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26855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6855A
KR20080026855A KR1020060091953A KR20060091953A KR20080026855A KR 20080026855 A KR20080026855 A KR 20080026855A KR 1020060091953 A KR1020060091953 A KR 1020060091953A KR 20060091953 A KR20060091953 A KR 20060091953A KR 20080026855 A KR20080026855 A KR 20080026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over
base station
target base
portable terminal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1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1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26855A/ko
Publication of KR20080026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68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1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neighbour cel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의 핸드오버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의 핸드오버 결정 시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빙 기지국은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 수신 시 주변 타겟 기지국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에 의거하여 동종 망 또는 이종 망의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 이종 망, 핸드오버, 공중 무선망, 휴대 인터넷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 절차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노멀 모드에서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 방법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 절차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아이들 모드에서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 방법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빙 기지국에서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 처리 절차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 절차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 방법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타겟 기지국에서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 처리 절차의 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 접속(BWA, Broadband Wireless Access)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handover)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무선 통신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로는, CDMA2000 1xEVDO(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1x Evolution Data Optimized),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및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등과 같은 2.5세대 또는 3세대 셀룰러 이동통신 기술과,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무선(Wireless)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이하 'LAN'이라 칭하기로 한다) 기술 등으로 나누어진다.
또한 상기한 이동통신 기술들의 진화와 병행하여 IEEE 802.16 기반의 무선 LAN 등과 같은 다양한 근거리 무선 접속 기술들이 등장하고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접속 기술들은 공공장소나 학교 등과 같은 핫 스팟(Hot Spot) 지역이나 홈 네트워크(Home Network) 환경에서 케이블 모델(cable modem) 또는 xDSL(Digital Subscriber Line)과 같은 유선 통신 망을 대체하면서, 무선 환경에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에서 설명하는 무선 LAN으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극히 제한된 이동성과 좁은 서비스 영역뿐만 아니라 전파 간섭 등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공중망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이 다각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과 무선 LAN의 장단점을 보완한 휴대 인터넷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휴대 인터넷 기술의 대표적인 예로서, 무선 광대역 인터넷(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이하 '와이브로'라 칭하기로 한다) 시스템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상기 와이브로 시스템은 다양한 형태의 휴대 단말기(Portable Device)를 이용해 실내외의 정지 환경, 보행 속도 및 중/저속(60Km/h 내외) 등의 이동 환경에서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휴대 인터넷을 기초로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 및 제공되고 있으며, 휴대인터넷 시스템의 서비스 영역이 공중 무선망(예컨대,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 등) 의 서비스 영역과 중첩됨에 따라, 휴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 인터넷 시스템과 공중 무선망 통신 시스템과의 효율적인 핸드오버 방안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휴대 인터넷 시스템(예컨대, 와이브로 시스템)에서는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 방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않고 있다. 특히 상기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는 휴대 인터넷 시스템 간의 핸드오버 즉, 동종 망간의 핸드오버에 대한 예시만 언급되고 있을 뿐, 휴대 인터넷 시스템 및 다른 시스템(예컨대,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 등) 간의 핸드오버 즉,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서는 제시되고 있지 않다. 이로 인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가 이종 망으로의 이동 시 상기 휴대 단말기에 연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가 자신이 현재 속한 시스템과 다른 이종 망으로의 이동 시, 상기 휴대 단말기로 연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휴대 인터넷 시스템과 이종 시스템 간의 효율적인 핸드오버 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효율적인 핸드오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종 망간의 효율적인 핸드오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종 망간의 효율적인 핸드오버를 위한 레인징 응답(RNG-RSP) 메시지 구조를 제안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의 핸드오버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의 핸드오버 결정 시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빙 기지국은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 수신 시 주변 타겟 기지국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에 의거하여 동종 망 또는 이종 망의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의 핸드오버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의 핸드오버 결정 시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 수신 시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에 의거하여 동종 망 또는 이종 망의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서빙 기지국은 소정의 휴대 단말기로부터 레인징 요청 메시지 수신 시 주변 타겟 기지국들의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수집하는 타겟 기지국들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동종 망 내의 핸드오버 가능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판별결과 동종 망 내의 핸드오버 가능 시 동종 망 내의 타겟 기지국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판별결과 동종 망 내의 핸드오버 불가능 시 이종 망의 타겟 기지국들의 정보를 추가하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서빙 기지국은 휴대 단말기의 핸드오버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의 핸드오버 결정 시 상기 휴대 단말기의 핸드오버 가능 타겟 기지국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가 동종 망 내의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가 불가능 한 것으로 판단하면, 이종 망의 해당 타겟 기지국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의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이종 망의 타겟 기지국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수용이 가능한 경우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의 핸드오버 명령을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빙 기지국은 상기 휴대 단말기로 이종 망의 타겟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지시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핸드오버 명령에 의거하여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의 핸드오버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의 핸드오버 결정 시 측정 보고 메시지를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이종 망의 타겟 기지국으로의 핸드 오버 명령 수신 시 상기 이종 망의 해당 타겟 기지국과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이종 망의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타겟 기지국은 이종 망의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요청 수신 시 해당 휴대 단말기에 대한 수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에 대한 수용이 가능한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에 대한 핸드오버를 지시하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핸드오버 결정 시 자신이 현재 속하는 해당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요청하고, 상기 해당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정보에 의거하여 동종 망 또는 이종 망의 해당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하는 휴대 단말기와, 상기 휴대 단말기의 핸드오버 요청 수신 시 자신이 속하는 동종 망의 타겟 기지국 또는 이종 망의 타겟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지시하는 제1 기지국과, 상기 제1 기지국과는 다른 종류의 망에 존재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의 핸드오버 요청 수신 시 자신이 속하는 동종 망의 타겟 기지국 또는 이종 망의 타겟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지시하는 제2 기지국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이하에서는 휴대 인터넷 시스템(예컨대, 와이브로 시스템 등) 및 공중 무선망(예컨대,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 등)을 이용하는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 방법이 이러한 시스템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 방법은 상술한 휴대 인터넷 시스템과 공중 무선망뿐만 아니라, 휴대 인터넷 시스템과 유사한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x, IEEE 802.2x 기반의 무선 랜과 같이 가입자에게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패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망을 포함하며, 또한 공중 무선망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Fi 및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등의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통신망들의 확장된 형태 및 변형된 형태들에 있어서도 다양하게 응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고, 그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하여, 휴대 단말기는 일반 이동통신망은 물론 무선 랜이나 휴대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적어도 듀얼 모드(Dual Mode) 이상을 지원하는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서빙(Serving) 기지국(BS, Base Station)" 또는 "서빙 무선 접속국(Radio Access Station, 이하 'RAS'라 칭하기로 한다)"의 의미는 휴대 단말기가 현재 속해있는 기지국 또는 RAS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 현재 서비스를 제공하는 해당 기지국 또는 RAS를 나타낸다. 즉, 상기 서빙 기지국은 공중 무선망에서 휴대 단말기에 현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의미하며, 서빙 RAS는 휴대 인터넷 망에서 휴대 단말기에 현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기지국 및 RAS를 '기지국'이라 통칭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타겟(Target) 기지국"의 의미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서빙 기지국에서 이동하여 즉, 핸드오버 하여 서비스를 연속해서 제공받고자 하는 기지국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는 특성이 다른 두 종류 이상의 네트워크들이 혼재되어 있는 유무선 네트워크(Overlay Network)에서 휴대 단말기가 현재 네트워크에서 종류가 다른 네트워크로 핸드오버 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휴대 단말기를 듀얼 모드 이상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술한 듀얼 모드 이상을 지원하는 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디지털 방송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셀룰러 폰, 팜탑(Palmtop) 컴퓨터 및 노트북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제안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광대역 무선 접속(BWA, Broadband Wireless Access) 통신 시스템에의 핸드오버 방안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이하에서는 휴대 인터넷 기술의 대표적인 무선 광대역 인터넷(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이하 '와이브로'라 칭하기로 한다) 시스템과 공중 무선망(예컨대, GSM, CDMA 및 WCDMA 시스템 등) 간의 핸드오버 즉,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 방안을 제안한다.
그러면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이 적용되는 시스템 및 휴대 단말기의 예를 하기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1에서는 휴대 인터넷 시스템과 공중 무선망 통신 시스템이 중첩된 구조의 예를 나타낸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인터넷 시스템(300)은 크게 휴대 단말기(100)와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다수개의 RAS들(310)과, 상기 RAS들(310)의 기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접속 제어 라우터(Access Control Router, 이하 'ACR'이라 칭하기로 한다)들(320) 및 상기 휴대 인터넷 시스템(300)과 외부 다른 시스템과의 서비스 연동을 중계하는 코어 네트워크(CN, Core Network)(400) 등을 포함한다.
상기 ACR들(320) 각각은 상기 코어 네트워크(CN, Core Network)(400)와 상기 RAS들(310) 사이에 위치하는 시스템으로서, 수렴 서브 레이어(CS, Convergence Sublayer) 기능, 자동 재전송(ARQ, Automatically Request) 처리 기능 및 핸드오버 제어 기능 등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ACR들(320)은 상기 코어 네트워크(400)와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제공한다.
상기 코어 네트워크(400)는 상기 ACR들(320) 간의 위치 정보 등을 파악함과 아울러, 주변의 이종 망(예컨대, 공중 무선망(500))에 대한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상기 휴대 인터넷 시스템(300)에서 상기 공중 무선망(500)으로의 핸드오버 또는 상기 공중 무선망(500)에서 상기 휴대 인터넷 시스템(300)으로의 핸드오버에 필요한 접속 관련 정보의 중계를 담당한다.
상기 RAS들(310) 각각은 상기 ACR들(320)과 휴대 단말기(100) 간에 위치하는 시스템으로서, 무선 접속 규격 예컨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 규격에 준하는 무선 접속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와 같은 무선 접속 규격에 따라 상기 RAS들(310)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도 1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공중 무선망(500)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서로 다른 통신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한 적어도 듀얼 모드(Dual Mode) 이상을 지원하는 것을 가정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예는 후술하는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공중 무선망(500)은 공중 무선망 통신 시스템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휴대 인터넷 시스템과는 다른 종류의 망을 대표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공중 무선망 또는 공중 무선망 통신 시스템의 용어를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혼용하여 기재하나 이는 동일한 시스템을 나타내며, 특히 상기 휴대 인터넷 시스템(300)과는 다른 종류의 모든 통신 시스템의 망을 통칭하여 나타내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러한 공중 무선망(500)은 데이터망 서비스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00)와 무선 구간 통신을 지원하는 기지국, 상기 기지국을 제어하기 위한 기지국 제어기(BSC, Base Station Controller) 및 하나 이상의 기지국 제어기와 연결되어 호 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교환기(MSC, Mobile Switching Center) 등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 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이 적용되는 휴대 단말기(100)는 듀얼 모드(Dual mode) 이상을 지원하기 위하여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110), 휴대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제1 모듈(120), 공중 무선망 통신 서비스를 위한 제2 모듈(130) 및 공통 모듈(140)을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110)는 공중 무선망 통신 서비스를 위한 주파수 대역과 휴대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처리 가능하다. 상기 도 2에서는 상기 안테나(110)를 하나의 구성으로 도시하였으나, 각각의 시스템에 대응하여 듀얼 안테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휴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상기 제1 모듈(120)은 각각의 주파수를 구분하여 처리하는 밴드 패스 필터로 동작하는 듀플렉서(122), 송수신 전파를 정해진 주파수 대역으로 분리하는 제1 무선 송수신부(124) 및 휴대 인터넷 시스템(300)과의 무선 구간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제1 모뎀부(126) 등을 포함한다.
공중 무선망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상기 제2 모듈(130)은 각각의 주파수를 구분하여 처리하는 밴드 패스 필터로 동작하는 듀플렉서(132), 송수신 전파를 정해진 주파수 대역으로 분리하는 제2 무선 송수신부(134) 및 공중 무선망 통신 시스템(400)과의 무선 구간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제2 모뎀부(136) 등을 포함한다.
상기 공통 모듈(140)은 제1 모뎀부(126) 및 제2 모뎀부(136)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 처리 장치로 동작하고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메모리, 입출력부, 기타 응용 처리부 및 상기 각 구성간의 신호흐름 및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두 개 이상의 통신 접속 모드를 지원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휴대 단말기(100)의 상태에 따라 각각 핸드오버 방법을 달리한다. 이를 상세히 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황에 따라 아이들 모드(Idle Mode)와 노멀 모드(Normal Mode)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아이들 모드 및 노멀 모드에 따라 각각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아이들 모드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파워 절약 및 유휴 무선 자원 절약을 위해 휴대 단말기(100)와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현재 속한 기지국간 등록해제 요청(DREG-REQ, De-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 및 등록해제 명령(DREG-CMD, De-Registration Command) 메시지의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기지국이 승인한 패이징 그룹(Paging Group), 페이징 사이클(Paging Cycle) 및 페이징 오프셋(Paging Offset) 등을 운용하는 모드를 나타낸다.
상기 노멀 모드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네트워크 진입(Network Entry) 절차를 통해 해당 기지국과의 리소스(resource) 및 세션(session) 설정을 이루어 상기 해당 기지국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수행하는 모드를 나타낸다. 상기 아이들 모드 및 노멀 모드에 따른 핸드오버 방법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구성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동작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들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3에서는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공중 무선망 통신 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 중 휴대 단말기가 노멀 모드(Normal Mode)에서 수행하는 핸드오버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설명하기에 앞서, 휴대 단말기(100)는 서빙 기지국(300)에서 타겟 기지국(500)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타겟 기지국(500)과의 연결설정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현재 상기 휴대 단말기(100)와 연결된 기지국 즉, 서빙 기지국(300)에서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이동하여 새로 연결할 가능성이 있는 인접한 주변 기지국들에 대한 정보를 주변 기지국 정보 광고(MOB_NBR-ADV, Mobile_Neighbor-Advertisement) 메시지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 제공한다.
그러므로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인접 셀(Cell)로 이동 및 핸드오버하기 위해서는 먼저 인접 셀들의 정보, 즉 인접 기지국들(Neighbor BSs)의 정보를 알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현재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서빙 기지국(300)으로부터 주기적인 방송 메시지를 수신하여 인접 기지국들의 정보들을 수집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두 개 이상의 접속 모드를 지원하며, 이를 서비스하는 서빙 기지국(예컨대,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서빙 RAS) 및 ACR은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이종 망에 대한 위치를 포함한 충분한 접속 관련 정보를 파악하고 있음을 가정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핸드오버를 위해 사용되는 메시지들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동작에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핸드오버 절차 중 레인징(Ranging) 절차에 관한 것으로, 상기 레인징 절차 이전 또는 이후의 핸드오버 절차에서 사용되는 메시지들은 해당 시스템의 핸드오버 제공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레인징 절차에 특징이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레인징 절차에 대해서만 살펴보기로 한다.
예를 들면, 상술한 주변 기지국 정보 광고(MOB_NBR-ADV) 메시지, 휴대 단말기에서 핸드오버 수행을 위해 서빙 기지국으로 요청하는 핸드오버 요청(HO-REQ, Handover Request) 메시지, 서빙 기지국에서 상기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핸드오버 응답(HO-RSP, Handover Response) 메시지, 상기 휴대 단말기가 최종적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함을 알리기 위해 사용하는 핸드오버 지시(HO-IND, Handover Indication) 메시지, 상기 서빙 기지국에서 상기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 수신 시 타겟 기지국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가 핸드오버 할 것임을 알리는 핸드오버 확인(HO Confirm) 메시지, 최적의 핸드오버(Optimized HO)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휴대 단말기의 정보 예컨대, 기본 용량 협상(SBC, Subscriber Station's Basic Capability Negotiation) 정보, 암호 키 관리(PKM, Privacy Key Management) 정보, 등록(REG, Registration) 정보 및 제공 서비스 플로우(SF, provisioned Service Flow) 정보 등을 포함하는 핸드오버 최적화(HO Optimization) 메시지 등의 송수신 절차를 생략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휴대 단말기(100)는 자신에게 현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빙 기지국(예컨대, 서빙 RAS)(300)과의 수신 전계 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이하 'RSSI'라 칭하기로 한다)를 측정(measure)한다(S301).
상기 S301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서빙 기지국(300)과의 RSSI를 일정주기로 측정하게 되며, 이때 상기 RSSI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하이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서빙 기지국(300)으로 레인징 요청(Ranging Request, 이하 'RNG-REQ'라 칭하기로 한다) 메시지를 전송한다(S303).
즉, 상기 S301단계 및 S303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서빙 기지국(300)과의 RSSI를 측정하고, 상기 RSSI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하이면 핸드오버가 발생할 상황임을 판단하고, 이를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알리기 위한 RNG-REQ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동종 망간의 핸드오버 수행을 시도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판단하기에 핸드오버가 발생할 상황이지만, 동종 망내에 존재하는 타겟 기지국들로의 핸드오버가 불가능한 경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RNG-REQ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서빙 기지 국(300)은 상기 RNG-REQ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핸드오버 처리 최적화(HO Process Optimization) 필드를 포함하는 레인징 응답(Ranging Response, 이하 'RNG-RSP'라 칭하기로 한다) 메시지를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305).
상기 S305단계에서, 상기 서빙 기지국(300)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RNG-REQ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핸드오버 할 것임을 확인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핸드오버 할 수 있는 주변 기지국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상기 서빙 기지국(300)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동종 망간의 핸드오버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RNG-RSP 메시지에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정보를 추가하여 전송한다.
즉, 상기 서빙 기지국(300)은 상기 RNG-REQ 메시지 수신 시 상기 주변 기지국들에 대한 정보에 의거하여 동종 망간의 핸드오버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면, 주변의 이종 망의 기지국들에 대한 존재 여부를 체크한다. 이후 상기 서빙 기지국(300)은 상기 이종 망의 기지국들에 대한 정보를 추가한 RNG-RSP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이러한 이종 망의 기지국들에 대한 정보는 상기 RNG-RSP 메시지 내의 핸드오버 처리 최적화 필드에 포함된다.
이하 상기 핸드오버 처리 최적화 필드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RNG-RSP 메시지 포맷과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핸드오버 처리 최적화 필드를 포함하는 RNG-RSP 메시지 포맷에 대하여 하기 <표 1> 및 <표 2>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핸드오버 처리 최적화 필드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RNG-RSP 메시지의 포맷은 하기 <표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6068424914-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RNG-RSP 메시지 내의 상기 핸드오버 처리 최적화 필드는 핸드오버 시그널링 과정에서 요청받은 휴대 단말기(100)의 SBC 정보, PKM 정보 및 REG 정보 등 최적의 핸드오버(Optimized HO)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포함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RNG-RSP 메시지는 휴대 단말기(100)가 동종 서비스 망 내에서의 핸드오버 실패 시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이종 서비스 망으로 핸드오버 하기 위한 핸드오버 처리 최적화 필드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RNG-RSP 메시지는 상기 핸드오버 처리 최적화 필드에서 예약된(Reserved) 비트(예컨대, 14번째 비트 및 15번째 비트)를 이용하여 이종 서비스 망으로의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한 정보를 추가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핸드오버 처리 최적화 필드를 포함하는 상기 RNG-RSP 메시지의 포맷을 살펴보면 하기 <표 2>의 예시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6068424914-PAT00002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RNG-RSP 메시지는 상기 <표 2>의 예시와 같이 핸드오버 처리 최적화 필드의 예약된 비트 즉, 14번째 비트와 15번째 비트에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핸드오버 처리 최적화 필드에 추가되는 정보 중 상기 14번째 비트와 15번째 비트의 설정에 따라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서빙 기지국(300)으로부터 RNG-RSP 메시지 수신 시 상기 핸드오버 처리 최적화 필드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14번째 비트 또는 15번째 비트가 '1'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표 2>에서는 802.11x 시스템과 3GPP 시스템의 이종 망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표 2>에 예시된 14번째 비트 및 15번째 비트의 정보는 제공되는 시스템 형태에 따라 해당 시스템들에 대한 이종 망 정보들로 변경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기 14번째 비트 또는 15번째 비트가 '1'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핸드오버 처리 최적화 필드는 휴대 단말기(100)가 휴대 인터넷 시스템(예컨대, IEEE 802.16 시스템, 와이브로 시스템 등)에서 공중 무선망(예컨대, 3GPP, CDMA, GSM, WiFi, 셀룰러 통신 시스템, IEEE 802.11x 시스템 등)으로의 핸드오버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이종 망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RNG-RSP 메시지 수신 시 상기 핸드오버 처리 최적화 필드의 14번째 비트 또는 15번째 비트의 설정 값에 의거하여 휴대 단말기(100)가 현재 속해있는 휴대 인터넷 시스템과의 등록해제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서빙 기지국(300)으로부터 상기 RNG-RSP 메시지를 수신하면 타겟 기지국(500)과의 RSSI를 측정한다(S307).
상기 S307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서빙 기지국(300)으로부터 상기 RNG-RSP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RNG-RSP 메시지 내의 핸드오버 처리 최적화 필드에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그 여부를 판별한다.
이때, 상기 RNG-RSP 메시지 내의 핸드오버 처리 최적화 필드에 이종 망 핸드오버 정보가 포함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동종 망간의 핸드오버 절차를 중단한다. 그리고 상기 RNG-RSP 메시지 내의 핸드오버 최적화 필드 정보 즉, 14번째 비트 또는 15번째 비트 정보에 의거하여 이종 망으로의 핸드오버를 결정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핸드오버 처리 최적화 필드에 의거하여 핸드오버가 가능한 해당 이종 망의 타겟 기지국(500)에 대한 RSSI를 측정한다.
여기서, 상기 도 3에서는 타겟 기지국이 하나인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겟 기지국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 또는 서빙 기지국(300)에서 검색하는 다수의 주변 기지국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주변 기지국들에 대한 RSSI를 측정하며, 상기 측정하는 RSSI가 가장 높은 주변 기지국을 타겟 기지국으로 선택하여 안정적인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타겟 기지국(500)과의 RSSI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타겟 기지국(500)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S309). 이후 상기 휴대 단말기(100)와 상기 타겟 기지국(500)은 네트워크 진입(Network entry)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네트워크 진입 과정에서 상기 타겟 기지국(500)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대한 네트워크 진입이 정상적으로 완료됨을 알리는 네트워크 진입 완료 응답(Network_Entry_Done_Ack) 메시지를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311).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타겟 기지국(500)으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진입 완료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종 망으로의 핸드오버를 완료하고(S313), 휴대 단말기(100) 자신이 현재 속해있는 서빙 기지국(300)과의 등록 해제(DE-REG, De-Registration)를 수행한다(S315). 이후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타겟 기지국(500)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아 통신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핸드오버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4에서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노멀 모드(Normal Mode) 시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공중 무선망 통신 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휴대 단말기는 주기적으로 자신이 현재 속해있는 서빙 기지국과의 RSSI를 측정하여(S401) 상기 측정하는 RSSI와 기 설정된 기준치를 비교한다(S403).
상기 S403단계에서의 비교결과 상기 서빙 기지국과의 RSSI가 상기 기준치 이하로 판단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RNG-REQ 메시지를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405). 이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RNG-REQ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 즉, RNG-RSP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판별한다(S407).
상기 S407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RNG-RSP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RNG-RSP 메시지에 포함되는 핸드오버 처리 최적화 필드를 확인한다(S409).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핸드오버 처리 최적화 필드에 이종 망에 대한 정보 즉, 상기 휴대 단말기 자신이 현재 서비스 받고 있는 서빙 기지국과는 다른 이종 망의 타겟 기지국에 대한 정보의 포함여부를 판단한다(S411). 상기 RNG-RSP 메시지 및 상기 핸드오버 처리 최적화 필드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표 1> 및 <표 2>를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S411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RNG-RSP 메시지에 상기 이종 망의 타겟 기지국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RNG-RSP 메시지의 핸드오버 처리 최적화 필드에 의거하여 동종 망 내의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S413). 상기 S411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RNG-RSP 메시지에 상기 이종 망의 타겟 기지국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RNG-RSP 메시지의 핸드오버 처리 최적화 필드에 의거하여 이종 망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한다(S415).
상기 S415단계를 상세히 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핸드오버 처리 최적화 필드에 의거하여 이종 망의 해당 타겟 기지국에 대한 RSSI를 측정한다. 이때 상기 타겟 기지국은 상기 서빙 기지국에서 지정하는 특정 타겟 기지국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핸드오버 가능한 모든 주변 기지국들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특정 타겟 기지국과의 RSSI 측정 또는 핸드오버 가능한 모든 주변 기지국들에 대한 RSSI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RSSI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면 동종 망간의 핸드오버 절차를 중단하고, 상기 이종 망 타겟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핸드오버 완료 시 상기 서빙 기지국과의 등록해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5에서는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공중 무선망 통신 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 중 휴대 단말기가 아이들 모드(Idle Mode)에서 수행하는 핸드오버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설명하기에 앞서, 휴대 단말기(100)는 서빙 기지국(300)에서 타겟 기지국(500)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타겟 기지국(500)과의 연결설정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현재 상기 휴대 단말기(100)와 연결된 기지국 즉, 서빙 기지국(300)에서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이동하여 새로 연결할 가능성이 있는 인접한 주변 기지국들에 대한 정보를 주변 기지국 정보 광고(MOB_NBR-ADV) 메시지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 제공한다.
그러므로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인접 셀(Cell)로 이동 및 핸드오버하기 위해서는 먼저 인접 셀들의 정보, 즉 인접 기지국들(Neighbor BSs)의 정보를 알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현재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서빙 기지국(300)으로부터 주기적인 방송 메시지를 수신하여 인접 기지국들의 정보들을 수집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두 개 이상의 접속 모드를 지원하며, 이를 서비스하는 서빙 기지국(예컨대,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서빙 RAS) 및 ACR은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이종 망에 대한 위치를 포함한 충분한 접속 관련 정보를 파악하고 있음을 가정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핸드오버를 위해 사용되는 메시지들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동작에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핸드오버 절차 중 레인징(Ranging) 절차에 관한 것으로, 상기 레인징 절차 이전 또는 이후의 핸드오버 절차에서 사용되는 메시지들은 해당 시스템의 핸드오버 제공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레인징 절차에 특징이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레인징 절차에 대해서만 살펴보기로 한다. 이와 같이 생략되는 메시지의 예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도 3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휴대 단말기(100)는 아이들 모드(Idle mode) 상태(S501)에서 서빙 기지국(300) 간의 위치 업데이트(Location Update)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서빙 기지국(300)으로 RNG-REQ 메시지를 전송한다(S503).
상기 S503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RNG-REQ 메시지 내에 레인징 목적 지시(Ranging Purpose Indication) 필드의 TLV(Type Length Variable) 값을 '1'로 설정하여 상기 서빙 기지국(300)으로 위치 업데이트를 요청(Location Update Request)한다. 즉, 상기 레인징 목적 지시 필드의 TLV의 값이 '1'로 설정되는 경우는 아이들 모드에서 위치 업데이트 처리(Idle Mode Location Update Process)를 위한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나타낸다. 상기 RNG-REQ 메시지의 포맷은 하기 <표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6068424914-PAT00003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RNG-REQ 메시지 내의 상기 레인징 목적 지시 필드는 휴대 단말기(100)의 아이들 모드 상태에서의 핸드오버 또는 위치 업데이트를 지시하는 정보들과 그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들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RNG-REQ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서빙 기지국(300)은 상기 RNG-REQ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핸드오버 처리 최적화(HO Process Optimization) 필드를 포함하는 RNG-RSP 메시지를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505).
상기 S505단계에서, 상기 서빙 기지국(300)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RNG-REQ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아이들 모드에서 핸드오버 할 것임을 확인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핸드오버 할 수 있는 주변 기지국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상기 서빙 기지국(300)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동종 망간의 핸드오버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RNG-RSP 메시지에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정보를 추가하여 전송한다.
즉, 상기 서빙 기지국(300)은 상기 RNG-REQ 메시지 수신 시 상기 주변 기지국들에 대한 정보에 의거하여 동종 망간의 핸드오버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면, 주변의 이종 망의 기지국들에 대한 존재 여부를 체크한다. 이후 상기 서빙 기지국(300)은 상기 이종 망의 기지국들에 대한 정보를 추가한 RNG-RSP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이러한 이종 망의 기지국들에 대한 정보는 상기 RNG-RSP 메시지 내의 핸드오버 처리 최적화 필드에 포함된다. 상기 RNG-RSP 메시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14번째 비트 또는 15번째 비트의 설정에 따른 핸드오버 방법을 기술한 핸드오버 처리 최적화 필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RNG-RSP 메시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도 3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서빙 기지국(300)으로부터 상기 RNG-RSP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타겟 기지국(500)에 대한 RSSI 측정(S507) 및 네트워크 재진입(Network Re-entry) 절차를 수행한다(S509).
상기 S507단계 및 S509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서빙 기지국(300)으로부터 상기 RNG-RSP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RNG-RSP 메시지 내의 핸드오버 처리 최적화 필드에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그 여부를 판별한다.
이때, 상기 RNG-RSP 메시지 내의 핸드오버 처리 최적화 필드에 이종 망 핸드오버 정보가 포함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동종 망간의 위치 업데이트(Location Update) 절차를 중단한다. 그리고 상기 RNG-RSP 메시지 내의 핸드오버 최적화 필드 정보 즉, 14번째 비트 또는 15번째 비트 정보에 의거하여 이종 망으로의 핸드오버를 결정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핸드오버 처리 최적화 필드에 의거하여 핸드오버가 가능한 해당 이종 망의 타겟 기지국(500)과의 RSSI 측정 및 네트워크 재진입 절차를 수행한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RNG-RSP 메시지에 포함된 주변 이종망의 정보 중 해당 타겟 기지국(500)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타겟 기지국(500)에 대한 RSSI 측정 후 상기 RSSI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타겟 기지국(500)으로 네트워크 재진입 절차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도 5에서는 타겟 기지국이 하나인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겟 기지국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 또는 서빙 기지국(300)에서 검색하는 다수의 주변 기지국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주변 기지국들에 대한 RSSI를 측정하며, 상기 측정하는 RSSI가 가장 높은 주변 기지국을 타겟 기지국으로 선택하여 안정적인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타겟 기지국(500)과의 RSSI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타겟 기지국(500)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S511).
다음으로, 상기 타겟 기지국(500)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대한 네트워크 재진입이 정상적으로 완료됨을 알리는 네트워크 진입 완료 응답(Network_Entry_Done_Ack) 메시지를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513).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타겟 기지국(500)으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진입 완료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종 망으로의 핸드오버를 완료하고(S515), 상기 타겟 기지국(500)이 지원하는 이종 망 내에서의 아이들 모드(Idle mode)로 진입한다. 이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휴대 단말기(100) 자신이 현재 속해있는 서빙 기지국(300)과의 등록 해제(DE-REG)를 수행한다(S517). 이후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타겟 기지국(500)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아 통신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핸드오버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6에서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아이들 모드(Idle Mode) 시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공중 무선망 통신 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휴대 단말기는 아이들 모드(S601)에서의 핸드오버 과정인 위치 업데이트를 위해 자신이 현재 속해있는 서빙 기지국으로 RNG-REQ 메시지를 전송한다(S603). 상기 RNG-REQ 메시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표 3>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RNG-REQ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 즉, RNG-RSP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판별한다(S605). 상기 S605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RNG-RSP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RNG-RSP 메시지에 포함되는 핸드오버 처리 최적화 필드를 확인한다(S607).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핸드오버 처리 최적화 필드에 이종 망에 대한 정보 즉, 상기 휴대 단말기 자신이 현재 서비스 받고 있는 서빙 기지국과는 다른 이종 망의 타겟 기지국에 대한 정보의 포함여부를 판단한다(S609). 상기 RNG-RSP 메시지 및 상기 핸드오버 처리 최적화 필드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도 3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S609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RNG-RSP 메시지에 상기 이종 망의 타겟 기지국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RNG-RSP 메시지의 핸드오버 처리 최적화 필드에 의거하여 동종 망 내의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S611).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핸드오버 수행 후 상기 타겟 기지국에서의 아이들 모드로 진입한다(S613).
상기 S609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RNG-RSP 메시지에 상기 이종 망의 타겟 기지국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RNG-RSP 메시지의 핸드오버 처리 최적화 필드에 의거하여 이종 망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한다(S615).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핸드오버 수행 후 상기 이종 망의 타겟 기지국에서의 아이들 모드로 상태 천이한다(S617).
상기 S615단계 및 S617단계를 상세히 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핸드오버 처리 최적화 필드에 의거하여 이종 망의 해당 타겟 기지국에 대한 RSSI를 측정한다. 이때 상기 타겟 기지국은 상기 서빙 기지국에서 지정하는 특정 타겟 기지국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핸드오버 가능한 모든 주변 기지국들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특정 타겟 기지국과의 RSSI 측정 또는 핸드오버 가능한 모든 주변 기지국들에 대한 RSSI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RSSI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면 동종 망간의 위치 업데이트 절차를 중단하고, 상기 이종 망 타겟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가 완료되면 상기 타겟 기지국에서 상기 서빙 기지국에서의 아이들 모드에 해당하는 모드 유지를 위한 상태 천이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핸드오버 완료 시 상기 서빙 기지국과의 등록해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빙 기지국에서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 처리 절차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10에서는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서빙 기지국에서 휴대 단말기에 대한 공중 무선망 통신 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 처리 절차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서빙 기지국은 소정의 휴대 단말기로부터 RNG-REQ 메시지 수신(S701) 시 상기 휴대 단말기가 핸드오버 가능한 주변 타겟 기지국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S703). 이때, 상기 서빙 기지국은 상기 RNG-REQ 메시지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태 예컨대, 노멀 모드(Normal mode) 또는 아이들 모드(Idle mode)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RNG-REQ 메시지의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표 3>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상기 서빙 기지국은 상기 수집하는 정보를 판단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가 동종 망으로의 핸드오버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S705).
상기 S705단계에서의 확인결과, 상기 휴대 단말기가 동종 망으로의 핸드오버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서빙 기지국은 상기 휴대 단말기가 핸드오버 가능한 해당 타겟 기지국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RNG-RSP 메시지를 작성하여(S707)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한다(S711).
상기 S705단계에서의 확인결과, 상기 휴대 단말기가 동종 망으로의 핸드오버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서빙 기지국은 상기 휴대 단말기가 핸드오버 가능한 이종 망의 해당 타겟 기지국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RNG-RSP 메시지를 작성하여(S709)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한다(S711).
상기 RNG-RSP 메시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도 3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 방법 중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공중 무선망 통신 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 방법 중 공중 무선망 통신 시스템에서 휴대 인터넷 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8에서는 공중 무선망 통신 시스템에서 휴대 인터넷 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휴대 단말기(100)는 자신에게 현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빙 기지국(500)으로부터 측정 정보(Measurement Information) 메시지를 수신하면(S801), 상기 측정 정보 메시지에 의거하여 동종 망 내의 타겟 기지국들에 대한 RSSI를 측정한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측정 정보 메시지에 따라 주변 기지국들에 대한 RSSI 등 휴대 단말기(100)의 네트워크 특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 메시지를 작성하고, 상기 작성된 측정 보고 메시지를 상기 서빙 기지국(500)으로 전송한다(S803).
다음으로, 상기 서빙 기지국(500)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측정 보고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측정 보고 메시지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주변 기지국들에 대해 측정한 RSSI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동종 망간의 핸드오버 가능 여부를 판별한다. 이때, 상기 서빙 기지국(500)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동종 망간의 핸드오버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면,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코어 네트워크(CN, Core Network)(400)로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대한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핸드오버 요청(Handover Required) 메시지를 전송한다(S805).
상기 코어 네트워크(400)는 이종 망의 기지국 예컨대, 상기 서빙 기지국(500)으로부터 상기 핸드오버 요청(Handover Required)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핸드오버 지원을 위한 재배치 요청(Relocation Request) 메시지를 코어 네트워크(400) 자신의 하위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타겟 기지국들(예컨대, 타겟 RAS들 또는 ACR들)로 전송한다(S807). 즉, 상기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코어 네트워크(400)는 휴대 인터넷 시스템 내의 상기 타겟 기지국(300)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와 관련된 재배치 요청(Relocation Request) 메시지를 전달한다.
다음으로, 상기 타겟 기지국(300)은 상기 코어 네트워크(400)로부터 상기 재배치 요청(Relocation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대한 수용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타겟 기지국(300)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대한 수용이 가능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이종 망으로의 핸드오버 즉, 상기 타겟 기지국(300) 자신이 서비스하고 있는 휴대 인터넷 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를 명령하는 재배치 요청 수락(Relocation Request Acknowledge) 메시지를 상기 코어 네트워크(400)로 전송한다(S809).
다음으로, 상기 코어 네트워크(400)는 상기 타겟 기지국(300)으로부터 상기 재배치 요청 수락(Relocation Request Acknowledge)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대한 이종 망으로의 핸드오버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이종 망 즉, 휴대 인터넷 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를 명령하는 핸드오버 명령(Handover Command) 메시지를 상기 서빙 기지국(500)으로 전송한다(S811).
다음으로, 상기 서빙 기지국(500)은 상기 이종 망의 코어 네트워크(400)로부터 자신이 요청한 핸드오버 요청(Handover Required)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핸드오버 명령(Handover Command)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에 의거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 이종 망 예컨대, 휴대 인터넷 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를 명령한다(S813).
다음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자신이 현재 서비스 받고 있는 상기 서빙 기지국(500)으로부터 이종 망으로의 핸드오버 명령(예컨대, 휴대 인터넷 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 명령(Inter-system to WiBro Handover Command))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종 망인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상기 타겟 기지국(300)으로의 핸드오버를 위한 동기화(Synchronization) 예컨대, 물리계층 동기화(Physical Layer Synchronization)를 수행한다(S815). 예를 들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공중 무선망 통신 시스템의 상기 서빙 기지국(100)과의 통신을 위한 모뎀(MODEM)을 비활성화(de-activate)시키고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상기 타겟 기지국(300)과의 통신을 위한 모뎀을 활성화(activate)하여 물리계층 동기화를 통한 휴대 인터넷 시스템으로의 접속 즉, 네트워크 진입(Network Entry) 절차를 수행한다(S819).
이때, 상기 타겟 기지국(300)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재배치 검사(Relocation Detect)를 수행하고 그에 대한 결과를 재배치 검사(Relocation Detect) 메시지에 포함하여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상기 코어 네트워크(400)로 전달한다(S817). 상기 S817단계에서 상기 타겟 기지국(300)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와 동기화 시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에 대한 재배치 검사(Relocation Detect)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상기 코어 네트워크(400)로 전달한다.
한편, 상기 S819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S815단계에서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상기 타겟 기지국(300)과의 동기화 이후 네트워크 진입 과정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타겟 기지국(300)과의 핸드오버에 관련된 핸드오버 절차(예컨대, 레인징 절차 등)를 수행한다. 이후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타겟 기지국(300)과 최적의 핸드오버(Optimized HO)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휴대 단말기(100)의 정보 예컨대, 기본 용량 협상(SBC, Subscriber Station's Basic Capability Negotiation) 정보, 암호 키 관리(PKM, Privacy Key Management) 정보, 등록(REG, Registration) 정보 등의 송수신을 통해 네트워크 진입(Network Entry) 과정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한 절차를 통해 상기 타겟 기지국(300)으로의 핸드오버가 완료되면, 상기 휴대 인터넷 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 완료를 알리는 핸드오버 완료(Handover to WiBro Complete) 메시지를 상기 타겟 기지국(300)으로 전송한다(S821).
다음으로, 상기 타겟 기지국(300)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핸드오버 완료(Handover to WiBro Complete)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대한 위치 재배치가 완료됨을 알리는 재배치 완료(Relocation Complete) 메시지를 상기 코어 네트워크(400)로 전달한다(S823).
상기 코어 네트워크(400)는 상기 타겟 기지국(300)으로부터 재배치 완료(Relocation Complete) 메시지 수신 시 이종 망의 상기 서빙 기지국(500)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대한 이종 망 핸드오버가 완료됨에 따라 상기 서빙 기지국(500)의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대한 서비스 종료를 명령하는 클리어 명령(Clear Command) 메시지를 전송한다(S825).
상기 서빙 기지국(500)은 상기 코어 네트워크(400)로부터 상기 클리어 명령(Clear Command)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대한 서비스를 중단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대한 서비스 종료를 완료함을 알리는 클리어 완료(Clear 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한다(S827). 이후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공중 무선망 통신 시스템으로부터의 제공받는 서비스를 종료하고, 휴대 인터넷 시스템과의 서비스를 수행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핸드오버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9에서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공중 무선망 통신 시스템에서 휴대 인터넷 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휴대 단말기는 주변 기지국들에 대한 측정 정보(Measurement Information)를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901). 상기 S901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주변 기지국들에 대하여 RSSI 등을 측정하고, 이러한 측정 정보를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 메시지에 포함하여 자신에게 현재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 메시지 전송 이후,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명령(Handover Command) 메시지 수신 시(S903), 상기 핸드오버 명령(Handover Command) 메시지 내의 핸드오버 명령 정보를 판단한다(S905).
상기 S905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의 핸드오버 명령이 동종 망간의 핸드오버 명령이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동종 망 내의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과정을 수행한다(S907). 상기 S905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의 핸드오버 명령이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 명령이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를 위해 상기 이종 망 내의 타겟 기지국과의 동기화 과정을 수행한다(S909).
이때, 상기 타겟 기지국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측정 정보 예컨대, RSSI 측정 정보 등에 의거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 또는 상기 서빙 기지국에서 지정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RSSI 측정 정보에 의거하여 휴대 단말기가 타겟 기지국을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SSI 측정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서빙 기지국에서 특정 타겟 기지국 지정하거나,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핸드오버 가능한 다수의 주변 기지국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S909단계에서 이종 망의 타겟 기지국과의 동기화가 완료되면, 해당 이종 망의 타겟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 과정을 수행한다(S911).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타겟 기지국에서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 처리 절차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10에서는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타겟 기지국에서 휴대 단말기에 대한 핸드오버 처리 절차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타겟 기지국은 이종 망의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소정 휴대 단말기에 대한 핸드오버 요청 수신(S1011) 시 상기 휴대 단말기에 대한 수용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S1013)(S1015).
상기 S1013단계 및 S1015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휴대 단말기에 대한 수용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타겟 기지국은 상기 휴대 단말기에 대한 핸드오버를 거부할 수 있다(S1017). 따라서 상기 타겟 기지국은 이종 망의 서빙 기지국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의 핸드오버를 거부하는 메시지를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S1013단계 및 S1015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휴대 단말기에 대한 수용이 가능한 경우 상기 타겟 기지국은 상기 휴대 단말기에 대한 핸드오버를 명령할 수 있다(S1019). 따라서 상기 타겟 기지국은 이종 망의 서빙 기지국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의 핸드오버를 명령하는 메시지를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다중 접속 모드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휴대 단말기는 이종 망으로의 핸드오버 시 서비스를 끊어짐 없이 연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는 휴대 단말기에 대한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핸드오버를 위해 타겟 기지국 및 백본 네트워크에 저장되어 있는 휴대 단말기의 정보를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를 위해 정의하는 메시지를 기존에 정의된 필드의 예약된 비트(Reserved bit)를 이용함으로써, 메시지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에 구축된 일반 공중 무선망 자원을 재사용하여 휴대 인터넷 시스템과의 상호 보완의 결과를 이룰 수 있으며,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비교적 큰 기존의 일반 공중 무선망 서비스의 장점과 휴대 인터넷 서비스의 장점을 모두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하게 하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34)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의 핸드오버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의 핸드오버 결정 시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빙 기지국은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 수신 시 주변 타겟 기지국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에 의거하여 동종 망 또는 이종 망의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기지국은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 수신 시 상기 휴대 단말기의 동종 망 내의 핸드오버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가 동종 망 내의 핸드오버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에 상기 휴대 단말기가 핸드오버 가능한 이종 망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는 동종 망 또는 이종 망으로의 핸드오버를 지시하는 정보 필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필드는 핸드오버 처리 최적화(HO Process Optimization) 필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노멀 모드(Normal mode)에서 상기 서빙 기지국과의 송수신 신호의 세기에 따라 핸드오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아이들 모드(Idle mode) 상태에서 핸드오버 결정 시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에 아이들 모드 상태에 따른 위치 업데이트 요청 정보를 포 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는 동종 망의 주변 타겟 기지국 정보 및 이종 망의 주변 타겟 기지국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의 핸드오버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의 핸드오버 결정 시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 수신 시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에 의거하여 동종 망 또는 이종 망의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 수신 시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의 핸드오버 정보 필드로부터 핸드오버 가능한 주변 타겟 기지국들의 정보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의 핸드오버 정보 필드가 동종 망 내의 주변 타겟 기지국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핸드오버 가능한 해당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의 핸드오버 정보 필드가 이종 망의 주변 타겟 기지국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핸드오버 가능한 해당 이종 망의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정보 필드는 핸드오버 처리 최적화(HO Process Optimization) 필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노멀 모드(Normal mode)에서 상기 서빙 기지국과의 송수신 신호의 세기에 따라 핸드오버를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아이들 모드(Idle mode) 상태에서 핸드오버 결정 시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에 아이들 모드 상태에 따른 위치 업데이트 요청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아이들 모드 상태에서 타겟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 완료 후 상기 아이들 모드에 대응하는 해당 모드로 천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서빙 기지국은 소정의 휴대 단말기로부터 레인징 요청 메시지 수신 시 주변 타겟 기지국들의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수집하는 타겟 기지국들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동종 망 내의 핸드오버 가능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판별결과 동종 망 내의 핸드오버 가능 시 동종 망 내의 타겟 기지국들 의 정보를 포함하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판별결과 동종 망 내의 핸드오버 불가능 시 이종 망의 타겟 기지국들의 정보를 추가하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동종 망 또는 이종 망으로의 핸드오버를 지시하는 핸드오버 정보 필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정보 필드는 핸드오버 처리 최적화(HO Process Optimization) 필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1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서빙 기지국은 휴대 단말기의 핸드오버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의 핸드오버 결정 시 상기 휴대 단말기의 핸드오버 가능 타 겟 기지국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가 동종 망 내의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가 불가능 한 것으로 판단하면, 이종 망의 해당 타겟 기지국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의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이종 망의 타겟 기지국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수용이 가능한 경우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의 핸드오버 명령을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빙 기지국은 상기 휴대 단말기로 이종 망의 타겟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지시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핸드오버 명령에 의거하여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기지국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핸드오버 결정 시 주변 타겟 기지국들의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수집하는 타겟 기지국들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핸드오버 가능 타겟 기지국을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 망의 타겟 기지국은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기의 핸드오버 요청 수신 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수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의 수용이 가능할 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이종 망으로의 핸드오버를 명령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의 핸드오버 명령에 의거하여 상기 이종 망의 타겟 기지국과 동기화하는 과정과,
    상기 동기화 후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네트워크 진입(Network Entry) 후 상기 이종 망의 타겟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완료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2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의 핸드오버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의 핸드오버 결정 시 측정 보고 메시지를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이종 망의 타겟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 명령 수신 시 상기 이종 망의 해당 타겟 기지국과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이종 망의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보고 메시지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수집하는 주변 타겟 기지국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동기화 후 상기 이종 망의 타겟 기지국으로 네트워크 진입(Network Entry)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2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타겟 기지국은 이종 망의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요청 수신 시 해당 휴대 단말기에 대한 수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에 대한 수용이 가능한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에 대한 핸드오버를 지시하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 대한 수용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에 대한 핸드오버를 거부하는 핸드오버 거부 메시지를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26.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핸드오버 결정 시 자신이 현재 속하는 해당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요청하고, 상기 해당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정보에 의거하여 동종 망 또는 이종 망의 해당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하는 휴대 단말기와,
    상기 휴대 단말기의 핸드오버 요청 수신 시 자신이 속하는 동종 망의 타겟 기지국 또는 이종 망의 타겟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지시하는 제1 기지국과,
    상기 제1 기지국과는 다른 종류의 망에 존재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의 핸드오버 요청 수신 시 자신이 속하는 동종 망의 타겟 기지국 또는 이종 망의 타겟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지시하는 제2 기지국을 포함하는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 제 공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에 의거하여 동종 망 또는 이종 망의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 제공 시스템.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는 동종 망 또는 이종 망으로의 핸드오버를 지시하는 핸드오버 처리 최적화(HO Process Optimization) 필드를 포함하는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 제공 시스템.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핸드오버 명령에 의거하여 이종 망의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 제공 시스템.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노멀 모드(Normal mode)에서 상기 제1 기지국과의 송수신 신호의 세기에 따라 핸드오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 제공 시스템.
  31.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아이들 모드(Idle mode) 상태에서 핸드오버 결정 시 레인징 요청 메시지에 아이들 모드 상태에 따른 위치 업데이트 요청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 제공 시스템.
  32.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은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핸드오버 요청 수신 시 상기 휴대 단말기로 동종 망 또는 이종 망의 주변 타겟 기지국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 제공 시스템.
  33.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동종 망 내의 핸드오버 불가능 시 이종 망의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요청하고,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명령 수신 시 상기 휴대 단말기로 이종 망의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 제공 시스템.
  34.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은
    이종 망의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기에 대한 핸드오버 요청 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수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상응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이종 망으로의 핸드오버 명령을 지시하는 정보를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망간의 핸드오버 제공 시스템.
KR1020060091953A 2006-09-21 2006-09-2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및 시스템 KR200800268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1953A KR20080026855A (ko) 2006-09-21 2006-09-2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1953A KR20080026855A (ko) 2006-09-21 2006-09-2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6855A true KR20080026855A (ko) 2008-03-26

Family

ID=39414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1953A KR20080026855A (ko) 2006-09-21 2006-09-2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26855A (ko)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4591A2 (en) * 2008-08-27 2010-03-04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handover in a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
KR20100118536A (ko) * 2009-04-28 2010-11-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반송파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WO2011005019A2 (ko) * 2009-07-06 2011-01-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주변 기지국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1074785A3 (en) * 2009-12-17 2011-11-1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ndover in consideration of authentication procedure
WO2013081254A1 (ko) * 2011-11-30 2013-06-06 주식회사 케이티 시스템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US8565752B2 (en) 2011-04-14 2013-10-22 Kt Corporation Femtocell base station and management system thereof
US8588782B2 (en) 2011-04-14 2013-11-19 Kt Corporation Femtocell access control
US8655347B2 (en) 2011-04-14 2014-02-18 Kt Corporation Measuring macrocell quality using femtocell
US8831614B2 (en) 2011-08-08 2014-09-09 Kt Corporation Load distribution in CS fallback
US8862170B2 (en) 2010-12-22 2014-10-14 Kt Corporation Cloud communication center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in a cloud communication system
US8867432B2 (en) 2011-08-09 2014-10-21 Kt Corporation Processing uplink signal and downlink signal in radio unit
US8913516B2 (en) 2011-01-31 2014-12-16 K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push message
US8964643B2 (en) 2011-10-26 2015-02-24 Kt Corporation Redirection in heterogeneous overlay networks
KR101496891B1 (ko) * 2008-08-18 2015-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빙 셀 전환 지연시간 감소 방법 및 장치
US9014146B2 (en) 2011-10-27 2015-04-21 Kt Corporation Network redirection in heterogeneous overlay networks
US9055503B2 (en) 2011-08-01 2015-06-09 Kt Corporation Selecting a target cell for CS fallback
US9215614B2 (en) 2011-04-14 2015-12-15 Kt Corporation Controlling femtocell operation bandwidth based on interference to macrocell
US9479969B2 (en) 2010-06-28 2016-10-25 K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handoff in an integrated cell
US9565606B2 (en) 2011-08-16 2017-02-07 Kt Corporation Controlling signal transmission in radio units

Cited B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891B1 (ko) * 2008-08-18 2015-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빙 셀 전환 지연시간 감소 방법 및 장치
US8699459B2 (en) 2008-08-27 2014-04-15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handover in a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
WO2010024591A3 (en) * 2008-08-27 2010-06-24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handover in a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
WO2010024591A2 (en) * 2008-08-27 2010-03-04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handover in a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
KR20100118536A (ko) * 2009-04-28 2010-11-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반송파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WO2011005019A2 (ko) * 2009-07-06 2011-01-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주변 기지국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1005019A3 (ko) * 2009-07-06 2011-04-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주변 기지국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1074785A3 (en) * 2009-12-17 2011-11-1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ndover in consideration of authentication procedure
US9173094B2 (en) 2009-12-17 2015-10-2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ndover in consideration of authentication procedure
US9479969B2 (en) 2010-06-28 2016-10-25 K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handoff in an integrated cell
US10548023B2 (en) 2010-12-22 2020-01-28 Kt Corporation Cloud communication center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in a cloud communication system
US8862170B2 (en) 2010-12-22 2014-10-14 Kt Corporation Cloud communication center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in a cloud communication system
US10548024B2 (en) 2010-12-22 2020-01-28 Kt Corporation Cloud communication center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in a cloud communication system
US9288708B2 (en) 2011-01-31 2016-03-15 K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push message
US8913516B2 (en) 2011-01-31 2014-12-16 K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push message
US9215614B2 (en) 2011-04-14 2015-12-15 Kt Corporation Controlling femtocell operation bandwidth based on interference to macrocell
US8655347B2 (en) 2011-04-14 2014-02-18 Kt Corporation Measuring macrocell quality using femtocell
US8565752B2 (en) 2011-04-14 2013-10-22 Kt Corporation Femtocell base station and management system thereof
US8588782B2 (en) 2011-04-14 2013-11-19 Kt Corporation Femtocell access control
US9055503B2 (en) 2011-08-01 2015-06-09 Kt Corporation Selecting a target cell for CS fallback
US8831614B2 (en) 2011-08-08 2014-09-09 Kt Corporation Load distribution in CS fallback
US9369194B2 (en) 2011-08-09 2016-06-14 Kt Corporation Processing uplink signal and downlink signal in radio unit
US8867432B2 (en) 2011-08-09 2014-10-21 Kt Corporation Processing uplink signal and downlink signal in radio unit
US9565606B2 (en) 2011-08-16 2017-02-07 Kt Corporation Controlling signal transmission in radio units
US8964643B2 (en) 2011-10-26 2015-02-24 Kt Corporation Redirection in heterogeneous overlay networks
US9014146B2 (en) 2011-10-27 2015-04-21 Kt Corporation Network redirection in heterogeneous overlay networks
US8868086B2 (en) 2011-11-30 2014-10-21 Kt Corporation Selectively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in a heterogeneous network environment
US9699695B2 (en) 2011-11-30 2017-07-04 Kt Corporation Selectively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in a heterogeneous network environment
WO2013081254A1 (ko) * 2011-11-30 2013-06-06 주식회사 케이티 시스템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2685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및 시스템
TWI471028B (zh) 有利於交換之方法及無線傳送/接收單元
EP211927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handover from lte/ eutran to gprs/geran
EP2433399B1 (en) Method for conserving resources during wireless handover of a multi-mode mobile device
US920435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over between a heterogeneous communication system and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210368B2 (ja) 無線基地局及び方法
US201503821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user equipment history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090207812A1 (en) Dual radio handovers beween wimax and 3gpp
US9380504B2 (en) Method,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for changing access cell
CN102740418A (zh) 语音业务的实现方法及终端
KR100958657B1 (ko) 이기종망간 빠른핸드오버 방법 및 시스템
JP4950323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基地局及び方法
JP2012526407A (ja) 無線アクセス技術を識別する移動局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70011936A (ko) 패킷 교환 기반의 네트워크에서 코어 네트워크 개체들 간의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WO2008053855A1 (fr) Dispositif de passerelle d&#39;accès et procédé de notification d&#39;identifiant de zone de suivi
JP2007531465A (ja) ネットワーク間移行を容易に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88311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및 시스템
JP2015503250A (ja) フェムトap内ハンドオフ
CN101287283B (zh) 实现网络切换的方法和无线通信系统
WO2014169578A1 (zh) 切换处理方法、接入网信息处理方法及装置
WO2014101079A1 (zh) 切换判决方法、基站和用户设备
EP2265056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ethod of handover between different types of access network, mobile terminal, and server
KR10080215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및 시스템
KR20050102370A (ko)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패킷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하기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패킷 핸드오버 방법과 이를 위한이동통신 단말
Mansur et al. Optimal initiation based vertical handover for UMTS-802.11 WLAN overlay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