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흡입구가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상측에 회전 가능토록 구비되고, 그 둘레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 개의 토출구가 형성된 헤드와; 상기 헤드가 회전되게 하는 헤드 회전 유닛과; 상기 각 토출구가 선택적으로 개폐되게 하는 토출 루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비닛 내부에는 상기 흡입구에서 토출구를 향하는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비닛은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여닫힘 가능토록 설치된 프론트 패널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비닛의 전면은 개방되고, 상기 캐비닛의 개방된 전면은 상기 프론트 패널의 내측에 배치된 프론트 이너 패널에 의해 차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헤드는 복수의 둘레면을 갖는 다각형 구조이고, 상기 복수의 둘레면 중 적어도 두 면에 상기 토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헤드 회전 유닛은, 상기 캐비닛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헤드와의 사이에 헤드 베어링이 구비된 헤드 회전 유닛 브래킷과; 상기 헤드 회전 유닛 브래킷에 고정된 헤드 회전 유닛 모터와; 상기 헤드 회전 유닛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드라이 브 기어와; 상기 드라이브 기어와 치합되고 상기 헤드와 결합된 드리븐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헤드 회전 유닛은, 상기 헤드와 직결된 회전축을 갖는 헤드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출 루버는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각 토출구를 개폐토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토출 루버를 동력에 의해 자동 개폐되게 하는 토출 루버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설치 조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는 공기 조화가 요구되는 실내(I)에 적어도 한 대 이상 설치되고, 실내(I) 밖에 설치된 적어도 한 대 이상의 실외기(2)와 냉매배관(3)으로 연결되어 실내(I)를 냉/난방시키거나 정화시킨다. 이하 한 대의 실내기(1)와 한 대의 실외기(2)로 이루어진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정지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운전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는 외관의 하부를 이 루는 캐비닛(10)에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1)(12)가 형성되고, 외관의 상부를 이루는 헤드(20)에 실내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21)(22)(23)가 형성되며, 상기 헤드(20)가 캐비닛(10) 상측에서 헤드 회전 유닛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흡입구(11)(12)는 상기 캐비닛(10)의 전면과 후면과 좌측면과 우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데, 흡입 기류 방향이 다양하면 실내의 공기가 신속하고 고르게 상기 캐비닛(10) 내부로 흡입될 수 있는 바, 상기 캐비닛(1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형성되거나, 상기 캐비닛(10)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흡입구(11)(12)가 상기 캐비닛(10)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함과 아울러, 상기 캐비닛(10)의 좌측면에 형성된 흡입구(11)를 좌측 흡입구(11)라 하고, 상기 캐비닛(10)의 우측면에 형성된 흡입구(12)를 우측 흡입구(12)라 한다.
또한 상기 흡입구(11)(12)는 실내의 공기 순환이 원활하면 실내가 신속하면서도 고르게 공조될 수 있는 바, 실내의 원활한 공기 순환을 위해 상기 토출구(21)(22)(23)와 떨어져 있을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10)의 하측부에 위치된다.
상기 토출구(21)(22)(23)는 토출 기류의 방향이 다양하면 실내가 신속하면서도 고르게 공조될 수 있는 바, 최적의 토출 기류 조성을 위해 상기 헤드(20)의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 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토출구(21)(22)(23)는 상기 헤드(20)의 네 둘레면 중 적어도 두 면에 형성된다. 특히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가 실내 공간이 넓게 활용될 수 있도록 실내의 벽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바, 상기 토출구(21)(22)(23)는 거의 상기 헤드(20)의 네 둘레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이 실내의 벽에 의해 가로막히게 되므로, 최적의 토출 기류 조성을 위해 상기 헤드(20)의 네 둘레면 중 삼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부호 21로 지시된 토출구(21)를 제1토출구(21)라 하고, 도면부호 22로 지시된 토출구(22)를 제2토출구(22)라 하고, 도면부호 23으로 지시된 토출구(23)를 제3토출구(21)라 한다.
상기 제1,2,3토출구(21)(22)(23)에는 각각 상기 제1,2,3토출구(21)(22)(23)의 개폐 및 토출 기류의 풍향 조절을 할 수 있는 토출 루버(24)(25)(26)가 회전 가능토록 구비된다.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토출구(21)에 구비된 토출 루버(24)를 제1토출 루버(24)이라 하고, 상기 제2토출구(22)에 구비된 토출 루버(25)를 제2토출 루버(25)이라 하고, 상기 제3토출구(23)에 구비된 토출 루버(26)를 제3토출 루버(26)이라 한다.
상기 제1,2,3토출 루버(24)(25)(26)는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는 것도 가능하고,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외의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도 가능한데, 본 실시 예에서는 후술에서와 같이 상기 헤드(20)가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최적의 토출 기류 조성을 위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프론트 패널이 열렸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캐비닛(10)은 대략 상하 길이가 긴 직육면체이고, 상기 헤드(20)와 연통될 수 있도록 그 상면이 개방되거나 그 상면에 홀이 형성된다.
즉 상기 캐비닛(10)은 상기 캐비닛(10)의 하면을 이루는 베이스(30)와, 상기 베이스(3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헤드(20)와 연통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됨과 아울러 전면 및 하면이 개방된 메인 프레임(40)과, 상기 메인 프레임(40)의 개방된 전면에 상기 메인 프레임(4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프론트 패널(50)과, 상기 메인 프레임(40)의 개방된 상면에 배치되는 탑 커버(5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30)는 상기 메인 프레임(40)과 프론트 패널(50)이 올려져 설치되는 베이스 인스톨부(32)와, 상기 베이스 인스톨부(32)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후술하는 열교환기(70)가 올려짐과 아울러 열교환기(70)에서 낙하되는 응축수를 받는 드레인 팬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드레인 팬부(34)는 상기 베이스 인스톨부(32)에서 상향 돌출된 좌측 판부(35)와, 상기 좌측 판부(35)와 이격되게 상기 베이스 인스톨부(32)에서 상향 돌출된 우측 판부(36)와, 상기 좌측 판부(35)와 우측 판부(36)의 상단에 형성되고 일측에 배수홀(37a)이 형성된 상측 박스부(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측 박스부(37)에는 상기 배수홀(37a)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캐비닛(10)의 일측을 관통하여 타단이 상기 캐비닛(10)의 외부로 연장되는 배수 호스(38)가 연결된다.
상기 베이스(30)는 플라스틱 사출되어 성형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상기 드레인 팬부(34)를 베이스 인스톨부(32)와 일체로 돌출 성형하기 위해 상기 드레인 팬부(34) 특히, 상기 상측 박스부(37)의 하부에 개구부(30a)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30)는 상기 개구부(30a)의 하단을 막도록 상기 베이스 인스톨부(32)의 저면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베이스 커버(30b)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30)는 상기 베이스 인스톨부(32)의 저면이 실내의 바닥과 직접 접촉되는 것도 가능하고, 실내의 바닥과 접촉되는 별도의 베이스 패널(39) 위에 올려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상기 베이스(30)는 상기 베이스 인스톨부(32)가 올려져 체결되는 베이스 패널(39)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메인 프레임(40)은 상기 베이스(30)의 좌측 상부에 배치된 좌측 패널(41)과, 상기 베이스(30)의 우측 상부에 배치된 우측 패널(42)과, 상기 베이스(30)의 후방 상부에 배치된 후면 패널(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좌측 패널(41)에는 그 하측부에 상기 좌측 흡입구(11)가 좌우로 개구된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좌측 패널(41)에는 상기 좌측 흡입구(11)에 배치된 좌측 흡입 그릴(44)이 결합된다.
상기 좌측 흡입 그릴(44)에는 상기 좌측 흡입 그릴(44)을 통과한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름되는 좌측 프리 필터(45a)가 착탈된다.
상기 좌측 패널(41)에는 상기 좌측 프리 필터(45a)를 통과한 공기를 정화하는 헤파 필터나 전기 집진기 등의 좌측 고성능 필터(45b)가 구비되는 바, 상기 좌 측 패널(41)에는 상기 좌측 고성능 필터(45b)가 착탈되는 좌측 필터 가이드(45c)가 설치된다.
상기 우측 패널(42)은 상기 좌측 패널(41)과 좌우 대칭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우측 패널(42)은 그 하부에 상기 우측 흡입구(12)가 좌우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우측 패널(42)에는 상기 우측 흡입구(12)에 배치되는 우측 흡입 그릴(47)이 결합된다.
상기 우측 흡입 그릴(47)에는 상기 우측 흡입 그릴(47)을 통과한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름되는 우측 프리 필터(48a)가 착탈된다.
상기 우측 패널(42)에는 우측 프리 필터(48a)를 통과한 공기를 정화하는 헤파 필터나 전기 집진기 등의 우측 고성능 필터(48b)가 구비되는 바, 상기 우측 패널(42)에는 상기 우측 고성능 필터(48b)가 착탈되는 우측 필터 가이드(48c)가 설치된다.
상기 후면 패널(43)은 그 일측에 상기 배수 호스(38)와 후술하는 열교환기(70)의 냉매배관이 관통되는 배관 관통홀(43a)이 형성된 배관 커버(43b)가 장착되는 바, 그 하부에 상기 배관 커버(43b)가 장착되는 배관 커버 장착부(43c)가 구비된다.
상기 후면 패널(43)에는 상기 좌측 패널(41)에 돌출되게 구비된 후크가 삽입되어 걸어지는 걸이홀(미도시)과, 상기 우측 패널(42)에 돌출되게 후크가 삽입되어 걸어지는 걸이홀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패널(50)은 상기 캐비닛(10) 내 부품의 서비스가 용이토록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에 전후방향으로 여닫힘 가능토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론트 패널(50)에는 좌,우측 중 일측 상,하단에 각각 상기 베이스(30) 또는 상기 탑 커버(52)에 회전 가능토록 끼워지는 힌지 축(50a)(50b)이 구비된다.
상기 프론트 패널(50)은 마그네트를 이용한 자력 또는 후크, 래치 등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을 닫힌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프론트 패널(50)에는 상기 프론트 패널(50)의 개폐가 용이토록 프론트 패널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탑 커버(52)는 상기 캐비닛(10)과 헤드(20)가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공기가 출입할 수 있는 탑 커버 홀(52a)이 형성된 링 구조로 구비된다.
상기 탑 커버(52)는 상기 메인 프레임(40)의 상측에 올려져서 상기 메인 프레임(40)과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53)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한 탑 커버(52)는 시각적 이미지 강화를 위해 상기 메인 프레임(40)이나 프론트 패널(50)과 상이한 색상이나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10)은 상기 프론트 패널(50)이 열렸을 때 상기 캐비닛(10)의 복잡한 내부가 차폐될 수 있도록(도 4 참조), 상기 프론트 패널(50)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40)의 개방된 전면을 적어도 일부 덮는 프론트 이너 패널(54)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이너 패널(54)은 상기 메인 프레임(40)의 개방된 전면을 전부 덮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40)의 개방된 전면 일부만을 덮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40)의 개방된 전면 일부만을 덮되 둘 이상의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메인 프레임(40)의 개방된 전면을 전부 덮도록 구비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프론트 이너 패널(54)에는 상기 캐비닛(10)의 내부 서비스를 위해 서비스 홀(54a)이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고, 상기 서비스 홀(54a)의 개폐를 위해 상기 각 서비스 홀(54a)에 배치되는 프론트 이너 커버 패널(54b)이 포함된다.
상기 서비스 홀(54a)은 각각 후술할 송풍기(60)와 열교환기(70), 헤드 회전 유닛(20')과 각각 대응되도록 3개가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프론트 이너 커버 패널(54b)은 상기 프론트 이너 패널(54)과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55)에 의해 착탈되는 것도 가능하고, 힌지 구조에 의해 여닫힘 가능토록 구비되는 것을 가능하다.
상기 프론트 이너 커버 패널(54b)에는 상기 프론트 이너 커버 패널(54b)의 취부가 용이토록 프론트 이너 커버 패널 손잡이(54c)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이너 커버(54)에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무선 운전 조작을 위한 리모콘(56) 등의 악세서리 보관이 가능토록 악세서리 보관부(54d)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10)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40)의 모서리에 상기 공기조화 기의 실내기(1)의 운전 조작 내지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의 운전 상황 표시 등의 목적을 위한 디스플레이(58)가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송풍기 및 열교환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한 캐비닛(10) 내부에는 상기 캐비닛(10) 내 상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10) 외부의 공기를 상기 좌측, 우측 흡입구(11)(12)를 통해 흡입시켜 상기 캐비닛(10)의 상부를 향해 송풍시키는 송풍기(60)가 설치된다.
상기 송풍기(60)는 상기 열교환기(70)의 상측에 설치된 송풍기 모터 마운터(61)와, 상기 송풍기 모터 마운터(61)에 설치된 송풍기 모터(62)와, 상기 송풍기 모터(62)의 회전축(62a)에 축설된 송풍팬(64)과, 상기 송풍기 모터 마운터(61)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팬(64)을 둘러싸는 오리피스(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송풍팬(64)은 원통형의 허브(64a)와, 상기 허브(64a)의 외둘레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블레이드(64b)와, 상기 허브(64a)의 내부에 수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송풍기 모터(62)의 회전축(62a)이 결합되는 원판부(64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블레이드(64b)는 상면이 오목하고 하면이 볼록한 활 모양의 단면을 갖는다.
상기 오리피스(66)는 상기 열교환기(70)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고, 중앙부의 유로가 상부 및 하부의 유로 보다 좁게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송풍기 및 열교환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한 캐비닛(10) 내부에는 상기 캐비닛(10) 내 하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10) 내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시키는 열교환기(70)가 설치된다.
상기 열교환기(70)는 제 1 열교환부(71)와, 상기 제 1 열교환부(71)와 이격되게 배치된 제 2 열교환부(72)와, 상기 제 1 열교환부(71)와 제 2 열교환부(72) 사이의 전면과 배면 중 일측을 막도록 결합된 제 1 커버(73)와, 상기 제 1 열교환부(71)와 제 2 열교환부(72) 사이의 전면과 배면 중 타측를 막도록 결합된 제 2 커버(7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열교환부(71)는 하단이 상기 드레인 팬부(34)에 올려지고, 상단이 상기 좌측 패널(41)의 좌측 흡입구(11)의 상측을 향하도록 상기 좌측 흡입구(11)의 우측에 좌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제 2 열교환부(72)는 하단이 상기 드레인 팬부(34)에 올려지고, 상단이 상기 우측 패널(42)의 우측 흡입구(12)의 상측을 향하도록 상기 우측 흡입구(12)의 좌측에 우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열교환기(70)는 상기 제 1 커버(73)의 상단 좌측과 상기 제 2 커버(74) 의 상단 좌측에 체결부재로 체결되어 상기 열교환기(70)의 상단 좌측과 상기 좌측 패널(41) 사이를 막는 좌측 기밀 부재(75)와, 상기 제 1 커버(73)의 상단 우측과 상기 제 2 커버(74)의 상단 우측에 체결부재로 체결되어 상기 열교환기(70)의 상단 우측과 상기 우측 패널(42) 사이를 막는 우측 기밀부재(7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열교환기(70)는 상기 좌측 패널(41)과 우측 패널(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된다. 상기 열교환기(70) 특히, 상기 제 1 커버(73)에는 좌측 브라켓(80)이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81)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좌측 브라켓(80)이 상기 좌측 패널(41)에 걸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70) 특히, 상기 제 1 커버(73)에는 우측 브라켓(82)이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83)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우측 브라켓(90)이 상기 우측 패널(42)에 걸어 고정된다.
상기 열교환기(70)는 제 1 커버(74)의 상단에 ‘??’자 단면 모양으로 절곡되는 절곡부(84)가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84)에는 그 전면부에 영구자석(85)이 장착된다.
상기 절곡부(84)는 그 상면부가 상기 송풍기 모터 마운터(61) 및 오리피스(66)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86)를 통해 체결된다.
상기 열교환기(70)는 상기 후면 패널(43)과 후방 브래킷(87)으로 고정된다.
상기 열교환기(70)는 상기 열교환기(70) 특히, 제 1 열교환부(71)와 제 2 열교환부(72)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는 냉매 배관(3)의 일측을 상기 열교환기(70) 특히 제 1 커버(73)에 고정하는 냉매 배관홀더(8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열교환기(70)는 상기 냉매 배관(3)이 상기 제 1 커버(73)를 관통하여 제 1 커버(73)의 전방을 따라 연장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커버(73)에 형성된 배관 관통홀(73a)과, 상기 배관 관통홀(73a)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배관 관통홀(73a)을 관통한 냉매배관(3)의 일부를 덮는 배관 커버(89)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5에 도시된 헤드와 헤드 회전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헤드(20)는 원형 구조인 것도 가능하고, 다각형 구조도 가능하며,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다각형 구조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다각형 구조의 헤드(20)는 사면체인 것도 가능하고 오면체인 것도 가능하고 육면체인 것도 가능하는 등 다각형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며,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대략 육면체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헤드(20)는 상기 캐비닛(10)의 상측에 배치되는 헤드 베이스 패널(100)과, 상기 헤드 베이스 패널(100)의 상측에 올려지고 상,하면이 개방된 헤드 메인 프레임(110)과, 상기 헤드 메인 프레임(110)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헤드 탑 패널(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헤드 베이스 패널(100)은 상기 캐비닛(10)과의 일체감을 위해 그 크기가 상기 캐비닛(10)의 상면 크기와 대략 같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헤드 베이스 패널(100)에는 상기 캐비닛(10) 내 공기가 상기 헤드(20)로 송풍될 수 있도록 상기 헤드(20)가 상기 캐비닛(10) 내부와 연통되게 하는 헤드 홀(101)이 형성된다. 상기 헤드 홀(101)은 상기 캐비닛(10) 내 공기가 상기 헤드(20) 내부로 원활히 송풍될 수 있도록 상기 헤드 베이스 패널(100)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헤드 베이스 패널(100)에는 상기 헤드 회전 유닛(20') 중 후술할 종동 기어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102)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 홀(103)이 적어도 하나 형성된다.
상기 헤드 베이스 패널(100)은 상기 캐비닛(10)의 상측에 올려지되, 상기 캐비닛(10)과 간섭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헤드(20)와 캐비닛(10) 사이가 최소 틈새를 유지토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헤드 메인 프레임(110)은 상기 헤드 메인 프레임(110)의 사면을 각각 이루는 제1~제4사이드 패널(111~11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제4사이드 패널(111~114)은 일체로 성형되는 것도 가능하고, 각각 개별적으로 성형되어 조립되는 것도 가능하고, 2분할 또는 3분할로 성형되어 조립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각각 개별적으로 성형되어 조립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제4사이드 패널(111~114) 중 3개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헤드(20)의 삼면에 토출 기류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제1,2,3토출구(21)(22)(23)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된다.
이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20)가 상기 캐비닛(10)과 일자로 합치되도록 위치된 경우, 상기 제1~제4사이드 패널(111~114) 중 상기 캐비닛(10)의 후면 패널(43)과 일자로 합치되는 제4사이드 패널(114)은 상기 캐비닛(10)의 후면 패널(43)과 함께 실내의 벽 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제4 사이드 패널(111~114) 중 상기 제4사이드 패널(114)을 제외하고 제1,2,3사이드 패널(111)(112)(113)에는 각각 상기 제1,2,3토출구(21)(22)(23)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사이드 패널(111)에 상기 제1토출구(21)가 형성되고, 상기 제2사이드 패널(112)에 상기 제2토출구(22)가 형성되고, 상기 제3사이드 패널(113)에 상기 제3토출구(23)가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2,3사이드 패널(111)(112)(113)에는 각각 상기 제1,2,3토출구(21)(22)(23)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토록 배치되는 상기 제1,2,3토출 루버(24)(25)(26)가 결합된다.
상기 제1,2,3토출 루버(24)(25)(26)는 각각 상기 제1,2,3토출구(21)(22)(23) 측에 각각 회전 가능토록 배치된 제1,2,3토출 루버 블레이드(24a)(25a)(26a)와, 상기 제1,2,3토출 루버 블레이드(24a)(25a)(26a)에 고정되고 상기 제1,2,3사이드 패널(111)(112)(113)에 회전 가능토록 끼움 결합된 제1,2,3토출 루버 축(24b)(25b)(26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2,3토출 루버 축(24b)(25b)(26b)은 상기 제1,2,3토출 루버 블레이드(24a)(25a)(26a)의 하단에 결합된다.
상기한 제1,2,3토출 루버(24)(25)(26)는 각각 제1,2,3토출 루버 구동 유닛(130)(140)(150)에 의해 자동 개폐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제1토출 루버 구동 유닛(130)은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토출 루버 모터(132)와, 상기 제1토출 루버 모터(132)의 회전축(131)에 축설되고 상기 제1토출 루버(24)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회전토록 연계된 제1드라이브 피니언 기어(134)와, 상기 제1드라이브 피니언 기어(134)와 치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제1랙 기어(136)와, 상기 제1랙 기어(136)와 치합되고 상기 제1드라이브 피니언 기어(134)와 치합되지 않은 제1토출 루버(24)와 일체로 회전토록 연계된 제1드리븐 피니언 기어(138)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토출 루버 모터(132)는 상기 헤드(20)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제1랙 기어(136)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제1기어 하우징(139) 외측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131)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제1드라이브 피니언 기어(134)는 상기 제1토출 루버(24) 특히 제1토출 루버 축(24b)과 결합된다.
상기 제1랙 기어(136)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기어 하우징(139)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토록 삽입 설치된다.
상기 제1드리븐 피니언 기어(138)는 상기 제1토출 루버(24) 특히 제1토출 루버 축(24b)과 결합된다.
상기 제1드리븐 피니언 기어(138)는 상기 제1토출 루버(24)가 360도 회전되지 않고 일 예로써 대략 90도 회전 범위 내에서 회전되므로, 상기 제1드라이브 피 니언 기어(134)처럼 원형이 아니라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2토출 루버 구동 유닛(140) 또한 상술한 제1토출 루버 구동 유닛(130)과 마찬가지로, 제2토출 루버 모터(142)와, 제2드라이브 피니언 기어(144)와, 제2랙 기어(146)와, 제2드리븐 피니언 기어(148), 그리고 제2기어 하우징(149)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토출 루버 구동 유닛(150) 또한 상술한 제1토출 루버 구동 유닛(130)과 마찬가지로, 제3토출 루버 모터(152)와, 제3드라이브 피니언 기어(154)와, 제3랙 기어(156)와, 제3드리븐 피니언 기어(158), 그리고 제3기어 하우징(159)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헤드(20)에는 신속한 냉,난방을 위해 토출 기류가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쪽을 향해 집중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헤드(20)에 설치되어 실내의 온도 분포를 센싱하는 적외선 센서(27)(28)(29)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센서(27)(28)(28)는 실내의 온도 분포 센싱 정확도를 위해 상기 헤드(20)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5에 도시된 헤드와 헤드 회전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헤드 회전 유닛(20')은 상기 헤드(20) 특히 헤드 베이스 패널(100)과 대향되도록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고정된 헤드 회전 유닛 브래킷(160)과, 상기 헤드 회전 유닛 브래킷(160)과 상기 헤드(20) 특히 헤드 베이스 패널(100) 패널 사이에 설치된 헤드 베어링(170)과, 상기 헤드(20)가 상기 헤드 회전 유닛 브래킷(16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하는 헤드 홀더(180)와, 헤드 회전 유닛 모터(190)(192)와, 헤드 회전 구동력 전달 기구(200)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 회전 유닛 브래킷(160)은 상기 헤드(20)를 지지토록 상기 캐비닛(10)의 개방된 상면에 배치된다.
상기 헤드 회전 유닛 브래킷(160)은 상기 송풍기(60)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캐비닛(10)에 직접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송풍기(60)에 올려져 상기 송풍기(60)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송풍기(60)에 올려지되 상기 캐비닛(10)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송풍기(60)의 진동을 직접 전달받지 않도록 상기 송풍기(60)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캐비닛(10)에 직접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헤드 회전 유닛 브래킷(160)은 상기 캐비닛(10)의 개방된 상면에 배치되는 바, 상기 캐비닛(10) 내부가 은닉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10)의 개방된 상면을 완전히 덮을 수 있는 크기의 브래킷 메인 패널(161)을 포함한다.
상기 브래킷 메인 패널(161)은 상기 헤드 회전 유닛 브래킷(160)과 헤드(20) 특히 헤드 베이스 패널(100) 사이에 상기 헤드 회전 유닛 모터(190)(192)와 상기 헤드 회전 구동력 전달기구(200)가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헤드(20) 특히 헤드 베이스 패널(100)과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다.
상기 헤드 회전 유닛 브래킷(160)은 상기 캐비닛(10)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162)를 통해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브래킷 메인 패널(161)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10)에 면접되는 브래킷 체결 보스(163)를 포함한다.
상기 브래킷 체결 보스(163)는 적어도 둘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헤드 회전 유닛 브래킷(160)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헤드 회전 유닛 브래킷(160)은 상기 브래킷 메인 패널(161)이 상기 캐비닛(10)의 개방된 상면을 완전히 덮는 바, 상기 캐비닛(10)과 헤드(20)의 연통을 위해 공기가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브래킷 메인 패널(161)에 형성된 브래킷 홀(164)을 포함한다.
상기 브래킷 홀(164)은 송풍 효율 극대화를 위해 상기 캐비닛(10)에서 상기 헤드(20)를 향하는 공기가 수직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헤드(20)의 헤드 홀(101)과 서로 상하방향으로 중심이 일치하도록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래킷 홀(164)은 송풍 효율 극대화를 위해 상기 송풍기(60)와 서로 중심이 일치하도록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헤드 회전 유닛 브래킷(160)은 송풍 효율 극대화를 위해 상기 캐비닛(10)에서 상기 헤드(20)를 향하는 공기의 상하 유동을 안내하는 에어 가이드 리브(165)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 가이드 리브(165)는 상기 브래킷 홀(164)을 에워싸고, 상기 브래킷 메인 패널(161)에서 상기 헤드(20)를 향해 돌출된 링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에어 가이드 리브(165)는 상기 브래킷 메인 패널(161)에서 상하방향으 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그 단면이 상기 캐비닛(10)에서 헤드(20)를 향해 일정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브래킷 메인 패널(161)에서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돌출되어 그 단면이 상기 캐비닛(10)에서 헤드(20)를 향해 갈수록 점차 줄어들거나 점차 늘어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헤드 회전 유닛 브래킷(160)은 상기 헤드(20)의 지지 및 상기 헤드 홀더(180)가 상하방향으로 걸림될 수 있도록 상기 브래킷 메인 패널(161)로부터 상기 헤드(20)를 향해 돌출된 브래킷 플랜지(166)를 포함한다.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는 상기 브래킷 메인 패널(161)로부터 상기 헤드(20)를 향해 수직하게 돌출된 수직부(166a)와, 상기 브래킷 메인 패널(161)과 연결되지 않은 상기 수직부(166a)의 상단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헤드(20) 특히 헤드 베이스 패널(21)과 수평하게 배치되는 수평부(166b)로 이루어진다.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의 수직부(166a)는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가 상기 캐비닛(10)에서 상기 헤드(20)를 향하는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브래킷 메인 패널(161)에 상기 브래킷 체결 보스(163)와 상기 브래킷 홀(164)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의 수직부(166a)는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의 수평부(166b)와 상기 헤드(20) 특히 헤드 베이스 패널(100) 사이에 상기 헤드 베어링(170)이 배치되고, 상기 헤드 홀더(180)가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의 수평부(166b)와 상기 브래킷 메인 패널(161) 사이에 걸어질 수 있도록 그 상하방향 길 이가 결정된다.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의 수평부(166b)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 안쪽에 상기 헤드 회전 유닛 모터(190)(192)와 상기 헤드 회전 구동력 전달 기구(200)가 위치되는 바,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의 수직부(166a)로부터 상기 헤드 회전 유닛 브래킷(160)의 외측을 향해 절곡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브래킷 플랜지(166)는 상기 헤드(20)의 회전여부와 상관없이 항상 상기 헤드(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링 구조로 구비된다.
상기 헤드 회전 유닛 브래킷(160)에는 상기 헤드 회전 유닛 모터(180)를 견실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 회전 유닛 모터(180)가 설치되는 헤드 회전 유닛 모터 설치부(167)가 포함된다.
상기 헤드 회전 유닛 모터 설치부(167)는 상기 헤드 회전 유닛 모터(190)(192)가 상기 캐비닛(10)에서 헤드(20)를 향하는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브래킷 메인 패널(161)에 상기 브래킷 홀(164)과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 사이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헤드 회전 유닛 모터 설치부(167)는 상기 브래킷 메인 패널(161)에 상기 에어 가이드 리브(165)와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홈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헤드 회전 유닛 브래킷(160)은 상기 헤드(20)의 좌우방향 회전을 안내토록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에 구비된 헤드 가이드 리브(168)가 포함된다.
상기 헤드 가이드 리브(168)는 상기 헤드 가이드 리브(168) 내부에 상기 헤드 베어링(17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에서 상기 헤드(20)를 향해 수직하게 돌출된다.
상기 헤드 가이드 리브(168)는 상기 헤드(20)의 회전시 상기 헤드(20)의 회전을 항상 안내할 수 있도록 링 구조로 구비된다.
상기 헤드 가이드 리브(168)는 상기 헤드(20) 특히 상기 헤드 베이스 패널(100)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의 수평부(166b)와 상기 헤드(20) 특히 헤드 베이스 패널(100) 사이 간격보다 그 상하 길이가 더 짧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 헤드 베어링(170)은 상기 헤드(20)의 회전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헤드(20) 특히 헤드 베이스 패널(100)에 고정되어 상기 헤드 회전 유닛 브래킷(160) 특히 브래킷 플랜지(166)의 수평부(166b)와 선 접촉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헤드 회전 유닛 브래킷(160) 특히 브래킷 플랜지(166)의 수평부(166b)에 고정되어 상기 헤드(20) 특히 상기 헤드 베이스 패널(100)에 선 접촉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헤드(20)에 고정되고 상기 헤드 회전 유닛 브래킷(160)에 선 접촉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헤드 베어링(170)은 상기 헤드(2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적어도 둘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헤드(20)의 균형적인 지지를 위해 상기 헤드(20)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헤드 베어링(170)은 상기 헤드(20) 특히 헤드 베이스 패널(100)과 상 기 헤드 회전 유닛 브래킷(160) 특히 브래킷 플랜지(166)의 수평부(166b) 사이에 회전 가능토록 배치되는 헤드 베어링 롤러(172)와, 상기 헤드(20) 특히 헤드 베이스 패널(100)에 고정되어 상기 헤드 베어링 롤러(172)를 회전 가능토록 지지하는 헤드 베어링 롤러 레그(174)로 이루어진다.
상기 헤드 베어링 롤러(172)는 상기 헤드(20)의 수평면 중심(H)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헤드 베어링 롤러(172)의 축(172a)이 상기 헤드(20)의 수평면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원의 반경방향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헤드 베어링 롤러(172)는 상기 헤드 회전 유닛 브래킷(160)에 의해 견실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그 회전 방향을 안내받을 수 있도록, 상기 헤드 가이드 리브(168) 내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헤드 베어링 롤러 레그(174)는 상기 헤드(20) 특히 상기 헤드 베이스 패널(100) 아래에서 상기 헤드 베이스 패널(100)을 관통되게 설치된다.
다음, 상기 헤드 홀더(180)는 상기 헤드(20) 특히 상기 헤드 베이스 패널(100)에 일체화되고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에 걸림되는 후크 구조의 헤드 홀더 후크(182)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 홀더 후크(182)는 상기 헤드(20) 특히 헤드 베이스 패널(100)에서 상기 헤드 회전 유닛 브래킷(160)을 향해 수직하게 돌출된 수직부(182a)와,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와 브래킷 메인 패널(161)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 하측에서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에 걸리도록 상기 헤드 홀더 후크(182)의 수직부(182a)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수평부(182b)로 이루어진다.
상기 헤드 홀더 후크(182)의 수직부(182a)는 상기 헤드 홀더 후크(182)와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 간 마찰 방지를 위해, 상기 헤드 홀더 후크(182)의 수평부(182b)가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도록 그 상하방향 길이가 결정된다.
상기한 헤드 홀더 후크(182)는 상기 헤드(2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적어도 둘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헤드(20)의 균형적인 지지를 위해 상기 헤드(20)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헤드 홀더(180)는 상기 헤드(20)의 견실한 지지 및 상기 헤드(2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상기 헤드 홀더 후크(182)와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 사이에 위치된 홀더 베어링(184)을 포함한다.
상기 홀더 베어링(184)은 상기 헤드 홀더 후크(182)에 고정되어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의 수평부(166b)와 선 접촉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와 반대로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의 수평부(166b)에 고정되어 상기 헤드 홀더 후크(182)에 선 접촉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헤드 홀더 후크(182)에 고정되고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의 수평부(166b)에 선 접촉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홀더 베어링(184)은 상기 헤드 홀더 후크(182)의 수평부(182b)와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의 수평부(166b) 사이에 회전 가능토록 배치되는 홀더 베어링 롤러(185)와, 상기 헤두 홀더 후크(182)의 수평부(182b)에 고정되어 상기 홀더 베어링 롤러(185)를 회전 가능토록 지지하는 홀더 베어링 롤러 레그(186)로 이루어 진다.
상기 홀더 베어링 롤러(185)는 상기 헤드(20)의 수평면 중심(H)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홀더 베어링 롤러(185)의 축(185a)이 상기 헤드(20)의 수평면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원의 반경방향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홀더 베어링(184)은 상기 헤드(2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적어도 둘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헤드(20)의 균형적인 지지를 위해 상기 헤드(20)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홀더 베어링(184)은 상기 헤드(20)의 견실한 지지 및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의 처짐 방지를 위해 상기 헤더 베어링(170)과 상하방향으로 일렬 배열된다. 즉 상기 홀더 베어링(184)은 상기 브래킷 플랜지(166)를 중심으로 상기 헤더 베어링(170)과 상하방향으로 대향 배치된다.
상기 헤드 회전 유닛 모터(190)(192)는 상기 헤드 회전 유닛 브래킷(160) 특히 헤드 회전 유닛 모터 설치부(167)에 위치되어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194)(195)에 의해 상기 헤드 회전 유닛 브래킷(160) 특히 브래킷 메인 패널(161)에 고정된다.
상기 헤드 회전 유닛 모터(190)(192)는 AC 모터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헤드(20)의 안정적이고 균형적인 회전을 위해 적어도 둘 이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헤드 회전 유닛 모터(190)(192)의 회전축(191)(193)은 상기 헤드 회전 유닛 모터(190)(192)에서 상기 헤드(20)를 향해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헤드 회전 구동력 전달 기구(200)는 상기 헤드 회전 유닛 모터(190)(192)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상기 헤드(20)가 좌우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헤드 회전 유닛 모터(190)(192)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헤드(20)에 전달하는 것으로서, 벨트-풀리 또는 기어 세트 또는 링크 등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기어 세트 방법으로 구현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헤드 회전 구동력 전달 기구(200)는 상기 헤드 회전 유닛 모터(190)(192)에 의해 구동되는 드라이브 기어(201)(202)와, 상기 드라이브 기어(201)(202)와 상시 치합되고 상기 헤드(20) 특히 상기 헤드 베이스 패널(100)에 고정된 드리븐 기어(204)로 이루어진다.
상기 드라이브 기어(201)(202)는 상기 헤드 회전 유닛 모터(190)(192)와 일대일 대응되도록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된다.
상기 드라이브 기어(201)(202)는 상기 헤드 회전 유닛 모터(190)(192)의 회전축(191)(193)에 축설된다.
상기 드라이브 기어(201)(202)는 상기 드리븐 기어(204)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고, 기어치수 또한 적도록 구비된다.
상기 드라이브 기어(201)(202)는 상기 헤드 회전 유닛 모터(190)(92)와 상기 헤드(20) 특히 헤드 베이스 패널(100) 사이에 위치되므로, 상기 헤드(20) 특히 헤드 베이스 패널(100)과 간섭되지 않도록 특히 상기 헤드 베이스 패널(100)과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토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리븐 기어(204)는 상기 드라이브 기어(201)(202)와 외접토록 상기 드라이브 기어(201)(202)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드리븐 기어(204)는 상기 캐비닛(10)에서 상기 헤드(20)로 향하는 공기를 방해하지 않도록, 즉 상기 헤드(20) 특히 헤드 베이스 패널(100)에 형성된 헤드 홀(101)을 가리지 않도록 그 중앙에 공기가 출입할 수 있는 에어 홀(204a)이 형성된 링형 구조로 구비된다.
상기 드리븐 기어(204)는 상기 헤드(20) 특히 상기 헤드 베이스 패널(1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헤드 베이스 패널(100)에 면접되어 체결되는 드리븐 기어 보스(204b)가 구비된다.
상기 드리븐 기어 보스(204b)는 상기 드리븐 기어(204)가 상기 드라이브 기어(201)(202)와 외접하므로 상기 드리븐 기어(204) 내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리븐 기어 보스(204b)는 상기 드리븐 기어(204)의 안정적이고 균형적인 체결을 위해 적어도 둘 이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드리븐 기어(204)의 둘레방향으로 따라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리븐 기어(204)는 상기 드리븐 기어(204) 직 하방에 상기 헤드 회전 유닛 브래킷(160) 특히 에어 가이드 리브(165)가 위치되므로 상기 에어 가이드 리브(165)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토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 운전 정지시에는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 이, 상기 헤드(20) 및 송풍기(60)가 회전되지 않고, 상기 제1,2,3토출구(21)(22)(23)가 상기 제1,2,3토출 루버(24)(25)(26)에 의해 닫혀진다.
이 때 상기 헤드(20)는 시각적인 이미지를 위해 상기 캐비닛(10)과 상하방향으로 일자로 합치된 상태로 정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20)가 상기 캐비닛(10)과 상하방향으로 일자로 합치된 상태일 때, 상기 헤드(20)의 회전각을 0도라 한다.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에 운전시에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의 운전 조건 선택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양하게 운전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의 운전 일 예로써,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의 운전 명령과 더불어 상기 헤드(20)가 회전되게 하는 헤드 회전 모드 및 상기 제1,2,3토출구(21)(22)(23)가 모두 개방되도록 제1,2,3 토출구 개방 모드가 입력된 경우,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는 다음과 같이 운전된다.
상기 헤드 회전 유닛 모터(190)(192)가 구동되고, 상기 헤드 회전 유닛 모터(190)(192)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상기 드라이브 기어(201)(202)가 회전되며, 상기 드라이브 기어(201)(202)의 회전에 의해 상기 드리븐 기어(204)가 회전된다.
상기 드리븐 기어(204)가 회전되면, 상기 드리븐 기어(204)와 일체로 상기 헤드(20)가 좌우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때 상기 헤드 회전 유닛 모터(190)(192)는 상기 헤드(20)가 좌측방향과 우측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만 연속 회전되도록 제어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헤드(20)가 좌측방향과 우측방향으로 번갈아 가면서 왕복 회전되도록 제어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헤드(20)가 좌우방향으로 왕복 회전되는 경우, 상기 헤드(20)의 왕복 회전 범위는 1가지 모드 이상으로 기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1,2,3토출 루버 모터(136)(146)(156)가 구동되고, 상기 제1,2,3토출 루버 모터(136)(146)(156)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제1,2,3피니어 기어(134)(144)(154)가 회전되며, 상기 제1,2,3피니언 기어(134)(144)(154)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2,3랙 기어(132)(142)(152)가 상하 이동되며, 상기 제1,2,3랙 기어(132)(142)(152)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2,3토출 루버 축(24b)(25b)(26b)가 회전되면서 상기 제1,2,3토출 루버(24)(25)(26)가 상하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2,3토출구(21)(22)(23)가 개방된다.
이 때 상기 제1,2,3토출 루버 모터(136)(146)(156)는 상기 제1,2,3토출구(21)(22)(23)가 개방된 후 정지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2,3토출 루버 모터(136)(146)(156)는 상기 제1,2,3토출구(21)(22)(23)가 완전 개방되도록 기 설정되거나, 사용자의 운전 조작 선택에 따라 상기 제1,2,3토출구(21)(22)(23)가 완전 개방되거나 일부만 개방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3토출 루버 모터(136)(146)(156)는 상기 제1,2,3토출 루버(24)(25)(26)가 상하방향으로 왕복 회전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송풍기 모터(62)가 구동되고 상기 송풍기 모터(62)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상기 송풍팬(64)이 회전되면서 상기 캐비닛(10)에서 상기 헤드(20)를 향 하는 방향으로 송풍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캐비닛(10) 외부 공기가 상기 송풍기(60)의 송풍력에 의해 상기 좌측 흡입구(11)와 우측 흡입구(12)로 송풍되고, 상기 좌측 흡입구(11)와 우측 흡입구(12)로 송풍된 공기가 상기 좌측 흡입구(11)와 우측 흡입구(12)를 통해 상기 캐비닛(10) 내부로 흡입되면서 상기 좌측,우측 프리 필터(45a)(48a) 및 좌측,우측 고성능 필터(45b)(48b)에 필터링된다.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흡입된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70)를 통과하면서 상기 열교환기(70) 내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각/가열된다.
상기와 같이 가열 또는 냉각된 공기는 상기 좌측 열교환부(71)과 우측 열교환부(72) 사이 공간에서 혼합된 후, 상기 좌측 열교환부(71)과 우측 열교환부(72)의 사이의 상부로 흡입되어 상기 송풍기(60) 특히 오리피스(66)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오리피스(66)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송풍팬(64)의 상부로 회오리류를 형성하면서 송풍된다.
상기 송풍팬(64)의 상부로 송풍된 회오리류의 공기는 상기 오리피스(66) 상측으로 토출된 후, 상기 헤드 회전 유닛 브래킷(160)의 브래킷 홀(164)과 상기 헤드(20) 특히 헤드 베이스 패널(110)의 헤드 홀(101)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헤드(20)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헤드(20)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1,2,3토출구(21)(22)(23)를 통해 상기 헤드(20) 외부로 토출된다.
이 때 상기 헤드(20)로부터 토출되는 토출 기류는 상기 제1,2,3토출 구(21)(22)(23)가 모두 개방되고, 상기 헤드(20)가 좌우방향으로 왕복 회전되기 때문에 사방으로 신속히 분산됨과 아울러 역동적으로 유동될 수 있다.
또는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의 다른 운전 예로써, 상기 헤드(20)가 회전되고, 상기 제1,2,3토출구(21)(22)(23) 중 일부가 개방되고 그 나머지 닫히도록 운전 조작된 경우,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는 다음과 같이 운전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2,3토출구(21)(22)(23) 중 제1토출구(21)만 개방되고 제2,3토출구(22)(23)는 닫힌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의 운전 조건에서는 상술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의 운전 일 예와 같이, 상기 송풍기(60)의 송풍력에 의해 상기 캐비닛(10) 내부로 공기가 흡입된 후, 상기 열교환기(70)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되고, 상기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가 상기 헤드(20)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헤드(20)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1토출구(21)만 개방되고, 상기 제2,3토출구(22)(23)가 닫혀 있는 바, 상기 개방된 제1토출구(21)를 통해서만 상기 헤드(20) 외부로 토출된다.
이 때 상기 헤드(20)가 좌우방향으로 왕복 회전되기 때문에 사방으로 신속히 분산됨과 아울러 역동적인 토출 기류가 형성됨은 물론, 상기 제1토출구(21)만 개방되고 상기 제2,3토출구(22)(23)는 닫혀 있기 때문에 상기 제1토출구(21)를 통해 집중 토출 기류 및 원거리 토출 기류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5 내지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의 또 다른 운전 예로써, 상기 헤드(20)가 회전되지 않고, 상기 제1,2,3토출구(21)(22)(23) 모두 개방되도록 운전 조작된 경우,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는 다음과 같이 운전된다.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의 운전 조건에서는 상술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의 운전 일 예와 같이, 상기 송풍기(60)의 송풍력에 의해 상기 캐비닛(10) 내부로 공기가 흡입된 후, 상기 열교환기(70)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되고, 상기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가 상기 헤드(20)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헤드(20)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1,2,3토출구(21)(22)(23)를 통해 사방으로 신속히 분산 토출되는데, 이 때 상기 헤드(20)가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헤드(20)가 회전되는 경우보다 정적인 토출 기류가 형성되어 차분한 분위기의 실내 환경이 조성될 수 있게 한다.
또는 도 5 내지 도 9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의 또 다른 운전 예로써, 상기 헤드(20)가 회전되지 않고, 상기 제1,2,3토출구(21)(22)(23) 중 일부가 개방되고 그 나머지 닫히도록 운전 조작된 경우,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는 다음과 같이 운전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2,3토출구(21)(22)(23) 중 제1토출구(21)만 개방되고 제2,3토출구(22)(23)는 닫힌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의 운전 조건에서는 상술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의 운전 일 예와 같이, 상기 송풍기(60)의 송풍력에 의해 상기 캐비닛(10) 내부로 공기가 흡입된 후, 상기 열교환기(70)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되고, 상기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가 상기 헤드(20)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헤드(20)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1토출구(21)만 개방되고, 상기 헤드(20)가 회전되지 않는 바, 상기 제1토출구(21)만을 통해서 특정한 곳을 향해 집중적으로 원거리 토출된다.
이 때 상기 제1토출구(21)가 특정한 곳을 향하도록 상기 헤드(20)가 상기 헤드 회전 유닛 모터(190)(192)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된 후 정지될 수 있다.
또는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의 또 다른 운전 예로써, 상기 헤드(20)가 상기 적외선 센서(27)(28)(28)의 센싱 결과에 따라 회전 제어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상기 제1,2,3토출구(21)(22)(23)는 상기 적외선 센서(27)(28)(29)의 센싱 결과에 따라 모두 개방되거나 일부만 개방될 수 있다.
즉, 상기 적외선 센서(27)(28)(29)의 센싱 결과, 실내의 특정 부위 온도 분포가 상대적으로 더 높으면, 상기 제1,2,3토출구(21)(22)(23)는 집중 토출 기류 형성을 위해 일부(예를 들어, 상기 제1토출구(21))만 개방되고, 상기 헤드(20)는 상기 제1,2,3토출구(21)(22)(23) 중 상기 개방된 토출구(예를 들어, 상기 제1토출구(21))가 상대적으로 온도 분포가 더 높은 곳을 향하도록 회전 제어될 수 있다.
그러면 토출 기류가 상대적으로 온도 분포가 더 높은 곳으로 집중 토출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온도 분포가 더 높은 곳이 상대적으로 온도 변화가 급변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실내가 신속하면서도 고르게 냉,난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적외선 센서(27)(28)(29)의 센싱 결과, 실내의 온도 분포가 전체적으로 고르면, 상기 제1,2,3토출구(21)(22)(23)가 모두 개방되게 하여 토출 기류가 사방으로 분산되면서 실내가 골고루 냉,난방되게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헤드(20)는 상기 헤드 회전 유닛(20')에 의해 회전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헤드 회전 유닛(20')에 의해 회전 구속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헤드 및 헤드 회전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헤드 회전 유닛의 헤드 회전 구동력 전달 기구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이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와의 중복 설명을 생략함과 아울러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와 동일 구성에 대하여 동일 부호를 병기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헤드 회전 구동력 전달 기구(300)는 상기 헤드 회전 유닛 모터(190)(192)에 의해 구동되는 드라이브 기어(301)(302)와, 상기 드라이브 기어(301)(302) 외측에 위치되어 상기 드라이브 기어(301)(302)가 내접되고 상기 헤드(20) 특히 상기 헤드 베이스 패널(100)에 고정된 드리븐 기어(304)로 이루어진 다.
상기 드라이브 기어(301)(302)는 상기 드리븐 기어(304)에 내접될 수 있도록 상기 드리븐 기어(304)의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드리븐 기어(304)는 상기 헤드 베이스 패널(100)에 형성된 헤드 홀(101)에 합치된 링형 구조로 구비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헤드 및 헤드 회전 유닛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헤드와 헤드 회전 유닛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이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와의 중복 설명을 생략함과 아울러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와 동일 구성에 대하여 동일 부호를 병기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헤드 회전 유닛(400)은 상기 헤드(20)와 직결된 회전축(411)을 갖는 하나의 헤드 모터(410)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 모터(410)는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캐비닛(10)과 헤드(20) 사이에 걸쳐지듯이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헤드(20) 내부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헤드(20) 내부에 위치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헤드 모터(410)가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위치되면, 상기 캐 비닛(10)의 상하방향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거나, 상기 캐비닛(10) 내 송풍기(60)나 열교환기(70) 등의 레이 아웃이 유리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헤드 모터(410)가 상기 헤드(20) 내부에 위치되면, 상기 회전축(411)이 상기 헤드(20)의 헤드 탑 패널(120)과 결합되는 경우 상기 회전축(511)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어 상기 헤드(20)가 안정적이고 균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헤드 회전 유닛(400)은 상기 캐비닛(10)에 고정되어 상기 헤드 모터(410)를 지지하는 헤드 모터 브래킷(420)이 더 포함된다.
상기 헤드 모터 브래킷(420)은 상기 헤드 모터(510)를 견실하게 지지하되, 상기 캐비닛(10)에서 헤드(20)를 향하는 공기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대략 삼발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헤드 모터 브래킷(420)은 상기 헤드 모터(410)를 받치고 상기 헤드 모터(410)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베이스부(422)와, 상기 베이스부(422)를 중심으로 대략 120°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부(422)에서 돌출되어 상기 캐비닛(10)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3개의 다리부(424)(425)(426)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헤드 모터 브래킷(420)은 상기 헤드 모터(410)가 상기 헤드(2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 위치된다.
한편, 상기 헤드(20)에는 상기 헤드(20) 내부에 위치된 상기 헤드 모터(410) 및 회전축(411) 은닉을 위해 상기 헤드 모터(410) 및 회전축(411)을 에워 싸는 헤드 이너 커버(4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헤드 이너 커버(430)는 상기 헤드(20) 특히 헤드 탑 패널(120)에서 상기 헤드(20)의 내부를 향해 수직하게 돌출되고, 상기 헤드 모터(410) 및 회전축(411)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로 개구된 링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헤드 이너 커버(430)에는 그 둘레면에 상기 헤드 모터(410)의 방열을 위한 방열 홀(431)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헤드 및 헤드 회전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헤드와 헤드 회전 유닛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이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와의 중복 설명을 생략함과 아울러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와 동일 구성에 대하여 동일 부호를 병기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헤드 회전 유닛(600)은 상기 헤드(20)와 직결되고 그 중심이 상기 헤드(20)의 수평면 중심(20')과 상하방향으로 일치하는 회전축(611)을 갖는 하나의 헤드 모터(61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611)은 상기 헤드(20)의 헤드 베이스 패널(100)에 고정된다. 이 때 상기 헤드 베이스 패널(100)에는 상기 헤드 베이스 패널(100)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611)과 결합되는 삼발이 구조의 회전축 브래킷(620)이 구비된다.
상기 헤드 모터(610)는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캐비닛(10) 내 헤드 모터 브래킷(6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헤드 모터 브래킷(630)은 상기 헤드 모터(510)를 견실하게 지지하되, 상기 캐비닛(10)에서 헤드(20)를 향하는 공기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대략 삼발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