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6060A - Rear collision impact relief device of vehicle seat - Google Patents
Rear collision impact relief device of vehicle sea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16060A KR20080016060A KR1020060077654A KR20060077654A KR20080016060A KR 20080016060 A KR20080016060 A KR 20080016060A KR 1020060077654 A KR1020060077654 A KR 1020060077654A KR 20060077654 A KR20060077654 A KR 20060077654A KR 20080016060 A KR20080016060 A KR 2008001606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t
- headrest
- link
- rear collision
- mitigation syste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0000000116 mitig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08000028373 Neck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6 impac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 B60N2/4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longitudinal
- B60N2/422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longitudinal due to impact coming from the rea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48—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이 후방에서 추돌될 경우 충격을 흡수하고, 탑승자의 신체 특히,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좌석시트, 시트백 및 헤드레스트를 포함하는 차량시트의 후방추돌 충격완화 시스템으로서, 상기 헤드레스트에 연결되는 프레임 폴바 및 지지판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장치; 상기 헤드레스트장치에 연결되고, 헤드레스트의 이동에 연동되어 시트백를 소정각으로 회동시키는 제1링크장치; 및 상기 제1링크장치에 연결되고, 제1링크장치의 이동에 연동되어 좌석시트를 후방으로 하강시키는 제2링크장치를 포함하고, 후방추돌에 의해 지지판이 가압이동될 경우 헤드레스트는 전방으로 상향이동되는 차량시트의 후방추돌 충격완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absorb the shock when the vehicle is collided from the rear, to protect the occupant's body, in particular the head, the rear collision impact mitigation system of the vehicle seat including a seat seat, a seat back and a headrest, the headrest Headrest device comprising a frame pole bar and a support plate connected to; A first link device connected to the headrest device and linked to the movement of the headrest to rotate the seatback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 second link device connected to the first link device and linked with the movement of the first link device to lower the seat seat rearward, wherein the headrest is moved upward when the support plate is pressed by the rear collis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r collision shock alleviation system of a moving vehicle seat.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후방추돌시 좌석시트, 시트백 및 헤드레스트를 링크구조의 연동으로 충격을 완화 및 흡수시키고, 헤드레스트의 전방상승으로 백셋(backset)을 보완함으로써, 목부상에 따른 치명적인 상해를 방지할 수 있고, 좌석시트의 후방하강으로 무게중심이 아래로 이동되고, 댐퍼에 의해 안전성이 월등히 향상되는 차량시트의 후방추돌 충격완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rear collision of the vehicle, the seat seat, the seat back and the headrest are alleviated and absorbed by the linkage linkage, and the backset is compensated by the forward rise of the headrest, thereby causing a fatal injury. It can be prevented, the center of gravity is moved down to the rear drop of the seat sea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rear collision impact mitigation system of the vehicle seat is significantly improved by the damper.
Description
도1은 차량의 후방추돌시 탑승자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 1 is a state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te of the occupant during the rear collision of the vehicle.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시트의 후방추돌 충격완화 시스템의 개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 Figure 2 is a state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cept of the rear collision impact mitigation system of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시트의 후방추돌 충격완화 시스템의 후방추돌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Figure 3a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before the rear collision of the rear collision impact mitigation system of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시트의 후방추돌 충격완화 시스템의 후방추돌 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Figure 3b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te after the rear collision of the rear collision impact mitigation system of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a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시트의 후방추돌 충격완화 시스템 개략적인 사시도.Figure 4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collision impact mitigation system of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b는 도4a에서 일측 좌석시트 및 리클라이너가 제거된 차량시트의 후방추돌 충격완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FIG. 4B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collision impact relief system of the vehicle seat with one side seat and recliner removed in FIG. 4A; FIG.
도5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시트의 후방추돌 충격완화 시스템에서 헤드레스트의 작동에 연동되는 시트백의 회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 5 is a use state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rotation of the seat back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headrest in the rear collision impact mitigation system of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시트의 후방추돌 충격완화 시스템에서 헤드레스트 의 작동에 연동되는 시트백의 회동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6의 (a)는 차량의 후방추돌 전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6의 (b)는 차량의 후방추돌 후 상태의 측면도.6 is a view showing the rotation of the seat back linked to the operation of the headrest in the rear collision impact mitigation system of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a) is a side view of the state before the rear collision of the vehicle, (b) is a side view of the state after the rear collision of the vehicle.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시트의 후방추돌 충격완화 시스템에서 레버에 의한 리클라이너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도7의 (a)는 레버에 의한 리클라이너 작동전 상태도이고, 도7의 (b)는 레버에 의한 리클라이너 작동후 상태도. Figure 7 schematically shows the recliner operating state by the lever in the rear collision impact mitigation system of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a) is a state diagram before the recliner operation by the lever, b) is the state after recliner operation by lever.
도8a는 발명에 따른 차량시트의 후방추돌 충격완화 시스템에서 하단링크 고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Figure 8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ower link fixing device in the rear collision impact mitigation system of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8b는 도8a에서 A로 나타낸 하단링크 고정장치에서 차량의 후방추돌 전 상태의 개략적인 단면도.FIG. 8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te before the rear collision of the vehicle in the lower link fixing device indicated by A in FIG. 8A;
도8c는 도8a에서 A로 나타낸 하단링크 고정장치에서 차량의 후방추돌 후 상태의 개략적인 단면도.FIG. 8C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of the state after the rear collision of the vehicle in the lower link fixing device indicated by A in FIG. 8A;
도8d는 도8a에서 A로 나타낸 하단링크 고정장치에서 차량의 후방추돌에 따른 슬라이드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Figure 8d is a structur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slide movement according to the rear collision of the vehicle in the lower link fixing device shown by A in Figure 8a.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차량시트 110 : 헤드레스트장치100: vehicle seat 110: headrest device
111 : 지지판 112: 슬릿111: support plate 112: slit
113 : 가이드판 114 : 프레임 폴바 113: guide plate 114: frame pole bar
120 : 제1링크장치 121: 제1와이어링크 120: first link device 121: first wire link
122 : 회동부재 130 : 제2링크장치122: rotating member 130: second link device
131 : 제2와이어링크 132 : 연결부재131: second wire link 132: connecting member
133 : 고정부재 134 : 탄성부재133: fixing member 134: elastic member
135 : 댐퍼 140 : 헤드레스트135: damper 140: headrest
150 : 시트백 160 : 좌석시트 150: seat back 160: seat
본 발명은 차량시트의 후방추돌 충격완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차량의 좌석시트, 시트백 및 헤드레스트에 서로 연결 및 연동되는 링크구조에 의해 차량의 후방추돌시, 시트백의 와이어링크이동에 의해 헤드레스트 및 좌석시트의 하단링크 고정장치가 각각 연동되고, 상기 헤드레스트는 전방상승되어 목 부상을 방지할 수 있고, 좌석시트는 하부로 장착된 댐핑기구에 의해 충격완화되며 후방하강되는 차량시트의 후방추돌 충격완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r collision impact mitigation system of a vehicle seat.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ar collision of the vehicle by the link structure connected and interlocked with the seat seat, seat back and headrest of the vehicle, the lower link fixing device of the headrest and the seat seat by the wire link movement of the seat back, respectively Interlocked, the headrest is raised to prevent the neck injury, the seat seat is shock-absorbed by the damping mechanism mounted to the lower side and the rear collision impact alleviating system of the vehicle seat is lowered.
일반적으로 차량이 후방에서 추돌될 경우, 차량탑승자는 등, 척추 및 목에 심한 부상을 입게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중상태에서 차량이 후방에서 추돌될 경우,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탑승자의 등은 시트백에 충격을 가하면서 목이 후방으로 젖혀진다. 이 경우, 이미 탑승자는 허리, 등, 목에 심한 상해가 입게 되고, 다음으로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자가 반사적으로 브리이크 조작을 위해 몸을 앞으로 숙일 경우, 또는 차량의 2차충돌에 의해 탑승자의 몸이 전방으로 진자운동될 경우, 목꺽임에 의해 즉사될 정도의 치명적인 상해를 입게된다.In general, if the vehicle is collided from the rear, the occupant is severely injured in the back, spine and neck.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 when the vehicle collides from the rear while driving as shown in (A), the back of the occupant is bent backwards while impacting the seat back as shown in (B). . In this case, the occupant is already severely injured at the waist, back, and neck, and then, as shown in (C), the driver reflexively leans forward for the brake operation or by a secondary collision of the vehicle. If the occupant's body is pendulumed forward, he will be fatally injured by crutches.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량의 후방추돌시 시트백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강도를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 리클라이너 구조를 개선하고자 하는 리클라이너장치 및 운전자의 목과 헤드레스트의 간격인 백셋(backset)을 보완하는 장치가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백셋 보완장치는 리클라이너의 조작으로 backset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트백에 가해지는 충격에너지를 힌지운동을 통해 운동에너지로 변환하지만, 이와 같은 운동에너지 만으로는 충격에너지가 흡수되지 않고, 헤드레스트의 효율적인 목, 머리보호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recliner device for improving the recliner structure which serves to adjust the angle of the seatback or to give strength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rear, and a backset which is a distance between the driver's neck and the headrest Complementary devices have been developed. However, the backset compens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to supplement the backset by the operation of the recliner, and converts the impact energy applied to the seatback into kinetic energy through the hinge movement, but the kinetic energy alone does not absorb the impact energy, Efficient neck and head protection of the headrest is not made.
또한, 대부분 추돌에 의한 충돌을 시트백에 의존하여 충격흡수가 미비하고, 복잡한 구조에 의해 생산비용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헤드레스트에 의한 정확하고 효과적인 머리보호를 구현할 수 없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차량 후방추돌시 연쇄추돌 또는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에 의해 탑승자의 목부분의 진자운동으로 목숨을 잃은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대부분의 현재 개발된 목부상방지 시스템은 2차추돌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In addition, most of the collision due to collision due to the seat back shock absorption is insufficient, the complex structure has increased the production cost, and has a problem that can not implement accurate and effective head protection by the headrest. In the case of a vehicle rear collision, a case of frequently losing a life due to a pendulum movement of a neck part of a passenger by a chain collision or a driver's brake operation is frequently occurring. Most currently developed neck injury prevention systems have a problem of failing to secure safety against secondary collision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후방추돌시 좌석시트, 시트백 및 헤드레스트를 링크구조에 의한 연동으로 충격을 완화 및 흡수시키고, 헤드레스트의 전방상승으로 백셋을 보완함으로써, 목부상에 따른 치명적인 상해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시트의 후방추돌 충격완화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lieve and absorb shocks by linking the seat seat, the seat back and the headrest in the rear collision of the vehicle, and the head Complementing the backset with the front rise of the rest, to provide a rear collision impact mitigation system of the vehicle seat that can prevent fatal injuries due to neck injur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좌석시트의 하부로 댐퍼를 장착함으로써, 차량의 후방추돌시 좌석시트가 후방하강될 경우, 충격이 흡수되고, 무게중심이 아래로 이동되어 안전성이 월등히 향상되는 차량시트의 후방추돌 충격완화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damper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seat,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seat is lowered when the rear crash of the vehicle, the shock is absorbed, the center of gravity is moved down to improve the safety significantly It is to provide a collision shock mitigation syste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링크구조에 의해 차량시트의 리클라이너 및 헤드레스트의 연동이 구현됨에 따라, 생산공정감소 및 생산비 절감에 따른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차량시트의 후방추돌 충격완화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lement a rear link impact mitigation system of the vehicle seat that can be expected to improve the productivity according to the reduction of the production process and production cost as the link between the recliner and the headrest of the vehicle seat is implemented by a simple link structure It is to provi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좌석시트, 시트백 및 헤드레스트를 포함하는 차량시트의 후방추돌 충격완화 시스템으로서, 상기 헤드레스트에 연결되는 프레임 폴바 및 지지판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장치; 상기 헤드레스트장치에 연결되고, 헤드레스트의 이동에 연동되어 시트백를 소정각으로 회동시키는 제1링크장치; 및 상기 제1링크장치에 연결되고, 제1링크장치의 이동에 연동되어 좌석시트를 후방으로 하강시키는 제2링크장치를 포함하고, 후방추돌에 의해 지지판이 가압이동될 경우 헤드레스트는 전방으로 이동되는 차량시트의 후방추돌 충격완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ar collision impact alleviation system of a vehicle seat including a seat seat, a seat back and a headrest, the headrest device including a frame pole bar and a support plate connected to the headrest; A first link device connected to the headrest device and linked to the movement of the headrest to rotate the seatback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 second link device connected to the first link device and linked with the movement of the first link device to lower the seat seat backward, wherein the headrest moves forward when the support plate is pressurized by the rear collision. It relates to a rear collision impact mitigation system of the vehicle sea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시트의 후방추돌 충격완화 시스템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대한 구성, 기능 및 효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function and effects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rear collision impact mitigation system of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시트의 후방추돌 충격완화 시스템의 개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시트의 후방추돌 충격완화 시스템은 차량의 후방에서 추돌될 경우,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백이 후방으로 회동되고, 이에 각각 연동되어 좌석시트는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으로 하강되고, 헤드레스트는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으로 상승된다. Figure 2 is a use state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cept of the rear collision impact mitigation system of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rear impact impact mitigation system of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llided from the rear of the vehicle, the seat back is rotated to the rear as shown in B, the seat seats are linked to each of the It is lowered backwards as well, and the headrest is raised forward as shown in A. FIG.
본 발명에 따른 차량시트의 후방추돌 충격완화 시스템에서 추돌시 연동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3a는 차량의 후방추돌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3b는 차량의 후방추돌 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시트(100)는 헤드레스트(140), 시트백(150) 및 좌석시트(160)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헤드레스트(140), 시트백(150) 및 좌석시트(160)의 연결, 연동 및 충력흡수를 위한 헤드레스트장치(110), 제1링크장치(120) 및 제2링크장치(130)를 포함한다. Looking at the process of interlocking when colliding in the rear collision impact mitigation system of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Figure 3a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before the rear collision of the vehicle, Figure 3b is a state after the rear collision of the vehicle A schematic side view. As shown in the figure, the
헤드레스트의 이동 및 고정을 위해 상기 헤드레스트(140)의 하부에 헤드레스트장치(110)가 장착되고, 헤드레스트의 이동에 연동되어 시트백(150)을 회동시키기 위해 상기 헤드레스트장치(110)의 하부에 제1링크장치(120)가 연결되고, 제1링크장 치의 이동에 연동되어 좌석시트(160)를 후방으로 하강시키기 위한 상기 제1링크장치(120)에 제2링크장치(130)가 연결된다. The
이와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도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이 후방에서 추돌될 경우, 탑승자는 관성에 의해 시트백(150)에 충격을 가하고 상기 제1링크장치(120)는 후방으로 가압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1링크장치(120)에 연동되어 헤드레스트(140)는 회동되어 전방으로 상승(화살표방향)되고, 상기 제1링크장치(120)에 연동되는 제2링크장치(130)에 의해 좌석시트(160)는 후방으로 하강(화살표방향)된다. 또한, 상기 좌석시트(160)가 후방하강시 좌석시트의 하부로 장착된 댐퍼(135)에 의해 충격이 완화된다. As such, when the vehicle collides from the rear as shown in FIG. 3B, the occupant impacts th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시트의 후방추돌 충격완화 시스템의 세부구성 및 이들의 연동관계에 대하여 자세히 기술한다.Hereinafter,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rear collision impact mitigation system of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ir interlocking relationship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4a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시트의 후방추돌 충격완화 시스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4b는 도4a에서 일측 좌석시트 및 리클라이터가 제거된 차량시트의 후방추돌 충격완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Figure 4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collision impact mitigation system of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b is a schematic view of the rear collision impact mitigation system of the vehicle seat is removed one side seat and the recliner in Figure 4a Perspective view.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시트의 후방추돌 충격완화 시스템은 좌석시트, 시트백 및 헤드레스트를 포함하는 차량시트의 후방추돌 충격완화 시스템으로서, 헤드레스트장치(110), 제1링크장치(120) 및 제2링크장치(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rear collision impact mitigation system of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ar collision impact mitigation system of the vehicle seat including a seat seat, a seatback and a headrest, the
상기 헤드레스트장치(110)는 지지판(111), 가이드판(113) 및 프레임 폴바(114)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폴바(114)는 헤드레스트(14)의 하부로 연결되고, 상기 지지판(111)에 직접연결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111)은 측부로 돌출부(117)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판(113)에는 가이드를 위한 장공인 슬릿(112)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은 상기 돌출부(117)가 수용되고 가이드이동되기 위한 것이고, 돌출부(117)가 삽입되고, 차량의 후방추돌시 탑승자는 가압에 의해 지지판(111)이 가압이동될 경우, 백셋을 보완하기 위해 상기 헤드레스트가 차량에 대하여 전진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헤드레스트가 탑승자의 머리를 보호하기에 적합하도록 상향으로 전진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장치(110)는 헤드레드트가 이동될 경우,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116)가 더 구비하고, 상기 탄성부재(116)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115)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116) 및 지지부재(115)는 프레임 폴바(114)의 소정부에 장착된다. In addition, the
상기 제1링크장치(120)는 제1와이어링크(121) 및 회동부재(122)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와이어링크(121)의 일단은 지지판(111)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링크장치 및 회동부재(122)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122)는 시트백의 회전축(153)에 연결된다. The
또한, 제1링크장치는 레버에 의해 시트백를 소정각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리클라이너장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링크장치가 헤드레스트장치에 의해 연동될 경우, 시트백는 소정각으로 회동되고, 레버에 의한 리클라이너 작동시 시트백는 전구간으로 회동된다. 상기 레버에 의한 리클라이너장치는 본 발명의 기술부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link device further includes a recliner device for rotating the seatback at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lever. When the first lin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rlocked by the headrest device, the seatback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when the recliner is operated by the lever, the seatback is rotated to all the sections. The recliner device by the lever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상기 제1링크장치는 상기 지지판 및 시트백의 프레임에 연결되고, 시트백이 이동될 경우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first link device further includes an elastic member (not shown) connected to the support plate and the frame of the seat back and providing a restoring force when the seat back is moved.
상기 제2링크장치(130)는 제2와이어링크(131) 및 하단링크 고정장치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와이어링크(131)의 일단은 제1와이어링크(121)에 연결되고, 제1와이어링크(121)의 이동에 연동되어 하단링크 고정장치를 잠금 및 해제상태로 전환시킨다. 또한, 상기 제2와이어링크는 제1와이어링크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고, 간접적으로 연결될 경우, 상기 제1링크장치는 연결부재(123)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와이어링크(131)는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된다. The
그리고, 도8a 내지 도8d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하단링크 고정장치는 연결부재(132), 고정부재(133), 탄성부재(134) 및 가이드부재(161)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재(132)는 제2와이어링크(131)에 연결되고, 좌석시트에 소정부가 고정되어 양단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33)는 전,후진에 의해 좌석시트 또는 가이드부재에 형성된 고정홈(미도시)에 삽입 또는 이탈되어 좌석시트의 이동을 단속하도록 장착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33)는 이동시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134)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161)는 상기 좌석시트(160)가 소정각으로 후방으로 하향이동되는 방향으로 슬릿(16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단링크 고정장치는 별도의 가이드부재(161)를 구비되지 않고, 좌석시트에 슬릿(162)을 형성시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단링크 고정장치는 차량의 후방추돌에 의한 좌석시트의 후방하강시 충격을 완화시 키기 위한 댐퍼(135)를 더 구비한다. 상기 댐퍼(135)는 차량의 후방추돌에 의해 좌석부에 가해지는 1차충격을 흡수 및 완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유공압실린더 또는 쇼크업소버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8A to 8D, the lower link fixing device includes a connecting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와이어링크(121) 및 제2와이어링크(131)은 연결부재로서 와이어 또는 케이블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곡선으로 형성되어 상기 좌석시트, 시트백 및 헤드레스트의 이동 또는 회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링크장치(120)의 제1와이어링크가 시트백의 회동축을 회전시켜 시트백(150)을 회동시킬 경우, 상기 시트백이 소정각만큼 회동되기도록 시트백의 프레임측부에 가이드슬릿(152)이 형성되고, 리클라이너장치는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에 구속되어 회동된다. In addition, when the first wire link of the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차량시트의 리클라이너 시스템은 상기된 바와 같이 이루어지고, 이하 작동상태에 따른 기술구현에 대하여 자세히 기술한다.The recliner system of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a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implement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이 후방에서 추돌될 경우, 차량탑승자는 중력에 의해 시트백의 지지판(111)을 가압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지지판(111)은 측부로 형성된 돌출부(117)가 가이드판(113)의 슬릿(112)에 안내되어 이동되고, 상기 지지판(111)은 상부로 연결된 프레임 폴바(114)에 의해 헤드레스트(140)는 전방으로 상향이동(화살표방향)된다. 상기 헤드레스트(140)의 전방상향이동시 프레임 폴바(114)에 장착된 탄성부재(116)는 압축되고, 복원력을 제공한다. As shown in Fig. 5, when the vehicle collides from the rear, the vehicle occupant presses and moves the
또한, 상기 가이드판(113)의 이동에 연동되어 가이드판(113)에 연결된 제1와이어링크(121)는 상향이동되고, 상기 회동부재(122)를 소정각으로 회동시켜 시트백의 회전축(153)을 회동시키고, 시트백는 소정각으로 회동 즉, 리클라이너된다. 이 경우, 상기 시트백는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클라이너장치가 시트백의 측부에 형성된 슬릿에 안내되어 이동되어 소정각으로 회동되고, 너무 큰 각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제한된다. 즉, 도6의 (a)는 차량의 후방추돌 전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6의 (b)는 차량의 후방추돌 후 헤드레스트장치에 연동되어 시트백이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In addition, the
다음으로 상기 시트백의 회동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시트의 후방추돌 충격완화 시스템에서 레버에 의한 리클라이너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도7의 (a)는 레버에 의한 리클라이너 작동전 상태도이고, 도7의 (b)는 레버에 의한 리클라이너 작동후 상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같이, 레버(156)를 조작하지 않을 경우 고정부재(157)는 시트백에 형성된 가이드슬릿(152)에 안내되어 이동됨에 따라 시트백는 소정각으로 회동되고, 레버를 조작할 경우, 고정부재는 가이드슬릿(152)에서 이탈되어 시트백는 전범위로 회동된다. Next, the rotation of the seatback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IG. 7 schematically illustrates a recliner operation state by a lever in the rear collision impact mitigation system of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b) is a state diagram after the recliner operation by the lever.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다음으로, 상기 제1와이어링크(121)의 이동에 따라 제2와이어링크(131)가 연동된다. 이하 도8을 참조하여 제2링크장치의 연동 및 좌석시트의 이동에 대하여 자세히 기술한다.Next, the
차량의 후방추돌 전 제2링크장치의 하단링크 고정장치는 도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재(133)가 좌석시트 또는 가이드부재의 고정홈(미도시)에 삽입되어 좌석시트의 이동이 제한된다. 그러나 차량이 후방추돌될 경우, 상기 제1와이어링크(121)의 상향이동에 따라, 도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와이어링크(121)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 제2와이어링크(131)는 상향(화살표방향)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132)에 의해 제2와이어링크(131)의 상향이동에 연동되어 고정부재(133)는 좌석시트 또는 가이드부재의 고정홈(미도시)으로 부터 이탈되고, 고정부재가 슬릿(162)를 따라 이동됨에 따라 좌석시트는 소정각으로 후방으로 하향이동된다. 이 경우, 상기 좌석시트는 고정부재(133)의 돌출부가 좌석시트 또는 가이드부재에 형성된 가이드홈(162)에 안내되어 이동되고, 하부로 장착된 댐퍼에 의해 충격이 완화되며 후방하향이동된다. 또한, 상기 좌석시트를 원위치시킬 경우, 상기 고정부재(133)에 삽입된 탄성부재(134)에 의해 복원력이 제공되어 고정부재는 고정홈에 삽입된다. In the lower link fixing device of the second link device before the rear collision of the vehicle, as shown in FIG. 8B, the fixing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evident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후방추돌시 좌석시트, 시트백 및 헤드레스트를 링크구조에 의한 연동으로 충격을 완화 및 흡수시키고, 헤드레스 트의 전방상승으로 백셋을 보완함으로써, 목부상에 따른 치명적인 상해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시트의 후방추돌 충격완화 시스템을 제공하고, 좌석시트의 하부로 댐퍼를 장착함으로써, 차량의 후방추돌시 좌석시트가 후방하강될 경우, 충격이 흡수되고, 무게중심이 아래로 이동되어 안전성이 월등히 향상되고, 간단한 링크구조에 의해 차량시트의 리클라이너 및 헤드레스트 연동이 구현됨에 따라, 생산공정감소 및 생산비 절감에 따른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차량시트의 후방추돌 충격완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 seat, the seat back and the headrest in the rear collision of the vehicle to mitigate and absorb the impact by linkage by the link structure, and the back set by the front rise of the head restraint, so that the neck By providing a shock absorbing system for rear collision of the vehicle seat that can prevent fatal injuries, and by attaching a damper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the shock is absorbed when the seat is lowered during the rear collision of the vehicle, the center of gravity As the safety of the vehicle is remarkably improved and the linkage between the recliner and the headrest of the vehicle seat is realized by a simple link structure, the rear collision impact of the vehicle seat that can be expected to improve the productivity by reducing the production process and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mitigation system.
Claims (1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77654A KR20080016060A (en) | 2006-08-17 | 2006-08-17 | Rear collision impact relief device of vehicle sea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77654A KR20080016060A (en) | 2006-08-17 | 2006-08-17 | Rear collision impact relief device of vehicle seat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38423A Division KR20080038292A (en) | 2008-04-24 | 2008-04-24 | Rear collision impact relief device of vehicle sea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16060A true KR20080016060A (en) | 2008-02-21 |
Family
ID=39384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77654A Ceased KR20080016060A (en) | 2006-08-17 | 2006-08-17 | Rear collision impact relief device of vehicle sea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16060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077921A1 (en) * | 2010-12-08 | 2012-06-14 | Lee Kyu Hung | Impact-absorbing device for a vehicle seat |
KR101438848B1 (en) * | 2009-12-03 | 2014-09-0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Rear seat adjustment system for vehicle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
KR101438849B1 (en) * | 2009-12-04 | 2014-09-0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Seat for vehicle |
-
2006
- 2006-08-17 KR KR1020060077654A patent/KR20080016060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38848B1 (en) * | 2009-12-03 | 2014-09-0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Rear seat adjustment system for vehicle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
KR101438849B1 (en) * | 2009-12-04 | 2014-09-0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Seat for vehicle |
WO2012077921A1 (en) * | 2010-12-08 | 2012-06-14 | Lee Kyu Hung | Impact-absorbing device for a vehicle sea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282040B (en) | Vehicle seat | |
US7472952B2 (en) | Safety seat | |
US20100259077A1 (en) | Load limiting (energy management) child restraint seat | |
AU2011200691A1 (en) | Child safety seat with energy absorbing apparatus | |
CN101863238A (en) | Translating energy-absorbing seat for neck protection in rear-end collisions | |
JP2012201276A (en) | Occupant protection mechanism | |
US10967766B2 (en) | Energy absorber for a vehicle seat, linear adjuster for a vehicle seat having an energy absorber, and vehicle seat | |
GB2300391A (en) | Vehicle safety system including a seat and seat mounting which absorbs shocks from front, rear or side impact | |
KR101053515B1 (en) | Shock Absorber for Vehicle Seat | |
KR20080016060A (en) | Rear collision impact relief device of vehicle seat | |
CN101875322B (en) | Energy absorber for automotive seats | |
KR20080038292A (en) | Rear collision impact relief device of vehicle seat | |
KR102107009B1 (en) | Rear-end collision impact elevation equipment for car seat | |
KR100991659B1 (en) | Car seat | |
KR100786007B1 (en) | Active Headrest Drive for Vehicle Seat | |
KR101584006B1 (en) | An improved seat-back strurcture for absorbing a collision energy | |
CN204821218U (en) | Be applied to interlocking protection device and seat that tail hit slip energy -absorbing seat | |
KR101262970B1 (en) | Mounting bracket for seatback frame and seat frame unit for vehicle | |
KR200222048Y1 (en) | A safety chair for the automobile | |
KR101438849B1 (en) | Seat for vehicle | |
JP5229524B2 (en) | Vehicle seat structure | |
CN216331568U (en) | Absorbable upper sliding rail | |
KR100461106B1 (en) | Shock absorber of seat back for vehicle | |
KR101354847B1 (en) | Air bag device | |
KR102590092B1 (en) | Seat-Back Shock Absorber and Seat hav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8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803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08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080327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3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90309 Appeal identifier: 2008101002621 Request date: 20080327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MND | Amendm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80424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PB0901 |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424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327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111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
|
B601 |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
PB0601 |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Comment text: Report of Result of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080513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327 Effective date: 20090309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090309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80327 Decision date: 20090309 Appeal identifier: 2008101002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