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09487A -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9487A
KR20080009487A KR1020060069162A KR20060069162A KR20080009487A KR 20080009487 A KR20080009487 A KR 20080009487A KR 1020060069162 A KR1020060069162 A KR 1020060069162A KR 20060069162 A KR20060069162 A KR 20060069162A KR 20080009487 A KR20080009487 A KR 20080009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ens housing
friction
portable terminal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9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0370B1 (ko
Inventor
박관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9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0370B1/ko
Priority to US11/696,423 priority patent/US8442598B2/en
Publication of KR20080009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9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0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0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18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형성된 수용홈; 상기 수용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렌즈 하우징; 상기 렌즈 하우징에 제공되는 마찰편; 및 상기 마찰편의 단부에 제공된 마찰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렌즈 하우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마찰 돌기는 상기 수용홈의 내측벽에 접촉된 상태로 마찰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마찰편과 마찰 돌기를 이용하여 수용홈의 내측벽에 마찰하게 함으로써 렌즈 하우징의 정지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마찰 돌기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홈을 추가로 형성하여 렌즈 하우징의 정지 상태를 안정시켜 촬영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클릭감을 발생시켜 렌즈 하우징의 회전 정도를 쉽게 인지하게 한다.
단말기, 카메라, 회전, 세레이션, 마찰편, 마찰 돌기

Description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PORTABLE TERMINAL WITH CAMERA LENS ASSEMBLY}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렌즈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에 렌즈 하우징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우징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이동통신 기지국 등을 통해 사용자와 사용자 또는 사용자와 서비스 업자 사이에서 무선통신 기능을 제공해주는 기기를 의미 하는 것으로서, 음성 통화서비스, 단문 메시지 전송으로부터 모바일 뱅킹(mobile banking), TV 시청, 온라인 게임, 주문형 비디오 등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contents)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그 외형에 따라 하나의 하우징에 통신회로, 송화부, 수화부 등의 입출력 장치가 설치된 바형 단말기, 바형 단말기에 플립 커버가 설치된 플립형 단말기, 한 쌍의 하우징이 회전함으로써 개폐되고 입출력 장치가 각각의 하우징에 분산 배치된 폴더형 단말기 등으로 분류된다. 최근에는 슬라이딩형 단말기 등이 등장하여 폴더형 단말기와 더불어 휴대성과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키면서 사용자의 다양한 취향들을 만족시키려는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아울러, 온라인을 통한 휴대용 단말기로의 게임, 동영상 파일 전송, 모바일 뱅킹, 주문형 비디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등 이동통신 서비스가 다양화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서비스의 다양화가 가능하게 된 것은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사용자들의 욕구가 다양해져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의 상업화가 가능해진 환경에 기인한 것이다.
한편, 정보통신 기술이 집적화 되면서, 휴대용 단말기는 단순한 통신 기기로써 뿐만 아니라 점차 촬영기기, 저장 매체와 같은 복합 기기로서의 기능이 강화되고 있다. 이러한 복합적 기능들 중에서도,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장착함으로써 가능한 촬영기능은 점차 단말기의 필수 기능으로 자리잡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고정형과 회전형으로 분 류될 수 있다. 고정형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단말기의 하우징 일면에 설치되어 외부 충격 등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반면에 촬영할 때마다 카메라 렌즈가 피사체를 향하도록 단말기의 지향방향을 전환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회전형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단말기의 하우징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단말기를 움직이지 않더라도 다양한 방향으로 렌즈 하우징을 회전시켜 촬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고정형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비해 렌즈 하우징의 유동에 취약하여 촬영에서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회전형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다양한 방향으로의 촬영이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렌즈 하우징의 촬영 방향을 사용자가 인지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렌즈 하우징의 유동을 제한하여 촬영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방향으로의 촬영이 용이하면서 렌즈 하우징의 촬영 방향을 인지하기 용이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형성된 수용홈;
상기 수용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렌즈 하우징;
상기 렌즈 하우징에 제공되는 마찰편; 및
상기 마찰편의 단부에 제공된 마찰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렌즈 하우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마찰 돌기는 상기 수용홈의 내측벽에 접촉된 상태로 마찰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100)의 제2 하우징(102)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100)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렌즈 하우징(103)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100)의 제2 하우징(102)에 렌즈 하우징(103)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100)는 렌즈 하우징(103)이 단말기 의 하우징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구성이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제1 하우징(101)과, 상기 제1 하우징(101)에 대면한 상태로 멀어지거나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제2 하우징(102)을 구비한다.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면에는 키패드(111)와 송화부(113)가 설치되어 상기 제2 하우징(102)에 의해 개폐되며, 일단부 양측에는 각각 사이드 힌지 암(115)들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일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21)와 수화부(123)가 설치되어 상기 제2 하우징(102)이 회동함에 따라 개폐되고, 일단부에는 센터 힌지 암(1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센터 힌지 암(125)은 상기 사이드 힌지 암(115)들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사이드 힌지 암(115)들과 상기 센터 힌지 암(125)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조립을 위하여 상기 센터 힌지 암(125)의 중앙부에 형성된 수용홈(117)을 구비한다. 상기 수용홈(117)은 상기 센터 힌지 암(125)의 일부분을 절개함으로써 형성되며, 적어도 일측의 내측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홈(recess)(119)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119)들은 완전한 하나의 원을 형성하는 궤적을 따라 서로 인접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카메라 소자가 내장된 실린더 형상의 렌즈 하우징(103)을 포함한다. 상기 렌즈 하우징(103)의 외주면에는 투명 창으로 폐쇄된 노출용 창(131)이 형성되어 내장된 카메라 소자의 촬영이 가능하다.
상기 렌즈 하우징(103)의 일단면에는 마찰편(133)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마찰편(133)은 상기 렌즈 하우징(103)의 일단면 일부분을 절개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렌즈 하우징(103)의 일단면 중앙부로부터 직경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이다. 따라서, 상기 마찰편(133)은 상기 렌즈 하우징(103)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변형이 가능하며, 변형된 때에는 최초 위치로 되돌아가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축적하게 된다.
상기 마찰편(133)의 단부에는 마찰 돌기(13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찰편(133)이 변형되지 않은 최초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마찰 돌기(135)는 상기 렌즈 하우징(103)의 일단면으로 돌출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렌즈 하우징(103)은 상기 수용홈(117)에 결합되어 회전하게 된다. 상기 렌즈 하우징(103)의 회전축은 상기 단말기(100)의 힌지축(A1)과 일치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렌즈 하우징(103)이 상기 수용홈(117)에 결합되면, 상기 마찰 돌기(135)는 상기 수용홈(117)의 일측 내측벽에 마찰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렌즈 하우징(103)의 양 단면은 각각 상기 수용홈(117)의 내측벽에 접한 상태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마찰 돌기(135)는 상기 렌즈 하우징(103)의 일단면에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렌즈 하우징(103)이 상기 수용홈(117)에 결합되면 상기 마찰 돌기(135)가 상기 수용홈(117)의 내측벽에 접하면서 상기 마찰편(133)은 상기 렌즈 하우징(103)의 내측으로 변형된다. 따라서, 상기 렌즈 하우징(103)이 상기 수용홈(117) 내에서 회전하면 상기 마찰 돌기(135)는 상기 마찰편(133)의 탄성 력을 제공받아 상기 수용홈(117)의 내측벽에 마찰하게 된다.
한편, 상기 수용홈(117)의 내측벽에 형성된 홈(119)들은 상기 렌즈 하우징(103)이 회전함에 따라 형성되는 상기 마찰 돌기(135)의 이동 궤적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119)들이 상기 마찰 돌기(135)의 이동 궤적을 따라 형성되면, 상기 마찰 돌기(135)는 상기 마찰편(133)의 탄성력을 제공받아 상기 홈(119)들 중 어느 하나와 맞물리게 된다. 아울러, 상기 렌즈 하우징(103)이 회전하면 상기 마찰 돌기(135)는 어느 하나의 홈에 맞물린 상태에서 다른 홈에 맞물리면서 클릭감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렌즈 하우징(103)의 회전 각도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마찰 돌기(135)와 홈(119)들 중 어느 하나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렌즈 하우징(103)의 회전이나 유동이 제한되어 상기 렌즈 하우징(103)은 안정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수용홈(117)에 상기 렌즈 하우징(103)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킴에 있어서, 상기 렌즈 하우징(103)의 일단에는 원호를 따라 연장되는 리브와, 상기 수용홈(117)의 내측벽에 형성된 회전홈을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렌즈 하우징(103)의 회전을 안내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렌즈 하우징의 일단을 절개하여 직경방향으로 연장된 마찰편과, 마찰편의 단부에 형성된 마찰 돌기를 형성하여 렌즈 하우징이 수용되는 수용홈의 내측벽에 마찰하게 함으로써 렌즈 하우징의 정지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단말기 상에 형성되어 마찰 돌기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홈으로 구성되는 세레이션(serration)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렌즈 하우징의 고정 상태를 안정시켜 촬영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클릭감을 발생시켜 렌즈 하우징의 회전 정도를 쉽게 인지하게 한다.

Claims (7)

  1.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형성된 수용홈;
    상기 수용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렌즈 하우징;
    상기 렌즈 하우징에 제공되는 마찰편; 및
    상기 마찰편의 단부에 제공된 마찰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렌즈 하우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마찰 돌기는 상기 수용홈의 내측벽에 접촉된 상태로 마찰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돌기가 상기 수용홈에 내측벽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마찰편은 상기 렌즈 하우징의 내측으로 굽어지게 변형되어 탄성력을 축적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하우징이 회전함에 따라 형성되는 상기 마찰 돌기의 이동 궤적을 따라 상기 수용홈의 내측벽에 형성되는 홈(recess)들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돌기들이 상기 홈들 중 어느 하나와 맞물려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의 회전을 제한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대면한 상태로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폴더형 단말기이고,
    상기 렌즈 하우징은 상기 제2 하우징의 회동 중심이 되는 힌지축 상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단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사이드 힌지 암들;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 힌지 암들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센터 힌지 암을 더 구비하고,
    상기 수용홈은 상기 센터 힌지 암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편은,
    상기 렌즈 하우징의 일단면 일부분을 절개함으로써, 상기 렌즈 하우징의 일단면 중심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060069162A 2006-07-24 2006-07-24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810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9162A KR100810370B1 (ko) 2006-07-24 2006-07-24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US11/696,423 US8442598B2 (en) 2006-07-24 2007-04-04 Portable terminal with camera lens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9162A KR100810370B1 (ko) 2006-07-24 2006-07-24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9487A true KR20080009487A (ko) 2008-01-29
KR100810370B1 KR100810370B1 (ko) 2008-03-04

Family

ID=38972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9162A KR100810370B1 (ko) 2006-07-24 2006-07-24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42598B2 (ko)
KR (1) KR1008103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19430S (en) * 2006-08-30 2008-01-22 Nokia Corp Handset
USD594449S1 (en) * 2008-03-21 2009-06-16 Nokia Corporation Set of keys for a handse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9527B1 (ko) * 2001-06-12 2005-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전화기
KR100459543B1 (ko) 2002-07-10 2004-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20050035721A (ko) * 2003-10-14 2005-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0576007B1 (ko) * 2003-11-03 2006-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20050118008A (ko) * 2004-06-12 2005-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형 단말기의 카메라 클릭장치
KR20060032721A (ko) * 2004-10-13 2006-04-1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클릭감이 있는 스위블 힌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00566B1 (ko) * 2004-11-29 2007-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KR100703534B1 (ko) * 2005-03-09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
KR100703353B1 (ko) * 2005-05-30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0370B1 (ko) 2008-03-04
US8442598B2 (en) 2013-05-14
US20080020809A1 (en) 2008-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2231B2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apparatus
US7873396B2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stopper
US20070039132A1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EP1684491A2 (en) Hinge device for mobile terminal
US20070151078A1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apparatus
US7859585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camera lens assembly
KR10059401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 힌지 장치
EP1484921B1 (en) Camera lens assembly for a portable terminal
KR100810370B1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EP1848183B1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US7738786B2 (en) Camera lens assembly for portable terminal
US7657027B2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apparatus
KR100840255B1 (ko) 로터리형 힌지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바 타입 휴대용 단말기
KR100678058B1 (ko) 힌지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105871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64037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107564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성 카메라 모듈
KR100724873B1 (ko)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070036904A (ko) 접철 가능한 자판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050018488A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20080107791A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20060111039A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20070042713A (ko) 힌지 어셈블리 및 이동 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7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209