advertisement data into the contents when it is determined to generate contents for sharing; And a content protection unit for processing the content into which the advertisement data is inserted so that the content cannot be used unless the advertisement is view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 보호부는 암호화 또는 DRM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content protection unit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processing by using encryption or DRM technology.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공유를 위한 컨텐츠 생성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ontent generating device for sharing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공유를 위한 컨텐츠 생성 장치는 수신부(110), 광고 삽입부(120) 및 컨텐츠 보호부(1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content generating apparatus for sharing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수신부(110)는 컨텐츠를 수신한다.The
이때, 컨텐츠는 메타데이터 및 광고 데이터가 삽입된 형태로 수신될 수도 있고, 컨텐츠, 메타데이터, 광고 데이터가 각각 별개로 수신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content may be received in a form in which metadata and advertisement data are inserted, or the content, metadata, and advertisement data may be separately received.
이때, 컨텐츠는 사용자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한 제3자가 그 컨텐츠를 사용하게 되면, 그 사용 사실을 광고주에게 통지하기 위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ent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for notifying the advertiser of the use when the third party who has received the content from the user uses the content.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공유를 위한 컨텐츠를 생성하여 제3자에게 제공하여, 제3자가 그 컨텐츠를 사용하게 되면 그와 같은 컨텐츠의 사용사실을 광고주에게 통지할 수 있도록 url 또는 ID 정보 등이 컨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More specifically, the user generates content for sharing and provides it to a third party, so that when the third party uses the content, url or ID information or the like can be notified to the advertiser about the use of such content. It is included in this content.
따라서, 제3자가 그 광고가 삽입된 컨텐츠를 사용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미리 설정된 url 등에 그 광고가 노출되었음이 통지되어, 광고주가 광고가 삽입된 컨텐츠의 사용사실을 알게된다. 이때, 컨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url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통지하는 과정은 별도의 프로그램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사용 사실을 광고주에게 통지하기 위한 정보는 url, ID 정보에 한정되지 않고 광고주가 그 사용 사실을 인지할 수 있게 하는 모든 정보를 포함한다. Therefore, when the third party uses the content in which the advertisement is inserted, the advertisement is automatically notified that the advertisement has been exposed to a preset url or the like, so that the advertiser knows the use of the content in which the advertisement is inserted. In this case, the process of notifying based on information such as url included in the content may be implemented by a separate program. However, the information for notifying the advertiser of the use is not limited to url and ID information, but includes all information that enables the advertiser to recognize the use.
이와 같이 제3자의 컨텐츠 사용사실을 광고주에게 통지하는 이유는 광고주가 자신의 광고가 노출된 횟수에 따라 그 컨텐츠 사용을 위한 요금을 대신 지불하여야 하므로, 광고주가 그 광고의 노출 횟수 및 자신의 광고가 사용된 컨텐츠가 무엇인지를 알고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As such, the reason for notifying the advertiser of the use of the content of the third party is that the advertiser has to pay a fee for using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advertisement is exposed, so that the advertiser is not able to This is because you need to know what content is used.
한편, 각각의 메타데이터, 컨텐츠, 광고 데이터는 동일한 채널을 통하여 수신될 수도 있고, 또는 다른 다양한 채널을 통하여 수신될 수 있다. Meanwhile, each metadata, content, and advertisement data may be received through the same channel, or may be received through various other channels.
예컨대, 메타데이터, 컨텐츠, 광고 데이터는 i) 방송 채널 또는 ii) 광고 채널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수신되는 채널별로 메타데이터에 포함되는 정보가 달라질 수 있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For example, metadata, content, and advertisement data may be received from i) a broadcast channel or ii) an advertising channel.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etadata may vary for each received channel,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i)의 경우에는 컨텐츠 또는 메타 데이터가 컨텐츠의 장르, 전체 길이 및 시간과 같은 컨텐츠 자체에 대한 정보, 컨텐츠에 광고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광고주의 정보, 컨텐츠 발급자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i), the content or metadata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itself, such as the genre, total length and time of the content, information about whether or not the content contains advertisements, advertiser information, information publisher information, etc. Can be.
또한 ii)의 경우에는 컨텐츠 또는 메타 데이터가 광고주, 광고가 삽입될 위치 및 형태, 광고의 길이 및 유효기간, 광고가 삽입되기를 원하는 컨텐츠의 장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ii), the content or metadata may include an advertiser, a location and form in which an advertisement is to be inserted, a length and an expiration date of the advertisement, and a genre of content desired to be inserted.
다만, 메타데이터, 컨텐츠, 광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채널은 방송 채널 또는 광고 채널에 한정되지 않는다. However, a channel capable of receiving metadata, content, and advertisement data is not limited to a broadcast channel or an advertisement channel.
메타데이터는 수신되는 것 외에도, TV 또는 셋탑박스를 통하여 컨텐츠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TV 또는 셋탑박스에서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메타데이터의 경우에는 저장한 사용자의 정보, 저장한 장치 등에 대한 정보 또는 광고가 삽입되는 경우에는 삽입된 광고에 대한 부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being received, the metadata may be generated in each TV or set-top box when generating content through the TV or set-top box. The metadata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stored user, information about the stored device, or the like, or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inserted advertisement when the advertisement is inserted.
광고 삽입부(120)는 공유를 위한 컨텐츠를 생성하기로 결정되면, 소정의 광 고데이터를 컨텐츠에 삽입한다.When the
컨텐츠를 수신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혼자만 시청하기 위하여 저장을 하는 방식 또는 3자에게 배포하기 위하여 저장을 하는 방식 중에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때 리모콘 또는 그 밖의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두 방식 중에 하나를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하게 된다. Upon receiving the content, the user can choose between storing for viewing only by the user or storing for distributing to a third party. At this time, the user inputs a command for selecting one of two methods by using a remote controller or other input means.
만약에 혼자만 시청하기 위한 저장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컨텐츠에 별도의 처리를 거칠 필요없이 그대로 저장하여 사용자가 시청하기를 원하는 때마다 저장된 컨텐츠를 재생하여 시청하면 된다. 하지만, 배포를 하기 위하여, 즉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저장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수신한 컨텐츠에 광고를 삽입하여야 한다. If the user selects the storage for viewing alone, the user can store the contents without any additional processing and play the stored contents whenever the user wants to watch the contents. However, in order to distribute, that is, when selecting storage for sharing content, an advertisement must be inserted in the received content.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공유를 위한 컨텐츠 생성 장치는 컨텐츠 등의 저장을 위하여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content generating device for content sh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for storing content.
한편, 컨텐츠는 광고가 삽입된 채로 수신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수신된 컨텐츠는 광고가 삽입되지 않은 컨텐츠와 광고가 삽입된 컨텐츠로 분류될 수 있다. 이때, 컨텐츠에 광고가 삽입되었는지 여부는 메타데이터 내의 광고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한다. Meanwhile, the content may be received with an advertisement inserted. Accordingly, the received content may be classified into content without an advertisement and content with an advertisement. In this case, whether the advertisement is inserted into the content is determined based on information on whether the advertisement is included in the metadata.
광고 삽입부(120)는 수신된 컨텐츠가 광고가 삽입되지 않은 컨텐츠인 경우에는 컨텐츠에 대한 별도의 분석을 거치지 않고 광고를 삽입한다. The
하지만, 수신된 컨텐츠가 광고가 삽입된 컨텐츠인 경우에는 광고 삽입부(120)는 기존에 삽입되어 있는 광고가 컨텐츠의 어느 위치(시간)에 어떤 형태로 삽입되어 있는지를 분석한 후, 이에 기초하여 새로운 광고를 삽입하게 된다. 예컨 대, 광고가 삽입된 위치를 피하여 적절한 시간 간격을 두고 새로운 광고를 삽입하거나 기존에 삽입되어 있던 광고의 위치에 겹쳐지도록 광고를 삽입할 수 있다. 이때 광고의 삽입 위치 및 형태 등에 관해서는 컨텐츠 제공자가 결정하여 메타데이터에 그 정보를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송신하게 된다. However, if the received content is the content into which the advertisement is inserted, the
이와 같이 광고가 삽입된 채로 수신된 컨텐츠에 대하여 다시 한번 광고를 삽입하는 이유는 기존에 삽입된 광고는 컨텐츠 제공자가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에 있어 필요한 비용을 낮추거나, 사용자에게 컨텐츠 사용을 무료로 제공하기 위하여 삽입된 것이어서, 그 컨텐츠를 배포하기 위한 비용까지 지불한 것으로 볼 수는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존에 광고가 삽입된 컨텐츠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광고를 더 삽입하거나 기존의 삽입된 광고를 다른 광고로 바꿔 삽입하여야만 사용자는 수신한 컨텐츠를 배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s such, the reason for inserting the advertisement once again for the received content with the advertisement inserted is that the existing inserted advertisement provides a content provider to lower the cost of using the user's content or provide the user with the use of the content free of charge. This is because it is inserted for the purpose of distributing the contents, and it does not appear to be paid for distributing the contents. Therefore, the user can distribute the received content only by additionally inserting an advertisement or inserting an existing inserted advertisement into another advertisement with respect to the content in which the advertisement is inserted.
컨텐츠 보호부(130)는 광고데이터가 삽입된 컨텐츠에 대하여, 광고를 시청하지 않으면 컨텐츠를 사용할 수 없도록 처리를 수행한다.The
이때, 컨텐츠 보호부(130)는 암호화 또는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기술을 이용하여 이와 같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이하에서는 암호화 또는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기술을 이용한 컨텐츠 보호부(130)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of th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보호부의 동작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operation of a content prote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02 단계에서는, 광고가 삽입된 컨텐츠(C)에 대하여 각각의 광고 데이 터(C1), 컨텐츠(C2)를 암호화한다.In
204 단계에서는, 광고 데이터(C1)를 복호화하기 위한 키(K1)를 랜덤하게 생성한후, 광고가 삽입된 컨텐츠(C)의 헤더 또는 라이센스 부분에 삽입하여 보호된 컨텐츠(C)를 생성한다. In
206 단계에서는, 보호된 컨텐츠(C)의 헤더 또는 라이센스로부터 광고 데이터(C1)를 복호화하기 위한 키(K1)를 추출한다. In
208 단계에서는, 추출된 복호화키(K1)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광고데이터(C1)를 복호화한다. In
210 단계에서는, 복호화된 광고(C1)를 시청하게 되면, 암호화된 컨텐츠(C2)를 복호화하기 위한 키(K2)가 생성된다.In
212 단계에서는, 생성된 복호화 키(K2)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컨텐츠(C2)를 복호화하여 컨텐츠를 사용한다. I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보호부의 동작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operation of the content prote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02 단계에서는. 컨텐츠의 라이센스에 광고가 시청 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삽입된 후, 광고가 삽입된 컨텐츠가 암호화된다. In step 302. After a flag indicating whether an advertisement has been watched is inserted into the license of the content, the content into which the advertisement is inserted is encrypted.
304 단계에서는. 컨텐츠를 복호화하기 위하여 DRM 시스템에 복호화를 위한 키가 요청되면, DRM 시스템은 광고를 재생할 것을 요구한다. In 304 steps. When a key for decryption is requested from the DRM system in order to decrypt the content, the DRM system requests to play an advertisement.
306 단계에서는, DRM 시스템의 요구에 따라 광고가 재생되면, 플래그를 통하여 광고의 시작 및 종료 시각이 DRM 시스템에 등록된다. In step 306, when the advertisement is played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DRM system, the start and end times of the advertisement are registered in the DRM system through the flag.
308 단계에서는, DRM 시스템은 등록 사항에 기초하여 광고가 재생되었는지를 확인하고 광고의 재생이 확인되면 복호화키를 제공한다.In step 308, the DRM system checks whether the advertisement has been played based on the registration details, and provides a decryption key when the advertisement is confirmed to be played.
310 단계에서는, 제공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컨텐츠를 복화화하여 컨텐츠를 사용한다. In step 310, the encrypted content is decrypted using the provided decryption key to use the content.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공유를 위한 컨텐츠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generation method for content sh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02 단계에서는, 컨텐츠를 수신한다. In
상술한대로, 컨텐츠는 메타데이터 또는 광고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 동일한 채널 또는 별도의 채널로 수신될 수 있다. 또한, 광고데이터는 컨텐츠를 수신할 때 동시에 수신될 수도 있지만, 전에 미리 수신받아 둔 경우에는 컨텐츠 수신시에 또 다시 수신받을 필요가 없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 may include metadata or advertisement data and may be received in the same channel or separate channel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advertisement data may be received at the same time when receiving the content, but, if previously received in advance, there is no need to receive again when receiving the content.
404 단계에서는, 수신받은 컨텐츠를 이용하여 공유를 위한 컨텐츠를 생성할 것인지 여부가 결정된다. In
406 단계에서는, 공유를 위한 컨텐츠를 생성하기로 결정되면, 소정의 광고데이터를 컨텐츠에 삽입한다. In
상술한대로, 컨텐츠 또는 메타데이터는 광고주, 광고가 삽입될 위치 및 형태, 광고의 길이 및 유효기간, 광고가 삽입되기를 원하는 컨텐츠의 장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컨텐츠에 광고가 삽입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 or metadata may include an advertiser, a location and form in which an advertisement is to be inserted, a length and an expiration date of the advertisement, a genre of the content in which the advertisement is to be inserted, and the advertisement is inserted into the content.
408 단계에서는, 광고데이터가 삽입된 컨텐츠에 대하여, 암호화 또는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기술을 이용하여 광고를 시청하지 않으면 컨텐츠 를 사용할 수 없도록 처리를 수행한다. 다In
이때 컨텐츠 보호부(130)는 삽입된 광고를 임의로 삭제할 수 없도록 하여 컨텐츠를 보호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광고를 시청하지 않으면 컨텐츠를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처리는 상술한 암호화 또는 DRM 기술에 한정되지 않고, 구현예에 따라서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이와 같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공유를 위한 컨텐츠 생성 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ontent generation method for content sh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02 단계에서는, TV를 통해 메타데이터, 광고 데이터, TV 프로그램을 수신한다. In
이때, TV 프로그램 등을 수신하는 장치는 TV에 한정되지 않고, 컴퓨터 그 밖의 단말기 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모든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TV 프로그램은 가요, 드라마, 영화 등 다양한 컨텐츠들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apparatus for receiving a TV program is not limited to the TV, and any apparatus capable of receiving data such as a computer or other terminal may be used. In addition, the TV program may be various contents such as a song, a drama, and a movie.
504 단계에서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수신받은 TV 프로그램을 혼자 보기 위해 저장할 것인지 아니면 배포를 위하여 저장할 것인지가 결정된다. In
506 단계에서는, TV 프로그램을 배포를 위하여 저장하기로 결정되면,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광고데이터를 TV 프로그램에 삽입한다. In
예컨대, TV로부터 드라마를 수신한 후, 그 드라마를 후원하는 광고주의 광고를 삽입하는 것을 가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삽입되는 광고의 종류는 광고주, 광고가 삽입되기를 원하는 컨텐츠의 장르 등의 정보와 함께 컨텐츠 제공자가 메타데이터에 포함시켜 송신하는 것이어서, 사용자가 광고의 종류를 선택할 수는 없고, 컨텐츠 제공자가 정한 규칙에 따라 광고가 삽입된다. For example, it may be assumed that after receiving a drama from a TV, an advertisement of an advertiser sponsoring the drama is inserted. The types of advertisements inserted as described above are transmitted by the content provider and included in the metadata together with information such as the advertiser and the genre of the content that the advertisement is to be inserted. Ads are inserted according to the rules.
리모콘 등의 입력 수단에 의하여 배포를 위한 저장이 선택되면, 컨텐츠에 광고가 삽입되게 되고, TV는 이와 같은 광고의 삽입 사실을 삽입될 광고에 대한 정보와 함께 컨텐츠 제공자에게 통지한다. 이와 같은 통지를 받은 컨텐츠 제공자는 광고주에게 광고가 컨텐츠에 삽입되었다는 사실을 통지하고, 통지를 받은 광고주는 그 컨텐츠의 사용 및 배포에 따른 비용을 부담하게 된다. When storage for distribution is selected by an input means such as a remote control, an advertisement is inserted into the content, and the TV notifies the content provider of the advertisement to be inserted along with information about the advertisement to be inserted. The content provider who has received such notification notifies the advertiser that the advertisement has been inserted in the content, and the advertiser who has been notified bears the cost of using and distributing the content.
508 단계에서는, 광고데이터가 삽입된 TV 프로그램에 대하여, 광고를 시청하지 않으면 TV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없도록 컨텐츠를 보호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In
510 단계에서는, 보호 처리를 거친 TV 프로그램이 포함된 컨텐츠를 제3자에게 송신한다. In
이때, TV 프로그램이 포함된 컨텐츠를 수신한 제3자가 TV 프로그램을 시청하게 되면 광고주에게 컨텐츠의 사용사실 즉 TV 프로그램의 시청 사실이 통지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third party who receives the content including the TV program watches the TV program, the advertiser is notified of the fact of use of the content, that is, the fact of watching the TV program. Meanwhil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ritten as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in a computer, and can be implemented in a general-purpose digital computer that operates the program using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a magnetic storage medium (for example, a ROM, a floppy disk, a hard disk, etc.), an optical reading medium (for example, a CD-ROM, a DVD, etc.) and a carrier wave (for example, the Internet). Storage medium).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So far I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descriptive sense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받은 컨텐츠에 광고를 삽입하여 배포함으로써 사용자는 정당하게 제3자와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고, 컨텐츠 제공자는 새로운 광고주를 유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erting and distributing an advertisement in content provided from a content provider, a user can legitimately share content with a third party, and the content provider can attract new advertisers.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92450A KR20080027040A (en) | 2006-09-22 | 2006-09-22 | Method for generating content for sharing content and apparatus theref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92450A KR20080027040A (en) | 2006-09-22 | 2006-09-22 | Method for generating content for sharing content and apparatus theref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27040A true KR20080027040A (en) | 2008-03-26 |
Family
ID=39414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92450A Ceased KR20080027040A (en) | 2006-09-22 | 2006-09-22 | Method for generating content for sharing content and apparatus theref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27040A (e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126280A2 (en) * | 2010-04-05 | 2011-10-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updating advertisement content using drm |
WO2011122913A3 (en) * | 2010-04-02 | 2012-03-0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service in accordance with the viewing of an advertisement using drm |
WO2011122891A3 (en) * | 2010-04-02 | 2012-03-0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compulsory viewing of advertisements |
WO2012026745A3 (en) * | 2010-08-24 | 2012-05-3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evice and method for enforcing advertisement viewing |
WO2012030159A3 (en) * | 2010-08-31 | 2012-06-0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advertisements depending on use of multimedia service |
US8619994B2 (en) | 2008-11-27 | 2013-12-3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contents service |
US10191972B2 (en) | 2008-04-30 | 2019-01-29 | Intertrust Technologies Corporation | Content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
US12125070B2 (en) | 2008-04-30 | 2024-10-22 | Intertrust Technologies Corporation | Content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
-
2006
- 2006-09-22 KR KR1020060092450A patent/KR20080027040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2125070B2 (en) | 2008-04-30 | 2024-10-22 | Intertrust Technologies Corporation | Content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
US10776831B2 (en) | 2008-04-30 | 2020-09-15 | Intertrust Technologies Corporation | Content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
US10191972B2 (en) | 2008-04-30 | 2019-01-29 | Intertrust Technologies Corporation | Content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
US8619994B2 (en) | 2008-11-27 | 2013-12-3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contents service |
WO2011122913A3 (en) * | 2010-04-02 | 2012-03-0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service in accordance with the viewing of an advertisement using drm |
WO2011122891A3 (en) * | 2010-04-02 | 2012-03-0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compulsory viewing of advertisements |
CN102822842A (en) * | 2010-04-05 | 2012-12-12 | Lg电子株式会社 | Method for updating advertisement content using drm |
WO2011126280A2 (en) * | 2010-04-05 | 2011-10-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updating advertisement content using drm |
US9443242B2 (en) | 2010-04-05 | 2016-09-13 | Lg Electronics Inc. | Method for updating advertisement content using DRM |
CN102822842B (en) * | 2010-04-05 | 2016-11-16 | Lg电子株式会社 | Use the method that DRM updates ad content |
WO2011126280A3 (en) * | 2010-04-05 | 2012-03-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updating advertisement content using drm |
US10102540B2 (en) | 2010-08-24 | 2018-10-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evice and method for enforcing advertisement viewing |
WO2012026745A3 (en) * | 2010-08-24 | 2012-05-3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evice and method for enforcing advertisement viewing |
CN103080965A (en) * | 2010-08-31 | 2013-05-01 | 三星电子株式会社 |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advertisements depending on use of multimedia service |
WO2012030159A3 (en) * | 2010-08-31 | 2012-06-0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advertisements depending on use of multimedia ser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008474B1 (en) | Decoupling rights in a digital content unit from download | |
US7278165B2 (en) |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digital rights management | |
JP4271863B2 (en) | Copy protection system for home network | |
JP4861331B2 (en) | Content right management apparatus and content right management method | |
CN101627627B (en) | Method to control the access to conditional access audio/video content | |
US20110010545A1 (en) | Processing recordable content in a stream | |
KR20080027040A (en) | Method for generating content for sharing content and apparatus therefor | |
JP5710160B2 (en) | Process recordable content in the stream | |
GB2492662A (en) | Multiple insertions of token in TV content identified by temporal location | |
EP2091254A1 (en) |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ent protection and distribution using alternate contents to provide access to protected primary content | |
US9058837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ntents | |
JP4566683B2 (en) | METADATA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RECEPTION DEVICE, AND TRANSMISSION DEVICE | |
JP5712283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forcibly watching advertisements | |
US20100064378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igital rights management module | |
EP1452030B1 (en) | Enhanced content resolution method | |
KR101971181B1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tecting copyright of videos by sharing profit of advertisement | |
JP2008059444A (en) | Sales management system for right to use on object to be used | |
JP4959796B2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subscription service | |
KR20030067511A (en) | Process for transmitting digital data representative of a content | |
US20250094542A1 (en) | Media Management and Distribution Systems and Methods | |
C., Anagha Menon; Ajayan, Anjusha | Content Piracy in the Streaming World: Inadequacy of Legislative Action | |
KR100499045B1 (en) | Apparatus for spreading digital broadcasting contents | |
MAGALLA | COPYRIGHT INFRINGEMENT IN TANZANIA: THE MEANING OF DIGITAL COPYRIGHT INFRINGEMENT, LAW & PRACTICE | |
Naenak et al. | COPYRIGHT PROTECTION OF IPTV CONTENT | |
Eskicioglu | Key Management for Multimedia Access and Distribu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0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804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10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