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4536A - Multi-Purpose Vacuum Vessel Lid - Google Patents
Multi-Purpose Vacuum Vessel Li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14536A KR20080014536A KR1020060076376A KR20060076376A KR20080014536A KR 20080014536 A KR20080014536 A KR 20080014536A KR 1020060076376 A KR1020060076376 A KR 1020060076376A KR 20060076376 A KR20060076376 A KR 20060076376A KR 20080014536 A KR20080014536 A KR 2008001453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vacuum
- lid
- check valve
- pack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0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axial pressure to engage closure with sealing surfa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in an at least partially rigid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1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953—Sealing means
- B65D2543/00962—Sealing means inserted
- B65D2543/0097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은 체크밸브를 단일 부품으로 구성하고 뚜껑의 연부 하방으로 패킹을 진공장착함에 의하여 조립성을 개선하고 제품단가를 낮추어 가격경쟁력을 높이는 한편 뚜껑을 눌러 닫으면 용기본체에 패킹이 밀착되면서 내부공기가 체크밸브를 통해 빠져나가 간단히 용기 내부가 진공이 되므로 사용이 편리한 다용도 진공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내용물이 담기는 공간이 마련된 용기본체의 입구를 개폐하며, 밸브장착공과 이 밸브장착공에 인접하여 공기연락공이 형성되며 테두리의 내측으로 패킹장착홈이 마련된 뚜껑으로서, 상기 공기연락공을 포위하는 몸체부의 저면에 결합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장착공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공기연락공을 포위하여 개폐함에 의해 상기 공기연락공을 통해 상기 용기본체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한편 외기 유입을 차단하는 체크밸브; 및 상기 패킹장착홈에 진입되어 진공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하단에서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부 내면을 향해 절곡되어 연장되어 상기 뚜껑의 하강에 따라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부 내면에 밀착되어 용기 내부를 진공화시키는 밀착부를 구비하는 패킹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heck valve is composed of a single part and the assembly is improved by vacuum-packing the packing below the lid, and the product price is lowered by increasing the price competitiveness while pressing the lid to close the packing to the container body. It is related to a versatile vacuum container lid that is convenient to use because the gas escapes through the check valve and is simply vacuumed inside the container. The present invention opens and closes the inlet of the container body provided with a space for containing the contents, a valve mounting hole and an air contact hole is formed adjacent to the valve mounting hole and the packing mounting groove is provided in the inner side of the rim, the air contact hole It has a coupling protrusion on the bottom of the body portion surrounding the insertion and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valve mounting hole, and discharges the air inside the container body through the air contact hole by opening and closing the air contact hole while inflowing outside air Check valve to shut off; And a mounting part which enters the packing mounting groove and is vacuum-mounted, and is bent and extended from the lower end of the mounting part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inlet of the container body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inlet of the container body as the lid is lowered. It comprises a packing having a close contact to vacuum the.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첨부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질 것이며, 도면에서 대응되는 부분을 지정하는 번호는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numerals designate corresponding parts in the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진공용기 뚜껑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및 분리사시도이고, 1 and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multi-purpose vacuum container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1의 A-A선으로 자른 단면도이고,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4 및 도 5는 본 다용도 진공용기 뚜껑의 진공밀폐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4 and 5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vacuum sealing of the lid of the multi-purpose vacuum container,
도 6은 본 다용도 진공용기 뚜껑의 개방시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when opening the lid of the multi-purpose vacuum container,
도 7 및 도 8은 본 다용도 진공용기 뚜껑에서 패킹장착방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고, 7 and 8 are views showing the packing mounting method in the lid of the present versatile vacuum container,
도 9는 본 다용도 진공용기 뚜껑에서 체크밸브의 날짜표시기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사시도이고,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check valve date indicator in the lid of the multi-purpose vacuum container,
도 10은 도 9를 위에서 보아 나타낸 평면도이고, 10 is a plan view of FIG. 9 seen from above;
도 11은 본 발명의 다용도 진공용기 뚜껑에서 체크밸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heck valve in the lid of the multipurpose vacuum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다용도 진공용기 뚜껑이 적용된 진공용기를 진공화장치를 이용하여 고진공화시키는 사용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고, 1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the high-vacuum vacuum container using a multi-purpose vacuum container lid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vacuum device,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진공용기 뚜껑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ulti-purpose vacuum container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도 13의 B-B선으로 자른 단면도이고, 1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3,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진공용기 뚜껑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ulti-purpose vacuum container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
1 : 진공용기 10 : 용기본체1: vacuum container 10: container body
12 : 입구부 20 : 뚜껑몸체12: entrance 20: the lid body
22 : 밸브안착홈 24 : 공기연락공22: valve seating groove 24: air contact hole
26 : 구면부 28 : 테두리26: spherical portion 28: the border
30 : 체크밸브 32 : 몸체부30: check valve 32: body
34 : 결합돌기 36a : 저진공표시부34:
36b : 고진공표시부 38 : 날짜지시자36b: high vacuum display unit 38: date indicator
40 : 패킹 42 : 장착부40: packing 42: mounting portion
44 : 밀착부44: close contact
본 발명은 체크밸브를 구비한 진공용기의 뚜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체크밸브를 단일의 부품으로 구성하는 한편 뚜껑의 연부 하방으로 패킹을 진공장착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조립성을 향상하고 제품단가를 낮추어 가격경쟁력을 높이는 동시에 뚜껑을 눌러 닫으면 용기본체에 패킹이 밀착되면서 내부공기가 체크밸브를 통해 빠져나가 용기 내부가 진공화되므로 사용하기에 편리한 다용도 진공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d of a vacuum container provided with a check valve, and more particularly, a check valve is composed of a single part, and the assembling property is improved by facilitating assembly by vacuum-mounting the packing under the lid. It is a multi-purpose vacuum container lid that is convenient for use because the product price is lowered and the price competitiveness is increased while pressing the lid to close the packing to the container body and the internal air is released through the check valve to evacuate the inside of the container.
통상적으로 음식물은 비교적 쉽게 변질되며, 따라서 음식물을 장기간 보관하기 위해서는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음식물의 변질을 방지하고 장기간 보관하기 위한 음식물 보관수단으로는 냉장 기술을 이용한 방법과 진공을 이용한 방법이 알려져 있다.In general, food is relatively easily deteriorated, and therefore, in order to store food for a long time, a separate mea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is required. As such a food storage means for preventing food deterioration and long-term storage are known methods using a refrigeration technique and a method using a vacuum.
일반적으로 식품이나 조리된 음식물은 랩이나 비닐지에 포장하여 냉장고와 같은 냉동기기에 보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냉장기술을 이용한 방법은 별도의 냉장기계 및 전력을 필요로 하여 비용 상승의 문제가 있으며, 냉장기술로도 음식물과 공기의 접촉을 막는 것에는 한계가 있어 음식물의 장기간 보관이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즉, 냉동기기의 보관 형태는 소정의 기간동안은 보관할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포장지의 내부에 들어있는 공기로 인해 식품 및 음식물이 산화되어 부패됨으로써 장시간동안은 보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Generally, food or cooked food is packaged in wraps or plastic paper and stored in a freezer such as a refrigerator. However, the method using the refrigeration technology requires a separate refrigeration machine and power, there is a problem of rising costs, and the refrigeration technology has a limit in preventing contact between food and air, so the long-term storage of food was not effective. . That is, the storage form of the freezer can be stor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but in the long term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stored for a long time due to the oxidation and decay of food and food due to the air contained in the packaging.
한편, 종래의 식품 용기는 단순히 저장통에 식품을 넣고 뚜껑만을 덮어서 밀 폐시키는 구조로서 용기내의 식품이 세균번식에 의하여 쉽게 부패 변질되므로서 장기간의 보관은 곤란하였다. 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food container is a structure in which the food is simply put in a storage container and only the lid is closed, and the food in the container is easily deteriorated and deteriorated by bacterial propagation, which makes it difficult to store for a long time.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뚜껑과 맞닿는 용기본체 연부 테두리에 환형의 패킹을 부착하여 공기를 압축함에 의하여 내부를 진공화시키는 용기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용기는 용기 내부의 진공화 정도는 매우 미미하여 단순히 밀폐용기로서 용기내부에 보관된 내용물을 외부의 공기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 밖에는 제공하지 못하였다. 이 때문에, 내용물을 보관하는 데 있어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장시간 보관이 용이하지 못함으로 인해 식품용기를 사용하는 사용상의 신뢰도와 만족도가 적은 것이 현실이었다. 나아가, 이러한 용기는 일단 뚜껑을 닫아 밀폐되면 뚜껑을 개방하기가 쉽지 않고 사용자가 뚜껑을 여는데 큰 힘이 들어 사용이 매우 불편한 결함을 안고 있었다. 심한 경우에는 뚜껑을 개방시키기 위하여 뚜껑에 큰 힘을 가하다 사용자가 부주의로 상해를 입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이와 같이 뚜껑의 개방에 과도한 힘이 작용하므로 개방시 용기에 충격을 주거나 요동되어 어렵게 열어도 용기 내부의 음식물이 흐트러지거나 심지어는 용기 밖으로 튀어나오는 등, 사용자가 만족할 만한 기능과 효과를 제공하지 못했다. 또한, 용기본체와 뚜껑이 맞물려 기밀을 유지하는 부분에 환형 패킹이 장착되는데 있어서, 패킹장착부위는 장착홈과 걸림턱이 이웃하여 연결된 형태로서 패킹이 걸림턱을 지나 장착홈에 삽입되며 걸림턱에 걸려서 이탈이 방지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었다. 그로 인해, 패킹이 장착되는 장착부위의 성형이 매우 어렵고 패킹을 한번 장착하면 쉽게 분리되지 않아 패킹과 장착부위 사이에 낀 이물질의 청소가 불편한 단 점이 있었다.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 container for evacuating the inside by compressing air by attaching an annular packing to the edge of the container body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lid has been developed. However, such a container has a very small degree of vacuuming inside the container, and merely provides a function of preventing the contents stored in the container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outside air as a closed container. Because of this, there is a limit in storing the contents, and because of the inability to store for a long time, it was a reality that there is little reliability and satisfaction in using the food container. Furthermore, such a container has a defect that it is not easy to open the lid once the lid is closed and the user has a great effort to open the lid, which is very inconvenient to use. In extreme cases, a large force is applied to the lid to open the lid. The user often inadvertently injures the lid.In this way, exc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lid to open it, even if the container is shocked or shaken to open it. The food inside the container was distracted or even popped out of the container, which did not provide the user with satisfactory functions and effects. In addition, the annular packing is mounted on the container body and the lid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the packing mounting portion is a form in which the mounting groove and the locking jaw is connected to the neighboring packing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through the locking jaw and the locking jaw There was a structure that prevented the escape from being caught. Therefore, it is very difficult to mold the mounting part on which the packing is mounted, and once the packing is mounted, it is not easily separated, so that cleaning of foreign substances caught between the packing and the mounting part is inconvenient.
따라서, 좀 더 진공화 정도가 높고 사용이 편리한 용기가 개발되었다. 부연하면, 음식물은 진공상태에서는 오래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 들어 용기 내부를 쉽게 진공화시킬 수 있는 진공수단을 갖추고 음식물을 진공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진공용기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진공용기로는 뚜껑에 공기를 빼낼 수 있는 밸브가 설치된 것이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 1998.6.18일자로 김현민에 의해 출원된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1998-0009712호에 기재된 "진공용기"가 있다. 이 진공용기는 뚜껑에 형성되어 대기와 연통되도록 그 저면에 제1통기공이 천공되는 제1요홈, 상부면에 분리돌출부가 형성되어 제1통기공을 개폐하도록 제1요홈 상에 위치되는 흡착 패드, 및 분리돌출부를 당기도록 분리돌출부와 걸착되는 당김홀이 형성되어 있는 진공해제버튼을 포함하고, 진공해제버튼과 흡착패드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위치되어 있는 복잡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러한 기존의 진공용기는 여러 부품들이 상호 결합되거나 연관되어 조립되는 복잡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작 및 조립이 번거로워 조립생산성이 떨어지는 폐단이 있었다. 나아가, 밸브구조가 많은 부품으로 구성되므로 진공용기의 생산단가가 높아 가격경쟁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용기가 진공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진공여부의 확인에 불편함이 따랐다. Thus, a container having a higher degree of vacuuming and a more convenient use has been developed. In other words, since food can be stored for a long time in a vacuum state, a vacuum container has recently been developed and commercially equipped with a vacuum means for easily evacuating the inside of a container to store food in a vacuum state. Such a vacuum vessel is provided with a valve for extracting air in the lid, a representative example is the "vacuum vessel" described i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8-0009712 filed by Kim Hyun-min dated June 6, 1998. The vacuum vessel is formed on the lid to form a first groove in which the first vent hole is perforat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atmosphere, and a separation protrusion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thereof so that the suction pad is positioned on the first groove to open and close the first vent hole. And a vacuum release button having a pull hole that is engaged with the separation protrusion to pull the separation protrusion, and has a complicated configuration in which an elastic member is positioned between the vacuum release button and the suction pad. As such, since the conventional vacuum container is composed of a complex structure in which various parts are assembled or associated with each other, manufacturing and assembly are cumbersome, resulting in poor assembly productivity. In addition, since the valve structure is composed of many parts, the production cost of the vacuum container is high, and thus the price competitiveness is lowered.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device for checking whether the container is in a vacuum state, it is inconvenient to confirm whether the vacuum is presen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제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뚜껑에 마련되는 밸브구조를 단순화한 다용도 진공용기 뚜껑을 제공하는 데 있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purpose vacuum container lid which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drawbacks and which simplifies the valve structure provided on the li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체크밸브를 단일의 부품으로 성형하는 한편 뚜껑의 연부 하방으로 패킹을 진공장착함에 의해 조립성을 향상하고 제품단가를 낮추어 가격경쟁력을 높인 다용도 진공용기 뚜껑을 제공하는 데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rsatile vacuum container lid which improves assembly performance by lowering the unit cost by forming a check valve into a single part and vacuum-packing the packing below the lid.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뚜껑을 누르기만 하면 용기본체에 패킹이 밀착되면서 내부공기가 체크밸브를 통해 빠져나가 진공을 형성하므로 사용이 편리한 다용도 진공용기 뚜껑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rsatile vacuum container lid that is convenient to use because the user presses the lid and the packing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tainer body to form a vacuum through the check valve.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진공용기 뚜껑은 내용물이 담기는 공간이 마련된 용기본체의 입구를 개폐하는 용기 뚜껑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를 개폐하며, 밸브장착공과 이 밸브장착공에 인접하여 공기연락공이 형성되며 테두리의 내측으로 패킹장착홈이 마련된 뚜껑몸체; 상기 공기연락공을 포위하는 몸체부의 저면에 결합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장착공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공기연락공을 포위하여 개폐함에 의해 상기 공기연락공을 통해 상기 용기본체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한편 외기 유입을 차단하는 체크밸브; 및 상기 패킹장착홈에 진입되어 진공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하단에서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부 내면을 향해 절곡되어 연장되어 상기 뚜껑몸체의 하강에 따라 상기 용 기본체의 입구부 내면에 밀착되어 용기 내부를 진공화시키는 밀착부를 구비하는 패킹을 포함한다. Multi-purpose vacuum container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container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of the container body provided with a space for containing the contents,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of the container body, the valve mounting hole and the valve mounting hole An air contact hole is formed adjacent to the lid body provided with a packing mounting groove in the inner side of the rim; A coupling protrusion is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surrounding the air contact hole and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valve mounting hole, and discharges air inside the container body through the air contact hole by opening and closing the air contact hole. On the other hand check valve for blocking the inflow of outside air; And a mounting part which enters the packing mounting groove and is vacuum-mounted, and is bent and extended from the lower end of the mounting part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inlet part of the container body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inlet part of the dragon base body as the lid body descends. And a packing having a close contact for evacuating the inside of the container.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진공용기 뚜껑은 내용물이 담기는 공간이 마련된 용기본체의 입구를 개폐하는 용기 뚜껑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를 개폐하며, 밸브결합공과 이 밸브결합공에 인접하여 공기연락공이 형성되며 테두리 내측으로 패킹장착홈이 마련된 뚜껑몸체; 상기 공기연락공을 포위하는 몸체부의 저면에 결합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결합공에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단에 반구형 부분을 갖고 용기 내부의 저진공 작동에 따라 상기 반구형 부분이 함몰되어 저진공상태를 표시하는 저진공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연락공을 포위하여 개폐함에 의해 상기 공기연락공을 통해 상기 용기본체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한편 외기 유입을 차단하는 체크밸브; 및 상기 패킹장착홈에 진입되어 진공장착되는 장착부와, 이 장착부의 하단에서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부 내면을 향해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뚜껑몸체의 하강에 따라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부 내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용기본체 내부를 진공화시키는 밀착부를 구비하는 패킹을 포함하고, 상기 체크밸브의 주위를 돌아가면서 상기 뚜껑몸체에 숫자로 표기되는 날짜표시부와, 내용물의 보관일에 해당하는 상기 날짜표시부의 숫자를 지시하도록 상기 체크밸브의 상기 몸체부 표면에 돌출되거나 표기되는 날짜지시자를 구비하고, 상기 체크밸브를 상기 결합돌기를 축으로 하여 회전시켜 상기 날짜지시자가 상기 보관일을 지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ulti-purpose vacuum container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container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of the container body provided with a space for containing the contents,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of the container body, the valve coupling hole and the valve coupling hole An air contact hole is formed adjacent to the lid body provided with a packing mounting groove in the inner edge; A coupling protrusion is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surrounding the air contact hole, and is coupled to the valve coupling hole, protrudes from the body portion, and has a hemispherical portion at the top, and the hemispherical portion is recessed according to the low vacuum operation inside the container. A check valve for displaying a low vacuum state, the check valve for discharging air inside the container body through the air contact hole and blocking the inflow of outside air by surrounding and opening the air contact hole; And a mounting part that enters the packing mounting groove and is vacuum-mounted, and is bent and extended from the lower end of the mounting part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inlet of the container body and closely adheres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let of the container body as the lid body descends. And a packing having a close contact portion for evacuating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and rotating the periphery of the check valve to indicate the date display unit indicated by the number on the lid body and the number of the dat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date of the contents. And a date indicator which is protruded or marked on th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of the check valve, and rotates the check valve around the coupling protrusion so that the date indicator indicates the storage date.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진공용기 뚜껑이 적용된 진공용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조립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A-A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대략 사각통 형태의 진공용기를 예시하고 있으며, 진공용기의 형태는 본 실시예에 예시된 사각통 형태 이외에도 삼각통, 육각통, 팔각통 등의 다각통 형태나 원통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그 형태에 의해 구애받지는 않는다. 1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vacuum container with a multi-purpose vacuum container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This embodiment illustrates a vacuum container in the form of a substantially square barrel, the shape of the vacuum vessel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olygonal cylinder, such as a triangular cylinder, a hexagonal cylinder, an octagonal cylinder or a cylinder in addition to the square cylinder shape illustrated in this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rm.
본 진공용기 뚜껑은 도시한 바와 같이 내용물, 예컨대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 있는 용기본체(10)의 개구된 입구부(12)에 장착되어 입구를 개폐하는 뚜껑몸체(20)와 이 뚜껑몸체(20)에 장착되어 공기의 유출입을 통제하는 체크밸브(30)와 패킹(40)을 구비하고 있다. The lid of the vacuum container is a lid body (2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and the lid is attached to the opening
용기본체(10)는 사각통 형태로 밑바닥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형태가 바람직하며, 진공압에 견딜 수 있는 견고한 재질로 제조된다. 용기본체(10)의 재질은 내압성이 좋은 플라스틱 계열이 바람직하다. The
뚜껑몸체(20)는 그 중앙부분이 요입되어 밸브안착홈(22)을 마련하고 있으며, 이 밸브안착홈(22)의 중심에는 체크밸브(30)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22-1)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안착홈(22)은 체크밸브(30)를 수용할 수 있는 면적의 원형으로 요 입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결합공(22-1)은 밸브안착홈(22)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돌출한 중앙돌출부(22-2)의 중심에 천공되어 있다. 이 중앙돌출부(22-2)는 체크밸브(30)를 밸브안착홈(22)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띄워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에 따라 체크밸브(30)는 작동압에 따른 상하로의 탄성이동이 수월하게 수행될 수 있다. 중앙돌출부(22-2)에는 특히 그 측면으로 공기연락공(24)이 형성되어, 뚜껑 밀폐시 용기(1)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용기(1)를 진공으로 만들고, 뚜껑 개방시에는 이곳으로 외기를 유입시켜 용기(1) 내의 진공을 해제하게 된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본 진공용기 뚜껑의 작동설명 부분에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공기연락공(24)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돌출부(22-2)의 측면을 따라 돌아가면서 대략 일자형으로 형성되어, 마치 사람의 입구조와 유사하게 형성되어 공기 유출입시 특유의 공기 빠지는 소리를 발생하게 한다. The
뚜껑몸체(20)는 밸브안착홈(22)으로부터 외곽을 향해 구면(球面) 형태로 형상화되어 있으며, 특히 이 구면부(26)는 밸브안착홈(22)과 인접한 중앙측이 외곽측에 비해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으로 형상화된다. 이와 같이, 뚜껑몸체(20)가 구면 형태를 이룸으로써 용기 내부의 고진공에서도 견딜 수 있는 우수한 내압성을 갖는다. 이 구면부(26)의 외곽에는 테두리(28)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뚜껑몸체(20)의 테두리(28)는 도 3의 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면으로 볼 때 용기본체(10)의 입구부(12)를 일정부분 덮을 수 있도록 아래쪽으로 날개 형태로 절곡되어 있다. 특히, 뚜껑몸체(20)의 테두리(28)의 내측에는 밀폐시 용기본체(10)의 입구부(12) 내면과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패킹(packing; 40)이 장착되어 있 다. The
패킹(40)은 용기(1)가 사각통 형태로 구성되므로, 그와 밀착되는 용기본체(10)의 입구부(12)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즉 사각띠 또는 사각환 형태로 구성된다. 패킹(40)은 내측의 수직한 장착부(42)와 이 장착부(42)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되면서 대략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용기본체(10)의 입구부(12) 내면에 밀착되는 밀착부(44)로 이루어져 있다. 이 밀착부(44)는 단부로 갈수록 그 두께가 얇아짐으로써 탄성과 유연성을 좋게 하여 용기본체(10)의 내면에 긴밀히 밀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나아가, 밀착부(44)의 단부 근방에는 위쪽으로 탄성돌기(44-1)가 돌출되어 뚜껑 밀폐시 하강하는 뚜껑몸체(20)에 의해 압착되어 사용자가 뚜껑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는 압축되었다가 사용자의 작동력이 제거되면 약간 복원되면서 내려간 뚜껑을 약간 상승시켜 용기 내부의 공기를 팽창시킴으로써 용기 내부를 진공화시키는 데 기여한다. 이 탄성돌기(44-1)는 밀착부(44)에 일정간격으로 원추형 또는 뿔형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사각띠형의 패킹(40)의 각 면에 적어도 하나이상씩 구성하는 것이 좋고, 이 외에도 패킹(40)을 일주하면서 띠형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탄성돌기(44-1)가 보다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그와 대응되는 뚜껑몸체(20)의 내측면에는 탄성돌기(44-1)가 잘 접촉되도록 평평한 밀착면(28-2)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패킹(40)의 장착부(42)의 단부는 갈고리 형태로 압입돌출부(4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갈고리 형태의 압입돌출부(42-1)는 패킹장착홈(28-1)에 삽입될 때 탄성력을 증대시켜 밀착력을 좋게 함으로써 진공도를 높이게 된다. 이와 같이 패킹(40)이 장착결합되기 위해 뚜껑몸체(20)의 테두리(28) 내측 에는 패킹장착홈(28-1)이 마련되어 있다. 패킹장착홈(28-1)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아래방향으로 개구되는 형태로서 패킹(40)의 장착부(42)를 아래에서 위쪽으로 밀어넣으면 쉽게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패킹(40)의 장착부(42)가 패킹장착홈(28-1)에 진입되어 완전히 삽입되면 패킹장착홈(28-1)의 내면에 밀착되면서 패킹장착홈(28-1)의 공기가 완전히 빠져나가 진공상태로 되면서 그 압력에 의해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진공장착에 의해, 패킹장착홈(28-1)으로부터 분리되려는 압력이 패킹(40)에 균일하게 작용할 경우에는 패킹(40)이 패킹장착홈(28-1)으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게 되고, 반면에 패킹(40)의 일부위를 손으로 잡아당겨 진공상태를 해제시킨 후 패킹장착홈(28-1)으로부터 패킹(40)을 점차적으로 분리하면 간단하게 분리가 가능하다. 따라서, 용기본체(10)에 뚜껑을 닫거나 여는 평상적인 작동에서는 패킹(40)의 전구간에 균일한 압력이 작용하여 분리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고, 청소시와 같이 사용자가 패킹을 분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패킹(40)의 일부분을 손으로 잡아당겨 일지점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패킹장착홈(28-1)으로부터 패킹(40)을 쉽게 분리한 후 청소가 가능하게 된다. 이것은 흡착반의 원리와 동일하므로 흡착반의 부착과 탈거를 생각하면 쉽게 이해될 것이다. Since the packing 40 has a
전술한 체크밸브(30)는 대략 우산과 유사한 형태로서 반구형의 몸체부(32)의 중심에 뚜껑몸체(20)의 결합공(22-1)에 삽입되어 걸착되는 결합돌기(34)가 돌출하고 있다. 이 결합돌기(34)의 하단부에는 경사진 걸림턱(34-1)이 원주방향으로 돌출하면서 그 길이방향(삽입방향)으로는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 퍼(taper)져 있어 삽입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체크밸브(30)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제조되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이나 고무 등으로 제조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외기에 의해 변색이나 부식이 없는 실리콘이 적합하다. 이와 같이, 체크밸브(30)는 밀착성이 좋은 재질을 사용하여 제조되므로 반구형 몸체부(32)가 공기연락공(24)을 포위한 상태에서 몸체부(32)의 연부가 그와 대면하는 뚜껑(20)의 표면에 밀착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와 같이, 체크밸브(30)의 몸체부(32)는 공기연락공(24)을 포위하고 있어, 공기연락공(24)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뚜껑몸체(20)에 밀착된 몸체부(32)의 연부를 띄우면서 배출된다. 좀 더 부연설명하면, 체크밸브(30)의 구조에 의하여 용기 내부의 공기는 몸체부(32)를 밀어 뚜껑몸체(20)에 밀착되어 있던 몸체부(32)의 일측 연부가 들리면서 그 틈새로 배출되지만, 외기에 의해 몸체부(32)에 작용하는 가압력은 뚜껑몸체(20)쪽으로 작동함에 의해 몸체부(32)가 더욱더 뚜껑(20)에 밀착되어 외기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체크밸브(30)는 일방향(내부공기의 배출방향)으로만 공기유동을 허락하고, 반대방향으로의 공기유동(외기 유입)을 차단한다. 그러므로, 밀폐된 진공의 용기에서 뚜껑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체크밸브(30)를 사용자가 강제적으로 약간 들어올림에 의해 외기가 용기내부로 유입되게 하여 뚜껑의 진공압을 해제시킴으로써 쉽게 열리게 한다. The
체크밸브(30)는 특히 반구형 몸체부(32)에 저진공표시부(36a)와 고진공표시부(36b)를 구비하고 있다. 저진공표시부(36a)는 몸체부(32) 표면으로부터 작은 반구형태로 돌출하여 형성되며, 뚜껑을 닫아 용기본체(10) 내부에 진공을 형성한 경 우 돌출된 반구형 부분(36a-1)이 내부로 빨려들어가서 함몰된 상태로 변형되므로 용기 사용자는 이를 보고서 용기 내부가 저진공 상태인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용기 내부에 진공이 해제되면 저진공표시부(36a)의 빨려들어간 반구형 부분(36a-1)이 원상태로 돌출하여 복귀하게 된다. 한편, 고진공표시부(36b)는 내부가 비고 상면이 반구형으로 폐쇄된 기둥 형태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저진공표시부(36a)보다 작은 직경의 원기둥 형태로 돌출하여 밀폐된 용기 내부에 고진공이 형성된 경우 그 상면의 반구형 부분(36b-1)이 내부로 빨려들어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물론, 용기 내부에 진공이 해제되면 고진공표시부(36b)의 빨려들어간 반구형 부분(36b-1)이 원상태로 돌출하여 복귀하게 된다. 이러한 기능의 고진공표시부(36b)는 그 원기둥형태의 측벽(36b-2)을 두껍게 성형하여 어느정도 단단한 상태로 제조함으로써 용기내로 외기를 강제 유입시키고자 하는 경우 체크밸브(30)를 사용자가 들어올리기 위한 손잡이로 겸용할 수 있다. 한편으로, 저진공으로 충분하고 고진공의 필요성이 없는 용기의 경우에는 고진공표시부(36b)의 내부를 완전히 메워 손잡이로만 활용할 수도 있다. 체크밸브(30)의 몸체부(32)에는 또한 보관일을 지시하는 날짜지시자(3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날짜지시자(38)는 몸체부(32)의 표면을 삼각형태로 돌출하여 구성되며, 이 외에도 화살표나 점 등으로 돌출하거나 표시되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으면 족하다. 이 날짜지시자(38)는 체크밸브(30)가 결합돌기(34)를 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체크밸브(30)의 주변의 뚜껑몸체(20) 부분에 환형으로 돌아가면서 표기된 날짜표시부(29)의 해당 날짜를 지시하게 된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체크밸브(30)를 회전시켜 날짜지시자(38)가 날짜표시부(29)의 보관일을 지시하게 함으로써 용기(1)에 보관된 음식물이 어느 정도 지났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 In particular, the
한편, 용기본체(10) 또는 뚜껑의 적어도 어느 일측 부재에는 그 표면의 대응하는 양측면으로 손잡이들(미도시)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진공용기(1)를 편안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o form handles (not shown) on at least one side of the
도 4 및 도 5는 본 진공용기 뚜껑의 진공밀폐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 특히 도 4는 용기본체에 뚜껑을 덮은 상태를 그리고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뚜껑을 눌러 용기를 진공밀폐시킨 상태를 각각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4 and 5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vacuum chamber lid when closing the vacuum chamber, in particular Figure 4 is a state in which the lid on the container body and Figure 5 in the state of Figure 4 to press the container The vacuum sealed state is shown by the cross-sectional view, respectively.
용기본체(10)의 내부에 내용물, 예컨대 음식물(미도시)을 넣은 상태에서 용기본체(10)의 입구부(12)에 뚜껑을 덮고서 사용자가 뚜껑몸체(20)를 아래방향으로 누르면 도 4에서와 같이 패킹(40)의 밀착부(44)가 용기본체(10)의 입구부(12)에 접촉하며 그 외측단부가 위로 향하는 상태로 휘어지면서 뚜껑이 하강하여 용기본체(10) 내의 공기는 공기연락공(24)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공기가 공기연락공(24)을 통해 배출되면서 공기 빠지는 소리를 내게 된다. 사용자는 이 소리를 듣고서 진공작동이 되고 있는지를 소리로서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공기연락공(24)을 통해 배출된 공기는 뚜껑몸체(20)의 상면에 밀착되어 있던 체크밸브(30)를 들어올리면서 용기(1)로부터 배출되고, 사용자의 누르는 작동력이 제거되면 하강된 뚜껑은 패킹(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약간 상승하면서 용기 내부의 공기를 팽창시켜 용기 내를 진공화시키게 된다. 이때, 패킹(4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의 입구부(12) 내면에 부합되는 형태로 휘어지면서 밀착되어 용기본체(10)의 입구를 완전히 폐쇄하게 되고, 체크밸브(30)의 저진공표시부(36a)의 반구형 부분(36a-1)은 내부로 함몰되어 용기(1)가 저진공상태임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When the user presses the
도 6은 본 진공용기 뚜껑의 개방시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이 도면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진공밀폐된 진공용기의 뚜껑을 개방하는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6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opening the lid of the vacuum vessel, with reference to this fig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on of opening the lid of the vacuum-sealed vacuum vessel described above.
도 5와 같이 음식물이 진공포장된 진공용기를 개방하여 음식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손잡이 역할을 하는 고진공표시부(36b)를 잡고 들어올리면 체크밸브(30)의 일측이 밀착되어 있던 뚜껑몸체(20)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면서 그 틈새로 외기가 유입되어 뚜껑몸체(20)의 공기연락공(24)을 통해 용기본체(10) 내부로 유입되어 용기(1)의 진공이 해제된다. 그에 따라 용기본체(10)에서 뚜껑이 상승하면서 뚜껑몸체(20)의 테두리(28)에 장착된 패킹(40)이 용기본체(10)의 입구부(12)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그와 동시에, 체크밸브(30)의 저진공표시부(36a)의 반구형 부분(36a-1)이 함몰된 상태에서 돌출하여 원상태의 돌출된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뚜껑을 들어올리면 가볍게 용기본체(10)에서 뚜껑이 분리되게 된다. In order to use the food by opening the vacuum-packed vacuum container as shown in FIG. 5, as shown in FIG. 6, when the user grabs and lifts the high
도 7 및 도 8은 본 진공용기 뚜껑에서 패킹장착방법을 보여주는 도면들로, 도 7은 패킹을 패킹장착홈에 장착하기 전의 상태를 그리고 도 8은 패킹을 패킹장착홈에 장착하여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다. 7 and 8 are views showing the packing mounting method in the lid of the vacuum container, Figure 7 is a state before mounting the packing in the packing mounting groove, and Figure 8 is a state in which the packing is attached to the packing mounting groove combined. .
도 7에서와 같이 뚜껑몸체(20)의 테두리(28) 내측에 마련된 패킹장착홈(28-1)에 패킹(40)의 장착부(42)를 향하게 하고, 화살표 X방향으로 밀어넣으면 패킹장착홈(28-1) 내에 있던 공기가 밀려나가면서 실리콘 재질의 패킹(40)은 탄성을 갖고 패킹장착홈(28-1)에 완벽하게 밀착되면서 삽입되게 된다. 이때, 갈고리 형태의 압입돌출부(42-1)는 패킹장착홈(28-1)에 삽입되면서 탄성변형되면서 패킹장착홈(28-1)을 이루는 뚜껑몸체(20)의 내벽과의 밀착력을 향상시켜 진공장착력을 상승시킨다. 그 결과,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패킹(40)의 장착부(42)와 그와 접촉되는 패킹장착홈(28-1)을 이루는 뚜껑몸체(20)의 내벽이 긴밀하게 밀착되며 진공상태로 결합되므로 분리되는 방향에 걸림턱이 존재하지 않아도 쉽게 분리되지 않는 공고한 결합력을 얻게 된다. 이것 또한 흡착반의 원리와 같아서, 큰 압력이 사각띠 형상의 패킹(40)의 전구간에 균일한 압력으로 작용하면 분리되지 않고, 청소시 사용자가 일지점을 먼저 띄워 공기가 유입되게 하고나서 그 지점으로부터 점차적으로 띄어나가면 쉽게 분리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facing the mounting
도 9는 본 진공용기 뚜껑에서 체크밸브의 날짜표시기로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해당 부분을 부분발췌하여 나타낸 사용상태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를 위에서 보아 나타낸 평면도이다.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vacuum container cap is used to explain the state of use of the check valve as the date display, and FIG. 10 is a plan view of FIG.
도시한 바와 같이, 체크밸브(30)는 뚜껑몸체(20)에 마련된 밸브안착홈(22) 내에서 그 결합돌기(미도시)를 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체크밸브(30)에 인접한 뚜껑몸체(20) 표면에는 체크밸브(30)를 에워싸면서 날짜표시부(29)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체크밸브(30)를 회전시켜 그 날짜지시자(38)가 뚜껑몸체(20)에 표시된 날짜표시부(29)의 해당 날짜를 지시하게 함으로써 보관일을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늘이 진공용기에 보관된 음식물을 보관한 지가 2일째라면, 체크밸브(30)를 회전시켜 날짜지시자(38)가 뚜껑몸체(20)에 표시된 날짜표시부(29)의 2를 지시하게 함으로써 2일째라는 것을 알리고, 내일에는 3자로 체크밸브(30)의 날짜지시자(38)를 돌려놓아 보관일이 3일째라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As shown, the
도 11은 본 발명의 진공용기 뚜껑에서 체크밸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heck valve in the lid of the vacuum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체크밸브(30')는 진공용기가 저진공으로 충분하여 고진공이 필요없는 경우, 그 고진공표시부를 손잡이(36b')로만 사용할 수 있도록 그 성형시 원기둥 부분의 내부를 실리콘 수지를 완전히 충전하여 메우게 된다. 그러면, 손잡이(36b')는 더욱 튼튼해져 손잡이의 기능을 보다 충실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체크밸브(30')의 나머지 구성들은 앞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The check valve 30 'is a vacuum container having a low vacuum, and high vacuum is not necessary, so that the high vacuum display part can be used only as the
도 12는 본 발명의 뚜껑이 장착된 진공용기를 진공화장치를 이용하여 고진공 화시키는 사용상태를 예시한 단면도로, 본 실시예는 본 출원인이 2003년 6월 26일자로 출원한 등록실용신안 제343148호에 개시된 "진공화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뚜껑이 장착된 진공용기를 고진공화시키는 방법을 보여준다. "진공화장치"의 구성 및 사용방법은 기출원한 명세서에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으므로 그를 참조하기 바라며, 여기서는 이 진공화장치(200)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진공용기(1)를 고진공화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1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the vacuum container equipped with a lid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vacuuming apparatus, the present embodiment is 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343148 filed on June 26, 2003 by the present applicant A method of high vacuuming a lid-mounted vacuum vesse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using the "vacuumification device" disclosed in this document. The construction and method of use of the "vacuumizing device" are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evious application, so please refer to it, and here, only the method of high vacuuming the
본 발명이 적용된 진공용기(1)는 본 출원인이 개발하여 기출원한 "진공화장치(200)"를 이용하여 뚜껑(20)을 닫아 저진공으로 만든 상태에서, 보다 높은 진공도를 요하는 경우 용기(1) 내부를 고진공화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진공화장치(200)의 제1용기체(210)의 아래쪽으로 연장된 돌기(213a)를 체크밸브(30)를 포위하도록 뚜껑몸체(20)의 밸브안착홈(22)에 삽입하여 뚜껑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피가압체(240)를 가압하여 제2용기체(230)를 하강시킨다. 그러면, 제2챔버(231)에는 부압이 걸리고 그에 따라 체크밸브(30)의 주변에도 부압이 걸려 체크밸브(30)가 위쪽으로 뜨면서 용기(1)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용기(1) 내부는 진공도가 높아지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진공용기(1)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켜 용기(1) 내부를 고진공으로 만들게 된다. 그러면, 체크밸브(30)의 고진공표시부(36b)의 반구형 부분(36b-1)은 내부로 함몰되어 용기(1) 내부가 진공상태임을 표시하게 된다. The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용기 뚜껑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B-B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lid of the vacuum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본 실시예는 앞에 설명한 사각 형태의 진공용기 뚜껑의 형상에 변형을 주어 원판형으로 제조한 예를 보여주며, 그에 따라 본 실시예의 원판형 뚜껑은 위쪽으로 갈수록 원형 단면적이 증가하는 대략적인 원통형태의 진공용기(1")에 적용된 예를 보여준다. 여기서, 체크밸브(30")와 패킹(40")의 구성 및 결합구조는 앞실시예와 동일하며, 따라서 그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지, 본 실시예는 진공용기(1")의 외관의 형상을 원통형으로 함으로써 패킹(40")이 원환(圓環)형으로 형상화되어 적용된다. 또한, 본 원형 진공용기 뚜껑은 테두리(28")에 앞실시예와 같은 날개부를 없애 뚜껑몸체(20")의 테두리(28")가 용기본체(10")의 입구부(12") 측면을 덮지 않도록 하고 뚜껑이 용기본체(10")의 입구부(12")에 정확하게 맞게 설계되어 있다. 물론, 본 진공용기 뚜껑에도 테두리(28")에 하향 절곡된 날개부를 두어 용기본체(10")의 입구부(12") 측면을 일정부분 포위할 수도 있다. This embodiment shows an example of manufacturing a disk shape by modifying the shape of the vacuum container lid of the square shape described above, and thus the disk-shaped lid of this embodiment has an approximately cylindrical shape in which a circular cross-sectional area increases upward. The example applied to the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진공용기 뚜껑은 다양한 크기나 형태의 일반적인 용기본체에 장착하여 용기 내부를 진공화시킬 수 있다. The vacuum container lid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mounted on a general container body of various sizes or shapes to vacuum the inside of the container.
도 15는 본 발명의 다용도 진공용기 뚜껑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뚜껑을 소형으로 제조하여 유리(7)(또는, 거울, 타일 등)에 본 뚜껑몸체(20"')의 패킹(40"')을 밀착시켜 앞서 설명한 원리에 의해 진공부착함에 의해 흡착반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본 뚜껑은 유리(7)에 부착하 여 물건을 걸거나 부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Figure 1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multi-purpose vacuum container li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lid to produce a small lid as seen on the glass 7 (or mirrors, tiles, etc.) 20 "' ) Can be used for adsorption boards by bringing the packing 40 " This lid can then be attached to the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 의해서만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only presented by selecting the most preferred examples to help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various possible examples,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or limited only by this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well as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진공용기 뚜껑은 체크밸브를 단일의 부품으로 구성하는 한편 뚜껑의 연부 하방으로 패킹을 진공장착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조립성이 개선되고 생산성이 향상된다. 이것은 제품단가를 낮추어 가격경쟁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체크밸브가 단일 부품으로 성형되어 구성되므로 사용중 고장이나 파손될 우려가 없는 잇점이 있다. 더욱이, 패킹의 조립구조는 걸림턱이 없이 진공력을 이용하여 장착되므로 장착 및 분해가 용이하여 조립성이 향상됨은 물론 청소가 용이한 장점도 있다. 게다가, 공기의 유출입시 소리가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진공작동시 공기의 유출입을 청각을 통하여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잇점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ulti-purpose vacuum container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heck valve as a single part, while vacuum-mounting the packing below the edge of the lid to facilitate assembly, thereby improving assembly and productivity. This has the effect of lowering the unit price and increasing price competitiveness. In addition, since the check valve is formed of a single component, there is no advantage that there is no risk of failure or breakage during use. In addition,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packing is mounted using a vacuum force without a locking step so that the mounting and disassembly is easy to improve the assemblability, as well as easy to clean.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the inflow and outflow of air during the vacuum operation by making a sound when the air flows in and out.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뚜껑을 누르면 용기본체에 패킹이 밀착되면서 내부공기가 체크밸브를 통해 빠져나가 진공화되므로 사용자가 쉽고 간편하게 내용물을 진공보관하고 꺼낼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이것은 궁극적으로 사용자에 게 높은 사용상의 만족도와 신뢰도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id is pressed, the packing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tainer body while the inside air is evacuated through the check valve to be vacuum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nd easily vacuum the contents and take out the contents, thereby increasing convenience in use. This ultimately has the effect of providing the user with high satisfaction and reliability.
또한, 본 발명의 진공용기 뚜껑은 체크밸브에 저진공표시부와 고진공표시부를 갖추고 있어 용기내의 진공상태에 따라 저진공의 표시는 물론이고 고진공의 표시가 가능하여 용기의 보관내용물에 따라 진공도를 맞추어 보관할 수 있고, 그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체크밸브가 날짜표시기의 기능도 겸비하므로 보관일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고진공화장치"를 적용하여 간단히 용기 내부를 고진공화시켜 높은 진공도를 요하는 음식물을 보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id of the vacuum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low vacuum display portion and a high vacuum display portion in the check valve, it is possible to display a low vacuum as well as a high vacuum according to the vacuum state in the container can be stor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vacuum according to the storage contents of the container Can be easily check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check valve also combines the function of the date displa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storage date. In addition, by applying the "high vacuum apparatus" that the applicant has previously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tore foods requiring high vacuum degree by simply high vacuuming the inside of the container.
이상과 같은 장점들을 갖는 본 발명은 반찬과 같은 음식물을 용기에 넣은 후에 용기 내의 공기를 외부로 빼내어 진공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변질 및 부패 없이 내용물을 장기간에 걸쳐 보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dvantages as described above can be stored in the container for a long time without deterioration and decay by putting the food, such as a side dish in the container to remove the air in the container to the outside to maintain a vacuum state.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76376A KR20080014536A (en) | 2006-08-11 | 2006-08-11 | Multi-Purpose Vacuum Vessel Lid |
CN2007800295650A CN101500901B (en) | 2006-08-11 | 2007-08-06 | Multipurpose closure of vacuum receptacle |
PCT/KR2007/003775 WO2008018730A1 (en) | 2006-08-11 | 2007-08-06 | Multipurpose closure of vacuum receptacle |
JP2009523718A JP5033877B2 (en) | 2006-08-11 | 2007-08-06 | Versatile closing device for vacuum vessel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76376A KR20080014536A (en) | 2006-08-11 | 2006-08-11 | Multi-Purpose Vacuum Vessel Li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14536A true KR20080014536A (en) | 2008-02-14 |
Family
ID=39033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76376A Abandoned KR20080014536A (en) | 2006-08-11 | 2006-08-11 | Multi-Purpose Vacuum Vessel Lid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5033877B2 (en) |
KR (1) | KR20080014536A (en) |
CN (1) | CN101500901B (en) |
WO (1) | WO2008018730A1 (e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090249A1 (en) | 2010-01-21 | 2011-07-28 | (주) 코덱스 | Vacuum container lid for easy sealing |
KR101133979B1 (en) * | 2008-12-30 | 2012-04-12 | 박준영 | Lid for a vacuum receptacle and, check valve and packing for the lid |
WO2013176385A1 (en) * | 2012-05-21 | 2013-11-28 | 금명산업 주식회사 | Sealed container |
WO2013176384A1 (en) * | 2012-05-21 | 2013-11-28 | 금명산업 주식회사 | Sealed storage box |
KR101388092B1 (en) * | 2013-02-22 | 2014-04-22 | 박소규 | Check valve and lid using the same for a vacuum receptacle |
WO2014129790A1 (en) | 2013-02-22 | 2014-08-28 | 주식회사 보루인터내셔날 | Container lid for vacuum sealing having locking parts and vacuum-sealed container employing same |
KR20220056221A (en) * | 2019-08-30 | 2022-05-04 | 마이어 인텔렉츄얼 프로퍼티즈 리미티드 | Food storage and cooking containers with valves |
US11607075B2 (en) | 2018-04-17 | 2023-03-21 | Meyer Intellectual Properties, Ltd. | Food storage and cooking vessel with a valv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103320B2 (en) * | 2008-08-08 | 2012-12-19 |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 refrigerator |
ITBS20110087A1 (en) * | 2011-06-15 | 2012-12-16 | Flaem Nuova Spa | CONTAINERS FOR MARINATING AND / OR STORAGE OF VACUUM PRODUCTS |
US9296543B2 (en) | 2012-07-31 | 2016-03-29 | Heb Grocery Company, Lp | Vacuum cooler |
CN102963606B (en) * | 2012-11-02 | 2015-05-27 | 许和平 | Sealing cover with self-sealing structure and capable of being vacuumized |
CN104071462B (en) * | 2013-03-29 | 2018-08-10 | 3M新设资产公司 | Vacuum tank, the lid of vacuum tank and vacuum tank combination |
JP6883945B2 (en) * | 2016-01-29 | 2021-06-09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Double container cap |
TWI702356B (en) * | 2018-04-11 | 2020-08-21 | 第一防蝕管業有限公司 | Vacuum container valve |
EP3569521B1 (en) * | 2018-05-16 | 2020-12-16 | BSH Hausgeräte GmbH | Vacuum container |
CN111348322A (en) * | 2018-12-21 | 2020-06-30 | 王瑞德 | Combination structure of closed container and easy-open cover |
DE102019000133A1 (en) * | 2019-01-11 | 2020-07-16 | Zwilling J. A. Henckels Aktiengesellschaft | Fresh food vacuum container |
JP7549449B2 (en) * | 2019-10-08 | 2024-09-11 | サーモス株式会社 | Cap unit and container with cap |
FR3123054B1 (en) * | 2021-05-21 | 2023-06-23 | Bourgeat | Container comprising reusable food container and closure |
IT202100021653A1 (en) * | 2021-08-16 | 2023-02-16 | Luigino Santi | Container perfected |
CN113958646A (en) * | 2021-12-08 | 2022-01-21 | 佛山市顺德区合协气弹簧有限公司 | Novel controllable valve body |
NL2035942B1 (en) * | 2023-10-02 | 2025-04-10 | Airtender Works B V | Container lid for cooperation with vacuum stopper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14654U (en) * | 1984-06-30 | 1986-01-28 | 株式会社 丸山登製作所 | Lid for sealed containers |
JPH0723667Y2 (en) * | 1990-03-29 | 1995-05-31 | 東芝機械株式会社 | Flow control valve device with check valve for pilot pressure oil |
CN2165112Y (en) * | 1993-12-04 | 1994-05-18 | 张士相 | Food fresh-preserving container |
KR200232016Y1 (en) * | 2001-03-09 | 2001-07-19 | 안중근 | Date-indicating vacuum receptacle valve |
US6557462B1 (en) * | 2001-12-28 | 2003-05-06 | Wang Soo Chang | Combined vacuum valve and vacuum indicator |
CN2623639Y (en) * | 2003-06-19 | 2004-07-07 | 高伟明 | Vacuum freshness retaining box |
KR200383158Y1 (en) * | 2005-01-24 | 2005-05-03 | 유백천 | A vacuum food vessel and vacuum container |
CN2792992Y (en) * | 2005-04-01 | 2006-07-05 | 陈信育 | Storing case |
KR200413849Y1 (en) * | 2006-01-25 | 2006-04-11 |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 Lid for food container |
-
2006
- 2006-08-11 KR KR1020060076376A patent/KR20080014536A/en not_active Abandoned
-
2007
- 2007-08-06 CN CN2007800295650A patent/CN101500901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08-06 WO PCT/KR2007/003775 patent/WO2008018730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7-08-06 JP JP2009523718A patent/JP5033877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33979B1 (en) * | 2008-12-30 | 2012-04-12 | 박준영 | Lid for a vacuum receptacle and, check valve and packing for the lid |
WO2011090249A1 (en) | 2010-01-21 | 2011-07-28 | (주) 코덱스 | Vacuum container lid for easy sealing |
US8590722B2 (en) | 2010-01-21 | 2013-11-26 | Kodaecs Co., Ltd. | Vacuum receptacle lid for easy sealing |
WO2013176385A1 (en) * | 2012-05-21 | 2013-11-28 | 금명산업 주식회사 | Sealed container |
WO2013176384A1 (en) * | 2012-05-21 | 2013-11-28 | 금명산업 주식회사 | Sealed storage box |
KR101388092B1 (en) * | 2013-02-22 | 2014-04-22 | 박소규 | Check valve and lid using the same for a vacuum receptacle |
WO2014129793A1 (en) * | 2013-02-22 | 2014-08-28 | 주식회사 보루인터내셔날 | Check valve for vacuum container and vacuum container lid using same |
WO2014129790A1 (en) | 2013-02-22 | 2014-08-28 | 주식회사 보루인터내셔날 | Container lid for vacuum sealing having locking parts and vacuum-sealed container employing same |
CN105073594A (en) * | 2013-02-22 | 2015-11-18 | 株式会社堡垒国际服务公司 | Check valve for vacuum container and vacuum container lid using same |
US11607075B2 (en) | 2018-04-17 | 2023-03-21 | Meyer Intellectual Properties, Ltd. | Food storage and cooking vessel with a valve |
US12053119B2 (en) | 2018-04-17 | 2024-08-06 | Meyer Intellectual Properties Ltd. | Food storage and cooking vessel with a valve |
KR20220056221A (en) * | 2019-08-30 | 2022-05-04 | 마이어 인텔렉츄얼 프로퍼티즈 리미티드 | Food storage and cooking containers with valv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08018730A1 (en) | 2008-02-14 |
CN101500901A (en) | 2009-08-05 |
CN101500901B (en) | 2012-05-30 |
JP5033877B2 (en) | 2012-09-26 |
JP2010500246A (en) | 2010-01-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80014536A (en) | Multi-Purpose Vacuum Vessel Lid | |
KR101133979B1 (en) | Lid for a vacuum receptacle and, check valve and packing for the lid | |
EP1506120B1 (en) | Hose direct canister lid | |
US7048136B2 (en) | Canister lid with improved evacuation and vent assembly | |
US5944211A (en) | Container system including an air evacuation valve | |
KR101301367B1 (en) | Container cover with locking element for sealing container in vacuum and vacuum container employing the same | |
US6994227B2 (en) | vacuum container to preserve food | |
EP1892197B1 (en) | Fast freeze container and seal | |
KR20140064716A (en) | Lid for a pan, plate, bowl or the like | |
KR200473793Y1 (en) | One-touch type vacuum pressing kimch-box with pressing plate | |
KR100606603B1 (en) | Vacuum container with improved sealing | |
KR100894726B1 (en) | Airtight cover for container | |
KR20100004832U (en) | Closure for vacuum receptacle | |
JP2022517182A (en) | Negative pressure container for keeping freshness for food | |
KR200469427Y1 (en) | One-touch type vacuum kimch-box with pressing plate | |
KR100554354B1 (en) | Check Valve for Vacuum Container | |
KR100717155B1 (en) | Airtight container with air outlet | |
JP3038410U (en) | Closed container | |
KR20190015000A (en) | Suction valve for vacuum packing, Vacuum Container and Vacuum Pack using the same | |
KR20070066388A (en) | A vaccuum bowl which can be easily closed or open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2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