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12126A - 원터치식 클립잠금장치를 이용한 기계식 철근이음장치 - Google Patents

원터치식 클립잠금장치를 이용한 기계식 철근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2126A
KR20080012126A KR1020070039144A KR20070039144A KR20080012126A KR 20080012126 A KR20080012126 A KR 20080012126A KR 1020070039144 A KR1020070039144 A KR 1020070039144A KR 20070039144 A KR20070039144 A KR 20070039144A KR 20080012126 A KR20080012126 A KR 20080012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ans
reinforcing bar
reinforcing
bars
reinforcing bar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9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5173B1 (ko
Inventor
조상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70039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5173B1/ko
Publication of KR20080012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2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5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517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F16B7/041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F16B7/042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with a locking element, e.g. pin, ball or pushbutton, engaging in a hole in the wall of at least on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터치식 클립잠금장치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잠겨지도록 함으로써 손쉽게 철근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철근 이음의 결합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는 철근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양측 철근(2)의 단부 외면에 대응되는 내면 형상을 가지고 있어 양측 철근(2)의 단부 각각에서 철근(2)의 외면에 접하여 감싸는 내측고정수단(10)과; 일측에 형성된 힌지부(21)에 의하여 서로 회전하여 개폐되는 제1분할부(20a) 및 제2분할부(20b)로 구성되어 있으며, 힌지부(21)의 반대편 측면에는 원터치식 클립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있고, 제1분할부(20a) 및 제2분할부(20b)가 폐쇄된 상태에서 그 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철근(2)의 양단부와 각각의 내부고정수단(10)이 밀착한 상태로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외부가압고정수단(20)을 포함하며; 외부가압고정수단(20)은, 내측고정수단(10)에 의하여 감싸진 철근(2)의 양측 단부가 수납공간에 위치한 상태에서 내측고정수단(10)을 외부에서 감싸서 가압하므로써 내측고정수단(10)과 철근(2)을 고정시켜 양측 철근(2)의 이음을 이루게 하는 기계식 철근이음장치가 제공된다.
철근, 이음, 클림, 잠금, 기계식, 원터치

Description

원터치식 클립잠금장치를 이용한 기계식 철근이음장치{APPARATUS FOR CONNECTING REINFORCING BARS MECHANICALLY USING ONE-TOUCH TYPE LOCKING DEVICE}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철근이음장치를 예시한 사시도d이다.
도 1b는 도 1a의 선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식 철근이음장치의 내부고정수단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내부고정수단이 철근의 외면에 접하여 감싸는 형상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식 철근이음장치의 외부가압고정수단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외부가압고정수단이 내부고정수단을 감싸는 형상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5a는 도 3에 도시된 외부가압고정수단에 구비된 원터치식 클립잠금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b는 철근의 외면에 내부고정수단이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가압고정수단에 수납되어 외부가압고정수단이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c는 도 5b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외부가압고정수단이 폐쇄되어 클립잠금장치에 의하여 잠긴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철근이음장치 2 : 철근
10 : 내부고정수단 12 : 전단키
15 : 내면 20 : 외부가압고정수단
20a : 제 1 분할부 20b : 제 2 분할부
25 : 전단키 삽입부 31 : 고리
31a : 고리 회전부 32 : 걸림돌기
33 : 회전공 35 : 조임쇠
본 발명은 원터치식 클립잠금장치를 이용한 기계식 철근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원터치식 클립잠금장치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잠겨지도록 함으로써 손쉽게 철근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철근 이음의 결합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는 철근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형 철근(이하, "철근"으로 약칭함)은 일정 규격으로 제한된 길이로 공장 제작되기 때문에 규격보다 더 긴 철근이 필요할 때에는, 이들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해야 한다. 이와 같이 철근을 서로 연결하여 이어주기 위해서 여러 가지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철근을 연결하는 종래의 철근 이음 방법으로는 겹침 이음 공법, 압점 이음 공법 등이 제안되어 있다. 겹침 이음 공법은 철근과 철근을 소요 이음 길이 이상으로 겹쳐서 배근하고 결속선으로 묶는 방식이다. 이는 배근 작업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철근의 직경이 큰 경우 편심에 의해 철근의 응력 집중이 일치되지 않아서 구조 내력 상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압점에 의한 철근 이음 방법은 철근과 철근의 단부를 이어서 맞댄 후 가열하고 압착하여 단부를 일체로 성형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압점 이음은 통상적으로 숙련된 작업자에 의해 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며 연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그리고 연결작업에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며, 가열로 인한 화재의 위험이 있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어 이를 적용하기가 쉽지 않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겹침 이음 공법 및 압점 이음 공법에서 발생 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기계식으로 철근을 이어주는 공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기계식 철근이음은 연결 부분에 형성된 나사식 조임구 등의 각종 추가 장치를 사용하여 이음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추가 장치를 이용하여 철근 이음을 형성하는 경우 그 구조가 복잡하여 시공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철근 이음에서의 인장강도가 크지 않아 철근 이음의 신뢰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철근 이음 공법 또는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간단한 방식으로 철근과 철근을 기계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면서도 철근이 서로 견고하게 연결되어 철근 이음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간단하고 적용이 용이한 철근이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양측 철근의 단부를 서로 이어주는 철근이음장치로서, 상기 양측 철근의 단부 외면에 대응되는 내면 형상을 가지고 있어 상기 양측 철근의 단부 각각에서 철근의 외면에 접하여 감싸는 내측고정수단과; 일측에 형성된 힌지부에 의하여 서로 회전하여 개폐되는 제 1 분할부 및 제 2 분할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부의 반대편 측면에는 원터치식 클립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 1 분할부 및 제 2 분할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그 내부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철근의 양단부와 각각의 내부고정수단이 밀착한 상태로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외부가압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외부가압고정수단은, 상기 내측고정수단에 의하여 감싸진 철근의 양측 단부가 상기 수납공간에 위치한 상태에서 클립잠금장치가 잠기게 되면 상기 내측고정수단을 외부에서 감싸서 가압하므로써 상기 내측고정수단과 철근을 고정시켜 양측 철근의 이음을 이루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철근이음장치가 제공된다.
상기한 철근이음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식 클립잠금장치는, 걸 림돌기와 고리와 조임쇠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리가 걸림돌기에 걸린 상태에서 조임쇠를 가압하면 고리가 당겨져 잠기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부가압고정수단의 수납공간 내면에는 내부고정수단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내부고정수단의 전,후단 위치에는 점점 좁아지도록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고정수단도 상기 외부가압고정수단의 수납공간 내면에 대응하여 그 양단부에 테이퍼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철근이음장치의 구성에서, 상기 내부고정수단의 외면에는 철근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상기 내부고정수단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의 전단키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가압고정수단의 수납공간 내면에는 상기 전단키가 삽입되는 전단키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전단키가 전단키 삽입부에 삽입되므로써 전단저항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철근이음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이음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철근이음장치를 예시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b에는 도 1a의 선A-A에 따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식 철근이음장치(1)는, 서로 연결되어 이어지는 철근(2)의 단부 각각에서 철근(2)의 외면에 접하여 감싸는 한 쌍의 내측고정수단(10)과, 상기 내측고정수단(10)에 의하여 감싸진 철근(2)의 양측 단부가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수납공간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수납공간에 위치한 상기 내측고정수단(10)을 외부에서 감싸서 가압하므로써 양측의 철근(2) 단부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이어지도록 하는 외부가압고정수단(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a에는 상기 내부고정수단(10)을 예시하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b에는 상기 내부고정수단(10)이 철근(2)의 외면에 접하여 감싸는 형상을 보여주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고정수단(10)은 철근(2)의 단부 외면에 직접 접촉하여 감싸도록 설치되는 부재로서, 그 내면(15)은 상기 철근(2)의 외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이형 철근(2)의 외면에는 융기면(2a) 및 오목면(2b)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철근(2)의 외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내부고정수단(10)의 내면(15)이 형성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2a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내부고정수단(10)의 내면(15)에는 상기 철근(2)의 융기면(2a)에 대응되는 오목부(15b)와, 상기 오목면(2b)에 대응되는 융기부(15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형상의 내면(15)을 가진 내부고정수단(10)은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철근(2)의 연결 단부 외면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고정수단(10)은 철근(2)의 상,하로 설치되도록 한 쌍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내부고정수단(10)은 2개 이상의 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고정수단(10)의 외면에는 철근(2)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상기 내부고정수단(10)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의 전단키(12)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전단키(12)는 사각형의 볼록한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그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으며, 그 개수 역시 한 개 이상의 복수개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단키(12)는 상기 내부고정수단(10)의 외주면 전체에 걸쳐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내부고정수단(10)의 외주면 일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단키(12)는 후술하는 외부가압고정수단(20)의 내면에 형성되는 전단키 삽입부(25)에 삽입되므로써, 상기 철근(2)에 가해지는 인장력에 저항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도 3에는 외부가압고정수단(20)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상기 외부가압고정수단(20)이 내부고정수단(10)을 감싸는 형상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a에는 외부가압고정수단(20)에 구비된 원터치식 클립잠금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b에는 철근(2)의 외면에 내부고정수단(1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가압고정수단(20)에 수납되어 외부가압고정수단(20)이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c에는 외부가압고정수단(20)이 폐쇄되어 클립잠금장치에 의하여 잠긴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가압고정수단(20)은, 서로 연결되는 철근(2)의 양측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내부고정수단(10)을 동시에 감싸서 가 압하므로써 철근(2)의 양단부와 내부고정수단(10)이 상기 외부가압고정수단(20) 내에서 견고하게 그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부가압고정수단(20)은 제 1 분할부(20a) 및 제 2 분할부(20b)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분할부(20a) 및 제 2 분할부(20b)는 일측에 형성된 힌지부(21)에 의하여 서로 회전하여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분할부(20a) 및 제 2 분할부(20b)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가압고정수단(20)의 내부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철근(2)의 양단부와 각각의 내부고정수단(10)이 수납되는 2개의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외부가압고정수단(20)의 내면은 상기 수납공간 내에 위치하게 되는 내부고정수단(10)이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고정수단(10)의 외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특히 상기 외부가압고정수단(20)의 수납공간 내면에는, 내부고정수단(10)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내부고정수단(10)의 전,후단 위치에서 점점 좁아지도록 테이퍼부(26)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 경우 내부고정수단(10) 역시 이에 대응하여 그 양단부에 테이퍼부가 형성된다.
한편, 내부고정수단(10)의 외면에 전단키(12)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외부가압고정수단(20)의 수납공간 내면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고정수단(10)의 전단키(12)와 맞물리도록 전단키 삽입부(25)가 형성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가압고정수단(20)의 제 1 및 제 2 분할부(20a, 20b)에 구비된 힌지부(21)에 반대되는 측면에는 원터치식 클립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식 클립잠금장치는 걸림돌 기(32), 고리(31)와 조임쇠(35)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분할부(20a)에 걸림돌기(32)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 5b 또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2 분할부(20b)에 고리(31)와 조임쇠(3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클립잠금장치의 고리(31) 일측부에는 고리 회전부(3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리 회전부(31a)는 상기 조임쇠(35)의 측면에 형성된 회전공(33)에 삽입되어 제 2 힌지축을 이루고 있다. 이에 따라, 고리(31)가 조임쇠(35)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조임쇠(35)의 다른 일측 단부에 형성된 회전부(34a)가 조임쇠 연결부(34)에 연결되어 제 2 회전축을 이룬다. 상기 조임쇠 연결부(34)는 상기 제 2 분할부(20b)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분할부(20b)에서 상기 조임쇠(35)가 제 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것처럼 서로 연결되어야 할 철근(2)의 양단부 각각의 외면에 내부고정수단(10)을 밀착하여 설치한 후, 이를 외부가압고정수단(20)의 수납공간에 놓은 후, 힌지부(21)를 중심으로 제 1 분할부(20a)를 화살표 C방향으로 제 2 분할부(20b)를 향해 닫는다. 이어서, 상기 고리(31)를 회전공(33)을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걸림돌기(32)에 걸고 조임쇠(35)를 회전부(34a)를 중심으로 화살표 D 방향으로 가압하여 클립잠금장치를 감근다. 그에 따라 제 1 분할부(20a) 및 제 2 분할부(20b)는 도 5c에 도시된 것처럼 서로 일체로 맞물려 결합되며, 그 결과 내부의 내부고정수단(10)을 강하게 가압하게 되어 양측 철근(2)이 빠져나가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양측 철근(2)이 결과적으로 일체로 연속되어 이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식 철근이음장치에서는 외부가압고정수단(20)의 제 1 분할부(20a) 및 제 2 분할부(20b)를 강하게 가압하면서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외면에 내부고정수단(10)에 밀착되어 있는 철근(2)이 강하게 가압되어 고정되므로 견고한 철근 이음이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체결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외부가압고정수단(20)에 부착 설치되어 있는 원터치식 클립잠금장치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외부가압고정수단(20)의 제 1 분할부(20a) 및 제 2 분할부(20b)를 강하게 가압할 수 있으므로, 철근 이음 작업이 간소화되고, 그에 따라 철근 이음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경제적인 철근 이음 시공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외부가압고정수단(20) 내면의 수납공간에는 내부고정수단(10)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내부고정수단(10)의 전,후단에는 점점 좁아지도록 테이퍼부(26)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내부고정수단(10)의 양단부에도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부가압고정수단(20)이 내부고정수단(10)을 가압한 상태에서는, 철근(2)을 물고 있는 내부고정수단(10)의 수평이동이 철저히 차단되기 때문에 양측 철근(2)에 강한 인장력이나 압축력이 작용하여도 양측 철근(2)이 외부가압고정수단(20)의 수납공간 내에서 수평이동하는 것이 원천적으로 방지되고, 결과적으로 양측 철근(2)이 매우 견고하게 이어지게 되어 철근 이음의 신뢰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특히 내부고정수단(10)의 외면에 전단키(15)를 형성하고 외부가압고정수단(20)의 수납공간 내면에 전단키 삽입부(25)에 상기 전단키(15)가 삽입되는 구조를 더 구비하게 되면, 전단키(15)에 의한 전단저항력이 증가되어 양측 철근(2)의 인장 및 압축에 대한 저항력이 더욱 커지게 되고 그에 따라 철근 이음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된다.

Claims (4)

  1. 양측 철근(2)의 단부를 서로 이어주는 철근이음장치(1)로서,
    상기 양측 철근(2)의 단부 외면에 대응되는 내면 형상을 가지고 있어 상기 양측 철근(2)의 단부 각각에서 철근(2)의 외면에 접하여 감싸는 내측고정수단(10)과;
    일측에 형성된 힌지부(21)에 의하여 서로 회전하여 개폐되는 제 1 분할부(20a) 및 제 2 분할부(20b)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부(21)의 반대편 측면에는 원터치식 클립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 1 분할부(20a) 및 제 2 분할부(20b)가 폐쇄된 상태에서 그 내부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철근(2)의 양단부와 각각의 내부고정수단(10)이 밀착한 상태로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외부가압고정수단(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외부가압고정수단(20)은, 상기 내측고정수단(10)에 의하여 감싸진 철근(2)의 양측 단부가 상기 수납공간에 위치한 상태에서 클립잠금장치가 잠기게 되면 상기 내측고정수단(10)을 외부에서 감싸서 가압하므로써 상기 내측고정수단(10)과 철근(2)을 고정시켜 양측 철근(2)의 이음을 이루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철근이음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식 클립잠금장치는, 걸림돌기(32)와 고리(31) 와 조임쇠(35)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리(31)가 걸림돌기(32)에 걸린 상태에서 조임쇠(35)를 가압하면 고리(31)가 당겨져 잠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철근이음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가압고정수단(20)의 수납공간 내면에는 내부고정수단(10)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내부고정수단(10)의 전,후단 위치에는 점점 좁아지도록 테이퍼부(2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고정수단(10)도 상기 외부가압고정수단(20)의 수납공간 내면에 대응하여 그 양단부에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철근이음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고정수단(10)의 외면에는 철근(2)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상기 내부고정수단(10)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의 전단키(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가압고정수단(20)의 수납공간 내면에는 상기 전단키(12)가 삽입되는 전단키 삽입부(25)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전단키(12)가 전단키 삽입부(25)에 삽입되므로써 전단저항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철근이음장치.
KR1020070039144A 2007-04-23 2007-04-23 원터치식 클립잠금장치를 이용한 기계식 철근이음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815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144A KR100815173B1 (ko) 2007-04-23 2007-04-23 원터치식 클립잠금장치를 이용한 기계식 철근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144A KR100815173B1 (ko) 2007-04-23 2007-04-23 원터치식 클립잠금장치를 이용한 기계식 철근이음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645U Division KR200429189Y1 (ko) 2006-08-01 2006-08-01 원터치식 클립잠금장치를 이용한 기계식 철근이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2126A true KR20080012126A (ko) 2008-02-11
KR100815173B1 KR100815173B1 (ko) 2008-04-07

Family

ID=39340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9144A Expired - Fee Related KR100815173B1 (ko) 2007-04-23 2007-04-23 원터치식 클립잠금장치를 이용한 기계식 철근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51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349B1 (ko) * 2011-12-26 2012-06-11 송석건설(주)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
KR102792696B1 (ko) * 2023-12-11 2025-04-08 주식회사 비츠로셀 원통형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의 3전극 시스템의 전극 전위 측정용 지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660B1 (ko) * 2009-04-02 2012-03-26 김상일 철근 연결구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02125A (ko) * 1974-01-14 1975-08-13
KR970010180B1 (ko) * 1994-02-21 1997-06-21 이일남 철근콘크리트 건조물용의 철근죠인트
KR0116605Y1 (ko) * 1994-11-29 1998-04-22 최훈 철근이음용 슬리브
JP3370245B2 (ja) * 1996-11-05 2003-01-27 株式会社富士ボルト製作所 鉄筋の継手構造
KR200177975Y1 (ko) * 1997-09-11 2000-06-01 정귀조 철근연결금구
KR20010079323A (ko) * 2001-07-06 2001-08-22 강성민 철근 연결 클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349B1 (ko) * 2011-12-26 2012-06-11 송석건설(주)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
KR102792696B1 (ko) * 2023-12-11 2025-04-08 주식회사 비츠로셀 원통형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의 3전극 시스템의 전극 전위 측정용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5173B1 (ko) 2008-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579B1 (ko) 철근 커플러
US20150000227A1 (en) Splice sleeve with elliptical or compound curve cross section
KR100953941B1 (ko) 철근 커플러
KR102202667B1 (ko) 슬립 방지 철근 커플러
KR101486039B1 (ko) 압축과 인장에 의한 철근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이음 방법
KR100980481B1 (ko) 싱글형 철근 조임쇠
KR101846820B1 (ko) 파일조인트 유니트
KR101036594B1 (ko) 철근 커플러
KR101371216B1 (ko) 나선형 또는 이형 철근의 끼움식 커플러
KR100815173B1 (ko) 원터치식 클립잠금장치를 이용한 기계식 철근이음장치
KR200429189Y1 (ko) 원터치식 클립잠금장치를 이용한 기계식 철근이음장치
KR101433876B1 (ko) 철근용 양방향 동시 체결 커플러
KR20190000226U (ko) 내구성이 구비된 원터치식 커플러
US20230117964A1 (en) Non-slip reinforcing bar coupler
KR200286101Y1 (ko) 철근 연결장치
KR101246678B1 (ko)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KR200431816Y1 (ko) 다발철근용 커플러
KR101249077B1 (ko) 나선형 또는 이형 철근의 끼움식 커플러
JP4005387B2 (ja) 配筋定着方法及び該方法に用いられる定着具
KR100858056B1 (ko) 다발철근용 커플러
KR101147543B1 (ko) 철근 커플러
KR102598483B1 (ko) 개방형 캠웨지 커플러
KR100980482B1 (ko) 더블형 철근 커플러
KR20190064239A (ko) 철근 연결용 커플링
KR101022047B1 (ko) 철근 커플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8 Dual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81R01D

Patent event date: 20070423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Patent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3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3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20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9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61209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0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1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224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