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3175A - 액세서리 및 액세서리 부착 장치 - Google Patents
액세서리 및 액세서리 부착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23175A KR20080023175A KR1020070090790A KR20070090790A KR20080023175A KR 20080023175 A KR20080023175 A KR 20080023175A KR 1020070090790 A KR1020070090790 A KR 1020070090790A KR 20070090790 A KR20070090790 A KR 20070090790A KR 20080023175 A KR20080023175 A KR 2008002317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ccessory
- attachment
- male
- male screw
- hou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6—Accessory clips, holders, shoes to attach accessories to camera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1—Allowing quick release of the apparatu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4—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holding steady relative to, a person, e.g. by chains, e.g. rifle butt or pistol grip supports, supports attached to the chest or head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3—Camera grips,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액세서리는,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에 부착될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를 구비하는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는 부착/분리 표면, 상기 부착/분리 표면 상에서 개방되는 암나사부, 및 상기 암나사부와 회전 결합될 수나사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수나사 부재는 수나사 부재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후퇴 위치에 위치하거나 수나사 부재의 상기 일방향과 반대되는 다른 방향 회전에 의해 연장 위치에 위치한다. 상기 후퇴 위치는 수나사 부재의 수나사부의 선단부가 암나사부로 후퇴되고 수나사부가 부착/분리 표면에서 노출되는 위치이다. 상기 연장 위치는 수나사 부재의 선단부가 부착/분리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위치이다.
암나사부, 수나사 부재, 후퇴 위치, 연장 위치, 회전 조작 링, 하우징, 스프링, 스토퍼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기에 부착됨으로써 사용하기 위한 액세서리, 및 액세서리 부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 및 비디오 카메라와 같은 촬상 기기에 사용하기 위한 액세서리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에는 예를 들어 보조광을 발광하기 위한 스트로브 발광등(flashlight) 및 오디오 수집용 마이크가 포함된다. 각각의 액세서리는 촬상 기기와 같은 기기에 부착됨으로써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 손잡이(grip), 삼각대 등과 같은 장비에 부착됨으로써 사용된다.
전술한 것과 같은 각각의 액세서리는, 액세서리에 제공된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detachably attaching portion)가 장비에 제공되는 장비측 착탈식 부착부에 끼워지도록 장비에 착탈식으로 또는 분리가능하게 부착된다.
이전에 제안된 기술에서와 같이, 후술하는 구조(1), (2)를 갖는 착탈식 부착부가 제공된다.
(1) 착탈식 부착부가 액세서리 슈(accessory shoe)를 구비하도록 형성되는 구조.
이 경우, 액세서리 슈는 금속판을 상방 개방되도록 단면 U형상으로 구부림으로써 형성되며, 여기에서 금속판 양측의 상단 에지부는 상호 근접하도록 구부러진다. 금속판 양측의 에지부와 결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며, 이 홈에 에지부가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액세서리가 기기에 부착된다(특허문헌1(일본 공개특허공보 제09-247511호) 참조).
(2) 착탈식 부착부가 암나사부를 갖도록 형성되는 구조.
이 경우,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는 상기 암나사부와 결합하기 위한 수나사부를 갖도록 형성되며, 이렇게 해서 액세서리가 기기에 부착된다.
(3) 착탈식 부착부가 수나사부를 갖도록 형성되는 구조.
이 경우,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는 수나사부와 결합하기 위한 암나사부를 갖도록 형성되며, 이렇게 해서 액세서리가 기기에 부착된다.
전술했듯이, 착탈식 부착부의 여러가지 구조가 이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액세서리는 양 측(액세서리측 및 부착 대상 기기측)의 착탈식 부착부의 구조가 상호 일치하는 동안 부착 대상 기기에 부착됨으로써 사용되도록 의도된 것으로 가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착탈식 부착부는 암나사부를 구비하는 형태의 것이고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는 액세서리 슈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형태의 것이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부착 대상 기기측에 암나사부와 결합가능한 수나사부를 구 비하는 전용 어댑터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액세서리가 구조상 부착 대상 기기의 착탈식 부착부와 일치하지 않는 착탈식 부착부를 갖는 기기에 부착됨으로써 사용되도록 의도된 것인 경우, 어댑터에 대한 추가 비용이 발생할 뿐 아니라, 사용되는 어댑터로 인해 부착 작업이 복잡하다. 또한, 각종 어댑터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 시간-소모적인 노동이 필요하며, 따라서 유용성이 저하된다.
이러한 환경 하에서는, 어댑터를 사용하지 않고 부착 대상 기기의 다양한 형태의 착탈식 부착부에 쉽게 부착될 수 있는 액세서리, 및 상기 액세서리를 위한 액세서리 부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기의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에 착탈식으로 부착될 액세서리가 제공된다. 액세서리는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에 부착될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를 구비하는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는 부착/분리 표면, 상기 부착/분리 표면 상에서 개방되는 암나사부, 및 상기 암나사부와 회전 결합될 수나사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수나사 부재는 수나사 부재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후퇴(retraction) 위치에 위치하거나 수나사 부재의 상기 일방향과 반대되는 다른 방향 회전에 의해 연장(extension) 위치에 위치한다. 후퇴 위치는 수나사 부재의 수나사부의 선단부가 암나사부로 후퇴되고 수나사부가 부착/분리 표면에서 노출되는 위치이다. 연장 위치는 수나사 부재의 선단부가 부착/분리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위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액세서리 부착 장치가 제공된다. 액세서리 부착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회전 조작 링;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수나사 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상호 대향하는 부분에 있는, 전자 기기 또는 삼각대와 같은 기기의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에 착탈식으로 부착될 수 있는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 및 액세서리의 부착을 위한 액세서리 부착부를 구비한다.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는 상기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와 상기 액세서리 부착부를 함께 연결하는 방향에 수직한 평면에 걸쳐서 연장되는 부착/분리 표면을 구비한다. 상기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일부는, 부착/분리 표면에 수직하게 연장되고 부착/분리 표면 상에서 개방되는 암나사부를 구비한다. 하우징의 내부는 상기 암나사부와 연통하는 공간을 구비한다. 회전 조작 링은 중심부가 상기 공간에 배치된 상태에서, 암나사부의 축방향을 따라서는 움직일 수 없고 암나사부의 축방향 중심 주위로는 회전가능하도록 하우징에 의해 지지된다. 수나사 부재는 공간에서 암나사부의 축방향 중심에 배치되고, 회전 조작 링의 중심부에서 수나사 부재는 암나사부의 축방향을 따라서 이동가능하며, 암나사부의 축방향 중심 주위로 회전 조작 링과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회전 조작 링에 결합되는 종방향 부분을 구비한다. 상기 수나사 부재는 회전 조작 링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후퇴 위치에 위치하거나 회전 조작 링의 상기 일방향과 반대되는 다른 방향 회전에 의해 연장 위치에 위치한다. 후퇴 위치는 수나사 부재의 수나사부가 암나사부로부터 후퇴되는 위치이다. 연장 위치는 수나사 부재의 수나사부가 암나사부와 결합되고 수나사부의 선단부가 부착/분리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위치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기의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에 착탈식으로 부착될 액세서리가 제공된다. 액세서리는 액세서리 본체 및 액세서리 부착 장치를 구비한다. 액세서리 부착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회전 조작 링;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수나사 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상호 대향하는 부분에 있는, 전자 기기 또는 삼각대와 같은 기기의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에 착탈식으로 부착될 수 있는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 및 액세서리의 부착을 위한 액세서리 부착부를 구비한다.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는 상기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와 상기 액세서리 부착부를 함께 연결하는 방향에 수직한 평면에 걸쳐서 연장되는 부착/분리 표면을 구비한다. 상기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일부는, 부착/분리 표면에 수직하게 연장되고 부착/분리 표면 상에서 개방되는 암나사부를 구비한다. 하우징의 내부는 상기 암나사부와 연통하는 공간을 구비한다. 회전 조작 링은 중심부가 상기 공간에 배치된 상태에서, 암나사부의 축방향을 따라서는 움직일 수 없고 암나사부의 축방향 중심 주위로는 회전가능하도록 하우징에 의해 지지된다. 수나사 부재는 공간에서 암나사부의 축방향 중심에 배치되고, 회전 조작 링의 중심부에서 수나사 부재는 암나사부의 축방향을 따라서 이동가능하며, 암나사부의 축방향 중심 주위로 회전 조작 링과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회전 조작 링에 결합되는 종방향 부분을 구비한다. 상기 수나사 부재는 회전 조작 링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후퇴 위치에 위치하거나 회전 조작 링의 상기 일방향과 반대되는 다른 방향 회전에 의해 연장 위치에 위치한다. 후퇴 위치는 수나사 부재의 수나사부가 암나사부로부터 후퇴되는 위치이다. 연장 위치는 수나사 부재의 수나사부가 암나사부와 결합되고 수나사부의 선단부가 부착/분리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위치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기의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에 착탈식으로 부착될 액세서리가 제공된다. 액세서리는 액세서리 본체와 합체되는 액세서리 부착 장치를 구비한다. 액세서리 부착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회전 조작 링;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수나사 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상호 대향하는 부분에 있는, 전자 기기 또는 삼각대와 같은 기기의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에 착탈식으로 부착될 수 있는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 및 액세서리의 부착을 위한 액세서리 부착부를 구비한다.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는 상기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와 상기 액세서리 부착부를 함께 연결하는 방향에 수직한 평면에 걸쳐서 연장되는 부착/분리 표면을 구비한다. 상기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일부는, 부착/분리 표면에 수직하게 연장되고 부착/분리 표면 상에서 개방되는 암나사부를 구비한다. 하우징의 내부는 상기 암나사부와 연통하는 공간을 구비한다. 회전 조작 링은 중심부가 상기 공간에 배치된 상태에서, 암나사부의 축방향을 따라서는 움직일 수 없고 암나사부의 축방향 중심 주위로는 회전가능하도록 하우징에 의해 지지된다. 수나사 부재는 공간에서 암나사부의 축방향 중심에 배치되고, 회전 조작 링의 중심부에서 수나사 부재는 암나사부의 축방향을 따라서 이동가능하며, 암나사부의 축방향 중심 주위로 회전 조작 링과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회전 조작 링에 결합되는 종방향 부분을 구비한다. 상기 수나사 부재는 회전 조작 링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후퇴 위치에 위치하거나 회전 조작 링의 상기 일방향과 반대되는 다른 방향 회전에 의해 연장 위치에 위치한다. 후퇴 위치는 수나사 부재의 수나사부가 암나사부로부터 후퇴되는 위치이다. 연장 위치는 수나사 부재의 수나사부가 암나사부와 결합되고 수나사부의 선단부가 부착/분리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위치이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액세서리 및 액세서리 부착 장치는, 액세서리가 어댑터를 사용하지 않고 다수의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 중 어느 하나에 착탈식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암나사부 및 수나사 부재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제1 실시예)
제1 실시예에 대해 후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실시예를 네 가지 형태의 액세서리가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에 부착되는 예시 경우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22)의 일 예를 도시하는 비디오 카메라(10)의 사시도이다. 도2는 비디오 카메라(10)의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22)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비디오 카메라의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의 사시도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예는 비디오 카메라(10)에 부착되는 본 실시예의 액세서리, 상기 비디오 카메라(10)의 외부 하우징을 구성하는 하우징(12), 상기 하우징(12)의 전방 부분에 제공되는 경통(鏡筒: lens barrel)(14), 상기 하우징(12)의 후방 부분에 제공되는 뷰파인더(16), 상기 하우징(12)의 전-후 부분에 걸쳐서 연장되어 제공되는 핸들(18), 및 상기 핸들(18)에 제공되는 마이크(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액세서리가 착탈식으로 부착될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22)는 핸들(18)의 마이크(20)에 근접한 부분에 제공된다.
도2를 참조하면,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22)는 액세서리 슈를 구성하고, 기저부(22A), 두 개의 측벽(22B), 및 두 개의 결합 벽(22C)을 구비한다. 기저부(22A)는 핸들(18)의 상면에 부착된다. 각각의 측벽(22B)은 기저부(22A)의 양측으로부터 수직 상승한다. 결합 벽(22C)은 각각, 그 단부가 상호 근접하거나 대향하고 기저부(22A)에 평행하도록 각 측벽(22B)의 상단부로부터 구부러진다. 결합 벽(22C)의 연장 방향으로 양측 중 일측은 개방되어 있고, 타측은 벽 부분(22D)에 의해 폐쇄된다.
도3은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26)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비디오 카메라(24)의 사시도이다. 도4는 도3에 도시된 비디오 카메라(24)의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26)의 사시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도1에 도시된 비디오 카메라(10)와 마찬가지로, 비디오 카메라(24)는 하우징(12), 경통(14), 뷰파인더(16), 핸들(18), 및 마이크(20)를 구비한다.
액세서리가 착탈식으로 부착되는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26)는 마이크(20)를 구성하는 하우징(21)의 상부에 제공된다.
도4를 참조하면,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26)는 하우징(2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장방형 평면 시트(26A)를 구비한다. 시트(26A)의 상면(2602)은 평탄하다. 상면(2602)의 중심에는 상면(2602)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서 암나사부(26B)가 형성된다.
또한, 시트(26A)의 두 측면에는 어댑터-장착 결합 홈(26C)이 각각 형성된다.
도5는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삼각대(28)의 사시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삼각대(28)는 세 개의 레그 부분(28A), 상기 레그 부분(28A)의 상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섹션(28B), 상기 연결 섹션(28B)의 상부에 피봇 연결되는 헤드(28C), 및 피봇 운동을 수행하도록 헤드(28C)를 작동시키고 피봇 운동을 억제하도록 볼 헤드(28C)를 로크하는 조작 스틱(28D)을 구비한다.
볼 헤드(28C)는 예를 들어 각종 액세서리 및 전자 기기 또는 장치 중 어느 하나를 부착/분리하기 위한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30)를 구비한다.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30)는 평탄 부착면(30A) 및 나사 부재(30B)를 구비한다.
나사 부재(30B)는 그 헤드부(30C)가 헤드(28C)의 하부에 위치하고 수나사부(30D)가 평탄 부착면(30A)의 중심으로부터 상방 연장되는 상태에서 헤드(28C)에 회전가능하게 그리고 결합해제 불가능하게 유지된다.
도6은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34)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손잡이의 사시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손잡이(32)는 손으로 쥐기 위한 칼럼식 본체(32A)를 구비하며, 여기에서 본체(32A)의 상부는 각종 액세서리 및 전자 기기 또는 장치 중 어느 하나의 부착/분리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34)를 갖는다.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34)는 평탄 부착면(32B) 및 나사 부재(34A)를 구비한다.
나사 부재(34A)는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34)의 링(34C)이 본체(32A)의 두 측부로부터 노출되도록 본체(32A)에 회전가능하게 그리고 결합해제 불가능하게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나사 부재(34A)의 수나사부(34B)는 부착면(32B)의 중심으로부터 상방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및 액세서리 부착 장치에 대해 후술한다.
도7은 액세서리로서 마이크(70)(액세서리 본체=마이크(70))가 촬상 기기(24)에 부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8은 액세서리로서 비디오 라이트(액세서리 본체=비디오 라이트(72))가 손잡이(32)에 부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9 및 도10은 액세서리 부착 장치(40)의 사시도이다. 도11은 액세서리 부착 장치(4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2는 수나사 부재(46)가 후퇴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액세서리 부착 장치(40)의 단면도이다. 도13은 수나사 부재(46)가 후퇴 위치와 연장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의 액세서리 부착 장치(40)의 단면도이다. 도14는 수나사 부재(46)가 연장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의 액세서리 부착 장치(40)의 단면도이다.
도15는 수나사 부재(46)가 후퇴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의 액세서리 부착 장치(40)의 사시도이다. 도16은 수나사 부재(46)가 후퇴 위치와 연장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의 액세서리 부착 장치(40)의 사시도이다. 도17은 수나사 부재가 연장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의 액세서리 부착 장치(40)의 사시도이다.
도9 내지 도11을 참조하면, 액세서리 부착 장치(40)는, 예를 들어 하우징(42), 회전 조작 링(44), 및 수나사 부재(46)를 구비한다. 회전 조작 링(44)과 수나사 부재(46)는 하우징(42)에 내장된다.
하우징(42)은 상호 대향하는 부분에, 전자 기기 또는 삼각대와 같은 기기의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에 착탈식으로 부착될 수 있는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48), 및 전술한 마이크(70)나 비디오 라이트(72)와 같은 액세서리의 부착을 위한 액세서리 부착부(5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 기기 또는 삼각대와 같은 기기의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비디오 카메라(10)의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22), 도3 및 도4에 도시된 촬상 기기(24)의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26), 도5에 도시된 삼각대(28)의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30), 및 도6에 도시된 손잡이(32)의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34)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한다.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48)는 상기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48)와 상기 액세서리 부착부(50) 사이의 연결 방향에 수직한 평면에 걸쳐서 연장되는 부착/분리 표면(52)을 구비한다.
상기 부착/분리 표면(52)은 장방형 형상을 갖는다.
도9에 도시하듯이,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48)는 부착/분리 표면(52), 한 쌍의 측면(5302), 및 한 쌍의 홈(5306)을 구비한다. 상기 측면(5302)은 각각, 부착/분리 표면(52)의 상호 대향하는 두 쌍의 변 중 한 쌍의 변으로부터 직각으로 상승한다. 홈(5306)은 각각, 한 쌍의 변의 방향을 따르고 각각 두 쌍의 변 중 다른 쌍의 변으로부터 직각 상승하는 한 쌍의 측면(5302)을 통해서 연장된다.
상기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48)를 구성하는 하우징(42)의 일부에는 암나사부(54)가 제공된다. 암나사부(54)는 부착/분리 표면(52)에 수직하게 연장되고, 부착/분리 표면(52)의 중심에서 개방된다.
도12 내지 도14를 참조하면, 하우징(42)의 내부에는 암나사부(54)와 연통하는 공간(56)이 제공된다.
회전 조작 링(44)은 그 중심부가 공간(56)을 따라서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회전 조작 링(44)은 암나사부(54)의 축방향을 따라서는 움직일 수 없고 암나사부(54)의 축방향 중심 주위로는 회전가능하도록 하우징(42)에 의해 지지된다.
도12를 참조하면, 하우징(42)의 원통형 벽(4202)과 회전 조작 링(44)의 내주부에서의 오목부(4402)는 회전가능하도록 함께 연결된다. 따라서, 회전 조작 링(44)은 암나사부(54)의 축방향 중심 주위로 회전가능하도록 하우징(42)에 의해 지지된다.
도9 및 도12를 참조하면, 암나사부(54)의 축방향 중심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서 상호 대향하여 위치하는 하우징(42) 외면의 부분에는 암나사부(54)의 축방향 중심을 향해서 오목한 각각의 오목부(4204)가 제공된다. 회전 조작 링(44)의 외주부는 오목부(4204)로부터 하우징(42)의 외측으로 노출됨으로써, 회전(또는 회전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수나사 부재(46)는 공간(56)에서 암나사부(54)의 축방향 중심에 배치되고, 회전 조작 링(44)의 중심부에서 수나사 부재(46)는 암나사부(54)의 축방향을 따라서 이동가능하며, 암나사부(54)의 축방향 중심 주위로 회전 조작 링(44)과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회전 조작 링(44)에 결합되는 종방향 부분을 구비한다.
도11을 참조하면, 수나사 부재(46)는 디스크형 헤드부(4602), 상기 헤드부(4602)로부터 돌출하고 타원형(비원형) 단면을 갖는 축방향 부분(4604), 및 상기 축방향 부분(4604)의 축방향 중심에 제공되는 수나사부(4606)를 구비한다.
회전 조작 링(44)의 중심에는 타원형(비원형) 단면을 갖는 결합 구멍(4402)이 형성된다. 회전 조작 링(44)은 축방향 부분(4604)과 일체로 회전하지만, 축방향 부분(4604)은 암나사부(54)의 축방향을 따라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 구멍(4402)과 결합된다. 축방향 부분(4604)과 결합 구멍(4402)의 결합에 의해, 수나사 부재(46)는 암나사부(54)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암나사부(54)의 축방향 중심 주위로 회전 조작 링(44)과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도12 및 도15를 참조하면, 수나사 부재(46)의 수나사부(4606)는 회전 조작 링(44)의 일방향 회전 동작에 의해 암나사부(54)로부터 추출되며, 따라서 수나사 부재(46)는 후퇴 위치에 위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후퇴 위치는 수나사부(4606)의 선단이 암나사부(54)의 단부와 결합하는 수나사 부재(46)의 위치이며, 상기 단부는 부착/분리 표면(52)과 대향하여 위치된다.
대안적으로, 도14 및 도17을 참조하면, 수나사 부재(46)의 수나사부(4606)는 회전 조작 링(44)의 상기 일 방향과 반대되는 역방향으로의 회전 조작 링(44)의 회전 동작에 의해 암나사부(54)와 메시결합된다. 따라서, 수나사 부재(46)는, 수나사 부재(46)의 선단부가 부착/분리 표면(52)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 위치에 위치한다.
공간(56)은 연장 위치에 위치하는 암나사 부재(46)를 후퇴 위치 쪽으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60)을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코일 스프링(60)은 축방향 부분(4604) 주위에 제공된다. 도14에 도시하듯이, 수나사 부재(46)가 연장 위치에 위치할 때, 코일 스프링(60)은 수나사 부재(46)의 헤드부(4602) 및 회전 조작 링(44)의 플랜지에 의해 압축된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60)은 수나사 부재(46)를 후퇴 위치 쪽으로 가압한다.
또한, 도12를 참조하면, 공간(56)은 수나사 부재(46)와 접촉하는 스토퍼(62)를 구비한다. 스토퍼(62)는 연장 위치에서 후퇴 위치로의 이동 방향으로 수나사 부재(46)와 접촉하며, 따라서 후퇴 위치를 규정한다. 스토퍼(62)는, 암나사부(54)와 대향하는 공간(56)의 깊은 측에서 하우징(42)의 벽면으로 구성된다.
도15 내지 도17에 도시하듯이, 하우징(42)은 회전 조작 링(44)이 배치되는 부분에서 수직으로 분할되는 상부 및 하부 분할체(4230, 4232)가 나사에 의해 함께 결합되는 식으로 구성된다. 도15에서, 도면부호 4234는 상부 분할체(4230)와 하부 분할체(4232) 사이의 결합 평면을 지칭한다.
도9를 참조하면, 액세서리 부착부(50)는 예를 들어, 상호 대향하는 플랜지(5002), 및 상기 플랜지(5002)와 동축으로 제공되는 볼트 삽입 구멍(5004)을 구비한다.
액세서리 부착부(50)의 구조에 대한 제한은 없지만, 각종 형태의 구조중 적합한 것은 마이크(70) 및 비디오 라이트(72)와 같은 액세서리의 형태에 일치하여 채용되며, 주지된 구조의 다양한 형태중 적합한 것이 액세서리 부착부(50)에 대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서리가 도7에 도시하듯이 마이크(70)인 경우에, 액세서리 부착 장치(40)는 사전에 마이크 본체(마이크(70)의 하우징 또는 액세서리 본체)와 합체될 수 있다. 이 경우, 액세서리 부착부(50)는 생략되거나 제공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26)에 부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48)는, 액세서리 부착 장치(40)가 마이크 본체(액세서리 본체)와 합체되는 하우징(42)의 일부와 대향하여 위치된 부분에 제공된다.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48)는 부착/분리 표면(52)을 갖는다. 부착/분리 표면(52)은 마이크 본체(액세서리 본체)와 합체되는 하우징(42) 부분과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48)를 함께 연결하는 방향에 수직한 평면에 걸쳐서 연장된다. 다른 구조 부분은 액세서리와 별도로 제공되는 액세서리 부착 장치(40)의 구조의 그것과 유사하다.
본 실시예의 액세서리에 대한 사용 방법을 후술한다.
제1 예로서, 본 실시예의 액세서리 중 하나인 마이크(70)가 도3 및 도4에 도시된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26)에 부착되는 경우를 도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 경우, 도12 및 도15에 도시하듯이, 수나사 부재(46)는 미리 후퇴 위치에 위치한다. 이 상태의 유지 하에,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48)의 부착/분리 표면(52)이 도4에 도시된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26)의 시트(26A)의 상면(2602)에 가압 또는 푸시된다.
이어서, 도14 및 도17에 도시하듯이, 회전 조작 링(44)이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로 인해 수나사 부재(46)가 연장 위치를 향해서 회전 이동한다. 따라서, 수나사부(4606)는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26)의 암나사부(26B)와 결합된다. 또한, 회전 조작 링(44)이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고, 수나사부(4606)가 회전한다. 따라서, 시트(26A)의 상면(2602)이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48)의 부착/분리 표면(52)과 결합된다.
전술한 방식으로, 액세서리 또는 마이크(70)가 도7에 도시하듯이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26)에 부착된다.
액세서리 또는 마이크(70)를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26)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회전 조작 링(44)이 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수나사 부재(46)는 연장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로 회전 이동한다. 그 결과, 수나사부(4606)가 암나사부(26B)로부터 결합해제되고, 따라서 마이크(70)가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26)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본 실시예의 액세서리 중 하나인 비디오 라이트(72)가 도6에 도시된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34)에 부착되는 경우를 도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 경우, 도12 및 도15에 도시하듯이, 수나사 부재(46)는 미리 후퇴 위치에 위치하며, 암나사부(54)는 수나사부(34B)의 선단에 놓인다. 이 상태의 유지 하에, 링(34C)이 일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수나사부(34B)가 암나사부(54)와 결합된다.
따라서, 기기 착탈식 부착부(48)의 부착/분리 표면(52)이 부착/분리부(34)의 부착면(32B)에 가압된다.
전술한 방식으로, 액세서리 또는 비디오 라이트(72)가 도8에 도시하듯이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34)에 부착된다.
마찬가지로, 액세서리는 수나사부(30D)가 암나사부(54)와 결합되거나 그로부터 결합해제되는 방식으로, 도5에 도시된 수나사부(30D)를 갖는 부착/분리부(34)를 구비하는 삼각대(28)에 부착되거나 그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액세서리가 도1 및 도2에 도시된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22)에 부착되는 경우를 후술한다.
이 경우, 도12 및 도15에 도시하듯이, 수나사 부재(46)는 미리 후퇴 위치에 위치하며,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48)는 도2에 도시된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22)의 두 개의 결합 벽(22C) 사이에 삽입된다. 이후, 결합 벽(22C)의 에지는 각각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48)의 홈(5306)과 결합되며, 따라서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48)가 벽 부분(22D)에 가압된다.
이어서, 도13 및 도16에 도시하듯이, 회전 조작 링(44)이 다른 방향으로 회 전하고, 그로 인해 수나사 부재(46)의 수나사부(4606)의 선단부가 부착/분리 표면(52)으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수나사부(4606)의 선단부가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22)의 상면에 가압된다.
이에 따라,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22)의 결합 벽(22C)과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48)의 홈(5306)이 각각 상호 결합되고,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22)와 액세서리측 착탈식 부착부(48) 사이의 결합이 로크 상태로 되며, 따라서 액세서리가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32)에 부착된다.
액세서리를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22)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회전 조작 링(44)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로크 상태를 해제한다. 그 결과,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48)의 홈(5306)이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22)의 각 결합 벽(22C)으로부터 결합해제된다(그로 인해 액세서리가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2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전술했듯이, 본 실시예 또는 제1 실시예는 기기의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에 착탈식으로 부착될 액세서리이다. 이 액세서리는 기기의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에 착탈식으로 부착되는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48)를 구비한다.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48)는 부착/분리 표면(52); 상기 부착/분리 표면(52) 상에서 개방되는 암나사부(54); 및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암나사부(54)와 결합하여 배치되는 수나사 부재(46)를 구비한다. 수나사 부재(46)의 일 방향으로의 회전 동작에 의해, 수나사 부재(46)는 후퇴 위치에 위치된다. 후퇴 위치에서, 수나사 부재(46)의 수나사부(4606)의 선단부는 암나사부(54) 내로 후퇴되고, 암나사부(54)는 부착/ 분리 표면(52)에서 노출된다. 대안적으로, 수나사 부재(46)의 상기 일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의 회전 동작에 의해, 수나사 부재(46)는 연장 위치에 위치된다. 연장 위치에서, 수나사부(4606)의 선단부는 부착/분리 표면(52)으로부터 연장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48)는 암나사부(54)와 수나사 부재(46)를 사용하여 구축되며, 따라서 액세서리는 어댑터를 사용하지 않고서 다수의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 중 어느 하나에 착탈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렇게 간단해진 액세서리 부착/분리 작업이 실시될 수 있으며, 기존의 제안된 경우에서와 같은 어댑터 사용과 관련된 비용 증가가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각종 어댑터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관리 시간과 노동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액세서리의 유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유리한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에 대해 후술한다.
도18은 수나사 부재(46)가 후퇴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의 액세서리 부착 장치(40)의 단면도이다. 도19는 수나사 부재(46)가 후퇴 위치와 연장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의 액세서리 부착 장치(40)의 단면도이다. 도20은 수나사 부재(46)가 연장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의 액세서리 부착 장치(40)의 단면도이다.
제2 실시예는 수나사 부재(46) 및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48)의 형상이 제1 실시예의 그것과 부분적으로 상이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와 동일 하거나 유사하다. 관련 도면 및 이하 설명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는 제1 실시예에서의 것과 동일한 부분을 지칭하며, 각각의 동일한 부분에 대한 상세하거나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18 내지 도20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액세서리 부착 장치(40)는, 예를 들어 하우징(42), 회전 조작 링(44), 및 수나사 부재(46)를 구비하며, 여기에서 회전 조작 링(44)과 수나사 부재(46)는 하우징(42)에 내장된다.
하우징(42)은 상호 대향하는 부분에, 전자 기기 또는 삼각대와 같은 기기의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에 착탈식으로 부착될 수 있는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48), 및 도7과 도8에 도시된 마이크(70)나 비디오 라이트(72)와 같은 액세서리의 부착을 위한 액세서리 부착부(50)를 구비한다.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48)는 부착/분리 표면(52) 및 오목부(5320)를 구비한다.
부착/분리 표면(52)은 장방형 형상을 갖는다. 상호 대향하고 부착/분리 표면(52)에 근접한 하우징(42) 부분에는 오목부(5320)가 상호 평행하게 제공된다. 오목부(5320)와 더불어, 부착/분리 표면(52)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향된 결합면(5322)이 부착/분리 표면(52)의 벽 부분에 형성되며, 이 부분은 부착/분리 표면(52)을 구비한다.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48)를 구성하는 하우징(42)의 부분에는 암나사부(54)가 제공된다. 상기 암나사부(54)는 부착/분리 표면(52)에 수직하게 연장되며, 부착/분리 표면(52)의 중심에서 개방된다.
즉,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48)는 중심 벽 부분(5330) 및 두 개의 연장 벽 부분(5332)을 구비한다. 중심 벽 부분(5330)은 암나사부(54)를 구비하며, 암나사부(54)의 축방향을 따라서 연장된다. 연장 벽 부분(5332)은 각각, 중심 벽 부분(5330)의 연장 방향으로의 단부 부분의 두 측부로부터 동일한 두께에서 측방향을 따라서 연장된다.
부착/분리 표면(52)은, 암나사부(54)가 개방되는 중심 벽 부분(5330)의 단부면, 및 두 개의 연장 벽 부분(5332)의 두께 방향으로의 한쪽 면을 구비한다. 연장 벽 부분(5332)의 두께 방향으로의 다른쪽 면은 부착/분리 표면(52)의 반대 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연장되는 결합면(5322)으로서 사용된다. 두 개의 연장 벽 부분(5332)의 연장 방향으로의 단부는 각각, 부착/분리 표면(52)에 수직하게 그리고 상호 평행하게 연장되는 안내면(5334)으로서 사용된다. 부착/분리 표면(52)의 형상은 장방형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 중 임의의 것이 채택될 수 있다.
도18(또는 도12)을 참조하면, 수나사 부재(46)가 후퇴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부착/분리 표면(52)으로부터 부착/분리 표면(52)에 노출되는 암나사부(54)의 깊이는, 카메라 부착 나사(80)(카메라 부착을 위해 기기에 제공되는 수나사부(30D, 34B)(도5 및 도6에 도시)에 대응)를 암나사부(54)와 결합하여 액세서리를 기기의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에 지지하기에 충분한 치수이다.
공지되어 있듯이, 관련 ISO(국제 표준화 기구) 표준(ISO 1222)은 카메라 부착 나사(80)의 길이를 4.5mm±0.2mm로 특정하고 있다. 따라서, 카메라 부착 나사(80)와의 결합을 위한 암나사부(54)의 깊이는, 표준(ISO 1222)에 의해 특정된 최 대 값인 4.7mm 이상이어야 한다.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수나사 부재(46)는 공간(56)에서 암나사부(54)의 축방향 중심에 배치되고, 회전 조작 링(44)의 중심부에서 수나사 부재(46)는 암나사부(54)의 축방향을 따라서 이동가능하며, 암나사부(54)의 축방향 중심 주위로 회전 조작 링(44)과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회전 조작 링(44)에 결합되는 종방향 부분을 구비한다.
도20을 참조하면, 수나사 부재(46)가 연장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부착/분리 표면(52)으로부터 수나사 부재(46)의 선단까지의 길이는, 수나사부(4606)가 기기에 제공된 수나사부와 결합되고 액세서리가 기기의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에 의해 확실하게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에 충분한 치수이다.
수나사 부재(46)의 종방향으로 중간 부분에는 수나사부(4606)보다 직경이 큰 대직경부(4610)가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직경부(4610)는 축방향 부분(4604)의 중간 부분에 제공된다.
또한, 도20을 참조하면, 공간(56) 아래의 하우징(42) 부분에는 정착부(anchoring portion)(4210)가 제공된다. 정착부(4210)는 수나사 부재(46)의 대직경부(4610)의 수나사부(4606)측 단부를 결합가능하게 정지시킴으로써, 수나사 부재(46)의 선단부가 부착/분리 표면(52)으로부터 최대로 연장되는 최대 연장 위치를 규정한다.
본 실시예의 액세서리에 대한 사용 방법을 후술한다.
제1 예로서, 기기(카메라) 측의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82)에 카메라 부착 나 사(80)가 제공되는 경우를 도1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 경우, 수나사 부재(46)는 미리 후퇴 위치에 위치한다. 이 상태의 유지 하에,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48)의 암나사부(54)가 카메라 부착 나사(80)의 선단에 놓인다. 이후, 이 상태의 유지 하에, 카메라 부착 나사(8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암나사부(54)와 결합된다.
이로 인해,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48)의 부착/분리 표면(52)이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82)의 부착면 상에 가압되며, 따라서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48)가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82)에 결합된다.
전술한 방식으로, 액세서리가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82)에 부착된다.
액세서리를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82)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카메라 부착 나사(80)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로 인해, 카메라 부착 나사(80)가 암나사부(54)로부터 결합해제되고, 따라서 액세서리가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82)로부터 분리된다.
다른 예로서, 액세서리 슈(도2에 도시됨)로 형성된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22)에 액세서리가 부착되는 경우를 도1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 경우, 도18에 도시하듯이, 수나사 부재(46)는 미리 후퇴 위치에 위치한다. 이후, 이 상태의 유지 하에,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22)와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48)가 상대적으로 미끄러지며, 그로 인해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22)의 두 개의 결합 벽(22C)이 양 측의 결합 면(5322)과 결합된다.
이어서, 회전 조작 링(44)이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로 인해 수나사 부 재(46)의 수나사부(4606)의 선단부가 부착/분리 표면(52)으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수나사부(4606)의 선단부가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22)의 기저부(22A)의 상면에 가압된다.
이런 식으로, 결합 벽(22C)과 결합 면(5322)이 각각 상호 압접되고, 따라서 액세서리가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32)에 부착된다.
액세서리를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22)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회전 조작 링(44)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로 인해 수나사 부재(46)가 후퇴 위치로 회전 이동된다. 따라서, 각각의 결합 벽(22C)과 각각의 결합 면(5322) 사이의 압접이 해제되고,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22)와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48)가 상대적으로 미끄러진다. 그 결과,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48)가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22)로부터 결합해제된다(그로 인해 액세서리가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2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3 및 도4에 도시된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26)에 액세서리가 부착되는 경우를 도2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 경우, 도18에 도시하듯이, 수나사 부재(46)는 미리 후퇴 위치에 위치하거나, 또는 그 선단이 부착/분리 표면(52) 근처에 위치하도록 미리 위치된다. 이후, 이 상태의 유지 하에,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48)의 부착/분리 표면(52)이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26)의 상면(2602)에 가압된다.
이어서, 회전 조작 링(44)이 다른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로 인해, 수나사 부재(46)가 연장 위치를 따라서 회전 이동하고, 따라서 수나사부(4606)가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26)의 암나사부(26B)와 결합된다. 또한, 회전 조작 링(44)이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로 인해 수나사부(4606)가 회전된다. 그 결과,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48)의 부착/분리 표면(52)과 상면(2602)이 함께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직경부(4610)의 수나사부(4606) 측의 수나사 부재(46)의 단부가 상호 접촉하게 되고, 그로 인해 하우징(42)의 일부가 대직경부(4610)와 상면(2602) 사이에 클램핑된다. 그 결과,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48)의 부착/분리 표면(52)과 상면(2602)이 함께 결합된다.
전술한 방식으로, 액세서리가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26)에 부착된다.
액세서리를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26)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회전 조작 링(44)이 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로 인해 수나사 부재(46)가 연장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로 회전 이동되고, 따라서 액세서리가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26)로부터 분리된다.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2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간단해진 액세서리 부착/분리 작업이 실시될 수 있으며, 기존의 제안된 경우에서와 같은 어댑터 사용과 관련된 비용 증가가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각종 어댑터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관리 시간과 노동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액세서리의 유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유리한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했듯이, 액세서리가 부착되는 기기가 카메라, 삼각대 및 손잡이인 경우를 참조하여 각각의 실시예 및 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액세서리가 부착될 수 있는 기기는 전술한 기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디지털 카메라 및 필름 카 메라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전자 기기일 수 있다.
또한, 당업자에게는 여러가지 다른 변형예 및 수정예와 다른 용도가 자명해질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원에 기재된 특정 설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1은 착탈식 부착부의 일 예를 도시하는 비디오 카메라의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비디오 카메라의 착탈식 부착부의 사시도.
도3은 착탈식 부착부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비디오 카메라의 사시도.
도4는 도3에 도시된 비디오 카메라의 착탈식 부착부의 사시도.
도5는 착탈식 부착부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삼각대의 사시도.
도6은 착탈식 부착부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손잡이의 사시도.
도7은 액세서리로서 마이크(액세서리 본체=마이크)가 촬상 기기에 부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8은 액세서리로서 비디오 라이트(액세서리 본체=비디오 라이트)가 손잡이에 부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9는 액세서리 부착 장치의 사시도.
도10은 액세서리 부착 장치의 확대도.
도11은 액세서리 부착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12는 수나사 부재가 후퇴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의 액세서리 부착 장치의 단면도.
도13은 수나사 부재가 후퇴 위치와 연장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의 액세서리 부착 장치의 단면도.
도14는 수나사 부재가 연장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의 액세서리 부착 장치의 단면도.
도15는 수나사 부재가 후퇴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의 액세서리 부착 장치의 사시도.
도16은 수나사 부재가 후퇴 위치와 연장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의 액세서리 부착 장치의 사시도.
도17은 수나사 부재가 연장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의 액세서리 부착 장치의 사시도.
도18은 수나사 부재가 후퇴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의 액세서리 부착 장치의 단면도.
도19는 수나사 부재가 후퇴 위치와 연장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의 액세서리 부착 장치의 단면도.
도20은 수나사 부재가 연장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의 액세서리 부착 장치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 26, 34, 82: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
24: 촬상 기기
40: 액세서리 부착 장치
42: 하우징
4210: 정착부
44: 회전 조작 링
46: 수나사 부재
4606: 수나사부
48: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
50: 액세서리 부착부
52: 부착/분리 표면
54: 암나사부
56: 공간
60: 코일 스프링
62: 스토퍼
70, 72: 액세서리 본체
Claims (15)
- 기기의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에 착탈식으로 부착될 액세서리이며,상기 액세서리는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에 부착될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를 구비하는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를 포함하고,상기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는 부착/분리 표면, 상기 부착/분리 표면 상에서 개방되는 암나사부, 및 상기 암나사부와 회전 결합될 수나사 부재를 구비하며,상기 수나사 부재는 수나사 부재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후퇴 위치에 위치하거나 수나사 부재의 상기 일방향과 반대되는 다른 방향 회전에 의해 연장 위치에 위치하고,상기 후퇴 위치는 수나사 부재의 수나사부의 선단부가 암나사부로 후퇴되고 수나사부가 부착/분리 표면에서 노출되는 위치이며, 상기 연장 위치는 수나사 부재의 선단부가 부착/분리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위치인 액세서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는 수나사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조작 링을 추가로 구비하며,상기 회전 조작 링은 수나사 부재의 축방향 중심의 방향(또는, 이하 "축방향")을 따라서는 움직일 수 없도록 기기의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고,상기 수나사 부재는 수나사 부재의 축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고 수나사 부재의 축방향 중심 주위로 회전 조작 링과 함께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 조작 링에 결합되는 액세서리.
- 제1항에 있어서, 액세서리 본체 및 액세서리 부착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며,상기 액세서리 부착 장치는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 및 액세서리 부착 장치를 액세서리 본체에 부착하기 위한 액세서리 부착부를 구비하는 액세서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 부착부는 상기 액세서리 본체와 일체인 액세서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는 중심 벽 부분과 두 개의 연장 벽 부분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중심 벽 부분은 암나사부를 구비하고 암나사부의 축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며, 상기 두 개의 연장 벽 부분은 각각 중심 벽 부분의 연장 방향으로의 단부 부분의 두 측부로부터 동일한 두께에서 측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상기 부착/분리 표면은 암나사부가 개방되는 중심 벽 부분의 단부면, 및 두 개의 연장 벽 부분의 두께 방향으로의 한쪽 면을 구비하며,연장 벽 부분의 두께 방향으로의 다른쪽 면은 부착/분리 표면의 반대 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연장되는 결합면으로서 사용되고,두 개의 연장 벽 부분의 연장 방향으로의 단부는 각각, 부착/분리 표면에 수 직하게 그리고 상호 평행하게 연장되는 안내면으로서 사용되는 액세서리.
- 액세서리 부착 장치이며,하우징,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회전 조작 링,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수나사 부재, 및상기 하우징의 상호 대향하는 부분에 있는, 전자 기기 또는 삼각대와 같은 기기의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에 착탈식으로 부착될 수 있는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와, 액세서리의 부착을 위한 액세서리 부착부를 포함하고,상기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는 상기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와 상기 액세서리 부착부를 함께 연결하는 방향에 수직한 평면에 걸쳐서 연장되는 부착/분리 표면을 구비하며,상기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일부는, 부착/분리 표면에 수직하게 연장되고 부착/분리 표면 상에서 개방되는 암나사부를 구비하고,상기 하우징의 내부는 상기 암나사부와 연통하는 공간을 구비하며,상기 회전 조작 링은 중심부가 상기 공간에 배치된 상태에서, 암나사부의 축방향을 따라서는 움직일 수 없고 암나사부의 축방향 중심 주위로는 회전가능하도록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며,상기 수나사 부재는 상기 공간에서 암나사부의 축방향 중심에 배치되고, 회 전 조작 링의 중심부에서 수나사 부재는 암나사부의 축방향을 따라서 이동가능하며, 암나사부의 축방향 중심 주위로 회전 조작 링과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회전 조작 링에 결합되는 종방향 부분을 구비하고,상기 수나사 부재는 회전 조작 링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후퇴 위치에 위치하거나 회전 조작 링의 상기 일방향과 반대되는 다른 방향 회전에 의해 연장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후퇴 위치는 수나사 부재의 수나사부가 암나사부로부터 후퇴되는 위치이고, 상기 연장 위치는 수나사 부재의 수나사부가 암나사부와 결합되고 수나사부의 선단부가 부착/분리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위치인 액세서리 부착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내에 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은 연장 위치에 위치한 수나사 부재를 후퇴 위치로 가압하는 액세서리 부착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퇴 위치는 부착/분리 표면과 대향하여 위치하는 암나사부의 단부에 수나사부의 선단이 결합하는 수나사 부재의 위치인 액세서리 부착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수나사 부재와 접촉하기 위한 스토퍼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연장 위치에서 후퇴 위치로의 이동 방향으로 수나사 부재와 접촉함으로써 후퇴 위치를 규정하는 액세서리 부착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암나사부의 축방향 중심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서 상호 대향하여 위치하는 하우징의 외면 부분에 암나사부의 축방향 중심을 향해서 각각 오목한 오목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회전 조작 링의 외주부가 상기 오목부로부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액세서리 부착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나사 부재는 비원형 단면을 갖는 축방향 부분을 구비하고 축방향 부분과 동축으로 제공되며,회전 조작 링의 중심에 결합 구멍이 존재하고,상기 회전 조작 링은 결합 구멍을 통해서 축방향 부분과 일체로 회전하며,상기 축방향 부분은 암나사부의 축방향을 따라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 구멍과 결합하는 액세서리 부착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결합 표면은 장방형 형상을 가지며,상기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는 부착/분리 표면, 한 쌍의 측면, 및 한 쌍의 홈을 구비하고,상기 한 쌍의 측면은 각각, 상기 부착/분리 표면의 상호 대향하는 두 쌍의 변 중 한 쌍의 변으로부터 직각으로 상승하며, 상기 한 쌍의 홈은 각각 한 쌍의 변의 방향을 따라서 한 쌍의 측면을 통해서 연장되고 각각 상기 두 쌍의 변 중 다른 쌍의 변으로부터 직각으로 상승하는 액세서리 부착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나사 부재의 종방향으로 중간 부분에 수나사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대직경부, 및하우징 내의 정착부를 추가로 포함하며,상기 정착부는 대직경부의 수나사부측 단부를 결합가능하게 정지시킴으로써, 수나사 부재의 선단부가 부착/분리 표면으로부터 최대로 연장되는 최대 연장 위치를 규정하는 액세서리 부착 장치.
- 기기의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에 착탈식으로 부착될 액세서리이며,상기 액세서리는 액세서리 본체 및 액세서리 부착 장치를 포함하고,상기 액세서리 부착 장치는하우징,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회전 조작 링,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수나사 부재, 및상기 하우징의 상호 대향하는 부분에 있는, 전자 기기 또는 삼각대와 같은 기기의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에 착탈식으로 부착될 수 있는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와, 액세서리의 부착을 위한 액세서리 부착부를 구비하며,상기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는 상기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와 상기 액세서리 부착부를 함께 연결하는 방향에 수직한 평면에 걸쳐서 연장되는 부착/분리 표면을 구비하고,상기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일부는, 부착/분 리 표면에 수직하게 연장되고 부착/분리 표면 상에서 개방되는 암나사부를 구비하며,상기 하우징의 내부는 상기 암나사부와 연통하는 공간을 구비하고,상기 회전 조작 링은 중심부가 상기 공간에 배치된 상태에서, 암나사부의 축방향을 따라서는 움직일 수 없고 암나사부의 축방향 중심 주위로는 회전가능하도록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며,상기 수나사 부재는 상기 공간에서 암나사부의 축방향 중심에 배치되고, 회전 조작 링의 중심부에서 수나사 부재는 암나사부의 축방향을 따라서 이동가능하며, 암나사부의 축방향 중심 주위로 회전 조작 링과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회전 조작 링에 결합되는 종방향 부분을 구비하고,상기 수나사 부재는 회전 조작 링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후퇴 위치에 위치하거나 회전 조작 링의 상기 일방향과 반대되는 다른 방향 회전에 의해 연장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후퇴 위치는 수나사 부재의 수나사부가 암나사부로부터 후퇴되는 위치이고, 상기 연장 위치는 수나사 부재의 수나사부가 암나사부와 결합되고 수나사부의 선단부가 부착/분리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위치인 액세서리.
- 기기의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에 착탈식으로 부착될 액세서리이며,상기 액세서리는 액세서리 본체와 합체되는 액세서리 부착 장치를 포함하고,상기 액세서리 부착 장치는하우징,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회전 조작 링,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수나사 부재, 및상기 하우징의 상호 대향하는 부분에 있는, 전자 기기 또는 삼각대와 같은 기기의 기기측 착탈식 부착부에 착탈식으로 부착될 수 있는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와, 액세서리의 부착을 위한 액세서리 부착부를 구비하며,상기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는 상기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와 상기 액세서리 부착부를 함께 연결하는 방향에 수직한 평면에 걸쳐서 연장되는 부착/분리 표면을 구비하고,상기 액세서리측 기기 착탈식 부착부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일부는, 부착/분리 표면에 수직하게 연장되고 부착/분리 표면 상에서 개방되는 암나사부를 구비하며,상기 하우징의 내부는 상기 암나사부와 연통하는 공간을 구비하고,상기 회전 조작 링은 중심부가 상기 공간에 배치된 상태에서, 암나사부의 축방향을 따라서는 움직일 수 없고 암나사부의 축방향 중심 주위로는 회전가능하도록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며,상기 수나사 부재는 공간에서 암나사부의 축방향 중심에 배치되고, 회전 조작 링의 중심부에서 수나사 부재는 암나사부의 축방향을 따라서 이동가능하며, 암나사부의 축방향 중심 주위로 회전 조작 링과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회전 조작 링에 결합되는 종방향 부분을 구비하고,상기 수나사 부재는 회전 조작 링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후퇴 위치에 위치하 거나 회전 조작 링의 상기 일방향과 반대되는 다른 방향 회전에 의해 연장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후퇴 위치는 수나사 부재의 수나사부가 암나사부로부터 후퇴되는 위치이고, 상기 연장 위치는 수나사 부재의 수나사부가 암나사부와 결합되고 수나사부의 선단부가 부착/분리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위치인 액세서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6-00244853 | 2006-09-08 | ||
JP2006244853 | 2006-09-08 | ||
JPJP-P-2006-00331977 | 2006-12-08 | ||
JP2006331977A JP4210957B2 (ja) | 2006-09-08 | 2006-12-08 | アクセサリーおよびアクセサリー用取り付け具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23175A true KR20080023175A (ko) | 2008-03-12 |
Family
ID=38796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90790A Withdrawn KR20080023175A (ko) | 2006-09-08 | 2007-09-07 | 액세서리 및 액세서리 부착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7753599B2 (ko) |
EP (1) | EP1898142A2 (ko) |
JP (1) | JP4210957B2 (ko) |
KR (1) | KR20080023175A (ko) |
CN (1) | CN101140404B (ko) |
TW (1) | TW200827913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9018391A1 (en) | 2007-07-30 | 2009-02-05 | Ziba Design, Inc. | Components of a portable digital video camera |
JP5106060B2 (ja) * | 2007-11-16 | 2012-12-26 | キヤノン株式会社 | 撮像装置 |
US8959822B2 (en) * | 2008-07-01 | 2015-02-24 | Shirley Kleppe | Methods and apparatus to support and stabilize equipment |
US20100003026A1 (en) * | 2008-07-01 | 2010-01-07 | Shirley Kleppe | Methods and apparatus to support and stabilize an object |
US20110240812A1 (en) * | 2010-04-02 | 2011-10-06 | Transunion Capital Corporation | Utility bracket |
CN103210639B (zh) | 2010-09-13 | 2019-05-07 | 康道尔知识产权控股有限责任公司 | 配置用于远程图像采集控制和观看的便携式数字视频摄像机 |
US8827574B2 (en) | 2010-11-03 | 2014-09-09 | Joseph M. Johnson | Camera mounting assembly |
US9097962B2 (en) | 2012-10-04 | 2015-08-04 | Joseph M. JOHNSON, SR. | Extendible L-plate for camera equipment |
CN103984193B (zh) * | 2014-03-14 | 2020-10-16 | 广州虹天航空科技有限公司 | 拍摄设备稳定器及其控制方法 |
US9372383B2 (en) | 2014-03-14 | 2016-06-21 | Really Right Stuff, Llc | L-plate bracket for camera equipment |
WO2016209191A1 (en) * | 2015-06-25 | 2016-12-29 | Kadir Koymen Film Yapimi Sinema Ekipmanlari Uretimi Ithalat Ve Ihracat Anonim Sirketi | Connection equipment |
JP7128400B2 (ja) * | 2017-11-28 | 2022-08-31 | Ckd株式会社 | 電動把持装置 |
JP1629121S (ko) * | 2018-08-24 | 2019-04-15 | ||
US11131424B2 (en) * | 2019-08-19 | 2021-09-28 | Polar Pro Filters, Inc. | Auxiliary mount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782671A (en) * | 1972-06-16 | 1974-01-01 | G Igwe | Camera mount |
DE3527368A1 (de) * | 1985-07-31 | 1987-02-05 | Novoflex Fotogeraetebau Karl M | Griff zum anbau an photo-optische geraete |
US5322251A (en) * | 1992-07-28 | 1994-06-21 | Merlin Eng, Inc. | Two-shoe adapter kit for mounting microphones and lights on television cameras and video recorders |
JP3500845B2 (ja) | 1996-03-08 | 2004-02-23 | ソニー株式会社 | 撮像機器用補助部品 |
JP3238671B2 (ja) * | 1998-06-22 | 2001-12-17 | 旭光学工業株式会社 | 電気機器の接続構造 |
JP2003007103A (ja) | 2001-06-21 | 2003-01-10 | Nihon Video System Co Ltd | 発光ユニット及び照明装置 |
JP4339268B2 (ja) | 2005-01-31 | 2009-10-07 | 株式会社アイ・ディー・エクス | カメラライト |
-
2006
- 2006-12-08 JP JP2006331977A patent/JP4210957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
- 2007-08-27 TW TW096131681A patent/TW200827913A/zh unknown
- 2007-08-29 EP EP07253407A patent/EP1898142A2/en not_active Withdrawn
- 2007-09-06 US US11/899,534 patent/US7753599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09-07 KR KR1020070090790A patent/KR20080023175A/ko not_active Withdrawn
- 2007-09-07 CN CN2007101453282A patent/CN101140404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0827913A (en) | 2008-07-01 |
JP4210957B2 (ja) | 2009-01-21 |
US20080063391A1 (en) | 2008-03-13 |
US7753599B2 (en) | 2010-07-13 |
CN101140404B (zh) | 2010-10-13 |
JP2008090255A (ja) | 2008-04-17 |
CN101140404A (zh) | 2008-03-12 |
EP1898142A2 (en) | 2008-03-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80023175A (ko) | 액세서리 및 액세서리 부착 장치 | |
US10845679B2 (en) | Quick connection handle for photographic equipment and photographic equipment assembly | |
JP2006343510A (ja) | レンズアダプタ | |
JP4863319B2 (ja) | 光コネクタ | |
US10042321B2 (en) | Drum cartridge | |
WO2023173309A1 (zh) | 线缆连接结构及线缆防水连接器 | |
JP5461892B2 (ja) | 顕微鏡 | |
CN215891901U (zh) | 卡接结构、挂脖装置及拍摄装置 | |
JP4062362B2 (ja) | 凹側取付機構と凸側取付機構 | |
DK169494B1 (da) | Forbindelsessokkel til en antenne | |
KR101496154B1 (ko) | 치과용 체결 및 분리기구 | |
JP3832489B2 (ja) | バッテリーパック、カメラ付属品 | |
JP3544204B1 (ja) | 光コネクタの雌プラグ | |
JP2004361591A (ja) | 光コネクタ、コネクタホルダ | |
US7630629B2 (en) | Accessory unit and camera system | |
CN111317575A (zh) | 安装组件及监护仪组件 | |
CN210408348U (zh) | 内窥镜光学适配器 | |
EP4017020A1 (en) | Accessory connection assembly for removable attachment to surface | |
CN217784637U (zh) | 快拆组件 | |
CN212251774U (zh) | 连接装置、连接组件及成像设备 | |
JP2008216533A (ja) | 吊下げ装置 | |
JP2006314131A (ja) | ビデオカメラのバッテリーパックとアダプター | |
US20210103107A1 (en) | Optical connector system, lock member, optical cable, and electronic device | |
JP2005321503A (ja) | 光コネクタ | |
JP3130861B2 (ja) | 天井直付け照明器具の取付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0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