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6293A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26293A KR20080026293A KR1020060091091A KR20060091091A KR20080026293A KR 20080026293 A KR20080026293 A KR 20080026293A KR 1020060091091 A KR1020060091091 A KR 1020060091091A KR 20060091091 A KR20060091091 A KR 20060091091A KR 20080026293 A KR20080026293 A KR 2008002629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charge
- air
- cabinet
- air conditioner
- indoor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설치 조감도이다. 1 is a bird's eye view of the indoor unit install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프론트 패널이 열렸을 때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when the front panel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6은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2.
도 7은 도 2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송풍기 및 열교환기의 분해 사시도이다.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lower and heat exchanger illustrated in FIG. 4.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디스챠지 및 디스챠지 회전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scharge and discharge rotating unit shown in FIG. 4. FIG.
도 10은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디스챠지의 1 회전각도와 회전주기에 따른 여러 실시 예의 비교 그래프이다. 10 is a comparison graph of various embodiments according to one rotation angle and rotation period of the discharge i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디스챠지의 1 회전각도 대비 실내 온도 그래프이다. 11 is a graph of room temperature versus one rotation angle of the discharge i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디스챠지의 회전 주기 대비 실내 온도 그래프이다.12 is a graph of room temperature versus a rotation period of the discharge i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다방향 토출 모드 운전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ulti-directional discharge mode operation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다방향 토출 모드 운전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4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multi-directional discharge mod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집중 토출 모드 운전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centrated discharge mode operation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인공지능 모드 운전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 operation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사시도이다.1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횡단면도이다.1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사시도이다.19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횡단면도이다.2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사시도이다.2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횡단면도이다.2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3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사시도이다. Figure 2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실내기 2: 실외기1: indoor unit 2: outdoor unit
3: 냉매 배관 10: 캐비닛3: refrigerant piping 10: cabinet
11: 좌측 흡입구 12: 우측 흡입구11: left inlet 12: right inlet
20: 탑 패널 21: 제1토출구20: top panel 21: first discharge port
22: 제2토출구 23: 제3토출구22: 2nd discharge outlet 23: 3rd discharge outlet
24: 제1토출 루버 25: 제2토출 루버24: first discharge louver 25: second discharge louver
26: 제3토출 루버 30: 베이스26: third discharge louver 30: base
40: 메인 프레임 41: 좌측 패널40: main frame 41: left panel
42: 우측 패널 43: 후면 패널42: right panel 43: rear panel
44: 좌측 흡입그릴 47: 우측 흡입그릴44: left suction grill 47: right suction grill
50: 프론트 패널 52: 탑 패널50: front panel 52: top panel
54: 프론트 이너 패널 60: 송풍기54: front inner panel 60: blower
70: 열교환기 100: 디스챠지70: heat exchanger 100: discharge
102: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 104: 디스챠지 메인 프레임102: discharge base panel 104: discharge main frame
106: 디스챠지 탑 패널 110: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 106: discharge top panel 110: discharge discharge port louver
120: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 구동유닛 160: 디스챠지 회전유닛 브래킷120: discharge discharge port louver drive unit 160: discharge rotation unit bracket
170: 디스챠지 베어링 180: 디스챠지 홀더170: discharge bearing 180: discharge holder
190,192: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 200: 디스챠지 회전 구동력 전달기구190,192: discharge rotation unit motor 200: discharge rotation drive force transmission mechanism
201,202: 드라이브 기어 204: 드리븐 기어 201,202: drive gear 204: driven gea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조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구비된 디스챠지가 회전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discharge provided to discharge air-conditioned air to the room can be rotated.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매의 공조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난방 시키거나, 필터 등을 이용하여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으로서, 크게 분리형과 일체형으로 구분된다.In general, the air conditioner is to cool and cool the room by using an air conditioning cycle of a refrigerant consisting of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device, and an evaporator to create a mor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for the user, or to purify the air by using a filter. It is divided into separate type and integral type.
상기 분리형과 일체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분리형은 실내 측에 냉각/방열 기능의 실내기를 설치하고 실외 측에 방열/냉각 및 압축 기능의 실외기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두 장치간을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고, 일체형은 냉각 방열 압축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가옥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한 것이다.The separation type and the integrated type are functionally the same, but the separation type is an indoor unit having a cooling / heat radiating function installed at the indoor side and an outdoor unit having a heat radiating / cooling and compression function installed at the outdoor side to connect two separated devices with refrigerant pipes. The one-piece type integrates the function of cooling, heat dissipation compression, and is directly installed by drilling a hole in the wall of the house or hanging the device on the window.
도 23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사시도이다.Figure 2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이루는 캐비닛(700)의 전면 상부 중앙에 전면 중앙 토출구(702)가 형성되고,상기 캐비닛(70)의 전면 상부 양측에 각각 전면 좌,우 토출구(704)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캐비닛(700)의 전면 하부 양측에 각각 좌,우 흡입구(706)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 23, the indoor unit of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has a front
상기 전면 중앙 토출구(702)에는 상기 전면 중앙 토출구(70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분산시키는 토출 그릴(710)이 배치된다. A
상기 전면 좌,우 토출구(704)에는 각각 상기 전면 좌,우 토출구(704)를 개폐하는 토출 베인(710)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Discharge vanes 71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left and
상기 좌,우 흡입구(706)에는 각각 상기 좌,우 흡입구(706)에는 흡입 그릴(714)이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전면 좌,우 흡입구(706)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캐비닛(700) 내부에서 냉각/가열 등 공조된 후 상기 전면 중앙 토출구(702) 및 전면 좌,우 토출구(704)를 통해 실내기의 상부 전방을 향해 토출되게 한다.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which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air sucked through the front left and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좌,우 흡입구(706)와 전면 중앙 토출구(702) 및 전면 좌,우 토출구(704)가 상기 캐비닛(700)의 전면 측에만 형성되어 공기조화기의 전면측 하부로 흡입된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전면측 상부로만 토출되므로, 토출 기류의 방향이 한정적이고 항상 같기 때문에 효율적인 냉/난방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left and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토출 기류의 방향으로 인해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설치 위치가 제약을 받기 때문에 실내 인테리어 조화 및 실내 공간 활용도 측면에서 불리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s disadvantageous in terms of indoor interior harmony and indoor space utilization becaus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s limited by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air flow as described above. There is this.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캐비닛의 상측 또는 상기 캐비닛 내 상측부에 공조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구비된 디스챠지가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토출 기류감이 최적화될 수 있고, 토출 기류 방향으로 인한 설치 위치 제약이 없어 실내 인테리어 조화 및 실내 공간 활용도가 향상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discharge air flow feeling is optimized because the discharge provided to discharge the air-conditioned air to the upper side of the cabinet or the upper portion of the cabinet to the room can be rotated It can be, and there is no installation position constraints due to the discharge air flow direc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that can improve the interior interior harmony and indoor space utilization.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를 갖고, 그 내부에 흡입된 공기를 공조시키는 공조부가 구비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상측 또는 상기 캐비닛 내 상측부에 회전 가능토록 구비되고, 상기 공조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토출구를 갖는 디스챠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챠지는 5도 내지 55도씩 회전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binet having an intake port through which indoor air is sucked, and an air conditioning unit configured to air-condition the air sucked therein; A discharge part provided at an upper side of the cabinet or at an upper side of the cabinet to be rotatable, the discharge having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air-conditioned air is discharged into the room; The discharge provides an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rotated by 5 to 55 degrees.
상기 디스챠지는 15도 내지 25도씩 회전될 수 있다.The discharge may be rotated by 15 to 25 degrees.
상기 디스챠지의 회전 주기는 5초 내지 70초일 수 있다.The rotation period of the discharge may be 5 seconds to 70 seconds.
또는 상기 디스챠지의 회전 주기는 9초 내지 20초일 수 있다.Alternatively, the rotation period of the discharge may be 9 seconds to 20 seconds.
상기 디스챠지의 토출구는 상기 디스챠지에 하나 형성되거나, 복수 개가 상기 디스챠지의 회전방향으로 배열토록 형성될 수 있다.One discharge port of the discharge may be formed in the discharge, or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may be arranged i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ischarge.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설치 조감도이다. 1 is a bird's eye view of the indoor unit install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는 공기 조화가 요구되는 실내(I)에 적어도 한 대 이상 설치되고, 실내(I) 밖에 설치된 적어도 한 대 이상의 실외기(2)와 냉매배관(3)으로 연결되어 실내(I)를 냉/난방시키거나 정화시킨다. 이하 한 대의 실내기(1)와 한 대의 실외기(2)로 이루어진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At least one indoor unit (1)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room (I) where air conditioning is required, and at least one outdoor unit (2) and a refrigerant pipe (3) installed outside the room (I). Connected to the room (I) to cool / heat or purify.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limited to one indoor unit 1 and one outdoor unit 2.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프론트 패널이 열렸을 때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when the front panel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2.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는 캐비닛(10)이 상하방향으로 길고, 원형 구조도 가능하고 다각형 구조도 가능한데,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대략 팔각형 구조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In the indoor unit 1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캐비닛(10)에는 일측에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1)(12)가 형성되고, 타측에 실내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3)(14)(15)가 형성된다.In the
상기 흡입구(11)(12)는 상기 캐비닛(10)의 둘레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데, 흡입 기류 방향이 다양하면 실내의 공기가 신속하고 고르게 상기 캐비닛(10) 내부로 흡입될 수 있으므로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캐 비닛(10)의 둘레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이격 배열됨이 바람직하다.The
따라서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흡입구(11)(12)가 2개로 구비되고, 외관 수려함을 위해 눈에 잘 띄지 않도록 상기 캐비닛(10)이 실내의 벽에 근접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10)을 정면으로 바라볼 때 상기 캐비닛(1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캐비닛(10)의 좌측에 배치된 흡입구(11)를 좌측 흡입구(11)라 하고, 상기 캐비닛(10)의 우측에 배치된 흡입구(12)를 우측 흡입구(12)라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below, the
또한 상기 좌측 흡입구(11)와 우측 흡입구(12)는 실내의 공기 순환이 원활하면 실내가 신속하면서도 고르게 공조될 수 있는 바, 실내의 원활한 공기 순환을 위해 상기 캐비닛(10)의 하측부에 위치된다.In addition, the
상기 토출구(13)(14)(15)는 토출 기류의 방향이 다양하면 실내가 신속하면서도 고르게 공조될 수 있는 바, 최적의 토출 기류 조성을 위해 동일 수평면 상에서 상기 캐비닛(10)의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 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The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실내 공간이 넓게 활용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가 실내의 벽에 근접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캐비닛(10)의 둘레면 중 실내의 벽과 근접한 면은 실내의 벽에 의해 가로막히게 되므로, 최적의 토출 기류 조성을 위해 상기 캐비닛(10)의 둘레면 중 실내의 벽과 근접한 면을 제외한 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door unit 1 of the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to be close to the wall of the room so that the indoor space can be widely used, so that the surface close to the wall of the room is the wall of the room. Since it is blocked by,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on the surface excluding the surface close to the wall of the room of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토출구(13)(14)(15)가 3개로 구비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캐비닛(10)을 정면에 배치된 토출구(13)를 전면 토출구(13)라 하고, 상기 캐비닛(10)의 좌측에 배치된 토출구(14)를 좌측 토출구(14)라 하고, 상기 캐비닛(10)의 우측에 배치된 토출구(15)를 우측 토출구(15)라 한다. Therefore,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discharge holes 13, 14, and 15 are limited to three, an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discharge holes 13 disposed at the front of the
한편, 상기 캐비닛(10)에는 최적의 토출 기류 조성을 위해, 상기 캐비닛(10)의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토출구(13)(14)(15) 사이에 배치되어 실내로 공기가 토출되게 하는 보조 토출구(16)(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상기 보조 토출구(16)(미도시)는 상기 캐비닛(10)의 실내의 벽에 근접하면 토출 기류 저항이 커지므로, 상기 전면 토출구(13)와 좌측 토출구(14) 사이와 상기 전면 토출구(13)와 우측 토출구(15) 사이에 각각 하나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전면 토출구(13)와 좌측 토출구(14) 사이에 배치된 보조 토출구(16)를 좌측 보조 토출구(16)라 하고, 상기 전면 토출구(13)와 우측 토출구(15) 사이에 배치된 보조 토출구(16)를 우측 보조 토출구(미도시)라 한다.When the auxiliary discharge port 16 (not shown) is close to the wall of the interior of the
상기한 캐비닛(10)은 상기 좌측 흡입구(11)와 우측 흡입구(12)가 형성된 하부와 상기 전면 토출구(13), 좌측 토출구(14), 우측 토출구(15)가 형성된 상부로 분리된 구조도 가능하고, 일체형 구조도 가능하며,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일체화된 구조로 한정하여 설명한다.The
상기 일체형 구조의 캐비닛(10)은 상기 캐비닛(10)의 하면을 이루는 베이스(30)와, 상기 베이스(3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10)의 정면을 제외한 7개의 둘레면을 이루는 메인 프레임(40)과, 상기 메인 프레임(40)의 전방에 배치되 어 상기 캐비닛(10)의 정면을 이루는 프론트 패널(50)과, 상기 메인 프레임(40)의 상측에 올려져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을 이루는 탑 커버(20)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상기 베이스(30)는 상기 메인 프레임(40)과 프론트 패널(50)이 올려져 설치되는 베이스 인스톨부(32)와, 상기 베이스 인스톨부(32)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후술하는 열교환기(70)가 올려짐과 아울러 열교환기(70)에서 낙하되는 응축수를 받는 드레인 팬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드레인 팬부(34)는 상기 베이스 인스톨부(32)에서 상향 돌출된 좌측 판부(35)와, 상기 좌측 판부(35)와 이격되게 상기 베이스 인스톨부(32)에서 상향 돌출된 우측 판부(36)와, 상기 좌측 판부(35)와 우측 판부(36)의 상단에 형성되고 일측에 배수홀(37a)이 형성된 상측 박스부(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상측 박스부(37)에는 상기 배수홀(37a)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캐비닛(10)의 일측을 관통하여 타단이 상기 캐비닛(10)의 외부로 연장되는 배수 호스(38)가 연결된다.One end of the
상기 베이스(30)는 플라스틱 사출되어 성형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상기 드레인 팬부(34)를 베이스 인스톨부(32)와 일체로 돌출 성형하기 위해 상기 드레인 팬부(34) 특히, 상기 상측 박스부(37)의 하부에 개구부(30a)가 형성된다.Most preferably, the
상기 베이스(30)는 상기 개구부(30a)의 하단을 막도록 상기 베이스 인스톨부(32)의 저면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베이스 커버(30b)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base 30 further includes a
상기 베이스(30)는 상기 베이스 인스톨부(32)의 저면이 실내의 바닥과 직접 접촉되는 것도 가능하고, 실내의 바닥과 접촉되는 별도의 베이스 패널(39) 위에 올려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상기 베이스(30)는 상기 베이스 인스톨부(32)가 올려져 체결되는 베이스 패널(39)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The base 30 may be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installation unit 32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floor of the room, may be mounted on a
상기 메인 프레임(40)은 상기 베이스(30)의 좌측 상부에 배치된 좌측 패널(41)과, 상기 베이스(30)의 우측 상부에 배치된 우측 패널(42)과, 상기 베이스(30)의 후방 상부에 배치된 후면 패널(43)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상기 좌측 패널(41)에는 그 하측부에 상기 좌측 흡입구(11)가 좌우로 개구된 구조로 형성되고, 그 상측부에 좌측 토출구(14)가 좌우로 개구된 구조로 형성된다.The
상기 좌측 패널(41)에는 상기 좌측 흡입구(11)에 배치된 좌측 흡입 그릴(44)이 결합된다.The left
상기 좌측 흡입 그릴(44)에는 상기 좌측 흡입 그릴(44)을 통과한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름되는 좌측 프리 필터(45a)가 착탈된다.The left
상기 좌측 패널(41)에는 상기 좌측 프리 필터(45a)를 통과한 공기를 정화하는 헤파 필터나 전기 집진기 등의 좌측 고성능 필터(45b)가 구비되는 바, 상기 좌측 패널(41)에는 상기 좌측 고성능 필터(45b)가 착탈되는 좌측 필터 가이드(45c)가 설치된다.The
상기 우측 패널(42)은 상기 좌측 패널(41)과 좌우 대칭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우측 패널(42)은 그 하측부에 상기 우측 흡입구(12)가 좌우로 개구된 구조로 형성되고, 그 상측부에 상기 우측 토출구(15)가 좌우로 개구된 구조로 형성 된다.The
상기 우측 패널(42)에는 상기 우측 흡입구(12)에 배치되는 우측 흡입 그릴(47)이 결합된다.The right
상기 우측 흡입 그릴(47)에는 상기 우측 흡입 그릴(47)을 통과한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름되는 우측 프리 필터(48a)가 착탈된다.The
상기 우측 패널(42)에는 우측 프리 필터(48a)를 통과한 공기를 정화하는 헤파 필터나 전기 집진기 등의 우측 고성능 필터(48b)가 구비되는 바, 상기 우측 패널(42)에는 상기 우측 고성능 필터(48b)가 착탈되는 우측 필터 가이드(48c)가 설치된다.The
상기 후면 패널(43)은 그 일측에 상기 배수 호스(38)와 후술하는 열교환기(70)의 냉매배관이 관통되는 배관 관통홀(43a)이 형성된 배관 커버(43b)가 장착되는 바, 그 하부에 상기 배관 커버(43b)가 장착되는 배관 커버 장착부(43c)가 구비된다.The
상기 후면 패널(43)에는 상기 좌측 패널(41)에 돌출되게 구비된 후크가 삽입되어 걸어지는 걸이홀(미도시)과, 상기 우측 패널(42)에 돌출되게 후크가 삽입되어 걸어지는 걸이홀이 각각 형성된다.The
상기 프론트 패널(50)은 그 상측부에 상기 정면 토출구(13)가 전후로 개구된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정면 토출구(13)는 상기 프론트 패널(50)의 좌우 중앙에 위치된다.The
상기 프론트 패널(50)에는 그 상측부에 상기 정면 토출구(13)를 중심으로 좌 우 양측에 각각, 상기 좌측 보조 토출구(16)와 우측 보조 토출구(미도시)가 전후로 개구된 구조로 형성된다.The
상기 좌측 보조 토출구(16)에는 상기 좌측 보조 토출구(16)를 개폐하는 좌측 보조 토출구 베인(18)이 배치된다. 상기 좌측 보조 토출구 베인(18)은 상기 좌측 보조 토출구(16)에 좌우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좌측 보조 토출구(16)를 개폐토록 힌지 결합된다.The left auxiliary
상기 우측 보조 토출구(미도시)에는 상기 우측 보조 토출구(미도시)를 개폐하는 우측 보조 토출구 베인(19)이 배치된다. 상기 우측 보조 토출구 베인(19)은 상기 우측 보조 토출구(미도시)에 좌우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우측 보조 토출구(미도시)를 개폐토록 힌지 결합된다.The right auxiliary
상기 프론트 패널(50)에는 상기 캐비닛(10) 내 부품의 서비스가 용이토록 일측에 프론트 패널 홀(50a)이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 홀(50a)에 배치되어 상기 프론트 패널 홀(50a)을 개폐하는 프론트 도어(52)가 구비될 수 있다.The
상기 프론트 패널 홀(50a)은 각각 후술할 송풍기(60)와 열교환기(70), 디스챠지 회전 유닛과 각각 대응되도록 3개가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Each of the
상기 프론트 도어(52)는 상기 프론트 패널 홀(50a)의 개폐를 위해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프론트 패널(50)에 착탈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프론트 패널(50)에 전후 또는 상하로 회동되면서 여닫힘 가능토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프론트 패널(50)에 상하 또는 좌우로 슬라이딩되면서 여닫힘 가능토록 설치되느 것도 가능하며,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프론트 패 널(50)에 전후로 회동되면서 여닫힘 가능토록 설치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The
이러한 프론트 도어(52)는 그 좌,우측 중 일측 상,하단에 각각 상기 프론트 패널(50) 또는 상기 베이스(30)에 회전 가능토록 끼워지는 힌지 축(52a)(52b)이 구비된다.The
상기 프론트 도어(52)는 마그네트를 이용한 자력 또는 후크, 래치 등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프론트 패널 홀(50a)을 닫힌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The
상기 프론트 도어(52)에는 상기 프론트 도어(52)의 여닫힘 동작이 용이토록 프론트 도어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The
상기 프론트 패널(50)에는 상기 프론트 도어(52)를 중심으로 상기 프론트 도어(52)의 좌측 또는 우측에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의 운전 조작 내지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의 운전 상황 표시 등의 목적을 위한 디스플레이(54)가 설치될 수 있다.The
상기 탑 커버(20)는 상기 메인 프레임(40)의 상측에 올려져서 상기 메인 프레임(40)과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다.The
한편, 상기 캐비닛(10)은 상기 프론트 패널(50)이 열렸을 때 상기 캐비닛(10)의 복잡한 내부가 차폐될 수 있도록(도 3 참조), 상기 프론트 패널(50)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프론트 패널(50)의 프론트 패널 홀(50a)을 차폐하는 프론트 이너 패널(56)이 더 포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프론트 이너 패널(56)은 상기 프론트 패널(50)의 프론트 패널 홀(50a)을 전부 차폐토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프론트 패널(50)의 프론트 패널 홀(50a) 일부만을 차폐토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프론트 패널(50)의 프론트 패널 홀(50a) 일부만을 차폐하되 둘 이상의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프론트 패널(50)의 프론트 패널 홀(50a)을 전부 차폐토록 구비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The front
상기 프론트 이너 패널(56)은 상기 프론트 패널(50)과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55)에 의해 착탈되는 것도 가능하고, 힌지 구조에 의해 여닫힘 가능토록 구비되는 것을 가능하다.The front
상기 프론트 이너 패널(56)에는 상기 프론트 이너 패널(56)의 취부가 용이토록 프론트 이너 패널 손잡이(56a)가 구비될 수 있다.The front
또한 상기 프론트 이너 커버(56)에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무선 운전 조작을 위한 리모콘(58) 등의 악세서리 보관이 가능토록 악세서리 보관부(56b)가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ront
또한 상기 캐비닛(10)은 상기 캐비닛(10)의 이미지를 고품격화하기 위해 상기 캐비닛(10)의 외측에 끼워진 데코레이션 링(59)이 더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상기 데코레이션 링(59)은 상기 캐비닛(10)과 상이한 색상 또는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한편, 상기 캐비닛(10)에는 신속한 냉,난방을 위해 토출 기류가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쪽을 향해 집중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10) 외측에 설치되어 실내의 온도 분포를 센싱하는 적외선 센서(22)(23)(24)가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적외선 센서(22)(23)(24)는 실내의 온도 분포 센싱 정확도를 위해 상기 캐비닛(10)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The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송풍기 및 열교환기의 분해 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2, and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lower and heat exchanger shown in FIG. 4.
상기한 캐비닛(10) 내부에는 상기 캐비닛(10) 내 상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10) 외부의 공기를 상기 좌측, 우측 흡입구(11)(12)를 통해 흡입시켜 상기 캐비닛(10)의 상부를 향해 송풍시키는 송풍기(60)가 설치된다.The
상기 송풍기(60)는 상기 열교환기(70)의 상측에 설치된 송풍기 모터 마운터(61)와, 상기 송풍기 모터 마운터(61)에 설치된 송풍기 모터(62)와, 상기 송풍기 모터(62)의 회전축(62a)에 축설된 송풍팬(64)과, 상기 송풍기 모터 마운터(61)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팬(64)을 둘러싸는 오리피스(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송풍팬(64)은 원통형의 허브(64a)와, 상기 허브(64a)의 외둘레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블레이드(64b)와, 상기 허브(64a)의 내부에 수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송풍기 모터(62)의 회전축(62a)이 결합되는 원판부(64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블레이드(64b)는 상면이 오목하고 하면이 볼록한 활 모양의 단면을 갖는다.The
상기 오리피스(66)는 상기 열교환기(70)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고, 중앙부의 유로가 상부 및 하부의 유로 보다 좁게 형성된다.The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송풍기 및 열교환기의 분해 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2, and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lower and heat exchanger shown in FIG. 4.
상기한 캐비닛(10) 내부에는 상기 캐비닛(10) 내 하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10) 내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시키는 열교환기(70)가 설치된다.Inside the
상기 열교환기(70)는 제 1 열교환부(71)와, 상기 제 1 열교환부(71)와 이격되게 배치된 제 2 열교환부(72)와, 상기 제 1 열교환부(71)와 제 2 열교환부(72) 사이의 전면과 배면 중 일측을 막도록 결합된 제 1 커버(73)와, 상기 제 1 열교환부(71)와 제 2 열교환부(72) 사이의 전면과 배면 중 타측를 막도록 결합된 제 2 커버(7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제 1 열교환부(71)는 하단이 상기 드레인 팬부(34)에 올려지고, 상단이 상기 좌측 패널(41)의 좌측 흡입구(11)의 상측을 향하도록 상기 좌측 흡입구(11)의 우측에 좌향 경사지게 배치된다.The first
상기 제 2 열교환부(72)는 하단이 상기 드레인 팬부(34)에 올려지고, 상단이 상기 우측 패널(42)의 우측 흡입구(12)의 상측을 향하도록 상기 우측 흡입구(12)의 좌측에 우향 경사지게 배치된다.The second
상기 열교환기(70)는 상기 제 1 커버(73)의 상단 좌측과 상기 제 2 커버(74) 의 상단 좌측에 체결부재로 체결되어 상기 열교환기(70)의 상단 좌측과 상기 좌측 패널(41) 사이를 막는 좌측 기밀 부재(75)와, 상기 제 1 커버(73)의 상단 우측과 상기 제 2 커버(74)의 상단 우측에 체결부재로 체결되어 상기 열교환기(70)의 상단 우측과 상기 우측 패널(42) 사이를 막는 우측 기밀부재(7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한 열교환기(70)는 상기 좌측 패널(41)과 우측 패널(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된다. 상기 열교환기(70) 특히, 상기 제 1 커버(73)에는 좌측 브라켓(80)이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81)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좌측 브라켓(80)이 상기 좌측 패널(41)에 걸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70) 특히, 상기 제 1 커버(73)에는 우측 브라켓(82)이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83)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우측 브라켓(90)이 상기 우측 패널(42)에 걸어 고정된다.The
상기 열교환기(70)는 제 1 커버(74)의 상단에 ‘??’자 단면 모양으로 절곡되는 절곡부(84)가 형성된다.The
상기 절곡부(84)에는 그 전면부에 영구자석(85)이 장착된다.The
상기 절곡부(84)는 그 상면부가 상기 송풍기 모터 마운터(61) 및 오리피스(66)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86)를 통해 체결된다.The upper portion of the
상기 열교환기(70)는 상기 후면 패널(43)과 후방 브래킷(87)으로 고정된다.The
상기 열교환기(70)는 상기 열교환기(70) 특히, 제 1 열교환부(71)와 제 2 열교환부(72)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는 냉매 배관(3)의 일측을 상기 열교환기(70) 특히 제 1 커버(73)에 고정하는 냉매 배관홀더(8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열교환기(70)는 상기 냉매 배관(3)이 상기 제 1 커버(73)를 관통하여 제 1 커버(73)의 전방을 따라 연장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커버(73)에 형성된 배관 관통홀(73a)과, 상기 배관 관통홀(73a)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배관 관통홀(73a)을 관통한 냉매배관(3)의 일부를 덮는 배관 커버(89)를 포함한다.The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디스챠지 및 디스챠지 회전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line AA of Figure 2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2,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2, and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scharge and discharge rotating unit shown in FIG. 4.
상기한 캐비닛(10) 내부에는, 상기 캐비닛(10) 내 공기를 상기 전면 토출구(13)와 좌측 토출구(14)와 우측 토출구(15) 중 일부를 통해 토출되게 하는 디스챠지(100)가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토록 구비된다.Inside the
상기 디스챠지(100)는 원형 구조인 것도 가능하고, 다각형 구조도 가능하며,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원형 구조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The
상기 디스챠지(100)는 공기가 상기 디스챠지(100)에서 상기 전면 토출구(13)와 좌측 토출구(14)와 우측 토출구(15) 중 일부로 바로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10) 내 상측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The
상기한 디스챠지(100)는 상기 디스챠지(100)의 하면을 이루는 원형의 디스챠 지 베이스 패널(102)과, 상기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에 상측에 배치된 링형의 디스챠지 메인 프레임(104)과, 상기 디스챠지 메인 프레임(104)의 상측에 올려져 상기 디스챠지(100)의 상면을 이루는 원형의 디스챠지 탑 패널(106)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에는 상기 캐비닛(10) 내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디스챠지 흡입구(101)가 형성된다. 상기 디스챠지 흡입구(101)는 상기 캐비닛(10) 내 공기가 상기 디스챠지(100) 내부로 원활히 송풍될 수 있도록 상기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The
상기 디스챠지 메인 프레임(104)에는 일측에 상기 전면 토출구(13)와 좌측 토출구(14)와 우측 토출구(15) 중 일부를 향해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전면 토출구(13)와 좌측 토출구(14)와 우측 토출구(15) 중 일부와 대향되는 디스챠지 토출구(103)가 형성된다.The discharge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103)는 토출 기류가 집중될 수 있도록 1개로 구비되고, 대략 상기 전면 토출구(13)와 좌측 토출구(14)와 우측 토출구(15) 중 어느 하나와 대략 같은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103)에는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103)를 개폐 및 토출 기류 풍향 조절을 하는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110)가 구비될 수 있다.The
상기 디스챠지 토출 루버(110)는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103)에 회전 가능토록 배치된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 블레이드(112)와,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 블레이드(112)에 고정되고 상기 디스챠지 메인 프레임(104)에 회전 가능토록 끼움 결합된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 축(114)으로 이루어진다. The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 축(114)은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 블레이드(112)의 하단에 결합된다.The discharge
상기한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11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둘 이상의 복수 개로 구비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The discharge
상기 복수 개의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110)는 상하방향으로 회전토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좌우방향으로 회전토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한데,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최적의 토출 기류 조성 및 다양한 토출 기류 조성을 위해 상기 디스챠지(100)가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는 바 상기 디스챠지(100) 회전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토록 상하방향으로 일렬 배열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The plurality of
상기한 복수 개의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110)는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 구동 유닛(120)에 의해 일체로 자동 회전 동작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 구동 유닛(120)은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 모터(122)와,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 모터(122)의 회전축(121)에 축설되고 상기 복수 개의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114)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회전토록 연계된 디스챠지 드라이브 피니언 기어(124)와, 상기 디스챠지 드라이브 피니언 기어(124)와 치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디스챠지 랙 기어(126)와, 상기 디스챠지 랙 기어(126)와 치합되고 상기 디스챠지 드라이브 피니언 기어(124)와 치합되지 않은 나머지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114)와 일체로 회전토록 연계된 디스챠지 드리븐 피니언 기어(128)로 이루어진다.The discharge discharge port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 모터(122)는 상기 디스챠지(100)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디스챠지 랙 기어(126)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디스챠지 기어 하우징(129) 외측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121)에 의해 고정된다.The discharge
상기 디스챠지 드라이브 피니언 기어(124)는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110) 특히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 축(114)과 결합된다.The discharge
상기 디스챠지 랙 기어(126)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챠지 기어 하우징(129)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토록 삽입 설치된다.The
상기 디스챠지 드리븐 피니언 기어(128)는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110) 특히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 축(114)과 결합된다.The discharge driven
상기 디스챠지 드리븐 피니언 기어(128)는 상기 디스챠지 토출 루버(110)가 360도 회전되지 않고 일 예로써 대략 90도 회전 범위 내에서 회전되므로, 상기 디스챠지 드라이브 피니언 기어(124)처럼 원형이 아니라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discharge driven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디스챠지 및 디스챠지 회전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line AA of Figure 2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2, and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scharge and discharge rotation unit illustrated in FIG. 4.
상기한 캐비닛(10) 내부에는 상기 디스챠지(100)가 자동으로 좌우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디스챠지(100)와 송풍기(6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챠지(100)가 회전되게 하는 디스챠지 회전 유닛(100')이 구비된다.The discharge rotation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100')은 상기 디스챠지(100) 특히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과 대향되도록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고정된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160)과,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160)과 상기 디스챠지(100) 특히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 패널 사이에 설치된 디스챠지 베어링(170)과, 상기 디스챠지(100)가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16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하는 디스챠지 홀더(180)와,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190)(192)와, 디스챠지 회전 구동력 전달 기구(200)를 포함한다.The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160)은 상기 송풍기(60)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캐비닛(10)에 직접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송풍기(60)에 올려져 상기 송풍기(60)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송풍기(60)에 올려지되 상기 캐비닛(10)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송풍기(60)의 진동을 직접 전달받지 않도록 상기 송풍기(60)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캐비닛(10)에 직접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The discharge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160)은 상기 캐비닛(10) 내 공기가 상기 디스챠지(100)를 거쳐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10)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크기의 브래킷 메인 패널(161)을 포함한다. The discharge
상기 브래킷 메인 패널(161)은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160)과 디스챠지(100) 특히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 사이에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190)(192)와 상기 디스챠지 회전 구동력 전달기구(200)가 위치될 수 있도록 상 기 디스챠지(100) 특히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과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다.The bracket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160)은 상기 캐비닛(10)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162)를 통해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브래킷 메인 패널(161)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10)에 면접되는 브래킷 체결 보스(163)를 포함한다. The discharge
상기 브래킷 체결 보스(163)는 적어도 둘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160)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열됨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160)은 상기 브래킷 메인 패널(161)이 상기 캐비닛(10)의 내부를 상하방향으로 구획하는 바, 상기 디스챠지(10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브래킷 메인 패널(161)에 형성된 브래킷 홀(164)을 포함한다. The discharge
상기 브래킷 홀(164)은 송풍 효율 극대화를 위해 상기 캐비닛(10)에서 상기 디스챠지(100)를 향하는 공기가 수직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디스챠지 흡입구(101)와 서로 상하방향으로 중심이 일치하도록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The
또한 상기 브래킷 홀(164)은 송풍 효율 극대화를 위해 상기 송풍기(60)와 서로 중심이 일치하도록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160)은 송풍 효율 극대화를 위해 상기 캐비닛(10)에서 상기 디스챠지(100)를 향하는 공기의 상하 유동을 안내하는 에어 가이드 리브(165)를 포함한다. The discharge
상기 에어 가이드 리브(165)는 상기 브래킷 홀(164)을 에워싸고, 상기 브래킷 메인 패널(161)에서 상기 디스챠지(100)를 향해 돌출된 링 구조로 형성된다. The
상기 에어 가이드 리브(165)는 상기 브래킷 메인 패널(161)에서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그 단면이 상기 캐비닛(10)에서 디스챠지(100)를 향해 일정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브래킷 메인 패널(161)에서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돌출되어 그 단면이 상기 캐비닛(10)에서 디스챠지(100)를 향해 갈수록 점차 줄어들거나 점차 늘어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160)은 상기 디스챠지(100)의 지지 및 상기 디스챠지 홀더(180)가 상하방향으로 걸림될 수 있도록 상기 브래킷 메인 패널(161)로부터 상기 디스챠지(100)를 향해 돌출된 브래킷 플랜지(166)를 포함한다. The discharge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는 상기 브래킷 메인 패널(161)로부터 상기 디스챠지(100)를 향해 수직하게 돌출된 수직부(166a)와, 상기 브래킷 메인 패널(161)과 연결되지 않은 상기 수직부(166a)의 상단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디스챠지(100) 특히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21)과 수평하게 배치되는 수평부(166b)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의 수직부(166a)는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가 상기 캐비닛(10)에서 상기 디스챠지(100)를 향하는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브래킷 메인 패널(161)에 상기 브래킷 체결 보스(163)와 상기 브래킷 홀(164)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The vertical portion 166a of the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의 수직부(166a)는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의 수평부(166b)와 상기 디스챠지(100) 특히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 사이에 상기 디스챠지 베어링(170)이 배치되고, 상기 디스챠지 홀더(180)가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의 수평부(166b)와 상기 브래킷 메인 패널(161) 사이에 걸어질 수 있도록 그 상하방향 길이가 결정된다.The vertical portion 166a of the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의 수평부(166b)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 안쪽에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190)(192)와 상기 디스챠지 회전 구동력 전달 기구(200)가 위치되는 바,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의 수직부(166a)로부터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160)의 외측을 향해 절곡됨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later, the horizontal portion 166b of the
상기한 브래킷 플랜지(166)는 상기 디스챠지(100)의 회전여부와 상관없이 항상 상기 디스챠지(1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링 구조로 구비된다.The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160)에는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180)를 견실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180)가 설치되는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 설치부(167)가 포함된다.The discharge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 설치부(167)는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190)(192)가 상기 캐비닛(10)에서 디스챠지(100)를 향하는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브래킷 메인 패널(161)에 상기 브래킷 홀(164)과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 사이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The discharge rotation unit
따라서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 설치부(167)는 상기 브래킷 메인 패널(161)에 상기 에어 가이드 리브(165)와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홈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discharge rotation unit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160)은 상기 디스챠지(100)의 좌우방향 회전을 안내토록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에 구비된 디스챠지 가이드 리브(168)가 포함된다.The discharge
상기 디스챠지 가이드 리브(168)는 상기 디스챠지 가이드 리브(168) 내부에 상기 디스챠지 베어링(17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에서 상기 디스챠지(100)를 향해 수직하게 돌출된다.The
상기 디스챠지 가이드 리브(168)는 상기 디스챠지(100)의 회전시 상기 디스챠지(100)의 회전을 항상 안내할 수 있도록 링 구조로 구비된다.The
상기 디스챠지 가이드 리브(168)는 상기 디스챠지(100) 특히 상기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의 수평부(166b)와 상기 디스챠지(100) 특히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 사이 간격보다 그 상하 길이가 더 짧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다음, 상기 디스챠지 베어링(170)은 상기 디스챠지(100)의 회전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디스챠지(100) 특히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에 고정되어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160) 특히 브래킷 플랜지(166)의 수평부(166b)와 선 접촉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160) 특히 브래킷 플랜지(166)의 수평부(166b)에 고정되어 상기 디스챠지(100) 특히 상기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에 선 접촉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디스챠지(100)에 고정되고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160)에 선 접촉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Next, the discharge bearing 170 is for minimizing the rotational friction of the
상기한 디스챠지 베어링(170)은 상기 디스챠지(10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적어도 둘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디스챠지(100)의 균형적인 지지를 위해 상기 디스챠지(100)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열됨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디스챠지 베어링(170)은 상기 디스챠지(100) 특히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과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160) 특히 브래킷 플랜지(166)의 수평부(166b) 사이에 회전 가능토록 배치되는 디스챠지 베어링 롤러(172)와, 상기 디스챠지(100) 특히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에 고정되어 상기 디스챠지 베어링 롤러(172)를 회전 가능토록 지지하는 디스챠지 베어링 롤러 레그(174)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디스챠지 베어링 롤러(172)는 상기 디스챠지(100)의 수평면 중심(H)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디스챠지 베어링 롤러(172)의 축(172a)이 상기 디스챠지(100)의 수평면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원의 반경방향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디스챠지 베어링 롤러(172)는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160)에 의해 견실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그 회전 방향을 안내받을 수 있도록, 상기 디스챠지 가이드 리브(168) 내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The
상기 디스챠지 베어링 롤러 레그(174)는 상기 디스챠지(100) 특히 상기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 아래에서 상기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을 관통되게 설 치된다.The discharge bearing
다음, 상기 디스챠지 홀더(180)는 상기 디스챠지(100) 특히 상기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에 일체화되고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에 걸림되는 후크 구조의 디스챠지 홀더 후크(182)를 포함한다.Next, the
상기 디스챠지 홀더 후크(182)는 상기 디스챠지(100) 특히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에서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160)을 향해 수직하게 돌출된 수직부(182a)와,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와 브래킷 메인 패널(161)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 하측에서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에 걸리도록 상기 디스챠지 홀더 후크(182)의 수직부(182a)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수평부(182b)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디스챠지 홀더 후크(182)의 수직부(182a)는 상기 디스챠지 홀더 후크(182)와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 간 마찰 방지를 위해, 상기 디스챠지 홀더 후크(182)의 수평부(182b)가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도록 그 상하방향 길이가 결정된다.The
상기한 디스챠지 홀더 후크(182)는 상기 디스챠지(10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적어도 둘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디스챠지(100)의 균형적인 지지를 위해 상기 디스챠지(100)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열됨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디스챠지 홀더(180)는 상기 디스챠지(100)의 견실한 지지 및 상기 디스챠지(10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상기 디스챠지 홀더 후크(182)와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 사이에 위치된 홀더 베어링(184)을 포함한다.The
상기 홀더 베어링(184)은 상기 디스챠지 홀더 후크(182)에 고정되어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의 수평부(166b)와 선 접촉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와 반대로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의 수평부(166b)에 고정되어 상기 디스챠지 홀더 후크(182)에 선 접촉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디스챠지 홀더 후크(182)에 고정되고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의 수평부(166b)에 선 접촉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The
상기한 홀더 베어링(184)은 상기 디스챠지 홀더 후크(182)의 수평부(182b)와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의 수평부(166b) 사이에 회전 가능토록 배치되는 홀더 베어링 롤러(185)와, 상기 헤두 홀더 후크(182)의 수평부(182b)에 고정되어 상기 홀더 베어링 롤러(185)를 회전 가능토록 지지하는 홀더 베어링 롤러 레그(186)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홀더 베어링 롤러(185)는 상기 디스챠지(100)의 수평면 중심(H)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홀더 베어링 롤러(185)의 축(185a)이 상기 디스챠지(100)의 수평면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원의 반경방향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한 홀더 베어링(184)은 상기 디스챠지(10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적어도 둘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디스챠지(100)의 균형적인 지지를 위해 상기 디스챠지(100)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열됨이 바람직하다.The
특히 상기 홀더 베어링(184)은 상기 디스챠지(100)의 견실한 지지 및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의 처짐 방지를 위해 상기 헤더 베어링(170)과 상하방향으로 일렬 배열된다. 즉 상기 홀더 베어링(184)은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를 중심으로 상 기 헤더 베어링(170)과 상하방향으로 대향 배치된다.In particular, the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190)(192)는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160) 특히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 설치부(167)에 위치되어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194)(195)에 의해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160) 특히 브래킷 메인 패널(161)에 고정된다.The discharge rotating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190)(192)는 AC 모터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디스챠지(100)의 안정적이고 균형적인 회전을 위해 적어도 둘 이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The discharge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190)(192)의 회전축(191)(193)은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190)(192)에서 상기 디스챠지(100)를 향해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된다.The rotating
상기 디스챠지 회전 구동력 전달 기구(200)는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190)(192)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상기 디스챠지(100)가 좌우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190)(192)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디스챠지(100)에 전달하는 것으로서, 벨트-풀리 또는 기어 세트 또는 링크 등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기어 세트 방법으로 구현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The discharge rotational driving
상기 디스챠지 회전 구동력 전달 기구(200)는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190)(192)에 의해 구동되는 드라이브 기어(201)(202)와, 상기 드라이브 기어(201)(202)와 상시 치합되고 상기 디스챠지(100) 특히 상기 디스챠지 베이스 패 널(102)에 고정된 드리븐 기어(204)로 이루어진다.The discharge rotational drive
상기 드라이브 기어(201)(202)는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190)(192)와 일대일 대응되도록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된다.At least two drive gears 201 and 202 are provided to correspond one-to-one with the discharge
상기 드라이브 기어(201)(202)는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190)(192)의 회전축(191)(193)에 축설된다.The drive gears 201 and 202 are arranged on the
상기 드라이브 기어(201)(202)는 상기 드리븐 기어(204)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고, 기어치수 또한 적도록 구비된다.The drive gears 201 and 202 are provided to have a smaller size and a smaller gear dimension than the driven
상기 드라이브 기어(201)(202)는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190)(92)와 상기 디스챠지(100) 특히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 사이에 위치되므로, 상기 디스챠지(100) 특히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과 간섭되지 않도록 특히 상기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과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토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The drive gears 201, 202 are located between the discharge
상기 드리븐 기어(204)는 상기 드라이브 기어(201)(202)와 외접토록 상기 드라이브 기어(201)(202) 사이에 위치된다.The driven
상기 드리븐 기어(204)는 상기 캐비닛(10)에서 상기 디스챠지(100)로 향하는 공기를 방해하지 않도록, 즉 상기 디스챠지(100) 특히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에 형성된 디스챠지 홀(101)을 가리지 않도록 그 중앙에 공기가 출입할 수 있는 에어 홀(204a)이 형성된 링형 구조로 구비된다.The
상기 드리븐 기어(204)의 에어홀(204a)은 상기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에 형성된 디스챠지 홀(101)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드리븐 기어(204)는 상기 디스챠지(100) 특히 상기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디스챠지 베이스 패널(102)에 면접되어 체결되는 드리븐 기어 보스(204b)가 구비된다.The driven
상기 드리븐 기어 보스(204b)는 상기 드리븐 기어(204)가 상기 드라이브 기어(201)(202)와 외접하므로 상기 드리븐 기어(204) 내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The driven
상기 드리븐 기어 보스(204b)는 상기 드리븐 기어(204)의 안정적이고 균형적인 체결을 위해 적어도 둘 이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드리븐 기어(204)의 둘레방향으로 따라 배열됨이 바람직하다.The driven
상기 드리븐 기어(204)는 상기 드리븐 기어(204) 직 하방에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160) 특히 에어 가이드 리브(165)가 위치되므로 상기 에어 가이드 리브(165)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토록 설치된다.Since the discharge
상기한 바와 같은 디스챠지 회전 유닛(100')은 상기 디스챠지(100)가 360도 회전되거나 기 설정된 왕복 회전 각도 범위 내에서 왕복 회전되는 다방향 토출 모드로 구동 제어될 수도 있고, 상기 디스챠지(100)가 정지 상태로 유지되는 집중 토출 모드로 구동 제어될 수도 있고, 상기 디스챠지(100)가 상기 적외선 감지 센서(22)(23)(24)의 센싱 결과에 따라 회전되는 인공 지능 모드로 구동 제어될 수도 있다. The
상기한 여러 디스챠지 회전 유닛(100')의 구동 제어 방법 중 다방향 토출 모드에서,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100')은 실내의 신속하고 균일한 냉/난방을 위해 상기 디스챠지(100)가 주기적으로 5도 내지 55도씩 회전되도록 구동 제어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다방향 토출 모드시 상기 디스챠지(100)의 1 회전각도는 5도 55도로 설정될 수 있다.In the multi-directional discharge mode among the drive control methods of the various discharge rotation units 100 ', the discharge rotation unit 100' is configured to allow the
더욱이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100')은 보다 더 신속하고 균일한 냉/난방을 위해서 상기 디스챠지(100)가 주기적으로 15도 내지 25도씩 회전되도록 구동 제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100')은 상술한 다방향 토출 모드에서, 실내의 신속하고 균일한 냉/난방을 위해 상기 디스챠지(100)가 5초 내지 70초 회전 주기로 회전되도록 구동 제어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100')은 보다 더 신속하고 균일한 냉/난방을 위해서 상기 디스챠지(100)가 9초 내지 20초 회전 주기로 회전되도록 구동 제어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다방향 토출 모드 운전시 실내의 신속하고 균일한 냉/난방을 위한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100')의 구동 제어 설정은,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실험 결과 그래프를 통해서 보다 더 명확히 알 수 있다. The driving control setting of the
즉 도 11은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디스챠지의 1 회전각도와 회전주기에 따른 여러 실시 예의 비교 그래프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 1과 같이 실내(I)의 어느 한 모서리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챠지(100)가 90도 회전 각도 범위 내에서 왕복 회전되면서 냉방 운전될 때,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운전 시간(S) 대비 실내의 온도(T)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디스챠지의 1 회전각도 대비 실내 온도 그래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디 스챠지의 회전 주기 대비 실내 온도 그래프이다. 상기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 1과 같이 실내(I)의 어느 한 모서리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챠지(100)가 90도 회전 각도 범위 내에서 왕복 회전되면서 냉방 운전되며,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운전 정지시 실내의 초기 온도가 33 ± 3℃ 일 때,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시작 후 300 ± 30 초 경과된 상태에서 실험 챔버의 평균 온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11 is a comparative graph of various embodiments according to one rotation angle and a rotation period of the discharge i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When the
이러한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디스챠지(100)의 1 회전각도가 5도 내지 55도일 때, 실내를 신속하고 균일하게 냉방시킬 수 있고, 더욱이 상기 디스챠지(100)의 1 회전각도가 15도 내지 25도일 때, 보다 더 실내를 신속하고 균일하게 냉방시켜 최적의 냉방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물론 냉/난방 성능 모두 공조된 공기가 실내에 얼마나 신속하고 균일하게 분산되는냐에 달려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난방 운전시에도 도 11 내지 도 13의 실험 결과와 같이 실내를 신속하고 균일하게 난방하여 최적의 난방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11 to 13,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ol the room quickly and uniformly when one rotation angle of the
또한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디스챠지(100)의 회전주기가 5초 내지 70초일 때, 실내를 신속하고 균일하게 냉/난방시킬 수 있고, 더욱이 상기 디스챠지(100)의 회전주기가 9초 내지 20초일 때, 보다 더 실내를 신속하고 균일하게 냉/난방시켜 최적의 냉/난방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11 to 13,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ol / heat the room quickly and uniformly when the rotation period of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 운전 정지시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풍기(60) 및 디스챠지(100)가 회전되지 않고,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103)가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110)에 의해 닫혀진다.When the indoor unit 1 of the air conditioner is stopped, as illustrated in FIG. 2, the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에 운전시에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의 운전 조건 선택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양하게 운전될 수 있다.When the indoor unit 1 of the air conditioner is operated, various operations may be performed as described below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operating conditions of the indoor unit 1 of the air conditioner.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3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다방향 토출 모드 운전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2, and FIG. 13.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ulti-directional discharge mode operation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의 운전 일 예로써, 상기 디스챠지(100)가 회전토록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가 운전 조작되면, 상기 송풍기 모터(62)가 구동되고 상기 송풍기 모터(62)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상기 송풍팬(64)이 회전되면서 상기 캐비닛(10)에서 상기 디스챠지(1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송풍력이 발생된다.As an example of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1 of the air conditioner, when the
또한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 모터(122)가 구동되고,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 모터(122)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상기 디스챠지 드라이브 피니어 기어(124)가 회전되고, 상기 디스챠지 드라이브 피니언 기어(124)의 회전에 의해 상기 디스챠지 랙 기어(126)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디스챠지 랙 기 어(126)의 상하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디스챠지 드리븐 피니언 기어(128)가 회전된다.In addition, the discharge discharge
그러면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110)가 상기 디스챠지 드라이브 피니언 기어(124) 또는 상기 디스챠지 드리븐 피니언 기어(128)와 일체로 상기 디스챠지(100) 내부를 향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103)가 열린다. Then, the discharge
이 때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 모터(122)는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103)가 완전 개방된 후 정지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ischarge discharge
또는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 모터(122)는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103)가 일부 개방된 후 정지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discharge
또는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 모터(122)는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 루버(110)가 상하방향으로 왕복 회전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discharge
또한,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190)(192)가 구동되고,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190)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상기 드라이브 기어(201)(202)가 회전되며, 상기 드라이브 기어(201)(202)의 회전에 의해 상기 드리븐 기어(204)가 회전된다.In addition, the discharge
상기 드리븐 기어(204)가 회전되면, 상기 드리븐 기어(204)와 일체로 상기 디스챠지(100)가 좌우방향으로 회전된다.When the driven
이 때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190)(192)는 상기 디스챠지(100)가 좌측방향과 우측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만 연속 회전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scharge
또는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190)(192)는 상기 디스챠지(100)가 좌측방향과 우측방향으로 번갈아 가면서 왕복 회전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discharge
이 때 상기 디스챠지(100)가 좌우방향으로 왕복 회전되는 경우, 상기 디스챠지(100)의 왕복 회전 범위는 1가지 모드 이상으로 기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것도 가능하다.At this time, when the
이와 같이 상기 송풍기(60)가 구동되고,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103)가 열리며, 상기 디스챠지(100)가 회전되면, 상기 캐비닛(10) 외부 공기가 상기 송풍기(60)의 송풍력에 의해 상기 좌측 흡입구(11)와 우측 흡입구(12)로 송풍되고, 상기좌측 흡입구(11)와 우측 흡입구(12)로 송풍된 공기가 상기 좌측 흡입구(11)와 우측 흡입구(12)를 통해 상기 캐비닛(10) 내부로 흡입되면서 상기 좌측,우측 프리 필터(45a)(48a) 및 좌측,우측 고성능 필터(45b)(48b)에 필터링된다.In this way, when the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흡입된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70)를 통과하면서 상기 열교환기(70) 내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각/가열된다.The air sucked into the
상기와 같이 가열 또는 냉각된 공기는 상기 좌측 열교환부(71)과 우측 열교환부(72) 사이 공간에서 혼합된 후, 상기 좌측 열교환부(71)과 우측 열교환부(72)의 사이의 상부로 흡입되어 상기 송풍기(60) 특히 오리피스(66) 내부로 흡입된다.The air heated or cooled as described above is mixed in the space between the
상기 오리피스(66)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송풍팬(64)의 상부로 회오리류를 형성하면서 송풍된다. The air sucked into the
상기 송풍팬(64)의 상부로 송풍된 회오리류의 공기는 상기 오리피스(66) 상측으로 토출된 후,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 브래킷(160)의 브래킷 홀(164)과 상기 디스챠지 흡입구(101)를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디스챠지(100) 내부로 흡입된다. After the air of the vortex blown to the upper portion of the
상기 디스챠지(100)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103) 및 상기 전면 토출구(13)와 좌측 토출구(14)와 우측 토출구(15) 중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103)와 대향된 토출구를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캐비닛(10) 외부로 토출된다. The air sucked into the
이 때 상기 캐비닛(10)으로부터 토출되는 토출 기류는 상기 디스챠지(100)가 좌우방향으로 왕복 회전되기 때문에 사방으로 신속히 분산됨과 아울러 역동적으로 유동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scharge airflow discharged from the
또한 상기 캐비닛(10)으로부터 토출되는 토출 기류는 상기 전면 토출구(13)와 좌측 토출구(14)와 우측 토출구(14) 중 일부를 통해 토출되기 때문에 어느 한 곳으로 집중될 수 있고, 원거리 토출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ischarge airflow discharged from the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다방향 토출 모드 운전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2, and FIG. 14.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multi-directional discharge mod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의 다른 운전 예로써, 상기 디스챠지(100)가 회전됨과 아울러 상기 좌측 보조 토출구(16)와 우측 보조 토출구(17)가 개방된 경우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는 다음과 같이 운전된다. As another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1 of the air conditioner, when the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의 운전 조건에서는 상술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의 운전 일 예와 같이, 상기 송풍기(60)의 송풍력에 의해 상기 캐비 닛(10) 내부로 공기가 흡입된 후, 상기 열교환기(70)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되고, 상기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가 상기 디스챠지(100) 내부로 흡입된다. In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indoor unit 1 of the air conditioner as described above, as in the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1 of the air conditioner described above, into the
상기 디스챠지(100)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전면 토출구(13)와 좌측 토출구(14)와 우측 토출구(15), 그리고 좌측 보조 토출구(16)와 우측 보조 토출구(17) 중 일부를 통해 상기 캐비닛(10) 외부로 토출된다. The air sucked into the
이 때 상기 캐비닛(10)으로부터 토출되는 토출 기류의 토출 방향이 보다 더 다양함으로써 토출 기류가 사방으로 신속히 분산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discharge airflow discharged from the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5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집중 토출 모드 운전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2, and FIG. 15.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centrated discharge mode operation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의 또 다른 운전 예로써, 상기 디스챠지(100)가 회전 정지된 경우,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는 다음과 같이 운전된다. As another example of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1 of the air conditioner, when the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의 운전 조건에서는 상술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의 운전 일 예와 같이, 상기 송풍기(60)의 송풍력에 의해 상기 캐비닛(10) 내부로 공기가 흡입된 후, 상기 열교환기(70)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되고, 상기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가 상기 디스챠지(100) 내부로 흡입된다.In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indoor unit 1 of the air conditioner as described above, as in the operation example of the indoor unit 1 of the air conditioner described above, the air is blown into the
상기 디스챠지(100)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전면 토출구(13)와 좌측 토출구(14)와 우측 토출구(15), 그리고 좌측 보조 토출구(16)와 우측 보조 토출 구(17) 중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103)와 대향된 토출구를 통해 토출된다.The air sucked into the
이 때 상기 디스챠지(100)가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디스챠지(100)가 회전되는 경우보다 정적인 토출 기류가 형성되어 차분한 분위기의 실내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또한 상기 토출 기류가 특정한 곳을 향해 집중적으로 원거리 토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charge airflow may be concentrated to a long distance toward a specific place.
이 때 상기 디스챠지(100)를 회전 후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103)의 위치를 조절하여 토출 기류가 특정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인공지능 모드 운전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2, and FIG. 1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의 또 다른 운전 예로써, 상기 디스챠지(100)의 회전이 상기 적외선 센서(22)(23)(24)의 센싱 결과에 따라 회전 제어될 수 있다. Alternatively, as another operation example of the indoor unit 1 of the air conditioner, the rotation of the
즉, 상기 적외선 센서(22)(23)(24)의 센싱 결과, 실내의 특정 부위 온도 분포가 상대적으로 더 높으면, 상기 토출 기류가 실내의 특정 부위를 향하도록 상기 디스챠지(100)가 회전 정지될 수 있다. 물론 실내의 온도 분포가 바뀌면 토출 기류의 토출 방향 또한 바뀌도록 상기 디스챠지 토출구(103)의 위치가 조정된다.That is, as a result of sensing by the
그러면 토출 기류가 상대적으로 온도 분포가 더 높은 곳으로 집중 토출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온도 분포가 더 높은 곳이 상대적으로 온도 변화가 급변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실내가 신속하면서도 고르게 냉,난방될 수 있다.Then, since the discharge air flow is concentrated to a place where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s higher, the temperature change is changed rapidly in a place where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s higher, so that the room can be cooled and heated quickly and evenly.
이 때 상기 디스챠지(100)의 회전과 정지가 반복될 수 있고, 상기 디스챠지(100)의 회전 범위 또는 연속 회전시간, 상기 디스챠지(100)의 정지시간 등은 상기 적외선 센서(23)(24)(25)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otation and the stop of the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횡단면도이다.1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서 디스챠지 이외 기타 구성 및 작용이,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와의 중복 설명을 생략함과 아울러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와 동일 구성에 대하여 동일 부호를 병기한다. Since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other than the discharge may be perform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description a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and the same description a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캐비닛(200)의 하측부에 흡입구(201)(202)가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200)의 상측에 토출구(211)를 갖는 디스챠지(210)가 디스챠지 회전 유닛(22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I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상기 캐비닛(200)은 상기 디스챠지(210)와 연통될 수 있도록 그 상면이 개방되고, 상기 디스챠지(210)에는 상기 캐비닛(200)과 연통될 수 있도록 그 하측면에 디스챠지 홀(212)이 형성된다. The
상기 디스챠지(210)의 토출구(211)는 상기 디스챠지(210)의 상,하측면을 제외한 둘레면에 복수 개 형성된다.A plurality of
상기한 디스챠지(210)의 토출구(211)에는 토출 루버(214)가 상하방향으로 회전토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220)은 상기 캐비닛(200)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디스챠지(210)와 회전축을 통해 직결되거나, 동력 전달 유닛(222)을 통해 간접 연결된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224)로 구현될 수 있다.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냉/난방 운전시 상기 캐비닛(200)의 흡입구(201)(202)를 통해 실내의 공기가 상기 캐비닛(200)으로 흡입되어 상기 캐비닛(200) 내 열교환기(70)에 의해 공조되게 하고, 상기 공조된 공기가 상기 디스챠지(210)의 토출구(211)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면서 실내가 냉/난방되게 한다. 이 때, 상기 디스챠지(210)는 다방향 토출 모드시 360도 회전되거나 왕복 회전되고, 집중 토출 모드시 정지되고, 인공지능 모드시 적외선 센서의 센싱 결과에 따라 회전되거나 정지된다. 또한 상기 디스챠지(210)의 토출구(211)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개방될 수 있도록 상기 디스챠지(210)의 각 토출구(211)에 구비된 토출 루버(214)는 선택적으로 상기 디스챠지(210)의 각 토출구(211)를 개폐한다.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sucked into the
도 19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횡단면도이다.19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서 디스챠지 이외 기타 구성 및 작용이,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와의 중복 설명을 생략함과 아울러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와 동일 구성에 대하여 동일 부호를 병기한다. Since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other than the discharge may be perform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description a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and the same description a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캐비닛(300)의 하측부에 흡입구(301)(302)가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300)의 상측에 토출구(311)를 갖는 디스챠지(310)가 디스챠지 회전 유닛(32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I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상기 캐비닛(300)은 상기 디스챠지(310)와 연통될 수 있도록 그 상면이 개방되고, 상기 디스챠지(310)에는 상기 캐비닛(300)과 연통될 수 있도록 그 하측면에 디스챠지 홀(312)이 형성된다. The
상기 디스챠지(310)의 토출구(311)는 상기 디스챠지(310)의 상,하측면을 제외한 둘레면 중 일측에 하나 형성된다.One
상기한 디스챠지(310)의 토출구(311)에는 토출 루버(314)가 상하방향으로 회전토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320)은 상기 캐비닛(300)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디스챠지(310)와 회전축(321)을 통해 직결되거나, 동력 전달 유닛을 통해 간접 연결된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322)로 구현될 수 있다.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냉/난방 운전시 상기 캐비닛(300)의 흡입구(301)(302)를 통해 실내의 공기가 상기 캐비닛(300) 으로 흡입되어 상기 캐비닛(300) 내 열교환기(70)에 의해 공조되게 하고, 상기 공조된 공기가 상기 디스챠지(310)의 토출구(311)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면서 실내가 냉/난방되게 한다. 이 때, 상기 디스챠지(310)는 다방향 토출 모드시 360도 회전되거나 왕복 회전되고, 집중 토출 모드시 정지되고, 인공지능 모드시 적외선 센서의 센싱 결과에 따라 회전되거나 정지된다.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sucked into the
도 21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사시도이고, 도 22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횡단면도이다.FIG. 2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서 디스챠지 이외 기타 구성 및 작용이,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와의 중복 설명을 생략함과 아울러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와 동일 구성에 대하여 동일 부호를 병기한다. 상기 헤드(20)는 원형 구조인 것도 가능하고, 다각형 구조도 가능하며,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대략 원형 구조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Since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other than the discharge may be perform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description a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and the same description a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The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캐비닛(350)의 하측부에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351)(352)가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350)의 상측에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토출구(361)가 그 상면에 형성된 디스챠지(360)가 배치되고, 상기 디스챠지(360)가 디스챠지 회전 유닛(370)에 의해 상하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I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상기 캐비닛(350)은 상기 디스챠지(360)와 연통될 수 있도록 그 상면이 개방 되고, 상기 디스챠지(360)에는 상기 캐비닛(350)과 연통될 수 있도록 그 하측면에 디스챠지 홀(362)이 형성된다. The
상기 디스챠지(360)의 토출구(361)에는 토출 루버(364)가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토록 구비될 수 있다.The
상기 디스챠지 회전 유닛(370)은 상기 캐비닛(350)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디스챠지(360)와 회전축을 통해 직결되거나, 기어 방식 또는 벨트& 풀리 방식 등 동력 전달 유닛(372)을 통해 간접 연결된 디스챠지 회전 유닛 모터(374)로 구현될 수 있다.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냉/난방 운전시 상기 캐비닛(350)의 흡입구(351)(352)를 통해 실내의 공기가 상기 캐비닛(350)으로 흡입되어 상기 캐비닛(350) 내 열교환기(70)에 의해 공조되게 하고, 상기 공조된 공기가 상기 디스챠지(360)의 토출구(361)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면서 실내가 냉/난방되게 한다. 이 때, 상기 디스챠지(360)는 다방향 토출 모드시 360도 회전되거나 왕복 회전되고, 집중 토출 모드시 정지되고, 인공지능 모드시 적외선 센서의 센싱 결과에 따라 회전되거나 정지된다.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sucked into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공조부가 구비된 캐비닛에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어 공조되고, 상기 공조된 공기가 상기 캐비닛의 상측 또는 상기 캐비닛 내 상측부에 구비된 디스챠지를 통해 실내로 토출 토록 구성되고, 상기 디스챠지가 5도 내지 55도씩 회전되고, 상기 디스챠지의 회전 주기가 5초 내지 70초로 설정되기 때문에 상기 디스챠지의 회전에 의해 토출 기류가 사방으로 분산됨과 아울러 입체적이면서도 역동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와 실내 공기가 신속하면서도 균일하게 분산 혼합되어 공기 조화 효율이 보다 더 극대화될 수 있고, 토출 기류의 분산 및 입체, 역동적인 토출 기류로 인해 토출 기류감이 최적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nd operated as described above is air-conditioned by suctioning indoor air in a cabinet provided with an air conditioner, and the air-conditioned air is provided at an upper side of the cabinet or an upper side of the cabinet. It is configured to discharge to the room through the discharge, the discharge is rotated by 5 degrees to 55 degrees, the rotation period of the discharge is set to 5 seconds to 70 seconds, so that the discharge air flow in all directions by the rotation of the discharge In addition to being dispersed and formed three-dimensionally and dynamically, the air discharged from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nd the indoor air are rapidly and uniformly dispersed and mixed to maximize the air conditioning efficiency even more. Discharge airflow has the advantage that the feeling of discharge airflow can be optimized.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토출 기류가 사방으로 분산될 수 있기 때문에 실내와 온도차가 큰 토출 기류가 사람이나 동물 등 생명체에 집중 토출되지 않게 되므로 생명체가 급격한 온도 변화로 인해 느낄 수 있는 스트레스가 방지될 수 있고, 감기나 냉방병 등과 같은 질병과 관련한 건강 위협이 최소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nd operated as described above may be discharged in all directions as described above, the discharge airflow having a large temperature difference from the room may not be concentrated in a living body such as a person or animal Therefore, the stress that life can feel due to a sudden temperature change can be prevented,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health threats associated with diseases such as a cold or cooling disease can be minimized.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캐비닛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토출구가 형성되었더라도 토출 기류가 상기 디스챠지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토출구 중 일부 토출구에서만 형성되기 때문에 원거리 토출 기류 형성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nd operated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only in some of the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by the discharge, even if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abine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remote discharge airflow can be formed.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디스챠지가 회전 정지되게 하여 토출 기류가 실내 특정한 곳을 향해 집중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로 인해 토출 기류에 의한 기능이 다양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nd acted as described above can be discharged to the centralized place to discharge the air flow to the specific place by the discharge stop rotation, thereby varying the function by the discharge air flow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realized.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토출 기류가 사방으로 분산될 수 있기 때문에 토출 기류 방향 때문에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설치 위치 제약이 최소화되어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설치 자유도가 보다 더 높아지므로 실내 인테리어 조화 및 실내 공간 활용도 측면에서 매우 유리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nd operated as described above may discharge the air flow in all directions, the restriction of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s minimized due to the discharge air flow direction. Since the freedom of installation of the indoor unit is higher, there is a very advantageous advantage in terms of indoor interior harmony and indoor space utilization.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91091A KR20080026293A (en) | 2006-09-20 | 2006-09-20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EP07746797.5A EP2049843B1 (en) | 2006-08-08 | 2007-05-31 | Air conditioner |
PCT/KR2007/002650 WO2008018678A2 (en) | 2006-08-08 | 2007-05-31 | Air conditio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91091A KR20080026293A (en) | 2006-09-20 | 2006-09-20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26293A true KR20080026293A (en) | 2008-03-25 |
Family
ID=39413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91091A KR20080026293A (en) | 2006-08-08 | 2006-09-20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26293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104966A (en) * | 2011-11-14 | 2013-05-15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Air conditioner |
KR20150023610A (en) * | 2015-02-06 | 2015-03-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US10041722B2 (en) | 2012-08-24 | 2018-08-0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ir conditioner having a cooling unit adjacent the blower and the discharge |
-
2006
- 2006-09-20 KR KR1020060091091A patent/KR20080026293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104966A (en) * | 2011-11-14 | 2013-05-15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Air conditioner |
US10041722B2 (en) | 2012-08-24 | 2018-08-0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ir conditioner having a cooling unit adjacent the blower and the discharge |
KR20150023610A (en) * | 2015-02-06 | 2015-03-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80013392A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1280372B1 (en) | Air-condition's Indoor Unit | |
KR101280371B1 (en) | Air-condition's Indoor Unit | |
US7497090B2 (en) | Air conditioner | |
EP2049843B1 (en) | Air conditioner | |
US7257959B2 (en) | Integral type air conditioner | |
TWI267611B (en) | Integral type air conditioner and air guide structure thereof | |
KR102756985B1 (en) | Air conditioner and ventilation apparatus for the same | |
CN113074417B (en) | Air conditioner | |
KR101282947B1 (en) | Air-condition's Indoor Unit | |
KR20080026293A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1611327B1 (en) | Stand type air conditioner | |
KR101340526B1 (en) | Air-condition's Indoor Unit | |
KR100714591B1 (en) | Indoor unit for frame type air conditioner | |
KR100566800B1 (en) | Air conditioner | |
KR20080013394A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0761118B1 (en) | Air conditioner | |
KR100714592B1 (en) | Indoor unit for frame type air conditioner | |
KR100925585B1 (en) | Indoor unit for frame type air conditioner | |
KR101105766B1 (en) | Air conditioner and filter control method | |
KR20040076518A (en) | Fan support structure of Airconditioner in interior part | |
KR100564454B1 (en) | Air conditioner | |
CN116265817A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 |
KR20040078973A (en) | Air-flow guiding structure of Airconditioner in interior part | |
KR20090029077A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2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9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9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303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1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