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22717A - 백라이트 유닛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2717A
KR20080022717A KR1020060086239A KR20060086239A KR20080022717A KR 20080022717 A KR20080022717 A KR 20080022717A KR 1020060086239 A KR1020060086239 A KR 1020060086239A KR 20060086239 A KR20060086239 A KR 20060086239A KR 20080022717 A KR20080022717 A KR 20080022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plate
light guide
backlight unit
light sour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6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일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6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22717A/ko
Publication of KR20080022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271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1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16Grooves, prisms, gratings, scattering particles or rough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62-D arrangement of prisms, protrusions, indentations or roughened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과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의 장점을 결합시킨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지형에 이용되는 도광판에 직하형으로 광원을 배열하는 한편, 상기 도광판 중 상기 광원의 상단에만 광산란 패턴을 형성시킴으로써 광원의 수와 도광판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ㅍ광을 균일하게 산란시키기 위한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배면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복수개의 홈과; 상기 복수개의 홈 내부에 각각 배치되는 광원들; 및 상기 도광판의 상단에 놓여지는 광학시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광판의 표면 중 상기 광원의 바로 상단에 위치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산되는 광이 직접적으로 도달되는 직광영역에는 광산란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도 1은 일반적인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일반적인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은 종래의 도광판을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4는 종래의 백라이트 유닛에서 광원으로부터 광이 발산되는 상태를 나타낸 일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의 일실시예 단면도로서, 도 5의 A-A'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에서 광원으로부터 광이 발산되는 상태를 나타낸 일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31, 231 : 도광판 132 : 보조판
133, 233 : 홈 134, 234 : 광원
135, 235 : 광산란 패턴 136, 236 : 반사판
238 : 패턴산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과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의 장점을 결합시킨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사회가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대량의 정보를 처리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해왔다.
이로 인해, 박형화, 경량화, 저 소비전력화 등 수요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device)가 개발되고 있으며, 기존의 브라운관(Cathode-Ray Tube : CRT)을 대체하는 차세대 디스플레이(display) 장치로 각광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크게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액정패널과, 화상의 휘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의 배열방식에 따라 에지형과 직하형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 중, 대형화 및 대화면화에 적합하도록 고휘도 구현이 가능한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램프, 광원 및 백라이트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일반적인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은 크게 발광부, 도파부 및 광학시트부로 구성되어 있다.
발광부는 램프(8)와 상기 램프를 보호하기 위한 램프 하우징(7)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파부는 램프(8)에서 나온 빛을 균일한 면광원으로 만드는 도광판(light guide panel)(2) 및 상기 도광판의 배면에 위치하여 램프에서 나오는 빛을 반사시켜 액정패널 쪽(전면)으로 집중시켜주고 도광판의 후면 또는 측면으로부터 빛의 손실을 막아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반사판(1)으로 구성되어 있다.
광학시트부는 상기 도광판 상부에 위치하여 도광판으로부터 나오는 빛을 확산시켜 빛의 휘도를 향상시키는 확산시트(diffuser sheet)(3), 상기 확산시트 상부에 위치하여 도광판으로부터 나오는 빛을 집광시켜 시야각을 향상시키는 프리즘시트(prism sheet)(4,5) 및 백라이트 유닛의 최상부 층에 위치하여 상기 확산시트와 프리즘시트의 손상을 방지하는 한편 원하는 시야각을 확보하기 위한 보호시트(protector sheet)(6)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즘시트 2매(4,5)가 반드시 포함되어야만 원하는 시야각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프리즘 시트의 수가 많아짐에 따라 도광판에서 출사되어지는 광의 되먹임 등으로 인해 그만큼 광손실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비용 절감적인 차원에서 불리하다는 문제점이 있어서 최근에는 에지형 방식에 비하여 휘도, 광균일도, 색순도가 높은 직하형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이 LCD TV를 중심으로 더 많이 이용되고 있다. 즉, 액정표시장치 의 대형화와 슬림화(Slim)를 요구하는 시장 트랜드(Trend)로 인하여 광원(백라이트)의 고휘도가 요구됨에 따라 현재 대형 인치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다수의 램프를 사용한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이 적용되고 있다.
도 2는 일반적인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판 상의 커버 보텀(Cover Bottom)(10), 커버 보텀 상에 안착되며 백색 또는 은색을 띠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판 상의 반사판(reflector)(20), 반사판 상에 다수가 평행하게 배열되는 냉음극 형광램프(30) 및 다수의 냉음극 형광램프 상에 안착되는 광학시트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광학시트부(90)는 상기 냉음극 형광램프(이하, 간단히 '램프'라 함)의 수직 상단에 안착되는 확산판(40), 상기 확산판 상단에 안착되는 확산 시트(50), 상기 확산 시트 상단에 안착되는 프리즘 시트(60) 및 상기 프리즘 시트 상단에 안착되는 다층구조의 반사형 편광필름(MOF)(7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일반적인 직하영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표시장치의 대형하와 슬림화(Slim) 및 고휘도를 요구하는 시장 트랜드(Trend)로 인하여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다수의 램프가 사용되기 때문에 전력소모가 많고, 램프(30)와 확산판(40)의 이격거리가 확보되어야 하므로 슬림화가 어려우며, 열과 지지력 등의 이유로 확산판의 처짐현상이 발생되어 백라이트 유닛의 에지부분에서 휘도가 불량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 중,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에서 다수의 램프 가 사용되어야 하고, 램프와 확산판의 이격거리가 확보되어야 하는 문제점은 아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은 1개 또는 2개의 램프를 사용하지만 광효율이 직하형보다 나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직하형 백라이트는 많은 수의 램프를 적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휘도 균일도 및 램프가 육안으로 보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확산판과 램프와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때문에 백라이트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상기 확산판이 열 및 자체 지지력에 의해 처지게 되므로 광을 확산시키는 기능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도광판을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이 제안되었다.
도 3은 종래의 도광판을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즉, 종래의 도광판을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광판(131)의 상부에 구성되는 보조판(132)과, 상기 도광판(131)의 배면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복수개의 홈(133)과, 상기 홈(133) 내부에 구성되는 광원(13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도광판을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도광판(131)과 보조판(132) 사이의 보조판(132) 표면에 복수개의 광산란 패턴(135)이 형성되어 상기 광원(134)에서 출사되는 광을 산란 또는 확산시키고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도광판을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광원(134)을 포함한 도광판(131)의 배면에 반사판(136)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광원(134)에서 출사된 광이 상기 도광판(131) 내부로 입사되도록 한다.
즉, 상기 광원(134)에서 출사한 광은 상기 도광판(131)에 입사되고, 상기 도광판(131)내에서 산란한 후 광산란 패턴(135)이 형성된 보조판(132)을 통해 액정패널의 전체를 조명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도광판을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은 도광판(131) 외에 별도로 보조판(132)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제조단가가 상승되고, 제조공정이 복잡해 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도광판을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은 보조판(132)에 형성된 광산란 패턴(135)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판(132)의 전체에 걸쳐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광원(134) 상단에 밀집되는 광들을 그 외의 부분들로 확산 및 산란시키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로 인해 백라이트 유닛 전체적으로 휘도가 불량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하여는 아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4는 종래의 백라이트 유닛에서 광원으로부터 광이 발산되는 상태를 나타낸 일예시도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도광판을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및 일반적인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부터 광이 발산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나,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산란 패턴(135)이 보조판(132)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백라이트 유닛에서 빛이 발산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광원(134)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소정의 각도(α)를 이루며 발산되어 보조판(132) 또는 확산판(40)에 도달하게 되며, 이후 상기 보조판(132) 또는 확산판(40)에 의하여 산란 또는 확산된다.
그러나, 비용절감 등을 위하여 램프의 수를 줄이거나, 또는 휘도 향상을 위 해 백라이트 유닛의 두께를 줄이는 경우에는 두 개의 광원(134)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중첩되지 못한 상태에서 보조판(132) 또는 확산판(40)에 도달하게 되므로, 보조판(132) 또는 확산판(40)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광산란 패턴 또는 확산판(20)에 의해 광이 산란 또는 확산된다고 하더라도, 광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산란 또는 확산되기 때문에, 결국 광원(134)의 상단부분(직광영역(A))이 광원과 광원 사이의 부분(간접영역(B))보다는 높은 휘도를 갖게 되어 백라이트 유닛 전체적으로 볼 때 휘도가 불균일 하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종래의 일반적인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도광판을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은 다수의 램프(광원)를 사용해야 하는 한편, 램프(광원)와 보조판(또는 확산판) 간에 충분한 이격거리가 유지되어야 하므로 슬림화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지형에 이용되는 도광판에 직하형으로 광원을 배열하는 한편, 상기 도광판 중 상기 광원의 상단에만 광산란 패턴을 형성시킴으로써 광원의 수와 도광판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ㅍ광을 균일하게 산란시키기 위한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배면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복수개의 홈과; 상기 복수개의 홈 내부에 각각 배치되는 광원들; 및 상기 도광판의 상단에 놓여지는 광학시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광판의 표면 중 상기 광원의 바로 상단에 위치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산되는 광이 직접적으로 도달되는 직광영역에는 광산란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원을 포함한 도광판의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광원에서 출사된 광원이 상기 도광판 내부로 입사되도록 하기 위한 반사판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광판의 하부면에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상부면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광판의 하부면에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상부면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패턴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한 실시예의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의 일실시예 단면도로서, 도 5의 C-C'에 의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에서 사용되고 있는 도광판에 다수의 광원을 배열(array)하여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 구조의 광학적 특 성과 이용함으로써, 보다 적은 수의 광원으로 대형 액정표시장치의 스펙(spec)을 구현할 수 있고, 슬림(Slim)화가 가능하며, 에지부분의 휘도 불균일 문제를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직접적으로 도달되는 도광판 영역(이하, 간단히 '직광영역'이라 함)에 광산란 패턴을 선택적으로 프린팅하여 형성함으로써, 램프의 직광에 의한 휘도 불균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을 균일하게 산란시키기 위한 도광판(light guide panel)(231), 상기 도광판의 배면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복수개의 홈(233), 상기 홈 내부에 각각 배치되는 광원(234) 및 상기 도광판의 상단에 놓여지는 광학시트부(29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도광판(231)의 표면 중 상기 광원(234)의 바로 상단에 위치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산되는 광이 직접적으로 도달되는 직광영역에는 광산란 패턴(235)이 형성되어 상기 광원(234)에서 출사되는 직광을 산란시키게 된다.
상기 광학시트부(290)는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및 편광필름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231) 및 광산란 패턴(235)을 통해 산란 및 확산된 광을 균일한 분포를 갖는 면광원으로 변경하여 수직상단으로 발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광학시트부(290)의 상단에는 별도의 공정을 통해 제조되는 액정패널(미도시)이 안착되며, 상기 광학시트부(290)를 통과한 면광원은 상기 액정패널로 입사된다.
상기 도광판(231)은 상기 광원(234)에서 출사된 빛을 산란시켜 상부로 발산 되도록 하는 웨이브 가이드(wave-guide)로서,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에 이용되는 도광판과 동일한 재질이 이용될 수 있으며, 그 일예로서 광투과력이 우수한 PMMA(Poly Methyl Meth Acrylate)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도광판에는 복수개의 홈(233)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홈으로 광원(램프)(234)이 배열된다.
상기 광산란 패턴(235)은 상기 직광영역으로 출사되는 광이 상기 직광영역 이외의 도광판(231) 표면(이하, 간단히 '간접영역'이라 함)보다, 보다 더 산란 또는 확산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린팅(printing) 또는 샌딩(sanding) 방법 등에 의하여 상기 도광판(231) 표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형상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원(234)은 냉음극 형광램프(CCFL) 또는 외부전극 형광램프(EEFL)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광원(234)에서 출사한 광이 상기 도광판(231)에 입사되면, 상기 도광판(231) 내에서 산란된 광이 상기 광학 시트부(290)를 통과한 후 상기 액정패널의 전체를 조명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도광판(231) 중 상기 광원(234)의 바로 상단에 위치된 직광영역에는 광산란 패턴(235)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기 광원(234)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도달된 직광을 보다 많이 산란 및 확산 시켜줌으로써, 적은 숫자의 광원(234)이 사용되어 광원과 광원 사이의 간격이 높거나 도광판(231)이 슬림(Slim)하게 형성된 경우에도 도광판(231) 표면의 휘도가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 도록 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은 이하에서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광원(234)을 포함한 도광판(231)의 배면에 반사판(236)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반사판(236)은 상기 광원(234)에서 출사된 광원이 상기 도광판(231) 내부로 입사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도광판(231)의 하부면에 반사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광원(234)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상기 도광판(231)의 하부면에서 잘 반사되도록 하여 보다 많은 광이 상기 액정패널을 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도광판(231)의 하부면에 반사 패턴을 형성하는 대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231) 하부면에 패턴산(238)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반사 패턴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에서 광원으로부터 광이 발산되는 상태를 나타낸 일예시도로서, 상기 광산란 패턴(235)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광원(234)의 수를 줄이는 한편, 슬림화가 가능한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원(234)의 수를 줄이고 도광판(231)의 높이를 슬림하게 한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234)들로부터 출사된 광은 서로 겹치는 부분없이 도광판(231) 표면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백라이트 유닛에서와 같이 도광판 상단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광산란 패턴(135)을 사용한다면, 도광판 상단에서 의 산란 역시 동일한 분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직광영역(A)에 해당되는 부분의 광밀도가 간접영역(B)에 해당되는 부분의 광밀도보다 작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광판(231) 중 상기 직광영역(A)에 해당되는 부분에만 광산란 패턴(235)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상기 직광영역(A)에 도달된 광이 보다 많이 산란 또는 확산되어 상기 간접영역(B)에 도달될 수 있으므로, 도광판(231) 표면 전체적으로 볼 때 보다 균일한 휘도가 얻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대형인치에 적용되는 경우에도 일반적인 직하형 백라이트 등에 비하여 보다 적은 램프(광원)를 사용할 수 있음으로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단가 및 램프 사용에 의한 전력소모를 절감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광산란 패턴에 의하여 도광판의 높이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슬림화가 가능하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5)

  1. 광을 균일하게 산란시키기 위한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배면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복수개의 홈과;
    상기 복수개의 홈 내부에 각각 배치되는 광원들; 및
    상기 도광판의 상단에 놓여지는 광학시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광판의 표면 중 상기 광원의 바로 상단에 위치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산되는 광이 직접적으로 도달되는 직광영역에는 광산란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을 포함한 도광판의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광원에서 출사된 광원이 상기 도광판 내부로 입사되도록 하기 위한 반사판을 더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하부면에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상부면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하부면에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상부면으로 반사 시키기 위한 패턴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산란 패턴은,
    프린팅 방법 또는 샌딩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20060086239A 2006-09-07 2006-09-07 백라이트 유닛 Ceased KR200800227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6239A KR20080022717A (ko) 2006-09-07 2006-09-07 백라이트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6239A KR20080022717A (ko) 2006-09-07 2006-09-07 백라이트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2717A true KR20080022717A (ko) 2008-03-12

Family

ID=39396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6239A Ceased KR20080022717A (ko) 2006-09-07 2006-09-07 백라이트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2271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35800A1 (de) 2007-08-03 2009-05-14 Lg Electronics Inc. Bekleidungsbehandlungsgerät
CN104335087A (zh) * 2011-12-30 2015-02-04 可隆工业株式会社 导光板及其制造方法
WO2021095913A1 (ko) * 2019-11-13 2021-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35800A1 (de) 2007-08-03 2009-05-14 Lg Electronics Inc. Bekleidungsbehandlungsgerät
CN104335087A (zh) * 2011-12-30 2015-02-04 可隆工业株式会社 导光板及其制造方法
WO2021095913A1 (ko) * 2019-11-13 2021-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2044923B2 (en) 2019-11-13 2024-07-23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5092B2 (en) Multifunctional optical shee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60022220A (ko) 도광판,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CN101661188A (zh) 液晶显示器
US20100165243A1 (en) Prism sheet, back 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003582B1 (ko) 액정표시소자의 백라이트구조
WO2016194716A1 (ja) 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KR100790497B1 (ko) 직하형 백라이트 장치
JP2000030515A (ja) 面状照明装置
KR100793091B1 (ko) 휘도 향상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장치
WO2007018361A1 (en) Lcd light guiding plate and back light unit and lcd using a thereof
KR100730306B1 (ko) 직하형 백라이트 장치
KR20130051168A (ko) 액정패널조립체 및 그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KR20030080764A (ko) 직하형 백라이트 장치
KR102030412B1 (ko) 라운드 다각패턴을 가진 도광판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소자
KR20080022717A (ko) 백라이트 유닛
WO2008156236A1 (en) Light guide panel having light mix-member for lcd back light unit and lcd back light unit thereby
CN104133318B (zh) 聚光片、背光单元和使用它们的液晶显示装置
US8147112B2 (en)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KR102002458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877411B1 (ko) 휘도 향상 시트,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장치, 액정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978257B1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KR101705356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060127609A (ko) 백라이트 장치에 사용되는 프리즘시트
KR102000038B1 (ko) 도광판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소자
KR20070029392A (ko) 오목부와 볼록부를 구비한 프리즘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백라이트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0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8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9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1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03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11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